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9336A -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 Google Patents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9336A
KR20240049336A KR1020247009485A KR20247009485A KR20240049336A KR 20240049336 A KR20240049336 A KR 20240049336A KR 1020247009485 A KR1020247009485 A KR 1020247009485A KR 20247009485 A KR20247009485 A KR 20247009485A KR 20240049336 A KR20240049336 A KR 20240049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ell
resources
channel resource
resource
frequency doma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94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지지아 후
룽신 리우
시아오빈 지앙
웨이 웬
Original Assignee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후아웨이 테크놀러지 컴퍼니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240049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9336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36/00Hand-off or reselection arrangements
    • H04W36/08Reselecting an access poi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6/00Network planning, e.g. coverage or traffic planning tools; Network deployment, e.g. resource partitioning or cells structures
    • H04W16/14Spectrum sharing arrangements between different network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14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 H04L5/1469Two-way operation using the same type of signal, i.e. duplex using time-shar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50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 H04W72/53Allocation or scheduling criteria for wireless resources based on regulatory allocation poli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출원의 실시예는,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intra-frequency co-coverage cells)을 수립하고 두 셀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을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하여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함으로써 두 셀이 서로 백업되게 하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개시한다. 셀들 중 한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다른 셀이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두 셀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므로, 스펙트럼 자원이 감소될 수 있고 시간-주파수 자원의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 레벨 백업의 신뢰성 이득이 획득되면서 무선 자원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Description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본 출원은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COMMUNICATION METHOD AND COMMUNICATION APPARATUS)"라는 제목으로 2021년 8월 27일에 중국 국가 지적 재산권 관리국에 제출된 중국 특허 출원 번호 202110994815.6에 대한 우선권을 주장하며, 이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참조에 의해 본원에 통합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분야에 관한 것이며, 특히,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네트워크 신뢰성은 무선 통신 네트워크의 중요한 속성으로, 일반적으로 사용자의 서비스가 네트워크 오류를 용인하는 정도를 의미한다. 네트워크가 비정상인 경우, 사용자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거나, 중단이 발생될 때 사용자의 서비스가 신속하게 복구될 수 있다면, 이는 네트워크의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통신 기술의 발달로 인해 많은 서비스는 네트워크 오류 동안 서비스가 지속적으로 중단되지 않는 것을 요구하거나, 용인될 수 있는 중단 시간이 매우 짧은 것을 요구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는 결함 발생 시 빠른 복구 능력을 갖추어야 한다.
종래 기술에서는 네트워크 신뢰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리던던시 설계(redundancy design)가 주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이종 주파수 이중 네트워크 활성-활성 시스템 레벨 리던던시 방식(inter-frequency dual-network active-active system-level redundancy manner)이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2개의 이종 주파수 셀(inter-frequency cells)에 접속되어야 하며, 2개의 이종 주파수 셀의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간 영역과 주파수 영역에서 최대한 엇갈리게 분산된다. 2개의 셀 중 어느 하나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비정상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셀을 사용하여 해당 셀에 대응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접속을 유지함으로써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를 중단 없이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2개의 이종 주파수 셀은 서로 다른 대역폭을 점유하므로, 통신 과정에서 2개의 대역폭, 즉,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한 두 셀의 대역폭이 점유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스펙트럼 자원이 낭비된다.
본 출원의 실시예는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 레벨 백업의 신뢰성 이득을 획득하면서 무선 자원 활용을 향상시키는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제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셀을 수립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에는 제2 셀이 더 존재하며, 제2 셀과 제1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intra-frequency co-coverage cells)이고,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제1 셀과 제2 셀 사이의 동종 주파수의 주파수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또는 제2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후, 제2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또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그런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나타낸다.
공동 커버리지(co-coverage)는 제1 셀의 커버리지와 제2 셀의 커버리지가 공간에서 또는 지상에서 동일하거나 거의 중첩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 근처에 다른 셀이 없는 경우, 제1 셀의 커버리지는 제2 셀의 커버리지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동종 주파수(intra-frequency)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즉, 제1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2 셀의 주파수 대역(즉,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과 동일하거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2 셀의 주파수 대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완전히 동일하면,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의 각각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같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범위의 교차 부분이다.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와 제2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셀과 제2 셀을 개별적으로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수립되고, 두 셀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하므로, 두 셀은 서로 백업된다. 셀들 중 하나의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다른 셀이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두 셀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므로, 스펙트럼 자원이 감소될 수 있고, 대역폭 자원의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 레벨 백업(dual-network system-level backup)의 신뢰성 이익이 획득되면서 무선 자원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셀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셀로 지칭되고, 제2 셀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셀로 지칭된다.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이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기 때문에, 이는 제1 셀을 수립하기 위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제1 기저대역 처리 유닛(Building Base band Unite, BBU))가 제2 셀을 수립하기 위한 하드웨어(예를 들어, 제2 BBU)와 상이한 것을 나타낸다.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아래에서 수립된 2개의 동종 주파수 셀에 비해, 이는 더 강한 재해 용인 능력을 갖는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하드웨어 결함으로 인해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므로, 제2 셀은 제1 셀의 오류로 인한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 셀과 제2 셀이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결함으로 인해 제1 셀이 비정상일 경우, 제2 셀 역시 결함의 위험을 갖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셀과 제2 셀은 모두 5세대(5th generation, 5G) 이동 통신 기술 또는 새로운 무선 기술(new radio, NR) 표준의 셀이다. 대안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모두 후속 진화 표준(예를 들어, 6세대 모바일 정보 기술(6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6G))을 사용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표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표준의 셀이고, 제1 셀 및 제2 셀 중 다른 셀은 5G 또는 NR 표준의 셀이다. 다른 예로,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는 LTE 표준의 셀이고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은 6G 표준 또는 후속 진화 표준의 셀이다. 또 다른 예로,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는 5G 또는 NR 표준의 셀이고,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은 6G 표준 또는 후속 진화 표준의 셀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 및/또는 제2 셀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을 유지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질 수 있거나, 제1 셀과 제2 셀 모두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두 셀 모두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지면,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을 경우, 다른 셀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은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중단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가 2개의 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지면,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거의 중단되지 않거나 짧은 시간 동안만 중단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프로세스는 다음 방식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방식 1: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자에 의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직접 구성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저장 장치로부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이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채널 자원의 채널에 기초하여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운영 및 유지 보수 담당자에 의해 구성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셀에 속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는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다. 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 복잡성을 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셀을 구성하는 효율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방식 2: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와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미리 합의되고(예를 들어, 프로토콜에 기록됨),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두 셀의 채널 자원이 있음을 알지만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셀의 어떤 채널 자원이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어야 하는지 알지 못한다. 이 경우, 네트워크 디바이스(즉,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즉,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와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제2 셀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즉,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추론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셀이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상반부를 사용할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하반부를 사용할지는 명시되지 않는다. 이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간-주파수 자원을 유연하게 스케줄링할 수 있으므로, 시간-주파수 자원의 활용도가 향상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다. 제1 셀의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 구현에서는, 셀에 의해 사용되는 채널 자원이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고, 제1 셀의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모두 시스템 대역폭의 중간 부분, 즉,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배치되는 것이 제안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방법은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를 더 포함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 또는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을 결정한다. 서비스 정보는 트래픽량 및 서비스 우선순위와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이 구현에서는,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공유되고,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을 스케줄링하기 위한 자원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공유 데이터 채널 자원을 스케줄링하는 데 도움이 되므로, 트래픽량이 더 많은 셀이나 서비스 우선순위가 더 높은 셀에 더 많은 데이터 채널 자원이 할당됨으로써 시간-주파수 자원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면서 시간-주파수 자원 스케줄링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한다.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거나,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제어 채널 자원 및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DSCH의 자원과 제2 PDS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며,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SSB)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SSB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SSB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OSI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OSI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이 구현에서는, 셀의 채널 자원이 PDCCH의 자원 및 PDSCH의 자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 및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과 같은 공통 채널의 자원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공통 채널의 다양한 자원은 모두 셀의 PDCCH의 자원의 주파수 영역 범위에 기초하여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통 채널들 간의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며,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슬롯에 위치하거나,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동일한 슬롯 내의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SSB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SSB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다.
이 구현에서는, 셀의 채널 자원이 PDCCH의 자원 및 PDSCH의 자원을 포함할 뿐만 아니라,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과 같은 공통 채널의 자원도 포함하는 것이 제안된다. 공통 채널의 다양한 자원은 모두 셀의 PDCCH의 자원의 주파수 영역 범위에 기초하여 시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통 채널들 간의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슬롯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제2 셀의 T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슬롯 내의 동일한 심볼 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위치한다.
