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144A - 인체보호장치 - Google Patents
인체보호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50144A KR20240050144A KR1020220129941A KR20220129941A KR20240050144A KR 20240050144 A KR20240050144 A KR 20240050144A KR 1020220129941 A KR1020220129941 A KR 1020220129941A KR 20220129941 A KR20220129941 A KR 20220129941A KR 20240050144 A KR20240050144 A KR 2024005014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ventilation
- expansion
- frame
- human body
- protection devic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9423 ventil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7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40
- 239000011148 po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claims description 9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15
- 230000006378 damage Effects 0.000 abstract description 7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9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9
- 210000001624 hip Anatomy 0.000 description 23
- 210000001217 buttock Anatomy 0.000 description 16
- 238000000926 s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0000001133 accele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1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1
- 208000027418 Wounds and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08000014674 injury Disease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8000005452 be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35515 penet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1681 prote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10000004243 sweat Anatomy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913 activ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36760 body temperature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602 contr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10000002414 leg Anatomy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527 percuss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30 ri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3187 abdomin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3228 biological regul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16 enginee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815 faci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657 fibrous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771 impair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287 optic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10000004197 pelvis Anatomy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939 shock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068 stati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1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 A41D13/018—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with shock-absorbing means inflatable automatically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31/00—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 A41D31/04—Materials specially adapted for outerwear characterised by special function or use
- A41D31/14—Air permeable, i.e. capable of being penetrated by gases
-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A47C27/08—Fluid mattresses or cushions
- A47C27/081—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 A47C27/084—Fluid mattresses or cushions of pneumatic type self inflating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300/00—Details of garments
- A41D2300/20—Inserts
-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2400/00—Functions or special features of garments
- A41D2400/10—Heat retention or warming
- A41D2400/14—Heat retention or warming infla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동을 자유롭게 보장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 시 사용자의 인체를 치명적인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팽창 후 추가적인 확장영역을 형성하는 인체보호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인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체의 전면, 후면 및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인체보호장치에 관한 것이다.
낙상은 떨어지거나 넘어져서 다치는 현상 또는 그로 인한 상처를 의미한다. 낙상은 인간의 사망 원인 중 큰 비중을 차지할 정도로 흔하게 일어난다. 연령별로는 노인층에서 낙상의 위험이 높고, 직업별로는 건설 근로자, 전기기사, 광부, 도장공 등이 낙상의 위험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낙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양한 종류의 웨어러블 보호장치가 활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노인 낙상을 대비하는 보호장치로 허리에 착용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고, 산업 현장의 근로자나 오토바이 탑승자의 낙상을 대비하는 보호장치로 상체 및/또는 하체에 착용하는 방식이 활용되고 있다.
보호장치는 주로 가속도센서 및/또는 각속도센서 등을 이용하여 낙하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 신호에 따라 격발수단이 가스 카트리지를 타격하여 팽창부가 팽창하는 방식으로 구동된다. 이와 같은 구동 방식을 기초로 하여, 보호장치는 팽창부의 형상, 개수 등을 다양하게 변화시킴으로써, 인체의 다양한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하고자 하는 연구가 지속되고 있다.
특히, 등록번호 제 10-2082464 호는 착용형 에어백장치에 복부, 흉부, 배부, 좌골반 및 우골반 에어백을 적용하여 인체의 다양한 부위를 보호하는 내용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 개시된 착용형 에어백장치는 팽창부가 활성화되기 전부터 각 부위를 덮고 있는 외피가 존재하며, 외피는 근로자 등의 활동에 불편을 초래하고 작업 능률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을 낳는다.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산업 현장에서 활용되는 에어백 장치는 근로자의 움직임에 제한을 주지 않으면서도 인체 중요 부위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는 구조를 필요로 한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은 사용자의 활동을 자유롭게 보장함과 동시에, 사고 발생 시 사용자의 인체를 치명적인 부상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하여 팽창 후 추가적인 확장영역을 형성하는 인체보호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팽창부;를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인체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1팽창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팽창부는, 제1내측부와 제1외측부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 및 상기 제1내측부와 상기 제1외측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제1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확장부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 상기 제1내측부와 제1외측부의 사이에 은폐되어 인입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후, 상기 제1내측부와 제1외측부의 외부에 노출되어 확장상태에 이르러 제1확장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고정부는, 상기 제1내측부 및 상기 제1외측부의 좌단, 우단 및 하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확장부가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1확장부는, 상기 제1확장영역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제1부; 상기 제1확장영역을 외측면을 구성하는 제2부; 및 상기 내측면 및 상기 외측면 이외의 면을 구성하는 제3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 및 상기 제2부는 상기 제3부보다 유연성이 작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팽창부는, 상기 제1팽창부와 결합되어 상기 인체의 타면 및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2팽창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팽창부는, 제2내측부 및 제2외측부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 및 상기 제2내측부와 상기 제2외측부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제2확장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확장부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 상기 제2내측부와 상기 제2외측부의 사이에 은폐되어 인입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후, 상기 제2내측부와 상기 제2외측부의 외부에 노출되어 확장상태에 이르러 제2확장영역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고정부는, 상기 제2고정부의 내측가장자리가 인체의 양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제2내측부와 상기 제2외측부의 이격거리의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구간; 및 상기 증가율이 변화하는 제2구간;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간에 의해 상기 제2팽창부에 외측돌출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상기 제2팽창부가 확장상태에서 낙하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낙하면과 상기 제2외측부의 최단거리인 제1거리는 상기 낙하면과 상기 제1내측부의 최단거리인 제2거리보다 길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제2외측부가 사용자의 머리에 닿도록 팽창하고, 상기 제2확장영역은 사용자의 머리를 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팽창부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 상기 인체의 전면과 어깨를 덮고 상기 인체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후, 상기 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상기 제1내측부 및 상기 제2내측부에 분리 가능하도록 부착되는 쿠션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쿠션패드는 높이의 변화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이 내측에 구비되는 외피로서, 인체에 착용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와 상기 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팽창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풍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는 공기가 소통하는 기공을 구비하는 통풍메시, 및 상기 통풍메시와 연결되어 상기 통풍메시를 상기 팽창부와 이격시키는 통풍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은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단을 이루는 제1프레임, 직선으로 형성되어 하단을 이루는 제2프레임,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된 제3프레임, 및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4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상기 통풍패드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통풍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팽창부와 결합되는 가이드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연결부는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지퍼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통풍쿠션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는 하단이 상기 삽입부의 상단을 향하여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풍부의 일부 및 상기 인입부의 일부는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팽창부의 중간부를 향하는 통풍개구부를 구비하는 통풍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패드는 상기 통풍개구부를 통해 상기 통풍고정부에 삽입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팽창 전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상태를 유지하여 사용자의 활동을 자유롭게 하고, 팽창 후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를 확장상태에 이르게 하여 사용자의 인체의 주요 부위를 보호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제1부 및 제2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제1부 및 제2부를 구비하는 제1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제2구간을 구비하지 않는 제2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은 제2구간을 구비하는 제2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의 추락 후의 인체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팽창부에 제1에어백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팽창부에 제2에어백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팽창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개방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의 부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의 부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고리의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고리의 개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와 통풍패드의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와 통풍패드의 연결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a)는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b)는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a)는 제1부 및 제2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제1부 및 제2부를 구비하는 제1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제2구간을 구비하지 않는 제2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은 제2구간을 구비하는 제2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사용자의 추락 후의 인체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팽창부에 제1에어백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팽창부에 제2에어백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팽창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개방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의 부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의 부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고리의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고리의 개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와 통풍패드의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와 통풍패드의 연결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a)는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b)는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통상의 기술자는 비록 본 명세서에 명확히 설명되거나 도시되지 않았지만, 발명의 원리를 구현하고 발명의 개념과 범위에 포함된 다양한 장치를 개발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열거된 모든 조건부 용어 및 실시예들은 원칙적으로, 발명의 개념이 이해되도록 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명백히 의도되고, 이처럼 특별히 열거된 실시예 및 상태에 제한적이지 않은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상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한 다음의 발명의 상세한 설명을 통하여 더욱 분명해질 것이며, 그에 따라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자가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쉽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조 기술 및/또는 허용 오차 등에 의해 예시도의 형태가 변형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제조 공정에 따라 생성되는 형태의 변화도 포함하는 것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을 설명하면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실시예가 다르더라도 편의상 동일한 명칭 및 동일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또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의 표현은 A, B 및 C 중 하나, 둘 또는 셋으로 구성된 것을 의미한다. 또한, 내측은 인체 방향을 의미하고, 외측은 인체의 반대 방향(인체의 바깥 방향)을 의미한다. '전방'은 인체의 가슴이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고, '후방'은 인체의 등이 바라보는 방향을 의미하며, '측방'은 인체의 가슴 방향 및 등 방향과 수직 방향을 의미한다. 나아가, 이미 다른 실시예에서 설명된 구성 및 작동에 대해서는 편의상 생략하기로 한다.
우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구성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를 세부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3 및 도 2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팽창부(1000), 프로세서(2100), 제어박스(2000), 가속도센서(2200), 각속도센서(2300), 메모리(3000), 인플레이터(4000) 및 배터리(5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요소가 모두 인체보호장치 필수 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며, 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인체보호장치가 구현될 수도 있다.
팽창부(1000)는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팽창부(1000)는 외피를 구성할 수 있으며,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되어 인체의 다양한 부위를 보호할 수 있다. 에어백은 내피를 구성할 수 있으며, 에어백은 직접적으로 가스가 주입되어 팽창할 수 있다.
에어백은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에어백이 팽창하는 경우 나타나는 형상은 팽창부(1000)에 제한될 수 있다. 에어백은 가스가 주입되는 공간이므로 가스 카트리지로부터 방출되는 가스가 채워질 수 있다. 이로써, 에어백은 외피인 팽창부(1000)에 밀착되도록 팽창하며, 사용자의 추락 시 충격을 완화하여 낙상을 방지할 수 있다.
