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767A -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 Google Patents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767A
KR20240042767A KR1020220121451A KR20220121451A KR20240042767A KR 20240042767 A KR20240042767 A KR 20240042767A KR 1020220121451 A KR1020220121451 A KR 1020220121451A KR 20220121451 A KR20220121451 A KR 20220121451A KR 20240042767 A KR20240042767 A KR 202400427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fid tag
wireless location
location management
rfid
carrier wa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4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남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펄스테크롤리지
Priority to KR1020220121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767A/en
Priority to PCT/KR2022/020476 priority patent/WO2024071525A1/en
Publication of KR202400427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76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3Interaction with page-structured environments, e.g. book metapho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 G06K19/07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 G06K19/0723Record carriers with conductive marks, printed circuits or semiconductor circuit elements, e.g. credit or identity cards also with resonating or responding marks without active components with integrated circuit chips the record carrier comprising an arrangement for non-contact communication, e.g. wireless communication circuits on transponder cards, non-contact smart cards or RFI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06Q10/063Operations research, analysis or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arketing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Finan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관리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이 배열된 수납 장치와,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복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를 포함한다.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복수의 RFID 안테나와, 복수의 RFID 안테나로부터 리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로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and is intended to manage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devic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which items with RFID tags are stored, and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Includes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RFID antennas,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a signal strength of a carrier wav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n RFID tag attached to an article read from the plurality of RFID antennas. It includes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stored items.

Description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본 발명은 위치 관리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관리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location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that wirelessly manages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It's about.

일반적으로 전자태그라 함은 자동인식 수단인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를 포함하는 RFID 태그로서, 기록된 정보를 초단파나 장파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 RFID 태그로부터 무선으로 전송된 정보는 RFID 리더기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된다. RFID 리더기는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정보를 인식하고 분석하여, RFID 태그가 장착된 물품 등의 고유정보를 취득할 수 있다.In general, an electronic tag is an RFID tag that includes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an automatic recognition means, and recorded information can be transmitted wirelessly using ultra-short waves or long waves. Information transmitted wirelessly from the RFID tag is received through the antenna of the RFID reader. An RFID reader can recognize and analyze information received from an RFID tag and obtain unique information such as items equipped with an RFID tag.

따라서 RFID 리더기는 RFID 태그에 의해 비접촉 방식에 의한 정보를 리딩(독출)할 뿐만 아니라 기록함으로써, 부착된 물품 뿐만 아니라, 동물, 사람 등의 객체에 대한 인식, 추적 및 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Therefore, the RFID reader not only reads but also records information in a non-contact manner using the RFID tag, enabling recognition, tracking, and management of not only attached items but also objects such as animals and people.

예컨대 물류 창고에서는 관리자가 창고에 적재된 물품들을 원활하게 물류 관리를 수행할 수 있도록 RFID 태그가 많이 이용되고 있다. 창고에 적재되는 물품들에는 각각 RFID 태그가 부착되어 있고, 관리자는 RFID 리더기를 이용하여 창고에 적재된 물품들에 물류 관리를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For example, in logistics warehouses, RFID tags are widely used so that managers can smoothly manage the logistics of goods loaded in the warehouse. Each item loaded into the warehouse has an RFID tag attached, and managers can smoothly manage logistics of the items loaded into the warehouse using an RFID reader.

하지만 기존의 RFID 태그를 이용한 물품 관리는 물류 창고로 들어오거나 나가는 것은 관리할 수 있지만, 실제 물류 창고 내에서 해당 물품이 어디에 적재되거나 수납되어 있는 지의 여부는 관리하는 데는 한계가 있다.However, although product management using existing RFID tags can manage what enters or leaves a logistics warehouse, there are limitations in managing where the products are actually loaded or stored within the warehouse.

물론 물류 창고에 한 종류의 물품만 관리한다면 크게 문제가 되지 않았지만, 여러 종류의 물품을 관리해야 하는 경우에는, 관리자가 별도로 물품의 종류의 따라서 물품의 분류하여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Of course, it was not a big problem if only one type of product was managed in the warehouse, but if several types of products had to be managed, it was inconvenient for the manager to separately classify and manage the products according to the type of product.

같은 종류의 물품이라고 하더라도 한 곳에 여러 개가 적재되어 있는 경우, 여러 개의 물품 중에서 원하는 물품을 신속하게 찾기가 쉽지 않은 실정이다.Even if multiple products of the same type are stored in one place, it is not easy to quickly find the desired product among the multiple products.

등록특허공보 제10-0992940호 (2010.11.02.등록)Registered Patent Publication No. 10-0992940 (registered on November 2, 2010)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관리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Therefor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that manages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수납 공간별로 물품의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하는 데 있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that can perform inventory management of items for each storage space in real time.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이 배열된 수납 장치; 및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을 제공한다.In order to achieve the above object,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storage devic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which items with RFID tags are stored; and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상기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복수의 RFID 안테나; 및 상기 복수의 RFID 안테나로부터 리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로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RFID antennas,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the items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and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read from the plurality of RFID antennas.

