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2367A - long laminate - Google Patents

long laminat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2367A
KR20240042367A KR1020237045351A KR20237045351A KR20240042367A KR 20240042367 A KR20240042367 A KR 20240042367A KR 1020237045351 A KR1020237045351 A KR 1020237045351A KR 20237045351 A KR20237045351 A KR 20237045351A KR 20240042367 A KR20240042367 A KR 202400423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film
adhesive layer
glass member
groove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35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타카노부 야노
타로 아사히나
Original Assignee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423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2367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formed with recesses or projections, e.g. hollows, grooves, protuberances, ri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036Heat treatment
    • B32B38/004Heat treatment by physically contacting the layers, e.g. by the use of heated platens or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CHEMISTRY; METALLURGY
    • C03GLASS; MINERAL OR SLAG WOOL
    • C03BMANUFACTURE, SHAPING, OR SUPPLEMENTARY PROCESSES
    • C03B33/00Severing cooled glass
    • C03B33/02Cutting or splitting sheet glass or ribbons; Apparatus or machines therefo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70Other properties
    • B32B2307/748Releasabil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장척 적층체는, 제1 주면 및 상기 제1 주면과는 반대 측의 제2 주면을 포함하는 장척의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제1 주면 측에 적층된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제2 주면 측에 적층된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상기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기재 필름 및 상기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상기 제1 기재 필름에는, 상기 제1 기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프레임상의(frame-shaped) 홈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The long laminat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long first base film includ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and a long first base film lamin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 glass member, a long carrier film laminated on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the first base film, and It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carrier films. In the first base film,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are formed that penetrate the first bas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gap is formed within the groove.

Description

장척 적층체long laminate

본 개시는, 예컨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에 이용되는 적층체가 복수 포함되는 장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This disclosure relates to a long laminated body including a plurality of laminated bodies used in, for example, a display panel of a flat panel display (FPD).

일반적으로, 유리 필름 등의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의 적층체는, 장척의 유리 부재의 롤과 장척의 수지 필름의 롤을 준비하고, 롤 투 롤(Roll to Roll)로 첩합하여 적층체를 형성하고,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절단에는, 예컨대, 칼날 또는 레이저광이 사용된다. 그러나, 칼날을 이용하면, 절단면의 평활성이 떨어진다. 레이저광을 이용하면, 유리 부재와 수지 필름에서, 각각에 적합한 가공 온도 등의 가공 조건이 상이하기 때문에, 쌍방을 일괄하여 깨끗하게 절단하는 것은 어렵다. 그 때문에, 먼저 수지 필름을 절단하고, 후에 유리 부재를 절단하는 방법이 제안되어 있다.Generally, a laminate of a glass member such as a glass film and a resin film is prepared by preparing a roll of a long glass member and a roll of a long resin film and bonding them together by roll to roll to form a laminate. , is formed by cutting. For cutting, for example, a blade or laser light is used. However, when a blade is used, the smoothness of the cutting surface decreases. When using a laser light, the glass member and the resin film have different processing conditions, such as processing temperature suitable for each, and therefore it is difficult to cut both pieces cleanly at the same time. Therefore, a method of first cutting the resin film and then cutting the glass member has been proposed.

예컨대, 특허문헌 1은, 두께가 100㎛ 이하인 박유리와 해당 박유리의 편측 또는 양측에 배치된 수지층을 구비하는 적층체를 할단하는 것을 포함하는, 가요성 필름의 제조 방법으로서, 해당 수지층의 외면 측으로부터 홈을 마련하는 공정과, 해당 홈을 따라 해당 적층체를 할단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홈은, 칼날이나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형성된다. 특허문헌 1에서는, 박유리에 홈을 마련하지 않도록, 홈의 깊이를, 수지층의 두께, 또는 수지층과 접착층의 합계 두께보다 작게 하고 있다.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s a method for producing a flexible film, which includes cutting a laminate including foil glass having a thickness of 100 μm or less and a resin layer disposed on one or both sides of the foil glass, the outer surface of the resin layer A manufacturing method is proposed that includes a step of providing a groove from the side and a step of cutting the laminate along the groove. The groove is formed using a blade or laser light. In Patent Document 1, the depth of the groove is made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or the total thickness of the resin layer and the adhesive layer to avoid providing grooves in the foil glass.

특허문헌 2는, 취성 재료층과 수지층이 적층된 복합재를 분단하는 방법으로서 레이저광을 상기 복합재의 분단 예정선을 따라 상기 수지층에 조사하여 수지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분단 예정선을 따른 가공 홈을 형성하는 수지 제거 공정과, 상기 수지 제거 공정 후, 초단 펄스 레이저광원으로부터 발진한 레이저광을 상기 분단 예정선을 따라 상기 취성 재료층에 조사하여 취성 재료를 제거함으로써, 상기 분단 예정선을 따른 가공 흔을 형성하는 취성 재료 제거 공정과, 상기 취성 재료 제거 공정 후, 상기 분단 예정선을 따라 외력을 가함으로써, 상기 복합재를 분단하는 복합재 분단 공정을 포함하고, 가공 흔은, 상기 분단 예정선을 따른 점선상의 관통 구멍이며, 해당 관통 구멍의 피치가 10㎛ 이하인, 복합재의 분단 방법을 제안하고 있다. 특허문헌 2에는, 취성 재료층(1)의 양측에 각각 수지층(2a, 2b)이 적층된 제3 실시형태도 기재되어 있다. 이 경우, 어느 한쪽의 수지층에 가공 홈이 형성되고, 다른 쪽의 수지층에도 가공 홈이 형성된다.Patent Document 2 is a method of dividing a composite material in which a brittle material layer and a resin layer are laminated, by irradiating a laser light to the resin layer along the division line of the composite material to remove the resin, thereby forming a processing groove along the division line. A resin removal process to form a process, and after the resin removal process, processing along the division line by irradiating laser light oscillated from an ultra-short pulse laser light source to the brittle material layer along the division line to remove the brittle material. A brittle material removal process forming a mark, and a composite dividing process of dividing the composite material by applying an external force along the division line after the brittle material removal process, wherein the processing mark is along the division line. A method for dividing composite materials is proposed, which is a through hole on a dotted line and the pitch of the through hole is 10㎛ or less. Patent Document 2 also describes a third embodiment in which resin layers 2a and 2b are laminated on both sides of the brittle material layer 1, respectively. In this case, a processing groove is formed in one of the resin layers, and a processing groove is also formed in the other resin layer.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4-159352호(청구항 1, [0036], [0041], 도 2)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4-159352 (Claim 1, [0036], [0041], Figure 2) 일본 공개특허공보 제2019-122966호(청구항 1, 도 1, [0055], 도 3)Japanese Patent Publication No. 2019-122966 (Claim 1, Figure 1, [0055], Figure 3)

유리 부재를 보유지지하는 부재(구체적으로는, 수지 필름, 또는 접착제층 및 수지 필름의 적층체 등)에, 유리 부재와의 계면까지 홈을 형성할 수 있으면, 다음 단계에서 유리 부재만을 레이저광으로 절단할 수 있다. 그러나, 홈을 형성할 때에 유리 부재에 흠집이 형성되는 것을 억제할 수 없다. 이와 같은 손상은, 유리 부재를 레이저광으로 절단할 때의 레이저광의 산란의 원인이 되어,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하는 것이 어렵다.If a groove can be formed in the member that holds the glass member (specifically, a resin film or a laminate of an adhesive layer and a resin film, etc.) up to the interface with the glass member, only the glass member is irradiated with laser light in the next step. It can be cut. However, it is not possible to suppress the formation of scratches on the glass member when forming the groove. Such damage causes scattering of the laser beam when cutting the glass member with the laser beam, making it difficult to cut the glass member cleanly.

특허문헌 1의 방법에서는, 홈을 형성할 때의 박유리에서의 손상 형성은 억제된다. 그러나, 홈이 수지층 또는 접착층과 박유리와의 계면까지 형성되어 있지 않음으로써, 수지층 또는 접착층을 제거할 필요가 생긴다. 이때에 박유리에 힘이 가하여져, 손상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와 마찬가지로, 레이저광 산란의 원인이 되어, 박유리를 깨끗하게 절단하는 것은 어렵다.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1, damage formation in the thin glass when forming the groove is suppressed. However, since the groove is not formed up to the interface between the resin layer or adhesive layer and the thin glass, it becomes necessary to remove the resin layer or adhesive layer. At this time, force is applied to the foil glass, causing damage. Therefore, similarly to the above, it causes laser beam scattering and makes it difficult to cut the thin glass cleanly.

특허문헌 2의 방법에서는, 수지층 측 및 취성 재료층 측의 쌍방으로부터 레이저광이 조사되기 때문에, 이들 층의 계면 부근에서는 레이저광에 의해 흠집이 생기기 쉽고, 품질이 저하된다. 특허문헌 2의 제3 실시형태의 경우에는, 쌍방의 수지층을 제거하지 않으면, 취성 재료층을 절단할 수 없기 때문에, 수지층을 제거할 때에 취성 재료층에 손상이 형성되어, 취성 재료층을 깨끗하게 절단하는 것이 어렵다.In the method of Patent Document 2, since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both the resin layer side and the brittle material layer side, scratches are likely to occur due to the laser light near the interface of these layers, and quality deteriorates. In the case of the third embodiment of patent document 2, since the brittle material layer cannot be cut unless both resin layers are removed, damage is formed in the brittle material layer when removing the resin layer, and the brittle material layer is It is difficult to cut cleanly.

본 개시의 일 측면은,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s:

제1 주면 및 상기 제1 주면과는 반대 측의 제2 주면을 포함하는 장척의 제1 기재 필름과,a long first base film includ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제1 주면 측에 적층된 유리 부재와,a glass member lamin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제2 주면 측에 적층된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a long carrier film laminated on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상기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층과,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상기 제1 기재 필름 및 상기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하고,It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carrier film,

상기 제1 기재 필름에는, 상기 제1 기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이 형성되며,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penetrating the first bas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상기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장척 적층체에 관한 것이다.It relates to a long laminated body in which a gap is formed in the groove.

기재 필름에 보유지지된 유리 부재의 깨끗한 절단을 가능하게 하는 장척 적층체를 제공할 수 있다.It is possible to provide a long laminate that enables clean cutting of a glass member held on a base film.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b는 도 1a의 장척 적층체를 b-b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a는 제2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b는 제3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2c는 제4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3a는 제1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홈 및 그의 근방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 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유리 부재 또는 장척 적층체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b는 제5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홈 및 그의 근방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 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유리 부재 또는 장척 적층체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c는 제6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홈 및 그의 근방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 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유리 부재 또는 장척 적층체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d는 제7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홈 및 그의 근방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 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유리 부재 또는 장척 적층체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3e는 제8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의 홈 및 그의 근방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 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유리 부재 또는 장척 적층체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도 4a는 제1 접착제층과 유리 부재의 사이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의 선(先) 스텝의 설명도이다.
도 4b는 제1 접착제층과 유리 부재의 사이의 접착력의 측정 방법의 후(後) 스텝의 설명도이다.
도 5는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6은 기재 적층체에서의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G)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장척 적층체로부터 적층체가 개편화되는 일련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8은 도 7의 (c)의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Ⅷ-Ⅷ선으로 절단한 단면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 단면도이다.
도 9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도 10은 장척 적층체로부터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제조하는 일련의 공정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공정도이다.
1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ng laminat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disclosure.
FIG. 1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long laminated body of FIG. 1A taken along line bb and viewed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 2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ong laminat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Fig. 2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ong laminat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Fig. 2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a long laminate according to the fourth embodiment.
Fig. 3A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and its vicinity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r the division of the glass member or the long laminated body by irradiation of laser light.
FIG. 3B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and its vicinity according to the fifth embodiment, or the division of the glass member or the long laminated body by irradiation of laser light.
Fig. 3C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and vicinity of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according to the sixth embodiment, or the division of the glass member or the long laminated body by irradiation of laser light.
Fig. 3D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and vicinity of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according to the seventh embodiment, or the division of the glass member or the long laminated body by irradiation of laser light.
Fig. 3E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and vicinity of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according to the eighth embodiment, or the division of the glass member or the long laminated body by irradiation of laser light.
Fig. 4A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the previous steps of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member.
Fig. 4B is an explanatory diagram of a later step in the method for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member.
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ng laminated body.
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grooves G on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base material laminate.
Figure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laminated body is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from a long laminated body.
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ed laminate with glass members in FIG. 7 (c) cut along the line VIII-VIII and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FIG. 9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ies of steps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with glass members separated into pieces from a long laminate.
Fig. 10 is a process diagram showing another example of a series of steps for manufacturing a laminate with glass members separated into pieces from a long laminate.

본 발명의 신규한 특징을 첨부의 청구범위에 기술하지만, 본 발명은 구성 및 내용의 양쪽에 관하여,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특징과 아울러, 도면을 참조한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의해 더욱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novel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scribed in the appended claims, the present invention, both in terms of structure and content, as well as other object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better understood by the following detailed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re will be.

이하, 본 개시에 관한 장척 적층체, 및 장척 적층체를 이용하여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실시형태를 들어, 순차 설명한다. 단, 실시형태는 예시이며, 본 개시에 관한 장척 적층체 및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이하의 실시형태만으로 한정되지 않는다.Hereinafter, the long-length laminated body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and the method of manufacturing a laminated body with separate glass members using the long-length laminated body will be sequential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However, the embodiment is an example, and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elongated laminated body and the individually divided laminated body with glass members according to the present disclosure is not limited only to the following embodiments.

본 명세서 중, 수시로 '평행'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반드시 엄밀히 평행일 필요는 없고, 한쪽과 다른 쪽이, 예컨대, 10° 미만(혹은 5° 미만)인 각도를 갖는 정도로 평행한 배치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 마찬가지로, 수시로 '수직'이라는 용어를 사용하는데, 반드시 엄밀히 수직일 필요는 없고, 한쪽과 다른 쪽이, 예컨대 80° 이상 100° 이하(혹은 85° 이상 95° 이하)인 각도를 갖는 정도로 수직인 배치로부터 어긋나 있어도 된다.In this specification, the term 'parallel' is used from time to time, but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strictly parallel, and one side and the other may deviate from the parallel arrangement to the extent of having an angle of, for example, less than 10° (or less than 5°). do. Likewise, the term 'vertical' is often used to refer to an arrangement that is not necessarily strictly vertical, but is vertical to the extent that one side and the other have an angle that is, for example, greater than 80° but less than 100° (or greater than 85° but less than 95°). It may deviate from .