프로세서(2100)는 신호를 처리 및 가공하고 각 구성요소들을 제어하는 장치를 의미한다. 즉, 프로세서(2100)는 가속도센서(2200), 각속도센서(2300) 등으로부터 수집된 데이터를 처리 및 가공할 수 있다.
가속도센서(2200)는 인체의 가속도를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속도센서(2200)는 인체의 x축, y축 및 z축 가속도를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각속도센서(2300)는 인체의 각속도를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각속도센서(2300)는 인체의 피치(Pitch), 롤(Roll) 및 요(Yaw) 각속도를 측정하여 획득할 수 있다.
메모리(300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어 SD 또는 XD 메모리 등), 램(RAM,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OM,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중 적어도 하나의 타입의 저장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박스(2000)는 인체보호장치의 제어와 관련된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제어박스(2000)는 제1팽창부(100)에 위치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상단부(100a), 중앙부(100b) 또는 하단부(100c)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제어박스(200)는 제2팽창부(200)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어박스(2000)의 위치가 특정위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프로세서(2100), 가속도센서(2200) 및 각속도센서(2300)는 제어박스(20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000)도 제어박스(2000) 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터리(5000)도 제어박스(2000) 내에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제어박스(2000)에 구비되는 구성요소들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프로세서(2100), 가속도센서(2200), 각속도센서(2300), 메모리(3000) 및 배터리(5000) 중 적어도 하나는 제어박스(2000)의 외부에 구비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4000)는 격발수단으로서 전자적, 기계적 등의 방법으로 가스 카트리지로부터 가스가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단, 인플레이터(4000)는 상술한 방식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배터리(5000)는 제어박스(2000)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터리(5000)는 가속도센서(2200), 각속도센서(2300), 메모리(3000) 및 인플레이터(4000) 중 적어도 하나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배터리(5000)는 제1팽창부(100)에 구비될 수 있으나, 제1팽창부(100)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배터리(5000)는 제1팽창부(100)에 구비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으며, 제1팽창부(100)로부터 분리된 상태에서 충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팽창부(1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의 팽창 후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 도 1(b),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인플레이터(4000)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이 구비된 팽창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팽창부(1000)는, 인체의 일면을 보호하기 위한 제1팽창부(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팽창부(100)는 제1내측부(111)와 제1외측부(112)를 포함하는 제1고정부(110) 및 상기 제1내측부(111)와 상기 제1외측부(112)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제1확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확장부(120)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 상기 제1내측부(111)와 제1외측부(112)의 사이에 은폐되어 인입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후, 상기 제1내측부(111)와 제1외측부(112)의 외부에 노출되어 확장상태에 이르러 제1확장영역(120a)을 형성할 수 있다.
인체보호장치는 팽창부(1000)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부(1000)는 제1팽창부(100) 및/또는 제2팽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000)는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팽창부(100)는 제1고정부(110) 및 제1확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고정부(110)는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확장부(120)의 일측은 제1내측부(111)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고, 제1확장부(120)의 타측은 제1외측부(112)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도 4(b) 참조).
구체적으로, 제1팽창부(100)는 인체의 후방 내측부분을 구성하는 제1내측부(111), 인체의 후방 외측부분을 구성하는 제1외측부(112) 및 인체의 후방 측방부분을 구성하는 제1확장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는 제1에어백(160)이 팽창하는 경우에도 부피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1확장부(120)는 제1에어백(160)이 팽창하는 경우 제1에어백(160)에 의해 팽창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면,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는 제1에어백(160)의 팽창 전에 제1확장부(120)를 은폐할 수 있다. 제1확장부(120)는 제1에어백(160)의 팽창 전에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의 사이에 위치하여 은폐되어 인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참조하면, 제1확장부(120)는 제1에어백(160)의 팽창 후에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의 외부에 노출되어 확장상태에 이르러 확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1확장부(120)는 제1확장영역(12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1확장부(120)는 제1확장영역(1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확장영역(120a)은 제1고정부(1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1에어백(160)의 팽창 후 제1고정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확장되어 인체의 허리 및 둔부를 보호할 수 있다.
인체보호장치는 제1확장부(120)의 인입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제1확장부(120)의 확장상태에서 부피를 최대화하여 사용자의 허리 및 둔부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확장부(120)는 에어백의 팽창 후에 제1확장영역(120a)을 형성하고, 제1확장영역(120a)은 제1고정부(110)의 하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허리 및 둔부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제1확장영역(120a)의 수축 및 팽창은 사용자의 활동성 및 안전성을 동시에 높이는 효과가 있다.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는 기본적으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중심부에 통풍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의 좌측 및 우측 가장자리는 통풍부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굴곡진 형상은 사용자가 인체보호장치를 착용한 경우, 팔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의 하단은 둔부의 적어도 일부를 덥거나, 전혀 덮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의 하단은 둔부를 완전히 덮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는 사용자가 인체보호장치를 착용한 경우,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0)는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의 결합으로 구성되므로, 제1고정부(110)는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확장부(120)는 '□'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확장부(120)는 중심부에 통풍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가 인체보호장치를 착용하는 경우, 통풍부(140)는 등의 중심부에 위치하여 공기가 통하는 통로가 될 수 있다. 단, 통풍부(140)는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난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제1확장부(120)의 하부는 제1고정부(110)보다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확장부(120)의 통풍부(140)는 상측 가장자리에 더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1확장부(120)의 하부는 허리에서 둔부 방향으로 연장되어 확장될 수 있다. 제1확장부(120)의 하부가 제1고정부(110)보다 연장된 형태로 형성됨으로써, 제1팽창부(100)의 팽창된 후에 사용자의 둔부 전체를 보호할 수 있다.
이로써, 날씨가 덥거나 습한 경우에도 사용자는 쾌적하게 인체보호장치를 착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확장부(120)의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제1고정부(11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3(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의 팽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a) 내지 도 3(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고정부(110)는, 상기 제1내측부(111) 및 상기 제1외측부(112)의 좌단, 우단 및 하단을 따라 형성되어, 상기 제1확장부(120)가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수단(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0)는 결합수단(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고정부(110)가 결합수단(310)을 포함하여, 제1내측부(111)와 제1외측부(112)는 서로 결합 및 분리될 수 있다. 제1고정부(110)의 결합상태에서 제1확장부(120)는 제1고정부(110) 내부에 인입될 수 있고, 제1고정부(110)의 분리상태에서 제1확장부(120)는 제1고정부(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제1고정부(110)의 상단은 결합수단(310)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즉, 제1고정부(110)의 상단은 결합하여 분리되지 않는 구조를 가질 수 있으며, 제1확장부(120)는 제1고정부(110)의 상부방향으로 팽창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1확장부(120)는 허리에서 둔부방향으로 길이팽창 할 수 있고, 인체의 후방으로 너비팽창 할 수 있다. 결합수단(310)은 단추, 스냅 단추, 지퍼, 퀵버스트 지퍼 또는 벨크로로 구성될 수 있다. 결합수단(310)은 각각 암(雌) 부분, 수(雄) 부분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는 각각 결합수단(310)의 암 부분 및 수 부분을 포함하거나,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는 각각 결합수단(310)의 수 부분 및 암 부분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퀵버스트 지퍼는 적어도 일부에 퀵버스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반적인 지퍼는 서로 마주보게 형성된 이, 이를 따라 이동하면서 이를 서로 맞물리게 하거나 분리시키는 슬라이드, 슬라이드에 결합된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지퍼는 슬라이드의 이동에 따라 열릴 수 있다.
퀵버스트부는 퀵버스트 지퍼의 적어도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퀵버스트부는 슬라이드의 이동이 없는 경우에도, 이를 분리시키는 방향으로 일정한 힘이 가해지는 경우 이를 서로 분리시킬 수 있다. 퀵버스트부를 시작으로 지퍼의 전체가 열릴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퀵버스트부가 제1에어백(160)이 팽창하는 외력에 의해 먼저 개방되고, 퀵버스트 지퍼의 전체가 이어서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3(a)에 따르면, 제1확장부(120)는 결합수단(310)에 의해 인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3(b)에 따르면, 제1확장부(120)는 제1에어백(160)의 팽창 시 결합수단(310)이 분리되면서 제1고정부(1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3(c)에 따르면, 제1확장부(120)는 확장상태에 이르러 인체의 후면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제1고정부(110)는 결합상태에서 제1확장부(120)가 인입상태로 유지하도록 하며, 분리상태에서 제1확장부(120)가 확장상태에 이르도록 할 수 있다. 결합수단(310)은 결합 및 분리가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인체보호장치가 재사용될 때 제1확장부(120)를 쉽게 제1고정부(110) 내부에 인입되도록 할 수 있다.
도 4(a)는 제1부 및 제2부를 구비하지 않는 제1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는 제1부 및 제2부를 구비하는 제1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 및 제2확장부의 인입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확장부(120)는 상기 제1확장영역(120a)의 내측면을 구성하는 제1부(121); 상기 제1확장영역(120a)을 외측면을 구성하는 제2부(122); 및 상기 내측면 및 외측면 이외의 면을 구성하는 제3부(123);를 포함하며, 상기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상기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작을 수 있다.
제1확장부(120)는 제1부(121), 제2부(122) 및 제3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121)는 제1확장영역(120a)의 내측면(인체 방향)을 구성할 수 있다. 제2부(122)는 제1확장영역(120a)의 외측면(인체 반대 방향)을 구성할 수 있다. 제3부(123)는 제1부(121) 및 제2부(122)를 제외한 제1확장부(120)의 영역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서로 대향하여 구비될 수 있다.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제3부(123)에 의해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제1확장영역(120a)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부(121), 제2부(122)는 제1팽창부(100)의 팽창 전에 제1고정부(110)의 내부에 인입될 수 있으며, 제1팽창부(100)의 팽창 후에 제1고정부(110)의 하부에 노출되어 허리에서 둔부까지 연장되며 제1확장영역(120a)의 내측면 및 외측면을 구성할 수 있다.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작은 소재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제3부(123)를 구성하는 소재보다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작도록 형성되어 제1확장부(120)가 확장상태에 이르렀을 때, 제1확장영역(120a)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다.
