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737A -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737A
KR20240049737A KR1020220129026A KR20220129026A KR20240049737A KR 20240049737 A KR20240049737 A KR 20240049737A KR 1020220129026 A KR1020220129026 A KR 1020220129026A KR 20220129026 A KR20220129026 A KR 20220129026A KR 20240049737 A KR20240049737 A KR 202400497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output
battery pack
voltage
ra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9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성운
신일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피플웍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피플웍스
Priority to KR1020220129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9737A/ko
Publication of KR202400497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73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07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8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 H01M10/482Accumulators combined with arrangements for measuring, testing or indicating the condition of cells, e.g. the level or density of the electrolyte for several batteries or cell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54Reclaiming serviceable parts of waste 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13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acting upon several batteries simultaneously or sequentially
    • H02J7/0014Circuits for equalisation of charge between batte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29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 H02J7/0031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safety or protection devices or circuits using battery or load disconnect circui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7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with monitoring or indicating devices or circuits
    • H02J7/0048Detection of remaining charge capacity or state of charge [SO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1Battery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electronic circuits, e.g. control of current or voltage to keep battery in healthy state, cell balanc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42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rvicing or maintenance of secondary cells or secondary half-cells
    • H01M10/425Structural combination with electronic components, e.g. electronic circuits integrated to the outside of the casing
    • H01M2010/4278Systems for data transfer from batteries, e.g. transfer of battery parameters to a controller, data transferred between battery controller and main controll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220/00Batteries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H01M2220/10Batteries in stationary systems, e.g. emergency power source in pla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2207/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details of 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2207/20Charging or discharging characterised by the power electronics convert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84Recycling of batteries or fuel ce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팩(Pack) 또는 트레이(Tray) 간 충전상태(SOC)와 전압 불균형 해소한다. 실시예를 통해, 양방향 DC/DC컨버터 및 제어보드의 포함으로 독립 구동 가능한 배터리 팩을 제공함으로써,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에서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단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간 전압 편차의 추가 발생을 억제하고 노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A BATTERY SYSTEM COMPRISING A RE-USE BATTERY AND A METHOD OF CONTROLLING THE BATTERY SYSTEM}
본 개시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독립 구동 가능한 배터리 팩(Pack)을 제공하여,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에서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 섹션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이 출원의 청구항들에 대한 종래 기술이 아니며, 이 섹션에 포함된다고 하여 종래 기술이라고 인정되는 것은 아니다.
전기 차에서 회수되는 폐 배터리는 배터리의 노화상태를 나타내는 잔존용량(SOH, State Of Health)에 따라서, ESS(Energy Storage System) 또는 백업 전원용 배터리 제품으로 재사용이 가능하기 때문에, 전세계적으로 배터리 재사용을 위한 많은 노력들이 진행되고 있다.
일반적인 잔존용량(SOH) 상태 예측은 상대적으로 낮은 배터리 충방전 속도(C-rate)에서 자체 발열에 의한 영향이 최소화되는 표준 용량 검사를 통해 진행되기 때문에, 동등한 잔존용량(SOH) 상태라 할지라도 각각의 배터리들은 내부저항 상태가 다를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 후 배터리는 동등한 잔존용량(SOH) 상태일지라도 사용 이력과 재사용되는 방향에 따라서 향후 발생될 수 있는 전압 불균형 혹은 노화 속도에서 큰 차이를 보일 수 있다.
따라서,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시스템을 구성하기 위해서는 리튬 이차전지의 전기화학적 반응 속도 측면에서의 고려가 필요하다. 특히, 잔존용량 상태에 따라 정격전류(CC) 혹은 정격전력(CP) 충전, 방전 상황에서 충전상태 변화량(SOC/h) 혹은 전압변화량(Voltage/h)에 대한 속도 편차가 발생될 수 있음을 감안하여, 배터리가 재사용됨에 따른 전압 불균형 혹은 노화 속도의 편차를 제어하는 방향으로 시스템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용 배터리 시스템의 구성은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BMS)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Pack) 과 배터리 팩(Pack) 이 직렬로 구성되는 배터리 랙(Rack), 그리고 랙(Rack) 단위로 추가되는 BPU (Battery Protection Unit)으로 구성된다. 신규 배터리로 구성되는 이러한 배터리 시스템은 조립 과정에서 배터리 간 편차를 최소화하여 구성한다는 것과 적절한 운영 알고리즘과 제어 방법으로 배터리 간 혹은 팩(Pack) 간 전압 불균형이 발생되지 않게 운영되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균등한 상태의 노화가 진행될 수 있다.
