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50077A -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50077A
KR20240050077A KR1020220129811A KR20220129811A KR20240050077A KR 20240050077 A KR20240050077 A KR 20240050077A KR 1020220129811 A KR1020220129811 A KR 1020220129811A KR 20220129811 A KR20220129811 A KR 20220129811A KR 20240050077 A KR20240050077 A KR 202400500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motor
output limit
limit curve
driv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81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빈승현
탁병오
김성민
최호림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981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50077A/ko
Priority to US18/116,463 priority patent/US20240116372A1/en
Priority to DE102023107036.3A priority patent/DE102023107036A1/de
Priority to CN202310340785.6A priority patent/CN117863894A/zh
Publication of KR202400500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5007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2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 B60L15/2045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control of the vehicle or its driving motor to achieve a desired performance, e.g. speed, torque, programmed variation of speed for optimising the use of energ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0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15/10Methods, circuits, or devices for controlling the traction-motor speed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for automatic control superimposed on human control to limit the acceleration of the vehicle, e.g. to prevent excessive motor 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50/0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 B60L50/5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 B60L50/60Electric propulsion with power supplied within the vehicle using propulsion power supplied by batteries or fuel cells using power supplied by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3/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a control method other than vector control
    • H02P23/0004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 H02P23/0027Control strategies in general, e.g. linear type, e.g. P, PI, PID, using robust control using different modes of control depending on a parameter, e.g. the speed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5/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 H02P25/1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 H02P25/18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AC motor or by structural details characterised by the circuit arrangement or by the kind of wiring with arrangements for switching the windings, e.g. with mechanical switches or relay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PCONTROL OR REGULATION OF ELECTRIC MOTORS, ELECTRIC GENERATORS OR DYNAMO-ELECTRIC CONVERTERS; CONTROLLING TRANSFORMERS, REACTORS OR CHOKE COILS
    • H02P27/00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 H02P27/04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 H02P27/06Arrangements or methods for the control of AC motor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supply voltage using variable-frequency supply voltage, e.g. inverter or converter supply voltage using dc to ac converters or inver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3Tor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40/00Control parameters of input or output; Target parameters
    • B60L2240/40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 B60L2240/42Drive Train control parameters related to electric machines
    • B60L2240/429Cur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LPROPULSION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SUPPLYING ELECTRIC POWER FOR AUXILIARY EQUIPMENT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ODYNAMIC BRAKE SYSTEMS FOR VEHICLES IN GENERAL; MAGNETIC SUSPENSION OR LEVITATION FOR VEHICLES; MONITORING OPERATING VARIABLES OF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ELECTRIC SAFETY DEVICES FOR ELECTRICALLY-PROPELLED VEHICLES
    • B60L2260/00Operating Modes
    • B60L2260/20Drive modes; Transition between modes
    • B60L2260/26Transition between different drive mod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90Vehicles comprising electric prime movers
    • B60Y2200/91Electric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61Arrangements of controllers for electric machines, e.g. inverter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Electric Propulsion And Braking For Vehicles (AREA)
  • Control Of Ac Motors In General (AREA)

Abstract

전동화 차량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모터;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1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2 인버터;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를 양방향으로 절환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ELECTRIFIED VEHICLE AND METHOD CONTROLLING FOR THE SAME}
본 발명은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모터 구동 모드 절환 시 모터의 출력 단절을 방지하고, 연비를 개선하는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전동화 차량 등의 모터 구동 시스템은 하나의 모터로 저출력 및 고출력 구간을 모두 커버하면서도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두 개의 인버터와 모드 절환 스위치를 이용하여 하나의 모터를 서로 다른 두 모드로 구동하는 기술이 도입되고 있다.
여기서, 서로 다른 모드 중 하나는 Y-결선 구조를 이용하여 하나의 인버터로 모터를 구동하는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CEW, Closed End Winding) 모드이고, 다른 하나는 두 개의 인버터로 모터를 구동하는 오픈 엔드 와인딩(OEW, Open End Winding) 모드이다.
