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586A -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 Google Patents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586A
KR20240044586A KR1020220123517A KR20220123517A KR20240044586A KR 20240044586 A KR20240044586 A KR 20240044586A KR 1020220123517 A KR1020220123517 A KR 1020220123517A KR 20220123517 A KR20220123517 A KR 20220123517A KR 20240044586 A KR20240044586 A KR 2024004458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mmendation
unit
user
document
man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5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주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새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새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새임
Priority to KR10202201235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586A/ko
Publication of KR2024004458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586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3Document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1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06Clustering; Classif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90Details of database functions independent of the retrieved data types
    • G06F16/95Retrieval from the web
    • G06F16/953Querying, e.g. by the use of web search engines
    • G06F16/9535Search customisation based on user profiles and personali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10Text processing
    • G06F40/103Formatting, i.e. changing of presentation of docu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05Parsing
    • G06F40/211Syntactic parsing, e.g. based on context-free grammar [CFG] or unification gramma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68Morphological analysi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06F40/289Phrasal analysis, e.g. finite state techniques or chunking
    • G06F40/295Named entity recogni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부(10);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문자, 문장,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선호객체를 산출하는 선호 객체처리부(20);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에서 산출된 선호객체를 형태소, 어휘의미, 구문, 개체명에 따라 색인하여 색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추천어 저장부(3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웹브라우저에 입력된 키워드를 식별하여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어를 제공하는 추천어 추천부(40); 및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추천어를 노출하는 추천어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System for automatic document management}
본 발명은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근로자가 매우 용이하게 통일된 문서 양식에서 정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회사 입장에서는 그 관리가 용이한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서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은 업무의 효율화 등을 위해 다양한 형태의 문서와 자료를 그 생성부터 폐기에 이르기까지 전체 생명 주기에 걸쳐 일관성 있게 전자적으로 통합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을 말하는 것으로, 각종 전자 문서의 작성, 등록, 저장, 관리, 송수신, 조회 등을 지원하는 시스템이다.
현재 근로자의 정보는 대부분 비정형화되어 있는 실정이다. 근로자가 업무 시간 중 40%를 작업과 관계된 문서를 작성하거나 문서를 작성하기 위한 정보(컨텐츠)를 찾기 위해 소비하고 있다. 또한 80%의 기업 정보는 비정형(Un-structured) 정보이다. 또한 90%의 비정형 정보는 관리되고 있지 않다.
그리고 현재의 업무 프로세스는 대부분 비정형 프로세스이다. 업무 프로세스는 정해진 모델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때로는 근로자는 분산되어 있는 팀원들과의 협업을 필요로 하거나, 분산되어 있는 근로자가 작성하는 문서들의 형식적 일치화를 필요로 한다. 이때 관리되지 않고 있는 문서들은 그 형식이 제 각각이거나, 내용도 다르며, 또한 보안상의 위험에 노출되어 있다.
또한 단지 기업 자체의 관리만으로는 문서 작성의 자동과 및 관리를 할 수 없는 한계가 있다.
또한 비정형 정보는 시급한 관리를 필요로 한다. 시급히 관리되지 않고 있는 비정형 정보는 대략 매년 36%씩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모든 정보는 정해진 규칙에 의해 관리될 필요성이 있다. 이러한 규칙과 관련하여, 대략 16,000여개의 규정이 세계적으로 존재한다.
이와 같이 종래의 일반 문서 작성 및 관리 시스템은 수동 문서 등록에 기반한 것으로서, 개인 작성문서에 대한 회사 자산화가 불가능하고, 문서 등록작업의 불편으로 인한 시스템 사용이 저조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문서 공유의 비활성화로 인해 중복 저장이 심하고, 문서의 유출 등에 무방비 상태로 노출된 한계가 있었다.
