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937A -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 Google Patents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937A
KR20240049937A KR1020220129435A KR20220129435A KR20240049937A KR 20240049937 A KR20240049937 A KR 20240049937A KR 1020220129435 A KR1020220129435 A KR 1020220129435A KR 20220129435 A KR20220129435 A KR 20220129435A KR 20240049937 A KR20240049937 A KR 202400499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source
service
platform
music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4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영삼
Original Assignee
조영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삼 filed Critical 조영삼
Priority to KR10202201294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937A/ko
Publication of KR202400499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937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18Legal services; Handling legal documents
    • G06Q50/184Intellectual property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00Security arrangements for protecting computers, components thereof, programs or data against unauthorised activity
    • G06F21/10Protecting distributed programs or content, e.g. vending or licensing of copyrighted material ;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4Payment circuits
    • G06Q20/06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 G06Q20/065Private payment circuits, e.g. involving electronic currency used among participants of a common payment scheme using e-cash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4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bill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16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measures which result in a restriction to authorised content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a record carrier, e.g. music or softwar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0086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 G11B20/00731Circuits for prevention of unauthorised reproduction or copying, e.g. piracy involving a digital rights management system for enforcing a usage restric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32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 H04L9/3226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including means for verifying the identity or authority of a user of the system or for message authentication, e.g. authorization, entity authentication, data integrity or data verification, non-repudiation, key authentication or verification of credentials using a predetermined code, e.g. password, passphrase or P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9/0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 H04L9/50Cryptographic mechanisms or cryptographic arrangements for secret or secure communications; Network security protocols using hash chains, e.g. blockchains or hash trees

Abstract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는 음원 플랫폼으로 등록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정보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토큰의 타입을 가지도록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고,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한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음원 플랫폼의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생성하고,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음원 플랫폼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이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고,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고,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음원에 대하여 미리 발급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기반으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 제공하고,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음원 보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하여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를 감지하고, 감지된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에 상응하여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불법으로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 단말의 주소를 의미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하고,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이용 단말에 대하여 발생된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가 차단되도록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변조 방지 알림을 출력할 수 있다.

Description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OVIDING NFT-BASED SOUND SOURCE PLAYBACK AND CREATION HISTORY MANAGEMENT PLATFORM SERVICE}
아래 실시예들은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기술에 관한 것이다.
최근 세계적으로 음원 산업이 발전함에 따라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플랫폼이 생겨나고 있으며, 이와 같은 플랫폼을 통해 음원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권리자들은 음원의 저작권에 대한 수익을 확보하고 있다.
그러나, 음원 산업과 관련된 시장의 경우, 대형 기획사나 유통 사업자를 주축으로 운영되고 있어 음원의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권리자는 저작권료(예를 들어, 음원료)에 대한 불평등한 분배가 적용되고 있는 상황이다.
한편, 저작권 등과 같은 소유권에 대한 인증과 함께 자산에 대한 소유권을 명확하게 보장해줄 수 있는 기술로서 블록체인 기반의 NFT(Non-fungible token)이 집중되고 있다. NFT는 블록체인 기반의 암호화 기술을 이용하여 자산에 대한 고유한 디지털 증명서를 부여하는 신종 디지털 자산화와 관련된 기술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자산에 대하여 저작권 등과 같은 소유권을 명확히 보장할 수 있고, 다양한 사용자에게 직접적인 거래를 지원할 수 있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는 음원 산업에 적용될 수 있을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현재까지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이나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지원하는 서비스 등이 많지 않거나 거의 존재하지 않는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목적은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음원에 대하여 발급하여 음원 플랫폼에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장치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음원 플랫폼으로 등록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정보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토큰의 타입을 가지도록 상기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는 단계;상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한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플랫폼의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생성하는 단계;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음원 플랫폼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이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단계;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상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에 대하여 미리 발급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상기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음원 보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하여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상기 감지된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불법으로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 단말의 주소를 의미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에 대하여 발생된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가 차단되도록 상기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변조 방지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에 대하여 위변조 방지 알림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가로 결제를 진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되고 있는 위변조 방지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결제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을 창작한 창작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음원에 대한 정산 방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산 방법에 기초하여 서비스 이용 단말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 내역을 추가하여 저장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은, 상기 음원 정보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여 상기 음원 정보에 상응하는 음원에 대한 저작권을 인증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코드, 상기 음원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권리자에 대한 신분을 인증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2 코드, 상기 음원 플랫폼에서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보상의 서비스와 관련된 제3 코드 및 상기 음원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4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에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에 상응하여 거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된 가상 화폐를 기반으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 플랫폼에 미리 등록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내에 음원에 대한 트랜잭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외 음원에 대한 제반 정보를 의미하는 메타 데이터는 별도의 독립적인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음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 중 해쉬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별도의 저장 장치는 온프라미스 형태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과 함께 생성되는 사용자 정보를 별도의 인증 매체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들은 위에서 살핀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에서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양한 권리자에 의해 창작된 음원을 음원 플랫폼에 등록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함으로써 해당 음원에 대한 소유권과 저작권을 명확히 보장받을 수 있으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방법은 음원에 대한 소유권 및 저작권을 보호하기 위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하여 음원에 대한 불법적인 유출이나 다운로드 등을 방지함으로써 권리자의 권리를 보호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에서 음원 정보에 대한 NFT가 발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예 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실시예들에 대한 특정한 구조적 또는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예시를 위한 목적으로 개시된 것으로서, 다양한 형태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들은 특정한 개시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명세서의 범위는 기술적 사상에 포함되는 변경,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한다.