모터 구동 시스템은 룩-업 테이블(LUT)에 기반한 모드 절환 선을 참조하여 CEW 모드와 OEW 모드를 양방향으로 절환할 수 있다. 여기서, 룩-업 테이블(LUT)은 모터 구동 시 두 모드 중 효율이 더 높은 모드가 수행되도록, 인버터의 직류단 전압 별로 모터의 모든 운전점에 대해 효율을 측정하는 시험을 통해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모터 구동 시스템은 모드 절환 선에 따라 CEW 모드와 OEW 모드를 절환하여 전동화 차량의 연비를 높일 수 있다. 다만, 모드 절환 선에 대응하는 운전점이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벗어날 경우, 모터 구동 모드 절환 시 모터의 출력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의 배경기술로서 설명된 사항들은 본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 증진을 위한 것일 뿐,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기술에 해당함을 인정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서는 안 될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CEW 모드의 출력 제한 내에서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모터 구동 모드 절환 시 발생되는 모터의 출력 단절을 방지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소정의 조건 만족 시 모드 절환 선에 따른 운전점 또는 그 근처에서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도록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완화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 것을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로 한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차량은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모터;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1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2 인버터;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를 양방향으로 절환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은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모터에 대한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제2 구동 모드 간의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동 모드가 수행될 경우 제1 및 제2 인버터 중 상기 제1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2 구동 모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CEW 모드의 출력 제한 내에서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도록 제어함으로써, 모터 구동 모드 절환 시 발생되는 모터의 출력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소정의 조건 만족 시 모드 절환 선에 따른 운전점 또는 그 근처에서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도록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완화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2 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모드 각각에 대한 모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차량의 제어 계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EW 모드에 대한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EW 모드에 대한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에 의해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모터 제어기(MCU), 하이브리드 제어기(HCU) 등의 명칭에 포함된 유닛(Unit) 또는 제어 유닛(Control Unit)은 차량 특정 기능을 제어하는 제어 장치(Controller)의 명명에 널리 사용되는 용어일 뿐, 보편적 기능 유닛(Generic function unit)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각 제어기는 담당하는 기능의 제어를 위해 다른 제어기나 센서와 통신하는 통신 장치, 운영체제나 로직 명령어와 입출력 정보 등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담당 기능 제어에 필요한 판단, 연산, 결정 등을 수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장치의 회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터 구동 장치는 제1 인버터(10), 제2 인버터(20),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는 복수의 권선(C1-C3)을 갖는 모터(30), 모드 절환부(40), 배터리(50) 및 컨트롤러(10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버터(10)는 복수의 권선(C1-C3)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S11-S16)를 포함하고, 제2 인버터(20)는 복수의 권선(C1-C3)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는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S21-S26)를 포함할 수 있다. 모드 절환부(40)는 복수의 권선(C1-C3) 각각의 타단 및 복수의 권선(C1-C3)에 대한 중성단 사이에 연결되는 복수의 모드 절환 스위치(S31-S33)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모터 요구 출력(즉, 모터에 대한 토크 지령), 인버터(10, 20)의 직류단 전압(즉, 배터리의 전압), 모터의 상전류 및 모터 각을 기반으로, 제1 스위칭 소자(S11-S16), 제2 스위칭 소자(S21-S26) 및 모드 절환 스위치(S31-S33)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는 배터리(50)에 저장된 직류 전력을 삼상의 교류 전력으로 변환하여 모터(30)로 출력하거나, 회생 제동 시 모터(30)의 회생 제동 토크 발생으로 인해 생성되는 회생 제동 에너지를 직류로 변환하여 배터리(50)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직류 전력과 교류 전력 사이의 변환은 제1 인버터(10)와 제2 인버터(20)에 각각 구비된 복수의 제1 스위칭 소자(S11-S16) 및 복수의 제2 스위칭 소자(S21-S26)의 펄스폭 변조 제어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제1 인버터(10)는 배터리(50)의 양단 사이에 연결된 직류 링크 커패시터(미도시)에 형성된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레그(11-1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레그(11-13)는 모터(30)의 복수의 상에 각각 대응되어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버터(20)는 배터리(50)의 양단 사이에 연결된 직류 링크 커패시터(미도시)에 형성된 직류 전압이 인가되는 복수의 레그(21-23)를 포함할 수 있다. 각 레그(21-23)는 모터(30)의 복수의 상에 대응되어 전기적 연결이 형성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모터 구동 모드에 따라 모드 절환부(40)에 포함된 제3 스위칭 소자(S31-S33)의 온/오프 상태를 제어하고, 제2 인버터(20)를 통해 모터(30)를 구동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모터 구동 모드는 제1 구동 모드 및 제2 구동 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제1 구동 모드는 '클로즈드 엔드 와인딩(CEW, Closed End Winding) 모드'라 칭하고, 제2 구동 모드는 '오픈 엔드 와인딩(OEW, Open End Winding) 모드'라 칭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가 수행될 때, 모드 절환 스위치(S31-S33)를 온 상태로 제어하고, 두 개의 인버터(10, 20) 중 제1 인버터(10)를 통해 모터(30)를 구동할 수 있다. 모드 절환 스위치(S31-S33)는 온 상태에서 복수의 권선(C1-C3) 각각의 타단과 복수의 권선(C1-C3)에 대한 중성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컨트롤러(100)는 OEW 모드가 수행될 때, 모드 절환 스위치(S31-S33)를 오프 상태로 제어하고, 두 개의 인버터(10, 20)를 통해 모터(30)를 구동할 수 있다. 모드 절환 스위치(S31-S33)는 오프 상태에서 복수의 권선(C1-C3) 각각의 타단과 복수의 권선(C1-C3)에 대한 중성단을 전기적으로 분리시킬 수 있다.
