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897A -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 Google Patents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897A
KR20240044897A KR1020220124442A KR20220124442A KR20240044897A KR 20240044897 A KR20240044897 A KR 20240044897A KR 1020220124442 A KR1020220124442 A KR 1020220124442A KR 20220124442 A KR20220124442 A KR 20220124442A KR 20240044897 A KR20240044897 A KR 202400448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ket
flange
gasket body
negative pressure
tempora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4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동환
박준희
박영호
Original Assignee
박영호
박준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호, 박준희 filed Critical 박영호
Priority to KR1020220124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897A/ko
Publication of KR202400448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8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2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the pipe ends abutting each oth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3/00Flanged joints
    • F16L23/16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 F16L23/165Flanged joint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eans comprising a viscous mass, e.g. harden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asket Se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10)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유체관(30, 30')이 연결된 2개의 플랜지(20, 20')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판형의 가스켓(10)으로서, 판형의 가스켓 몸체(100);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중심측에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유체 흐름부(200); 및 상기 유체 흐름부(20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상기 플랜지(20, 20')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10)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Gasket to prevent drop contamination}
본 발명은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각각 유체관과 연결된 양측 플랜지 내측에 구비되어 유체의 누수를 방지할 수 있으며 플랜지와 가스켓의 결합시 낙하로 인해 가스켓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가스, 산성액 등의 유체의 수송은 유체관을 통해 이뤄지게 되며, 이러한 유체관은 부식 방지 및 유체의 오염 방지를 위해 폴리에틸렌, 염화비닐, 폴리부틸렌 등의 수지관 또는 수지로 피복된 강관 등으로 구성된다.
이러한 수지관 또는 수지로 피복된 강관의 파손이나 누출에 따른 교체 또는 관의 연장을 위해서는, 유체관과 다른 유체관 사이를 기밀하게 연결하는 기술을 필요로 하며, 이를 위해 플랜지 및 유체의 유출방지를 위한 가스켓을 이용한 관의 연장이 이뤄질 수 있다.
종래 유체관과 관 사이를 플랜지를 이용하여 연결하는 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28633호의 "배관 플랜지 연결용 가스켓과 그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이 있다.
종래기술은 마주하는 배관 플랜지의 연결부에 구비되어 배관내부의 유체가 외부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함과 아울러, 가스켓용고무링의 성형재료 사용량을 줄이면서도 가스켓의 내구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생산원가의 절약과 장기간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배관 플랜지 연결용 가스켓의 제조장치를 구성하는 기술에 관한 것이다.
또 다른 종래기술의 일례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09052호의 "파이프 플랜지용 오염 방지 가스켓"이 있으며, 가스, 물 또는 기름을 포함한 특수한 유체를 전달하기 위한 파이프의 연결시 사용되는 플랜지에 결합되는 가스켓의 내부 또는 파이프 외부로부터 발생하는 각종 이물질을 파이프 내부를 통하여 흐르는 유체에 유입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는 파이프 플랜지용 오염 방지 가스켓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래기술들은 유체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오염을 방지하는 가스켓에 관한 기술을 포함하지만, 플랜지와 가스켓의 결합시 가스켓 자체의 오염을 방지하는 기술에 관한 고려가 전혀 이뤄지지 않는다.
