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8597A -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8597A
KR20240048597A KR1020220127734A KR20220127734A KR20240048597A KR 20240048597 A KR20240048597 A KR 20240048597A KR 1020220127734 A KR1020220127734 A KR 1020220127734A KR 20220127734 A KR20220127734 A KR 20220127734A KR 20240048597 A KR20240048597 A KR 20240048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smetic composition
water
dimethicone
silicone
we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77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수진
박현정
지진구
주영아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773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8597A/ko
Publication of KR20240048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859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6Emulsions
    • A61K8/064Water-in-oil emulsions, e.g. Water-in-silicone emul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1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141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61K8/815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sters, e.g. (meth)acrylic acid ester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84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therwise than those involving only carbon-carbon unsaturated bonds
    • A61K8/89Polysiloxanes
    • A61K8/891Polysiloxanes saturated, e.g. dimethicone, phenyl trimethicone, C24-C28 methicone or stearyl dimethic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24Thermal properties
    • A61K2800/244Endothermic; Cooling; Cooling sensat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감이 느껴지는 슬러시 성상을 가지며 피부 쿨링 효과, 피부 보습력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Water-in-silicon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sodium polyacrylate starch and a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장품은 크게 기초 화장품, 메이크업 베이스와 색조 화장품 등으로 나눌 수 있고, 고형, 액상 또는 겔상의 화장료로 제조되며, 최근에는 보습, 미백, 주름개선, 자외선 차단, 여드름 완화, 아토피 완화, 항염증, 각질 용해 등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성 화장품도 널리 소비되고 있다.
한편, 이러한 화장품을 제조함에 있어서 유화 (emulsion)는 가장 유용하게 활용되는 방법 중의 하나이다. 원래 기름과 물은 서로 섞이지 않으려는 계면장력이 커서 섞어도 곧 분리되는 경향이 매우 크지만, 계면장력을 상쇄시킬 수 있는 유화제를 첨가하고 기계적인 충격을 가하여 기름과 물이 안정적으로 섞이도록 한다.
물과 기름처럼 서로 섞이지 않는 두 액체에 있어서, 유화제를 이용하여 한 상에 다른 한 상을 미세한 입자 상태로 분산시켜 놓은 것을 유화물이라고 하며, 화장품에 널리 이용되는 유화물은 크게 세 가지 제형으로 분류된다.
첫 번째는 물 중에 오일을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시킨 상태인 수중유형 (O/W, oil-in-water) 제형, 두 번째는 오일 중에 물을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시킨 상태인 유중수형 (W/O, water-in-oil) 제형, 세 번째는 실리콘 오일 중에 물을 작은 입자 상태로 분산시킨 상태인 실리콘중수형 (W/S, water-in-silicon) 제형이다.
그 중, 실리콘중수형(W/S) 제형은 수중유형(O/W) 제형에 비해 피부로부터의 수분 증발을 억제할 수 있고 장시간 지속적으로 수분 및 피부 활성 물질을 피부에 전달할 수 있고, 유중수형(W/O) 제형에 비해 산뜻한 사용감을 가지며 피부에 도포시 매끄럽고 부드럽게 발린다.
