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993A - Gnb-cu와 gnb-du 사이의 지연 측정들 - Google Patents

Gnb-cu와 gnb-du 사이의 지연 측정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993A
KR20240047993A KR1020247007736A KR20247007736A KR20240047993A KR 20240047993 A KR20240047993 A KR 20240047993A KR 1020247007736 A KR1020247007736 A KR 1020247007736A KR 20247007736 A KR20247007736 A KR 20247007736A KR 20240047993 A KR20240047993 A KR 202400479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wnlink
frame
data frame
base station
feedback de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재민 한
쯔이 리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400479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9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8Monitoring or testing based on specific metrics, e.g. QoS, energy consumption or environmental parameters
    • H04L43/0852De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3/00Arrangements for monitoring or testing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3/06Generation of reports
    • H04L43/062Generation of reports related to network traffi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7/00Traffic control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7/10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 H04L47/28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 H04L47/283Flow control; Congestion control in relation to timing considerations in response to processing delays, e.g. caused by jitter or round trip time [RT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31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 H04W28/0236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based on communication conditions radio quality, e.g. interference, losses or dela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268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using specific QoS parameters for wireless networks, e.g. QoS class identifier [QCI] or guaranteed bit rate [GB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5Access point devices with remote compon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4Arrangements for maintaining operational cond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가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명령어들은 5G-NR QoS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기지국을 구성하고, 기지국으로 하여금 기지국의 CU-UP로부터 DU로의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게 야기한다.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한다. F1-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DU로부터 CU-UP로의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이 인코딩된다.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표시자에 기초하여 DU에서 측정된 피드백 지연을 포함한다. 피드백 지연은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나타낸다.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은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Description

GNB-CU와 GNB-DU 사이의 지연 측정들
[우선권 주장]
본 출원은 2021년 8월 12일자로 출원되고 발명의 명칭이 "DELAY MEASUREMENT BETWEEN CENTRALIZED UNIT(CU) AND DISTRIBUTED UNIT(DU) OF A GNB CONSIDERING FEEDBACK DELAY AT DU"인 미국 가특허 출원 제63/232,559호에 대한 우선권의 이익을 주장하며, 이 특허 출원은 그 전문이 인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된다.
[기술 분야]
양태들은 무선 통신에 관련한 것이다. 일부 양태들은 3GPP(Thi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들, 3GPP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들, 3GPP LTE-A(LTE Advanced) 네트워크들, (MulteFire, LTE-U), 및 5G NR(new radio)(또는 5G-NR)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5세대(5G) 네트워크들, 5G NR 비면허 스펙트럼(NR-U) 네트워크들, IAB(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네트워크들과 같은 5G-LTE 네트워크들, 및 Wi-Fi, CBRS(OnGo) 등을 포함하는 다른 비면허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들에 관한 것이다. 다른 양태들은 5G-NR 네트워크들에서의 DU(distributed unit)에서의 피드백 지연을 고려하는 차세대 노드-B(gNB)의 CU(centralized unit)과 DU 사이의 지연 측정들을 위한 기법들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통신은 초기 음성 시스템들로부터 오늘날의 매우 정교한 통합 통신 플랫폼으로 상당히 진화하였다. 다양한 네트워크 디바이스들과 통신하는 상이한 타입들의 디바이스들의 증가에 따라, 3GPP LTE 시스템들의 사용이 증가하였다. 현대 사회에서의 모바일 디바이스들(사용자 장비 또는 UE들)의 침투는 많은 상이한 환경들에서 매우 다양한 네트워킹된 디바이스들에 대한 요구를 계속 추동해 왔다. 5세대(5G) 무선 시스템들이 다가오고 있으며, 훨씬 더 큰 속도, 접속성, 및 유용성을 가능하게 할 것으로 예상된다. 차세대 5G 네트워크들(또는 NR 네트워크들)은 처리량, 커버리지, 및 강건성을 증가시키고 레이턴시와 운영 및 자본 지출을 감소시킬 것으로 예상된다. 5G-NR 네트워크들은 빠르고 풍부한 콘텐츠 및 서비스를 전달하는 매끄러운 무선 접속성 솔루션으로 사람들의 생활을 풍부하게 하기 위해 추가적이고 잠재적인 새로운 RAT(radio access technology)를 갖는 3GPP LTE-Advanced에 기초하여 계속 진화할 것이다. 현행의 셀룰러 네트워크 주파수가 포화됨에 따라, 밀리미터 파(mmWave) 주파수와 같은 더 높은 주파수들이 그들의 높은 대역폭으로 인해 유익할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잠재적인 LTE 동작은 DC(dual connectivity) 또는 DC-기반 LAA를 통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LTE 동작, 및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독립형 LTE 시스템을 포함하는데(그리고 이것으로만 제한되지는 않음), 이에 따르면, LTE-기반 기술은 MulteFire라고 불리는, 면허 스펙트럼에서의 "앵커(anchor)"를 요구하지 않으면서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단독으로 동작한다. 면허 스펙트럼뿐만 아니라, 비면허 스펙트럼에서의 LTE 및 NR 시스템들의 더 향상된 동작이 미래의 릴리즈들 및 5G 시스템들에서 예상된다. 이러한 향상된 동작들은 5G-NR 네트워크들에서 DU에서의 피드백 지연을 고려하여 gNB의 CU와 DU 사이의 지연 측정들을 지원하기 위한 기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반드시 축척대로 그려진 것은 아닌 도면들에서, 유사 번호들은 상이한 뷰들에서 유사한 컴포넌트들을 기술할 수 있다. 상이한 문자 접미사들을 갖는 유사 번호들은 유사한 컴포넌트들의 상이한 인스턴스들을 표현할 수 있다. 도면들은 일반적으로, 제한이 아니라 예에 의해서, 본 문서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양태들을 도시한다.
도 1a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1b 및 도 1c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비-로밍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2, 도 3, 및 도 4는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컴포넌트들을 도시한다.
도 5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IAB 아키텍처의 참조도를 도시한다.
도 6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IAB 아키텍처에서의 CU(central unit) - DU(distributed unit) 스플릿(split) 및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7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IAB MT/DU 동시 송신 또는 수신 통신 시나리오들을 도시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P/UP 분리를 갖는 스플릿 NG-RAN에서 (다운링크(DL) 및 업링크(UL)에 대한) NG-RAN과 UE 사이의 지연 측정을 도시한다.
도 9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진화된 노드-B(eNB), 새로운 세대 노드-B(gNB)(또는 또 다른 RAN 노드), 액세스 포인트(AP), 무선 스테이션(STA), 이동국(MS), 또는 사용자 장비(UE)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이하의 설명 및 도면은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들이 양태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기 위해 양태들을 충분히 도시한다. 다른 양태들은 구조적, 논리적, 전기적, 프로세스, 및 다른 변화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은 다른 양태들의 부분들 및 특징들에 포함되거나 또는 이들을 대체할 수 있다. 청구항들에 개요가 기술된 양태들은 이러한 청구항들의 모든 이용가능한 등가물들을 포괄한다.
도 1a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네트워크(140A)는 UE(user equipment)(101) 및 UE(102)를 포함하는 것으로 도시된다. UE들(101 및 102)은 스마트폰들(예컨대, 하나 이상의 셀룰러 네트워크에 접속가능한 핸드헬드 터치스크린 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들)로서 예시되지만, 임의의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 예컨대, PDA(Personal Data Assistant)들, 페이저들, 랩톱 컴퓨터들, 데스크톱 컴퓨터들, 무선 핸드셋들, 드론들, 또는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임의의 다른 컴퓨팅 디바이스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UE들(101 및 102)은 본 명세서에서 총괄하여 UE(101)라고 지칭될 수 있고, UE(101)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네트워크(140A) 또는 임의의 다른 예시된 네트워크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라디오 링크(radio link)들 중 임의의 것은 임의의 예시적인 라디오 통신 기술 및/또는 표준에 따라 동작할 수 있다.
LTE 및 LTE-Advanced는 모바일 전화기들과 같은 UE에 대한 고속 데이터 무선 통신을 위한 표준들이다. LTE-Advanced 및 다양한 무선 시스템들에서, 반송파 집성(carrier aggregation)은 그에 따르면 상이한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는 다중의 반송파 신호가 단일 UE에 대한 통신들을 운반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따라서 단일 디바이스에 이용가능한 대역폭을 증가시키는 기술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하나 이상의 성분 반송파가 비면허 주파수들 상에서 동작하는 경우 반송파 집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은, 예를 들어, 전용 면허 스펙트럼, 비면허 스펙트럼, (2.3-2.4GHz, 3.4-3.6GHz, 3.6-3.8GHz 및 추가의 주파수들에서의 LSA(Licensed Shared Access) 및 3.55-3.7GHz 및 추가의 주파수들에서의 SAS(Spectrum Access System)와 같은)(면허) 공유 스펙트럼을 포함하는 임의의 스펙트럼 관리 스킴의 맥락에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양태들은 OFDM 반송파 데이터 비트 벡터들을 대응하는 심벌 자원들에 할당함으로써 상이한 단일 캐리어 또는 OFDM 플레이버(flavor)들(CP-OFDM, SC-FDMA, SC-OFDM, FBMC(filter bank-based multicarrier), OFDMA 등) 및 특히 3GPP NR(New Radio)에 또한 적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들(101 및 102) 중 임의의 것은 IoT(Internet-of-Things) UE 또는 CIoT(Cellular IoT) UE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것은 단명의 UE 접속들을 활용하는 저전력 IoT 애플리케이션들을 위해 설계된 네트워크 액세스 계층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들(101 및 102) 중 임의의 것은 (예를 들어, eNB-IoT(enhanced NB-IoT) UE 및 추가 향상된(FeNB-IoT) UE와 같은) NB(narrowband) IoT UE를 포함할 수 있다. IoT UE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ProSe(Proximity-Based Service), 또는 D2D(device-to-device) 통신, 센서 네트워크들, 또는 IoT 네트워크들을 통해 MTC 서버 또는 디바이스와 데이터를 교환하기 위해 M2M(machine-to-machine) 또는 MTC(machine-type communications)와 같은 기술들을 활용할 수 있다. M2M 또는 MTC 데이터 교환은 머신 개시 데이터 교환일 수 있다. IoT 네트워크는, (인터넷 인프라스트럭처 내의) 고유하게 식별가능한 내장된 컴퓨팅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IoT UE들을, 단명 접속(short-lived connection)들로 상호접속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IoT UE들은 IoT 네트워크의 접속들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배경 애플리케이션들(예를 들어, 킵-얼라이브(keep-alive) 메시지들, 상태 업데이트들 등)을 실행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E들(101 및 102) 중 임의의 것은 eMTC(enhanced MTC) UE들 또는 FeMTC(further enhanced MTC) UE들을 포함할 수 있다.
UE들(101 및 102)은 RAN(radio access network)(110)과 접속하도록, 예를 들어, 통신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RAN(110)은, 예를 들어,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 NG RAN(NextGen RAN), 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RAN일 수 있다. UE들(101 및 102)은 접속들(103 및 104)을 제각기 이용하는데, 이들 각각은 물리적 통신 인터페이스 또는 계층(이하에서 더 상세히 논의됨)을 포함한다; 본 예에서, 접속들(103 및 104)은 통신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 인터페이스(air interface)로서 예시되고,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프로토콜, CDMA(code-division multiple access) 네트워크 프로토콜, PTT(Push-to-Talk) 프로토콜, POC(PTT over Cellular) 프로토콜,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프로토콜, 3GPP LTE(Long Term Evolution) 프로토콜, 5G(fifth-generation) 프로토콜, NR(New Radio) 프로토콜,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과 부합할 수 있다.
양태에서, UE들(101 및 102)은 ProSe 인터페이스(105)를 통해 통신 데이터를 추가로 직접 교환할 수 있다. ProSe 인터페이스(105)는 대안적으로, PSCCH(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 PSSCH(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 PSDCH(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 및 PSBCH(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를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논리 채널을 포함하는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sidelink interface)라고 지칭될 수 있다.
UE(102)는 접속(107)을 통해 AP(access point)(106)에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접속(107)은 예를 들어, AP(106)가 그에 따라 WiFi®(wireless fidelity) 라우터를 포함할 수 있는 임의의 IEEE 802.11 프로토콜과 부합하는 접속과 같은 로컬 무선 접속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예에서, AP(106)는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무선 시스템의 코어 네트워크에 접속하지 않고서 인터넷에 접속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RAN(110)은 접속들(103 및 104)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AN들(access node)은 BS들(base stations), NodeB들, eNB들(evolved NodeBs), 차세대 NodeB들(gNB들), RAN 네트워크 노드들, 및 그와 유사한 것이라고 지칭될 수 있고, 지리적 지역(예를 들어, 셀) 내에 커버리지를 제공하는 지상국들(예를 들어, 지상 액세스 포인트들) 또는 위성국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노드들(111 및 112)은 TRP(transmission/reception point)들일 수 있다. 통신 노드들(111 및 112)이 NodeB들(예를 들어, eNB들 또는 gNB들)인 사례들에서, 하나 이상의 TRP가 NodeB들의 통신 셀 내에서 기능할 수 있다. RAN(110)은 매크로셀들을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AN 노드, 예를 들어, 매크로 RAN 노드(111), 및 펨토셀들 또는 피코셀들(예를 들어, 매크로셀들에 비해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들, 더 작은 사용자 용량, 또는 더 높은 대역폭을 갖는 셀들)를 제공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RAN 노드, 예를 들어, LP(low power) RAN 노드(112)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 기반 2차 RAN 노드(112)를 포함할 수 있다.
RAN 노드들(111 및 112) 중 임의의 것은 에어 인터페이스 프로토콜의 종단을 이룰 수 있고, UE들(101 및 102)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일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RAN 노드들(111 및 112) 중 임의의 것은, 라디오 베어러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라디오 자원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 및 이동성 관리와 같은 RNC(radio network controller) 기능들을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RAN(110)을 위한 다양한 논리 기능들을 이행할 수 있다. 예에서, 노드들(111 및/또는 112) 중 임의의 것은 새로운 세대 노드-B(gNB), eNB(evolved node-B), 또는 또 다른 타입의 RAN 노드일 수 있다.
RAN(110)은 S1 인터페이스(113)를 통해 CN(core network)(12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양태들에서, CN(120)은 EPC(evolved packet core) 네트워크, NPC(NextGen Packet Core) 네트워크, 또는 어떤 다른 타입의 CN(예를 들어, 도 1b 내지 도 1c를 참조하여 도시됨)일 수 있다. 이 양태에서, S1 인터페이스(113)는 2개의 부분: RAN 노드들(111 및 112)과 S-GW(serving gateway)(122) 사이에서 사용자 트래픽 데이터를 운반하는 S1-U 인터페이스(114), 및 RAN 노드들(111 및 112)과 MME들(121)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S1-MME(mobility management entity) 인터페이스(115)로 스플릿된다.