이 구현에서는,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제2 셀의 TRS의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위치할 수 있으나, 제1 셀의 TRS의 패턴이 제2 셀의 TRS의 패턴과 상이한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하나의 셀의 TRS만이 하나의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이 구현은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제어 채널 자원 및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제1 제어 채널 자원 및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물론,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다. 또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USCH의 자원과 제2 PUS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쪽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를 점유한다.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는 동일한 슬롯 내의 서로 다른 심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쪽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슬롯의 처음 7개의 심볼을 점유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슬롯의 마지막 7개의 심볼을 점유한다. 또 다른 예로서, 전체 주파수 영역 범위의 관점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슬롯 내에서 저주파수 측 RB의 처음 7개의 심볼과 고주파수 측 RB의 마지막 7개의 심볼을 점유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슬롯 내에서 고주파수 측 RB의 처음 7개의 심볼과 저주파수 측 RB의 마지막 7개의 심볼을 점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심볼 내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이 구현에서는,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을 주파수 호핑 패턴 다중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하나의 심볼에 두 셀의 PUCCH의 자원을 완전히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두 셀의 PUCCH의 자원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활용도가 향상되면서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1 PRA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2 PRA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모두 제1 PRACH의 자원 밖에 위치하고,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모두 제2 PRACH의 자원 밖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양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자원 블록(RB)를 점유한다. 즉,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전송을 위해 동일한 RB로 압축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셀의 PUCCH의 자원이 각각 하나의 RB를 점유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은 하나의 RB의 자원을 절약하고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 사이의 안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 사이의 안쪽에 위치하고, 전용 포맷의 PUCCH는 포맷 0의 PUCCH, 포맷 1의 PUCCH, 포맷 2의 PUCCH, 포맷 3의 PUCCH, 및 포맷 4의 PUCCH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제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또 다른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그런 다음,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하나 이상의 채널의 시간-주파수 자원의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채널 자원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셀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더 포함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마찬가지로, 수신된 표시가 제1 셀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공동 커버리지는 제1 셀의 커버리지와 제2 셀의 커버리지가 공간에서 또는 지상에서 동일하거나 거의 중첩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 근처에 다른 셀이 없는 경우, 제1 셀의 커버리지는 제2 셀의 커버리지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동종 주파수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2 셀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거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2 셀의 주파수 대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완전히 동일하면,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의 각각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같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범위의 교차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은 동일한 스펙트럼 내에서 수립되고, 두 셀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하므로, 두 셀은 서로 백업된다. 셀들 중 하나의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다른 셀이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두 셀 모두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지면,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을 경우, 다른 셀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은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2개의 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지면,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거의 중단되지 않거나 짧은 시간 동안만 중단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 및/또는 제2 셀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adio resource control, RRC) 접속을 유지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다. 제1 셀의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는 경우,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가능한 구현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되고/되거나, 시간 영역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은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서비스 정보는 트래픽량 및 서비스 우선순위와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한다.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거나,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제어 채널 자원 및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동일하다. 이 경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된다. 또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DSCH의 자원과 제2 PDS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균등하게 배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며,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SSB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SSB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OSI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OSI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하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심볼을 점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며,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슬롯에 위치하거나,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동일한 슬롯 내의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SSB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SSB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거나, 또는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슬롯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제2 셀의 T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슬롯 내의 동일한 심볼 상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위치한다.
이 구현에서는,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제2 셀의 TRS의 자원이 동일한 심볼에 위치할 수 있으나, 제1 셀의 TRS의 패턴이 제2 셀의 TRS의 패턴과 상이한 것이 제안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하나의 셀의 TRS만이 하나의 심볼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비해, 이 구현은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제어 채널 자원 및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이 경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물론,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위치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다. 또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PUSCH의 자원과 제2 PUS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쪽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를 점유한다.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는 동일한 슬롯 내의 서로 다른 심볼로 이해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PUCCH의 자원은 슬롯의 처음 7개의 심볼을 점유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슬롯의 마지막 7개의 심볼을 점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동일한 심볼 내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이 구현에서는,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을 주파수 호핑 패턴 다중화 방식으로 배치하는 것이 제안된다. 이는 하나의 심볼에 두 셀의 PUCCH의 자원을 완전히 배치하는 데 도움이 될 뿐만 아니라, 두 셀의 PUCCH의 자원이 서로 간섭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따라서, 자원 활용도가 향상되면서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1 PRA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한쪽에 위치하고, 제2 PRA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모두 제1 PRACH의 자원 밖에 위치하고,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모두 제2 PRACH의 자원 밖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양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자원 블록(RB)를 점유한다. 즉,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전송을 위해 동일한 RB로 압축되지만, 종래 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셀의 PUCCH의 자원이 각각 하나의 RB를 점유한다. 따라서, 이러한 구현은 하나의 RB의 자원을 절약하고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적어도 하나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을 더 포함하며,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 사이의 안쪽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 사이의 안쪽에 위치하고, 전용 포맷의 PUCCH는 포맷 0의 PUCCH, 포맷 1의 PUCCH, 포맷 2의 PUCCH, 포맷 3의 PUCCH, 및 포맷 4의 PUCCH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한다.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는 복수의 다른 특정 구현이 더 존재한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구체적인 구현 및 그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또한 통신 방법을 제공한다. 이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동종 주파수 및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동일하며,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과 제2 셀의 동일한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이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채널 자원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포함되지 않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셀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가 더 포함되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마찬가지로, 수신된 표시가 제1 셀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공동 커버리지는 제1 셀의 커버리지와 제2 셀의 커버리지가 공간에서 또는 지상에서 동일하거나 거의 중첩되는 것을 의미하므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 근처에 다른 셀이 없는 경우, 제1 셀의 커버리지는 제2 셀의 커버리지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도 찾을 수 있는 가능성이 높다.
동종 주파수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2 셀의 주파수 대역과 동일하거나 또는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1 셀의 주파수 대역이 주파수 범위에서의 제2 셀의 주파수 대역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완전히 동일하면,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의 각각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같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부분적으로 중첩되면,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범위의 교차 부분이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은 동일한 스펙트럼 내에서 수립되고, 두 셀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하므로, 두 셀은 서로 백업된다. 셀들 중 하나의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다른 셀이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두 셀 모두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지면,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을 경우, 다른 셀과 단말 디바이스 사이의 접속은 중단되지 않는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중단되지 않는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가 2개의 셀 중 어느 하나에 대한 RRC 접속을 가지면, 단말 디바이스에 접속된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할 수 있음이 이해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는 거의 중단되지 않거나 짧은 시간 동안만 중단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셀 및/또는 제2 셀은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유지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에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 및 그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4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획득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획득 모듈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데,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통신 모듈은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획득 모듈은 또한,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 또는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된다. 서비스 정보는 트래픽량 및 서비스 우선순위와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에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 및 그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5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획득 모듈 및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획득 모듈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모듈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에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 및 그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6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를 제공하는데, 통신 모듈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통신 모듈은 또한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구성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에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에 대해서는 제1 양태의 임의의 구현 및 그 유익한 효과를 참조한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제7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구현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처리 모듈 및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인 경우,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트랜시버 모듈은 트랜시버일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통신 장치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칩인 경우,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트랜시버 모듈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핀, 회로 등일 수 있다. 처리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네트워크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저장 모듈은 칩 내의 저장 모듈(예를 들어, 레지스터 또는 캐시)일 수도 있고,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에서 칩 외부에 위치한 저장 모듈(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일 수도 있다.
제8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통신 장치는 전술한 구현에서의 단말 디바이스일 수 있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는 처리 모듈 및 트랜시버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인 경우,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트랜시버 모듈은 트랜시버일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저장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저장 모듈은 메모리일 수 있다. 저장 모듈은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되고, 처리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 또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통신 장치가 단말 디바이스의 칩인 경우, 처리 모듈은 프로세서일 수 있고, 트랜시버 모듈은 입출력 인터페이스, 핀, 회로 등일 수 있다. 처리 모듈은 저장 모듈에 저장된 명령어를 실행하여 단말 디바이스로 하여금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 또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하게 한다. 저장 모듈은 칩 내의 저장 모듈(예를 들어, 레지스터 또는 캐시)일 수도 있고, 단말 디바이스 내에서 칩 외부에 위치한 저장 모듈(예를 들어, 판독 전용 메모리 또는 랜덤 액세스 메모리)일 수도 있다.
제9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집적 회로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제1 양태 또는 제1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0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은 통신 장치를 제공한다. 장치는 집적 회로 칩일 수 있다. 집적 회로 칩은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결합된다. 메모리는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때, 통신 장치는 제2 양태 또는 제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 또는 제3 양태 또는 제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1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제2 양태, 제3 양태, 및 전술한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제12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제공한다.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컴퓨터는 제1 양태, 제2 양태, 제3 양태, 및 전술한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 설명된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제13 양태에 따르면, 본 출원의 실시예는 통신 시스템을 제공한다. 통신 시스템은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2 양태 및 제2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통신 시스템은 제1 양태 및 제1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제3 양태 및 제3 양태의 구현 중 어느 하나에서의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전술한 기술 솔루션으로부터 본 출원의 실시예는 다음과 같은 이점을 갖는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 수립되고, 두 셀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하므로, 두 셀은 서로 백업된다. 셀들 중 하나의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다른 셀이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두 셀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므로, 스펙트럼 자원이 감소될 수 있고, 대역폭 자원의 소모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 레벨 백업의 신뢰성 이득이 획득되면서 무선 자원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음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첨부 도면을 간략하게 설명한다. 다음 설명의 첨부 도면은 단지 본 출원의 일부 실시예를 도시할 뿐임이 명백하다.
도 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a는 본 출원에 따른, 2개의 동종 주파수 셀(intra-frequency cells)의 시스템 대역폭 간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2b는 본 출원에 따른, 2개의 동종 주파수 셀의 시스템 대역폭 간의 관계에 대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2c는 종래 기술에서의 2개의 이종 주파수 셀(inter-frequency cells)의 시스템 대역폭 간의 관계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a는 본 출원에 따른, 2개의 공동 커버리지 셀(co-coverage cells)의 커버리지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3b는 본 출원에 따른, 2개의 공동 커버리지 셀의 커버리지에 대한 또 다른 개략도이다.
도 4a는 본 출원에 따른,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배치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4b는 본 출원에 따른,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배치하는 또 다른 예시적 도면이다.
도 4c는 본 출원에 따른,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배치하는 또 다른 예시적 도면이다.
도 4d는 본 출원에 따른,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생성하기 위한 하드웨어를 배치하는 또 다른 예시적 도면이다.
도 5a는 본 출원에 따른, 데이터 채널 자원을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5b는 본 출원에 따른, 데이터 채널 자원을 시분할 방식으로 배치하는 예시적 도면이다.
도 6a는 본 출원에 따른,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어 채널 자원 및 데이터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b는 본 출원에 따른,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공통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c는 본 출원에 따른,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기준 신호의 자원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d는 본 출원에 따른, 제1 셀의 TRS의 자원 및 제2 셀의 TRS의 자원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6e는 본 출원에 따른,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채널 자원이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양한 채널의 배치 방식에 대한 가능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7a는 본 출원에 따른,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어 채널 자원 및 데이터 채널 자원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b는 본 출원에 따른,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 PRACH 및 제2 PRACH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c는 본 출원에 따른,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기준 신호의 자원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d는 본 출원에 따른,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의 배치 방식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e는 본 출원에 따른,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의 배치 방식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7f는 본 출원에 따른,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의 배치 방식에 대한 가능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7g는 종래 기술에서의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공통 PUCCH의 자원 및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의 배치 방식에 대한 가능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7h는 본 출원에 따른,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채널 자원이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양한 채널의 배치 방식에 대한 가능한 예시적 도면이다.
