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573A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43573A KR20240043573A KR1020220122836A KR20220122836A KR20240043573A KR 20240043573 A KR20240043573 A KR 20240043573A KR 1020220122836 A KR1020220122836 A KR 1020220122836A KR 20220122836 A KR20220122836 A KR 20220122836A KR 20240043573 A KR20240043573 A KR 202400435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creen
- course
- processing device
- progress
- output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title claims abstract description 119
- 230000008569 process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8
- 230000002159 abnorm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4
- 230000005856 abnormality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20
- 238000012790 confirm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4
- 238000006243 chemical reac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0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15
- 238000001035 dr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3
- 239000003599 deter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8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38000010438 heat treatment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03860 storage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4744 fabric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14509 gene expre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1068 loading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2250 progress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844 bleaching age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903 blocking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3086 coloran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18044 dehyd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6297 dehydration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1514 detec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2979 fabric soften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843 powd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360 preparation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360 synchronis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007 visu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4—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ounting or attachment features, e.g. detachable control panels or detachable display pane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30—Control of washing 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32—Control of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3/00—Control of operations performed in washing machines or washer-dryers
- D06F33/50—Control of washer-dryer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D06F33/52—Control of the operational step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on the condition of the laundry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04—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 D06F34/05—Signal transfer or data transmission arrangements for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components, e.g. for remote monitoring or control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0—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e.g. buttons or rotary dial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34/00—Details of control systems for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34/28—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 D06F34/32—Arrangements for program selection, e.g. control panels therefor; Arrangements for indicating program parameters, e.g. the selected program or its progress characterised by graphical features, e.g. touchscreen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1/00—User input for the control of domestic laundry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F—LAUNDERING, DRYING, IRONING, PRESSING OR FOLDING TEXTILE ARTICLES
- D06F2105/00—Systems or parameters controlled or affected by the control systems of washing machines, washer-dryers or laundry dryers
- D06F2105/58—Indications or alarms to the control system or to the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ntrol Of Washing Machine And Dryer (AREA)
Abstract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이 개시되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1처리장치, 제2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의류처리장치는 드럼 내부에 의복, 침구 등(이하, 세탁물이라 한다.)을 투입하여 세탁물에 묻은 오염을 제거하는 장치이다. 의류처리장치는 세탁, 헹굼, 탈수, 건조 등의 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의류처리장치는 드럼에 세탁물을 투입하는 방식을 기준으로 탑 로딩(top loading) 방식과 프론트 로딩(front loading) 방식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의류처리장치는 외관을 형성하는 하우징, 하우징 내부에 수용되는 터브, 터브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세탁물이 투입되는 드럼, 세제를 드럼 내부에 공급하는 세제공급장치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세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드럼이 모터에 의해 회전하게 되면, 세탁물은 드럼 및 세탁수와의 마찰에 의해 세탁물에 묻은 때가 제거될 수 있다.
세제공급장치는 세탁 효과를 증진시킬 수 있도록 세제 공급 기능을 구비한다. 여기서, 세제란 섬유 세제, 섬유 유연제 및 섬유 표백제 등 세탁 효과를 증진시키는 물질을 의미한다. 세제는 가루(분말) 형태의 세제, 액체(액상) 형태의 세제가 이용될 수 있다.
한편, 의류처리장치가 세탁물을 건조시키도록 마련된 경우,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건조한 공기를 세탁물에 제공하여 상기 세탁물로부터 수분을 제거할 수 있다.
상기 의류처리장치는 캐비닛, 상기 캐비닛 내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드럼 및 세탁물에 제공되는 공기를 가열하거나 건조하게 하는 가열수단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드럼에 수용된 세탁물에 건조한 공기가 공급됨으로써, 세탁물에 존재하는 수분이 상기 건조한 공기에 의해 증발되어 제거되고 세탁물의 물기가 제거될 수 있다.
한편, 관련문헌 KR 10-2008-0021921 A1에는 복수의 처리장치가 함께 구비된 의류처리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관련문헌에서 개시되는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각각의 캐비닛에 내부의 드럼과 연통되는 의류개구가 형성될 수 있고, 컨트롤패널이 마련될 수 있으며, 세제가 이용되는 경우 세제저장유닛의 투입구가 형성될 수 있다.
관련문헌의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각각 컨트롤패널이 구비되어 있고, 컨트롤패널에는 화면이 출력되는 화면출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관련문헌의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각각의 화면출력부를 통해 서로 다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가 서로 독립적인 의류의 처리를 위한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경우, 각각의 화면출력부를 통해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사용자가 복수의 화면출력부를 확인해야 하므로 불편할 수 있고, 처리장치마다 별개의 화면출력부가 구비됨에 따른 비용 증가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극복하기 위해 복수의 처리장치가 연결되어 상기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하나의 화면출력부가 구비될 수 있다. 그러나, 하나의 화면출력부에서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것은 화면의 제한된 출력 면적에 대한 정보량을 고려할 때 시인성이 떨어지거나 일부 정보가 누락되어 표시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제공하는 하나의 화면출력부를 제공함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의 화면을 통해 상기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효율적으로 출력하면서 중요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전달하는 것은 본 기술분야에 있어서 중요한 과제가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처리장치에 대한 화면을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복수의 화면을 중요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화면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를 포함한다.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는 각각 드럼을 포함하여 서로 다른 의류의 처리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는 제1처리장치 및 제2처리장치와 연결되어 제1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제2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을 출력한다.
화면출력부는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우선순위는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그 내용이 코스의 진행에 있어 가지는 중요도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화면출력부를 통해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화면을 각각 출력할 수 있고, 나아가 제1화면 및 제2화면에 대해 우선순위를 통해 출력될 화면이 결정됨으로써 제한된 디스플레이 영역을 이용하여 다양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는 제1처리장치, 제2처리장치 및 화면출력부를 포함한다. 제1처리장치는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제2처리장치는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2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된다.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된다.
제어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기준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출력이 요구되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코스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2코스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전환버튼은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된 이후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된 이후 제2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에서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 차단을 알리는 전원차단표시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표시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에서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가 진행되면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또는 상기 제2화면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동시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화면, 상기 제2화면 및 상기 동시화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기준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의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동시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된 이후 제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에서 상기 동시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입력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화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 출력 중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전환버튼은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될 수 있고,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 출력 중 상기 전환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 또는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비정상알림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동시화면 출력 중 상기 제1코스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입력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화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은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확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가 정지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1코스정지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의 상기 확인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정지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의 출력 상태가 제4시간동안 지속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의 비정상 상태 및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상태가 함께 표시되는 상기 동시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입력부는 상기 제1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화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비정상 상태가 표시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2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화면에서 상기 제2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현재 출력되는 화면에 대응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장치 인디케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상기 장치 인디케이터는 모양이 유지되며 색상이 변화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상태와 상기 제2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상태가 구분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단일화면 출력단계를 포함한다. 단일화면 출력단계에서는 상기 화면출력부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한다.
