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531A - Indoor gardening device - Google Patents

Indoor gardening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531A
KR20240043531A KR1020220122729A KR20220122729A KR20240043531A KR 20240043531 A KR20240043531 A KR 20240043531A KR 1020220122729 A KR1020220122729 A KR 1020220122729A KR 20220122729 A KR20220122729 A KR 20220122729A KR 20240043531 A KR20240043531 A KR 20240043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flower pot
seating
flowerpot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2729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마상준
Original Assignee
(주)꿈제작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꿈제작소 filed Critical (주)꿈제작소
Priority to KR10202201227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3531A/en
Publication of KR20240043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53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02Receptacles, e.g. flower-pots or boxes; Glasses for cultivating flowers
    • A01G9/022Pots for vertical horticulture
    • A01G9/025Containers and elements for greening wall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3Controls for self-acting water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7/00Self-acting watering devices, e.g. for flower-pots
    • A01G27/005Reservoirs connected to flower-pots through conduits

Abstract

본 발명은, 실내 가드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부가 개방된 화분(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는 안착면(210)과, 상기 안착면(2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면(220)을 포함하는 화분안착부(200); 일측으로 공급된 수분을 흡수하여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전면에 밀착되는 물 전달부(300);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전면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화분(100)이 통과하여 상기 안착면(210)에 안착되면서 상기 화분(100)의 측면이 지지되는 통과공(410)이 형성되는 화분지지부(400); 상기 화분지지부(400)의 하단과 더불어 물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 및 화분지지부(400)의 상단과 연결되는 마감부(500); 및 상기 마감부(500)의 물저장공간에 수용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에 연결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상단에서 상기 물 전달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620)을 포함하는 물 공급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100)에는, 하단 일측에 상기 물 전달부(300)로부터 전달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수공(110)이 마련되고, 상기 통수공(110)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화분(100)에 투입되는 토양을 구획하면서 상기 유입된 물을 상기 토양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화분(100) 하단에 장착되는 구획유닛(7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gardening device, in which a flowerpot (100) with an open top is seated tilted forward, a seating surface (210)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the seating surfaces (21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 flowerpot seating portion 200 including a connecting surface 220; A water transfer unit 300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supplied to one side and transferring it to the other sid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lower pot seating unit 200; A flower pot support portion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nd forms a through hole 410 through which the flower pot 100 passes and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0 and the side of the flower pot 100 is supported. (400); A finishing part 500 extending upward and forming a water storage space along with the lower end of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and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and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And a pump 610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finishing part 500, and connected to the pump 610 to supply water from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to the water delivery part 300. and a water supply unit 600 including a supply pipe 620, wherein the flower pot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passage hole 110 on one lower side through which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delivery unit 300 can pass. A partition unit 70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is provided to divi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hole 110 and the soil input into the flower pot 100 and supp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soil. It is characterized by being further provided.

Description

실내 가드닝 장치 {INDOOR GARDENING DEVICE}Indoor gardening device {INDOOR GARDENING DEVICE}

본 발명은 실내 가드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 다수의 화분을 매트릭스 형태로 기울여 배치하되 물 흡수부재를 이용하여 각 화분에 균일한 수분공급이 가능한 구성이 이루어지고, 화분 내 식물 식재공간과 저수공간이 구분되어 저수공간으로의 토양 유입 없이 원활한 물의 흐름을 발생하도록 함으로써 토양으로의 수분공급이 이루어지는 실내 가드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gardening device, and in detail, a configuration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 pots are tilted and arranged in a matrix form to enable uniform supply of moisture to each flower pot using a water absorbing member, and a plant planting space and water storage space within the flower pot are provided. This relates to an indoor gardening device that supplies moisture to the soil by dividing the space to create a smooth flow of water without soil inflow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일반적으로 식물을 재배하기 위해서는 화분을 사용하였으나, 최근 들어 미관을 향상시키면서도 공기정화를 위하여 실내에 설치하여 사용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가 개발되고 있는 추세이다. In general, pots were used to grow plants, but recently, indoor gardening devices that can be installed indoors to purify the air while improving aesthetics are being developed.

이 같은 실내 가드닝 장치는 한정된 공간에서 장소의 영향을 받지 않고 실물을 용이하게 재배할 수 있도록 적층 방식이 주로 사용된다. 다단으로 적층하여 급수수단으로부터 급수된 물이 최상부로 공급되면 하부에 연결 설치된 물 저장공간으로 배수가 이루어지고, 하부로 배수된 물은 다시 급수펌프의 구동으로 인하여 순환하면서 지속적인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Such indoor gardening devices mainly use a stacking method so that real plants can be easily grown in a limited space without being affected by the location. When th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means is supplied to the top by stacking in multiple stages, it is drained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connected to the bottom, and the water drained to the bottom is circulated again by the operation of the water pump to ensure continuous water supply. .

한국 공개특허 10-2014-0020021에서는 식재공간이 형성된 식생백 및 식생백을 지지하는 유니트를 포함하고, 식생백의 식재공간은 상면이 개방되거나 상면에 식생홀이 형성되며, 식생백의 둘레면에는 식재공간으로부터 밖으로 나오는 식재에 의해 벌어질 수 있도록 절개된 절개부가 구비되는 벽면 녹화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14-0020021 includes a vegetation bag in which a planting space is formed and a unit supporting the vegetation bag. The planting space of the vegetation bag has an open top or a vegetation hole is formed on the top, and a planting space is provided on the circumferential surface of the vegetation bag. A wall greening system is being disclosed that is provided with an incision that can be opened by plantings coming out from there.

하지만, 이 경우, 식재의 식생이 이루어지는 식재공간이 형성된 식생백을 추가로 요구하고 있으므로 식재관리, 점검, 보수가 용이하지 않은 단점이 있으며, 상부 및 하부의 수분 공급량과 공급시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상부 및 하부 식물의 생육 정도에 차이가 발생할 수 있는 단점이 있다.However, in this case, since additional planting bags are required to form a planting space where plantings take place, there is a disadvantage in that planting management, inspection, and repair are not easy, and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amount and supply time of moisture supplied to the upper and lower parts. Therefore, there is a disadvantage that there may be a difference in the growth level of the upper and lower plants.

이에, 설치 및 유지보수가 용이하면서도 균일하고 신속한 수분공급을 통해 상부 및 하부의 수분공급량 및 공급시간 차이를 줄임으로써 식물의 균일한 생육조건을 제공할 수 있는 실내 가드닝 장치의 개발이 필요한 상황이다. According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n indoor gardening device that is easy to install and maintain, and can provide uniform growth conditions for plants by reducing the difference in water supply amount and supply time between the upper and lower parts through uniform and rapid water supply.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4-0020021 (2014.02.18)Republic of Korea Public Patent No. 10-2014-0020021 (2014.02.18)

본 발명의 목적은 다수의 화분에 대해 개별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필요 없이 물 흡수부재를 이용하여 다수의 화분에 수분공급이 균일하게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실내 가드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n indoor gardening device configured to uniformly supply moisture to a plurality of flower pots using a water absorption member without the need to supply moisture to the plurality of flower pots individually.