상기 수납 장치는 M×N 행렬(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는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열된 수납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The storage device may be provided with storage spaces arranged in an M×N matrix (at least one of M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대응되는 M×N 행렬의 가상 수납 공간을 갖는 물품 관리 테이블에 파악한 물품을 상기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isplay the identified items in an item management table having an M×N matrix of virtual storage spa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상기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서 상기 물품 관리 테이블을 표시하는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item management table according to control by the controller.

상기 무선 위치 관라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a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물품 관리 테이블의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된 물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의 상세 정보를 상기 물품 관리 테이블 위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When an item displayed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of the item management tab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tem in a pop-up window on the item management table.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의 인식 여부와,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한 경우 반송파를 수신하여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수납 공간에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by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receives the carrier wave and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and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t can be determined that an item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s the carrier wav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intensity is maximum.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 중 최대값 보다 낮은 반송파가 수신된 수납 공간에는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determine that an article attached to an RFID tag transmitting the carrier wave is not stored in a storage space where a carrier wave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among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s of the carrier wave is receiv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주기적으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output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an RFID tag to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주기적으로 복수회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may periodically output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an RFID tag multiple times to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이상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수납 공간에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transmits the carrier wave to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is maximum. It can be judged that the item attached has been stored.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미만으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거나,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 보다 낮은 반송파가 수신된 수납 공간에는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or recogniz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carrier wave received is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It may be determined that the item attached to the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has not been received.

그리고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 중 하나는 상기 수납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Additionally, one of the at least one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may be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output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an RFID tag.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장치의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들에 각각 설치된 RFID 안테나로부터 리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로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실시간으로 파악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n manage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storage spaces of a storage device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In other word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n determine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real time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item read from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s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You can.

이로 인해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관리자가 수납 장치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수납 공간별로 물품의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an perform inventory management of items for each storage space in real time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directly visit the storage device.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위치 관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도 3은 도 1의 수납 장치의 수납 공간에 설치된 RFID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
도 5는 도 4의 파악하는 단계의 제1 예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6은 도 5의 파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7은 도 4의 파악하는 단계의 제2 예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도 8은 도 7의 파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
도 9는 물품 관리 테이블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물품 관리 테이블 위에 선택된 물품의 상세 정보가 팝업창으로 표시된 상태를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
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of FIG. 1.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1.
Figure 4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detailed flow chart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of the grasping step of Figure 4.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grasping step of Figure 5.
Figure 7 is a detailed flow chart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of the grasping step of Figure 4.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grasping step of Figure 7.
Figure 9 is an example screen showing an article management table.
FIG. 10 is an example screen showing a state in which detailed information on a selected product is displayed in a pop-up window on the product management table of FIG. 9 .

하기의 설명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이해하는데 필요한 부분만이 설명되며, 그 이외 부분의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생략될 것이라는 것을 유의하여야 한다.It should be noted that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nly the part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and descriptions of other parts will be omitted without departing from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으로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Terms or words used in the specification and claims described below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ed to their ordinary or dictionary meanings, and the inventor should use the concept of terminology appropriately to explain his/her invention in the best way. It must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concept consistent with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the principle that it can be defined clearly. Therefore,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and the configurations shown in the drawings are only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represent the entir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refore various equivalents can be substituted for them at the time of filing the present applic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may be variations.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을 보여주는 블록도이다.Figure 1 is a block diagram showing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은 수납 장치에 마련된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이다.Referring to FIG. 1,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s a system that wirelessly manages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storage spaces provided in a storage device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수납 장치는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을 포함한다. 수납 공간들은 M×N 행렬(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는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열될 수 있다. 수납 공간들에 각각 표시된 MN에 있어서, "M"은 행을 나타내고, "N"은 열을 나타낸다. 즉 MN은 M행N렬의 수납 공간을 나타낸다. 예컨대 "11"은 1행1렬의 수납 공간을 나타낸다.The storage device includes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which items to which RFID tags are attached are stored. Storage spaces may be arranged in an M×N matrix (at least one of M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In the MN displayed in each of the storage spaces, “M” represents a row and “N” represents a column. In other words, MN represents the storage space of M rows and N columns. For example, “11” represents storage space in one row and one column.

이러한 수납 장치는 M×N 행렬로 배열된 수납 공간들이 사용되는 물품 관리 업체에서 사용될 수 있다. 예컨대 수납 장치는 물류창고, 사물함, 와인바, 문구점, 서점, 한약방 등에 활용될 수 있으며,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This storage device can be used in an item management company where storage spaces arranged in an M×N matrix are used. For example, storage devices can be used in warehouses, lockers, wine bars, stationery stores, bookstores, herbal medicine stores, etc., but are not limited to these.

수납 장치는 격자로 형태의 수납 공간들을 구비하는 예를 개시하였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수납 공간들은 다양항 형상 및 배열을 가질 수 있다. Although the storage device is disclosed as an example of having storage spaces in the form of a grid, it is not limited to this. Storage spaces may have various shapes and arrangements.