따라서 종래의 일반 문서관리 시스템에서는 이러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지 못한 바, 이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근로자가 매우 용이하게 통일된 문서 양식에서 정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회사 입장에서는 그 관리가 용이한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함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가 상술한 과제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과제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부(10);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문자, 문장,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선호객체를 산출하는 선호 객체처리부(20);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에서 산출된 선호객체를 형태소, 어휘의미, 구문, 개체명에 따라 색인하여 색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추천어 저장부(3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웹브라우저에 입력된 키워드를 식별하여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어를 제공하는 추천어 추천부(40); 및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추천어를 노출하는 추천어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에 의하면, 근로자가 매우 용이하게 통일된 문서 양식에서 정확한 정보를 입력할 수 있고, 회사 입장에서는 그 관리가 용이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가 상술한 효과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언급되지 아니한 효과들은 본 명세서 및 첨부된 도면으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과거 이력을 반영한 문서 자동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개념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은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부(10);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문자, 문장,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선호객체를 산출하는 선호 객체처리부(20);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에서 산출된 선호객체를 형태소, 어휘의미, 구문, 개체명에 따라 색인하여 색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추천어 저장부(30);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웹브라우저에 입력된 키워드를 식별하여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어를 제공하는 추천어 추천부(40); 및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추천어를 노출하는 추천어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또, 작성된 문서를 하나의 정규화된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문서 변환부;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관심분야, 웹검색 이력 등을 기반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맞춤형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맞춤형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분류하는 빅데이터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다수 사용된 객체를 제 1선호도로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객체를 제 2선호도로 산출하여 상기 제 1선호도, 상기 제 2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 선호 객체를 산출할 수 있다.
또,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 및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의 작성 목적을 공식 문서 데이터 및 비공식 문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 EDMS에 대한 탐색기능을 수행하는 EDMS 탐색기를 관리하며, 기간시스템과의 첨부컨텐츠에 대한 연동처리를 수행하는 후킹 처리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 개념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략 구성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과거 이력을 반영한 문서 자동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개념도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보다 명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과 관련성이 떨어지거나 당업자로부터 용이하게 도출될 수 있는 부분은 간략화 하거나 생략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 개의 유닛이 2 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 개 이상의 유닛이 1 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먼저 본 발명은 각종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미리 정의된 관리기준과 분류체계에 의해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여 보안이 유지되면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문서를 적시에 작성할 수 있는 서비스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이러한 본 발명은 전사 EDMS(Electronic Document Management System) 어플리케이션의 그룹사 확대 적용으로 자료의 통합 저장 및 공유 기반을 구축하고자 한 것이다.
또한 전사 자료의 통합 저장소를 이용하여 저장/활용 및 기간시스템과의 연계를 통한 업무생산성을 증대시키고자 한 것이다.
그래서 전사 자료의 통합/공유 기반구축에 따라 통합 분류체계를 활용한 부서별 또는 프로젝트별 자료의 단일 저장소를 구축할 수 있고, 기존 자료의 이관을 통한 자료검색이 용이해지며, 체계적 권한에 따른 컨텐츠 보안체계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기간시스템 연계 및 효율적 업무 지원에 따라 단일 로그인에 의한 사용자 정보 연계 기능 등을 통해 편리하고 신속한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며, 웹 기반의 통합 화면으로 언제 어디서나 정보를 취득하여 업무의 편리성을 도모할 수 있게 되고, 전자결재 및 메일과의 EDMS 연계를 통한 문서 자료의 통합 저장이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EDMS(Enterprise Document Management System)란 본 발명에서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를 말하는 것으로서, 각종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형태(전자문서, 이미지, 동영상, 종이문서 등)의 컨텐츠를 미리 정의된 관리기준과 분류체계에 의해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여 보안이 유지되면서 근로자에게 필요한 문서를 적시에 제공할 수 있는 전사 기간 시스템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개념도이다.
그래서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는 각종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형태(전자문서, 이미지, 동영상, 종이문서 등)의 컨텐츠를 미리 정의된 관리기준과 분류체계에 의해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여 보안이 유지되면서 임직원에게 필요한 문서를 적시에 제공하도록 처리한다.