또한, 실내에서 식물을 용이하게 감상하도록 식물이 식재된 화분을 기울여 배열하되, 그 기울어진 화분의 하단에 식재공간과 구분된 저수공간을 마련함으로써 식재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저수공간에서 원활한 물의 흐름이 발생하도록 구성된 실내 가드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the pots with the plants in them are tilted and arranged so that the plants can be easily viewed indoors, and a water storage space separated from the planting space is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tilted pot, allowing smooth flow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without affecting the planting space. To provide an indoor gardening device configured to cause this to occur.

또한, 화분의 식재공간과 저수공간을 구획할 때 식재공간 내 토양의 유입을 차단하여 저수공간 내 물이 토양에 의해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고, 저수공간의 물을 흡수하여 식재공간으로 전달하여 토양을 적심으로써 식물생육을 위한 수분 공급이 가능한 실내 가드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when dividing the planting space and water storage space of a pot, the inflow of soil into the planting space is prevented to prevent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from being contaminated by soil, and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is absorbed and delivered to the planting space to preserve the soil. It provides an indoor gardening device that can supply moisture for plant growth by wetting.

또한, 화분 식재공간의 하중 지지 구조를 마련함으로써 저수공간의 상면이 안정적인 구조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된 실내 가드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In addition, an indoor gardening device is provided so that the upper surface of the water storage space has a stable structure by providing a load-supporting structure for the flower pot planting space.

본 발명은, 상부가 개방된 화분(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는 안착면(210)과, 상기 안착면(2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면(220)을 포함하는 화분안착부(200); 일측으로 공급된 수분을 흡수하여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전면에 밀착되는 물 전달부(300);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전면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화분(100)이 통과하여 상기 안착면(210)에 안착되면서 상기 화분(100)의 측면이 지지되는 통과공(410)이 형성되는 화분지지부(400); 상기 화분지지부(400)의 하단과 더불어 물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 및 화분지지부(400)의 상단과 연결되는 마감부(500); 및 상기 마감부(500)의 물저장공간에 수용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에 연결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상단에서 상기 물 전달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620)을 포함하는 물 공급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100)에는, 하단 일측에 상기 물 전달부(300)로부터 전달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수공(110)이 마련되고, 상기 통수공(110)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화분(100)에 투입되는 토양을 구획하면서 상기 유입된 물을 상기 토양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화분(100) 하단에 장착되는 구획유닛(7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를 제공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a flowerpot 100 with an open top is seated tilted forward and has a seating surface 210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connection surface 220 connecting the seating surfaces 210 to each other. Containing a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 water transfer unit 300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supplied to one side and transferring it to the other sid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lower pot seating unit 200; A flower pot support portion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nd forms a through hole 410 through which the flower pot 100 passes and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0 and the side of the flower pot 100 is supported. (400); A finishing part 500 extending upward and forming a water storage space along with the lower end of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and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and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And a pump 610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finishing part 500, and connected to the pump 610 to supply water from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to the water delivery part 300. and a water supply unit 600 including a supply pipe 620, wherein the flower pot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passage hole 110 on one lower side through which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delivery unit 300 can pass. A partition unit 70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is provided to divi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hole 110 and the soil input into the flower pot 100 and supp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soil. An indoor gardening device is provided, which is further provided.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획유닛(700)은, 상기 통수공(110)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화분이 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분의 저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에 타단이 지지되는 격벽(711)과, 상기 격벽(711)의 타단에서 화분(100)의 내측면을 따라 화분(100) 저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벽(712)을 포함하는 구획판(710); 상기 화분(100) 저면으로 유입된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격벽(711)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연장벽(712) 외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벽(712)과 상기 화분(100) 내측면 사이에 게재되는 심지(720);를 포함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artition unit 700 is arranged to be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so that one end is supported by the water passage hole 110 and forms a horizontal surface when the flower pot is tilted, so that the flower pot (100) ) and a partition plate including a partition wall 711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711 and an extension wall 71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artition wall 711 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er pot 100. (710); It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711 and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wall 712 to supply water flowing in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to the soil, so that it is inside the extension wall 712 and the flower pot 100. It may include a wick 720 placed between the sides.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격벽(711)의 일단과 상기 연장벽(712)의 하단에는 상기 심지(720)가 밀착되도록 상기 심지(720)의 일단 및 타단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1가압부(731)와 제2가압부(732)가 형성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one end of the partition 711 an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wall 712 are provided with a first pressing part 731 that presses and holds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ck 720 so that the wick 720 is in close contact with it. ) and a second pressing portion 732 may be formed.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격벽(711)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식물과 흙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일단이 상기 통수공으로 삽입되어 식물과 흙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지지하도록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artition wall 711 may be deformed by the load of plants and soil applied from the top, and one end of the partition wall 711 may be inserted into the water passage hole to have an arch shape convex upward to support and distribute the load of the plants and soil.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화분(100)에서 상기 통수공(110)이 형성된 위치를 포함한 수직면은, 상기 통수공(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몰된 홈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홈부(120)에 대응되는 연결면(220)에는 상기 연결면(220) 상에 배치되는 물 전달부(300)를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230)가 체결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vertical surface including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permeable hole 110 is formed in the flower pot 100 is composed of a recessed groove portion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permeable hole 110 can be confirmed, and the groove portion ( A fixing part 230 may be fastened to the connection surface 220 corresponding to 1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disposed on the connection surface 220.

본 발명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는 물 흡수부재에 의해 흡수된 물의 중력을 이용하여 흡수된 물을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진적으로 균일하게 이동시킴으로써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에 수분을 균일하게 공급하여 식물의 생육을 고르게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uses the gravity of the water absorbed by the water absorption member to gradually and evenly move the absorbed water from the upper to the lower side, thereby uniformly supplying moisture to the flowerpots located at the upper and lower sides, thereby supporting the growth of plants. It has the advantage of allowing for even growth.

또한, 화분 내 식물식재 공간 및 저수공간이 구분됨에 따라 저수공간으로의 물 유입 및 저장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며 오버플로우되는 물은 화분 하측에 배치되는 물 전달부재로 흐르도록 함으로써 효율적인 물의 공급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as the plant planting space and the water storage space within the pot are separated, the inflow and storage of water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is facilitated, and the overflow water flows to the water delivery member placed at the bottom of the pot, enabling efficient water supply. There is.