도면을 참조하는 경우, 각 도면에서, 각 구성 요소의 형상 또는 치수는, 실제와 동일한 축척비로 나타낸 것은 아니다. 각 구성 요소의 특징을 명확히 하기 위하여, 이들의 치수의 상대적인 관계성은, 모식적 또한 강조하여 나타내고 있다.When 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shape or dimensions of each component in each drawing are not shown at the same scale as the actual figure. In order to clarify the characteristics of each component, the rel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ir dimensions is schematically and emphatically shown.

[장척 적층체][Long Laminate]

본 개시의 일 측면에 관한 장척 적층체는, 유리 부재를 포함하는 적층체를 포함하고 있으며, 적어도 이 적층체 부분을 분할하여, 복수의,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제조하는 것에 유용하다. 환언하면, 장척 적층체는, 복수의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제조하는 경우의 중간체이다.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는, 예컨대, FPD의 표시 패널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로서 유용하다. FPD란, 대표적으로는 유기 EL 표시 장치 등의 박형의 화상 표시 장치를 말한다. 그러나, FPD는 이와 같은 구체예로 한정되지 않는다.The elongated laminat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disclosure includes a laminate including a glass member, and is useful for producing a plurality of separate laminates with glass members by divid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aminate. . In other words, the elongated laminate is an intermediate product in the case of manufacturing a plurality of separate laminates with glass members. The laminate with separated glass members is useful as an optical laminate used in, for example, an FPD display panel. FPD typically refers to a thin image display device such as an organic EL display device. However, FPD is not limited to these specific examples.

장척 적층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 완성되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되고, 롤 투 롤 방식으로 다른 공정(또는 단계)에 공급되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되고, 장척 적층체를 처리하는 단계(적어도 유리 부재를 개편화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단계 등)에 공급되어도 된다. 장척 적층체로서 완성하기 전의 중간체도,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 취급되어도 된다. 중간체는,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되고, 롤 투 롤 방식으로 장척 적층체를 얻기 위한 공정에 공급되어도 된다.The long laminated body may be completed in a rolled state. The long laminated body may be unwound from a roll-shaped state and supplied to another process (or step) in a roll-to-roll manner. The long laminated body may be unwound from a roll-shaped state and supplied to a step of processing the long laminated body (a step including at least a step of separating the glass member into individual pieces, etc.). The intermediate body before completion as a long laminated body may also be handled in a state wound into a roll. The intermediate body may be unwound from a roll-shaped state and supplied to a process for obtaining a long laminate by a roll-to-roll method.

롤 투 롤 방식이란, 장척 적층체 혹은 장척 적층체로서 완성하기 전의 중간체를 취급할 때의 하나의 방식이다. 롤 투 롤 방식에서는,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롤상으로 감긴 상태로부터 권출하거나,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롤상으로 권취하거나 하는 것을 포함한다. 롤 투 롤 방식에서는,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권출하는 권출부와, 장척 적층체 혹은 중간체를 권취하는 권취부가 이용된다.The roll-to-roll method is a method for handling long-length laminates or intermediate products before completion as long-length laminates. The roll-to-roll method includes unwinding a long laminated body or intermediate body from a roll-shaped state, or winding the long laminated body or intermediate body into a roll shape. In the roll-to-roll method, an unwinding unit for unwinding a long laminated body or an intermediate body and a winding unit for winding a long laminated body or an intermediate body are used.

장척 적층체는, 장척의 제1 기재 필름과, 제1 기재 필름을 끼우도록 적층된 유리 부재 및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제1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층과, 제1 기재 필름과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제1 기재 필름은, 제1 주면 및 상기 제1 주면과는 반대 측의 제2 주면을 포함한다.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 측에는 유리 부재가 적층되고, 제2 주면 측에는 캐리어 필름이 적층되어 있다.The long laminate includes a long first base film, a glass member laminated so as to sandwich the first base film, a long carrier film,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and 1 It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base film and the carrier film. To explain more specifically, the first base film includes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main surface. A glass member is lamin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nd a carrier film is laminated on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제1 주면 및 제2 주면은, 장척의 제1 기재 필름의 표면 전체의 대부분을 차지하는 표리(表裏) 한 쌍의 표면이다. 제1 기재 필름은, 제1 주면 및 제2 주면에 더하여, 이들 주면을 연결하여, 제1 기재 필름의 바깥 둘레를 확정하는 측면(또는 단면(端面))을 포함하고 있다.The first main surface and the second main surface are a pair of front and back surfaces that occupy most of the entire surface of the elongated first base film. In addition to the first and second main surfaces, the first base film includes a side surface (or end face) that connects these main surfaces and defines the outer perimeter of the first base film.

본 개시의 장척 적층체에서는, 제1 기재 필름에서, 제1 기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홈은, 제1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를 적층하기 전에 형성된다. 그 때문에, 종래 기술의 적층 후에 홈을 형성하는 경우와는 달리, 유리 부재의 표면까지 홈이 형성된 상태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종래 기술과 같이 홈을 형성할 때에 유리 부재에 흠집이 생기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홈은, 유리 부재와의 적층에 앞서 형성된다. 그 때문에, 홈을 포함하는 상태의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도막과 접촉하도록 유리 부재가 제1 기재 필름에 적층된다. 그 때문에, 홈 내에, 제1 접착제가 침입하고, 경화에 의해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홈 내에는 공극이 형성되도록 한다. 그 때문에, 홈 내에,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않았거나, 형성되었다고 하여도, 제1 접착제층의 두께가 작거나 한다. 따라서,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리 부재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음과 함께, 홈 내의 제1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에 의해서도, 레이저광이 홈을 통과함으로써, 홈 내의 제1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고, 유리 부재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이들의 결과, 제1 기재 필름에 보유지지된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In the elongated lamin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penetrating the first bas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And, a gap is formed within the groove. Such grooves are formed before laminating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Therefore, unlike the case of forming grooves after lamination in the prior art, it is possible to have grooves formed all the way to the surface of the glass member. In addition, it is possible to suppress scratches on the glass member when forming grooves as in the prior art. The groove is formed prior to lamination with the glass member. Therefore,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in a state including grooves, and the glass member is laminated on the first base film so as to contact the coating film. Therefore, there are cases where the first adhesive penetrates into the groove and hardens to form a first adhesive layer. However, in the present disclosure, a gap is formed within the groove. Therefor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in the groove, or even if it is forme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small. Therefore, by irradiating the laser light from the glass member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the glass member can be easily cut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can be easily removed. In addition, by irradiating laser light from the first base film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 the laser light passes through the groove, so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can be easily removed, and the glass member can be easily cut. As a result of these, the glass member held by the first base film can be cut cleanly.

또한, 본 명세서 중, '홈 내'에는,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端)과 유리 부재의 사이의 부분도 포함하는 경우가 있다. 환언하면,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端)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를 단순히 홈 내로 칭하는 경우가 있다. 즉, 본 개시에서는,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의 적어도 한쪽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상태란, 이들의 부분이 제1 접착제층으로 완전히 메워진 상태가 아닌 것을 의미한다. 이와 같은 상태는, 예컨대,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위치를 조정하거나(예컨대, 제1 주면의 홈 이외의 부분에만 도포하거나), 제1 접착제의 점도 또는 도포량을 조절하거나 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inside the groove' may also include a portion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In other words, the space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and the inside of the groove may simply be referred to as the inside of the groove. That is, in the present disclosu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grooves. The state in which voids are formed in the groove means that these parts are not completely filled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This state can be achieved, for example, by adjusting the position at which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for example, applying it only to parts other than the grooves on the first main surface), or by adjusting the viscosity or application amount of the first adhesive.

제1 기재 필름은, 제1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캐리어 필름에 보유지지되고 있다. 제1 점착제층은, 유동성을 갖는 제1 점착제로 구성되어 있으며, 제1 접착제층 등의 접착제층과는 달리, 캐리어 필름과 함께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주면 측으로부터), 홈 내의 제1 접착제층에, 또는 홈을 통과하여 유리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는,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 후에 행하면 유리하다. 이 경우, 홈 내의 제1 접착제층을 보다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음과 함께, 제1 기재 필름에 보유지지된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The first base film is held by the carrier film via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 first adhesive having fluidity, and unlike adhesive layers such as the first adhesive layer, it can be easily removed together with the carrier film. Therefore, when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first base film side (more specifically,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to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or to the glass member through the groove,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It is advantageous to do this after removing the adhesive layer. In this case,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can be removed more easily and the glass member held by the first base film can be cut cleanly.

유리 부재에는, 제1 기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에 제2 기재 필름이 적층되어 있어도 된다. 제2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는, 제2 점착제층 또는 제2 접착제층이 개재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도 본 개시의 장척 적층체에 포함된다. 이 경우에는,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서, 유리 부재 측(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제2 기재 필름과 제2 점착제층(또는 제2 접착제층)에 조사하여, 이들을 절단한다. 이 부분에서는, 유리 부재와 제2 점착제층 또는 제2 접착제층이 접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 기술과 마찬가지의 문제가 생기기 쉽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 후에, 제1 기재 필름의 제2 주면 측으로부터, 홈을 통과하여 유리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 부재의 제1 기재 필름과의 계면에서는 유리 부재의 손상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어,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 또한,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제2 주면 측으로부터 홈을 통과하여 레이저광을 조사시켰을 때에도, 홈 내의 제1 접착제층을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장척 적층체가 제1 기재 필름 및 제2 기재 필름에 유리 부재가 협지된 적층체의 상태에서도,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의 고도한 제어가 필요 없고, 유리 부재의 깨끗한 절단이 가능하다.A second base film may be laminated on the glass member on the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base film side. A second adhesive layer or a second adhes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Such a configuration is also included in the elongated lamin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In this case,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 the laser light is applied from the glass member sid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ase film side) to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 and cut them. In this part, since the glass member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in contact, problems similar to those in the prior art are likely to occur. However, in the present disclosure, after removing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the laser light can be irradiat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to the glass member through the groove. Therefore, the formation of damage to the glass member can be suppressed at the interface of the glass member with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can be cut cleanly. Additionally, since a gap is formed in the groove,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can be easily removed even when a laser beam is irradiated through the groove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Therefore, even when the long laminate is a laminate in which a glass member is sandwiched between a first base film and a second base film, high-level control of the laser light irradiation conditions is not required, and the glass member can be cut cleanly.

본 개시에서는, 제1 기재 필름에는 미리 홈이 형성되고, 제2 기재 필름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제2 기재 필름은 유리 부재와는 별도 절단된다. 즉, 기본적으로는, 유리 부재만을 레이저광으로 절단하면 된다. 그 때문에, 종래의 기재 필름과 유리 필름의 적층체를 레이저광으로 한번에 절단하는 경우에 비하면, 본 개시에서는, 유리 부재에 적합한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 등의 제어가 용이해지고, 유리 필름을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grooves are formed in advance in the first base film, and when providing the second base film, the second base film is cut separately from the glass member. That is, basically, only the glass member needs to be cut with a laser beam. Therefore, compared to the case where the conventional laminate of the base film and the glass film is cut at once with a laser beam, in the present disclosure, it becomes easy to control the irradiation conditions of the laser beam suitable for the glass member, and the glass film can be cut cleanly. there is.

이하, 장척 적층체의 구성 요소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omponents of the elongated laminate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제1 기재 필름)(First base film)

본 개시에서는, 제1 기재 필름에, 제1 기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프레임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다. 이 홈은, 유리 부재와 제1 기재 필름의 적층에 앞서 형성되어 있다.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을 향하여 레이저광을 방사하면, 제1 기재 필름에는 조사되지 않고, 유리 부재에 조사되기 때문에,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In the present disclosure, a frame-shaped groove penetrating the first bas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is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This groove is formed prior to lamination of the glass member and the first base film. When the laser light is radiated toward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 it is not irradiated to the first base film but is irradiated to the glass member, so the glass member can be cut cleanly.

프레임상의 홈은, 제1 기재 필름에 복수 형성되어 있다. 홈은, 장척의 제1 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기재 필름의 폭 방향으로는, 프레임상의 홈은, 하나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폭 방향을 따라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그러나, 이들 경우로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제1 기재 필름의 길이 방향을 따르도록 형성된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의 복수의 열이, 인접하는 열에서 어긋나도록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제1 기재 필름에서 프레임상의 홈의 배열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frame are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elongated first base film.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one frame-shaped groove may be formed, or a plurality of grooves may be formed along the width direction.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cases, and for example, a plurality of rows of grooves on a plurality of frames formed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may be formed so as to be shifted from adjacent rows. The arrangement of grooves on the frame in the first b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홈은, 제1 기재 필름이, 제1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캐리어 필름으로 보유지지된 상태에서 형성된다. 제1 기재 필름을 제1 주면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홈의 형상은, 프레임상이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제1 기재 필름을 제1 주면 측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프레임의 형상은, 예컨대, 직사각형상이어도 된다. 직사각형상이란, 대표적으로는 정방형 혹은 장방형의 형상을 의미하지만, 엄밀한 정방형 혹은 장방형일 필요는 없다. 예컨대, 직사각형의 각부가 R 모따기 되어 둥글게 되어 있어도 되고, 각부가 C 모따기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직사각형의 4개의 변은, 직선이 아니어도 되고, 다소의 굴곡이나 요철을 갖는 선으로 형성되어도 된다. 그 외에, 프레임은, 평행 사변형, 능형, 원형, 타원형 등, 용도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The groove is formed while the first base film is held by a carrier film via a first adhesive layer. When the first base film is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the shape of the groo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s long as it is frame-like, and can take various shapes. When the first base film is viewed from the first main surface side, the shape of the frame may be, for example, rectangular. Rectangular shape typically means a square or rectangular shape, but it does not necessarily have to be a strict square or rectangular shape. For example, the rectangular corners may be rounded by R-chamfering, or the corners of the rectangle may be C-chamfered. Additionally, the four sides of the rectangle do not have to be straight lines, and may be formed as lines with some curves or irregularities. In addition, the frame may have various shapes depending on the application, such as a parallelogram, rhomboid, circle, or oval.