이 양태에서, CN(120)은 MME들(121), S-GW(122), P-GW(PDN(Packet Data Network) Gateway)(123), 및 HSS(home subscriber server)(124)를 포함한다. MME들(121)은 기능면에서 레거시 SGSN(Serving GPRS(Serving General Packet Radio Service) Support Nodes)의 제어 평면과 유사할 수 있다. MME들(121)은 게이트웨이 선택 및 추적 영역 리스트 관리와 같은 액세스에서의 이동성 양태들을 관리할 수 있다. HSS(124)는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통신 세션들의 핸들링을 지원하기 위한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자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CN(120)은 모바일 가입자의 수, 장비의 용량, 네트워크의 조직 등에 좌우되어 하나 또는 몇 개의 HSS(124)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HSS(124)는 라우팅/로밍, 인증, 허가, 명명/어드레싱 레졸루션(addressing resolution), 로케이션 의존성 등을 위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S-GW(122)는 RAN(110)을 향한 S1 인터페이스(113)의 종단을 이루고, RAN(110)과 CN(120)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또한, S-GW(122)는 RAN 간 노드 핸드오버들을 위한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일 수 있고, 또한 3GPP 간 이동성을 위한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S-GW(122)의 다른 책임들은 합법적 인터셉트, 과금, 및 어떤 정책 집행을 포함할 수 있다.
P-GW(123)는 PDN을 향한 SGi 인터페이스의 종단을 이룰 수 있다. P-GW(123)는 IP(Internet Protocol) 인터페이스(125)를 통해 EPC 네트워크(120)와 애플리케이션 서버(184)(대안적으로 AF(application function)이라고 지칭됨)를 포함하는 네트워크와 같은 외부 네트워크들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P-GW(123)는 또한 인터넷, IPS(IP multimedia subsystem) 네트워크, 및 다른 네트워크들을 포함할 수 있는 다른 외부 네트워크들(131A)에게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애플리케이션 서버(184)는 코어 네트워크(예를 들어, UMTS PS(Packet Services) 도메인, LTE PS 데이터 서비스들 등)와 함께 IP 베어러 자원들을 이용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제공하는 요소일 수 있다. 이 양태에서, P-GW(123)는 IP 인터페이스(125)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8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애플리케이션 서버(184)는 또한 CN(120)을 통해 UE들(101 및 102)에 대한 하나 이상의 통신 서비스(예컨대, VoIP(Voice-over-Internet Protocol) 세션들, PTT 세션들, 그룹 통신 세션들, 소셜 네트워킹 서비스들 등)를 지원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P-GW(123)는 추가로 정책 집행 및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노드일 수 있다. PCRF(Policy and Charging Rules Function)(126)는 CN(120)의 정책 및 과금 제어 요소이다. 비-로밍 시나리오에서, 일부 양태들에서, UE의 IP-CAN(Internet Protocol Connectivity Access Network) 세션과 연관된 HPLMN(Home Public Land Mobile Network)에 단일 PCRF가 있을 수 있다. 트래픽의 로컬 브레이크아웃(local breakout)을 갖는 로밍 시나리오에서, UE의 IP-CAN 세션과 연관된 2개의 PCRF: HPLMN 내에서의 H-PCRF(Home PCRF) 및 VPLMN(Visited Public Land Mobile Network) 내에서의 V-PCRF(Visited PCRF)가 있을 수 있다. PCRF(126)는 P-GW(123)를 통해 애플리케이션 서버(184)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통신 네트워크(140A)는 면허(5G NR) 및 비면허(5G NR-U) 스펙트럼에서의 통신들을 사용하는 5G 뉴 라디오 네트워크를 포함하는, IoT 네트워크 또는 5G 네트워크일 수 있다. IoT의 현재의 인에이블러(enabler)들 중 하나는 협대역 IoT(NB-IoT)이다.
NG 시스템 아키텍처가 RAN(110) 및 5G 네트워크 코어(5GC)(120)를 포함할 수 있다. NG-RAN(110)은 gNB들 및 NG-eNB들과 같은, 복수의 노드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 네트워크(120)(예를 들어, 5G 코어 네트워크 또는 5GC)는 AMF(access and mobility function) 및/또는 UPF(user plane function)를 포함할 수 있다. AMF 및 UPF는 NG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gNB들 및 NG-eNB들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일부 양태들에서, gNB들 및 NG-eNB들은 NG-C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AMF에, 그리고 NG-U 인터페이스들에 의해 UPF에 접속될 수 있다. gNB들 및 NG-eNB들은 Xn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NG 시스템 아키텍처는 3GPP TS(Technical Specification) 23.501(예를 들어, V15.4.0, 2018-12)에 의해 제공되는 바와 같은 다양한 노드들 사이의 참조 포인트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gNB들 및 NG-eNB들 각각은 기지국, 모바일 에지 서버, 소형 셀, 홈 eNB, RAN 네트워크 노드, 및 등등으로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5G 아키텍처에서 gNB는 MN(master node)일 수 있고 NG-eNB는 SN(secondary node)일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마스터/1차 노드는 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고, 2차 노드는 비면허 대역에서 동작할 수 있다.
도 1b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비-로밍 5G 시스템 아키텍처를 도시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참조 포인트 표현으로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가 도시되어 있다. 더 구체적으로는, UE(102)는 RAN(110)은 물론이고 하나 이상의 다른 5GC(5G core) 네트워크 엔티티와 통신 상태에 있을 수 있다.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는 AMF(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132), LMF(location management function)(133), SMF(session management function)(136), PCF(policy control function)(148), AF(application function)(150), UPF(user plane function)(134), NSSF(network slice selection function)(142), AUSF(authentication server function)(144), 및 UDM(unified data management)/HSS(home subscriber server)(146)와 같은 복수의 NF(network function)를 포함한다. UPF(134)는 예를 들어, 운영자 서비스들, 인터넷 액세스, 또는 제3자 서비스들을 포함할 수 있는 DN(data network)(152)에 대한 접속을 제공할 수 있다. AMF(132)는 액세스 제어 및 이동성을 관리하기 위하여 이용될 수 있고,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기능성을 또한 포함할 수 있다. SMF(136)는 네트워크 정책에 따라 다양한 세션들을 셋업하고 관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PF(134)는 원하는 서비스 타입에 따라 하나 이상의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PCF(148)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이동성 관리, 및 로밍(4G 통신 시스템에서의 PCRF와 유사함)을 사용하여 정책 프레임워크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UDM은 가입자 프로필들 및 데이터(4G 통신 시스템에서의 HSS와 유사함)를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LMF(133)는 5G 위치설정(positioning) 기능성들과 관련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LMF(133)는 UE(101)의 위치를 계산하기 위해 NLs 인터페이스를 통해 AMF(132)를 통해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110) 및 모바일 디바이스(예를 들어, UE(101))로부터 측정들 및 보조 정보를 수신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NRPPa(NR positioning protocol A)는 차세대 제어 평면 인터페이스(NG-C)를 통해 NG-RAN과 LMF(133) 사이에서 위치설정 정보를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LMF(133)는 AMF(132)를 통해 LPP(LTE positioning protocol)를 사용하여 UE를 구성한다. NG RAN(110)은 LTE-Uu 및 NR-Uu 인터페이스들을 통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UE(101)를 구성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는 위치설정 측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이한 참조 신호들을 구성한다. 위치설정 측정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는 예시적인 참조 신호들은 다운링크에서의 위치설정 참조 신호(NR PRS) 및 업링크에서의 위치설정을 위한 SRS(sounding reference signal)를 포함한다. 다운링크 PRS(positioning reference signal)는 다운링크 기반 위치설정 방법들을 지원하도록 구성된 참조 신호이다.
일부 양태들에서, 5G 시스템 아키텍처(140B)는 CSCF(call session control function)들과 같은 IMS(IP multimedia subsystem)(168B)뿐만 아니라 복수의 IP 멀티미디어 코어 네트워크 서브시스템 엔티티를 포함한다. 더 구체적으로, IMS(168B)는 P-CSCF(proxy CSCF)(162BE), S-CSCF(serving CSCF)(164B), E-CSCF(emergency CSCF)(도 1b에 도시되지 않음), 또는 I-CSCF(interrogating CSCF)(166B)로서 행동할 수 있는 CSCF를 포함한다. P-CSCF(162B)는 IMS(IM subsystem)(168B) 내에서의 UE(102)에 대한 제1 접촉 포인트가 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S-CSCF(164B)는 네트워크 내의 세션 상태들을 핸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E-CSCF는 긴급 요청을 올바른 긴급 센터 또는 PSAP로 라우팅하는 것과 같은 긴급 세션들의 특정 양태들을 핸들링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I-CSCF(166B)는 해당 네트워크 운영자의 가입자 또는 해당 네트워크 운영자의 서비스 영역 내에 현재 위치하는 로밍 가입자로 향하게 되어 있는 모든 IMS 접속들을 위한 운영자의 네트워크 내에서의 접촉 포인트로서 기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I-CSCF(166B)는 또 다른 IP 멀티미디어 네트워크(170B), 예를 들어, 상이한 네트워크 운영자에 의해 운영되는 IMS에 접속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DM/HSS(146)는 애플리케이션 서버(160B)에 결합될 수 있고, 애플리케이션 서버(160B)는 TAS(telephony application server) 또는 또 다른 AS(application server)를 포함할 수 있다. AS(160B)는 S-CSCF(164B) 또는 I-CSCF(166B)를 통해 IMS(168B)에 결합될 수 있다.
참조 포인트 표현은 대응하는 NF 서비스들 사이에 상호작용이 존재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예를 들어, 도 1b는 다음의 참조 포인트들을 도시한다: N1(UE(102)와 AMF(132) 사이), N2(RAN(110)과 AMF(132) 사이), N3(RAN(110)과 UPF(134) 사이), N4(SMF(136)와 UPF(134) 사이), N5(PCF(148)와 AF(150) 사이, 도시되지 않음), N6(UPF(134)와 DN(152) 사이), N7(SMF(136)와 PCF(148) 사이, 도시되지 않음), N8(UDM(146)과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9(2개의 UPF(134)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0(UDM(146)과 SMF(136)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1(AMF(132)와 SMF(136)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2(AUSF(144)와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3(AUSF(144)와 UDM(146)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4(2개의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5(비-로밍 시나리오의 경우에 PCF(148)와 AMF(132) 사이, 또는 로밍 시나리오의 경우에 PCF(148)와 피방문(visited) 네트워크 및 AMF(132) 사이, 도시되지 않음), N16(2개의 SMF 사이, 도시되지 않음), 및 N22(AMF(132)와 NSSF(142) 사이, 도시되지 않음). 도 1b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참조 포인트 표현들이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도 1c는 5G 시스템 아키텍처(140C) 및 서비스 기반 표현을 도시한다. 도 1b에 도시된 네트워크 엔티티들에 더하여, 시스템 아키텍처(140C)는 NEF(network exposure function)(154) 및 NRF(network repository function)(156)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5G 시스템 아키텍처들은 서비스 기반일 수 있고, 네트워크 기능들 사이의 상호작용은 대응하는 포인트-투-포인트 참조 포인트들 Ni에 의해 또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들로서 표현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도 1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비스 기반 표현들이 다른 허가된 네트워크 기능들이 그들의 서비스들에 액세스할 수 있게 하는 제어 평면 내의 네트워크 기능들을 표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5G 시스템 아키텍처(140C)는 다음의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들: Namf(158H)(AMF(132)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smf(158I)(SMF(136)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ef(158B)(NEF(154)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pcf(158D)(PCF(148)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udm(158E)(UDM(146)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af(158F)(AF(150)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rf(158C)(NRF(156)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nssf(158A)(NSSF(142)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 Nausf(158G)(AUSF(144)에 의해 드러내어지는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c에 도시되지 않은 다른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들(예컨대, Nudr, N5g-eir, 및 Nudsf)도 사용될 수 있다.
도 2, 도 3, 도 4, 도 5, 도 6, 도 7, 및 도 8은 CP-UP 분리를 갖는 NG-RAN 네트워크들 및 IAB 네트워크들을 포함하는 5G-NR 네트워크들과 같은 상이한 통신 시스템들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의 양태들을 구현할 수 있는 다양한 시스템들, 디바이스들, 및 컴포넌트들을 예시한다. 도 1a 내지 도 9와 관련하여 논의된 UE들, 기지국들(예컨대, gNB들), 및/또는 다른 노드들(예를 들어, CP-UP 분리를 갖는 NG-RAN 네트워크 또는 IAB 네트워크에서의 통신 노드들 중 임의의 것)이 개시된 기법들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기지국"은 용어 "RAN 네트워크 노드"와 상호교환가능하다.
도 2는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네트워크(200)를 도시한다. 네트워크(200)는 LTE 또는 5G/NR 시스템들을 위한 3GPP 기술 사양들에 부합하는 방식으로 동작할 수 있다. 그러나,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이와 관련하여 제한되지는 않고, 설명된 실시예들은 미래의 3GPP 시스템들, 또는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원리들로부터 이익을 얻는 다른 네트워크들에 적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200)는, OTA(over-the-air) 접속을 통해 RAN(204)과 통신하도록 설계된 임의의 모바일 또는 비-모바일 컴퓨팅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UE(202)를 포함할 수 있다. UE(202)는 스마트폰, 태블릿 컴퓨터, 웨어러블 컴퓨팅 디바이스, 데스크톱 컴퓨터, 랩톱 컴퓨터, 차량 내 인포테인먼트(in-vehicle infotainment), 차량 내 엔터테인먼트 디바이스, 기기 클러스터, 헤드업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온보드 진단 디바이스, 대시톱(dashtop) 모바일 장비, 모바일 데이터 단말기, 전자 엔진 관리 시스템, 전자/엔진 제어 유닛, 전자/엔진 제어 모듈, 임베디드 시스템, 센서, 마이크로컨트롤러, 제어 모듈, 엔진 관리 시스템, 네트워킹된 어플라이언스, 머신 타입 통신 디바이스, M2M 또는 D2D 디바이스, IoT 디바이스 등일 수 있는데, 이들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네트워크(200)는 사이드링크 인터페이스를 통해 서로 직접 결합된 복수의 UE를 포함할 수 있다. UE들은 PSBCH, PSDCH, PSSCH, PSCCH, PSFCH 등과 같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 물리적 사이드링크 채널들을 사용하여 통신하는 M2M/D2D 디바이스들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202)는 OTA(over-the-air) 접속을 통해 AP(206)와 추가적으로 통신할 수 있다. RAN(204)으로부터의 일부/모든 네트워크 트래픽을 오프로드하도록 서빙할 수 있는 AP(206)는 WLAN 접속을 관리할 수 있다. UE(202)와 AP(206) 사이의 접속은 임의의 IEEE 802.11 프로토콜과 부합할 수 있으며, 여기서 AP(206)는 Wi-Fi®(wireless fidelity) 라우터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202), RAN(204), 및 AP(206)는 셀룰러-WLAN 집성(예를 들어, LWA/LWIP)을 활용할 수 있다. 셀룰러-WLAN 집성은 UE(202)가 셀룰러 라디오 자원들 및 WLAN 자원들 둘 다를 활용하도록 RAN(204)에 의해 구성되는 것을 수반할 수 있다.
RAN(204)은 하나 이상의 액세스 노드, 예를 들어, 액세스 노드(AN)(208)를 포함할 수 있다. AN(208)은 RRC,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 및 L1 프로토콜들을 포함하는 액세스 스트라텀 프로토콜(access stratum protocol)들을 제공함으로써 UE(202)에 대한 에어-인터페이스 프로토콜들의 종단을 이룰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N(208)은 코어 네트워크(CN)(220)와 UE(202) 사이의 데이터/음성 접속성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N(208)은 이산 디바이스에서, 또는 예를 들어, CRAN 또는 가상 기저대역 유닛 풀로서 지칭될 수 있는 가상 네트워크의 일부로서 서버 컴퓨터들 상에서 실행되는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엔티티로서 구현될 수 있다. AN(208)은 BS, gNB, RAN 노드, eNB, ng-eNB, NodeB, RSU, TRxP, TRP 등이라고 지칭될 수 있다. AN(208)은 매크로셀 기지국 또는 펨토셀들, 피코셀들, 또는 매크로셀들과 비교해 더 작은 커버리지 영역들, 더 작은 사용자 용량, 또는 더 높은 대역폭을 갖는 다른 유사한 셀들을 제공하기 위한 저전력 기지국일 수 있다.
