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601A -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 Google Patents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601A
KR20240044601A KR1020220123655A KR20220123655A KR20240044601A KR 20240044601 A KR20240044601 A KR 20240044601A KR 1020220123655 A KR1020220123655 A KR 1020220123655A KR 20220123655 A KR20220123655 A KR 20220123655A KR 20240044601 A KR20240044601 A KR 20240044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filtration
dust
space
fil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형근
백성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레코
이형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레코, 이형근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레코
Priority to KR10202201236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601A/ko
Publication of KR20240044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601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4Cleaning fil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2Particle separators, e.g. dust precipitators, having hollow filters made of flexible material
    • B01D46/023Pockets filters, i.e. multiple bag filters mounted on a common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72Special valve constructions adapted to filters or filter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9Means for wireless communic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4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controlling filt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1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pressurised gas, e.g. pulsed ai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0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 B01D46/7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acting counter-currently on the filtering surface, e.g. by flushing on the non-cake side of the filter with backwash arms, shoes or nozz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74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 B01D46/7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 B01D46/762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by forces created by movement of the filter element involving vibrations involving sonic or ultrasonic 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66Regeneration of the filtering material or filter elements inside the filter
    • B01D46/80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 B01D46/84Chemical processes for the removal of the retained particles, e.g. by burning by heating only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는, 일측에 여과 대상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유입부가 장착되고, 타측에 여과필터부를 통과한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가 장착된 집진장치로서, 내부에 소정 부피의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가스유입부에 의해 유입된 여과 대상 가스가 부유하는 제1공간과 여과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부유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된 구조의 집진본체부; 상기 집진본체부의 하부에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로부터 탈리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상기 집진본체부의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넬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제1공간 내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구가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의 여과필터부; 및 상기 집진본체부의 제2공간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의 중공형 구조 내부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의 외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거하여 이물질 배출부로 강제 낙하시키는 구조의 강제분진탈리부;를 포함하는 것을 구성의 요지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여과집진기의 표면에 흡착된 먼지 및 이물질을 주기적으로 탈진 처리하여, 여과집진기의 높은 먼지포집효율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고, 여과집진기의 수명을 현저히 증가시킬 수 있으며, 유지관리가 손쉽고 유지관리 비용을 현저히 절감할 수 있는 여과집진기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Dust Collector Having Cartridge Type Oil And Water Removal Filter}
본 발명은 집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여과집진시설 필터의 한계를 개선할 수 있는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에 관한 것이다.
집진장치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고체나 액체 미립자를 제거하기 위한 장치를 이르는 일반적인 명칭이다. 집진장치는 보일러, 배소로, 가열로, 폐기물소각로 등의 배출가스 중에서 그을음이나 먼지를 제거하는데 사용되어 왔고, 화학분말제조, 제철, 목재, 시멘트 제조 및 기타 미세분진이 다량 발생하는 작업장에서 사용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제조공업에서는 IC 공정, 제약공정 등에서 공기의 청정화에 의한 제품의 품질향상 등을 위해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집진장치는 작동방식에 따라 기계식, 전기식, 건식 또는 습식으로 나누어지고, 제거하고자 하는 미립자의 크기가 10㎛ 정도까지는 구조가 간단한 기계식(예를 들어, 중력침강실, 충돌식 집진장치, 원심력 사이클론 등)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이들 건식 집진장치는 기술개발과 구조개선에 의해 최근에는 1㎛ 입자까지도 압력 손실이 비교적 낮은 상태에서 집진할 수 있도록 개발되었으나, 1㎛ 이하의 초미립자까지 집진하는 데는 장치의 특별한 구조와 압력손실, 고비용이 소요된다는 단점이 있다.
여과집진기(filter bag house)는 대기오염의 원인이 되는 대기 중의 각종 입자상물질이나 공장 등의 배출가스에 포함된 유해 입자를 걸러내거나 배출을 방지하는 대기오염 방지 장치의 하나이다. 이들 여과집진기의 여과방식으로는 얇은 종이나 섬유 등의 여과재 표면에 먼지를 붙이는 표면여과방식과 유리섬유, 면섬유 같은 두꺼운 층의 여과재를 자루 모양이나 평판형으로 만든 여과포(濾過布), 즉 백필터의 섬유층 속에 먼지를 모으는 내부여과방식이 있다. 운전초기에는 여과재에 의해서만 먼지가 분리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여과재의 표면에 쌓이는 분진층이 여과체로서의 역할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이 분진층이 주 여과층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면서 포집효율은 상승하지만 동시에 가스 흐름을 방해하는 저항체로서 작용할 수 있다.