그리고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함으로써, 물품이 어떤 위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고, 수납 공간별로 어떤 물품이 몇 개가 수납되어 있는 지를 파악한다.And by reading RFID tags attached to items stored in storage space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where the item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nd how many items are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장치의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해당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관리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manage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of the storage device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이로 인해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관리자가 수납 장치에 직접 방문하지 않더라도, 수납 공간별로 물품의 재고관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할 수 있다.For this reaso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perform inventory management of items for each storage space in real time even if the manager does not directly visit the storage device.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도 1의 무선 위치 관리 장치를 보여주는 블록도이다. 그리고 도 3은 도 1의 수납 장치의 수납 공간에 설치된 RFID 안테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3 as follows. FIG. 2 is a block diagram showing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of FIG. 1. And FIG. 3 is a diagram showing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the storage device of FIG. 1.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복수의 RFID 안테나와 제어부를 포함한다. 복수의 RFID 안테나는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그리고 제어부는 복수의 RFID 안테나로부터 리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로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includes a plurality of RFID antennas and a control unit. At least one RFID antenna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addition,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item read from the plurality of RFID antennas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그 외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입력부, 저장부 및 표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may further include an input unit, a storage unit, and a display unit.

RFID 안테나는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된다. RFID 안테나는 M×N 행렬의 수납 공간들에 대응되게 m×n 행렬(M=m, N=n)에 대응되는 개수가 수납 공간들에 각각 설치된다.At least one RFID antenna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number of RFID antennas corresponding to an m×n matrix (M=m, N=n) i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s, respectively,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s of the M×N matrix.

RFID 안테나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공간에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RFID 안테나는 수납 공간의 내측면에서 안쪽으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한다. 예컨대 RFID 안테나는 수납 공간에, 도 3(a)와 같이 하나가 설치되거나, 도 3(b)와 같이 2개가 설치될 수 있다. 수납 공간에 설치되는 RFID 안테나 중 하나는 수납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한다.As shown in FIG. 3, at least one RFID antenna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The RFID antenna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inward from the inner side of the storage space. For example, one RFID antenna may be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as shown in FIG. 3(a), or two antennas may be installed as shown in FIG. 3(b). One of the RFID antennas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the RFID tag.

입력부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의 조작을 위한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입력받고, 입력받은 사용자의 선택 신호를 제어부로 전달한다. 예컨대 사용자는 입력부를 통한 선택 신호로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확인할 수 있는 물품 관리 테이블을 호출하고, 호출한 물품 관리 테이블에서 특정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호출할 수 있다. 이러한 입력부로는 조그 다이얼, 버튼, 키패드, 터치패드와 같은 포인팅 장치, 터치스크린 등의 입력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The input unit receives the user's selection signal for operating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transmits the input user's selection signal to the control unit. For example, the user can call an item management table that can check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a storage space with a selection signal through the input unit, and call detailed information about items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space from the called item management table. You can. Input devices such as a jog dial, a button, a keypad, a pointing device such as a touch pad,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as the input unit.

저장부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의 동작 제어시 필요한 프로그램과, 그 프로그램 수행 중에 발생되는 정보를 저장한다. 저장부는 수납 공간들에 수납된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파악하는 실행프로그램을 저장한다. 저장부는 수납 공간들에 수납된 물품의 위치와 수량을 파악하여 기록하는 물품 관리 테이블을 저장한다.The storage unit stores a program necessary for controlling the operation of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information generated during execution of the program. The storage unit stores an execution program that determines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The storage unit stores an article management table that identifies and records the location and quantity of articles stored in storage spaces.

물품 관리 테이블은 수납 장치의 수납 공간들에 각각 대응되는 M×N 행렬의 가상 수납 공간을 갖는다. 물품 관리 테이블은 파악한 물품을 수납 공간에 대응되는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한다.The item management table has an M×N matrix of virtual storage spaces, each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s of the storage device. The item management table displays the identified items in a virtual storage space corresponding to the storage space.

표시부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에서 실행되는 각종 기능 메뉴를 비롯하여 저장부에 저장된 정보를 표시한다. 표시부는 제어부의 제어에 따라 물품 관리 테이블을 표시하고,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된 물품에 대한 상세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이때 표시부로는 LCD(Liquid Crystal Display)나 터치스크린이 사용될 수 있다. 터치스크린은 표시 장치와 입력 장치로서의 역할을 동시에 수행한다.The display unit displays information stored in the storage unit, including various function menus executed i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The display unit may display an item management tabl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and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about items displayed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At this time, an LCD (Liquid Crystal Display) or a touch screen may be used as the display unit. The touch screen serves as both a display device and an input device.

그리고 제어부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의 전반적인 제어 동작을 수행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이다. 제어부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수납 공간들에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고, 파악한 물품의 수량과 위치에 대한 정보를 물품 관리 테이블로 제공할 수 있다.And the control unit is a microprocessor that performs overall control operations of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and provide information on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the identified items to the item management table.

제어부는 다음과 같이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can determine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s follows.

먼저 제어부는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미인식한 수납 공간에는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First,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item is not stored in a storage space w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not recognized.