또한, 화분 내 저수공간이 밀실하게 구획된 구조를 가짐에 따라 식재공간 내 토양의 유입에 의한 물의 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흡수과정을 통해 저수공간 내 물을 식재공간으로 전달하고 토양을 적심으로써 토양상태에 따른 수분 흡수량 조절이 가능하여 생육이 활성화되는 장점이 있다.In addition, as the water storage space in the pot has a tightly divided structure, it is possible to prevent water contamination due to soil inflow into the planting space, and through the absorption process,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is transferred to the planting space and moistens the soil. It has the advantage of activating growth as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amount of water absorption depending on the condition.

또한, 화분 내 저수공간 구획을 위하여 아치구조를 채용함으로써 식재공간에서 식물과 토양의 하중을 측면으로 전달하여 저수공간의 상면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by employing an arch structure to divide the water storage space in the pot, there is an advantage in stabilizing the top structure of the water storage space by transmitting the load of plants and soil in the planting space to the side.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사시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화분(100) 내 서로 다른 양태에 따른 구획유닛(7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서로 다른 양태에 따른 마감부(5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홈부(120) 및 고정부(23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side view of an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tition unit 700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s within the flower pot 100 of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portion 500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s of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ove portion 120 and the fixing portion 230 of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특징과 장점은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는 실시 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The feature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 예에 기재되거나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의 구성 및 배열에 의해 본 발명의 응용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다른 실시 예들로 구현될 수 있고, 다양한 방법으로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장치 또는 요소의 방향 등과 같은 용어들에 관하여 실시 예에 사용된 표현 및 술어는 단지 본 발명의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사용되며, 관련된 장치 또는 요소가 단순히 특정 방향을 가져야 함을 나타내거나 의미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제2"와 같은 용어가 본 발명을 설명하는 실시 예와 청구항에 사용되는데, 이러한 용어가 상대적인 중요성 또는 취지를 나타내거나 의미하는 것으로 의도되지 않는다.The appl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configuration and arrangement of components describ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or shown in the drawings.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implemented in different embodiments and performed in various ways. Additionally, expressions and predicates used in the embodiments regarding terms such as orientation of a device or element, etc. are merely used to simplify the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and do not indicate or imply that the device or element involved should simply have a particular orientation. No. For example,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in the examples and claims to describe the present invention, but these terms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or imply relative importance or intent.

또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가 발명의 용어와 개념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에 입각하여 기재한 것으로 해석하여야 한다.In addition, terms or words used in this specification and claims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use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to explain the terms and concepts of the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written based on the corresponding meaning and concept.

따라서 본 발명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 범위에 기재된 기술상의 균등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경이 가능하다.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esented embodiments, and is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thin the technical spiri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technical equivalents described in the claims below. Various modifications and changes are possible.

<제1실시예> <First embodiment>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제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First, a first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1은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사시도이며, 1 is a perspective view of an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측면도이고,Figure 2 is a side view of an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화분(100) 내 서로 다른 양태에 따른 구획유닛(70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며,Figures 3 and 4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partition unit 700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s within the flower pot 100 of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5(a) 및 도 5(b)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서로 다른 양태에 따른 마감부(500)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Figures 5(a) and 5(b) are diagrams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finishing portion 500 according to different aspects of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는 다수의 화분이 기울여져 매트릭스 형태로 적층 배치되되 저수형 및 저면관수 방식의 실내 가드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크게 화분(100), 화분안착부(200), 물 전달부(300), 화분지지부(400), 마감부(500) 및 물 공급부(6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As shown in Figure 1,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relates to an indoor gardening device in which a plurality of flower pots are tilted and stacked in a matrix form, and is of a low water type and bottom irrigation type. It is composed of a flower pot seating part 200, a water delivery part 300, a flower pot support part 400, a finishing part 500, and a water supply part 600.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안착부(200)는 화분(100)을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안착시키되 높이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시키기 위한 것으로, 안착면(210)과 연결면(2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안착면(210)은 수평면 기준 10 내지 80°,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로 하향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높이방향을 따라 계단형태로 병렬 배치되며, 이러한 안착면(210)은 연결면(220)에 의해 상호간 연결된다. 상기 화분안착부(200)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구성되는 것이 기계적 안정성 면에서 유리하다. As shown in FIG. 2,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is designed to tilt the flower pot 100 forward and arrange it in parallel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includes a seating surface 210 and a connection surface 220. It is composed. The seating surface 210 is formed to be inclined downward at 10 to 80°, preferably 20 to 60°, relative to the horizontal plane, and is arranged in parallel in a step shape along the height direction. This seating surface 210 is connected to the connection surface 220.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It is advantageous in terms of mechanical stability that the flowerpot seating portion 200 is made of stainless steel.

물 전달부(300)는 상기 안착면(210) 및 연결면(220)으로 이루어진 화면안착부(200)의 상부면 전체에 걸쳐 밀착 적층된 구조를 가짐으로써 일측으로 공급된 수분을 흡수하여 타측으로 전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상부면은 상기 화면안착부(200)에 화분(100)이 배치되는 면을 지칭하며, 상기 일측은 후술되는 공급관(620)과 연결된 물 전달부(300)의 일측을 지칭하고, 상기 타측은 후술되는 물저장공간과 연결된 물 전달부(300)의 타측을 지칭한다. The water transfer unit 3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moisture supplied to one side is tightly laminated over the entire upper surface of the screen seating unit 200, which consists of the seating surface 210 and the connection surface 220, and is transferred to the other side. It will be delivered. At this time, the upper surface refers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lower pot 100 is placed on the screen seating part 200, the one side refers to one side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6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side refers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lowerpot 100 is placed. The side refers to the other side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상기 물 전달부(300)는 상기 공급관(620)으로부터 공급된 수분을 흡수하여 물저장공간으로 전달할 수 있게 되며, 이러한 물의 흡수 및 전달 과정에서 상부에 위치한 화분(100) 내부로 물을 공급하게 된다. 이에 따라 각 화분(100)마다 개별적으로 수분을 공급할 필요 없이 상기 물 전달부(300)를 통해 다수의 화분에 동시에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된다.The water delivery unit 300 can absorb moisture supplied from the supply pipe 620 and deliver it 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in the process of absorbing and transferring water, water is supplied into the flower pot 100 located at the top. .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upply moisture to a plurality of flower pots simultaneously through the water delivery unit 300 without the need to supply moisture to each flower pot 100 individually.

