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3057A - Control method of cup washer - Google Patents

Control method of cup washe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3057A
KR20240043057A KR1020230074416A KR20230074416A KR20240043057A KR 20240043057 A KR20240043057 A KR 20240043057A KR 1020230074416 A KR1020230074416 A KR 1020230074416A KR 20230074416 A KR20230074416 A KR 20230074416A KR 20240043057 A KR20240043057 A KR 202400430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cup
cup washer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4416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미성
오세재
진재우
정태용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PCT/KR2023/013969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71779A1/en
Publication of KR202400430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30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3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remote monitoring or controlling of the dishwasher operation, e.g. networking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21Regulation of operational steps within the washing processes, e.g. optimisation or improvement of operational steps depending from the detergent nature or from the condition of the crockery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18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 A47L15/006Controlling processes, i.e. processes to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machine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or target of the control using wireless communication between internal components of the machin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15/00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 A47L15/0065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specially adapted for drinking glass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401/00Automatic detection in controlling methods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e.g. information provided by sensors entered into controlling devices
    • A47L2401/12Water temperat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2Loading doors, e.g. door latches, inflatable door sea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26Indication or alarm to the controlling device or to the user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DOMESTIC WASHING OR CLEANING;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L2501/00Output in controlling method of washing or rinsing machines for crockery or tableware, i.e. quantities or components controlled, or actions performed by the controlling device executing the controlling method
    • A47L2501/34Change machine operation from normal operational mode into special mode, e.g. service mode, resin regeneration mode, sterilizing mode, steam mode, odour eliminating mode or special cleaning mode to clean the hydraulic circu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1/00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2011/04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e.g. the occurrence of a condition, not provided for elsewhere related to queuing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Detail Structures Of Washing Machines And Dryer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Washing And Drying Of Tablewar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conom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in Body Construction Of Washing Machines And Laundry Dryers (AREA)

Abstract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개시한다. 컵세척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관리모드, 및 컵을 세척하는 사용모드로 동작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모드는, 컵세척기의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미만인 준비모드,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대기모드, 및 컵세척기에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A cup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is disclosed. In a cup washer control method that operates in a management mode that checks whether the cup washer is operating normally and a use mode that cleans the cup, the use mode includes a preparation mod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of the cup washer is below a set temperature, and a water tank in the water tank. It may include a standby mod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at a set temperature or higher, and a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stored in the cup washer is cleaned.

Description

컵세척기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CUP WASHER}Cup washer control method{CONTROL METHOD OF CUP WASHER}

본 발명은 컵세척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up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cup washing machine control method for cleaning a cup carried by a user.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본 발명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The content described in this section simply provides background information about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constitute prior art.

최근 환경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수를 파는 매장에서는 손님에게 일회용 컵의 제공을 줄이고 있으며, 매장을 방문하는 손님은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을 휴대하고, 다회용 컵에 음료수를 담아가는 추세가 증가하고 있다.Recently, in order to prevent environmental pollution, stores selling beverages are reducing the provision of disposable cups to customers, and the trend of customers visiting stores carrying reusable cups such as tumblers and carrying beverages in reusable cups is increasing. I'm doing it.

손님 즉, 다회용 컵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하기 위해, 사용자가 휴대하는 컵을 세척하는 컵세척기를 매장에 비치하고, 사용자가 휴대한 컵을 편리하게 세척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In order to provide convenience to customers, that is, users of reusable cups, it is necessary to provide cup washing machines in stores to clean the cups carried by users, and to allow users to conveniently wash the cups carried by them.

관련된 선행기술은 한국공개특허 제10-2020-0016470호에 개시된다.Related prior art is disclosed in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20-0016470.

사용자는 컵세척기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할 뿐 컵세척기를 유지 및 보수하기 위한 관리를 하지 않으며, 이러한 관리자는 따로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컵세척기를 단지 편리하게 사용하고, 가급적 컵세척기를 직접 터치하여 조작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Users only wash cups using a cup washer and do not maintain or repair the cup washer, and there is a separate manager for this. Therefore, it is appropriate for the user to use the cup washer simply for convenience and, if possible, to avoid directly touching and operating the cup washer.

사용자가 컵세척기를 직접 터치하여 조작하는 빈도를 줄이고 또한 컵세척기를 편리하게 사용하기 위해, 컵세척기의 동작을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에 구현되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In order to reduce the frequency of users directly touching and operating the cup washer and to use the cup washer more conveniently,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can be controlled with an application implemented o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carried by the user. There is a need to develop technologies that can

또한, 컵세척기를 고장없이 오래 사용하기 위해 관리자에 의한 관리가 필요하다. 따라서, 관리자의 관리와 사용자의 사용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컵세척기 제어 알고리즘의 개발이 필요하다.In addition, in order to use the cup washer for a long time without malfunction, management by an administrator is necessary. Therefore,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cup washer control algorithm that can facilitate management by managers and use by users.

또한, 컵을 급속세척을 하거나 또는 다소 시간이 걸리더라도 컵을 깨끗하게 세척하는 것을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를 제어하는 방법의 개발이 필요하다.Additionally, there is a need to develop a method to control the cup washer so that the user can choose to wash the cup quickly or clean the cup thoroughly even if it takes some time.

그러나, 전술한 선행기술에는 이러한 기술들이 개시되지 않는다.However, these techniques are not disclosed in the above-mentioned prior art.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제어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진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washer control method that can be controlled using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관리자에 의한 관리와 사용자에 의한 사용이 통합되는 알고리즘을 가진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washer control method with an algorithm that integrates management by managers and use by users.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급속세척모드 또는 일반세척모드로 컵세척기가 작동하도록 구현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up washer control method that allows the cup washer to operate in a rapid wash mode or a normal wash mode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본 발명의 목적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의 설명에 의해서 이해될 수 있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해 보다 분명하게 이해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특허 청구 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그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obj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will be more clearly understood by the examples of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it will be readily apparent that the objects and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realized by the means and combinations thereof indicated in the patent claims.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의 제어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명령을 입력받아 진행할 수 있다.Control of the cu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performed by receiving commands from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ing machine.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컵을 세척하려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스마트기기에 프로그래밍되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명령의 입력은 사용자 또는 컵세척기를 유지 및 보수하는 관리자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Inputting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can be don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med and implemented in a smart device such as a smartphone carried by the user who wants to wash the cup, or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Command input may be performed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who maintains and repairs the cup washer.

스마트기기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메인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또한 컵세척기의 제어부도 메인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스마트기기에 입력된 명령은 메인서버를 거쳐 컵세척기의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The smart device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 main server located at a distanc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cup washer can als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server. Therefore, commands entered into the smart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up washer through the main server.

컵세척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컵세척기는 컵세척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관리모드, 및 컵세척기를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사용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In the cup washer control method, the cup washer may operate in a management mode that checks whether the cup washer is operating normally, and a use mode that cleans the cup using the cup washer.

따라서, 컵세척기 제어방법은 컵세척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관리모드와 사용자가 컵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사용모드가 통합되는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Therefore, the cup washer control method may have an algorithm that integrates a management mod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cup washer and a use mode in which the user cleans the cup using the cup washer.

컵세척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세척과 급속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컵세척기는, 입력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의 시작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도과한 경우,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부터 슬립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up washer can perform normal washing and rapid washing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The cup washer may change from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to the sleep mode when a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or when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컵세척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관리모드, 및 컵을 세척하는 사용모드로 동작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사용모드는, 컵세척기의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미만인 준비모드,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대기모드, 및 컵세척기에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In a cup washer control method that operates in a management mode that checks whether the cup washer is operating normally and a use mode that cleans the cup, the use mode includes a preparation mod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of the cup washer is below a set temperature, and a water tank in the water tank. It may include a standby mode in which the stored water is at a set temperature or higher, and a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stored in the cup washer is cleaned.

사용모드는, 저수조에 수용되는 히터의 동작이 정지되고는 슬립모드를 포함하고, 슬립모드는 명령을 입력받아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The use mode includes a sleep mode when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is stopped, and the sleep mode can be changed to either a ready mode or a standby mode by receiving a command.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기기 또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슬립모드로부터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The cup washer can change from sleep mode to either ready mode or standby mod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or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컵세척기는,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의 시작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도과한 경우,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부터 슬립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change from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to the sleep mode when a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while in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or when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컵세척기는, 모바일기기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세척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 cup washer can receive a command from a mobile device and change from either sleep mode or standby mode to washing mode.

컵세척기는, 세척모드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급속세척모드 또는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일반세척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In the washing mode, the cup washing machine can perform a rapid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is washe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or a normal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is washed using hot water supplied from a water storage tank,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컵세척기는, 급속세척모드 진행을 입력받은 경우에 즉시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The cup washer can immediately proceed with washing when the rapid washing mode is input.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 진행을 입력받은 경우, 현재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에 즉시 컵의 세척을 진행하고, 현재 준비모드에 있는 경우에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컵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cup washer receives the input to proceed with the normal washing mode, it immediately cleans the cup if it is currently in standby mode, and if it is currently in preparation mode, it cleans the cup aft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reaches the set temperature. Washing can proceed.

컵세척기는, 사용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입력받고,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예약에 대하여 순서대로 나열하고, 복수의 예약 각각에 대하여 세척순서가 도래하면 세척을 예약한 각각의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In the use mode, the cup washer receives a reservation for cup washing from the user, lists the plurality of reservations entered from multiple users in order, and reserves the washing when the washing ord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servations arrives. A notification signal can be sent to each user.

컵세척기가 슬립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받는 경우, 컵세척기는 슬립모드에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When a reservation is received from a user while the cup washer is in sleep mode, the cup washer may change from the sleep mode to either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컵세척기는, 설정된 시간구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받지않고 슬립모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be equipped to maintain a sleep mode without receiving a reservation for cup washing from the user during a set time interval.

세척모드에서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세척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In the washing mode,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may be locked with the washing unit closed.

관리모드는, 컵세척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부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고, 메인서버와 컵세척기를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초기모드, 및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설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The management mode is an initial mode that drains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part of the cup washer to the outside after the cup washer is turned on, connects the main server and the cup wash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and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It may include an installation mode that installs or updates a computer program.

관리모드에서 컵세척기는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In management mode, the cup washer can proceed with the operation of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outside.

