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7645A -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 Google Patents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7645A
KR20240047645A KR1020220126914A KR20220126914A KR20240047645A KR 20240047645 A KR20240047645 A KR 20240047645A KR 1020220126914 A KR1020220126914 A KR 1020220126914A KR 20220126914 A KR20220126914 A KR 20220126914A KR 20240047645 A KR20240047645 A KR 202400476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lding
hours
pipe
worker
spo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9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재호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9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7645A/en
Publication of KR202400476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7645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4Manufactur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7/00Digital computing or data processing equipment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functions
    • G06F17/10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 G06F17/18Complex mathematical operations for evaluating statistical data, e.g. average values, frequency distributions, probability functions, regression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20/00Machin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06Q10/0631Resource planning, allocation, distributing or scheduling for enterprises or organisations
    • G06Q10/06311Scheduling, planning or task assignment for a person or group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Econom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rketing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Algebra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Bioinformatics & Computational Biology (AREA)
  • Probability & Statistics with Application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Evolutionary Biology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Abstract

작업 숙련도를 고려하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및 방법이 개시된다.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은, 미리 저장된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처리 유닛; 및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 미리 저장된 용접 실적 정보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시 소요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회수당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각각 산출하는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을 포함한다.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onsiders work proficiency are disclosed.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includes a pre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a pre-stored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nd using the shape weight,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the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 standard welding time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required during the welding work of each pipe spool. It includes a welding number of hours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hours of welding competency, respectively.

Description

작업 숙련도를 고려하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및 방법{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본 발명은 작업 숙련도를 고려하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takes work skill into account.

생산성을 높이기 위해, 조선 산업에서는 블록 제작 및 조립 공정에 의해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이 제작된다. 여기서, 블록 제작 공정은 소조립, 중조립, 대조립 및 선행탑재 등 블록 조립 작업이 수행되는 공정으로, 배재, 취부, 용접, 사상, 검사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To increase productivity, ships and marine structures are manufactured in the shipbuilding industry by block manufacturing and assembly processes. Here, the block manufacturing process is a process in which block assembly operations such as small assembly, mid-assembly, large assembly, and pre-assembly are performed, and may consist of disassembly, mounting, welding, polishing, inspection, etc.

즉, 선박 및 해양 구조물은 제작을 위한 설계가 이루어진 후, 용도에 따라 절단 및 성형되고 전처리 과정을 거친 강판이 상호 용접되어 결합된 것이다. 이때, 필요한 각 부위에 배관이나 서포트 등의 의장재들이 추가로 용접되어 배치된다. 이처럼 해양 구조물 제작시의 주된 작업은 용접 작업이라 할 수 있다. In other words, ships and marine structures are designed for manufacturing, then cut and formed according to the purpose, and steel plates that have gone through a pretreatment process are welded together. At this time, additional design materials such as pipes and supports are welded and placed in each necessary area. In this way, the main task in manufacturing marine structures can be said to be welding.

용접 작업을 위해서는, 우선 도면 내의 용접 정보가 확인된 후, 각 용접팀별 작업자의 수나 업무 숙련도를 고려하여 적절한 물량이 배분되어야 한다. For welding work, the welding information in the drawing must first be confirmed, and then the appropriate quantity must be distributed considering the number of workers and work skills for each welding team.

그러나, 실제 현장에서는 담당자가 단지 각 용접팀과의 업무 경험에 기반하여 용접 물량을 배분할 뿐, 각 작업자의 숙련도, 작업자별 상이한 가용 시수나 배관 형상의 복잡도에 따라 용접 시수가 달라지는 것을 전혀 고려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However, in actual sites, the person in charge only distributes the welding quantity based on work experience with each welding team, and does not take into account that the welding time varies depending on the skill level of each worker, the different available number of hours for each worker, or the complexity of the pipe shape. This is the situation.

이로 인해, 작업자의 숙련도가 고려되지 못하고, 용접팀별 가용 시수에 따른 업무량이 평준화되지 않아 작업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발생되고 있다. As a result, the worker's skill level is not taken into consideration, and the workload according to the available hours for each welding team is not equalized, resulting in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한국공개특허 제10-2013-0082939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3-0082939 한국공개특허 제10-2015-0051598호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5-0051598

본 발명은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을 토대로 총 용접 작업량과 각 배관 스풀의 용접 개수당 용접 난이도를 산출하고,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표준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별 작업자들의 가용 시수에 상응하도록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의 업무량을 평준화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total amount of welding work and the welding difficulty per number of welds for each pipe spool based on the drawings of the pipes to be welded, and considering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each welding team is adjusted to correspond to the available hours of workers for each welding team. And/or by distributing the workload to each worker, it is intended to provide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prevent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by equalizing the workload of the welding team unit and/or worker unit.

본 발명은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에 기반하여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역량 시수를 산출하고,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대비하여 산출된 숙련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자별의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배원 계획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부정확한 배원 계획에 따른 시간 및 비용적 손실을 감소시킬 수 있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according to welding difficulty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and distributes the workload for each worker by applying the skill weight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thereby planning the distribution of work. The purpose is to provide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that can increase accuracy and reduce time and cost losses due to inaccurate distribution plans.

