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507A - 교대-압력 지지체 및 환자용 침대, 그리고 작동을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교대-압력 지지체 및 환자용 침대, 그리고 작동을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507A
KR20240042507A KR1020247007906A KR20247007906A KR20240042507A KR 20240042507 A KR20240042507 A KR 20240042507A KR 1020247007906 A KR1020247007906 A KR 1020247007906A KR 20247007906 A KR20247007906 A KR 20247007906A KR 20240042507 A KR20240042507 A KR 202400425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alternating
pressure
elements
pressure suppo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9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르쿠스 스팔렉
Original Assignee
노쿠비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쿠비 아게 filed Critical 노쿠비 아게
Publication of KR20240042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5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57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573Arrangements for preventing bed-sores or for supporting patients with burns, e.g. mattress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with mattress frames having alternately movable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5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divided into different adjustable sections, e.g. for Gatch posi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02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having adjustable mattress frame
    • A61G7/018Control or drive mechanis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0/00Information related to the kind of patient or his position
    • A61G2200/30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 A61G2200/32Specific positions of the patient ly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1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characterised by specific control means, e.g. for adjustment or stee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2203/0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 A61G2203/70General characteristics of devices with special adaptations, e.g. for safety or comfor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rs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Invalid Beds And Related Equipmen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교대-압력 지지체(1), 이러한 교대-압력 지지체(1)를 갖는 환자용 침대 및 이러한 교대-압력 지지체(1)를 작동하기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교대-압력 지지체는 복수의 지지체 요소(2), 및 횡 방향(Q)으로 서로 반대편에 있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장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3a, 3b)가 있는 가이드 시스템을 포함하며, 가이드에서 지지체 요소(2)는 반대편 단부(2a, 2b)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지체 요소(2)는 이들에 영향을 주는 하중, 즉 교대-압력 지지체(1)에 의해 지탱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Description

교대-압력 지지체 및 환자용 침대, 그리고 작동을 위한 방법
본 발명은 교대-압력 지지체, 이러한 교대-압력 지지체를 갖는 환자용 침대, 그리고 이러한 교대-압력 지지체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와상 환자의 가정 기반(home-based) 및/또는 전문적인 관리에서, 환자에게 욕창(bedsores)("decubitus")이 생기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시나리오에서, 피부로의 혈액 공급을 중단하는, 장기적인 압력에 의해 피부와 그 아래의 조직에 국소적인 손상이 있다.
이러한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욕창 매트리스"(또한 욕창 방지 매트리스로도 지칭됨)가 알려져 있으며, 이는, 예를 들어 환자를 위한 더 큰 베어링 표면 또는 압력 분포가 더 균일한 누운 자세에 의해 최대 베어링 압력(bearing pressure)의 감소를 달성하기 위해 의도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들 매트리스는 혈액 공급의 지속적인 중단을 피하기 위해 신체의 어느 지점이 교대로 하중을 받거나 완화될 수 있는 것에 의한 교대-압력 시스템을 가질 수 있다. 일반적으로, 이들 교대-압력 시스템은 공기가 선택적으로 공급될 수 있거나 공기압이 맞춰 조정될 수 있는 복수의 공기 챔버들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공지된 욕창 방지 시스템에 대한 대안을 특정하는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욕창 방지 시스템에서 환자의 편안함을 개선하는 것, 및/또는 욕창 방지 시스템의 효과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은 독립 청구항에 따라 교대-압력 지지체 및 이러한 종류의 교대-압력 지지체를 갖는 환자용 침대에 의해, 그리고 이러한 종류의 교대-압력 지지체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 형태는 종속 청구항 및 이하의 설명의 주제를 형성한다.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특히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교대-압력 지지체는 복수의 지지체 요소, 및 횡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2개의 가이드들을 갖는 가이드 장치(guide arrangement)를 가지며, 상기 지지체 요소가 반대편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지지체 요소는 이들 상에 작용하는 하중, 즉 상기 가이드 장치 상에서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elastically)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미에서 이동 가능한 지지체는, 특히 상기 지지체 요소가 상기 길이 방향을 따라, 즉 길이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반대에서, 특히 병진 운동(translation)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동 가능한 지지체는 상기 지지체 요소의 롤링(rolling) 순환과 후방 및 전방으로 진동하는(oscillatory) 이동을 모두 편리하게 허용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의미에서 하중의 탄성 지지는, 특히 하중의 탄성적(sprung)이거나 댐핑되는(damped) 지지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상기 탄성 지지는 지지 또는 베어링 요소의 탄성적인 변형성에 의해 편리하게 달성된다. 예를 들어, 탄성 지지를 위해 구성되는 지지체 요소는 하중에 따라,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 또는 특정 지점이나 지점들에서 변형될 수 있다. 하중의 작용이 멈출 때, 상기 지지체 요소는 이들의 원래 형상으로 편리하게 되돌아간다.
