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758A -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 Google Patents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758A
KR20240042758A KR1020220121438A KR20220121438A KR20240042758A KR 20240042758 A KR20240042758 A KR 20240042758A KR 1020220121438 A KR1020220121438 A KR 1020220121438A KR 20220121438 A KR20220121438 A KR 20220121438A KR 20240042758 A KR20240042758 A KR 202400427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aring
self
knee
calf
fix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4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연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예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예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예스코
Priority to KR10202201214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2758A/ko
Publication of KR202400427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758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6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 A61F13/061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feet or legs; Corn-pads; Corn-rings for knees
    • AHUMAN NECESSITIES
    • A41WEARING APPAREL
    • A41DOUTERWEAR; PROTECTIVE GARMENTS; ACCESSORIES
    • A41D13/00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 A41D13/05Professional, industrial or sporting protective garments, e.g. surgeons' gowns or garments protecting against blows or punches protecting only a particular body part
    • A41D13/06Knee or foot
    • A41D13/065Knee protec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16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gea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8Structural association of electric generators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e.g. with turbines
    • H02K7/1807Rotary genera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발전 및 충전을 유도함과 동시에 관절 등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되게 하여 단시간 운동으로 더 많은 운동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종아리착용고정대(10)와, 상기 종아리착용고정대(10) 상부쪽으로 연장되는 무릅착용연장부(11)와, 상기 종아리착용부(1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무릅착용연장부(11)와 연장되는 허벅지착용고정대(12)를 포함하고, 상기 무릅착용연장부(11)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무릅관절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전되는 자가발전수단(20) 및 상기 자가발전수단(2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유도전선(31)으로 연결된 충전수단(30)이 허벅지착용고정대(12) 일측에 구비되도록 이루어진 것이다.