우선순위 결정단계에서는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 이전에,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결정기준에 따라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우선순위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출력 요청이 가장 늦게 발생된 화면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 이후,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전환되기 위한 전환 조건의 충족 여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1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2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설정 과정에 해당하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1화면 중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1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가 진행 중이고 상기 제2코스가 상기 설정 과정에 해당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2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진행 중이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1화면 중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1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가 진행 중이고 상기 제2코스가 진행 중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2코스의 상기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제2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동시화면 판단단계에서는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동시화면의 출력조건 충족 여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진행 중이거나,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고 나머지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시화면의 상기 출력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에 관련된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처리장치에 대한 화면을 효율적으로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복수의 화면을 중요도에 따라 효율적으로 출력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화면을 우선순위에 따라 출력하여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전방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처리장치, 제2처리장치 및 화면출력부에 대한 제어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컨트롤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전원 인가 이후 코스의 진행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시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코스진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1코스설정화면 및 제2코스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1코스진행화면 및 제2코스진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제1코스설정화면에서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제1코스진행화면의 출력 중 제2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동시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동시화면의 출력 중 제2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동시화면의 출력 중 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제1비정상 알림화면의 출력 중 제1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후방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제1처리장치, 제2처리장치 및 화면출력부에 대한 제어적 연결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컨트롤패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에서 전원 인가 이후 코스의 진행까지의 과정을 나타낸 작동 개념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시작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코스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코스진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1코스설정화면 및 제2코스설정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제1코스진행화면 및 제2코스진행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출력되는 화면이 제1코스설정화면에서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제1코스진행화면의 출력 중 제2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동시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동시화면의 출력 중 제2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동시화면의 출력 중 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를 통해 제1비정상 알림화면의 출력 중 제1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되는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써,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일 뿐,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A 또는 B'는, 'A', 'B', 또는 'A와 B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1)가 도시되어 있다. 도 4에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상호 적층된 형태가 도시되어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지면과 나란하게 배치되거나, 서로 이격되어 위치되어도 무방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지면에 수직하게 적층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 1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처리장치(2) 위에 설치되는 제2처리장치(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캐비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캐비닛(2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1처리장치(2)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제2캐비닛(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캐비닛(30)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제2처리장치(3)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캐비닛(20)은 제2캐비닛(30)의 위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제1캐비닛(20)은 제2캐비닛(3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캐비닛이 반드시 분리될 필요는 없으며, 따라서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하나의 캐비닛을 공유할 수도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드럼(25)을 포함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제2드럼(3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드럼(25) 및 제2드럼(35)은 각각 회전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제1드럼(25)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1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드럼(25)과 연통되는 제1의류개구가 제1캐비닛(20)에 형성될 수 있다. 제1캐비닛(20)에는 제1의류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1의류도어(22)가 구비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제2드럼(35)의 회전력을 제공하는 제2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고, 제2드럼(35)과 연통되는 제2의류개구가 제2캐비닛(30)에 형성될 수 있다. 제2캐비닛(30)에는 제2의류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제2의류도어(32)가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프론트 로더 타입으로 마련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다만, 필요에 따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적어도 하나가 탑 로더 타입으로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각각 의류의 세탁을 위한 세탁기에 해당하거나, 의류의 건조를 위한 건조기에 해당하거나, 의류의 세탁 및 건조가 모두 가능한 세탁/건조장치에 해당할 수도 있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로서 제1처리장치(2)가 세탁기에 해당하고, 제2처리장치(3)가 건조기에 해당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세탁을 위해 물이 수용되는 터브(27)를 포함할 수 있고, 제1드럼(25)은 터브(27) 내부에 구비될 수 있다. 도 1에는 제1드럼(25), 제2드럼(35) 및 터브(27)가 점선으로 개념적으로 표시되어 있다.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세탁을 위해 세제를 제공하는 세제공급부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외부급수원으로부터 물이 공급되는 급수부 및 터브(27)의 물이 배출되기 위한 배수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건조를 위해 제2드럼(35) 내부에 고온의 공기를 제공하기 위한 공기가열부가 마련될 수도 있다. 상기 공기가열부는 제2드럼(35)의 내부와 연통되어 공기가 순환되는 공기 순환 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제1처리장치(2)가 의류의 세탁은 물론 건조가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며, 제2처리장치(3) 또한 의류의 건조 기능이 아닌 의류의 세탁 기능을 가지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처리장치(2)가 의류의 세탁 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가 의류의 건조 코스를 수행할 수 있는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컨트롤패널(10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입력부(120) 및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고, 출력부는 사용자에게 정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형태의 출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와 연결되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컨트롤패널(10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측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제2캐비닛(30)은 제1캐비닛(20) 위에 얹혀져 제1캐비닛(20)과 결합 관계를 형성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별도로 제조되어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공간에서 서로 조립되거나, 생산 과정에서 미리 서로 조립될 수도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하나의 캐비닛을 공유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고, 이 경우 하나의 캐비닛 내부에 제1드럼(25) 및 제2드럼(35)이 모두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후방사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의류처리장치(1)의 후면에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연결시키는 후방브라켓 등이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방브라켓에는 사용자가 의류처리장치(1)의 이동을 위해 파지할 수 있는 손잡이가 마련될 수도 있다.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높이나 폭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상호 독립적으로 또는 연동하여 각각 의류의 처리를 위한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세탁이 가능한 세탁기에 해당하여 의류의 세탁을 위한 코스를 수행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건조가 가능한 건조기에 해당하여 의류의 건조를 위한 코스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의 연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의류처리장치(1)는 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고, 제어부(90)는 처리부, 통신부 및 저장부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처리부는 정보의 연산 등을 통한 처리과정을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통신부는 블루투스, WIFI 등 다양한 통신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도록 마련되며, 저장부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어부(90)는 컨트롤패널(100)의 화면출력부(110)와 연결되어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제1처리장치(2), 제2처리장치(3) 및 화면출력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90)는 복수로 마련되어 제1처리장치(2), 제2처리장치(3) 및 화면출력부(110)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는 상기 제1처리장치(2)의 작동에 관여하는 제1서브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는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작동에 관여하는 제2서브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으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화면출력부(110)의 작동에 관여하는 화면제어부(9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술한 제어부(90)는 상기 제1서브제어부(90), 제2서브제어부(90) 및 화면제어부(90)와 연결되어 사용자의 명령을 전달하거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서브제어부(90), 제2서브제어부(90) 및 화면제어부(90) 중 어느 하나가 전술한 제어부(90)에 해당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한편,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컨트롤패널(100)이 도시되어 있다. 컨트롤패널(100)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컨트롤패널(100)은 전술한 입력부(120)와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출력부는 청각정보, 시각정보 등 다양한 정보가 사용자에게 제공되도록 출력할 수 있다.