제1 또는 제2 등의 용어를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실시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들은 퍼스널 컴퓨터, 랩톱 컴퓨터, 태블릿 컴퓨터, 스마트 폰, 텔레비전, 스마트 가전 기기, 지능형 자동차, 키오스크, 웨어러블 장치 등 다양한 형태의 제품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구조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은 기본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를 통해 탈중앙화된 플랫폼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은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운영될 수 있으며, 음원 플랫폼에서 제공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의 코드들을 기반으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가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음원 플랫폼은 음원을 창작한 창작자(예를 들어, 저작권자 또는 권리자를 의미할 수 있음.)는 자신의 음 원의 정보인 음원 정보를 음원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는 의무 및 권리를 가질 수 있으며, 음원 정보를 음원 플랫폼에 등록하는 것에 대한 보상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예를 들어, 음원 플랫폼에서 발행된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인 'KOONG TOKEN'등)을 음원 플랫폼으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한편, 음원 플랫폼을 통해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소비자는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권리 및 의무를 가질 수 있으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것에 대한 대가로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예를 들어, 음원 플랫폼에서 발행된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인 'KOONG TOKEN'등)을 음원 플랫폼으로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방법을 통해 음원 플랫폼은 음원 플랫폼 및 창작자 간의 관계 및 음원 플랫폼 및 소비자 간의 관계에서 블록체인 기반의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생성할 수 있으며, 이는 음원 플랫폼을 통해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될 수 있는 정보를 저장하거나 관리하기 위한 절차를 의미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스마트 컨트랙트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은IPFS(InterPlanetary File System)을 기반으로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분산된 형태로 정보를 저장하고 인터넷으로 공유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특히, IPFS는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창작자 및 소비자와 같은 음원 플랫폼의 사용자에 대한 스마트 컨트랙트를 통해 정보가 되도록 지원할 수 있다.
또한, IPFS는 동일한 계층 간의 P2P 방식을 기반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IPFS를 기반으로 정보가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등록되는 경우, 등록된 정보를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분산된 형태로 저장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IPFS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는 분산된 정보인 청크 타입의 정보를 분산하여 소유함으로써 해당 정보를 관리할 수 있으며, 해당 정보와 관련된 서비스의 요청이 발생되는 경우, 분산된 정보인 청크 타입의 정보를 기반으로 서비스의 요청에 대하여 응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은 창작자에 의해 창작되거나 제작된 음원의 정보인 음원 정보가 등록되는 경우, 해당 음원의 음원 정보에 대한 해쉬 코드(또는, 해쉬 값)(Hash code)를 생성할 수 있고, 생성된 해쉬 코드를 해당 음원 정보에 대한 해쉬 코드로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저장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에서 음원 정보에 대한 NFT가 발급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 플랫폼에 등록되는 음원에 대한 소유권 및 저작원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토큰인 NFT(예를 들어, 본 발명에서는 'KOONG NFT'라 칭할 수 있음.)를 발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에서 'KOONG NFT'와 관련된 서비스가 진행되는 과정을 확인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서버는 본 발명의 음원 플랫폼을 의미하는 음원의 등록을 요청하는 사용자(예를 들어, 창작자 등)가 발생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대한'KOONG PLATFORM'의 회원 가입을 지원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음원 플랫폼에서 해당 사용자가 사용할 수 있는 계정을 생성할 수 있다.
이후,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 플랫폼에서 사용자에 대하여 생성된 계정과 연동된 블록체인 기반의 정보 보관 매체를 생성할 수 있고, 이는 사용자가 음원 플랫폼 내에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발생된 이력 등의 정보를 저장하는 매체를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정보 보관 매체를 본 발명의 음원 플랫폼에서는 'NOAH WALLET'이라 칭할 수 있다.