컵세척기는, 드레인에 관한 명령입력이 있는 경우에 드레인 작업 및 설치모드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사용모드로 변경되고, 드레인에 관한 명령입력이 없는 경우에 설치모드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사용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If there is a command input for drain, the cup washer changes to use mode after the drain work and installation mode are completed. If there is no command input for drain, it changes to use mode after the installation mode progress is completed. can be changed.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받은 후에 도어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door may be configured to be unlocked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washing mode ends or after receiv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또는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받은 후에 컵세척기는 세척부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고, 드레인이 종료된 후에 컵세척기는 준비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After the washing mode ends or after receiv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the cup washing machine drains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to the outside, and after the draining ends, the cup washing machine can change to the preparation mode.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에서, 사용자는 휴대하는 스마트기기에 의해 컵세척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컵세척기 앞에서 자기차례가 올때까지 줄을 서서 대기하거나, 컵세척기에 직접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컵세척기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the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up washer using a portable smart device, so the user waits in line in front of the cup washer until his/her turn comes, or inputs a control command directly to the cup washer. Since the number of washes can be reduced, convenience can be provided to users of the cup wash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에서, 컵세척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관리모드와 사용자가 컵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사용모드가 통합되는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의 원활한 관리와 동시에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have an algorithm that integrates a management mod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cup washer and a use mode in which the user washes the cup was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anage the cup wash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에서, 컵세척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세척과 급속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단순하게 입력하는 것으로, 제어부가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분리하여 컵의 세척을 진행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up washer can perform normal washing and rapid wash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simply inputting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cup into normal washing mode and rapid washing mode to wash the cup,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상술한 효과와 더불어 본 발명의 구체적인 효과는 이하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사항을 설명하면서 함께 기술한다.In addition to the above-described effects, specific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below while explaining specific details for carrying out the inven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view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a door open state in a cu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washer with some parts omitted.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wash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a washing unit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a wash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rear view showing a washing unit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1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2 is a table for explaining a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전술한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후술되며, 이에 따라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과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를 가리키는 것으로 사용된다.The above-mentioned objects, features, and advantage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la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be able to easily implemen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n describing the present invention,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technologies related to the present invention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In the drawings, identical reference numerals are used to indicate identical or similar components.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Although first, second, etc. ar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these components are of course not limited by these terms.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one component from another component, and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a second component.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nless otherwise stated, each element may be singular or plural.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used herei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e present application, terms such as “consists of” or “comprises” should not be construed as necessarily including all of the various components or steps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and some of the components or steps may include It may not be included, o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including additional components or steps.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referred to as “A and/or B”, this means A, B or A and B,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when referred to as “C to D”, this mea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Unless there is one, it means that it is C or higher and D or lower.

명세서 전체에서 "상하방향"은 컵세척기가 일상적으로 사용되도록 설치된 상태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을 의미한다. "좌우방향"은 상하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하고, 전후방향은 상하방향 및 좌우방향 모두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을 의미한다. "양측방향" 또는 "측방향"은 좌우방향 및 전후방향을 포함하는 의미를 가진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up and down direction” refers to the up and down direction of the cup washer when the cup washer is installed for daily use. “Left-right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up-and-down direction, and forward-forward direction means a direction perpendicular to both the up-down direction and the left-right direction. “Bilateral” or “lateral” is meant to include the left-right direction and the front-to-back direction.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을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도면이다.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 2 is a view of FIG. 1 viewed from another direction.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예를 들어 음료수를 서비스하는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사용자는 음료수를 사서 마시는 손님일 수 있다. 환경보호를 위해 최근에는 서비스 매장에서 일회용 컵을 손님에게 제공하는 것이 제한되고 있고, 이러한 제한범위는 점차적으로 확대되고 있다.The cup 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be installed, for example, in a store that serves beverages. Users of the cup washer may be customers who purchase and drink beverages. To protect the environment, provision of disposable cups to customers at service stores has recently been restricted, and the scope of these restrictions is gradually expanding.

따라서, 다회용 컵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서비스 매장에서 컵을 세척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가 서비스 매장에 구비될 수 있다. 세척의 대상인 컵은 사용자가 휴대하는 텀블러 등의 다회용 컵일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refore, a cup washing machine may be provided at the service store so that users carrying reusable cups can wash and use the cups at the service store. The cup subject to cleaning may be a reusable cup such as a tumbler carried by the user. Therefore, the cup washing machine can have a structure that allows users to conveniently use it.

컵세척기의 상부에는 컵을 수용하여 세척하는 세척부(130)가 구비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 이때,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를 개폐할 수 있다.A washing unit 13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cup washer to receive and wash cups. The washing unit 130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50. At this time, the door 150 can hinge and rot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cup washer to open and close the washing unit 130.

이러한 구조로 인해, 사용자는 허리를 굽히지 않고, 손으로 도어(150)를 열어 세척부(130)에 컵을 놓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세척기를 작동시켜 편리하게 컵을 세척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user can conveniently wash the cup by opening the door 150 with his hand, placing the cup in the washing unit 130, and then closing the door 150 again and operating the cup washer without bending his waist. there is.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도록, 컵세척기에서 세척부(130)의 높이가 성인의 신체에 맞도록 적절하게 조절될 필요가 있다. 또한, 공간효율을 높이기 위해 컵세척기는 비교적 작은 부피를 가지도록 구비될 필요가 있다.In order for the user to use the cup washer without bending his or her back, the height of the washing unit 130 in the cup washer needs to be appropriately adjusted to fit the adult's body. Additionally, in order to increase space efficiency, the cup washer needs to be equipped with a relatively small volume.

이러한 이유로 인해, 컵세척기는 평면 단면적이 비교적 작고, 상하방향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부피가 비교적 큰 부품은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필요가 있다.For this reason, the cup washer may have a tower-shaped shape with a relatively small planar cross-sectional area and a relatively long vertical length. Due to the tower-type shape, the cup washer requires relatively large parts to be arranged in an upward and downward direction.

또한, 타워형의 형상으로 인해 컵세척기는 전복의 위험이 발생할 수 있는데, 컵세척기의 전복을 억제하기 위해, 하부에 하중이 비교적 큰 부품을 배치하여 전체적인 무게중심을 낮출 필요가 있다.In addition, due to the tower-type shape, the cup washer may be at risk of tipping over. In order to prevent the cup washer from tipping over, it is necessary to lower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by placing parts with a relatively large load at the bottom.

이하에서 컵세척기의 구조를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에서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일부 부품을 생략한 컵세척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측면도이다.Below, the structure of the cup washing machin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door 150 in an open state in a cup wash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4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up washer with some parts omitted. Figure 5 is a side view of Figure 4.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베이스플레이트(110), 저수조(120), 세척부(130), 중간플레이트(140), 도어(150),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The cup washer according to one embodiment may include a base plate 110, a water reservoir 120, a washing unit 130, an intermediate plate 140, a door 150, and a frame 160.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컵세척기의 최하부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을 지지할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의 하부는 지면에 놓일 수 있다. 베이스플레이트(110)는 제1파트(111)와 제2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파트(111)는 하면이 지면에 놓일 수 있고, 제2파트(112)를 지지할 수 있다.The base plate 110 is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up washer and can support other parts of the cup washer. The lower part of the base plate 110 may be placed on the ground. The base plate 110 may include a first part 111 and a second part 112.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part 111 may be placed on the ground and may support the second part 112.

제2파트(112)는 제1파트(111)의 상부에 배치되고, 여기에 저수조(120)가 배치될 수 있다. 제2파트(112)에는 프레임(160)이 결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파트(112)에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가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프레임(160)은 제2파트(112)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second part 112 is placed on top of the first part 111, and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placed there. The frame 16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part 112. For example, a front supporter 161, a rear supporter 162, and a middle supporter 163 may be combined with the second part 112. Accordingly, the frame 160 can be supported by the second part 112.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의 상측에 배치되고, 컵 세척을 위한 물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상수도(city water)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수도의 물이 저수조(120)로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저수조(120)는 배관으로 세척부(130)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세척부(130)로 유입되어 세척부(130)에 수용되는 컵의 세척에 사용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12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base plate 110 and can store water for washing the cup.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connected to city water through a pipe. Accordingly, water from the water supply can flow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20 and be stored. Additionally,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connected to the washing unit 130 through a pipe. Accordingly,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flows into the washing unit 130 and can be used to wash the cup accommodated in the washing unit 130.

저수조(120)의 내부에는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가열장치는 예를 들어, 전기저항 가열방식의 히터로 구비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되어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 이에 따라, 가열된 온수를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여 컵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A heating device may be provided inside the water storage tank 120. The heating device may be, for example, an electric resistance heating type heater.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heated by a heating device and flow into the washing unit 130. Accordingly, the cup cleaning efficiency can be increased by washing the cup using heated hot water.

저수조(120)에는 물이 충만할 수 있다. 따라서,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는 다른 부품들에 비해 비교적 큰 하중을 가질 수 있다. 저수조(120)는 베이스플레이트(110)에 놓여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filled with water. Accordingly, the reservoir 120 filled with water may have a relatively large load compared to other components.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placed on the base plate 110 and placed at the bottom of the cup washer.

컵세척기의 하부에 놓인 물이 충만한 저수조(120)의 하중으로 인해, 컵세척기의 전체적인 무게중심의 높이는 낮아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상하방향의 길이가 비교적 긴 타워형으로 구비되는 컵세척기는 외부의 충격에도 쉽게 전복되지 않고 안정적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Due to the load of the water-filled water tank 120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cup washer, the height of the overall center of gravity of the cup washer may be lowered. Accordingly, the cup washer, which is provided in a tower type with a relatively long vertical length, does not easily tip over and can maintain a stable state even when subjected to external shock.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의 상부에 배치되고,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부(130)에는 컵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세척부(130)는 저수조(120)와 배관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을 위한 물은 저수조(120)로부터 세척부(130)로 유입될 수 있다.The washing unit 130 is disposed at the upper part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and can wash the accommodated cup. A space for accommodating a cup may be formed in the washing unit 130. The washing unit 130 may be connected to the water storage tank 120 through a pipe. Accordingly, water for washing may flow into the washing unit 130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20.

다른 실시예로, 세척부(130)는 저수조(120)를 거치지 않고 상수도와 직접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저수조(120)로부터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하거나, 또는 상수도에서 바로 유입되는 물을 사용하여 컵을 세척할 수 있다.In another embodiment, the washing unit 130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without going through the water storage tank 120. Therefore,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the cup can be washed using water flowing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20, or the cup can be washed using water flowing directly from the water supply.

중간플레이트(140)는 저수조(120)와 세척부(130) 사이에 배치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 위에는 세척부(130)가 배치되고, 중간플레이트(140)는 세척부(130)의 하중 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중간플레이트(140)는 대체적으로 판형의 형상을 가지고 가장자리에서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The intermediate plate 140 is disposed between the water storage tank 120 and the washing unit 130 and may support the washing unit 130. The cleaning unit 130 is disposed on the intermediate plate 140, and the intermediate plate 140 can support a portion of the load of the cleaning unit 130. The intermediate plate 140 has a generally plate-shaped shape and may be coupled to the frame 160 at the edge and supported by the frame 160.

도어(150)는 세척부(130)의 상측에 배치되고,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하여 세척부(130)의 개방된 상부를 개폐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도어(150)는 컵세척기의 상하 방향으로 힌지회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도어(150)를 수동으로 개방하여 컵(10)을 세척부(130) 내부에 넣고 다시 도어(150)를 닫은 후에 컵(10)의 세척을 진행시킬 수 있다.The door 150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washing unit 130 and can hinge and rotat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 to open and close the open upper part of the washing unit 130. Referring to FIG. 3, the door 150 can be hinged and rotated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cup washer. Accordingly, the user can manually open the door 150, place the cup 10 inside the cleaning unit 130, close the door 150 again, and then proceed with washing the cup 10.