기존의 실리콘중수형(W/S) 제형의 경우에는, 일반적으로 매끈한 성상을 나타내며 경도적인 차이 외에는 외관 및 사용감 측면에서 차별화가 어려운 부분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수분을 머금을 수 있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여 슬러시 성상을 가지며 피부 쿨링 효과, 피부 보습력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실리콘중수형(W/S) 제형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를 포함하는 슬러시 성상의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더욱 자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슬러시 성상의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입자감이 느껴지는 슬러시 성상인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자감이 느껴지는 슬러시 성상이란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입도 분포가 5 내지 10,000 ㎛, 5 내지 7,500 ㎛, 5 내지 5,000 ㎛, 5 내지 2,500 ㎛, 6 내지 10,000 ㎛, 6 내지 7,500 ㎛, 6 내지 5,000 ㎛, 6 내지 2,500 ㎛, 7 내지 10,000 ㎛, 7내지 7,500 ㎛, 7내지 5,000 ㎛, 또는 7 내지 2,500 ㎛인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입도 분포가 5 내지 10,000 ㎛, 5 내지 7,500 ㎛, 5 내지 5,000 ㎛, 5 내지 2,500 ㎛, 6 내지 10,000 ㎛, 6 내지 7,500 ㎛, 6 내지 5,000 ㎛, 6 내지 2,500 ㎛, 7 내지 10,000 ㎛, 7내지 7,500 ㎛, 7내지 5,000 ㎛, 또는 7 내지 2,5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입도 분포란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내의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의 입도 분포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피이지-10다이메티콘 및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8 중량%, 0.05 내지 0.6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1 내지 1 중량%, 0.1 내지 0.8 중량%, 0.1 내지 0.6 중량%, 0.1 내지 0.4 중량%, 0.2 내지 1 중량%, 0.2 내지 0.8 중량%, 0.2 내지 0.6 중량%, 또는 0.2 내지 0.4 중량%, 예를 들어 0.3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의 농도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중량% 미만이면 슬러시 성상의 입자감 형성이 어려울 수 있고, 1 중량%를 초과하면 유화 안정도가 낮을 수 있다.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는 수분을 머금어서 입자를 형성하는 특성이 있으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가 과도한 함량으로 포함될 경우 이러한 특성으로 인해 실리콘오일 속에 수상이 안정하게 입자를 형성하는 것을 방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 중량%, 0.01 내지 3 중량%, 0.01 내지 2 중량%, 0.05 내지 5 중량%, 0.05 내지 4 중량%, 0.05 내지 3 중량%, 0.05 내지 2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또는 0.5 내지 2 중량%, 예를 들어 1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및 엘라스토머를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Cyclohexaxiloxane), 사이클로메티콘 (Cyclomethicon), 페닐트라이메티콘 (Phenyl Tr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Cyclopentasiloxa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카프릴릴메티콘 (Caprylyl Methicone), 비닐다이메티콘 (Vinyl Dimethicone) 및 세틸다이메티콘 (Cet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엘라스토머는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 Crosspolymer), 라우릴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Lauryl 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 Cross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스킨케어용일 수 있다.
스킨케어용이란 메이크업 베이스 및 색조 화장품이 아닌 기초 화장품에 속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로션, 영양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아이크림, 모이스쳐크림, 핸드크림, 에센스, 영양에센스, 클렌징폼, 클렌징워터,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및 바디클렌져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제형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화장료 조성물은 보습제, 보존제 및 용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다음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 단계;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수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 단계;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을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유화 단계.
본 발명에 있어서, 제1혼합 단계는 실온 (15 내지 20 ℃)에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피이지-10다이메티콘 및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 중량%, 0.05 내지 0.8 중량%, 0.05 내지 0.6 중량%, 0.05 내지 0.4 중량%, 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0.8 중량%, 0.1 내지 0.6 중량%, 0.1 내지 0.4 중량%, 0.2 내지 1 중량%, 0.2 내지 0.8 중량%, 0.2 내지 0.6 중량%, 또는 0.2 내지 0.4 중량%, 예를 들어 0.3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0.01 내지 4 중량%, 0.01 내지 3 중량%, 0.01 내지 2 중량%, 0.05 내지 5 중량%, 0.05 내지 4 중량%, 0.05 내지 3 중량%, 0.05 내지 2 중량%, 대비 0.1 내지 5 중량%, 0.1 내지 4 중량%, 0.1 내지 3 중량%, 0.1 내지 2 중량%, 0.5 내지 5 중량%, 0.5 내지 4 중량%, 0.5 내지 3 중량%, 또는 0.5 내지 2 중량%, 예를 들어 1 중량% 포함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슬러시 성상을 가지며 피부 쿨링 효과, 피부 보습력 및 피부결 개선 효과가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성상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도포 전후의 피부 온도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도포 전후의 피부 수분도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도포 전후의 피부결을 나타내는 사진이다.
도 5a 및 5b는 본 발명의 제조예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피부 도포 전후의 피부 거칠기의 변화를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해 제조예 및 실험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제조예 및 실험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하는 제조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제조예 및 실험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제조예 1. 재료의 준비
경림상사로부터 사이클로메티콘 (Cyclomethicone) 89% 및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교차중합체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11%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KOASIL LSG-2020을 입수하여 준비하였다.
KODA로부터 사이클로메티콘 (Cyclomethicone) 60%,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 Crosspolymer) 25% 및 페닐트라이메티콘 (Phenyl Trimethicone) 15%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KODASIL 500을 입수하여 준비하였다.