RAN(204)이 복수의 AN을 포함하는 실시예들에서, 이것들은 X2 인터페이스(RAN(204)이 LTE RAN인 경우) 또는 Xn 인터페이스(RAN(204)이 5G RAN인 경우)를 통해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제어/사용자 평면 인터페이스들로 분리될 수 있는 X2/Xn 인터페이스들은 AN들이 핸드오버들, 데이터/컨텍스트 전송들, 이동성, 부하 관리, 간섭 조정 등과 관련된 정보를 통신하게 허용할 수 있다.
RAN(204)의 AN들은 각각 UE(202)에게 네트워크 액세스를 위한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하기 위해서 하나 이상의 셀, 셀 그룹들, 성분 반송파들 등을 관리할 수 있다. UE(202)는 RAN(204)의 동일하거나 상이한 AN들에 의해 제공되는 복수의 셀과 동시에 접속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202) 및 RAN(204)은 반송파 집성을 이용하여 UE(202)가 Pcell 또는 Scell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성분 반송파와 접속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이중 접속성 시나리오들에서, 제1 AN은 MCG를 제공하는 마스터 노드일 수 있고 제2 AN은 SCG를 제공하는 보조 노드일 수 있다. 제1/제2 AN들은 eNB, gNB, ng-eNB 등의 임의의 조합일 수 있다.
RAN(204)은 면허 스펙트럼 또는 비면허 스펙트럼을 통해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에서 동작하기 위해, 노드들은 PCell들/Scell들을 갖는 CA 기술에 기초한 LAA, eLAA, 및/또는 feLAA 메커니즘들을 사용할 수 있다. 비면허 스펙트럼에 액세스하기 전에, 노드들은, 예를 들어, LBT(listen-before-talk) 프로토콜에 기초하여 매체/반송파 감지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다.
V2X 시나리오들에서, UE(202) 또는 AN(208)은, V2X 통신들을 위해 사용되는 임의의 수송 인프라스트럭처 엔티티를 지칭할 수 있는, RSU(roadside unit)일 수 있거나 또는 이것으로서 작용할 수 있다. RSU는 적합한 AN 또는 고정형(또는 비교적 고정형) UE에서 또는 그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UE에서 또는 그에 의해 구현되는 RSU는 "UE-타입 RSU"라고 지칭될 수 있고; eNB는 "eNB-타입 RSU"라고 지칭될 수 있고; gNB는 "gNB-타입 RSU"라고 지칭될 수 있고; 및 그와 유사한 식으로 된다. 일 예에서, RSU는 통과하는 차량 UE들에 대한 접속성 지원을 제공하는 노변 상에 위치하는 라디오 주파수 회로와 결합되는 컴퓨팅 디바이스이다. RSU는 또한 교차로 지도 기하 구조, 교통 통계, 미디어(media)를 저장하는 내부 데이터 저장 회로뿐만 아니라, 진행 중인 차량 및 보행자 교통을 감지하고 제어하는 애플리케이션들/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RSU는 충돌 회피, 교통 경고, 및 그와 유사한 것과 같은 고속 이벤트들에 대해 요구되는 매우 낮은 레이턴시 통신들을 제공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RSU는 다른 셀룰러/WLAN 통신 서비스들을 제공할 수 있다. RSU의 컴포넌트들은 실외 설치에 적합한 내후성 인클로저에 패키징될 수 있고, 교통 신호 제어기 또는 백홀 네트워크에 유선 접속(예를 들어, 이더넷)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AN(204)은 eNB들, 예를 들어, eNB(212)를 갖는 LTE RAN(210)일 수 있다. LTE RAN(210)은 다음의 특성들을 갖는 LTE 에어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15kHz의 SCS(sub-carrier spacing); DL(downlink)에 대한 CP-OFDM 파형 및 UL(uplink)에 대한 SC-FDMA 파형; 데이터를 위한 터보 코드들 및 제어를 위한 TBCC; 등. LTE 에어 인터페이스는 CSI 취득 및 빔 관리를 위한 CSI-RS; PDSCH/PDCCH 복조를 위한 PDSCH/PDCCH DMRS; 및 셀 탐색 및 초기 취득, 채널 품질 측정들, 및 UE에서의 코히어런트 복조/검출을 위한 채널 추정을 위한 CRS에 의존할 수 있다. LTE 에어 인터페이스는 6GHz 이하 대역들에서 동작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RAN(204)은 gNB들, 예를 들어, gNB(216), 또는 ng-eNB들, 예를 들어, ng-eNB(218)를 갖는 NG-RAN(214)일 수 있다. gNB(216)는 5G NR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5G-가능 UE들과 접속할 수 있다. gNB(216)는 N2 인터페이스 또는 N3 인터페이스를 포함할 수 있는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코어와 접속할 수 있다. ng-eNB(218)는 또한 NG 인터페이스를 통해 5G 코어와 접속할 뿐만 아니라, LTE 에어 인터페이스를 통해 UE와 접속할 수 있다. gNB(216) 및 ng-eNB(218)는 Xn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G 인터페이스는 2개의 부분, 즉 NG-RAN(214)과 UPF(248)의 노드들 사이에서 트래픽 데이터를 운반하는 NG 사용자 평면(NG-U) 인터페이스(예로서, N3 인터페이스), 및 NG-RAN(214)과 AMF(244)의 노드들 사이의 시그널링 인터페이스인 NG 제어 평면(NG-C) 인터페이스(예로서, N2 인터페이스)로 스플릿될 수 있다.
NG-RAN(214)은 5G-NR 에어 인터페이스에게 다음의 특성들을 제공할 수 있다: 가변 SCS; DL을 위한 CP-OFDM, CP-OFDM, 및 UL을 위한 DFT-s-OFDM; 제어를 위한 폴라(polar), 반복, 심플렉스(simplex), 및 리드-뮬러(Reed-Muller) 코드들 및 데이터를 위한 LDPC. 5G-NR 에어 인터페이스는 LTE 에어 인터페이스와 유사하게 CSI-RS, PDSCH/PDCCH DMRS에 의존할 수 있다. 5G-NR 에어 인터페이스는 CRS를 이용하지 않을 수 있지만, PBCH 복조를 위한 PBCH DMRS; PDSCH를 위한 위상 추적을 위한 PTRS, 및 시간 추적을 위한 추적 참조 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5G-NR 에어 인터페이스는 6GHz 이하 대역들을 포함하는 FR1 대역들 또는 24.25GHz 내지 52.6GHz의 대역들을 포함하는 FR2 대역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5G-NR 에어 인터페이스는 PSS/SSS/PBCH를 포함하는 다운링크 자원 그리드의 영역인 SSB(SS/PBCH(synchronization signal and physical broadcast channel) block)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5G-NR 에어 인터페이스는 다양한 목적들을 위해 BWP(bandwidth part)들을 활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BWP는 SCS의 동적 적응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UE(202)는 각각의 BWP 구성이 상이한 SCS를 갖는 다중의 BWP로 구성될 수 있다. BWP 변경이 UE(202)에게 표시될 때, 송신의 SCS가 마찬가지로 변경된다. BWP의 또 다른 사용 사례 예는 전력 절약에 관련된다. 특히, 상이한 트래픽 로딩 시나리오들 하에서 데이터 송신을 지원하기 위해 상이한 양의 주파수 자원들(예를 들어, PRB들)을 갖는 다중의 BWP가 UE(202)에 대해 구성될 수 있다. UE(202)에서 그리고 일부 경우들에서는 gNB(216)에서 전력 절약을 허용하면서 작은 트래픽 부하를 갖는 데이터 송신을 위해 보다 적은 수의 PRB들을 포함하는 BWP가 사용될 수 있다. 더 많은 수의 PRB들을 포함하는 BWP가 더 높은 트래픽 부하들을 갖는 시나리오들에 대해 사용될 수 있다.
RAN(204)은 고객들/가입자들(예를 들어, UE(202)의 사용자들)에 대한 데이터 및 전기통신 서비스들을 지원하기 위한 다양한 기능들을 제공하는 네트워크 요소들을 포함하는 CN(220)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CN(220)의 컴포넌트들은 하나의 물리적 노드 또는 별개의 물리적 노드들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NFV가 CN(220)의 네트워크 요소들에 의해 제공되는 기능들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서버들, 스위치들 등 내의 물리적 컴퓨팅/저장 자원들 상으로 가상화하는데 활용될 수 있다. CN(220)의 논리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라고 지칭될 수 있고, CN(220)의 부분의 논리적 인스턴스화는 네트워크 서브-슬라이스라고 지칭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CN(220)은 EPC(또는 enhanced packet core)로도 지칭될 수 있는 EPS(Enhanced Packet System)(222)의 일부로서 LTE 라디오 네트워크에 접속될 수 있다. EPC(222)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들(또는 "참조 포인트들")을 통해 서로 결합된 MME(224), SGW(226), SGSN(228), HSS(230), PGW(232), 및 PCRF(234)를 포함할 수 있다. EPC(222)의 요소들의 기능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소개될 수 있다.
MME(224)는 페이징, 베어러 활성화/비활성화, 핸드오버들, 게이트웨이 선택, 인증 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UE(202)의 현재 로케이션을 추적하는 이동성 관리 기능들을 구현할 수 있다.
SGW(226)는 RAN을 향한 S1 인터페이스의 종단을 이루고 RAN과 EPC(222)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SGW(226)는 RAN 간 노드 핸드오버들을 위한 로컬 이동성 앵커 포인트일 수 있고, 또한 3GPP 간 이동성을 위한 앵커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책임들은 합법적 인터셉트, 과금, 및 어떤 정책 집행을 포함할 수 있다.
SGSN(228)은 UE(202)의 로케이션을 추적하고 보안 기능들 및 액세스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그에 부가하여, SGSN(228)은 상이한 RAT 네트워크들 간의 이동성을 위한 EPC 간 노드 시그널링; MME(224)에 의해 지정된 바와 같은 PDN 및 S-GW 선택; 핸드오버들을 위한 MME 선택; 등을 수행할 수 있다. MME(224)와 SGSN(228) 사이의 S3 참조 포인트는 유휴/활성 상태들에서 3GPP 간 액세스 네트워크 이동성을 위한 사용자 및 베어러 정보 교환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HSS(230)는 네트워크 엔터티들의 통신 세션의 핸들링을 지원하기 위한 가입 관련 정보를 포함하는, 네트워크 사용자들을 위한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HSS(230)는 라우팅/로밍, 인증, 허가, 명명/어드레싱 레졸루션(naming/addressing resolution), 로케이션 의존성 등을 위한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HSS(230)와 MME(224) 사이의 S6a 참조 포인트는 LTE CN(220)에의 사용자 액세스를 인증/허가하기 위한 가입 및 인증 데이터의 전송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PGW(232)는 애플리케이션/콘텐츠 서버(238)를 포함할 수 있는 DN(data network)(236)를 향한 SGi 인터페이스의 종단을 이룰 수 있다. PGW(232)는 LTE CN(220)과 데이터 네트워크(236) 사이에서 데이터 패킷들을 라우팅할 수 있다. PGW(232)는 사용자 평면 터널링 및 터널 관리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S5 참조 포인트에 의해 SGW(226)와 결합될 수 있다. PGW(232)는 정책 집행 및 과금 데이터 수집을 위한 노드(예를 들어, PCEF)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PGW(232)와 데이터 네트워크(236) 사이의 SGi 참조 포인트는, 예를 들어, IMS 서비스의 제공을 위한 운영자 외부의 공중, 사설 PDN, 또는 운영자내 패킷 데이터 네트워크일 수 있다. PGW(232)는 Gx 참조 포인트를 통해 PCRF(234)와 결합될 수 있다.
PCRF(234)는 LTE CN(220)의 정책 및 과금 제어 요소이다. PCRF(234)는 서비스 흐름들에 대한 적절한 QoS 및 과금 파라미터들을 결정하기 위해 앱/콘텐츠 서버(238)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PCRF(234)는 적절한 TFT 및 QCI를 이용하여 연관된 규칙들을(Gx 참조 포인트를 통해) PCEF 내에 프로비저닝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CN(220)은 5GC(240)일 수 있다. 5GC(24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인터페이스들(또는 "참조 포인트들")을 통해 서로 결합된 AUSF(242), AMF(244), SMF(246), UPF(248), NSSF(250), NEF(252), NRF(254), PCF(256), UDM(258), 및 AF(260)를 포함할 수 있다. 5GC(240)의 요소들의 기능들은 다음과 같이 간략하게 소개될 수 있다.
AUSF(242)는 UE(202)의 인증을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인증 관련 기능성을 핸들링할 수 있다. AUSF(242)는 다양한 액세스 타입들에 대한 공통 인증 프레임워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포인트들을 통해 5GC(240)의 다른 요소들과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AUSF(242)는 Nausf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 있다.
AMF(244)는 5GC(240)의 다른 기능들이 UE(202) 및 RAN(204)과 통신하고 그리고 UE(202)에 대한 이동성 이벤트들에 관한 통지들에 가입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AMF(244)는 (예를 들어, UE(202)를 등록하기 위한) 등록 관리, 접속 관리, 도달가능성 관리, 이동성 관리, AMF 관련 이벤트들의 합법적 인터셉션, 및 액세스 인증 및 허가를 담당할 수 있다. AMF(244)는 UE(202)와 SMF(246) 사이의 SM 메시지들에 대한 전송을 제공할 수 있고, SM 메시지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투명 프록시로서 작용할 수 있다. AMF(244)는 또한 UE(202)와 SMSF 사이의 SMS 메시지들을 위한 전송을 제공할 수 있다. AMF(244)는 다양한 보안 앵커 및 컨텍스트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기 위해 AUSF(242) 및 UE(202)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더욱이, AMF(244)는 RAN(204)과 AMF(244) 사이의 N2 참조 포인트를 포함하거나 이것일 수 있는, RAN CP 인터페이스의 종단 포인트일 수 있고; AMF(244)는 NAS(N1) 시그널링의 종단 포인트일 수 있고, NAS 암호화 및 무결성 보호를 수행할 수 있다. AMF(244)는 또한 N3 IWF 인터페이스를 통해 UE(202)와의 NAS 시그널링을 지원할 수 있다.
SMF(246)는 SM(예를 들어, 세션 확립, UPF(248)와 AN(208) 사이의 터널 관리); UE IP 어드레스 할당 및 관리(선택적인 허가를 포함함); UP 기능의 선택 및 제어; 트래픽을 적절한 목적지로 라우팅하도록 UPF(248)에서 트래픽 스티어링을 구성하는 것; 정책 제어 기능들을 향한 인터페이스들의 종료; 정책 집행, 과금, 및 QoS의 일부를 제어하는 것; (SM 이벤트들 및 LI 시스템에의 인터페이스에 대한) 합법적 인터셉트; NAS 메시지들의 SM 부분들의 종료;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AMF(244)를 경유해 N2를 통해 AN(208)에 전송되는 AN 특정적 SM 정보를 개시하는 것; 및 세션의 SSC 모드를 결정하는 것을 담당할 수 있다. SM은 PDU 세션의 관리를 지칭할 수 있고, PDU 세션 또는 "세션"은 UE(202)와 데이터 네트워크(236) 사이의 PDU들의 교환을 제공하거나 가능하게 하는 PDU 접속성 서비스를 지칭할 수 있다.