예컨대, 출력부는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소리가 출력되는 스피커나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고, 화면출력부(110)는 이미지가 표현되는 화면을 출력하는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입력신호를 발생시킬 수 있고, 상기 입력신호는 제어부(90)로 전달되어 다양한 명령신호로 전환될 수 있다. 입력부(120)는 사용자의 조작으로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다양한 버튼을 가지는 버튼부(14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버튼은 기계식이나 터치식 등 다양한 종류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터치입력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130)는 화면출력부(110)에 마련될 수 있다. 터치입력부(130)는 화면출력부(110)의 디스플레이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배치되어 디스플레이에서 출력되는 화면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신호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사용자에 의해 화면에 대해 발생되는 터치신호를 감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입력부(120)는 전원버튼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원버튼은 제1처리장치(2)를 위한 제1전원버튼(141) 및 제2처리장치(3)를 위한 제2전원버튼(14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20)는 전환버튼(147)을 포함할 수 있다. 전환버튼(147)은 화면출력부(110)를 통해 정보가 표시되는 대상을 제1처리장치(2)에서 제2처리장치(3)로, 제2처리장치(3)에서 제1처리장치(2)로 전환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40)는 부가기능버튼(146)을 포함할 수 있다. 부가기능버튼(146)은 의류처리장치(1)의 사용 전반에 걸친 설정이나 코스에 대한 추가적인 설정을 위한 부가기능들이 표시되는 부가기능화면을 출력하는 데에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버튼부(140)는 수행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코스설정과정(P2)에서 수행버튼이 조작되면 현재 설정된 코스가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수행버튼은 상기 제1처리장치(2)의 코스 시작을 위한 제1수행버튼(143) 및 제2처리장치(3)의 코스 시작을 위한 제2수행버튼(144)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입력부(130)는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는 패널 형태로 구비되어 상기 디스플레이에 포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가 화면출력부(110)에 나타난 이미지 등의 표시를 터치하는 경우, 터치입력부(130)에 의해 해당 위치에 대한 터치신호가 제어부(90)로 전달될 수 있고, 제어부(90)는 상기 터치신호에 기초한 제어활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에는 인디케이터영역(C203)이 정의될 수 있다. 인디케이터영역(C203)에는 현재 설정된 옵션의 정보나 상태 정보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인디케이터(C204)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 중 현재 출력되는 화면에 대응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장치 인디케이터(C204)를 표시할 수 있다. 도 5에는 장치 인디케이터(C204)가 표시된 코스설정화면(C2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제1처리장치(2)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제2처리장치(3)에 관한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복수의 처리장치에 대한 정보를 효과적으로 출력할 수 있다.
장치 인디케이터(C204)는 현재 출력되는 화면이 제1화면인지 제2화면인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상의 장치 인디케이터(C204)를 통해 현재 명령을 받는 대상, 즉 화면에 표시된 정보의 대상이 제1처리장치(2)인지 제2처리장치(3)인지 여부를 파악할 수 있다.
장치 인디케이터(C204)는 다양한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도 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사각형태의 일측과 타측이 서로 다른 색상을 가지는 아이콘 형상의 장치 인디케이터(C204)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장치 인디케이터(C204)는 모양이 유지되며 색상이 변화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2)를 나타내는 상태와 상기 제2처리장치(3)를 나타내는 상태가 구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장치 인디케이터(C204)는 제1화면 및 제2화면간의 전환에도 그 모양은 변화되지 않으며, 다만 색상의 변화를 통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를 구분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예컨대, 장치 인디케이터(C204)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을 암시하는 모양을 가질 수 있고, 현재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의 주체가 되는 처리장치가 제1색상을 가지며, 나머지는 제2색상을 가지도록 이미지가 변화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현재 화면에 표시된 장치 인디케이터(C204)에서 제1색상을 위치를 확인함으로써, 현재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이 제1처리장치(2)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인지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인지 쉽게 파악할 수 있다.
한편, 도 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작동 과정과 그에 따른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이 개념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작동 과정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에서 개별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우선, 의류처리장치(1)는 전원버튼을 통해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90)에 의해 각종 구성의 정상 상태 등을 판단하고 코스의 수행을 위한 준비가 이루어지는 시작과정(P1)이 수행될 수 있고, 화면출력부(110)는 사용자에게 시작과정(P1)을 알리기 위한 시작화면(C100)을 출력할 수 있다.
시작과정(P1)이 완료된 이후, 제어부(90)는 코스설정과정(P2)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에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복수의 코스가 미리 저장될 수 있으며, 코스설정과정(P2)에서 사용자는 상기 복수의 코스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코스설정과정(P2)에서는 코스에 대한 다양한 옵션이 사용자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10)는 코스설정과정(P2)에서 코스 설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스설정화면(C200)을 출력할 수 있다.
코스설정과정(P2)에서 전술한 수행버튼이 조작되면, 제어부(90)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코스가 수행되는 코스진행과정(P3)을 수행할 수 있다. 코스진행과정(P3)에서 제어부(90)는 상기 코스설정과정(P2)을 통해 결정된 코스를 수행하고, 화면출력부(110)는 해당 코스의 진행 상황을 나타내는 코스진행화면(C300)을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시작화면(C100)이 도시되어 있다. 시작화면(C100)은 사용자에게 전원 인가를 알리는 이미지를 포함하거나 코스 수행을 위한 제반적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화면은 시작화면(C100) 중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 인가를 알리는 웰컴화면(C110)에 해당한다. 상기 웰컴화면(C110)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전원 인가 시 각각 출력될 수 있다.
웰컴화면(C110)은 의류처리장치(1)의 전원 인가 초기 또는 최초로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일 수 있다. 웰컴화면(C110)에는 사용자에게 친밀감을 형성하거나 전원 인가를 알리기 위한 다양한 문구 및 이미지가 포함될 수 있다.
도 8에는 코스설정화면(C200)이 도시되어 있다. 코스설정화면(C200)에는 복수의 코스 중 현재 선택 대상이 되는 코스의 명칭 등이 표시될 수 있고, 해당 코스에 대한 옵션 설정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어부(90)에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에 대한 복수의 코스가 미리 저장될 수 있다.
코스설정화면(C200)은 선택 대상이 되는 코스의 명칭이 표시되는 코스명칭영역(C201)을 포함할 수 있고, 코스명칭영역(C201)에 표시된 코스의 설명하기 위한 코스설명문구가 표시되는 제안영역(C21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코스설정화면(C200)은 인디케이터영역(C203)을 포함할 수 있다. 인디케이터영역(C203)에는 현재 설정된 옵션의 정보나 상태 정보 등을 나타내는 다양한 인디케이터(C204)가 표시될 수 있다.
또한, 코스설정화면(C200)은 코스명칭영역(C201)에 표시된 코스에 대한 현재의 옵션 정보를 나타내는 옵션정보영역(C202)을 포함할 수 있다. 옵션정보영역(C202)에는 하나 이상의 옵션에 대한 설정값이 표시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코스설정화면(C200)이 상기 코스명칭영역(C201), 제안영역(C210), 인디케이터영역(C203) 및 옵션정보영역(C202)을 반드시 모두 포함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각 영역의 배치 또한 필요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한편, 도 9에는 코스진행화면(C300)이 도시되어 있다. 코스진행화면(C300)에는 진행중인 코스가 표시되는 코스명칭영역(C201)과, 코스 완료까지 남은 시간을 나타내는 시간안내영역(C310)과, 코스의 현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표시영역(C320)과, 코스의 전체 과정 중 현재 과정을 이미지 형태로 표시하는 진행상태 바(C330)와, 전술한 인디케이터영역(C203) 및 옵션정보영역(C202)이 정의될 수 있다.
도 10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a)에는 제1처리장치(2)에 관련된 제1코스설정화면(C207)이 도시되어 있고, 도 10(b)에는 제2처리장치(3)에 관련된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도시되어 있다.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1화면 및 제2화면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와 함께 연결되는 화면출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서로 독립된 의류의 처리 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각각의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이 출력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화면은 제1처리장치(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1화면이거나, 제2처리장치(3)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제2화면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에서 제1화면이란 제1처리장치(2)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의미하고, 제2화면이란 제2처리장치(3)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을 의미한다.
한편,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는 각각의 코스설정과정(P2)을 수행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제1처리장치(2)에 대한 코스설정과정(P2)과 제2처리장치(3)에 대한 코스설정과정(P2)을 서로 독립적으로 진행할 수 있다.
