KR20240050679A -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679A
KR20240050679A KR1020220130344A KR20220130344A KR20240050679A KR 20240050679 A KR20240050679 A KR 20240050679A KR 1020220130344 A KR1020220130344 A KR 1020220130344A KR 20220130344 A KR20220130344 A KR 20220130344A KR 20240050679 A KR20240050679 A KR 202400506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ower
battery
history
power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303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성현
고기환
김민준
김인한
정찬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건소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건소프트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건소프트
Priority to KR10202201303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679A/ko
Publication of KR202400506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679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6Energy or water supply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RMEASURING ELECTRIC VARIABLES; MEASURING MAGNETIC VARIABLES
    • G01R31/00Arrangements for testing electric properties; Arrangements for locating electric faults; Arrangements for electrical testing characterised by what is being tested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1R31/36Arrangements for testing, measuring or monitoring the electrical condition of accumulators or electric batteries, e.g.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3/00Circuit arrangements for ac mains or ac distribution networks
    • H02J3/28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 H02J3/32Arrangements for balancing of the load in a network by storage of energy using batteries with converting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10/00Systems supporting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4S10/40Display of information, e.g. of data or contro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20/00Management or operation of end-user stationary applications or the last stages of power distribution; Controlling, monitoring or operating thereof
    • Y04S20/20End-user application control systems
    • Y04S20/221General power management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4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ECHNOLOGIES HAVING AN IMPACT ON OTHER TECHNOLOGY AREAS
    • Y04SSYSTEMS INTEGRATING TECHNOLOGIES RELATED TO POWER NETWORK OPERATION, COMMUNICATION OR INFORMATION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 ELECTRICAL POWER GENERATION, TRANSMISSION, DISTRIBUTION, MANAGEMENT OR USAGE, i.e. SMART GRIDS
    • Y04S30/00Systems supporting specific end-user applications in the sector of transportation
    • Y04S30/10Systems supporting the interoperability of electric or hybrid vehicles
    • Y04S30/12Remote or cooperative charging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Public Health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Supply And Distribution Of Alternating Curr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전력관리장치(PMS);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각 장치인 상기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전력관리서버; 및 상기 전력관리서버에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전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함으로써,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OPTIMAL ESS OPERATION POWER MANAGEMENT SYSTEM USING REUSE BATTERY AND ITS METHOD}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는 전력관리장치(PMS)로부터 전력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잘 알려진 바와 같이, 2차전지(secondary battery)는 충전 및 방전을 반복하여 사용할 수 있는 전지를 말하며, 충전 및 방전에 의하여 내부 활성 물질이 산화, 환원되는 전기 화학적 반응을 통해 화학 에너지와 전기 에너지 간의 변환이 이루어지는 현상을 이용한다.
그리고,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는 전기구동모드에서 이와 같은 2차전지의 전기 에너지를 동력원으로 사용할 수 있는데, 2차전지는 과방전, 과충전 등 비정상적인 사용에 의해 2차전지로서의 기능을 상실하기도 하지만, 정상적으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기 에너지를 저장하는 능력은 충전 및 방전횟수에 따라 점진적으로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의 경우, 배터리가 초기 용량대비 대략 80% 이하로 감소할 경우 주행거리 감소, 충전속도 저하, 안전성 위험증가 등 운행상의 문제로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 대상 배터리는 80% 수준의 용량을 보유하고 있어, 잔존수명이나 배터리 건강상태 등에 따라 다시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로 재사용(Reuse)될 수 있으며, 또는 재제조(Repurposing)를 통해 전기차용 배터리 이외의 목적으로 활용될 수 있는데, 예를 들면, 전기자동차에서 교체된(탈거한) 배터리를 분해하여 다시 조합하는 재제조를 통해 골프카, 카트용 배터리로 사용하거나, 가정용, 산업용 ESS(에너지 저장장치) 및 신재생에너지 연계형 ESS로 사용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하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종합적인 관리시스템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1. 한국등록특허 제10-1555322호(2015.09.17.등록)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는 전력관리장치(PMS)로부터 전력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전력관리장치(PMS);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각 장치인 상기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전력관리서버; 및 상기 전력관리서버에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전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하는 통신단말기;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계통정보처리부;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현황정보처리부;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조회정보처리부;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통계정보처리부;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설정정보처리부;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보고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각각 수행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분석정보처리부;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복구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마이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자기정보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전력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된 전력관리장치(PMS)에서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 전력관리서버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각 장치인 상기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전력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력관리서버에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포함하는 상기 계통정보와,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황정보와,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포함하는 상기 조회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포함하는 상기 통계정보와,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정보와,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포함하는 상기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포함하는 상기 분석정보와,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복구정보와, 마이페이지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정보를 생성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는 전력관리장치(PMS)로부터 전력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배터리관리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예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한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면, ESS(energy storage system, 에너지저장시스템)은 발전소 전력 및 신재생 발전 전력을 저장하는 대용량 배터리 장치를 의미하고, PMS(power management system, 전력관리시스템)는 ESS의 효율적이고 안정적인 운영을 담당하는 장치를 의미하며, BSC(battery system controller, 배터리제어시스템)는 배터리 보호 및 전기에너지 측정(SOC)과 셀 균형화, 시스템 호환 및 BMS 상태 확인 기능 등을 제공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그리고, SOC(state of charge는 배터리의 충전상태 또는 충전량을 의미하고, SOH(state of health)는 배터리의 성능상태 또는 노화상태를 의미하며, VPN(virtual private network, 가상사설망)은 인터넷망과 같은 공중망을 사설망처럼 이용할 수 있도록 특수통신체계와 암호화기능을 제공하는 통신서비스를 의미한다.