SHIN-ETSU로부터 트라이에틸헥사노인 (Triethylhexanoin) 79.41%, 토코페롤 (Tocopherol) 0.02%, 구연산 나트륨 (Sodium Citrate) 0.07%,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Dipropylene Glycol) 0.5% 및 라우릴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Lauryl 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20.0%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KSG-830을 입수하여 준비하였다.
NATURAL SOLUTION로부터 정제수 (Water) 28.95%,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0.05%,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1%, 부틸렌글리콜 (Butylene Glycol) 10%, 프룩토오스 (Fructose) 10%, 프락토올리고당 (Fructooligosaccharides) 10%, 글루코오스 (Glucose) 20%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 (Chlorella Vulgaris Extract) 20%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SKIN MOIST UP을 입수하여 준비하였다.
제조예 2.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하기 표 1의 조성에 따라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 1 내지 2의 화장료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표 1의 유상부의 원료를 가라앉거나 뭉치지 않도록 disper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실온에서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였다.
표 1의 수상부의 원료 중 수용해 가능한 파우더 원료인 염화나트륨 (sodium chloride),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hydroxy acetophenone), 트라넥삼산 (tranexamic acid), 구연산 나트륨 (sodium citrate), 아데노신 (adenosine),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dipotassium glycyrrhizate) 및 소듐파이테이트 (sodium phytate)를 정제수 (water) 총 중량의 1/3과 disper를 이용하여 500 rpm으로 80도까지 가온하며 혼합하였다. 수용해성 파우더가 완벽히 용해되면, 여기에 녹지 않는 파우더 원료 실리카 (silica) 및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 와 폴리올인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펜틸렌 글리콜 (pentylene glycol) 및 글리세린 (glycerin)에 agitator로 분산하여 투입하고, 정제수 총 중량의 2/3과 정제수 (water) 28.95%, 에틸헥실글리세린 (Ethylhexylglycerin) 0.05%, 1,2-헥산다이올 (1,2-hexanediol) 1%, 부틸렌글리콜 (Butylene Glycol) 10%, 프룩토오스 (Fructose) 10%, 프락토올리고당 (Fructooligosaccharides) 10%, 글루코오스 (Glucose) 20%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 (Chlorella Vulgaris Extract) 20%의 혼합으로 이루어진 SKIN MOIST UP을 투입한 후, 수상부를 실온이 될 때까지 식혀주며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유상부 원료를 혼합한 제1혼합물을 메인믹서에 넣고 Paddle Mixer를 30 rpm으로 돌려주면서, 수상부 원료를 혼합한 제2혼합물의 투입 속도를 조절하여 20분간 서서히 투입하였다. 제2혼합물의 투입이 완료되면 Paddle Mixer를 25rpm으로 5분간 돌려 내용물을 안정화시킨 후, homogenizer를 3000rpm, Paddle Mixer를 30rpm으로 2분간 돌려 유화시켰다.
(중량%) 성분명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1 비교예 2
유상부 폴리글리세릴-3 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 다이메티콘 1 1 1 1 1
시클로헥사실록산 13 13 13 13 13
KOASIL LSG-2020
(사이클로메티콘 89% 및 다이메티콘/비닐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11%)
1 1 1 1 1
KODASIL 500
(사이클로메티콘 60%,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25% 및 페닐트라이메티콘 15%)
0.3 0.3 0.3 0.3 0.3
KSG-830
(트라이에틸헥사노인 79.41%, 토코페롤 0.02%, 구연산 나트륨 0.07%, 다이프로필렌 글리콜 0.5% 및 라우릴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20.0%)
4 4 4 4 4
수상부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글리세린 8 8 8 8 8
펜틸렌 글리콜 2 2 2 2 2
실리카 2 2 2 2 2
SKIN MOIST UP (정제수 28.95%, 에틸헥실글리세린 0.05%, 1,2-헥산다이올 1%, 부틸렌글리콜 10%, 프룩토오스 10%, 프락토올리고당 10%, 글루코오스 20% 및 클로렐라 불가리스 추출물 20%) 2 2 2 2 2
1,2-헥산다이올 1 1 1 1 1
염화나트륨 0.6 0.6 0.6 0.6 0.6
하이드록시아세토페논 0.2 0.2 0.2 0.2 0.2
트라넥삼산 0.1 0.1 0.1 0.1 0.1
구연산 나트륨 0.1 0.1 0.1 0.1 0.1
아데노신 0.04 0.04 0.04 0.04 0.04
다이포타슘글리시리제이트 0.02 0.02 0.02 0.02 0.02
소듐파이테이트 0.01 0.01 0.01 0.01 0.01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0.05 0.3 1 - 1.5
실험예 1: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 확인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1 및 실시예 2의 화장료 조성물의 성상을 확인하였고, 그 결과를 도 1에 나타냈다.
