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11A -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 Google Patents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11A
KR20240044611A KR1020220123794A KR20220123794A KR20240044611A KR 20240044611 A KR20240044611 A KR 20240044611A KR 1020220123794 A KR1020220123794 A KR 1020220123794A KR 20220123794 A KR20220123794 A KR 20220123794A KR 20240044611 A KR20240044611 A KR 2024004461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il
inventory management
object recognition
recognition device
det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79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전철우
Original Assignee
(주) 택트레이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택트레이서 filed Critical (주) 택트레이서
Priority to KR1020220123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11A/en
Publication of KR2024004461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11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5/00Gripping heads and other end effectors
    • B25J15/0019End effectors other than gripp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008Balancing devices
    • B25J19/002Balancing devices using counterweigh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9/00Accessories fitted to manipulators, e.g. for monitoring, for viewing; Safety devices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manipulators
    • B25J19/02Sens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5/00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 B25J5/02Manipulators mounted on wheels or on carriages travelling along a guidewa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2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 B25J9/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movement of the arms, e.g. cartesian coordinate type by rotating at least one arm, excluding the head movement itself, e.g. cylindrical coordinate type or polar coordinate type
    • B25J9/041Cylindrical coordinate type
    • B25J9/042Cylindrical coordinate type comprising an articulated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 B25J9/104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characterised by positioning means for manipulator elements with cables, chains or ribb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16Programme controls
    • B25J9/1694Programme controls characterised by use of sensors other than normal servo-feedback from position, speed or acceleration sensors, perception control, multi-sensor controlled systems, sensor fusion
    • B25J9/1697Vision controlled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7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 G06K19/07701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 G06K19/07713Constructional details, e.g. mounting of circuits in the carrier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interface suitable for human interaction the interface, upon reception of an interrogation signal, being capable of signaling to indicate its position to a user or a detection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 H04N7/181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for receiving images from a plurality of remote sour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가 개시된다.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는 대상물이 적재된 공간 내에서 상부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일 아래로 와이어를 내리고 지지하는 이송기; 및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대상물을 탐지하여 인식하는 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 바디; 및 상기 이송 바디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하방향의 Z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바디와 상기 탐지기의 상대 거리 조절이 가능한 아암 모듈을 포함한다.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is disclosed.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includes a rail installed at the top within a space where objects are loaded; A conveyor that moves along the rail and lowers and supports the wire below the rail; and a detector that is supported on the wire and moves up and down, and detects and recognizes the object. The transporter includes a transport body mounted on the rail and movable along the rail. and an arm modul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ort body, rotatable about the Z-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transport body and the det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axis.

Description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본 발명은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창고 또는 매장 내에 적재된 대상물의 적재 위치, 제품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that can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loading location, product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and loading rate of objects loaded in a warehouse or store. It's about.

카메라를 통한 비전 인식(vision-based recognition) 또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와 같은 전자 태그를 이용한 무선인식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자동 시스템을 적용하여 진열 또는 보관된 물품들에 대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As vision-based recognition through cameras or wireless recognition technology using electronic tags such a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elops, automatic systems can be applied to collect information about displayed or stored items. Technologies are being developed.

종래에는 스캐닝 장치를 이용하여 선반의 물품을 스캐닝(scanning) 하기 위해서는, 작업자가 판독기를 이용하여 물품을 직접 스캐닝 하거나, 임의로 바닥에서 이동하는 스캐닝 장치를 통해 물품을 스캐닝 하였다.Conventionally, in order to scan items on a shelf using a scanning device, a worker either directly scanned the items using a reader or scanned the items through a scanning device that randomly moves on the floor.

그런데, 다수개의 선반이 배치되는 공간(매장, 약국, 마트, 도서관 등)에서, 수작업을 통해서는 선반에 진열된 각각의 물품을 스캐닝 하는 것은 비효율적이다.However, in spaces where multiple shelves are placed (stores, pharmacies, supermarkets, libraries, etc.), it is inefficient to scan each item displayed on the shelves manually.

또한, 자율주행 기술 등을 활용하여 바닥에서 움직이며 스캔하는 장치는, 주행 중의 오류가 잦고, 대상 물품에 대한 인식율이 낮아서 신뢰성이 좋지 않으며, 고객 또는 작업자 등과 동선이 겹치는 문제점도 있다.In addition, devices that scan while moving on the floor using autonomous driving technology have frequent errors while driving, have poor reliability due to a low recognition rate for target items, and have problems with overlapping movement lines with customers or workers.

본 발명은 선반에 적재된 대상물과 바닥에 적재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that can obtai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on a shelf and on the floor.

또한, 본 발명은 레일의 길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that can minimize the length of the rail.

또한, 본 발명은 넓은 영역에 적재된 대상물들의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Additionally,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that can quickly obtai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in a wide area.

또한, 본 발명은 대상물의 적재 위치, 제품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를 제공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that can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object's loading location, product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and loading rate.

본 발명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는 대상물이 적재된 공간 내에서 상부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일 아래로 와이어를 내리고 지지하는 이송기; 및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대상물을 탐지하여 인식하는 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 바디; 및 상기 이송 바디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하방향의 Z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바디와 상기 탐지기의 상대 거리 조절이 가능한 아암 모듈을 포함한다.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ail installed at the top of a space where objects are loaded; A conveyor that moves along the rail and lowers and supports the wire below the rail; and a detector that is supported on the wire and moves up and down, and detects and recognizes the object. The transporter includes a transport body mounted on the rail and movable along the rail. and an arm modul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ort body, rotatable about the Z-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transport body and the det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axis.

또한,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이송 바디와 결합하며,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며 상호간에 상대 회동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암을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arm module is coupled to the transport body and may include at least two arm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또한,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아암들의 끝 단에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rm module is coupled to the ends of the arms and further includes a wire support portion for supporting the wire, and the wire support portion may be rotatable about the Z axis.