UPF(248)는 RAT 내 및 RAT 간 이동성을 위한 앵커 포인트, 데이터 네트워크(236)에 상호접속하기 위한 외부 PDU 세션 포인트, 및 멀티-홈 PDU 세션들을 지원하는 분기 포인트로서 작용할 수 있다. UPF(248)는 또한 패킷 라우팅 및 포워딩을 수행하고, 패킷 검사를 수행하고, 정책 규칙들의 사용자 평면 부분을 집행하고, 합법적으로 패킷들을 인터셉트하고(UP 수집), 트래픽 사용 보고를 수행하고, 사용자 평면에 대한 QoS 핸들링을 수행하고(예를 들어, 패킷 필터링, 게이팅, UL/DL 레이트 집행), 업링크 트래픽 검증(예를 들어, SDF-대-QoS 흐름 매핑)을 수행하고, 업링크 및 다운링크에서의 레벨 패킷 마킹을 전송하고, 다운링크 패킷 버퍼링 및 다운링크 데이터 통지 트리거링을 수행할 수 있다. UPF(248)는 트래픽 흐름들을 데이터 네트워크에 라우팅하는 것을 지원하기 위한 업링크 분류기를 포함할 수 있다.
NSSF(250)는 UE(202)를 서빙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의 세트를 선택할 수 있다. NSSF(250)는 또한, 필요하다면, 허용된 NSSAI 및 가입된 S-NSSAI들로의 매핑을 결정할 수 있다. NSSF(250)는 또한 UE(202)를 서빙하기 위해 사용될 AMF 세트, 또는 후보 AMF들의 리스트를 적절한 구성에 기초하여 그리고 가능하게는 NRF(254)에 질의함으로써 결정할 수 있다. UE(202)에 대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인스턴스들의 세트의 선택은 UE(202)가 NSSF(250)와 상호작용함으로써 등록되는 AMF(244)에 의해 트리거될 수 있으며, 이는 AMF의 변경으로 이끌 수 있다. NSSF(250)는 N22 참조 포인트를 통해 AMF(244)와 상호작용할 수 있고; 및 N31 참조 포인트(도시되지 않음)를 통해 피방문 네트워크에서 또 다른 NSSF와 통신할 수 있다. 부가적으로, NSSF(250)는 Nnssf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 있다.
NEF(252)는 제3자, 내부 노출/재노출, AF들(예를 들어, AF(260)), 에지 컴퓨팅 또는 포그 컴퓨팅 시스템들 등에 대한 3GPP 네트워크 기능들에 의해 제공되는 서비스들 및 능력들을 안전하게 노출시킬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들에서, NEF(252)는 AF들을 인증, 허가, 또는 스로틀링(throttling)할 수 있다. NEF(252)는 또한 AF(260)와 교환되는 정보 및 내부 네트워크 기능들과 교환되는 정보를 변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NEF(252)는 AF-서비스-식별자와 내부 5GC 정보 사이에서 변환할 수 있다. NEF(252)는 또한 다른 NF들의 노출된 능력들에 기초하여 다른 NF들로부터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러한 정보는 구조화된 데이터로서 NEF(252)에서, 또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들을 사용하여 데이터 저장소 NF에서 저장될 수 있다. 그 후 저장된 정보는 NEF(252)에 의해 다른 NF들 및 AF들에게 재노출되거나, 또는 분석과 같은 다른 목적들을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덧붙여, NEF(252)는 Nnef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 있다.
NRF(254)는 서비스 발견 기능들을 지원하고, NF 인스턴스들로부터 NF 발견 요청들을 수신하고, 발견된 NF 인스턴스들의 정보를 NF 인스턴스들에게 제공할 수 있다. NRF(254)는 또한 이용가능한 NF 인스턴스들 및 그들의 지원되는 서비스들에 대한 정보를 유지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될 때, 용어 "인스턴스화하다", "인스턴스화", 및 그와 유사한 것은 인스턴스의 생성을 지칭할 수 있으며, "인스턴스"는 예를 들어, 프로그램 코드의 실행 동안 발생할 수 있는 객체의 구체적인 발생을 지칭할 수 있다. 덧붙여, NRF(254)는 Nnrf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 있다.
PCF(256)는 제어 평면 기능들에게 정책 규칙들을 제공하여 이들을 집행할 수 있고, 또한 네트워크 거동을 통제하기 위해 통합된 정책 프레임워크를 지원할 수 있다. PCF(256)는 또한 UDM(258)의 UDR에서의 정책 결정들에 관련 있는 가입 정보에 액세스하기 위해 프론트 엔드를 구현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포인트들을 통해 기능들과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PCF(256)는 Npcf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낸다.
UDM(258)은 네트워크 엔티티들의 통신 세션들의 핸들링을 지원하기 위해 가입 관련 정보를 핸들링할 수 있고, UE(202)의 가입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입 데이터는 UDM(258)과 AMF(244) 사이의 N8 참조 포인트를 통해 통신될 수 있다. UDM(258)은 2개의 부분, 애플리케이션 프론트 엔드 및 UDR(user data repository)(도 2에 도시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UDR은 UDM(258) 및 PCF(256)에 대한 가입 데이터 및 정책 데이터, 및/또는 NEF(252)에 대한 노출을 위한 구조화된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 데이터(애플리케이션 검출을 위한 PFD들, 다중의 UE(202)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요청 정보를 포함함)를 저장할 수 있다. UDM(258), PCF(256), 및 NEF(252)가 저장된 데이터의 특정 세트에 액세스할 뿐만 아니라, UDR에서의 관련 데이터 변경들의 통지를 판독, 업데이트(예를 들어, 추가, 수정), 삭제, 및 가입하도록 허용하기 위해 Nudr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가 UDR에 의해 드러내어질 수 있다. UDM은 UDM-FE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은 자격증명 처리, 로케이션 관리, 가입 관리, 및 등등을 담당한다. 여러 가지의 상이한 프론트 엔드들이 상이한 트랜잭션들에서 동일 사용자를 서빙할 수 있다. UDM-FE는 UDR에 저장된 가입 정보에 액세스하고, 인증 자격증명 처리, 사용자 식별 핸들링, 액세스 허가, 등록/이동성 관리, 및 가입 관리를 수행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참조 포인트들을 통해 다른 NF들과 통신하는 것에 더하여, UDM(258)은 Nudm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 있다.
AF(260)는 트래픽 라우팅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영향을 제공하고, NEF에의 액세스를 제공하고, 정책 제어를 위한 정책 프레임워크와 상호작용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5GC(240)는 UE(202)가 네트워크에 소속되어 있는 포인트에 지리적으로 가깝도록 운영자/제3자 서비스들을 선택함으로써 에지 컴퓨팅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네트워크 상의 레이턴시 및 부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에지 컴퓨팅 구현들을 제공하기 위해, 5GC(240)는 UE(202)에 가까운 UPF(248)를 선택하고, N6 인터페이스를 통해 UPF(248)로부터 데이터 네트워크(236)로의 트래픽 스티어링을 실행할 수 있다. 이는 AF(260)에 의해 제공되는 UE 가입 데이터, UE 로케이션, 및 정보에 기초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AF(260)는 UPF (재)선택 및 트래픽 라우팅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 운영자 배치에 기초하여, AF(260)가 신뢰 엔티티인 것으로 간주될 때, 네트워크 운영자는 AF(260)가 관련 NF들과 직접 상호작용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다. 덧붙여, AF(260)는 Naf 서비스 기반 인터페이스를 드러낼 수 있다.
데이터 네트워크(236)는 예를 들어, 애플리케이션/콘텐츠 서버(238)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서버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 운영자 서비스들, 인터넷 액세스, 또는 제3자 서비스들을 나타낼 수 있다.
도 3은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무선 네트워크(300)를 도식적으로 도시한다. 무선 네트워크(300)는 AN(304)과 무선 통신 상태에 있는 UE(302)를 포함할 수 있다. UE(302) 및 AN(304)은 본 명세서의 다른 곳에서 설명된 유사 명명된 컴포넌트들과 유사하고, 실질적으로 이것들과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UE(302)는 접속(306)을 통해 AN(304)과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접속(306)은 통신 결합을 가능하게 하는 에어 인터페이스로서 예시되고, mmWave 또는 6GHz 이하 주파수들에서 동작하는 LTE 프로토콜 또는 5G NR 프로토콜과 같은 셀룰러 통신 프로토콜들에 부합할 수 있다.
UE(302)는 모뎀 플랫폼(310)과 결합된 호스트 플랫폼(308)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플랫폼(308)은 모뎀 플랫폼(310)의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와 결합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312)를 포함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312)는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소싱/싱크(source/sink)하는 UE(302)에 대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들을 실행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312)는 데이터 네트워크로/로부터 애플리케이션 데이터를 송신/수신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계층 동작을 더 구현할 수 있다. 이러한 계층 동작들은 전송(예를 들어, UDP) 및 인터넷(예를 들어, IP)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는 접속(306)을 통한 데이터의 송신 또는 수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계층 동작을 구현할 수 있다.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에 의해 구현되는 계층 동작들은, 예를 들어, MAC, RLC, PDCP, RRC, 및 NAS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뎀 플랫폼(310)은 네트워크 프로토콜 스택에서의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에 의해 수행되는 계층 동작들 "아래"에 있는 하나 이상의 계층 동작을 구현할 수 있는 디지털 기저대역 회로(316)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동작들은, 예를 들어, HARQ-ACK 기능들, 스크램블링/디스크램블링, 인코딩/디코딩, 계층 매핑/디매핑, 변조 심벌 매핑, 수신된 심벌/비트 메트릭 결정, 공간-시간, 공간-주파수 또는 공간적 코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는 멀티-안테나 포트 프리코딩/디코딩, 참조 신호 생성/검출, 프리앰블 시퀀스 생성 및/또는 디코딩, 동기화 시퀀스 생성/검출, 제어 채널 신호 블라인드 디코딩, 및 다른 관련 기능들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PHY 동작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모뎀 플랫폼(310)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326)을 포함하거나 이것에 접속될 수 있는, 송신 회로(318), 수신 회로(320), RF 회로(322), 및 RFFE(RF front end)(324)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간략하게는, 송신 회로(318)는 디지털-투-아날로그 컨버터, 믹서, IF(intermediate frequency) 컴포넌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수신 회로(320)는 아날로그-투-디지털 컨버터, 믹서, IF 컴포넌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RF 회로(322)는 저잡음 증폭기, 전력 증폭기, 전력 추적 컴포넌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고; RFFE(324)는 필터들(예를 들어, 표면/벌크 음향파 필터들), 스위치들, 안테나 튜너들, 빔포밍 컴포넌트들(예를 들어, 위상 어레이 안테나 컴포넌트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송신 회로(318), 수신 회로(320), RF 회로(322), RFFE(324), 및 안테나 패널들(326)(일반적으로 "송신/수신 컴포넌트들"로 지칭됨)의 컴포넌트들의 선택 및 배열은, 예를 들어, 통신이 TDM 또는 FDM인지, mmWave 또는 6GHz 이하 주파수들 등인지와 같은 특정 구현의 상세사항들에게 특정적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송신/수신 컴포넌트들은 다중의 병렬 송신/수신 체인으로 배열될 수 있고, 동일하거나 상이한 칩들/모듈들 등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는 송신/수신 컴포넌트들에 대한 제어 기능들을 제공하기 위한 제어 회로(도시되지 않음)의 하나 이상의 인스턴스를 포함할 수 있다.
UE 수신은 안테나 패널들(326), RFFE(324), RF 회로(322), 수신 회로(320), 디지털 기저대역 회로(316), 및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에 의해 그리고 이들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안테나 패널들(326)은 하나 이상의 안테나 패널(326)의 복수의 안테나/안테나 소자에 의해 수신되는 수신-빔포밍 신호(receive-beamforming signal)들에 의해 AN(304)으로부터의 송신을 수신할 수 있다.
UE 송신은 프로토콜 처리 회로(314), 디지털 기저대역 회로(316), 송신 회로(318), RF 회로(322), RFFE(324), 및 안테나 패널들(326)에 의해 그리고 이들을 통해 확립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UE(302)의 송신 컴포넌트들은 안테나 패널들(326)의 안테나 소자들에 의해 방출되는 송신 빔을 형성하기 위해 송신될 데이터에 공간적 필터를 적용할 수 있다.
UE(302)와 유사하게, AN(304)은 모뎀 플랫폼(330)과 결합된 호스트 플랫폼(328)을 포함할 수 있다. 호스트 플랫폼(328)은 모뎀 플랫폼(330)의 프로토콜 처리 회로(334)와 결합된 애플리케이션 처리 회로(332)를 포함할 수 있다. 모뎀 플랫폼은 디지털 기저대역 회로(336), 송신 회로(338), 수신 회로(340), RF 회로(342), RFFE 회로(344), 및 안테나 패널들(346)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AN(304)의 컴포넌트들은 UE(302)의 유사하게 명명된 컴포넌트들과 유사하고 및 이들과 실질적으로 상호교환가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데이터 송신/수신을 수행하는 것에 더하여, AN(304)의 컴포넌트들은, 예를 들어, 라디오 베어러 관리, 업링크 및 다운링크 동적 라디오 자원 관리, 및 데이터 패킷 스케줄링과 같은 RNC 기능들을 포함하는 다양한 논리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는 일부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라, 머신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예를 들어, 비일시적 머신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부터 명령어들을 판독하고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할 수 있는 컴포넌트들을 예시하는 블록도이다. 구체적으로, 도 4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또는 프로세서 코어)(410), 하나 이상의 메모리/저장 디바이스(420), 및 하나 이상의 통신 자원(430)을 포함하는 하드웨어 자원들(400)의 도식화된 표현을 보여주며, 이들 각각은 버스(440) 또는 또 다른 인터페이스 회로를 통해 통신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노드 가상화(예를 들어, NFV)가 활용되는 실시예들에 대해, 하이퍼바이저(402)가 실행되어 하드웨어 자원들(400)을 활용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서브-슬라이스에 대한 실행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10)은, 예를 들어, 프로세서(412) 및 프로세서(41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들(410)은, 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RISC(reduced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CISC(complex instruction set computing) 프로세서, GPU(graphics processing unit), 기저대역 프로세서와 같은 DSP, ASIC, FPGA, RFIC(radio-frequency integrated circuit), 또 다른 프로세서(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것들을 포함함),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일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420)은 메인 메모리, 디스크 저장소,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420)은 DRAM(dynamic random access memory),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솔리드-스테이트 저장소 등과 같은 임의 타입의 휘발성, 비휘발성, 또는 반휘발성(semi-volatile)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는데, 이것들로만 제한되지는 않는다.