세척부(130)의 상단에는 탑커버(210)가 구비될 수 있다. 탑커버(210)의 일부는 세척부(130)의 상단 가장자리 부위에 결합하고 그 위에 도어(150)가 놓일 수 있다.A top cover 210 may be provided at the top of the washing unit 130. A portion of the top cover 210 may be coupled to the upper edge of the washing unit 130 and the door 150 may be placed on it.

탑커버(210)의 또다른 일부에는 투입구커버(213)가 구비될 수 있다. 투입구커버(213)는 세척부(130)에 투입되는 세제 및 린스의 입구를 개폐할 수 있고, 탑커버(210)에 착탈가능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Another part of the top cover 210 may be provided with an inlet cover 213. The inlet cover 213 can open and close the inlet of detergent and rinse aid introduced into the washing unit 130, and can be provided to be removable from the top cover 210.

사용자는 시기세척기의 상단에 있는 도어(150)를 개폐하여 세척부(130)에 컵을 넣거나 세척부(130)로부터 컵을 빼낼 수 있다. 이때, 도어(150)가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하므로, 사용자는 허리를 굽힐 필요없이 편리하게 도어(150)를 움직일 수 있다.The user can open and close the door 150 at the top of the washer to place a cup in the washing unit 130 or remove the cup from the washing unit 130. At this time, since the door 150 hinges and rotates in the vertical direction, the user can conveniently move the door 150 without having to bend his or her waist.

또한, 도어(150)가 힌지회전함으로 인해, 도어(150)가 개방된 상태에서도 평면상으로 보아 컵세척기가 차지하는 면적은 변화가 없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도어(150)가 개방되든지 폐쇄되든지 어떠한 경우에도 컵세척기의 평면 단면적은 일정하여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해 추가로 필요한 공간을 불필요하다.In addition, because the door 150 hinges rotates, the area occupied by the cup washer when viewed from a plan view can be provided so that there is no change even when the door 150 is open. Accordingly, regardless of whether the door 150 is opened or closed, the planar cross-sectional area of the cup washer is constant, so there is no need for additional space to open the door 150.

실시예에서, 컵은 세척부(130)의 상단에서 컵세척기의 상하방향으로 힌지회전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사용자가 허리를 굽히지 않고 도어(150)를 개폐하여 편리하게 컵세척기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구조로 인해 도어(150)를 개방하기 위한 추가적인 공간이 불필요하므로, 공간효율을 높일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up is provided at the top of the washing unit 130 to be hinged and rotatable in the up and down directions of the cup washer, so that the user can conveniently use the cup washer by opening and closing the door 150 without bending the waist. Additionally, this structure eliminates the need for additional space to open the door 150, thereby improving space efficiency.

프레임(160)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되고, 중간플레이트(140)가 결합하고, 세척부(130)를 지지할 수 있다. 프레임(160)은 컵세척기의 내부공간을 마련하고, 여기에 각종의 부품이 결합하고, 이러한 부품들을 지지할 수 있다.The frame 160 is supported by the base plate 110, is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late 140, and can support the cleaning unit 130. The frame 160 provides an internal space for the cup washer, and various parts can be coupled thereto and support these parts.

프레임(160)은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중간서포터(163), 상측서포터(164)를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160)의 각 구성부품들은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 도어(150) 등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frame 160 may include a front supporter 161, a rear supporter 162, a middle supporter 163, and an upper supporter 164. Each component of the frame 160 can support the load of the washing unit 130 and the door 150 provided at the top of the cup washer.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전방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할 수 있다.The front supporter 161 is arrang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ront of the cup washer,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 pair of front supports 161 are disposed in the front of the cup wash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up washer, and may form a front corner portion of the cup washer.

프런트서포터(161)는 컵세척기의 모서리 부위를 형성하기 위해, 단면이 L자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프런트서포터(161)는 나사못 등의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The front supporter 161 may have an L-shaped cross-section to form a corner of the cup washer. The front supporter 161 can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using a coupling mechanism such as a screw.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리어서포터(162)는 컵세척기의 후방에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후방의 모서리 부위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The rear supporter 162 is arranged in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the rear of the cup washer,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may be arranged vertically. A pair of rear supports 162 are disposed at the rear of the cup washer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up washer, and may be disposed adjacent to a rear corner of the cup washer. The rear supporter 162 can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using a coupling mechanism.

중간서포터(163)는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프런트서포터(161) 및 리어서포터(162) 사이에 배치되고,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길이방향이 상하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중간서포터(163)는 컵세척기의 중앙부위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middle supporter 163 is arrang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s arranged between the front supporter 161 and the rear supporter 162, the lower part is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and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arranged in the vertical direction. You can. A pair of intermediate supports 163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central portion of the cup was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up washer.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중간서포터(163)는 결합기구에 의해 중간플레이트(140),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하여 안정적으로 위치를 유지하고 컵세척기 부품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middle supporter 163 can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by a coupling mechanism. In addition, the middle supporter 163 is coupled to the middle plate 140 and the upper supporter 164 by a coupling mechanism to be stably positioned. and can support the load of cup washer parts.

상측서포터(164)는 중간서포터(163)의 상측에 배치되고,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한 쌍으로 배치되고, 길이방향이 전후방향으로 배치되고, 세척부(130)가 결합할 수 있다. 한 쌍의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부에서 컵세척기의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The upper supporter 164 is disposed on the upper side of the middle supporter 163, is disposed as a pai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is disposed in the front-back direction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can be coupled to the cleaning unit 130. A pair of upper supports 164 may be disposed at position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lateral direction of the cup washer at the top of the cup washer.

세척부(130)는 결합기구에 의해 상측서포터(164)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상측서포터(164)는 세척부(130)의 하중을 지지할 수 있다.The cleaning unit 130 can be coupled to the upper supporter 164 using a coupling mechanism. Therefore, the upper supporter 164 can support the load of the washing unit 130.

상측서포터(164)는 컵세척기의 상하“‡향으로 서로 이격되는 복수로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도 5 등에서는 컵세척기의 양측으로 한 쌍, 컵세척기의 상하로 한 쌍씩 구비되어 총4개로 구비된 실시예가 도시되었다. 다만, 상측서포터(164)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The upper supporter 164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of the cup washer. Accordingly, in Figure 5, etc., an embodiment is shown in which a total of four pairs are provided, one pair on both sides of the cup washer and one pair on the top and bottom of the cup washer. However, the number of upper supports 164 is not limited to this.

각각의 상측서포터(164)는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부(130)의 하중은 상측서포터(164)를 통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로 전달되고,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로 전달될 수 있다.Each upper supporter 164 can be coupled to the front supporter 161, the rear supporter 162, and the middle supporter 163. Therefore, the load of the washing unit 130 is transmitted to the front supporter 161, the rear supporter 162, and the middle supporter 163 through the upper supporter 164, and finally can be transmitted to the base plate 110. .

이러한 구조로 컵세척기는 내부에 구비되는 세척부(130)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상측서포터(164)는 나사못 들의 결합기구에 의해 프런트서포터(161), 리어서포터(162) 및 중간서포터(163)에 결합할 수 있다.With this structure, the cup washing machine can stably support the washing unit 130 provided inside. The upper supporter 164 can be coupled to the front supporter 161, the rear supporter 162, and the middle supporter 163 by a screw coupling mechanism.

실시예에서, 세척부(130)를 비롯한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되는 부품들은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되고, 각 부품들은 최종적으로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세척부(130) 등의 비교적 무거운 부품들이 컵세척기의 상부에 구비된 상태에서도 각 부품들은 프레임(160) 및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의해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parts provided at the top of the cup washer, including the washing unit 130, are supported by the frame 160, and each part may ultimately be supported by the base plate 110. Due to this structure, even when relatively heavy parts such as the washing unit 130 are provided at the top of the cup washer, each part can be stably supported by the frame 160 and the base plate 110.

컵세척기는 프런트패널(170) 및 리어패널(180)을 포함할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컵세척기의 전방에 배치되어 저수조(120) 및 세척부(130)를 덮을 수 있다. 프런트패널(170)은 프레임(160)의 리어서포터(162)에 결합기구에 의해 결합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include a front panel 170 and a rear panel 180. The front panel 170 may be placed in front of the cup washer and cover the water storage tank 120 and the washing unit 130. The front panel 170 can be coupled to the rear supporter 162 of the frame 160 using a coupling mechanism.

리어패널(180)은 프레임(160)에 결합하여 컵세척기의 후방을 덮을 수 있다.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 내부와 외부가 통풍이 되도록 제1통풍구(181)가 구비될 수 있다. 하기에 설명되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는 제1통풍구(181)를 통해 컵세척기 내부로 유입될 수 있다.The rear panel 180 can be coupled to the frame 160 to cover the rear of the cup washer. The rear panel 180 may be provided with a first vent 181 to ventil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up washer. Air flowing into the drying module 132, which will be described below, may flow into the cup washer through the first vent 181.

리어패널(180)에는 컵세척기의 이용이 용이하도록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컵세척기를 잡을 수 있는 손잡이(260)가 결합될 수 있다. A handle 260 that allows a user or manager to hold the cup washer may be attached to the rear panel 180 to facilitate use of the cup washer.

컵세척기는 리어서포터(162)의 상부에 결합하고,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부(190)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는 도어(150)의 일측에 배치되고 도어(150)로부터 돌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be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rear supporter 162 and include a display unit 190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150. The display unit 190 may be disposed on one side of the door 150 and protrude from the door 150.

따라서, 사용자는 컵세척기의 전방부에서 디스플레이부(190)를 바라볼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컵세척기의 사용에 대한 다양한 정보가 이미지, 문자, 동영상의 형태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user can view the display unit 190 from the front of the cup washer. The display unit 190 may display various information about the use of the cup washer in the form of images, text, and videos.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에 나타난 정보를 보고 컵세척기를 동작시키거나, 컵세척기의 작동상태를 알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190)에는 예를 들어 정전식 터치방식으로 입력되는 명령입력 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디스플레이부(190)를 이용하여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The user can operate the cup washer or know the operating status of the cup washer by looking at the information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Additionally, the display unit 190 may be equipped with a command input means that is input by, for example, a capacitive touch method. Accordingly, the user can control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using the display unit 190.

컵세척기는 제1회로기판부(220)와 기판부서포터(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되고,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구비할 수 있다. 제1회로기판부(220)는 세척부(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부피가 작은 저수로가 배치됨으로 인해, 여유공간이 생기는 컵세척기의 하부에 저수조(120)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include a first circuit board portion 220 and a substrate portion supporter 230. The first circuit board unit 220 is disposed on one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and may include a control unit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The first circuit board unit 220 may be placed on one side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at the lower part of the cup washer to create free space due to the arrangement of the water storage conduit having a relatively small volume compared to the washing unit 130.