본 발명의 이외의 목적들은 하기의 설명을 통해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Other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asily understood through the following description.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미리 저장된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처리 유닛; 및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 미리 저장된 용접 실적 정보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시 소요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회수당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각각 산출하는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용접 난이도는 각각의 배관 스풀이 속하는 용접 복잡도 그룹과 해당 배관 배관 스풀의 배관 직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용접 표준 시수는 미리 저장된 모든 용접 실적 정보를 대상으로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별로 각각 산출된 평균 리드타임이며, 상기 용접 역량 시수는 작업자별 용접 실적 정보를 대상으로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별로 각각 산출된 작업자별 평균 리드타임인,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a pre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on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of each pipe spool included in a pre-stored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nd using the shape weight,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the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 standard welding time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required during the welding work of each pipe spool. and a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welding capacity time, respectively, wherein the welding difficulty is defined by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to which each pipe spool belongs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corresponding pipe piping spool, and the welding standard number is all pre-stored. The average lead time is calculated for each pipe spool's welding difficulty based on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are the average lead time for each worker calculated for each worker's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pipe spool's welding difficulty. A workload allocation system is provided.

상기 전처리 유닛은, 미리 기계 학습된 형상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복잡도에 따른 상기 형상 가중치를 부여하는 형상 인식부; 및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에 대응되어 미리 지정된 표시 형식으로 기재된 상기 용접 개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 인식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pre-processing unit includes a shape recognition unit that assigns the shape weight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using a pre-machine-learned shape recognition model; and a text recognition unit that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welds written in a pre-designated display format corresponding to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상기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배관 스풀들의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지정된 클러스터링 모델에 적용하여 배관 스풀들을 다수 개의 용접 복잡도 그룹들로 군집화하는 군집화 처리부; 및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을 배관 직경별로 분류하여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각 배관 직경을 기준한 상기 용접 표준 시수를 산출하고,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 중에서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를 기반으로 배관 스풀들을 용접 작업한 작업자별로 각각 분리하여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각 배관 직경을 기준한 상기 용접 역량 시수를 작업자별로 산출하는 용접 시수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welding number calculation unit includes a clustering processing unit that clusters the pipe spools into a plurality of welding complexity groups by applying the shape weight of the pipe spool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nd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to a predetermined clustering model; and classifying the pipe spools belonging to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by pipe diameter to calculate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based on each pipe diameter with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an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among the pipe spools belonging to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Based on , it may include a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that separates the pipe spools for each worker who performed the welding work and calculates the welding capacity number for each worker based on the diameter of each pipe with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상기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은, 작업 예정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스풀 배관들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상기 용접 표준 시수를 합산하여 상기 작업 예정 설계 도면에 대한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는 작업량 산출부; 및 상기 용접 표준 시수, 상기 용접 역량 시수 및 미리 저장된 각 작업자별 가용 시수를 참조하여, 상기 용접 작업량을 각 작업자에 대해 분배하는 물량 할당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includes a workloa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welding workload for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by adding up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level of spool pipes included in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quantity alloca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amount of welding work to each worker,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 welding hours,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and the pre-stored available hours for each worker.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용접 작업량 할당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a) 미리 저장된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 미리 저장된 용접 실적 정보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시 소요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회수당 용접 표준 시수와 작업자별 용접 역량 시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c) 작업 예정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스풀 배관들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상기 용접 표준 시수를 합산하여, 상기 작업 예정 설계 도면에 대한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미리 저장된 각 작업자별 가용 시수, 상기 단계 (b)에서 산출된 상기 용접 표준 시수와 상기 작업자별 용접 역량 시수를 참조하여, 상기 용접 작업량을 각 작업자에 대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computer program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method,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causes a computer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which steps include: (a)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saved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b) Using the shape weigh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weld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required during the welding work of each pipe spool. Calculating the standard number of hours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for each worker; (c) calculating the amount of welding work for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by adding up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level of the spool pipes included in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and (d) distributing the welding workload to each worker, with reference to the pre-stored available number of hours for each worker,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calculated in step (b), and the welding capability number of hours for each worker.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is provided.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을 토대로 총 용접 작업량과 각 배관 스풀의 용접 개수당 용접 난이도를 산출하고,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표준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별 작업자들의 가용 시수에 상응하도록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의 업무량을 평준화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total amount of welding work and the welding difficulty per number of welds for each pipe spool are calculated based on the drawings of the pipes to be welded, and the available number of hours for workers for each welding team is calculated by considering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By distributing the workload to each welding team and/or each worker correspondingly, there is an effect of preventing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by equalizing the workload of each welding team and/or worker.

또한,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에 기반하여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역량 시수를 산출하고,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대비하여 산출된 숙련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자별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배원 계획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고, 부정확한 배원 계획에 따른 시간 및 비용적 손실을 감소시키는 효과도 있다.In addition,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according to welding difficulty is calculated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and the workload for each worker is distributed by applying the proficiency weight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and the welding competency number of hours, thereby ensuring the accuracy of the distribution plan. It can increase and also has the effect of reducing time and cost losses due to inaccurate distribution plans.

전술한 것 외의 다른 측면, 특징, 이점이 이하의 도면, 청구범위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확해질 것이다. Other aspects, features and advantages in addition to those described above will become apparent from the following drawings, claims an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물량 분배부의 물량 할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숙련도를 고려한 용접 작업량 할당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welding number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diagram for explaining a quantity allocation process of a quantity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metho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한 설명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make various changes and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in the drawings and described in detail in the detailed description.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의 개략적인 블록 구성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다른 물량 분배부의 물량 할당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Figure 1 is a schematic block diagram of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for explaining the operation of a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3 is This is a diagram to explain the quantity allocation process of the quantity distribution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전처리 유닛(110), 용접 시수 산출 유닛(120), 작업량 산출부(130), 물량 할당부(140) 및 데이터베이스(150)를 포함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1,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may include a preprocessing unit 110, a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0, a workload calculation unit 130, a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and a database 150. there is.