또한, 피크저감은 ESS 운영전 발생한 피크시간을 기준으로 한 ESS 운영 전후의 피크저감량을 의미하고, 유효전력(active power)은 전원에서 공급되고 실제로 소비되는 전력을 의미하며, 무효전력(reactive power)은 피상전력 중 실제로 일을 하지 않은 전력을 의미하고, 피상전력(apparent power)은 전압과 전류 실효치의 곱을 의미하며, 변환효율(conversion efficiency)은 AC-DC 변환간에 발생하는 손실을 고려한 효율을 의미하되, 높을수록 성능이 우수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의 블록구성도이고, 도 2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에서 제공되는 배터리관리프로그램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2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은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전력량계(140), 전력관리장치(PCS, 210), 전력관리서버(220),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 통신단말기(24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관리장치(PMS, 210)는 전력변환장치(PCS, 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reverse power relay, 130) 및 전력량계(140)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장치로서, 전력정보는 후술하는 전력변환장치정보, 배터리정보, 역전력계전기정보, 전력량계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전력정보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기 위해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전송되어 저장 관리될 수 있다.
여기에서, 전력변환장치(PCS, 110)는 사용후 배터리(120)에 연결되어 충전할 경우 교류전기를 직류전기로 변환하여 배터리에 저장하는 기능과, 방전할 경우 직류전기를 교류전기로 변환하는 기능을 갖는 장치로, 입출력필터, 인버터, 컨버터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장치상태, 입출력전압, 입출력전류, 전력, 고장정보 등을 포함하는 전력변환장치정보를 전력관리장치(PMS, 210)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후 배터리(120)는 전기자동차 또는 하이브리드 전기자동차에 탑재되어 사용된 후 재사용하기 위한 배터리를 의미하며, SOC, SOH 등을 포함하는 배터리정보를 전력관리장치(PMS, 210)에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역전력계전기(130)는 역전력이 흐르는 것을 검출하는 계전기로서, 수용가에 전력이 계통으로 송전될 경우 동작하며, 계전기상태, 역전력값 등을 포함하는 역전력계전기정보를 전력관리장치(PMS, 210)에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전력량계(140)는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전력관리장치(PCS, 210) 등에 각각 설치되어 각 장치의 전력량을 계측하는 장치로서, 장치별전력량, 기준전력량, 허용전력량 등을 포함하는 전력량계정보를 전력관리장치(PMS, 210)에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관리장치(PMS, 210)와 전력변환장치(PCS, 110) 또는 사용후 배터리(120) 간에는 모드버스프로토콜(modbus protocol)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이더넷 기반의 TCP 통신인 모드버스 TCP/IP 통신 방식을 이용하고, 전력관리장치(PMS, 210)와 역전력계전기(130) 또는 전력량계(140) 간에는 모드버스프로토콜을 이용하여 통신하되, 시리얼 통신망을 이용하는 모드버스 RTU 통신 방식을 이용할 수 있다.