또한, 상기 레일은 한 쌍이 기 설정된 경로로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Additionally, a pair of the rails may b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a preset path.

또한, 상기 레일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따라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위치 식별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 식별부들 각각은,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을 가로질러 제공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기는, 상기 이송 바디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 identification units installed on the rail at preset intervals along the rail, wherein each of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s crosses the pair of rai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Support frame provided; and an electronic tag installed on an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wherein the transporter may further include a locat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transport body and recognizing the electronic tag.

또한, 상기 레일은 상기 대상물이 적재된 제1선반과 제2선반의 사이 공간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제1선반의 일 측과 타 측, 그리고 상기 제2선반의 일 측과 타 측에 상기 탐지기를 위치시킬 수 있다.In addition, the rail is installe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on which the object is loaded, and the arm module is installe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elf, and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helf. The detector can be placed on the side.

또한, 상기 탐지기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대 회동이 가능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제1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이 위치한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제1라이다 센서(또는 제1 3D 카메라); 및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이 위치한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제2라이다 센서(또는 제2 3D 카메라)를 포함할 수 있다.Additionally, the detector includes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wire; a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body; a first camera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an image of the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amera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an image of the objec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first LIDAR sensor (or first 3D camera)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on where the object is located in the first direction; And it is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may include a second LIDAR sensor (or a second 3D camera) that acquires spatial information on where the object is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기가 레일을 따라 이동하고, 탐지기가 위아래로 이동하며 선반에 적재된 대상물과 창고 바닥에 적재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transporter moves along the rail, the detector moves up and down, and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on the shelf and on the warehouse floor can be obtain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이송 바디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아암 모듈에 의해 탐지기가 다수의 선반에 적재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넓은 영역에 적재된 대상물들의 정보를 신속하게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detector can obtai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on multiple shelves by the arm module while the transport body is located at the same point, it is possible to quickly obtai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on a wide area. You can.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레일로 다수의 선반에 적재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므로, 레일의 길이가 최소화될 수 있다.Additional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on multiple shelves can be obtained with one rail, so the length of the rail can be minimized.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장치에 탑재된 수직/수평 인코딩 유닛, 스캔패널의 수직/수평 및 회동운동에 기반한 제1 및 제2카메라에서 촬영된 영상 정보와 제1 및 제2 라이다 센서(제1 및 제2 3D 카메라, 이하 생략)에서 획득된 공간 정보, 그리고 안테나에서 획득된 전자 태그 식별 정보를 선별적으로 적용하여 대상물의 적재 위치, 제품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vertical/horizontal encoding unit mounted on the device, image information captured by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based on the vertical/horizontal and rotational movements of the scan panel, and the first and second LiDAR sensors ( By selectively applying the spati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and second 3D cameras (omitted below) and the electronic ta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antenna, information such as the object's loading location, product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and loading rate can be obtained. there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가 창고 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은 도 1의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탐지기의 일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탐지기의 타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카메라의 촬영 범위와 제1 및 제2라이다 센서의 측정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가 제1 및 제2선반에 적재된 대상물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가 평치 창고 내에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installed in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of Figure 1.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of Figure 2.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one side of a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view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detector of Figure 4.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hooting rang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first and second LiDAR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7 to 9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recognizes objects loaded on first and second shel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acquires object information in a Pyeongchi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 예는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herein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Rather, the embodiments introduced herein are provided so that the disclosed content will be thorough and complete and so that the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 3의 구성요소가 개재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막 및 영역들의 두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In this specification, when an element is referred to as being on another element, it means that it may be formed directly on the other element or that a third element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m. Additionally, in the drawings, the thicknesses of films and regions are exaggerated for effective explanation of technical content.

또한, 본 명세서의 다양한 실시 예 들에서 제1, 제2, 제3 등의 용어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기술하기 위해서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요소들이 이 같은 용어들에 의해서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어느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시키기 위해서 사용되었을 뿐이다. 따라서, 어느 한 실시 예에 제 1 구성요소로 언급된 것이 다른 실시 예에서는 제 2 구성요소로 언급될 수도 있다. 여기에 설명되고 예시되는 각 실시 예는 그것의 상보적인 실시 예도 포함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은 전후에 나열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되었다.Additionally, in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specifica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nd third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se components should not be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mere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Accordingly, what is referred to as a first component in one embodiment may be referred to as a second component in another embodiment. Each embodiment described and illustrated herein also includes its complementary embodiment.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and/or' is used to mean including at least one of the components listed before and after.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구성요소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배제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연결"은 복수의 구성 요소를 간접적으로 연결하는 것, 및 직접적으로 연결하는 것을 모두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In the specifica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components, or a combination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numbers, steps, or components. It should not be understood as excluding the possibility of the presence or addition of elements or combinations thereof.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connection” is used to mean both indirectly connecting and directly connecting a plurality of components.

또한, 하기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할 것이다.Additionally,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가 창고 내에 설치된 모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2은 도 1의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installed in a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of Figure 1, and Figure 3 is an inventory of Figure 2 This is a front view showing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management.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10)는 창고 또는 매장 내에 적재된 대상물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장치(10)가 창고 내에 적재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 일 예에 의하면, 대상물 인식장치(10)는 대상물의 적재 위치, 제품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대상물 인식장치(10)는 선반(20)에 적재된 대상물들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대상물 인식장치(10)는 대상물들이 바닥에 적재된 평치 창고에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대상물 인식 장치(10)가 선반에 적재된 대상물들의 정보를 획득하는 상황을 예를 들어 설명한다.Referring to FIGS. 1 to 3 ,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for inventory management can obtai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in a warehouse or store. In this embodiment,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for inventory management acquires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in a warehouse as an example. According to one example,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may obtain information such as the object's loading location, product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and loading rate.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can obtain information on objects loaded on the shelf 20. Additionally,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can obtain object information from a pyeongchi warehouse where objects are stacked on the floor. In this embodiment, a situation in which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acquires information about objects loaded on a shelf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대상물 인식장치(10)는 레일(100), 위치 식별부(150), 이송기(200), 그리고 탐지기(300)를 포함한다.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includes a rail 100, a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150, a transfer device 200, and a detector 300.