예를 들어, 가스나 산성액 등을 취급하는 현장의 바닥은 각종 오염수 또는 이물질이 많이 존재하는데, 플랜지와 가스켓을 연결 시 별도의 체결수단이 없는 경우 또는 체결수단에 의해 체결이 이뤄지기 전 가스켓이 낙하하여 오염되는 경우가 많이 발생하고 있으며, 종래 기술들로는 가스켓의 낙하로 인한 오염방지 문제를 전혀 해결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플랜지와 가스켓 결합시 적어도 일시적으로 어느 하나의 플랜지면에 점착이 이뤄져서 낙하에 따른 오염을 방지할 수 있는 가스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체결수단 없이도 플랜지와 결합시 가스켓의 위치 조정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가스켓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각각 유체관이 연결된 2개의 플랜지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판형의 가스켓으로서, 판형의 가스켓 몸체; 상기 가스켓 몸체의 중심측에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유체 흐름부; 및 상기 유체 흐름부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 몸체가 상기 플랜지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이 제공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수단은 음압에 의해 상기 가스켓 몸체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수단은 일시적 돌출부와 일시적 요홈부가 일체로 구성되어 일시적 돌출부를 일시적 요홈부 측으로 가압시 일시적 요홈부가 밀려나면서 돌출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제1 음압점착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수단은 일측이 상기 가스켓 몸체에 연결된 지지부와 상기 지지부의 타측에 가스켓 몸체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가압시 형태가 변형 가능한 요홈부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음압점착부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유체 흐름부 외측으로 상기 가스켓 몸체 표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기밀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음압점착부는 상기 기밀부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다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점착수단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 표면에 접촉 가능한 부위에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유체관과 연결된 플랜지 사이에 가스켓을 결합할 때, 가스켓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가스켓이 오염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또한 가스켓이 일시적으로 플랜지에 점착되도록 하면서도 가스켓이 플랜지로부터 착탈이 용이하도록 구성됨으로써 플랜지면에 결합시 결합위치를 잘못 설정한 경우에도 용이하게 위치 수정이 가능하며, 양측 플랜지의 결합시에도 기밀성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특히 플랜지 결합시 가스켓이 플랜지 일측에 임시적으로 점착 될 수 있으므로, 가스켓에 체결공이 없어도 유체 흐름부의 위치 선정이 용이하여 가스켓 크기를 줄일 수 있어 원가 절약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과 유체관 및 플랜지 간의 결합을 설명하는 결합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공지의 구성을 구체적으로 설명함으로 인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흐리게 하거나 불명료하게 하는 경우에는 위 공지의 구성에 관하여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점착'은 영구적 '접착'과는 달리 부착 및 탈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는 것으로, 힘(압력) 및/또는 화학물질에 의해 일시적으로 부착이 이뤄졌다가 힘(압력)에 의해 탈착이 이뤄질 수 있고, 탈착 후 재부착이 이뤄질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다른 실시상태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의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과 유체관 및 플랜지 간의 결합을 설명하는 결합도이다.
본 발명의 낙화오염 방지 가스켓(10)은, 각각 유체관(30, 30')이 연결된 2개의 플랜지(20, 20')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판형의 가스켓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낙화오염 방지 가스켓(1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형의 가스켓 몸체(100),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중심측에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유체 흐름부(200) 및 상기 유체 흐름부(20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상기 플랜지(20, 2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스켓 몸체(100)는 고무, 아크릴, 우레탄 및/또는 실리콘 수지계 소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금속 소재로 이뤄지는 경우에 비해 탄성 및 유연성이 풍부하며, 낮은 체결력으로도 결합이 잘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일례로, 상기 가스켓 몸체(100)는 가격이 저렴하고 기온 변화에 저항력이 높으며 고온 적합성은 물론 저온 호환성이 뛰어난 EPDM(Ethylene-Propylene Diene Monomer) 소재로 이뤄질 수 있다. EPDM은 특히 유연성 및 탄성이 우수하고, 낮은 체결력으로도 결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내오존성, 내후성, 내노화성, 내열성, 내한성, 내마모성 및 내약품성(산, 알칼리, 케톤 등) 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다른 예로, 유체의 종류에 무관하게 내화학성(내약품성)이 매우 강한 PTFE(PolyTetraFluoroEthylene) 소재로 이뤄질 수도 있다. PTFE는 내약품성은 물론 내열성 및 전기 절연성 등이 우수하며, 내 마모성이 특히 우수하고 극저온과 고온(-200 ~ 260℃)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 다른 예로, PTFE로 가스켓 몸체(100)를 구성할 때, PTFE를 EPDM으로 감싸도록 함으로써 탄성 및 유연성을 개선하여 체결이 용이하면서도 기밀성을 향상시키는 가스켓 몸체(100)의 구성도 가능하며, 이외에도 NR(Natural Rubber), NBR(Acrylonitrile Butadiene Rubber), CR(Chloroprene Rubber), SBR(Styrene Butadiene Rubber), FKM, FPM(Fluoro Polymer Rubber), PVC(Polyvinyl Chloride), PP(Polypropylene), PE(Polyethylene) 등의 소재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EPDM, PTFE 등으로 이뤄지는 경우 강산(황산, 염산, 불산 등) 또는 강알칼리 유체에 특히 강한 내화학성을 가질 수 있으므로 별도의 표면처리를 요하지 않으나,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다른 소재로 이뤄지거나 다른 종류의 유체에 의한 화학적 변화를 최소화하기 위해 추가적인 표면처리가 이뤄질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표면처리는 불소 화합물에 의한 코팅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NR 소재로 이뤄진 가스켓 몸체(100)에 FPM, FKM(바이톤, Viton) 코팅 또는 PTFE(테프론, Teflon) 코팅에 의해 표면처리가 이뤄져 내화학성을 보강할 수 있다.
