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4069A - Non-woven connection method - Google Patents

Non-woven connection method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4069A
KR20240044069A KR1020220123357A KR20220123357A KR20240044069A KR 20240044069 A KR20240044069 A KR 20240044069A KR 1020220123357 A KR1020220123357 A KR 1020220123357A KR 20220123357 A KR20220123357 A KR 20220123357A KR 20240044069 A KR20240044069 A KR 202400440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nwoven fabric
fabric
nonwoven
cut portion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335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이명
장석
유다영
김원
노상현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to KR10202201233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4069A/en
Publication of KR202400440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4069A/en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HMARKING, INSPECTING, SEAMING OR SEVERING TEXTILE MATERIALS
    • D06H5/00Seaming textile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06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 D10B2401/063Load-responsive characteristics high strength

Abstract

부직포 연결 방법은 제1 부직포의 일 단부와 제2 부직포의 일 단부가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제1 부직포의 일 단부와 제2 부직포의 일 단부가 중첩하는 중첩 영역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제2 부직포의 일 단부를 제1 부직포의 일 단부에 형성된 절개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제1 부직포와 제2 부직포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단계를 포함한다.The nonwoven connecting method includes arranging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to overlap, forming an incision in the overlapping area wher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overlap, 2. Inserting one end of the nonwoven fabric into a cut formed in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pulling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in opposite directions.

Description

부직포 연결 방법{NON-WOVEN CONNECTION METHOD}Non-woven connection method {NON-WOVEN CONNECTION METHOD}

본 발명은 부직포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내열성을 향상시킨 부직포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necting nonwoven fabrics. More specificall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connecting nonwoven fabrics with improved heat resistance.

부직포는 방적, 제직, 편성에 의한 공정 없이 섬유집합체를 화학적 작용이나 기계적 작용 또는 적당한 수분과 열처리에 의해 섬유 상호간을 결합하여 포 형상을 가지도록 제조한 섬유제품이다. 특히, 연사, 제직, 편직 등의 공정 없이도 각종 섬유를 상호 특성에 따라 엉키게하여 웹(Web)을 형성한 후 기계적 방법 또는 물리적 방법을 이용하여 결합시킴으로써 섬유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Nonwoven fabric is a textile product manufactured to have a fabric shape by bonding fiber aggregates to each other through chemical or mechanical action or appropriate moisture and heat treatment without spinning, weaving, or knitting processes. In particular, it has the characteristic of producing textile products by entangling various fibers according to their mutual characteristics to form a web and then combining them using mechanical or physical methods without processes such as twisting, weaving, or knitting.

부직포는 부직포로 사용하는 원료의 종류, 웹의 생성과 결합 방법, 접착제 종류 등에 의하여 다양한 성질을 나타낼 수 있고, 대표적으로는 의류용 패딩재, 방음시트, 유리섬유매트로 사용 가능한 단열/방음성, 열 성형에 용이한 성형성, 미세한 다밀성 구조로 인한 흡수성, 전서용 피복재료로 이용 가능한 절연성, 정전기를 방지할 수 있는 방전성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섬유가 불규칙하게 배열되어 있어 방향에 따른 성질의 차이가 적고, 외관 및 촉감이 다양한 섬유 제품을 생산할 수 있으며, 두께를 자유롭게 변경시킬 수 있고, 주름이 생기지 않는 다양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이에 최근에는 사용 범위가 확대되어, 의류용,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용, 자동차 내외장재용, 각종 칸막이 보드용 등으로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Nonwoven fabrics can exhibit various properties depending on the type of raw materials used, web creation and bonding methods, adhesive types, etc. Representative examples include thermal/soundproofing and heat insulation that can be used as padding material for clothing, soundproofing sheets, and glass fiber mats. It is known to have easy molding properties, absorbency due to its fine dense structure, insulating properties that can be used as a covering material for electronics, and discharging properties that can prevent static electricity. In addition, since the fibers are arranged irregularly, there is little difference in properties depending on the direction, it is possible to produce textile products with various appearances and textures, the thickness can be freely changed, and it has various advantages such as no wrinkles. Accordingly, the scope of use has recently expanded, and it is widely used in various industrial fields such as clothing, construction, sandwich panels, automobile interior and exterior materials, and various partition boards.