레일(100)은 창고 내부에서, 기 설정된 높이와 기 설정된 경로로 설치된다. 레일(100)은 한 쌍이 나란하게 동일한 경로를 따라 제공될 수 있다. 레일(100)은 일정 간격을 두고 서로 마주 배치되는 선반(10)들의 사이 공간을 따라 이동 경로를 제공한다.The rail 100 is installed at a preset height and along a preset path inside the warehouse. A pair of rails 100 may be provided side by side along the same path. The rail 100 provides a movement path along the space between the shelves 10 arranged opposite each other at regular intervals.

위치 식별부(150)는 복수 개가 레일(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제공된다. 위치 식별부(150)는 이송기(200)의 이동 위치를 식별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위치 식별부(150)는 지지 프레임(151)과 전자 태그(155)를 포함한다. 지지 프레임(151)은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레일(100)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지지 프레임(151)은 한 쌍의 레일(100)을 연결한다. 전자 태그(155)는 지지 프레임(151)의 상부에 위치한다. 전자 태그(155)는 위치 식별 신호를 제공한다. 복수 개의 위치 식별부(150)는 서로 상이한 위치 식별 신호를 제공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전자 태그(155)는 RFID가 사용될 수 있다.A plurality of position identification units 150 are provided at preset intervals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150 is provided to identify the moving position of the transfer machine 200.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150 includes a support frame 151 and an electronic tag 155. The support frame 151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is arranged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 100. The support frame 151 connects a pair of rails 100. The electronic tag 155 is loc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151. The electronic tag 155 provides a location identification signal. The plurality of location identification units 150 provide different location identification signals.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electronic tag 155 may use RFID.

이송기(200)는 레일(100)을 따라 이동 가능하며, 와이어(270)를 지지하고 와이어(270)를 레일(100) 아래로 내릴 수 있다. 이송기(200)는 이송 바디(210)와 아암 모듈(220), 그리고 CCTV 카메라(280)를 포함한다.The conveyor 200 can move along the rail 100, supports the wire 270, and can lower the wire 270 below the rail 100. The transfer machine 200 includes a transfer body 210, an arm module 220, and a CCTV camera 280.

이송 바디(210)는 소정 형상을 가진다. 이송 바디(210)는 레일(100)에 장착되며,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이송 바디(210) 내에는 롤러(211), 구동기, 그리고 엔코더가 제공된다. 롤러(211)는 레일(100)과 접촉하며, 그 중심축을 축으로 회전한다. 롤러(211)가 회전함에 따라 이송 바디(21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롤러(211)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한 쌍의 레일(100) 양 측에 각각 적어도 2개씩 제공될 수 있다. 롤러(211)들이 적어도 4개의 지점에서 레일(100)과 접촉하므로, 아암 모듈(220)의 움직임에 따른 편심 발생에도 이송 바디(210)가 안정적으로 레일(100)을 따라 이동할 수 있다.The transfer body 210 has a predetermined shape. The transfer body 210 is mounted on the rail 100 and can move along the rail 100. For this purpose, a roller 211, a driver, and an encoder are provided within the transfer body 210. The roller 211 contacts the rail 100 and rotates about its central axis. As the roller 211 rotates, the transfer body 210 may move along the rail 100. According to an embodiment, at least two rollers 211 may be provided on each side of a pair of rails 100 arranged side by side. Since the rollers 211 contact the rail 100 at at least four points, the transfer body 210 can stably move along the rail 100 even if eccentricity occurs due to movement of the arm module 220.

구동기는 롤러(211)를 회전시킨다. 구동기는 구동 모터가 사용될 수 있다. 엔코더는 롤러(211)의 회전량을 측정한다. 롤러(211)의 회전량을 측정하여, 이송 바디(210)의 이동 거리를 산출할 수 있다.The driver rotates the roller 211. A driving motor may be used as the actuator. The encoder measures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211. By measuring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211, the moving distance of the transfer body 210 can be calculated.

또한, 이송 바디(210)의 상면에는 충전 단자(213)가 제공되고, 내부에는 배터리가 제공될 수 있다. 충전 단자(213)는 레일(100)의 일 지점에 설치된 전력 공급 모듈(미도시)로부터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전력을 공급받는다. 충전 단자(213)에 공급된 전력은 배터리에 충전된다. 배터리는 이송 바디(210)의 중심 축 상에 위치할 수 있다. 배터리는 이송기(200)와 탐지기(300)에 제공되는 각종 전자부품에 전력을 공급한다.Additionally, a charging terminal 213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ransfer body 210, and a battery may be provided inside. The charging terminal 213 receives power wired or wirelessly from a power supply module (not shown) installed at one point of the rail 100. The power suppli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3 is charged to the battery. The battery may be located on the central axis of the transport body 210. The battery supplies power to various electronic components provided in the transporter 200 and the detector 300.