이러한 물 전달부(300)는 부직포, 스펀지 등 수분의 흡수 및 전달이 가능한 물 흡수부재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세하게, 상기 물 흡수부재에 의해 흡수된 물은 중력에 의해 상기 물 전달부(300) 상측에서 하측으로 점진적으로 균일하게 이동함으로써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각 화분마다 수분을 균일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의 생육을 고르게 할 수 있어 미관을 개선할 수 있다.This water transfer unit 300 is preferably made of a water absorbing member capable of absorbing and transferring moisture, such as non-woven fabric or sponge. In detail, the water absorbed by the water absorbing member gradually and uniformly moves from the upper to the lower side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by gravity, thereby making it possible to uniformly supply moisture to each flowerpot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 Accordingly, the growth of flower pot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can be uniformed, thereby improving aesthetics.

한편, 상기 물 전달부(300)의 일단부는 후술되는 공급관(620)과 연결되며 타단부는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에 담기도록 설치됨으로써, 원활한 물의 순환을 구현할 수 있다. Meanwhile, one end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is connected to the supply pipe 62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the other end is installed to be submerged in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thereby realizing smooth water circulation.

화분지지부(400)는 상기 화분안착부(200)에 안착되는 복수의 화분(100)을 지지하기 위한 것으로, 판 형태를 가지되 복수의 통과공(410,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이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도록 구성된다. The flower pot support portion 400 is for supporting a plurality of flower pots 100 mounted on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nd has a plate shape with a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0 (not shown in the drawing) spaced at regular intervals. It is configured to be formed.

통과공(410)은 복수의 화분(100)을 통과시켜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안착면(210)에 안착시켜 각 화분(100)의 측면을 지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으로, 상기 화분지지부(400)의 가로 및 세로 방향을 따라 일정간격으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화분(100)이 통과 가능하되 화분(100)의 위치를 고정시키기 위한 측면에서 상기 통과공(410)은 상기 화분(100) 크기 대비 10 내지 30% 큰 사이즈로 관통되어 형성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때 상기 화분(100)의 크기는 가로 및 세로 크기를 지칭하며, 상기 화분(100)이 원형일 경우에는 화분의 직경을 지칭한다. The through hole 410 is formed to support the side of each flower pot 100 by allowing the plurality of flower pots 100 to pass through and seating them on the seating surface 210 of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The flower pot support portion 400 ) are formed at regular intervals along the horizontal and vertical directions. On the other hand, it is advantageous for the flower pot 100 to pass through, but in terms of fixing the position of the flower pot 100, the passage hole 410 is formed to be 10 to 30% larger than the size of the flower pot 100. do. At this time, the size of the flower pot 100 refers to the horizontal and vertical sizes, and when the flower pot 100 is circular, it refers to the diameter of the flower pot.

이러한 복수의 통과공(410)이 형성된 화분지지부(400)는 평균 두께 0.1 내지 5 ㎝,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3 ㎝ 인 판형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각 화분(100)의 안정적인 물리적 지지에 유리하다. The pot support portion 400 in which these plurality of through holes 410 are formed is made of a plate-shaped stainless steel material with an average thickness of 0.1 to 5 cm, preferably 0.5 to 3 cm, to provide stable physical support for each pot 100. It is advantageous.

물 공급부(600)는 상기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을 상기 물 전달부(300)로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마감부(500)의 물저장공간에 수용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에 연결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상단에서 상기 물 전달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620)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water supply unit 600 is for supplying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to the water delivery unit 300. As shown in FIG. 2, a pump ( 610) and a supply pipe 620 connected to the pump 610 to supply water from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unit 200 to the water delivery unit 300.

상기 공급관(620)은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최상층 안착면(210)에 배치된 화분(100)의 배열방향과 평행되도록 배치되되, 각 화분(100)에 대응하는 위치에 물이 흘러나올 수 있도록 통공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펌프(610) 구동에 의해 공급관(620)으로 공급된 물은 상기 형성된 복수의 통공으로 흘러나오면서 하부에 배치된 물 전달부(300)에 의해 흡수되고, 흡수된 물은 중력에 의해 물 전달부(300) 상측에서 하측으로 이동하면서 전술된 각 화분으로의 수분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공급관(620)은 하나의 펌프(610)에 연결될 수도 있고, 상기 최상층 안착면(210)의 높이 및 상기 최상층 안착면(210)에 배치되는 화분(100)의 개수에 따라 둘 이상의 펌프(610) 구동에 의해 물 공급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The supply pipe 620 is arranged parallel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flower pots 100 placed on the uppermost seating surface 210 of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nd water flows out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each flower pot 100. A hole may be formed so that Accordingly, the water supplied to the supply pipe 620 by driving the pump 610 flows out through the plurality of through holes formed and is absorbed by the water delivery unit 300 disposed at the bottom, and the absorbed water is converted into water by gravity. As the delivery unit 300 moves from the upper side to the lower side, moisture is supplied to each flowerpot described above. At this time, the supply pipe 620 may be connected to one pump 610, and two or more pumps ( 610) It may be configured to supply water by driving.

화분(10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가 개방되되 하단 일측에 통수공(110)이 마련되어 상기 물 전달부(300)로부터 전달된 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통수공(110)은 상기 화분(100) 하단의 좌측, 우측 또는 중간 위치에 형성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화분(100)의 하측 중간 위치에 직경 0.5 내지 3 ㎝로 형성되는 것이 효율적인 물 전달 측면에서 유리하다. As shown in FIG. 2, the flower pot 100 is open at the top and has a water passage hole 110 on one side of the bottom so that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delivery unit 300 can pass through. At this time, the water passage hole 110 may be configured to be formed at the left, right, or middle position of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but is preferably formed with a diameter of 0.5 to 3 cm at the middle position of the lower side of the flower pot 100. This is advantageous in terms of efficient water transfer.

상기 화분(100) 하단에는 상기 통수공(110)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화분(100)에 투입되는 토양을 구획하면서 상기 유입된 물을 상기 토양으로 공급하도록 장착되는 구획유닛(700)이 더 구비된다. A partition unit 700 is further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lowerpot 100 to divi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hole 110 and the soil input into the flowerpot 100 and supp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soil. do.

이러한 구획유닛(700)에 의해 상기 화분(100)은 하단에 식재공간과 구분된 저수공간을 형성함으로써 식재공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저수공간에서 원활한 물의 흐름이 발생할 수 있게 된다. 이때 상기 물의 흐름은, 상기 물 공급부(600)로부터 화분(100) 내 저수공간으로의 물 유입, 물 저장; 및 오버플로우되는 물의 물 전달부(300)로의 흐름을 지칭한다. 이에 따라 상기 저수공간에 저장된 물을 효율적으로 식재공간 내 토양에 공급할 수 있게 된다. By using this partition unit 700, the pot 100 forms a water storage space at the bottom separated from the planting space, thereby enabling a smooth flow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without affecting the planting space. At this time, the flow of water includes: water inflow from the water supply unit 600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in the flower pot 100, and water storage; and the flow of overflowing water to the water delivery unit 300. Accordingly,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can be efficiently supplied to the soil in the planting space.

