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6969A - 센서 세척 장치 - Google Patents

센서 세척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6969A
KR20240046969A KR1020220126014A KR20220126014A KR20240046969A KR 20240046969 A KR20240046969 A KR 20240046969A KR 1020220126014 A KR1020220126014 A KR 1020220126014A KR 20220126014 A KR20220126014 A KR 20220126014A KR 20240046969 A KR20240046969 A KR 20240046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washer fluid
spray
cleaning device
sens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60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경환
왕상헌
차동은
공락경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260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6969A/ko
Priority to US18/113,171 priority patent/US20240109518A1/en
Priority to CN202310213974.7A priority patent/CN117840102A/zh
Publication of KR20240046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6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5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leaning other parts or devices than front windows or windscre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0Arrangement of reservo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 B60S1/52Arrangement of nozzles; Liquid spread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SSERVICING, CLEANING, REPAIRING, SUPPORTING, LIFTING, OR MANOEUVRING OF VEH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S1/00Cleaning of vehicles
    • B60S1/02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 B60S1/46Cleaning windscreens, windows or optical devices using liquid; Windscreen washers
    • B60S1/48Liquid supply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Nozzles (AREA)
  • Cleaning By Liquid Or Stea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립되어 배열되며, 인렛 노즐을 통해 공급된 워셔액이 유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가 형성되는 워셔액 유로부, 상기 워셔액 유로부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상기 워셔액 유로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분사 유로를 따르며 유동하는 워셔액이 상기 센싱 영역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센서 세척 장치{APPARATUS FOR CLEANING SENSOR}
본 발명은 센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라이다 센서의 크기 또는 FOV(Field Of View) 영역에 관계 없이 다양한 라이다 센서에 대한 세척이 범용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센서 세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율주행 레벨 3 기능은 고속도로 자율 주행 뿐만 아니라, 자율 주차 등과 같은 기능을 요구하고 있는 실정이므로, 이를 위해 거리 분해능이 높은 라이다(LIDAR) 센서의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이와 같은, 라이다 센서는 차량의 전후방을 센싱하여, 사물이나 구조물 등을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통상, 라이다 센서는 전방 범퍼에 장착되어 외부에 노출되는데, 이는 라이다 센서를 글라스나 자체 같은 다른 구조물 속에 설치하는 것은 라이다 센서의 감지 성능을 현저히 떨어뜨릴 수 있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게 장착함을 통하여 상기와 같은 감지 성능 저하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라이다 센서의 경우, 레이저 송신부, 레이저 수신부 및 구동부 등을 포함하며, 외부의 오염물로부터 센서를 보호하는 커버가 별도로 존재한다.
즉, 라이다 센서는 빛을 송/수신하는 방식을 통해 거리를 감지하는 센서이기 때문에, 커버의 존재가 필수적이며, 그에 따라 커버의 오염에 매우 민감할 수 밖에 없으므로, 라이다 센서의 오염을 방지하는 것은, 라이다 센서의 성능 유지를 위해 필수적이다.
이를 위해, 리저버의 워셔펌프가 작동함에 따라, 그 압력을 이용하여 리저버 내 워셔액을 호스를 거쳐 세척 노즐에 전달하고, 노즐을 통해 워셔액을 분사하여, 라이다 센서의 FOV(Field Of View) 영역에 존재하는 이물질을 제거, 라이다 센서를 세척하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센서 세척 장치가 적용될 수 있다.
하지만, 라이다 센서는 부품 공급사 또는 라이다의 성능 등에 따라, 크기 및 FOV 영역이 서로 상이하기 때문에, 차량에 센서 세척 장치를 적용함에 있어, 라이다 센서의 크기 및 FOV 영역에 맞는 별도의 노즐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노즐을 포함한 복수의 워셔액 유로를 모듈화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모듈화된 워셔액 유로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 해제하여, 라이다 센서의 크기 또는 FOV(Field Of View) 영역에 대응하며 워셔액 유로의 길이 및 형상이 가변되게 함으로써, 라이다 센서의 크기 및 180°, 360° 등과 같은 FOV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워셔액 분사 구조를 적용하여, 라이다 센서에 대한 세척이 범용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센서 세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는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립되어 배열되며, 인렛 노즐을 통해 공급된 워셔액이 유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가 형성되는 워셔액 유로부, 상기 워셔액 유로부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상기 워셔액 유로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분사 유로를 따르며 유동하는 워셔액이 상기 센싱 영역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인렛 노즐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각 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부재 및 조립 홀이 구비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분사 유로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한다.