그러나,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은 이미 불규칙한 노화가 진행된 상태이기 때문에 신규 배터리와 동일한 방법으로 배터리 시스템을 구성하게 될 경우에는, 유사한 잔존용량(SOH)상태를 가지는 사용 후 배터리 모듈로 구성될지라도, 각각의 배터리 노화 상태에 따라서 배터리간 불균형을 막기 어렵다. 예컨대, 배터리 혹은 배터리 팩 단위에서 일정한 전류 또는 전압 공급 조건에서 충전상태변화량(SOC/h) 혹은 전압변화량(Voltage/h)의 속도 차이에 의한 전압 불균형을 제어하기 어려워질 수 있다. 특히, 정격 전력(CP) 방전이나 낮은 환경온도에서는 방전하한전압 부근에서 급격히 상승되는 배터리 내부 저항의 영향으로 인해 배터리 전압 혹은 노화 속도에 대한 편차가 커질 수 있다. 또한, 에너지 저장 시스템 화재사고 조사단의 화재 조사결과 보고서에 의하면, 화재 발생 전 주요 현상으로 배터리 저전압 및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 범위를 벗어난 난 운영 기록이 확인되고, 전압 편차의 허용 범위를 넓게 가져갔을 경우, 배터리 최대, 최소 전압 차이의 급격한 증가 현상, 충전율이 상향 조정된 것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배터리 전압, 잔존용량 및 출력 편차는 시스템 화재 위험을 증가시키는 주요 요인이 될 수 있다.
1. 한국 특허등록 제 10-2086842호 (2020.03.03) 2. 한국 특허등록 제 10-2380444호 (2022.03.25)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팩(Pack) 또는 트레이(Tray) 간 충전상태(SOC)와 전압 불균형 해소한다.
실시예를 통해, 양방향 DC/DC컨버터 및 제어보드의 포함으로 독립 구동 가능한 배터리 팩을 제공함으로써,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에서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단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간 전압 편차의 추가 발생을 억제하고 노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직렬 또는 병렬로 구성되는 배터리 팩은 사용함에 따라, 배터리 간 편차가 커지는 문제가 발생하는데, 편차가 커지는 문제는 신품 배터리에서 편차와 온도 불균형 등의 영향으로 팩을 구성하는 모든 배터리가 동등한 속도로 노화가 진행되기 어렵기 때문이다. 이에 따라 실시예에서는, 팩을 구성하는 배터리의 노화속도가 상이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유사한 속도로 노화를 진행시키기 위한 시스템 구성 및 알고리즘을 제공한다.
또한, 리튬 이차전지는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서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 부근에서 내부저항이 급격히 증가하므로, 실시예에서는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 영역에서 전류 제어를 통하여 추가적인 배터리 전압 편차 발생과 노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팩(Pack); n개의 배터리 팩이 직렬 연결된 배터리 랙(Rack)으로 구성을 위한 절연타입의 양방향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DC/DC 컨버터와 제어보드; 배터리 팩을 모니터링 하는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BMS); 을 포함하고, 배터리 랙; 은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Pack)의 온도, 전압, 충전상태(SOC), 예상 출력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배터리 팩 각각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하고 충전상태 변화량(SOC/h) 전압 변화량 (Voltage/h)의 예측을 통해 배터리 팩(Pack) 각각의 예상 출력 정보를 전달하는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배터리 팩의 예상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 각각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임의의 배터리 팩 교체 시, 교체되는 배터리가 포함된 배터리 랙(Rack)의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전력 차단장치; 를 포함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한다.