수납 장치에는 수납 공간들이 서로 인접하게 설치되기 때문에, 특정 수납 공간에 물품이 수납되더라도, 제어부는 특정 수납 공간의 근방에 위치하는 수납 공간에 설치된 RFID 안테나가 해당 물품의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이 경우, 물품은 실질적으로 특정 수납 공간에 수납되었지만, 제어부는 해당 물품이 복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것으로 오인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Since storage spaces are installed adjacent to each other in a storage device, even if an item is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space, the control unit can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of the item by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located near the specific storage space. You can. In this case, although the article is actually stored in a specific storage space, a problem may occur where the control unit mistakenly believes that the article is stored in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한편 RFID 태그의 RF 리딩 신호에 대해서 RFID 태그에서 출력되는 반송파의 신호 세기는 수납 공간별로 차이가 발생한다. 즉 반송파의 신호 세기는 RFID 태그와 RFID 안테나와의 거리에 관련되기 때문에, RFID 태그가 수납된 수납 공간에 설치된 RFID 안테나에 수신되는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을 갖게 된다.Meanwhile, with respect to the RF reading signal of an RFID tag,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output from the RFID tag varies depending on the storage space. That is, becaus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related to the distance between the RFID tag and the RFID antenna,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by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RFID tag is stored has the maximum valu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RFID 태그의 식별정보의 인식과 함께 해당 RFID 태그로부터 수신되는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 판단함으로써, 해당 물품이 어떤 수납 공간에 수납된 것인지를 정확히 특정할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can accurately specify in which storage space the corresponding article is stored by recogniz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nd comparing and determin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corresponding RFID tag.

제어부는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의 인식 여부와,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한 경우 반송파를 수신하여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제어부는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수납 공간에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by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storage space,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it receives the carrier wave and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item attached to an RFID tag transmitting a carrier wave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where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maximum.

제어부는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 중 최대값 보다 낮은 반송파가 수신된 수납 공간에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an item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not stored in a storage space where a carrier wave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among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s of the carrier wave is received.

한편 수납 공간에 복수의 물품이 수납되는 경우에 있어서, 해당 수납 공간에 설치된 RFID 안테나로 복수의 물품의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리딩하는 과정에서 일부 물품의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리딩하지 못하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복수회 리딩하는 과정에서 리딩하는 회차마다 물품의 RFID 태그의 식별정보가 다르게 리딩될 수 있다. 예컨대 수납 공간에 물품 4개가 수납되고, 각각의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가 A, B, C, D라고 할 때, 1차 리딩 시 A, B, C의 식별정보가 리딩되고, 2차 리딩 시 A, C의 식별정보가 리딩된 경우, 제어부는 수납 공간에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없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Meanwhile, in the case where a plurality of items are stored in a storage space, there is a problem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s of some items cannot be read in the process of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s of the plurality of items with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It can happen. Additionally, in the process of reading multiple tim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of the product may be read differently at each reading time. For example, if 4 items are stored in a storage space and the RFID tags attached to each item are A, B, C, and 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 and C is read during the first reading, and during the second read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 and C is read.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and C is read, the control unit may mistakenly believe that there is no item with the RFID tag of D attached to the storage space.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는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주기적으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여 수납 공간들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다. 한 주기에 출력되는 RF 리딩 신호의 개수는 RFID 태그와 RFID 안테나의 특성에 따라서 적절한 개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컨대 한 주기에 출력되는 RF 리딩 신호의 개수는 10회 이상일 수 있다.Therefore, the control unit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eriodically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an RFID tag using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storage space to determine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The number of RF reading signals output in one cycle can be determined as an appropriate number depending on the characteristics of the RFID tag and RFID antenna. For example, the number of RF reading signals output in one cycle may be 10 or more.

제어부는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주기적으로 복수회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한다. 제어부는 수납 공간별로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이상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수납 공간에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control unit periodically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to read the RFID tag multiple times using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storage space.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for each storage space, and stores items with an RFID tag that transmits a carrier wave in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is maximum. It is judged that it has been done.

그리고 제어부는 수납 공간별로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미만으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거나,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 보다 낮은 반송파가 수신된 수납 공간에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for each storage space, or transmits the carrier wave to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is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 with the RFID tag attached has not been received.

이와 같이 제어부는 수납 공간별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의 인식 횟수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누적한 후 서로 비교함으로써, 수납 공간 별로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누적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할 때, 제어부는 평균값을 활용할 수 있다.In this way, the control unit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by accumulating the number of recognitions o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for each storage space and then comparing them. When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s of accumulated carrier waves, the control unit can use the average value.