도 4(a)에 따라, 제1부(121) 및 제2부(122)가 제3부(123)와 유연성이 같거나 큰 경우, 제1확장영역(120a)은 구 또는 풍선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부(121), 제2부(122) 및 제3부(123)가 서로 구별되지 않는 경우, 제1확장영역(120a)은 각각 둥글게 팽창(너비 팽창)함으로써 제1확장영역(120a)이 인체의 둔부까지 연장되지 않을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b)에 따라, 제1부(121) 및 제2부(122)가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작은 경우, 제1확장영역(120a)은 허리에서 둔부 방향으로 연장(길이 팽창)될 수 있다. 이때, 제1부(121) 및 제2부(122)가 제1확장영역(120a)의 형상을 결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나아가,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작게 형성됨으로써, 제1확장부(120)를 제1고정부(110) 내부에 용이하게 인입시킬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추락 후, 제1확장부(120)가 외부 물질에 의해 손상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특히, 제1부(121) 및 제2부(122)는 제3부(123)보다 두꺼운 소재 또는 견고한 소재로 구성되어, 제1확장부(120)가 외부 물질에 의해 찢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제2부(122)는 낙하면과 맞닿는 부분이므로 낙하면 상에 존재하는 외부 물질로부터 제1확장부(12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제1부(121) 및 제2부(122)를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작도록 구성함으로써, 제1확장부(120)의 제1확장영역(120a)의 형상을 결정하고, 제1확장부(120)를 제1고정부(110) 내에 쉽게 인입되도록 하며, 제1확장부(120)를 외부 물질로부터 보호하는 효과를 동시에 달성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인체보호장치의 제조 단계 또는 확장 상태 후 가스가 방출된 단계에서 제1확장부(120)는 제1고정부(110) 외부에 노출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도 5(b)를 참조하면, 제1확장부(120)는 제1고정부(110) 내부에 인입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제2확장부(220)도 이와 같다.
제1확장부(120)는 제1고정부(110) 내부에 인입될 수 있고, 결합수단(310)에 의해 인입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제1확장부(120)는 팽창된 후 가스가 방출되면 간단한 절차에 의해 다시 인입상태로 되돌아갈 수 있다. 즉, 가스 카트리지만 교체되면 인체보호장치의 구성은 다시 재사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팽창부(2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확장부의 팽창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내지 도 6(c)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1000)는, 상기 제1팽창부(100)와 결합되어 상기 인체의 타면 및 머리를 보호하기 위한 제2팽창부(2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팽창부(200)는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를 포함하는 제2고정부(210) 및 상기 제2내측부(211)와 상기 제2외측부(212)에 각각 일측과 타측이 연결되는 제2확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확장부(220)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 상기 제2내측부(211)와 상기 제2외측부(212)의 사이에 은폐되어 인입상태를 유지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후, 상기 제2내측부(211)와 상기 제2외측부(212)의 외부에 노출되어 확장상태에 이르러 제2확장영역(220a)을 형성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팽창부(1000)는 제1팽창부(100) 및/또는 제2팽창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팽창부(200)는 제2에어백(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팽창부(2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팽창부(200)는 제2고정부(210) 및 제2확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210)는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2확장부(220)의 일측은 제2내측부(211)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고, 제2확장부(220)의 타측은 제2외측부(212)의 가장자리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팽창부(200)는 인체의 전방 내측부분을 구성하는 제2내측부(211), 인체의 전방 외측부분을 구성하는 제2외측부(212) 및 인체의 전방 좌측, 우측 및 하측 부분을 구성하는 제2확장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는 제2에어백(260)이 팽창하는 경우에도 부피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제2확장부(220)는 제2에어백(260)이 팽창하는 경우 제2에어백(260)에 의해 팽창하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a) 및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는 제2에어백(260)의 팽창 전에 제2확장부(220)를 은폐할 수 있다. 제2확장부(220)는 제2에어백(260)의 팽창 전에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의 사이에 위치하여 은폐되어 인입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2(a) 및 도 2(b)를 다시 참조하면, 제2확장부(220)는 제2에어백(260)의 팽창 후에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의 외부에 노출되어 확장상태에 이르러 확장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제2확장부(220)는 제2확장영역(220a)을 형성할 수 있다. 즉, 제2확장부(220)는 제2확장영역(22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확장영역(220a)은 제2고정부(210)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2에어백(260)의 팽창 후 제2고정부(210)의 상부 방향으로 확장되어 인체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제2확장영역(220a)은 제2고정부(210)의 상부 방향으로 길이 팽창할 수 있으며, 인체의 전방 및 후방으로 너비 팽창할 수 있다. 제1확장영역(120a)이 허리에서 둔부방향으로 길이 팽창하여 둔부를 보호하는 것과 달리, 제2확장영역(220a)은 머리의 상부방향으로 확장되는 길이 팽창에 의해 머리의 전체를 보호할 수 있고, 머리의 전방 및 후방으로 확장되는 너비 팽창에 의해 추락 시 머리가 바닥에 부딪히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인체보호장치는 제2확장부(220)의 인입상태에서 부피를 최소화하여 사용자의 자유로운 활동을 가능하게 할 수 있으며, 제2확장부(220)의 확장상태에서 부피를 최대화하여 사용자의 머리를 효과적으로 보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확장부(220)는 에어백의 팽창 후에 제2확장영역(220a)을 형성하고, 제2확장영역(220a)은 제2고정부(210)의 상부 방향으로 노출되도록 형성되어 사용자의 머리를 보호할 수 있다. 즉, 제2확장영역(220a)의 수축 및 팽창은 사용자의 활동성 및 안정성을 동시에 높이는 효과가 있다.
한편, 제2팽창부(200)는 체결수단(23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체결수단(230)은 제2-1고정부(210c) 및 제2-2고정부(210d)에 구비되어 서로 체결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체결수단(230)은 버클로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체결수단(230)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제2팽창부(200)가 체결수단(230)을 포함함으로써, 사용자는 체격과 관계없이 인체보호장치를 견고하게 착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고정부(210)의 형상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a) 및 도 1(b)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210)는, 상기 제2고정부(210)의 내측가장자리(210a)가 인체의 양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고정부(210)는 사용자의 상체를 기준으로 좌측 상체에 위치하는 제2-1고정부(210c) 및 우측 상체에 위치하는 제2-2고정부(210d)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고정부(210)는 제2-1고정부(210c)와 제2-2고정부(210d)로부터 연장되는 제2-3고정부(210e)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1고정부(210c) 및 제2-2고정부(210d)는 각각 인체의 중심방향(옆구리에서 배꼽 방향)에 내측가장자리(210a)를 형성하고, 각각 인체의 중심과 반대 방향(반중심방향)에 외측가장자리(210b)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제2-3고정부(210e)는 제2팽창부(200)의 팽창 전에 인체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팽창 후에 인체의 머리 뒤에 위치할 수 있다.
제2고정부(210)의 내측가장자리(210a)가 인체의 허리 및 골반 라인과 불일치하는 경우, 사용자의 활동성을 저해할 수 있다. 따라서, 제2고정부(210)의 내측가장자리(210a)가 인체의 허리에서 골반으로 가면서 양측 방향으로 곡선을 이루도록 형성됨으로써 인체의 허리 및 골반 라인과 적어도 일부를 일치시켜 사용자의 활동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여기서, 양측은 인체의 중심(배꼽)을 기준으로 인체의 좌측 및 우측을 의미한다.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는 기본적으로 '역U'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단, '역U'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내측가장자리(210a)가 곡선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의 하부가 개방된 형태로 이루어지는 구조는, 사용자가 인체보호장치를 착용한 경우, 허리 및 다리의 움직임을 자유롭게 할 수 있다.
제2고정부(210)는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의 결합으로 구성되므로, 제2고정부(210)는 제2내측부(111) 및 제2외측부(212)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팽창부(200)의 팽창 과정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6(a) 내지 도 6(c)를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팽창부(200)는, 상기 에어백의 팽창 전, 상기 인체의 전면과 어깨를 덮고 상기 인체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연장되어 위치하고, 상기 에어백의 팽창 후, 상기 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도 6(a)를 따르면, 제2팽창부(200)는 사용자의 상체 전면을 덮는 전면부(200a), 사용자의 어깨를 덮는 어깨부(200b) 및 사용자의 후면 중 적어도 일부를 덮는 후면부(200c)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인체보호장치가 활성화되기 전, 즉 제1팽창부(100)(제1에어백(160))가 팽창되기 전, 제1팽창부(100)는 인체 후면의 상부를 덮는 상단부(100a), 인체 후면의 중앙부(100b)를 덮는 중앙부(100b) 및 인체 후면의 하부를 덮는 하단부(100c)를 포함할 수 있다(도 3(a) 내지 도 3(c) 참조).
이때,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는 제2팽창부(200)의 어깨부(200b) 또는 후면부(200c)와 연결부에 의해 연결될 수 있다. 연결부의 일측은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와 연결되며, 연결부의 타측은 제2팽창부(200)의 어깨부(200b) 또는 후면부(200c)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인체보호장치가 활성화되기 전,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 중앙부(100b) 및 하단부(100c)는 인체의 후면에 접촉하여 덮도록 위치하고, 제2팽창부(200)의 전면부(200a) 및 어깨부(200b)는 각각 인체의 전면 및 어깨에 접촉하여 덮도록 위치하며, 제2팽창부(200)의 후면부(200c)는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에 접촉하여 후면 중 적어도 일부 및 상단부(100a)를 덮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는 제2팽창부(200)의 후면부(200c)와 중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 및 제2팽창부(200)의 후면부(200c)에 위치한 임시고정부(320)에 의해 임시로 고정될 수 있다. 임시고정부(320)는 벨크로, 단추, 스냅 단추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도 5(a) 및 도 5(b) 참조).