이러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인렛 노즐에 의해 워셔액이 저장된 리저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을 배열하여, 상기 센서부의 360°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2하우징을 선택적으로 조립 해제하고, 2개의 상기 제1하우징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을 배열하여, 상기 센서부의 180°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사이에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제1하우징과 동일한 연결부재 및 조립 홀이 구비되고, 마주하는 연결부재 및 조립 홀 간 체결을 통해 상기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조립된다.
또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 상기 분사 유로의 실링이 이루어지게 하는 오링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와 동일한 방향을 따르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 걸림 위치됨을 통해 조립을 보조하는 보조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연결부재 및 조립 홀에 각각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마감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커버부재,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커버부재,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사 노즐부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홀을 구비하는 제3커버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서, 상기 제3커버부재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커버부재와 교차되게 장착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그리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와 동일한 방향을 따르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 걸림 위치됨을 통해 조립을 보조하는 보조 체결부재를 구비한다.
한편, 상기 분사 노즐부는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지며 복수로 구비된다.
이러한 상기 분사 노즐부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됨에 있어,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지는 복수가 교차로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는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립되어 배열되며, 인렛 노즐을 통해 공급된 워셔액이 유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가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워셔액 유로부 및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 유로를 따르며 유동하는 워셔액이 상기 센서부의 센싱 영역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노즐을 포함한 복수의 워셔액 유로를 모듈화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모듈화된 워셔액 유로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 해제하여, 라이다 센서의 크기 또는 FOV(Field Of View) 영역에 대응하며 워셔액 유로의 길이 및 형상이 가변되게 함으로써, 라이다 센서의 크기 및 180°, 360° 등과 같은 FOV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워셔액 분사 구조를 적용하여, 라이다 센서에 대한 세척이 범용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워셔액 유로의 상면을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되, 이러한 복수의 커버 중 분사 노즐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홀이 구비된 커버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장착되게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워셔액의 분사 범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추운 지역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장착 홀이 구비된 커버가 워셔액 유로에 연속적으로 장착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아진 워셔액에 대하여 분사 범위가 확장 조절되게 할 수 있어, 라이다 센서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배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도 4에서의 A-A 영역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다.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1커버부재의 장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2하우징 및 제2커버부재 또는 제3커버부재의 장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워셔액 유로부 배열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마감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 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구조를 개략적으로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2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배열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3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도 4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2하우징의 결합 상태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5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도 4에서의 A-A 영역을 보여주기 위한 단면도이며, 도 6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1하우징 및 제1커버부재의 장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또한, 도 7a 및 도 7b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제2하우징 및 제2커버부재 또는 제3커버부재의 장착을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워셔액 유로부 배열의 실시예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며, 도 9 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에 대한 마감부재를 보여주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센서 세척 장치는 센서부(100), 워셔액 유로부(200), 커버부(300) 및 분사 노즐부(400)를 포함한다.
통상, 라이다(Light Detection And Ranging, LIDAR)는 레이저광을 미리 설정된 방향으로 방출 및 검출하여 주변 대상물체의 이격된 거리, 주변 대상물체의 형태를 판별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차량에 적용되는 라이다 센서는 일반적으로 차량이 이동하는 동안 주변의 관심거리 영역에 해당하는 지형과 장애물 표면정보를 실시간으로 스캔하여 수집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라이다는 레이더와 비슷한 원리를 가지고 있지만, 레이더의 경우 전자기파를 외부로 발사해 재수신되는 전자기파로 거리 및 방향 등을 확인하는 반면, 라이다는 레이저광을 방출한다는 차이점이 있으며, 파장이 짧은 레이저광을 사용하기 때문에, 정밀도 및 해상도가 높고 사물에 따라 입체적 파악까지 가능한 장점이 있다.
하지만, 이러한 센서부(100)는 외부 객체를 감지하기 위하여 차량에 적용되는 경우, 일반적으로 차량의 전방 범퍼에 장착되기 때문에, 외부에 노출되어 이물질에 의한 오염이 발생할 수 밖에 없기 때문에, 워셔액 분사를 통해 이물질의 제거가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러나, 센서부(100)는 차종 및 설치되는 위치 등에 따라 그 크기 및 센싱 영역(FOV(Field Of View))이 서로 다르기 때문에, 센서부(100)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며 이물질을 제거하기 위한 노즐을 구성함에 있어서, 노즐의 선택적인 추가 또는 삭제가 이루어져야 하며, 결국 센서부(100)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는 별도의 노즐을 개발해야 하므로, 제작 비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이지 못한 문제가 발생하게 된다.