또한, 이송 바디(210)의 내부에는 위치 인식부가 제공될 수 있다. 위치 인식부는 위치 식별부(155)에서 제공되는 위치 정보로부터 이송 바디(210)의 위치를 인식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위치 식별부(155)는 RFID 리더기로 제공될 수 있다. 엔코더에서 측정되는 롤러(211)의 회전량으로 이송 바디(210)의 위치를 인식할 경우, 롤러(211)의 구동 상태에 따라 위치 오차가 발생할 수 있다. 위치 식별부(155)는 레일(100)의 기 설정된 지점마다 제공되는 위치 정보를 통해 이송 바디(210)의 정확한 위치를 식별할 수 있으므로, 롤러(211)의 구동 상태에 따른 위치 오차를 보정할 수 있다.Additionally, a location recognition unit may be provided inside the transfer body 210. The location recognition unit recognizes the location of the transfer body 210 from the location information provided by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155.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 155 may be provided as an RFID reader. When the position of the transfer body 210 is recognized based on the rotation amount of the roller 211 measured by the encoder, a position error may occur depending on the driving state of the roller 211. Since the position identification unit 155 can identify the exact position of the transfer body 210 through position information provided at each preset point of the rail 100, it is possible to correct the position error according to the driving state of the roller 211. You can.

아암 모듈(220)을 이송 바디(2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이송 바디(210)에 장착된다. 아암 모듈(220)은 상하방향인 Z축을 중심으로 이송 바디(210)에 대해 상대 회동이 가능하며, Z축에 수직한 XY평면상에서 탐지기(300)를 이동시킨다. 아암 모듈(200)은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암(230, 240)을 갖는 다관절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아암 모듈(200)이 2개의 아암(230, 240)으로 이루어진 구조를 예를 들어 설명하나, 아암(230, 240)의 개수는 탐지기(300)를 이동시켜야 할 거리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아암에는 텔레스코픽 구조도 포함될 수 있다.The arm module 220 is located below the transfer body 210 and is mounted on the transfer body 210. The arm module 220 can rotate relative to the transfer body 210 about the Z-axis, which is the vertical direction, and moves the detector 300 on the XY plane perpendicular to the Z-axis. The arm module 200 may be provided as a multi-joint structure having at least two arms 230 and 240. In this embodiment, the structure in which the arm module 200 consists of two arms 230 and 240 is explained as an example, but the number of arms 230 and 240 may change depending on the distance to which the detector 300 must be moved. You can. The arm may also include a telescopic structure.

아암 모듈(220)은 제1아암(230), 제2아암(240), 그리고 와이어 지지부(250)를 포함한다.The arm module 220 includes a first arm 230, a second arm 240, and a wire support portion 250.

제1아암(230)은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그 길이 방향이 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1아암(230)의 일 단은 이송 바디(210)와 결합하고, 일 단을 축으로 이송 바디(21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The first arm 23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its length direction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Z-axis. One end of the first arm 230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210, and one end can be rotated relative to the transfer body 210 as an axis.

제2아암(240)은 소정 길이로 제공되며, 그 길이 방향이 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배치된다. 제2아암(240)은 일 단이 제1아암(230)의 타 단과 결합하며, 일 단을 축으로 제1아암(23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The second arm 240 is provided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its length direction is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Z-axis. One end of the second arm 240 is coupled to the other end of the first arm 230, and can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arm 230 about one end.

도면에는 나타내지 않았지만, 아암 모듈(220)은 밸런싱 아암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밸런싱 아암은 이송 바디(210)를 기준으로 제1 및 제2 아암(230, 240)의 반대 편에 위치하며, 이송 바디(210)에 지지된다. 밸런싱 아암은 제1 및 제2 아암(230, 240)에 상응하는 무게를 가지며, 이송기(200)의 무게 균형이 유지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arm module 220 may further include a balancing arm. The balancing arm is located on the opposite side of the first and second arms 230 and 240 with respect to the transfer body 210 and is supported on the transfer body 210. The balancing arm has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first and second arms 230 and 240 and is provided to maintain the weight balance of the conveyor 200.

와이어 지지부(250)는 아암(230, 240)들의 끝 단에 제공된다. 실시 예에 의하면, 와이어 지지부(250)는 제2아암(240)의 끝 단과 결합하며, 제2아암(240)의 하부에 위치한다. 와이어 지지부(250)는 Z축을 중심으로 제2아암(24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와이어 지지부(250)는 와이어(270)를 지지하며, 와이어(270)를 아래로 내리고 위로 끌어올릴 수 있다. 이를 위해 와이어 지지부(250) 내부에는 릴과 구동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릴에는 와이어가 감기며, 구동 모터의 구동으로 릴이 회전한다. 릴의 회전 방향에 따라 와이어(270)가 릴에 감기거나 풀리면서 아래로 내려가고 위로 올라올 수 있다.Wire supports 250 are provided at the ends of the arms 230 and 240. According to the embodiment, the wire support part 250 is coupled to the end of the second arm 240 and is located at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arm 240. The wire support portion 250 can rotate relative to the second arm 240 about the Z-axis. The wire support portion 250 supports the wire 270 and can lower the wire 270 and pull it up. For this purpose, a reel and a drive motor may be provided inside the wire support portion 250. A wire is wound around the reel, and the reel rotates when driven by a drive motor. Depending on the direction of rotation of the reel, the wire 270 may move down or up as it is wound or unwound from the reel.

CCTV 카메라(280)는 제1아암(230)의 하단에 설치되며, 주변 영상을 촬영한다. CCTV 카메라(280)에서 촬영된 영상은 관제 서버(미도시)에 전송된다. 사용자는 CCTV 카메라(280)에서 촬영된 영상을 통해 창고 내부 상황과 탐지기(300)의 움직임을 모니터링할 수 있다. 대상물 인식장치(10)에 에러 발생 시, 사용자는 원격 접속하여 대상물 인식장치(10)의 움직임을 직접 제어할 수 있다. CCTV 카메라(280)의 내부에는 사고 발생 시 촬영 영상을 저장할 수 있는 저장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대상물 인식장치(10)에 외부 충격이 가해질 경우, 기 설정된 시간 동안 촬영 영상이 저장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The CCTV camera 280 is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first arm 230 and captures surrounding images. The video captured by the CCTV camera 280 is transmitted to a control server (not shown). The user can monitor the situation inside the warehouse and the movement of the detector 300 through the video captured by the CCTV camera 280. When an error occurs in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the user can connect remotely and directly control the movement of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The CCTV camera 280 may be equipped with a storage device capable of storing captured images when an accident occurs. When an external impact is applied to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the captured image may be stored in the storage device for a preset time.