여기서,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의 각 세부 구성 요소(예를 들어, 전처리 유닛(110), 용접 시수 산출 유닛(120) 등)는 지정된 역할을 수행하는 일종의 모듈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모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형태로 구현되거나,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또는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등과 같은 하드웨어 구성으로 구현되거나,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물론, 모듈은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지 않고,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들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적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들로 더 분리될 수도 있다.Here, each detailed component (eg, preprocessing unit 110,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0, etc.) of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may be composed of a type of module that performs a designated role. Here, the module may be implemented in the form of a software program, implemented in a hardware configuration such as a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FPGA) or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ASIC), or a combination thereof. Of course, the module is not limited to a software program or hardware, but may be configured to reside on an addressable storage medium, and may be configured to execute on one or more processors. The functionality provided by components and modules may be combined into fewer components and modules or may be further separated into additional components and modules.

전처리 유닛(110)은 미리 기계 학습된 형상 인식 모델 및 문자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각 도면 문서(즉, 실적 도면 문서와 작업 예정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용접 복잡도 해석을 위해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한다. 전처리 유닛(110)에서 생성한 각 배관 스풀에 상응하는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 The preprocessing unit 110 uses a pre-machine-learned shape recognition model and character extraction function for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each drawing document (i.e., actual drawing document and work scheduled drawing document) stored as drawing data in the database 150. For welding complexity analysis, information on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is generated. Information on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corresponding to each pipe spool generated by the preprocessing unit 110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50.

여기서, 실적 도면 문서는 현장에서 배관 스풀에 대한 용접 작업이 이미 완료된 도면 문서이고, 작업 예정 도면 문서는 현장에서 배관 스풀에 대한 용접 작업이 진행될 예정에 있는 도면 문서일 수 있다.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을 위해 소요된 실적 리드 타임과 용접사에 관한 정보는 용접 실적 정보로서, 실적 도면 문서 및 배관 스풀에 대응되도록 데이터베이스(150)에 미리 저장될 수 있다.Here, the actual drawing document may be a drawing document in which welding work on a pipe spool has already been completed in the field, and the work schedule drawing document may be a drawing document in which welding work on a pipe spool is scheduled to be performed in the field. The performance lead time and information about the welder required for the welding work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r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may be stored in advance in the database 150 to correspond to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nd the piping spool.

전처리 유닛(110)은 형상 인식부(111)와 텍스트 인식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pre-processing unit 110 may include a shape recognition unit 111 and a text recognition unit 113.

형상 인식부(111)는 미리 기계 학습된 형상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각 도면 문서 내의 배관 스풀을 복잡도에 따라 형상 가중치를 부여할 수 있다. The shape recognition unit 111 may use a pre-machine-learned shape recognition model to assign shape weights to the piping spools in each drawing document stored as drawing data in the database 150 according to complexity.

형상 인식 모델은 도면 문서(즉, 실적 도면 문서 및 작업 예정 도면 문서)에 포함된 배관 스풀을 형상을 기준한 복잡도에 따라 형상 가중치를 부여하기 위해 미리 지정된 데이터셋을 이용하여 기계 학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형상 인식 모델은 상대적으로 복잡도가 높은 배관 스풀일수록 상대적으로 높은 형상 가중치를 부여하도록 기계학습될 수 있다. The shape recognition model can be machine-learned using a pre-specified dataset to give shape weights to piping spools included in drawing documents (i.e., actual drawing documents and work schedule drawing documents) according to shape-based complexity. For example, the shape recognition model can be machine learned to assign a relatively higher shape weight to pipe spools with relatively higher complexity.

형상 인식 모델이 기계학습을 위해 이용하는 데이터셋에는 예를 들어 배관 스풀의 복잡도를 학습하기 위한 배관 스풀의 형상(예를 들어, 직선형 배관 스풀, 곡선형 배관 스풀, 분기형 배관 스풀 등) 정보, 각 배관 스풀의 형상과 용접 개수에 기반한 형상 가중치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Data sets used by the shape recognition model for machine learning include, for example, information on the shape of the pipe spool (e.g., straight pipe spool, curved pipe spool, branched pipe spool, etc.) to learn the complexity of the pipe spool, Shape weight information based on the shape of the pipe spool and the number of welds may be included.

이는, 도면 문서 내에 도시된 배관 스풀의 형상이 일반적이지 않거나 분기 수가 많은 등의 경우에 현장에서 상대적으로 많은 작업 시수가 소요될 수 있으며, 적정한 용접 물량 분배를 위해서는 각 배관 스풀에 대한 복잡도가 관리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This may require a relatively large number of work hours in the field in cases where the shape of the piping spool shown in the drawing document is unusual or has a large number of branches, and the complexity of each piping spool needs to be managed in order to distribute the appropriate welding volume. Because there is.

텍스트 인식부(113)는 데이터베이스(150)에 도면 데이터로 저장된 도면 문서 내에서 미리 지정된 표시 형식으로 기재된 배관 스풀 아이디와 용접 정보(즉, 용접 개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한다. The text recognition unit 113 extracts the piping spool ID and welding information (i.e., information regarding the number of welds) written in a pre-designated display format within the drawing document stored as drawing data in the database 150.