본 발명의 일 양태는, 바람직하게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의 눕거나 앉는 표면을 정의하는 지지체 요소를 갖는 교대-압력 지지체를 제공하는 접근 방식에 기반한다. 여기서, 상기 지지체 요소는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가 지탱하는 하중의 탄성 지지를 위해 편리하게 구성되고, 따라서 상기 눕거나 앉는 표면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바람직하게 탄성적이며, 특히 스프링-댐핑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 요소는 길이 방향을 따라, 예를 들어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에 누워 있는 환자 아래에서, 2개의 가이드를 포함하는 가이드 장치의 도움으로 이동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시 말해, 환자에 대한 이동의 경우, 바람직하게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상기 지지체 요소가 환자 아래에서 구르거나 슬라이딩될 수 있고, 하중에 따라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환자의 실루엣에 맞춰 조정될 수 있도록 제공될 수 있다. 따라서 베어링 압력의 연속적인 또는 적어도 간헐적인 교대와, 동시에, 환자에 대한 편안한 지지가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욕창(bedsores)의 형성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거나, 이미 욕창(decubitus)이 발생한 경우, 증상의 악화를 예방하거나 최소한 지연시킬 수 있다. 동시에, 상기 베어링 압력의 균일한 분포로, 환자가 눕거나 앉을 때의 높은 편안함이 가능해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체 요소는 바람직하게 상기 가이드 장치, 특히 상기 2개의 상호 반대편 가이드에서 환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각각의 지지체 요소는 바람직하게 이의 2개의 상호 반대편 단부가, 상기 길이 방향에 대해 횡으로 진행하는 횡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상기 2개의 가이드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는 환자의 체중을 지탱할 수 있다. 여기서, 충격은 상기 가이드를 보존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 요소에 의해 댐핑될 수 있다. 동시에, 상기 지지체 요소는 부드러운 눕거나 앉는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가이드는 바람직하게 길이 방향으로 진행하여, 상기 지지 요소가 길이 방향 및/또는 길이 방향 반대로 이동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지지체 요소의 이러한 이동 동안, 환자의 신체를 따라 베어링 포인트는 혈액 공급의 중단을 피하거나 적어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피부로의 혈액 공급, 특히 정맥의 기능을 촉진하기 위해 실질적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적어도 간헐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특히, 혈관을 쓰다듬는 것도 가능하다. 이러한 혈류의 촉진은 또한 혈전증을 방지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혈전증의 예방과 림프 배출의 개선을 추가적으로 허용한다.
원칙적으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직경 및 서로에 대한, 특히 길이 방향에 따른 개별 지지체 요소들 사이의 간격은 환자의 크기 및/또는 환자의 체중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이들 지지체 요소 직경 및 이들 지지체 요소 간격은 체중의 편안한 지지가 달성되지만 동시에 충분한 피부 영역이 하중으로부터 완전히 해방되어 혈액이 공급되는 방식으로 선택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효과는, 예를 들어, 길이 방향으로 1 cm 내지 20 cm, 바람직하게 2 cm 내지 10 cm, 특히 약 5 cm의 길이를 가지는 지지체 요소 직경에 의해 달성될 수 있고, 여기서 상기 지지체 요소 간격은 1 cm 내지 45 cm 사이, 바람직하게 2 cm 내지 15 cm 사이, 특히 약 8 cm일 수 있다.
위에서 이미 명시된 바와 같이,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그 위에 있는 욕창 위험이 있는 환자를 지지하기 위해 "슬레이트 프레임(slatted frame)"으로서 사용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휠체어, 안락의자, 자동차 시트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서 앉는 표면으로서, 또는 적어도 앉는 지지체 또는 "시트 쿠션"으로서, 적절하게 치수화된의 교대-압력 지지체를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이러한 종류의 교대-압력 지지체는, 예를 들어 다리 및/또는 신체의 다른 부분들에 충분한 혈액 공급을 보장하기 위해, 예를 들어, 다리 지지체 또는 몸 전체에 대한 지지체로서 장시간 수술의 경우에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 및 이의 발전은 이하에서 설명되고, 명백하게 배제되지 않는 한, 이들 각각은 서로 그리고 이하에서 설명되는 본 발명의 양태들과 원하는 임의의 방식으로 조합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 중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탄성 설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개별적인 또는 심지어 모든 상기 지지체 요소는, 예를 들어 상기 베어링 압력에 따라 상기 지지체 요소의 변형을 허용하는 탄성 재료 또는 탄성 구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맥락에서, 하나 이상의 지지체 요소의 지지체 롤러가 완전히 탄성 설계를 가지는, 예를 들어 탄성 재료로부터 제조되는 것으로 생각할 수 있다.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의 이러한 설계를 통해, 특히 낮은 복잡성을 가지고 특히 공간 절약 방식으로 하중의 탄성 지지를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지지 장치(supporting arrangement)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 장치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편리하게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다. 특히, 상기 지지 장치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구부릴 수 있는 및/또는 압축 가능한 설계일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는, 예를 들어 충격의 경우에, 작용하는 힘의 적어도 일부를 흡수할 수 있도록, 예를 들어 댐핑 또는 스프링 메커니즘으로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기 지지체 요소 내에 통합되며,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 요소 내에 내장되고, 특히 상기 지지체 요소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이다. 하나 이상의 지지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상기 지지체 요소에 의해 정의되는 상기 눕거나 앉는 표면의 부드러움은 쉽게 그리고 선택적으로 조절될 수 있다. 필요한 경우, 필요할 때 부드러움을 맞춰 조정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장치를 교환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동시에, 상기 지지체 요소 내에 통합된 지지 장치는 외부 영향과 이에 따른 손상으로부터 더욱 쉽게 보호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 장치 - 또는 상기 지지 장치들 각각 - 는 상기 지지체 요소의 축 부분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위한 베이스, 및 상기 지지체 요소의 쉘에 대해 회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위한 슬리브를 가진다. 이는 상기 지지 장치를 상기 지지체 요소 내에 통합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베이스는 상기 지지체 요소의 액슬 요소 상으로 직접적으로 슬립(slipped)될 수 있거나, 그렇지 않으면 상기 액슬 요소 주위에서 상기 지지 장치의 회전을 허용하는 허브(hub) 또는 베어링 장치 상으로 직접적으로 쉽게 미끄러질 수 있다.
상기 베이스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스프링, 웹(webs) 또는 기둥(pillars)과 같은 탄성 구조, 또는 발포체와 같은 탄성체에 의해 편리하게 상기 슬리브에 연결된다. 이는 컴팩트하고, 동시에 상기 지지 장치의 안정적인 구성을 허용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바람직하게 하중을 지지하기 위해, 각각의 액슬 요소 및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롤러를 가진다. 상기 액슬 요소는 충분한 굽힘 및/또는 파괴 강도를 가지기 위해 강철로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으로, 중량을 줄이기 위해, 상기 액슬 요소가 일부 다른 재료, 바람직하게 알루미늄으로부터 제조되는 것, 및/또는 중공(hollow) 프로파일의 형태인 것도 가능하다. 상기 액슬 요소는 편리하게 막대형 설계, 및/또는 상기 2개의 가이드 중 하나로부터 2개의 가이드 중 하나의 반대쪽까지 횡 방향으로 연장되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상기 액슬 요소는 바람직하게 0.5 cm 내지 2 cm, 특히 0.5 cm 내지 1 cm의 직경을 가진다.