제어부는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대응되는 M×N 행렬의 가상 수납 공간을 갖는 물품 관리 테이블에 파악한 물품을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한다. 제어부는 물품 관리 테이블을 표시부를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는 입력부를 통하여 표시부에 표시된 물품 관리 테이블의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된 물품이 선택되면, 선택된 물품의 상세 정보를 물품 관리 테이블 위에 팝업창으로 표시할 수 있다. 물품의 상세 정보는 물품의 이름, 제조일자, 수납일자 등을 포함할 수 있다.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dentified items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on an item management table having an M×N matrix of virtual storage spa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control unit can output the product management table through the display unit. When an item displayed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of the item management tab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the control unit may display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tem in a pop-up window on the item management table.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product may include the name of the product, date of manufacture, date of receipt, etc.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방법][Wireless lo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RFID tags]

이와 같은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을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방법에 대해서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8 as follows.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방법에 따른 흐름도이다.Figure 4 is a flowchart of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n RFID tag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방법은, 무선 위치 관리 장치가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복수의 RFID 안테나로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주기적으로 출력하는 단계(S10)와, 무선 위치 관리 장치가 복수의 RFID 안테나로부터 리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로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단계(S2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4, i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method using an RFID tag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ttaches to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with a plurality of RFID antennas,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 step (S10) of periodically outputting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an RFID tag, and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ads a plurality of signals using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article read from the plurality of RFID antennas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t includes a step (S20) of determining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each item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20단계에 따른 파악하는 단계는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5는 도 4의 파악하는 단계의 제1 예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5의 파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The identifying step according to step S20 can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5 and 6. Here, FIG. 5 is a detailed flowchart according to a first example of the grasping step of FIG. 4. And Figure 6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grasping step of Figure 5.

S21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RFID 안테나들로부터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21,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from the RFID antennas. That i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product.

S21단계의 판단 결과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S23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해당 RFID 태그로부터 반송파를 수신한다.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ceives a carrier wave from the corresponding RFID tag in step S23.

다음으로 S25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별로 반송판의 신호 세기를 각각 산출한다.Next, in step S25,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carrier wave. That i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transfer plate for each storage space for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다음으로 S27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별로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다.Next, in step S27,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calculated for each storage space.

S27단계의 비교 결과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 미만인 수납 공간에 대해서는, S29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27, for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less than the maximum value,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in step S29 that the article attached to the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not stored.

그리고 S27단계의 비교 결과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인 수납 공간에 대해서는, S31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And, for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the maximum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27,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in step S31 that an article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stored.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별로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최대인 수납 공간에 해당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 반송파를 수신한 수납 공간에는 해당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 물론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미인식한 수납 공간에도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calculated for each storage space and determines that the item with the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stored in the maximum storage space, and in other storage spaces that received the carrier wave,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 has not been received. Of course,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that the item is not stored even in a storage space wher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not recognized.

도 6의 수납 장치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은 4×9 행렬의 수납 공간을 갖는 수납 장치를 예시하였다.The description is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device of FIG. 6. Figure 6 illustrates a storage device having a storage space in a 4×9 matrix.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장치의 수납 공간들 중에서 '35'의 수납 공간에 A의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을 수납한 경우에 대해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35'의 수납 공간에 수납된 물품의 A의 식별 정보를 인식한다. 또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35'의 수납 공간을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 공간, 즉'12, 24, 25, 26, 28, 34, 36, 44, 45, 46'의 수납 공간에서도 A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As shown in FIG. 6, a case where an item with an RFID tag of A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5' among the storage spaces of the storage device is as follow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item A stored in the storage space of '35'. In additio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lso detects A in other storage spaces located nearby around the storage space '35', namely storage spaces '12, 24, 25, 26, 28, 34, 36, 44, 45, and 46'. identification information can be recognized.

먼저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의 수납 공간을 제외한 수납 공간들에서는 A의 식별 정보를 인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해당 수납 공간에는 A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First, because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id not recognize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in storage spaces other than those of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 with A's RFID tag attached has not been received.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A의 식별 정보를 인식한 '12, 24, 25, 26, 28, 34, 35, 36, 44, 45, 46'의 수납 공간에 설치된 RFID 안테나로부터 A에서 출력되는 반송파를 수신하여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carrier wave output from A from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of '12, 24, 25, 26, 28, 34, 35, 36, 44, 45, 46', which recognizes A's identification information. This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12, 24, 25, 26, 28, 34, 35, 36, 44, 45, 46'의 수납 공간별로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다.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35'의 수납 공간에 해당 반송파를 전송한 A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 그리고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그 외 반송파를 수신한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의 수납 공간에는 A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calculated for each storage space of '12, 24, 25, 26, 28, 34, 35, 36, 44, 45, 46'.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that the item with the RFID tag of A, which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at '35'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maximum. In additio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that the items with the RFID tag of A are not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 that received the carrier wave. do.

또는 S20단계에 따른 파악하는 단계는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도 7은 도 4의 파악하는 단계의 제2 예에 따른 상세 흐름도이다. 그리고 도 8은 도 7의 파악하는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예시도이다.Alternatively, the identifying step according to step S20 may be performed as shown in FIGS. 7 and 8. Here, FIG. 7 is a detailed flowchart according to a second example of the grasping step of FIG. 4. And Figure 8 is an example diagram for explaining the grasping step of Figure 7.

S21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RFID 안테나들로부터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In step S21,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to receiv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from the RFID antennas. That i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i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articl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S21단계의 판단 결과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면, S23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해당 RFID 태그로부터 반송파를 수신한다.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as a result of the determination in step S21,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ceives a carrier wave from the corresponding RFID tag in step S23.