또한 SSO(Single Sign On)(210)는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와 계정 게이트웨이(230)를 통해 연결되고, LDAP 사용자 DB(220)와 연결되며, SSO(Single Sign On) 기능처리에 의해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 대한 일괄 로그인 처리를 수행한다.
여기서 SSO(Single Sign On, 단일 사용 승인) 기능이란 하나의 ID로 여러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는 기능을 말한다. 이는 여러 개의 사이트를 운영하는 대기업이나 인터넷 관련 기업이 각각의 회원을 통합 관리할 필요성이 생김에 따라 개발된 방식으로, 1997년 IBM이 개발하였으며 우리나라에는 2000년 코리아닷컴이 처음 도입하였다.
개인의 경우 사이트에 접속하기 위하여 아이디와 패스워드는 물론 이름, 전화번호 등의 개인정보를 각 사이트마다 일일이 기록해야 하던 것을 한 번의 작업으로 끝나므로 불편함이 해소되며, 기업에서는 회원에 대한 통합관리가 가능해 마케팅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LDAP 사용자 DB(220)는 SSO(210)와 연결되고, LDAP에 의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LDAP(Lightweight Directory Access Protocol)는 조직이나, 개체, 그리고 인터넷이나 기업 내의 인트라넷 등 네트워크 상에 있는 파일이나 장치들과 같은 자원 등의 위치를 찾을 수 있게 해주는 소프트웨어 프로토콜이다. LDAP는 DAP(Directory Access Protocol)의 경량판(코드의 량이 적다는 의미임)이며, 네트워크 내의 디렉토리 서비스 표준인 X.500의 일부이다.
또한 계정 게이트웨이(230)는 SSO(210)와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 사이에 위치하여 계정에 대한 게이트웨이 기능을 수행한다.
문서관리 사용자 DB(240)는 계정 게이트웨이(230)와 연결되고, 문서관리를 위한 사용자 정보를 저장하고 있다.
문서관리 DB(250)는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와 연결되어 필요한 문서 정보 등을 저장하고 있는 데이터베이스이다.
그래서 사용자는 사용자 단말기(300)를 이용하여 문서관리 DB(250)에 직접적인 접근은 할 수 없고, SSO(210)와 계정 게이트웨이(230)를 경유하여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 접속함으로서 문서관리 DB(250)에 저장된 문서들을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도 1과 같이, 본 발명에서는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가 SSO(210)와 통합 관리되도록 함으로서 별도의 로그인 절차를 거치지 않으며, 인사시스템과 연결시킬 경우 사용자 관리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는 포털(Portal)에 탭(Tab)으로 구성할 수 있기 때문에 별도의 웹을 통해 접속할 필요가 없고, 포털을 통해 접속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자동 문서관리 서버의 개략 블록도이다.
그래서 제어부(210)는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서 업무 수행 중 발생하는 컨텐츠(전자문서, 이미지, 동영상, 종이문서 등을 포함한 온라인 및 오프라인의 다양한 형태의 문서)를 미리 정의된 관리기준과 분류체계에 의해 체계적이고 일관성 있게 관리하도록 제어하고, 컨텐츠에 대한 보안 처리를 수행한다.
관리기능 처리부(12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프로파일 관리, 권한 관리, 이력 관리, 버전 관리, 협업 관리, 검색 관리 중에서 하나 이상의 관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관리기능 처리부(120)는 프로파일 관리부(121), 권한 관리부(122), 이력 관리부(123), 버전 관리부(124), 협업 관리부(125), 검색 관리부(126)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또한 후킹(Hooking) 처리부(130)는 제어부(110)의 제어를 받고,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서 문서작성을 할 수 있도록 하는 문서작성기를 관리하고, EDMS(Enterprise Document Management System)인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 대한 탐색기능을 수행하는 EDMS 탐색기를 관리하며, 기간시스템과의 첨부컨텐츠에 대한 연동처리를 수행한다. 이를 위해 후킹 처리부(130)는 문서작성기 관리부(131), EDMS 탐색기 관리부(132), 기간시스템 첨부연동부(133)를 포함하여 구성할 수 있다.