이후,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사용자의 장치로 음원 플랫폼에 등록을 요청한 음원에 대한 정보인 음원 정보를 음원 플랫폼에 등록을 요청할 수 있으며, 이때 음원의 등록을 요청한 사용자는 사용자의 장치를 통해 음원에 대한 이름, 설명, 프로필 및 배너 이미지 등을 추가하여 등록할 수 있다.
이후,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에 대한 정보인 음원 정보를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으며, 음원에 대한 소유권 및 저작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행할 수 있다. 이때, 음원플랫폼의 서버는 음원에 대하여 발행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의 장치로 전송함으로써 해당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가 발행되었음을 안내할 수 있다.
이후,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발행된 NFT를 기반으로 해당 음원을 음원 플랫폼에 등록할 수 있으며,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가 해당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때,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해당 음원을 창작한 사용자인 창작자가 음원에 대한 가격 및 판매 방법 등을 설정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다.
이후,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사용자가 해등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과정에서 해당 음원에 대하여 미리 발급된 NFT를 기반으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가 제공될 수 있도록 동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을 음원 플랫폼에 등록한 창작자에게는 음원 플랫폼에서 발행한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화폐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는 해당 가상 화폐를 지불함으로써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의 구성의 예시도이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50)는 프로세서(51) 및 메모리(52)를 포함한다. 일실시예에 따른 장치(50)는 상술한 서버 또는 단말일 수 있다. 프로세서는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장치들을 포함하거나, 도 1 내지 도 3을 통하여 전술한 적어도 하나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상술한 방법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거나 상술한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52)는 휘발성 메모리 또는 비휘발성 메모리일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장치(5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에 의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의 코드는 메모리(52)에 저장될 수 있다. 장치(50)는 입출력 장치(도면 미 표시)를 통하여 외부 장치(예를 들어, 퍼스널 컴퓨터 또는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구성요소, 소프트웨어 구성요소, 및/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 및 소프트웨어 구성요소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시예 들에서 설명된 장치, 방법 및 구성요소는, 예를 들어, 프로세서, 콘트롤러, ALU(arithmetic logic unit), 콘텐츠 신호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 마이크로컴퓨터,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PLU(programmable logic unit), 마이크로프로세서, 또는 명령(instruction)을 실행하고 응답할 수 있는 다른 어떠한 장치와 같이, 하나 이상의 범용 컴퓨터 또는 특수 목적 컴퓨터를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처리 장치는 운영 체제(OS) 및 상기 운영 체제 상에서 수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처리 장치는 소프트웨어의 실행에 응답하여, 데이터를 접근, 저장, 조작, 처리 및 생성할 수도 있다. 이해의 편의를 위하여, 처리 장치는 하나가 사용되는 것으로 설명된 경우도 있지만,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처리 장치가 복수 개의 처리 요소(processing element) 및/또는 복수 유형의 처리 요소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예를 들어, 처리 장치는 복수 개의 프로세서 또는 하나의 프로세서 및 하나의 콘트롤러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병렬 프로세서(parallel processor)와 같은, 다른 처리 구성(processing configuration)도 가능하다.
실시예에 따른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실시예를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실시예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소프트웨어는 컴퓨터 프로그램(computer program), 코드(code), 명령(instruction), 또는 이들 중 하나 이상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며, 원하는 대로 동작하도록 처리 장치를 구성하거나 독립적으로 또는 결합적으로(collectively) 처리 장치를 명령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및/또는 데이터는, 처리 장치에 의하여 해석되거나 처리 장치에 명령 또는 데이터를 제공하기 위하여, 어떤 유형의 기계, 구성요소(component), 물리적 장치, 가상 장치(virtual equipment), 컴퓨터 저장 매체 또는 장치, 또는 전송되는 신호 파(signal wave)에 영구적으로, 또는 일시적으로 구체화(embody)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네트워크로 연결된 컴퓨터 시스템 상에 분산되어서, 분산된 방법으로 저장되거나 실행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및 데이터는 하나 이상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저장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의 서버에서 제공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으로서,
    상기 음원 플랫폼으로 등록하기 위한 대상이 되는 음원에 대한 음원 정보의 저작권 정보 및 소유권 정보를 서로 매칭하여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고유한 토큰의 타입을 가지도록 상기 음원에 대한 소유권을 의미하는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발급하는 단계;
    상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한 음원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 플랫폼의 서비스와 관련된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이 포함된 스마트 컨트랙트(smart contract)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에 포함된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에 상응하는 서비스를 상기 음원 플랫폼 내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이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도록 지원하는 단계;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부터 상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에 대하여 미리 발급된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기반으로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로 제공하는 단계;