상기 지지체 롤러는 바람직하게 하중을 지지하도록 구성되는 측면(lateral surface)을 가진다. 상기 지지체 요소는 편리하게 배치되고/되거나, 상기 지지체 롤러는, 지지체 롤러의 적어도 한 부분의 상기 측면의 수평 탄젠트(horizontal tangent)가 실질적으로 평평한 - 따라서 특히 편안한 - 앉거나 눕는 표면을 정의하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상기 지지체 요소가 이러한 방식으로 배치되는 것, 및/또는 상기 지지체 롤러가, 다양한 측면의 수평 탄젠트가 다양한 상호 평행한 수평면에 놓이는 방식으로 설계되며, 특히 이러한 방식으로 치수화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 롤러의 측면은 상이한 직경을 교대로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고르지 않은 앉거나 눕는 표면을 정의하는 것이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혈액 공급을 촉진하는 데 특히 효과적이다.
상기 지지체 롤러는 상기 액슬 요소에 탄성적으로 편리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체 롤러는 상기 액슬 요소 상에 탄성적으로 편리하게 지지된다. 결과적으로, 길이 방향 또는 길이 방향 반대로 움직이는 동안, 상기 지지체 롤러는 이들 위에 앉거나 누워 있는 환자 아래에서 굴러갈 수 있으며, 동시에 탄성적이고 따라서 환자를 위한 편안한 지지를 달성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롤러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상기 액슬 요소 주위에서 원형 튜브로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액슬 요소와 상기 지지체 롤러 사이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다시 말해,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액슬 요소와 상기 원형 튜브 사이의 공동(cavity)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 장치는 바람직하게 상기 액슬 요소 상의 상기 지지체 롤러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지지 장치는 외부 영향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고, 동시에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전체 폭에 걸쳐 상기 지지체 요소에 작용하는 하중을 완충할 수 있다.
하중이 없는 상태에서, 상기 지지체 롤러 및 상기 액슬 요소는 바람직하게 동축으로(coaxially) 배치된다. 하중 하에서, 상기 지지 장치의 탄성적인 변형과 함께, 상기 지지체 롤러의 대칭 축은 상기 액슬 요소에 의해 정의된 회전 축에 대해 편리하게 이동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액슬 요소 상에 안착(seated)된다. 또한, 상기 지지체 롤러는 상기 지지 장치 상에 편리하게 안착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액슬 요소 상에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안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지지 장치는 상기 액슬 요소 상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허브 또는 베어링 장치는, 상기 액슬 요소에 대한 상기 지지 장치의 - 및 따라서 상기 지지체 롤러의 - 회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지지 장치와 상기 액슬 요소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바람직하게 탄성적으로 압축 가능한 발포체를 가진다. 여기서, 상기 발포체는 폴리우레탄 폼(PU 폼), 저온 경화(cold-cure) 폼 및/또는 3D 프린팅 구조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발포체는 상기 지지 장치의 적어도 일부를 편리하게 형성한다. 예를 들어, 상기 발포체는 원형 튜브로 설계된 상기 지지체 롤러와 상기 액슬 요소 사이의 상기 공동을 채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 요소에 의한 하중의 탄성 지지는 특히 중량 절감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동시에 발포체는 상기 지지체 요소의 둘레에 대해 특히 균일한 댐핑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으로 또는 상기 발포체에 더하여, 기체로 채워진, 특히 공기로 채워진 호스를 제공하는 것도 가능하다. 여기서, 상기 호스에 포함된 가스는 바람직하게 미리 결정된 압력을 받는다. 따라서 탄성 지지는 특히 복잡성이 낮고 경제적인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경우에서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바람직하게 구부릴 수 있는 프로파일을 가진다. 이러한 맥락에서, 프로파일은 특히, 표면 또는 심지어 내부의 공동에, 축 방향으로 연장되는, 특히 홈(grooves)의 형태인 오목부를 갖는 세장형(elongate) 구성 요소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된다. 프로파일에 의해, 강체에 대해 중량 절감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 프로파일은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재료, 예를 들어 실리콘으로부터 편리하게 제조된다. 상기 프로파일은 바람직하게 하중-베어링(load-bearing) 스트럿(strut)을 가진다. 이들 스트럿은 바람직하게 하중의 작용 하에 탄성적으로 구부러지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결과적으로, 상기 프로파일은 매우 컴팩트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프로파일은 단면에서, 특히 길이 방향 연장에 수직으로 별 형상의 설계를 가진다. 즉, 하중-베어링 스트럿은 별 형상으로 방사상 바깥 방향으로 편리하게 연장된다. 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균일한, 즉 둘레에 걸쳐 동일한 상기 프로파일의 탄성적인 변형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스프링 장치를 가지며, 이는 편리하게 복수의 스프링, 특히 압축 스프링 또는 인장 스프링을 포함한다. 상기 스프링 장치는 바람직하게 별 형상의 설계를 가진다. 예를 들어, 개별 스프링은 방사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스프링 장치에 의해, 상기 지지체 요소의 탄성을 특히 정확하게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 각각은 액슬 요소를 가지고, 각각의 반대편 단부에서, 각각의 상기 가이드에 이동 가능한 장착을 위한 각각의 러닝 롤러(running roller)를 가진다. 상기 러닝 롤러는 상기 액슬 요소에 탄성적으로 편리하게 연결된다. 다시 말해, 상기 러닝 롤러는 상기 액슬 요소 상에서 탄성적으로 편리하게 지지된다. 예를 들어, 각각의 지지 장치는 각각의 러닝 롤러에 대해 제공될 수 있으며, 이는 충격 댐퍼를 갖는 차량과 유사하다. 