탐지기(300)는 와이어(270)에 매달려 지지되며, 와이어(270)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탐지기(300)는 소정 두께를 갖는 사각 형상으로, 대상물을 향하는 일 면(301)과 사용자를 향하는 타 면(302)을 갖는다. 탐지기(300)는 대상물의 제품 정보와 위치 정보, 그리고 대상물이 위치한 공간 정보를 탐지한다.The detector 300 is supported by hanging on a wire 270 and can move up and down by the wire 270. The detector 300 has a rectangul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thickness and has one side 301 facing the object and the other side 302 facing the user. The detector 300 detects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and spatial information where the object is located.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탐지기의 일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도 4의 탐지기의 타 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Figure 4 is a diagram showing one side of the detec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5 is a diagram showing the other side of the detector of Figure 4.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탐지기(300)는 제1바디(310)와 제2바디(320), 사용자 카메라(330), 디스플레이(350), 제1카메라(360), 제2카메라(370), 제1라이다 센서(380), 제2라이다 센서(390), 그리고 안테나(400), 그리고 정보 처리부(미도시)를 포함한다.4 and 5, the detector 300 includes a first body 310, a second body 320, a user camera 330, a display 350, a first camera 360, and a second camera ( 370), a first LiDAR sensor 380, a second LiDAR sensor 390, an antenna 400, and a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not shown).

제1바디(310)는 와이어(270)에 매달려 제공되며, 사용자를 향하는 타 면(302)에 사용자 카메라(330)와 디스플레이(350)가 제공된다. 사용자 카메라(330)는 사용자를 촬영하며, 사용자의 촬영 이미지는 정보 처리부에 전송되어 사용자 인식을 위해 제공된다. 디스플레이(350)는 사용자에게 제공할 각종 정보들을 표시한다.The first body 310 is suspended from a wire 270, and a user camera 330 and a display 350 are provided on the other side 302 facing the user. The user camera 330 photographs the user, and the captured image of the user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provided for user recognition. The display 350 displays various information to be provided to the user.

제2바디(320)는 제1바디(310)의 하부에 위치하며, 제1바디(310)의 폭에 상응하는 길이를 가진다. 제2바디(320)는 양 단이 제1바디(310)와 힌지 결합하며, 상기 힌지를 축(321)으로 제1바대(310)에 대해 상대 회전이 가능하다. 제2바디(320)의 일 면에는 제1카메라(360), 제2카메라(370), 제1라이다 센서(380), 제2라이다 센서(390), 그리고 안테나(400)가 제공된다.The second body 320 is located below the first body 310 and has a length corresponding to the width of the first body 310. The second body 320 is hinge-coupled with the first body 310 at both ends, and can rotate relative to the first bar 310 about the hinge as the axis 321. A first camera 360, a second camera 370, a first LiDAR sensor 380, a second LiDAR sensor 390, and an antenna 400 are provided on one side of the second body 320. .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1 및 제2카메라의 촬영 범위와 제1 및 제2라이다 센서의 측정 범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shooting range of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and the measurement range of the first and second LiDAR sensor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6을 참조하면, 제1카메라(360)는 제1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하고, 제2카메라(370)는 제2방향으로 영상을 촬영한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룬다. 제1카메라(360)에서 촬영되는 영역(362)과 제2카메라(370)에서 촬영되는 영역(371)은 일부가 중첩된다. 중첩 영역을 기준으로 제1카메라(360)에서 촬영된 영상과 제2카메라(370)에서 촬영된 영상을 병합하여 보다 넓은 영역의 영상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6, the first camera 360 captures an image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camera 370 captures an image in a second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form a preset angle. The area 362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360 and the area 371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370 partially overlap. Image information of a wider area can be obtained by merging the image captured by the first camera 360 and the image captured by the second camera 370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제1라이다 센서(380)는 제1방향으로 대상물(30)이 위치하는 공간 정보를 획득하고, 제2라이다 센서(390)는 제2방향으로 대상물(30)이 위치하는 공간 정보를 획득한다. 제1방향과 제2방향은 기 설정된 각도를 이룬다. 제1라이다 센서(380)의 측정 영역(381)과 제2라이다 센서(390)의 측정 영역(391)은 일부가 중첩된다. 중첩 영역을 기준으로 제1라이다 센서(380)에서 측정된 공간 정보와 제2라이다 센서(390)에서 측정된 공간 정보를 병합하여 보다 넓은 범위의 공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first LiDAR sensor 380 acquires spatial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30 i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LiDAR sensor 390 acquires spatial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30 in the second direction. do. The first direction and the second direction form a preset angle. The measurement area 381 of the first LiDAR sensor 380 and the measurement area 391 of the second LiDAR sensor 390 partially overlap. A wider range of spatial information can be obtained by merging the spa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first LiDAR sensor 380 and the spatial information measured by the second LiDAR sensor 390 based on the overlapping area.

안테나(400)는 전자 태그를 식별할 수 있다. 실시 예에 의하면, 안테나(400)는 대상물(30)에 부착된 RFID를 인식할 수 있다.The antenna 400 can identify electronic tags. According to an embodiment, the antenna 400 can recognize the RFID attached to the object 30.

