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34A -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 Google Patents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34A
KR20240044634A KR1020220123886A KR20220123886A KR20240044634A KR 20240044634 A KR20240044634 A KR 20240044634A KR 1020220123886 A KR1020220123886 A KR 1020220123886A KR 20220123886 A KR20220123886 A KR 20220123886A KR 20240044634 A KR20240044634 A KR 2024004463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duct
unit
tray
displayed
vending mach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88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채형석
Original Assignee
채형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채형석 filed Critical 채형석
Priority to KR102022012388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34A/en
Publication of KR202400446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34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2Vending machines being part of a centrally controlled network of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1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 G06K19/06028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one-dimensional coding using bar cod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7/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 G06K7/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 G06K7/14Methods or arrangements for sensing record carriers, e.g. for reading patterns by electromagnetic radiation, e.g. optical sensing; by corpuscular radiation using light without selection of wavelength, e.g. sensing reflected white light
    • G06K7/1404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 G06K7/1408Methods for optical code recognition the method being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type of cod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1/0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 G07F11/46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 G07F11/50Coin-freed apparatus for dispensing, or the like, discrete articles from movabl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the storage containers or supports being rotatably mount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4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paper currency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8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by coded identity card or credit card or other personal identification mea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2Devices for alarm or indication, e.g. when empty; Advertising arrangements in coin-freed apparatu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Vending Machines For Individual Produc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서버와, 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되는 하나 이상의 자동판매기를 포함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동판매기는 본체가 되며 상품이 진열되는 거치대와 상품을 인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거치대에 진열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동부와, 거치대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제부와, 선택된 상품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는 코드리더기를 가지는 이동작동부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에는 진열된 상품의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표시수단이 각 거치대에 진열된 각 상품과 이웃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vending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including a server and one or more automatic vending machine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he vending machine becomes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stand o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and a discharge part for withdrawing the products, an outlet section for discharging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tand, and an input command to select and purchase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tand. It includes an input unit, a payment unit provided to pay for the purchased product, and a moving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enable movement to the selected product and having a code reader that reads the barcode attached to the product;
It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is provided with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price per weight of the displayed product adjacent to each product displayed on each stand.

Description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본 발명은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축산물을 용기에 포장하여 판매할 수 있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는 상품의 가격 조정 및 관리가 용이한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nd more specifically, to a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that can package and sell livestock products such as beef or pork in containers, and that allows for easy price adjustment and management of products sold in a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It's about a vending machine system.

일반적으로 무인자동판매기는 상품을 내장하는 상품수납부와, 상품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사용자가 인출할 수 있도록 인출박스에 배달하는 배달부와, 구매자가 상품수납부에 내장된 상품을 선택하도록 안내하는 인터페이스, 상품 값을 결제하는 결제시스템, 상기 인터페이스의 신호와 결제시스템의 신호를 받아서 상품을 배달하도록 동작을 지령하는 제어부와, 이들 모든 구성이 수용되고 상기 상품수납부의 상품을 소비자가 볼 수 있도록 구성된 본체로 구성하되, 여기서 상품의 수납부와 배달부는 상품의 종류와 크기 또는 포장 유형에 맞게 설계되고, 인터페이스는 구매자에게 내장된 상품을 종류별로 가격을 알려주어 상품을 선택할 수 있게 구성하며, 대금 결제시스템은 상품 선택 전에 해당 상품에 대한 판매대금을 동전과 지폐로서 투입한 후 상품을 선택하면 거스름돈을 돌려줄 수 있게 구성하며, 제어부는 상품수납부와 상품배달부, 인터페이스, 결제시스템 등을 감시하고 이들을 제어하기 위하여 필요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도록 구성하는 것이었다.Generally, an unmanned vending machine includes a product storage unit that stores products, a delivery unit that delivers the products built in the product storage unit to a withdrawal box so that the user can withdraw them, an interface that guides the buyer to select the product built in the product storage unit, A payment system that pays for the product, a control unit that receives signals from the interface and the payment system and instructs operations to deliver the product, and a main body configured to accommodate all of these components and allow the consumer to view the product in the product storage unit. Here, the product storage department and delivery department are designed to suit the type, size, or packaging type of the product, the interface informs the buyer of the prices of the built-in products by type so that they can select the product, and the payment system is Before selecting a product, the sales price for the product is entered in the form of coins and bills, and then change is returned when the product is selected. The control unit monitors and controls the product storage department, product delivery department, interface, payment system, etc. It was configured to generate the necessary control signals.

상기와 같은 종래의 자동판매기는 담배자판기, 커피자판기, 스낵식품 자판기, 신문자판기, 캔 음료 자판기 등과 같이 판매하고자 하는 상품의 포장과 종류에 따라 판매기의 상품수납부와 결제시스템의 조건을 조작하여 다르게 설정하여 사용하도록 구성하였다.Conventional vending machines as described above, such as cigarette vending machines, coffee vending machines, snack food vending machines, newspaper vending machines, canned beverage vending machines, etc., manipulate the conditions of the product storage section and payment system of the vending machine and set them differently depending on the packaging and type of the product to be sold. It was configured to be used.

공산품(물, 음료, 커피, 과자 등)은 기계로 자동 계량하여 정량/정액 생산이 가능하며, 지금의 자판기는 정액(정량)상품만 판매가 가능하다. Industrial products (water, beverages, coffee, snacks, etc.) can be automatically measured and produced in fixed quantities/fixed quantities by machines, and current vending machines can only sell fixed-quantity products.

자동판매기에서 판매되려면 축산물은 정량으로 만들어야 하나, 모든 축산물은 핸드메이드의 제조과정에 의존하기 때문에, 정확한 정량/정액 생산이 불가능하며, 자동판매기로 판매하기 위하여 이로 인하여 발생되는 문제점은 제품생산 속도가 현저히 떨어진다(10분6개→2개). 그리고 조각고기가 많이 생겨, 손실이 많아지며(한우의 경우 원가가 비싸, 매우 큰 금액), 자판기에 표시된 중량을 정확하게 담을 수 없어 표시된 중량보다 오버(over)된 중량을 담아야 하는데, 이로 인한 손실을 무시할 수 없다. 또한, 생산속도가 떨어지고, 손에 닿는 횟수가 늘어나다 보니 신선도가 떨어 진다.To be sold in a vending machine, livestock products must be made in fixed quantities. However, since all livestock products rely on a handmade manufacturing process, accurate quantitative/fixed production is impossible. The problem that arises due to this in order to sell in a vending machine is the speed of product production. It drops significantly (6 in 10 minutes → 2). Also, as a lot of pieces of meat are produced, losses increase (in the case of Korean beef, the cost is high, so the amount is very large), and the weight displayed in the vending machine cannot be accurately contained, so the weight exceeding the indicated weight must be placed, resulting in losses. cannot be ignored. Additionally, as the production speed decreases and the number of touches increases, the freshness decreases.

뿐만 아니라 농수축산물은 공산품과 달리 산지시세에 따라 매일 또는 매 주 원가가 바뀌는 특성이 있어서, 매일 또는 매 주, 실시간으로 산지시세와 판가를 연동시킬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In addition, unlike industrial products, agricultural, fishery and livestock products have the characteristic of changing costs daily or weekly depending on the production price, so there was a problem in that the production price and selling price could not be linked in real time on a daily or weekly basis.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06-0105917호 공개특허공보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06-0105917 Open Patent Publication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10-2020-0030215호 공개특허공보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10-2020-0030215 Public Patent Publication 대한민국 공개번호 제20-1998-0011964호 공개실용신안공보Republic of Korea Publication No. 20-1998-0011964 Public Utility Model Gazette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가지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축산물을 정량으로 포장할 필요가 없으며, 자동판매기에 거치되는 상품의 가격 조정 및 관리가 용이한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proposed to solve the problems of the prior art as described above. There is no need to package livestock products such as beef or pork in fixed quantities, and it is easy to adjust and manage the prices of products placed in vending machines. The purpose is to provide a vending machine system for use.

상기와 같은 목적을 위하여, 본 발명은 서버와, 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되는 하나 이상의 자동판매기를 포함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 시스템으로서;For the above purpose, the present invention is an automatic vending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including a server and one or more automatic vending machines provid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상기 자동판매기는 본체가 되며 상품이 진열되는 거치대와 상품을 인출하는 배출부를 구비하는 하우징과, 거치대에 진열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동부와, 거치대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와,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제부와, 선택된 상품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에 구비되며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를 읽는 코드리더기를 가지는 이동작동부를 포함하며;The vending machine becomes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housing including a stand o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and a discharge part for withdrawing the products, an outlet section for discharging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tand, and an input command to select and purchase the products displayed on the stand. It includes an input unit, a payment unit provided to pay for the purchased product, and a moving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to enable movement to the selected product and having a code reader that reads the barcode attached to the product;

상기 하우징에는 진열된 상품의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표시수단이 각 거치대에 진열된 각 상품과 이웃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을 제공한다.The housing provides a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a display means for displaying the price per weight of the displayed product is provided adjacent to each product displayed on each stand.

상기에서, 자동판매기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은 제어부에 연결되며;In the above, the vending machine includes a control unit, and the display means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상기 서버로부터 상품의 가격 정보가 제어부로 전송되고 저장부에 저장되며, 제어부로부터의 신호로 상기 표시수단에는 전송된 가격 정보인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ice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ntrol unit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price per weight, which is the transmitted pri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상기 표시수단은 거치대에 진열된 각 상품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거치대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eans is characterized in that it is provided on the stand so as to be located below each product displayed on the stand.

상기 표시수단은 복수의 LED모듈로 이루어져, 제어부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display means is comprised of a plurality of LED modules, which are selectively lit by a signal from a control unit to display the price per weight.

본 발명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은 자동판매기의 거치대에 표시부가 구비되며, 구매자가 미리 상품의 중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품 하부에 구비된 표시수단에 표시된 중량당 가격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의 가격도 예측 확인할 수 있으며, 하우징 내에 구비된 이동작동부에 상품에 부착된 코드를 읽는 코드리더기가 구비되고,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으로 이동하여 상품에 부착된 코드를 읽어 선택한 가격 정보가 획득되고 그 가격으로 결제가 되므로, 상품을 정량 포장할 필요가 없어 포장 시간이 단축되고, 포장 과정에서 낭비되는 축산물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display unit on the stand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and allows the buyer to visually check the weight of the product in advance, and determines the price of the product from the price per weight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duct. The prediction can also be confirmed, and the mobile operating unit provided in the housing is equipped with a code reader that reads the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The buyer moves to the selected product, reads the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and obtains the selected price information. Since payment is made, there is no need to package the product in quantitative quantities, which reduces packaging time and reduces livestock products wasted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본 발명 자판기내 윈도우에 진열되어 있는 각 아이템 하부에 LED표시판(가격/품목표시)을 설치하고 여기에 품목과 g당 또는 100g당 가격등을 서버의 현행 각종 축산물 생산 또는 판매 프로그램(매일 또는 매 주 등 실시간으로 원가/판가/재고 등이 관리되고 있음)과 연결(인터페이스 개발)하여 별도의 복잡한 절차 없이 산지시세를 실시간으로 자판기 내 축산물에 적용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an LED display board (price/item display)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each item displayed in the window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 item and price per gram or per 100g are displayed on the server's current various livestock product production or sales programs (daily or weekly). By connecting (interface development) with the cost/selling price/inventory, etc., being managed in real time, the production price can be applied to livestock products in the vending machine in real time without any additional complicated procedures.