도 1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과 같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지 않은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매끈한 성상을 나타낸 반면, 실시예 2와 같이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슬러시와 같이 입자감이 느껴지는 특이한 성상을 나타냈다.
실험예 2: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쿨링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및 실시예들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쿨링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IRIS-X P(GOLD)(MEDICORE, KOREA) 장치를 이용하여 성인 5명을 대상으로 1) 각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 시험부위의 피부온도를 적외선카메라로 촬영하였고, 2) 시험부위 (하박내측, 3cm * 3cm)의 피부에 18 ㎕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킨 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온도를 촬영하였다. 피부 도포 전후의 시험부위 평균온도를 분석하여 그 결과를 도 2에 나타냈다.
도 2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각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도포 후 피부 온도 감소율에 있어서, 비교예 1 및 2는 각각 -3.1% 및 -3.4%의 값을 나타낸 반면, 실시예 1 내지 3은 각각 -3.8%, -4.7% 및 -4.1%의 값을 나타냈다.
이로써,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 쿨링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 중량% 포함되었을 경우, 이를 벗어나는 함량 범위에 비해 피부 쿨링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1 (대조제품) 및 실시예 1 (시험제품)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IRIS-X P(GOLD)(MEDICORE, KOREA) 장치를 이용하여 성인 5명을 대상으로 1) 각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 시험부위를 ivory 비누로 세정후 10분간 항온항습실 (22±2도, 40~60% RH)에서 대기한 뒤, 시험부위의 피부수분도를 측정하였고, 2) 시험부위 (하박내측, 2cm * 2cm)의 피부에 18 ㎕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킨 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험부위의 피부수분도를 측정하였다. 3회 측정값의 평균을 이용하여 피부수분도의 변화율을 산출한뒤, 사용전 값과 비교평가하여 그 결과를 도 3에 나타냈다.
도 3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 (대조제품)의 경우 피부 도포 전에 비하여 피부 도포 후 피부 수분도가 498.9% 증가한 반면, 실시예 1 (시험제품)의 경우 피부 도포 전에 비하여 피부 도포 후 피부 수분도가 529.0% 증가하였다.
이로써,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 보습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결 개선 효과 확인
상기 제조예 2에 따라 제조된 비교예 및 실시예들의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결 개선 효과를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Antera 3D(miraves, UK) 장치를 이용하여 성인 5명을 대상으로 1) 각 화장료 조성물을 도포하기 전 시험부위를 IVORY비누로 세정후 10분간 항온항습실(22±2도, 40~60% RH)에서 대기한 뒤, 시험부위의 피부결을 촬영하였고, 2) 시험부위 (하박내측, 3cm * 3cm)의 피부에 18 ㎕ 도포하여 충분히 흡수시킨 후,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피부결을 촬영하여 그 결과를 도 4에 나타냈다.
또한, 측정부위 전면의 동일면적을 지정한 뒤, 평균 거칠기 (Ra; Average Foughness) 및 제곱근 평균 거칠기 (Rq; Root-Mean-Square Roughness)를 측정하여 피부결 개선 정도를 수치화한 결과를 도 5a 및 5b에 나타냈다.
도 5a 및 5b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비교예 1의 경우 평균 거칠기 (Ra) 및 제곱근 평균 거칠기 (Rq)의 증감률은 각각 -0.2% 및 -1.2%이고, 비교예 2의 경우 평균 거칠기 (Ra) 및 제곱근 평균 거칠기 (Rq)의 증감률은 각각 -2.8% 및 -3.3%인 반면, 실시예 3 (시험제품)의 경우 평균 거칠기 (Ra) 및 제곱근 평균 거칠기 (Rq)의 증감률은 각각 -6.2% 및 -6.8%의 값을 나타냈다.
즉, 실시예 3의 평균 거칠기 (Ra) 감소율은 비교예 1에 비하여 31배, 비교예 2에 비하여 2.21배의 값을 나타냈고, 실시예 3의 제곱근 평균 거칠기 (Rq) 감소율은 비교예 1에 비하여 5.67배, 비교예 2에 비하여 2.06배의 값을 나타냈다.