    상기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음원 보호 알고리즘을 기반으로 상기 음원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하여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를 감지하는 단계;
    상기 감지된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불법으로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 단말의 주소를 의미하는 주소 정보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주소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에 대하여 발생된 불법 다운로드 이벤트가 차단되도록 상기 음원 플랫폼의 음원을 보호하기 위해 미리 설정된 위변조 방지 알림을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에 대하여 위변조 방지 알림을 출력하는 동안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이용하기 위한 대가로 결제를 진행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출력되고 있는 위변조 방지 알림이 출력되지 않도록 제어하고, 상기 결제의 진행 여부를 확인하는 과정에서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음원을 창작한 창작자에 의해 미리 등록된 음원에 대한 정산 방법을 확인하고, 상기 확인된 정산 방법에 기초하여 서비스 이용 단말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대한 비용을 청구하고, 상기 서비스 이용 단말의 음원에 대한 블록체인 기반의 NFT에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 내역을 추가하여 저장하는,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서비스 코드들은,
    상기 음원 정보에 대한 소유권을 인증하여 상기 음원 정보에 상응하는 음원에 대한 저작권을 인증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1 코드, 상기 음원에 대한 저작권을 보유하고 있는 권리자에 대한 신분을 인증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2 코드, 상기 음원 플랫폼에서 상기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이용에 상응하여 발생되는 보상의 서비스와 관련된 제3 코드 및 상기 음원 플랫폼에서 발생되는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의 안정성을 보장하는 서비스와 관련된 제4 코드를 포함하는,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에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에 상응하여 거래의 수단으로 사용되는 블록체인 기반의 가상 화폐를 발행하는 단계; 및
    상기 발행된 가상 화폐를 기반으로 상기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이용 단말의 요청에 상응하여 상기 음원 플랫폼에 미리 등록된 음원과 관련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 내에 음원에 대한 트랜잭션과 관련된 정보를 저장하고, 그 외 음원에 대한 제반 정보를 의미하는 메타 데이터는 별도의 독립적인 저장 장치에 저장하고, 상기 음원 플랫폼의 서버는 블록체인 기반의 네트워크에 음원에 대한 메타 데이터 중 해쉬 코드를 저장하고, 상기 별도의 저장 장치는 온프라미스 형태의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스마트 컨트랙트의 생성과 함께 생성되는 사용자 정보를 별도의 인증 매체를 이용하여 추가적으로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시스템.
KR1020220129435A 2022-10-11 2022-10-11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202400499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435A KR20240049937A (ko) 2022-10-11 2022-10-11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435A KR20240049937A (ko) 2022-10-11 2022-10-11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937A true KR20240049937A (ko) 2024-04-18

Family

ID=908443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435A KR20240049937A (ko) 2022-10-11 2022-10-11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93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88233B1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TWI723658B (zh) 基於區塊鏈中智慧合約保護交易活動敏感資料的方法和設備
CN108805703B (zh) 权利管理系统
US8533860B1 (en) Personalized digital media access system—PDMAS part II
KR101332147B1 (ko) 동적 권리 및 자원 공유 지원 방법 및 시스템
AU2006236243B2 (en)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JP4974534B2 (ja) デジタルアプリケーションのライセンスを取得するためのコンピューティングデバイスおよび方法
JP4835167B2 (ja) ライセンス管理のためのプログラム、システム及び方法
US20100185868A1 (en) Personilized digital media access system
US20140304778A1 (en) Digital cloud access (pdmas part iii)
US20060235795A1 (en) Secure network commercial transactions
JP2006522413A (ja) 権利取引システム
WO2004066154A1 (ja) コンテンツ配信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又は情報処理方法、並びに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US20150347723A1 (en) Software application license roaming
KR20200099041A (ko) 블록체인 기반 콘텐츠 이용 권한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230165100A (ko) 메타버스 공간에 적용되는 nft 기반의 음원의 등급을 결정 및 관리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KR20230165102A (ko) 메타버스 플랫폼에 등록된 음원에 대한 nft와 관련된 정보에 기초하여 메타버스 공간에서 제공되는 공연을 위한 음원을 선별하는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장치
US11775965B2 (en) Service providing method performed by server of music platform using blockchain-based NFT
JP2001256413A (ja) コンテンツ二次配信制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二次配信制限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KR20240049937A (ko) Nft 기반 음원 재생 및 생성 이력 관리 플랫폼 서비스 제공 방법, 장치 및 시스템
JP2001256196A (ja) コンテンツ世代間配信制限システムおよびコンテンツ世代間配信制限方法、並びにプログラム提供媒体
KR20240001416A (ko) 블록체인 기반의 nft를 이용한 음원 플랫폼의 서버에서 수행되는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619687B1 (ko) 블록체인 메인넷 기반의 nft를 이용하는 플랫폼의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서비스 제공 서버
KR102601381B1 (ko) 스마트 컨트랙트를 활용한 토큰 출금 거래 수수료 대납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40037643A1 (en) Method and system for digital contents by use of rental nf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