Description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Knee joint brace with self-electricity generation}
본 발명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보행 시 관절운동에 의해서 자가발전이 되도록 개선된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현대생활에서 대다수의 사람들은 공원의 산책로에서 산책을 하거나 등산을 통한 유산소 운동으로 건강을 관리한다. 그리고 이러한 유산소 운동 시 지루함을 달래기 위해 휴대전화 등으로 음악을 듣거나 사진을 찍는 경우가 많다.
그러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스마트폰)들은 내장된 배터리에서 출력되는 전력을 이용하여 사용 한다. 그런데 이러한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충전을 해주거나 예비용 배터리 또는 휴대용 소형 배터리를 가지고 다녀야하므로 매우 번거롭고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외에서 장시간 외출을 하여 산책 또는 등산 그 외에 어떠한 야외 활동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방전 시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을 겪는 일이 빈번하다. 특히 해외에 출장이나 여행 시 더 많은 불편함을 겪을 수 있다.
그러므로 착용발전기 및 자가발전용 신발 및 자가발전용 바지 및 보행자의 무게에너지를 이용한 자가발전시스템 등이 개시되고 있으나 부피도 비교적 크고 착용하는데 불편한 문제점을 수반하므로 실용화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그리고 본 발명 기술에 해당되는 무릅밴드나 무릅보호대는 선행기술문헌의 특허문헌으로 제시된 한국 공개실용신안공보 공개번호 제20-2013-9992921호와 같이 단순하기 때문에 자가발전기능이 전혀 없는 무릅보호대에 불과하다.
KR 20-2013-0002021 U 2013.03.29
본 발명은 일상생활을 하는 동안 자연스럽게 발전 및 충전을 유도함과 동시에 관절 등에 무리가 가해지는 것을 최소화되게 하여 단시간 운동으로 더 많은 운동 효과를 도모할 수 있도록 개선된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종아리착용고정대와, 상기 종아리착용고정대 상부쪽으로 연장되는 무릅착용연장부와, 상기 종아리착용부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무릅착용연장부와 연장되는 허벅지착용고정대를 포함하고, 상기 무릅착용연장부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무릅관절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전되는 자가발전수단과, 상기 자가발전수단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유도전선으로 연결된 충전수단이 허벅지착용고정대 일측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자가발전수단은, 회전로드의 회전운동이 가속되게 하는 다단가속기어수단과, 상기 다단가속기어수단에서 증속된 회전운동이 전달되어 전기에너지가 발전되게 하는 발전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로드는 끝단부가 종아리착용고정대 일측에 고정되어 무릅관절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장시간의 보행 운동에 의한 피로감과 관절에 가중되는 부담을 상박과 하박을 인위적으로 이완 시킴으로써 관절 보호 의료 보조기구로 활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보행자가 보행하는 동안 전력을 생산하여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급하거나 별도의 충전장치에 충전 시킬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는 것이다.
그러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충전을 해주거나 예비용 배터리 또는 휴대용 소형 배터리를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므로 매우 편리한 효과를 제공한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외에서 장시간 외출을 하여 산책 또는 등산 그 외에 어떠한 야외 활동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방전 시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는 불편함이 해소되는 효과를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의 전체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의 정면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가발전수단의 구성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를 참조하면, 본 발명은 종아리착용고정대(10)를 구비하고, 상기 종아리착용고정대(10) 상부쪽으로 무릅착용연장부(11)가 연장되게 구비된다.
또한, 종아리착용부(10)와 대향되는 상부 방향으로 무릅착용연장부(11)와 연장되는 허벅지착용고정대(12)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종아리착용고정대(10) 및 허벅지착용고정대(12)는 평면상으로 볼 때 원형이면서 압박기능이 있는 직물일 수도 있다.
또는, 종아리착용고정대(10) 및 허벅지착용고정대(12)는 각각의 중간이 서로 떨어지는 단락된 상태로 구성하고 그 단락된 끝단부에 각각 매직테이프를 구비하여 서로 탈착가능하도록 할 수 있는 것으로서, 종아리착용고정대(10) 및 허벅지착용고정대(12)를 각각 착용할 때에는 한쌍의 매직테이프가 서로 달라붙게 하여 착용하는 것이고, 벗을 때에는 한쌍의 매직테이프가 서로 떨어지게 하여 각각의 종아리착용고정대(10) 및 허벅지착용고정대(12)를 벗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도 1 및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무릅착용연장부(11)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무릅관절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전되는 자가발전수단(20)을 구비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자가발전수단(20)은, 종아리착용고정대(10)에 끝단부(21a)가 고정되는 회전로드(21)의 회전운동이 가속되게 하는 다단가속기어수단(22)과, 상기 다단가속기어수단(22)에서 증속된 회전운동이 전달되어 전기에너지가 발전되게 하는 발전기(23)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발전기(23)에서 유도된 전기에너지를 충전수단(30)으로 인가되게 하는 기판(24)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호 25는 고정직물지를 나타낸다.
다단가속기어수단(22)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직경이 서로 다른 다수의 기어(부호없음)들이 연동되게 하여 가속 가능하도록 된 것으로서, 이러한 구조에 의해 가속가능하게 하는 기술은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자가발전수단(2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유도전선(31)으로 연결되어 충전되는 충전수단(30)이 허벅지착용고정대(12)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충전수단(30)은, 가령 스마트폰에 직접적으로 접속되게 하여 저장된 전기에너지가 직접적으로 공급 가능하게 할 수도 있고, 휴대용 보조배터리일 수도 있는 것으로서, 이러한 충전수단(30) 구조는 이미 알려진 것이므로 상세한 도면과 설명은 생략하는 것으로 한다. 상기 충전수단(30)은 도 1과 같이 허벅지착용고정대(12) 위쪽으로 구비하게 하고 별도의 주머니(미도시됨)에 삽입되게 하여 허벅지에 별도로 착용 가능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보행 운동을 하게 되면 무릅관절이 접혀지고 다시 펴지게 됨에 따라 회전로드(21)가 반회전 왕복운동을 하게 되고, 그로 인해서 회전로드(21)의 회전운동이 다단가속기어박스(22)에서 가속된 후 발전기축(23a)으로 전달되어 발전기(23)에서 발전되고, 이와 같이 발전기(23)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는 기판(24)으로 유도되어 충전수단(30)로 유도전선(31)을 통해 인가됨에 따라 충전수단(30)이 충전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장시간의 보행 운동에 의한 피로감과 관절에 가중되는 부담을 종아리착용고정대(10) 및 허벅지착용고정대(12)에 의해 상박과 하박을 인위적으로 이완 시킴으로써 관절 보호 의료 보조기구로 활용될 수 있으면서도 충전도 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보행자가 보행하는 동안 생산된 전력을 휴대용 전자기기에 공급하거나 충전수단(30)과 휴대용 전자기기를 접속시켜 공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므로 휴대용 전자기기들을 지속적으로 사용하기 위해서는 주기적으로 충전을 해주거나 예비용 배터리 또는 휴대용 소형 배터리를 반드시 가지고 다니지 않아도 되는 것이다.
그리고 사용자가 실외에서 장시간 외출을 하여 산책 또는 등산 그 외에 어떠한 야외 활동 등으로 인해 전자기기의 방전 시 기기를 사용하지 못하게 되는 불편함을 해소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된 도면에 반드시 국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서 여러가지 형태로 변형실시될 수도 있는 것이므로 청구범위를 크게 벗어나지 않는한 폭넓게 보호되어야 하는 것은 자명한 것이다.
10:종아리착용고정대 11:무름착용연장부
12:허벅지착용고정대 20:자가발전수단
21:회전로드 21a:끝단부
23:발전기 24:고정직물지
30:충전수단 31:유도전선