다음으로 S25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한 적어도 하나의 수납 공간별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각각 산출한다.Next, in step S25,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received carrier wave. That i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lc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for each storage space in which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다음으로 S26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이상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는 지의 여부를 판단한다.Next, in step S26,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whether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S26단계에서 일정 횟수 미만으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S29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해당 수납 공간에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n step S26,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in step S29 that an item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s a carrier wave is not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S26단계에서 일정 횟수 이상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한 경우, S27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별로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한다. 이때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별로 수납된 것으로 예상되는 RFID 태그별로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누적한 후 평균한 값을 비교 대상값으로 사용한다.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eiv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in step S26,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calculated for each storage space in step S27. At this time,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umulat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calculated for each RFID tag expected to be stored in each storage space and then uses the average value as the comparison target value.

S27단계의 비교 결과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 미만인 수납 공간에 대해서는, S29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27, for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less than the maximum value,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in step S29 that the article attached to the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not stored.

그리고 S27단계의 비교 결과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인 수납 공간에 대해서는, S31단계에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And, for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the maximum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in step S27,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etermines in step S31 that an article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stored.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별로 주기적으로 복수 회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여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를 수신한 후,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일정 횟수 이상 인식하고, 일정 회수 이상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최대인 수납 공간에 해당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 반송파를 수신한 수납 공간에는 해당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In other word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periodically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multiple times for each storage space, receiv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nd carrier wave of the RFID tag,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 certain number of times, and RFID tags recognized more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By comparing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

도 8의 수납 장치(10)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8은 4×9 행렬의 수납 공간(13)을 갖는 수납 장치(10)를 예시하였다.The description is as follows with reference to the storage device 10 of FIG. 8. Figure 8 illustrates a storage device 10 having a 4×9 matrix of storage spaces 13.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납 장치(10)의 수납 공간(13)들 중에서 '35'의 수납 공간에 A, B, C, D의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을 수납한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주기적으로 복수 회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여 수납 공간(13)에 수납된 물품의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한다.As shown in FIG. 8, a case where items with RFID tags A, B, C, and D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35' among the storage spaces 13 of the storage device 10 is explained as follows. Same a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periodically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multiple times to receive and recogniz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of the item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35'의 수납 공간(13)에 수납된 물품의 A 내지 D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an recognize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items A to D of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35'.

또한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35'의 수납 공간(13)을 중심으로 근방에 위치하는 다른 수납 공간(13), 즉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의 수납 공간(13)에서도 A 내지 D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enters around the storage space (13) of '35' and other storage spaces (13) located nearby, namely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 Even in the storage space 13 of ',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among A to D can be recognized.

한편 1회의 RF 리딩 신호를 통하여 '35'의 수납 공간(13)에 수납된 물품들에 부착된 A 내지 D의 식별 정보를 모두 수신하여 인식하면 좋겠지만, '35'의 수납 공간(13)에 수납된 물품의 위치에 따라서 인식되는 RFID 태그에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1차 리딩 시 A, B, C의 식별정보가 리딩되고, 2차 리딩 시 A, C의 식별정보가 리딩된 경우,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수납 공간(13)에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없는 것으로 오인할 수 있다.Meanwhile, it would be good to receive and recognize all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o D attached to the item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35' through a single RF reading signal, but the storage space 13 of '35' There may be differences in the recognized RFID tags depending on the location of the stored item. For example, if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B, and C is read during the first reading, and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and C is read during the second reading,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stores the RFID tag of D in the storage space 13. It may be misunderstood that the product does not exist.

하지만 본 실시예에 따른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주기적으로 10회 이상의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여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수신하여 인식하기 때문에, 상기와 같이 수납 공간(13)에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없는 것으로 오인하는 문제를 억제할 수 있다.However, since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periodically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10 or more times to receive and recognize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ttached to the article, the RFID of D is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as described above. This can suppress the problem of misperception that there is no item with a tag attached.

먼저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의 수납 공간(13)을 제외한 수납 공간(13)들은 A 내지 D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도 인식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해당 수납 공간(13)에는 A 내지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First,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stores storage spaces 13 excluding the storage spaces 13 of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 and contains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to D. Since it was not recognized,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s with RFID tags A to D are not stored in the corresponding storage space 13.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A 내지 D 중의 적어도 하나의 식별 정보는 인식하였지만, 일정 횟수 미만 인식한 '12 및 28'의 수납 공간(13)에도 A 내지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cognized at least one identification information from A to D, but determined that items with RFID tags A to D were not stored in the storage spaces 13 of '12 and 28', which were recognized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do.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A 내지 D의 식별 정보를 인식한 '24, 25, 26, 34, 35, 36, 44, 45, 46'의 수납 공간(13)으로 A 내지 D로부터 출력되는 반송파를 수신하여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receives the carrier waves output from A to D into the storage space 13 of '24, 25, 26, 34, 35, 36, 44, 45, 46', which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A to D. Calculat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24, 25, 26, 34, 35, 36, 44, 45, 46'의 수납 공간(13)별로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비교하여 최대인 '35'의 수납 공간(13)에 해당 반송파를 전송한 A 내지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하고, 그 외 반송파를 수신한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의 수납 공간(13)에는 A 내지 D의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한다.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compares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calculated for each storage space of '24, 25, 26, 34, 35, 36, 44, 45, 46' (13) and determines the maximum storage space of '35' (13). ), it is determined that items with RFID tags from A to D that transmitted the corresponding carrier wave are stored in it, and other items that received the carrier wave are '12, 24, 25, 26, 28, 34, 36, 44, 45, 46. It is determined that the items with RFID tags A to D are not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