후킹 처리부(130)의 문서작성기 관리부(131)는 문서작성기에서의 열기와 닫기의 후킹 이벤트를 처리한다. 후킹 이벤트 중 "열기" 수행시에는 EDMS문서함/Local 열기 선택 창 호출하여 EDMS문서함 선택시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서 문서관리 DB(250)를 호출하여 처리하도록 한다. 또한 후킹 이벤트 중 "닫기" 수행시 에는 반출된 문서를 닫기 수행에 의해 자동 문서관리 서버(100)에 반입되도록 호출한다.
또한 EDMS 탐색기 관리부(132)는 반출과 반입의 후킹 이벤트를 처리한다. 후킹 이벤트 중 "반출" 수행시에는 문서 더블클릭에 의해 읽기모드/편집모드 선택하도록 한다. 또한 "반출" 수행시에는 읽기모드 선택에 의해 읽기 오픈(Open)을 수행한다. 또한 "반입" 수행시에는 편집 저장(Checkin)을 할 때 문서를 체크인(Checkin)한 후 로컬 파일을 삭제하고, 편집 취소(Cancel)를 할 때는 체크아웃(Checkout)을 취소한 후 로컬 파일을 삭제한다.
또한 기간시스템 첨부연동부(133)는 첨부클릭의 후킹 이벤트를 처리한다. 그래서 "첨부클릭"이 있으면, 파일 첨부 시 후킹(Hooking)에서 EDMS 문서함을 호출하고, 문서 선택 후 PC에 파일 다운로드 후 파일 경로 리턴(Path Return)을 수행하며, 파일 경로(Path)를 메일/결재 화면에 전달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의 과거 이력을 반영한 문서 자동 작성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개념도이다.
도 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과거이력 기반 문서 작성/관리의 자동화 시스템(100)은 데이터 수집부(10), 선호 객체처리부(20), 추천어 저장부(30), 추천어 추천부(40), 추천어 출력부(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는,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수집하여 이를 바탕으로 빅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는 과거에 작성한 문서, 블로그, 커뮤니티, 기타 웹상에서 상기 사용자가 사용한 단어, 문장, 어휘, 기호 등을 수집하거나, 논문, 논설, 기사, 독후감, 에세이, 일기 등 기타 문서를 작성 시 사용된 이력을 수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는, 사용자가 작성한 문서뿐만 아니라 타 사용자의 게시물에 대하여 상기 사용자가 호감을 표시하고 열람한 이력과 사용자의 교육과정 이력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과거이력 기반 문서 작성/관리의 자동화 시스템(100)은 프로그램 형태로 사용자 단말기에 설치되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과거이력 기반 문서 작성/관리의 자동화 시스템(100)은 상기 사용자 단말기의 쿠키(cookie) 정보를 이용하여 사용자별로 검색, 작성 빈도의 순에 따라 소정 개수의 리스트를 추출할 수도 있다.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문자, 문장,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선호 객체를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 설정된 기간 동안 다수 사용된 객체를 제 1선호도로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객체를 제2선호도로 산출하여 상기 제 1선호도, 상기 제 2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 선호 객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과거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단어, 문장, 어휘, 기호 등을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제공받은 데이터에 근거하여 사용자별 객체 패턴을 산출하는 구성이다. 여기서 객체 패턴이란 사용자의 문체 성향을 제시하는 하나의 지표로서, 소정 시기 내지 일정 기간 동안 검색 또는 작성 빈도를 확인할 수 있는 통계 분석 결과이다.