도면 문서 내에서, 배관 스풀 아이디는 예를 들어 'xxxxx-xx-Pxxxx(여기서, x는 임의의 숫자)'의 형식으로 기재될 수 있고, 용접 정보는 용접 개수에 상응하도록 'W1', 'W2' 등의 형식으로 기재될 수 있다. 여기서, 배관 스풀 아이디, 용접 정보 등을 기재하기 위한 형식과 기재 위치는 이외에도 다양하게 규정될 수 있으며, 또한 속성에 따라 다양한 형식으로 기재되도록 규정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예를 들어, 용접 정보는 도시된 배관에 대응되도록 각각 기재될 수도 있으나, 도면 문서의 좌측 상단 부분에 취합 정리되어 기재될 수도 있다. Within the drawing document, the piping spool ID may be written in the format of, for example, 'xxxxx-xx-Pxxxx (where x is an arbitrary number)', and the welding information may be 'W1' or 'W2'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welds. It can be written in a format such as '. Here, it is natural that the format and location for recording the piping spool ID, welding information, etc. may be specified in various other ways, and may also be specified to be written in various formats depending on the attributes. For example, welding information may be individually written to correspond to the pipes shown, but may also be collected and written in the upper left part of the drawing document.

용접 시수 산출 유닛(110)은 전처리 유닛(110)에서 실적 도면 문서를 대상으로 하여 생성한 배관 스풀들 각각에 상응하는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현장에서 배관 스풀의 용접 개수 중 하나 용접 작업시(즉, 용접 횟수당) 평균적으로 소요되는 시간으로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횟수당 용접 표준 시수를 산출한다. The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10 uses the information on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ipe spools generated by the preprocessing unit 110 for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welds of the pipe spool in the field. As the average time required for one welding operation (i.e., per number of welds),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is calculated.

또한, 용접 시수 산출 유닛(120)은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건별 각 작업자의 용접 역량 시수를 더 산출한다(도 3의 (b) 참조). In addition, the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0 further calculates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of each worker for each welding case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see (b) of FIG. 3).

여기서, 용접 난이도는 용접 복잡도 그룹과 배관 직경으로 규정되고,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지수는 용접 복잡도 그룹에 대해 배관 스풀의 배관 직경별로 각각 산출된다. Here, the welding difficulty is defined by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and the pipe diameter, and the welding standard number of hours and the welding competency index are calculated for each pipe diameter of the pipe spool for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용접 시수 산출 유닛(120)에 의해 산출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횟수당 용접 표준 시수, 각 작업자별 용접 역량 시수에 대한 정보는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될 수 있다.Information on the standard welding hour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calculated by the welding hours calculation unit 120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for each worker may be stored in the database 150.

용접 시수 산출 유닛(120)은 군집화 처리부(121) 및 용접 시수 산출부(123)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elding time calculating unit 120 may include a clustering processing unit 121 and a welding time calculating unit 123.

군집화 처리부(121)는 실적 도면 문서를 대상으로 하여 생성한 각 배관 스풀에 상응하는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지정된 클러스터링(clustering) 모델을 적용하여 배관 스풀들을 다수 개의 용접 복잡도 그룹들로 군집화한다(도 2의 (a) 및 (b) 참조). 여기서, 클러스터링 모델은 유사한 정보를 묶어 군집으로 나타내는 비지도 학습 모델일 수 있다. The clustering processing unit 121 applies a pre-specified clustering model to the shape weight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corresponding to each pipe spool generated from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to divide the pipe spools into a plurality of welding complexity groups. Cluster (see Figure 2 (a) and (b)). Here, the clustering model may be an unsupervised learning model that groups similar information and represents it as a cluster.

용접 시수 산출부(123)는 군집화 처리부(121)에 의해 군집화된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을 배관 직경별로 분류하고,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각 배관 직경을 기준한 용접 횟수당 용접 표준 시수를 산출한다(도 2의 (c) 참조). The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3 classifies the pipe spools belonging to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clustered by the clustering processing unit 121 by pipe diameter, and calculates the standard welding time per number of welds based on each pipe diameter 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Calculate (see (c) in Figure 2).

용접 시수 산출부(123)는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배관 직경별 배관 스풀들 각각에 대해 데이터베이스(150)에 미리 저장된 용접 횟수당 실적 리드 타임의 평균값을 용접 표준 시수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특정의 용접 복잡도 그룹에 포함된 특정의 배관 직경에 대한 배관 스풀로서 현장에서 용접 작업시 소요된 실적 리드 타임이 데이터베이스(150)에 0.5H, 0.3H, 0.4H로 각각 저장되어 있다면, 용접 표준 시수는 0.4H(=(0.5+0.3+0.4)/3)으로 산출될 수 있다. The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3 may calculate the average value of the performance lead time per number of welds pre-stored in the database 150 for each pipe spool for each pipe diameter with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as the standard welding time. For example, if the performance lead time required for welding work in the field as a pipe spool for a specific pipe diameter included in a specific welding complexity group is stored in the database 150 as 0.5H, 0.3H, and 0.4H, respectively. , the standard welding time can be calculated as 0.4H (=(0.5+0.3+0.4)/3).

또한, 용접 시수 산출부(123)는 군집화 처리부(121)에 의해 군집화된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 중에서 미리 저장된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를 기반으로 용접 작업된 배관 스풀들을 작업자별로 각각 분리하고, 각 작업자를 기준으로 하는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횟수당 용접 역량 시수를 더 산출한다(도 3의 (b) 참조). In addition, the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3 separates the welded pipe spools for each worker based on the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among the piping spools belonging to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clustered by the clustering processing unit 121.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level for each worker is further calculated (see (b) in Figure 3).