판매를 위한 축산물을 생산할 때 생성되는 라벨 바코드(또는 QR코드)에 축종/개체번호/도축장/도축일자/생산일자/중량/등급 등 많은 정보가 담겨져 있는데, 그 중, 중량만을 도출하여, 위에서 설명한 서버의 축산물 제조/유통 프로그램을 자판기 프로그램과 연동(인터페이스 개발)하여, 매일 또는 매주단위 등 실시간으로 연동되는 g당 또는 100g당 단가(LED표시판 정보)를 자판기내 프로그램에 연산기능을 부여하여 화면에서 고객이 선택한 상품의 축종/이력번호/도축장/도축일/생산일/중량/g 또는 100g 당 단가와 함께 제품의 가격이 표시되도록 한다.The label barcode (or QR code) generated when producing livestock products for sale contains a lot of information such as livestock species/individual number/slaughterhouse/slaughter date/production date/weight/grade, etc. Among them, only the weight is derived, as described above. By linking the server's livestock product manufacturing/distribution program with the vending machine program (interface development), the unit price per gram or per 100g (LED display board information) linked in real time, such as on a daily or weekly basis, is given a calculation function to the program in the vending machine and displayed on the screen. The price of the product is displayed along with the livestock species/history number/slaughterhouse/slaughter date/production date/weight/g or unit price per 100g of the product selected by the customer.

이로서 그 동안 축산물 유통시장에서 한 번도 경험해 보지 못한 산지유통가격을 실시간으로 시장에 구현할 수 있는 체계를 완성하므로서 그 동안 많은 문제점을 안고 있었던 축산물의 산지유통가격과 시장가격간 괴리를 해결할 수 있는 방안이 마련될 수 있다.This is a way to solve the gap between the production site distribution price and the market price of livestock products, which has had many problems, by completing a system that can implement the production site distribution price in the market in real time, which has never been experienced in the livestock product distribution market. It can be provided.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이동작동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트레이에 구비되는 제1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제1구동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과 도 9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1 is an exemplary front view of a livestock product vending machine of the livestock product vending machine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to explain a moving operation unit provided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Figure 3 is a diagram to explain another example of a moving operation unit provided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y provided in the moving operation unit shown in Figures 2 and 3;
Figure 5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tray shown in Figure 4;
Figure 6 is a schematic plan view to explain the first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tray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Figure 7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the first driving unit of Figure 5;
Figures 8 and 9 are shown to explain another example of a moving operation unit provided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Figure 10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tray shown in Figures 8 and 9;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적 용어들 및 과학적 용어들은,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의미를 갖는다. 본 개시에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개시를 더욱 명확히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선택된 것이며 본 개시에 따른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해 선택된 것이 아니다.All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meanings common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disclosure pertains. All terms used in this disclosure are selected for the purpose of more clearly explaining this disclosure and are not selected to limit the scope of rights according to this disclosure.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포함하는", "구비하는", "갖는" 등과 같은 표현은, 해당 표현이 포함되는 어구 또는 문장에서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다른 실시예를 포함할 가능성을 내포하는 개방형 용어(open-ended terms)로 이해되어야 한다.Expressions such as “comprising,” “comprising,” “having,” etc.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mply the possibility of including other embodiments, unless otherwise stated in the phrase or sentence containing the expression. It should be understood as open-ended terms.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단수형의 표현은 달리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단수형의 표현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된다.The singular expressions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plural meanings unless otherwise specified, and this also applies to the singular expressions recited in the claims.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상호 구분하기 위해 사용되며, 해당 구성요소들의 순서 또는 중요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Expressions such as “first” and “second” used in the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used to distinguish a plurality of components from each other, and do not limit the order or importance of the components.

본 발명의 설명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결합되어" 있다고 언급된 경우,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또는 새로운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로 하여 연결될 수 있거나 결합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In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when a component is referred to as being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mponent, it means that the component can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upled to the other component, or as a new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as something that can be connected or combined through components.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Below,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본 발명의 명칭으로 축산물용 자동판매기라고 기재되어 있으나, 축산물은 소고기나 돼지고기와 같은 축산물에 한정되지 않고 질량이 일정하게 생산되지 않는 농산물, 어물, 반찬류 등이 포함되는 의미로 해석되어야 한다.Although the nam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scribed as a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livestock products are not limited to livestock products such as beef or pork, but should be interpreted to include agricultural products, fish, side dishes, etc. that are not produced consistently.

도 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정면도를 예시적으로 도시한 것이며, 도 2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4는 도 2와 도 3에 도시한 이동작동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를 확대 도시한 것이며, 도 5는 도 4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면도이며, 도 6은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의 트레이에 구비되는 제1구동부를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7은 도 5의 제1구동부의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며, 도 8과 도 9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에 구비되는 이동작동부의 또 다른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시한 것이며, 도 10은 도 8과 도 9에 도시한 트레이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하여 개략적으로 도시한 개략적인 측면도이며,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의 구성도이다.Figure 1 is an exemplary front view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to explain the moving operation unit provided in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and Figure 3 is It is shown to explain another example of a mobile operating unit provided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Figure 4 is an enlarged view of the tray provided in the mobile operating unit shown in Figures 2 and 3, and Figure 5 is shown in Figure 4. It is a side view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the shown tray, Figure 6 is a plan view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first driving part provided in the tray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and Figure 7 is the first drive part of Figure 5. It is a plan view shown to explain another example of the driving unit, and FIGS. 8 and 9 are shown to explain another example of a moving operating unit provided in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for livestock products, and FIG. 10 is shown in FIGS. 8 and 9. This is a schematic side view schematically shown to explain the operation of one tray, and Figure 11 is a configuration diagram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이하의 설명에서 도 2의 가로 방향을 폭 방향으로, 세로 방향을 상하 방향으로 설명한다.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 horizontal direction of FIG. 2 will be described as the width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will be described as the up and down direction.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의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는 하우징(110)과, 배출구동부(190)와, 이동작동부(120)와, 입력부(130)와, 결제부(1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100 for livestock products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using 110, a discharge port 190, a moving operation unit 120, It includes an input unit 130 and a payment unit 160.

상기 하우징(110)은 중공체이며, 축산물용 자동판매기(100)의 본체가 된다. 상기 하우징(110)에는 냉장수단(또는 냉동수단)과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냉장수단과 온도센서는 제어부(200)에 연결된다. 상기 온도센서로 측정된 하우징(110) 내의 온도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달되고, 제어부(200)에 의해 냉장수단의 작동이 제어되어 하우징(110)의 내부 온도가 설정 온도 범위 내로 유지된다. 상기 냉장수단은 공지 기술이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The housing 110 is a hollow body and becomes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100 for livestock products. The housing 110 is equipped with a refrigerating means (or freezing means) and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refrigerating means and the temperature sensor are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e temperature information inside the housing 110 measured by the temperatur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operation of the refrigeration means is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housing 110 within the set temperature range. Since the refrigeration means is a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하우징(110)에는 상품(P)이 진열되는 거치대(111)와 배출부(115)가 구비된다.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은 투명한 아크릴판, 플라스틱 등의 재질로 이루어져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이 외부에서 보여진다.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stand 111 on which the product P is displayed and a discharge unit 115. The front of the housing 110 is made of a transparent acrylic plate, plastic, etc., so that the product P displayed on the holder 111 is visible from the outside.

상기 거치대(11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며, 상하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거치대(111)의 상하 방향 간격은 상품(P)의 높이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The holder 111 has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vertically. The vertical spacing of the holder 111 may vary depending on the height of the product (P).

상기 거치대(111)에는 배출구동부(190)가 설치되어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을 배출부(115)로 배출한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구동된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이송스프링(191)과, 이송스프링(191)을 회전시키는 모터(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 discharge port 190 is installed on the holder 111 to discharge the product P displayed on the holder 111 to the discharge portion 115. The discharge port 19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driven according to signals from the control unit 200. The discharge unit 190 includes a transfer spring 191 and a motor (not shown) that rotates the transfer spring 191.

상기 이송스프링(191)은 코일스프링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거치대(111)의 상부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이송스프링(191)은 피치와 피치 사이에 상품(P)이 끼워지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모터는 상기 이송스프링(191)의 후방에 연결된다.The transfer spring 191 is formed in the form of a coil spring, extends in the front-back direction from the top of the holder 111, and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The transfer spring 191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product (P) is sandwiched between pitches. The motor is connected to the rear of the transfer spring 191.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상기 이송스프링(191)의 후방에 모터가 연결되어 모터에 의해 이송스프링(191)이 회전하며 이송스프링(191)의 피치 사이에 끼워진 상품(P)을 전방으로 배출시킨다. 상기 배출구동부(190)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모터가 구동하며 이송스프링(191)이 회전되어 상품(P)이 전방으로 배출된다.The discharge unit 190 is connected to a motor at the rear of the transfer spring 191, so that the transfer spring 191 rotates by the motor and discharges the product (P) sandwiched between the pitches of the transfer spring 191 to the front. . The discharge unit 190 is driven by a motor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transfer spring 191 is rotated to discharge the product P forward.

상기 배출부(115)는 가장 하부에 위치하는 거치대(111)의 하부로 위치하며, 전방에서 개폐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배출부(115)에는 제어부(200)에 연결된 잠금작동부(150)가 구비되어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잠금작동부(150)가 해제되며, 상기 잠금작동부(150) 해제 여부에 따라 배출부(115)가 개폐된다. 상기 잠금작동부(150)는 솔레노이드 밸브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The discharge part 115 is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holder 111, which is located at the lowest level, and is provided to be able to open and close from the front. The discharge unit 115 is provided with a locking operation unit 150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locking operation unit 150 is releas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whether or not the locking operation unit 150 is released is determined. Accordingly, the discharge part 115 is opened and closed. The locking operation unit 150 may be made of a solenoid valve or the like.

상기 배출부(115)에는 제어부(200)에 연결되며 배출부(115)를 밝히는 배출조명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배출부(115)는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잠금작동부(150)가 해제됨과 동시에 배출조명부(170)가 켜지며 배출부(115) 내부를 밝혀준다.The discharge unit 115 may be further equipped with an exhaust lighting unit 170 that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illuminates the discharge unit 115. The lock operation unit 150 of the discharge unit 115 is released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at the same time, the discharge lighting unit 170 is turned on to illuminate the inside of the discharge unit 115.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 중 선택된 상품(P)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하우징(110) 내에 구비된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어부(200)의 제어에 따라 작동된다. 도 1 및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이동안내부(121)와, 구동부(123)와, 이동바(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to enable movement to a selected product (P) among the products (P) displayed on the holder (111).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operates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200. As shown in Figures 1 and 2,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 moving guide unit 121, a driving unit 123, and a moving bar 124.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양단이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1211)과, 상기 가이드레일(12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블럭(1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ving guide 121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moving guide 121 is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Two moving guides 121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ing guide 121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guide rail 1211 with both ends fixed to the housing 110, and a moving block provided to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1211. (1213) is included.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이동안내부(12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동안내부(12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The driving unit 123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driving unit 123 extends up and down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driving unit 123 is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guide 121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moving guide 121.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일측 단부가 하우징(110)에 설치된 베어링(123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스크류(1237)와, 상기 볼스크류(1237)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1237)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크류(1237)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볼나사(1233)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상기 볼스크류(123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볼스크류(123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231)는 상기 볼스크류(1237)에 커플링(12391)을 매개로 연결된다.The driving unit 123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one end rotatable by a bearing 1239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is screwed to the ball screw 1237. A ball screw 1233 moves up and down along the ballscrew 1237 by the rotation of the ballscrew 1237, and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llscrew 1237 to form a ball screw ( It includes a drive motor 1231 that rotates 1237). The driving motor 1231 is connected to the ball screw 1237 via a coupling 12391.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211)에 의하여 상하로 안내되며, 타측은 볼나사(1233)에 결합되어 볼나사(1233)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고, 폭 방향 타측이 상기 볼나사(1233)에 결합되고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이동안내부(121)의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The moving bar 124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One side of the moving bar 124 in the width direction is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and guided up and down by the guide rail 1211,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1233 to be integrated with the ball screw 1233. Move up and down. When two moving guides 121 are provided, one side of the moving bar 124 in the width direction is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1233, and the moving bar 124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It may be extended to be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of another moving guide 121.