화면출력부(110)는 제1처리장치(2)의 코스설정과정(P2)을 나타내기 위한 제1코스설정화면(C207)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C207)은 제1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화면출력부(110)는 제2처리장치(3)의 코스설정과정(P2)을 나타내기 위한 제2코스설정화면(C208)을 출력할 수 있고,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은 제2화면에 포함될 수 있다.
제1코스설정화면(C207)은 제1처리장치(2)에서 수행되는 의류의 처리 코스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예컨대, 제1코스설정화면(C207)에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코스의 명칭이나, 상기 코스에 대한 옵션이 표시될 수 있다.
제2코스설정화면(C208)에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코스의 명칭이나 옵션이 표시될 수 있다. 즉, 제1코스설정화면(C207)과 제2코스설정화면(C208)에 표시되는 코스는 서로 다른 의류의 처리 과정에 해당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화면(C208) 각각의 옵션정보영역(C202)에서 표시되는 옵션 또한 상이할 수 있다.
한편, 도 1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 및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도시되어 있다. 도 11(a)에는 제1처리장치(2)의 코스 진행 정보를 나타내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도시되어 있고, 도 11(b)에는 제2처리장치(3)의 코스 진행 정보를 나타낸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고, 제2처리장치(3)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코스는 의류의 세탁을 위한 코스일 수 있고, 제2코스는 의류의 건조를 위한 코스일 수 있다. 제어부(90)에는 제1처리장치(2)에서 수행되기 위한 복수의 제1코스가 저장될 수 있고, 제2처리장치(3)에서 수행되기 위한 복수의 제2코스가 저장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10)는 제1코스의 진행 정보를 나타내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을 출력할 수 있고,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나타낸 제2코스진행화면(C308)을 출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화면출력부(110)를 통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에 관련된 정보를 모두 출력할 수 있고, 제한된 화면 출력 영역을 고려하여 제1처리장치(2)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1화면과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제공하는 제2화면을 구분하여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이 제1화면으로부터 제2화면으로 전환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2(a)에는 제1처리장치(2)를 위한 제1화면이 도시되어 있고, 도 12(b)에는 제2처리장치(3)를 위한 제2화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제1화면 및 제2화면의 전환 과정을 통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사용자에게 효과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는 제1캐비닛(20) 및 상기 제1캐비닛(2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25)을 포함하며, 상기 제1드럼(25)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처리장치(3)는 제2캐비닛(30) 및 상기 제2캐비닛(30)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35)을 포함하며, 상기 제2드럼(35)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2)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화면출력부(110)는 제1화면 및 제2화면의 출력이 모두 요구되는 경우, 상기 제1화면 및 제2화면 중 중요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제1화면 및 제2화면의 우선순위는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우선조건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제1화면 및 제2화면의 우선순위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의 상태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기준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90)는 현재 출력이 요구되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처리장치(2)를 위한 제1화면은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진행화면(C308) 등 다양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고, 제2화면은 제2코스설정화면(C208) 및 제2코스진행화면(C308) 등 다양한 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화면 및 제2화면의 우선순위과 일률적으로 미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복수의 제1화면 중 현재 출력이 요구되는 화면과 복수의 제2화면 중 현재 출력이 요구되는 화면간의 우선순위 비교를 통해 화면출력부(110)에서 현재 출력되는 화면이 결정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우선순위의 판단은 제어부(90)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코스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설정화면(C207)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2코스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C207)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C207)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으로 전환될 수 있다.
도 12에는 화면출력부(110)에서 제1코스설정화면(C207)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인가되어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코스설정과정(P2)이 이루어짐에 따라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되는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화면(C208)간의 우선순위는 전원 인가 시점 또는 코스설정과정(P2)의 진입시점에 기초하여 정해질 수 있다.
우선,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만이 전원 인가 상태에 있는 경우, 제1화면 및 제2화면간의 우선순위 판단은 필요하지 않으며 현재 전원 인가 상태에 있는 처리장치에 해당하는 화면이 출력될 수 있다.
즉,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화면에서 상기 제2화면으로 전환될 수 있고, 그 반대의 경우 또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의 코스설정과정(P2)이 이미 진행중인 상태에서 나머지의 전원 인가 이후 코스설정과정(P2)이 진입되면, 제어부(90)는 상기 나머지의 코스설정과정(P2)을 위한 코스설정화면(C200)을 출력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의 코스설정과정(P2) 중 제2처리장치(3)가 코스설정과정(P2)에 진입되면, 제2처리장치(3)의 코스설정과정(P2) 진입시점이 제1처리장치(2)보다 후에 해당하므로, 제어부(90)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화면(C208)간의 출력 경쟁에서는 추가적인 화면 전환이 이루어지지 않을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모두 코스설정과정(P2)이 진행중이며,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화면(C208)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된 상태에서는 시간의 경과와 무관하게 상기 어느 하나의 출력 상태가 유지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버튼(147)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전환버튼(147)에 의한 화면 전환은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C207)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버튼(147)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에서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C207)으로 전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화면 전환 및 전환버튼(147) 조작에 따른 화면 전환을 최우선으로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이벤트 발생이란 현재 시점으로 화면의 출력이 요구되는 상태가 발생되는 것을 의미한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의 전원 인가 이후 코스설정과정(P2)의 진입은 상기 이벤트 발생으로 이해될 수 있고, 제어부(90)는 코스설정과정(P2) 진입 시점에서의 코스설정화면(C200) 출력을 최우선으로 하여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을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후술할 내용과 같이 코스진행과정(P3)의 진입이나 코스 진행 중 비정상상태의 발생은 모두 제어부(90)를 기준으로 이벤트 발생으로 이해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전환버튼(147)의 조작에 의한 제1화면 및 제2화면간의 전환은 우선순위와 무관하게 수행될 수 있고, 다만 전환버튼(147)에 의한 전환 여부와 무관하게 화면 자동 복귀는 제어부(90)에 의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화면 자동 복귀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제1코스설정화면(C207)과 제2코스설정화면(C208)의 우선순위를 상호 동격으로 취급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어느 하나가 코스설정과정(P2)에 진입되어 상기 어느 하나에 대한 코스설정화면(C200)이 출력된 상태에서, 나머지 하나의 코스설정과정(P2)이 진입되면,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이 상기 나머지 하나에 대한 코스설정화면(C2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코스진행화면(C300)과 코스설정화면(C200)간의 우선순위에 따른 화면 전환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a)에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b)에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에서 전환된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3(c)에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에서 자동 복귀된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도시되어 있고, 도 13(d)에는 제2처리장치(3)의 전원차단표시(C340)가 출력된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도시되어 있다.