탄성적으로 장착된 러닝 롤러를 제공하여 설치 공간을 절약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상기 러닝 롤러는, 예를 들어 상응하는 베어링 장치, 예를 들어 볼 베어링에 의해 상기 액슬 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그러나, 상기 러닝 롤러가 상기 액슬 요소 상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착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액슬 요소는 상기 러닝 롤러가 상기 가이드에서 굴러감에 따라 동시에 회전한다. 이러한 과정 동안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 상의 환자 아래에서 구름 이동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상기 지지체 롤러는 바람직하게 상기 각각의 액슬 요소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또 다른 바람직한 실시 형태에서,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교대로 길이 방향 및 길이 방향 반대에서 상기 지지체 요소의 진동 움직임을 위해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바람직하게 능동적으로 구동되는, 특히 모터-구동되는, 상기 지지체 요소의 이동을 위해 구성된다. 이를 위해,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구동부, 특히 모터를 가질 수 있다. 진동 움직임에 대한 제한은 롤링(재순환) 시스템에 비해 상기 지지체 요소에 대한 리턴이 필요하지 않는 이점이 있다. 이에 의해 달성된 설치 공간의 절약 덕분에, 상기 지지체 요소의 진동 움직임이 있는 교대-압력 지지체는 예를 들어 휠체어에서의 사용에 특히 적합하다.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르면, 환자용 침대는 프레임, 및 상기 프레임에 의해 지지되는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교대-압력 지지체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종래의 슬레이트 프레임을 대체할 수 있고, 특히 종래의 슬레이트 프레임 대신에 상기 프레임에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상기 프레임에 대한 비파괴적인, 특히 도구가 필요 없는, 분리 가능한 연결을 위해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래칭(latching) 또는 클립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가 상기 프레임에 체결되거나 후크 결합(hooked)될 수 있고, 특히 래칭되거나 클립 결합(clipped)될 수 있다. 이는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가 임의적으로 종래의 환자용 침대와 함께 사용될 수도 있게 한다. 특히, 종래의 환자용 침대는 욕창의 예방을 위해 교대-압력 지지체가 끼워지거나 개장(retrofitted)될 수 있다. 동시에, 필요한 경우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는 신속하게 다시 제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르면, 교대-압력 지지체의 작동을 위한 방법에서, 특히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르면, 복수의 지지체 요소는, 횡 방향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 장치의 적어도 2개의 가이드에서 이동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체 요소는 상기 가이드의 반대편 단부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가이드 상에서 이들에 작용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한다.
이러한 경우, 상기 지지체 요소의 이동은 모터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및/또는 수동으로, 예를 들어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구동 디바이스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기 이동의 제어는 바람직하게 상기 모터 구동 디바이스를 적절한 방식으로 제어할 수 있는 제어 디바이스에 의해 행사된다. 특히, 상이한 동작 모드들, 예를 들어 상기 지지체 요소의 재순환 이동, 상기 지지체 요소의 후방 및 전방으로 (진동하는) 이동, 상기 지지체 요소의 연속적인 이동 및/또는 상기 지지체 요소의 간헐적 이동을 생각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보다 상세히 설명된다. 편의상 본 명세서에서 동일한 작용을 갖는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 부호가 제공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예시된 예시적인 실시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또한 기능적 특징에 관해서도 제한되지 않는다. 지금까지 제공된 설명 및 도면의 이하의 설명은 일부 경우에서 종속 청구항에서 군으로 함께 재현되는 수많은 특징을 포함한다. 그러나 이들 특징과 상기 및 이하의 도면의 설명에서 개시된 모든 다른 특징들은 또한 개별적으로 고려될 것이고, 당업자에 의한 추가적인 편의적인 조합을 제공하기 위해 조합될 것이다. 특히, 언급된 모든 특징들은 각각 개별적으로 그리고 본 발명의 제1 양태에 따른 교대-압력 지지체, 본 발명의 제2 양태에 따른 환자용 침대 및 본 발명의 제3 양태에 따른 방법의 임의의 적합한 조합으로 조합될 수 있다.
적어도 부분적으로 개략적인 도면 중에서:
도 1은 재순환 지지체 요소가 있는 교대-압력 지지체의 예를 나타내고,
도 2는 리턴을 나타내지 않는 교대-압력 지지체의 발 부분의 영역에서 도 1의 세부 사항을 나타내고;
도 3은 교대-압력 지지체의 머리 부분의 영역에서 도 1의 세부 사항을 나타내고;
도 4는 리턴이 없는 교대-압력 지지체의 예를 나타내고;
도 5는 지지체 요소의 예를 나타내고;
도 6은 단면에서 지지 디바이스의 예를 나타내고; 그리고
도 7은 환자용 침대의 예를 나타낸다.
도 1은 길이 방향(L)을 따라 서로 뒤에 배치된 복수의 지지체 요소(2)를 갖는, 욕창을 예방하기 위한 교대-압력 지자체(1)의 예를 도시한다. 교대-압력 지지체(1)는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2개의 가이드(3a, 3b)를 갖는 가이드 장치를 가지고, 여기서 지지체 요소(2)는 이들의 2개의 반대편 단부(2a, 2b)에서 2개의 가이드(3a, 3b)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다시 말해, 가이드(3a, 3b) 및 지지체 요소(2)는, 지지체 요소(2)가 가이드(3a, 3b)의 도움으로 길이 방향(L) 또는 길이 방향(L) 반대로 이동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동시에, 지지체 요소(2)는 이들 상에 작용하는 하중, 즉 가이드 장치 상에서 교대-압력 지지체에 의해 지지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설계된다. 이를 위해, 지지체 요소(2)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도록 편리하게 설계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 요소(2)는 각각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지지 장치를 가질 수 있다(도 5 참조). 결과적으로, 예를 들어, 환자가 교대-압력 지지체(1) 위에 눕거나 앉는 경우 지지체 요소(2)의 측면이 휠 수 있다. 따라서 환자는 "탄성적으로", 즉 탄성적이거나 댐핑되는 방식으로 지지될 수 있다.