기판부서포터(230)는 하부가 베이스플레이트(110)에 결합하고, 상부가 중간플레이트(140)에 결합하고, 제1회로기판부(220)가 결합할 수 있다. 기판부서포터(230)는 결합기구에 의해 베이스플레이트(110)에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The lower part of the substrate supporter 230 may be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the upper portion may be coupled to the intermediate plate 140, and the first circuit board portion 220 may be coupled thereto. The substrate supporter 230 can be stably coupled to the base plate 110 using a coupling mechanism.

기판부서포터(230)는 제1회로기판부(220)를 고정하는 것뿐만 아니라, 컵세척기의 하부에 배치되는 배관을 고정하는데 사용될 수도 있다.The board supporter 230 may be used not only to fix the first circuit board part 220, but also to fix the piping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up washer.

컵세척기는 리어패널(180)에 결합하고,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외장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어서포터(162)에는 컵세척기의 다른 부품과 결합을 위해 다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include an exterior portion 250 that is coupled to the rear panel 180 and covers the rear supporter 162. The rear supporter 162 may be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fastening mechanisms to connect it to other parts of the cup washer.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그대로 외부로 노출시키는 구조의 경우에 컵세척기의 시각적인 심미감이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체결기구가 체결된 리어서포터(162)를 덮는 구조가 필요하다.Therefore, in the case of a structure that exposes the rear supporter 162 with the fastening mechanism to the outside, the visual aesthetics of the cup washer may be reduced. Therefore, a structure covering the rear supporter 162 to which the fastening mechanism is fastened is needed.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를 덮고 리어서포터(162)와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매우 적은 수의 체결기구가 결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로 인해, 외장부(250)는 리어서포터(162)에 대응하는 위치에서 컵세척기의 외부에 배치되어 컵세척기를 전체적으로 깔끔하게 보이도록 할 수 있다.The exterior portion 250 covers the rear supporter 162 and can be coupled with a relatively small number of fastening mechanisms compared to the rear supporter 162. Due to this structure, the exterior portion 250 is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cup washer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rear supporter 162, allowing the cup washer to appear neat as a whole.

이하에서 세척부(130)의 구체적인 구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정면도이다.Hereinafter, the specific structure of the cleaning unit 130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wash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7 is a front view showing the wash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른 세척부(130)를 나타낸 배면도이다. 세척부(130)는 터브(131)(tub), 건조모듈(132), 섬프(133)(sump), 순환펌프(134), 배수펌프(135)를 포함할 수 있다.Figure 8 is a side view showing the wash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Figure 9 is a rear view showing the washing unit 130 according to one embodiment. The washing unit 130 may include a tub 131, a drying module 132, a sump 133, a circulation pump 134, and a drain pump 135.

터브(131)는 컵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하고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터브(131)의 내부에는 컵이 거치되는 랙이 구비되고, 하부에 물을 분사하는 분사수단이 구비될 수 있다. 터브(131)의 개방된 상단은 도어(150)에 의해 개폐될 수 있다.The tub 131 provides a space to accommodate the cup and through which washing water can be sprayed. A rack on which a cup is mounted may be provided inside the tub 131, and a spray means for spraying water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The open top of the tub 131 can be opened and closed by the door 150.

건조모듈(132)은 터브(131)의 일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가열된 공기를 터브(131) 내부로 분사할 수 있다. 물에 의한 컵(10) 세척이 완료된 후에, 컵의 표면에는 물기가 남아 있다. 건조모듈(132)은 컵에 가열된 공기 즉, 열풍을 분사하여 컵에 잔류하는 물을 말려 컵을 건조시킬 수 있다.The drying module 132 is placed on one side of the tub 131 and connected to the tub 131, and can spray heated air for drying into the tub 131. After washing the cup 10 with water is completed, moisture remains on the surface of the cup. The drying module 132 can dry the cup by spraying heated air, that is, hot air, on the cup to dry the water remaining in the cup.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로 유입되는 공기를 가열하기 위한 가열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건조모듈(132)에는 건조모듈(132)에 형성되는 유로를 통해 공기가 강제유동하도록 하는 송풍팬(1321)이 구비될 수 있다.The drying module 132 may be equipped with a heating device to heat the air flowing into the drying module 132. Additionally, the drying module 132 may be equipped with a blowing fan 1321 that forces air to flow through a flow path formed in the drying module 132.

섬프(133)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터브(131)에서 분사되는 물을 저장할 수 있다.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순환펌프(134)에 의해 터브(131)와 섬프(133)를 순환하면서 터브(131)에서 분사장치에 의해 분사되어 터브(131)에 수용된 컵(10)을 세척할 수 있다.The sump 133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131 and connected to the tub 131, and can store water sprayed from the tub 131.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33 circulates between the tub 131 and the sump 133 by the circulation pump 134 and is sprayed from the tub 131 by a spray device to wash the cup 10 accommodated in the tub 131. can do.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측에 터브(131) 및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 사이에서 순환시킬 수 있다. 순환펌프(134)는 섬프(133)로부터 터브(131)로 물을 강제로 유동시킬 수 있다.The circulation pump 134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131 to be connected to the tub 131 and the sump 133, and can circulate water between the tub 131 and the sump 133. The circulation pump 134 can force water to flow from the sump 133 to the tub 131.

순환펌프(134)는 터브(131)의 하부에 배치되는 분사장치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면, 섬프(133)에 저장된 물은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The circulation pump 134 may be connected to an injection devic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tub 131. Accordingly, when the circulation pump 134 operates,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33 flows into the spray device and is sprayed into the tub 131 by the spray device to clean the cup.

배수펌프(135)는 터브(131)의 하측에 섬프(133)와 연결되도록 배치되고, 물을 섬프(133)로부터 외부로 배출시킬 수 있다. 물에 의한 컵 세척이 완료되면,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이 배수펌프(135)와 연결된 드레인배관을 통해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The drain pump 135 is disposed on the lower side of the tub 131 to be connected to the sump 133 and can discharge water from the sump 133 to the outside. When washing the cup with water is completed, the drain pump 135 operates so that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33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cup washer through a drain pipe connected to the drain pump 135.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에 의한 컵(10)의 세척과정은 다음과 같다. 상수도로부터 배관을 통해 저수조(120)에 물이 유입되어 저장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물은 저수조(120)에 구비되는 가열장치에 의해 가열될 수 있다. 저수조(120)의 가열된 온수는 배관을 통해 터브(131) 내부로 유입되어 터브(131) 하부에 배치된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The washing process of the cup 10 with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is as follows. Water may flow into the water storage tank 120 through a pipe from the water supply and be stored.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heated by a heating device provid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Heated hot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flow into the tub 131 through a pipe and be stored in the sump 133 disposed below the tub 131.

컵의 세척을 위해 순환펌프(134)가 작동하면 온수는 섬프(133)로부터 분사장치를 통과하여 터브(131) 내부에 분사되어 컵을 세척할 수 있다. 터브(131)에 분사된 온수는 다시 섬프(133)에 유입되고, 순환펌프(134)에 의해 다시 분사장치로 유입되고, 분사장치에 의해 터브(131)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When the circulation pump 134 operates to wash the cup, hot water passes from the sump 133 through the spray device and is sprayed into the tub 131 to wash the cup. The hot water sprayed into the tub 131 flows back into the sump 133, flows back into the spray device by the circulation pump 134, and can be sprayed into the tub 131 by the spray device.

순환펌프(134)가 동작하는 동안에 세척용 온수는 섬프(133), 분사장치, 터브(131)를 순차적으로 유동하고, 이러한 유동은 반복될 수 있다. 온수에 의한 컵세척이 완료되면 순환펌프(134)는 정지되고, 배수펌프(135)가 동작하여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While the circulation pump 134 operates, hot water for washing sequentially flows through the sump 133, the spray device, and the tub 131, and this flow can be repeated. When cup washing with hot water is completed, the circulation pump 134 is stopped and the drain pump 135 operates to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sump 133 to the outside.

배수펌프(135)에 의한 배수가 완료되면, 건조모듈(132)이 동작하여 터브(131) 내부에 열풍을 분사하고, 설정된 시간동안 열풍분사가 진행된 후에는 건조과정을 포함하는 컵세척 작업이 완료될 수 있다.When drainage by the drain pump 135 is completed, the drying module 132 operates to spray hot air inside the tub 131, and after hot air spraying proceeds for a set time, the cup washing operation including the drying process is completed. It can be.

컵세척기는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이하에서 세제와 린스를 터부로 투입하기 위해 구비되는 구조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The cup washer can both wash with detergent and rinse with rinse aid. Below, the structure provided to inject detergent and rinse aid into the tabu will be described in detail.

한편, 온수에 의한 컵세척과정에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은 서로 분리될 수 있다. 온수에 세제를 혼합하여 컵을 세척하는 과정을 완료한 후에 섬프(133)에 있는 물에는 세제와 이물질이 포함되어 있다. 따라서, 이러한 오염된 물은 배수펌프(135)를 동작시켜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up washing process using hot water, the washing process using detergent and the rinsing process using rinse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fter completing the process of washing the cup by mixing detergent in hot water, the water in the sump 133 contains detergent and foreign substances. Therefore, such contaminated water can be discharged to the outside by operating the drain pump 135.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한 후에, 다시 섬프(133)에는 온수를 유입시키고, 온수에 린스를 혼합하여 순환펌프(134)를 동작시켜 헹굼작업을 진행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세제를 이용한 세척과정과 린스를 이용한 헹굼과정을 분리하여 컵세척기의 세척효율을 높일 수 있다.After discharging the contaminated water to the outside, hot water can be introduced into the sump 133 again, the rinse water mixed with the hot water, and the circulation pump 134 can be operated to perform rinsing. In this way, the cleaning efficiency of the cup washer can be increased by separating the washing process using detergent and the rinsing process using rinse.

세척부(130)는 세제저장부(136), 린스저장부(137), 세제주입부(138), 린스주입부(139), 세제펌프(1301), 린스펌프(1302)를 포함할 수 있다. The washing unit 130 may include a detergent storage unit 136, a rinse storage unit 137, a detergent injection unit 138, a rinse injection unit 139, a detergent pump 1301, and a rinse pump 1302. .

세제저장부(136)는 터브(131)의 후방에 배치되고, 세제를 저장할 수 있다. 린스저장부(137)는 터브(131)의 후방에 세제저장부(136)와 분리되어 배치되고 린스를 저장할 수 있다. 따라서, 세제와 린스는 서로 혼합되지 않을 수 있다.The detergent storage unit 136 is disposed at the rear of the tub 131 and can store detergent. The rinse storage unit 137 is disposed separately from the detergent storage unit 136 at the rear of the tub 131 and can store rinse. Therefore, detergent and rinse aid may not mix with each other.