도 8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장치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9는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0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도 11은 본 출원에 따른 통신 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개략도이다.
다음은 본 출원의 실시예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적 솔루션을 명확하고 완전하게 설명한다. 설명된 실시예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전부가 아닌 일부일 뿐임이 명백하다.
본 출원의 명세서, 청구범위 및 첨부 도면에서 "제1", "제2", "제3", "제4" 등(존재하는 경우)의 용어는 유사한 대상을 구별하기 위한 것이지, 반드시 특정 순서나 차례를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된 용어는 적절한 상황에서는 서로 교환될 수 있으므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은 본 명세서에 도시되거나 설명된 순서와는 다른 순서로 구현될 수 있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포함한다", "갖는다"라는 용어 및 이들의 임의의 다른 변형은 비배타적 포함을 커버하도록 의도된다. 예를 들어, 단계 또는 유닛의 목록을 포함하는 프로세스, 방법, 시스템, 제품 또는 디바이스는 반드시 명시적으로 나열된 단계 또는 유닛으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명시적으로 나열되지 않거나 그러한 프로세스, 방법, 제품 또는 디바이스에 고유한 다른 단계 또는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은 먼저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이 적용될 수 있는 시스템 아키텍처 및 응용 시나리오를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은 다양한 표준의 셀룰러 이동 통신 시스템, 예를 들어, 롱텀 에볼루션(long termvolution, LTE) 통신 시스템, 5G NR(5G New Radio) 시스템, 6세대 이동 통신 기술(6th generation mobile communication technology, 6G) 시스템 및 후속 진화 표준에 적용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통신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단말 디바이스 및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단말 디바이스는 사용자에게 음성 및/또는 데이터 접속을 제공하는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접속 기능을 갖는 핸드헬드 디바이스 또는 무선 모뎀에 접속된 처리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무선 접속 네트워크(radio access network, RAN)를 통해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5G 코어(radio access network, 5GC) 네트워크)와 통신할 수 있고, RAN과 음성 및/또는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는 또한, 단말(Terminal),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무선 단말 디바이스, 이동 단말(mobile terminal, MT) 디바이스,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이동국(mobile station, MS), 원격 스테이션(remote station),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 원격 단말 디바이스(remote terminal), 액세스 단말 디바이스(access terminal), 사용자 단말 디바이스(user terminal), 사용자 에이전트(user agent), 사용자 디바이스(user device)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단말 디바이스는 휴대폰(mobilephone), 태블릿 컴퓨터(Pad), 무선 트랜시버 기능을 갖는 컴퓨터, 가상 현실(virtual reality, VR) 단말 디바이스, 증강 현실(augmented reality, AR) 단말 디바이스, 산업 제어(industrial control)에서의 무선 단말, 자율 주행(self-driving)에서의 무선 단말, 원격 의료 수술(remote medical surger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그리드(smart grid)에서의 무선 단말, 교통 안전(transportation safet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시티(smart city)에서의 무선 단말, 스마트 홈(smart home)에서의 무선 단말 등일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는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사용되는 구체적인 기술, 구체적인 디바이스 형태가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디바이스 또는 칩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말 디바이스는 디바이스의 역할을 하든 칩의 역할을 하든 상관없이 독립된 제품으로 제조, 판매, 또는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후속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단말 디바이스만이 사용된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무선 트랜시버 기능을 가진 임의의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무선 인터페이스와 관련된 기능, 예를 들어, 무선 링크 유지 기능, 무선 자원 관리 기능, 및 일부 이동성 관리 기능을 담당할 수 있다. 무선 링크 유지 기능은 단말 디바이스와의 무선 링크를 유지하는데 사용되며, 무선 링크 데이터와 인터넷 프로토콜(internet protocol, IP) 데이터 간의 프로토콜 변환을 담당한다. 무선 자원 관리 기능은 무선 링크 수립 및 해제와, 무선 자원 스케줄링 및 할당 등의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이동성 관리 기능은 측정을 수행하도록 단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것, 단말 디바이스의 무선 링크 품질을 평가하는 것, 셀들 사이에서 단말 디바이스의 핸드오버를 결정하는 것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현재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radio access network, RAN)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5G 엔알(new radio, NR) 시스템에서의 차세대 NodeB(next generation NodeB, gNB)를 포함할 수 있고, 클라우드 액세스 네트워크(CloudRAN) 시스템에서의 중앙 유닛(central unit, CU) 및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을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6G 시스템에서의 노드(예를 들어, xNodeB)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전술한 디바이스들 중 어느 하나이거나 전술한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장치의 역할을 하든 칩의 역할을 하든 관계없이 독립적인 제품으로 제조, 판매 또는 사용될 수 있다. 본 실시예 및 후속 실시예에서는 설명을 위한 예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만이 사용된다.
또한, 본 출원의 통신 방법은 네트워크 신뢰성이 개선되어야 하는 시나리오, 예를 들어, 스펙트럼 자원이 부족하지만 네트워크 신뢰성 요구 사항이 높은 시나리오에 적용될 수 있다. 통신 방법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전술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도록 보장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하나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되는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가 짧은 시간 동안만 지연되거나 중단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다음은 도 1을 참조하여 본 출원에서 제공되는 통신 방법의 주요 절차를 설명한다.
단계 101: 네트워크 측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intra-frequency co-coverage cells)이다.
제1 셀과 제2 셀이 동종 주파수 셀이라는 것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과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중첩되는 것을 의미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두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중첩되는 부분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로 지칭되고, 즉,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예를 들어,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셀이 동종 주파수 셀이라는 것은 제1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과 완전히 중첩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는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와 완전히 동일하고, 즉,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는 각각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이다. 예를 들어,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안적으로, 두 셀이 동종 주파수 셀이라는 것은 제1 셀의 시스템 대역폭이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과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와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의 범위의 교차 부분이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도 2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셀이 동종 주파수 셀이 아니면(예를 들어, 두 셀이 이종 주파수 셀이면), 주파수 영역에서 셀 1의 시스템 대역폭은 셀 2의 시스템 대역폭과 중첩되지 않고, 즉, 본 출원에서 제안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한, 제1 셀과 제2 셀이 공동 커버리지 셀이라는 것은 제1 셀의 커버리지와 제2 셀의 커버리지가 공간에서 또는 지상에서 동일하거나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것을 의미한다. 가능한 구현에서는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셀의 커버리지와 제2 셀의 커버리지는 공간에서 또는 지상에서 동일하거나 거의 중첩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을 찾을 수 있는 확률도 높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셀 및 제2 셀 근처에 다른 셀이 없는 경우, 제1 셀의 커버리지는 제2 셀의 커버리지와 부분적으로 중첩될 수 있다. 이 구현에서는, 대안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가까운 셀을 탐색할 때,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을 찾을 수 있다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을 찾을 수 있는 확률도 높다.
또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셀일 수도 있고(즉, 두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함),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비스되는 2개의 셀일 수도 있다(즉, 즉, 두 셀은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함). 두 셀이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지 여부는 제1 셀을 수립하기 위한 하드웨어가 제2 셀을 수립하기 위한 하드웨어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구체적으로, 이는 셀들에 대응하는 안테나들이 동일한 기저대역 처리 유닛(Building Base band Unit, BBU)에 접속되는지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와 제2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가 동일한 BBU에 접속되면,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셀이다. 제1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와 제2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에 각각 접속된 2개의 BBU가 서로 독립적이면,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셀이다.
제1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와 제2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가 각각 동일한 BBU에 접속되면, 제1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와 제2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는 서로 다른 신호탑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동일한 신호탑 상에 배치될 수도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예를 들어, 도 4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1과 셀 2는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셀로서, 셀 1은 안테나 1을 통해 생성되고, 셀 2는 안테나 2를 통해 생성되며, 안테나 1과 안테나 2는 동일한 BBU에 접속된다. 그러나, 안테나 1은 좌측 신호탑 상에 배치되고, 안테나 2는 우측 신호탑 상에 배치된다. 예를 들어, 도 4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1과 셀 2는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셀로서, 셀 1은 안테나 1을 통해 생성되고, 셀 2는 안테나 2를 통해 생성되고, 안테나 1과 안테나 2는 동일한 BBU에 접속되며, 안테나 1과 안테나 2는 동일한 신호탑 상에 배치된다.
또한, 실제 응용에서, 제1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와 제2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가 각각 서로 다른 BBU에 접속되면, 제1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와 제2 셀에 대응하는 안테나는 서로 다른 신호탑 상에 배치될 수도 있고, 동일한 신호탑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1과 셀 2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셀로서, 셀 1은 좌측 신호탑 상의 안테나 1을 통해 생성되고, 안테나 1은 좌측 신호탑 아래의 BBU 1에 접속되고, 셀 2는 우측 신호탑 상의 안테나 2를 통해 생성되고, 안테나 2는 우측 신호탑 아래의 BBU 2에 접속된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셀 1과 셀 2는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셀로서, 셀 1은 안테나 1을 통해 생성되고, 셀 2는 안테나 2를 통해 생성되고, 안테나 1은 BBU 1에 접속되고, 안테나는 2는 BBU 2에 접속되며, 안테나 1과 안테나 2는 동일한 신호탑 상에 배치된다.
두 셀이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 아래에서 수립되는 솔루션에 비해, 두 셀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 아래에서 수립되는 이 솔루션은 더 강한 재해 용인 능력을 갖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하드웨어 결함으로 인해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므로, 제1 셀의 오류로 인해 제2 셀은 영향을 받지 않을 수 있다. 제1 셀과 제2 셀이 모두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면,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하드웨어 결함으로 인해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2 셀 역시 결함의 위험이 있을 수 있다.