도 13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출력부(110)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코스설정과정(P2)의 진입 발생에 따른 코스설정화면(C200)을 최우선순위로 판단하고 화면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코스설정화면(C200)보다 코스진행화면(C300)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스진행화면(C300)은 현재 진행중인 코스의 정보를 제공하는 화면이므로 아직 수행 전에 해당하는 코스의 설정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코스설정화면(C200)보다 우선순위를 더 높게 결정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어부(90)는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에 따른 화면 출력을 최우선순위로 판단할 수 있고, 제1처리장치(2)의 코스 진행에 따른 코스진행화면(C300) 출력중이라도,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인가되어 코스설정과정(P2)이 시작되면, 제어부(90)는 코스설정과정(P2) 진입이라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제2코스설정화면(C208)을 최우선순위로 하여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을 제1코스진행화면(C307)에서 제2코스설정화면(C208)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된 이후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90)는 코스진행화면(C300)의 우선순위를 코스설정화면(C200)보다 더 높게 결정할 수 있다. 이벤트 발생에 따라 출력된 화면이 이전에 출력되던 화면보다 우선순위가 낮은 경우, 제어부(90)는 화면 자동 복귀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대, 화면출력부(110)는 도 13(a)와 같이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출력되는 상태에서 제2처리장치(3)의 코스설정과정(P2) 진입이 발생되면 도 13(b)와 같이 제2코스설정화면(C208)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은 제1코스진행화면(C307)보다 우선순위가 낮으므로, 화면출력부(110)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된 이후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C208)에서 다시 제1코스진행화면(C307)으로 복귀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이벤트 발생에 따라 출력되는 화면보다 직전의 화면이 가지는 우선순위가 더 높은 경우, 이벤트 발생에 따라 출력된 화면의 출력시간이 제1시간이 경과되면 화면 자동 복귀를 수행하여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을 상기 직전의 화면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제어부(90)에는 상기 제1시간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제1시간은 10초, 1분, 5분과 같이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제1코스진행화면(C307) 출력 중 전환되어 출력되는 제1코스설정화면(C207)에서 입력부(120)에 대한 사용자의 조작이 발생되면 상기 제1시간의 경과 판단은 초기화될 수 있다.
한편, 도 13(d)와 같이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출력된 이후 제2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에서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전원 차단을 알리는 전원차단표시(C340)를 출력할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표시(C340)는 제1처리장치(2) 또는 제2처리장치(3)에 대한 사용자의 명령, 즉 입력신호 발생이 제2시간동안 없는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2) 또는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을 스스로 차단하여 사용을 종료시키는 경우 발생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에 대해 사용자의 명령이 제2시간동안 없는 경우 해당 장치에 대한 전원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제어부(90)는 전원 차단을 수행함과 동시에 화면출력부(110)가 화면상에 전원차단표시(C340)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전원 차단은 코스설정과정(P2)에서 수행될 수 있다. 예컨대, 제어부(90)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각각에 대해 전원 인가 이후 코스설정과정(P2)을 수행할 수 있고, 다만 상기 코스설정과정(P2)에서 사용자의 어떠한 명령도 없는 경우 전력 소비의 방지 등을 위해 전원 차단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코스진행과정(P3)에서는 의류의 처리를 위한 제1코스 또는 제2코스가 수행중이므로 제2시간동안 사용자의 명령이 없는 상황이 당연할 수 있으며, 따라서 코스진행과정(P3)에서는 상기 전원 차단이 수행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전원차단표시(C340)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에서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2처리장치(3)의 전원차단표시(C340)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상에 팝업 형태로 출력될 수 있다.
제2시간은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될 수 있으며, 사용자의 명령이 발생된 이후부터 상기 제2시간의 경과 여부가 판단될 수 있다. 사용자는 화면출력부(110)에 출력되는 전원차단표시(C340)를 통해 제1처리장치(2) 또는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차단됨을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다.
한편, 도 14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를 통해 동시화면(C400)이 출력되는 상황이 도시되어 있다. 도 14(a)에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b)에는 화면출력부(110)에서 제1코스진행화면(C307)으로부터 전환되어 출력된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4(c)에는 화면출력부(110)에서 제2코스설정화면(C208) 이후 출력되는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도시되어 있고, 도 14(d)에는 제1코스 및 제2코스의 정보를 동시에 표시하는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진행화면(C308)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가 진행되면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술한 바와 같이 제어부(90)는 제1코스설정화면(C207)과 제2코스설정화면(C208)의 우선순위를 상호 동격으로 취급할 수 있고, 이와 동일하게 제1코스진행화면(C307)과 제2코스진행화면(C308)의 우선순위를 상호 동격으로 취급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제1코스의 코스진행과정(P3) 및 제2코스의 코스진행과정(P3)이 함께 진행되는 상황에서 제1코스진행화면(C307) 및 제2코스진행화면(C308)간의 화면 자동 복귀를 수행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이벤트 발생에 따라 출력이 요청되는 화면은 최우선순위를 가지며 화면출력부(110)를 통해 출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1코스 및 제2코스 중 더 나중에 진행되는 코스에 대한 코스진행화면(C300)이 화면출력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위와 같은 상황을 도 14를 참고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14(a)와 같이 제1처리장치(2)에서 제1코스가 진행되는 경우 화면출력부(110)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출력할 수 있다. 제1코스의 진행 중 제2처리장치(3)의 전원이 인가되면, 제어부(90)는 제2처리장치(3)의 코스설정과정(P2)을 수행하게 되며, 이에 따라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은 도 14(b)와 같이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에서 제2코스설정화면(C208)으로 전환될 수 있다.
한편, 제1코스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제2코스설정화면(C208)을 통해 사용자가 제2코스의 수행을 명령하면, 제어부(90)는 제1처리장치(2)에서 제1코스가 진행 중인 상태에서 제2처리장치(3)에서 제2코스를 진행할 수 있다. 제2코스의 진행이라는 이벤트 발생에 의해 도 14(c)와 같이 화면출력부(110)에는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출력될 수 있다.
한편, 전환버튼(147)이나 기타 이유에 의해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출력되지 않는 한,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은 화면 자동 복귀에 의해 제2코스진행화면(C308)으로부터 제1코스진행화면(C307)으로 전환되는 상황은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필요에 따라 제1처리장치(2)의 정보 및 제2처리장치(3)의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는 동시화면(C400)을 출력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화면 또는 상기 제2화면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동시화면(C400)을 출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를 달리 말하면, 상기 제어부(90)에는 상기 제1화면, 상기 제2화면 및 상기 동시화면(C400)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기준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의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동시화면(C400)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상기 동시화면(C400)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모두 코스진행과정(P3)에 있는 경우에 출력될 수 있다. 예컨대,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 중 적어도 하나가 코스설정과정(P2)에 있다면 상기 동시화면(C400)은 출력되지 않을 수 있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화면(C208) 중 가장 나중에 출력 요청이 발생된 화면이 화면출력부(110)에 출력될 수 있다.
도 14(d)에는 제1코스 및 제2코스가 모두 진행 중인 상태에서 화면출력부(110)에 출력되는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출력된 이후 제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에서 상기 동시화면(C40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제1코스의 진행 중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출력된 이후 제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 대신 동시화면(C40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가 모두 코스진행과정(P3)에 있는 경우 동시화면(C400)을 출력할 수 있다. 제3시간은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으며, 제어부(90)에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화면출력부(110)는 제3시간이 경과되기 전이라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1코스진행화면(C307)과 제2코스진행화면(C308) 간의 자동 화면 전환을 수행하지는 않을 수 있다.
동시화면(C400)은 제1처리장치(2)의 정보 및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동시화면(C400)에는 제1코스의 진행 정보 및 제2코스의 진행 정보가 함께 표시될 수 있다.