도시된 예에서, 각각의 지지체 요소(2)는 지지체 롤러(4)를 가지고 있으며, 이는 길이 방향(L)에 대해 횡으로 정렬된, 즉 횡 방향(Q)에 평행하게 연장하는 회전 축을 중심으로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지지체 롤러(4)의 회전 축은, 예를 들어, 지지체 롤러(4)가 끼워지거나 슬립될 수 있는 액슬 요소(도 1에서 보이지 않음)의 길이 방향 축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그러나, 지지체 롤러(4) 대신에, 환자 아래에서 슬라이딩 되도록 설계된 슬라이딩 요소(도시되지 않음)를 제공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딩 요소는, 예를 들어, 슬라이딩을 용이하게 하거나 적어도 슬라이딩 마찰을 감소시키기 위해 슬라이딩 표면 및/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교대-압력 지지체(1)는 일종의 슬레이트 프레임을 형성하며, 그 위에서 욕창에 취약한 환자, 예를 들어 적어도 부분적으로 마비되거나 움직이지 못하는 환자가 지지될 수 있다. 지지체 요소(2)의 이동 가능한 장착으로 인해, 이러한 프레임의 "슬랫(slats)"은 고정된 또는 정적인 방식으로 배치되지 않고, 가변적인 위치에 또는 동적으로 배치된다. 지지체 요소(2)의 이러한 이동성은 변하는 위치에서 지지되는 환자에게 압력이 가해지도록 허용하여, 혈액 공급의 (지속적인) 국소적인 중단 및 관련된 국소적인 조직 손상 그리고 심지어 괴사를 효과적이고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도 1에 도시된 것과는 달리, 이러한 종류의 교대-압력 지지체는 또한 다른 방식으로, 예를 들어 앉는 표면이나 지지체로서 또는 다리 받침대로서 - 아마도 상이한 크기로 - 사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 요소(2)의 지지체 롤러(4)는 환자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지지체 요소(2)는 차례로 가이드 장치에 의해, 예를 들어 가이드(3a, 3b)에 안착된 각각의 지지체 요소(2)의 양단(2a, 2b)을 통해 지지된다. 길이 방향(L)에서 지지체 요소(2)의 이동의 경우, 지지체 롤러(4)는 이들의 자유 회전 지지 덕분에 환자 아래에서 구를 수 있다. 다시 말해, 지지체 롤러(4)는, 지지체 요소(2)가 지지체 롤러(4)에 의해 지지되는 환자에 대해 이동될 수 있도록 보장한다. 이러한 경우, 환자는 교대-압력 지지체(1) 또는 가이드 장치에 대해 고정되어 있어야 한다.
이를 위해, 유연한 지지체 요소 덮개(도시되지 않음)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환자의 편안함 및/또는 교대-압력 지지체(1)의 작동상 안전을 동시에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 지지체 요소 덮개는 바람직하게 지지체 롤러(4)의 위로 펼쳐지고, 예를 들어 가이드(3a, 3b)에 고정되어, 지지체 롤러(4)가 지지체 롤러(4)를 향하는 측면, 즉 지지체 요소 덮개의 하측에서 구를 수 있게 한다. 결과적으로 위치에 고정된 지지체 요소 덮개는 지지체 요소(2) 사이의 틈새로 물체 또는 신체 부위가 통과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지지체 롤러(2)에 의해 지지되고 지지체 요소 덮개 위에 누워 있는 환자가 지지체 요소(2)의 이동 중에 동시에 움직여지는 것도 예방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 장치는 피드(feed)(5a)와 리턴(return)(5b)을 가지며, 여기서 피드(5a)와 리턴(5b)은 서로 상하로, 즉 스택의 방식으로 배치된다. 이에 의해 교대-압력 지지체(1)의 슬레이트-프레임형 구성이 달성된다. 그러나, 원칙적으로, 서로에 대한 피드 및 리턴(5a, 5b)의 다른 배치들 또한 생각할 수 있다. 특히, 리턴(5b)이 없는 변형도 생각할 수 있다(도 4 참조).
피드(5a) 및 리턴(5b)은 모두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는 2개의 가이드(3a, 3b)를 가진다. 피드 및 리턴(5a, 5b)에 의해, 지지체 요소(2)는 순환하는 방식으로, 즉 폐쇄 경로 상에서 이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지체 요소(2)는 피드(5a)에 의해 길이 방향(L)으로, 예를 들어 교대-압력 지지체(1)의 발 부분(foot part)(6b)으로부터 교대-압력 지지체(1)의 머리 부분(head part)(6a)으로 이동될 수 있는 반면, 지지체 요소(2)는 리턴(5b)에 의해 머리 부분(6a)으로부터 길이 방향(L)의 반대인 발 부분(6b)으로 피드백된다. 이에 의해, 예를 들어, 환자의 다리의 혈관을 이들의 몸통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쓰다듬어, 예를 들어 혈전증의 위험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도시된 예에서, 가이드(3a, 3b)는 다수의 가이드 요소(10)로 구성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가이드(3a, 3b)가 단지 하나 또는 몇 개의 가이드 요소(10)로 구성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은 변형에서, 가이드(3a, 3b)는 각각 3개의 가이드 요소(10)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3개의 가이드 요소(10) 중 하나는 발 부분(6b)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임의적으로 상승될 수 있고/있거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3개의 가이드 요소(10) 중 또 다른 하나는 머리 부분(6a)을 정의할 수 있으며, 이는 임의적으로 상승될 수 있다. 그런 다음, 머리 부분(6a)과 발 부분(6b) 사이에 배치되는 3개의 가이드 요소(10) 중 세 번째는 연속적인 눕거나 앉는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도 2는 리턴을 도시하지 않는 교대-압력 지지체의 발 부분(6b)의 영역에서 도 1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이는, 상호 반대편 단부에 배치된, 요소(7)를 연결함으로써 지지체 요소(2)의 연결, 특히 체인형 연결을 도시한다(도 2에서, 2개의 반대편 단부의 각각 중 하나의 단부(2a)만 보임). 이에 의해, 가이드(3a)에서 이동될 수 있는 지지체 요소(2)의 체인이 형성된다. 여기서, 연결 요소(7)의 각각은 지지체 롤러(4)와 러닝 롤러(8) 사이에 편리하게 배치된다. 액슬 요소(9)의 각각은 적어도 하나의 베어링 장치 또는 허브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지지체 롤러(4) 및/또는 러닝 롤러(8)가 각각의 액슬 요소(9)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장착된다. 예를 들어, 지지체 롤러(4) 및/또는 러닝 롤러(8)가 이러한 베어링 장치 상에 안착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 요소(7) 및/또는 러닝 롤러(8), 그리고 적용 가능한 경우에 지지체 롤러(4)도 각각의 액슬 요소(9)에 끼워지거나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러닝 롤러(8) 또는 지지체 롤러(4)는 동회전(corotating)하는 각각의 액슬 요소(9)와 함께 억지 끼워맞춤(interference fit) - 및/또는 연결 요소(7)는 헐거운 끼워맞춤(clearance fit) - 으로 끼워지거나 장착될 수 있다. 대조적으로, 러닝 롤러(8) 및 지지체 롤러(4)가 모두 액슬 요소(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는 경우, 연결 요소(7)는 또한 억지 끼워맞춤으로 안착 또는 장착될 수 있다.