즉, 제1 인버터(10)는 CEW 모드와 OEW 모드에서 모터(30)를 구동하는 반면, 제2 인버터(20)는 CEW 모드와 OEW 모드 중 OEW 모드에서 모터(30)를 구동할 수 있다.
도 2 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모드 각각에 대한 모터의 출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2를 참조하면, CEW 모드와 OEW 모드 별로 모터(30)의 상전압을 합성할 수 있는 범위가 육각형으로 도시되어 있다. 예컨대, 모터(30)의 상전압은 CEW 모드에서 최대 'Vdc/2'만큼 합성이 가능하고, OEW 모드에서 최대 'Vdc'만큼 합성이 가능하다. 여기서, 'Vdc'는 배터리(50)의 전압에 해당한다. 또한, 육각형의 내접원은 공간 벡터 펄스폭 변조(SVPWM, Space Vector Pulse Width Modulation) 제어를 통해 상전압을 선형적으로 합성할 수 있는 범위에 해당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30)의 상전압은 CEW 모드에서 SVPWM 제어를 통해 최대 'Vdc/'만큼 합성이 가능하고, OEW 모드에서 SVPWM 제어를 통해 최대 '2*Vdc/'만큼 합성이 가능하다. 즉, OEW 모드는 CEW 모드에 비해 상전압을 합성할 수 있는 범위가 넓으므로, 모터(30)의 최대 출력도 CEW 모드보다 OEW 모드에서 클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CEW 모드와 OEW 모드 별로 모터(30)의 속도에 따른 모터(30)의 출력 제한 곡선이 도시되어 있다. 모터(30)의 최대 출력은 CEW 모드보다 OEW 모드에서 크므로, OEW 모드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 이상의 출력 제한을 가질 수 있다. 이때, OEW 모드와 CEW 모드 각각의 출력 제한 곡선은 모터(30)와 인버터(10, 20)의 내구성, 발열성 및 전류 제어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모터(30)의 출력은 모터 구동 모드 절환 시 CEW 모드의 출력 제한에 의해 단절될 수 있는데, 이는 도 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 O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 룩-업 테이블(LUT)에 기반한 모드 절환 선 및 실제 모드 절환 선을 나타낸 운전점 맵이 도시되어 있다.
룩-업 테이블(LUT)은 인버터(10, 20)의 직류단 전압 별로 모터(30)의 모든 운전점에 대해 효율을 측정하는 시험을 통해 도출되며, 토크와 역자속의 각 조합에서 CEW 모드 및 OEW 모드 중 효율이 더 높은 모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역자속은 인버터(10, 20)의 직류단 전압에 반비례하고, 모터(30)의 속도에 비례할 수 있다. 모드 절환 선은 룩-업 테이블(LUT)에 의해 설정되며, CEW 모드의 고효율 영역과 OEW 모드의 고효율 영역 사이의 경계선에 해당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모드 절환 선은 모터 구동 장치의 사양 등에 의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모터 구동 모드가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절환되면, 모터(30)와 인버터(10, 20)의 효율은 최대화될 수 있다. 다만,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모드 절환 선에 대응하는 운전점이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벗어날 때, 모터 구동 모드를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절환하면 모터(30)의 출력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예컨대, 모터 구동 모드가 고토크 영역에서 CEW 모드에서 OEW 모드로 절환될 경우, 모터(30)의 출력은 OEW 모드로 절환되기 전에 CEW 모드의 출력 제한에 의해 감소되므로, OEW 모드로 절환 시 순간적인 모터(30)의 출력 단절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CEW 모드의 출력 제한 내에서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도록 룩-업 테이블(LUT)에 기반한 모드 절환 선을 실제 모드 절환 선으로 보정할 경우, 모터 구동 모드 절환 시 발생되는 모터의 출력 단절을 방지할 수 있다.