전력관리서버(220)는 예를 들면, 명령, 코드, 파일, 컨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컴퓨팅장치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으며, 전력관리장치(PMS, 2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서버로서, 계통정보처리부(221), 현황정보처리부(222), 조회정보처리부(223), 통계정보처리부(224), 설정정보처리부(225), 보고정보처리부(226), 분석정보처리부(227), 복구정보처리부(228), 자기정보처리부(229)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통정보처리부(221)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할 수 있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계통정보는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포함할 수 있는데, 계통도는 수용가의 계통도를 포함하되,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및 전력량계(140)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 각 장치의 전력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소비전력량은 각 장치별로 시간별소비전력량, 충전량, 방전량, 각 전력량계전력소비량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PCS정보는 실시간 전력변환장치(110)에 대한 AC전압, AC전류, 주파수, DC전압, DC전류, 유효전력 등의 상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고, BAT정보는 실시간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SOC, SOH, 전압, 전류, 랙(rack)개수 등의 상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운영현황은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충전, 방전, 대기 등의 운영상태와, 스케줄, 피크컷, 통합, 수동 등의 운영모드와, 정상, 고장 등의 현재상태와, 목표전력, 일일누적충전량, 일일누적방전량, 현재부하, 통합SOC, 출력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장치제어는 ESS 제어를 위해 운영모드, PCS제어, BAT제어 등의 제어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고장목록은 수용가의 장치 및 운영상태에 따른 경고, 고장 등의 상세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현황정보처리부(222)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PCS운영현황은 각 전력전환장치(PCS, 110)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하는데, 유효전력, 무효전력, 피상전력, 변환효율 등을 포함할 수 있고, BAT운영현황은 각 사용후 배터리(120)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랙단위BAT운영현황은 각 랙단위배터리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모듈단위BAT운영현황은 각 모듈단위배터리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역전력계전기정보는 역전력계전기(130)에 대한 역전력, 전력, 전압 등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온습도정보는 각 BAT실과 각 PCS실에 대한 온도데이터, 습도데이터 등의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력량계정보는 각각의 전력량계(140)에 대한 역전력, 전력, 전압 등을 포함하는 실시간 상태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조회정보처리부(223)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이력은 전력변환장치(110)와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이벤트가 발생한 이력정보를 포함하되, 상태이상(warning, fault 등)데이터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충방전이력은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충방전이력정보를 포함하되, 충방전횟수, 충방전운영시간, 출력값, SOC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설정이력은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및 전력량계(140) 각각에 대한 설정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이력은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및 전력량계(140) 각각에 대한 제어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PCS장치이력은 전력변환장치(110)에 대한 장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BAT장치이력은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장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랙장치이력은 랙단위배터리의 장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모듈장치이력은 모듈단위배터리의 장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역전력계전기이력은 역기전력계전기(130)에 대한 장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온습도장치이력은 PCS실과 BAT실에 설치된 온습도장치에 대한 온습도장치이력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계정보처리부(224)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ESS운영통계는 ESS운영통계정보를 포함하되, ESS에 대한 소비전력량, 충전량, 방전량, 누적소비전력량, 누적충전량, 최대수요, ESS운영수익, 사용전력량, ESS운전효율, CO2감축량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요금통계는 각 전력량계(140)에 대한 전용요금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설정정보처리부(225)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스케줄설정은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충방전스케줄정보를 포함하되, 충방전요일, 충방전시작시간, 충방전종료시간, 충방전모드, 충방전출력값, 모교전력, 잔여방전, 계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휴일설정은 불필요한 운전을 방지하기 위해 설정하되, 휴일연도, 휴일월, 휴일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ESS운영설정은 각 장치에 대한 역전력방지설정값, SOC잔량상한값, SOC잔량하한값, 재충전마진값, 재방진마진값 등의 ESS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PCS설정은 각 전력변환장치(110)에 대한 한계출력치 등의 PCS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보호설정은 배터리온도경고값, 배터리온도고장값, 배터리실온도경고값, 배터리실온도고장값, 배터리실습도경고값, 배터리실습도고장값 등의 보호설정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요금설정은 수용가의 계약전력, 요금제, 시간대별전기요금 등의 요금설정값을 포함할 수 있다.
보고정보처리부(226)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운영보고서는 조회기간, 운영내용 등의 일운영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월운영보고서는 조회기간, 운영내용 등의 월운영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분석정보처리부(227)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각각 수행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시뮬레이션은 부하패턴, 계절, 용량, 부하별가상사용량, 부하시간대별 충방전스케줄 등의 운영시뮬레이션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배터리고장분석은 각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조회기간, 랙별최대최소셀전압, 랙별최다빈도, 모듈별셀최대최소전압 등의 배터리고장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배터리효율분석은 각 사용후 배터리(120)에 대한 랙별SOH, 누적충방전량, 평균온도, 효율 등의 배터리효율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복구정보처리부(228)는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전력정보를 추출한 후에,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다시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동복구흐름도는 자동복구설정항목, 각 항목별진행세부사항, 고장발생날짜, 고장설비, 내역 등의 자동복구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자동복구설정은 PCS자동복구항목, 배터리자동복구항목 등의 자동복수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자기정보처리부(229)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마이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자정보를 이용하여 자기정보를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통신단말기(240)로부터 전송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해당 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서 추출하여 통신단말기(240)로 제공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기정보는 계정, 비밀번호, 알림수신자, 사용자메뉴얼, 홈페이지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는 전력관리장치(210)로부터 전송되는 전력정보와, 전력관리서버(220)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할 수 있으며, 각각의 정보들은 필요에 따라 추출되어 전력관리서버(220)에 제공될 수 있다.