러닝 롤러(8)에 의해, 지지체 요소(2)는 바람직한 방식으로 가이드(3a)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된다. 지지체 요소(2)의 특히 확실한 유도를 허용하기 위해, 가이드(3a)는 런닝 롤러(8)를 수용하기 위한 채널형 오목부 또는 홈을 가질 수 있다(도 4 참조).
대안적인 실시 형태에서, 지지체 요소(2)는, 러닝 롤러(8) 대신에, 가이드에서 슬라이딩하도록 구성되는 슬라이딩 섹션(도시되지 않음)을 가진다.
연결 요소(7)에 의해, 지지체 요소(2)는 서로에 대해 이동 가능하도록 배치된다. 이는 리턴(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길이 방향(L)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되고 있는 지지체 요소(2)가, 예를 들어, 교대-압력 지지체의 발 부분(6b)에서 피드(5a)로 방향이 바뀌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3은 교대-압력 지지체의 머리 부분(6a)의 영역에서 도 1의 세부 사항을 도시한다. 여기서, 머리 부분(6a)은 상승될 수 있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를 위해, 가이드 장치는, 예를 들어 각각의 가이드(3a)에서 적어도 하나의, 힌지 요소(11)를 갖는다. 여기서, 각각의 힌지 요소(11)는 바람직하게 2개의 인접한 가이드 요소(10)가 서로에 대해 기울어질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힌지 요소(11)에 의해, 머리 부분(6a)은 예를 들어 최대 40°까지 상승될 수 있다.
도 4는 리턴이 없는 교대-압력 지지체(1)의 예를 도시한다. 여기서, 복수의 지지체 요소(2)는 가이드 장치의 2개의 상호 반대편 가이드(3a, 3b)에 길이 방향(L)을 따라 이동 가능한 방식으로 장착되며, 가이드 장치 상의 지지체 요소(2)에 작용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체 롤러(2)의 길이 방향 이동을 위해 구동부(12)가 제공된다.
단부에서, 예를 들어 슬라이딩 저널(sliding journal) 또는 가이드 롤러에 의해, 지지체 요소(2)는 가이드(3a, 3b)의 상응하는 가이드 홈(13)에서 횡 방향(Q)으로 맞물릴 수 있다(도 2 참조). 사시도로 인해, 가이드(3b)의 가이드 홈(13)만 보인다.
예를 들어 모터인 구동부(12)는 가이드(3a, 3b)에서 지지체 요소(2)의 진동 이동, 즉 지지체 요소(2)의 후방 및 전방 이동을 위해 편리하게 구성된다.
이를 위해, 지지체 요소(2)의 개수는, 길이 방향(L)으로 지지체 롤러(2)에 의해 정의되는 눕거나 앉는 표면의 범위가 가이드(3a, 3b)의 길이보다 작도록 편리하게 선택된다. 따라서, 하나의 섹션에서는 2개의 가이드(3a, 3b) 사이에 지지체 요소(2)가 존재하지 않는다. 도 1에 도시된 상태에서, 그러므로 눕거나 앉는 표면은 교대-압력 지지체(1)의 발 부분(6b)의 단부까지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나, 발 부분(6b)를 향해 지지체 요소(2)가 움직이는 동안, 가이드(3a, 3b) 사이의 이러한 틈새는 감소한다. 동시에, 머리 부분(6a)의 영역에서 가이드(3a, 3b) 사이에 상응하는 틈새가 형성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계된 교대-압력 지지체(1)는 도 1에 도시된 교대-압력 지지체에 비해 더 많은 설치 공간을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교대-압력 지지체(1)는, 예를 들어, 휠체어에서의 사용을 위해, 작동 동안에 개별적인 사지를 지지하기 위해, 및/또는 이와 유사한 것을 위해 특히 적합하다.
도 5는 지지체 요소(2)의 예를 나타내며, 이는 가이드 장치에서 이에 작용하는 하중의 탄성 지지를 위해 구성된다(도 1 및 4 참조). 이를 위해, 지지체 요소(2)는 지지 장치(20)를 가지며, 이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하고, 결과적으로, 적용 가능한 경우, 지지체 요소(2)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 특히 이에 작용하는 충격을 흡수 및 댐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지지 장치는 지지체 요소(2)에 통합되고, 특히 후자에 설치된다. 이러한 경우, 지지 장치(20)는, 원형 튜브로서 설계되고 편리하게 강성이 있으며, 액슬 요소(9)와 지지체 롤러(4) 사이에 배치되는, 도면에서 해칭된(hatched)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발포체(21)에 의해 형성된다. 결과적으로, 지지체 요소(2)는 지지체 롤러(4)의 외부 측면, 특히 지지체 롤러 커버에 의해 환자 아래에서 구를 수 있으며, 지지체 롤러(4)에 작용하는 하중의 일부는 발포체(21)의 압축에 의해 동시에 흡수된다.