도 14(d)에는 동시화면(C400)의 일부분에 제1코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고, 동시화면(C400)의 나머지 부분에 제2코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된 모습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제1코스 및 제2코스의 진행 시 각 코스의 진행 정보는 중요도를 높게 판단하며, 이에 따라 제1코스 및 제2코스의 진행 정보는 함께 표시될 수 있도록 동시화면(C400)을 출력하여 사용자에게 사용 편의성을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도 15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시화면(C400)으로부터 전환되어 출력되는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도시되어 있다. 도 15(a)에는 제1코스 및 제2코스의 진행 중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5(b)에는 화면출력부(110)에서 상기 동시화면(C400)을 대신하여 출력되는 제2코스진행화면(C308)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부(120)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입력부(120)는 상기 제1처리장치(2), 상기 제2처리장치(3) 및 상기 화면출력부(110)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C400)은 상기 제1처리장치(2)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1영역(C401) 및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영역(C402)을 포함하며, 상기 동시화면(C400) 출력 중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2영역(C402)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동시화면(C400)에서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시화면(C400)은 제1영역(C401) 및 제2영역(C40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영역(C401)에는 제1코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될 수 있고, 제2영역(C402)에는 제2코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될 수 있다.
제1영역(C401) 및 제2영역(C402)은 사용자에 의해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는 버튼부(140) 또는 터치입력부(130) 등을 통해 상기 제1영역(C401) 또는 제2영역(C402)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어부(90)는 제2영역(C402)이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제2코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되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제1영역(C401) 및 제2영역(C402)을 선택하지 않더라도, 전술한 전환버튼(147)을 이용하여 제1코스진행화면(C307) 또는 제2코스진행화면(C308) 중 어느 하나를 화면출력부(110)를 통해 출력시킬 수 있다.
예컨대, 상기 동시화면(C400) 출력 중 상기 전환버튼(147)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동시화면(C400)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C307) 또는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제1코스진행화면(C307) 및 제2코스진행화면(C308) 중 어느 하나가 출력된 상태에서 다시 상기 전환버튼(147)이 조작되면, 화면출력부(110)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 및 제2코스진행화면(C308) 중 나머지 하나를 출력할 수 있다.
한편, 도 16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6(a)에는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6(b)에는 동시화면(C400)을 대신하여 출력될 수 있는 비정상 알림화면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6(c)에는 비정상 상태가 표시된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화면출력부(110)는 비정상 알림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비정상 알림화면은 코스의 진행 중 처리장치에서 발생되는 비정상 상태를 표시할 수 있고, 상기 비정상 상태는 구동부의 이상 상태, 의류도어의 개방 감지, 급수 및 배수 불량 등 코스의 진행에 대한 비정상적인 상태가 감지된 상황을 말한다.
비정상 알림화면은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 및 제2비정상 알림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은 제1처리장치(2)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고 제2비정상 알림화면은 제2처리장치(3)의 비정상 상태를 표시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제1처리장치(2)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은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을 포함하고,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은 상기 제2비정상 알림화면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 동시화면(C400) 출력 중 상기 제1코스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가 상기 동시화면(C400)에서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으로 전환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동시화면(C400)의 출력 중 제1코스 또는 제2코스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것으로 판단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이 도 16(a)와 같은 동시화면(C400)에서 도 16(b)와 같이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 또는 제2비정상 알림화면으로 전환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정상 알림화면은 코스진행화면(C300)과 동격의 우선순위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비정상 상태가 발견되면 제어부(90)는 이벤트 발생에 따른 최우선순위를 부여하여 동시화면(C400)이나 코스진행화면(C300) 대신 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비정상 상태에 관련된 정보는 발생 당시 사용자에게 가장 중요한 정보에 해당할 수 있고, 따라서 제어부(90)는 코스진행화면(C300)이나 동시화면(C400)보다 우선하여 비정상 알림화면을 출력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의 출력 상태가 제4시간동안 지속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2)의 비정상 상태 및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상태가 함께 표시되는 상기 동시화면(C400)을 출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16(b)와 같이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제4시간이 경과되면, 제어부(90)는 제2코스의 진행 상태를 사용자에게 제공함과 동시에 제1처리장치(2)의 비정상 상태 또한 사용자에게 알릴 수 있도록 도 16(c)와 같이 동시화면(C400)을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은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 대신 제2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된 상황에서도 동일하다. 동시화면(C400)은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는 처리장치의 정보 표시 영역에서 상기 비정상 상태를 표시할 수 있다.
도 16(c)에는 제1처리장치(2)가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여 동시화면(C400)의 제1영역(C401)에 비정상 상태가 표시되고, 제2영역(C402)에는 제2코스의 진행 정보가 표시된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동시화면(C400)을 통해 제1코스 및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하나의 화면에서 동시에 표시할 수 있으며, 나아가 상기 동시화면(C400)을 통해 비정상 상태와 코스의 진행 정보를 함께 표시할 수 있다.
한편, 도 17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동시화면(C400)으로부터 비정상 알림화면이 재출력되는 과정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a)에는 제1영역(C401)에 비정상 상태가 표시된 동시화면(C400)이 도시되어 있고, 도 17(b)에는 동시화면(C400)의 제1영역(C401)이 선택되어 출력되는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이 도시되어 있으며, 도 17(c)에는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의 확인 영역(C411)이 선택되어 출력되는 제1코스정지화면(C420)이 도시되어 있다.
도 17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영역(C401)이 선택되면 상기 동시화면(C400)에서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2영역(C402)이 선택되면 상기 동시화면(C400)에서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C308)으로 전환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동시화면(C400)의 제1영역(C401) 또는 제2영역(C402)이 선택되면, 제어부(90)는 각 영역에 해당하는 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영역(C401)이 선택되면 화면출력부(110)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을 출력할 수 있고, 제2영역(C402)이 선택되면 제2코스진행화면(C308)을 출력할 수 있다.
다만, 도 17(a)와 같이 제1영역(C401) 및 제2영역(C402) 중 어느 하나에 비정상 상태가 표시된 경우, 상기 비정상 상태가 표시된 영역이 선택되면 화면출력부(110)는 도 17(b)와 같이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비정상 알림화면을 다시 출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동시화면(C400)에서 비정상 상태가 표시된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비정상 알림화면을 출력하여 비정상 상태의 정보를 자세히 확인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정상 알림화면은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확인 영역(C41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가 정지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1코스정지화면(C42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제2화면은 제2코스가 정지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2코스정지화면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의 상기 확인 영역(C411)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110)는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에서 상기 제1코스정지화면(C420)으로 전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코스의 진행 중 비정상 상태가 발생하면, 제어부(90)는 해당 코스를 정지 상태로 전환할 수 있다. 예컨대, 제1코스 및 제2코스가 모두 진행중인 상태에서 제1처리장치(2)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제1코스는 정지 상태로 전환되고 제2코스는 정상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비정상 알림화면에는 확인 영역(C411)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확인 영역(C411)은 비정상 알림화면에 선택 가능하도록 표시될 수 있다. 확인 영역(C411)이 선택되면 제어부(90)는 해당 처리장치의 코스정지화면을 출력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예컨대, 도 17(b)와 같이 제1처리장치(2)에 대한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이 출력된 상태에서, 사용자는 비정상 상태에 대한 정보를 확인한 이후 확인 영역(C411)을 선택할 수 있으며, 제1비정상 알림화면(C410)의 확인 영역(C411)이 선택되면 제어부(90)는 제1코스가 정지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코스정지화면(C420)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복수의 처리장치를 사용하는 과정에서 비정상 상태가 발생한 처리장치를 편리하게 확인할 수 있으며, 비정상 알림화면의 확인 영역(C411)을 선택함으로써 비정상 상태가 발생된 처리장치의 코스정지화면으로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다.