상기 이동바(124)에는 선택된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는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품 진열 각 행의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이동바(124)의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품(P)이 진열되는 가로 방향 숫자인 행수와 같은 개수로 이동바(124)에 구비된다. 상기 상품(P)에 부착되는 코드는 바코드(BC), QR코드, RFID 등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코드리더기(140)가 설치된다. 이하에서 코드는 바코드(BC)인 것을 예로 설명한다.The moving bar 124 may be equipped with a code reader 140 that reads the code attached to the selected product (P).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of the moving bar 124 to read the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P in each row of product display. The code readers 140 are provided on the moving bar 124 in the same number as the number of r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 the product P is displayed. The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P) may be a barcode (BC), QR code, RFID, etc., and the code reader 140 is installed accordingly. Below, the code is explained as an example of a barcode (BC).

도 3은 상기 이동작동부(120)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구동부(123)와, 이동바(124)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Figure 3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As shown in FIG. 3,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 driving unit 123 and a moving bar 124.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iving unit 123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driving unit 123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상기 구동부(123)는 베어링(1239)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풀리(1236)와, 베어링(1239)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풀리(1236)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풀리(1232)와, 하우징(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231)와, 상기 구동모터(1231)의 회전을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34)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폭 방향 양측에서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를 감아 구비되는 벨트(12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riving unit 123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110 by a bearing 1239, and is rotatable in the housing 110 by a first pulley 1236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bearing 1239. A second pulley 1232 is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located downwardly spaced from the first pulley 1236, a drive motor 1231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drive motor 1231. A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that transmits rotation to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i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winds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t includes a belt 1238 provided.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제1풀리(1236)는 풀리축(12361)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제2풀리(1232)는 풀리축(12321)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된다.The first pulleys 1236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pulley shaft 12361 and rotate simultaneously, and the second pulleys 1232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pulley shaft 12321. rotated at the same time.

도 3에는 상기 제1풀리(1236)의 풀리축(12361)을 구동모터(1231)로 회전시키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구동모터(1231)를 제2풀리(1232)의 풀리축(12321)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Figure 3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ulley shaft 12361 of the first pulley 1236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1231, but the drive motor 1231 is rotated by the pulley shaft 12321 of the second pulley 1232.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t in a rotating structure.

상기 동력전달부(1234)는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설치된 제1기어와,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1231)에는 감속기가 설치되고, 제2기어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is coupled to a first gear installed on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nd a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and meshes with the first gear. It can be made of gears. A reducer is installed in the drive motor 1231, and the second gear may be coupl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reducer.

동력전달부(1234)는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킷과,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스프로킷과, 제1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을 감아 구비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includes a first sprocket installed on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 second sprocket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and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It may be composed of a chain provided by winding 2 sprockets.

동력전달부(1234)는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설치된 제1구동부풀리와,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구동부풀리와, 제1구동부풀리와 제2구동부풀리를 감아 구비되는 구동부벨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includes a first drive bulge installed on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 second drive bulg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and a first drive unit. It may be composed of a drive belt wound around a pulley and a second drive pulley.

동력전달부(1234)는 일측이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커플링일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may be a coupling i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동력전달부(1234)는 이외에도 구동모터(1231)의 회전을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may be formed in various combinations that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231 to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상기 벨트(1238)는 상기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를 감아 구비된다. 상기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벨트(1238)의 내면에는 벨트(1238)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풀리(1236) 및 제2풀리(1232)와 치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1238)의 예로 타이밍벨트가 있다. 상기 벨트(1238)에 홈이 형성되고,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에 톱니가 형성됨으로써 제1풀리(1236) 및 제2풀리(1232)와 벨트(1238) 사이에 미끄럼이 방지된다.The belt 1238 is provided by winding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are formed with teeth, and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238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238. A groove that engages is formed. An example of the belt 1238 is a timing belt. A groove is formed in the belt 1238, and teeth are formed in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to allow sliding between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and the belt 1238. This is prevented.

상기 이동바(124)는 상기 구동부(123)의 구동으로 상하로 이동한다.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동부(123)에 결합되어 구동부(123)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 사이에서 벨트(1238)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벨트(1238)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1238)가 회전하면 벨트(1238)와 함께 이동하여 상하 이동된다.The moving bar 124 moves up and down by being driven by the driving unit 123. The moving bar 124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ing bar 124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23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and moves up and down by driving the driving unit 123. The moving bar 124 is coupled to the belt 1238 between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moving bar 124 is coupled to the belt 1238, and moves up and down along with the belt 1238 when the belt 1238 rotates.

상기 이동바(124)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폭 방향 양측이 구동부(123)의 벨트(1238)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바(124)의 폭 방향 양측은 상기 벨트(1238)에 결합부(12381)를 매개로 결합되어 구비된다.The moving bar 124 may extend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belt 1238 of the drive unit 123. Both sides of the moving bar 124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upled to the belt 1238 via a coupling portion 12381.

상기 결합부(12381)는 판상이며 벨트(1238)의 외면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2381)에는 벨트(1238)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이동바(124)는 상기 벨트(1238)와 결합부(12381)의 오목한 홈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된다. 상기 결합부(1238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coupling portion 12381 is plate-shape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238 with a screw. A concave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direction facing the belt 1238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2381. The moving bar 124 is provided by being inserted between the concave groove of the belt 1238 and the coupling portion 12381. The coupling portion 1238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이동바(124)는 복수로 구비되어 이동바(124)의 폭 방향 외측이 구동부(123)에 결합되어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바(124)는 2개가 구비되어 트레이(125)의 폭 방향 양측에 고정되고, 양측 벨트(1238)에 이동바(124)의 폭 방향 외측이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moving bar 124 may be provided in plurality, and the outer side of the moving bar 124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23. Two moving bars 124 may be provided and fixed to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tray 125, and the outer sides of the moving bars 124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coupled to belts 1238 on both sides.

상기 이동작동부(120)에는 도 2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5)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may further include a tray 125 as shown in FIGS. 2 and 3.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바(124)에 설치되어 이동바(124)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바(124)의 단부로 결합되어 이동바(124)와 함께 상하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25)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들이 배출될 때 이들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The tray 125 is installed on the moving bar 124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oving bar 124. The tray 125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moving bar 124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moving bar 124.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tray 125 is long enough to accommodate the products arranged in each row when they are discharged.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트레이(125)는 바닥부(1251)와, 측부(1253)와, 트레이안내부(1255)와, 스프링(12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tray 125 includes a bottom part 1251, a side part 1253, a tray guide part 1255, and a spring 1257.

상기 바닥부(1251)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판상이다. 상기 바닥부(1251)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들이 배출될 때 이들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The bottom portion 1251 has a plate shap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ottom portion 1251 is long enough to accommodate the products arranged in each row when they are discharged.

상기 측부(1253)는 상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과 후방에서 상향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25)는 상향 및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side portions 1253 are bent and extended upwar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tray 125 is provided in a form that opens upward and forward.

상기 트레이안내부(1255)는 상기 바닥부(1251)의 하부로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안내부(1255)는 폭 방향 양단이 개구된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상기 트레이안내부(1255)에는 상기 이동바(124)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바(124)가 트레이안내부(1255)에 삽입되어 이동바(124)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tray guide portion 1255 is provided below the bottom portion 1251 an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The tray guide 1255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penings at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ing bar 124 is rotatably inserted into the tray guide 1255. The tray 125 is rotatably provided on the moving bar 124 by inserting the moving bar 124 into the tray guide 1255.

상기 스프링(1257)은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이동바(124)에는 후방으로 돌출 연장된 스프링결합부(1241)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257)의 일측은 이동바(124)의 스프링결합부(1241)에 결합되고 타측은 트레이(125)의 측부(1253)에 결합된다.The spring 125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also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able bar 124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coupling portion 1241 protruding and extending rearward, one side of the spring 1257 is coupled to the spring coupling portion 1241 of the movable bar 124, and the other side is a tray ( It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1253 of 125).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작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이동바(124)와 함께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동부(190)의 작동으로 거치대(111)로부터 이탈한 상품(P)이 수용된다.The tray 125 moves to the selected product position along with the moving bar 124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and the product (P) is separated from the holder 111 by the operation of the outlet eastern part 190. This is accepted.

상기 트레이(125)에는 선택된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는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125)에 구비되어 트레이(125)와 함께 상하 이동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품(P)이 진열되는 가로 방향 숫자인 행수와 같은 개수의 코드리더기(140)가 트레이(125)에 부착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품이 진열되는 각 행의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트레이(125)의 후방에 가로 방향을 따라 복수로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125)의 바닥부(125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품(P)의 코드는 상품(P)이 진열되었을 때 상품 포장의 하향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The tray 125 is equipped with a code reader 140 that reads the code attached to the selected product (P).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on the tray 125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tray 125. The number of code readers 140 equal to the number of rows in the horizontal direction where the product P is displayed is attached to the tray 125.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in plurality along the horizontal direction at the rear of the tray 125 to read the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P in each row where the product is displayed. The code reader 140 may be installed on the bottom 1251 of the tray 125. In this case, the code of the product (P) may be attached to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product packaging when the product (P) is displayed. there is.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기 이동바(124)에 별도의 부재가 구비되어 트레이(125)의 후방으로 구비되고 별도의 부재에 코드리더기(140)에 설치될 수 있으나, 이는 트레이(125)에 설치되는 것과 균등 범위에 해당될 것이다.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with a separate member on the moving bar 124 and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ay 125. It may be installed on the code reader 140 as a separate member, but this is provided on the tray 125. It will fall within the same range as what is installed.

상기 이동작동부(120)에는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는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되고, 구매자가 선택한 상품으로 이동하여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선택한 가격 정보가 획득되고 그 가격으로 결제가 되므로, 상품을 정량 포장할 필요가 없어 포장 시간이 단축되고, 포장 과정에서 낭비되는 축산물도 감소하는 효과가 있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s equipped with a code reader 140 that reads 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product (P), moves to the product selected by the buyer, reads 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product, and provides the selected price information. Since is obtained and payment is made at that price, there is no need to package the product in quantity, which reduces packaging time and reduces livestock products wasted during the packaging process.