실제 응용에서는 복수의 쌍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 존재할 수 있으며, 각 쌍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은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서 전술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로 배치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제1 셀의 커버리지가 제2 셀의 커버리지와 부분적으로 중첩되는 경우, 도 4a, 도 4b, 도 4c 및 도 4d에서 전술한 방식들 중 어느 하나가 또한 배치에 사용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셀과 제2 셀은 모두 5G NR 셀이다. 대안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모두 후속 진화 표준(예를 들어, 6G 표준)을 사용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표준을 사용한다. 예를 들어,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는 롱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 표준의 셀이고,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은 5G 또는 NR 표준의 셀이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는 LTE 표준의 셀이고,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하나는 6G 표준 또는 후속 진화 표준의 셀이다. 또 다른 예로서,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는 5G 또는 NR 표준의 셀이고,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하나는 6G 표준 또는 후속 진화 표준의 셀이다.
또한,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고,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므로 자원 스케줄링 프로세스에서 두 셀 사이의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제1 셀의 채널 자원(즉, 제1 채널 자원)과 채널 자원 제2 셀의 채널 자원(즉,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셀과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첩 부분에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되면서 시간-주파수 자원이 감소된다.
본 출원에서의 자원은 시간-주파수 자원(time-frequency resource)이라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시간-주파수 자원은 서로 다른 분할 입도(division granularities)에 기초한 자원 블록(resource block, RB) 및 자원 요소(resource element, RE)를 사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하나의 RB는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심볼(symbol)(예를 들어,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 심볼)을 점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12개의 부반송파(subcarrier)를 점유한다. 하나의 RE는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심볼을 점유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하나의 부반송파를 점유한다. 하나의 RB는 12개의 RE를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셀의 채널 자원은 제어 채널 자원, 데이터 채널 자원, 공통 채널 자원, 기준 신호의 자원 등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는 두 셀의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두 셀의 데이터 채널 자원은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공유 및 스케줄링되며, 공통 채널 자원, 기준 신호의 자원, 및 두 셀을 사용하는 다른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다음은 도 5a 및 도 5b, 도 6a 내지 도 6e, 및 도 7a 내지 도 7h를 참조하여 자세한 설명을 제공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본 출원에서, 제1 셀과 제2 셀이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고, 제1 셀과 제2 셀이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경우, 네트워크 측이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방식은 다양하다. 다음은 방식들을 개별적으로 설명한다.
방식 1: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셀은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고, 제2 셀은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네트워크 측이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와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은 구체적으로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운영 및 유지 관리 담당자에 의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직접 구성된다. 이 경우,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저장 장치로부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도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자에 의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서 직접 구성되고,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저장 장치로부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할 수 있다.
이 구현에서,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운영 및 유지 관리 담당자에 의해 구성되며,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로부터 해당 셀에 속하고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위치하는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필요가 없다. 이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구현 복잡성을 줄이고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한 제1 셀 구성의 효율성을 보장하는 데 도움이 된다.
또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의 채널 자원을 할당하는 방식이 합의된다. 예를 들어,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의 각각의 채널 자원을 분배하기 위한 패턴이 프로토콜에서 합의되며, 패턴은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로서 이해될 수 있다.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셀들 중 하나를 구성할 때 2개의 패턴 중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2개의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동일한 패턴을 선택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들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제2 셀에 속하고 해당 셀을 수립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있는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2 셀의 채널 자원의 패턴)을 획득할 수 있고, 그런 다음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채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1 셀의 채널 자원의 패턴)를 추론한다.
이 구현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두 셀의 채널 자원들 사이의 충돌을 피하기 위해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방식 2: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한다. 이 경우,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자가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대해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와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모두 구성할 수 있거나, 또는 운영 및 유지보수 담당자가 오직 하나의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만을 구성한 다음, 네트워크 디바이스가 그 하나의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다른 셀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예를 들어,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단계 102: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다.
이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디바이스와 교환되는 하나 이상의 시그널링 조각으로부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서로 다른 유형의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서로 다른 유형의 시그널링에 존재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단계 103: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과 제2 셀 모두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유지한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 또는 제2 셀과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유지한다.
구체적으로,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추가하여, 특정 셀의 채널 자원이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표시 정보를 추가로 수신하면, 단말 디바이스는 두 셀 중 다른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1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1 표시 정보가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가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2 셀에 대해서만 RRC 접속을 유지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표시 정보를 수신하고 제2 표시 정보가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가 사용되지 않음을 나타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에 대해서만 RRC 접속을 유지한다.
단계 104: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가 비정상인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가 비정상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다른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은 정상 셀을 이용하여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제1 셀 또는 제2 셀이 비정상이면, 단말 디바이스는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을 재선택하고, 재선택된 셀의 채널 자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면,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기 때문에, 단말 디바이스는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기 위해 제2 셀을 재선택한다. 예를 들어, 단말 디바이스가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면, 제2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기 때문에, 단말은 장치는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기 위해 제1 셀을 재선택한다.
이 구현에서, 단말 디바이스는 대안적으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하나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액세스된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단말 디바이스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하여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거나 단말 디바이스의 서비스가 짧은 시간 동안만 지연되거나 중단되도록 보장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은 동일한 주파수 대역 내에서 수립되고, 두 셀에 의해 각각 사용되는 시간-주파수 자원은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어 공동 채널 간섭을 방지하므로, 두 셀은 서로 백업된다. 셀들 중 한 셀이 비정상인 경우, 다른 셀이 여전히 단말 디바이스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두 셀이 주파수 대역을 공유하므로, 스펙트럼 자원이 감소될 수 있고 대역폭 자원의 소비가 감소될 수 있다. 또한, 이중 네트워크 시스템 레벨 백업의 신뢰성 이득이 획득되면서 무선 자원 활용도가 향상될 수 있다.
다음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의 구체적인 분배 방식을 설명한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데이터 채널 자원(이하,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지칭됨) 및 제1 셀의 제어 채널 자원(이하, 제1 제어 채널 자원으로 지칭됨)을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데이터 채널 자원(이하,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지칭됨)과 제2 셀의 제어 채널 자원(이하, 제2 제어 채널 자원으로 지칭됨)을 포함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다.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의 주파수 영역 자원은 공유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사용되고, 즉,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의 주파수 영역 자원을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면,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또는 자원 블록(RB))의 수량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또는 자원 블록(RB))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도 5a가 예로서 사용된다. 시간 영역 단위 0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의 수량보다 많고, 시간 영역 단위 1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의 수량과 동일하며, 시간 영역 단위 3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부반송파의 수량보다 적다. 시간 영역 단위는 슬롯일 수도 있고 심볼일 수도 있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시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면,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은 시간 영역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은 슬롯의 수량일 수도 있고, 심볼의 수량일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슬롯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예로서, 동일한 서브프레임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슬롯의 수량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슬롯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도 5b가 예로서 사용된다. 도 5b의 시간 영역 단위가 심볼이면,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3개의 심볼, 즉, 0, 2, 및 4를 점유하고,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2개의 심볼, 즉, 1 및 3만을 점유한다.
선택적으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동적으로 조정될 수 있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면,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상이할 수 있다. 도 5a가 예로서 사용된다. 이전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에 비해, 현재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마찬가지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도 상이할 수 있다. 도 5a가 예로서 사용된다. 이전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에 비해, 현재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증가하거나 감소한다.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면, 2개의 연속 슬롯에서, 이전 슬롯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은 다음 슬롯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심볼의 수량과 반드시 동일한 것은 아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을 동적으로 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트래픽량 및 서비스 우선순위와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트래픽량이 제2 셀의 트래픽량보다 크면, 제1 셀과 제2 셀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큰 자원이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고,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작은 자원이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셀의 트래픽량이 제2 셀의 트래픽량보다 작으면, 제1 셀과 제2 셀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작은 자원이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큰 자원이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셀의 서비스 우선순위가 제2 셀의 서비스 우선순위보다 높으면, 제1 셀과 제2 셀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큰 자원이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고,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작은 자원이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 셀의 서비스 우선순위가 제2 셀의 서비스 우선순위보다 낮으면, 제1 셀과 제2 셀에 의해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작은 자원이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공유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들 중 더 큰 자원이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대안적으로, 두 셀의 트래픽량, 서비스 우선순위, 및 다른 서비스 관련 정보가 종합적으로 고려되어 각 셀에 의해 스케줄링되는 데이터 채널 자원의 자원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구체적으로,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거나,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제어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제어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과 동일하다. 선택적으로, 시간 영역에서 제1 제어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요소의 수량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제어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요소의 수량과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이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면,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고,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해당 슬롯의 처음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하며, 제1 PDSCH의 자원과 제2 PDSCH의 자원이 위치하는 심볼 앞에 위치한다. 제1 PDSCH의 자원과 제2 PDS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분할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주파수 영역 자원을 공유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동일하다. 구체적으로, 제1 PDSCH와 제2 PDSCH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영역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전술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고,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한다.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 내의 임의의 연속적인 몇 개의 심볼에 존재할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하나의 슬롯에서 마지막 몇 개의 연속적인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슬롯에서,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첫 번째 심볼에 있고,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은 중간의 몇 개의 심볼에 있고,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있다.
다른 선택적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 및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PDCCH 및 제2 PDCCH 이후의 몇 개의 연속적인 심볼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하나의 슬롯에서,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은 첫 번째 심볼에 있고,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중간의 몇 개의 심볼에 있으며,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은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있다.
다른 선택적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 있고, 즉,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은 모두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 전후에서 처음 몇 개의 심볼과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있다.
또 다른 선택적 구현에서, 하나의 슬롯에는, 제1 PDCCH의 자원, 제2 PDCCH의 자원, 제1 공통 채널 자원 및 제2 공통 채널 자원만이 포함될 수 있고, 즉,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모두 제1 PDCCH의 자원과 제2 PDCCH의 자원 다음의 몇 개의 심볼에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 및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전술한 구현들 중 어느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이 실시예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 및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복수의 구현으로 구현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동기화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다.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 내에서 제1 셀의 SSB의 자원과 제2 셀의 SSB의 자원의 배치 방식은 슬롯 1에 도시될 수 있다. 제1 SSB의 자원은 제1 셀의 SSB의 자원이고, 제2 SSB의 자원은 제2 셀의 SSB의 자원이고, 제1 SSB의 자원과 제2 SSB의 자원은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의 중간 부분에 위치하고, 즉,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은 모두 제1 SSB의 자원과 제2 SSB의 자원 전후에서 처음 몇 개의 심볼과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있다.