탑커버(210)에는 세제가 투입되는 세제투입구(211)와 린스가 투입되는 린스투입구(212)가 구비될 수 있다. 세제투입구(211)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린스투입구(212)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세제투입구(211)와 린스투입구(212)로 유입된 세제와 린스는 세제저장부(136)와 린스저장부(137)에 저장될 수 있다.The top cover 210 may be provided with a detergent inlet 211 into which detergent is injected and a rinse inlet 212 into which rinse aid is injected. The detergent inlet 211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storage unit 136, and the rinse inlet 212 may be connected to the rinse storage unit 137. Accordingly, the detergent and rinse flowing into the detergent inlet 211 and the rinse inlet 212 can be stored in the detergent storage unit 136 and the rinse storage unit 137.

세제주입부(138)는 세제저장부(136)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세제주입부(138)의 입구는 세제저장부(136)와 연결되고 출구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The detergent injection unit 138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storage unit 136 and the tub 131, and can inject detergent into the tub 131. The inlet of the detergent injection unit 138 may be connected to the detergent storage unit 136 and the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tub 131.

린스주입부(139)는 린스저장부(137) 및 터브(131)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주입할 수 있다. 린스주입부(139)의 입구는 린스저장부(137)와 연결되고 출수는 터브(131)와 연결될 수 있다.The rinse injection unit 139 is connected to the rinse storage unit 137 and the tub 131, and can inject rinse into the tub 131. The inlet of the rinse injection unit 139 may be connected to the rinse storage unit 137 and the water outlet may be connected to the tub 131.

세제펌프(1301)는 세제주입부(138)와 연결되고 세제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린스펌프(1302)는 린스주입부(139)와 연결되고 린스를 터브(131)로 펌핑할 수 있다. 세제펌프(1301)와 린스펌프(1302)는 제어부에 의해 동작이 제어될 수 있다.The detergent pump 1301 is connected to the detergent injection unit 138 and can pump detergent into the tub 131. The rinse pump 1302 is connected to the rinse injection unit 139 and can pump rinse into the tub 131. The operation of the detergent pump 1301 and the rinse pump 1302 may be controlled by a control unit.

제어부는 세척과정에서 세제펌프(1301)를 동작시켜 세제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고, 헹굼과정에서 린스펌프(1302)를 동작시켜 린스와 물을 혼합시킬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mix detergent and water by operating the detergent pump 1301 during the washing process, and can mix the rinse and water by operating the rinse pump 1302 during the rinsing process.

저수조(120)는 터브(131)와 배관으로 연결되어 저수조(120)의 물이 터브(131)로 유입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저수조(120)의 물은 가열되어 온수가 된 후에 터브(131)로 유입되고, 순환펌프(134)가 동작하기 전까지는 섬프(133)에 저장될 수 있다.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connected to the tub 131 through a pipe so that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20 flows into the tub 131. Accordingly, the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is heated to become hot water, then flows into the tub 131, and may be stored in the sump 133 until the circulation pump 134 operates.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터브(131)는 상수도와 직접 연결되는 물공급 경로를 함께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컵은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으로 진행될 수 있다.Meanwhile, as described above, the tub 131 may be provided with a water supply path directly connected to the water supply. Accordingly,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the cup can be subjected to normal washing or rapid washing.

일반세척은 저수조(120)에서 가열된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여 깨끗한 컵세척이 가능하지만, 상대적으로 시간이 오래 걸릴 수 있다.In general washing, the cup is washed using hot water heated in the water tank 120, and it is possible to clean the cup using detergent and rinse, but it may take a relatively long time.

급속세척은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상온의 원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고, 세제와 린스를 사용하지 않으므로 상대적으로 세척시간이 짧으므로, 비교적 오염이 덜된 컵을 신속하게 세척하려는 사용자가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다.Quick cleaning uses room temperature raw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to clean the cup, and since it does not use detergent or rinse, the cleaning time is relatively short, so it can be conveniently used by users who want to quickly clean a cup that is relatively less contaminated. .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컵세척기의 제어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제어부가 명령을 입력받아 진행할 수 있다.Figure 10 is a flowchart for explaining a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Control of the cup washer can be performed by receiving commands from a control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제어부에 명령을 입력하는 것은 컵을 세척하려는 사용자가 휴대하는 스마트폰 등의 모바일기기에 프로그래밍되어 구현된 애플리케이션 또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명령의 입력은 사용자 또는 컵세척기를 유지 및 보수하는 관리자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Inputting a command to the control unit can be done through an application programmed and implemented in a mobile device such as a smartphone carried by the user who wants to wash the cup, or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Command input may be performed by a user or an administrator who maintains and repairs the cup washer.

모바일기기는 원거리에 위치하는 메인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되고, 또한 컵세척기의 제어부도 메인서버와 통신가능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모바일기기에 입력된 명령은 메인서버를 거쳐 컵세척기의 제어부로 전송될 수 있다.The mobile device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a main server located at a distance, and the control unit of the cup washer can also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the main server. Therefore, commands entered into the mobile device can be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of the cup washer through the main server.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은 후술하는 제어부가 컵세척기 각각의 동작모드를 유지 또는 변경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The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mean that the control unit described later maintains or changes the operation mode of each cup washer.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는 관리모드 및 사용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관리모드에서는 제어부가 컵세척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컵세척기가 전원이 공급되어 작동되면 컵세척기는 관리모드가 될 수 있다.The cup washe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may operate in management mode and use mode. In management mode, the control unit can check whether the cup washer is operating normally. When the cup washer is powered and operating, the cup washer can enter maintenance mode.

관리모드는 초기모드와 설치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초기모드에서는 컵세척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부(130)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고, 메인서버와 컵세척기를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할 수 있다.Management mode may include initial mode and installation mode. In the initial mode, after the cup washer is turned on,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130 provided in the cup washer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and the main server and the cup washer can be connected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컵세척기에 전원이 켜져서 관리모드가 되면, 제어부는 먼저 세척부(130)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세척부(130)에 이전에 드레인되지 않은 물이 남아있을 수 있고, 이전에 세척부(130)가 드레인되었더라도 세척부(130) 내부에 오물이 남아 있을 수 있기 때문에 세척부(130)의 청결을 위해 드레인을 진행하는 것이다.When the cup washer is turned on and enters the management mode, the control unit can first dra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130 to the outside. Water that has not previously been drained may remain in the washing unit 130, and dirt may remain inside the washing unit 130 even if the washing unit 130 has been previously drained. Therefore, the cleanliness of the washing unit 130 must be maintained. Draining is carried out for this purpose.

드레인은 단순히 터브(131)와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컵세척기 외부로 배출하는 것일 수 있다. 또는, 더욱 청결한 상태를 위해 외부로부터 물을 터브(131)와 섬프(133)에 유입시켜 이를 다시 드레인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상수도로부터 터브(131)로 물을 유입시킨 후에 터브(131)와 섬프(133)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여 세척부(130) 내부를 청결하게 할 수 있다.The drain may simply discharge the water stored in the tub 131 and the sump 133 to the outside of the cup washer. Alternatively, for a cleaner condition, water may be introduced from the outside into the tub 131 and the sump 133 and drained again. For example, after water flows into the tub 131 from the water supply, the water stored in the tub 131 and the sump 133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o clean the inside of the washing unit 130.

제어부가 초기모드에서 메인서버와 컵세척기가 서로 통신가능하도록 연결한 후에는 컵세척기는 설치모드가 될 수 있다.After the control unit connects the main server and the cup washer to communicate with each other in the initial mode, the cup washer can be in installation mode.

설치모드에서는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할 수 있다. 컵세척기의 제어에 필요한 프로그램은 주기적으로 새롭게 설치하거나, 새로운 설치는 아니더라도 업데이트될 수 있다.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는 컵세척기와 연결되는 메인서버로부터 데이터를 전송받아 진행될 수 있다.In installation mode, you can install or update the computer program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Programs required to control the cup washer can be newly installed periodically or updated even if not newly installed. Installation or update of the program can be done by receiving data from the main server connected to the cup washer.

이러한 프로그램의 설치 또는 업데이트가 후술하는 사용모드에서 진행될 경우에 컵세척기의 작동이 중지되거나 더디게 진행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게 불편을 줄 수 있다.If the installation or update of such a program is carried out in the use mode described later, the cup washer may stop working or progress slowly, causing inconvenience to the user.

따라서, 사용자가 실제로 컵세척기를 사용하지 않는 관리모드에서 프로그램을 설치 또는 업데이트하여, 사용자의 불편을 줄일 수 있다.Therefore, the user's inconvenience can be reduced by installing or updating the program in a management mode in which the user does not actually use the cup washer.

또한, 관리모드에서는 제어부가 메인서버와 통신상태가 양호한지,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전기부품이 에러 없이 정상적으로 동작하는지 여부를 체크할 수 있다. 체크결과 통신상태 또는 부품에 에러가 있는 것을 감지한 경우에 에러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Additionally, in the management mode, the control unit can check whether the communication status with the main server is good and whether the electrical components provided in the cup washer operate normally without errors. As a result of the check, if an error in the communication state or component is detected, information regarding the error can b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190.

프로그램 설치 또는 업데이트가 종료되면, 컵세척기는 사용모드가 될 수 있다. 사용모드에서는 컵을 휴대하는 사용자가 컵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Once the program installation or update is completed, the cup washer can be in use mode. In use mode, the user carrying the cup can clean it using a cup washer.

사용모드는 준비모드, 대기모드, 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준비모드와 대기모드는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구분될 수 있다. 준비모드는 컵세척기의 저수조(120)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미만인 경우일 수 있다.Use modes may include preparation mode, standby mode, and washing mode. Preparation mode and standby mode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The preparation mode may b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of the cup washer is below a set temperature.

대기모드는 저수조(120)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일 수 있다. 이때, 전술한 설정된 온도는 예를 들어, 약 70℃일 수 있다.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이 전술한 설정된 온도 이상인 대기모드에 도달한 상태에서 저수조(120)의 온수가 세척부(130)로 유입되어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The standby mode may b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is above a set temperature. At this time, the above-mentioned set temperature may be, for example, about 70°C. In the general washing mode, whe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reaches the standby mode where the temperature is higher than the above-mentioned set temperature, hot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flows into the washing unit 130 and cleaning can be performed.

따라서, 사용모드에서는 컵세척기가 준비모드에 있는 경우에는 세척모드로 변경될 수 없고, 대기모드로 변경된 후에 세척모드로 변경되어 사용자는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Therefore, in the use mode, if the cup washer is in the preparation mode, it cannot be changed to the washing mode, and after changing to the standby mode, it is changed to the washing mode so that the user can proceed with washing.

컵세척기가 대기모드에 있고, 사용자로부터 세척예약 입력을 받는 경우에, 컵세척기는 세척모드로 변경되어 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 컵세척기는 대기모드에서 명령을 입력받아 세척모드로 변경되고, 세척모드에서는 컵세척기에 수용된 컵을 세척할 수 있다. 세척이 종료되면 컵세척기는 다시 준비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When the cup washer is in standby mode and a washing reservation input is received from the user, the cup washer may change to the wash mode and wash may proceed. The cup washer receives a command from standby mode and changes to the washing mode, and in the washing mode, the cups stored in the cup washer can be washed. When cleaning is complete, the cup washer can change back to ready mode.