이 분야의 종래 기술을 찾아보면,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1495호 (등록일자: 2005년05월17일, 도 1 참조)가 있는데 이는 모두 탈진공기 저장조가 원통형 여과집진기 내부에 위치하고 탈진공기 저장조에 제어밸브를 부착하고 각 제어밸브에 탈진공기 분사노즐을 직접 연결한 후, 탈진공기 저장조를 원통형 집진기의 중심축을 회전축으로 하여 일정한 패턴으로 회전하며 탈진을 수행하는 방식에 관한 것이다.
이상의 종래기술은 탈진성능 측면에서는 장점을 갖고 있으나, 탈진 공기 저장조, 제어밸브가 여과집진기 내부에 위치하기 때문에 처리가스의 물성에 따라 적용에 한계를 갖는다는 단점이 있으며, 회전방식의 탈진장치 또한 원통형 집진기에 제한적으로 사용될 뿐만 아니라 내구성 및 높은 시설비용의 단점이 있다.
이러한 여과집진기는 보통 분진의 크기가 1.0㎛ 이상인 경우에는 99% 이상의 효율을 나타낸다. 이 장치에서 분진을 포집하는 원리는 충돌, 직접차단, 정전기력에 의한 표면침착, 확산 등의 복합적인 작용이다. 이러한 집진방식은 우수한 집진기술 중 하나로 여과재를 적절히 선택함에 따라 높은 효율을 얻을 수 있지만, 압력손실의 과부하로 인하여 여과재의 세공이 막히게 되면 여과재의 수명이 단축되며 운전비용 상승의 요인이 되기도 한다.
다시 말해, 여과조작이 진행됨에 따라 여과재에 포집되는 먼지층이 두꺼워지면서 여과재의 압력손실이 높아져 정상적인 운전이 불가능하게 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으로 인해 주기적인 탈진조작(cleaning)에 의해 여과재 표면에 포집되는 먼지를 털어 내야만 하는데, 이와 같은 탈진조작 시에 유입되는 함진가스의 먼지농도가 높거나 여과속도가 빠른 경우에는 먼지 자체의 성질로 인해 먼지층이 잘 털어지지 않거나 털어진 먼지가 인접한 여과재로 재유입되어 집진성능을 떨어뜨리는 문제점이 발생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은 탈진조작으로 재부착현상을 방지하면서 집진장치의 운전을 지속하기 위해 탈진조작의 빈도를 증가시키거나 탈진 강도를 증가시키는 등 과도한 탈진조작을 수행하게 되면, 여과재의 세공이 커지게 되어 집진효율이 떨어지게 되거나 여과재 자체가 마모 및 파손되어 수명이 단축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따라서, 상기 언급한 종래 기술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 필요한 실정이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491495호 (등록일자: 2005년05월17일)
본 발명의 목적은, 여과집진시설의 여과필터에 흡착된 수분성, 유분성, 점성 등의 분진과 가스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고, 종래 여과집진시설 필터의 한계를 개선하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발생, 폐기물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집진장치는, 일측에 여과 대상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유입부가 장착되고, 타측에 여과필터부를 통과한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가 장착된 집진장치로서, 내부에 소정 부피의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가스유입부에 의해 유입된 여과 대상 가스가 부유하는 제1공간과 여과필터부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부유하는 제2공간으로 분리된 구조의 집진본체부; 상기 집진본체부의 하부에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로부터 탈리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 상기 집진본체부의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넬부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제1공간 내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구가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의 여과필터부; 및 상기 집진본체부의 제2공간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의 중공형 구조 내부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의 외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거하여 이물질 배출부로 강제 낙하시키는 구조의 강제분진탈리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부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고, 중앙부부터 하방으로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구조이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망사 소재로 구성된 구조의 여과본체부; 상기 여과본체부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구조의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여과본체부의 상단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구조의 상부캡; 상기 여과본체부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구획판넬부에 안착되어 실링되는 구조의 상부패킹; 상기 여과본체부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의 겉망; 및 상기 여과본체부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의 속망;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진탈리부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집진본체부의 제2공간으로 진입하여 압축공기 분기라인에 전달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과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의 장착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압축공기 공급라인으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에 전달하는 압축공기 분기라인; 상기 압축공기 분기라인에 장착되고, 제어부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압축공기 분기라인과 분사노즐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구조의 밸브작동부; 상기 압축공기 분기라인과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의 상부로부터 여과필터부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진입한 구조이고, 압축공기 분기라인으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의 내측면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의 외측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분사노즐; 및 상기 집진본체부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와 무선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집진본체부의 제1공간과 제2공간 각각에 장착된 기압검출부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밸브작동부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진탈리부는, 상기 여과필터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여과필터부에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제공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진탈리부는, 상기 여과필터부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제어부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여과필터부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집진본체부, 이물질 배출부, 여과필터부 및 강제분진탈리부를 구비함으로써, 여과집진시설의 여과필터에 흡착된 수분성, 유분성, 점성 등의 분진과 가스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탈리시킬 수 있고, 종래 여과집진시설 필터의 한계를 개선하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발생, 폐기물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은 도 2에 