상기 구획유닛(700)은 상술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 재질 및 구조에 대해 특별히 한정하지는 않는다. 일 예로, 상기 구획유닛(700)은 판형 스테인리스로 구성되되, 복수의 물 공급홀이 형성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화분(100) 내 물과 토양의 구획 및 토양으로의 물 공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구획유닛(700)은 상기 화분(100)이 안착되는 안착면(210)과 평행하도록 배치되거나 상기 화분(100)이 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배치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화분(100)의 경사 각도에 따라 고정부품을 더 포함함으로써 상기 구획유닛(700)을 특정 위치에 고정시킬 수 있다. The shape, material, and structure of the partition unit 700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can perform the above-described role. As an example, the partition unit 700 is made of plate-shaped stainless steel and is configured to have a plurality of water supply holes, so that it can serve to partition water and soil in the flower pot 100 and supply water to the soil. At this time, the partition unit 700 may be arranged parallel to the seating surface 210 on which the flower pot 100 is seated, or may be arranged to form a horizontal surface with the flower pot 100 tilted. In addition, the partition unit 700 can be fixed to a specific position by further including fixing parts according to the inclination angle of the flower pot 100.

본 발명의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획유닛(70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구획판(710)과 심지(720)를 구분하여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partition unit 700 is largely configured to include a partition plate 710 and a core 720, as shown in FIG. 3.

구획판(710)은 상기 화분(100)의 통수공(110)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화분(100)에 투입되는 토양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기 위한 것으로, 격벽(711) 및 연장벽(712)을 구분하여 포함되도록 구성된다. The partition plate 710 is for physically separating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hole 110 of the flower pot 100 and the soil introduced into the flower pot 100, and is formed by a partition wall 711 and an extension wall 712. It is structured to be included separately.

상기 격벽(711)은 상기 화분(100)에 형성된 통수공(110)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화분(100)이 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분(100)의 저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도록 배치되어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에 타단이 지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장벽(712)은 상기 격벽(711)의 타단에서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을 따라 화분(100) 저면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The partition 711 has one end supported by the water passage hole 110 formed in the flower pot 100 and is arranged to be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to form a horizontal surface when the flower pot 100 is tilted. It may be configured so that th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er pot 100. Additionally, the extension wall 712 may be formed to extend from the other end of the partition wall 711 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er pot 100.

이에 따라 별도의 고정부품 없이도 상기 구획유닛(700)은 화분(100) 저면으로부터 자가 지지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 고정이 가능하며, 상기 화분(100)에 유입되는 물과 투입되는 토양을 각각 상기 구획판(710) 기준 하부 및 상부 공간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즉, 구획판(710) 기준 상부 식재공간과 하부 저수공간을 분리시키되, 하부 저수공간이 밀실하게 구획된 구조를 가질 수 있어 식재공간 내 토양이 저수공간에 유입되어 물을 오염시키는 등 문제를 방지할 수 있게 된다. Accordingly, without separate fixing parts, the partition unit 700 can perform a self-supporting role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and can be fixed, and the water flowing into the flower pot 100 and the soil entering the flower pot 100 can be divided into the respective partitions. It is separated into lower and upper spaces based on the plate 710. In other words, the upper planting space and the lower water storage space are separated based on the partition plate 710, but the lower water storage space can have a tightly partitioned structure to prevent problems such as soil in the planting space flowing into the water storage space and contaminating the water. You can do it.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격벽(711)은 힌지에 의해 상방으로 접혀지게 구성됨으로써 상기 구획유닛(700)을 상기 화분(100) 하단에 용이하게 장착시킬 수 있다. 즉, 상기 힌지에 의해 상방으로 접힌 상태의 구획유닛(700)을 상기 화분(100)에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사용자의 작업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partition wall 711 is configured to be folded upward by a hinge, so that the partition unit 700 can be easily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That is, the ease of operation for the user can be improved by inserting and mounting the partition unit 700, which is in an upwardly folded state by the hinge, into the flower pot 100.

한편, 심지(720)는 모세관 현상을 이용하여 상기 저수공간으로 유입되어 저장된 물을 흡수하여 상부에 투입되는 토양에 공급하기 위한 것으로, 스펀지 및 부직포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하나 이상을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Meanwhile, the wick 720 is used to absorb water stored in the reservoir space using capillary action and supply it to the soil introduced at the top, and is configured to include at least one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sponges and non-woven fabrics. .

효율적인 물 흡수 및 전달을 위해 상기 심지(720)는 상기 격벽(711)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연장벽(712) 외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벽(712)과 상기 화분(100) 내측면 사이에 게재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상기 구획판(710) 전체 면의 상부에 적층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심지(720)는 투입되는 토양과 직접적으로 접촉되고, 그 하부에 적층 배치된 구획판(710)은 화분(100)의 통수공(110)으로 유입된 물과 직접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된다. For efficient water absorption and transfer, the wick 720 is stack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711 and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wall 712 between the extension wall 712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er pot 100. It can be configured to be posted on . That is, by being stacked on the upper part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partition plate 710, the wick 720 is in direct contact with the input soil, and the partition plate 710 stacked below the wick 720 is a water permeability hole of the flower pot 100. It is configured to directly contact the water flowing into (110).

이에 따라 상기 화분(100)의 통수공(110)을 통해 저수공간으로 유입된 물을 상기 심지(720) 내 격벽(711)의 일단과 연장벽(712)의 하단에 대응하는 단부를 시점으로 상기 심지(720) 전체 면에 흡수시킴으로써 식재공간으로 전달하고 토양을 적심으로써 식물생육을 위한 수분공급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식재공간 내 토양 상태에 따라 토양의 수분 흡수율이 자가조절 가능하게 되므로 수분공급이 지나치게 많거나 적게 이루어지는 등 문제가 발생하지 않으며 식물의 생육이 보다 활성화되는 효과가 있다. According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reservoir space through the water hole 110 of the flowerpot 100 is viewed from the end corresponding to the lower end of the partition wall 711 and the extension wall 712 in the wick 720. By absorbing water onto the entire surface of the wick 720, it is delivered to the planting space and moistened the soil, making it possible to supply moisture for plant growth. Accordingly, the moisture absorption rate of the soil can be self-regulated depending on the soil condition in the planting space, so problems such as excessive or insufficient moisture supply do not occur and plant growth is more active.