실시예에서, 컵세척기의 유지 및 보수를 위한 관리모드와 사용자가 컵세척기를 이용하여 세척하는 사용모드가 통합되는 알고리즘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컵세척기의 원활한 관리와 동시에 사용자의 사용에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re may be an algorithm that integrates a management mode for maintenance and repair of the cup washer and a use mode in which the user cleans the cup using the washer. Therefore, it is possible to smoothly manage the cup washer and at the same time provide convenience to the user.

사용모드는 저수조(120)에 수용되는 히터의 동작이 정지는 슬립모드를 포함할 수 있다. 슬립모드는 명령을 입력받아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고, 이때 저수조(120)에는 히터가 다시 동작하여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The use mode may include a sleep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is stopped. The sleep mode is changed to either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by receiving a command, and at this time, the heater in the water tank 120 operates again to heat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그러나, 컵세척기의 사용빈도가 낮아서 장기기 세척이 진행되지 않는 경우에는 히터를 정지시키고 대기하는 것이 적절하다. 따라서, 컵세척기는 명령을 입력받아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키고 슬립모드 상태가 될 수 있다.However, if the cup washer is used infrequently and long-term cleaning does not proceed, it is appropriate to stop the heater and wait. Therefore, the cup washer can receive a command to stop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nd enter a sleep mode.

슬립모드에서는 히터의 동작이 정지되어 컵세척기의 전기 소비량을 줄일 수 있다. 슬립모드에서 제어부는 명력을 입력받아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In sleep mode, the heater stops operating, reducing the cup washer's electricity consumption. In sleep mode, the control unit can receive command input and change to either ready mode or standby mode.

슬립모드는 히터의 동작을 정지시키는 것이므로, 히터가 정지되더라도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의 온도는 일정시간 전술한 설정된 온도 이상이 될 수 있고, 더욱 시간이 흐르면 물이 설정된 온도 미만으로 내려갈 수 있다.Since the sleep mode stops the operation of the heater, even if the heater is stopped,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be above the set temperature for a certain period of time, and as time passes, the water may fall below the set temperature.

따라서, 슬립모드에서 저수조(120)의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상태에서 명령을 입력받으면 대기모드가 되고, 저수조(120)의 물이 설정된 온도 미만인 상태에서 명령을 입력받으면 준비모드가 될 수 있다.Therefore, in sleep mode, if a command is received whil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is above a set temperature, the standby mode can be entered, and if a command is received while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is below the set temperature, the standby mode can be entered.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기기 또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슬립모드로부터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The cup washer can change from sleep mode to either ready mode or standby mod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or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예를 들어, 사용자는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입력할 수 있고, 컵세척기는 예약을 입력받은 즉시 다시 히터를 동작시켜 슬립모드에서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For example, a user can enter a reservation for cup washing through an application on a mobile device, and the cup washer operates the heater again as soon as the reservation is entered, changing from sleep mode to either ready mode or standby mode. You can.

다른 예로써, 사용자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에 다시 히터를 동작시키고 세척을 준비하라는 명령 즉 웨이크업(wake up) 명령을 입력하고, 이에 따라 컵세척기는 슬립모드에서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As another example, the user inputs a wake up command to the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to operate the heater again and prepare for cleaning, and according to this, the cup washer switches from sleep mode to either ready mode or standby mode. It can be changed to one.

컵세척기를 슬립모드로 변경하는 명령은 사용자 또는 관리자가 명령을 입력하거나, 또는 설정된 시간의 도과를 명령신호로 하여 구현될 수 있다.The command to change the cup washer to sleep mode can be implemented by a user or administrator entering a command, or by using the elapse of a set time as a command signal.

따라서, 컵세척기는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입력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의 시작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도과한 경우,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부터 슬립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refore, the cup washer may change from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to the sleep mode when a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while in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or when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ready mode or standby mode. there is.

세척모드는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를 포함할 수 있고, 사용자는 일반세척과 급속세척을 선택할 수 있다. 일반세척과 급속세척은 이미 전술한 바와 같다.Washing modes may include normal washing mode and rapid washing mode, and the user can select normal washing and rapid washing. Normal washing and rapid washing are the same as previously described.

컵세척기는 세척모드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수도로부터 공급되는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급속세척모드 또는 저수조(120)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일반세척모드를 진행할 수 있다.In the washing mode, the cup washer has a rapid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is washe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upply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by the user, or a general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is washed using ho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20. You can proceed with the mode.

컵세척기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세척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세척은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급속세척 또는 일반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The cup washer can receive a command from the user's mobile device and change from sleep mode or standby mode to washing mode. Washing can be done as a quick wash or a normal wash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사용자는 급속세척 또는 일반세척 중 택일하여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컵세척기는 슬립모드 또는 대기모드로부터 급속세척모드 또는 일반세척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The user can select either rapid washing or normal washing and input a command into the mobile device application, and accordingly, the cup washer can change from sleep mode or standby mode to rapid washing mode or normal washing mode.

전술한 바와 같이, 컵세척기는 준비모드에서 바로 세척을 진행할 수 없다. 따라서, 세척진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컵세척기는 대기모드에 도달한 후에 세척모드로 변경되어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As mentioned above, the cup washer cannot proceed with cleaning directly in the preparation mode. Therefore, when a washing command is input, the cup washer reaches standby mode and then changes to washing mode to proceed with washing.

다만, 슬립모드에 있는 경우에 세척진행 명령을 입력받으면 슬립모드에서 저수조(120)의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상태에서는 슬립모드에서 바로 대기모드가 될 수 있고, 따라서 준비모드를 거치지 않고, 슬립모드에서 바로 세척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However, when in the sleep mode, if a washing progress command is input,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is above the set temperature in the sleep mode, and the sleep mode can be entered into the standby mode immediately. Therefore, without going through the preparation mode, the sleep mode can be entered into the standby mode. You can immediately change to washing mode.

컵세척기는 급속세척모드 진행을 입력받은 경우에 즉시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급속세척모드에서는 상수도로부터 유입되는 상온의 원수를 사용하여 세척을 하므로,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사용하지 않고, 물을 가열할 필요도 없으므로, 대기모드 또는 준비모드를 고려할 필요가 없으므로 즉시 세척을 진행할 수 잇다.The cup washer can immediately begin washing when the rapid washing mode is entered. In the rapid cleaning mode, cleaning is performed using raw water at room temperature flowing from the water supply, so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is not used and there is no need to heat the water, so there is no need to consider standby mode or preparation mode, so immediate cleaning is possible. You can proceed.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 진행을 입력받은 경우, 현재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에 즉시 컵의 세척을 진행하고, 현재 준비모드에 있는 경우에 저수조(120)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컵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When the cup washer receives an input to proceed with the general washing mode, it immediately cleans the cup if it is currently in standby mode, and if it is currently in preparation mode, aft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reaches the set temperature. You can proceed with washing the cup.

일반세척모드에서는 저수조(120)의 온수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만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따라서, 온수가 설정된 온도 이상이라서 현재 대기모드에 있으면 즉시 컵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In the normal washing mode, washing can be performed only when the hot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is above a set temperature. Therefore, if the hot water is currently in standby mode because the temperature is above the set temperature, the cup can be washed immediately.

현재 준비모드에 있으면,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이 히터에 의해 충분히 가열되기를 기다리고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에 도달하여 대기모드로 변경된 후에 컵의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If you are currently in the preparation mode, you can wait fo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to be sufficiently heated by the heater and then change to the standby mode when the water reaches a set temperature or higher before proceeding with washing the cup.

실시예에서, 컵세척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세척과 급속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사용자가 모바일기기를 이용하여 단순하게 입력하는 것으로, 제어부가 일반세척모드와 급속세척모드로 분리하여 컵의 세척을 진행하므로,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cup washer can perform normal washing and rapid washing according to the user's selection. By simply inputting information using a mobile device, the control unit separates the cup into a normal washing mode and a rapid washing mode to wash the cup, providing convenience to the user.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구체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관리모드에서 컵세척기는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는 동작을 진행할 수 있다.Figure 11 is a flowchart specifically showing a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In the management mode, the cup washer may proceed with an operation of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to the outside.

저수조(120) 드레인은 관리모드에서 관리자에 의해 진행될 수 있다. 저수조(120) 드레인은 관리자의 선택에 의해 임의로 진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컵세척기가 전원이 꺼진 상태에서 오랫동안 방치된 후 다시 전원이 켜지고, 저수조(120)에 물이 저장된 상태라면 위생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저수조(120) 드레인을 진행할 필요가 있다.Draining of the water tank 120 can be performed by an administrator in management mode. Draining of the water tank 120 may be performed arbitrarily by the manager's selection. For example, if the cup washer is turned off for a long time and then turned on again and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sanitary problems may occur, so it is necessary to drain the water tank 120.

만약, 관리모드에서 저수조(120)에 물이 저장되어 있지 않거나, 오랜기간 저장된 물이 아닌 경우에는 위생상 크게 문제가 되지 않으므로, 관리모드에서 저수조(120) 드레인을 하지 않을 수 있다.If no water is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in the management mode, or if the water is not stored for a long period of time, there is no significant hygiene problem, so the water storage tank 120 may not be drained in the management mode.

따라서, 관리모드에서 저수조(120) 드레인은 관리자가 선택하여 진행할 수 있다. 저수조(120) 드레인이 필요한 경우 관리자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저수조(120) 드레인 명령을 입력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어부는 저수조(120) 드레인을 진행할 수 있다. 저수조(120) 드레인은 컵세척기가 관리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언제나 진행될 수 있다.Therefore, in the management mode, the drain of the water tank 120 can be selected by the manager. When draining the water tank 120 is necessary, the manager can input a command to drain the water tank 120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and the control unit can proceed to drain the water tank 120 accordingly. Draining the water tank 120 can be performed at any time while the cup washer is in maintenance mode.

컵세척기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저수조(120) 드레인 명령은 입력될 수도 있고, 입력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cup washer can drain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to the outsid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The water tank 120 drain command may or may not be input.

드레인에 관한 명령입력이 있는 경우에, 컵세척기는 드레인 작업 및 설치모드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사용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드레인에 관한 명령입력이 없는 경우에, 컵세척기는 설치모드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사용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If there is a command input regarding drain, the cup washer can be changed to use mode after the drain operation and installation mode are completed. If there is no command input regarding drain, the cup washer can be changed to use mode after the installation mode is completed.

세척이 시작되면, 세척기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편의를 고려하여 사용자는 세척이 설정된 과정을 통해서 제어부에 의해 진행되고 제어부에 의해서 세척이 종료되기 전까지 언제라도 세척을 취소할 수 있다.When washing begins, the washing machine can perform normal washing or rapid washing depending on the user's choice. Meanwhile, considering the user's convenience, the user can cancel the washing at any time until the washing is carried out by the control unit through a set process and the washing is completed by the control unit.