홈을 형성한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접착제에 접촉하도록 유리 부재가 적층된다. 그 때문에, 제1 접착제가 홈 내에 침입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홈은 어느 정도의 폭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폭은, 5mm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7mm 이상 또는 10mm 이상이어도 된다. 홈의 폭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홈의 배열 또는 비용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면 된다. 홈의 폭은, 예컨대, 20mm 이하이어도 된다. 홈의 폭이란, 임의로 선택한 복수(예컨대, 5개)의 홈의 각각에서, 최소의 폭의 평균값이다.A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in which the grooves are formed, and a glass member is laminated so as to contact the first adhesive. Therefore, there are cases where the first adhesive penetrates into the groove. Even in this case, it is desirable for the groove to have a certain width so that a gap is formed within the groove. The width of the groove is preferably 5 mm or more, and may be 7 mm or more or 10 mm or more. The upper limit of the groove width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determined by considering the arrangement of the grooves or cost. The width of the groove may be, for example, 20 mm or less. The width of the groove is the average value of the minimum width in each of a plurality of grooves (for example, five) selected arbitrarily.

홈 내에 침입한 제1 접착제는, 경화에 의해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본 개시에서는, 홈을 형성한 후에 제1 접착제를 제1 기재 필름에 도포하기 때문에, 홈 내에 침입한 제1 접착제가, 홈에서의 제1 기재 필름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제1 접착제가 경화되면, 홈에서는, 제1 기재 필름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제1 접착제층으로 피복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은 상태가 관찰되면, 홈이 제1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와의 적층보다도 전에 형성된 것을 파악할 수 있다. 또한, 홈 내에 형성된 제1 접착제층이, 제1 기재 필름의 단면을 덮도록 형성되어 있을뿐, 이 제1 접착제층의 내측에는 프레임상의 공간이 유지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공간을 이용하여, 홈을 통과하도록 레이저광을 제2 주면 측으로부터 조사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경우, 제1 접착제층을 레이저광으로 깎아 제1 기재 필름을 분할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유리하다.The first adhesive that penetrates into the groove forms a first adhesive layer by curing. In the present disclosure, since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base film after forming the groove, the first adhesive that penetrates into the groove may cover at least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in the groove. In this case, when the first adhesive is cured, in the groove, at least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is covered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When such a state is observed, it can be seen that the groove was formed before lamination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In addition,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in the groove is formed so as to cover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and a space on the frame is maintained inside this first adhesive layer, this space is used to form the groove. It is also possible to irradiate the laser light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so that it passes through. In this case, it is advantageous because there is no need to split the first base film by cutting the first adhesive layer with a laser beam.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는, 홈의 폭 방향을 따라 유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는 바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홈 내에는, 홈의 폭 방향으로 홈의 적어도 일부를 막는 바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은, 홈으로 분할한 제1 기재 필름을 재차 연결해 버리기 때문이다. 또한, 제1 기재 필름의 제2 주면 측으로부터 홈을 통과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경우에도, 유리 부재에 직접 조사하기 어렵다. 그 때문에, 이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작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의 최소 두께는, 0㎛ 이상 3㎛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0㎛ 이상 2㎛ 이하이어도 된다. 또한,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의 쌍방에 제1 접착제층이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 제1 접착제층의 최소 두께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의 적어도 한쪽에 형성된 제1 접착제층이 복수로 분단되어 있는 경우에는, 합계의 두께가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 홈의 폭 방향을 따라 유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접착제층, 및, 홈 내에, 홈의 폭 방향으로 홈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형성되는 제1 접착제층의 최소 두께란, 홈의 깊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최소 길이이다. 그 때문에, 홈 내에, 프레임상의 공간을 유지한 상태에서, 제1 기재 필름의 단면을 피복하는 제1 접착제층의 두께와는 무관계이며, 이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의 두께(홈의 깊이 방향과 평행한 방향의 최소 길이)를 상기 범위로 할 필요는 없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covering at least part of the glass memb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is not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groove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and the glass member.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in the groove to block at least part of th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This is because such a first adhesive layer reconnects the first base film divided by the grooves. Moreover, even when the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through the groove, it is difficult to irradiate it directly to the glass member. Therefore, it is preferable that the thickness of this first adhesive layer is smaller. The minimum thickness of such a first adhesive layer is preferably 0 μm or more and 3 μm or less, and may be 0 μm or more and 2 μm or less. In addition,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ontinuously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and both within the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minimum thickness of this first adhesive layer is within the above range.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end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and at least one of the grooves is divided into plural pieces, the total thickness is preferably within the above range. A first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to cover at least part of the glass memb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and within the groove, at least part of th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to block is the minimum length in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groove. Therefore, while maintaining the space on the frame within the groove, it is unrelated to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covering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thickness of this first adhesive layer (parallel to the depth direction of the groove) The minimum length in one direction) does not need to be within the above range.

제1 기재 필름은, 예컨대, 수지로 구성되는 수지 필름이다. 제1 기재 필름은,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다층 필름은, 2층 이상의 수지 필름의 적층체이다.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의 수지 필름은, 직접 접합하고 있어도 되고, 각 층의 수지 필름 사이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으로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base film is, for example, a resin film made of resin. The first base film may be a single-layer film or a multilayer film. A multilayer film is a laminate of two or more layers of resin films. The resin films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may be bonded directly, and the resin films of each layer may be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이어도 되고, 열경화성 수지이어도 된다. 열가소성 수지의 예는, 폴리에테르설폰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아크릴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시클로올레핀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아미드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및 폴리에테르이미드계 수지이다.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의 예는, 방향족 폴리에스테르계 수지(폴리알킬렌아릴레이트 수지 등)이다. 폴리알킬렌아릴레이트 수지의 예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부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이다. 시클로올레핀계 수지의 예는, 노보넨계 수지이다. 열경화성 수지의 예는, 에폭시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실리콘계 수지이다. 그러나, 이들 수지는, 단순한 예시이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는,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 수지 필름은 1종의 수지를 포함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를 조합하여 포함하여도 된다.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은, 1종의 수지를 포함하여도 되고, 2종 이상의 수지를 조합하여 포함하여도 된다.Th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film may be a thermoplastic resin or a thermosetting resin. Examples of thermoplastic resins include polyethersulfone-based resin, polycarbonate-based resin, acrylic resin, polyester-based resin, polyolefin-based resin, cycloolefin-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polyimide-based resin, These are polyarylate-based resin, polysulfone-based resin, and polyetherimide-based resin. An example of a polyester resin is an aromatic polyester resin (polyalkylene arylate resin, etc.). Examples of polyalkylene arylate resins are polyethylene terephthalate resin, polybutylene terephthalate resin, and polyethylene naphthalate resin. An example of a cycloolefin-based resin is norbornene-based resin. Examples of thermosetting resins are epoxy-based resins, urethane-based resins, and silicone-based resins. However, these resins are mere examples, and the resins constituting the resin film are not limited to these. The resin film may contain one type of resin, or may conta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resin. Each 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may contain one type of resin, or may contain a combination of two or more types of resin.

제1 기재 필름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1.5GPa 이상 10GPa 이하이고, 1.8GPa 이상 9GPa 이하이어도 되며, 1.8GPa 이상 8GPa 이하이어도 된다. 제1 기재 필름의 저장 탄성률이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유리 부재를 지지함과 함께 보호하는 효과가 높아,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제조할 때의 생산성이 보다 향상된다. 저장 탄성률은 동적 점탄성 측정을 행함으로써 구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저장 탄성률을 나타내기 쉬운 점에서, 제1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수지가 바람직하다. 제1 기재 필름으로서 다층 필름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유리 부재 측의 층의 저장 탄성률이 상기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base film at 25°C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for example, 1.5 GPa or more and 10 GPa or less, 1.8 GPa or more and 9 GPa or less, or 1.8 GPa or more and 8 GPa or less. When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base film is in this range, the effect of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glass member is high, and productivity when manufacturing a laminate with separate glass members is further improved. The storage modulus can be determined by performing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ement. Since it tends to exhibit such a storage modulus, polyethylene terephthalate (PET) resin is preferable as the resin constituting the first base film. When using a multilayer film as the first base film, it is preferable that the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layer on the glass member side is in the above range.

제1 기재 필름은, 상기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다층 필름으로서는, 광학 필름과 기재 필름(상기 수지 필름 등)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이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광학 필름을 포함하는 다층 필름이어도 되며, 1층 또는 2층 이상의 광학 필름과 세퍼레이터를 포함하는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각 필름은, 직접 접합하고 있어도 되고,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The first base film is not limited to the above, and may be, for example, a multilayer film containing an optical film. Such a multilayer film may be a multilayer film containing an optical film and a base film (such as the above resin film), may be a multilayer film containing two or more layers of an optical film, or may be a multilayer film containing one or two or more layers of an optical film and a separator. It may be a multilayer film. Each film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may be bonded directly, or may be bonded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광학 필름이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편광판, 위상차판, 등방성 필름을 말한다. 광학 필름을 구성하는 재료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올레핀계 수지, 환상 올레핀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셀룰로오스계 수지,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폴리에테르계 수지, 폴리스티렌계 수지, (메트)아크릴계 수지, (메트)아크릴우레탄계 수지, 폴리설폰계 수지, 아세테이트계 수지, 에폭시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를 들 수 있다. 광학 필름은, 산화금속 필름(금속 필름, ITO 필름 등), 금속 필름과 수지 필름의 적층 필름이어도 된다.The optical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but includes, for example, a polarizing plate, a retardation plate, and an isotropic film. Materials constituting the optical film include, for example,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olyolefin-based resin, cyclic olefin-based resin, polycarbonate-based resin, cellulose-based resin, polyester-based resin, polyvinyl alcohol-based resin, polyamide-based resin, and polyester resin. Examples include mead-based resin, polyether-based resin, polystyrene-based resin, (meth)acrylic resin, (meth)acrylic urethane-based resin, polysulfone-based resin, acetate-based resin, epoxy-based resin, and silicone-based resin. The optical film may be a metal oxide film (metal film, ITO film, etc.) or a laminated film of a metal film and a resin film.

세퍼레이터로서는, 예컨대, 기재 시트와 기재 시트의 적어도 한쪽의 주면에 배치된 박리제를 구비하는 박리 시트가 이용된다. 기재 시트는, 예컨대, 제1 기재 필름으로서 예시한 수지 필름과 마찬가지의 재료를 임의로 선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박리제로서는, 공지의 박리제(예컨대, 실리콘계 박리제, 불소계 박리제)를 들 수 있다.As a separator, for example, a release sheet provided with a base material sheet and a release agent disposed on at least one main surface of the base sheet is used. For the base sheet, for example, a material similar to the resin film exemplified as the first base film can be arbitrarily selected and used. Examples of the release agent include known release agents (eg, silicone-based release agents and fluorine-based release agents).

제1 기재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5㎛ 이상 300㎛ 이하이다. 제1 기재 필름이 단층 필름인 경우에는, 두께는, 예컨대, 5㎛ 이상 60㎛ 이하이고, 5㎛ 이상 50㎛ 이하이어도 되며, 10㎛ 이상 40㎛ 이하이어도 된다. 제1 기재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에는, 두께는, 예컨대, 10㎛ 이상 300㎛ 이하이고, 30㎛ 이상 200㎛ 이하이어도 된다.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각 층의 두께는, 다층 필름의 두께가 이와 같은 범위가 되도록 조절된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base film is, for example, 5 μm or more and 300 μm or less. When the first base film is a single-layer film, the thickness may be, for example, 5 μm or more and 60 μm or less, 5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or 10 μm or more and 40 μm or less. When the first base film is a multilayer film, the thickness may be,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300 μm or less, and may be 3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The thickness of each layer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is adjust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multilayer film is within this range.

또한, 본 명세서 중, 각 적층체의 구성 요소의 두께는,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임의의 복수 개소(예컨대, 5개소)에 대하여 측정한 두께의 평균값이다.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thickness of the component of each laminate is the average value of the thickness measured at a plurality of arbitrary locations (for example, 5 locations), unless otherwise specified.

(유리 부재)(no glass)

유리 부재로서는, 예컨대, 유리 필름이 이용된다. 유리 필름은, 일반적으로, 박유리로 칭해지는 경우도 있다. 유리 부재는, 균일한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As a glass member, for example, a glass film is used. Glass film is generally sometimes referred to as thin glass. The glass member preferably has a uniform thickness.

박유리 등의 유리 필름은, 높은 유연성을 갖고, 롤상으로 공급되는 경우도 있다. 그 때문에, 장척 적층체에는, 장척의 유리 부재(유리 필름 등)를 이용하여도 된다. 이 경우, 롤 투 롤 방식으로 제1 기재 필름 위에 유리 부재를 적층할 수 있기 때문에 간편하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하지 않고, 예컨대, 대판의 유리 부재를, 제1 기재 필름 위에, 늘어놓아 적층하여도 된다. 대판의 유리 부재를 복수 이용하는 경우에는, 모두 같은 유리 부재이어도 되고, 상이한 유리 부재를 목적에 따라 상이한 위치에 배치하여도 된다. 대판의 유리 부재를 이용하는 경우, 프레임상의 홈의 사이즈보다도, 한쪽 주면의 면적이 큰 유리 부재가 이용된다.Glass films such as foil glass have high flexibility and are sometimes supplied in roll form. Therefore, a long glass member (glass film, etc.) may be used in the long laminated body. In this case, it is convenient because the glass member can be laminated on the first base film using a roll-to-roll method.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for example, the glass members of the base plate may be laminated in a row on the first base film. When using multiple glass members of the base plate, all of them may be the same glass members, or different glass members may be arranged at different positions depending on the purpose. When using a glass member for a base plate, a glass member with an area of one main surface larger than the size of the groove on the frame is used.

유리 부재를 구성하는 유리의 조성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의 예는, 소다 석회 유리, 붕산 유리, 알루미노 규산 유리, 및 석영 유리이다. 유리는 무알칼리 유리이어도 되고, 저알칼리 유리이어도 된다. 유리의 알칼리 금속 성분(예컨대, Na2O, K2O, Li2O)의 합계 함유량은, 예컨대, 15질량% 이하이고, 10질량% 이하이어도 된다.The composition of the glass constituting the glass memb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Examples of glass are soda lime glass, boric acid glass, aluminosilicate glass, and quartz glass. The glass may be alkali-free glass or low-alkali glass. The total content of alkali metal components (for example, Na 2 O, K 2 O, Li 2 O) of the glass is, for example, 15 mass% or less, and may be 10 mass% or less.

유리 부재의 두께는, 예컨대, 100㎛ 이하이고, 10㎛ 이상 60㎛ 이하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glass member is, for example, 100 μm or less, and may be 10 μm or more and 60 μm or less.

유리 부재의 밀도는 예컨대, 2.3g/cm3 이상 3.0g/cm3 이하이고, 2.3g/cm3 이상 2.7g/cm3 이하이어도 된다.The density of the glass member may be, for example, 2.3 g/cm 3 or more and 3.0 g/cm 3 or less, and may be 2.3 g/cm 3 or more and 2.7 g/cm 3 or less.