이를 위해, 워셔액 유로부(200)는 소정의 길이 및 형상을 가지며 모듈화되어 이루어진 것으로서, 센서부(100)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립되어 배열되며, 인렛 노즐(211)을 통해 공급된 워셔액이 유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가 형성되도록 한다.
다시 말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워셔액 유로부(200)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하우징(210)은 하부로 돌출된 인렛 노즐(211)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이웃한 측면, 즉 직각 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부재(214) 및 조립 홀(216)이 구비된다.
이러한 제1하우징(210)은 센서부(100)의 360° 센싱 영역에 대응하게 하는 배치 형태, 더 구체적으로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센서부(100)의 4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 인렛 노즐(211)에 의해 워셔액이 저장된 리저버(미도시)와 연결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외에도, 제1하우징(210)은 만일 레이다 센서부(100)의 180° 센싱 영역에 대응할 수 있도록 레이다 센서부(100)의 2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될 수 있으며(도 8 참조), 이와 같이 센서부(100)의 크기 및 다양한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제1하우징(210)의 배치 위치를 설정하여 워셔액이 공급되기 위한 인렛 노즐(211)과 리저버(미도시)의 연결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1하우징(210)과, 서로 마주하는 제1하우징(210) 사이에 배치되는 후술될 제2하우징(220)이 조립되어 모듈화가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센서부(100)의 크기와 함께, 그 센싱 영역이 180°또는 360° 에 해당함에 따라 대응하며 제2하우징(220)을 추가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 해체가 가능하게 하여, 범용적으로 센서 세척 장치가 적용될 수 있으며, 결과적으로는 모듈화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분사 노즐부(400)의 장착이 이루어지게 하여, 센서부(100)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따라 별도의 구조를 재장착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 비용 등의 측면에서 효율적일 수 있다.
제1하우징(210)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레이다 센서부(100)의 모서리에 배치된 각각의 연결부재(212) 및 조립 홀(214)에 장착되는 마감부재(250)을 구비할 수 있으며, 이러한 마감부재(250)는 상기와 같이 레이다 센서부(100)의 180° 센싱 영역에 대응할 수 있도록 제1하우징(210)이 레이다 센서부(100)의 2개의 모서리에 각각 배치된 경우, 분사 유로에 대한 마감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또한, 제2하우징(220)은 인렛 노즐(211)을 제외한 제1하우징(2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전술된 바와 같이, 레이다 센서부(100)의 모서리에 선택적으로 배치됨에 따라 이격된 각각의 제1하우징(210)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 그 내부를 따라 리저버(미도시)로부터 공급된 워셔액이 이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를 형성한다.
제2하우징(220)에는 제1하우징(210)의 연결부재(212) 및 조립 홀(214)과 동일하게 형성된 연결부재(222) 및 조립 홀(224)이 구비되되, 서로 마주하는 한 쌍의 제1하우징(210)의 사이에서 길이를 가지도록 연속적으로 조립될 수 있도록 그 방향이 일측 및 타측에 구비된다.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은 억지 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질 수 있는데, 즉 제1하우징(210)의 연결부재(212)를 제2하우징(220)의 조립 홀(224)에 삽입하여, 마주하는 각각의 면이 서로 일치되게 함으로써, 인렛 노즐(211)을 통해 제1하우징(210)으로 공급된 워셔액이 조립된 연결부재(212)를 따라 제2하우징(220)으로 이동하게 할 수 있다.
이와 동일한 방식으로, 복수의 제2하우징(220) 사이의 결합 또한 억지 끼움 방식으로 조립이 이루어지게 되는데, 이러한 제2하우징(220)은 제1하우징(210)과는 다르게 일측 및 타측에 연결부재(222) 및 조립 홀(224)이 구비되기 때문에(도 2 참조), 각각을 억지 끼움으로 조립하여 레이다 센서부(100)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소정의 길이를 갖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212, 222)는 그 외주면에 오링부재(230)가 장착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오링부재(23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의 조립 및 복수의 제2하우징(220) 사이의 조립 시, 연결부재(212, 222)를 통해 워셔액이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따라 이동함에 있어서, 분사 유로에 대한 실링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그리고,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은 구비된 연결부재(212, 222)와 동일한 방향을 따르며 각각의 하부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는 보조 체결부재(240)를 구비할 수 있다(도 2 및 도 3 참조).