통신 자원들(430)은 네트워크(408)를 통해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404) 또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베이스(406) 또는 다른 네트워크 요소들과 통신하기 위한 상호접속 또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제어기들, 컴포넌트들, 또는 다른 적절한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신 자원들(430)은(예를 들어, USB, 이더넷 등을 통한 결합을 위한) 유선 통신 컴포넌트들, 셀룰러 통신 컴포넌트들, NFC 컴포넌트들, 블루투스®(또는 블루투스® 로우 에너지) 컴포넌트들, Wi-Fi® 컴포넌트들, 및 다른 통신 컴포넌트들을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450)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애플리케이션, 애플릿, 앱, 또는 프로세서들(410) 중 적어도 임의의 것으로 하여금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야기하기 위한 다른 실행가능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450)은 프로세서들(410) 중 적어도 하나 내에(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캐시 메모리 내에),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420) 내에, 또는 이것들의 임의의 적절한 조합 내에 완전히 또는 부분적으로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명령어들(450)의 임의의 부분은 주변 디바이스들(404) 또는 데이터베이스들(406)의 임의의 조합으로부터 하드웨어 자원들(400)에게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들(410)의 메모리, 메모리/저장 디바이스들(420), 주변 디바이스들(404), 및 데이터베이스들(406)은 컴퓨터 판독가능 및 머신 판독가능 매체의 예들이다.
하나 이상의 실시예에 대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의 것에 약술된 컴포넌트들 중 적어도 하나는 아래의 예시적인 섹션들에 약술된 바와 같은 하나 이상의 동작, 기법, 프로세스, 및/또는 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의 것과 연관된 기저대역 회로는 아래에 제시되는 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어, 선행 도면들 중 하나 이상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은 UE, 기지국, 위성, 네트워크 요소 등과 연관되는 회로는 예시 섹션에서 아래에 제시되는 예들 중 하나 이상에 따라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용어 "애플리케이션"은 조작 환경에서 특정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완전하고 배치가능한 패키지 또는 환경을 지칭할 수 있다. 용어 "AI/ML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은 어떤 AI(artificial intelligence)/ML(machine learning) 모델들 및 애플리케이션 레벨 기술들을 포함하는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AI/ML 애플리케이션은 개시된 양태들 중 하나 이상을 구성하거나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머신 러닝" 또는 "ML"은 명시적 명령어들을 사용하지 않고 대신에 패턴들 및 추론들에 의존하여 특정 작업(들)을 수행하기 위해 알고리즘들 및/또는 통계적 모델들을 구현하는 컴퓨터 시스템들의 사용을 지칭한다. ML 알고리즘들은 예측 또는 결정 작업들을 수행하도록 명시적으로 프로그래밍되지 않고서 예측 또는 결정을 하기 위해 샘플 데이터("훈련 데이터", "모델 훈련 정보",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지칭됨)에 기초하여 수학적 모델(들)( "ML 모델" 또는 그와 유사한 것으로 지칭됨)을 구축 또는 추정한다. 일반적으로, ML 알고리즘은 어떤 작업 및 어떤 성능 측도에 대한 경험으로부터 학습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ML 모델은 ML 알고리즘이 하나 이상의 훈련 데이터세트로 훈련된 후에 생성되는 임의의 객체 또는 데이터 구조일 수 있다. 훈련 후에, ML 모델은 새로운 데이터세트들에 대한 예측들을 행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ML 알고리즘"이라는 용어가 "ML 모델"이라는 용어와는 상이한 개념을 가리키지만,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바와 같은 이러한 용어들은 본 개시내용에 대해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어 "머신 러닝 모델", "ML 모델" 또는 그와 유사한 것은 또한 ML-보조 솔루션에 의해 사용되는 ML 방법 및 개념을 지칭할 수 있다. "ML-보조 솔루션(ML-assisted solution)"은 동작 동안 ML 알고리즘을 사용하여 특정 사용 사례를 해결하는 솔루션이다. ML 모델은 지도 학습(예를 들어, 선형 회귀, KNN(k-nearest neighbor), 결정 트리 알고리즘, 지원 머신 벡터, 베이지안 알고리즘, 앙상블 알고리즘 등), 비지도 학습(예를 들어, K-평균 클러스터링, PCA(principal component analysis) 등), 강화 학습(예를 들어, Q-학습, 멀티-암드 밴딧 학습(multi-armed bandit learning), 딥 RL 등), 신경망, 및 그와 유사한 것을 포함한다. 구현에 좌우되어, 특정 ML 모델은 컴포넌트들로서 많은 서브 모델들을 가질 수 있고, ML 모델은 모든 서브 모델들을 함께 훈련시킬 수 있다. 개별적으로 훈련된 ML 모델들은 또한 추론 동안 ML 파이프라인에서 함께 체인화될 수 있다. "ML 파이프라인"은 ML-보조 솔루션에 대해 특정적인 기능성들, 기능들, 또는 기능 엔티티들의 세트이고; ML 파이프라인은 데이터 파이프라인, 모델 훈련 파이프라인, 모델 평가 파이프라인, 및 액터(actor)에서 하나 또는 여러 개의 데이터 소스를 포함할 수 있다. "액터"는 ML 모델 추론의 출력을 이용하여 ML-보조 솔루션을 호스팅하는 엔티티이다. 용어 "ML 훈련 호스트"는 모델의 훈련을 호스팅하는, 네트워크 기능과 같은 엔티티를 지칭한다. 용어 "ML 추론 호스트"는 추론 모드(이것은 모델 실행뿐만 아니라 적용 가능하다면 임의의 온라인 학습 둘 다를 포함함) 동안 모델을 호스팅하는 네트워크 기능과 같은 엔티티를 지칭한다. ML-호스트는 ML 알고리즘의 출력에 관해 액터에게 통지하고, 액터는 액션에 대해 결정한다("액션"은 ML-보조 솔루션의 출력의 결과로서 액터에 의해 수행된다). 용어 "모델 추론 정보"는 추론(들)을 결정하기 위한 ML 모델에 대한 입력으로서 사용되는 정보를 지칭하고; ML 모델을 훈련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 및 추론을 결정하기 위해 사용되는 데이터는 중첩될 수 있지만, "훈련 데이터" 및 "추론 데이터"는 상이한 개념들을 가리킨다.
개시된 기법들은 2가지 스킴으로 DU(distributed unit)의 DL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해 DU에 대한 TPC 명령을 도입한다:
(a) DU에 대한 UL TPC: 부모 DU의 DL TX 전력 조정을 나타내기 위한 IAB MT(mobile termination)로부터 부모 DU로의 UL TPC 명령; 및
(b) DU에 대한 DL TPC: 공동 위치한 DU의 DL TX 전력 조정을 나타내기 위한 부모 DU로부터 IAB MT로의 DL TPC 명령.
MT RX/DU RX 동시 동작과 연관된 일부 양태들에서, IAB DU에서의 수신된 신호는 공동 위치된 MT의 DL 수신(부모 DU의 DL 송신)으로부터 오는 간섭을 가질 수 있다. IAB MT 또는 UE가 그의 부모가 그의 DL 전력 제어를 조정하도록 통지하기 위한 어떤 DL 전력 제어 스킴들도 현재의 IAB 사양들에 존재하지 않는다. UL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부모 DU로부터 IAB MT 또는 UE로의 DL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포함하는 UL 전력 제어 스킴들만이 존재한다. 그러므로, MT에 대한 DL TPC 이외에, 부모 DU의 DL 송신 전력 조정에게 표시하기 위한 DU에 대한 UL TPC 명령이 DU에 대한 UL TPC 명령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MT TX/DU TX 동시 동작과 연관된 일부 양태들에서, 부모 DU에서의 수신된 신호는 DU의 DL 송신으로부터 오는 간섭을 가질 수 있다. UL 전력 제어 메커니즘들에 의해, 부모 DU는 MT가 그 UL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기 위한 동적 DL TPC(transmit power control)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UL 송신 전력은 MT의 능력에 의해 제한되고,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할 수 있다. 그러므로, MT에 대한 DL TPC 이외에, 공동 위치된 IAB DU의 DL 송신 전력 조정을 표시하기 위한 부모 DU로부터 IAB MT로의 DU에 대한 DL TPC 명령이 DU에 대한 DL TPC 명령으로서 도입될 수 있다.
개시된 기법들은 2개의 스킴으로, 즉 위에 언급된 바와 같이, DU에 대한 UL TPC 및 DU에 대한 DL TPC로 DU의 DL 송신 전력을 조정하기 위한 TPC 명령을 도입한다. DU에 대한 TPC 명령 필드 및 UL/DL 시그널링 옵션들이 DU에 대한 TPC 명령을 운반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IAB 네트워크에서, IAB 노드는 부모 BH(backhaul) 링크를 통해 그의 부모 노드(IAB 도너(donor) 또는 또 다른 IAB 노드)에 접속하고, AC(child access) 링크를 통해 자식 UE(user equipment)에 접속하고, 자식 BH 링크를 통해 자식 IAB 노드에 접속할 수 있다.
도 5는 하나의 IAB 도너 노드(503) 및 다중의 IAB 노드(예를 들면, 514, 516, 518, 522, 및 524)를 포함하는, 독립형 모드의 IAB에 대한 참조도를 도시한다. 도 5를 참조하면, IAB 아키텍처(500)는 IAB 도너 노드(503)에 결합된 CN(core network)(502)을 포함할 수 있다. IAB 도너 노드(503)는 CU-CP(control unit control plane) 기능(504), CU-UP(control unit user plane) 기능(506), 다른 기능들(508), 및 DU(distributed unit) 기능들(510 및 512)을 포함할 수 있다. DU 기능(510)은 무선 백홀 링크들을 통해 IAB 노드들(514 및 516)에 결합될 수 있다. DU 기능(512)은 무선 백홀 링크를 통해 IAB 노드(518)에 결합된다. IAB 노드(514)는 무선 액세스 링크를 통해 UE(520)에 결합되고, IAB 노드(516)는 IAB 노드들(522 및 524)에 결합된다. IAB 노드(522)는 무선 액세스 링크를 통해 UE(528)에 결합된다. IAB 노드(518)는 무선 액세스 링크를 통해 UE(526)에 결합된다.
도 5에 도시된 IAB 노드들 각각은 MT(mobile termination) 기능 및 DU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MT 기능은 모바일 장비의 컴포넌트로서 정의될 수 있고, IAB 도너 또는 다른 IAB 노드들을 향한 백홀 Uu 인터페이스의 라디오 인터페이스 계층들의 종단을 이루는 IAB 노드 상에 상주하는 기능으로서 지칭될 수 있다.
IAB 도너 노드(503)는 gNB-DU, gNB-CU-CP(504), gNB-CU-UP(506), 및 잠재적으로 다른 기능들(508)과 같은 기능들의 세트를 포함하는 단일 논리 노드로서 취급된다. 배치에서, IAB 도너 노드(503)는 3GPP NG-RAN 아키텍처에 의해 허용되는 바와 같이 모두 병치되거나 비병치될 수 있는 이러한 기능들에 따라 스플릿(split)될 수 있다. IAB 관련 양태들은 그러한 스플릿이 행사될 때 발생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IAB 도너와 현재 연관된 기능들 중 일부는 결국 그들이 IAB-특정적 작업들을 수행하지 않는 것이 분명해지는 경우에 도너의 외부로 이동될 수 있다.
도 6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IAB 아키텍처(600)에서의 CU(central unit)-DU(distributed unit) 스플릿 및 시그널링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IAB 아키텍처(600)는 IAB 도너(601), 부모 IAB 노드(603), IAB 노드(605), 자식 IAB 노드(607), 및 자식 UE(609)를 포함한다. IAB 도너(601)는 CU 기능(602) 및 DU 기능(604)을 포함한다. 부모 IAB 노드(603)는 P-MT(parent MT) 기능(606) 및 P-DU(parent DU) 기능(608)을 포함한다. IAB 노드(605)는 MT 기능(610) 및 DU 기능(612)을 포함한다. 자식 IAB 노드(607)는 C-MT(child MT) 기능(614) 및 C-DU(child DU) 기능(616)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RRC 시그널링이 IAB 도너(601)의 CU 기능(602)과 MT 기능들(606, 610, 및 614) 사이뿐만 아니라, CU 기능(602)과 C-UE(child UE)(609)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덧붙여, F1AP(F1 access protocol) 시그널링이 IAB 도너(601)의 CU 기능(602)과 부모 IAB 노드(603) 및 IAB 노드(605)의 DU 기능들 사이의 통신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도 5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중의 IAB 노드가 무선 백홀을 통해 DN(donor node)에 접속된다. DN 또는 부모 IAB 노드는 자식 IAB 노드에서의 반-이중(half-duplex) 제약 하에서 그의 자식 IAB 노드를 위한 자원들을 적절히 할당할 필요가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부모 링크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은 자식 또는 액세스 링크에 할당된 시간-주파수 자원과 직교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은) 예시적인 IAB 네트워크 아키텍처에서, 각각의 IAB 노드가 DU 및 MT 기능을 보유하는 CU/DU 스플릿이 활용되었다. MT 기능을 통해, IAB 노드는 그의 부모 IAB 노드에 또는 UE와 같은 IAB-도너에 접속된다. DU 기능을 통해, IAB 노드는 그의 자식 UE들 및 기지국과 같은 자식 MT들과 통신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RRC 시그널링은 IAB 도너에서의 CU와 UE/MT 사이에 사용되는 한편, F1AP 시그널링은 IAB 노드에서의 CU와 DU 사이에 사용된다.
도 6은 IAB CU/DU 스플릿 아키텍처 및 시그널링의 예를 도시하고, 여기서 부모 IAB 노드에서의 MT 및 DU는 P-MT/P-DU로서 표시되고, 자식 IAB 노드에서의 MT 및 DU는 C-MT/C-DU로서 표시되고, 자식 UE는 C-UE로서 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TDM-기반 DU 기능 및 MT 기능이 IAB 노드 내에서 지원될 수 있다. 확장된 IAB 기능성들은 SDM/FDM-기반 자원 관리, 동시 송신들, 및/또는 IAB 노드들 상의 수신의 지원을 통해 스펙트럼 효율을 증가시키고 레이턴시를 감소시키기 위한 이중화 향상(duplexing enhancement)들을 포함한다.
도 7은 일부 양태들에 따른, IAB MT/DU 동시 송신 또는 수신 통신 시나리오들(700)을 도시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IAB-노드의 자식 및 부모 링크들의 동시 동작(송신 및/또는 수신)은 (도 7에 도시된 대로) 아래와 같이 4가지 경우를 포함한다:
(a) MT TX/DU TX
(b) MT RX/DU RX
(c) MT TX/DU RX
(d) MT RX/DU TX
일부 실시예들에서, IAB MT/DU 동시 송신이 허용되는 경우, UL 전력 제어 이외의 추가적인 전력 제어 요구들이 존재할 것이다. 예를 들어, 도 7의 경우 (b)에서, IAB MT 기능은 그 부모 DU로부터 수신되고, 공동 위치된 DU는 그 자식으로부터 수신된다. DL 송신이 보통은 UL 송신보다 더 높은 EIRP(equivalent isotropic radiated power)를 가지므로, MT 수신 전력이 공동 위치된 DU 수신 전력보다 훨씬 더 높을 가능성이 클 것이고(불균형 수신 전력), 이는 높은 간섭을 야기할 것이다. UL 송신 전력이 UE/MT 능력에 의해 제한되기 때문에, 현재 사양에서의 UL 전력 제어는 이 문제를 완전히 해결하지 못할 수 있다. 따라서, IAB 백홀을 위해 DL 전력 제어(MT가 그 부모 DU에게 그 DL 송신 전력을 조정하도록 통지한다)가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코어 네트워크, 기지국, 및 UE 사이의 통신은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된다. 도 8은, 일부 실시예들에 따른, CP/UP 분리를 갖는 스플릿 NG-RAN에서 (DL(downlink) 및 UL(uplink)에 대한) NG-RAN과 UE 사이의 지연 측정의 도면(800)을 도시한다.