여기서, 용접 표준 시수는 해당 시점까지 누적된 모든 용접 실적 정보(즉, 모든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용접 난이드(즉, 속하는 용접 복잡도 그룹 및 배관 스풀의 배관 직경)를 기준하여 산출된 평균 리드타임이다. 이에 비해, 용접 역량 시수는 작업자들 각각에 대해 해당 시점까지 누적된 용접 실적 정보를 개별적으로 이용하여, 각 작업자별로 용접 난이도를 기준한 평균 리드 타임인 차이가 있다. Here,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is calculated based on the welding difficulty (i.e.,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to which it belongs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pipe spool) using all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ccumulated up to that point (i.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all workers). This is the average lead time. In comparison,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uses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ccumulated up to that point for each worker individually, and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lead time based on the welding difficulty for each worker.

즉, 용접 표준 시수는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에 따라 용접 작업시 일반적으로 소요되는 평균 리드 타임인 반면, 용접 역량 시수는 해당 작업자가 동일한 배관 스풀을 용접할 때 소요되는 평균 리드 타임이다. 동일한 배관 스풀을 용접한다고 가정할 때, 용접 표준 시수에 비해 용접 역량 시수가 상대적으로 더 작은 작업자일수록 상대적으로 더 숙련된 작업자로 인정될 수 있을 것이다. In other words, the standard welding time is the average lead time generally required during welding work depending on the welding difficulty of the pipe spool, while the welding competency time is the average lead time required when the worker welds the same pipe spool. Assuming that the same pipe spool is welded, a worker with relatively fewer welding competency hours compared to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may be recognized as a relatively more skilled worker.

작업량 산출부(130)는 전처리 유닛(110)에 의해 해석된 작업 예정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스풀 배관들 각각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풀 배관에 대응되는 용접 복잡도 그룹을 인식하고, 각 스풀 배관이 대응되는 용접 복잡도 그룹과 데이터베이스(150)에 설계 정보로 미리 저장된 스풀 배관들 각각의 직경 정보를 참조하여 스풀 배관들의 용접 난이도에 기반한 용접 표준 시수를 합산함으로써, 작업 예정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용접 작업량을 산출한다. The workload calculation unit 130 recognizes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corresponding to each spool pipe using information on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for each spool pipe included in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analyzed by the preprocessing unit 110. And, by referring to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to which each spool pipe corresponds and the diameter information of each spool pipe pre-stored as desig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50,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operations based on the welding difficulty of the spool pipes is added, and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is drawn. Calculate the corresponding amount of welding work.

작업량 산출부(130)는 작업 예정 설계 도면이 다수개인 경우에는 각 작업 예정 도면 문서에 대해 산출된 용접 작업량을 모두 취합하여 용접 작업량을 산출할 수도 있다. If there are multipl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s, the workload calculation unit 130 may calculate the welding workload by collecting all the welding workloads calculated for each work schedule drawing document.

물량 할당부(140)는 작업량 산출부(130)에서 산출된 용접 작업량을 각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표준 시수, 각 작업자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역량 시수 및 각 작업자의 가용 시수를 고려하여 각 작업자에게 분배한다(도 3 참조).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calculates the welding workload calculated in the workload calculation unit 130 by considering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of each pipe spool,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of each worker, and the available hours of each worker. Distribute to each worker (see Figure 3).

이때, 물량 할당부(140)는 작업자의 가용 시수를 한계로 하여 배관 스풀들의 용접 표준 시수를 기준으로 작업자에게 업무량을 분배하되, 해당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에 의해 용접 역량 시수가 산출되었다면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대비하여 산출된 숙련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자별로 업무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 At this time,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distributes the workload to the workers based on the standard welding hours of pipe spools with the worker's available hours as a limit. However, if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standard welding hours are The workload can be distributed to each worker by applying the proficiency weight calculated based on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예를 들어, 특정의 용접 난이도(예를 들어, 형상 가중치 0.8, 용접 개수 4, 배관 직경 Ø35)로 해석되고, 용접 표준 시수가 0.4H로 해석된 PP0001이라는 배관 스풀(도 3의 (a) 참조)의 경우, 물량 할당부(140)는 0.2H의 용접 역량 시수를 보이는 작업자 홍길동(도 3의 (b) 참조)에게 작업 배정할 수 있을 것이다.For example, a pipe spool named PP0001, interpreted as a specific weld difficulty (e.g., shape weight 0.8, number of welds 4, pipe diameter Ø35) and a weld standard number of hours of 0.4H (see (a) in Figure 3). ),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may assign the work to worker Hong Gil-dong (see (b) of FIG. 3) who shows a welding competency number of 0.2H.

이 경우, 용접 표준 시수 0.4H에 비해 용접 역량 시수 0.2H가 작아 우수한 숙련도를 보이므로, 물량 할당부(140)는 숙련도 가중치 0.5(=0.2/0.4)를 적용하여 해당 작업자의 가용 시수 중 0.2H만 소요하는 업무량으로 인식하여 업무량을 분배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용접 표준 시수 0.4H에 비해 열악한 숙련도인 용접 역량 시수 0.6H를 보이는 작업자인 경우라면, 물량 할당부(140)는 숙련도 가중치 1.5(=0.6/0.4)를 적용하여 해당 작업자의 가용 시수 중 0.6H만 소요하는 업무량으로 인식하여 업무량을 분배할 수 있다. In this case, since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of 0.2H are smaller than the standard welding hours of 0.4H, showing excellent skill,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applies a skill weight of 0.5 (=0.2/0.4) to select 0.2H of the available hours of the worker. The workload can be distributed by recognizing it as the amount of work required. However, if the worker shows welding competency hours of 0.6H, which is inferior to the standard welding hours of 0.4H,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applies a proficiency weight of 1.5 (=0.6/0.4) to select 0.6H of welding competency hours among the worker's available hours. The workload can be distributed by recognizing it as only 0.6H of work.