이러한 보조 체결부재(24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 사이의 조립 및 복수의 제2하우징(220) 사이의 조립 시, 이웃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구비된 걸림부재(H)에 걸림 위치됨을 통해 조립을 보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연결부재(212)와 조립 홀(224) 사이의 억지 끼움에 의한 조립 시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가 어긋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커버부(300)는 워셔액 유로부(20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기 위하여,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각각 결합된다.
이를 위해, 커버부(300)는 도 6 및 도 7a,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커버부재(310), 제2커버부재(320) 및 제3커버부재(330)를 구비한다.
제1커버부재(310)는 제1하우징(21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제1커버부재(310)에는 조립 홀(214)이 구비된 방향으로 걸림부재(H)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이와 함께, 제2커버부재(320)는 제2하우징(22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된다.
그리고, 제3커버부재(330)는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하우징(220)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되, 분사 노즐부(400)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홀(332)을 구비한다.
여기서, 제3커버부재(330)는 조립 홀(224)이 구비된 방향으로 걸림부재(H)가 돌출 형성된 구조로 이루어지며, 제2커버부재(320)와 크기 및 형상이 동일하지만, 장착 홀(332)의 유무에 따라 제2커버부재(320)와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3커버부재(330)는 복수의 제2하우징(320)의 상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제2커버부재(320)와 교차되게 장착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장착된다.
더 구체적으로는, 제3커버부재(330)는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부재(212) 및 조립 홀(214) 사이의 억지 끼움 방식으로 소정의 길이로 배열된 제2하우징(320)에 대하여, 제2커버부재(320) 및 제3커버부재(330)가 교차되게 장착, 장착 홀(332)을 통해 복수의 분사 노즐부(400)가 서로 교차되게 배치될 수 있으나, 제3커버부재(330) 만을 연속적으로 장착하여, 각각의 장착 홀(332)에 장착된 분사 노즐부(400) 또한 연속적으로 배치되게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와 같이 분사 노즐부(400)가 연속적으로 배치됨을 통해, 분사 노즐부(400)를 통한 워셔액의 분사 범위가 조절되게 할 수 있다.
즉, 통상적으로 혹한지에서 주행하는 차량의 경우, 리지버(미도시)에 저장된 워셔액의 점도가 상대적으로 높아지게 되어, 세척을 위해 워셔액을 분사하게 되면, 그 점도에 의해 분사 범위가 좁아질 수 밖에 없다.
이러한 경우,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이 모듈화 되어 이루어진 워셔액 유로부(200)에 대하여, 제2하우징(220)의 상면에 제3커버부재(330) 만을 연속적으로 장착하여 장착 홀(332)에 분사 노즐부(400)가 장착되게 함으로써, 분사 노즐부(400)가 연속적으로 배치됨을 통해, 분사 범위에 대한 확장이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제1커버부재(310) 내지 제3커버부재(330)가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결합됨에 있어서는,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구비된 연결부재(212, 222)와 동일한 방향을 따르며 돌출 형성되는 보조 체결부재(340)를 구비할 수 있다(도 6 및 도 7a, 도7b 참조).
이러한 보조 체결부재(340)는 제1하우징(210)과 제2하우징(220) 사이의 조립 및 복수의 제2하우징(220) 사이의 조립 시, 이웃한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에 구비된 걸림부재(H)에 걸림 위치됨을 통해 조립을 보조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전술된 보조 체결부재(240)와 함께, 연결부재(212)와 조립 홀(224) 사이의 억지 끼움에 의한 조립 시 서로 마주하는 면 사이가 어긋나게 되는 문제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부재(310) 내지 제3커버부재(330)를 포함한 커버부(300)는 상기와 같이 결합이 이루어지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하나의 실시예에 해당하는 것일 뿐, 정해진 것은 아니며,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을 모듈화 함에 있어서, 커버부(300) 또한 함께 제1하우징(210) 및 제2하우징(220)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되게 하여, 분사 노즐부(400)를 포함하여 모두 함께 모듈화가 이루어지게 할 수 있다.