임시고정부(320)는 제1팽창부(100)의 상단부(100a)에 해당하는 제1외측부(112)와, 제2팽창부(200)의 후면부(200c)에 해당하는 제2내측부(211)에 위치하여, 인체보호장치의 활성화 전에 서로 결합되고 활성화 후에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제1외측부(112)의 임시고정부(320)와 제2내측부(211)의 임시고정부(320)는 서로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다. 제1외측부(112)의 임시고정부(320)는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고, 제2외측부(112)의 임시고정부(320)도 적어도 하나로 구비될 수 있다. 반드시, 제1외측부(112)의 임시고정부(320)의 개수와 제2외측부(112)의 임시고정부(320)의 개수가 일치하는 것은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고정부(210)는, 제2내측부(211) 및 제2외측부(212)의 좌단, 우단 및 상단을 따라 형성되어 제2확장부(120)가 인입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결합수단(3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고정부(210)는 결합수단(310)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2고정부(210)의 결합수단(310)은 제1고정부(110)의 결합수단(310)과 같으므로 생략하기로 한다. 즉, 제1고정부(110)는 제1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고정부(210)는 제2결합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b)에 따르면, 인체보호장치가 활성화되는 중, 즉 제2팽창부(200)(제2에어백(260))가 팽창되는 중, 제2팽창부(200)가 연결부에 의해 제1팽창부(10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에서 제2팽창부(200)의 후면부(200c)는 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때, 제2확장부(220)는 제2에어백(260)의 팽창 시 결합수단(310)이 분리되면서 제2고정부(210)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도 6(c)에 따르면, 인체보호장치가 활성화된 후, 제2확장부(220)는 확장상태에 이르러 인체의 전면 및 머리를 보호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제2팽창부(200)는 인체의 후면으로부터 이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팽창부(200)의 외측돌출부(220b)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7(a)은 제2구간을 구비하지 않는 제2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은 제2구간을 구비하는 제2확장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팽창부(200)는 상기 제2내측부(211)와 상기 제2외측부(212)의 이격거리의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제1구간(201); 및 상기 증가율이 변화하는 제2구간(202);을 포함하고, 상기 제2구간(202)에 의해 상기 제2팽창부(200)에 외측돌출부(220b)를 형성할 수 있다.
제2팽창부(200)는 제1구간(201)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구간(20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격거리는 제2에어백(260)이 팽창한 후, 제2내측부(211)와 제2외측부(212)의 거리를 의미한다. 이격거리는 제2확장부(220)의 너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확장부(220)의 너비를 넓게 하면 이격거리가 증가하며, 너비를 좁게 하면 이격거리가 감소한다.
즉, 이격거리는 제2확장부(220)의 너비와 비례하도록 형성된다. 제2확장부(220)의 너비는 제2팽창부(200)가 팽창된 후 제2팽창부(200)와 형상을 결정할 수 있다.
제1구간(201)은 이격거리의 증가율이 일정하게 유지되는 구간을 의미할 수 있고, 제2구간(202)은 이격거리의 증가율이 변화하는 구간을 의미한다. 제2구간(202)은 제2팽창부(200)의 상부로 갈수록 증가율이 증가할 수 있다.
도 7(a)와 같이, 제2팽창부(200)가 제1구간(201)만을 포함하는 경우 제2확장부(220)의 너비는 일정하게 증가하고, 이격거리도 일정하게 증가한다. 도 7(a)과 같은 제2팽창부(200)의 형상은 사용자의 머리 보호를 강화할 수 있다.
도 7(b)와 같이, 제2팽창부(200)가 제1구간(201) 및 제2구간(202)을 포함하는 경우 제2확장부(220)의 너비는 일정한 증가율을 가지다가, 점점 상승하는 증가율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이격거리도 일정한 증가율을 가지다가, 점점 상승하는 증가율을 가질 수 있다. 도 7(b)와 같은 제2팽창부(200)의 형상과 같이, 제2팽창부(200)는 외측돌출부(220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외측돌출부(220b)는 제2팽창부(200)가 제2구간(202)에서 이격거리의 증가율이 증가하도록 설계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외측돌출부(220b)는 사용자의 추락 시 사용자의 목이 낙하면 방향으로 꺾이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외측돌출부(220b)는 제2확장부(220)의 너비를 더 크게 하는 역할을 하며, 제2팽창부가 낙하면과의 접촉 시 머리 무게에 의해 목의 꺾임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제2팽창부(200)의 팽창상태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8은 사용자의 추락 후의 인체보호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팽창부(200)는 제2외측부(212)가 사용자의 머리에 닿도록 팽창하고, 제2확장영역(220a)은 사용자의 머리를 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체보호장치가 활성화되면, 제2외측부(212)는 사용자의 뒷 머리에 닿도록 변화할 수 있다. 이때, 제2확장영역(220a)은 사용자의 머리를 넘도록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인체의 턱부터 정수리까지 길이에 해당하는 얼굴길이의 평균은 남자가 약 23.6cm이고, 여자가 약 22.3cm이다. 제2외측부(212)의 상승높이는 제1팽창부(100)의 최상단으로부터 18 내지 28cm 높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외측부(212)의 상승높이는 제1팽창부(100)의 최상단으로부터 28cm 보다 높게 형성될 수 있다.
제1확장부(120)는 제1확장부(120)의 제1부(121) 및 제2부(122)가 제3부(123)보다 유연성이 적게 형성되는 것과 달리, 제2확장부(220)는 유연성이 동일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확장부(120)는 둔부를 보호하기 위해 허리에서 둔부방향으로 길이팽창이 유도되어야 하나, 제2확장부(220)는 머리의 보호를 강화하기 위해 너비팽창이 유도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나아가, 도 8을 다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제2팽창부(200)가 확장상태에서 낙하면에 접촉하는 경우, 상기 낙하면과 상기 제2외측부(212)의 최단거리인 제1거리(h1)는 상기 낙하면과 상기 제1내측부(111)의 최단거리인 제2거리(h2)보다 클 수 있다.
사용자가 추락하는 경우 낙하면에 떨어지게 되므로, 머리의 충격을 줄이고 목의 꺾임을 줄일 필요가 있다. 여기서, 최단거리는 낙하면으로부터의 길이를 의미할 수 있다. 제1거리(h1)는 낙하면으로부터 제2외측부(212)까지의 최단거리를 의미할 수 있고, 제2거리(h2)는 낙하면으로부터 제1내측부(111)까지의 최단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의 추락 시, 인체보호장치는 제1거리(h1)가 제2거리(h2)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제1거리(h1)가 제2거리(h2)보다 작은 경우, 목이 뒤로 꺾여 부상이 발생할 수 있으며 머리에 충분한 쿠션을 제공하지 못하여, 부상을 면치 못할 수 있다.
즉, 인체보호장치는 제1거리(h1)를 제2거리(h2)보다 크게 형성하여, 사용자의 머리와 목을 충분히 보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인체보호장치의 세부 구성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도 9(a) 및 도 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플레이터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제1팽창부에 제1에어백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제2팽창부에 제2에어백을 삽입하는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인체보호장치는 인플레이터(4000)를 포함할 수 있다. 인플레이터(4000)는 에어백에 주입되는 가스가 보관되는 가스 카트리지와 가스 카트리지를 타격하여 가스의 방출을 유도하는 격발수단을 포함할 수 있다.
도 9(a)를 참조하면, 인플레이터(4000)는 팽창부(1000)와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인플레이터(410)는 제1팽창부(100)와 연결되고 제2인플레이터(420)는 제2팽창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인플레이터(4000)는 제1고정부(110) 및 제2고정부(210)에 위치할 수 있다.
도 9(a)에 따르면, 제1인플레이터(410)는 제1고정부(110)에 위치하여 제1에어백(160)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으며, 제2인플레이터(420)는 제2고정부(210)에 위치하여 제2에어백(260)에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단, 인플레이터(4000)의 위치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b)에 따르면, 복수의 인플레이터(4000)가 모두 제1고정부(110)에 위치할 수 있으며, 모두 제2고정부(210)에 위치할 수도 있다. 또한, 인플레이터(4000)는 팽창부(1000)에 직접 연결될 수도 있으나, 가스튜브(330)를 통해 간접 연결될 수도 있다.
인플레이터(4000)가 팽창부(1000)와 이격되어 위치하는 경우, 인플레이터(4000)는 가스튜브(330)를 통해 팽창부(1000)과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인체보호장치의 공간활용에 이점이 있다. 반대로, 각각의 인플레이터(4000)가 각각의 팽창부(1000)에 위치하는 경우, 인플레이터(4000)는 직접 팽창부(1000)와 연결할 수 있기 때문에 에어백에 가스를 주입하는 속도가 증가할 수 있다.
도 9(a)와 같이, 각 인플레이터(4000)가 각 팽창부(1000)에 위치하는 경우 인플레이터(4000)의 가스 방출구(미도시)와 에어백이 직결됨으로써 인플레이터(4000)는 에어백에 신속하게 가스를 주입할 수 있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제1팽창부(100)는 제1에어백(160)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팽창부(200)는 제2에어백(26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팽창부(100) 및 제2팽창부(200)는 각각 하나 또는 복수의 에어백을 포함할 수 있다.
나아가, 제1팽창부(100)는 투입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340)는 지퍼에 의해 열고 닫힐 수 있고 제1에어백(100)의 삽입 후 봉제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투입부(340)는 제1확장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고정부(110)에 구비될 수 있다. 단, 투입부(340)의 개수 및 위치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1에어백(160)은 제1고정부(110)와 같이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형상에서 상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상부 개방형)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에어백(160)은 '□'형상에서 상부 및 하부의 일부가 개방된 형태(상하부 개방형)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에어백(160)이 상부 개방형 또는 상하부 개방형으로 형성되는 경우, 제1에어백(160)은 투입부(340)가 단독으로 있는 경우에도 쉽게 제1팽창부(100)에 삽입될 수 있다. 단, 제1에어백(160)의 형상이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에어백(160)의 하부는 제1팽창부(100) 및 제1확장부(120)의 제1확장영역(120a)과 대응하며, 제1팽창부(100) 및 제1확장부(120)가 둔부까지 연장되도록,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1에어백(160)은 통풍부(14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통풍부(140)는 제1에어백(160)의 상단과 가깝게 형성될 수 있다.