제1 및 제2 카메라(370, 370)에서 획득된 이미지와 제1 및 제2 라이다 센서(380, 390)에서 획득된 공간 정보, 그리고 안테나(400)에서 인식된 정보는 정보 처리부에 전송된다. 정보 처리부는 수신된 정보들을 분석하여, 해당 공간에 적재된 대상물(30)의 제품 정보, 위치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산출된 정보들은 사용자의 요청으로 디스플레이(350)에 표시될 수 있다.Images acquired from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370 and 370, spatial information obtain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DAR sensors 380 and 390, and information recognized from the antenna 400 are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may analyze the received information and calculate produc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loading ratio, etc. of the object 30 loaded in the corresponding space. The calculated information may be displayed on the display 350 at the user's request.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가 제1 및 제2선반에 적재된 대상물을 인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7 to 9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recognizes objects loaded on first and second shelv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7을 참조하면, 대상물 인식 장치(10)는 이송 바디(210)가 레일(100)일 따라 이동하여 제1선반(21)과 제2선반(22) 사이 지점에 위치한다. 그리고 제1아암(230)과 제2아암(240)이 회동하여 탐지기(300)가 XY평명상에서 이동한다. 탐지기(300)가 제1선반(21)의 일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 지지부(250)가 회전하여 탐지기(300)의 일 면이 제1선반(21)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270)가 내려와 탐지기(300)가 대상물(31)의 전방에 위치한다. 제1 및 제2카메라(360)가 대상물을 촬영하고, 제1 및 제2 라이다 센서(370, 380)가 대상물이 위치하는 공간 정보를 획득한다. 그리고 안테나(400)에서 대상물(30)에 부착된 RFID 정보를 인식한다. 획득된 정보들은 정보 처리부에 전송되며, 정보 처리부에서 대상물(30)의 제품 정보, 위치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을 산출한다.First, referring to FIG. 7,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is positioned at a point between the first shelf 21 and the second shelf 22 as the transfer body 210 moves along the rail 100. Then, the first arm 230 and the second arm 240 rotate so that the detector 300 moves in the XY plane. With the detector 300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shelf 21, the wire support part 250 is rotated so that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faces the first shelf 21. In this state, the wire 270 is lowered and the detector 300 is positioned in front of the object 31. The first and second cameras 360 photograph the object, and the first and second LIDAR sensors 370 and 380 obtain spatial information where the object is located. Then, the antenna 400 recognizes the RFID information attached to the object 30. The acquired information is transmitted to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and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calculates produc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loading ratio, etc. of the object 30.

도 8를 참조하면, 이송 바디(210)는 도 7과 동일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아암(230)과 제2아암(240)이 회동하여 탐지기(300)가 제1선반(21)의 타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와이어 지지부(250)가 회전하여 탐지기(300)의 일 면이 제1선반(21)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270)가 내려온다. 탐지기(300)는 제1선반(31)의 타 측에 적재된 대상물(32)의 제품 정보, 위치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을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8, while the transport body 210 is located at the same point as in FIG. 7, the first arm 230 and the second arm 240 rotate so that the detector 300 is positioned on the first shelf 21. It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Then, the wire support part 250 rotates so that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faces the first shelf 21 and the wire 270 comes down. The detector 300 acquires produc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loading ratio, etc. of the object 32 loa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elf 31.

도 9를 참조하면, 이송 바디(210)는 도 7과 동일 지점에 위치한 상태에서, 제1아암(230)과 제2아암(240)이 회동하여 탐지기(300)가 제2선반(22)의 일 측에 위치한다. 그리고 와이어 지지부(250)가 회전하여 탐지기(300)의 일 면이 제2선반(22)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270)가 내려온다. 탐지기(300)는 제2선반(32)의 타 측에 적재된 대상물(33)의 제품 정보, 위치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을 획득한다.Referring to FIG. 9, while the transport body 210 is located at the same point as in FIG. 7, the first arm 230 and the second arm 240 rotate so that the detector 300 is positioned on the second shelf 22. It is located on one side. Then, the wire support 250 rotates so that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is positioned toward the second shelf 22 and the wire 270 comes down. The detector 300 obtains produc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loading ratio, etc. of the object 33 loa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helf 32.

동일한 과정으로,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10)는 제2선반(22)의 타 측에 적재된 대상물(34)의 제품 정보, 위치 정보, 적재 수량, 적재율 등을 획득할 수 있다.Through the same process,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for inventory management can obtain product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loading quantity, loading ratio, etc. of the object 34 loaded on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helf 22.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가 평치 창고 내에서 대상물의 정보를 획득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s 10 and 11 are diagrams showing a process in which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acquires object information in a Pyeongchi warehou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먼저 도 10을 참조하면, 대상물 인식 장치(10)는 창고 내부를 스캐닝하여 대상물 적재 맵(30a, 30b)을 생성한다. 대상물 적재 맵(30a, 30b)은 창고 내부에 적재된 대상물(31 내지 33)들의 적재 위치와 적재 높이를 알 수 있는 3차원 공간 정보를 의미한다. First, referring to FIG. 10 ,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scans the inside of a warehouse to generate object loading maps 30a and 30b. The object loading maps 30a and 30b refer to three-dimensional spatial information that allows you to know the loading positions and loading heights of the objects 31 to 33 loaded inside the warehouse.

일 실시 예에 의하면, 대상물 인식 장치(100)는 탐지기(300)가 창고 내부의 일 측에 위치하여 대상물 적재 맵을 생성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의하면, 대상물 인식 장치(100)는 이송 바디(21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면서, 탐지기(300)가 창고 내부를 스캐닝한 후 대상물 적재 맵을 생성할 수 있다.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0 may generate an object loading map with the detector 300 located on one side of the warehou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0 may generate an object loading map after the transport body 210 moves along the rail 100 and the detector 300 scans the inside of the warehouse.