이로써,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경우 피부결 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고, 특히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가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 중량% 포함되었을 경우, 이를 벗어나는 함량 범위에 비해 피부결 개선 효과가 탁월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Claims (12)

  1.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 (Sodium Polyacrylate Starch)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은 입도 분포가 5 내지 10,000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피이지-10다이메티콘 및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실리콘 오일 및 엘라스토머를 추가적으로 더 포함하는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실리콘 오일은 사이클로헥사실록세인 (Cyclohexaxiloxane), 사이클로메티콘 (Cyclomethicon), 페닐트라이메티콘 (Phenyl Trimethicone),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 (Cyclopentasiloxane), 다이메티콘(Dimethicone), 다이페닐실록시페닐트라이메티콘 (Diphenylsiloxy Phenyl Trimethicone), 카프릴릴메티콘 (Caprylyl Methicone), 비닐다이메티콘 (Vinyl Dimethicone) 및 세틸다이메티콘 (Cetyl Dimethicone)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엘라스토머는 다이메티콘/비닐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Vinyl Dimethicone Crosspolymer), 다이메티콘 크로스폴리머 (Dimethicone Crosspolymer), 라우릴 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린-3 크로스폴리머 (Lauryl Dimethicone/Polyglycerin-3 Crosspolymer) 및 사이클로펜타실록세인/다이메티콘크로스폴리머 (Cyclopentasiloxane/Dimethicone Crosspolymer)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9. 다음을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유화제를 포함하는 유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1혼합물을 제조하는 제1혼합 단계;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수상부의 원료를 혼합하여 제2혼합물을 제조하는 제2혼합 단계; 및
    제1혼합물 및 제2혼합물을 혼합하여 유화시키는 유화 단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폴리글리세릴-3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 비스-부틸다이메티콘폴리글리세릴-3, 피이지-10다이메티콘 및 피이지-9폴리다이메틸실록시에틸다이메티콘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5 내지 1 중량% 포함되는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화제는 화장료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1 내지 5 중량% 포함되는 것인,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
KR1020220127734A 2022-10-06 2022-10-0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2400485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34A KR20240048597A (ko) 2022-10-06 2022-10-0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7734A KR20240048597A (ko) 2022-10-06 2022-10-0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8597A true KR20240048597A (ko) 2024-04-16

Family

ID=908825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7734A KR20240048597A (ko) 2022-10-06 2022-10-06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85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74084B2 (ja) シリコーン微粒子及び不揮発性油を含む仕上げ剤組成物
KR101830943B1 (ko) 수분―방출 화장 조성물
KR20200067793A (ko) 고함량의 오일을 안정화시킨 나노에멀전 화장료 조성물
US20060159645A1 (en) Method of providing lubricious surfaces
US20130345317A1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hydrophobic silica and a co-emulsifier
CN102361626A (zh) 油包水型乳化组合物
KR101962952B1 (ko) 자가발포형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MX2009001531A (es) Composicion para el cuidado personal.
KR20170002989A (ko) 다공성 다면체 파우더를 포함하는 유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KR101008122B1 (ko) 실리콘 엘라스토머 박리 조성물
KR102498844B1 (ko) 무기자외선차단제 고함유 자외선차단 화장료 조성물
KR101338518B1 (ko) 유중수형 보습화장료 조성물
EP2692333B1 (en) Water-in-oil emulsified cosmetic
US9549894B2 (en) Water-releasing cosmetic composition including a hydrophobic silica
KR20160082054A (ko) 유화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중유 유화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0803B1 (ko) 칼라민을 포함하는 즉각미백 또는 안색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TWI754672B (zh) 包含礦渣粉末的化妝品組成物
KR20150044104A (ko) 피부에 도포 후 메이크업층과 보습 및 윤기막의 이중층으로 분리되는 메이크업용 킷트 조성물
KR20190088204A (ko) 칼라민이 안정화된 형상 기억 현상을 갖는 수중유형 화장료 조성물
JP6418626B2 (ja) 油中水型乳化組成物及び該組成物を用いた油中水型乳化化粧料
KR20240048597A (ko) 소듐폴리아크릴레이트스타치를 포함하는 실리콘중수형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JP2013082649A (ja) スイゼンジノリ由来糖誘導体被覆処理粉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化粧料
WO2016012513A1 (en) Emulsions comprising at least one filler and stabilized by a crosslinked silicone polymer
KR102286078B1 (ko)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JP2003306410A (ja) 粉末含有油中水型乳化化粧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