한편, 상기 화분(100)의 통수공(110)을 통해 유입된 물이 저수공간에 완전히 채워지게 되면, 더 이상 화분(100) 내 물의 유입이 이루어지지 않고, 상기 화분(100)의 하부에 배치된 물 전달부(300)를 통해 아래측으로 물을 전달하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최상층 안착면(210)에 안착되어 배치된 각 화분(100)은 상술된 과정을 통해 토양에 대한 물의 공급이 이루어지고, 이와 동시에 상기 공급관(620)을 통해 공급되는 물은 물 전달부(300)를 따라 상기 최상층 안착면(210)의 하층 안착면(210)에 배치된 각 화분(100)의 토양에 물이 공급된다. 한편 최하층 안착면(210)에 배치된 각 화분(100)에 대한 물 공급이 이루어지면 상술된 물저장공간에 저장된 물에 담기도록 설치된 물 전달부(300)의 타단부를 통해 물을 물저장공간으로 전달함으로써 물의 순환이 가능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when the water flowing in through the water hole 110 of the flower pot 100 completely fills the storage space, water no longer flows into the flower pot 100 and is placed in the lower part of the flower pot 100. Water is delivered downward through the water delivery unit 300. Accordingly, each flower pot 100 placed and seated on the uppermost seating surface 210 of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is supplied with water to the soil through the above-described process, and at the same time,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through the supply pipe 620. The supplied water is supplied to the soil of each flower pot 100 disposed on the lower layer seating surface 210 of the uppermost layer seating surface 210 along the water delivery unit 300. Meanwhile, when water is supplied to each flower pot 100 placed on the lowest floor seating surface 210, water is supplied to the water storage space through the other end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installed to be contained i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described above. By delivering water to water, circulation of water becomes possible.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구획유닛(700)은 상기 심지(720)를 가압하기 위해 가압부(730)를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가압부(730)는 상기 격벽(711)의 일단과 상기 연장벽(712)의 하단에 각각 상기 심지(720)의 일단 및 타단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1가압부(731) 및 제2가압부(732)를 구분하여 포함할 수 있다. As shown in FIG. 3, the partition unit 700 may further include a pressing portion 730 to press the wick 720. The pressing unit 730 is a first pressing unit 731 and a second pressing unit that press and hol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ck 720 at one end of the partition 711 an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wall 712, respectively. It can be included separately in part 732.

이러한 제1가압부(731) 및 제2가압부(732)에 의해 상기 심지(720)를 상기 구획판(710) 상부에 밀착시키되 상기 심지(720)의 양쪽 단부를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에 고정시켜 상기 심지(720)가 물의 흡수 및 전달 과정에서 변형되거나 상기 구획판(710) 상부에서 이탈되는 등 현상을 막을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심지(720)의 초기 밀착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하여 식물생육에 필요한 충분한 수분을 공급함으로써 식물 뿌리의 생육을 활성화시킬 수 있게 된다. The wick 720 is brought into close contact with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710 by the first pressing part 731 and the second pressing part 732, and both ends of the wick 720 are placed inside the flower pot 100. By fixing it to the side,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wick 720 from being deformed or separated from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plate 710 during the process of absorbing and transmitting water.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stably maintain the initial close contact state of the wick 720 and activate the growth of plant roots by supplying sufficient moisture necessary for plant growth.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구획유닛(700)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격벽(711)이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격벽(711)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식물과 흙이 하중을 측면으로 전달하면서 상기 하중을 분산시킴과 동시에 일단은 상기 통수공(110)으로 삽입되어 지지되면서 하부 저수공간의 상면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 격벽(711)이 아치형이 아닌 직선형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식물과 흙의 하중에 의해 역아치형으로 변형되면서 상기 격벽(711) 상부에 배치된 심지(720)가 원위치에서 이탈하거나 파손되는 등 문제가 발생하여 균일한 물 공급이 어려워질 수 있게 된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as shown in FIG. 4, the partition unit 700 may be configured such that the partition wall 711 has an arch shape convex upward. Accordingly, the partition wall 711 distributes the load by transferring the load from the plants and soil applied from the top to the side, and at the same time, one end is inserted and supported by the water passage hole 110 to stabilize the upper surface structure of the lower water storage space. You can do it. On the other hand, when the partition wall 711 is formed in a straight shape rather than an arch shape, it is deformed into an inverted arch shape due to the load of plants and soil, causing problems such as the wick 720 placed on the upper part of the partition wall 711 being separated from its original position or damaged. This can make uniform water supply difficult.

마감부(500)는 상기 화분안착부(200) 및 화분지지부(400)를 연결시키되 물저장공간을 형성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화분지지부(400)의 하단과 더불어 물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 및 화분지지부(400)의 상단과 연결되도록 구성된다. The finishing portion 500 connects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nd the flower pot support portion 400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and extends upward to form a water storage space along with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support portion 400. It is configured to be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ortion 200 and the flowerpot support portion 400.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마감부(500)는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화분지지부(400)의 하단과 연결되어 바닥면(510)을 형성하고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양 측면 전체를 감싸도록 제1측면(520) 및 제2측면(530)을 형성하며, 상기 제1측면(520) 및 제2측면(530)을 연결시키는 제1후면(541)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마감부(500) 하부에는 물저장공간이 형성되어 물이 저장되고, 후술되는 물 공급부(600)를 통해 물을 상기 물 전달부(300)로 공급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물저장공간에 내 저장되는 물의 높이는 상기 물 전달부(300)의 최하단이 담기도록 상기 최하단의 연결면(200)의 적어도 일부가 물에 담기도록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one aspect, the finishing part 500 is connected to the lower end of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to form a bottom surface 510 and is attached to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as shown in FIG. 5(a). A first side 520 and a second side 530 are formed to surround both sides, and a first rear surface 541 connects the first side 520 and the second side 530. It can be. Accordingly, a water storage space is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finishing part 500 to store water, and water can be supplied to the water delivery part 300 through a water supply part 6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t this time, the height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may be set so that at least a portion of the lowermost connection surface 200 is submerged in water so that the lowermost end of the water delivery unit 300 is submerged.