상기 트레이(125)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코드리더기(140)가 트레이(125)에 설치되므로, 트레이(125)가 선택된 상품으로 이동되고 코드리더기(140)가 읽어 가격 정보가 획득되는 한편, 선택된 상품이 바로 트레이(125)로 이동되어 담겨 배출구(115)로 이동될 수 있다. 따라서 작동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고 유지 비용이 절감된다. 그리고 트레이(125)에 상품이 진열되는 행수에 대응되는 개수의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되므로 트레이(125)를 가로 방향으로 이동시키지 않고 배열된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고 배출되는 상품(P)을 수용할 수 있으므로 작동이 신속해지고 작동을 위한 에너지가 절감된다.When the tray 125 is provided, the code reader 140 is installed in the tray 125, so the tray 125 is moved to the selected product and the code reader 140 reads it to obtain price information. The product can be moved directly to the tray 125 and moved to the discharge port 115. This ensures efficient operation and reduces maintenance costs. In addition, since the tray 125 is provided with a number of code readers 140 corresponding to the number of rows in which products are displayed, the codes attached to the arranged products P are read and discharged without moving the tray 125 in the horizontal direction. (P) can be accommodated, making operation faster and energy for operation reduced.

상기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의 하우징(110)에는 하부로 걸림부(1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상기 이동바(124)가 하부에 위치했을 때 이동바(124)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The housing 110 of the livestock product vending machine 10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117 at the bottom. The locking portion 117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housing 110. The locking portion 117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rear of the moving bar 124 when the moving bar 124 is located at the lower portion.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구동부(123)의 작동으로 트레이(125)가 하강하면 트레이(125) 일측이 즉, 트레이(125)의 후방이 상기 걸림부(117)에 걸리어 반대쪽이 하향하여 기울어져 트레이(125)에 수용된 상품이 배출구(115) 내측으로 낙하하며, 트레이(125)가 상승하면 스프링(1257)의 복원력으로 트레이(12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As shown in FIG. 5, when the tray 125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3,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moves one side of the tray 125, that is, the rear of the tray 125, to the locking unit ( 117), the opposite side is tilted downward and the product contained in the tray 125 falls inside the outlet 115, and when the tray 125 rises, the tray 125 moves in the opposite direc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257. It rotates.

도 2에서 도면부호 1234-1은 카운터웨이트(1234-1)를 도시한 것으로, 상기 제1풀리축(12361)의 일측이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연장된 단부에 카운터웨이트(1234-1)가 구비된다. 상기 카운터웨이트(1234-1)는 상기 동력전달부(1234)의 작동으로 벨트(1238)가 회전하며 이동바(124)와 트레이(125)가 상하로 움직일 때 무게의 균형을 맞추는 역할을 한다.In FIG. 2, reference numeral 1234-1 indicates a counterweight 1234-1, where one side of the first pulley shaft 1236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counterweight 1234-1 is located at the extended end. It is provided. The counterweight 1234-1 serves to balance the weight when the belt 1238 rotates by the operation of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and the moving bar 124 and the tray 125 move up and down.

상기 트레이(125)에는 도 6와 같이 제1구동부(127)와 트레이본체(125-1)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가 구비되는 경우,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본체(125-1)에 구비된다.The tray 125 may be further provided with a first driving unit 127 and a tray body 125-1 as shown in FIG. 6. When the tray body 125-1 is provided,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in the tray body 125-1.

상기 제1구동부(127)는 트레이(125) 상에 설치된 제1모터(1271)와, 상기 제1모터(1271)에 의하여 회전하는 제1구동풀리(1274)와, 상기 제1구동풀리(1274)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베어링(1279)에 의해 트레이(12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제2구동풀리(1276)와, 상기 제1구동풀리(1274)와 제2구동풀리(1276)를 감아 구비되는 제1벨트(1274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driving unit 127 includes a first motor 1271 installed on the tray 125, a first driving pulley 1274 rotated by the first motor 1271, and the first driving pulley 1274. ) and a second driving pulley 1276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rotatably installed on the tray 125 by a bearing 1279, and winding the first driving pulley 1274 and the second driving pulley 1276. It includes the first belt (12741).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상기 트레이(125) 상부에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제1구동부(127)에 의하여 폭 방향으로 왕복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제1구동풀리(1274)와 제2구동풀리(1276) 사이에서 제1벨트(12741)에 설치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본체바닥부(1251-1)와 본체측부(1251-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y body 125-1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y 125. The tray body 125-1 is provided to be capable of reciprocating movement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first driving part 127. The tray body 125-1 is installed on the first belt 12741 between the first driving pulley 1274 and the second driving pulley 1276. The tray main body 125-1 includes a main body bottom part 1251-1 and a main body side part 1251-3.

상기 본체바닥부(1251-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본체바닥부(1251-1)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이 배출될 때 각 행에 배열된 상품들 중 가장 폭이 큰 상품(P)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The main body bottom portion 1251-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main body bottom portion 1251-1 has a length that can accommodate the product P with the largest width among the products arranged in each row when the products arranged in each row are discharged.

상기 본체측부(1251-3)는 상기 본체바닥부(1251-1)의 폭 방향 양측과 후방에서 상향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본체트레이(125-1)는 상향 및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main body side portion 1251-3 is bent and extended upward on both sides and rear of the main body bottom portion 1251-1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main body tray 125-1 is provided in a form that is opened upward and forward.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상기 제1벨트(12741)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전후 방향 일측의 하부가 트레이(125)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은 트레이(125)의 상부에서 구름 운동하며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한다. 상기 휠은 제1벨트(1274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tray body 125-1 is provided with the lower part of at least one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tray 125 with the first belt 12741 interposed therebetween. A wheel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y body 125-1. The wheel rolls on the upper part of the tray 125 and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wheel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with the first belt 12741 in between.

상기 트레이본체(125-1)에는 상기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본체(125-1)에 구비되어 트레이본체(125-1)와 함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에는 하나의 코드리더기(140)가 부착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본체(125-1)의 본체바닥부(1251-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품(P)의 코드는 상품(P)이 진열되었을 때 상품 포장의 하향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in the tray body 125-1.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on the tray main body 125-1 an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together with the tray main body 125-1. One code reader 140 is attached to the tray main body 125-1. The code reader 140 may be installed on the main body bottom 1251-1 of the tray main body 125-1. In this case, the code of the product P is displayed at the bottom of the product packaging when the product P is displayed. It can be attached in any location.

도 7은 상기 제1구동부(127)의 변형 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7 shows a modified example of the first driving unit 127.

도 7에서 제1구동부(127)는 트레이(125) 상에 설치된 제1모터(1271)와,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양측이 베어링(1279)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며 상기 제1모터(1271)에 의하여 회전하는 구동볼스크류(12761)와, 상기 제1모터(1271)의 회전을 구동볼스크류(12761)로 전달하는 제2동력전달부(1272)와, 상기 구동볼스크류(12761)에 치합하여 구동볼스크류(12761)의 회전으로 폭 방향 이동되는 볼나사(도시하지 않음)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In FIG. 7, the first driving unit 127 includes a first motor 1271 installed on the tray 125, and the first motor 1271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so that both sides are rotatable by bearings 1279. A driving ball screw 12761 rotated by a second power transmission unit 1272 that transmits the rotation of the first motor 1271 to the driving ball screw 12761, and a drive ball screw 12761 In total, it includes a ball screw (not shown) that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with the rotation of the driving ball screw 12761.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볼나사에 결합되어 볼나사와 함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볼나사에 결합되어, 구동볼스크류(12761)의 회전으로 볼나사와 함께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The tray body 125-1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all screw. The tray body 125-1 is coupled to the ball screw an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together with the ball screw through rotation of the driving ball screw 12761.

상기 트레이본체(125-1)는 구동볼스크류(12761)를 사이에 두고 적어도 전후 방향 일측의 하부가 트레이(125)에 접하여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본체(125-1)의 하부에는 도시하지 않은 휠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휠은 트레이(125)에 구름 운동하며 폭 방향으로 왕복 운동된다. 상기 휠은 구동볼스크류(12761)를 사이에 두고 양측에 구비될 수 있다.The tray body 125-1 is provided with a lower portion of at least one side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contact with the tray 125 with the driving ball screw 12761 interposed therebetween. A wheel (not shown) may be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the tray body 125-1. The wheel rolls on the tray 125 and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The wheel may be provided on both sides with a driving ball screw 12761 in between.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125)의 상부에 구비되는 트레이본체(125-1)는 상기 트레이(125)가 걸림부(117)에 걸려 회전하면, 상부의 트레이본체(125-1)도 트레이(125)와 함께 회전하여 트레이본체(125-1)에 수용된 상품이 트레이본체(125-1)로부터 이탈된다.As shown in FIGS. 6 and 7, the tray body 125-1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tray 125 is rotated when the tray 125 is caught on the locking portion 117. -1) also rotates together with the tray 125 so that the product accommodated in the tray main body 125-1 is separated from the tray main body 125-1.

상기 구동부(123)에 의하여 트레이(125)와 함께 트레이본체(125-1)가 상하 이동되고, 제1구동부(127)에 의해 트레이본체(125-1)가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소비자가 구매한 상품의 전방으로 트레이본체(125-1)가 이동되도록 구동부(123)와 제1구동부(127)가 작동하고, 트레이본체(125-1)에 구비된 코드리더기(140)가 상품에 부착된 코드를 리딩하며, 소비자의 결제로 배출구동부(190)가 작동하여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이 이탈하여 트레이본체(125-1)로 수용된다.The tray body 125-1 is moved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tray 125 by the driving unit 123, and the tray main body 125-1 is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first driving unit 127. The driving unit 123 and the first driving unit 127 operate to move the tray main body 125-1 in front of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consumer, and the code reader 140 provided in the tray main body 125-1 moves the product to the front of the product purchased by the consumer. The code attached to is read, and the discharge port 190 operates upon payment by the consumer, so that the product P displayed on the holder 111 is removed and received into the tray main body 125-1.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이동안내부(121)와, 구동부(123)와, 제1구동부(127)와, 트레이(125)와, 제1이동안내부(122)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may be formed in the form shown in FIG. 8.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may include a moving guide 121, a driving part 123, a first driving part 127, a tray 125, and a first moving guide 122. .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로 연장되도록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2개가 나란하게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이동안내부(12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양단이 하우징(110)에 고정 설치된 가이드레일(1211)과, 상기 가이드레일(1211)을 따라 상하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된 이동블럭(1213)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ving guide 121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moving guide 121 is fixed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o extend upward and downward. Two moving guides 121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and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The moving guide 121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includes a guide rail 1211 with both ends fixed to the housing 110, and a moving block provided to mov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along the guide rail 1211. (1213) is included.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로 연장되며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상기 이동안내부(121)로부터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이동안내부(12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The driving unit 123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driving unit 123 extends up and down and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driving unit 123 is spaced apart from the moving guide 121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moving guide 121.

상기 구동부(12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이며 일측 단부가 하우징(110)에 설치된 베어링(1239)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는 볼스크류(1237)와, 상기 볼스크류(1237)에 나사 결합되어 볼스크류(1237)의 회전에 의하여 볼스크류(1237)를 따라 상하 이동하는 볼나사(1233)와, 상기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상기 볼스크류(1237)의 타측 단부에 연결되어 볼스크류(1237)를 회전시키는 구동모터(123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구동모터(1231)는 상기 볼스크류(1237)에 커플링(12391)을 매개로 연결된다.The driving unit 123 has a rod shape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has one end rotatable by a bearing 1239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is screwed to the ball screw 1237. A ball screw 1233 moves up and down along the ballscrew 1237 by the rotation of the ballscrew 1237, and is provided in the housing 110 and connected to the other end of the ballscrew 1237 to form a ball screw ( It includes a drive motor 1231 that rotates 1237). The driving motor 1231 is connected to the ball screw 1237 via a coupling 12391.