통신단말기(24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통신단말기(240)는 전력관리서버(220)에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되, 전력관리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하는데, 사용자 등록을 위해 사용자정보(예를 들면, 계정, 비밀번호, 연락처 등)를 전력관리서버(220)에 전송하여 사용자 등록을 요청할 수 있고, 사용자 등록이 완료된 상태에서 사용자로그인을 수행한 후에, 전력관리서버(220)에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여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통신단말기(240)는 전력관리서버(220)에서 운영하는 홈페이지에 접속하거나, 혹은 전력관리서버(220)에서 제공되는 사용후배터리관리어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로그인을 수행하는 방식으로 사용후배터리관리프로그램에 접속할 수 있다.
여기에서, 사용후배터리관리프로그램의 접속화면에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속주소(1)와 사용자계정과 비밀번호(2) 입력창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입력된 사용자계정과 비밀번호(2)는 RSA알고리즘을 이용하여 암호화될 수 있다.
그리고, 통신단말기(240)는 사용후배터리관리프로그램에 접속될 경우 전력관리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후배터리관리프로그램의 메인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계통정보처리부(221)에서 생성된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포함하는 계통정보를 메인화면을 통해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화면의 좌측에는 다른 항목으로 이동하기 위한 네비게이션바(1)가 구비될 수 있고, 상부에는 수용가의 정보(2)가 표시될 수 있으며, ESS설비상태(3)가 표시될 수 있는데, 수용가의 정보(2)는 아이콘에 마우스오버될 경우 사이트정보(예를 들면, 주소, 계약전력, PCS정보, BAT정보 등)가 표시될 수 있고, ESS설비상태(3)는 각 아이콘을 통해 로컬통신에러발생, 장치경고발생, 장치고장발생 등의 주요이벤트를 표시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화면에는 우측상부에 경고음알림온오프, 온도습도, 현재시간, 로그아웃이동 등을 표시할 수 있고, 전면에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전력량계(140) 등에 연동된 주요장치의 전력상태가 표시된 수용가의 계통도가 표시될 수 있으며, 우측에 운영현황이 표시될 수 있고, 하부 좌측에 시간별소비전력량이 표시될 수 있다.
또한, 하부 중앙에는 실시간 PCS상세데이터와 실시간 BAT상세데이터가 표시될 수 있고, 좌측 중앙에는 ESS장치제어를 위한 제어창이 표시되어 운영모드, PCS, BAT 등을 선택 제어할 수 있으며, 주변장치 선택 시 전면에 표시되는 계통도가 주변장치 화면으로 변경될 수 있고, 좌측 하부에는 고장목록이 수용가의 장치 및 운영상태에 따라 전체, 경고, 고장, 통신에러 등으로 구분되어 표시될 수 있다.
한편, 메일화면에서는 장치제어에서 ESS제어 버튼을 선택할 경우 팝업창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되어 운영모드제어를 수행할 수 있는데, PCS제어에서는 대기(PCS 내부차단기제어(ON), 수동 충방전 중 운전대기제어), 정지(PCS 내부차단기제어(OFF)), 재시작(PCS Fault 발생 시 Fault Reset 제어), 긴급정지(원격에서 문제발생 시 긴급정지제어(PCS 차단기 OFF→BAT Contactor OFF) 등을 선택하여 장치제어를 수행할 수 있고, BAT제어에서는 BAT연결(RACK Contactor/Relay 제어(ON)), BAT차단(RACK Contactor/Relay 제어(OFF)), BAT재시작(배터리 Fault 발생 시 Fault Reset 제어) 등을 선택하여 장치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장치제어는 설정값 및 이벤트이력을 확인하고, 운영모드가 수동인지 확인(수동모드에서만 제어할 수 있음)하며, PCS데이터의 그리드전압(R/S/T)을 확인(그리드전압이 들어오지 않을 경우 그리드차단기 상태를 확인함)하고, BAT연결 버튼을 선택하여 제어(BAT데이터 전체를 확인할 수 있음)할 수 있으며, BAT데이터 및 PCS데이터 중 DC BATTERY 전압을 확인(전압이 올라오지 않을 경우 배터리-PCS간 배터리 내부 DC찬단기 상태를 확인함)하고, 대기버튼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PCS데이터 중 DC BATTERY LINK 전압과 DC BATTERY 전압이 일치하는지 확인하고, PCS가 대기 또는 활성상태인지 확인한 후에, 수동모드 또는 운영모드를 선택하여 충전 및 방전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장치정지는 설정값 및 이벤트이력을 확인하고, 운영모드가 수동인지 확인(수동모드에서만 제어할 수 있음)하며, PCS가 대기상태인지 확인(수동으로 충전 및 방전 시 대기 버튼을 선택하여 제어함)하고, 정지 버튼을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으며, PCS데이터 중 DC BATTERY LINK 전압이 0인지 확인하고, BAT차단 버튼을 선택하여 제어하고, BAT데이터를 확인(Total Racks를 제외하고 모두 0인지 확인)하는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다.