유리 부재는 임의의 적절한 방법으로 제조된다. 대표적으로는, 유리 필름은, 주원료인 세라믹스(실리카, 알루미나 등)와, 소포제(망초, 산화 안티몬 등)와, 환원제(카본 등)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1400℃ 이상 1600℃ 이하의 온도에서 용융하고, 필름상으로 성형한 후, 냉각하여 제작된다. 유리 필름의 성형 방법으로서는, 예컨대, 슬롯 다운 드로법, 퓨전법, 플로트법을 들 수 있다. 이들 방법에 의해 얻어진 유리 필름은, 가일층의 박판화 혹은 표면과 단부의 평활성의 향상을 위하여, 필요에 따라서 불산 등의 용제에 의해 화학 연마되어도 된다.The glass member is manufactured by any suitable method. Typically, glass films are made by melting a mixture containing ceramics (silica, alumina, etc.) as the main raw material, an antifoaming agent (corrosion, antimony oxide, etc.), and a reducing agent (carbon, etc.) at a temperature of 1400°C or higher and 1600°C or lower. It is produced by forming it into a film and then cooling it. Examples of glass film forming methods include the slot down draw method, fusion method, and float method. The glass film obtained by these methods may be chemically polished with a solvent such as hydrofluoric acid as needed in order to further thin the film or improve the smoothness of the surface and edges.

유리 부재의 표면은, 유리 부재와 접촉하는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표면 처리를 실시하여도 된다. 표면 처리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코로나 처리, 플라즈마 처리, 커플링 처리 등을 들 수 있다.The surface of the glass member may be subjected to surface treatment in order to improve adhesion with the adhesive layer or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in contact with the glass member. The surface treatmen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corona treatment, plasma treatment, and coupling treatment.

또한, 필요에 따라서, 유리 부재의 제1 기재 필름과는 반대 측의 표면층에는, 적어도 일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표면 코트층을 마련하여도 된다.Additionally, if necessary, a surface coating layer having various functions may be provided on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first base film of the glass member.

표면 코트층으로서는, 예컨대, 내지문 코트층, 하드 코트층, 반사 방지층, 방현층, 방오층, 스티킹 방지층, 색상 조정층, 대전 방지층, 이접착층, 성분 석출 방지층, 충격 흡수층, 비산 방지층을 들 수 있다. 표면 코트층은 다양한 재료로 구성될 수 있는데, 예컨대, 내지문 코트층은 예컨대, 불소 수지, 실리콘 수지 등을 포함한다. 그 외의 표면 코트층은, 예컨대, 아크릴계 코팅제, 멜라민계 코팅제, 우레탄계 코팅제, 에폭시계 코팅제, 실리콘계 코팅제, 무기계 코팅제 등으로 형성된다. 코팅제에는, 실란 커플링제, 착색제, 염료, 안료, 충전제, 계면활성제, 가소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산화방지제, 광 안정제, 자외선 흡수제, 중합 금지제, 방오재 등의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surface coat layer include an anti-fingerprint coat layer, a hard coat layer, an anti-reflection layer, an anti-glare layer, an anti-fouling layer, an anti-sticking layer, a color adjustment layer, an anti-static layer, an easy adhesion layer, an anti-component precipitation layer, a shock absorption layer, and an anti-scattering layer. You can. The surface coat layer may be made of various materials. For example, the anti-fingerprint coat layer includes, for example, fluorine resin, silicone resin, etc. Other surface coat layers are formed of, for example, an acrylic coating agent, a melamine coating agent, a urethane coating agent, an epoxy coating agent, a silicone coating agent, an inorganic coating agent, etc. Coating agents may include additives such as silane coupling agents, colorants, dyes, pigments, fillers, surfactants, plasticizers, antistatic agents, surface lubricants, leveling agents, antioxidants, light stabilizers, ultraviolet absorbers, polymerization inhibitors, and antifouling agents. You can.

표면 코트층은, 장척 적층체의 상태로 형성하여도 되고, 필요에 따라서, 유리 부재를 개편화한 후에 형성하여도 된다. 또한, 유리 부재에, 장척 적층체의 형성에 앞서,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여도 된다.The surface coat layer may be formed in the form of a long laminate, or, if necessary, after the glass members are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Additionally, a surface coat layer may be formed on the glass member prior to forming the elongated laminate.

(캐리어 필름)(Carrier film)

장척의 캐리어 필름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수지 필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예컨대, 제1 기재 필름의 수지 필름에 대하여 예시한 수지로부터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반송성 및 강도 등을 고려하면, PET 수지제의 필름 등이 바람직하다.The long carrier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made of, for example, a resin film. The resin constituting the resin film can be arbitrarily selected, for example, from the resins exemplified for the resin film of the first base film. Considering transportability and strength, etc., films made of PET resin are preferable.

캐리어 필름의 두께는, 예컨대, 10㎛ 이상 200㎛ 이하이고, 30㎛ 이상 150㎛ 이하이어도 되며, 40㎛ 이상 100㎛ 이하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carrier film may be, for example, 10 μm or more and 200 μm or less, 30 μm or more and 150 μm or less, and 40 μm or more and 100 μm or less.

(제2 기재 필름)(Second base film)

장척 적층체는, 추가로 장척의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2 기재 필름은, 유리 부재의 제1 기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에 적층된다.The long laminate may further include a long second base film. The second base film is lamina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glass member on the opposite side to the first base film.

제2 기재 필름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의 용도에 따라서 선택하여도 되고, 유리 부재를 보호하기 위한 보호 필름이어도 된다. 제2 기재 필름은, 제1 기재 필름에 대하여 예시한 수지 필름, 광학 필름 등으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 제2 기재 필름은, 단층 필름이어도 되고, 다층 필름이어도 된다. 제2 기재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 각 층은 직접 접합하고 있어도 되고, 접착제층 또는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접착하고 있어도 된다. 홈 이외의 내용에 대해서는, 제1 기재 필름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2 기재 필름의 탄성률은, 제1 기재 필름의 탄성률에 대하여 기재한 범위로 설정하여도 된다.The second base film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selected depending on the purpose of the individualized laminate with glass members, and may be a protective film for protecting the glass member. The second base film can be selected from the resin films, optical films, etc. exemplified for the first base film. The second base film may be a single-layer film or a multilayer film. When the second base film is a multilayer film, each layer may be bonded directly or may be bonded through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For contents other than the groov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base film. The elastic modulus of the second base film may be set in the range described for th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base film.

제2 기재 필름의 유리 부재와는 반대 측의 표면층의 적어도 일부에는, 필요에 따라서, 다양한 기능을 갖는 표면 코트층을 마련하여도 된다. 표면 코트층으로서는, 유리 부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표면 코트층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상기한 것 이외에, 예컨대, 제2 기재 필름에, 장척 적층체의 형성에 앞서,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여도 된다.If necessary, a surface coating layer having various functions may be provided on at least a part of the surface layer on the side opposite to the glass member of the second base film. As the surface coat layer,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surface coat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lass member. In addition to the above, for example, a surface coat layer may be formed on the second base film prior to forming the elongated laminate.

(접착제층)(Adhesive layer)

본 개시에서, 접착제층은, 접착제의 도막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그 때문에, 접착제층은, 실질적으로 유동성을 갖지 않는다. 한편, 점착제층은, 점착제로 구성되지만, 비경화성이고, 유동성을 갖는다. 이와 같이, 본 개시에서는, 접착제층과 점착제층은 구별된다.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layer is formed by curing a coating film of the adhesive. Therefore, the adhesive layer has substantially no fluidity. On the other hand, the adhesive layer is composed of an adhesive, but is non-curing and has fluidity. As such,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adhesive layer and the pressure-sensitive adhesive layer are distinguished.

접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10MPa보다 크고, 100MPa 이상이어도 되며, 통상적으로, 1GPa 정도이다. 접착제층은, 저장 탄성률에 의해서도, 점착제층과 구별된다.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at 25°C is greater than 10 MPa, may be 100 MPa or more, and is usually about 1 GPa. The adhesive layer is distinguished from the adhesive layer also by its storage modulus.

(제1 접착제층)(First adhesive layer)

제1 접착제층은, 제1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한다. 제1 접착제층은, 홈을 형성한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유리 부재를 제1 접착제와 접촉하도록 겹치고, 이어서, 제1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제1 접착제는, 통상적으로,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의 홈을 제외한 부분에 도포된다.The first adhes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y applying the first adhesive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in which the grooves were formed, overlapping the glass member so as to contact the first adhesive, and then curing the first adhesive. The first adhesive is usually applied to the portion excluding the groove of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홈 내에 제1 접착제가 유동하여 침입하는 것을 저감하는 관점에서, 제1 접착제층의 두께가 0.5㎛ 이상 5㎛ 이하가 되도록, 제1 접착제가 도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0.5㎛ 이상 3㎛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단, 이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서 홈을 제외한 부분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두께이다.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flow and penetration of the first adhesive into the groove, 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so that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0.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more preferably 0.5 μm or more and 3 μm or less. However, the thickness of this first adhesive layer is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portion excluding the groove from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기 위해서는, 제1 접착제의 점도도 중요하다. 제1 접착제의 25℃에서의 점도는, 150mPa·s 이하 또는 100mPa·s 이하가 바람직하다. 제1 접착제의 점도가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 홈의 폭 방향을 따라 유리 부재의 적어도 일부를 덮도록 형성되는 제1 접착제층, 및, 홈 내에, 홈의 폭 방향으로 홈의 적어도 일부를 막도록 형성되는 제1 접착제층의 두께를 작게(바람직하게는 이와 같은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의 25℃에서의 점도는 0.1mPa·s 이상이어도 된다.For voids to form in the groove, the viscosity of the first adhesive is also important. The viscosity of the first adhesive at 25°C is preferably 150 mPa·s or less or 100 mPa·s or less. When the viscosity of the first adhesive is in this range, a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glass member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and the groove. Within the groove,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to block at least a portion of the groove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groove can be reduced (preferably, such a first adhesive layer is not formed). The viscosity of the first adhesive at 25°C may be 0.1 mPa·s or more.

제1 접착제의 점도는, 시판하는 점탄성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25℃ 및 전단 속도 200(1/s)의 조건에서 측정된다. 점탄성 측정 장치로서는, 구체적으로는, Anton Paar사 제조 레오미터 MCR302를 이용한다.The viscosity of the first adhesive is measured under the conditions of 25°C and a shear rate of 200 (1/s) using a commercially available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As a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specifically, a rheometer MCR302 manufactured by Anton Paar is used.

제1 접착제층과 제1 기재 필름의 접착력 및 제1 접착제층과 유리 부재의 접착력은, 각각, 25℃에서 예컨대, 0.1N/mm 이상이어도 되고, 1N/mm 이상이어도 된다. 이와 같은 접착력으로 함으로써, 제1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의 사이의 박리를 보다 고도로 억제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접착력은, 예컨대, 제1 접착제의 종류 또는 조성을 선택함으로써 조절할 수 있다.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base film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member may be, for example, 0.1 N/mm or more and 1 N/mm or more at 25°C, respectively. By setting such an adhesive force, peeling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can be suppressed to a higher degree. Such adhesive strength can be adjusted, for example, by selecting the type or composition of the first adhesive.

제1 접착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임의의 적절한 접착제가 이용된다. 제1 접착제는, 예컨대, 환상 에테르기(에폭시기, 글리시딜기, 옥세탄일기 등)를 갖는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아크릴계 수지를 포함하는 접착제, 실리콘계 수지 등을 포함하는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제1 접착제는 바람직하게는 자외선 경화형이다. 제1 접착제가, 자외선 경화형인 경우, 적층체의 제조 방법에서 적층체의 생산성을 더욱 높일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any suitable adhesive can be used. Examples of the first adhesive include an adhesive containing a resin having a cyclic ether group (epoxy group, glycidyl group, oxetanyl group, etc.), an adhesive containing an acrylic resin, an adhesive containing a silicone resin, etc. The first adhesive is preferably of an ultraviolet curing type. When the first adhesive is an ultraviolet curing type, the productivity of the laminate can be further increased in the laminate manufacturing method.

 (그 외의 접착제층)(Other adhesive layers)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는 제2 접착제층을 개재시켜도 된다. 또한, 제1 기재 필름 또는 제2 기재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에,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층간을 접착제층으로 접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접착제층도, 제1 접착제층의 경우와 같이, 접착제의 도막을 접착시키는 층간에 배치하여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elongated laminate includes a second base film, a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Additionally, when the first base film or the second base film is a multilayer film, the layer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may be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layer. These adhesive layers can also be formed, as in the cas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by arranging and curing adhesive coating films between the bonding layers.

제2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2 접착제를 포함하고, 제1 접착제층 이외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로서는, 제1 접착제에 대하여 예시한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제2 접착제는, 제1 접착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이유로, 자외선 경화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외의 접착제는, 열경화형이어도 되고, 광경화형(자외선 경화형 등)이어도 된다.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ing the second adhesive that forms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forming adhesive layers oth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include the adhesives exemplified for the first adhesive. The second adhesive is preferably of an ultraviolet curing type for the same reason as the first adhesive. Other adhesives may be thermosetting type or photocuring type (ultraviolet curing type, etc.).

제1 접착제층 이외의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접착제의 25℃에서의 점도는, 예컨대, 0.1mPa·s 이상 1000mPa·s 이하이고, 0.1mPa·s 이상 300mPa·s 이하이어도 된다. 접착제의 점도는, 제1 접착제의 경우와 마찬가지의 순서로 측정된다.The viscosity at 25°C of the adhesive forming the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0.1 mPa·s or more and 1000 mPa·s or less, and may be 0.1 mPa·s or more and 300 mPa·s or less. The viscosity of the adhesive is measured in the same manner as for the first adhesive.

제1 접착제층 이외의 접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0.5㎛ 이상 10㎛ 이하이고, 1㎛ 이상 5㎛ 이하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adhesive layers oth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0.5 μm or more and 10 μm or less, and may be 1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점착제층)(Adhesive layer)

점착제층은, 상술한 바와 같이 유동성을 갖는다.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예컨대, 10MPa 이하이고, 통상적으로 1MPa 이하이다.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2MPa 이하 또는 0.1MPa 이하이어도 된다.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이 이와 같은 범위인 경우, 점착제층을, 점착제층과 접촉하는 층으로부터 비교적 용이하게 박리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은, 0.001MPa 이상이어도 된다.The adhesive layer has fluidity as described above.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at 25°C is, for example, 10 MPa or less, and is usually 1 MPa or less.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at 25°C may be 0.2 MPa or less or 0.1 MPa or less. When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is in this range, the adhesive layer can be relatively easily peeled from the layer in contact with the adhesive layer. 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at 25°C may be 0.001 MPa or more.