다만, 실제 모드 절환 선과 모드 절환 선 사이의 운전점 영역에서 CEW 모드의 효율은 OEW 모드 효율보다 높으므로, 실제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모터 구동 모드를 절환하는 것은 전동화 차량의 연비 측면에서 불리하다.
이에 따라, 본 실시예에서는 모드 절환 선을 실제 모드 절환 선으로 보정하여 모터의 출력 단절을 방지하되, 소정의 조건 만족 시 모드 절환 선에 따른 운전점 또는 그 근처에서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도록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완화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를 위한 구조가 도 5에 도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차량의 제어 계통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동화 차량의 제어 계통은 컨트롤러(100), AVNT(Audio/Video/Navigation/Telematics) 단말기(200), 배터리 제어기(300) 및 차량 제어기(400)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차량 제어기(400)로부터 수신한 모터(30)에 대한 토크 지령 등을 기반으로 펄스 폭 변조 제어를 수행하는 MCU(Motor Control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AVNT 단말기(200)는 운전자로부터 ECO 모드(ECO mode)에 진입하기 위한 소정의 명령이 입력될 때, ECO 모드 수행 정보를 차량 제어기(400)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ECO 모드는 전동화 차량의 연비를 개선하기 위한 모드에 해당할 수 있다. 배터리 제어기(300)는 배터리(50)의 잔존 용량(SOC, State Of Charge)을 관리하고, 배터리(50)의 잔존 용량(SOC)을 차량 제어기(400)로 전송하는 BMS(Battery Management System)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400)는 컨트롤러(100), AVNT 단말기(200) 및 배터리 제어기(300)의 상위 제어기에 해당하는 VCU(Vehicle Control Unit)로 구현될 수 있다.
차량 제어기(400)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완화하기 위한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고, 결정된 출력 제한 곡선에 대한 정보를 컨트롤러(100)로 전송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각각이 컨트롤러(100)에 기 저장된 경우, 차량 제어기(400)는 결정된 출력 제한 곡선의 식별자를 전송하는 형태가 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기(40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제1 출력 제한 곡선을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고,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 제2 출력 제한 곡선을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때, 제1 출력 제한 곡선은 모터(30)와 인버터(10, 20)의 내구성, 발열성 및 전류 제어성 등을 고려하여 설정되며, 제2 출력 제한 곡선은 기 설정된 조건 만족 시 모터(30)의 출력 제한을 완화하기 위해 적어도 일부 운전점 영역에서 제1 출력 제한 곡선의 출력 제한 이상의 출력 제한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기 설정된 조건은 소정의 명령에 따라 ECO 모드에 진입하는 조건, ECO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ECO 모드가 소정의 휴지 시간 동안 비활성화되는 조건 및 인버터(10, 20)의 직류단에 연결된 배터리(50)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잔존 용량을 가지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대한 정보에 대응되는 제1 출력 제한 곡선 또는 제2 출력 제한 곡선으로 CEW 모드에 대한 출력 제한을 설정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모터(30)에 대한 토크 지령 및 토크 지령에 따른 모터(30)의 역자속을 기반으로, CEW 모드와 OEW 모드를 양방향으로 절환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 및 OEW 모드의 절환이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수행되도록 룩-업 테이블(LUT)에 기반한 모드 절환 선을 실제 모드 절환 선으로 보정할 수 있다. 이후, 컨트롤러(100)는 실제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토크 지령의 값 및 모터(30)의 역자속에 따라 CEW 모드 및 OEW 모드를 양방향으로 절환할 수 있다.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가 수행될 경우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출력 제한 하에 모터(30)에 대한 전류 지령을 생성하고, OEW 모드가 수행될 경우 O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출력 제한 하에 모터(30)에 대한 전류 지령을 생성할 수 있다. 이때, O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은 컨트롤러(100)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EW 모드에 대한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을 참조하면, CEW 모드를 위한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은 O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출력 제한 이하의 출력 제한을 가질 수 있다. 제2 출력 제한 곡선은 제1 출력 제한 곡선의 출력 제한 이상의 출력 제한을 가질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CEW 모드에 대한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에 의해 모터 구동 모드가 절환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의 좌측은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이 제1 출력 제한 곡선으로 설정된 경우에 해당하고, 도 7의 우측은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이 제2 출력 제한 곡선으로 설정된 경우에 해당한다. 실제 모드 절환 선은 도 7의 좌측보다 도 7의 우측에서 모드 절환 선에 더 가까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컨트롤러(100)는 기 설정된 조건 만족 시 제2 출력 제한 곡선에 의해 보정된 실제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모터 구동 모드를 절환함으로써, 전동화 차량의 연비를 개선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 차트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차량 제어기(400)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을 완화하기 위한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S101). 