제1 셀의 SSB의 자원과 제2 셀의 SSB의 자원은 제1 PDCCH 및 제2 PDCCH 이후의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할 수 있거나 하나의 슬롯에서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SSB의 자원과 제2 SSB의 자원은 대안적으로 다른 슬롯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제1 SSB의 자원과 제2 SSB의 자원이 구체적으로 위치하는 슬롯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ther system information, OSI)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다.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 내에서 제1 셀의 OSI 자원과 제2 셀의 OSI 자원의 배치 방식은 슬롯 9에 도시될 수 있다. 제1 OSI의 자원은 제1 셀의 OSI의 자원이고, 제2 OSI의 자원은 제2 셀의 OSI의 자원이며, 제1 OSI의 자원과 제2 OSI의 자원은 슬롯 9의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한다.
제1 셀의 OSI의 자원과 제2 셀의 OSI의 자원은 하나의 슬롯에서 제1 PDCCH 및 제2 PDCCH 이후의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할 수도 있고,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OSI의 자원과 제2 OSI의 자원은 대안적으로 다른 슬롯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제1 OSI의 자원과 제2 OSI의 자원이 구체적으로 위치하는 슬롯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다.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 내에서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과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의 배치 방식은 슬롯 12에 도시될 수 있다. 제1 페이징의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2 페이징의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제1 페이징의 자원과 제2 페이징의 자원은 슬롯 12의 마지막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한다.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과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은 하나의 슬롯에서 제1 PDCCH 및 제2 PDCCH 이후의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할 수 있거나,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의 중간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설명되지 않는다.
제1 페이징의 자원과 제2 페이징의 자원은 대안적으로 다른 슬롯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제1 페이징의 자원과 제2 페이징의 자원이 구체적으로 위치하는 슬롯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다른 가능한 구현에서,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ystem information block type 1, SIB1)의 자원이고,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다. 제1 셀의 SIB1의 자원과 제2 셀의 SIB1의 자원은 제1 PDCCH의 자원 및 제2 PDCCH의 자원 이후의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 내에서 제1 셀의 SIB1의 자원과 제2 셀의 SIB1의 자원의 배치 방식은 슬롯 3에 도시될 수 있다. 제1 SIB1의 자원은 제1 셀의 SIB1의 자원이고, 제2 SIB1의 자원은 제2 셀의 SIB1의 자원이며, 제1 SIB1의 자원과 제2 SIB1의 자원은 제1 PDCCH 및 제2 PDCCH 이후의 몇 개의 심볼에 위치한다.
제1 SIB1의 자원과 제2 SIB1의 자원은 대안적으로 다른 슬롯에 위치할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본 출원에서는 제1 SIB1의 자원과 제2 SIB1의 자원이 구체적으로 위치하는 슬롯에 제한을 두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6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에는 제어 채널 자원(예를 들어, 제1 PDCCH의 자원 및 제2 PDCCH의 자원)과 데이터 채널 자원(예를 들어, 제1 PDSCH의 자원 및 제2 PDSCH의 자원) 외에 기준 신호의 자원이 더 포함된다. 기준 신호의 자원은 제1 PDSCH와 제2 PD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 내에서 시간 영역에서 연속적인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에 위치한다. 기준 신호는 다운링크 채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CSI-RS)일 수도 있고, 추적 기준 신호(tracking reference signal, TRS)일 수도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기준 신호는 CSI-RS이다. 이 경우,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한다.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슬롯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의 배치 방식이 슬롯 1 및 슬롯 11에 도시될 수 있다. 제1 CSI-RS의 자원은 제1 셀의 CSI-RS의 자원이고, 제2 CSI-RS의 자원은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이고, 제1 CSI-RS의 자원은 슬롯 1에서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하고, 제1 CSI-RS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전체에 걸쳐 있고, 제2 CSI-RS의 자원은 슬롯 11에서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하며, 제2 CSI-RS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전체에 걸쳐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기준 신호는 TRS이다. 이 경우,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TRS의 자원을 더 포함한다.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제2 셀의 TRS의 자원은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심볼 상의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각각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제2 셀의 TRS의 자원은 모두 하나의 슬롯 내의 하나 이상의 심볼에 포함될 수 있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7의 TRS의 자원은 제1 셀의 TRS의 자원 및 제2 셀의 TRS의 자원이다.
예를 들어, 도 6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의 하나의 RB가 예로 사용된다. 하나의 심볼에서, 제1 TRS의 자원과 제2 TRS의 자원은 서로 다른 패턴 식별자를 사용한다. 제1 TRS의 자원 패턴 식별자는 제1 TRS가 하나의 RB에서 인덱스 값이 0, 4, 및 8인 RE에 위치함을 나타내고, 제2 TRS의 자원 패턴 식별자는 제2 TRS가 하나의 RB에서 인덱스 값이 1, 5, 및 9인 RE에 위치함을 나타낸다. 물론, 대안적으로 제1 TRS의 자원과 제2 TRS의 자원은 다른 패턴 식별자를 사용할 수 있다. 이는 본 출원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제1 TRS의 자원과 제2 TRS의 자원이 포함되는 심볼은 PDCCH가 위치하는 심볼 뒤에 위치하고, PDSCH가 위치하는 심볼은 제1 TRS의 자원 및 제2 TRS의 자원이 포함되는 두 심볼 사이에 존재할 수 있다.
종래 기술에서는 단지 하나의 셀의 TRS의 자원이 하나의 심볼에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에서는 두 셀의 TRS의 자원들이 하나의 심볼에 배치되고, 두 셀의 TRS의 자원들이 서로 다른 패턴 식별자를 사용하는 것(즉, 두 셀의 TRS의 자원들이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점유하는 것)이 제안된다. 따라서, 동일한 심볼에 더 많은 RE가 사용된다. 종래 기술에 비해, 본 출원은 시간-주파수 자원의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채널 자원이 다운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전술한 구현에서의 다양한 채널의 자원들이 서브프레임의 서로 다른 슬롯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6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다양한 채널 자원의 전술한 배치 방식의 예를 나열하기 위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20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예가 사용된다. 실제 응용에서는 본 출원에서 하나씩 나열되지 않은 다른 유사한 예가 존재한다.
구체적으로,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이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되면,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한다.
이 경우,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다.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해당 슬롯의 모든 심볼에 위치한다. 제1 PUSCH의 자원과 제2 PUS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영역 자원을 주파수 분할 또는 시분할 방식으로 공유한다. 구체적으로, 제1 PUSCH와 제2 PUSCH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주파수 영역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에 대해서는 앞서 설명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자원을 공유하는 방식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제1 채널 자원은 제1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1 PRA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한쪽에 위치하며, 제2 PRA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다른 쪽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모두 제1 PRACH의 자원 밖에 위치하고,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모두 제2 PRACH의 자원 밖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도 7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슬롯 내에는 제어 채널 자원(예를 들어,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 및 데이터 채널 자원(예를 들어, 제1 PUSCH의 자원과 제2 PUSCH의 자원) 외에 기준 신호의 자원이 더 포함된다. 기준 신호의 자원은 제1 PUSCH와 제2 PUSCH에 의해 공유되는 자원들 내에서 시간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연속 심볼에 위치하고,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기준 신호의 자원들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슬롯의 마지막 몇 개의 연속 심볼에 위치한다.
가능한 구현에서, 기준 신호는 업링크 채널을 측정하는 데 사용되는 채널 사운딩 기준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일 수 있다. 이 경우, 제1 채널 자원은 제1 셀의 S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셀의 SRS의 자원을 더 포함한다. 제1 셀의 SRS의 자원과 제2 셀의 SRS의 자원은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슬롯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고,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각각 위치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주파수 영역에서 제1 셀의 SRS의 자원과 제2 셀의 SRS의 자원의 배치 방식은 슬롯 0과 슬롯 5에 도시될 수 있다. 제1 SRS의 자원은 제1 셀의 SRS의 자원이고, 제2 SRS의 자원은 제2 셀의 SRS의 자원이고, 제1 SRS의 자원은 슬롯 0의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하며(예를 들어, 제1 SRS의 자원은 슬롯 0의 마지막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함), 제1 SRS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전체에 걸쳐 있고, 제2 SRS의 자원은 슬롯 5의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하고(예를 들어, 제2 SRS의 자원은 슬롯 5의 마지막 하나 이상의 심볼에 위치함), 제2 SRS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전체에 걸쳐 있다.
다음은 도 7d, 도 7e 및 도 7f를 참조하여 본 출원에서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 배치 방식에 대해 자세히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쪽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를 점유한다.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7d가 예로 사용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쪽에서,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RB를 점유할 수 있고,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시간 영역에서 하나 이상의 심볼을 점유한다. 선택적으로, 제1 PUCCH의 자원 및 제2 PUCCH의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하나의 완전한 슬롯을 점유한다. 예를 들어, 제1 PUCCH의 자원이 시간 영역에서 N개의 심볼을 점유하면, 제2 PUCCH의 자원은 시간 영역에서 (14-N)개의 심볼을 점유한다. 동일한 심볼에서, 제1 PUCCH의 자원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한쪽에 있으면,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다른 쪽에 있다. 예를 들어, 도 7d에 도시된 슬롯의 처음 N개의 심볼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RB의 인덱스 값이 큰 쪽에 위치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RB의 인덱스 값이 작은 쪽에 위치한다. 도 7d에 도시된 슬롯의 마지막 (14-N)개의 심볼에서, 제1 PUCCH의 자원은 RB의 인덱스 값이 작은 쪽에 위치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RB의 인덱스 값이 큰 쪽에 위치한다.
또한, PUCCH의 자원은 구체적으로 공통 PUCCH의 자원과 적어도 하나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을 포함할 수 있다.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즉, 제1 셀의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공통 PUCCH의 자원(즉, 제2 셀의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에서 그로부터 멀리 떨어진 양쪽에 위치한다.