세척의 취소는 사용자의 모바일기기 또는 식기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를 통해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입력하여 행할 수 있다.Washing can be canceled by inputt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through an input unit provided on the user's mobile device or dishwasher.

세척모드에는 건조모드가 포함될 수 있다. 세척이 정상적인 과정을 통해 종료되는 경우에는, 물을 이용한 세척을 완료한 후에 건조모듈(132)에 의해 컵의 표면에 남은 물을 건조시키는 건조과정이 자동적으로 진행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에 의해 세척이 중단된 경우에는 건조과정이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The washing mode may include a drying mode. When washing is completed through a normal process, a drying process of drying the remaining water on the surface of the cup by the drying module 132 may be automatically performed after completing washing using water. On the other hand, if washing is stopped by the user, the drying process may not proceed.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또는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받은 후에 컵세척기는 세척부(130)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할 수 있다. 한번의 세척이 진행된 후에는 세척부(130)의 터브(131), 섬프(133)에는 세제, 린스 또는 오물이 혼합된 물이 남을 수 있다.After the washing mode ends or after receiv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the cup washer may drain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130 to the outside. After one cleaning is performed, water mixed with detergent, rinse, or dirt may remain in the tub 131 and sump 133 of the washing unit 130.

따라서, 다음의 세척을 진행하기 위해 이전의 세척이 종료되면 세척부(130)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여 다음 세척을 준비할 수 있다. Therefore, in order to proceed with the next washing, when the previous washing is completed,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130 can be drained to the outside to prepare for the next washing.

드레인이 종료된 후에 컵세척기는 준비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드레인이 종료된 후에는 이미 한번의 세척이 진행되었으므로, 저수조(120)에는 물이 비어있으므로, 준비모드에서 상수도로부터 저수조(120)로 물을 유입시키고 저수조(120)에 저장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After draining is completed, the cup washer can change to ready mode. Since one cleaning has already been performed after the drain is completed, water is empty in the water tank 120, so in the preparation mode, water can be introduced from the water supply into the water tank 120 and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120 can be heated. .

물이 가열된 이후에는 컵세척기는 조건에 따라 준비모드, 대기모드 또는 슬립모드 상태에 있을 수 있고, 이러한 상태에서 다음의 컵세척을 준비할 수 있다.After the water is heated, the cup washer may be in a ready mode, standby mode, or sleep mode depending on conditions, and in this state, it can prepare for the next cup wash.

세척모드상태에서 사용자는 컵세척기의 도어(150)를 열고 세척부(130)에 컵을 넣은 후에 컵세척기의 입력부에 구비되는 시작버튼을 눌러 세척을 진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제어부는 컵이 세척부(130)에 수용된 것을 감지하고 도어(150)가 닫히는 것을 인식하여 사용자의 수동 명령입력 없이도 세척을 진행할 수도 있다. 이때, 사용자가 미리 모바일기기로 입력한 명령에 따라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이 진행될 수 있다.In the washing mode state, the user can open the door 150 of the cup washer, place a cup in the washing unit 130, and then press the start button provided on the input part of the cup washer to proceed with washing. In another embodiment, the control unit may detect that the cup is received in the cleaning unit 130 and recognize that the door 150 is closed, and may proceed with cleaning without a manual command input from the user. At this time, normal washing or rapid washing may be performed according to the command input by the user in advance through the mobile device.

세척모드에서는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부(130)를 개폐하는 도어(150)가 세척부(130)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기도록 구비될 수 있다.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에 제어부는 도어(150)를 잠궈서 세척 도중에 도어(150)가 개방되어 물이 세척부(130)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In the washing mode, the door 150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unit 130 provided in the cup washing machine may be locked with the washing unit 130 closed. While washing is in progress, the control unit locks the door 150 to prevent water from splashing out of the washing unit 130 when the door 150 is opened during washing.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받은 후에 도어(150)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도어(150) 잠금이 해제되면 사용자는 도어(150)를 개방하여 컵을 회수할 수 있다.The door 150 may be configured to be unlocked after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washing mode ends or after receiv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When the door 150 is unlocked, the user can open the door 150 and retrieve the cup.

컵세척기는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입력받을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는 휴대하는 모바일기기로 컵세척 예약을 입력하고, 복수의 모바일기기와 연결된 메인서버는 복수의 예약을 전송받을 수 있다. 메인서버는 자신과 연결된 컵세척기로 복수의 예약을 전송할 수 있다.The cup washing machine can receive reservations for cup washing from multiple users. Multiple users can enter cup washing reservations using mobile devices they carry, and the main server connected to multiple mobile devices can receive multiple reservations. The main server can transmit multiple reservations to cup washers connected to it.

컵세척기는, 사용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입력받고,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예약에 대하여 예약이 입력된 순서대로 복수의 예약을 나열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receive a reservation for washing a cup from a user in a use mode, and may list a plurality of reservations in the order in which the reservations are entered for a plurality of reservations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컵세척기는 복수의 예약 각각에 대하여 세척순서가 도래하면 세척을 예약한 각각의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알림신호는 메인서버를 통해 각각의 사용자가 휴대하는 모바일기기로 전송될 수 있다.The cup washer may transmit a notification signal to each user who has reserved washing when the washing order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reservations arrives. The notification signal can be transmitted to the mobile device carried by each user through the main server.

사용자는 자신의 순서가 도래했다는 알림신호를 받으면, 컵세척기가 있는 장소로 가서 자신의 컵을 세척할 수 있다.When the user receives a notification signal that his or her turn has arrived, he or she can go to a place where the cup washer is located and wash his or her cup.

컵세척기가 슬립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받는 경우, 컵세척기는 슬립모드에서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될 수 있다.When a reservation is received from a user while the cup washer is in sleep mode, the cup washer may change from the sleep mode to either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사용자의 예약이 없는 경우에 컵세척기는 전기의 절약을 위해 슬립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 슬립모드에서 사용자의 예약을 입력받으면, 식기세척기는 즉시 웨이크업되어서,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변경될 수 있다.If there is no user reservation, the cup washer can change to sleep mode to save electricity. When a user's reservation is entered in sleep mode, the dishwasher wakes up immediately and can be changed to ready mode or standby mode.

전술한 바와 같이, 슬립모드 상태에서 저수조(120)의 온수가 설정된 온도 이상인 경우에는 예약을 입력받으면 슬립모드에서 바로 세척모드로 변경되어, 세척을 준비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when the hot water in the water storage tank 120 is above a set temperature in the sleep mode, when a reservation is input, the sleep mode is immediately changed to the washing mode to prepare for washing.

컵세척기는 음료수 서비스를 제공하는 매장에 비치될 수 있다. 이러한 매장은 영업이 종료된 이후에는 사용자가 출입할 수 없으며, 따라서 영업시간이 아닌 때에 사용자가 컵세척 예약을 하는 것을 방지할 필요가 있다.Cup washing machines can be installed in stores that provide beverage service. Users cannot enter these stores after business is closed, so it is necessary to prevent users from making cup washing reservations outside of business hours.

비영업시간에 컵세척 예약이 있으면, 실제 컵세척을 할 수 없는데도 예약에 의해 컵세척기가 슬립모드에서 준비모드 또는 대기모드로 변경되어 저수조(120)의 물을 가열하게 되고, 따라서 전기를 낭비하고 사람이 없는 매장에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If a cup washing reservation is made during non-business hours, even though actual cup washing is not possible, the cup washing machine changes from sleep mode to ready mode or standby mode due to the reservation, thereby heating the water in the water tank 120, thus wasting electricity and causing human injury. This is because there is a risk of fire occurring in stores without this.

따라서, 컵세척기는 설정된 시간구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받지않고 슬립모드를 유지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시간구간은 매장의 비영업시간일 수 있으며, 관리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Accordingly, the cup washer may be equipped to maintain the sleep mode without receiving a reservation for cup washing from the user during a set time interval. This time period may be the non-business hours of the store and may be set by the manager.

이러한 구조로 인해, 매장에서 비영업시간 또는 기타 컵세척기를 사용하지 않는 시간구간에서 컵세척기가 히터가 작동하지 않고 항상 슬립모드를 유지하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컵세척기의 전원을 끄지 않은 상태에서도 전력의 낭비를 줄이고 화재를 예방할 수 있어, 관리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Due to this structure, the cup washer can always maintain a sleep mode without the heater operating during non-business hours in the store or during other times when the cup washer is not used. As a result, power waste can be reduced and fires can be prevented even when the cup washer is not turned off, providing convenience to managers.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컵세척기 제어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테이블이다. 도 12에서는 전술한 각각의 모드에서 컵세척기의 동작을 구체적으로 나타내었다.Figure 12 is a table for explaining a cup washer control method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12 specifically shows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in each of the above-described modes.

저수조(120)의 히터는 준비모드, 대기모드 및 세척모드에서 작동할 수 있다. 세척모드에서도 히터가 작동하고 저수조(120)의 온수는 세척도중에 세척부(130)로 공급될 수 있다.The heater of the water storage tank 120 can operate in preparation mode, standby mode, and cleaning mode. Even in the washing mode, the heater operates and hot water from the water storage tank 120 can be supplied to the washing unit 130 during washing.

에러감지는 제어부가 컵세척기의 전기부품의 동작에 이상이 없는지, 컵세척기가 메인서버와 통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지에 관한 에러를 감지하는 것이다. 에러가 감지되어 컵세척기에 이상이 있으면 제어부는 이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부(19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에러감지는 컵세척기의 모든 모드에서 계속 진행될 수 있다.Error detection is when the control unit detects errors regarding whether there are any abnormalities in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s electrical components and whether the cup washer communicates smoothly with the main server. If an error is detected and there is a problem with the cup washer, the control unit can display information regarding this on the display unit 190. Error detection can continue in all modes of the cup washer.

세척부(130) 드레인은 관리모드의 초기모드에서 세척부(130)의 위생을 위해 진행될 수 있다. 또한 세척부(130) 드레인은 세척모드의 종료시점에 다음의 세척을 진행하기 위해 진행될 수 있다.Draining of the cleaning unit 130 may be performed for hygiene of the cleaning unit 130 in the initial mode of the management mode. Additionally, the drain of the cleaning unit 130 may proceed to the next cleaning at the end of the cleaning mode.

저수조(120) 드레인은 관리모드에서 초기모드와 설치모드 어느 단계에서도 진행될 수 있으나, 이는 관리자의 선택에 따리 진행될 수도 있고, 진행되지 않을 수도 있다.Draining of the water tank 120 may be performed in either the initial mode or installation mode in the management mode, but this may or may not be performed depending on the manager's selection.