도시된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기의 여과필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분진탈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부에 장착되는 진동제공부 및 가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00)는, 일측에 여과 대상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유입부(101)가 장착되고, 타측에 여과필터부(130)를 통과한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102)가 장착된 집진장치로서, 특정 구조의 집진본체부(110), 이물질 배출부(120), 여과필터부(130) 및 강제분진탈리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여과집진시설의 여과필터에 흡착된 수분성, 유분성, 점성 등의 분진과 가스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고, 종래 여과집진시설 필터의 한계를 개선하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발생, 폐기물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장치(100)를 구성하는 각 구성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3에는 도 2에 도시된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평면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4에는 도 2에 도시된 여과집진기를 나타내는 우측면도가 도시되어 있으며,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여과집진기의 여과필터부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또한,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강제분진탈리부를 나타내는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집진본체부(110)는, 내부에 소정 부피의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가스유입부(101)에 의해 유입된 여과 대상 가스가 부유하는 제1공간(111)과 여과필터부(130)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부유하는 제2공간(112)으로 분리된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이물질 배출부(120)는, 집진본체부(110)의 하부에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130)로부터 탈리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구조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부(130)는, 집진본체부(110)의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넬부(113)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제1공간 내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구가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과필터부(130)는 특정 구조의 여과본체부(131), 상부캡(132), 상부패킹(133), 겉망(134) 및 속망(135)을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여과필터부(130)의 여과본체부(131)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고, 중앙부부터 하방으로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구조이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망사 소재로 구성된 구조이다. 여과필터부(130)의 상부캡(132)은, 여과본체부(131)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구조의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여과본체부(131)의 상단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구조이다. 여과필터부(130)의 상부패킹(133)은, 여과본체부(13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구획판넬부(113)에 안착되어 실링되는 구조이다. 여과필터부(130)의 겉망(134)은, 여과본체부(131)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이다. 여과필터부(130)의 속망(135)은, 여과본체부(131)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강제분진탈리부(140)는, 집진본체부(110)의 제2공간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130)의 중공형 구조 내부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130)의 외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거하여 이물질 배출부(120)로 강제 낙하시키는 구조이다.
구체적으로, 강제분진탈리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정 구조의 압축공기 공급라인(141), 압축공기 분기라인(142), 밸브작동부(143), 분사노즐(144) 및 제어부(145)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강제분진탈리부(140)의 압축공기 공급라인(141)은,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집진본체부(110)의 제2공간으로 진입하여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에 전달할 수 있다. 강제분진탈리부(140)의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은, 압축공기 공급라인(141)과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여과필터부(130)의 장착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압축공기 공급라인(141)으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144)에 전달할 수 있다. 강제분진탈리부(140)의 밸브작동부(143)는,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5)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압축공기 분기라인(142)과 분사노즐(144)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구조이다. 강제분진탈리부(140)의 분사노즐(144)은, 압축공기 분기라인(142)과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여과필터부(130)의 상부로부터 여과필터부(13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진입한 구조이고,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으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130)의 내측면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130)의 외측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킬 수 있다. 또한, 강제분진탈리부(140)의 제어부(145)는, 집진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와 무선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집진본체부(110)의 제1공간과 제2공간 각각에 장착된 기압검출부(146)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밸브작동부(143)의 작동을 제어할 수 있다.
도 7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여과필터부에 장착되는 진동제공부 및 가열부를 나타내는 부분확대도가 도시되어 있고, 도 8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제어흐름을 나타내는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강제분진탈리부(140)는 특정 역할을 수행하는 진동제공부(147) 및 가열부(148)를 포함하는 구성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강제분진탈리부(140)의 진동제공부(147)는, 여과필터부(13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여과필터부(130)에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가할 수 있다.