도 9 및 도 10은 물품 관리 테이블(50)을 보여주는 화면 예시도이다.9 and 10 are screen examples showing the product management table 50.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도 8의 수납 장치(10)에서 파악한 A 내지 D의 물품이 '35'의 수납 공간(13)에 수납된 정보를 4×9 행렬의 수납 공간(13)에 대응되는 4×9 행렬의 가상 수납 공간(53)을 구비하는 물품 관리 테이블(50)에 표시할 수 있다. 즉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35'의 가상 수납 공간(53)에 A 내지 D의 물품을 표시한다.As shown in FIG. 9,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stores the information that the items A to D identified in the storage device 10 of FIG. 8 are stored in the storage space 13 of '35' into a storage space in a 4×9 matrix. It can be displayed on the article management table 50 having a virtual storage space 53 in a 4×9 matrix corresponding to (13). That i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displays items A to D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53 of '35'.

물품 관리 테이블(50)에 있어서, '35'의 가상 수납 공간(53)에 표시된 A의 물품을 선택하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선택된 A의 물품의 상세 정보를 물품 관리 테이블(50) 위에 팝업창(55)으로 표시할 수 있다. A의 물품의 상세 정보는 물품의 이름, 제조일자 및 수납일자를 포함한다.In the item management table 50, when an item A displayed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53 of '35' is selected, as shown in FIG. 10,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provides detailed information on the selected item A. It can be displayed as a pop-up window (55) on the management table (50). Detailed information on A's goods includes the name of the goods, date of manufacture, and date of receipt.

한편,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실시예들은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에 지나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여기에 개시된 실시예들 이외에도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바탕을 둔 다른 변형예들이 실시 가능하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Meanwhile,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specification and drawings are merely provided as specific examples to aid understanding,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obvious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in addition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herein, other modifications based on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10 : 수납 장치
13 : 수납 공간
20 : 무선 위치 관리 장치
21 : RFID 안테나
23 : 입력부
25 : 저장부
27 : 표시부
29 : 제어부
30 : 물품
40 : RFID 태그
100 :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10: storage device
13: storage space
20: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21: RFID antenna
23: input unit
25: storage unit
27: display unit
29: control unit
30: Goods
40: RFID tag
100: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Claims (10)