한편, 도 18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나타낸 순서도가 도시되어 있다. 이하에서는 도 1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을 설명하며, 상기 의류처리장치(1)에 대한 중복된 설명은 가급적 생략한다.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의류처리장치(1)는 제1캐비닛(20) 및 제1드럼(25)을 포함하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는 제1처리장치(2)와, 제2캐비닛(30) 및 제2드럼(35)을 포함하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는 제2처리장치(3)와, 상기 제1처리장치(2) 및 상기 제2처리장치(3)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11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단일화면 출력단계(S200)를 포함한다. 단일화면 출력단계(S200)에서는 상기 화면출력부(110)가 상기 제1처리장치(2)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하나의 화면출력부(110)를 통해 제1처리장치(2) 및 제2처리장치(3)의 정보를 우선순위에 맞추어 효과적으로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우선순위 결정단계(S1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S200) 이전에 우선순위 결정단계(S100)에서는, 상기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하는 제어부(90)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결정기준에 따라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의 우선순위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S200)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우선순위 결정단계(S100)에서 결정된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제1화면 및 제2화면은 일률적으로 우선순위가 결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황에 맞추어 제어부(90)에 의해 우선순위가 결정될 수 있어 합리적인 화면 출력이 가능해진다.
상기 우선순위 결정단계(S100)에서,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출력 요청이 가장 늦게 발생된 화면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이벤트 발생이 가장 늦게 일어난 화면을 최우선순위로 하여, 해당 화면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다만, 전술한 바와 같이 전환버튼(147)이나, 미리 설정된 시간의 경과에 따른 화면 자동 복귀 등에 의해 화면이 전환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S200) 이후 수행될 수 있는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에서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화면출력부(110)에서 출력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전환되기 위한 전환 조건의 충족 여부를 상기 제어부(90)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화면의 전환 조건에는 전술한 전환버튼(147)의 조작 여부, 동시화면(C400)의 출력 필요 여부, 제어부(90)의 화면 자동 복귀 수행 여부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설정 과정에 해당하고 상기 화면출력부(110)에서 상기 제1화면 중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1코스설정화면(C207)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제1코스설정화면(C207) 및 제2코스설정을 서로 동격의 우선순위로 보고 상호간의 화면 자동 복귀를 수행하지 않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코스가 진행 중이고 상기 제2코스가 상기 설정 과정에 해당하며 상기 화면출력부(110)에서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즉, 제어부(90)는 코스진행화면(C300)의 우선순위를 코스설정화면(C200)보다 높게 판단하며, 이에 따라 제1코스 진행 중 화면출력부(110)에 제2코스설정화면(C208)이 출력된 상황에서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고 화면출력부(110)에 제2코스설정화면(C208) 대신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출력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진행 중이고 상기 화면출력부(110)에서 상기 제1화면 중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1코스진행화면(C307)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제1코스가 진행 중이고 상기 제2코스가 진행 중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며 상기 화면출력부(110)에서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2코스의 상기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제2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1)의 제어방법은 동시화면 판단단계(S4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화면 판단단계(S400)에서는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S300)에서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2)의 정보 및 상기 제2처리장치(3)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동시화면(C400)의 출력조건 충족 여부를 상기 제어부(90)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동시화면 판단단계(S400)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진행 중이거나,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고 나머지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90)는 상기 동시화면(C400)의 상기 출력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은 동시화면 전환단계(S500) 및 단일화면 전환단계(S600)를 포함할 수 있다.
동시화면 판단단계(S400)에서 제어부(90)가 동시화면(C400)의 출력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면, 동시화면 전환단계(S500)에서 제어부(90)는 화면출력부(110)의 화면이 제1화면 또는 제2화면으로부터 동시화면(C400)으로 전환되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시화면 판단단계(S400)에서 제어부(90)가 동시화면(C400)의 출력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면, 단일화면 전환단계(S600)에서 제어부(90)는 제1화면 및 제2화면간의 전환이 이루어지도록 화면출력부(110)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특정한 실시예에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이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제공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본 발명이 다양하게 개량 및 변화될 수 있다는 것은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1 : 의류처리장치
2 : 제1처리장치
3 : 제2처리장치 20 : 제1캐비닛
22 : 제1의류도어 25 : 제1드럼
27 : 터브 30 : 제2캐비닛
32 : 제2의류도어 35 : 제2드럼
90 : 제어부 100 : 컨트롤패널
110 : 화면출력부 120 : 입력부
130 : 터치입력부 140 : 버튼부
141 : 제1전원버튼 142 : 제2전원버튼
143 : 제1수행버튼 144 : 제2수행버튼
146 : 부가기능버튼 147 : 전환버튼
C100 : 시작화면 C110 : 웰컴화면
C200 : 코스선택화면 C201 : 코스명칭영역
C202 : 옵션정보영역 C203 : 인디케이터영역
C204 : 인디케이터 C207 : 제1코스선택화면
C208 : 제2코스선택화면 C210 : 제안영역
C300 : 코스진행화면 C307 : 제1코스진행화면
C308 : 제2코스진행화면 C310 : 시간안내영역
C320 : 상태표시영역 C330 : 진행상태 바
C340 : 전원차단표시 C400 : 동시화면
C401 : 제1영역 C402 : 제2영역
C410 : 제1비정상 알림화면 C411 : 확인영역
C420 : 제1코스정지화면 S100 : 우선순위 결정단계
S200 : 단일화면 출력단계 S300 : 화면전환 판단단계
S400 : 동시화면 판단단계 S500 : 동시화면 전환단계
S600 : 단일화면 전환단계 P1 : 시작과정
P2 : 코스선택과정 P3 : 코스진행과정
3 : 제2처리장치 20 : 제1캐비닛
22 : 제1의류도어 25 : 제1드럼
27 : 터브 30 : 제2캐비닛
32 : 제2의류도어 35 : 제2드럼
90 : 제어부 100 : 컨트롤패널
110 : 화면출력부 120 : 입력부
130 : 터치입력부 140 : 버튼부
141 : 제1전원버튼 142 : 제2전원버튼
143 : 제1수행버튼 144 : 제2수행버튼
146 : 부가기능버튼 147 : 전환버튼
C100 : 시작화면 C110 : 웰컴화면
C200 : 코스선택화면 C201 : 코스명칭영역
C202 : 옵션정보영역 C203 : 인디케이터영역
C204 : 인디케이터 C207 : 제1코스선택화면
C208 : 제2코스선택화면 C210 : 제안영역
C300 : 코스진행화면 C307 : 제1코스진행화면
C308 : 제2코스진행화면 C310 : 시간안내영역
C320 : 상태표시영역 C330 : 진행상태 바
C340 : 전원차단표시 C400 : 동시화면
C401 : 제1영역 C402 : 제2영역
C410 : 제1비정상 알림화면 C411 : 확인영역
C420 : 제1코스정지화면 S100 : 우선순위 결정단계
S200 : 단일화면 출력단계 S300 : 화면전환 판단단계
S400 : 동시화면 판단단계 S500 : 동시화면 전환단계
S600 : 단일화면 전환단계 P1 : 시작과정
P2 : 코스선택과정 P3 : 코스진행과정
Claims (31)
-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1처리장치;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2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로부터 정보를 수신하며,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기준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현재 출력이 요구되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코스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2코스의 설정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된 상태에서 상기 전환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된 이후 제1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2코스설정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된 이후 제2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에서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 차단을 알리는 전원차단표시를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차단표시는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에서 팝업 형태로 출력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가 진행되면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을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또는 상기 제2화면 또는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동시화면을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마련되어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에는 상기 제1화면, 상기 제2화면 및 상기 동시화면에 대한 우선순위 결정기준이 미리 설정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의 우선순위가 동일한 경우 상기 동시화면이 출력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2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된 이후 제3시간이 경과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에서 상기 동시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화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시화면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동시화면 출력 중 상기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제2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는 