도시된 실시예에서, 액슬 요소(9) 및 지지체 롤러(4)는 지지 장치(20)에 의해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서로 연결된다. 다시 말해서, 액슬 요소(9)는 지지체 롤러(4)가 환자 아래에서 구를 때 동회전한다. 따라서 러닝 롤러(도 2 참조)는 액슬 요소(9)의 단부에 편리하게 제공되며, 상기 러닝 롤러는 액슬 요소(9)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어 가이드 장치에서 지지체 요소(2)의 이동성을 보장하고 지지 장치(20) 및 지지체 롤러(4)와 함께 액슬 요소(9)의 자유로운 회전을 허용한다.
도 5에 도시된 예에 대해 대안적으로, 지지체 롤러(4)가 완전히 탄성 재료로 구성되도록, 즉, 예를 들어 발포체(21)에 의해 형성되도록 제공될 수도 있다. 다시 말해, 지지 장치(20)는 지지체 롤러를 형성할 수 있다. 이는 제조 공정과 관련하여 유리할 수 있고, 환자에 대한 특히 부드러운 지지를 허용할 수 있다.
도 6은 단면에서 지지 장치(20)의 두 가지 예를 나타낸다.
도 6A에서, 지지 장치(20)는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프로파일(22)을 포함한다. 여기서, 프로파일(22)은 축 방향으로, 즉 도면의 평면에 수직으로 연장된다. 지지 장치(20)는 방사 방향으로 내부 베이스(20a) 및 방사 방향으로 외부 슬리브(20b)를 가진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20a)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그러나 바람직하게 프로파일(22)의 전체 길이를 따라 슬리브(20b)에 의해 둘러싸인다. 베이스(20a) 및 슬리브(20b)는 프로파일(22)의 스트럿(22a)에 의해 서로 편리하게 연결된다. 스트럿(22a)은 바람직하게, 힘의 작용 하에 구부러질 수 있는 방식으로 치수화된다. 이에 의해 지지 장치(20)의 탄성적인 변형성을 달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베이스(20a) 및 슬리브(20b)는 편리하게 호스형 또는 튜브형 설계이고 유리하게 프로파일(22)의 일부이다. 이는 프로파일(22)이, 조립 동안, 임의적으로 억지 끼워맞춤을 가지고, 도면에서 해칭된 액슬 요소(9) 상으로 당겨질 수 있게 하여, 그 결과 베이스(20a)가 도 6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슬 요소(9)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착된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지지체 롤러(도 5 참조)는 프로파일(22) 상으로 슬립될 수 있고, 그 결과 지지체 롤러가 슬리브(20b)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착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프로파일(22)이 액슬 요소(9)에 안착된 베어링 장치(도 6B 참조) 상으로 당겨지는 것도 생각할 수 있으며, 그 결과 프로파일(22)이 - 임의적으로 지지체 롤러와 함께 - 액슬 요소(9)에 대해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된다.
도시된 예에서, 스트럿(22a)은 웹형(web-type) 설계이다. 다시 말해, 스트럿(22a)은 베이스(20a)와 슬리브(20b) 사이에서 도면의 평면 내로 축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원하는 탄성에 따라, 대안으로서 스트럿(22a)이 기둥형 설계가 되어 베이스(20a)를 특정 지점에서만 슬리브(20b)에 연결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6A에서, 프로파일(22)은 단면에서 별 형상의 설계를 가진다. 다시 말해, 스트럿(22a)은 베이스(20a)로부터 슬리브(20b)까지 직선으로 방사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스트럿(22a)의 다른 장치 및/또는 형상이 생각될 수 있다.
도 6B에 도시된 지지 장치(20)는 도 6A에 도시된 지지 장치에 실질적으로 대응하며, 스트럿이 스프링 장치(23)의 스프링(23a)에 의해 형성된다는 차이점이 있다. 스프링 장치(23)는 지지체 롤러(도 5 참조)와 액슬 요소(9) 사이에 방사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지지 장치(20)는,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a) 및 베이스(20a)를 둘러싸는 슬리브(20b)를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베이스(20a) 및 슬리브(20b)는 스프링(23a)에 의해 연결되고 바람직하게 스프링 장치(23)의 일부이다.
마찬가지로 도 6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20a)는 액슬 요소(9) 주위에서 베어링 장치(24) 상에 안착될 수 있으며, 지지체 롤러는 슬리브(20b)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착된다. 그러나, 대안적으로, 액슬 요소(9)가 자유롭게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는 경우, 베이스(20a)가 액슬 요소(9)에 직접적으로 그리고 회전적으로 고정된 방식으로 안착되는 것도 가능하다(도 6A 참조). 마찬가지로, 스프링 장치(23)의 스프링(23a)이 액슬 요소(9) 및/또는 지지체 롤러에 직접적으로 고정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지지 장치(20) 또는 스프링 장치(23)는 베이스(20a) 및/또는 슬리브(20b)를 가질 필요가 없다.
도 7은 프레임(51) 및 교대-압력 지지체(1)를 갖는 환자용 침대(50)의 예를 도시한다. 교대-압력 지지체(1) 및 프레임(51)은, 교대-압력 지지체(1), 특히 서로 반대편에 배치된 2개의 가이드(3a, 3b)를 갖는 가이드 장치가 프레임(51)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되는 방식으로 설계된다. 이러한 경우, 교대-압력 지지체(1)는 래칭 또는 클립 메커니즘을 가질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교대-압력 지지체(1)는 비파괴적으로 및/또는 도구 없이 분리될 수 있는 방식으로 프레임(51)에 고정될 수 있다.