강제분진탈리부(140)의 가열부(148)는, 여과필터부(13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여과필터부(130)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할 수 있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어부(145)는 제1공간(111)과 제2공간(112) 각각에 장착된 기압검출부(146)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기압차를 산출할 수 있다. 산출처리된 기압차 값이 기설정된 허용 범위를 초과할 경우 제어부(145)는 사용자의 스마트 디바이스를 통해 사용자 또는 운용 관리자에게 해당 내용을 보고하게 된다. 이때, 제어부(145)는 집진장치(100)의 가스유입부(101)를 통해 유입되는 가스를 차단한 후 집진본체부(110)의 내부 공간을 완전 밀폐 상태로 변경하게 된다. 이때, 가열부(148)를 작동시켜 여과필터부(130)를 기설정된 온도 범위 내로 가열한다. 기설정된 온도 범위 내로 가열된 여과필터부(130)의 외부면에 흡착된 수분성, 유분성, 점성 이물질들은 여과필터부(130)의 외부면으로부터 탈리되기 쉬운 상태로 변경된다. 이때, 진동제공부(147)를 작동시킴과 동시에 밸브작동부(143)를 작동시켜 여과필터부(130)의 외주면에 흡착되어 있던 이물질을 탈리시키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집진장치에 따르면, 특정 구조의 집진본체부(110), 이물질 배출부(120), 여과필터부(130) 및 강제분진탈리부(140)를 구비함으로써, 여과집진시설의 여과필터에 흡착된 수분성, 유분성, 점성 등의 분진과 가스 이물질을 물리적으로 탈착시킬 수 있고, 종래 여과집진시설 필터의 한계를 개선하며, 주기적으로 필터를 교체해야 하는 번거로움과 비용발생, 폐기물 발생 등을 해결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하는 집진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의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그에 따른 특별한 실시예에 대해서만 기술하였다. 하지만 본 발명은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특별한 형태로 한정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 및 설명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든지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며, 그와 같은 변형은 본 발명의 보호 범위 내에 있게 된다.
100: 집진장치
101: 가스유입부
102: 가스배출부
110: 집진본체부
111: 제1공간
112: 제2공간
113: 구획판넬부
120: 이물질 배출부
130: 여과필터부
131: 여과본체부
132: 상부캡
133: 상부패킹
134: 겉망
135: 속망
140: 강제분진탈리부
141: 압축공기 공급라인
142: 압축공기 분기라인
143: 밸브작동부
144: 분사노즐
145: 제어부
146: 기압검출부
147: 진동제공부
148: 가열부

Claims (5)

  1. 일측에 여과 대상 가스를 유입하는 가스유입부(101)가 장착되고, 타측에 여과필터부(130)를 통과한 정화된 가스를 배출하는 가스배출부(102)가 장착된 집진장치로서,
    내부에 소정 부피의 밀폐형 공간을 형성하고, 가스유입부(101)에 의해 유입된 여과 대상 가스가 부유하는 제1공간(111)과 여과필터부(130)에 의해 여과된 가스가 부유하는 제2공간(112)으로 분리된 구조의 집진본체부(110);
    상기 집진본체부(110)의 하부에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130)로부터 탈리된 이물질을 수거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이물질 배출부(120);
    상기 집진본체부(110)의 제1공간과 제2공간으로 분리하는 구획판넬부(113)에 탈부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고, 일정 간격 이격되어 다수 배치되며, 제1공간 내측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이며, 다수의 관통구가 전면에 걸쳐 연속적으로 형성된 구조의 여과필터부(130); 및
    상기 집진본체부(110)의 제2공간에 장착되고,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130)의 중공형 구조 내부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130)의 외주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거하여 이물질 배출부(120)로 강제 낙하시키는 구조의 강제분진탈리부(14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여과필터부(130)는,
    하방으로 소정 길이만큼 연장된 중공형 원기둥 구조이고, 중앙부부터 하방으로 점차 외경이 좁아지는 구조이며, 상단이 개방되고 하단이 밀폐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망사 소재로 구성된 구조의 여과본체부(131);
    상기 여과본체부(131)의 상단에 형성된 개방구조의 탈착 가능한 구조로 장착되어 여과본체부(131)의 상단을 개방하거나 밀폐하는 구조의 상부캡(132);
    상기 여과본체부(131)의 상단 테두리를 따라 연속적으로 형성되고, 측방으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된 구조이며, 구획판넬부(113)에 안착되어 실링되는 구조의 상부패킹(133);
    상기 여과본체부(131)의 외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의 겉망(134); 및
    상기 여과본체부(131)의 내측면을 감싸는 형태로 장착되고, 다수의 관통구가 형성된 구조이며, 스테인리스 소재로 구성된 망사형 구조의 속망(135);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진탈리부(140)는,