다른 일 양태에 따르면, 상기 마감부(500)는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측면(520) 및 제2측면(530)의 하부의 일부를 연결시키도록 구성된 제2후면(542)을 포함함으로써 마감부(500)를 구성하는 소재비용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2후면(542)은 상술된 물저장공간 내 물이 넘치지 않도록 내부 물 높이 기준 110 내지 150% 높이로 설정될 수 있다. According to another aspect, the finishing portion 500 is a second rear surface configured to connect lower portions of the first side 520 and the second side 530, as shown in FIG. 5(b). By including 542, the cost of materials constituting the finishing portion 500 can be minimized. At this time, the second rear surface 542 may be set at a height of 110 to 150% of the internal water level to prevent water from overflowing in the water storage space described above.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를 이용하는 경우 복수의 화분에 대해 균일한 수분공급이 이루어지고, 상측 및 하측에 위치하는 화분에 대한 수분공급량 및 공급시간 차이가 거의 발생하지 않으므로 식물의 생육이 고르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화분 내 식재공간과 저수공간의 구획을 통해 저수공간 내 물의 흐름을 원활하게 하여 식재공간 내 토양에 효율적으로 물을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화분 내 식재공간의 하중 지지 구조를 통해 저수공간의 상면 구조를 안정화시킬 수 있게 된다. When using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uniform supply of moisture is achieved to a plurality of pots, and there is almost no difference in the amount and time of moisture supply to the pots located on the upper and lower sides, so the plants Growth can be achieved evenly. In addition, by dividing the planting space and water storage space in the pot, the flow of water in the water storage space is smoothed, making it possible to efficiently supply water to the soil in the planting space. In addition, the upper surface structure of the water storage space can be stabilized through the load-bearing structure of the planting space within the pot.

<제2실시예><Second Embodiment>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와 대응되는 구성요소에 대해 동일한 도면번호를 사용하기로 한다. Next, a second embodimen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the second embodiment, the same drawing numbers are used for components corresponding to the first embodiment.

도 6은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의 홈부(120) 및 고정부(230)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Figure 6 is a diagram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the groove portion 120 and the fixing portion 230 of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실내 가드닝 장치는 사용자의 설치 편의성이 향상된 실내 가드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분(100)에 형성된 홈부(120) 및 상기 홈부(120)에 대응하는 연결면(220)에 형성된 고정부(230)를 포함하도록 구성된다. The indoor gardening devic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indoor gardening device with improved installation convenience for the user. As shown in FIG. 6, the groove portion 120 formed in the flower pot 100 and the groove portion 120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fixing part 230 formed on the corresponding connection surface 220.

홈부(120)는 상기 화분(100)에서 상기 통수공(110)이 형성된 위치를 포함하는 수직면에 함몰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홈부(120)의 형성위치를 통해 상기 화분(100) 내 통수공(110)의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복수의 화분(100)을 화면안착부(200)에 각각 안착시켜 배치하는 경우 각 화분(100)에 형성된 작은 통수공(110) 위치를 찾아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상기 홈부(120)가 형성된 수직면이 상기 연결면(220)에 대응하도록 배치함으로써 상기 통수공(110)이 화분(100) 저면의 가장 높은 위치에 배치되도록 구현할 수 있게 된다. The groove portion 120 is configured to be depressed in the vertical plane including the position where the water-through hole 110 is formed in the flowerpot 100. ) allows you to easily check the location. Accordingly, when a plurality of flower pots 100 are respectively seated and arranged on the screen mounting portion 200, the groove portion 120 is formed without the hassle of finding the position of the small water hole 110 formed in each flower pot 100. By arranging the formed vertical surface to correspond to the connection surface 220, the water passage hole 110 can be arranged at the highest position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고정부(230)는 상기 홈부(120)에 대응하는 연결면(220) 상에 배치되는 물 전달부(300)를 위치 고정하기 위해 체결되는 것으로, 구체적인 고정방식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볼트 및 너트 체결방식을 사용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고정부(230)가 체결된 연결면(220)과 상기 화분(100)의 홈부(120)가 형성된 수직면은 서로 간섭받지 않으면서도 상기 연결면(220) 상부에 안착되는 물 전달부(300)의 이격 또는 이탈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연결면(220) 상부에 안착되는 물 전달부(300)가 상기 물 공급부(600)에 의해 물을 공급받아 전달하는 과정 중 자체무게에 의해 이격되어 물 전달부(300)로서의 역할을 수행하지 못할 수 있다. The fixing part 230 is fastened to fix the position of the water delivery part 300 disposed on the connecting surface 220 corresponding to the groove part 120. The specific fixing method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s preferably Bolt and nut fastening methods can be used. Accordingly, the connection surface 220 to which the fixing part 230 is fastened and the vertical surface on which the groove 120 of the flower pot 100 is formed do not interfere with each other, and the water delivery part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surface 220 ( 300) can effectively prevent separation or separation. Meanwhile, the water delivery unit 300, which is seated on the upper part of the connection surface 220, is spaced apart by its own weight during the process of receiving and delivering water by the water supply unit 600, thereby serving as the water delivery unit 300. It may not be possible to perform.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권리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청구범위에 기재된 바에 의해 정의되며, 본 발명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권리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과 개작을 할 수 있다는 것은 자명하다. As above, the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but are defined by the claims,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rights set forth in the claims. It is self-evident that you can do this.

100: 화분 110: 통수공 120: 홈부
200: 화분안착부
210: 안착면 220: 연결면 230: 고정부
300: 물 전달부
400: 화분지지부 410: 통과공
500: 마감부 510: 바닥면
520: 제1측면 530: 제2측면
541: 제1후면 542: 제2후면
600: 물 공급부 610: 펌프 620: 공급관
700: 구획유닛
710: 구획판 711: 격벽 712: 연장벽
720: 심지
730: 가압부 731: 제1가압부 732: 제2가압부
100: Flowerpot 110: Water hole 120: Groove
200: Flowerpot seating part
210: Seating surface 220: Connection surface 230: Fixing part
300: Water delivery unit
400: Flowerpot support 410: Through hole
500: Finishing part 510: Bottom surface
520: first side 530: second side
541: first rear 542: second rear
600: water supply unit 610: pump 620: supply pipe
700: Compartment unit
710: Partition plate 711: Bulkhead 712: Extension wall
720: wick
730: pressing part 731: first pressing part 732: second pressing part

Claims (5)