일부 양태들에서, CU-UP가 모니터링 요청 패킷을 수신할 때, 이것은 관련 QoS 흐름에 대한 모니터링 구성에 기초하여 NG-RAN과 UE 사이의 UL 또는 DL 또는 둘 다의 지연들을 보고할 수 있다. 이는 보고될 지연 값이 CU-UP에 주어질 수 있거나, 또는 적어도 (DL 및 UL 둘 다에 대해) DU에 의해 또는 (UL에 대해) UE에 의해 측정되는 컴포넌트 지연 결과들이 CU-UP에서 수집될 수 있다는 점을 의미한다. 개시된 기법들은 CP/UP 분리를 갖는 스플릿 NG-RAN에서 지연 측정 및 보고의 RAN 부분을 지원한다. 개시된 기법은 UE로부터 보고되는 UL 지연을 포함하여, DU, CU-UP, 및 CU-CP로 구성되는 NG-RAN 노드 내에서의 RAN 부분 지연 측정을 위한 시그널링 지원에 중점을 둔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모든 컴포넌트 결과들이 CU-CP에서 먼저 수집되고 다음으로 CU-CP가 CU-UP에 보고될 지연 값(DL 또는 UL 또는 둘 다)을 계산/전송하는 CU-CP 중심적 접근법이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CU-CP 중심적 접근법은 다음의 이유들로 최적이 아닐 수 있다:
(a) DL 지연은 CU-CP에서의 어디에서도 측정되지 않고, UE에서도 그러하다. CU-CP를 통해 (그리고 결국 CU-UP에) DL 지연의 DU 부분을 보고하는 것은 필요하지 않다; 및
(b) 그러한 접근법은 5GC를 갖는 MR-DC의 경우에 불필요하게 멀티-홉을 수반한다. MN 종단 SCG 베어러의 예에서, DL 지연의 DU 부분은 (F1-C를 통해) SN의 CU-CP로 전송되어야 하고, 그 후 (Xn-C를 통해) MN의 CU-CP로 전송되어 보고될 지연 값으로서 집성될 것이고, 이것은 그 후 (E1을 통해) MN의 CU-UP로 포워딩되는데, 이는 MN과 SN 사이에 이미 확립된 Xn-U를 통해 MN의 CU-UP로 DL 지연의 DU 부분을 직접 전송하는 것과 비교해 복잡하다.
일부 양태들에서, 개시된 기법들은 5G 네트워크에 대한 UL/DL 패킷 지연에 관련된 성능 측정들을 구성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URLLC 서비스를 돕기 위해, 패킷 지연 및 그들의 분포는 3GPP 기술 사양(TS) 23.501, 조항 5.33.3.2에 개시된 구성들에 기초하여, UPF와 UE 사이의 QoS 흐름들에 대해 측정될 수 있다.
이 특징을 지원하기 위해, NG-RAN에서 또는 그 내에서 종단되는 인터페이스들에 대한 향상들이 행해져서, DL 또는 UL 패킷 지연의 RAN 부분을 측정할 수 있다. DL 및 UL 패킷 지연 측정들의 RAN 부분이 아래의 표 1에 열거된 TS 38.314, 섹션 4.2.1.2.1에 정의되어 있다.
4.2.1.2 패킷 지연
4.2.1.2.1 일반
패킷 지연은 지연의 RAN 부분 및 지연의 CN 부분을 포함한다.
DL 패킷 지연 측정의 RAN 부분은 다음을 포함한다:
- D1 (OTA(over-the-air) 인터페이스에서의 DL 지연), TS 28.552 [2] 5.1.1.1.1에서의 평균 지연 DL 에어-인터페이스(air-interface)를 지칭함.
- D2 (gNB-DU 상에서의 DL 지연), TS 28.552 [2] 5.1.3.3.3에서의 gNB-DU의 RLC 부계층에서의 평균 지연을 지칭함.
- D3 (F1-U 상에서의 DL 지연), TS 28.552 [2] 5.1.3.3.2에서의 F1-U 상에서의 평균 지연을 지칭함.
- D4 (CU-UP에서의 DL 지연), TS 28.552 [2] 5.1.3.3.1에서의 CU-UP에서의 평균 지연 DL을 지칭함.
DL 패킷 지연 측정들, 즉 D1 (OTA 인터페이스에서의 DL 지연), D2 (gNB-DU에서의 DL 지연), D3 (F1-U 상에서의 DL 지연) 및 D4 (CU-UP에서의 DL 지연)는 UE당 DRB당 측정되어야 한다.
비고: 지연 측정들 D1, D2 및 D4는 또한 MN 측에서의 EN-DC 관련 DL 지연 측정들의 경우에 EUTRA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UL 패킷 지연 측정의 RAN 부분(UE를 포함함)은 다음을 포함한다:
- D1 (UL PDCP 패킷 평균 지연, 조항 4.3.1.1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 D2.1 (평균 OTA 인터페이스 패킷 지연, 4.2.1.2.2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 D2.2 (평균 RLC 패킷 지연, 4.2.1.2.3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 D2.3 (F1-U 상에서의 평균 지연 UL, 이것은 TS 28.552 [2] 조항 5.1.3.3.2에서 정의된 F1-U 상에서의 평균 지연 DL과 동일한 메트릭을 이용하여 측정된다).
- D2.4 (평균 PDCP 재순서화 지연, 4.2.1.2.4에서 정의된 바와 같음).
UL 패킷 지연 측정들, 즉, D1 (UL PDCP 패킷 평균 지연), D2.1 (평균 OTA 인터페이스 패킷 지연), D2.2 (평균 RLC 패킷 지연), D2.3 (F1-U 상에서의 평균 지연 UL) 및 D2.4 (평균 PDCP 재순서화 지연)는 UE당 DRB당 측정되어야 한다. D1, D2.1, D2.2, D2.3 및 D2.4의 단위는 0.1ms이다.
비고: 지연 측정들 D1, D2.1, D2.2 및 D2.4는 또한 MN 측에서의 EN-DC 관련 UL 지연 측정들의 경우에 EUTRA에 대해 적용가능하다.
비 CU-UP 및 DU 스플릿 경우에 대해, 패킷 지연의 RAN 부분은 FI-U 인터페이스에서의 지연, 즉 D2.3 및 D3을 배제한다.
네트워크가 PDCP 재순서화 기능을 디스에이블하는 경우, 평균 PDCP 재순서화 지연, 즉 D2.4의 값은 0에 설정되어야 한다.
TS 23.501 [4]에서의 QoS 모니터링에 대해, RAN은 UL 패킷 지연 측정의 RAN 부분, 또는 DL 패킷 지연 측정의 RAN 부분, 또는 둘 다를 CN에 통지한다.
위에 열거된 지연 측정들 중에서, QoS 흐름 패킷이 gNB의 CU(centralized unit)와 DU(distributed unit)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를 통해 전송될 때 발생되는 DL/UL 지연을 측정하기 위한, D3 (F1-U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DL 평균 지연) 및 D2.3 (F1-U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UL 평균 지연) 측정들은 아래의 표 2에 열거되는 TS 28.552, 섹션 5.1.3.3.2에서 특정되는 측정 정의들에 의존한다.
5.1.3.3.2 F1-U 상에서의 평균 지연 DL
a) 이 측정은 F1-U 인터페이스 상에서의 평균(산술 평균) GTP 패킷 지연 DL을 제공한다. 측정은 PLMN ID당 그리고 QoS 레벨당(NR 옵션 3에서 매핑된 5QI 또는 QCI) 계산되고 그리고 S-NSSAI당 서브카운터된다.
b) DER (n=1)
c) 이 측정은 다음과 같이 획득된다: 출구(egress) GTP 종단에서 gNB-DU로부터 GTP 패킷을 수신하는 시간 - GTP 입구(ingress) 종단에서 동일한 패킷을 gNB-DU에 전송하는 시간 - gNB-DU에서의 피드백 지연 시간, 획득된 결과는 2로 나누어진다. 측정은 PLMN ID당 그리고 QoS 레벨당(NR 옵션 3에서 매핑된 5QI 또는 QCI) 그리고 S-NSSAI당 수행된다.
d) 각각의 측정은 0.1 밀리초 단위로 평균 지연을 표현하는 실수이다. 측정들의 수는 PLMN들의 수에 QoS 레벨들의 수를 곱한 것 또는 S-NSSAI들의 수를 곱한 것과 동일하다.
[측정 인스턴스들의 총 수] x [모든 측정들에 대한 필터 값들의 수] (DL 및 UL) ≤ 100.
e) 측정 이름은 형태 DRB.PdcpF1DelayDl_Filter을 갖고, 여기서 필터는 PLMN ID와 QoS 레벨 및 S-NSSAI의 조합이다.
PLMN ID가 PLMN ID를 표현하는 경우, QoS는 매핑된 5QI 또는 QCI 레벨을 표현하고, SNSSAI는 S-NSSAI를 표현한다.
f) GNBCUUPFunction
g) 패킷 교환 트래픽에 대한 유효
h) 5GS
i) 이러한 측정의 하나의 사용은 무결성 영역 내에서의 성능 보증(사용자 평면 접속 품질)을 위한 것이다.
비고: F1-U 인터페이스를 통해 GTP-U 패킷에서 운반되는 NR RAN 컨테이너(DL USER DATA/ DL DATA DELIVERY STATUS)가 측정을 위해 사용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DL USER DATA 및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들(TS 38.425에 정의됨)은 CU와 DU 사이의 지연을 계산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즉, CU는 DL USER DATA 프레임을 전송하고, 여기서 DU는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으로 응답하고, 전송/수신 시간에 기초하여, CU는 왕복시간을 계산하고 이것을 2로 더 나누어 일방향 지연을 획득한다.
그렇게 함으로써, (c)에서 "피드백 지연", 즉 DU가 DL DATA DELIVERY STATUS로 응답할 때까지 이것이 DL USER DATA를 처리하는 데 걸리는 시간량을 고려하는 것이 특정되었다. 그러나, TS 38.425에 정의된 현행의 메커니즘들은 이러한 "피드백 지연"을 고려하는 것을 지원하지 않아서, 전형적인 CU-DU 스플릿 배치들에서 이러한 QoS 모니터링 특징을 불완전하게 만든다.
본 개시내용은 이러한 "피드백 지연"을 고려할 수 있는 NR 사용자 평면 사양(TS 38.425에 정의된 NR-U, 이것은 F1-U를 포함함)에서 DL USER DATA 및 DL DATA DELIVERY STATUS를 사용하는 어떤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본 개시내용에서, 다음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이 논의된다:
실시예 1: CU는 DL USER DATA 프레임을 통해 DU에게 DL USER DATA 프레임의 수신 시에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시작하라고 표시하여, DU로부터 보고된 피드백 지연을 고려하여 왕복시간을 계산하기 위해 CU가 어느 DL USER DATA를 사용해야 하는지를 CU가 인식하게 만든다. 그러한 DL USER DATA를 수신할 시에, DU는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고, 이것이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는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을 전송할 때 해당 피드백 지연을 포함한다. DU가 이러한 표시를 포함하는 DL USER DATA를 수신한 후에 전송되는 제1 DL DATA DELIVERY STATUS에 피드백 지연을 DU가 항상 포함해야만 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한다. 어느 DL USER DATA가 피드백 지연을 측정하기 위해 DU를 트리거한 것인지에 대해 CU와 DU가 동기화되기 때문에, (DU가 이것이 이러한 표시를 포함하는 DL USER DATA를 그로부터 수신하는 피드백 지연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한) 피드백 지연이 임의의 DL DATA DELIVERY STATUS에서 보고될 수 있다.
실시예 2: CU는 이러한 DL USER DATA 프레임의 수신 시에 고정된 시간량 후에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으로 정확하게 응답하도록 DL USER DATA를 통해 DU에 표시한다. 이것은 CU가 "피드백 지연" 시간을 미리 정의하고 이 값을 DL USER DATA를 통해 DU에 말해주는 실시예 1의 변형이다. CU는 DU가 DL USER DATA 프레임을 수신하는 것으로부터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으로 응답해야 하는 정확한 시간량(밀리초 단위)을 말하기 때문에, CU는 왕복시간을 계산할 때 이러한 미리 정의된 피드백 지연량을 단순히 고려한다. 이를 위해, DL DATA DELIVERY STATUS가 그러한 DL USER DATA의 응답임을 CU에 통지하기 위해 DL DATA DELIVERY STATUS에 표시가 필요하다.
실시예 3: 실시예들 1 및 2의 하이브리드. 실시예 2에 더하여, DU가 예를 들어 과부하 상황으로 인해 CU에 의해 미리 정의된 "피드백 지연" 시간을 충족시킬 수 없다면, DU는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이 전송되는 데 걸리는 실제 피드백 지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4: DL DATA DELIVERY STATUS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요청하는 DL USER DATA 프레임 내의 기존의 플래그는 만일 지원되는 경우 DU가 DL DATA DELIVERY STATUS에서 피드백 지연을 제공하기 위해 재사용된다. 이것은 기존의 "보고 폴링(Report Polling)" 플래그 또는 "보고 전달됨(Report Delivered)" 플래그가 DU가 그것이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으로 응답할 때까지 DL USER DATA 프레임을 수신할 시에 피드백 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 1의 변형이다. 피드백 지연 보고를 지원하는 DU는 응답된 DL DATA DELIVERY STATUS 내에 피드백 시간을 포함한다.
실시예 5: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을 보고하는 DU는 DU가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 어느 DL USER DATA를 사용할 수 있는지를 표시한다. 이것은 기존의 "보고 폴링" 플래그 또는 "보고 전달됨" 플래그가, DU에 의해, 그것이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으로 응답할 때까지 DL USER DATA 프레임을 수신할 시에 피드백 시간의 측정을 시작하기 위해 사용되는 실시예 1의 변형이다. 피드백 지연 보고를 지원하는 DU는 응답된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 내에 피드백 시간을 포함한다.
본 개시내용의 실시예들은, 3GPP에서 정의된 QoS 모니터링 요건들에 따라 CU와 DU 사이의 지연을 계산할 때, gNB의 CU(Centralized Unit)가 DU(Distributed Unit)로부터 보고되는 피드백 지연을 (TS 38.425에 정의된 DL USER DATA 및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들에 기초하여) 고려할 수 있게 하는 몇몇 메커니즘들을 제공한다.
실시예 1: CU는 DL USER DATA 프레임의 수신 시에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시작하도록 DL USER DATA 프레임을 통해 DU에 표시한다. TS 38.425에 공개될 수 있는 이러한 데이터 프레임들에 대한 예시적인 구현들이 아래의 표 3 및 표 4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실시예 1에서 사용된 전술한 프레임들에서의 대응하는 필드들이 아래의 표 5에 열거된다.
5.5.3.XX 피드백 지연 보고(Report Feedback Delay)
기술: 이 파라미터는 [8]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QoS 모니터링의 목적을 위해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를 제공하는 NR PDCP 엔티티 요청들을 호스팅하는 노드를 표시한다. 대응하는 노드는, 이것이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는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를 전송할 때까지 이 표시를 수신할 시에 밀리초 단위로 피드백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한다.