제2팽창부(200)는 투입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투입부(340)는 제2확장부(2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2고정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투입부(340)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단, 투입부(340)의 개수 및 위치는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제2에어백(260)은 제2고정부(210)와 같이 '역U'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2에어백(260)은 제2고정부(210)와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고, 제2고정부(210)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팽창부의 구성에 대하여 더 살펴본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팽창부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결합수단의 개방 중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팽창부(100)는 중앙에 통풍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인플레이터(410)는 통풍부(140)를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일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100), 메모리(3000) 및 배터리(5000)는 통풍부(140)를 기준으로 타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인플레이터(410)는 인플레이터 포켓(미도시)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2100), 메모리(3000) 및 배터리(5000)는 제어 포켓(미도시)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 포켓은 제어박스(2000)일 수 있다.
제어박스(2000)는 상부에 제어개폐부(2001)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개폐부(2001)는 지퍼, 벨크로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개폐부(2001)는 개방되거나 폐쇄될 수 있으며, 개방 상태에서 배터리(5000)를 분리하지 않고 전력공급선이 연결되는 통로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배터리(5000)은 전력공급선으로부터 전력을 받아 충전될 수 있다.
결합수단(310)는 지퍼(3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지퍼(311)는 맞물림영역(311a) 및 비맞물림영역(311b)를 포함할 수 있다. 지퍼(311)는 제1고정부(110)의 가장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도 12, 도 13(a) 및 도 13(b)를 참조하면, 제1고정부(110)의 하단의 중심에 형성된 지퍼(311)는 맞물림영역(311a)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맞물림영역(311a)을 제외한 부분은 비맞물림영역(311b)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3(a)은 지퍼(311)의 기초 상태를 나타낸다. 맞물림영역(311a)는 지퍼(311)의 암수가 서로 맞물려 있는 영역을 의미하고, 비맞물림영역(311b)은 지퍼(311)의 암수가 서로 맞물려 있지 않은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지퍼(311)는 비맞물림영역(311b)에서 서로 분리되어, 제1고정부(110)의 하단에서 상부방향으로 인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도 12). 즉, 지퍼(311)는 단일하게 연속되어 형성되는 것이 아니라, 단일하지만 비맞물림영역(311b)서 서로 끊어진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슬라이드는 비맞물림영역(311b)을 지날 수 없다.
도 13(b)를 참조하면, 제1에어백(160) 및/또는 제1확장부(120)가 팽창하는 경우, 지퍼(311)는 비맞물림영역(311b)부터 개방되어 맞물림영역(311a) 방향으로 개방될 수 있다. 즉, 가스의 팽창에 의해 상대적으로 약한 비맞물림영역(311b)부터 제1확장부(120)가 팽창되어 노출되는 것이다.
지퍼(311)가 맞물림영역(311a) 및 비맞물림영역(311b)을 포함하여, 제1확장부(120)를 제1내측부(111)와 제1외측부(112) 사이에 쉽게 인입되도록 하면서, 제1확장부(120)를 제1고정부(110)의 밖으로 쉽게 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지퍼보호부(312)는 제1고정부(110) 및/또는 제2고정부(210)에 구비될 수 있다. 지퍼보호부(312)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복수의 지퍼보호부(312)는 각각 제1고정부(110) 및 제2고정부(210)의 중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지퍼보호부(312)는 일단이 제1고정부(11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지퍼보호부(312)는 일단이 제2고정부(210)에 고정될 수 있다. 각 지퍼보호부(312)의 타단은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는, 제1고정부(110)의 지퍼보호부(312)의 타단은 제2고정부(210)에 연결될 수 있고, 제2고정부(210)의 지퍼보호부(312)의 타단은 제1고정부(21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지퍼보호부(312)는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연결은 지퍼보호부(312)의 벨크로를 수단으로 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지퍼보호부(312)는 비맞물림영역(311b)을 덮어 보호할 수 있다. 지퍼보호부(312) 비맞물림영역(311b)에 위치한 지퍼(311)가 외부 물체에 걸려 임의로 열리지 않게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제1내측부 및 제2내측부에 구비된 하네스고리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의 부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의 부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고리의 개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하네스고리의 개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c)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2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d)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3쿠션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a)를 참조하면, 제1팽창부(100)와 제2팽창부(2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1팽창부(100) 및 제2팽창부(200)를 하네스(미도시)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하네스는 산업용 하네스로 공지된 것을 의미한다.
제1고정부(110) 및 제2고정부(210)는 하네스고리(5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네스고리(500)는 제1내측부(111) 및/또는 제2내측부(211)에 구비될 수 있다.
하네스고리(500)는 하네스가 통과하는 영역을 제공할 수 있다. 하네스는 하네스고리(500)와 제1내측부(11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1팽창부(100)와 연결될 수 있고, 하네스고리(500)와 제2내측부(211) 사이의 공간을 통과하여 제2팽창부(200)와 연결될 수 있다.
하네스고리(500)는 제1고리(510), 제2고리(520) 및 제3고리(530)를 포함할 수 있다. 하네스고리(500)는 더 많은 수로 구비될 수 있고, 더 적은 수로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고리(510)는 제2내측부(211)에 구비될 수 있고, 제2고리(520)는 제1내측부(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3고리(530)는 제1내측부(1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하부는 사용자의 허리가 위치하는 장소를 의미한다. 그러나, 제1고리(510), 제2고리(520) 및 제3고리(530)은 상술한 위치에 구비되는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제1고리(510) 및 제2고리(520)는 하네스의 어깨 영역이 통과할 수 있고, 제3고리(530)는 하네스의 허리 영역이 통과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하네스고리(500)가 상술한 개수와 상술한 위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네스와 연결될 수 있는 구조는 어떤 것이든 채택될 수 있다.
하네스고리(500)는 벨크로고리(5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하네스고리(500)의 제1고리(510), 제2고리(520) 및 제3고리(530) 중 적어도 하나는 벨크로고리(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5(a) 및 도 15(b)를 참조하면, 벨크로고리(540)는 제1벨크로고리(541) 및 제2벨크로고리(542)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벨크로고리(541) 및 제2벨크로고리(542)는 서로 연결되어 하네스가 통과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벨크로고리(541) 및 제2벨크로고리(542)는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벨크로고리(541) 및 제2밸크로고리(542)는 일단이 제1내측부(111) 및/또는 제2내측부(211)와 연결될 수 있으며, 타단을 통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벨크로고리(541)는 제2벨크로고리(542)를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반대로, 제2벨크로고리(542)는 제1벨크로고리(541)를 덮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1벨크로고리(541) 및 제2벨크로고리(542) 중 상부에 위치하는 어느 하나는 상부면에 패드벨크로(540a)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상부면은 사용자의 신체에 바라보며, 사용자의 신체와 가장 가까운 면을 의미할 수 있다. 패드벨크로(540a)는 후술할 쿠션패드(600)가 부착되는 수단 또는 장소를 의미할 수 있다.
다음으로, 쿠션패드(6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4(a) 및 도 14(b)를 다시 참조하면, 쿠션패드(600)는 제1팽창부(100) 및/또는 제2팽창부(200)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쿠션패드(600)는 제1내측부(111) 및/또는 제2내측부(211)에 부착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제1내측부(111)에만 부착될 수 있고, 제2내측부(211)에만 부착될 수 있으며, 제1내측부(111)와 제2내측부(211)에 걸쳐 부착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사용자의 신체와 접촉하는 내측면과 제1내측부(111) 및/또는 제2내측부(211)와 접촉하는 외측면을 포함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외측면에 패드벨크로(540a)를 구비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제1쿠션패드(640) 및 제2쿠션패드(6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쿠션패드(640) 및 제2쿠션패드(650)는 각각 사용자의 신체 좌측 및 우측에 위치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제1쿠션패드(640) 및 제2쿠션패드(650)는 서로 대칭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내측부(111) 및/또는 제2내측부(211)는 패드벨크로(54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쿠션패드(600)의 패드벨크로(540a)와 제1내측부(111) 및/또는 제2내측부(211)의 패드벨크로(540a)는 서로 쌍을 이루어 서로 결합할 수 있다.
패드벨크로(540a)의 형상, 위치, 개수는 다양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패드벨크로(540a)는 벨크로고리(54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도 16(a)를 참조하면, 쿠션패드(600)는 상부를 구성하는 제1쿠션영역(610), 중간부를 구성하는 제2쿠션영역(620) 및 하부를 구성하는 제3쿠션영역(6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쿠션영역(610)은 어깨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어깨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쿠션영역(620)은 어깨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어깨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제3쿠션영역(630)은 어깨 후면에 위치할 수 있으며, 등에 위치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인체보호장치의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고, 사용자의 땀을 흡수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인체보호장치에 분리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져 분리되어 세척될 수 있다.