전환버튼;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정보를 표시하는 제1코스진행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동시화면 출력 중 상기 전환버튼이 조작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진행화면 또는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중 비정상 상태를 표시하는 제1비정상알림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동시화면 출력 중 상기 제1코스의 비정상 상태가 발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1비정상 알림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화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은 상기 입력신호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는 확인 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가 정지된 상태임을 표시하는 제1코스정지화면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의 상기 확인 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에서 상기 제1코스정지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의 출력 상태가 제4시간동안 지속되면,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의 비정상 상태 및 상기 제2코스의 진행 상태가 함께 표시되는 상기 동시화면을 출력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제1처리장치, 상기 제2처리장치 및 상기 화면출력부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되어 입력신호가 발생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동시화면은 상기 제1처리장치의 비정상 상태가 표시되는 제1영역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1비정상알림화면으로 전환되고, 상기 제2영역이 선택되면 상기 동시화면에서 상기 제2코스진행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캐비닛 및 상기 제1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1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1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1처리장치;
제2캐비닛 및 상기 제2캐비닛 내부에 구비되고 의류를 수용하는 제2드럼을 포함하며, 상기 제2드럼에 수용된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도록 마련되는 제2처리장치; 및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를 나타내는 제2화면 중 어느 하나를 출력하도록 마련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고,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의 출력 중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전원이 인가되면 상기 제1화면에서 상기 제2화면으로 전환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에서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현재 출력되는 화면에 대응되는 장치를 나타내는 장치 인디케이터를 표시하는 의류처리장치. -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인디케이터는 모양이 유지되며 색상이 변화되어 상기 제1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상태와 상기 제2처리장치를 나타내는 상태가 구분되는 의류처리장치. - 제1캐비닛 및 제1드럼을 포함하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1코스를 수행하는 제1처리장치와, 제2캐비닛 및 제2드럼을 포함하며 의류를 처리하기 위한 제2코스를 수행하는 제2처리장치와, 상기 제1처리장치 및 상기 제2처리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구비되고 화면을 출력하는 화면출력부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면출력부가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1화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표시되는 제2화면 중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는 단일화면 출력단계;를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 이전에,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제어부가 미리 설정된 우선순위 결정기준에 따라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의 우선순위를 결정하는 우선순위 결정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우선순위 결정단계에서 결정된 우선순위가 더 높은 화면을 출력하도록 상기 화면출력부를 제어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우선순위 결정단계에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출력 요청이 가장 늦게 발생된 화면을 더 높은 우선순위로 결정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단일화면 출력단계 이후, 상기 제1화면 및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출력되는 어느 하나가 다른 하나로 전환되기 위한 전환 조건의 충족 여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화면전환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화면은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1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화면은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2코스설정화면을 포함하며,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설정 과정에 해당하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1화면 중 상기 제1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1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되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가 진행 중이고 상기 제2코스가 상기 설정 과정에 해당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2코스의 설정 과정을 나타내는 제2코스설정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진행 중이고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1화면 중 상기 제1코스의 진행 상태를 나타내는 제1코스진행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가 진행 중이고 상기 제2코스가 진행 중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며 상기 화면출력부에서 상기 제2화면 중 상기 제2코스의 상기 비정상 상태를 나타내는 제2비정상 알림화면이 출력되는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25항에 있어서,
상기 화면전환 판단단계에서 상기 전환 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상기 제1처리장치의 정보 및 상기 제2처리장치의 정보가 함께 표시되는 동시화면의 출력조건 충족 여부를 상기 제어부가 판단하는 동시화면 판단단계;를 더 포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제30항에 있어서,
상기 동시화면 판단단계에서,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가 각각 진행 중이거나, 상기 제1코스 및 상기 제2코스 중 적어도 하나가 비정상 상태에 해당하고 나머지가 진행 중인 경우,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동시화면의 상기 출력조건이 충족된 것으로 판단하는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2836A KR20240043573A (ko) | 2022-09-27 | 2022-09-27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CT/KR2023/015012 WO2024072091A1 (ko) | 2022-09-27 | 2023-09-27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20122836A KR20240043573A (ko) | 2022-09-27 | 2022-09-27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43573A true KR20240043573A (ko) | 2024-04-03 |
Family
ID=904786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20122836A KR20240043573A (ko) | 2022-09-27 | 2022-09-27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240043573A (ko) |
WO (1) | WO2024072091A1 (ko)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CN106032625B (zh) * | 2015-03-11 | 2019-12-13 | 青岛海尔滚筒洗衣机有限公司 | 一种洗衣机和洗衣机的控制方法 |
KR20170089677A (ko) * | 2016-01-27 | 2017-08-04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세탁물 처리기기 및 그 제어방법 |
KR101999701B1 (ko) * | 2018-07-18 | 2019-07-12 | 엘지전자 주식회사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KR102253259B1 (ko) * | 2019-11-29 | 2021-05-20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및 그 제어방법 |
KR20210109992A (ko) * | 2020-02-28 | 2021-09-07 | 삼성전자주식회사 | 세탁기, 그 제어 방법 및 그의 컨트롤 패널 |
-
2022
- 2022-09-27 KR KR1020220122836A patent/KR20240043573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
2023
- 2023-09-27 WO PCT/KR2023/015012 patent/WO2024072091A1/ko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WO2024072091A1 (ko) | 2024-04-04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9798455B2 (en) | Operating device | |
US20130290902A1 (en) | User control interface for an appliance, and associated method | |
US11608581B2 (en) | Washing machine | |
EP3348698B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and method of the same | |
KR20160008761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1192190B1 (ko) | 다이얼스위치를 이용한 세탁기의 제어 방법 | |
US10934653B2 (en) | Laundry treatment apparatus | |
KR20240043573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3286571B2 (ja) | 洗濯機 | |
JP7564640B2 (ja) | 洗濯制御装置及び洗濯機 | |
KR102522052B1 (ko) | 세탁기의 제어방법 | |
US20240295062A1 (en) | Laundry treating apparatus | |
KR20240043574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20240043577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7517790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20240043575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KR102719449B1 (ko) |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KR20240043576A (ko) | 의류처리장치 및 그 제어방법 | |
JP7405558B2 (ja) | 衣類処理装置 | |
KR102281310B1 (ko) | 세탁기 | |
KR20230092666A (ko) |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
JPH11206689A (ja) | 食器洗い乾燥機 | |
KR20230157124A (ko) | 세탁물 처리기기 | |
JP2023183701A (ja) | 衣類処理装置 | |
KR20230092667A (ko) | 의류처리장치, 의류처리시스템 및 의류처리장치의 제어방법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