값 범위: {0= 피드백 지연 요청되지 않음, 1= 피드백 지연 요청됨}.
필드 길이: 1 비트.

5.5.3.YY 피드백 지연 보고됨
기술: 이 파라미터는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한다.
값 범위: {0 = 피드백 지연이 존재하지 않음, 1 = 피드백 지연 존재}.
필드 길이: 1 비트.

5.5.3.ZZ 피드백 지연
기술: 이 필드는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 시에 관련 DRB에 대해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된 피드백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표시한다. 이것은 Unsigned32 이진 정수 값으로서 인코딩된다.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는, 지원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와 관련 DRB에 대한 대응하는 노드 사이의 왕복지연시간을 계산하고, [8]에 특정된 바와 같이 QoS 모니터링의 목적을 위해 UPF에 보고할 것이다.
값 범위: {0.. 232-1}.
필드 길이: 4 옥텟.
실시예 2: CU는 DL USER DATA 프레임의 수신 시에 고정된 시간량 후에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을 이용하여 정확하게 응답하도록 DL USER DATA 프레임을 통해 DU에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레임들에 대한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이 TS 38.425에 공개될 수 있고 아래의 표 6 및 표 7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실시예 2에서 사용된 전술한 프레임들에서의 대응하는 필드들이 아래의 표 8에 열거된다.
5.5.3.WW 피드백 시간 플래그
기술: 이 파라미터는 피드백 시간의 존재를 표시한다.
값 범위: {0 = 피드백 시간이 존재하지 않음, 1 = 피드백 시간이 존재}.
필드 길이: 1 비트.

5.5.3.XX 피드백 시간
기술: 이 파라미터는 NR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가 [8]에서 특정된 바와 같이 QoS 모니터링의 목적을 위하여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를 제공하는 것을 요청하는 시간량을 밀리초 단위로 표시한다.
값 범위: {0.. 232-1}.
필드 길이: 4 옥텟.

5.5.3.YY 피드백 보고
기술: 이 파라미터는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가 피드백 시간 플래그를 포함하는 DL USER DATA 프레임에서 NR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임을 표시한다.
값 범위: {0 =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가 피드백 시간 플래그를 포함하는 DL USER DATA 프레임에서 NR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이 아님, 1 =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가 피드백 시간 플래그를 포함하는 DL USER DATA 프레임에서 NR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에 대한 응답임}.
필드 길이: 1 비트.
실시예 3: 실시예들 1 및 2의 하이브리드. 실시예 2의 예시적인 구현으로부터 계속하면,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이 TS 38.425에 공개될 수 있고 아래의 표 9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8
Figure pct00009
실시예 3에서 사용된 전술한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필드들이 아래의 표 10에 열거된다.
5.5.3.YY 피드백 보고
기술: 이 파라미터는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한다.
값 범위: {0 = 피드백 지연이 존재하지 않음, 1 = 피드백 지연 존재}.
필드 길이: 1 비트.
5.5.3.ZZ 피드백 지연
기술: 이 필드는, 요청된 피드백 시간이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를 전송하기 위해 충족될 수 없을 때,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 시에 관련 DRB에 대해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된 피드백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표시한다. 이것은 Unsigned32 이진 정수 값으로서 인코딩되고, 값 0은 요청된 피드백 시간이 다운링크 전달 상태 보고를 NR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에 전송할 시에 충족되었다는 것을 표시하기 위하여 이용된다.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는, 지원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와 관련 DRB에 대한 대응하는 노드 사이의 왕복지연시간을 계산하고, [8]에 특정된 바와 같이 QoS 모니터링의 목적을 위해 UPF에 보고할 것이다.
값 범위: {0.. 232-1}.
필드 길이: 4 옥텟.
실시예 4: DL DATA DELIVERY STATUS를 제공하는 것을 요청하는 DL USER DATA 프레임 내의 기존의 플래그는 지원되는 경우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을 제공하기 위해 DU에 의해 재사용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구성들 및 프레임들의 일부 예시적인 구현들이 TS 38.425에 공개될 수 있고 아래의 표 11 및 표 12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10
Figure pct00011
Figure pct00012
Figure pct00013
Figure pct00014
실시예 4에서 사용된 전술한 프레임에서의 대응하는 필드들이 이하의 표 13에 열거된다.
5.5.3.XX 피드백 지연 보고됨
기술: 이 파라미터는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한다.
값 범위: {0 = 피드백 지연이 존재하지 않음, 1 = 피드백 지연 존재}.
필드 길이: 1 비트.

5.5.3.YY 피드백 지연
기술: 이 필드는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 시에 관련 DRB에 대해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된 피드백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표시한다. 이것은 Unsigned32 이진 정수 값으로서 인코딩된다.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는, 지원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와 관련 DRB에 대한 대응하는 노드 사이의 왕복지연시간을 계산하고, [8]에 특정된 바와 같이 QoS 모니터링의 목적을 위해 UPF에 보고할 것이다.
값 범위: {0.. 232-1}.
필드 길이: 4 옥텟.
실시예 5: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을 보고하는 DU는 어느 DL USER DATA 프레임으로부터 DU가 피드백 지연을 측정하기 시작했는지를 표시한다. 이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프레임의 예시적인 구현은 TS 38.425에 공개될 수 있고 아래의 표 14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15
Figure pct00016
실시예 5에서 사용된 전술한 프레임 내의 대응하는 필드들이 아래의 표 15에 열거된다.
5.5.3.XX 피드백 보고
기술: 이 파라미터는 피드백 지연 시작 NR-U 시퀀스 번호 및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한다.
값 범위: {0= 피드백 지연 시작 NR-U 시퀀스 번호 및 피드백 지연이 존재하지 않음, 1= 피드백 지연 시작 NR-U 시퀀스 번호 및 피드백 지연이 존재}.
필드 길이: 1 비트.
5.5.3.YY 피드백 지연 시작 NR-U 시퀀스 번호
기술: 이 필드는 대응하는 노드가 관련된 DRB에 대한 피드백 시간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DL USER DATA 프레임의 NR-U 시퀀스 번호를 표시한다.
값 범위: {0.. 224-1}.
필드 길이: 3 옥텟.

5.5.3.ZZ 피드백 지연
기술: 이 필드는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로부터의 요청 시에 관련 DRB에 대해 대응하는 노드에서 측정된 피드백 시간을 밀리초 단위로 표시한다. 이것은 Unsigned32 이진 정수 값으로서 인코딩된다.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는, 지원되는 경우, 이러한 정보를 사용하여 PDCP 엔티티를 호스팅하는 노드와 관련 DRB에 대한 대응하는 노드 사이의 왕복지연시간을 계산하고, [8]에 특정된 바와 같이 QoS 모니터링의 목적을 위해 UPF에 보고할 것이다.
값 범위: {0.. 232-1}.
필드 길이: 4 옥텟.
일부 실시예들에서, CU(또는 CU-UP)가 DL USER DATA 프레임의 수신 시에 피드백 지연을 측정하기 시작하는 것을 DL USER DATA 프레임을 통해 DU에 표시할 수 있도록 NR-U에 대한 향상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CU(또는 CU-UP)가 DL USER DATA 프레임의 수신 시에 고정된 시간량 후에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으로 정확히 응답하기 위해 DL USER DATA 프레임을 통해 DU에 표시할 수 있도록 NR-U에 대한 향상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U가, 예를 들어, 과부하 상황으로 인해 CU(또는 CU-UP)에 의해 미리 정의된 "피드백 지연" 시간을 충족시킬 수 없는 경우 DU가 이것이 전송되는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 내에 가져오는 실제 피드백 지연 시간을 포함할 수 있도록 NR-U에 대한 향상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부 양태들에서,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을 제공하는 것을 요청하는 DL USER DATA 프레임 내의 기존 플래그가 DU에 의해 재사용되어 지원되는 경우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을 제공할 수 있도록 NR-U에 대한 향상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일부 실시예들에서, DU가 DL DATA DELIVERY STATUS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을 보고하고 DU가 어느 DL USER DATA 프레임으로부터 피드백 지연을 측정하기 시작했는지를 표시하도록 NR-U에 대한 향상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다.
도 9는 일부 양태들에 따른 그리고 본 명세서에 개시되는 기법들 중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eNB(evolved Node-B), 새로운 세대 노드 B(gNB)(또는 또 다른 RAN 노드), AP(access point), STA(wireless station), MS(mobile station), 또는 UE(user equipment)와 같은 통신 디바이스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대안적인 양태들에서, 통신 디바이스(900)는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통신 디바이스들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회로(예를 들어, 처리 회로)는 하드웨어(예를 들어, 단순 회로들, 게이트들, 로직 등)를 포함하는 디바이스(900)의 유형 엔티티들에서 구현되는 회로들의 컬렉션이다. 회로 멤버쉽은 시간 경과에 따라 유연할 수 있다. 회로들은 동작할 때 특정된 동작들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수행할 수 있는 멤버들을 포함한다. 예에서, 회로의 하드웨어는 특정 동작을 수행하도록 불변적으로 설계될 수 있다(예를 들어, 고정배선). 예에서, 회로의 하드웨어는 특정 동작의 명령어들을 인코딩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수정된 머신 판독가능 매체(예컨대, 불변의 질량을 가진 입자들의 자기적으로, 전기적으로, 이동가능한 배치 등)를 포함하는 가변적으로 연결된 물리적 컴포넌트들(예컨대, 실행 유닛들, 트랜지스터들, 단순 회로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물리적 컴포넌트들을 연결함에 있어서, 하드웨어 구성성분들의 기본적인 전기적 속성들은, 예를 들어, 절연체로부터 전도체로, 또는 그 반대로 변경된다. 명령어들은 임베디드 하드웨어(예를 들어, 실행 유닛들 또는 로딩 메커니즘)가 동작 중에 있을 때 특정 동작의 부분들을 수행하기 위해 가변 연결들을 통해 하드웨어 내의 회로의 멤버들을 생성할 수 있게 한다. 따라서, 예에서, 머신 판독가능 매체 요소들은 회로의 일부이거나, 또는 디바이스가 동작하고 있을 때 회로의 다른 컴포넌트들에 통신가능하게 결합된다. 예에서, 물리적 컴포넌트들 중 임의의 것은 하나보다 많은 회로의 하나보다 많은 멤버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하에서, 실행 유닛들은 하나의 시점에서 제1 회로부의 제1 회로에서 사용되고 제1 회로부 내의 제2 회로에 의해 재사용될 수 있고, 또는 상이한 시간에 제2 회로부 내의 제3 회로에 의해 사용될 수 있다. 디바이스(900)에 대한 이러한 컴포넌트들의 추가적인 예들이 뒤따른다.
일부 양태들에서, 디바이스(900)는 독립형 디바이스로서 동작할 수 있거나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에 접속(예를 들어, 네트워킹)될 수 있다. 네트워킹된 배치에서, 통신 디바이스(900)는 서버-클라이언트 네트워크 환경들에서 서버 통신 디바이스, 클라이언트 통신 디바이스, 또는 둘 다의 자격으로 동작할 수 있다. 예에서, 통신 디바이스(900)는 P2P(peer-to-peer)(또는 다른 분산형) 네트워크 환경에서 피어 통신 디바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900)는 UE, eNB, PC, 태블릿 PC, STB, PDA, 모바일 전화, 스마트폰, 웹 어플라이언스, 네트워크 라우터, 스위치 또는 브리지, 또는 해당 통신 디바이스에 의해 취해질 액션들을 특정하는 명령어들을 (순차적으로 또는 다른 방식으로) 실행할 수 있는 임의의 통신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단일 통신 디바이스만이 도시되어 있지만, "통신 디바이스" 라는 용어는 또한, 클라우드 컴퓨팅, SaaS(software as a service), 및 다른 컴퓨터 클러스터 구성들과 같은, 본 명세서에서 논의된 방법론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기 위한 명령어들의 세트(또는 다중의 세트)를 개별적으로 또는 공동으로 실행하는 통신 디바이스들의 임의의 컬렉션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예들은, 로직 또는 다수의 컴포넌트, 모듈, 또는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상에서 동작할 수 있다. 모듈들은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할 수 있는 유형 엔티티들(예를 들어, 하드웨어)이고, 특정 방식으로 구성되거나 배열될 수 있다. 예에서, 회로들은 모듈로서 특정된 방식으로(예컨대, 내부적으로 또는 다른 회로들과 같은 외부 엔티티들에 대하여) 배열될 수 있다. 예에서, 하나 이상의 컴퓨터 시스템(예를 들어, 독립형, 클라이언트, 또는 서버 컴퓨터 시스템) 또는 하나 이상의 하드웨어 프로세서의 전부 또는 일부는 특정된 동작들을 수행하도록 동작하는 모듈로서 펌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명령어들, 애플리케이션 부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예에서, 소프트웨어는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상에 존재할 수 있다. 예에서, 소프트웨어는, 모듈의 그 아래 있는 하드웨어에 의해 실행될 때, 하드웨어로 하여금 특정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야기한다.