그리고, 운영모드제어에서는 전력관리장치(210)의 4가지 운영모드 중 원하는 모드를 선택하여 제어할 수 있는데, 수동모드는 사용자가 충전방전출력량을 직접 입력하여 수동으로 제어할 수 있고, 스케줄모드는 수용가가 원하는 시간 및 요일에 스케줄을 지정하여 지정된 스케줄에 따라 운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통합모드(스케줄+피크컷)에서는 스케줄모드에 목표전력을 설정하여 운전하도록 제어하되, 스케줄운전을 수행하다가 목표전력을 넘을 경우 방전하고, 잔여방전은 SOC하한값까지 남은 전력을 시간에 맞게 균등히 방전하도록 제어할 수 있으며, 피크컷모드에서는 수용가가 깎고자 하는 전력을 목표전력으로 설정할 경우 그 값을 넘지 않도록 운전하되, 기 설정된 시간(예를 들면 15분 등) 누적평균이 목표전력을 넘을 경우 추가 방전을 진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현황항목을 선택할 경우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은 현황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현황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현황정보처리부(222)에서 생성된 PCS운영현황(1),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포함하는 현황정보를 각각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현황화면의 각 상태창 상단메뉴바에서는 우측 첫 번째에 통신상태(정상일 경우 초록색)를 표시할 수 있고, 두 번째에 경고(Warning)상태를 표시(황색일 경우 장치의 상태는 경고상태임)할 수 있는데, 경고상태표시를 선택할 경우 장치의 실시간 경고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팝업창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또한, 세 번째에 오류(Fault)상태를 표시(적색일 경우 장치의 상태는 오류상태임)할 수 있는데, 오류상태표시를 선택할 경우 장치의 실시간 오류상태정보를 표시하는 팝업창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네 번째에 장치의 상태정보 전체를 표시하는 표시버튼이 구비될 수 있고, 이를 선택할 경우 필요한 상태정보를 선택하여 화면에 표시할 수 있도록 전체상태창이 생성 및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조회항목을 선택할 경우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조회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조회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조회정보처리부(223)에서 생성된 이벤트이력(1),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포함하는 조회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이벤트이력(1),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은 각각 파일로 다운로드하거나, 해당 이력을 인쇄하거나, 해당 이력을 테이블 또는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통계항목을 선택할 경우 통계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통계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통계정보처리부(224)에서 생성된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ESS운영통계화면에서 제공되는 통계정보는 ESS에 대한 소비전력량, 충전량, 방전량, 누적소비전력량, 누적충전량, 최대수요, ESS운영수익, 사용전력량, ESS운전효율, CO2감축량 등을 포함할 수 있는데, 조회기간설정 및 다운로드를 위한 상태창과, 테이블보기 버튼과, 검색결과 상태창, ESS운영통계를 위한 상태창이 표시될 수 있고, 상태창에는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 월/일/시간/15분별로 기간을 선택한 후, 시작기간 및 종료기간을 선택하여 조회를 선택할 경우 해당 조건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으며, 이를 다운로드(또는 인쇄)하거나, 테이블화 또는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이블보기(1)를 통해 ESS 운영통계값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에 대해 월/일/시간/15분별로 기간을 선택한 후, 시작기간 및 종료기간을 선택하여 조회를 선택할 경우 해당 조건의 데이터를 조회할 수 있으며, 일별보기를 선택하여 당일 SOC를 확인할 수 있고, 이를 다운로드(또는 인쇄)하거나, 테이블화 또는 그래프화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요금통계를 전력량계별로 요금정보를 조회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데, 조회기간설정, 요금정보조회, 다운로드 등을 통해 요금통계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설정항목을 선택할 경우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설정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설정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설정정보처리부(225)에서 생성된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포함하는 설정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설정화면 중 스케줄설정화면에서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케줄등록(1), 요일선택(2), 시작종료시간설정(3), 운전모드선택(4), 출력값설정(5) 등을 통해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고, 목표전력설정, 잔여방전, 계절선택, 휴일설정 등을 통해 스케줄을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ESS운영설정화면에서는 현재부하량이 PCS 역전력 방지설정값보다 낮을 경우 전력변환장치(110)를 대기상태로 전환하는 역전력방지, SOC상한하한설정, 재충전재방진마진설정 등을 ESS운영에 대해 설정할 수 있고, PCS설정화면에서는 각 전력변환장치(110)에 대한 한계출력치설정을 통해 