1: 교대-압력 지지체
2: 지지체 요소
2a, 2b: 단부
3a, 3b: 가이드
4: 지지체 롤러
5b, 5b: 피드, 리턴
6a, 6b: 헤드 부분, 발 부분
7: 연결 요소
8: 러닝 롤러
9: 액슬 요소
10: 가이드 요소
11: 힌지 요소
12: 구동부
13: 가이드 홈
20: 지지 장치
20b, 20b: 베이스, 슬리브
21: 발포체
22: 프로파일
22a: 스트럿
23: 스프링 장치
23a: 스프링
24: 베어링 장치
50: 환자용 침대
51: 프레임
L: 길이 방향
Q: 횡 방향

Claims (15)

  1. 복수의 지지체 요소(2)와 적어도 2개의 가이드(3a, 3b)가 있는 가이드 장치를 갖는 교대-압력 지지체(1)로서,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이드(3a, 3b)는 횡 방향(Q)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체 요소(2)는 반대편 단부(2a, 2b)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체 요소(2)는 상기 가이드 장치 상에서 이들에 작용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적어도 일부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탄성 설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지지 장치(20)를 가지며, 이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20)는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축 부분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위한 베이스(20a) 및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쉘에 회전적으로 고정된 연결을 위한 슬리브(20b)를 가지고, 상기 베이스(20a)는 적어도 하나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요소에 의해 상기 슬리브(20b)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액슬 요소(4) 및 상기 액슬 요소(4)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체 롤러(9)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6. 제3항 또는 제4항 및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롤러(9)는, 적어도 일부 섹션 또는 섹션들에서, 상기 액슬 요소(4) 주위에서 원형 튜브로서 설계되고, 상기 지지 장치(20)는 상기 액슬 요소(4)와 상기 지지체 롤러(9)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장치(20)는 상기 액슬 요소(4) 상에 안착되고, 상기 지지체 롤러(9)는 상기 지지 장치(20) 상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발포체(21)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탄성적으로 변형 가능한 프로파일(21)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파일(21)은 단면에서 별 형상의 설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적어도 일부는 각각의 스프링 장치(23)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 요소(2) 각각은 액슬 요소(4) 및, 상기 반대편 단부(2a, 2b)에서, 상기 액슬 요소(4)에 탄성적으로 연결되는 각각의 가이드(3a, 3b)에 이동 가능한 장착을 위한 각각의 러닝 롤러(8)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교대-압력 지지체(1)는 교대로 상기 길이 방향(L) 및 길이 방향(L) 반대로 상기 지지체 요소(2)의 진동 움직임을 위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교대-압력 지지체(1).
  14. 프레임(51) 및 상기 프레임(51)에 의해 지지되는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대-압력 지지체(1)를 갖는, 환자용 침대(50).
  15. 특히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교대-압력 지지체(1)의 작동을 위한 방법으로서, 복수의 지지체 요소(2)는 가이드 장치의 적어도 2개의 가이드(3a, 3b)에서 이동되고, 상기 적어도 2개의 가이드(3a, 3b)는 횡 방향(Q)으로 서로 반대편에 배치되고 길이 방향(L)으로 연장되며, 상기 지지체 요소(2)는 반대편 단부(2a, 2b)에 이동 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지지체 요소(2)는 이들에 작용하는 하중을 탄성적으로 지지하는, 방법.
KR1020247007906A 2021-08-09 2022-08-08 교대-압력 지지체 및 환자용 침대, 그리고 작동을 위한 방법 KR2024004250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21120696.0 2021-08-09
DE102021120696.0A DE102021120696A1 (de) 2021-08-09 2021-08-09 Wechseldruckunterlage und Patientenbett sowie Betriebsverfahren
PCT/EP2022/072282 WO2023017003A1 (de) 2021-08-09 2022-08-08 Wechseldruckunterlage und patientenbett sowie betriebsverfahre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507A true KR20240042507A (ko) 2024-04-02

Family

ID=831933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906A KR20240042507A (ko) 2021-08-09 2022-08-08 교대-압력 지지체 및 환자용 침대, 그리고 작동을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240042507A (ko)
CN (1) CN117813071A (ko)
DE (1) DE102021120696A1 (ko)
WO (1) WO2023017003A1 (ko)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4837B2 (en) * 2000-03-30 2003-07-22 George Khait Service bed
EP2666451B1 (en) * 2012-05-24 2015-10-14 Jorge Szeinberg System and method for preventing pressure ulcer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3017003A1 (de) 2023-02-16
CN117813071A (zh) 2024-04-02
DE102021120696A1 (de) 2023-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0172B1 (en) Mattress, provided with spring elements, such as coil springs
US7578797B2 (en) System for providing lumbar motion and support
AT513357B1 (de) Auflagevorrichtung für Liege- oder Sitzeinrichtungen
RU2683365C2 (ru) Устройство с матрасом, такое как кровать, имеющее регулируемую жесткость
US3405709A (en) Reciprocating gyratory massage assembly
CN105916408A (zh) 可调节的床
JP2018502675A (ja) 着座者の閾下運動を生じさせるための事務用、作業用、及びレジャー用椅子、及び椅子又は座部面用後付けキット
JP5408744B2 (ja) マッサージ機
KR20240042507A (ko) 교대-압력 지지체 및 환자용 침대, 그리고 작동을 위한 방법
US20070027413A9 (en) Piece of furniture comprising a massage unit
CN113017326A (zh) 按摩椅
JP4919290B2 (ja) マッサージ機
US4945585A (en) Bed with rotatable rollers
US20230135395A1 (en) Variable-pressure support and patient bed, and method for operation
US11737576B2 (en) Slatted grate
CN111870448A (zh) 一种床具
US20220218113A1 (en) Piece of furniture for sitting or lying down on
KR20160132180A (ko) 능동적 대응이 가능한 가변형 휠체어
JP7403701B2 (ja) 椅子式マッサージ機
CN214760167U (zh) 一种椅子及其搁脚板组件
US20230404833A1 (en) Massage Roller Apparatus
CN212699401U (zh) 一种床具
US11998504B2 (en) Chair including percussive massage therapy
KR102152172B1 (ko) 3d 입체 직물 소재를 활용한 비공기패드형 욕창예방방석
US20230079597A1 (en) Chair including percussive massage therap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