이러한 부직포의 제조 방법은 웹의 형성 방식에 따라 습식법, 건식법으로 나뉘며, 형성된 웹의 결합 방식에 따라 니들 펀칭법(Needle punching), 열접착법(Thermal bonding), 멜트블로법, 스핀레이스법, 스테치본드법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se nonwoven fabrics is divided into wet method and dry method depending on the method of forming the web, and needle punching, thermal bonding, melt blow method, spin lace method, and stitch depending on the method of joining the formed web. It can be divided into bond methods, etc.

부직포는 다양한 사이즈로 제작된 후 서로 연결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때, 부직포를 연결하는 방법으로는 열 접착 방법 또는 테이프 부착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열 접착 방법은 부직포 소재가 두꺼울 경우 열을 가하는 시간과 압력이 과하게 발생하고, 접착부에 대한 불량이 발생할 확률이 높은 단점이 있다. 테이프 부착 방법은 열 접착에 비해 비교적 간단한 공정이기는 하지만, 고온에서 인장 강도가 낮아지는 단점이 있다.Nonwoven fabrics can be manufactured in various sizes and then connected to each other for use. At this time, a heat bonding method or a tape attachment method may be used as a method for connecting the nonwoven fabric. Thermal bonding method has the disadvantage that if the non-woven material is thick, the heat application time and pressure are excessive, and there is a high probability of defects in the bonded area. Although the tape attachment method is a relatively simple process compared to heat bonding, it has the disadvantage of lowering tensile strength at high temperatures.

따라서, 부직포를 연결하는 방법 대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 on methods for connecting nonwoven fabrics is in progress.

일본공개특허 제1994-123061호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1994-123061

실시예들에 따른 본 발명의 목적은 고온에서도 높은 인장 강도를 갖고, 열과 압력을 가할 필요가 없으며, 제조 시간이 단축된 부직포 연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embodiments is to provide a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that has high tensile strength even at high temperatures, does not require applying heat and pressure, and has a shortened manufacturing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은 제1 부직포의 일 단부와 제2 부직포의 일 단부가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가 중첩하는 중첩 영역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를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직포와 상기 제2 부직포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nonwoven connec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includes arranging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to overlap, th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forming a cut in an overlapping area where the one end overlaps, inserting the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into the cutout formed in th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It may include the step of pulling the nonwoven fabric in opposite directions.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선들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선들은 상기 제1 부직포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부직포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가질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cut portion is formed of a pair of lin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the pair of lines has a first wid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is disposed, and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is disposed. It may have a second width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펀칭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incision may be formed by punching.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는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may be disposed on the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중첩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될 수 있다.In embodiments, a plurality of incisions may be formed in the overlapping area.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중첩 영역에서 가상의 선을 따라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incisions may be formed straight along an imaginary line in the overlapping area.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중첩 영역에서 가상의 선들을 따라 일자로 형성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incisions may be formed straight along imaginary lines in the overlapping area.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중첩 영역에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incisions may be formed in a zigzag pattern based on an imaginary line in the overlapping area.

실시예들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 및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중첩할 수 있다.In embodiments, the cut portion may be formed on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respectively, and may overlap each oth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은 부직포에 절개부를 형성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부직포를 절개부에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고온에서도 높은 인장 강도를 갖고,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이 가해질 필요가 없고, 제조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The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orms a cut in the non-woven fabric and connects it by inserting different non-woven fabrics into the cut, so that it has high tensile strength even at high temperatures and does not require heat and pressure to be appli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There is no, and the time tak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에 의해 연결된 부직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
1 is a diagram showing a nonwoven fabric connected by a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nlarged example of area 'A' in Figure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rea 'A' of FIG. 1 is enlarged.
Figures 4 to 9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to facilitate understanding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서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usual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may appropriately define the concept of terms in order to explain his or 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with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i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에 의해 연결된 부직포를 나타내는 도면이다.1 is a diagram showing a nonwoven fabric connected by a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는 일부가 중첩된 상태에서 절개부를 형성하여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부직포(100)의 일 단부와 제2 부직포(200)의 일 단부가 서로 중첩하는 영역을 중첩 영역(CA)으로 정의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기로 한다.Referring to FIG. 1,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forming a cut portion in a partially overlapping state. The area wher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overlap each other may be defined as an overlap area (CA). The incision por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described later.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 각각은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리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는 상기 폴리에스테르계 섬유 외에도 다양한 물질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는 나일론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포함할 수 있는 물질들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Each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include polyester fibers. The polyester-based fiber may be any one or mor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polybutylene terephthalate,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further include various materials in addition to the polyester fibers. For example,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further include nylon.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materials that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contain are not limited thereto.