전력변환장치(110)를 설정할 수 있으며, 보호설정화면에서는 배터리온도경고값, 배터리실온도경고값, 배터리실습도경고값 등의 경고설정과, 배터리온도고장값, 배터리실온도고장값, 배터리실습도고장값 등의 고장설정을 수행할 수 있고, 요금설정화면에서는 수용가의 계약전력, 요금제, 시간대별전기요금 등을 포함하는 수용가의 전력정보를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보고항목을 선택할 경우 보고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보고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보고정보처리부(226)에서 생성된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포함하는 보고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일운영보고서화면에서는 조회기간설정, 일운영보고서인쇄, 일운영보고서다운로드, 담당자이름및직급변경 등을 통해 일운영보고서를 제공할 수 있고, 월운영보고서화면에서는 조회기간설정, 월운용보고서인쇄, 원운용보고서다운로드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분석항목을 선택할 경우 도 8 내지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은 분석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분석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분석정보처리부(227)에서 생성된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를 포함하는 분석정보가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여기에서, 운영시뮬레이션화면에서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전력사용량 및 최대수요량을 시간대별로 입력하는 부하패턴설정(1), 계절선택, 계약전력, PCS용량, BAT용량을 입력한 후 시뮬레이션 실행 버튼을 선택하는 계절및용량설정(2), 시뮬레이션결과값으로 부하시간대별 최대수요, 최대수요예측값, 사용량, 사용량예측값 및 목표전력값을 확인하는 부하별가상사용량(3), 시뮬레이션결과값으로 부하시간대별 충전 및 방전스케줄을 제공하는 부하시간대별 충방전스케줄(4), 제공받은 충전 및 방전스케줄을 실적용하는 스케줄적용(5) 등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배터리고장분석화면에서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회기간설정 및 랙별최대최소셀전압 최다빈도 위치조회(1), 조회기간에 대응하여 모듈별 최대최저전압을 분단위 그래프로 표시하여 셀전압의 변동추이를 확인하는 셀전압편차그래프(2), 모든 셀의 상태정보를 맵으로 표현하여 실시간상태(정상, 경고 및 고장)를 체크하면서 최대최저전압, 최고최저온도 및 최대최저셀전압위치를 모니터링하는 셀데이터정보(3) 등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효율분석화면에서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랙별SOH, 누적충방전량, 평균온도, 효율 등을 실시간 모니터링하는 랙데이터정보(1), 랙별 6개월 이전 SHO평균치와 금월 SOH평균치의 비교 그래프를 확인하는 랙SOH(2), 랙별 6개월 이전 충방전 사이클과 전원 충방전 사이클의 비교 그래프를 확인하는 랙누적충방전Cycle(3), 랙별 평균 효율 및 전체 평균 효율을 확인하는 랙효율(4) 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복구항목을 선택할 경우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은 복구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복구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복구정보처리부(228)에서 생성된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포함하는 복구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자동복구흐름도화면에서는 도 1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동복구설정항목에 따른 자동복구 동작의 흐름을 확인하는 자동복구흐름도(1), 고장발생날짜, 고장설비, 내역 등 자동복구 진행의 이력을 차트로 확인하는 자동복구이력차트(2)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자동복구흐름도(1)에서는 진행되는 항목에 파란 네온색으로 표시할 수 있고, 각 항목별진행세부사항을 텍스트로 표시할 수 있으며, 복구불가사유가 발생할 경우 불가사유 팝업을 생성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그리고, 자동복구설정화면에서는 PCS자동복구항목선택, 배터리자동복구항목선태 등을 제공할 수 있는데, PCS자동복구항목선택에서는 PCS의 고장항목들이 모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고장항목에 대한 자동복구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부의 통합설정 온/오프(ON/OFF)를 통해 모든 고장항목에 대한 자동복구기능을 설정할 수 있고, 배터리자동복구항목선택에서는 배터리의 고장항목들이 모두 표시될 수 있고, 사용자가 원하는 고장항목에 대한 자동복구기능을 설정할 수 있으며, 상부의 통합설정 온/오프(ON/OFF)를 통해 모든 고장항목에 대한 자동복구기능을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통신단말기(240)는 메인화면의 좌측 네비게이션바에서 My항목을 선택할 경우 마이페이지화면이 디스플레이될 수 있는데, 마이페이지화면은 전력관리서버(220)의 자기정보처리부(229)에서 생성된 자기정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마이페이지화면에서는 로그인한 계정의 ID를 확인하는 계정ID확인, 수정버튼을 선택하여 접속한 계정의 비밀번호를 변경하는 비밀번호변경, 사이트별 설비의 경고, 고장에 대한 알람수신자를 등록 및 수정할 수 있는 알림수신자설정, 업데이트 진행에 따른 최신화된 사용자메뉴얼을 다운로드받을 수 있는 사용자메뉴얼다운로드, 홈페이지바로가기 버튼을 통해 홈페이지 챗봇 문의를 수행하는 홈페이지문의 등을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전력관리장치(210), 전력관리서버(220),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 및 통신단말기(240)의 상호간에 유무선통신환경을 제공하기 위한 유무선통신망이 구축될 수 있다.