다른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A)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에서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Pack)의 온도, 전압, SOC, 예상 출력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에서 배터리 팩 각각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하고 충전상태 변화량(SOC/h) 전압 변화량 (Voltage/h)의 예측을 통해 각 배터리 팩(Pack)의 예상 출력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C) 제어모듈에서 배터리 팩의 예상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 각각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차단 장치에서 배터리 팩(Pack) 교체 시 교체되는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Rack)의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단계; 를 포함한다.
이상에서와 같은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제어 방법을 확립함으로써 사용 후 배터리의 재사용에 대한 장기 운영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팩(Pack) 또는 트레이(Tray) 간 충전상태(SOC)와 전압 불균형 해소한다.
실시예를 통해, 양방향 DC/DC컨버터 및 제어보드의 포함으로 독립 구동 가능한 배터리 팩을 제공함으로써,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에서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단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간 전압 편차의 추가 발생을 억제하고 노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랙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시간에 따른 충전, 방전 진행을 나타낸 전류 혹은 전력 그래프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시스템의 배터리 랙 제어 정보를 나타낸 표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배터리 시스템을 제어한 후 수집한 배터리 팩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 표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및 제어 모듈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도면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그리고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그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팩 구성 예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배터리 랙 구성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은 전기 차에서 회수된 폐 배터리로 구성되는 에너지 저장시스템(ESS)과 같은 배터리 시스템을 효율적으로 구성하고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은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Pack) 또는 트레이(Tray)와, 배터리 팩이 n개의 직렬로 구성되는 배터리 랙(Rack)으로 구성되며,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Rack)은 요구되는 에너지 및 출력에 맞게 복수개의 병렬로 구성 및 운영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터리 팩은 양방향 DC/DC컨버터 및 제어보드를 포함하고, 배터리 팩을 구성하는 사용 후 배터리 모듈의 잔존용량(SOH, State of Health)에 따라 차이가 발생될 수 있는 충전상태 변화량(SOC/h) 또는 전압 변화량(Voltage/h)을 제어하기 위해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팩의 상태에 따라서 배터리 팩 각각의 출력을 독립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Pack)은 노화 이력 및 상태에 따라서 정격전류(CC) 혹은 전격전압(CP) 충전 및 방전 상황에서 전기화학반응 속도 차이로 인한 충전상태 변화량, 전압 변화량 등에서 차이가 발생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터리간 충전 및 방전 속도를 균등하게 제어하기 위한 목적으로 양방향 DC/DC컨버터 및 제어보드가 배터리 팩 내부에 포함되는 구조를 제공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랙(Rack) 마다 개별적으로 포함되는 배터리 랙 모니터링 시스템(Rack BMS)을 통해 충전 혹은 방전이 시작되는 시점에서 판단되는 잔존용량(Capacity_SOH)을 파악하여 충전 혹은 방전 속도를 예측하고, 이를 균등 제어하기 위해 개별 배터리 팩에 대한 출력 조정 명령을 전달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모든 배터리 팩을 균등하거나 유사한 충전상태(SOC), 전압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해당 예측 과정에서 설정된 범위 값을 벗어나는 배터리 팩을 위험 요소로 판단하고 임의의 배터리 팩으로 교체 운영가능 하도록 한다. 즉, 실시예에서는 개별 배터리 팩의 잔존용량(SOH)와 충전상태(SOC)를 상대비교하고, 개별 배터리 팩(Pack)의 잔존용량(SOH)에 따른 출력을 연산하고, 개별 배터리 팩(Pack) 및 랙(Rack) 단위의 예상 출력 및 유지 시간 예측하여, 범위 값을 벗어나는 배터리 팩을 교체함으로써,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팩(Pack) 또는 트레이(Tray) 간 충전상태(SOC)와 전압 불균형 해소할 수 있도록 한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랙의 데이터 처리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팩(Pack); n개의 배터리 팩이 직렬 연결된 배터리 랙(Rack)으로 구성을 위한 절연타입의 양방향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DC/DC 컨버터와 제어보드; 배터리 팩을 모니터링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BMS); 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로서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n개의 배터리 랙(Rack)을 병렬 