도 8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1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부(1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폭 방향 일측이 제1구동모터(127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볼스크류(1277)와, 모터축이 상기 제1볼스크류(1277)에 연결되어 이동블럭(1213)에 설치되며 이동블럭(1213)과 함께 상하 이동되는 제1구동모터(1271)와, 상기 제1볼스크류(1277)에 나사 결합되어 제1볼스크류(1277)의 회전에 따라 좌우로 이동되는 제1볼나사(1273)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8 and 10, the first driving part 127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driving part 127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connected to a first driving motor 1271 to rotate a first ball screw 1277, and the motor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7. A first drive motor 1271 is connected and installed on the moving block 1213 and moves up and down with the moving block 1213, and is screw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7 to rotate the first ball screw 1277. It includes a first ball screw 1273 that moves left and right according to.

상기 제1볼스크류(1277)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베어링(1212)을 매개로 결합되어 가이드레일(1211)에 의하여 안내되며 타측은 볼나사(1233)의 일측으로 구비된 안내부(1232)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볼나사(1233)와 일체로 상하 이동한다. 상기 이동안내부(121)가 2개 구비되는 경우, 상기 제1볼스크류(1277)는 폭 방향 일측이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고, 폭 방향 타측이 상기 안내부(1232)를 지나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다른 이동안내부(121)의 이동블럭(1213)에 베어링(1212)을 매개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어 구비될 수 있다.The first ball screw 1277 has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via a bearing 1212 and guided by a guide rail 1211, and the other side is provided as one side of the ball screw 1233. It is rotatably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232 and moves up and down integrally with the ball screw 1233. When the two moving guides 121 are provided,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all screw 1277 is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and the other side in the width direction passes through the guide portion 1232 and extends the width. It may extend in one direction and be rotatably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of the other moving guide 121 via a bearing 1212.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의 후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제1가이드레일(1221)과 제1이동블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moving guide 122 is provided behind the first ball screw 1277. The first moving guide 122 is provided parallel to the first ball screw 1277. The first moving guide 122 includes a first guide rail 1221 and a first moving block portion.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상기 제1볼스크류(1277)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폭 방향 일측 단부가 상기 이동블럭(1213)에 결합되고 타측은 볼나사(1233)에 구비되는 안내부(1232)에 결합된다.The first guide rail 1221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guide rail 1221 extends parallel to the first ball screw 1277. One end of the first guide rail 1221 in the width direction is coupled to the moving block 1213,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guide portion 1232 provided on the ball screw 1233.

상기 제1이동블럭부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에 제1가이드레일(12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블럭부는 트레이(125)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이동블럭(1223)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을 사이에 두고 제1이동블럭(1223)과 반대쪽인 제1가이드레일(12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이동블럭(12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블럭(1223)과 제2이동블럭(1225)에는 서로 마주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궤도가 형성된다. 상기 궤도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first moving block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guide rail 1221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21. The first moving block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block 1223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ray 125, and a first guide rail opposite to the first moving block 1223 with the first guide rail 1221 in between. It includes a second moving block 1225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1221. The first moving block 1223 and the second moving block 1225 face each other and form concave track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guide rail 1221 is inserted into the track and is slidably provided.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와 제1구동부(127)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1이동블럭(1223)과 제1구동부(127)의 제1볼나사(1273)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비된다.The tray 125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and the first driving part 127. The tray 125 is provide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ing block 1223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and the first ball screw 1273 of the first driving part 127.

상기 트레이(125)는 바닥부(1251)와, 측부(1253)와, 스프링(12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y 125 includes a bottom 1251, a side 1253, and a spring 1257.

상기 바닥부(125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251)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이 배출될 때 해당하는 행의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1251)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1이동블럭(1223)과 제1구동부(127)의 제1볼나사(1273)에 고정되어 구비된다.The bottom portion 125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ottom portion 1251 has a length that can accommodate the products in each row when the products arranged in each row are discharged. The bottom part 1251 is fixed to the first moving block 1223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and the first ball screw 1273 of the first driving part 127.

상기 측부(1253)는 상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과 후방에서 상향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25)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side portions 1253 are bent and extended upwar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tray 125 is provided in a forward opening form.

상기 스프링(1257)은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2이동블럭(1225)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부(도시하지 않음)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257)은 일측은 제2이동블럭(1225)의 스프링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측부(1253)에 결합된다.The spring 125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also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moving block 1225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coupling portion (not shown) protruding rearward, and the spring 1257 has one side of the second moving block 1225. It is coupled to the spring coupling part of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ide part (1253).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에 결합되어 제1구동부(127)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제1볼나사(1273)와 제1이동블럭부에 결합되어 제1볼나사(1273)와 일체로 좌우로 이동한다. The tray 125 is coupl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7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driving part 127, and is coupl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3 and the first moving block part to move the first ball screw 1277. It moves left and right integrally with the screw (1273).

상기 트레이(125)는 제1구동부(127)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 후, 제1이동안내부(122)에 의해 좌우로 이동하여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제1구동부(127)와 제1이동안내부(122)가 동시에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tray 125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driving unit 127 and then moved left and right by the first moving guide 122 to the selected product position. The tray 125 can be moved diagonally toward the selected product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127 and the first moving guide 122.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작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제1구동부(127) 및 이동안내부(122)와 함께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동부(190)의 작동으로 거치대(111)로부터 이탈한 상품(P)이 수용된다.The tray 125 moves to the selected product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rst driving part 127 and the moving guide part 12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operation part 120, and moves to the holder 111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art 190. ) A product (P) that deviates from ) is accepted.

상기 트레이(125)에는 선택된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는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품이 진열되는 각 행의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을 수 있도록 트레이(125)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125)의 바닥부(125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품(P)의 바코드(BC)는 상품(P)이 진열되었을 때 상품 포장의 하향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The tray 125 is equipped with a code reader 140 that reads 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selected product (P).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ay 125 to read 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product (P) in each row where the product is displayed. The code reader 14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1251 of the tray 125. In this case, the barcode (BC) of the product (P) is placed at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product packaging when the product (P) is displayed. It can be attached.

상기 하우징(110)에는 하부로 걸림부(1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가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했을 때 제1이동안내부(12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구비된다.The housing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117 at the bottom. The locking portion 117 is provided to be spaced to the rear of the first movable guide 122 when the first movable guide 122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0. The locking portion 117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housing 110.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구동부(123)의 작동으로 트레이(125)가 하강하면 트레이(125) 일측이 즉, 트레이(125)의 후방이 상기 걸림부(117)에 걸리어 반대쪽이 하향하여 기울어져 트레이(125)에 수용된 상품이 배출구(115) 내측으로 낙하하며, 트레이(125)가 상승하면 스프링(1257)의 복원력으로 트레이(12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s such that when the tray 125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3, one side of the tray 125, that is, the rear of the tray 125, is caught by the locking unit 117 and the other side is lowered. The product stored in the tray 125 is tilted and falls inside the discharge port 115, and when the tray 125 rises, the tray 125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257.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형태로도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구동부(123)와, 제1구동부(127)와, 제1이동안내부(122)와, 트레이(125)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may also be formed in the form shown in FIG. 9.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ncludes a driving unit 123, a first driving unit 127, a first moving guide 122, and a tray 125.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설치된다. 상기 구동부(123)는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The driving unit 123 is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The driving unit 123 is rotatably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상기 구동부(123)는 베어링(1239)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제1풀리(1236)와, 베어링(1239)에 의하여 하우징(110)에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며 상기 제1풀리(1236)로부터 하향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풀리(1232)와, 하우징(110)에 설치된 구동모터(1231)와, 상기 구동모터(1231)의 회전을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로 전달하는 동력전달부(1234)와, 폭 방향으로 이격되어 폭 방향 양측에서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를 감아 구비되는 벨트(1238)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driving unit 123 is rotatably provided in the housing 110 by a bearing 1239, and is rotatable in the housing 110 by a first pulley 1236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a bearing 1239. A second pulley 1232 is provided and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located downwardly spaced from the first pulley 1236, a drive motor 1231 install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drive motor 1231. A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that transmits rotation to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is spaced apart in the width direction and winds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It includes a belt 1238 provided.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제1풀리(1236)는 풀리축(12361)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되며, 폭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된 상기 제2풀리(1232)는 풀리축(12321)으로 연결되어 동시에 회전된다.The first pulleys 1236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pulley shaft 12361 and rotate simultaneously, and the second pulleys 1232 install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pulley shaft 12321. rotated at the same time.

도 9에는 상기 제1풀리(1236)의 풀리축(12361)을 구동모터(1231)로 회전시키는 구조가 도시되어 있으나, 구동모터(1231)를 제2풀리(1232)의 풀리축(12321)을 회전시키는 구조로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Figure 9 shows a structure in which the pulley shaft 12361 of the first pulley 1236 is rotated by the drive motor 1231, but the drive motor 1231 is rotated by the pulley shaft 12321 of the second pulley 1232. It is also possible to install it in a rotating structure.

상기 동력전달부(1234)는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설치된 제1기어와,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되어 상기 제1기어와 치합하는 제2기어로 이루어질 수 있다. 구동모터(1231)에는 감속기가 설치되고, 제2기어는 감속기의 출력축에 결합될 수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is coupled to a first gear installed on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nd a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and meshes with the first gear. It can be made of gears. A reducer is installed in the drive motor 1231, and the second gear may be coupled to the output shaft of the reducer.

동력전달부(1234)는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설치된 제1스프로킷과,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스프로킷과, 제1스프로킷과 제2스프로킷을 감아 구비되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includes a first sprocket installed on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 second sprocket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and the first sprocket and the second sprocket. It may be composed of a chain provided by winding 2 sprockets.

동력전달부(1234)는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설치된 제1구동부풀리와,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제2구동부풀리와, 제1구동부풀리와 제2구동부풀리를 감아 구비되는 구동부벨트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includes a first drive bulge installed on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 second drive bulge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and a first drive unit. It may be composed of a drive belt wound around a pulley and a second drive pulley.

동력전달부(1234)는 일측이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에 결합되고 타측이 구동모터(1231)의 회전축에 결합된 커플링일 수도 있다.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may be a coupling in which one side is coupled to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rotation axis of the drive motor 1231.

동력전달부(1234)는 이외에도 구동모터(1231)의 회전을 제1풀리(1236) 또는 제2풀리(1232)의 풀리축으로 전달하는 다양한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In addition, the power transmission unit 1234 may be formed in various combinations that transmit the rotation of the drive motor 1231 to the pulley axis of the first pulley 1236 or the second pulley 1232.

상기 벨트(1238)는 상기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를 감아 구비된다. 상기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에는 톱니가 형성되며, 상기 벨트(1238)의 내면에는 벨트(1238)의 내면을 따라 상기 제1풀리(1236) 및 제2풀리(1232)와 치합하는 홈이 형성된다. 상기 벨트(1238)의 예로 타이밍벨트가 있다. 상기 벨트(1238)에 홈이 형성되고,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에 톱니가 형성됨으로써 제1풀리(1236) 및 제2풀리(1232)와 벨트(1238) 사이에 미끄럼이 방지된다.The belt 1238 is provided by winding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are formed with teeth, and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are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238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belt 1238. A groove that engages is formed. An example of the belt 1238 is a timing belt. A groove is formed in the belt 1238, and teeth are formed in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to allow sliding between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and the belt 1238. This is prevented.