한편, 분사 노즐부(400)는 제3커버부재(330)의 장착 홀(332)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분사 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워셔액이 센서부(100)의 센싱 영역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된다.
이러한 분사 노즐부(400)는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진 복수로 구비될 수 있으며, 장착 홀(332)에 결합됨에 있어, 이와 같이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지는 복수가 교차로 장착 홀(332)에 결합될 수 있다.
이는, 센서부(100)의 센싱 영역에 대한 세척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하기 위한 것으로, 통상 이물질에 의해 오염된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하기 어렵기 때문에, 레이다 센서부(1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높은 위치와 낮은 위치에 대한 분사 노즐부(400)의 워셔액 분사가 교차로 이루어지게 하여(도 8 참조), 더욱 효과적인 이물질 세척이 가능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노즐을 포함한 복수의 워셔액 유로를 모듈화하고,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모듈화된 워셔액 유로를 선택적으로 조립하거나 또는 조립 해제하여, 라이다 센서의 크기 또는 FOV(Field Of View) 영역에 대응하며 워셔액 유로의 길이 및 형상이 가변되게 함으로써, 라이다 센서의 크기 및 180°, 360° 등과 같은 FOV 영역에 따라 서로 다른 워셔액 분사 구조를 적용하여, 라이다 센서에 대한 세척이 범용적으로 이루어지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그리고, 본 발명은 워셔액 유로의 상면을 차폐하는 복수의 커버를 구비하되, 이러한 복수의 커버 중 분사 노즐이 장착되기 위한 장착 홀이 구비된 커버가 서로 교차되게 결합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장착되게 함으로써, 선택적으로 워셔액의 분사 범위가 조절되도록 하는 효과를 갖는다.
더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은 추운 지역을 주행하는 차량에 대하여 장착 홀이 구비된 커버가 워셔액 유로에 연속적으로 장착되게 함으로써, 상대적으로 점도가 높아진 워셔액에 대하여 분사 범위가 확장 조절되게 할 수 있어, 라이다 센서의 세척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이상의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를 참고로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여야 할 것이다.
100 : 센서부 200 : 워셔액 유로부
210 : 제1하우징 211 : 인렛 노즐
212, 222 : 연결부재 214, 224 : 조립 홀
220 : 제2하우징 230 : 오링부재
240, 340 : 보조 체결부재 250 : 마감부재
300 : 커버부 310 : 제1커버부재
320 : 제2커버부재 330 : 제3커버부재
332 : 장착 홀 400 : 분사 노즐부
H : 걸림부재

Claims (14)

  1.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립되어 배열되며, 인렛 노즐을 통해 공급된 워셔액이 유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가 형성되는 워셔액 유로부;
    상기 워셔액 유로부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상기 워셔액 유로부에 각각 결합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되고, 상기 분사 유로를 따르며 유동하는 워셔액이 상기 센싱 영역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인렛 노즐을 포함하고, 상부가 개방된 박스 형상으로 이루어지며, 직각 방향을 따라 각각 연결부재 및 조립 홀이 구비되는 제1하우징; 및
    상기 제1하우징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으로 배열되어 상기 분사 유로를 형성하는 제2하우징;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이 상기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하나 이상으로 배치되어 상기 인렛 노즐에 의해 워셔액이 저장된 리저버와 연결되며, 상기 제1하우징과 인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을 배열하여, 상기 센서부의 360°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이격되게 배치된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1하우징의 사이에 배열된 상기 제2하우징을 선택적으로 조립 해제하고, 2개의 상기 제1하우징의 사이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을 배열하여, 상기 센서부의 180°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2하우징은,
    상기 제1하우징의 사이에서 배열되는 방향을 따라 일측 및 타측에 각각 상기 제1하우징과 동일한 연결부재 및 조립 홀이 구비되고, 마주하는 연결부재 및 조립 홀 간 체결을 통해 상기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길이를 가지며 조립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에 장착되어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 상기 분사 유로의 실링이 이루어지게 하는 오링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7.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와 동일한 방향을 따르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 걸림 위치됨을 통해 조립을 보조하는 보조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8.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워셔액 유로부는,