연결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배터리 랙(Rack) 은 각각의 랙(Rack)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서 개별 제어되고, 각각의 랙 모니터링 모듈은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과 통신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100)은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 제어모듈(130) 및 차단 장치(15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이라는 용어는 용어가 사용된 문맥에 따라서, 소프트웨어, 하드웨어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는 기계어, 펌웨어(firmware), 임베디드코드(embedded code), 및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하드웨어는 회로, 프로세서, 컴퓨터, 집적 회로, 집적 회로 코어, 센서, 멤스(MEMS; Micro-Electro-Mechanical System), 수동 디바이스,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Pack)의 온도, 전압, SOC, 예상 출력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배터리 팩 각각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하고 충전상태 변화량(SOC/h) 전압 변화량 (Voltage/h)의 예측을 통해 각 배터리 팩(Pack)의 예상 출력 정보를 전달한다. 제어모듈(130)은 배터리 팩의 예상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 각각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고, 차단장치(150)는 임의의 배터리 팩(Pack) 교체 시 해당 배터리 랙(Rack)의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정격전류(CC, Constant Current) 또는 정격전력(CP, Constant Power) 충전 및 방전 조건에서 배터리 팩을 제어하고, 배터리 팩 각각의 1차 및 2차 출력 타겟을 기반으로 배터리 팩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판단된 잔존용량 (Capacity SOH)에 따라 충전상태 변화량(SOC/h) 또는 전압 변화량(Voltage/h)을 예측하고 제어모듈(130)에서 재조정된 출력을 적용하는 1차 출력 타겟 값까지 정격전류(CC) 혹은 정격전력(CP) 조건으로 충전 및 방전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충전 혹은 방전 종료 후, 배터리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한다. 이후, 충전 혹은 방전 진행 시, 충전상태 변화량(SOC/h) 혹은 전압변화량(Voltage/h)을 예측한다. 실시예에서 제어모듈은 수학식 1을 통해 충전상태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행될 출력 (x kW) 조건에서
(SOC/h: 충전상태 변화량, capacity SOH: 잔존용량)
실시예에서는 충전상태 변화량 산출 이후,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1차 타겟 까지의 도달 시간(h)을 예측하고, 평균 시간 도출한다. 예컨대,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수학식 2를 통해 1차 타겟 까지의 도달 시간(h)을 예측할 수 있다.
수학식 2
(SOC/h: 충전상태 변화량, SOC: 충전상태, h: 1차 타겟까지 도달시간)
이후,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차 1타겟까지 도달 평균 시간 적용하여 배터리 출력값을 재조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수학식 3을 통해 배터리 출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이후,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재 조정된 배터리 팩의 출력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제어모듈(130)에서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출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재조정된 출력으로 인한 사용 후 배터리 부하 증가량이 미치는 리스크를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배터리 출력 변화로 발생되는 부하 증가량에 의한 전류 증가량이 최대 허용 전류 이내인지 파악하여, 배터리 출력 변화로 발생되는 부하 증가량에 의한 전류 증가량이 최대 허용 전류 이내인 경우, 제어모듈(130)에서 배터리 출력을 진행한다. 또한,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재조정된 출력으로 인한, 배터리 랙 단위 출력 요구 시간의 부합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배터리 랙 단위의 출력 시간을 파악하고, 허용 최소 범위 보다 배터리 랙 단위의 출력 시간이 높을 경우, 제어모듈(130)에서 배터리 출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의 시간에 따른 충전, 방전 진행을 나타낸 전류 혹은 전력 그래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실시예에서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110)은 배터리 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이 감소되는 구간으로 설정된 충전상한전압 혹은 방전하한전압 부근에 2차 출력 타겟을 설정한다. 이후, 제어모듈(130)은 2차 출력 제어를 수행한다. 실시예에서 2차 출력 제어는 요구되는 충전 및 방전 시간에 부합하는 조건으로 점진적으로 출력을 줄여가는 것이다. 또한, 실시예에서 제어모듈(130)은 재조정된 출력과 출력 유지 시간을 기반으로 임의의 배터리 팩으로 교체 여부를 판단한다. 예컨대, 제어모듈(130)은 배터리 출력과 유지시간이 일정 수준 이만인 배터리를 교체해야 할 배터리로 판단할 수 있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제어 시스템의 배터리 랙 제어 정보를 나타낸 표이고, 도 6 및 도 7은 도 5에 도시된 제어 정보에 따라 배터리 시스템을 제어한 후 수집한 배터리 팩의 상태 정보를 나타낸 표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에서 모니터링 된 정상적인 배터리 팩의 상태 정보로서,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배터리 팩에 대한 출력이 정상 범위 내로 예측되기 때문에 실시예에서는 배터리 방전을 진행한다. 반면, 도 7을 참조하면, 팩 넘버 4번, 5번의 경우, 배터리 팩에 대한 출력이 정상 범위를 벗어났기 때문에 실시예에서는 해당 배터리 팩의 방전 중단 및 이상 신호 알람을 전달한다.