상기 유체 흐름부(200)는 양측의 플랜지(20, 20')와 연결된 유체관(30, 30')을 통해 유입된 유체가 이동하는 통로로 유체가 실질적으로 접촉되는 부분이며, 플랜지 규격에 따라 형태 및 사이즈가 상이하게 이뤄질 수 있고, 플랜지(20, 20') 내부에 형성되는 플랜지 유체 흐름부(22', 도 4 참고)와 동일한 형태 및 사이즈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가장 외측에는 복수개의 체결공(30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상기 체결공(300)으로 인해 볼트 및 너트 등의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켓 몸체(100)와 양측의 플랜지(20, 20')를 가압하여 고정할 수 있다.
이 때, 작업자에 의해 상기 복수개의 체결공(300) 및 체결수단에 의해 상기 가스켓 몸체(100)와 플랜지(20, 20')가 결합되기 전에 가스켓이 낙하하여 오염되는 문제가 많이 발생하였으나, 본 발명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10)은 상기 점착수단(120)에 의해 가스켓 몸체(100)가 플랜지(20, 20')에 일시적으로 부착될 수 있어 가스켓(10)이 낙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가스켓 몸체(100)에는 체결공(300)이 형성되지 않고 각각의 플랜지(20, 20')에만 플랜지 체결공(23, 23')이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상기 플랜지 체결공(23, 23')들 사이 내측으로 위치하도록 작게 구성할 수 있으며, 상기 가스켓(10)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20, 20')에 일시적으로 점착 가능하므로 가스켓(10)을 작은 크기로 구성하면서도 가스켓(10)이 낙하로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가스켓(10)의 둘레가 상기 플랜지 체결공(23, 23')에 결합되는 체결수단(예, 볼트) 사이에 적은 유격으로 위치하도록 가스켓 몸체(100)의 크기를 구성하는 경우 상기 체결공(300)이 없어도 정확한 위치로의 가스켓(10)과 플랜지(20, 20') 결합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 점착수단(120)은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표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판형상 표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도 있고, 가스켓 몸체(100)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도 있다.
일례로, 상기 점착수단(120)은 음압에 의해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20, 20')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점착수단(120)을 음압에 의해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구성함으로써 플랜지(20, 20')와 결합되는 가스켓(10)이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20, 20')면에 일시적으로 부착된 상태에서 다른 플랜지와 결합이 이뤄질 수 있으므로, 가스켓(10)이 낙하하지 않도록 할 수 있으며, 가스켓(10) 낙하에 따른 오염이 방지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점착수단(120)은 일시적 돌출부(122')와 일시적 요홈부(122)가 일체로 구성되어 일시적 돌출부(122')를 일시적 요홈부(122) 측으로 가압시 일시적 요홈부(122)가 밀려나면서 돌출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제1 음압점착부(120a)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음압점착부(120a)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 몸체(100)를 관통하여 몸체 내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일시적 돌출부(122')와 일시적 요홈부(122)가 일체로 구성되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1 음압점착부(120a)는 복수개로 이뤄질 수 있으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스켓 몸체(100)에 균일하게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며, 상기 일시적 요홈부(122)는 압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는 것이다.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 및 일시적 요홈부(122)는 특정한 위치를 나타내는 개념이 아니라 가스켓 몸체(100)를 기준으로 외측 또는 내측에 위치하는 제1 음압점착부(120a)의 부분적인 형태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이러한 일시적 돌출부(122') 및 일시적 요홈부(122)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제1 음압점착부(120a)는 실리콘 소재로 이뤄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를 가스켓 몸체(100) 내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가 상기 가스켓 몸체(100) 내측(일시적 요홈부 측)으로 삽입되면서 상기 일시적 요홈부(122)를 가스켓 몸체(100) 외측으로 가압하게 되고, 상기 일시적 요홈부(122)가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외측으로 밀려나게 된다.