전술한 바와 같이, 기 설정된 조건은 소정의 명령에 따라 ECO 모드에 진입하는 조건, ECO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ECO 모드가 소정의 휴지 시간 동안 비활성화되는 조건 및 인버터(10, 20)의 직류단에 연결된 배터리(50)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잔존 용량을 가지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기(400)는 소정의 명령에 따라 ECO 모드에 진입하고, ECO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ECO 모드가 소정의 휴지 시간 동안 비활성화되었으며, 배터리(50)의 잔존 용량이 기 설정된 값 이상일 경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후, 차량 제어기(400)는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차량 제어기(400)는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S101의 NO), 제1 출력 제한 곡선을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S102). 이와 달리,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S101의 YES), 차량 제어기(400)는 제2 출력 제한 곡선을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할 수 있다(S103).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모터(30)에 대한 토크 지령의 값 및 모터(30)의 역자속을 기반으로, CEW 모드와 OEW 모드 간의 절환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CEW 모드의 수행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S104).
CEW 모드가 수행될 경우(S104의 YES), 컨트롤러(100)는 C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출력 제한 하에 전류 지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 지령을 기반으로 제1 인버터(10) 및 제2 인버터(20) 중 제1 인버터(10)를 통해 모터(30)를 구동할 수 있다(S105).
OEW 모드가 수행될 경우(S104의 NO), 컨트롤러(100)는 OEW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출력 제한 하에 전류 지령을 생성하고, 생성된 전류 지령을 기반으로 제1 인버터(10) 및 제2 인버터(20)를 통해 모터(30)를 구동할 수 있다(S106).
한편, 전술한 본 발명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기록장치를 포함한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HDD(Hard Disk Drive), SSD(Solid State Disk), SDD(Silicon Disk Drive),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 장치 등이 있다. 따라서,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
10 : 제1 인버터
20 : 제2 인버터
30 : 모터
40 : 모드 절환부
50 : 배터리
100 : 컨트롤러
200 : AVNT 단말기
300 : 배터리 제어기
400 : 차량 제어기

Claims (15)

  1. 복수의 권선을 가지는 모터;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1 인버터;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고, 제1 및 제2 구동 모드 중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제2 인버터;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제1 제어기; 및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상기 모터에 대한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를 양방향으로 절환하는 제2 제어기를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구동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에 대한 중성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고, 상기 제2 구동 모드에서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과 상기 중성단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복수의 모드 절환 스위치를 더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기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출력 제한 곡선을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고,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제2 출력 제한 곡선을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되,
    상기 제2 출력 제한 곡선은,
    적어도 일부 운전점 영역에서 상기 제1 출력 제한 곡선의 출력 제한 이상의 출력 제한을 가지는, 전동화 차량.
  4.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소정의 명령에 따라 ECO 모드에 진입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ECO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ECO 모드가 소정의 휴지 시간 동안 비활성화되는 조건을 더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
  6. 제3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의 직류단에 연결된 배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잔존 용량을 가지는 조건을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의 절환이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수행되도록 룩-업 테이블에 기반한 모드 절환 선을 보정하고, 보정된 상기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상기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를 절환하는, 전동화 차량.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제어기는,
    제1 구동 모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출력 제한 하에 상기 모터에 대한 전류 지령을 생성하는, 전동화 차량.