Claims (2)

  1. 종아리착용고정대(10)와, 상기 종아리착용고정대(10) 상부쪽으로 연장되는 무릅착용연장부(11)와, 상기 종아리착용부(10)와 대향되는 방향으로 무릅착용연장부(11)와 연장되는 허벅지착용고정대(12)를 포함하고;
    상기 무릅착용연장부(11) 일측에 고정되게 구비되어 무릅관절의 회전운동에 의해 발전되는 자가발전수단(20)과;
    상기 자가발전수단(20)에서 발전된 전기에너지가 유도전선(31)으로 연결된 충전수단(30)이 허벅지착용고정대(12) 일측에 구비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가발전수단(20)은, 회전로드(21)의 회전운동이 가속되게 하는 다단가속기어수단(22)과, 상기 다단가속기어수단(22)에서 증속된 회전운동이 전달되어 전기에너지가 발전되게 하는 발전기(23)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로드(21)는 끝단부(21a)가 종아리착용고정대(10) 일측에 고정되어 무릅관절의 회전운동에 의해 회전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KR1020220121438A 2022-09-26 2022-09-26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KR202400427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38A KR20240042758A (ko) 2022-09-26 2022-09-26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438A KR20240042758A (ko) 2022-09-26 2022-09-26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758A true KR20240042758A (ko) 2024-04-02

Family

ID=90714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438A KR20240042758A (ko) 2022-09-26 2022-09-26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2758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021U (ko) 2011-09-21 2013-03-29 박성수 키성장 자극용 무릎 밴드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2021U (ko) 2011-09-21 2013-03-29 박성수 키성장 자극용 무릎 밴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2803B2 (en) Human powered generator
CN205214344U (zh) 带有充电功能的鞋子
US20040222638A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electrical energy generated from motion to an electrically powered device
Xie et al. Increased energy harvesting from backpack to serve as self-sustainable power source via a tube-like harvester
CN113681545B (zh) 膝关节负功捕捉外骨骼装置
CN107378914B (zh) 一种面向人体滑车关节的柔性肌腱助力装置
CN204721072U (zh) 电子设备及其充电装置
US20180202420A1 (en) Wearable power supply device capable of capturing human motion
JP2002218769A (ja) 圧電発電装置を備えた衣類または衣類用発電装置
Teng et al. Prolonging VR Haptic Experiences by Harvesting Kinetic Energy from the User
KR20240042758A (ko) 자가발전기능이 있는 무릅착용 관절보호구
CN205923336U (zh) 一种测绘仪背包
CN106246482A (zh) 一种智能可穿戴肘膝关节发电护具
KR20110127334A (ko) 보행 발전 장치
CN213439659U (zh) 一种下肢负重型外骨骼
US11171544B2 (en) Mechanical energy harvesting system for converting kinetic energy of a user having a trunk and limb portions into electricity
Pandey et al. Walking based wearable mobile phone charger and lightening system
CN211834405U (zh) 一种简易穿戴式下肢康复后期监测设备
CN203340140U (zh) 一种腕式手机
CN206397664U (zh) 发电装置
CN111706755A (zh) 颈肩穿戴式便携设备支架
CN106690483B (zh) 动能转化的四恒空调服
KR101348762B1 (ko) 내전근육 운동기구
CN108448862A (zh) 一种穿戴式发电装置
TW201615980A (zh) 發電腰帶與可發電之腰帶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