도 2는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2 is a diagram showing an enlarged example of area 'A' in Figure 1.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에는 절개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3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의 절개부들(300)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하나의 절개부(300)가 사이즈를 크게 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a cut portion 3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There may be one or more incisions 300. For example, a plurality of incisions 300 may be formed to secure the coupling force, or one incision 300 may be formed in an enlarged size.

절개부(300)는 한 쌍의 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선들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1 폭(D1)을 가질 수 있고,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D1)은 제2 폭(D2)보다 클 수 있다.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폭이 좁아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The incision 30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lines. The pair of lines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cut portion 300 may have a first width D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s disposed, and may have a second width D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The first width D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D2. The cutout portion 300 may have a shape whose width becomes narrower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s dispos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절개부(300)는 중첩 영역(CA)에서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중첩된 상태에서 한 번에 절개부(300)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1 부직포(100)의 절개부 및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ision 300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o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n the overlap area CA. Since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form the cut portion 300 at once in an overlapping state, the cut portion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cut portion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are They may have the same size and overlap each other.

중첩 영역(CA)에서 제1 부직포(100)는 제2 부직포(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부직포(200)는 제1 부직포(300)에 형성된 절개부(300)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300)가 제1 부직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n the overlap area CA. However,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cut portion 300 formed in the first nonwoven fabric 300, and through this, the cut portion 300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t can be placed on top.

이와 같이,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300)가 제1 부직포(100)의 절개부(300)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결합될 경우, 부직포 연결 방법은 고온에서도 테이프 접착 방식에 비해 개선된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고, 열 접착 방식에 비해 감소된 제조 시간 및 뛰어난 접착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ut portion 300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inserted through the cut portion 300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so that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can be combined. there is. Whe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are combined in this way, the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can have improved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tape bonding method even at high temperatures, and the manufacturing time is reduced compared to the heat bonding method. and can have excellent adhesive stability.

도 3은 도 1의 'A' 영역을 확대한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FIG. 3 is a diagram showing another embodiment in which area 'A' of FIG. 1 is enlarged.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에는 절개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 절개부(300)는 하나 이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력을 확보하기 위해 복수의 절개부들(300)이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고, 하나의 절개부(300)가 사이즈를 크게하여 형성되어 있을 수도 있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3, a cut portion 300 may be formed i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There may be one or more incisions 300. For example, a plurality of incisions 300 may be formed to secure bonding force, or one incision 300 may be formed in an enlarged size.

절개부(300)는 한 쌍의 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선들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1 폭(D1)을 가질 수 있고,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2 폭(D2)을 가질 수 있다. 제1 폭(D1)은 제2 폭(D2)보다 클 수 있다.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 사이에서 단차를 가지며 계단식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The incision 30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lines. The pair of lines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cut portion 300 may have a first width D1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s disposed, and may have a second width D2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The first width D1 may be larger than the second width D2. The cut portion 300 may be formed in steps with a step betwe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s dispos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절개부(300)는 중첩 영역(CA)에서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에 동시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중첩된 상태에서 한 번에 절개부(300)를 형성하기 때문에, 제1 부직포(100)의 절개부 및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는 서로 동일한 크기를 갖고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The incision 300 may be formed simultaneously o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n the overlap area CA. Since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form the cut portion 300 at once in an overlapping state, the cut portion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cut portion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are They may have the same size and overlap each other.

중첩 영역(CA)에서 제1 부직포(100)는 제2 부직포(2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만, 제2 부직포(200)는 제1 부직포(300)에 형성된 절개부(300)에 삽입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300)가 제1 부직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may be disposed on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n the overlap area CA. However,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cut portion 300 formed in the first nonwoven fabric 300, and through this, the cut portion 300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t can be placed on top.

이와 같이,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300)가 제1 부직포(100)의 절개부(300)를 통해 삽입됨으로써,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가 결합될 경우, 부직포 연결 방법은 테이프 접착 방식에 비해 개선된 인장 강도를 가질 수 있고, 열 접착 방식에 비해 감소된 제조 시간 및 뛰어난 접착 안정성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cut portion 300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inserted through the cut portion 300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so that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can be combined. there is. Whe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are combined in this way, the nonwoven connecting method can have improved tensile strength compared to the tape adhesive method, reduced manufacturing time and superior performance compared to the heat bonding method. It can have adhesive stability.