이 때,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 전 일시적 돌출부(122')는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일시적 요홈부(122)로 전환(변형)되고, 가압 전 일시적 요홈부(122)는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외부로 밀려나면서 일시적 돌출부(122')로 전환된다.
일례로, 상기 플랜지(20, 20')를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일시적 돌출부(122') 측에서 가스켓 몸체(100)측으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가 가스켓 몸체(100) 내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 음압점착부(120a)의 변형(전환)이 이뤄지고, 일시적 돌출부(122')가 일시적 요홈부(122)로, 일시적 요홈부(122)가 일시적 돌출부(122')로 전환되면서 상기 가스켓 몸체(100)와 플랜지(20, 20')면 사이에 음압이 발생하여 상기 가스켓(10)과 플랜지(20, 20')에 일시적 접착(점착)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플랜지(20, 20')의 가압은 플랜지(20, 20')와 가스켓 몸체(100)가 수평을 이루는 상태에서 상기 플랜지(20, 20')를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가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일례로, 상기 플랜지(20, 20')를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일시적 요홈부(122) 쪽으로 밀착하여 배치한 상태에서,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를 가압함으로써 음압을 발생시켜 플랜지(20, 20')와 가스켓 몸체(100)의 점착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를 가압하는 경우 일시적 돌출부(122')가 가스켓 몸체(100)의 내측으로 눌리면서 플랜지(20, 20') 면과 일시적 요홈부(122) 사이의 공기 일부가 외부로 배출된다. 이 때,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가 원래의 위치로 되돌아오면서 일시적 요홈부(122) 내에 음압이 발생하여 가스켓 몸체(100)의 점착수단(120)과 플랜지(20, 20')면의 점착이 이뤄지게 된다.
이 경우 상기 일시적 돌출부(122')와 일시적 요홈부(122)는 상호 전환이 이뤄지지는 않으며, 일시적 돌출부(122')가 가스켓 몸체(100) 내측 방향으로 약간 눌린 상태를 유지하고, 일시적 요홈부(122)도 가스켓 몸체(100) 외측 방향(플랜지 방향)으로 약간 펴진 상태를 유지하는 형태의 변형이 이뤄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스켓(10)과 적어도 한 쪽(일측) 플랜지(20')가 일시적으로 점착이 이뤄진 다음, 상기 가스켓(10)과 점착이 이뤄진 플랜지의 체결공(23')에 볼트를 삽입하고 다른 쪽(타측) 플랜지(20)를 상기 일측 플랜지(20')와 점착된 가스켓(1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너트를 이용하여 양측 플랜지(20, 20')들을 결합하면 가스켓(10)이 낙하하지 않고 플랜지(20, 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플랜지(20, 20')의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른 쪽(타측) 플랜지(20)가 상기 한 쪽(일측) 플랜지(20')에 점착된 가스켓 몸체(100)의 일시적 돌출부(122')를 가스켓 몸체(100) 내측으로 가압하면서 한 쪽(일측) 플랜지(20') 방향의 가스켓 몸체(100) 외측으로 일시적 요홈부(122)를 밀어낼 수도 있으나, 볼트와 너트를 이용한 체결과정에서 양측 플랜지(20, 20') 외측 방향으로부터 가압이 이뤄지게 되므로, 일시적 돌출부(122') 및 일시적 요홈부(122) 모두 상기 가스켓 몸체(100) 내부에 위치하는 변형이 이뤄지면서 양 쪽(양측) 플랜지(20, 20')와 가스켓(10)의 기밀한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일례에 따른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의 단면도이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점착수단(120)은 일측이 상기 가스켓 몸체(100)에 연결된 지지부(124)와 상기 지지부(124)의 타측에 가스켓 몸체(100)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가압시 형태가 변형 가능한 요홈부(126)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음압점착부(120b)를 포함하여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는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판형상 표면의 일부가 내측으로 함몰되어 홈이 형성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지지부(124) 및 요홈부(126)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소재는 가압(압력)에 의해 용이하게 변형 가능한 실리콘 소재로 이뤄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요홈부(126)는 변형 가능한 반구형상으로 이뤄질 수 있다.