도 16(b)를 참조하면, 제1쿠션영역(61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쿠션(600a)를 포함할 수 있다. 돌출쿠션(600a)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돌출쿠션(600a) 자체가 하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쿠션(600a)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돌출쿠션(600a)은 하부로 가면서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도 16(c)를 참조하면, 제2쿠션영역(62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쿠션(600a)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쿠션(600a)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돌출쿠션(600a) 자체가 상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돌출쿠션(600a)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돌출쿠션(600a)은 상부로 가면서 높이가 점점 낮아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돌출쿠션(600a)가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에도 각각의 돌출쿠션(600a) 자체가 상부로 가면서 하향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쿠션영역(620)은 제1쿠션영역(610) 및 제3쿠션영역(630)보다 폭이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제2쿠션영역(620)은 사용자의 등의 중상부 영역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6(d)를 참조하면, 제3쿠션영역(630)은 하나 또는 복수의 돌출쿠션(600a)을 포함할 수 있다. 돌출쿠션(600a)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돌출쿠션(600a) 자체는 일정 높이를 유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돌출쿠션(600a)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각각의 돌출쿠션(600a)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쿠션패드(600) 및 돌출쿠션(600a)의 높이가 낮게 형성되는 경우, 쿠션패드(600)는 유연성이 증가하므로 사용자의 신체 굴곡을 따라 더 잘 휠 수 있다. 쿠션패드(600)는 사용자의 등과 어깨 후면부터, 어깨 상부 또는 어깨 전면까지 연장되어 위치할 수 있으므로, 어깨 부분에서 더 잘 휠 필요성이 있다.
쿠션패드(600) 및 돌출쿠션(600a)의 높이가 높게 형성되는 경우, 쿠션패드(600)는 사용자가 인체보호장치를 착용할 때의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쿠션패드(600)의 위치에 따라 높이를 달리 형성하여 착용감 및 유연성이 동시에 증가하는 효과를 갖는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700)를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17(a)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와 통풍패드의 연결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와 통풍패드의 연결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인체보호장치는 팽창부(1000) 및 통풍패드(700)를 포함할 수 있다.
팽창부(1000)는 에어백을 구비할 수 있다. 팽창부(1000)는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이 내측에 구비할 수 있으며, 외피로서 구성될 수 있다. 팽창부(1000)는 제1팽창부(100) 및 제2팽창부(20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000)에 관하여는 상술한 바와 같으며,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에서,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와 연결되는 것으로 설명하지만, 구체적으로 제1팽창부(100), 제1고정부(110), 제1내측부(111)에 연결될 수 있음은 생략하고 설명하기로 한다.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와 연결될 수 있다. 즉,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에 탈부착될 수 있다. 통풍패드(700)는 제1팽창부(100)에 연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패드(700)는 제1내측부(111)에 연결될 수 있다.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에 연결되어 팽창부(1000)와 인체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통풍패드(700)는 공기가 소통할 수 있도록 구비되어 사용자의 땀을 증발시킴으로써, 인체의 체온을 적절하게 유지할 수 있다.
도 17(a)를 참조하면, 팽창부(1000)는 가이드연결수단(17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팽창부(1000)는 프레임연결수단(180)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수단(170)은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지퍼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단, 가이드연결수단(170)은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탈부착이 가능한 수단은 어떤 것이든 채택될 수 있다. 가이드연결수단(170)은 후술할 통풍가이드(800)의 가이드연결부(820)와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이처럼, 통풍패드(700)가 가이드연결부(820) 및/또는 가이드연결수단(170)으로 탈부착 가능하게 팽창부(1000)에 결합됨으로써, 사용자는 선택적으로 통풍패드(700)의 사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특히, 사용자는 여름에 통풍패드(700)를 사용하여 땀 배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프레임연결수단(180)은 통풍프레임(720)을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연결수단(180)은 팽창부(1000)로부터 연장 형성되어 일부에 벨크로를 포함할 수 있으며, 한 쌍의 벨크로를 모두 포함하여 스스로 폐고리를 형성할 수 있다.
프레임연결수단(180)은 통풍프레임(720)의 일부를 감싸 폐고리를 형성함으로써 통풍프레임(720)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다. 프레임연결수단(180)이 구비되는 위치는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좌측 중앙부 및/또는 우측 중앙부에 구비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700)에 관하여 살펴본다.
도 1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프레임의 측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패드(700)는 통풍메시(710) 및 통풍프레임(720)을 포함할 수 있다.
통풍메시(710)는 기공을 포함할 수 있다. 기공은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기공은 공기가 소통하는 통로를 의미할 수 있다. 통풍메시(710)는 기공을 구비하는 것이면 그 소재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바람직하게는 착용감을 증가시키기 위해 섬유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풍메시(710)는 인체와 접촉 또는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통풍메시(710)는 팽창부(1000)와 이격되어 구비될 수 있다.
통풍메시(710)는 중간부에 기공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통풍메시(710)는 상부 및 하부에 프레임관통영역(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공영역은 복수의 기공이 밀집되어 있는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통풍프레임(720)은 통풍메시(710)와 연결될 수 있다. 상부 프레임관통영역은 통풍프레임(720)의 제1프레임(721)이 통과하고, 하부 프레임관통영역은 통풍프레임(720)의 제2프레임(722)이 통과할 수 있다.
즉, 통풍메시(710)는 프레임관통영역을 통해 통풍프레임(720)과 연결되어 후술하게 될 통풍가이드(800)에 삽입될 수 있고, 팽창부(1000)에 결합될 수 있다.
또한, 통풍프레임(720)은 통풍메시(710)를 팽창부(1000)와 이격시킬 수 있다. 통풍메시(710)는 팽창부(1000)와 이격 상태를 유지할 때 인체의 체온조절 효과를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통풍프레임(720)을 통해 팽창부(1000)로부터 이격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통풍프레임(7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할 수 있다. 즉, 통풍프레임(720)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다. 통풍패드(700)가 팽창부(1000)와 인체 사이에 위치하므로, 팽창부(1000) 및 인체로부터 압축력을 받을 수 있다. 이때, 통풍패드(700)가 탄성변형 하여 인체보호장치의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참조하면, 통풍프레임(720)은 제1프레임(721), 제2프레임(722), 제3프레임(723) 및 제4프레임(724)을 포함할 수 있다. 제3프레임(723)은 제3-1프레임(723a), 제3-2프레임(723b) 및 제3-3프레임(723c)을 포함할 수 있다. 제4프레임(724)은 제4-1프레임(724a), 제4-2프레임(724b) 및 제4-3프레임(724c)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9(a)는 통풍프레임(720)의 전면을 나타내며, 도 19(a)를 기준으로 제3-2프레임(723b) 우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 및 제4-2프레임(724b)의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을 내(內)측 굴곡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또한, 내측 굴곡과 반대 방향으로 굴곡진 형상을 외(外)측 굴곡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9(b)는 통풍프레임(720)의 좌측면을 나타내며, 도 19(b)를 기준으로 좌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굴곡진 형상을 배(背)측 굴곡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제1프레임(721)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프레임(721)은 통풍프레임(720)의 상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1프레임(721)은 통풍메시(710)의 상부를 관통하여 통풍메시(710)의 상부를 고정할 수 있다. 단, 제1프레임(721)이 반드시 완전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1프레임(721)은 사용자의 등에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제2프레임(722)은 직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프레임(722)은 통풍프레임(720)의 하단을 구성할 수 있다. 이때, 제2프레임(722)은 통풍메시(710)의 하부를 관통하여 통풍메시(710)의 하부를 고정할 수 있다. 제1프레임(721) 및 제2프레임(722)은 서로 평행하게 구비될 수 있다. 단, 제2프레임(722)이 반드시 완전한 직선으로 형성되는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제2프레임(722)는 사용자의 등에 접촉하는 부분일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함께 참조하면, 제3프레임(723)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3프레임(723)은 일단이 제1프레임(7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이 제2프레임(722)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3프레임(723)은 제1프레임(721) 및 제2프레임(722)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제3-1프레임(723a)은 외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1프레임(723a)은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1프레임(723a)은 외측 굴곡 및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2프레임(723b)은 내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2프레임(723b)은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배측 굴곡이 없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3-2프레임(723b)은 내측 굴곡된 형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3-2프레임(723b)은 내측 굴곡 및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3-2프레임(723b)는 사용자의 등에서 이격된 부분일 수 있고, 프레임연결수단(180)을 통해 팽창부(1000)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3-3프레임(723c)은 외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3-3프레임(723c)은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3-3프레임(723c)은 외측 굴곡 및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3-1프레임(723a)은 제3-3프레임(723c)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3-1프레임(723a)은 제3-3프레임(723c)보다 사용자 등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3-1프레임(723a)은 제3-3프레임(723c)보다 사용자 등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3프레임(723)의 굴곡진 형상은 팽창부(1000)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팽창부(1000)는 좌측 및 우측 중간부가 내측으로 인입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팽창부(1000)의 내측 인입 형상은 팔, 팔꿈치, 손 및 허리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팽창부(1000)는 좌측 및 우측 하부가, 좌측 및 우측 중간부와 좌측 및 우측 상부보다 좌우너비가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즉, 팽창부(1000)의 하부는 주로 인체의 등에서 가장 중요한 허리를 보호하기 때문에 더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팽창부(1000)의 형상에 따라, 제3-2프레임(723b)은 제3-1프레임(723a) 및 제3-3프레임(723c)과 달리 내측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팔 및 허리 등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3-3프레임(723c)의 곡률이 제3-1프레임(723a)보다 작게 형성되어 허리를 강하게 보호하는 팽창부(1000)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제3-1프레임(723a)의 곡률이 제3-3프레임(723c)의 곡률보다 큰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3-1프레임(723a)의 곡률은 제3-3프레임(723c)의 곡률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도 19(a) 및 도 19(b)를 함께 참조하면, 제4프레임(724)은 곡선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4프레임(724)은 일단이 제1프레임(721)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고, 타단이 제2프레임(722)으로부터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4프레임(724)은 제1프레임(721), 제2프레임(722) 및 제3프레임(723)과 일체를 이룰 수 있다.
제4-1프레임(724a)은 외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1프레임(724a)은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4-1프레임(724a)은 외측 굴곡 및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2프레임(724b)은 내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2프레임(724b)은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배측 굴곡이 없는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즉, 제4-2프레임(724b)은 내측 굴곡된 형상으로만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제4-2프레임(724b)은 내측 굴곡 및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4-2프레임(724b)는 사용자의 등에서 이격된 부분일 수 있고, 프레임연결수단(180)을 통해 팽창부(1000)에 결합되는 부분일 수 있다.