 (제1 점착제층)(First adhesive layer)

제1 점착제층은, 제1 기재 필름과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한다. 그 때문에, 장척 적층체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유리 부재를 절단할 때에, 제1 점착제층 및 캐리어 필름을 제1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하면, 제1 기재 필름의 제2 주면 측으로부터 홈을 통과하여, 레이저광 조사를 행할 수 있다. 예컨대,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제2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는 직접 유리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것은 어렵다. 그러나, 본 개시에서는 제1 기재 필름에 홈을 형성하고 있으며, 홈 내 또는 홈의 근방에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공극이 존재한다. 그 때문에, 제1 점착제층 및 캐리어 필름을 제1 기재 필름으로부터 박리함으로써, 제1 기재 필름의 홈을 통과하여, 유리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하기 쉽고, 홈의 형상을 따라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layer is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carrier film. Therefore, when cutting a glass member by irradiating a laser beam to a long laminate,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arrier film are peeled from the first base film, the groove passes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Laser light irradiation can be performed. For example, when a long laminated body includes a second base film, it is difficult to irradiate the laser light directly to the glass member from the second base film side. However, in the present disclosure, a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and a void exists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groove or near the groove. Therefore, by peeling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carrier film from the first base film, it is easy to irradiate the laser light to the glass member through the groove of the first base film, forming a shape surrounded by a frame along the shape of the groove, Glass members can be cut cleanly.

제1 점착제층은, 예컨대, 캐리어 필름 및 제1 기재 필름의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에 제1 점착제를 도포하고, 캐리어 필름과 제1 기재 필름을 중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이 단계에서는, 제1 기재 필름에는, 홈은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롤 투 롤 방식으로, 캐리어 필름과 제1 기재 필름과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장척의 기재 적층체를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캐리어 필름의 표면에 제1 점착제층이 형성되고, 이 제1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제1 기재 필름이 캐리어 필름에 첩합되어도 된다.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first adhesive to at least one of opposing surfaces of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base film, and overlapping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base film. At this stage, since no groove is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a long base material laminate is formed in a roll-to-roll manner, including a carrier film, a first base film, and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m. can be easily formed. A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base film may be bonded to the carrier film through this first adhesive layer.

제1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제1 점착제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아크릴계 점착제, 고무계 점착제, 실리콘계 점착제, 우레탄계 점착제, 비닐알킬에테르계 점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계 점착제, 폴리아크릴아미드계 점착제, 셀룰로오스계 점착제를 들 수 있다.The first adhesive constituting the first adhesive layer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for example, acrylic adhesives, rubber adhesives, silicone adhesives, urethane adhesives, vinyl alkyl ether adhesives, polyvinylpyrrolidone adhesives, polyacrylamide adhesives, A cellulose-based adhesive is included.

각 점착제에는, 예컨대, 베이스 폴리머, 가교제, 첨가제(예컨대, 점착 부여제, 커플링제, 중합 금지제, 가교 지연제, 촉매, 가소제, 연화제, 충전제, 착색제, 금속분, 자외선 흡수제, 광 안정제, 산화방지제, 열화 방지제, 계면활성제, 대전 방지제, 표면 윤활제, 레벨링제, 부식 방지제, 무기 또는 유기계 재료의 입자(금속 화합물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 등), 수지 입자 등))가 포함될 수 있다. 그러나, 점착제의 구성 성분은, 이들로 한정되지 않는다.Each adhesive includes, for example, base polymer, crosslinking agent, additives (e.g., tackifier, coupling agent, polymerization inhibitor, crosslinking retarder, catalyst, plasticizer, softener, filler, colorant, metal powder, ultraviolet absorber, light stabilizer, antioxidant) , deterioration inhibitors, surfactants, antistatic agents, surface lubricants, leveling agents, corrosion inhibitors, and particles of inorganic or organic materials (metal compound particles (metal oxide particles, etc.), resin particles, etc.) may be included. However, the components of the adhesive are not limited to these.

제1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3㎛ 이상 50㎛ 이하이고, 5㎛ 이상 30㎛ 이하이어도 된다.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 example, 3 μm or more and 50 μm or less, and may be 5 μm or more and 30 μm or less.

 (그 외의 점착제층)(Other adhesive layers)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는 제2 점착제층을 개재시켜도 된다. 또한, 제1 기재 필름 또는 제2 기재 필름이 다층 필름인 경우에, 다층 필름을 구성하는 층간을 점착제층으로 접착하는 경우가 있다. 이들 점착제층도, 제1 점착제층의 경우와 같이, 접착시키는 층간에 점착제를 배치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When the elongated laminate includes a second base film, a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Additionally, when the first base film or the second base film is a multilayer film, the layers constituting the multilayer film may be bonded together with an adhesive layer. These adhesive layers can also be formed by disposing an adhesive between the layers to be bonded, as in the cas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제2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제2 점착제를 포함하고, 제1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을 구성하는 점착제로서는, 제1 점착제에 대하여 예시한 점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제1 점착제층 이외의 점착제층의 두께는, 예컨대, 제1 점착제층의 두께에 대하여 기재한 범위로부터 선택할 수 있다.Examples of the adhesive including the second adhesive constituting the second adhesive layer and constituting the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include the adhesives exemplified for the first adhesive. The thickness of the adhesive layer other than the first adhesive layer can be selected, for example, from the range described for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물성의 측정 방법 1><Method for measuring physical properties 1>

(1) 저장 탄성률(1) Storage modulus

(1-1) 기재 필름(1-1) Base film

제1 기재 필름 및 제2 기재 필름의 각각의 저장 탄성률은, JIS K 7244-1:1998에 준거하여, 인장 저장 탄성률로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각 기재 필름을 소정 사이즈로 절출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주식회사 히타치 하이테크사이언스 제조의 다기능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 'DMS6100')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점탄성의 측정을 행하고, 25℃에서의 인장 저장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Each storage elastic modulus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second base film can be measured as a tensile storage modulus based on JIS K 7244-1:1998. Specifically, first, each base film is cut out to a predetermined size to produce a test piece. Using this test piece, viscoelasticity wa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e.g., multi-functional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DMS6100" manufactured by Hitachi High-Tech Science Co., Ltd.), and the tensile storage modulus at 25°C was calculated as Save. Measurements may be performed 5 or mor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may be obtained.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온도 범위: -100℃~+200℃Temperature range: -100℃~+200℃

승온 속도: 2℃/minTemperature increase rate: 2℃/min

모드: 인장Mode: Seal

샘플 폭: 10mmSample width: 10mm

척간 거리: 20mmDistance between chucks: 20mm

주파수: 10HzFrequency: 10Hz

스트레인 진폭: 10㎛Strain amplitude: 10㎛

분위기: 대기(250ml/min)Atmosphere: Ambient (250ml/min)

데이터의 취득 간격: 0.5min(1℃마다)Data acquisition interval: 0.5 min (every 1°C)

(1-2) 접착제층(1-2) Adhesive layer

접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기재 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인장 저장 탄성률로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먼저, 접착제를 필름상으로 성형하고 경화시켜, 두께 약 20㎛의 경화물의 필름을 제작한다. 이 필름을 소정 사이즈로 절출하여, 시험편을 제작한다. 이 시험편을 이용하여, 기재 필름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점탄성의 측정을 행하고, 25℃에서의 인장 저장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easured as the tensile storage modulus, similar to the case of the base film. Specifically, first, the adhesive is molded into a film and cured to produce a film of the cured product with a thickness of approximately 20 μm. This film is cut out to a predetermined size to produce a test piece. Using this test piece, viscoelasticity is measured as in the case of the base film, and the tensile storage modulus at 25°C is determined. Measurements may be performed 5 or mor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may be obtained.

(1-3) 점착제층(1-3) Adhesive layer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JIS K 7244-1:1998에 준거하여, 비틀림 모드로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점착제의 도막을 패럴렐 플레이트에 끼워 넣고, 동적 점탄성 측정 장치(예컨대, Rheometric Scientific사 제조의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ARES)')를 이용하여, 하기의 조건으로 점탄성의 측정을 행하고, 25℃에서의 저장 탄성률을 구한다. 측정을 5회 이상 행하고, 평균값을 구하여도 된다.The storage modulus of the adhesive layer can be measured in torsion mode based on JIS K 7244-1:1998. Specifically, the adhesive coating film is inserted into a parallel plate, and the viscoelasticity is measured using a dynamic viscoelasticity measuring device (e.g., 'Advanced Rheometric Expansion System (ARES)' manufactured by Rheometric Scientific)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Determine the storage modulus at 25°C. Measurements may be performed 5 or more times and the average value may be obtained.

측정 조건Measuring conditions

변형 모드: 비틀림Deformation Mode: Torsion

측정 주파수: 1HzMeasurement frequency: 1Hz

측정 온도: -40℃~+150℃Measurement temperature: -40℃~+150℃

승온 속도: 5℃/분Temperature increase rate: 5℃/min

(2) 접착력(2) Adhesion

제1 접착제층과 유리 부재의 사이의 접착력은, 다이프라·윈테스 주식회사 제조의 표면·계면 물성 해석 장치 'SAICAS DN-20형'을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 및 방법으로 측정한다.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표면·계면 물성 해석 장치(41)는, 하기 특성을 갖는 날(42)과, 도시하지 않는 이동 장치 및 압력 측정부를 구비한다. 날(42)은 이동 가능하다. 날(42)은 선단부에 형성되는 날끝(43)을 구비한다.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member is measured under the following conditions and methods using a surface/interface property analysis device "SAICAS DN-20 type" manufactured by Dypla Wintes Co., Ltd. As shown in FIG. 4A, the surface/interface physical property analysis device 41 includes a blade 42 having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a moving device not shown, and a pressure measuring unit. The blade 42 is movable. The blade 42 has a blade tip 43 formed at the tip.

날(42)의 특성Characteristics of blade (42)

날(42)의 재료: 단결정 다이아몬드Material of blade 42: single crystal diamond

날끝(43)의 폭: 1mmWidth of blade tip (43): 1mm

날끝(43)의 레이크각: 10°Rake angle of blade tip (43): 10°

먼저, 도 4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층체를 해석 장치(41)에 셋팅한다. 날끝(43)을 수평 방향(D1)(적층체의 면방향에 상당)의 한쪽 측에 연직 방향(D2)(적층체의 두께 방향에 상당)에 대하여 경사지도록 이동시키면서 제1 기재 필름(100)에 압입하여, 날끝(43)을 제1 기재 필름(100)에 절입시킨다. 수평 방향 속도는 10㎛/sec이며, 연직 방향 속도는 0.5㎛/sec이다. 측정에는, 제1 기재 필름(100)에는 프레임상의 홈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적층체가 사용된다. 적층체는, 제1 기재 필름(100)과 유리 부재(200)와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층(300)을 포함한다.First, as shown in FIG. 4A, the laminated body is set in the analysis device 41. The first base film 100 is moved to one side of the horizontal direction D1 (corresponding to the surface direction of the laminate) so as to be inclined with respect to the vertical direction D2 (corresponding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aminate). By press-fitting, the blade tip 43 is cut into the first base film 100. The horizontal speed is 10㎛/sec, and the vertical speed is 0.5㎛/sec. For the measurement, a laminate in which the first base film 100 is not formed with a frame-shaped groove is used. The laminate includes a first base film 100, a glass member 200, and a first adhesive layer 300 interposed between them.

날끝(43)을 제1 기재 필름(100)에 절입시킨 후, 도 4b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날끝(43)을 제1 접착제층(300)에도 절입시킨다. 날끝(43)이 제1 접착제층(300)과 유리 부재(200)의 계면에 이르렀을 때에, 날끝(43)을 상기 한쪽 측으로 수평 이동시킨다. 이로써, 제1 접착제층(300)이 유리 부재(200)로부터 박리한다. 이 때의 박리 강도를 제1 접착제층(300)과 유리 부재(200)의 접착력으로서 측정한다.After cutting the blade tip 43 into the first base film 100, the blade tip 43 is also cut into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as shown in FIG. 4B. When the blade tip 43 reaches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and the glass member 200, the blade tip 43 is moved horizontally to one side. As a result,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peeled from the glass member 200. The peeling strength at this time is measured as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and the glass member 200.

또한, 제1 접착제층(300)과 제1 기재 필름(100)의 사이의 접착력에 대해서도, 도 4a 및 도 4b의 적층체의 상하를 교체하여 마찬가지로 측정할 수 있다. 단, 제1 접착제층(300)과 제1 기재 필름(100)의 사이의 접착력을 측정하는 경우, 날끝(43)을 제1 기재 필름(100)에 압입하고, 날끝(43)을 제1 기재 필름(100)에 절입시킨다. 날끝(43)이 제1 기재 필름(100)과 제1 접착제층(300)의 계면에 이르렀을 때에, 날끝(43)을 상기 한쪽 측으로 수평 이동시키고, 제1 접착제층(300)이 제1 기재 필름(100)으로부터 박리할 때의 박리 강도를 접착력으로서 측정한다.Additionally,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and the first base film 100 can be measured similarly by replacing the top and bottom of the laminate in FIGS. 4A and 4B. However, when measuring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and the first base film 100, the blade tip 43 is press-fitted into the first substrate film 100, and the blade tip 43 is pressed into the first substrate film 100. It is cut into the film 100. When the blade tip 43 reaches the interface between the first base film 10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the blade tip 43 is moved horizontally to one side,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first substrate 300. The peeling strength when peeling from the film 100 is measured as adhesive force.