이하에서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에 대해서 차례로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기능과 본질적으로 같은 것이므로 도 1 내지 도 7과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의 제어 흐름을 나타낸 도면이다.
S100 단계에서는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에서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Pack)의 온도, 전압, 충전상태(SOC), 예상 출력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세 정보를 수집한다. S200 단계에서는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에서 배터리 팩 각각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하고 충전상태 변화량(SOC/h) 전압 변화량 (Voltage/h)의 예측하고, S300 단계에서는 각 배터리 팩(Pack)의 예상 출력 정보를 산출한다. S400 단계에서는 제어모듈에서 배터리 팩의 예상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 각각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한다. S500 단계에서는 차단 장치에서 임의의 배터리 팩(Pack) 교체 시 해당 배터리 랙(Rack)의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한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및 제어 모듈의 데이터 처리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를 참조하면, S210 단계에서는 충전 혹은 방전 종료 후, 잔존용량(Capacity SOH)을 판단한다. S220 단계에서는 충전 혹은 방전 진행 시, 충전상태 변화량(SOC/h) 혹은 전압 변화량(Voltage/h)을 예측한다. S220 단계에서는 수학식 1을 통해 충전상태 변화량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1
수행될 출력 (x kW) 조건에서
(SOC/h: 충전상태 변화량, capacity SOH: 잔존용량)
S230 단계에서는 1차 타겟까지 도달 시간 예측 및 평균 시간 도출한다.
실시예에서는 충전상태 변화량 산출 이후, S230 단계에서는 1차 타겟 까지의 도달 시간(h)을 예측하고, 평균 시간 도출한다. 예컨대, 수학식 2를 통해 1차 타겟 까지의 도달 시간(h)을 예측할 수 있다.
수학식 2
(SOC/h: 충전상태 변화량, SOC: 충전상태, h: 1차 타겟까지 도달시간)
S240 단계에서는 1차 타겟까지 도달 평균 시간 적용하고, 배터리 출력을 재 조정한다. 실시예에서는 수학식 3을 통해 배터리 출력값을 산출할 수 있다.
수학식 3
S250 단계에서는 재 조정된 배터리 팩의 출력 진행 여부를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따라 배터리 출력을 진행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재조정된 출력으로 인한 사용 후 배터리 부하 증가량이 미치는 리스크 판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부하 증가량에 의한 전류 증가량을 파악하여 전류 증가량이 최대 허용 전류 이내 일 경우 배터리 출력을 진행한다. 또한, 실시예에서는 재조정된 출력으로 인한, 배터리 랙 단위 출력 요구 시간의 부합 여부를 판단한다. 실시예에서는 랙 단위 출력 요구 시간을 파악하여, 허용 최소 범위 보다 배터리 랙 단위의 출력 시간이 높을 경우, 배터리 출력을 진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 시스템의 효율적인 운영 및 제어 방법을 확립함으로써 사용 후 배터리의 재사용에 대한 장기 운영에 대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실시예에 따른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은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되는 배터리시스템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팩(Pack) 또는 트레이(Tray) 간 충전상태(SOC)와 전압 불균형 해소한다.