상기 제1구동부(127)는 구동부(123)에 결합되어 구동부(123)의 구동에 의하여 상하 이동된다. 상기 제1구동부(127)는 상하 방향으로 상기 제1풀리(1236)와 제2풀리(1232) 사이에서 벨트(1238)에 결합되어 구비된다. 상기 제1구동부(127)는 벨트(1238)에 결합되어, 상기 벨트(1238)가 회전하면 벨트(1238)와 함께 이동하여 상하 이동된다.The first driving unit 127 is coupled to the driving unit 123 and moves up and down by driving the driving unit 123. The first driving unit 127 is coupled to the belt 1238 between the first pulley 1236 and the second pulley 1232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first driving unit 127 is coupled to the belt 1238, and moves up and down along with the belt 1238 when the belt 1238 rotates.

도 9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구동부(12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며 양측 벨트(1238)에 결합부(12381)에 의하여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며 폭 방향 일측이 제1구동모터(1271)에 연결되어 회전되는 제1볼스크류(12771)와, 모터축이 상기 제1볼스크류(12771)에 연결되며 일측의 결합부(12381)에 설치되는 제1구동모터(1271)와, 상기 제1볼스크류(12771)에 나사 결합되어 제1볼스크류(12771)의 회전에 따라 폭 방향으로 이동되는 제1볼나사(12721)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As shown in Figures 9 and 10, the first driving part 127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rotatably coupled to both belts 1238 by a coupling part 12381, and one side in the width direction is the first driving motor. A first ball screw (12771) connected to and rotated by (1271), a first drive motor (1271) whose motor shaft is connect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71) and installed in a coupling portion (12381) on one side, It includes a first ball screw 12721 that is screw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71 an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as the first ball screw 12771 rotates.

상기 결합부(12381)는 판상이며 벨트(1238)의 외면에 나사에 의하여 고정 결합된다. 상기 결합부(12381)는 금속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결합부(12381)에는 벨트(1238)와 마주하는 방향으로 폭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홈이 형성된다. 상기 제1볼스크류(12771)는 상기 벨트(1238)와 결합부(12381)의 오목한 홈 사이로 삽입되어 구비된다.The coupling portion 12381 is plate-shaped and is fixed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elt 1238 with a screw. The coupling portion 12381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A concave groove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in the direction facing the belt 1238 is formed in the coupling portion 12381. The first ball screw 12771 is inserted into the concave groove of the belt 1238 and the coupling portion 12381.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1)의 후방으로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1)와 나란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는 제1가이드레일(1221)과 제1이동블럭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first moving guide 122 is provided behind the first ball screw 12771. The first moving guide 122 is provided in parallel with the first ball screw 12771. The first moving guide 122 includes a first guide rail 1221 and a first moving block portion.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폭 방향으로 연장된 막대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상기 제1볼스크류(12771)와 나란하게 연장된다.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은 폭 방향 양측이 상기 결합부(12381)에 결합된다.The first guide rail 1221 is provided in the shape of a bar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guide rail 1221 extends parallel to the first ball screw 12771. The first guide rail 1221 is coupled to the coupling portion 12381 on both sides in the width direction.

상기 제1이동블럭부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에 제1가이드레일(1221)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 상기 제1이동블럭부는 트레이(125)의 하부에 결합되는 제1이동블럭(1223)과,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을 사이에 두고 제1이동블럭(1223)과 반대쪽인 제1가이드레일(1221)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2이동블럭(1225)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제1이동블럭(1223)과 제2이동블럭(1225)에는 서로 마주하여 폭 방향으로 연장된 오목한 궤도가 형성된다. 상기 궤도에는 상기 제1가이드레일(1221)이 삽입되어 슬라이딩 가능하게 구비된다.The first moving block unit is provided on the first guide rail 1221 to be able to slide along the first guide rail 1221. The first moving block unit includes a first moving block 1223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tray 125, and a first guide rail opposite to the first moving block 1223 with the first guide rail 1221 in between. It includes a second moving block 1225 provided at the lower part of 1221. The first moving block 1223 and the second moving block 1225 face each other and form concave tracks extending in the width direction. The first guide rail 1221 is inserted into the track and is slidably provided.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와 제1구동부(127)의 상부로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1이동블럭(1223)과 제1구동부(127)의 제1볼나사(12721)의 상부에 고정되어 구비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제1볼나사(12721)와 제1이동블럭부에 결합되어 제1볼나사(12721)와 일체로 폭 방향으로 이동된다. The tray 125 is provid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and the first driving part 127. The tray 125 is provided fixed to the upper part of the first moving block 1223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and the first ball screw 12721 of the first driving part 127. The tray 125 is coupl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21 and the first moving block unit and moves in the width direction integrally with the first ball screw 12721.

상기 트레이(125)는 바닥부(1251)와, 측부(1253)와, 스프링(125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The tray 125 includes a bottom 1251, a side 1253, and a spring 1257.

상기 바닥부(1251)는 판상으로 구비된다. 상기 바닥부(1251)의 가로 방향 길이는 각 행에 배열된 상품이 배출될 때 해당하는 행의 상품을 수용할 수 있는 길이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1251)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1이동블럭(1223)과 제1구동부(127)의 제1볼나사(12721)에 고정되어 구비된다.The bottom portion 1251 is provided in a plate shape. The horizontal length of the bottom portion 1251 has a length that can accommodate the products in each row when the products arranged in each row are discharged. The bottom part 1251 is fixed to the first moving block 1223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and the first ball screw 12721 of the first driving part 127.

상기 측부(1253)는 상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과 후방에서 상향 절곡 연장된다. 따라서 상기 트레이(125)는 전방으로 개구된 형태로 구비된다.The side portions 1253 are bent and extended upward on both sides and the rear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Accordingly, the tray 125 is provided in a forward opening form.

상기 스프링(1257)은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양측에 구비되며, 바닥부(1251)의 폭 방향 일측에 구비될 수도 있다.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의 제2이동블럭(1225)에는 후방으로 돌출된 스프링결합부가 더 구비되며, 상기 스프링(1257)은 일측은 제2이동블럭(1225)의 스프링결합부에 결합되고 타측은 측부(1253)에 결합된다.The spring 1257 is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and may also b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bottom portion 1251 in the width direction. The second moving block 1225 of the first moving guide 122 is further provided with a spring coupling portion protruding rearward, and one side of the spring 1257 is coupled to the spring coupling portion of the second moving block 1225. and the other side is coupled to the side portion 1253.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제1볼스크류(12771)에 결합되어 제1구동부(127)와 함께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제1볼나사(12721)와 제1이동블럭부에 결합되어 제1볼나사(12721)와 일체로 좌우로 이동한다. The tray 125 is coupl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71 and moves up and down together with the first driving part 127, and is coupled to the first ball screw 12721 and the first moving block part to move the first ball screw 12771. It moves left and right in unison with the screw (12721).

상기 트레이(125)는 제1구동부(127)에 의해 상하로 이동한 후, 제1이동안내부(122)에 의해 폭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된다. 상기 트레이(125)는 제1구동부(127)와 제1이동안내부(122)가 동시에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을 향하여 대각선으로 이동될 수 있다.The tray 125 is moved up and down by the first driving part 127 and then moved in the width direction by the first moving guide 122 to the selected product position. The tray 125 can be moved diagonally toward the selected product by simultaneously operating the first driving unit 127 and the first moving guide 122.

상기 트레이(125)는 상기 이동작동부(120)의 작동에 따라 제1구동부(127) 및 이동안내부(122)와 함께 선택된 상품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배출구동부(190)의 작동으로 거치대(111)로부터 이탈한 상품(P)이 수용된다.The tray 125 moves to the selected product position together with the first driving part 127 and the moving guide part 122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moving operation part 120, and moves to the holder 111 by the operation of the discharge part 190. ) A product (P) that deviates from ) is accepted.

상기 트레이(125)에는 선택된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는 코드리더기(140)가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상품이 진열되는 각 행의 상품(P)에 부착된 코드를 읽을 수 있도록 트레이(125)의 후방에 구비된다. 상기 코드리더기(140)는 트레이(125)의 바닥부(1251)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품(P)의 바코드(BC)는 상품(P)이 진열되었을 때 상품 포장의 하향하는 위치에 부착될 수 있다.The tray 125 is equipped with a code reader 140 that reads the code attached to the selected product (P). The code reader 140 is provided at the rear of the tray 125 to read the code attached to the product P in each row where the product is displayed. The code reader 140 may be installed at the bottom 1251 of the tray 125. In this case, the barcode (BC) of the product (P) is placed at the downward position of the product packaging when the product (P) is displayed. It can be attached.

상기 하우징(110)에는 하부로 걸림부(117)가 더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상기 제1이동안내부(122)가 하우징(110)의 하부에 위치했을 때 제1이동안내부(122)의 후방으로 이격되어 구비된다. 상기 걸림부(117)는 폭 방향으로 연장되어 하우징(110)에 고정 구비된다.The housing 110 is further provided with a locking portion 117 at the bottom. The locking portion 117 is provided to be spaced to the rear of the first movable guide 122 when the first movable guide 122 is located in the lower part of the housing 110. The locking portion 117 extends in the width direction and is fixed to the housing 110.

상기 이동작동부(120)는 상기 구동부(123)의 작동으로 트레이(125)가 하강하면 트레이(125) 일측이 즉, 트레이(125)의 후방이 상기 걸림부(117)에 걸리어 반대쪽이 하향하여 기울어져 트레이(125)에 수용된 상품이 배출구(115) 내측으로 낙하하며, 트레이(125)가 상승하면 스프링(1257)의 복원력으로 트레이(125)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is such that when the tray 125 is lowered by the operation of the driving unit 123, one side of the tray 125, that is, the rear of the tray 125, is caught by the locking unit 117 and the other side is lowered. The product stored in the tray 125 is tilted and falls inside the discharge port 115, and when the tray 125 rises, the tray 125 rotates in the opposite direction due to the restoring force of the spring 1257.

상기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에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우징(110)의 전면 일측으로 입력부(130)와, 결제부와, 영수증출력부(180)가 구비된다. As shown in FIG. 1, the livestock product vending machine 100 is provided with an input unit 130, a payment unit, and a receipt output unit 180 on one front side of the housing 110.

상기 입력부(130)에서는 상기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명령이 입력된다. 상기 입력부(130)는 버튼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며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the input unit 130, a command to select and purchase a product displayed on the holder 111 is input. The input unit 130 can be used as a button or can be formed as a touch scree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입력부(130)가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는 경우, 입력부(130)는 복수의 영역으로 분할되어, 선택입력부(131)와, 취소터치부(133), 선택터치부(135), 선택표시부(137), 선택완료부(139)로 이루어질 수 있다.As shown in FIG. 1, when the input unit 130 is formed as a touch screen, the input unit 130 is divided into a plurality of areas, including a selection input unit 131, a cancel touch unit 133, and a selection touch unit. It may consist of (135), a selection display unit (137), and a selection completion unit (139).

상기 입력부(130)의 선택입력부(131)는 상품(P)이 진열되는 행과 열의 개수에 맞추어 분할되어, 복수의 분할선택부(1311)를 구비한다. 상기 분할선택부(1311)에는 번호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The selection input unit 131 of the input unit 130 is divided according to the number of rows and columns in which the product P is displayed, and includes a plurality of division selection units 1311. A number may be displayed in the division selection unit 1311.

상기 선택표시부(137)는 선택된 제품이 디스플레이되는 영역으로, 선택된 상품번호(1371)가 표시된다.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is an area where the selected product is displayed, and the selected product number 1371 is displayed.