대상물 인식 장치(100)의 제1바디(310)가 와이어 지지부(250)에 대해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고, 제2바디(320)가 제1바디(310)에 대해 상하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제1 및 제2카메라(360, 370)로부터 창고 내부 영상을 획득하고, 제1 및 제2라이다 센서(380, 390)로부터 창고 내부 공간 정보를 획득한다. 정보 처리부는 획득된 영상 정보와 공간 정보를 이용하여 창고 내부에 적재된 대상물(31 내지 33)들의 위치 및 높낮이를 포함하는 대상물 적재 맵(30a, 30b)을 작성한다. 도면에는 창고 내부의 대상물(31 내지 33)들이 두 개의 그룹으로 적재된 것으로 표현하였으며, 설명의 편의를 위해 대상물(31 내지 33)들의 적재 그룹을 제1적재 그룹(30a)과 제2적재 그룹(30b)으로 표현한다. 정보 처리부는 대상물 적재 맵을 이용하여, 개별 대상물의 정보 획득을 위한 이동 경로를 산출한다.The first body 310 of 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0 rotates about the Z-axis with respect to the wire support part 250, and the second body 320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 respect to the first body 310, And images inside the warehouse are acquired from the second cameras 360 and 370, and information on space inside the warehouse is acquired from the first and second LiDAR sensors 380 and 390.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uses the acquired image information and spatial information to create object loading maps 30a and 30b including the positions and heights of the objects 31 to 33 loaded inside the warehouse. In the drawing, the objects (31 to 33) inside the warehouse are expressed as being loaded in two groups, and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the loading groups of the objects (31 to 33) are referred to as a first loading group (30a) and a second loading group ( It is expressed as 30b). The information processing unit uses the object loading map to calculate a movement path for obtaining information on individual objects.

산출된 이동 경로에 따라 이송 바디(210)가 레일(100)을 따라 이동하여 제1적재 그룹(30a)과 제2적재 그룹(30b) 사이 지점에 위치한다. 제1아암(230)과 제2아암(240)이 회동하여 탐지기(300)가 제1적재 그룹(30a)의 일 측에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 지지부(250)가 회전하여 탐지기(300)의 일 면이 제1 적재 그룹(30a)을 향하도록 위치한다. 이 상태에서 와이어(270)가 내려와 제1적재 그룹(30a)의 일 측에 적재된 대상물(31)의 제품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According to the calculated movement path, the transfer body 210 moves along the rail 100 and is located at a point between the first loading group 30a and the second loading group 30b. The first arm 230 and the second arm 240 rotate so that the detector 300 is located on one side of the first loading group 30a, and the wire support part 250 rotates to expose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It is positioned to face the first loading group 30a. In this state, the wire 270 comes down to obtain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31 loaded on one side of the first loading group 30a.

그리고 이송 바디(210)가 동일한 지점에 위치하고, 제1아암(230)과 제2아암(240)이 제1적재 그룹(30a)의 상부 영역을 가로질러 일 측에서 타 측으로 이동하면서 제1적재 그룹(30a)의 상단에 적재된 대상물(31)의 제품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And the transfer body 210 is located at the same point, and the first arm 230 and the second arm 240 move from one side to the other across the upper area of the first loading group 30a, thereby forming the first loading group 30a.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31 loaded on the top of (30a) can be obtained.

또한, 제1아암(230)과 제2아암(240)이 회동하여 탐지기(300)가 제1적재 그룹(30a)의 타 측에 위치하고, 탐지기(300)의 일 면이 제1적재 그룹(30a)을 향하도록 위치한 상태에서 와이어가 내려와 제1적재 그룹(30a)의 타 측에 적재된 대상물(32)의 제품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arm 230 and the second arm 240 rotate so that the detector 300 is locat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ading group 30a, and one side of the detector 300 is located on the first loading group 30a. ), the wire comes down and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32 loaded on the other side of the first loading group 30a can be obtained.

대상물 인식 장치(10)는 제2적재 그룹(33)에 대해서 동일한 방법으로 대상물(33)의 제품 정보와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The object recognition device 10 may obtain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 33 in the same manner for the second loading group 33.

정부 처리부는 상술한 과정으로 획득된 대상물(31 내지 33)의 제품 정보와 위치 정보를 대상물 적재 맵(30a, 30b)과 매핑한다. 사용자는 매핑된 정보를 통해, 창고 내에 적재된 대상물(31 내지 33)들의 3차원 위치 정보를 확인할 있고, 각 지점에 적재된 제품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The government processing unit maps the product information an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31 to 33 obtained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with the object loading maps 30a and 30b. Through the mapped information, the user can check the 3D location information of the objects 31 to 33 loaded in the warehouse and check the product information loaded at each point.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using preferred embodiments, bu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appended claims. Additionally, those skilled in the art should understand that many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10: 대상물 인식장치
100: 레일
200: 이송기
210: 이송 바디
220: 아암 모듈
230: 제1아암
240: 제2아암
250: 와이어 지지부
280: CCTV 카메라
300: 탐지기
310: 제1바디
320: 제2바디
330: 사용자 카메라
350: 디스플레이
360: 제1카메라
370: 제2카메라
380: 제1라이다 센서(또는 제1 3D 카메라)
390: 제2라이다 센서(또는 제1 3D 카메라)
400: 안테나
10: Object recognition device
100: rail
200: transfer machine
210: transfer body
220: arm module
230: first arm
240: Second arm
250: wire support
280: CCTV camera
300: detector
310: first body
320: second body
330: User camera
350: display
360: first camera
370: Second camera
380: First LiDAR sensor (or first 3D camera)
390: Second LiDAR sensor (or first 3D camera)
400: Antenna

Claims (8)