실시예를 통해, 양방향 DC/DC컨버터 및 제어보드의 포함으로 독립 구동 가능한 배터리 팩을 제공함으로써, 충전상한전압과 방전하한전압에서의 출력을 단계별로 제어한다. 이를 통해, 배터리 단위에서 발생될 수 있는 배터리 간 전압 편차의 추가 발생을 억제하고 노화 속도를 제어할 수 있도록 한다.
개시된 내용은 예시에 불과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청구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고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경 실시될 수 있으므로, 개시된 내용의 보호범위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Claims (10)

  1.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에 있어서,
    사용 후 배터리로 구성된 배터리 팩(Pack);
    n개의 배터리 팩이 직렬 연결된 배터리 랙(Rack)으로 구성을 위한 절연타입의 양방향 전력제어를 수행하는 DC/DC 컨버터와 제어보드;
    배터리 팩을 모니터링 하는 배터리 모니터링 시스템(BMS); 을 포함하고,
    상기 배터리 랙; 은
    상기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Pack)의 온도, 전압, 충전상태(SOC), 예상 출력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세 정보를 수집하여 배터리 팩 각각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하고 충전상태 변화량(SOC/h) 전압 변화량 (Voltage/h)의 예측을 통해 배터리 팩(Pack) 각각의 예상 출력 정보를 전달하는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상기 배터리 팩의 예상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 각각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임의의 배터리 팩 교체 시, 교체되는 배터리가 포함된 배터리 랙(Rack)의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전력 차단장치; 를 포함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 후 배터리 시스템은
    에너지 저장 시스템(ESS, Energy Storage System)의 조건에 부합하도록 n개의 배터리 랙(Rack)을 병렬 연결하여 구성되고, 각각의 배터리 랙(Rack) 은 배터리 랙(Rack) 각각의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서 개별 제어되고,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각각은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 은
    정격전류(CC, Constant Current) 또는 정격전력(CP, Constant Power) 충전 및 방전 조건에서 배터리 팩의 충방전을 제어하고, 배터리 팩 각각의 1차 출력 타겟 및 2차 출력 타겟을 기반으로 배터리 팩을 제어하고,
    상기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은
    판단된 잔존용량 (Capacity SOH)에 따라 충전상태 변화량(SOC/h) 또는 전압 변화량(Voltage/h)을 예측하고 재조정된 출력을 적용한 1차 출력 타겟까지 정격 전류(CC) 또는 정격 전력(CP) 조건으로 충전 및 방전이 진행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 은
    배터리 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이 감소되는 구간으로 설정된 충전상한전압 혹은 방전하한전압 부근에 2차 출력 타겟을 설정하고,
    상기 제어 모듈; 은
    요구되는 충전 및 방전 시간에 부합하는 조건으로 출력을 점진적으로 줄여가는 2차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모듈; 은
    재조정된 출력과 출력 유지 시간을 기반으로 배터리 팩의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6.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에 있어서,
    (A)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에서 배터리 랙(Rack)을 구성하는 배터리 팩(Pack)의 온도, 전압, SOC, 예상 출력을 포함하는 배터리 상세 정보를 수집하는 단계;
    (B) 배터리 랙 모니터링 모듈에서 배터리 팩 각각의 잔존용량(Capacity SOH)를 판단하고 충전상태 변화량(SOC/h) 전압 변화량 (Voltage/h)의 예측을 통해 각 배터리 팩(Pack)의 예상 출력 정보를 산출하는 단계;
    (C) 제어모듈에서 상기 배터리 팩의 예상 출력 정보에 따라 배터리 팩 각각의 충전 및 방전을 제어하는 단계; 및
    (D) 차단 장치에서 배터리 팩(Pack) 교체 시 교체되는 배터리 팩을 포함하는 배터리 랙(Rack)의 전력을 차단하여 안전성을 확보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의 단계; 는
    각각의 배터리 랙(Rack) 은 각각의 랙(Rack) 모니터링 모듈을 통해 개별 제어되고, 각각의 랙 모니터링 모듈은 에너지 저장시스템의 에너지 관리 시스템(EMS, Energy Management System)과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C-1) 제어모듈에서 정격전류(CC, Constant Current) 혹은 정격전력(CP, Constant Power) 충전 및 방전 조건에서 배터리 팩을 제어하고, 배터리 팩 각각의 1차 및 2차 출력 타겟 값을 기반으로 배터리 팩을 제어하는 단계; 및
    (C-2) 배터리 랙 모니터링에서 판단된 잔존용량 (Capacity SOH)에 따라 충전상태 변화량(SOC/h) 또는 전압 변화량(Voltage/h)을 예측하고 제어모듈에서 재조정된 출력을 적용하는 1차 출력 타겟까지 정격전류(CC) 또는 정격 전력(CP) 조건으로 충전 및 방전을 진행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C-3) 배터리 랙 모니터링모듈에서 배터리 간 편차를 최소화하기 위해, 출력이 감소되는 구간으로 설정된 충전상한전압 혹은 방전하한전압 부근에 2차 출력 타겟 값을 설정하는 단계; 및