선택적으로,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자원 블록(RB)을 점유한다.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쪽에서,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를 점유한다.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각각 위치한다.
이 구현에서, 두 셀의 공통 PUCCH는 전송을 위해 하나의 RB의 서로 다른 심볼로 압축되고, 즉, 두 셀의 공통 PUCCH의 자원들은 동일한 RB의 서로 다른 심볼에 배치된다. 그러나, 종래 기술에서는 서로 다른 셀의 PUCCH의 자원들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에 위치하므로, 두 셀의 PUCCH의 자원들은 2개의 서로 다른 RB를 점유해야 한다. 따라서, 종래 기술의 솔루션에 비해, 이 구현은 두 셀의 공통 PUCCH의 자원들을 하나의 RB에 배치함으로써 시간-주파수 자원의 활용 효율성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도 7e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의 슬롯에서, 공통 PUCCH의 자원 외에, 동일한 셀은 하나 이상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용 포맷의 PUCCH는 포맷 0의 PUCCH, 포맷 1의 PUCCH, 포맷 2의 PUCCH, 포맷 3의 PUCCH, 및 포맷 4의 PUCCH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한,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공통 PUCCH의 자원 사이의 안쪽에 위치한다. 하나의 슬롯에서, 동일한 셀에 대해, 각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과 공통 PUCCH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서로 다른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동일한 심볼을 점유한다. 각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하나 이상의 RB를 점유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이해의 용이성을 위해, 도 7f가 예로 사용된다.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0부터 51까지 총 52개의 RB를 포함하고,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 중 하나가 주파수 영역에서 6개의 RB를 점유한다고 가정하면,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나머지 46개의 RB를 포함한다. 제1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이 공통 PUCCH의 자원 외에 포맷 1과 포맷 3의 두 가지 전용 포맷의 자원을 더 포함하면,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제2 PUCCH의 자원의 자원은 인덱스 값이 0 및 51인 RB(즉, RB 0 및 RB 51)를 점유하고, 제1 셀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과 제2 셀의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은 인덱스 값이 1, 2, 49, 및 50인 RB(즉, RB 1, RB 2, RB 49, 및 RB 50)를 점유한다. 제1 공통 PUCCH의 자원은 RB 0의 처음 7개의 심볼(즉, 심볼 0 내지 심볼 6)과 RB 51의 마지막 7개의 심볼(즉, 심볼 7 내지 심볼 13)을 점유하고,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RB 0의 마지막 7개의 심볼(즉, 심볼 7 내지 심볼 13)과 RB 51의 처음 7개의 심볼(즉, 심볼 0 내지 심볼 6)을 점유한다. 제1 셀의 포맷 1의 PUCCH의 자원은 RB 1의 처음 7개의 심볼(즉, 심볼 0 내지 심볼 6)과 RB 50의 마지막 7개의 심볼(즉, 심볼 7 내지 심볼 13)을 점유하고, 제2 셀의 포맷 1의 PUCCH의 자원은 RB 1의 마지막 7개의 심볼(즉, 심볼 7 내지 심볼 13)과 RB 50의 처음 7개의 심볼(즉, 심볼 0 내지 심볼 6)을 점유한다. 제1 셀의 포맷 3의 PUCCH의 자원은 RB 1의 처음 7개의 심볼(즉, 심볼 0 내지 심볼 6)과 RB 50의 마지막 7개의 심볼(즉, 심볼 7 내지 심볼 13)을 점유하고, 제2 셀의 포맷 3의 PUCCH의 자원은 RB 1의 마지막 7개의 심볼(즉, 심볼 7 내지 심볼 13)과 RB 50의 처음 7개의 심볼(즉, 심볼 0 내지 심볼 6)을 점유한다.
도 7f는 단지 이 구현의 예일 뿐임이 이해되어야 한다. 실제 응용에서, 공통 PUCCH의 자원 및 다양한 전용 포맷의 PUCCH의 자원의 다른 예가 전술한 구현에 기초하여 나열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는 세부 사항이 하나씩 나열되지 않는다.
종래 기술에서는 하나의 RB가 하나의 셀의 PUCCH의 자원만을 포함한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도 7g는 종래 기술의 PUCCH의 배치 방식을 도시한다. 도 7g에 도시된 예에서, 이 슬롯에는 하나의 셀의 PUCCH의 자원만이 포함되며, 공통 PUCCH의 자원은 적어도 2개의 RB를 점유해야 한다. 그러나, 본 출원의 PUCCH의 자원의 배치 방식에서는 두 셀의 공통 PUCCH의 자원이 하나의 RB에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이는 자원 활용도를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된다.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이 업링크 스케줄링에 사용될 때, 전술한 구현에서의 다양한 채널의 자원들은 서브프레임의 서로 다른 슬롯에 각각 배치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도 7h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간-주파수 영역에서의 다양한 채널 자원의 전술한 배치 방식의 예를 나열하기 위해, 하나의 서브프레임이 20개의 슬롯을 포함하는 예가 사용된다. 실제 응용에서는 본 출원에서 하나씩 나열되지 않은 다른 유사한 예가 존재한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다른 통신 장치(8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대응하는 방법 실시예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제1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제2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이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통신 장치(80)의 구조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의 실시예의 방법을 수행할 때, 후속 진화 표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기지국)도 이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통신 장치(80)의 구조를 사용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통신 장치(8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801),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802),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803),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5),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804)를 포함한다. 프로세서(801), 메모리(802), 트랜시버(803),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5)는 접속 장치를 통해 접속되고, 안테나(804)는 트랜시버(803)에 접속된다. 접속 장치는 다양한 형태의 인터페이스, 전송 케이블, 버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메모리(802)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802)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프로세서(801)에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802)는 프로세서(801)와 통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칩에 통합된다. 메모리(802)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솔루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801)는 실행을 제어한다. 실행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프로세서(801)의 드라이버로 간주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의 도 8은 단지 하나의 메모리와 하나의 프로세서를 도시할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 통신 장치(80)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802)는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메모리(802)는 프로세서와 동일한 칩에 위치하는 저장 요소(즉, 온칩 저장 요소)일 수도 있고, 독립적인 저장 요소일 수도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이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트랜시버(803)는 통신 장치(80)와 단말 디바이스 사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트랜시버(803)는 안테나(804)에 접속될 수 있다. 트랜시버(803)는 송신기 머신(Tx) 및 수신기 머신(Rx)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804)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803)의 수신기 머신(Rx)은 안테나(804)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프로세서(801)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추가로 처리하도록, 예를 들어, 복조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서(801)에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트랜시버(803)의 송신기 머신(Tx)은 프로세서(801)로부터 변조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하나 이상의 안테나(804)를 통해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 머신(Rx)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레벨의 다운믹싱 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다운믹싱 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의 순서는 조정 가능하다. 송신기 머신(Tx)은 무선 주파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변조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레벨의 업믹싱 처리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업믹싱 처리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처리의 순서는 조정 가능하다.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와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통칭될 수 있다.
트랜시버(803)는 대안적으로 트랜시버 유닛,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 내에서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트랜시버 유닛 내에서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는 송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트랜시버 유닛은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또한 수신기 머신, 입력 포트, 수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송신 유닛은 송신기 머신, 송신기, 송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801)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전체 네트워크 디바이스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며, 예를 들어, 전술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할 때 통신 장치(80)를 지원하도록 구성된다. 통신 장치(80)는 기저대역 프로세서 및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주로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고, 중앙 처리 유닛은 주로 통신 장치(80) 전체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며,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된다. 도 8의 프로세서(801)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중앙 처리 유닛의 기능을 통합할 수 있다. 당업자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중앙 처리 유닛이 대안적으로 독립적인 프로세서일 수 있고 버스와 같은 기술을 사용하여 상호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당업자는 통신 장치(80)가 서로 다른 네트워크 표준에 적응하기 위해 복수의 기저대역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통신 장치(80)가 통신 장치(80)의 처리 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복수의 중앙 처리 유닛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신 장치(80)의 구성요소들이 다양한 버스를 통해 접속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처리 회로 또는 기저대역 처리 칩으로 표현될 수도 있다. 중앙 처리 유닛은 중앙 처리 회로 또는 중앙 처리 칩으로도 표현될 수도 있다.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는 기능은 프로세서에 내장될 수도 있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기저대역 처리 기능을 구현하기 위해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또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5)는 통신 장치(80)가 통신 링크를 통해 다른 통신 장치와 접속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5)는 통신 장치(80)와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S1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805)는 대안적으로 통신 장치(80)와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예를 들어, 다른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코어 네트워크 요소) 사이의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예를 들어 X2 또는 Xn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장치(80)는 도 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통신 장치(80)에서, 프로세서(801)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프로세서(801)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프로세서(801)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트랜시버(803)를 통해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고,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셀의 채널 자원(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채널 자원(즉, 제2 채널 자원)은 전술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며, 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셀과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첩 부분에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되면서 시간-주파수 자원이 감소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프로세서(801)는 먼저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다음,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프로세서(801)는 또한,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 또는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트래픽량 및 서비스 우선순위와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다. 제1 채널 자원은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통신 장치(90)의 구조의 개략도이다. 도 1에 대응하는 방법 실시예의 단말 디바이스는 이 실시예에서 도 9에 도시된 통신 장치(90)의 구조에 기초하여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통신 장치(9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901), 적어도 하나의 메모리(902), 및 적어도 하나의 트랜시버(903)를 포함한다. 프로세서(901), 메모리(902) 및 트랜시버(903)는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통신 장치(90)는 입력 디바이스(905), 출력 디바이스(906) 및 하나 이상의 안테나(9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안테나(904)는 트랜시버(903)에 접속되고, 입력 디바이스(905) 및 출력 디바이스(906)는 프로세서(901)에 접속된다.