따라서, "모듈"이라는 용어는, 특정된 방식으로 동작하거나 또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임의의 동작의 일부 또는 전부를 수행하도록 물리적으로 구성되거나, 구체적으로 구성되거나(예를 들어, 고정배선), 또는 일시적으로(temporarily)(예를 들어, 일시적으로(transitorily)) 구성되는(예를 들어, 프로그래밍되는) 엔티티이기만 하다면, 그런 유형의 엔티티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모듈들이 일시적으로 구성되는 예들을 고려하면, 모듈들 각각은 임의의 시간상 한 순간에 인스턴스화될 필요는 없다. 예를 들어, 모듈들이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구성되는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경우, 범용 하드웨어 프로세서는 상이한 시간들에서 각자의 상이한 모듈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는 그에 따라, 예를 들어, 하나의 시간 인스턴스에서는 특정의 모듈을 구성하고 상이한 시간 인스턴스에서는 상이한 모듈을 구성하도록 하드웨어 프로세서를 구성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예를 들어, UE)(900)는 하드웨어 프로세서(902)(예를 들어, CPU(central processing unit), GPU(graphics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프로세서 코어, 또는 그의 임의의 조합), 메인 메모리(904), 정적 메모리(906), 및 저장 디바이스(907)(예를 들어, 하드 드라이브, 테이프 드라이브, 플래시 저장소, 또는 다른 블록 또는 저장 디바이스들)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 또는 전부는 인터링크(예를 들어, 버스)(908)를 통해 서로 통신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900)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 영숫자 입력 디바이스(912)(예를 들어, 키보드), 및 UI(user interface) 내비게이션 디바이스(914)(예를 들어, 마우스)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910), 입력 디바이스(912), 및 UI 내비게이션 디바이스(914)는 터치스크린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900)는 신호 생성 디바이스(918)(예를 들어, 스피커),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20), 및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센서, 나침반, 가속도계, 또는 또 다른 센서와 같은 하나 이상의 센서(921)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900)는 하나 이상의 주변 디바이스(예를 들어, 프린터, 카드 판독기 등)와 통신하거나 이를 제어하기 위해 직렬(예를 들어, USB(universal serial bus)), 병렬, 또는 다른 유선 또는 무선(예를 들어, 적외선(IR),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 접속과 같은 출력 제어기(928)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디바이스(907)는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체화하거나 그에 의해 활용되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어들(924)(예를 들어, 소프트웨어)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922)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들에서, 프로세서(902), 메인 메모리(904), 정적 메모리(906), 및/또는 저장 디바이스(907)의 레지스터들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된 기법들 또는 기능들 중 임의의 하나 이상을 구체화하거나 그에 의해 활용되는 데이터 구조들 또는 명령어들(924)의 하나 이상의 세트가 저장되어 있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922)일 수 있거나, 이것을 (완전히 또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예에서, 하드웨어 프로세서(902), 메인 메모리(904), 정적 메모리(906), 또는 대용량 저장소(907)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이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922)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이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또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와 상호교환가능하다.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922)가 단일 매체로서 예시되어 있지만,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라는 용어는 하나 이상의 명령어(924)를 저장하도록 구성된 단일 매체 또는 다중의 매체(예를 들어, 중앙집중형 또는 분산형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연관된 캐시들 및 서버들)를 포함할 수 있다. 용어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는 용어들 "머신 판독가능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고, 통신 디바이스(9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예컨대, 명령어들(924))을 저장할 수 있거나, 인코딩할 수 있거나, 운반할 수 있고, 통신 디바이스(900)로 하여금, 본 개시내용의 기법들 중의 임의의 하나 이상을 수행하게 야기하거나, 또는 이러한 명령어들에 의해 이용되거나 이러한 명령어들과 연관된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거나, 인코딩할 수 있거나,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비제한적인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 예들은 솔리드 스테이트 메모리들 및 광학 및 자기 매체들을 포함할 수 있다.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의 특정 예들은 반도체 메모리 디바이스들(예컨대, EPROM(Electrically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플래시 메모리 디바이스들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내부 하드 디스크 및 착탈식 디스크와 같은 자기 디스크; 자기 광학 디스크; RAM(Random Access Memory); 및 CD-ROM 및 DVD-ROM 디스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는 비일시적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는 일시적 전파 신호가 아닌 통신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어들(924)은 다수의 전송 프로토콜 중 어느 하나를 활용하여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20)를 통해 송신 매체를 사용하여 통신 네트워크(926)를 통해 추가로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다.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20)는 통신 네트워크(926)에 접속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물리적 잭(예를 들어, 이더넷, 동축, 또는 전화 잭) 또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20)는, 단일-입력-다중-출력(SIMO), MIMO, 또는 다중-입력-단일-출력(MISO) 기법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하기 위해 복수의 안테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예들에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920)는 다중 사용자 MIMO 기법들을 사용하여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다.
"송신 매체"라는 용어는 통신 디바이스(900)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 인코딩, 또는 운반할 수 있는 임의의 무형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될 것이며, 디지털 또는 아날로그 통신 신호들 또는 그러한 소프트웨어의 통신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또 다른 무형 매체를 포함한다. 이와 관련하여, 본 개시내용의 맥락에서의 송신 매체는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이다.
용어들 "머신 판독가능 매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및 "디바이스 판독가능 매체"는 동일한 것을 의미하고 본 개시내용에서 상호교환가능하게 사용될 수 있다. 용어들은 머신 저장 매체 및 송신 매체 둘 다를 포함하도록 정의된다. 따라서, 용어들은 저장 디바이스들/매체들 및 반송파들/변조된 데이터 신호들 모두를 포함한다.
주제의 기술된 구현들은 단독으로 또는 예들로서 하기에 예시된 바와 같은 조합으로, 하나 이상의 특징을 포함할 수 있다.
예 1은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장치이며, 장치는: 처리 회로 - 5G-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 5G-NR QoS(quality of service)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기지국을 구성하기 위해, 처리 회로는: 기지국의 CU(centralized unit)-UP(user plane)로부터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로의 송신을 위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함 -;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응답하여 기지국의 DU로부터 CU-UP로의 송신을 위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제2 데이터 프레임은 표시자에 기초하여 DU에서 측정되는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고, 피드백 지연은 DU에 의한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DU에 의한 제2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표시함 -; 및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DU와 CU-UP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결정함 -; 및 처리 회로에 결합되고 피드백 지연을 저장하도록 구성된 메모리를 포함하고, 처리 회로는 추가로 5G-NR 네트워크의 UE(user equipment)와 UPF(User Plane Function) 사이의 QoS 흐름과 연관된 QoS 보고를 수행하고, QoS 보고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포함한다.
예 2에서, 예 1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3에서, 예 2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서 보고 폴링 플래그를 설정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자를 구성하도록 - 보고 폴링 플래그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통신을 요청함 -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4에서, 예 3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보고 폴링 플래그가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것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DU에서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5에서, 예 2-4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를 포함하도록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함 -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6에서, 예 5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피드백 지연을 피드백 지연 필드에 포함시키도록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7에서, 예 1-6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표시자를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 내의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로서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8에서, 예 7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도록 -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 내의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하는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를 포함함 -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9에서, 예 1-8의 주제는 처리 회로가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지연 시간의 표시자를 포함함 -;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DU에서의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지연 시간이 경과했을 때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0에서, 예 1-9의 주제는 처리 회로에 결합된 송수신기 회로; 및 송수신기 회로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예 11은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고, 명령어들은 5G-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 5G-NR QoS(quality of service)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기지국을 구성하고, 및 기지국으로 하여금: 기지국의 CU(centralized unit)-UP(user plane)로부터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로의 송신을 위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함 -;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응답하여 DU로부터 기지국의 CU-UP로의 송신을 위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제2 데이터 프레임은 표시자에 기초하여 DU에서 측정되는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고, 피드백 지연은 DU에 의한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DU에 의한 제2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표시함 -;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DU와 CU-UP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결정하고; 및 5G-NR 네트워크의 UE(user equipment)와 UPF(User Plane Function) 사이의 QoS 흐름과 연관된 QoS 보고를 수행하도록 - QoS 보고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포함함 - 야기한다.
예 12에서, 예 11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게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3에서, 예 12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 내에 보고 폴링 플래그를 설정한 것에 기초하여 표시자를 구성하게 - 보고 폴링 플래그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통신을 요청함 -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4에서, 예 13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보고 폴링 플래그가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것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DU에서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개시하게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5에서, 예 12-14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를 포함하도록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게 -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는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함 -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6에서, 예 15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피드백 지연을 피드백 지연 필드에 포함시키도록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게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7에서, 예 11-16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표시자를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 내의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로서 구성하도록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8에서, 예 17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게 -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하는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를 포함함 -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19에서, 예 11-18의 주제는 명령어들이 추가로 기지국으로 하여금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지연 시간의 표시자를 포함함 -;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DU에서의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지연 시간이 경과했을 때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야기하는 주제를 포함한다.
예 20은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이고, 명령어들은 5G-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의 5G-NR QoS(quality of service)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기지국을 구성하고, 및 기지국으로 하여금: 기지국의 CU(centralized unit)-UP(user plane)로부터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로의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을 위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함 -;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응답하여 기지국의 F1-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DU로부터 CU-UP로의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표시자에 기초하여 DU에서 측정되는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고, 피드백 지연은 DU에 의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DU에 의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표시함 -;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DU와 CU-UP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결정하고; 및 5G-NR 네트워크의 UE(user equipment)와 UPF(User Plane Function) 사이의 QoS 흐름과 연관된 QoS 보고를 수행하도록 - QoS 보고는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포함함 - 야기한다.
예 21은, 처리 회로에 의해 실행될 때, 처리 회로로 하여금 예 1 내지 예 20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동작들을 수행하게 야기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머신 판독가능 매체이다.
예 22는 예 1 내지 예 20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장치이다.
예 23은 예 1 내지 예 20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시스템이다.
예 24는 예 1 내지 예 20 중 어느 하나를 구현하는 방법이다.
양태가 특정의 예시적인 양태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내용의 보다 넓은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서 이 양태들에 대해 다양한 수정들 및 변경들이 행해질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따라서, 명세서 및 도면들은 제한적인 의미라기보다는 예시적인 의미로 간주될 것이다. 따라서, 이 상세한 설명은 제한적인 의미로 취해져서는 안 되며, 다양한 양태들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들과 함께, 그러한 청구항들에 부여되는 등가물들의 전체 범위에 의해서만 정의된다.

Claims (20)

  1. 기지국에서 사용되는 장치로서:
    처리 회로; 및
    상기 처리 회로에 결합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5G-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 5G-NR QoS(quality of service)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상기 기지국을 구성하기 위해,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기지국의 CU(centralized unit)-UP(user plane)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로의 송신을 위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함 -;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의 DU로부터 CU-UP로의 송신을 위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DU에서 측정되는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지연은 상기 DU에 의한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상기 DU에 의한 제2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표시함 -;
    상기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DU와 CU-UP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결정하고; 및
    상기 5G-NR 네트워크의 UE(user equipment)와 UPF(User Plane Function) 사이의 QoS 흐름과 연관된 QoS 보고를 수행하고 - 상기 QoS 보고는 상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포함함 -,
    상기 메모리는 상기 피드백 지연을 저장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서 보고 폴링 플래그(Report Polling Flag)를 설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자를 구성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보고 폴링 플래그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통신을 요청하는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보고 폴링 플래그가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것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DU에서 상기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Feedback Delay Reported flag)를 포함하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상기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하는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피드백 지연 필드 내에 상기 피드백 지연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상기 표시자를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 내의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Report Feedback Delay parameter)로서 구성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상기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하는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는: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지연 시간의 표시자를 포함함 -;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상기 DU에서의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구성되는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회로에 결합된 송수신기 회로; 및 상기 송수신기 회로에 결합된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장치.
  11.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5G-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 5G-NR QoS(quality of service)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상기 기지국을 구성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의 CU(centralized unit)-UP(user plane)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로의 송신을 위해 제1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함 -;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의 DU로부터 CU-UP로의 송신을 위해 제2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은 상기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DU에서 측정되는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지연은 상기 DU에 의한 제1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상기 DU에 의한 제2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표시함 -;
    상기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DU와 CU-UP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결정하고; 및
    상기 5G-NR 네트워크의 UE(user equipment)와 UPF(User Plane Function) 사이의 QoS 흐름과 연관된 QoS 보고를 수행하도록 - 상기 QoS 보고는 상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포함함 -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도록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서 보고 폴링 플래그(Report Polling Flag)를 설정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표시자를 구성하도록 - 상기 보고 폴링 플래그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통신을 요청함 -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보고 폴링 플래그가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에 설정된 것을 검출한 것에 기초하여, 상기 DU에서 상기 피드백 지연의 측정을 개시하도록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5. 제12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를 포함하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 상기 피드백 지연 보고됨 플래그는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상기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함 -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피드백 지연 필드 내에 상기 피드백 지연을 포함시키기 위해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도록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상기 표시자를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 내의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로서 구성하도록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도록 -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에서 상기 피드백 지연의 존재를 표시하는 피드백 지연 보고 파라미터를 포함함 -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명령어들은 추가로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제1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지연 시간의 표시자를 포함함 -;
    상기 제2 데이터 프레임을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으로서 인코딩하고; 및
    상기 DU에서의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으로부터 시작하여 상기 지연 시간이 경과했을 때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을 야기하도록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20. 기지국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한 실행을 위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로서, 상기 명령어들은 5G-NR(New Radio) 네트워크에서 5G-NR QoS(quality of service) 모니터링 및 보고를 위해 상기 기지국을 구성하고, 및 상기 기지국으로 하여금:
    상기 기지국의 CU(centralized unit)-UP(user plane)로부터 상기 기지국의 DU(distributed unit)로의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은 다운링크 데이터 송신에 대한 전달 상태를 요청하는 표시자를 포함함 -;
    상기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송신에 응답하여 상기 기지국의 F1-U 인터페이스를 사용하여 상기 DU로부터 상기 CU-UP로의 송신을 위해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을 인코딩하고 - 상기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은 상기 표시자에 기초하여 상기 DU에서 측정되는 피드백 지연을 포함하고, 상기 피드백 지연은 상기 DU에 의한 다운링크 사용자 데이터 프레임의 수신과 상기 DU에 의한 다운링크 데이터 전달 상태 프레임의 송신 사이의 시간을 표시함 -;
    상기 피드백 지연에 기초하여 상기 기지국의 DU와 CU-UP 사이의 F1-U 인터페이스와 연관된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결정하고; 및
    상기 5G-NR 네트워크의 UE(user equipment)와 UPF(User Plane Function) 사이의 QoS 흐름과 연관된 QoS 보고를 수행하도록 - 상기 QoS 보고는 상기 다운링크 또는 업링크 지연을 포함함 - 야기하는 컴퓨터 판독가능 저장 매체.
KR1020247007736A 2021-08-12 2022-08-11 Gnb-cu와 gnb-du 사이의 지연 측정들 KR2024004799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232559P 2021-08-12 2021-08-12
US63/232,559 2021-08-12
PCT/US2022/040102 WO2023018897A1 (en) 2021-08-12 2022-08-11 Delay measurements between gnb-cu and gnb-du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993A true KR20240047993A (ko) 2024-04-12

Family

ID=852010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736A KR20240047993A (ko) 2021-08-12 2022-08-11 Gnb-cu와 gnb-du 사이의 지연 측정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7993A (ko)
WO (1) WO20230188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2667683B1 (en) * 2012-05-25 2015-04-01 Alcatel Lucent Method for operating a network element of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and network element
US10355801B2 (en) * 2016-09-15 2019-07-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Unified mobile and TDM-PON uplink MAC scheduling for mobile front-haul
WO2019191913A1 (en) * 2018-04-04 2019-10-10 Zte Corporation Measuring transmission dela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8897A1 (en) 2023-02-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368581A1 (en) Ue-to-ue relay service in 5g systems
WO2022087118A1 (en) Non-terrestrial network (ntn) group handover
WO2022087094A1 (en) Transmit power control for iab distributed units
WO2022031541A1 (en) Beam management for multi-trp operation
WO2022087137A1 (en) Prs and srs configuration for nr positioning
US20240172136A1 (en) Power control in wireless cellular networks
US20220053450A1 (en) Techniques for supporting low latency nr positioning protocols
WO2023069506A1 (en) New radio (nr) positioning measurement with reduced latency
US20230388997A1 (en) Techniques for uplink (ul) simultaneous transmission across multi-panels (stxmp)
US20230379839A1 (en) Enhanced sounding reference signal (srs) power control
US20240154680A1 (en) Beam management for multi-trp operation in wireless networks
US20230421222A1 (en) Subband reporting for full duplex operation
KR20240047993A (ko) Gnb-cu와 gnb-du 사이의 지연 측정들
US20240107600A1 (en) Enhanced edge enabler client (eec) for edgeapp architectures
US20240155607A1 (en) Configuration of multiple component carrier repetition transmissions
KR20240076748A (ko) 레이턴시가 단축된 새로운 무선(nr) 포지셔닝
WO2022032155A1 (en) Directional sensing indication through a qcl framework
WO2023014643A1 (en) Power scaling for uplink full power transmission
WO2023014884A1 (en) Dci enhancements for soft resource availability indication
WO2023205201A1 (en) Tdd configuration and timing at a repeater
KR20240027573A (ko) 공동 채널 추정을 위한 시간 도메인 윈도우
WO2022087419A1 (en) Timing advance (ta) configurations for iab networks
WO2022150503A1 (en) Srs resource and tpmi indication in multi-trp
KR20230152721A (ko) 고속에서의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프로시저들
WO2022031427A1 (en) Srs trp association and multiple usage configu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