    상기 제1하우징에 구비된 연결부재 및 조립 홀에 각각 장착되어, 외부로 노출된 상기 제1하우징의 내부를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마감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9.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1커버부재;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는 제2커버부재;
    상기 제2하우징의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분사 노즐부가 장착되기 위한 장착 홀을 구비하는 제3커버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커버부재는,
    상기 제2하우징의 상면에 대하여, 선택적으로 상기 제2커버부재와 교차되게 장착되거나 또는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11.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제1하우징 및 상기 제2하우징에 각각 구비된 연결부재와 동일한 방향을 따르며 돌출 형성되고, 상기 제1하우징과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및 적어도 하나 이상의 상기 제2하우징 사이의 조립 시, 걸림 위치됨을 통해 조립을 보조하는 보조 체결부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부는,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지며 복수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 노즐부는,
    상기 커버부에 결합됨에 있어, 서로 다른 분사 각도를 가지는 복수가 교차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14. 센서부의 크기 및 센싱 영역에 대응하도록 적어도 하나 이상이 조립되어 배열되며, 인렛 노즐을 통해 공급된 워셔액이 유동하기 위한 분사 유로가 형성되고, 개방된 상면을 차폐하도록 일체로 결합되는 커버부를 구비하는 워셔액 유로부; 및
    상기 커버부에 결합되고, 상기 분사 유로를 따르며 유동하는 워셔액이 상기 센서부의 센싱 영역을 향하여 분사되도록 형성되는 분사 노즐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센서 세척 장치.
KR1020220126014A 2022-10-04 2022-10-04 센서 세척 장치 KR20240046969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014A KR20240046969A (ko) 2022-10-04 2022-10-04 센서 세척 장치
US18/113,171 US20240109518A1 (en) 2022-10-04 2023-02-23 Apparatus for cleaning a sensor
CN202310213974.7A CN117840102A (zh) 2022-10-04 2023-03-08 用于清洁传感器的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6014A KR20240046969A (ko) 2022-10-04 2022-10-04 센서 세척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6969A true KR20240046969A (ko) 2024-04-12

Family

ID=90471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6014A KR20240046969A (ko) 2022-10-04 2022-10-04 센서 세척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40109518A1 (ko)
KR (1) KR20240046969A (ko)
CN (1) CN117840102A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09518A1 (en) 2024-04-04
CN117840102A (zh) 2024-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198591A1 (en) Foreign matter removal device and vehicle provided with same
US20190116296A1 (en) Integrated automotive system, pop-up nozzle assembly and remote control method for cleaning a wide-angle image sensor's exterior surface
US11203326B2 (en) Sensor cleaning device and autonomous vehicle thereof
JP2017513772A (ja) 広角イメージセンサ外面清掃用、統合的自動車システムとしてのコンパクト薄型ノズルアセンブリとコンパクト流体回路
EP4051545B1 (en) A sensor cleaning device
CN112770947B (zh) 机动车驾驶员辅助系统
US20230126082A1 (en) System for cleaning a sensor/transmitter of a motor vehicle
US20200262396A1 (en) Optical System to Facilitate Vehicle Operation, Cleaning System to Clean an Optical Element of the Optical System and Hollow Protective Plastic Enclosure for Use Therein
US20220402462A1 (en) Composite nozzle for automobile
CN110871773A (zh) 车辆用清洁系统
KR20240046969A (ko) 센서 세척 장치
CN113320499A (zh) 用于车辆传感器清洁的歧管
JP2022515490A (ja) 光学検出システムの洗浄装置用流体スプレーノズル
CN113404915A (zh) 电磁阀以及具备电磁阀的车辆用清洁器系统
KR102661159B1 (ko) 슬라이딩 방식 차량용 라이다 센서 세정장치
CN109923007B (zh) 清洁装置、用于机动车辆的检测系统以及机动车辆
KR20230056733A (ko) 자동차의 표면을 세척하기 위한 유체 분사 장치
CN116262486A (zh) 用于清洁传感器的喷射结构及其控制方法
CN115870260A (zh) 用于朝向车辆检测系统的待清洁表面喷射流体的清洁装置
US20210146887A1 (en) Vehicle front structure
CN112298108A (zh) 用于车辆传感器清洁的歧管
KR102551177B1 (ko) 차량 루프 라이다 오염방지 장치
KR20230169963A (ko) 검출 디바이스의 검출면 세정 디바이스
KR102603643B1 (ko) 라이다센서 세정장치
CN220430100U (zh) 一种清洁部件、待清洁装置和车辆