상기 선택터치부(135)는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을 선택하는 영역으로, 상기 선택입력부(131)에 나열된 제품 중 선택하고자 하는 제품의 분할선택부(1311) 영역을 선택한 후 선택터치부(135)를 선택하면 선택된 제품이 선택표시부(137)에 표시된다. 상기 선택입력부(131)의 제품을 선택할 때, 구매하고자 하는 제품의 분할선택부(1311) 영역을 선택하면 선택된 제품이 선택표시부(137)에 바로 표시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선택터치부(135) 영역은 구비되지 않을 수 있다. The selection touch unit 135 is an area for selecting a product to be purchased. After selecting the division selection area 1311 of the product to be selected among the products listed in the selection input unit 131, the selection touch unit 135 is used. When selected, the selected product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When selecting a product from the selection input unit 131, if you select the area of the division selection unit 1311 of the product you want to purchase, the selected product can be immediately displayed o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In this case, the selection touch unit 135 ) area may not be provided.

상기 취소터치부(133)는 상기 선택표시부(137)에 선택된 복수개의 상품(1371) 중 일부를 취소하고 싶을 때, 취소하고자 하는 상품(1371)을 선택한 후 취소터치부(133)를 터치하면 취소하고자 하는 상품(1371)이 삭제된다.When you want to cancel some of the plurality of products 1371 selected o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the cancel touch unit 133 selects the product 1371 you want to cancel and then touches the cancel touch unit 133 to cancel it. The desired product (1371) is deleted.

상기 선택완료부(139)는 선택표시부(137)에 나열된 제품을 구매하기 위해 결제 단계로 넘어가기 위한 선택 영역이다.The selection completion section 139 is a selection area for advancing to the payment step to purchase the product listed in the selection display section 137.

상기 결제부는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된 것으로, 제어부(200)에 연결되어 제어된다. 상기 결제부는 신용카드를 판독할 수 있는 카드리더부(160)와, 현금이 투입되면 이를 판독하는 현금투입부(도시하지 않음)와, QR코드를 스캔하는 QR리더부(210)로 이루어진다.The payment unit is provided to pay for purchased products, and is connected to and controlled by the control unit 200. The payment unit consists of a card reader unit 160 that can read credit cards, a cash input unit (not shown) that reads cash when it is input, and a QR reader unit 210 that scans a QR code.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200)는 프로그램에 의하여 정하여진 수순에 의하여 각 제어대상을 제어하거나 논리연산을 수행한다. 상기 제어부(200)에는 저장부에 저장된 안내메시지를 전시하고, 안내메시지에 따라 구매자가 특정 데이터를 입력하면, 입력된 데이터를 제어부(200)에 전송하는 입력부(130)와, 카드가 투입되면 투입된 카드의 정보를 판독하는 카드리더부(160)와, 현금이 투입되면 이를 판독하는 현금 판독부(도시하지 않음)와, QR코드를 스캔하는 QR리더부(210)가 연결된다. 그리고 제어부(200)에는 결제 후 영수증을 출력하는 영수증출력부(180)가 연결된다. As shown in FIG. 11, the control unit 200 controls each control object or performs logical operations according to procedures determined by the program. The control unit 200 includes an input unit 130 that displays the information message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ransmits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200 when the buyer enters specific data according to the information message, and an input unit 130 that transmits the input data to the control unit 200 when the card is inserted. A card reader unit 160 that reads card information, a cash reader unit (not shown) that reads cash when it is inserted, and a QR reader unit 210 that scans a QR code are connected. And the control unit 200 is connected to a receipt output unit 180 that prints a receipt after payment.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용 자동판매 시스템은 서버와 통신부가 구비되며, 상기 자동판매기(100)는 하나 이상 구비되어 상기 서버와 통신된다. 상기 서버는 통신부가 구비되어 네트워크(예, 인터넷 통신망)를 통하여 각 자동판매기(100)와 통신한다. 상기 서버는 각각의 자동판매기(100)와 개별로 통신 가능하며, 동시에 복수개의 자동판매기(100)와도 통신 가능하다.The automatic vending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equipped with a server and a communication unit, and one or more automatic vending machines 100 are provided and communicate with the server. The server is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es with each vending machine 100 through a network (eg, Internet communication network). The server can communicate individually with each vending machine 100 and can communicate with a plurality of vending machines 100 at the same time.

상기 자동판매기(100)에 구비되는 제어부(200)에는 표시수단(130-1)이 더 연결되며, 서버와 통신을 위한 통신부가 구비된다. 상기 자동판매기(100)에는 하우징(110)에 진열된 상품의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표시수단(130-1)이 더 구비되며, 상기 표시수단(130-1)은 제어부(200)에 연결된다.A display means 130-1 is further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provided in the vending machine 100, and a communication unit for communication with the server is provided. The vending machine 100 is further equipped with a display means 130-1 that displays the price per weight of the product displayed in the housing 110, and the display means 130-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

상기 표시수단(130-1)은 복수개 구비된다. 상기 표시수단(130-1)은 각 거치대(111)에 진열된 각 상품(P)과 이웃하여 구비된다. 상기 표시수단(130-1)은 거치대(111)에 진열된 각 상품(P)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거치대(111)에 구비된다. 거치대(111)의 각 위치에 적층된 상품(P)은 같은 종류의 상품(P)끼리 적층되어 진열된다. 상기 표시수단(130-1)은 복수의 LED모듈로 이루어지며,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된 복수의 LED모듈이 선택 점등되어 중량당 가격(예; 100g당 가격)이 표시된다.The display means (130-1) is provided in plural numbers. The display means (130-1) is provided adjacent to each product (P) displayed on each stand (111). The display means 130-1 is provided on the stand 111 so as to be located below each product P displayed on the stand 111. Products (P) stacked at each position of the holder 111 are stacked and displayed with products (P) of the same type. The display means 130-1 is composed of a plurality of LED modules, and a plurality of LED modules select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re selectively lit to display the price per weight (eg, price per 100g).

상기 거치대(111)의 각 적치 위치에 적치되는 상품 종류 정보는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며, 각 적치 위치에 적치되는 상품이 변경되는 경우 서버 저장부에 저장되는 상품 종류 정보도 변경된다.The product type information stored in each storage position of the holder 111 is stored in the server storage unit, and when the product stored in each storage position changes, the product type information stored in the server storage unit is also changed.

관리자는 서버의 표시부(예, 단말기, 도시하지 않음)를 통하여 각 자동판매기의 적치 위치에 적치되는 상품 종류를 확인할 수 있으며, 서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각 자동판매기 적치 위치에 적치되는 상품의 중량당 가격(예, 100g당 가격)을 입력하거나 입력된 중량당 가격을 변경할 수 있다.The administrator can check the type of product stored in the storage position of each vending machine through the server's display unit (e.g., terminal, not shown), and the price per weight of the product stored in the storage position of each vending machine through the server's input unit. You can enter the price (e.g. price per 100g) or change the price per weight entered.

변경된 중량당 가격 정보는 자동판매기(100)로 전송되어 자동판매기(100)의 저장부에 저장된다. 제어부(200)로부터의 명령에 의하여 전송된 중량당 가격 정보는 표시수단(130-1)을 통하여 표시된다. The changed price per weigh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vending machine 10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of the vending machine 100. Price information per weight transmitted by a command from the control unit 200 is displayed through the display means 130-1.

서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실시간으로 판매되는 상품에 대한 중량당 가격이 입력되고, 표시수단(130-1)에 표시되므로 소비자는 실시간으로 제공되는 중량당 가격을 확인하고, 해당 가격으로 상품을 구비할 수 있다.The price per weight of the product sold in real time is entered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server and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30-1), so the consumer can check the price per weight provided in real time and purchase the product at that price. there is.

이벤트 등 할인 행사의 경우, 서버의 입력부를 통하여 중량당 가격을 이벤트 가격으로 변경하여 입력함으로써 표시수단(130-1)에 라벨지를 덧붙이거나 변경하지 않고 이벤트 행사가 가능하다.In the case of a discount event such as an event, the event can be held without adding or changing a label to the display means (130-1) by changing the price per weight to the event price and entering it through the input unit of the server.

상기 상품(P)에 부착되는 바코드(BC)에는 바코드와 함께 해당 상품의 중량 정보가 포함되어 인쇄된다. 상품(P)에 부착되는 바코드(BC)에 상품의 중량이 인쇄됨으로써, 소비자가 미리 상품의 중량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고, 상품 하부에 구비된 표시수단(130-1)에 표시된 중량당 가격 정보로부터 해당 상품의 가격도 예측 확인할 수 있다.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product (P) includes the weight information of the product and is printed along with the barcode. The weight of the product is printed on 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product (P), allowing consumers to visually check the weight of the product in advance, and price information per weight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30-1)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product. You can also predict and check the price of the product.

같은 위치에 적치된 상품이라도 중량이 다를 수 있으나, 본 발명과 같은 시스템에서는 소비자가 판매 가격을 예측 확인하면서 구매할 수 있다.Even products stored in the same location may have different weights, but in a system such as the present invention, consumers can purchase while predicting and confirming the sales price.

또한, 상품의 중량당 가격이 변동되어도, 바코드(BC)가 인쇄된 라벨지를 변경하지 않고도 판매가 가능하다. In addition, even if the price per weight of the product changes, it can be sold without changing the label paper on which the barcode (BC) is printed.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르는 축산물 자동판매기(100)의 작동 순서에 대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operating sequence of the livestock product automatic vending machine 1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우선, 구매자가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P)을 보고 선택입력부(131)에서 상품 진열 위치에 대응되는 위치의 분할선택부(1311)를 터치하면, 선택된 상품 번호가 선택표시부(137)에 디스플레이된다.First, when the buyer sees the product (P) displayed on the holder 111 and touches the division selection unit 1311 at the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product display position in the selection input unit 131, the selected product number is displayed i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is displayed in

그 다음, 제어부(200)의 신호에 따라 이동작동부(120)의 구동부(123)가 상하로 이동하여 선택한 번호로 이동하고, 구동부(123)에 구비된 코드리더기(140)가 선택한 상품(P)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어 가격 정보 획득한다. 코드리더기(140)가 바코드(BC)를 리딩하고 리딩된 중량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중량당 가격이 연산되어 선택한 상품의 가격 정보가 상품 번호와 함께 선택표시부(137)에 디스플레이된다.Next, according to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the driving unit 123 of the moving operation unit 120 moves up and down to the selected number, and the code reader 140 provided in the driving unit 123 selects the product (P ) to obtain price information by reading the barcode (BC) attached to it. The code reader 140 reads the barcode (BC), the read weigh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e price per weigh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alculated, and the price information of the selected product is displayed along with the product number i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is displayed in

예를 들어, 입력부(130)인 선택입력부(131)에서 구매자가 6번을 선택하면, 선택한 위치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전송된 정보에 의하여 구동부(123)가 작동하여 트레이(125)는 선택한 상품으로 이동한다. 트레이(125)에 구비된 코드리더기(140)가 바코드(BC)를 리딩하고 리딩된 중량 및 상품 번호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저장부에 저장된 중량당 가격이 연산되어 선택한 상품의 가격 정보가 상품 번호와 함께 선택표시부(137)에 디스플레이된다.For example, when the buyer selects number 6 in the selection input unit 131, which is the input unit 130, the selected location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driving unit 123 operates according to the transmitted information to store the tray 125. moves to the selected product. The code reader 140 provided in the tray 125 reads the barcode (BC), the read weight and product number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price per weight stored in the storage unit is calculated to provide price information for the selected product. is displayed o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along with the product number.