도 4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을 나타내는 도면들이다.Figures 4 to 9 are diagrams showing a method of connecting nonwoven fabric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부직포 연결 방법은 제1 부직포(100)의 일 단부 및 제2 부직포(200)의 일 단부가 서로 중첩하게 배치되는 중첩 영역(CA)을 갖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제1 부직포(100)의 일 단부는 제2 부직포(200)의 일 단부 상에 배치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 4, the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may be arranged so that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have an overlap area (CA)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At this tim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may be disposed on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도 4 및 도 5를 함께 참조하면, 부직포 연결 방법은 중첩 영역(CA)에 절개부(300)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00)의 형성은 펀칭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다만, 이 외에도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를 절개할 수 있는 방법이면 다른 방법들도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를 동시에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에 동일한 크기로 중첩하게 형성될 수 있다. Referring to FIGS. 4 and 5 together, the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may form a cut portion 300 in the overlapping area (CA). Formation of the incision 300 may be performed by punching. However, other methods may also be used as long as they can cut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The cut portion 300 may be formed to penetrate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at the same time. Accordingly, the cut portion 300 may be formed to overlap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with the same size.

절개부(300)는 한 쌍의 선들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선들은 서로 대칭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절개부(300)는 제1 부직포(100)가 배치된 방향과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서로 다른 폭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한 쌍의 선들은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에서 더 좁은 폭을 가질 수 있고, 제1 부직포(100)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2 부직포(200)가 배치된 방향으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폭이 줄어드는 영역도 포함할 수 있다.The incision 300 may be composed of a pair of lines. The pair of lines may have a structure that is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cut portion 300 may have different widths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s disposed and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For example, a pair of lines may have a narrower wid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and extend from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is disposed to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is disposed. It can also include areas whose width gradually decreases.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부직포(200)의 절개부(300)를 제1 부직포(100)의 절개부(300)로 삽입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부직포(200)의 일부가 제1 부직포(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후, 제1 부직포(100) 및 제2 부직포(200)를 서로 반대 방향으로 잡아당길 수 있다. 이에 따라, 중첩 영역(CA)의 너비는 줄어들 수 있다.Referring to FIGS. 6 and 7 , the cut portion 300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inserted into the cut portion 300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ccordingly, a portion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disposed on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Thereafter,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may be pulled in opposite directions. Accordingly, the width of the overlap area (CA) may be reduced.

도 4 내지 도 7은 절개부들(300)이 가상의 선을 따라 일자로 형성되는 실시예로 설명이 진행되었지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절개부들(300)은 다르게 형성될 수도 있다.4 to 7 have been described as an embodiment in which the cut portions 300 are formed straight along an imaginary line, but this is an example and the cut portions 300 may be formed differently.

예를 들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부들(300)은 복수의 가상의 선들을 따라 일자로 형성될 수도 있고,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될 수도 있다. 즉, 제1 부직포(100)와 제2 부직포(200)를 연결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절개부(300)가 형성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the incisions 300 may be formed straight along a plurality of imaginary lines, or as shown in FIG. 9, they may be formed in a zigzag pattern based on the imaginary lines. It may be possible. That is, the cut portion 300 can be formed in various shapes within a range that can connect the first nonwoven fabric 100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20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부직포 연결 방법은 부직포(100, 200)에 절개부(300)를 형성한 상태에서 서로 다른 부직포(100, 200)를 절개부(300)에 삽입하여 연결함으로써, 고온에서도 높은 인장 강도를 갖고, 제조하는 과정에서 열과 압력이 가해질 필요가 없고, 제조 과정에서 걸리는 시간도 단축될 수 있다.As such, the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nvolves forming a cut portion 300 in the non-woven fabrics 100 and 200 and inserting different non-woven fabrics 100 and 200 into the cut portion 300 to connect them. By doing so, it can have high tensile strength even at high temperatures, heat and pressure do not need to be applied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and the time taken during the manufacturing process can be shortened.

이상에서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limited examples and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ollowing description will be provid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are possible within the scope of equivalence of the patent claims.