이러한 유무선통신망은 예를 들면, 이동통신망, 유선인터넷통신망, 무선인터넷통신망, 방송망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PAN(personal area network), LAN(local area network), CAN(campus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BBN(broadband network), 인터넷 등의 네트워크 중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를 포함할 수 있고, 버스 네트워크, 스타 네트워크, 링 네트워크, 메쉬 네트워크, 스타-버스 네트워크, 트리 네트워크, 계층적(hierarchical) 네트워크 등을 포함하는 네트워크 토폴로지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는 전력관리장치(PMS)로부터 전력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써,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을 나타낸 플로우차트이다. 여기에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므로, 이하에서는 그 흐름에 대해 간략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및 전력량계(140)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된 전력관리장치(PMS, 210)에서 전력정보를 관리할 수 있다(단계310).
그리고, 전력관리장치(210)로부터 제공되는 전력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단계320).
다음에, 전력관리서버(220)에서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전력정보를 추출하여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각 장치인 전력변환장치(110), 사용후 배터리(120), 역전력계전기(130) 및 전력량계(140)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할 수 있다(단계330).
여기에서, 전력관리서버(220)에서는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포함하는 상기 계통정보와,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황정보와,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포함하는 상기 조회정보를 각각 생성할 수 있다.
그리고, 전력관리서버(220)에서는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포함하는 상기 통계정보와,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정보와,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포함하는 상기 보고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전력관리서버(220)에서는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포함하는 상기 분석정보와,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복구정보와, 마이페이지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다음에, 통신단말기(240)에서 전력관리서버(220)에 접속하여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단계340).
그리고, 전력관리서버(220)에서 통신단말기(240)의 요청에 따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230)로부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단계350).
이어서, 전력관리서버(220)로부터 제공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통신단말기(240)에서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단계360).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는 전력관리장치(PMS)로부터 전력정보를 제공받아 사용후 배터리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함으로서, 사용후 배터리에 대해 각종 정보 및 상태를 관리할 수 있고, 배터리효율을 최적화하여 안정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고장여부를 진단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동으로 복구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을 제시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함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10 : 전력변환장치
120 ; 사용후 배터리
130 : 역전력계전기
140 : 전력량계
210 : 전력관리장치
220 : 전력관리서버
230 :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
240 : 통신단말기

Claims (10)

  1.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되어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전력관리장치(PMS);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각 장치인 상기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전력관리서버; 및
    상기 전력관리서버에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되, 상기 전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하는 통신단말기;
    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계통정보처리부;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현황정보처리부;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조회정보처리부;
    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통계정보처리부;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설정정보처리부;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보고정보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각각 수행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분석정보처리부; 및
    상기 전력정보를 이용하여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각각 생성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 복구정보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의 요청에 따라 마이페이지를 생성하여 제공하는 자기정보처리부;
    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6.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정보와, 상기 전력관리서버에서 생성된 정보들을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저장 관리하는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