실시례로,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는 기설정된 기간 동안 다수 사용된 객체를 제 1선호도로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객체를 제 2선호도로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주별, 월별, 년별로 설정한 기간 동안 상기 사용자가 "단어"또는"문장"또는"결과"등의 키워드를 다수 사용하였다면, 이를 상기 제 1선호도로 산출하여 작성 빈도에 따라 리스트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사용자가 특정 단어, 문장, 기호, 사자성어, 명언, 전문용어 등을 선택하여 제 2선호도로 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맹모삼천"이라는 사자성어 또는"창의성의 비밀은 자신의 창의력의 원천을 숨길 줄 아는 것이다"라는 명언 키워드를 직접 지정하여 이를 상기 제 2선호도로 산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 1선호도, 상기 제 2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선호 객체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는,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20)에서 산출된 선호객체를 형태소, 어휘의미, 구문, 개체명에 따라 색인하여 색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형태소는 문장에서 의미를 가진 최소 단위인 형태소(명사, 동사, 형용사, 부사, 조사, 어미 등)을 구분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어휘의미는 동음이의어, 다의어 등 어휘의 형태는 동일하지만 의미가 다른 어휘에 대해서 의미를 분석하여 주변 문맥을 고려해서 가장 적합한 의미를 찾아 표준국어대사전을 기반으로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구문은 문장의 구조를 분석하여 문장 내 각 어절에 대해서 지배소 어절을 인식하고, 주격, 목적격과 같은 세부 의존관계 유형을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다.
상기 개체명은 인명, 지명, 기관명 등과 같은 개체명을 인식하여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10)로부터 수집된 데이터에 대하여, 상기 데이터가 정보전달 목적의 데이터인지, 사용자의 감상을 담은 데이터인지, 공식문서인지, 비공식문서인지 등 인공지능을 이용한 문장 및 키워드 분석으로 데이터를 종류에 따라 분류할 수 있다.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는, 웹브라우저에 입력된 상기 사용자 입력 키워드를 식별하여 상기 추천어 저장부(30)로부터 상기 사용자 입력 키워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가 상기 추천어 저장부(30)의 데이터에 포함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상기 키워드를 포함하는 최적의 문장 또는 적절한 표현 등을 다수개 생성하여 추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사용자가 특정 키워드를 입력하면 그에 따른 문장 추천, 해당 키워드를 포함하는 문서에서 작성한 문장, 용어, 키워드 등의 전문용어를 추천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사용자가 문서 작성 시 적절한 표현이 생각나지 않을 때, 해당 키워드를 입력하면 이에 대응하는 적절한 표현이나 전문 용어, 사전적 용어들을 추천하여 문서 작성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는, 상기 사용자가 키워드를 입력하는 것에 대응하여 상기 추천어를 실시간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하여 문장을 일일히 타이핑 해야하는 번거로움을 해소하고 문서 작성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는, 공식문서와 비공식문서에서 사용하는 표현들을 구분하여 추천할 수 있다.
상기 데이터 수집부(10)에서 수집한 사용자의 과거 이력 문서들을 공식문서와 비공식문서로 분류하여, 공식문서 작성시에는 공식문서들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표현 등을 가중치 부여하여 추천하고, 비공식문서 작성시에는 비공식문서들에 빈번하게 사용되는 표현 등을 가중치 부여하여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어 추천부(40)가 제공하는 상기 추천어에는 기호와 특수문자가 포함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데이터 수집부(10)에서 제공받은 데이터에 섭씨온도 기호(°C)가 다수 포함되어있다면, 문서 작성 중 사용자가 숫자 키워드를 입력했을 때, 섭씨온도 기호(°C)를 추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는 사용자가 자주 사용하는 글꼴 서식도 추천할 수 있다.