도 1a는, 일 실시형태에 관한 장척 적층체(10C)의 구성을 나타내는 평면도이고, 도 1b는, 도 1a의 장척 적층체(10C)를 b-b선에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화살표의 방향으로 보았을 때의 개략 단면도이다. 장척의 캐리어 필름(400) 위에, 제1 점착제층(500)을 개재하고, 복수의 장방형의 프레임상의 홈(G)이 형성된 장척의 제1 기재 필름(100)이 적층되어 있다. 그리고, 또한, 제1 기재 필름(100) 위에는, 제1 접착제층(300)을 개재하여, 필름상의 장척의 유리 부재(200)가 적층되어 있다. 홈(G)은, 제1 접착제층(300)을 형성하는 제1 접착제를 도포하기 전에, 캐리어 필름(400)과 제1 기재 필름(100)과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500)의 적층체(기재 적층체라고도 칭함)의 상태에서, 제1 기재 필름(100)을 복수 개소에서 프레임상으로 깎거나, 잘라냄으로써 형성된다. 프레임상의 홈(G)의 배열, 수 등은 도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적절히 설정된다. 도 1a 및 도 1b 중, 프레임상의 홈(G)의 폭을 Wg로 나타내고 있다.FIG. 1A is a plan view showing the configuration of a long laminated body 10C according to one embodiment, and FIG. 1B is a cross section of the long laminated body 10C of FIG. 1A taken along the line b-b, viewed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This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n the long carrier film 400, a long first base film 100 in which a plurality of rectangular frame-shaped grooves G are formed is laminated with a first adhesive layer 500 interposed therebetween. Furthermore, on the first base film 100, a film-shaped elongated glass member 200 is laminated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nterposed therebetween. The groove G is formed by the carrier film 400 and the first base film 10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00 interposed between them before applying the first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 is formed by shaving or cutting the first base film 100 into a frame shape at a plurality of locations in the state of a laminate (also referred to as a base laminate). The arrangement and number of grooves G on the frame are not limited to the illustrated examples and are set appropriately. 1A and 1B, the width of the groove G on the frame is indicated as Wg.

도 2a, 도 2b, 및 도 2c는, 각각,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적층체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들 도는, 도 1b와 같이, 장척 적층체의 두께 방향에 평행한 절단면을, 장척 적층체의 길이 방향에 평행한 방향으로부터 본 바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2A, 2B, and 2C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each showing an embodiment of a long laminate including a second base film. These figures are cross-sectional views showing a cut surface parallel to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long laminated body as seen from the direction parallel to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long laminated body, as shown in FIG. 1B.

도 2a의 장척 적층체에서는, 제2 기재 필름(600)이 제2 접착제층(700)을 개재하여 유리 부재(200) 위에 형성되어 있다. 도 2b의 장척 적층체에서는, 제2 기재 필름(600)이 제2 점착제층(800)을 개재하여 유리 부재(200) 위에 형성되어 있다. 이들 구성 이외에는, 도 1a 및 도 1b의 장척 적층체(10C)와 같으며, 도 1a 및 도 1b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In the elongated laminate of FIG. 2A , a second base film 600 is formed on the glass member 200 with a second adhesive layer 70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elongated laminate of FIG. 2B , a second base film 600 is formed on the glass member 200 with a second adhesive layer 800 interposed therebetween. Other than these configurations, it is the same as the elongated laminate 10C in FIGS. 1A and 1B, and the description of FIGS. 1A and 1B can be referred to.

도 2c의 장척 적층체는, 도 2b와 같이, 유리 부재(200) 위에, 제2 점착제층(800)을 개재하여 제2 기재 필름(600)이 형성되어 있다. 캐리어 필름(400) 및 제1 점착제층(500)의 적층 구조는, 도 1a 및 도 1b와 같다. 단, 도 2c의 장척 적층체는, 단층 구조의 제1 기재 필름(100) 대신에, 다층 구조의 제1 기재 필름(1100)을 포함한다. 제1 기재 필름(1100)은, 제1 점착제층(500) 측의 세퍼레이터(120)와, 세퍼레이터(120) 위에 점착제층(130)을 개재하여 적층된 편광판(110)을 구비한다. 편광판(110) 위에는, 제1 접착제층(300)을 개재하여 유리 부재(200)가 적층되어 있다. 제1 기재 필름(1100)은, 다층 구조이지만, 모든 수지 재료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기재 적층체의 상태에서, 레이저광 등에 의해 홈(G)을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제1 기재 필름(1100)에 홈(G)을 형성한 후에, 제1 기재 필름(1100)의 제1 주면(편광판(110) 측의 주면)의 홈(G) 이외의 부분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유리 부재(200), 또는 유리 부재(200)와 제2 기재 필름(600)과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점착제층(800)과의 적층체를 겹치고, 제1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제1 접착제층(300)이 형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제1 주면에 도포된 제1 접착제가 홈(G)에서의 제1 기재 필름(1100)의 단면(또는 벽면)을 타고, 홈(G)의 내부에 침입하여, 단면을 피복하는 제1 접착제층(300)이 형성된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In the elongated laminate shown in FIG. 2C , a second base film 600 is formed on a glass member 200 via a second adhesive layer 800, as shown in FIG. 2B. The stacked structure of the carrier film 40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00 is the same as Figures 1A and 1B. However, the elongated laminate in FIG. 2C includes a first base film 1100 with a multilayer structure instead of the first base film 100 with a single-layer structure. The first base film 1100 includes a separator 120 on the first adhesive layer 500 side and a polarizing plate 110 laminated on the separator 120 with the adhesive layer 130 interposed therebetween. A glass member 200 is laminated on the polarizing plate 110 with a first adhesive layer 300 interposed therebetween. Although the first base film 1100 has a multilayer structure, since it is composed of all resin materials, the grooves G can be easily formed with a laser beam or the like in the base material laminate state. After forming the groove (G) in the first base film 1100,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parts other than the groove (G) of the first main surface (main surface on the polarizing plate 110 side) of the first base film 1100. By applying and overlapping the glass member 200 or a laminate of the glass member 200 and the second base film 60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800 interposed between them, and curing the first adhesive.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first adhesive applied to the first main surface rides on the end surface (or wall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1100 in the groove G, penetrates into the inside of the groove G, and covers the end surface. It shows the case where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장척 적층체의 제조 과정에서는, 상기와 같이 홈 내에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일이 있다. 또한, 홈의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에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는 일이 있다. 본 개시의 장척 적층체에서는, 홈의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의 적어도 한쪽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a long laminated body, a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in the groove as described above. Additionally, a first adhesive layer may be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groove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In the elongated laminate of the present disclosure,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dge of the groove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groove. Therefore, b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the glass member can be cut cleanly.

도 3a~도 3e는 장척 적층체의 홈 및 그의 근방에서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 또는 레이저광의 조사에 의한 유리 부재 또는 장척 적층체의 분할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 단면도이다. 이들 도에서는, 홈 및 그의 근방의 제1 접착제층의 상태가 알기 쉽도록, 홈을 확대하여 나타내고 있다.3A to 3E are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s for explaining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and its vicinity, or the division of the glass member or the long laminated body by irradiation of laser light. In these figures, the grooves are enlarged and shown so that the state of the grooves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near them can be easily understood.

도 3a에서는, 도 1b, 도 2a 및 도 2b와 같도록, 제1 접착제층(300)은, 제1 기재 필름(100)의 제1 주면의 홈(G) 이외의 부분과 유리 부재(200)의 사이에만 형성되어 있다. 환언하면, 홈(G)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200)의 사이 및 홈(G) 내의 모든 부분이 공극으로 되어 있다. 도 3a의 장척 적층체는, 제2 기재 필름(600)을 포함하지 않고, 가장 외측의 층이 유리 부재(200)로 되어 있다.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400) 및 제1 점착제층(500)을 박리하고, 박리한 후의 장척 적층체(이 경우, 구체적으로는 유리 부재(200))의 홈(G)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리 부재(200) 측으로부터 레이저광(L)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200)를 용이하게 절단할 수 있다. 따라서, 홈(G)의 형상을 따라, 유리 부재(200)를 분할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분할된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얻을 수 있다.In FIG. 3A, as in FIGS. 1B, 2A, and 2B,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on a portion other than the groove G of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100 and the glass member 200. It is formed only between . In other words, all parts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G and the glass member 200 and within the groove G are voids. The elongated laminate in FIG. 3A does not include the second base film 600, and the outermost layer is the glass member 200. The carrier film 40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00 are peeled from the long laminate, and placed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G of the peeled long laminate (specifically, in this case, the glass member 200). By irradiating the laser light L from the glass member 200 side, the glass member 200 can be easily cut. Therefore, the glass member 200 can be divided according to the shape of the groove G. In this way, a laminate with separate glass members divided into shapes surrounded by a frame can be obtained.

도 3b~도 3d의 장척 적층체는, 도 3a의 경우와 같이, 제2 기재 필름(600)을 포함하지 않으며, 가장 외측의 층이 유리 부재(200)로 되어 있다. 단, 도 3b~도 3d에서는, 홈(G) 또는 그의 근방의 제1 접착제층(300)의 상태가 도 3a와는 상이하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b에서는, 도 2c의 경우와 같이, 홈(G)에서, 제1 기재 필름의 단면(또는 벽면)이, 제1 접착제층(300)으로 피복되어 있다. 도 3b에서는, 도 2c의 경우와 같도록, 홈(G)의 내부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다. 도 3b에서는, 도 3a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레이저광(L)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200)를 깨끗하게 분할할 수 있다.3B to 3D, like the case of FIG. 3A, the elongated laminate does not include the second base film 600, and the outermost layer is the glass member 200. However, in FIGS. 3B to 3D, the state of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n or near the groove G is different from that in FIG. 3A. More specifically, in FIG. 3B , as in the case of FIG. 2C , the end surface (or wall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is covered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n the groove G. In FIG. 3B, as in the case of FIG. 2C, a gap is formed inside the groove G. In FIG. 3B, the glass member 200 can be clearly divided by irradiating the laser light L as in the case of FIG. 3A.

도 3c 및 도 3d에서는, 도 3b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홈(G)에서, 제1 기재 필름의 단면(또는 벽면)이, 제1 접착제층(300)으로 피복되어 있다. 더하여, 홈(G)의 상부 또는 바닥부에 제1 접착제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도 3c에서는, 홈(G)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200)의 사이 및 홈(G) 내의 상단부에 제1 접착제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도 3d에서는, 홈(G)의 바닥부(제1 점착제층(500) 측의 단부)에 제1 접착제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예에서도, 홈(G) 내에는 공극이 확보된 상태로 되어 있으며, 홈의 상부 또는 바닥부에 형성된 제1 접착제층(300)의 두께(T1)는 작다. 그 때문에, 레이저광(L)을 유리 부재(200) 측으로부터 조사하여도, 유리 부재(200)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음과 함께, 홈(G)의 상부 또는 바닥부에 형성된 불필요한 제1 접착제층(300)을 레이저광(L)으로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유리 부재(200)를 깨끗하게 분할할 수 있고,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In FIGS. 3C and 3D , as in the case of FIG. 3B , the end surface (or wall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is covered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n the groove G. In addition, a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groove G. More specifically, in FIG. 3C ,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G and the glass member 200 and at the upper end of the groove G. In FIG. 3D,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groove G (the end on the first adhesive layer 500 side). In these examples as well, a gap is secured within the groove G, and the thickness T 1 of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formed at the top or bottom of the groove is small. Therefore, even when the laser light L is irradiated from the glass member 200 side, the glass member 200 can be cut cleanly, and an unnecessary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on the top or bottom of the groove G. (300) can be easily removed with laser light (L). Therefore, the glass member 200 can be clearly divided, and a laminate with separate glass members can be easily manufactured.

도 3e는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적층체를 개편화하는 경우의 예이다. 도 3e의 장척 적층체는, 유리 부재(200) 위에, 제2 접착제층(700)을 개재하여 적층한 제2 기재 필름(600)을 포함한다. 도 3e의 장척 적층체에서는, 홈(G)에, 도 3d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제1 접착제층(300)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먼저 캐리어 필름(400) 및 제1 점착제층(500)을 박리한다. 이어서, 유리 부재(200) 측(환언하면, 제2 기재 필름(600) 측)으로부터 레이저광(L)을 조사하고, 제2 기재 필름(600) 및 제2 접착제층(700)을 절단한다. 이어서, 제1 기재 필름(100)의 제2 주면 측으로부터, 홈(G)을 통과하여, 레이저광(L)을 조사함으로써, 홈(G)의 바닥부에 형성된 제1 접착제층(300)이 제거됨과 함께, 유리 부재(200)가 깨끗하게 절단된다. 이와 같이, 상하로부터 레이저광(L)을 조사함으로써, 장척 적층체를 분할할 수 있고,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도 3e에서, 도 3c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제1 접착제층(300)이 홈(G) 내에 형성되어 있는 경우에도, 이와 같은 방법이 유효하다.FIG. 3E is an example of dividing a long laminate including a second base film into pieces. The elongated laminate in FIG. 3E includes a second base film 600 laminated on a glass member 200 with a second adhesive layer 700 interposed therebetween. In the elongated laminate shown in FIG. 3E,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s formed in the groove G, as in the case of FIG. 3D. In this case, the carrier film 400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500 are first peeled off. Next, the laser light L is irradiated from the glass member 200 side (in other words, the second base film 600 side), and the second base film 600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700 are cut. Next, by irradiating the laser light L through the groove G from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100,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formed at the bottom of the groove G is formed. Upon removal, the glass member 200 is cut cleanly. In this way, by irradiating the laser light L from the top and bottom, a long laminated body can be divided, and a laminated body with a glass member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can be easily manufactured. In addition, in FIG. 3E, this method is effective even when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as shown in FIG. 3C is formed in the groove G.

[장척 적층체 및 적층체의 제조 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long laminated body and laminated body]

다음으로,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이하, '제조 방법 A'라고 칭함)에 대하여 설명한다. 장척 적층체의 구성 요소에 대해서는, 장척 적층체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Next,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ng laminated body (hereinafter referred to as 'manufacturing method A') will be described. For the components of the long laminated body,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long laminated body.

제조 방법 A는 대략 3개의 단계로 분류할 수 있다.Manufacturing method A can be roughly divided into three steps.

제1 단계는, 장척의 기재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first step is to prepare a long substrate laminate.

제2 단계는, 기재 적층체와 유리 부재로부터 장척 적층체를 준비하는 단계이다.The second step is a step of preparing a long laminate from the base material laminate and the glass member.

제3 단계는, 장척 적층체를 더욱 처리하는 단계이다.The third step is to further process the long laminate.

<제1 단계><Step 1>

제1 단계는, 기재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포함한다. 기재 적층체는 장척의 제1 기재 필름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을 제1 점착제층으로 첩합한 적층체이다. 이 시점에서는, 제1 기재 필름은,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을 포함하지 않는 상태이다. 기재 적층체의 준비 공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롤 투 롤 방식으로 행하여도 된다.The first step includes preparing a substrate laminate. The base material laminate is a laminate in which a long first base film and a long carrier film are bonded together with a first adhesive layer. At this point, the first base film is in a state that does not include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The preparation process for the base material laminate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may be performed by a roll-to-roll method.