    (C-4) 제어 모듈에서 요구되는 충전 및 방전 시간에 부합하는 조건으로 서서히 출력을 줄여가는 2차 출력 제어를 수행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C)의 단계; 는
    (C-5) 제어모듈에서 재조정된 출력 과 출력 유지 시간을 기반으로 임의의 배터리 팩(Pack)으로 교체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KR1020220129026A 2022-10-07 2022-10-07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KR2024004973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026A KR20240049737A (ko) 2022-10-07 2022-10-07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9026A KR20240049737A (ko) 2022-10-07 2022-10-07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737A true KR20240049737A (ko) 2024-04-17

Family

ID=90876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9026A KR20240049737A (ko) 2022-10-07 2022-10-07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9737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842B1 (ko) 2018-10-22 2020-03-10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KR102380444B1 (ko) 2019-05-30 2022-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 폭주 현상 발생 시 내부로 투입된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es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842B1 (ko) 2018-10-22 2020-03-10 현대이엔티 주식회사 Ess 배터리랙 화재확산방지 장치
KR102380444B1 (ko) 2019-05-30 2022-03-30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열 폭주 현상 발생 시 내부로 투입된 냉각수가 흐를 수 있는 경로를 갖는 배터리 모듈,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및 es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4451B1 (ko) 이차 전지의 출력 파라미터를 조정하는 시스템 및 그 방법
JP6664013B2 (ja) バッテリー管理装置及び方法
JP5132158B2 (ja) 電源システム、電源システムの電力供給制御方法及びその電力供給制御プログラム
US9231418B2 (en) Method for monitoring a charging process of a battery
CN112005425A (zh) 数据中心的备用电源系统、备用电池架
US9680320B2 (en) Battery control apparatus
JP4543714B2 (ja) 組電池の容量調整装置および容量調整方法
EP2096734A1 (en)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control method of power supply system,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of power supply system,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having power supply control program of power supply system recorded thereon
JP2005051921A (ja) 組電池の充放電制御装置および方法、プログラム、電池制御システム
CN111751751A (zh) 寿命预测装置、寿命预测方法及存储介质
AU2021310405A1 (en) Rechargeable battery discharge device for discharging rechargeable batteries, and method for discharging a plurality of rechargeable batteries
EP134099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harge and discharge control of battery pack
KR20200009203A (ko) 무정전 전원 장치의 배터리 보호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40049737A (ko) 사용 후 배터리를 포함하는 배터리 시스템 및 배터리 시스템 제어 방법
JP2007089352A (ja) 組電池の容量調整装置
JP7529192B2 (ja) バッテリーパック及びバッテリーパックの制御方法
JP5818947B1 (ja) 車両の電源装置
EP3818249B1 (en) Methods and devices for power control in mining machines
EP4033631A1 (en) Device and method for updating current pattern for rapid charging, and computer program, stored in storage medium, for performing same
US9419445B2 (en) Method and system for extending battery power at cell sites
KR102646533B1 (ko) SoH 정보를 이용한 배터리 셀의 충방전 장치 및 방법
EP4307516A1 (en) Battery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20170040807A1 (en) Dynamic regulation of an electric output
US20230071916A1 (en) Energy storage system including newly installed battery racks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 same
EP4181347A1 (en) Battery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for a bucking and discharging to battery based on a safety of battery stor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