이 실시예에서, 메모리(902)는 주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메모리(902)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 있고, 프로세서(901)에 접속된다. 선택적으로, 메모리(902)는 프로세서(901)와 통합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칩에 통합될 수 있다. 메모리(902)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의 기술 솔루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를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901)는 실행을 제어한다. 실행되는 다양한 유형의 컴퓨터 프로그램 코드는 또한 프로세서(901)의 드라이버로 간주될 수 있다. 이 실시예의 도 9는 단지 하나의 메모리와 하나의 프로세서를 도시할 뿐임을 이해해야 한다. 그러나, 실제 응용에서 통신 장치(90)는 복수의 프로세서 또는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메모리(902)는 저장 매체, 저장 디바이스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메모리(902)는 프로세서와 동일한 칩에 위치하는 저장 요소(즉, 온칩 저장 요소)일 수도 있고, 독립적인 저장 요소일 수도 있다. 이는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제한되지 않는다.
이 실시예에서, 트랜시버(903)는 통신 장치(90)와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 사이에서 무선 주파수 신호의 수신 또는 송신을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트랜시버(903)는 안테나(904)에 접속될 수 있다. 트랜시버(903)는 송신기 머신(Tx) 및 수신기 머신(Rx)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하나 이상의 안테나(904)는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트랜시버(903)의 수신기 머신(Rx)은 안테나(904)로부터 무선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프로세서(901)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추가로 처리하도록, 예를 들어 복조 처리 및 디코딩 처리를 수행하도록, 프로세서(901)에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트랜시버(903)의 송신기 머신(Tx)은 프로세서(901)로부터 변조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수신하고, 변조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무선 주파수 신호로 변환하고, 무선 주파수 신호를 하나 이상의 안테나(904)를 통해 전송하도록 추가로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신기 머신(Rx)은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무선 주파수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레벨의 다운믹싱 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고, 다운믹싱 처리 및 아날로그-디지털 변환 처리의 순서는 조정 가능하다. 송신기 머신(Tx)은 무선 주파수 신호를 획득하기 위해 변조된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 또는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에 대해 하나 이상의 레벨의 업믹싱 처리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처리를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업믹싱 처리 및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처리의 순서는 조정 가능하다. 디지털 기저대역 신호와 디지털 중간 주파수 신호는 디지털 신호로 통칭될 수 있다.
트랜시버(903)는 대안적으로 트랜시버 유닛, 트랜시버 머신, 트랜시버 장치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선택적으로, 트랜시버 유닛 내에서 수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는 수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트랜시버 유닛 내에서 송신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된 디바이스는 송신 유닛으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송수신 유닛은 수신 유닛과 송신 유닛을 포함한다. 수신 유닛은 또한 수신기 머신, 입력 포트, 수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송신 유닛은 송신기 머신, 송신기, 송신 회로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프로세서(901)는 기저대역 프로세서일 수도 있고, 중앙 처리 유닛(central processing unit, CPU)일 수도 있다.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CPU는 함께 통합될 수도 있고 서로 분리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901)는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다양한 기능을 구현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통신 프로토콜 및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단말 디바이스 전체를 제어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실행하고,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의 데이터를 처리하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컴퓨팅 처리 작업(예를 들어, 그래픽 및 이미지 처리 또는 오디오 처리)을 완료하는 데 도움을 주도록 구성되거나, 또는 프로세서(901)는 전술한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구현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출력 디바이스(906)는 프로세서(901)와 통신하고, 복수의 방식으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는 본 명세서에서 구체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가능한 구현에서, 통신 장치(90)는 도 1에 대응하는 실시예에서의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이 경우, 통신 장치(90)의 트랜시버(903)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그런 다음, 프로세서(901)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903)를 제어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고,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셀의 채널 자원(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채널 자원(즉, 제2 채널 자원)은 전술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셀과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첩 부분에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시간-주파수 자원이 감소되고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901)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903)를 제어한다.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가 비정상이면, 프로세서(901)는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903)를 제어한다.
이 구현에서, 통신 장치(90)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는 경우, 통신 장치(90)는 다른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은 정상 셀을 사용하여 여전히 통신 장치(90)에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장치(90)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프로세서(901)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903)를 제어한다. 제1 셀 또는 제2 셀이 비정상이면, 프로세서(901)는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을 재선택하고, 재선택된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1)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903)를 제어하면,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므로, 프로세서(901)는 제2 셀을 재선택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901)가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903)를 제어하면, 제2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므로, 프로세서(901)는 제1 셀을 재선택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구현에서, 통신 장치(90)는 대안적으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하나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 통신 장치(90)에 의해 액세스된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통신 장치(90)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하여 통신 장치(90)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거나 통신 장치(90)의 서비스가 짧은 시간 동안만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또 다른 통신 장치(100)를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장치(100)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네트워크 디바이스는 액세스 네트워크 디바이스이다. 통신 장치(100)는 트랜시버 모듈(1001) 및 처리 모듈(1002)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처리 모듈(1002)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선택적으로, 처리 모듈(1002)은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다. 처리 모듈(1002)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사용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001)을 제어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고,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셀의 채널 자원(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채널 자원(즉, 제2 채널 자원)은 전술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셀과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첩 부분에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되면서 시간-주파수 자원이 감소된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1002)은 먼저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한 다음,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선택적 구현에서, 처리 모듈(1002)은 또한,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 또는 시간 영역에서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을 결정할 수 있다. 서비스 정보는 트래픽량 및 서비스 우선순위와 같은 서비스 관련 정보를 포함한다.
선택적으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다. 제1 채널 자원은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고, 제2 채널 자원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된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출원은 또 다른 통신 장치(110)를 추가로 제공한다. 통신 장치(110)는 단말 디바이스 또는 단말 디바이스 내의 칩일 수 있다. 통신 장치(110)는 트랜시버 모듈(1101) 및 처리 모듈(1102)을 포함한다.
통신 장치(110)의 트랜시버 모듈(1101)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고, 그런 다음, 처리 모듈(1102)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101)을 제어한다.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다. 선택적으로, 제1 셀과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한다.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1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내고,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는 제2 셀의 채널 자원의 시간-주파수 영역 위치를 나타낸다. 제1 셀의 채널 자원(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셀의 채널 자원(즉, 제2 채널 자원)은 전술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며, 즉, 제1 채널 자원과 제2 채널 자원은 제1 셀과 제2 셀의 시스템 대역폭의 중첩 부분에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므로, 공동 채널 간섭이 방지되면서 시간-주파수 자원이 감소된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1102)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101)을 제어한다. 제1 셀과 제2 셀 중 하나가 비정상이면, 처리 모듈(1102)은 제1 셀과 제2 셀 중 다른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101)을 제어한다.
이 구현에서, 통신 장치(110)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동시에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셀들 중 하나에 결함이 있는 경우, 통신 장치(110)는 다른 셀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할 수 있고, 네트워크 측은 정상 셀을 사용하여 여전히 통신 장치(110)에 대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장치(110)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는 것이 보장될 수 있다.
가능한 구현에서, 처리 모듈(1102)은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또는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101)을 제어한다. 제1 셀 또는 제2 셀이 비정상이면, 처리 모듈(1102)은 제1 셀 및 제2 셀 중 다른 셀을 재선택하고, 재선택된 셀의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1102)이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101)을 제어하면, 제1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므로, 처리 모듈(1102)은 제2 셀을 재선택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예를 들어, 처리 모듈(1102)이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이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트랜시버 모듈(1101)을 제어하면, 제2 셀이 비정상인 경우, 제1 셀과 제2 셀은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므로, 처리 모듈(1102)은 제1 셀을 재선택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한다.
이 구현에서, 통신 장치(110)는 대안적으로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하나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 통신 장치(110)에 의해 액세스된 셀에 결함이 있는 경우, 통신 장치(110)는 2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 중 다른 셀을 신속하게 재선택하여, 통신 장치(110)의 서비스가 중단되지 않거나 통신 장치(110)의 서비스가 짧은 시간 동안만 지연되거나 중단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다른 부분에 대해서는 전술한 실시예에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방법을 참조한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구현 중에, 전술한 방법의 단계들은 프로세서의 하드웨어 통합 논리 회로 또는 소프트웨어 형태의 명령어를 사용하여 완료될 수 있다. 본 출원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개시된 방법의 단계들은 하드웨어 프로세서에 의해 직접 수행 및 완료될 수도 있고, 프로세서 내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을 사용하여 수행 및 완료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판독 전용 메모리, 프로그래밍 가능한 판독 전용 메모리, 전기적으로 소거 가능한 프로그래밍 가능한 메모리, 또는 레지스터와 같은, 해당 기술 분야의 성숙한 저장 매체에 위치할 수 있다. 저장 매체는 메모리에 위치하며, 프로세서는 메모리의 정보를 판독하고, 프로세서의 하드웨어와 함께 전술한 방법의 단계를 완료한다. 반복을 피하기 위해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제3", "제4" 및 다양한 숫자는 설명의 편의상 구별을 위해 사용된 것일 뿐, 본 출원의 실시예의 범위를 제한하려는 의도가 아니라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을 제공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하나 이상의 컴퓨터 명령어를 포함한다. 컴퓨터 프로그램 명령어가 컴퓨터에 로딩되어 실행될 때, 본 출원의 실시예에 따른 절차 또는 기능이 전부 또는 부분적으로 생성된다. 예를 들어,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련된 방법이 구현된다. 또 다른 예로서, 도 1의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된 방법이 구현된다. 컴퓨터는 범용 컴퓨터, 전용 컴퓨터, 컴퓨터 네트워크, 또는 다른 프로그래밍 가능한 장치일 수 있다. 컴퓨터 명령어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에 저장될 수 있거나,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다른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컴퓨터 명령어는, 유선(예를 들어, 동축 케이블, 광섬유 또는 디지털 가입자 회선(digital subscriber line, DSL))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 라디오 또는 전파) 방식으로,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에서 다른 웹사이트, 컴퓨터,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로 전송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사용 가능한 매체이거나, 하나 이상의 사용 가능한 매체를 통합하는 서버 또는 데이터 센터와 같은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일 수 있다. 사용 가능한 매체는 자기 매체(예를 들어, 플로피 디스크, 하드 디스크, 또는 자기 테이프), 광학 매체(예를 들어, 디지털 다목적 디스크(digital versatile disc, DVD)), 반도체 매체(예를 들어, 솔리드 스테이트 디스크(solid state disk, SSD)) 등일 수 있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도 1의 단말 디바이스에 관련된 방법을 구현한다.