    외부로부터 제공되는 압축공기를 집진본체부(110)의 제2공간으로 진입하여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에 전달하는 압축공기 공급라인(141);
    상기 압축공기 공급라인(141)과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130)의 장착 위치와 동일한 위치에 배치되며, 압축공기 공급라인(141)으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를 분사노즐(144)에 전달하는 압축공기 분기라인(142);
    상기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에 장착되고, 제어부(145)로부터 전달된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압축공기 분기라인(142)과 분사노즐(144)을 연통시키거나 차단하는 구조의 밸브작동부(143);
    상기 압축공기 분기라인(142)과 연통되는 구조로 장착되고, 여과필터부(130)의 상부로부터 여과필터부(130)의 내측으로 소정 깊이만큼 진입한 구조이고, 압축공기 분기라인(142)으로부터 전달된 압축공기를 여과필터부(130)의 내측면에 분사하여 여과필터부(130)의 외측면에 흡착된 이물질을 탈리시키는 분사노즐(144); 및
    상기 집진본체부(110)의 일측에 장착되고, 사용자의 스마트디바이스와 무선연동되어 사용자로부터 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집진본체부(110)의 제1공간과 제2공간 각각에 장착된 기압검출부(146)로부터 획득한 데이터를 바탕으로 밸브작동부(143)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45);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진탈리부(140)는,
    상기 여과필터부(13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여과필터부(130)에 초음파 영역대의 진동을 가하는 진동제공부(147);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강제분진탈리부(140)는,
    상기 여과필터부(130)의 상단으로부터 내측면을 따라 하부면까지 연속적으로 장착되고, 제어부(145)의 제어신호에 의해 작동하여 여과필터부(130)를 기 설정된 온도로 가열하는 가열부(148);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집진장치.
KR1020220123655A 2022-09-28 2022-09-28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KR2024004460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55A KR20240044601A (ko) 2022-09-28 2022-09-28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655A KR20240044601A (ko) 2022-09-28 2022-09-28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601A true KR20240044601A (ko) 2024-04-05

Family

ID=907144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655A KR20240044601A (ko) 2022-09-28 2022-09-28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601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95B1 (ko) 2003-05-21 2005-05-27 이창언 회전펄스식 여과집진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91495B1 (ko) 2003-05-21 2005-05-27 이창언 회전펄스식 여과집진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14604B2 (ja) 大容量濾過集塵機の脱塵装置及び方法
US20100132153A1 (en) Cleanable filter system
CA1151081A (en) Bag-type filter apparatus with internal air diffuser
KR101688467B1 (ko) 분산부를 구비하는 사이클론형 백필터 집진기
EP3381537B1 (en) Filter systems with dirty air chamber spacer element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CA2066970C (en) Dust collector with re-entrainment prevention walls
CN203935739U (zh) 一种用于空气净化的装置
KR20170006088A (ko) 물을 이용한 공기청정기
KR100935548B1 (ko) 여과집진장치의 백필터 탈진용 분사 노즐 및 이를 장착한여과집진장치
KR102486688B1 (ko) 탈진부를 포함하는 여과집진기
TW201412375A (zh) 過濾模組及包含此模組的過濾系統
US4548623A (en) Perforated trough conditioning device
JPS6012886B2 (ja) 逆向き噴流清掃手段を備えた空気清掃装置
KR101623015B1 (ko) 재사용 효율이 높은 필터 시스템
US6280491B1 (en) Cartridge filter
KR20240044601A (ko) 카트리지형 유수분 제거 필터를 포함하는 집진장치
JPS645934B2 (ko)
US6056797A (en) Dust collector filter cleaning control system
JPH08192019A (ja) 逆洗機構付濾過装置
KR20040083565A (ko) 고효율 집진을 위한 재비산 및 재부착 방지 백필터 여과집진장치
KR200166130Y1 (ko) 폐가스 처리 시스템
KR100545265B1 (ko) 여과집진장치
KR100497001B1 (ko) 가스 스크러버용 백 필터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가스스크러버
RU2323034C1 (ru) Газопромыватель кочетова
KR20160051015A (ko) 집진 장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