이와 같이, 물량 할당부(140)는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에 있어, 각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표준 시수, 각 작업자의 가용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각 작업자별 또는 각 용접팀별 일단위 업무량을 분배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각 용접팀 단위 및 각 작업자 단위에서 작업 물량의 평준화를 달성할 수 있는 특징이 있다.In this way, when distributing the workload for the welding work of the pipe spool, the quantity allocation unit 140 comprehensively considers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of each pipe spool, the available number of hours for each worker, and the number of welding capabilities. The daily workload can be distributed to each worker or each welding team, and this has the feature of achieving equalization of the workload in each welding team unit and each worker unit.

데이터베이스(150)에는 각 도면 문서(즉, 실적 도면 문서와 작업 예정 도면 문서) 및 각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설계 정보, 전처리 유닛(110)에서 생성된 각 배관 스풀에 상응하는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횟수당 용접 표준 시수와 각 작업자별 용접 역량 시수에 대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The database 150 includes each drawing document (i.e., actual drawing document and work scheduled drawing document) and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each drawing document, as well as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corresponding to each piping spool generated in the preprocessing unit 110. Information on each worker's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n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welding difficulty,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for each worker can be stored.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 숙련도를 고려한 용접 작업량 할당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showing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metho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단계 410에서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기존에 누적되어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모든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를 이용하여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즉, 속하는 용접 복잡도 그룹과 배관 스풀의 배관 직경)에 기반한 용접 횟수당 용접 표준 시수를 산출한다. Referring to FIG. 4, in step 410,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uses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all workers accumulated and stored in the database 150 to determine the welding difficulty level of each pipe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i.e. , the weld complexity group to which it belongs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pipe spool) to calculate the standard number of welds per number of welds.

이를 위해, 미리 기계 학습된 형상 인식 모델 및 문자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데이터베이스(150)에 저장된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용접 복잡도 해석을 위해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가 생성될 수 있다.To this end, using a pre-machine-learned shape recognition model and character extraction function, information on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will be generated to analyze the welding complexity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stored in the database 150. You can.

또한, 실적 도면 문서를 대상으로 하여 생성한 각 배관 스풀에 상응하는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지정된 클러스터링 모델을 적용하여 배관 스풀들을 다수 개의 용접 복잡도 그룹들로 군집화하고, 군집화된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을 배관 직경별로 분류하여,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각 배관 직경을 기준한 용접 횟수당 용접 표준 시수를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piping spools are clustered into multiple welding complexity groups by applying a pre-specified clustering model to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corresponding to each piping spool created from performance drawing documents, and each clustered weld By classifying pipe spools belonging to a complexity group by pipe diameter,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per number of welds based on each pipe diameter with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can be calculated.

단계 420에서,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군집화된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을 미리 저장된 용접 실적 정보에 따라 각각의 작업자별로 분리하고, 각 작업자를 기준으로 하는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횟수당 용접 역량 시수를 산출한다. In step 420,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separates the piping spools belonging to each clustered welding complexity group into each worker according to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calculates the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based on each worker. Calculate welding competency hours.

단계 410에서 산출된 용접 표준 시수는 모든 작업자를 대상으로 하여 산출된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에 따라 용접 작업시 일반적으로 소요되는 평균 리드 타임인 반면, 단계 420에서 산출된 용접 역량 시수는 특정의 작업자가 동일한 배관 스풀을 용접할 때 소요되는 평균 리드 타임인 차이가 있다.The standard welding hours calculated in step 410 are the average lead time generally required for welding work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of the pipe spool calculated for all workers, while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calculated in step 420 are the average lead time calculated for all workers.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average lead time required when welding the same spool of pipe.

단계 430에서,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작업 예정 도면에 기초하여 용접 작업량을 산출한다. In step 430,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calculates the welding workload based on the work schedule drawing.

이를 위해,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미리 기계 학습된 형상 인식 모델 및 문자 추출 기능을 이용하여, 작업 예정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스풀 배관들 각각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To this end,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can generate information about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for each spool pipe included in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using a pre-machine-learned shape recognition model and character extraction function. there is.

또한, 생성된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각 스풀 배관에 대응되는 용접 복잡도 그룹을 인식하고, 각 스풀 배관이 대응되는 용접 복잡도 그룹과 데이터베이스(150)에 설계 정보로 미리 저장된 스풀 배관들 각각의 직경 정보를 참조하여 스풀 배관들의 용접 표준 시수를 합산함으로써, 작업 예정 설계 도면에 상응하는 용접 작업량을 산출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corresponding to each spool pipe is recognized using the generated shape weight and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and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to which each spool pipe corresponds and the spool pipe pre-stored as design information in the database 150 By adding up the standard welding hours of the spool pipes with reference to the diameter information of each, the amount of welding work corresponding to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can be calculated.