기재 적층체는, 예컨대, 장척의 캐리어 필름 및 장척의 제1 기재 필름의 대향면의 한쪽에, 제1 점착제를 부여하여, 제1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다른 쪽과 첩합함으로써 준비된다. 제1 점착제는 도포 또는 전사 등을 이용하여 캐리어 필름 또는 제1 기재 필름의 한쪽 주면에 부여된다. 혹은, 캐리어 필름과 제1 기재 필름이 제1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기재 적층체의 롤을 구입 등에 의해 입수함으로써 준비하여도 된다.The base material laminate is prepared, for example, by applying a first adhesive to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a long carrier film and a long first base film,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and bonding them to the other side.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one main surface of the carrier film or the first base film using application or transfer. Alternatively, it may be prepared by purchasing a roll of a base material laminate in which a carrier film and a first base film are laminated with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therebetween.

본 공정은, 추가로 예컨대, 권출부에 의해, 롤상으로 감긴 장척의 기재 적층체를 권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권출된 기재 적층체는, 후속의 단계(또는 공정)에 공급된다. 또한, 이와 같은 경우에 한하지 않고, 기재 적층체를 준비하는 공정을, 장척 적층체를 형성하는 일련의 공정의 하나로서 행하여도 된다.This process may further include, for example, unwinding a long base material laminate wound into a roll shape by an unwinding unit. The unrolled base material laminate is supplied to the subsequent step (or process). In addition, it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base material laminate may be performed as one of a series of processes for forming a long laminate.

<제2 단계><Step 2>

제2 단계에서는, 제1 단계에서 얻어진 기재 적층체를 이용하여 장척 적층체를 형성한다. 제2 단계는, 제1 단계로부터 공급된 기재 적층체의 제1 기재 필름에 홈을 형성하는 제1 공정과, 유리 부재를 적층하는 제2 공정과,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3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2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제2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4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롤 투 롤 방식으로 행하여도 된다. 또한, 제2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유리 부재 또는 제2 기재 필름에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는 제5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In the second step, a long-length laminate is formed using the base material laminate obtained in the first step. The second step includes a first step of forming a groove in the first base film of the base material laminate supplied from the first step, a second step of laminating a glass member, and a third step of forming a first adhesive layer. It may be included. 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tep of laminating a second base film as needed. The fourth step may be performed in a roll-to-roll manner, if necessary. Additionally, the second step may, if necessary, include a fifth step of forming a surface coat layer on the glass member or the second base film.

(제1 공정)(1st process)

제1 공정에서는, 기재 적층체에서, 제1 기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을 형성한다. 프레임상의 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컨대, 기재 적층체의 제1 기재 필름에서, 기계적으로 또는 레이저광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각 홈은, 예컨대, 프레임상으로 제1 기재 필름을 깎아냄으로써 형성하여도 되고, 대소 2개의 프레임상의 슬릿을 형성하고, 슬릿 간의 제1 기재 필름(슬릿 간의 폭을 갖는 프레임상의 제1 기재 필름)을 제거함으로써 형성하여도 된다. 본 개시에서는, 비교적 폭이 큰 홈을 형성하기 때문에, 후자의 방법이 유리하다. 특히, 레이저광을 이용하는 하프 컷의 기술에 의해 형성하면 간편하다. 하프 컷에 의해, 제1 기재 필름을 관통하여 제1 점착제층까지 컷팅되어도, 제1 점착제층은 유동성을 갖기 때문에, 제1 기재 필름을 유지하면서 접착성이 저해되는 일도 없다. 또한, 제1 점착제층이 설령 부분적으로 손상되었다고 하여도, 후에는, 캐리어 필름과 함께 제거되기 때문에, 제품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In the first step,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penetrating the first bas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are formed in the base material laminate. The grooves on the frame are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can be formed, for example, mechanically or using laser light in the first base film of the base material laminate. Each groove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cutting the first base film into a frame shape, forming two large and small frame-shaped slits, and forming a first base film between the slits (a frame-shaped first base film having a width between slits). It may be formed by removing . In the present disclosure, the latter method is advantageous because it forms grooves with a relatively large width. In particular, it is easy to form using half cut technology using laser light.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cut through the first base film by half cutting, the first adhesive layer has fluidity, so the adhesiveness is not impaired while the first base film is maintained. Additionally,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partially damaged, it does not affect the product because it is later removed along with the carrier film.

제1 기재 필름의 슬릿 간의 프레임상의 부분은, 예컨대, 프레임상의 부분의 측단부를, 캐리어 필름의 하방으로부터 밀어올려 부상시키고, 부상한 부분을 인장함으로써 제거할 수 있다.The portion on the frame between the slits of the first base film can be removed, for example, by pushing the side end portion of the portion on the frame from below the carrier film to levitate it and pulling the levitated portion.

롤 투 롤 방식에서는, 권출되어, 반송되고 있는 도중 혹은 반송이 정지되어 있을 때의 기재 적층체의 일부분에 대하여 홈의 형성이 이루어져도 된다. 제1 공정이 행하여진 기재 적층체는, 일단, 권취부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하여도 된다. 제1 공정이 행하여진 기재 적층체는, 권취부에 권취된 후에, 또는 권취하는 일 없이, 더욱, 후속의 공정에 제공하여도 된다.In the roll-to-roll method, grooves may be formed on a portion of the base material laminate while it is being unrolled and transported or when the transport is stopped. The base material laminate on which the first step has been performed may be initially wound into a roll shape by a winding unit. The base material laminate on which the first step has been performed may be further used in a subsequent step after being wound in the winding unit or without being wound.

(제2 공정)(2nd process)

제2 공정에서는, 제1 공정에서 홈을 형성한 후,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고, 제1 접착제를 개재하여 유리 부재를 적층한다. 제2 공정은, 제1 접착제를 제1 기재 필름에 도포하는 제1 서브 스텝과, 유리 부재를 적층하는 제2 서브 스텝을 포함하여도 된다.In the second step, after forming the groove in the first step,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is laminated through the first adhesive. The second process may include a first sub-step of applying the first adhesive to the first base film and a second sub-step of laminating the glass member.

(접착제의 도포(제1 서브 스텝))(Application of adhesive (first substep))

제1 접착제는,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의 적어도 한쪽에 공극이 형성되도록 도포된다. 이 관점에서는, 예컨대, 제1 주면의 홈을 제외한 영역에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 접착제의 점도를 기술한 범위로 하거나,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단 홈을 제외한 영역)과 유리 부재의 사이의 제1 접착제층의 두께가 기술한 범위가 되도록,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홈의 제1 주면 측의 단과 유리 부재의 사이 및 홈 내의 적어도 한쪽의 일부에 형성된 제1 접착제층의 최소 두께가 기술한 범위가 되도록 제1 접착제를 도포하는(예컨대, 도포량 또는 도막의 두께를 조절하는) 것도 바람직하다.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so that a gap is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and at least one side of the groove. From this viewpoint, for example, it is preferable to apply the first adhesive to the area excluding the groove of the first main surface. In addition, the viscosity of the first adhesive is within the described range, or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between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region excluding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is within the described range. It is desirable to apply adhesive. In addition, the first adhesive is applied (e.g., application amount or coating film thickness) so that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between the end of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and on at least one part of the groove is within the described range. It is also desirable to adjust .

예컨대, 롤 투 롤 방식에서는, 홈을 형성한 후의 기재 적층체가 반송되고 있는 도중 혹은 반송이 정지되어 있을 때에, 기재 적층체의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대하여,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제1 접착제를 도포하여도 된다.For example, in the roll-to-roll method, the first adhesive is continuously or intermittently applied to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of the base material laminate while the base material laminate after forming the groove is being transported or when the transport is stopped. You may apply.

제1 접착제의 종류에 대해서는, 장척 적층체의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1 접착제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제1 접착제의 종류 및 조성은, 제1 접착제층과 유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 및, 제1 접착제층과 제1 기재 필름의 사이의 접착력이, 어느 것이라도, 예컨대 0.1N/mm 이상이 되도록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For the type of the first adhesive,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first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of the elongated laminate. The type and composition of the first adhesive are such that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film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base film are, for example, 0.1 N/mm or more. It is advisable to choose

제1 접착제의 도포 방법으로서는, 코팅법, 인쇄법 등이 이용된다. 코팅법으로서는, 에어 닥터 코팅, 블레이드 코팅, 나이프 코팅, 리버스 코팅, 트랜스퍼 롤 코팅, 그라비어 롤 코팅, 키스 코팅, 캐스트 코팅, 스프레이 코팅, 슬롯 오리피스 코팅, 캘린더 코팅, 전착(電着) 코팅, 딥 코팅, 다이 코팅 등을 들 수 있다. 인쇄법으로서는, 볼록판 인쇄법(플렉소 인쇄 등), 오목판 인쇄법(다이렉트 그라비어 인쇄법, 오프셋 그라비어 인쇄법 등), 평판 인쇄법(오프셋 인쇄법 등), 공판(孔版) 인쇄법(스크린 인쇄법 등) 등을 들 수 있다.As a method of applying the first adhesive, a coating method, a printing method, etc. are used. Coating methods include air doctor coating, blade coating, knife coating, reverse coating, transfer roll coating, gravure roll coating, kiss coating, cast coating, spray coating, slot orifice coating, calendar coating, electrodeposition coating, and dip coating. , die coating, etc. Printing methods include emboss printing (flexographic printing, etc.), intaglio printing (direct gravure printing, offset gravure printing, etc.), flat printing (offset printing, etc.), and stencil printing (screen printing). etc.), etc. may be mentioned.

(유리 부재의 적층(제2 서브 스텝))(Laminating of glass members (second substep))

제1 서브 스텝에 계속해서,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도포된 제1 접착제를 개재하여 유리 부재가 적층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유리 부재로서는, 장척의 유리 부재(유리 필름 등)를 연속해서 제1 기재 필름에 중첩시켜도 되고,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 위에 대판의 유리 부재를 복수 늘어놓아 배치하여도 된다.Continuing from the first substep, the glass member is lamin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via the applied first adhesive. As described above, as a glass member, a long glass member (glass film, etc.) may be continuously superimposed on the first base film, or a plurality of base glass members may be arranged in a row on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do.

제2 서브 스텝에서는, 유리 부재는, 단독으로 제1 기재 필름에 적층하여도 된다.In the second sub-step, the glass member may be laminated alone on the first base film.

혹은, 유리 부재는, 미리, 제2 접착제층 또는 제2 점착제층을 개재하여 제2 기재 필름과 적층된 상태에서, 제1 기재 필름의 제1 주면에 적층하여도 된다. 유리 부재와, 제2 기재 필름과,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접착제층과의 적층체는, 예컨대, 유리 부재 및 제2 기재 필름의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에, 제2 접착제를 도포하고, 다른 쪽을 첩합하고, 제2 접착제를 경화시켜 제2 접착제층을 형성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제2 접착제의 도포는, 제1 접착제에 대하여 기재한 도포 방법 등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제2 접착제의 경화는, 후술하는 제3 공정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유리 부재와, 제2 기재 필름과, 이들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점착제층과의 적층체는, 예컨대, 유리 부재 및 제2 기재 필름의 대향면의 적어도 한쪽에 제2 점착제를 부여하여 제2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다른 쪽을 제2 점착제층에 접촉하도록 첩부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2 점착제의 부여는, 도포 또는 전사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Alternatively, the glass member may be lamin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in a state in which it is previously laminated with the second base film via the second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laminate of the glass membe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m is formed by, for example, applying the second adhesive to at least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glass member and the second base film, It can be obtained by bonding the other side and curing the second adhesive to form a second adhesive layer. Application of the second adhesive can be performed by the application method described for the first adhesive, etc. For curing of the second adhesive, refer to the description of the third process described later. A laminate of a glass member, a second base film, and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m may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second adhesive to at least one of the opposing surfaces of the glass member and the second base film. It can be formed by forming an adhesive layer and sticking the other side in contact with the second adhesive layer. Application of the second adhesive can be performed using application, transfer, or the like.

(제3 공정)(Third process)

제3 공정에서는, 제2 공정에서 도포된 제1 접착제를 경화시킴으로써,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한다. 이로써, 제1 기재 필름에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이 형성된 기재 적층체에 유리 부재가 제1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적층된 장척 적층체가 얻어진다.In the third step,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y curing the first adhesive applied in the second step. As a result, a long laminate is obtained in which a glass member is laminated through a first adhesive layer on a base laminate in which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제1 접착제의 경화는, 제1 접착제의 종류에 따라, 가열 또는 광조사 등을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유리 부재가 투명하기 때문에, 광경화형의 제1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고, 효율 좋게 경화를 행할 수 있다. 자외선 경화형의 제1 접착제를 이용하는 경우, 자외선이 유리 부재를 개재하여 제1 접착제에 조사됨으로써,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된다.Curing of the first adhesive can be performed using heating or light irradiation, etc.,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first adhesive. Since the glass member is transparent, a photocurable first adhesive can be used, and curing can be performed efficiently. When using an ultraviolet curing type first adhesive,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first adhesive through a glass member.

제3 공정에서 얻어진 장척 적층체 또는 그의 전구체는, 일단, 권취부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하여도 된다. 제3 공정이 행하여진 장척 적층체는, 권취부에 권취된 후에, 또는 권취하는 일 없이, 더욱, 후속의 공정 또는 단계(예컨대, 제4 공정, 제5 공정, 제3 단계)에 제공하여도 된다. 제3 공정에서 전구체가 얻어지는 경우, 제4 공정 및/또는 제5 공정을 행함으로써, 장척 적층체를 완성시켜도 된다.The long laminated body or its precursor obtained in the third step may be initially wound into a roll shape by a winding unit. The long laminate on which the third process has been performed may be subjected to a subsequent process or step (e.g., the fourth process, the fifth process, or the third step) after being wound on the winding unit or without being wound. do. When the precursor is obtained in the third process, the elongated laminate may be completed by performing the fourth process and/or the fifth process.

도 5는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장척 적층체의 제조 방법은, 롤 투 롤 방식에서, 도 5 중의 화살표의 방향으로 순차 진행된다. 도 5의 (a)는 제1 단계의 기재 적층체의 준비의 적어도 일부의 공정을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권출부(1)에 의해, 롤상으로 감긴 기재 적층체(456)를 권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 기재 적층체(456)는 장척의 캐리어 필름(400)과 장척의 제1 기재 필름(100)을 제1 점착제층(500)으로 첩합한 적층체이다. 권출된 기재 적층체(456)는, 후속의 제2 단계의 제1 공정에 공급된다.Fig. 5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ng laminated body. The method for manufacturing a long-length laminate is a roll-to-roll method and proceeds sequentially in the direction of the arrow in FIG. 5. Figure 5(a) schematically shows at least a part of the process of preparing the base material laminate in the first step, and involves unwinding the roll-shaped base layer laminate 456 by the unwinding unit 1. It may be included. The base material laminate 456 is a laminate in which a long carrier film 400 and a long first base film 100 are bonded together with a first adhesive layer 500. The unrolled base material laminate 456 is supplied to the first process of the subsequent second stage.