한 쪽(일측)의 플랜지(20')를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가 구비된 가스켓 몸체(100)로 가압시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에 형성된 요홈부(126)의 상부가 펼쳐지면서 요홈부(126) 내부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형태로 음압이 발생하게 되고, 이러한 음압에 의해 상기 플랜지(20')면과 요홈부(126) 상부의 점착이 이뤄질 수 있다.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가 복수개의 변형 가능한 지지부(124) 및 반구형상의 요홈부(126)로 이뤄지므로, 상기 일측의 플랜지(20')와 가스켓 몸체(100)가 평행한 상태에서 수직방향으로 가압이 이뤄지지 않더라도 각각의 요홈부(126)가 기울어지면서 상기 일측 플랜지(20')의 플랜지면과 점착이 이뤄질 수 있어서 플랜지(20')와 가스켓(10)의 일시적 점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
이렇게 상기 가스켓(10)과 한 쪽(일측) 플랜지(20')가 일시적으로 점착이 이뤄진 다음, 상기 가스켓(10)과 점착이 이뤄진 플랜지의 체결공(23')에 볼트를 삽입하고 다른 쪽(타측) 플랜지(20)를 상기 일측 플랜지(20')와 점착된 가스켓(10)의 반대측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너트를 이용하여 플랜지(20, 20')들을 결합하면 가스켓(10)이 낙하하지 않고 플랜지(20, 20') 사이에 위치하도록 하면서 플랜지(20, 20')의 결합이 이뤄질 수 있다.
이 때, 상기 다른 쪽(타측) 플랜지(20)가 상기 한 쪽(일측) 플랜지(20')에 점착된 가스켓 몸체(100)의 타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상기 지지부(124) 및/또는 요홈부(126)가 가스켓 몸체(100) 내부측으로 더욱 밀리면서 지지부(124) 및/또는 요홈부(126)가 구부러지거나 압축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에 의해 양 쪽(양측)플랜지(20, 20')를 가스켓(10)과 더욱 밀착시킬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유체 흐름부(200) 외측으로 상기 가스켓 몸체(100) 표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기밀부(140, 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는 상기 기밀부(140, 160)보다 높게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기밀부(140, 160)는 실리콘, EPDM 등으로 이뤄질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PTFE로 이뤄지고 가스켓 몸체(100) 외면을 EPDM으로 감싸면서 기밀부(140, 160)를 돌출 형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의 요홈부(126) 높이가 상기 기밀부(140, 160)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면 일측 플랜지(20')를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측으로 가압시 상기 일측 플랜지(20')가 상기 점착수단(120)의 요홈부(126)에 점착될 수 있다.
상기 일측 플랜지(20')와 상기 점착수단(120)이 구비된 가스켓 몸체(100)의 점착이 이뤄지면, 상기 가스켓 몸체(100)와 점착이 이뤄진 일측 플랜지(20')와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타측에 위치한 타측 플랜지(20)를 서로 가압하는 경우 상기 요홈부(126) 및/또는 지지부(124)가 내측으로 휘거나 구부러지면서 요홈부(126) 상단부의 높이가 낮게 변경될 수 있다.
이러한 요홈부(126) 상단부의 높이의 변경에 의해 상기 기밀부(140, 160)가 플랜지(20, 20')면에 밀착이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기밀부(140, 160)로 인해 가스켓(10)과 플랜지(20, 20') 사이에 틈이 발생하지 않으므로, 유체가 가스켓(10)과 플랜지(20, 20') 사이를 통해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상기 기밀부(140, 160)의 높이는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 상부측의 요홈부(126)가 상기 일측 플랜지(20')에 점착된 상태에서의 요홈부(126)의 최상단 높이보다 낮게 구성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 상기 가스켓(10)이 상기 일측 플랜지(20')에 점착된 상태에서 요홈부(126)의 최상단 높이가 상기 기밀부(140, 160)의 높이와 같아지도록 기밀부(140, 160)와 요홈부(126)의 높이가 설정되는 경우 상기 일측 플랜지(20')에 점착된 가스켓(10)이 자중에 의해 기울어지거나 미끄러져 플랜지(20')와 가스켓(10)의 결합되는 위치가 틀어지는(변경되는) 것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일례로,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기밀부(140, 160)는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보다 안쪽(유체 흐름부 측)에 하나 이상,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보다 바깥쪽(외곽 측)에 하나 이상 구비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를 기준으로 대칭적으로 위치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러한 구성에 의해 양측 플랜지(20, 20')의 가압시 상기 요홈부(126)가 균일하게 가스켓 몸체(100) 내측으로 눌릴 수 있게 된다.