또한, 본 출원은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를 추가로 제공한다. 저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컴퓨터 프로그램은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어 도 1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관련된 방법을 구현한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연관된 객체들을 설명하기 위한 연관 관계만을 설명하고, 세 가지 관계가 존재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A 및/또는 B는 A만 존재하는 경우, A와 B가 모두 존재하는 경우 및 B만 존재하는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문자 "/"는 일반적으로 연관된 객체들 간의 "또는" 관계를 나타낸다.
본 출원의 실시예에서, 전술한 프로세스의 순서 번호는 실행 순서를 의미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해야 한다. 프로세스의 실행 순서는 프로세스의 기능 및 내부 논리에 따라 결정되어야 하며, 본 출원의 실시예의 구현 프로세스에 어떠한 제한도 구성해서는 안 된다.
편리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전술한 시스템, 장치 및 유닛의 상세한 작업 프로세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방법 실시예의 대응 프로세스를 참조한다는 것이 당업자에 의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다. 자세한 내용은 여기에서 다시 설명되지 않는다.
전술한 실시예는 단지 본 출원의 기술 솔루션을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 본 출원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출원은 전술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여전히 당업자는 본 출원의 실시예의 기술 솔루션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전술한 실시예에 기록된 기술 솔루션에 대한 수정을 행하거나 일부 기술적 특징에 대한 균등한 대체를 행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Claims (51)

  1. 통신 방법으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 상기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intra-frequency co-coverage cells)이고, 상기 제1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임 - 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통신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및/또는 상기 제2 셀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유지하는,
    통신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상기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는,
    통신 방법.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2 셀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 또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동일한,
    통신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상기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인,
    통신 방법.
  12.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상기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슬롯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13. 제6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추적 기준 신호(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추적 기준 신호(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상기 제2 셀의 T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심볼 상의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14. 제6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은,
    통신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 쪽에서, 상기 제1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를 점유하는,
    통신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상기 제1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17. 제14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RACH의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PRACH의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다른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18. 제14항 내지 제1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에서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양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19. 제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자원 블록(RB)을 점유하는,
    통신 방법.
  20.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채널 자원 및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상기 제1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인,
    통신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통신 방법.
  22.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
  23. 제20항 내지 제2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및/또는 상기 제2 셀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유지하는,
    통신 방법.
  24. 제20항 또는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의 중심 주파수 근처에 있고,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거나 같고,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상기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는,
    통신 방법.
  25. 제20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이 결정되고/되거나,
    상기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이 결정되는,
    통신 방법.
  26. 제24항 또는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제어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거나,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27. 제2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 균등하게 배치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PD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와 동일한,
    통신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공통 채널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과 상기 제1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PDCCH의 자원은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심볼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29. 제2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동기 신호 블록(SSB)의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다른 시스템 정보(OSI)의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페이징의 자원이거나, 또는
    상기 제1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이고 상기 제2 공통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시스템 정보 블록 타입 1(SIB1)의 자원인,
    통신 방법.
  30.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채널 상태 정보 기준 신호(CSI-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CSI-RS의 자원과 상기 제2 셀의 CSI-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부반송파 및 서로 다른 슬롯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31. 제24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상기 제1 셀의 추적 기준 신호(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상기 제2 셀의 추적 기준 신호(TRS)의 자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셀의 TRS의 자원과 상기 제2 셀의 TRS의 자원은 각각 동일한 슬롯 내에서 동일한 심볼 상의 서로 다른 부반송파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32. 제24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이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제1 제어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제어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제어 채널(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1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데이터 채널 자원은 제2 물리적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보다 작은,
    통신 방법.
  33. 제3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어느 한 쪽에서, 상기 제1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부반송파를 점유하고, 시간 영역에서 서로 다른 시간 영역 단위를 점유하는,
    통신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동일한 시간 영역 단위에서, 상기 제1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PUCCH의 자원은 각각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양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35. 제32항 내지 제3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채널 자원은 제1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2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PRACH의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한쪽에 위치하고, 상기 제2 PRACH의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의 다른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36. 제32항 내지 제3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PUCCH의 자원은 제1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2 PUCCH의 자원은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을 포함하며, 상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 밖에서 상기 제2 주파수 영역 범위로부터 멀리 떨어진 양쪽에 위치하는,
    통신 방법.
  37. 제3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통 PUCCH의 자원과 상기 제2 공통 PUCCH의 자원은 주파수 영역에서 동일한 자원 블록(RB)을 점유하는,
    통신 방법.
  38. 통신 방법으로서,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는 단계와,
    상기 제1 셀이 비정상일 경우,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의해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상기 제1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인,
    통신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각각 서로 다른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속하는,
    통신 방법.
  40. 제38항 또는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동일한 표준을 사용하는,
    통신 방법.
  41. 제38항 내지 제4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셀 및/또는 상기 제2 셀은 상기 단말 디바이스에 대한 무선 자원 제어(RRC) 접속을 유지하는,
    통신 방법.
  42. 통신 장치로서,
    네트워크 디바이스에 의해 서빙되는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 - 상기 제1 셀과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상기 제1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임 - 와,
    상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상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단말 디바이스와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는,
    통신 장치.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획득 모듈은 또한,
    상기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2 셀의 서비스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제1 셀의 서비스 정보 및 상기 제2 셀의 서비스 정보에 기초하여, 주파수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자원의 수량 또는 시간 영역에서 상기 제1 데이터 채널 자원에 의해 점유되는 시간 영역 단위의 수량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통신 장치.
  45. 통신 장치로서,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된 획득 모듈과,
    상기 제1 셀의 상기 제1 채널 자원 및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상기 제1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인,
    통신 장치.
  46. 통신 장치로서,
    제1 셀의 제1 채널 자원 및 제2 셀의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구성된 통신 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1 셀이 비정상일 경우, 상기 통신 모듈은 또한 상기 제2 셀의 상기 제2 채널 자원을 사용하여 상기 네트워크 측과 통신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셀과 상기 제2 셀은 서로의 동종 주파수 공동 커버리지 셀이고, 상기 제1 채널 자원과 상기 제2 채널 자원은 제1 주파수 영역 범위 내에서 시분할 또는 주파수 분할 방식으로 배치되고, 상기 제1 주파수 영역 범위는 상기 제1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이 상기 제2 셀의 주파수 영역 자원과 중첩되는 주파수 영역 범위인,
    통신 장치.
  47.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통신 장치.
  48. 통신 장치로서,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되,
    상기 메모리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호출하여 상기 통신 장치로 하여금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게 하는,
    통신 장치.
  49. 통신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20항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거나, 또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네트워크 디바이스, 및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하는 단말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시스템.
  50. 명령어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가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20항 내지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51. 명령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컴퓨터에서 실행될 때, 상기 컴퓨터는 제1항 내지 제19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20항 내지 내지 제37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 또는 제38항 내지 제4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247009485A 2021-08-27 2022-07-01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KR202400493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994815.6A CN115734231A (zh) 2021-08-27 2021-08-27 通信方法以及通信装置
CN202110994815.6 2021-08-27
PCT/CN2022/103257 WO2023024704A1 (zh) 2021-08-27 2022-07-01 通信方法以及通信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9336A true KR20240049336A (ko) 2024-04-16

Family

ID=85290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9485A KR20240049336A (ko) 2021-08-27 2022-07-01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80213A1 (ko)
KR (1) KR20240049336A (ko)
CN (1) CN115734231A (ko)
WO (1) WO202302470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0463560C (zh) * 2005-06-06 2009-02-18 上海原动力通信科技有限公司 基于时分双工系统的小区切换方法
CN100484270C (zh) * 2006-11-30 2009-04-29 华为技术有限公司 实现小区多播业务的方法及组网方法
CN105391510B (zh) * 2015-10-21 2018-09-14 国网智能电网研究院 一种面向电力输电场景的4g专网小区干扰协调方法
US10644784B2 (en) * 2017-02-17 2020-05-05 Ahmad Jalali Communications system for providing broadband access to aerial platforms
CN109218998B (zh) * 2017-07-06 2021-03-05 普天信息技术有限公司 轨道交通宽带集群备份方法及装置
EP3869881A4 (en) * 2018-11-26 2022-02-23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CQUIRING CHANNEL STATE INFORMATION AND COMPUTER STORAGE MEDIU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24704A1 (zh) 2023-03-02
EP4380213A1 (en) 2024-06-05
CN115734231A (zh) 2023-03-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0880958B (zh) 一种射频参数的上报方法及装置
JP7080338B2 (ja) リソース表示値を取得する方法および装置
JP2020536429A (ja) 通信方法及び通信装置
US20200374871A1 (en) Relay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AU2019296415B9 (en) Data scrambling method and relevant device
CN110831020B (zh) 检测dci的方法、配置pdcch的方法和通信装置
US10178658B2 (en) Base station, user equipment and associated methods
JP2021503845A (ja) 通信方法および通信デバイス
US20220225333A1 (en) Resource dynamic indication method and apparatus
CN110740471A (zh) 一种通信方法、装置和系统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0098058B2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mitting discovery signal, method and apparatus of discovering cell
CN112840727A (zh) 用于独立mtc操作的方法
US20220279480A1 (en) User equipment and scheduling node
WO2019096232A1 (zh) 通信方法和通信装置
US10306646B2 (en) Method for device-to-device communic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JP7184433B2 (ja) 無線通信装置、方法、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EP4038772A1 (en) Beam management
WO2019196066A1 (en) Random access response for bwp
JP7405385B2 (ja) 無間隙測定方法、無間隙測定装置、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及びチップ
KR20240049336A (ko) 통신 방법 및 통신 장치
CN112333811B (zh) 一种同步信号/物理广播信道块发送功率配置方法及装置
CN115942340B (zh) 通信方法和装置
US20230224921A1 (en) 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US20220159642A1 (en) Resourc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WO2019200617A1 (zh) 通信方法、装置、设备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