단계 440에서,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산출된 용접 작업량에 따른 용접 표준 시수, 각 작업자의 가용 시수 및 용접 역량 시수를 고려하여 각 작업자별로 용접 작업 물량을 배정한다.In step 440,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allocates the welding workload to each worker by considering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calculated welding workload, the available hours of each worker,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이때,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100)은 작업자의 가용 시수를 한계로 하여 배관 스풀들의 용접 표준 시수를 기준으로 작업자에게 업무량을 분배하되, 해당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에 의해 용접 역량 시수가 산출되었다면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대비하여 산출된 숙련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자별로 업무량을 분배할 수도 있다.At this time,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00 distributes the workload to workers based on the standard welding hours of pipe spools with the worker's available hours as a limit. If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are calculated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the worker, the welding standard hours are calculated. The workload can be distributed to each worker by applying the skill weight calculated by comparing the number of hours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전술한 바와 같이,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및 방법은 용접 작업될 배관 도면들을 토대로 총 용접 작업량과 각 배관 스풀의 용접 개수당 용접 난이도를 산출하고,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표준 시수를 고려하여 각 용접팀별 작업자들의 가용 시수에 상응하도록 각 용접팀 및/또는 각 작업자에 대한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용접팀 단위 및/또는 작업자 단위의 업무량을 평준화시켜 작업 효율의 저하를 방지하는 특징이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and method calculates the total welding workload and the welding difficulty per number of welds for each pipe spool based on the piping drawings to be welded, and considers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so that the workers for each welding team By distributing the workload for each welding team and/or each worker to correspond to the available hours, the workload for each welding team and/or worker is equalized to prevent a decrease in work efficiency.

또한, 본 발명은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에 기반하여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역량 시수를 산출하고,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대비하여 산출된 숙련도 가중치를 적용하여 작업자별의 업무량을 분배함으로써, 배원 계획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는 특징도 있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calculates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and distributes the workload for each worker by applying the proficiency weight calculated by comparing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There are also features that can increase the accuracy of the distribution plan.

또한, 전술한 용접 작업량 할당 방법은 디지털 처리 장치에 내장된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어플리케이션 등으로 구현되어 시계열적 순서에 따른 자동화된 절차로 수행될 수도 있음은 당연하다. 상기 프로그램 등을 구성하는 코드들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당해 분야의 컴퓨터 프로그래머에 의하여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로그램은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정보저장매체(computer readable media)에 저장되고, 컴퓨터에 의하여 읽혀지고 실행됨으로써 상기 방법을 구현한다. In addition, it is natural that the above-described welding workload allocation method may be implemented as a software program, application, etc. built into a digital processing device and performed as an automated procedure in a time-serial order. Codes and code segments constituting the program, etc. can be easily inferred by a computer programmer in the field. Additionally, the program is stored in a computer-readable information storage medium and is read and executed by a computer to implement the method.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do it.

100 :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110 : 전처리 유닛
111 : 형상 인식부 113 : 텍스트 인식부
120 : 용접 시수 산출 유닛 121 : 군집화 처리부
123 : 용접 시수 산출부 130 : 작업량 산출부
140 : 물량 할당부 150 : 데이터베이스
100: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110: Pretreatment unit
111: shape recognition unit 113: text recognition unit
120: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21: Clustering processing unit
123: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130: workload calculation unit
140: Quantity allocation unit 150: Database

Claims (5)