도 6 내지 도 8에서는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가 가스켓 몸체(100) 일면에 구비된 것으로 표현되어 있으나,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는 가스켓 몸체(100)의 양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양측 플랜지(20, 20')에 각각 점착이 이뤄질 수도 있다. 상기 제1 음압점착부(120a) 및 제2 음압점착부(120b)는 구비되는 개수가 도면에 표현된 개수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가스켓의 재질, 크기 및 무게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다른 일례로, 상기 제1 음압점착부(120a) 및/또는 제2 음압점착부(120b)는 하나의 가스켓 몸체(100)에 동시에 구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측의 플랜지(20')를 상기 제1 음압점착부(120a)의 일시적 돌출부(122')측에서 가압하면 음압에 의해 일측의 플랜지(20')와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일측의 점착이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제1 음압점착부(120a)의 가압 후 일시적 돌출부(122', 가압 전 일시적 요홈부)측에 위치한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측으로 타측의 플랜지(20)를 가압하면 음압에 의해 타측의 플랜지(20)와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타측의 점착이 이뤄질 수 있다.
이 경우 양측 플랜지(20, 20')가 각각 가스켓 몸체(100)와 점착이 이뤄져 가스켓 몸체(100)의 낙하를 더욱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점착수단(12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20, 20') 표면에 접촉 가능한 부위에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플리아크릴레이트 등 아크릴모노머 공중합체일 수 있다.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는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의 요홈부(126) 내측 중심에 도포될 수 있으며, 일측 플랜지(20')의 가압이 적절하지 않아 음압에 의한 점착이 잘 이뤄지지 않는 경우에도 상기 아크릴계 점착제에 의해 일시적 점착이 이뤄질 수 있게 된다.
상기 점착제는 아크릴계 점착제 외에도 실리콘 고무와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는 실리콘계 점착제, 합성고무와 점착부여수지를 포함하는 고무계 점착제, 충진물질로 엘라스토머와 점착부여수지를 포함하는 핫멜트계 점착제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
또 다른 일례로, 상기 점착수단(120)은 마이크로 섬유 및/또는 나노 섬유로 이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마이크로 섬유 및/또는 나노 섬유는 직경 4.2um 이하, 길이 110um 이하, 단섬유 100 내지 1000개로 이뤄질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섬유 및/또는 나노 섬유는 상기 플랜지(20, 20')면과의 분자간 인력(van der vaals force)을 통해 플랜지(20, 20')와 가스켓 몸체(100)간의 점착력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마이크로 섬유 및/또는 나노 섬유로 이뤄지는 점착수단(120)은 상기 음압에 의한 점착이 이뤄지도록 하는 점착수단(120)과 함께 구성될 수 있으며, 음압과 더불어 분자간 인력에 의해 점착력을 더욱 증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플랜지(20, 20')면이 매끄럽게 가공된 경우 상기 음압에 의한 점착이 이뤄지도록 하는 제1, 제2 음압점착부(120a, 120b)에 의한 점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으며, 상기 플랜지(20, 20')면이 다소 거칠게 가공된 경우에는 상기 마이크로 섬유 및/또는 나노 섬유로 이뤄지는 점착수단(120)에 의한 분자간 인력이 더욱 크게 작용될 수 있으므로 플랜지(20, 20')면의 거칠기 정도와 무관하게 일시적 접착, 즉 점착이 용이하게 이뤄질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구체적인 실시예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상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이해하기 쉽도록 하기 위한 예시에 불과한 것이므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치환, 부가 및 변형된 실시 형태들 역시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지는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100: 가스켓 몸체 120: 점착수단
120a: 제1 음압점착부 120b: 제2 음압점착부
122: 일시적 요홈부 122': 일시적 돌출부
124: 지지부 126: 요홈부
140, 160: 기밀부
200: 유체 흐름부 300: 체결공
20, 20': 플랜지 22': 유체 흐름부
23, 23': 체결공 30, 30': 유체관

Claims (6)

  1. 각각 유체관(30, 30')이 연결된 2개의 플랜지(20, 20') 사이에 구비되어 유체가 외측으로 누설되지 않도록 하는 판형의 가스켓(10)으로서,