사용자가 모바일기기의 애플리케이션을 통한 세척예약은 사용모드의 준비모드, 대기모드 및 세척모드에서 진행될 수 있다. 슬립모드에서는 전술한 예약이 금지되는 설정된 시간구간을 제외한 시점에서 세척예약이 진행될 수 있다.The user can make a cleaning reservation through the application of the mobile device in the preparation mode, standby mode, and washing mode of the use mode. In sleep mode, cleaning reservations can be made at any point other than the set time interval in which the aforementioned reservations are prohibited.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애플리케이션으로 일반세척 또는 급속세척 중 어느 것으로 할지 세척모드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변심할 수 있으므로, 애플리케이션의 세척모드의 선택은 세척이 시작되기 직전인 대기모드에서 진행될 수 있다.Users can select a washing mode, either normal washing or rapid washing, using an application on their mobile device. At this time, because the user may change his or her mind, the application's cleaning mode selection may be performed in standby mode, just before cleaning begins.

도어(150)는 세척모드가 진행되는 동안에 잠기고, 다른 모드에서는 잠금이 해제될 수 있다. 세척이 진행되는 동안 도어(150)가 잠겨, 세척 도중에 열린 도어(150) 또는 도어(150)의 틈새를 통해 물이 컵세척기 외부로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door 150 may be locked while the washing mode is in progress, and may be unlocked in other modes. The door 150 is locked while washing is in progress, preventing water from splashing out of the cup washer through the open door 150 or a gap in the door 150 during washing.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휴대하는 모바일기기에 의해 컵세척기를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컵세척기 앞에서 자기차례가 올때까지 줄을 서서 대기하거나, 컵세척기에 직접 제어명령을 입력하는 횟수를 줄일 수 있으므로, 컵세척기의 사용자에게 편의를 제공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user can remotely control the cup washer using a portable mobile device,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times the user has to wait in line for his or her turn at the cup washer or input control commands directly into the cup washer. , can provide convenience to users of the cup washer.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대해서 예시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와 도면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기술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음은 자명하다. 아울러 앞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면서 본 발명의 구성에 따른 작용 효과를 명시적으로 기재하여 설명하지 않았을 지라도, 해당 구성에 의해 예측 가능한 효과 또한 인정되어야 함은 당연하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ive drawings, bu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and drawings disclosed herein, and various modifications may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hat transformation can occur. In addition, although the operational effects according to the configu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not explicitly described and explained while explaining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bove, it is natural that the predictable effects due to the configuration should also be recognized.

110: 베이스플레이트
120: 저수조
130: 세척부
140: 중간플레이트
150: 도어
160: 프레임
170: 프런트패널
110: Base plate
120: water tank
130: Washing unit
140: middle plate
150: door
160: frame
170: front panel

Claims (17)

컵세척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하는 관리모드; 및
컵을 세척하는 사용모드
로 동작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모드는,
상기 컵세척기의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미만인 준비모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 이상인 대기모드; 및
상기 컵세척기에 수용된 컵을 세척하는 세척모드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Management mode to check whether the cup washer is operating normally; and
Use mode to clean the cup
In the method of controlling a cup washer operated by,
The above usage mode is,
A preparation mod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of the cup washer is below a set temperature;
A standby mode in which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is above a set temperature; and
Washing mode for washing the cup stored in the cup washer
Including,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모드는 상기 저수조에 수용되는 히터의 동작이 정지되는 슬립모드를 포함하고,
상기 슬립모드는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use mode includes a sleep mode in which the operation of the heater accommodated in the water tank is stopped,
The sleep mode is changed to either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by receiving a command,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사용자가 소지하는 모바일기기 또는 상기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입력부로부터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기 슬립모드로부터 상기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up washer,
Changing from the sleep mode to one of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according to a command input from a mobile device carried by the user or an input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상기 입력부로부터 명령을 입력받거나, 또는 상기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의 시작으로부터 설정된 시간을 도과한 경우, 상기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로부터 상기 슬립모드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up washer,
When a command is input from the input unit while in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or when a set time has elapsed from the start of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the change from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to the sleep mode felled,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모바일기기로부터 명령을 입력받아 상기 슬립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부터 상기 세척모드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up washer,
Receives a command from the mobile device and changes from either the sleep mode or the standby mode to the washing mode,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세척모드에서, 입력되는 명령에 따라 상온의 물을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급속세척모드 또는 상기 저수조로부터 공급되는 온수를 이용하여 컵을 세척하는 일반세척모드
를 진행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5,
The cup washer,
In the washing mode, a quick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is washed using room temperature water according to an input command, or a normal washing mode in which the cup is washed using hot water supplied from the water tank.
To proceed,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급속세척모드 진행을 입력받은 경우에 즉시 세척을 진행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6,
The cup washer,
When the rapid washing mode is entered, washing is performed immediately.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일반세척모드 진행을 입력받은 경우,
현재 상기 대기모드에 있는 경우에 즉시 컵의 세척을 진행하고,
현재 상기 준비모드에 있는 경우에 상기 저수조에 저장되는 물이 설정된 온도에 도달한 이후에 컵의 세척을 진행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In clause 7,
The cup washer,
If you receive input to proceed with normal washing mode,
If it is currently in the standby mode, immediately proceed with cleaning the cup,
When currently in the preparation mode, the cup is washed after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reaches the set temperature.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사용모드에서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입력받고, 복수의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복수의 예약에 대하여 순서대로 나열하고,
복수의 예약 각각에 대하여 세척순서가 도래하면 세척을 예약한 각각의 사용자에게 알림신호를 전송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cup washer,
In the use mode, a reservation for cup washing is input from the user, and a plurality of reservations input from a plurality of users are listed in order,
When the washing order arrives for each of a plurality of reservations, a notification signal is sent to each user who has made a washing reservation.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가 상기 슬립모드에 있는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 예약을 받는 경우,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슬립모드에서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의 온도에 따라 상기 준비모드 또는 상기 대기모드 중 어느 하나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9,
When a reservation is received from a user while the cup washer is in the sleep mode, the cup washer changes from the sleep mode to either the ready mode or the standby mode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설정된 시간구간에서는 사용자로부터 컵의 세척에 관한 예약을 받지않고 상기 슬립모드를 유지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9,
The cup washer,
Equipped to maintain the sleep mode without receiving a reservation for cleaning the cup from the user in the set time period,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드에서는 상기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부를 개폐하는 도어가 상기 세척부를 폐쇄한 상태에서 잠기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In the washing mode, the door that opens and closes the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is provided to be locked with the washing unit closed.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드는,
상기 컵세척기의 전원이 켜진 후에 상기 컵세척기에 구비되는 세척부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고, 메인서버와 상기 컵세척기를 서로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하는 초기모드; 및
상기 컵세척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설치하거나 업데이트하는 설치모드
를 포함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management mode is,
An initial mode in which water introduced into the washing unit provided in the cup washer is drained to the outside after the cup washer is turned on, and the main server and the cup washer are connected to enable communication with each other; and
Installation mode to install or update a computer program that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cup washer
Including,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모드에서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저수조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는 동작을 진행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3,
In the management mode, the cup washer performs an operation of draining the water stored in the water tank to the outside.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컵세척기는,
드레인에 관한 명령입력이 있는 경우에 드레인 작업 및 상기 설치모드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사용모드로 변경되고,
드레인에 관한 명령입력이 없는 경우에 상기 설치모드의 진행이 종료된 후에 상기 사용모드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4,
The cup washer,
If there is a command input regarding drain, the mode is changed to the use mode after the drain operation and the installation mode are completed,
If there is no command input regarding drain, the installation mode is changed to the use mode after the installation mode is completed.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설정된 시간이 경과하거나, 또는 상기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받은 후에 상기 도어는 잠금이 해제되도록 구비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clause 12,
The door is provided to be unlocked when a set time has elapsed after the washing mode ends or after receiv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Cup washer control metho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세척모드가 종료된 후, 또는 상기 세척모드의 진행을 중단하는 명령을 받은 후에 상기 컵세척기는 세척부에 유입된 물을 외부로 드레인하고,
드레인이 종료된 후에 상기 컵세척기는 상기 준비모드로 변경되는,
컵세척기 제어방법.
According to paragraph 1,
After the washing mode ends or after receiving a command to stop the washing mode, the cup washer drains the water flowing into the washing unit to the outside,
After draining is completed, the cup washer changes to the preparation mode,
Cup washer control method.
KR1020230074416A 2022-09-26 2023-06-09 Control method of cup washer KR202400430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3969 WO2024071779A1 (en) 2022-09-26 2023-09-15 Cup washer control method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31 2022-09-26
KR20220121431 2022-09-2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57A true KR20240043057A (en) 2024-04-02

Family

ID=90714677

Famil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18A KR20240043059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16A KR20240043057A (en) 2022-09-26 2023-06-09 Control method of cup washer
KR1020230074415A KR20240043056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20A KR20240043061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17A KR20240043058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19A KR20240043060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83295A KR20240043065A (en) 2022-09-26 2023-06-28 Cup washer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en) 2022-09-26 2023-06-30 Cup washer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18A KR20240043059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Family Applications After (6)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4415A KR20240043056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20A KR20240043061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17A KR20240043058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74419A KR20240043060A (en) 2022-09-26 2023-06-09 Cup washer
KR1020230083295A KR20240043065A (en) 2022-09-26 2023-06-28 Cup washer
KR1020230084952A KR20240043067A (en) 2022-09-26 2023-06-30 Cup washe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8) KR20240043059A (e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3065A (en) 2024-04-02
KR20240043060A (en) 2024-04-02
KR20240043059A (en) 2024-04-02
KR20240043058A (en) 2024-04-02
KR20240043061A (en) 2024-04-02
KR20240043067A (en) 2024-04-02
KR20240043056A (en) 2024-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354184B1 (en) In-sink located dishwasher
EP2122034B1 (en) Laundry device
US7681582B2 (en) Multiple spray arm dishwashing apparatus and method for assembling same
US9265398B2 (en) Dishwasher with separate sump for concentrated fluid supply
EP2358253B1 (en) Dishwasher and a water tank adapted for a dishwasher
US20120138106A1 (en) Dishwasher with single valve to fill multiple compartments
KR20200049702A (en) Sink with integrated dishwasher function
KR101159039B1 (en) Dish washer
KR20200142136A (en) Ultrasonic dishwasher
US2691986A (en) Dishwashing machine
US20090126766A1 (en) Dish washer and steam providing unit for the same
KR20240043057A (en) Control method of cup washer
KR100390806B1 (en) Automatic washing-machine for table dishes
WO2021259368A1 (en) Dishwasher with multi-level dishwasher rack
WO2024071779A1 (en) Cup washer control method
JP7367663B2 (en) bathroom system
CN211609563U (en) Liftable air-out device of adjusting
US11122960B2 (en) Dishwashing appliance having an air-drying dehumidification assembly
CN201987519U (en) Electric washing basin for domestic kitchen
CN210749087U (en) Dish washing machine
KR20230075025A (en) Animal bathing and drying system
JP3838832B2 (en) Water heater
KR20060003841A (en) Hand cleaner
KR101274562B1 (en) Washer for vegetables and dish
KR20040107817A (en) A auto handwasher using compressed ai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