상기 글꼴 서식에는 글꼴, 기울기, 굵기, 자간, 폰트 크기, 들여쓰기, 밑줄 기능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추천어 출력부(50)는,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추천어를 노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추천어 추천부(40)로부터 제공 받은 다수개의 추천어를 상기 사용자가 비교하여 해당 키워드에 대응하는 단어나 문장, 어휘, 기호 등을 직접 선택하여 출력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0: 데이터 수집부
20: 신호 객체처리부
30: 추천어 저장부

Claims (5)

  1.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는 데이터 수집부;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단어, 문자, 문장, 기호 중 적어도 하나를 식별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 상기 사용자의 선호도를 반영하여 선호객체를 산출하는 선호 객체처리부;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에서 산출된 선호객체를 형태소, 어휘의미, 구문, 개체명에 따라 색인하여 색인별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추천어 저장부;
    상기 사용자에 의해 웹브라우저에 입력된 키워드를 식별하여 상기 추천어 저장부로부터 상기 사용자가 입력한 키워드와 연관된 적어도 하나의 추천어를 제공하는 추천어 추천부; 및
    상기 추천어 추천부로부터 제공된 다수의 추천어를 노출하는 추천어 출력부;를 포함하는,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작성된 문서를 하나의 정규화된 문서 형식으로 변환하는 문서 변환부;
    상기 사용자의 성별, 나이, 직업, 관심분야, 웹검색 이력 등을 기반으로 정보를 수집하는 맞춤형 정보 수집부; 및
    상기 맞춤형 정보 수집부로부터 수집된 정보 데이터를 기반으로 분석하여 분류하는 빅데이터 정보 분석부;를 더 포함하는,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호 객체처리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로부터 제공받은 상기 사용자 과거 이력 데이터를 분석하여 기설정된 기간동안 다수 사용된 객체를 제 1선호도로 산출하고, 상기 사용자가 지정한 특정 객체를 제 2선호도로 산출하여 상기 제 1선호도, 상기 제 2선호도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최종 선호 객체를 산출하는,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추천어 저장부는,
    상기 데이터 수집부에서 수집된 데이터에 포함된 문장 및 키워드를 분석하여 상기 데이터의 작성 목적을 공식 문서 데이터 및 비공식 문서 데이터 중 적어도 어느 하나로 구분하여 저장하는,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EDMS에 대한 탐색기능을 수행하는 EDMS 탐색기를 관리하며, 기간시스템과의 첨부컨텐츠에 대한 연동처리를 수행하는 후킹 처리부;를 더 포함하는,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KR1020220123517A 2022-09-28 2022-09-28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KR2024004458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517A KR20240044586A (ko) 2022-09-28 2022-09-28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517A KR20240044586A (ko) 2022-09-28 2022-09-28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586A true KR20240044586A (ko) 2024-04-05

Family

ID=907143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517A KR20240044586A (ko) 2022-09-28 2022-09-28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586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632251B1 (en) Document producing support system
US10114821B2 (en) Method and system to access to electronic business documents
US7194677B2 (en) Method and system to convert paper documents to electronic documents and manage the electronic documents
US7392254B1 (en) Web-enabled transaction and matter management system
US20020138297A1 (e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analyzing intellectual property information
US8478993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creating presentations
US6654788B1 (en) Method and apparatus insuring regulatory compliance of an enterprise messaging system
US20090281853A1 (en) Legal Instrument Management Platform
US20070283267A1 (en) Document management system having automatic notifications
US20080082568A1 (en) System and method for managing and utilizing information
EP2084620A1 (en) Document processor and associated method
US20040261025A1 (en) Method and system of providing secure on-line access to a database of documents
WO1999017242A2 (en) On-line recruiting system with improved candidate and position profiling
Montesi et al. Classifying web genres in context: A case study documenting the web genres used by a software engineer
US778848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ing and creating presentations
RU2549515C2 (ru) Способ выявления персональных данных открытых источников неструктурированной информации
KR20240044586A (ko) 문서 작성 및 관리의 자동화 시스템
US74409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decomposing and categorizing organizational information
US20080281822A1 (en) Interactive System For Building, Organising, and Sharing One's Own Databank of Works of Literature in one or More Languages
JP5046634B2 (ja) 情報検索システム
Courter et al. Mastering Microsoft Office 2003 for Business Professionals
Leith et al. Management: the law office
Sagi SharePoint 2007 how-to
Asprey et al. Characteristics of Enterprise Document Environments
Tables et al. Admin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