대상물이 적재된 공간 내에서 상부에 설치된 레일;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하며, 상기 레일 아래로 와이어를 내리고 지지하는 이송기; 및
상기 와이어에 지지되어 상하로 이동하며, 상기 대상물을 탐지하여 인식하는 탐지기를 포함하고,
상기 이송기는
상기 레일에 장착되며, 상기 레일을 따라 이동가능한 이송 바디; 및
상기 이송 바디의 하부에 장착되고, 상하방향의 Z축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며, 상기 Z축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이송 바디와 상기 탐지기의 상대 거리 조절이 가능한 아암 모듈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 rail installed at the top within the space where the object is loaded;
A conveyor that moves along the rail and lowers and supports the wire below the rail; and
It is supported on the wire and moves up and down, and includes a detector that detects and recognizes the object,
The transfer machine
a transfer body mounted on the rail and movable along the rail; and
Object recognition for inventory management, including an arm module mounted on the lower part of the transport body, rotatable about the Z-axis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capable of adjusting the relative distance between the transport body and the detector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Z-axis. Devic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이송 바디와 결합하며, 복수 개가 서로 연결되며 상호간에 상대 회동이 가능한 적어도 2개 이상의 아암을 포함하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arm module i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which is coupled to the transfer body and includes at least two arms that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can rotate relative to each other.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이송 바디를 중심으로 상기 2개 이상의 아암의 반대 편에 위치하며, 상기 2개 이상의 아암에 상응하는 무게를 갖는 밸런싱 아암을 더 포함하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rm module is,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further comprising a balancing arm located on an opposite side of the two or more arms around the transfer body and having a weight corresponding to the two or more arms.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아암들의 끝 단에 결합하고, 상기 와이어를 지지하는 와이어 지지부를 더 포함하되,
상기 와이어 지지부는 상기 Z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2,
The arm module is
It further includes a wire support part coupled to the ends of the arms and supporting the wire,
The wire support part i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that is rotatable around the Z axis.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한 쌍이 기 설정된 경로로 나란하게 배치되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i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in which a pair of rails are arranged side by side along a preset path.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을 따라 기 설정된 간격으로 따라 상기 레일에 설치되는 복수 개의 위치 식별부들을 포함하되,
상기 위치 식별부들 각각은,
상기 레일의 길이 방향에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한 쌍의 레일을 가로질러 제공되는 지지 프레임; 및
상기 지지 프레임의 상부에 설치되는 전자 태그를 포함하며,
상기 이송기는,
상기 이송 바디 내에 설치되며 상기 전자 태그를 인식하는 위치 인식부를 더 포함하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5,
It includes a plurality of position identification units installed on the rail at preset intervals along the rail,
Each of the location identification units,
a support frame provided across the pair of rails in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ails; and
It includes an electronic tag installed on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frame,
The conveyor,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further comprising a location recognition unit installed in the transfer body and recognizing the electronic ta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은 상기 대상물이 적재된 제1선반과 제2선반의 사이 공간을 따라 설치되며,
상기 아암 모듈은 상기 제1선반의 일 측과 타 측, 그리고 상기 제2선반의 일 측과 타 측에 상기 탐지기를 위치시킬 수 있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rail is installed along the space between the first shelf and the second shelf on which the object is loaded,
The arm module is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capable of positioning the detector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first shelf and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shelf.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탐지기는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는 제1바디;
상기 제1바디와 연결되며, 상기 제1바디에 대해 상대 회동이 가능한 제2바디;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제1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1카메라;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상기 제1방향과 상이한 제2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의 영상을 획득하는 제2카메라;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상기 제1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이 위치한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제1라이다 센서; 및
상기 제2바디에 제공되며, 상기 제2방향으로 상기 대상물이 위치한 공간 정보를 획득하는 제2라이다 센서를 포함하는 재고 관리용 대상물 인식 장치.
According to claim 1,
The detector is
a first body connected to the wire;
a second body connected to the first body and capable of rotating relative to the first body;
a first camera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an image of the object in a first direction;
a second camera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an image of the object in a second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first direction;
A first LIDAR sensor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on the location of the object in the first direction; and
An object recognition device for inventory management including a second LIDAR sensor provided on the second body and acquiring spatial information on where the object is located in the second direction.
KR1020220123794A 2022-09-28 2022-09-28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KR2024004461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794A KR20240044611A (en) 2022-09-28 2022-09-28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794A KR20240044611A (en) 2022-09-28 2022-09-28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11A true KR20240044611A (en) 2024-04-05

Family

ID=907142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794A KR20240044611A (en) 2022-09-28 2022-09-28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11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0044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upport surface edge detection
RU2597050C2 (en) Device and method for single store and/or warehouse stock records and warehouse management system equipped with this device
KR102437649B1 (en) Transport device positioning apparatus and method
US10810544B2 (en) Distributed autonomous robot systems and methods
JP7137653B2 (en) Automatic storage and retrieval system having a detector that detects items extending beyond a dimension threshold
EP3203180B1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dimensioning an object carried by a vehicle moving in a field of measurement
US10850923B2 (en) Transporter and transporting method
US20170286907A1 (en) Product movement and distribution systems and methods
US10731970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support structure detection
CN107902373A (en) A kind of automatic express delivery cabinet
US20120307072A1 (en) Storage system for storing and orderng articles, in particular pharmacy articles
KR20240044611A (en) Object recognition apparatus for inventory management
JPH05139506A (en) Storage facility
US11182739B2 (en) Carrier tracking system and method thereof
US20230092684A1 (en) Conveyor belt thickness measurement systems and methods for detecting changes in conveyor belt thicknesses
US20180336416A1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Monitoring Object Locations
WO2019195595A1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Mobile Automation Apparatus Localization
JP7046568B2 (en) Goods management system
US20220180559A1 (en) On-Site Calibration for Mobile Automation Apparatus
KR102100293B1 (en) Apparatus for object recognition
CN217032366U (en) Material detection device based on machine vision
US11158075B2 (en) Method, system and apparatus for depth sensor artifact removal
CN213301104U (en) Size detection system
WO2022180453A1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recording medium
JP2022130187A (en) Information processor and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