상부가 개방된 화분(100)이 전방으로 기울어지게 안착되고 높이방향을 따라 병렬 배치되는 안착면(210)과, 상기 안착면(210)들 상호간을 연결하는 연결면(220)을 포함하는 화분안착부(200);
일측으로 공급된 수분을 흡수하여 타측으로 전달할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전면에 밀착되는 물 전달부(300);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전면에서 이격 배치되고 상기 화분(100)이 통과하여 상기 안착면(210)에 안착되면서 상기 화분(100)의 측면이 지지되는 통과공(410)이 형성되는 화분지지부(400);
상기 화분지지부(400)의 하단과 더불어 물저장공간을 형성하면서 상부로 연장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 및 화분지지부(400)의 상단과 연결되는 마감부(500); 및
상기 마감부(500)의 물저장공간에 수용되는 펌프(610)와, 상기 펌프(610)에 연결되어 상기 화분안착부(200)의 상단에서 상기 물 전달부(300)로 물을 공급하는 공급관(620)을 포함하는 물 공급부(600);를 포함하고,
상기 화분(100)에는, 하단 일측에 상기 물 전달부(300)로부터 전달된 물이 통과할 수 있는 통수공(110)이 마련되고,
상기 통수공(110)으로 유입된 물과 상기 화분(100)에 투입되는 토양을 구획하면서 상기 유입된 물을 상기 토양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화분(100) 하단에 장착되는 구획유닛(700)이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
A flower pot 100 with an open top is seated tilted forward and includes a seating surface 210 arranged in parallel along the height direction, and a connection surface 220 connecting the seating surfaces 210 to each other. Wealth (200);
A water transfer unit 300 made of a material capable of absorbing moisture supplied to one side and transferring it to the other side and in close contact with the front of the flower pot seating unit 200;
A flower pot support portion is disposed spaced apart from the front of the flower pot seating portion 200 and forms a through hole 410 through which the flower pot 100 passes and is seated on the seating surface 210 and the side of the flower pot 100 is supported. (400);
A finishing part 500 extending upward and forming a water storage space along with the lower end of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and connected to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and the flowerpot support part 400; and
A pump 610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space of the finishing part 500, and a supply pipe connected to the pump 610 to supply water from the top of the flowerpot seating part 200 to the water delivery part 300. It includes a water supply unit 600 including (620),
The flowerpot 100 is provided with a water passage hole 110 on one lower side through which water delivered from the water delivery unit 300 can pass,
A partition unit 700 mounted on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is further provided to divide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ter hole 110 and the soil input into the flower pot 100 and supply the water flowing into the soil. An indoor gardening device characterized by be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획유닛(700)은,
상기 통수공(110)에 일단이 지지되고 상기 화분이 경사 배치된 상태에서 수평면을 형성하도록 상기 화분의 저면으로부터 점차 이격되게 배치되어 상기 화분(100)의 내측면에 타단이 지지되는 격벽(711)과, 상기 격벽(711)의 타단에서 화분(100)의 내측면을 따라 화분(100) 저면으로 연장되는 연장벽(712)을 포함하는 구획판(710);
상기 화분(100) 저면으로 유입된 물을 토양으로 공급하도록 상기 격벽(711)의 상면에 적층된 상태로 상기 연장벽(712) 외면으로 연장되어 상기 연장벽(712)과 상기 화분(100) 내측면 사이에 게재되는 심지(72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partition unit 700 is,
A partition 711 whose one end is supported by the water hole 110 and whose other end is support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er pot 100 is gradually spaced apart from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to form a horizontal surface while the flower pot is tilted. and a partition plate 710 including an extension wall 712 extending from the other end of the partition wall 711 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lower pot 100;
It is laminat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artition wall 711 and extends to the outer surface of the extension wall 712 to supply water flowing into the bottom of the flower pot 100 to the soil, so that it is inside the extension wall 712 and the flower pot 100. An indoor gardening device comprising a wick (720) disposed between the sid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11)의 일단과 상기 연장벽(712)의 하단에는 상기 심지(720)가 밀착되도록 상기 심지(720)의 일단 및 타단을 가압하여 파지하는 제1가압부(731)와 제2가압부(732)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At one end of the partition 711 and the lower end of the extension wall 712, a first pressing part 731 and a second pressing part are provided to press and hold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wick 720 so that the wick 72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wick 720. An indoor gard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portion 732 is forme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격벽(711)은 상부로부터 가해지는 식물과 흙의 하중에 의해 변형되면서 일단이 상기 통수공(110)으로 삽입되어 식물과 흙의 하중을 분산하면서 지지하도록 상부로 볼록한 아치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artition wall 711 is deformed by the load of plants and soil applied from the top, and one end is inserted into the water hole 110, and is formed in an arch shape convex upward to support and distribute the load of plants and soil. Indoor gardening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분(100)에서 상기 통수공(110)이 형성된 위치를 포함한 수직면은, 상기 통수공(11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함몰된 홈부(120)로 구성되고,
상기 홈부(120)에 대응되는 연결면(220)에는 상기 연결면(220) 상에 배치되는 물 전달부(300)를 위치고정하기 위하여 고정부(230)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실내 가드닝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vertical surface including the position where the water permeable hole 110 is formed in the flower pot 100 is composed of a recessed groove portion 120 so that the position of the water permeable hole 110 can be confirmed,
An indoor gardening device, characterized in that a fixing part 230 is fastened to the connecting surface 220 corresponding to the groove 120 to fix the position of the water delivery part 300 disposed on the connecting surface 220. .
KR1020220122729A 2022-09-27 2022-09-27 Indoor gardening device KR2024004353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729A KR20240043531A (en) 2022-09-27 2022-09-27 Indoor gardening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2729A KR20240043531A (en) 2022-09-27 2022-09-27 Indoor gardening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531A true KR20240043531A (en) 2024-04-03

Family

ID=906623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2729A KR20240043531A (en) 2022-09-27 2022-09-27 Indoor gardening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3531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021A (en) 2012-08-07 2014-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all greening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20021A (en) 2012-08-07 2014-02-18 한국건설기술연구원 Wall greening system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91173B2 (en) Growth device for crop, use of such a device, and a series of growth devices
CN105899069B (en) Multiple potted plant is from irrigation system
JP6675388B2 (en) Modular container and modular water injection system
US20120017506A1 (en) Integrated vertical planting module
US2012018615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s for hydroponic gardening
KR20130106913A (en) Water supply device for flowerpot
KR102286980B1 (en) stand type watering device and it using water culture apparatus
KR101510463B1 (en) Multi layer flowerpot
KR20030094963A (en) flowerpot for supply water automatically
KR101992575B1 (en) structure of plant growing for ebb-and-flow subirrigation system to regulation water level
JP5449809B2 (en) Hydroponic cultivation method of myoga
JP2007330227A (en) Cultivation device for hydroponics
KR20240043531A (en) Indoor gardening device
KR20150064509A (en) Plant cultivation receptacles and this includes plant cultivation device
JP6383142B2 (en) Hydroponics system
JP2006296230A (en) Wall surface greening system
CN213095390U (en) Multi-functional ecological plant breeding device
JP6292693B1 (en) Vertical hydroponics system and vertical hydroponics method
KR101860261B1 (en) Apparatus for Stacking Type Growing Plats With Flowerpot Support having Storage Space for Water
JP2009136278A (en) Greening foundation-lightening member, and rooftop greening construction method
JP5435430B2 (en) Plant cultivation equipment
KR200417195Y1 (en) Apparatus for Growing Sprouts
JPH036202Y2 (en)
JP2006230317A (en) Cultivation device for hydroponics
CN211793122U (en) Plant wall and contain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