제4-3프레임(724c)은 외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4-3프레임(724c)은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제4-3프레임(724c)은 외측 굴곡 및 배측 굴곡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제4-1프레임(724a)은 제4-3프레임(724c)보다 더 큰 곡률을 가질 수 있다.
제4-1프레임(724a)은 제4-3프레임(724c)보다 사용자 등의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반대로, 제4-1프레임(724a)이 제4-3프레임(724c)보다 사용자 등의 하측에 위치할 수 있다.
제4프레임(724)의 굴곡진 형상은 팽창부(1000)의 형상에 따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팽창부(1000)의 형상에 따라, 제4-2프레임(724b)은 제4-1프레임(724a) 및 제4-3프레임(724c)과 달리 내측 굴곡진 형상으로 구비됨으로써, 사용자의 팔 및 허리 등의 움직임을 보다 자유롭게 할 수 있다. 나아가, 제4-3프레임(724c)의 곡률이 제4-1프레임(724a)보다 작게 형성되어 허리를 강하게 보호하는 팽창부(1000)의 형상과 대응할 수 있다.
그러나, 반드시 제4-1프레임(724a)의 곡률이 제4-3프레임(724c)의 곡률보다 큰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4-1프레임(724a)의 곡률은 제4-3프레임(724c)의 곡률과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800)에 대하여 살펴본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의 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의 후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a)는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700)의 결합 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b)는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700)의 결합 후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b), 도 20(a) 및 도 20(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팽창부(1000)는 통풍가이드(80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풍가이드(800)는 통풍패드(700)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810)를 구비할 수 있다.
여기서, 통풍패드(700)의 일부는 통풍패드(700)의 상부 또는 하부를 의미할 수 있다. 이때, 통풍가이드(800)는 팽창부(1000)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즉, 통풍패드(700)는 통풍가이드(800)와 팽창부(1000)의 결합에 의해 팽창부(1000)와 연결될 수 있다.
통풍가이드(800)는 가이드연결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삽입부(810)의 일단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통풍가이드(800)를 팽창부(1000)에 결합하는 수단으로 활용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가이드연결수단(170)과 대응되도록 구성되어 서로 짝을 이루어 결합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지퍼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팽창부(1000)의 가이드연결수단(170)과 대응되어 서로 짝을 이루므로, 가이드연결부(820)는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지퍼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다. 즉 가이드연결부(820) 및 가이드연결수단(170)은 서로 동일한 수단으로 구성될 수 있다.
도 20(b)를 참조하면, 가이드연결부(820)는 통풍가이드(800)의 후면(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이드연결부(820)는 삽입부(810)의 후면(외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지퍼 또는 버클을 포함할 수 있으며, 팽창부(1000)는 가이드연결부(820)와 대응되는 위치에 가이드연결수단(170)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는 삽입부(810)의 상단에만 위치할 수 있고, 삽입부(810)의 외측면에만 위치할 수 있으며, 삽입부(810)의 상단 및 외측면 모두에 위치할 수 있다. 가이드연결부(820)가 구비되는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0(a)를 다시 참조하면, 통풍가이드(800)는 통풍쿠션(830)을 포함할 수 있다.
통풍쿠션(830)은 통풍가이드(800)의 전면(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쿠션(830)은 삽입부(810)의 전면(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다. 통풍쿠션(830)은 삽입부(810)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통풍쿠션(830)은 사용자에게 인체보호장치의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즉, 통풍쿠션(830)은 통풍프레임(720)이 팽창부(1000)와 인체의 사이에 있음에도 불구하고, 인체보호장치의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통풍쿠션(830)은 어깨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어깨 후면에 위치할 수 있다. 통풍쿠션(830)은 하나 또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통풍쿠션(830)이 하나로 구비되는 경우 좌우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사용자의 등의 상부영역에 쿠션감을 제공할 수 있다.
통풍쿠션(830)이 복수로 구비되는 경우 등 상부의 좌측 및 우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또한, 통풍쿠션(830)은 등 상부의 좌측에 복수로 구비됨과 동시에 등 상부의 우측에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즉, 통풍쿠션(830)은 삽입부(810)의 내측면에 위치할 수 있으면, 형상 및 위치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통풍쿠션(830)은 상술한 돌출쿠션(600a)과 마찬가지로, 상부 또는 하부로 가면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일정한 높이로 경사 없이 형성될 수 있다.
이처럼, 통풍가이드(800)는 복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통풍가이드(800)는 삽입부(810)를 포함하여, 통풍프레임(720)을 통풍가이드(800)에 고정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통풍가이드(800)는 가이드연결부(820)를 포함하여, 통풍패드(700)를 팽창부(1000)에 연결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또한, 통풍가이드(800)는 통풍쿠션(830)을 포함하여, 사용자에게 인체보호장치의 착용감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21(a)를 참조하면, 통풍패드(700)는 통풍가이드(800)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패드(700)는 삽입부(810)에 끼움 결합 방식으로 삽입될 수 있다. 통풍패드(700)는 통풍프레임(720)의 탄성변형에 의해 통풍가이드(800)에 용이하게 끼움 결합될 수 있다. 이때, 제3-1프레임(723a) 및 제4-1프레임(724a)의 굴곡된 형상은 통풍패드(7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제3-3프레임(723c) 및 제4-3프레임(724c)의 굴곡된 형상은 통풍패드(700)의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이는 하부 결합형(후술)에 해당한다.
통풍패드(700)가 통풍가이드(800)에 삽입된 후, 통풍패드(700)는 통풍프레임(720)의 복원력에 의해 통풍가이드(800)에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제3-1프레임(723a), 제4-1프레임(724a), 제3-2프레임(723b)의 상부 및 제4-2프레임(724b)의 상부의 굴곡된 형상은 통풍패드(700)가 통풍가이드(800)에 쉽게 고정되도록 한다. 또한, 제3-3프레임(723c), 제4-3프레임(724c), 제3-2프레임(723b)의 하부 및 제4-2프레임(724b)의 하부의 굴곡된 형상은 통풍패드(700)가 통풍가이드(800)에 쉽게 고정되도록 하며, 이는 하부 결합형에 해당한다.
도 21(b)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삽입부(810)는 인입부(810a)를 포함할 수 있다. 인입부(810a)는 삽입부(810)의 하단이 삽입부(810)의 상단을 향하여 인입되도록 형성된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삽입부(810)는 인입부(810a)를 포함하여 통풍패드(700)를 삽입시키면서도, 통풍패드(700)의 노출면적을 높일 수 있다. 이때, 인입부(810a)는 통풍패드(700)의 노출면적을 높일 수 있는 형태면 어떠한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그 형상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인입부(810a)는 삽입부(810)의 하단 중앙으로부터 상단을 향하여 형성될 수 있으며, 통풍쿠션(830)은 산입부의 인입부(810a)를 중심으로 좌측 및 우측에 각각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7(b)를 다시 참조하면, 팽창부(1000)는 통풍부(1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통풍부는 팽창부(1000)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통풍부(140)는 제1고정부(110), 제1내측부(111) 및 제1외측부(112)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통풍부(140)는 사용자의 일면(특히, 등)에 외부 공기를 순환시키는 통로역할을 수 행할 수 있다.
통풍부(140) 및 인입부(810a)가 동시에 구비되는 경우, 통풍부(140)의 일부 및 인입부(810a)의 일부는 서로 중첩되도록 위치할 수 있다. 통풍부(140)는 외부의 공기가 팽창부(1000)의 중심부를 통과시킬 수 있고, 인입부(810a)는 팽창부(1000)의 중심부를 통과한 공기를 사용자의 일면에 외부 공기를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통풍효과는 통풍부(140) 및 인입부(810a)가 서로 일부 영역을 중첩되도록 구비됨으로써 더 강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팽창부(1000)와 통풍패드(700)의 결합에 관하여 더 살펴본다.
도 22(a)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22(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통풍가이드와 통풍패드의 결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2(a)를 참조하면, 통풍가이드(800)는 통풍패드(70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통풍가이드(800)는 통풍패드(700)의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부(1000)의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22(b)를 참조하면, 통풍가이드(800)는 제1통풍가이드(800) 및 제2통풍가이드(800)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통풍가이드(800) 및 제2통풍가이드(8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 삽입부(810), 가이드연결부(820) 및 통풍쿠션(830)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통풍가이드(800)는 통풍패드(700)의 상부가 삽입될 수 있고, 제2통풍가이드(800)는 통풍패드(700)의 하부가 삽입될 수 있다. 제1통풍가이드(800) 및 제2통풍가이드(800)는 각각 통풍패드(700)의 상부 및 하부가 삽입된 상태에서, 팽창부(1000)의 상부 및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때, 통풍프레임(720)의 굴곡진 형상, 곡률 등에 따라 제1통풍가이드(800) 및 제2통풍가이드(800)의 크기는 서로 같거나, 서로 다르게 구비될 수 있다.
한편, 도 17(a) 및 도 17(b)를 다시 참조하면, 팽창부(1000)는 통풍고정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통풍고정부(150)는 팽창부(1000)의 상부 및/또는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통풍고정부(150)는 팽창부(1000)의 중간부를 향하는 통풍개구부(15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통풍패드(700)는 통풍개구부(150a)를 통해 통풍고정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즉, 통풍패드(700)는 통풍패드(700)의 일부가 삽입될 수 있다.
통풍패드(700)의 상부가 통풍가이드(800)에 삽입되면 통풍패드(700)의 하부는 통풍고정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반대로, 통풍패드(700)의 하부가 통풍가이드(800)에 삽입되면 통풍패드(700)의 상부는 통풍고정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통풍패드(700)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제1통풍가이드(800) 및 제2통풍가이드(800)에 삽입될 수 있다. 이로써,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통풍패드(700)의 상부 및 하부가 각각 통풍고정부(150)에 삽입될 수 있다. 여기서, 통풍고정부(150)는 제1통풍고정부 및 제2통풍고정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통풍고정부는 팽창부(1000)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고, 제2통풍고정부는 팽창부(1000)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때, 제1통풍고정부는 하부를 향하는 통풍개구부(150a)를 구비할 수 있고, 제2통풍고정부는 상부를 향하는 통풍개구부(150a)를 구비할 수 있다. 이로써, 통풍패드(700)는 팽창부(1000)의 상부 및 하부에 고정될 수 있다.