RFID 태그가 부착된 물품이 수납되는 복수의 수납 공간이 배열된 수납 장치; 및
상기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를 이용하여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무선 위치 관리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적어도 하나가 설치되는 복수의 RFID 안테나; 및
상기 복수의 RFID 안테나로부터 리딩한 물품에 부착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와 반송파의 신호 세기로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수납되는 물품의 수량과 위치를 파악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A storage device arranged with a plurality of storage spaces in which items with RFID tags are stored; and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that determines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RFID tags attached to the items,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 plurality of RFID antennas, at least one of which is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a control unit that determines the quantity and location of items stor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using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RFID tags attached to items read from the plurality of RFID antennas and signal strength of a carrier wave;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장치는 M×N 행렬(M 및 N 중에 적어도 하나는 2 이상의 자연수)로 배열된 수납 공간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storage device is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characterized in that the storage space is arranged in an M×N matrix (at least one of M and N is a natural number of 2 or mor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에 각각 대응되는 M×N 행렬의 가상 수납 공간을 갖는 물품 관리 테이블에 파악한 물품을 상기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2,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wherein the control unit displays the identified items on an item management table having an M×N matrix of virtual storage spaces corresponding to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상기 제어부에 제어에 따라서 상기 물품 관리 테이블을 표시하는 표시부;
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3, wherei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 display unit that displays the product management table according to control by the control unit;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further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위치 관리 장치는,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어부로 전달하는 입력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입력부를 통하여 상기 표시부에 표시된 상기 물품 관리 테이블의 가상 수납 공간에 표시된 물품이 선택되면, 상기 선택된 물품의 상세 정보를 상기 물품 관리 테이블 위에 팝업창으로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4, wherein the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It further includes an input unit that receives an input signal from the user and transmits it to the control unit,
The control unit,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using an RFID tag, characterized in that when an item displayed in the virtual storage space of the item management table displayed on the display unit is selected through the input unit, detailed information about the selected item is displayed in a pop-up window on the item management table.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의 인식 여부와,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한 경우 반송파를 수신하여 반송파의 신호 세기를 산출하고,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수납 공간에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Whether or not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by the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when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the carrier wave is received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calculated, and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lculated carrier wave is the maximum.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article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s the carrier wave is stored in a storage sp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산출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 중 최대값 보다 낮은 반송파가 수신된 수납 공간에는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control unit,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article attached to an RFID tag that transmitted the carrier wave is not stored in a storage space where a carrier wave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of the calculated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is received.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주기적으로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7, wherein the control unit,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characterized in that an RF reading signal for periodically reading an RFID tag is output through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설치된 RFID 안테나로 주기적으로 복수회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이상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고,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인 수납 공간에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수납된 것으로 판단하고,
상기 복수의 수납 공간별로 한 주기 내에서 일정 횟수 미만으로 RFID 태그의 식별정보를 인식하거나, 인식한 RFID 태그로부터 수신한 반송파의 신호 세기가 최대값 보다 낮은 반송파가 수신된 수납 공간에는 상기 반송파를 전송한 RFID 태그를 부착한 물품이 미수납된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wherein the control unit:
Outputting an RF reading signal to periodically read an RFID tag multiple times using an RFID antenna installed in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 article attached with an RFID tag that recogniz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and transmits the carrier wave to the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is maximum. It is judged that this has been accepted,
For each of the plurality of storage spaces, the identification information of the RFID tag is recognized less than a certain number of times within one cycle, or the carrier wave is transmitted to a storage space where the signal strength of the carrier wave received from the recognized RFID tag is lower than the maximum value.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characterized in that it is determined that an item with an RFID tag attached is not stored.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납 공간에 설치된 적어도 하나의 RFID 안테나 중 하나는 상기 수납 공간의 상부에 설치되어 RFID 태그를 리딩하기 위한 RF 리딩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ID 태그를 이용한 무선 위치 관리 시스템.
According to paragraph 1,
A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an RFID tag, wherein one of the at least one RFID antenna installed in the storage space is installed at the top of the storage space and outputs an RF reading signal for reading the RFID tag.
KR1020220121451A 2022-09-26 2022-09-26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KR20240042767A (en)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51A KR20240042767A (en) 2022-09-26 2022-09-26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PCT/KR2022/020476 WO2024071525A1 (en) 2022-09-26 2022-12-15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51A KR20240042767A (en) 2022-09-26 2022-09-26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767A true KR20240042767A (en) 2024-04-02

Family

ID=904783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451A KR20240042767A (en) 2022-09-26 2022-09-26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2767A (en)
WO (1) WO2024071525A1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40B1 (en) 2008-08-20 2010-1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Using RFID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271724B2 (en) * 2005-03-28 2007-09-18 Accenture Global Services Gmbh Interfering smart shelf
KR100834474B1 (en) * 2006-01-18 2008-06-05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Material position management system of ubiqutious environment
KR100810214B1 (en) * 2006-06-08 2008-03-06 삼성전자주식회사 Terminal and method for providing a thing-information using rfid and system therefor
KR20130013536A (en) * 2011-07-28 2013-02-06 (주)바이텍테크놀로지 Freezer for providing of location information of items
JP6319091B2 (en) * 2012-12-04 2018-05-09 日本電気株式会社 Marketing data collection system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2940B1 (en) 2008-08-20 2010-11-08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System and Method for Administration of Physical Distribution Using RFI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71525A1 (en) 2024-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730044B2 (en) Method of assigning and deducing the location of articles detected by multiple RFID antennae
US9842306B2 (en) Apparatus and method of determining a likelihood of task completion from information relating to the reading of RFID tags
CN101789072B (en) Ultrahigh frequency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device and system thereof
CN104504552B (en) A kind of warehousing and storage activities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RFID technique
CA2449301A1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in document management
CN102104660A (en) Mobile phone and method for searching objects with same
US9521518B1 (en) Method, system, and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object location tracking
US9977931B2 (en) Grouping transponders
JP5787822B2 (en) Member transport management system and member transport management method
CN113611027A (en) Warehouse-out detection method, system, equipment and readable storage medium
WO2011114474A1 (en) Assessment device, assessment system, assessment method and computer program
KR20060088481A (en)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system for managing items using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ag and method thereof
JP2010123086A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propriety of ic tag reading, and computer program
KR101274585B1 (en) Position information decision apparatus of rfid tag and the method thereof
KR20240042767A (en)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system using RFID tag
KR20240042768A (en) Wireless location management device and method using RFID tag
CN102508518A (en) Tablet personal computer with multiple radio frequency modules
CN211857529U (en) Express delivery warehouse management system
JP4983199B2 (en) COMMUNICATION METHOD, COMMUNICATION SYSTEM, ACCESS CONTROL DEVICE, AND COMPUTER PROGRAM
CN108665034A (en) Archives based on RFID 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Technology are made an inventory of goods in a warehouse management equipment and method
EP1693788B1 (en) Information label for intelligent shelf in shops
CN207268877U (en) It is a kind of for drinks storage positioning and seek wine system
Maillart et al. Optimizing RFID tag-inventorying algorithms
Singh et al. RFID: A new technology in library management systems
Su Application Analysis of RFID in Supply Chain Manage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