100: 제1 부직포
200: 제2 부직포
300: 절개부
D1, D2: 제1 폭 및 제2 폭
CA: 중첩 영역
100: first nonwoven fabric
200: second nonwoven fabric
300: incision
D1, D2: first width and second width
CA: overlapping area

Claims (9)

제1 부직포의 일 단부와 제2 부직포의 일 단부가 중첩하도록 배치하는 단계;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와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가 중첩하는 중첩 영역에 절개부를 형성하는 단계;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를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에 형성된 상기 절개부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부직포와 상기 제2 부직포를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잡아당기는 단계를 포함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rranging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to overlap;
Forming a cut in an overlapping area where th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the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overlap;
Inserting the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into the cutout formed in th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A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comprising the step of pulling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the second nonwoven fabric in opposite directions.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서로 대칭되는 한 쌍의 선들로 형성되고,
상기 한 쌍의 선들은 상기 제1 부직포가 배치된 방향에서 제1 폭을 갖고, 상기 제2 부직포가 배치된 방향에서 상기 제1 폭보다 작은 제2 폭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The incision is formed by a pair of lines that are symmetrical to each other,
The pair of lines has a first wid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first nonwoven fabric is disposed, and a second width that is smaller than the first width in the direction in which the second nonwoven fabric is disposed.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펀칭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non-woven fabric connec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 is formed by punching.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는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 상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connecting a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is disposed on the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중첩 영역에 복수 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connecting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a plurality of incisions are formed in the overlapping are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중첩 영역에서 가상의 선을 따라 일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A method of connecting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s are formed straight along an imaginary line in the overlapping are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중첩 영역에서 가상의 선들을 따라 일자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A nonwoven connecting method,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s are formed straight along imaginary lines in the overlapping area.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들은 상기 중첩 영역에서 가상의 선을 기준으로 지그재그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use 5,
A method of connecting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incisions are formed in a zigzag pattern based on an imaginary line in the overlapping area.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개부는 상기 제1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 및 상기 제2 부직포의 상기 일 단부에 각각 형성되고, 서로 중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부직포 연결 방법.
According to claim 1,
A method of connecting non-woven fabric, characterized in that the cut portion is formed at one end of the first non-woven fabric and one end of the second non-woven fabric, respectively, and overlaps each other.
KR1020220123357A 2022-09-28 2022-09-28 Non-woven connection method KR20240044069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57A KR20240044069A (en) 2022-09-28 2022-09-28 Non-woven connection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3357A KR20240044069A (en) 2022-09-28 2022-09-28 Non-woven connection method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4069A true KR20240044069A (en) 2024-04-04

Family

ID=90637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3357A KR20240044069A (en) 2022-09-28 2022-09-28 Non-woven connection method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4069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061A (en) 1992-10-09 1994-05-06 Kuraray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sheetlike material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123061A (en) 1992-10-09 1994-05-06 Kuraray Co Ltd Method for connecting sheetlike material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10922B2 (en) Hydroengorged spunmelt nonwovens
US8133568B2 (en) Die cut insulation blanket
US20060008616A1 (en) Insulation material including extensible mesh material from fibrous material
US5396689A (en) Process for obtaining a composite textile structure based on nonwoven fibrous sheets
US20030077969A1 (en) Sound absorption material having excellent moldability
WO2005021850A1 (en) Potential crimping composite fiber and method for production thereof, and fiber aggregate, and nonwoven fabric
JP2007146356A (en)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JP3968648B2 (en) Sound absorbing material
KR20240044069A (en) Non-woven connection method
RU2357028C2 (en) Nonwoven needled material
JP6713873B2 (en) Lightweight web for automobile interiors, needle-punched nonwoven fabric using the same,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nd automobile interior parts using the same
JP6698405B2 (en) Batting
JP3753235B2 (en) Glass fiber reinforced laminated nonwoven fabric
JP2007125734A (en) Laminated sheet
KR20210138376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non-woven fabric for sandwich panel
JP7241222B1 (en) fiber structure
JP4026279B2 (en) Split type composite fiber and fiber molded body using the same
CN113046911B (en) Elastic nonwoven fabric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CN217532155U (en) High-strength low-fuzziness non-woven fabric
CN107109744A (en) Fiber molding with resiliency and use the product obtained by it
KR20230092742A (en) Method for connecting non-woven fabric and non-woven fabric having thermal bonding surface therefrom
JP3516489B2 (en) Nonwoven sheet composed of continuous interconnected fibers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RU2360050C2 (en) Method for manufacture of nonwoven needle-punching material reinforced with mesh
JP2012007249A (en) Method of producing nonwoven fabric and nonwoven fabric
KR20160019583A (en) Polyester nonwoven fabric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