정리하면, 통풍패드(700)는 통풍가이드(800)에 삽입된 상태로 통풍가이드(800)가 팽창부(1000)에 결합되어, 팽창부(1000)에 고정될 수 있다. 또한, 통풍패드(700)는 통풍고정부(150)에 삽입된 상태로 팽창부(1000)에 고정될 수 있다. 즉, 인체보호장치는 통풍가이드(800)와 통풍고정부(150)를 선택적으로 적용하여 통풍패드(700)를 팽창부(1000)에 연결시킬 수 있다.
나아가, 팽창부(1000)는 제1팽창부(100) 및 제1팽창부(200)를 포함할 수 있고, 제1팽창부(100) 및 제1팽창부(200)가 서로 탈부착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음은 상술한 바와 같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0 : 제1팽창부
100a : 상단부
100b : 중앙부 100c : 하단부
110 : 제1고정부 111 : 제1내측부
112 : 제1외측부 120 : 제1확장부
120a : 제1확장영역 121 : 제1부
122 : 제2부 123 : 제3부
140 : 통풍부 150 : 통풍고정부
150a : 통풍개구부 160 : 제1에어백
170 : 가이드연결수단 180 : 프레임연결수단
200 : 제2팽창부 200a : 전면부
200b : 어깨부 200c : 후면부
201 : 제1구간 202 : 제2구간
210 : 제2고정부 210a : 내측가장자리
210b : 외측가장자리 211 : 제2내측부
212 : 제2외측부 210c : 제2-1고정부
210d : 제2-2고정부 210e : 제2-3고정부
220 : 제2확장부 220a : 제2확장영역
220b : 외측돌출부 230 : 체결수단
260 : 제2에어백 310 : 결합수단
311 : 지퍼 312 : 지퍼보호부
311a : 맞물림영역 311b : 비맞물림영역
320 : 임시고정부 330 : 가스튜브
340 : 투입부 410 : 제1인플레이터
420 : 제2인플레이터 500 : 하네스고리
510 : 제1고리 520 : 제2고리
530 : 제3고리 540 : 벨크로고리
540a : 패드벨크로 541 : 제1벨크로고리
542 : 제2벨크로고리 600 : 쿠션패드
600a : 돌출쿠션 610 : 제1쿠션영역
620 : 제2쿠션영역 630 : 제3쿠션영역
640 : 제1쿠션패드 650 : 제2쿠션패드
700 : 통풍패드 710 : 통풍메시
720 : 통풍프레임 721 : 제1프레임
722 : 제2프레임 723 : 제3프레임
723a : 제3-1프레임 723b : 제3-2프레임
723c : 제3-3프레임 724 : 제4프레임
724a : 제4-1프레임 724b : 제4-2프레임
724c : 제4-3프레임 800 : 통풍가이드
810 : 삽입부 810a : 인입부
820 : 가이드연결부 830 : 통풍쿠션
1000 : 팽창부 2000 : 제어박스
2001 : 제어개폐부 2100 : 프로세서
2200 : 가속도센서 2300 : 각속도센서
3000 : 메모리 4000 : 인플레이터
5000 : 배터리
100b : 중앙부 100c : 하단부
110 : 제1고정부 111 : 제1내측부
112 : 제1외측부 120 : 제1확장부
120a : 제1확장영역 121 : 제1부
122 : 제2부 123 : 제3부
140 : 통풍부 150 : 통풍고정부
150a : 통풍개구부 160 : 제1에어백
170 : 가이드연결수단 180 : 프레임연결수단
200 : 제2팽창부 200a : 전면부
200b : 어깨부 200c : 후면부
201 : 제1구간 202 : 제2구간
210 : 제2고정부 210a : 내측가장자리
210b : 외측가장자리 211 : 제2내측부
212 : 제2외측부 210c : 제2-1고정부
210d : 제2-2고정부 210e : 제2-3고정부
220 : 제2확장부 220a : 제2확장영역
220b : 외측돌출부 230 : 체결수단
260 : 제2에어백 310 : 결합수단
311 : 지퍼 312 : 지퍼보호부
311a : 맞물림영역 311b : 비맞물림영역
320 : 임시고정부 330 : 가스튜브
340 : 투입부 410 : 제1인플레이터
420 : 제2인플레이터 500 : 하네스고리
510 : 제1고리 520 : 제2고리
530 : 제3고리 540 : 벨크로고리
540a : 패드벨크로 541 : 제1벨크로고리
542 : 제2벨크로고리 600 : 쿠션패드
600a : 돌출쿠션 610 : 제1쿠션영역
620 : 제2쿠션영역 630 : 제3쿠션영역
640 : 제1쿠션패드 650 : 제2쿠션패드
700 : 통풍패드 710 : 통풍메시
720 : 통풍프레임 721 : 제1프레임
722 : 제2프레임 723 : 제3프레임
723a : 제3-1프레임 723b : 제3-2프레임
723c : 제3-3프레임 724 : 제4프레임
724a : 제4-1프레임 724b : 제4-2프레임
724c : 제4-3프레임 800 : 통풍가이드
810 : 삽입부 810a : 인입부
820 : 가이드연결부 830 : 통풍쿠션
1000 : 팽창부 2000 : 제어박스
2001 : 제어개폐부 2100 : 프로세서
2200 : 가속도센서 2300 : 각속도센서
3000 : 메모리 4000 : 인플레이터
5000 : 배터리
Claims (11)
- 인플레이터에 의해 팽창하는 에어백이 내측에 구비되는 외피로서, 인체에 착용되는 팽창부; 및
상기 팽창부와 상기 인체 사이에 위치하도록 상기 팽창부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통풍패드;를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패드는,
공기가 소통하는 기공을 구비하는 통풍메시, 및
상기 통풍메시와 연결되어 상기 통풍메시를 상기 팽창부와 이격시키는 통풍프레임을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프레임은 탄성변형이 가능한, 인체보호장치. -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프레임은,
직선으로 형성되어 상단을 이루는 제1프레임,
직선으로 형성되어 하단을 이루는 제2프레임,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일측에서 연장된 제3프레임, 및
곡선으로 형성되어 상기 제1프레임 및 상기 제2프레임의 타측에서 연장된 제4프레임을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패드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탈부착 가능하도록 결합되는 통풍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가이드는 상기 삽입부의 일단에 위치하여 상기 팽창부와 결합되는 가이드연결부를 더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연결부는 벨크로, 단추, 똑딱이단추, 지퍼 또는 버클을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통풍가이드는 상기 삽입부의 내측면에서 돌출되어 형성된 통풍쿠션을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는 하단이 상기 삽입부의 상단을 향하여 인입되도록 형성된 인입부를 포함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의 중심부를 관통하여 형성된 통풍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통풍부의 일부 및 상기 인입부의 일부는 중첩되도록 위치하는, 인체보호장치. -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팽창부는,
상기 팽창부의 상부 또는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팽창부의 중간부를 향하는 통풍개구부를 구비하는 통풍고정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통풍패드는 상기 통풍개구부를 통해 상기 통풍고정부에 삽입되는 인체보호장치.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9941A KR20240050144A (ko) | 2022-10-11 | 2022-10-11 | 인체보호장치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9941A KR20240050144A (ko) | 2022-10-11 | 2022-10-11 | 인체보호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50144A true KR20240050144A (ko) | 2024-04-18 |
Family
ID=90844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9941A KR20240050144A (ko) | 2022-10-11 | 2022-10-11 | 인체보호장치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50144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464B1 (ko) | 2019-08-26 | 2020-02-27 | 경북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 착용형 에어백장치 |
-
2022
- 2022-10-11 KR KR1020220129941A patent/KR20240050144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082464B1 (ko) | 2019-08-26 | 2020-02-27 | 경북대학교기술지주 주식회사 | 착용형 에어백장치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969195B1 (ko) | 독립적인 착용식 보호장치 및 보호복 조립체 | |
EP3007573B1 (en) | Personal protection device | |
DK144142B (da) | Beskyttelseshalsmanchet isaer for motorcyklister | |
EP2994002B1 (en) | Personal protection device | |
KR101230437B1 (ko) | 가속도센서를 이용한 에어조끼 | |
CN105531158A (zh) | 具有六个约束点的改进的辅助约束系统 | |
EP3007572B1 (en) | Personal protection device | |
WO2014122463A1 (en) | Hooded garment with impact protection | |
CN210696153U (zh) | 头盔的内缓冲结构 | |
KR20240050144A (ko) | 인체보호장치 | |
JP2006257615A (ja) | 保護胴衣及びプロテクタ | |
KR20240031806A (ko) | 인체보호장치 | |
US20230248101A1 (en) | Wearable protection device | |
JP4672051B2 (ja) | 球技用レッグガード | |
US20220095710A1 (en) | Inflatable motorcycle outfit | |
EP3649879B1 (en) | Personal protective device and garment including said protective device | |
KR102440345B1 (ko) | 헬멧 | |
RU218065U1 (ru) | Подтулейное устройство бронешлема с вкладышем | |
KR200435400Y1 (ko) | 어깨 및 허리 보호용 조끼형 보호대 | |
KR101750704B1 (ko) | 충격 흡수용 머리 보호대 | |
JP2008050703A (ja) | 球技用心臓防護シャツ、及び、それに用いられる心臓防護パット | |
KR200339449Y1 (ko) | 작업자용 안전조끼 | |
KR200264875Y1 (ko) | 유아용머리보호용구 | |
KR100325635B1 (ko) | 터널 및 지하 작업용 안전복 | |
KR19990033941U (ko) | 스포츠용 자켓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