위와 같은 과정을 통해 복수의 상품(P)을 선택하면, 선택된 상품 번호가 나란히 선택표시부(137)에 디스플레이된다. 코드리더기(140)가 읽어 획득한 가격 정보도 각 선택된 상품 번호와 함께 표시되고, 합계 금액이 연산되어 합계 금액도 표시될 수 있다.When a plurality of products (P) are selected through the above process, the selected product numbers are displayed side by side on the selection display unit 137. Price information obtained by reading by the code reader 140 is displayed along with each selected product number, and the total price is calculated to display the total price.

선택완료부(139) 영역을 터치하여 선택을 완료하면 터치 신호는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입력부(130)의 영역으로 예를 들면 선택완료부(139) 인접한 영역에 합산된 가격과 카트 결제 요청 내용이 디스플레이된다.When the selection is completed by touching the area of the selection completion unit 139, the touch signal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price and cart payment are added to the area of the input unit 130, for example, in the area adjacent to the selection completion unit 139. The request content is displayed.

자동판매기의 입력부(130)에는 후불식 신용카드, 선불식 카드, 현금결제, QR코드 결제 등의 결제 방식을 선택하는 안내메시지가 전시되고, 이에 따라서 구매자는 원하는 결제수단을 터치하여 선택한다. A guidance message for selecting a payment method such as a postpaid credit card, prepaid card, cash payment, or QR code payment is displayed on the input unit 130 of the vending machine, and the buyer selects the desired payment method by touching it accordingly.

구매자가 후불식 신용카드 결제란을 터치하여 선택하는 경우, 카드 투입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카드리더부(160)에 카드를 투입하면, 카드리더부(160)는 카드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200)는 금융기관에 카드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 금융기관에서 카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부(130)에 전시하고, 구매자가 확인 창을 터치하도록 함으로써 결제금액에 대하여 금융기관에 승인 요청한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제어부(200)에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영수증출력부(180)를 통하여 영수증이 발급되며, 결제가 완료된다.When the buyer selects the postpaid credit card payment box by touching the card, and inserts the card into the card reader unit 160 according to the card insertion information message, the card reader unit 160 reads the card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200 Transmits request data requesting that card information be transmitted to a financial institution. When card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financial institution,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the payment amount on the input unit 130 and requests approval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 for the payment amount by having the buyer touch a confirmation window. When approv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 to the control unit 200, a receipt is issued through the receipt output unit 180, and payment is completed.

현금이나, 선불식 카드에 의하여 결제하는 경우,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부(130)에 전시하고, 입력부(130)의 현금 또는 선불식 카드 투입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카드리더부(160)에 카드를 투입하거나 현금투입구에 현금을 투입하면, 영수증출력부(180)를 통하여 영수증이 발급되며, 결제가 완료된다.When paying with cash or a prepaid card,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the payment amount on the input unit 130, and the card reader unit 160 reads the card reader unit 160 according to the cash or prepaid card input information message from the input unit 130. ) or insert cash into the cash slot, a receipt is issued through the receipt output unit 180, and payment is completed.

QR코드로 결제를 하는 경우, 입력부(130)의 QR코드 인식 안내메시지에 따라서 QR리더부(210)에 QR코드를 스캔하면, QR리더부(210)는 QR코드 정보를 판독하고, 제어부(200)는 금융기관에 QR코드 정보를 전송하여 줄 것을 요청하는 요청 데이터를 전송한다. 금융기관에서 QR코드 정보가 수신되면, 제어부(200)에서는 이에 대한 결제금액을 입력부(130)에 전시하고, 구매자가 확인 창을 터치하도록 함으로써 결제금액에 대하여 금융기관에 승인 요청한다. 금융기관으로부터 제어부(200)에 승인정보가 전송되면, 영수증출력부(180)를 통하여 영수증이 발급되며, 결제가 완료된다.When paying with a QR code, when the QR code is scanned by the QR reader unit 210 according to the QR code recognition message of the input unit 130, the QR reader unit 210 reads the QR code information, and the control unit 200 ) transmits request data requesting that QR code information be transmitted to the financial institution. When QR code information is received from a financial institution, the control unit 200 displays the payment amount on the input unit 130 and requests approval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 for the payment amount by having the buyer touch the confirmation window. When approval information is transmitted from the financial institution to the control unit 200, a receipt is issued through the receipt output unit 180, and payment is completed.

소비자가 해당 상품의 구매 결제를 하면, 결제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제어부(200)에서 수신한 결제정보에 의하여 배출구동부(190)가 작동하여 선택된 상품이 진열된 이송스프링(191)이 회전하고, 선택된 상품이 적치부(111)에서 이탈된다. 이탈된 상품은 트레이(125)로 배출되고, 구동부(123)가 작동하여 트레이(125)가 배출부(115)로 이동하여 트레이(125)가 하강하여 걸림부(117)에 걸리어 일측으로 기울어지면서 수용된 상품이 배출부(115)로 떨어져 배출될 수 있는 상태로 된다. 그 다음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로 잠금작동부(150)의 작동이 해제되고 배출조명부(170)의 조명이 켜지면 구매자가 배출구(115)를 열어 상품을 인출한다.When a consumer makes a payment for the purchase of the product, the payment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outlet unit 190 operates according to the payment information received from the control unit 200 to display the transfer spring 191 where the selected product is displayed. This rotates, and the selected product is separated from the storage unit 111. The separated product is discharged to the tray 125, and the driving unit 123 operates to move the tray 125 to the discharge unit 115, so that the tray 125 descends and is caught by the catching unit 117, tilting to one side. As the product falls, the received product falls into the discharge unit 115 and becomes ready to be discharged. Next, when the operation of the lock operation unit 150 is canceled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and the light of the discharge lighting unit 170 is turned on, the buyer opens the discharge port 115 and withdraws the product.

100: 축산물 자동판매기
110: 하우징 120: 이동작동부
130: 입력부 140: 코드리더기
150: 잠금작동부 160: 카드리더부
170: 배출조명부 180: 영수증출력부
190: 배출구동부 200: 제어부
210: QR리더부
100: Livestock product vending machine
110: Housing 120: Moving operation unit
130: input unit 140: code reader
150: lock operation unit 160: card reader unit
170: Discharge lighting unit 180: Receipt output unit
190: Eastern outlet 200: Control unit
210: QR reader unit

Claims (4)

서버와, 통신부를 구비하여 상기 서버와 통신되는 하나 이상의 자동판매기(100)를 포함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 시스템으로서;
상기 자동판매기(100)는 본체가 되며 상품(P)이 진열되는 거치대(111)와 상품을 인출하는 배출부(115)를 구비하는 하우징(110)과,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을 배출하는 배출구동부(190)와, 거치대(111)에 진열된 상품을 선택하여 구매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입력부(130)와, 구매한 상품의 대금을 결제하기 위하여 구비되는 결제부와, 선택된 상품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우징(110)에 구비되며 상품에 부착된 바코드(BC)를 읽는 코드리더기(140)를 가지는 이동작동부(120)를 포함하며;
상기 하우징(110)에는 진열된 상품의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표시수단(130-1)이 각 거치대(111)에 진열된 각 상품과 이웃하여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
An automatic vending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including a server and one or more vending machines (100) equipped with a communication unit and communicating with the server;
The vending machine 100 includes a housing 110 that becomes the main body and includes a holder 111 on which the product P is displayed and a discharge unit 115 for extracting the product, and discharges the product displayed on the holder 111. an outlet unit 190 that inputs a command to select and purchase a product displayed on the stand 111, an input unit 130 that inputs a command to purchase the product, a payment unit provided to pay for the purchased product, and movement to the selected product. Possibly provided in the housing 110, it includes a mobile operating unit 120 having a code reader 140 that reads the barcode (BC) attached to the product;
A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characterized in that the housing (110) is provided with a display means (130-1) that displays the price per weight of the displayed product adjacent to each product displayed on each stand (1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판매기(100)는 제어부(200)를 포함하고, 상기 표시수단(130-1)은 제어부(200)에 연결되며;
상기 서버로부터 상품의 가격 정보가 제어부(200)로 전송되고 저장부에 저장되며,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로 상기 표시수단(130-1)에는 전송된 가격 정보인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
Th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claim 1, wherein the vending machine (100) includes a control unit (200), and the display means (130-1) is connected to the control unit (200);
The price information of the product is transmitted from the server to the control unit 200 and stored in the storage unit, and the price per weight, which is the transmitted price information, is displayed on the display means 130-1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Characterized by a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제1 항 또는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30-1)은 거치대(111)에 진열된 각 상품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거치대(111)에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claim 1 or 2, wherein the display means (130-1) is provided on the stand (111) so as to be located below each product displayed on the stand (111).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수단(130-1)은 복수의 LED모듈로 이루어져, 제어부(200)로부터의 신호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점등되어 중량당 가격이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축산물용 자동판매기 시스템.The automatic vending machine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ccording to claim 2, wherein the display means (130-1) consists of a plurality of LED modules and is selectively lit by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200) to display the price per weight. .
KR1020220123886A 2022-09-29 2022-09-29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KR20240044634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86A KR20240044634A (en) 2022-09-29 2022-09-29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886A KR20240044634A (en) 2022-09-29 2022-09-29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34A true KR20240044634A (en) 2024-04-05

Family

ID=907144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886A KR20240044634A (en) 2022-09-29 2022-09-29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34A (en)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964U (en) 1996-08-23 1998-05-25 황의효 Product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20060105917A (en) 2005-04-01 2006-10-12 고정원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200030215A (en)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알파미트엘피씨 Automatic selling machine for packed beef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11964U (en) 1996-08-23 1998-05-25 황의효 Product Dispenser of Vending Machine
KR20060105917A (en) 2005-04-01 2006-10-12 고정원 Automatic vending machine
KR20200030215A (en) 2018-09-12 2020-03-20 주식회사 알파미트엘피씨 Automatic selling machine for packed bee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737459B1 (en) Method for automated planogram programming in a vending machine
JP4922541B2 (en) Centrally managed vending machine using cartridge loaded device
US7389919B2 (en) Products and processes for promoting multiple transactions at a retail establishment
JP4644710B2 (en) RF storefront apparatus and method of using RF storefront apparatus
US6102162A (en) Automated self-service cafeteria system
US200800521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products
EP2465028B1 (en) Card dispensing apparatuses and associated methods of operation
US20140089077A1 (en) Consumer operated kiosks for purchasing fresh foods and associated systems and methods
EP2175431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se in a vending machine
US20100017022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vending products
CN107331057B (en) Large-space intelligent vending machine system and goods vending method thereof
US20090032367A1 (en) Vending Machine to Dispense Cans
KR20190139650A (en) An unmanned sales system that allows agricultural or marine products to be sold at prices easily adjusted to market prices.
WO2008076558A2 (en) First in first out vending systems
KR102458038B1 (en) A Vending Machines for Livestock Products
KR102624981B1 (en) A Vending machine for non-constant quantity products and automatic vending system for non-constant quantity products equipped with the same
KR20240044634A (en)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US4579213A (en) Apparatus for an automated vending machine for arbitrarily priced articles
KR20240050639A (en) A Vending Machines System for Livestock Products
KR20240044635A (en) A Vending Machines for Livestock Products
US3491870A (en) Vending machine with simultaneous dispensing means
KR102650034B1 (en) A Vending Machines for Livestock Products
CA2379687C (en) Dispensing lottery tickets
US8498737B2 (en) Compact media disc vending or rental kiosk
CN213069969U (en) Novel vending machine with multiple goods channel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