미리 저장된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전처리 유닛; 및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 미리 저장된 용접 실적 정보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시 소요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회수당 용접 표준 시수와 용접 역량 시수를 각각 산출하는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을 포함하되,
상기 용접 난이도는 각각의 배관 스풀이 속하는 용접 복잡도 그룹과 해당 배관 배관 스풀의 배관 직경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용접 표준 시수는 미리 저장된 모든 용접 실적 정보를 대상으로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별로 각각 산출된 평균 리드타임이며, 상기 용접 역량 시수는 작업자별 용접 실적 정보를 대상으로 배관 스풀의 용접 난이도별로 각각 산출된 작업자별 평균 리드타임인,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A preprocessing unit that generates information about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re-stored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and
Using the shape weight,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the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the standard number of welding operation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required during the welding work of each pipe spool Includes a welding number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The welding difficulty is defined by the welding complexity group to which each pipe spool belongs and the pipe diameter of the corresponding pipe spool,
The welding standard number of hours is the average lead time calculated for each welding difficulty of the pipe spool based on all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the welding competency number of hours is calculated for each welding difficulty of the pipe spool based on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for each operator.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which is the average lead time for each worker.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처리 유닛은,
미리 기계 학습된 형상 인식 모델을 이용하여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복잡도에 따른 상기 형상 가중치를 부여하는 형상 인식부; 및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에 대응되어 미리 지정된 표시 형식으로 기재된 상기 용접 개수에 관한 정보를 추출하는 텍스트 인식부를 포함하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retreatment unit is,
a shape recognition unit that assigns the shape weight according to the complexity of each pipe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using a pre-machine-learned shape recognition model; and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comprising a text recognition unit that extracts information about the number of welds written in a pre-designated display format corresponding to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용접 시수 산출 유닛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배관 스풀들의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미리 지정된 클러스터링 모델에 적용하여 배관 스풀들을 다수 개의 용접 복잡도 그룹들로 군집화하는 군집화 처리부; 및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을 배관 직경별로 분류하여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각 배관 직경을 기준한 상기 용접 표준 시수를 산출하고, 각 용접 복잡도 그룹에 속하는 배관 스풀들 중에서 각 작업자의 용접 실적 정보를 기반으로 배관 스풀들을 용접 작업한 작업자별로 각각 분리하여 각 용접 복잡도 그룹 내의 각 배관 직경을 기준한 상기 용접 역량 시수를 작업자별로 산출하는 용접 시수 산출부를 포함하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welding number calculation unit is,
a clustering processor that clusters the pipe spools into a plurality of welding complexity groups by applying the shape weight and the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of the pipe spools included in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to a pre-designated clustering model; and
The pipe spools belonging to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are classified by pipe diameter,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is calculated based on each pipe diameter with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and the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of each worker is obtained from the pipe spools belonging to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A welding work load allocation system comprising a welding time calculation unit that separates pipe spools for each worker who performed welding work based on each worker and calculates the welding capacity number for each worker based on the diameter of each pipe in each welding complexity group.
제1항에 있어서,
작업 예정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스풀 배관들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상기 용접 표준 시수를 합산하여, 상기 작업 예정 설계 도면에 대한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는 작업량 산출부; 및
상기 용접 표준 시수, 상기 용접 역량 시수 및 미리 저장된 각 작업자별 가용 시수를 참조하여, 상기 용접 작업량을 각 작업자에 대해 분배하는 물량 할당부를 더 포함하는, 용접 작업량 할당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workload calculation unit that calculates a welding workload for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by adding up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level of the spool pipes included in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and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system further comprising a quantity allocation unit that distributes the welding workload to each worker with reference to the standard welding hours, the welding competency hours, and the pre-stored available hours for each worker.
용접 작업량 할당 방법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로 하여금 이하의 단계들을 수행하도록 하며, 상기 단계들은,
(a) 미리 저장된 실적 도면 문서에 포함된 각 배관 스풀의 형상 가중치와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b) 상기 형상 가중치와 상기 용접 개수에 대한 정보, 미리 저장된 용접 실적 정보와 상기 실적 도면 문서에 상응하는 설계 정보를 이용하여, 각 배관 스풀의 용접 작업시 소요된 용접 난이도에 따른 용접 회수당 용접 표준 시수와 작업자별 용접 역량 시수를 각각 산출하는 단계;
(c) 작업 예정 설계 도면 내에 포함된 스풀 배관들의 용접 난이도에 따른 상기 용접 표준 시수를 합산하여, 상기 작업 예정 설계 도면에 대한 용접 작업량을 산출하는 단계; 및
(d) 미리 저장된 각 작업자별 가용 시수, 상기 단계 (b)에서 산출된 상기 용접 표준 시수와 상기 작업자별 용접 역량 시수를 참조하여, 상기 용접 작업량을 각 작업자에 대해 분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컴퓨터-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computer-readable medium for performing a welding workload allocation method, wherein the computer program causes a computer to perform the following steps, said steps comprising:
(a) generating information about the shape weight and number of welds of each piping spool included in the pre-stored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b) Using the shape weight, information on the number of welds, pre-stored welding performance information, and design information corresponding to the performance drawing document, welds per number of weld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required during the welding work of each pipe spool. Calculating the standard number of hours and the number of welding competency hours for each worker;
(c) calculating the amount of welding work for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by adding up the standard welding hours according to the welding difficulty level of the spool pipes included in the work schedule design drawing; and
(d) a computer comprising the step of distributing the welding workload to each worker, referring to the pre-stored available number of hours for each worker, the standard welding number of hours calculated in step (b), and the welding capability number of hours for each worker; -A computer program stored on a readable medium.
KR1020220126914A 2022-10-05 2022-10-05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KR20240047645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14A KR20240047645A (en) 2022-10-05 2022-10-05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914A KR20240047645A (en) 2022-10-05 2022-10-05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7645A true KR20240047645A (en) 2024-04-12

Family

ID=906805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914A KR20240047645A (en) 2022-10-05 2022-10-05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7645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939A (en) 2011-12-23 2013-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elder skill management method
KR20150051598A (en) 2013-11-05 2015-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Welder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82939A (en) 2011-12-23 2013-07-22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Welder skill management method
KR20150051598A (en) 2013-11-05 2015-05-13 두산중공업 주식회사 Welder qualification management system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ash et al. Self-service analytics for data-driven decision making during COVID-19 pandemic: An organization’s best defense
Babulak et al. Discrete event simulation
CN107563417A (en) A kind of deep learning artificial intelligence model method for building up and system
CN107229693A (en) The method and system of big data system configuration parameter tuning based on deep learning
CN103218448A (en) Self-service report generating method, device and system
CN109598441A (en) Method for allocating tasks and system
CN111738650A (en) Inventory matching system based on automatic management
CN115796614A (en) Industrial brain processing system and method, electronic device and storage medium
CN110619573B (en) Client full-time investigation case distribution method and device
Becker et al. Supporting Business Process Compliance in Financial Institutions–A Model-Driven Approach
CN101446906A (en) Dispatching method for multi-batch processing tasks and system thereof
LU500192B1 (en) Task-oriented long- and short-term combined scheduling method and system
CN107169907A (en) It is a kind of to guide processing method and system towards emergent information classification on duty
CN112463334B (en) Training task queuing reason analysis method, system, equipment and medium
KR20240047645A (en) System and method for allocating welding workload considering work skill level
CN109408602A (en) A kind of big data integrated conduct method and system
CN104267937A (en) Online small-batch data processing method and online small-batch data processing system
KR20150096191A (en) Project management system
Hidayatno et al. Understanding the systemic relationship of industry 4.0 adoption in the Indonesian food and beverage industry
CN109725998A (en) A kind of task retries method and device
CN114185661A (en) Task processing method, device, equipment and storage medium
CN109408546A (en) A kind of stream data processing method and processing device
Illés et al. A Novel Approach of Operation Sequencing Problem in Computer Aided Process Planning
CN111988412A (en) Intelligent prediction system and method for multi-tenant service resource demand
CN111027429A (en) Data preprocessing method and system for intelligent identification of electrical drawing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