    판형의 가스켓 몸체(100);
    상기 가스켓 몸체(100)의 중심측에 유체가 이동 가능하도록 관통 형성된 유체 흐름부(200); 및
    상기 유체 흐름부(200) 외측에 구비되며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상기 플랜지(20, 20')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점착수단(120);을 포함하여 구성된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2. 제1항에서,
    상기 점착수단(120)은 음압에 의해 상기 가스켓 몸체(100)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20, 20')에 적어도 일시적으로 부착 가능하도록 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3. 제2항에서,
    상기 점착수단(120)은 일시적 돌출부(122')와 일시적 요홈부(122)가 일체로 구성되어 일시적 돌출부(122')를 일시적 요홈부(122) 측으로 가압시 일시적 요홈부(122)가 밀려나면서 돌출되도록 구성된 복수개의 제1 음압점착부(120a)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4. 제2항에서,
    상기 점착수단(120)은 일측이 상기 가스켓 몸체(100)에 연결된 지지부(124)와 상기 지지부(124)의 타측에 가스켓 몸체(100) 외부측으로 돌출 형성되며 가압시 형태가 변형 가능한 요홈부(126)가 형성된 복수개의 제2 음압점착부(120b)를 포함하여 이뤄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5. 제4항에서,
    상기 유체 흐름부(200) 외측으로 상기 가스켓 몸체(100) 표면에 환형으로 형성된 기밀부(140, 160);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제2 음압점착부(120b)는 상기 기밀부(140, 160)보다 높게 돌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6. 제1항에서,
    상기 점착수단(120)은 적어도 어느 하나의 플랜지(20, 20') 표면에 접촉 가능한 부위에 도포된 아크릴계 점착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KR1020220124442A 2022-09-29 2022-09-29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KR2024004489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42A KR20240044897A (ko) 2022-09-29 2022-09-29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4442A KR20240044897A (ko) 2022-09-29 2022-09-29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897A true KR20240044897A (ko) 2024-04-05

Family

ID=907144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4442A KR20240044897A (ko) 2022-09-29 2022-09-29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897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44186B2 (en) Seal and restraint system for plastic pipe with low friction coating
US6553664B1 (en) Method of making a segmented gasket having a continuous seal member
KR101539540B1 (ko) 덕트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EP2334959B1 (en) Hygienic tube fitting gasket
ES2432741T3 (es) Acoplamiento de tubos
CN205424190U (zh) 一种法兰式管件管道密封装置
KR20180091049A (ko) 립 돌출부를 가지는 시일
KR101360764B1 (ko) 배관 연결 장치와 이에 사용되는 센터링 조립체
JP2017514087A (ja) 高純度流体通路を接合するための超密閉ガスケット
KR200454558Y1 (ko) 배관 실링용 형상유지 가스켓
KR101471772B1 (ko) 진공 배관 접속용 본디드 플랜지 오링
KR200477445Y1 (ko) 배관용 마감 패킹
JP3162992U (ja) 管継手のガスケット
JPH10122373A (ja) ガス管継手用複合ガスケット
KR20240044897A (ko) 낙하오염 방지 가스켓
KR102149690B1 (ko) 내압성강화와 누수방지 기능이 부여된 배관용 플랜지 가스켓 및 그 플랜지 가스켓의 제조방법
US11703166B2 (en) Pipe seal, pipe assembly, and method for forming a pipe assembly and a seal
US9175772B2 (en) Expandable sealing washer
KR101807757B1 (ko) 실링용 진공 배관 장치
KR102161551B1 (ko) 오링의 손상을 방지하는 파이프 고정용 그립링과 너트의 조립체
KR101611760B1 (ko) 이중 금속 파이프 연결용 플랜지 조립체
KR20210093039A (ko) 배관 연결을 위한 플랜지 조립체
KR200270238Y1 (ko) 가스켓
KR20160128012A (ko) 내부 압력에 의한 기밀 증가형 가스켓 및 그를 위한 플랜지 배관
JPH04145287A (ja) フランジ構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