    를 더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7.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를 포함하는 에너지저장시스템(ESS)과 연결된 전력관리장치(PMS)에서 전력정보를 관리하는 단계;
    상기 전력관리장치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전력정보를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
    전력관리서버에서 상기 전력정보를 추출하여 상기 에너지저장시스템(ESS)의 각 장치인 상기 전력변환장치, 사용후 배터리, 역전력계전기 및 전력량계에 대한 계통정보, 현황정보, 조회정보, 통계정보, 설정정보, 보고정보, 분석정보, 복구정보 및 자기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전력정보데이터베이스에 저장 관리하는 단계;
    통신단말기에서 상기 전력관리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요청하는 단계;
    상기 전력관리서버에서 상기 통신단말기의 요청에 따라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추출하여 제공하는 단계; 및
    상기 전력관리서버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사용후 배터리 관리정보를 각 항목별로 선택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계통도, 소비전력량, PCS정보, BAT정보, 운영현황, 장치제어 및 고장목록을 포함하는 상기 계통정보와, PCS운영현황, BAT운영현황, 랙단위BAT운영현황, 모듈단위BAT운영현황, 역전력계전기정보, 온습도정보 및 전력량계정보를 포함하는 상기 현황정보와, 이벤트이력, 충방전이력, 설정이력, 제어이력, PCS장치이력, BAT장치이력, 랙장치이력, 모듈장치이력, 역전력계전기이력 및 온습도장치이력을 포함하는 상기 조회정보를 각각 생성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ESS운영통계 및 요금통계를 포함하는 상기 통계정보와, 스케줄설정, 휴일설정, ESS운영설정, PCS설정, 보호설정 및 요금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설정정보와, 일운영보고서 및 월운영보고서를 포함하는 상기 보고정보를 생성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전력관리서버는,
    운영시뮬레이션, 배터리고장분석 및 배터리효율분석을 포함하는 상기 분석정보와, 자동복구흐름도 및 자동복구설정을 포함하는 상기 복구정보와, 마이페이지를 포함하는 상기 자기정보를 생성하는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방법.
KR1020220130344A 2022-10-12 2022-10-12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506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344A KR20240050679A (ko) 2022-10-12 2022-10-12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30344A KR20240050679A (ko) 2022-10-12 2022-10-12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679A true KR20240050679A (ko) 2024-04-19

Family

ID=908822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30344A KR20240050679A (ko) 2022-10-12 2022-10-12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5067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322B1 (ko) 2014-04-21 2015-09-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배터리 재자원화를 위한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55322B1 (ko) 2014-04-21 2015-09-23 주식회사 넥스트스퀘어 배터리 재자원화를 위한 충방전 시스템 및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Sangswang et al. Optimal strategies in home energy management system integrating solar power, energy storage, and vehicle-to-grid for grid support and energy efficiency
CN106208367B (zh) 模块化储能方法及系统
JP6569791B2 (ja) 蓄電池搭載機器の保守運用システム
JP5762182B2 (ja) 電力管理システム、エネルギー管理装置、情報管理装置、制御装置
WO2013080308A1 (ja) 需要家エネルギ管理システム及び需要家エネルギ管理方法
US20120005126A1 (en) Charging/discharging apparatus and charging/discharging method
JP5415359B2 (ja) 電気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電気機器コントローラ
CN103947069B (zh) 电力连接控制系统和方法
JPH11341155A (ja) ネットワ―ク制御センタへのネットワ―クインフラストラクチャ情報の提供方法及び装置
JP2014103717A (ja) 充放電指示装置、充放電システム、充放電管理方法ならびにプログラム
KR20060111921A (ko) 디지털 지능형 주택 전기관리 시스템 및 방법과 이를이용한 원격 전압관리 방법, 부하관리 방법 및전기안전관리 방법
JP2018530987A (ja) 発電装置用のインテリジェント制御システム
JPWO2019021627A1 (ja) 電源監視データ処理装置、電源監視データ処理方法、および電源監視データ処理プログラム
US20220404428A1 (en) Management system, management method, server device, storage medium, battery information providing system, and battery information providing method
KR101075521B1 (ko) 전기 자동차 충전 및 제어 기능을 가지는 빌딩 자동화 시스템
CN105025511A (zh) 移动通信基站的能耗实时监控方法
KR20240050679A (ko) 사용후 배터리를 이용한 이에스에스 최적운영 전력관리시스템 및 그 방법
JP2015060775A (ja) 蓄電システムの保守管理システム
JP2014139725A (ja) 蓄電装置保守システム及び蓄電装置保守方法
WO2021162572A1 (en) A smart power splitter and a method for providing power with use of the smart power splitter
US20150244208A1 (en) Energy management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1734148B1 (ko) 송전선 과부하 해소를 위한 혼잡 관리 시스템
KR101734151B1 (ko) 송전선 과부하 해소를 위한 전력 계통 관리 방법
KR101734149B1 (ko) 에너지 저장 장치를 이용한 송전선 과부하 관리 방법
JP2016046960A (ja) 蓄電池システム管理装置、蓄電池システム管理方法および蓄電池システ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