  9. 기 설정된 조건의 만족 여부에 따라 제1 및 제2 출력 제한 곡선 중 하나를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모터에 대한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구동 모드 및 제2 구동 모드 간의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구동 모드가 수행될 경우 제1 및 제2 인버터 중 상기 제1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
    상기 제2 구동 모드가 수행될 경우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를 통해 상기 모터를 구동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버터는,
    상기 모터에 포함된 복수의 권선 각각의 일단에 연결되고,
    상기 제2 인버터는,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에 연결되되,
    상기 제1 구동 모드는,
    복수의 모드 절환 스위치에 의해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과 상기 복수의 권선에 대한 중성단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모드에 해당하고,
    상기 제2 구동 모드는,
    상기 복수의 모드 절환 스위치에 의해 상기 복수의 권선 각각의 타단과 상기 중성단을 전기적으로 분리하는 모드에 해당하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11.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하는 단계는,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되지 않을 경우 상기 제1 출력 제한 곡선을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이 만족될 경우 상기 제2 출력 제한 곡선을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으로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2 출력 제한 곡선은,
    적어도 일부 운전점 영역에서 상기 제1 출력 제한 곡선의 출력 제한 이상의 출력 제한을 가지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소정의 명령에 따라 ECO 모드에 진입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ECO 모드에 진입하기 전에 상기 ECO 모드가 소정의 휴지 시간 동안 비활성화되는 조건을 더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14.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기 설정된 조건은,
    상기 제1 및 제2 인버터의 직류단에 연결된 배터리가 기 설정된 값 이상의 잔존 용량을 가지는 조건을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15.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의 절환이 상기 제1 구동 모드의 출력 제한 곡선에 따른 운전점 범위 내에서 수행되도록 룩-업 테이블에 기반한 모드 절환 선을 보정하는 단계; 및
    보정된 상기 모드 절환 선을 기준으로 상기 토크 지령의 값 및 상기 모터의 역자속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구동 모드를 절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전동화 차량의 제어 방법.
KR1020220129811A 2022-10-11 2022-10-11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240050077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11A KR20240050077A (ko) 2022-10-11 2022-10-11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US18/116,463 US20240116372A1 (en) 2022-10-11 2023-03-02 Electrified vehicle and method of controlling same
DE102023107036.3A DE102023107036A1 (de) 2022-10-11 2023-03-21 Elektrifiziertes fahrzeug und verfahren zu dessen steuerung
CN202310340785.6A CN117863894A (zh) 2022-10-11 2023-03-31 电动化车辆及其控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811A KR20240050077A (ko) 2022-10-11 2022-10-11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50077A true KR20240050077A (ko) 2024-04-18

Family

ID=903550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811A KR20240050077A (ko) 2022-10-11 2022-10-11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40116372A1 (ko)
KR (1) KR20240050077A (ko)
CN (1) CN117863894A (ko)
DE (1) DE102023107036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3107036A1 (de) 2024-04-11
US20240116372A1 (en) 2024-04-11
CN117863894A (zh) 2024-04-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0220B2 (en) Configurable hybrid drive systems
US10116249B2 (en) Reduced ripple inverter for hybrid drive systems
KR101766094B1 (ko) 하이브리드 차량의 출력 제어 시스템
US8483896B2 (en) Motor control device and motor system equipped with motor control device
CN101755383B (zh) 电动机控制装置、驱动装置和混合动力驱动装置
CN101454174B (zh) 动力输出装置以及具备该动力输出装置的车辆
US20130147404A1 (en) Dc-dc converter system of an electric vehicle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1434205A (zh) 具有隔离的中性拓扑的双端逆变器系统
CN101357595A (zh) 使用双端逆变器系统的串联耦合的双马达驱动
US11909343B2 (en) Motor-driving apparatus
CN114763078A (zh) 用于谐振加热电池的系统和方法
KR20210008974A (ko) 모터 제어 시스템 및 방법
US20190393821A1 (en) Isolated dual bus hybrid vehicle drivetrain
JP2020058176A (ja) モータ駆動システム
US11855568B2 (en) Motor driving device and method for controlling same
KR20220074210A (ko) 모터 구동 장치 및 방법
KR20240050077A (ko) 전동화 차량 및 이의 제어 방법
JP4886643B2 (ja) 鉄道車両の電力制御装置
KR20240014856A (ko) 모터 구동 장치
JP2013090410A (ja) 電動車両
JP2008113543A5 (ko)
US20220352838A1 (en) Motor-driving apparatus
KR20240044128A (ko) 모터 구동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JP7415969B2 (ja) 回転電機制御システム
WO2023188123A1 (ja) モータ制御装置、車両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