도 5의 (b)는, 제2 단계의 제1 공정의 적어도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먼저, 레이저광을 이용한 하프 컷 장치(2)에 의해, 슬릿(S)이 형성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슬릿(S)은 대소의 2개의 프레임상의 장방형의 셋트를 그리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상의 장방형의 셋트를, 기재 적층체(456)의 길이 방향 및 폭 방향으로 복수개 연속하여 형성된다. 그리고, 제1 기재 필름(100)의 대소 2개의 프레임상의 슬릿(S)의 사이의 부분(프레임상의 부분)(100a)을 제거함으로써,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G)을 형성한다.Figure 5(b) schematically shows at least part of the first process in the second stage, and first shows a slit S being formed by the half cut device 2 using a laser beam. there is. The slits S are formed to draw a rectangular set on two large and small frames. A plurality of such frame-shaped rectangular sets are formed in succession in the longitudinal and width directions of the base material laminate 456. Then,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G are formed by removing the portion (frame-shaped portion) 100a between the two large and small frame-shaped slits S of the first base film 100.

도 5의 (c)는 제2 공정의 적어도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제1 서브 스텝에서 제1 접착제(300a)를 도포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단면 모식도에서는, 제1 접착제(300a)는, 제1 기재 필름(100)의 제1 주면의 홈(G) 이외의 부분에 도포되어 있다.Figure 5(c) schematically shows at least part of the second process and shows the application of the first adhesive 300a in the first sub-step. In the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the first adhesive 300a is applied to portions other than the grooves G on the first main surface of the first base film 100.

도 5의 (d)는, 제2 공정의 적어도 일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고 있으며, 제2 서브 스텝에서, 장척의 유리 부재(200)가 적층되는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롤상의 유리 부재(200)를 권출부(4)로부터 권출하여, 프레임상의 홈(G)이 형성된 기재 적층체에 적층한다. 그리고, 제1 접착제(300a)를 경화시킴으로써, 단면 모식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은 장척 적층체(10C)가 형성된다. 유리 부재(200)를 개재하여 자외선을 제1 접착제(300a)에 조사함으로써, 제1 접착제(300a)를 경화시켜, 제1 접착제층(300)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하여, 장척 적층체(10C)가 형성된다. 유리 부재(200)가 적층된 기재 적층체는, 한 쌍의 닙 롤러(3a, 3b)의 닙을 통과시켜 유리 부재(200)를 제1 접착제에 압부하여도 된다.FIG. 5(d) schematically shows at least a part of the second process and shows how the long glass members 200 are stacked in the second sub-step. The roll-shaped glass member 200 is unwound from the unwinding section 4 and laminated on the base material laminate in which the frame-shaped groove G is formed. Then, by curing the first adhesive 300a, a long laminated body 10C as shown in the cross-sectional schematic diagram is formed. By irradiating ultraviolet rays to the first adhesive 300a through the glass member 200, the first adhesive 300a is cured to form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n this way, the long laminated body 10C is formed. The base material laminate on which the glass member 200 is laminated may be passed through the nip of a pair of nip rollers 3a and 3b, and the glass member 200 may be pressed against the first adhesive.

장척 적층체(10C)는 도 5의 (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권취부(5)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되어도 된다. 이 경우, 유리 부재(200)를 확보하는 관점에서, 롤의 내측이 유리 부재(200)가 되도록 권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long laminated body 10C may be wound into a roll shape by the winding unit 5, as shown in FIG. 5(e). In this case, from the viewpoint of securing the glass member 200, it is preferable to wind the roll so that the inside of the roll becomes the glass member 200.

도시예에서는, 장방형의 유리 부재(200)의 긴 방향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의 MD 방향이 평행한 예를 나타내었지만, 유리 부재(200)의 긴 방향과 MD 방향의 관계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In the illustrated example, an example is shown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rectangular glass member 200 and the MD direction of the elongated carrier film are parallel,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lass member 200 and the MD direction is not limited to this.

도 6은 기재 적층체에서의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G)의 배치예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6의 (a)는, 도 5에서 나타낸 기재 적층체(456)와 유사한 배치이다. 도 6의 (b)는 장방형의 프레임상의 홈(G)의 긴 방향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의 TD 방향이 평행한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6의 (c)는 장방형의 프레임상의 홈(G)의 긴 방향과 장척의 캐리어 필름의 TD 방향이 소정의 각도로 경사져 있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Fig. 6 is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rrangement of grooves G on a plurality of frames in the base material laminate. Figure 6(a) shows an arrangement similar to the substrate laminate 456 shown in Figure 5. Figure 6(b)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 on the rectangular frame is parallel to the TD direction of the long carrier film. Figure 6(c) shows an example in which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groove G on the rectangular frame and the TD direction of the long carrier film are inclined at a predetermined angle.

플렉서블한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 등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의 경우, 유리 필름은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는 것이 요구된다.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하는 방향(즉, 유리 필름을 둥글게 하거나 굴곡시키거나 할 때에 형성되는 둘레면의 원주 방향)을 제1 방향으로 할 때, 제1 방향과 MD 방향이 평행(제1 방향과 TD 방향이 수직)이 되도록, 장척 적층체에서의 프레임상의 홈(G)의 배치 방향을 결정하여도 된다.In the case of an optical laminated body used as a display panel of a flexible flat panel display (FPD), the glass film is required to be rounded or curved. When the direction in which the glass film is rounded or bent (i.e.,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circumferential surface formed when the glass film is rounded or bent) is set as the first direction, the first direction and the MD direction are parallel (the first direction is parallel to the MD direction).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grooves G on the frame in the long laminated body may be determined so that the direction and the TD direction are perpendicular.

(제4 공정)(4th process)

제2 단계는,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제2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제4 공정을 포함하여도 된다. 제2 기재 필름을 마련하지 않는 경우, 또는 제2 공정에서 유리 부재 및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적층한 경우에는, 본 공정은 특별히 마련할 필요는 없다. 그러나, 이 경우에 한하지 않고, 제2 공정에서 유리 부재 및 제2 기재 필름(보다 상세하게는 제2 기재 필름의 일부의 층)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적층한 경우에도, 제4 공정에서, 더욱 제2 기재 필름(보다 상세하게는 제2 기재 필름의 일부의 층)을 적층하여, 제2 기재 필름 전체를 다층 필름화 하여도 된다.The second step may further include a fourth step of laminating a second base film as needed. When the second base film is not provided, or when the laminated body containing the glass member and the second base film is laminated in the second process, there is no need to specifically provide this process. However, this is not limited to this case, and even when a laminate including a glass member and a second base film (more specifically, a partial layer of the second base film) is laminated in the second process, in the fourth process, Furthermore, the second base film (more specifically, partial layers of the second base film) may be laminated to form the entire second base film into a multilayer film.

제4 공정에서는, 통상적으로, 유리 부재의 제1 기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에, 제2 점착제층 또는 제2 접착제층을 개재하여 장척의 제2 기재 필름이 적층된다. 제2 기재 필름의 적층은, 제2 공정의, 유리 부재에 제2 기재 필름을 적층하는 경우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에 준하여, 제2 기재 필름의 일부의 층에, 추가로 제2 기재 필름의 일부의 층을 적층할 수 있다. 점착제층 또는 접착제층을 개재하지 않고, 제2 기재 필름을 구성하는 층이 적층되는 경우에는, 예컨대, 층을 구성하는 코팅제를 적층되는 층에 도포하고, 고화함으로써 다층화가 행하여진다.In the fourth process, a long second base film is usually laminated on the main surface of the glass member opposite to the first base film side via a second adhesive layer or a second adhesive layer. For lamination of the second base film, reference can be made to the explanation in the case of laminating the second base film on the glass member in the second process. In addition, in accordance with this case, some layers of the second base film can be further laminated on some layers of the second base film. When the layers constituting the second base film are laminated without an adhesive layer or adhesive layer, multilayering is per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coating agent constituting the layer to the laminated layer and solidifying it.

(제5 공정)(5th process)

예컨대, 장척 적층체에서, 유리 부재 또는 제2 기재 필름의 표면에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제5 공정에서,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표면 코트층에 대해서는, 유리 부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표면 코트층에 대한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 표면 코트층은, 예컨대, 재료가 되는 코팅제를 유리 부재 또는 제2 기재 필름의 표면의 적어도 일부에 도포하고, 고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For example, when forming a surface coating layer on the surface of a glass member or a second base film in a long laminate, the surface coating layer may be formed in the fifth step. For the surface coat layer,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surface coat layer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glass member. The surface coat layer can be formed, for example, by applying a coating agent as a material to at least part of the surface of the glass member or the second base film and solidifying it.

제5 공정은, 제2 공정의 제2 서브 스텝에서 기재 적층체에 유리 부재를 적층한 후, 또는 제3 공정의 후에, 적층된 유리 부재에 대하여 행하여도 된다. 또한, 제4 공정에서, 제2 기재 필름을 적층한 후에, 제2 기재 필름에 대하여 제5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 그러나, 이들 경우로 한정되지 않는다. 유리 부재의 보호 또는 작업성 등의 관점에서, 제2 공정에서 기재 적층체에 유리 부재를 적층하기 전의 유리 부재에 미리 제5 공정에 의해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기재 필름에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의 관점에서, 제4 공정에서 적층하기 전의 제2 기재 필름에 미리 제5 공정에 의해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여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fifth step may be performed on the laminated glass member after the glass member is laminated on the substrate laminate in the second substep of the second step, or after the third step. Additionally, after laminating the second base film in the fourth process, the fifth process may be performed on the second base film. However, it is not limited to these cases. From the viewpoint of protection of the glass member or workability, etc., it is preferable to previously form a surface coat layer on the glass member in the fifth step before laminating the glass member to the base material laminate in the second step. In addition, when forming a surface coat layer on a second base film,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it is preferable to previously form a surface coat layer on the second base film through the fifth step before lamination in the fourth step.

<제3 단계><Step 3>

제3 단계에서는, 제2 단계에서 얻어진 장척 적층체를 더욱 처리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척 적층체를 처리하고, 복수의 개편화된 유리 부재를 각각 포함하는 복수의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형성한다.In the third step, the elongated laminate obtained in the second step is further processed. More specifically, the long laminate is processed to form a plurality of laminates with glass members each containing a plurality of individual glass members.

제3 단계는, 장척 적층체의 구성에 따라서, 예컨대, 캐리어 필름을 박리하는 제6 공정, 유리 부재를 분할하는 제7 공정, 제2 기재 필름을 분할하는 제8 공정 등을 포함한다. 필요에 따라서, 유리 부재 또는 제2 기재 필름의 표면에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는 제9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The third step includes, for example, a sixth step of peeling off the carrier film, a seventh step of dividing the glass member, an eighth step of dividing the second base film, etc., depending on the configuration of the long laminate. If necessary, the ninth step of forming a surface coat layer on the surface of the glass member or the second base film may be performed.

제7 공정에서 유리 부재를 개편화하기 전에,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의 일부를 포함하는 대판 시트를 형성하는 제10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Before separating the glass members into individual pieces in the seventh step, a tenth step of forming a base sheet including a portion of grooves on a plurality of frames may be performed.

(제6 공정)(6th process)

제6 공정에서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다. 개편화된 유리 단부의 파손의 리스크를 저감하는 관점에서, 제6 공정은, 제7 공정보다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 공정과 제8 공정은 어느 쪽을 먼저 행하여도 된다. 예컨대, 제6 공정을 행한 후, 제8 공정을 행하며, 제8 공정의 후에 제7 공정을 행하여도 된다.In the sixth step,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re removed from the long laminated body.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the risk of damage to the individualized glass ends, the sixth process is preferably performed before the seventh process. The sixth step and the eighth step may be performed either first. For example, the sixth step may be followed by the eighth step, and the eighth step may be followed by the seventh step.

장척 적층체가 롤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6 공정은, 예컨대, 권출부에 의해, 롤상으로 감긴 장척 적층체를 권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When the long laminated body is wound into a roll, the sixth step may include, for example, unwinding the long laminated body wound into a roll by an unwinding unit.

제6 공정에서 제거된 캐리어 필름은, 제1 점착제층과 함께, 권취부에 의해 롤상으로 권취하여도 된다.The carrier film removed in the sixth step may be wound into a roll by a winding unit together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제7 공정)(7th process)

제7 공정에서는, 장척 적층체(보다 구체적으로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리 부재 측 또는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유리 부재를 분할한다. 유리 부재에 레이저광이 조사됨으로써, 유리 부재가 홈을 따라 프레임으로 둘러싸인 형상으로 분할(또는 절단)된다.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는,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를 절단할 수 있다.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를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제1 기재 필름이 레이저광으로 손상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 접착제층이 홈 내에 침입하여 형성되었다고 하여도, 홈 내에는 공극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레이저광의 광로에 제1 접착제층이 존재하여도, 유리 부재를 절단할 때에, 용이하게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개편화된 유리 부재와 제1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체를, 깨끗한 절단면으로, 용이하게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도, 제6 공정에 의해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먼저 제거함으로써,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유리 부재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보다 구체적으로는, 레이저광은, 홈을 통과하여 유리 부재에 조사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 후의 적층체도, 편의상, 장척 적층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In the seventh step, a laser beam is beamed from the glass member side or the first base film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 (more specifically, the laminate obtained by removing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from the long laminate). irradiated to divide the glass member. By irradiating the glass member with laser light, the glass member is divided (or cut) into a shape surrounded by a frame along the groove. When the long laminated body does not contain a second base film, the glass member can be cut by irradiating a laser beam from the glass member side, as shown in FIGS. 3A to 3D. Since the glass member can be cut by irradiating the laser beam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d body, damage to the first base film by the laser beam is suppressed. Furthermore, as shown in FIGS. 3A to 3D,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by invading the groove, a gap is formed in the groove, so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exists in the optical path of the laser beam, the glass is not formed. When cutting a member, it can be easily removed. Therefore, a laminate including the separated glass member and the first base film can be easily formed with a clean cut surface. In addition, even when the elongated laminate does not include the second base film,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re first removed in the sixth step, and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first base film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 the glass member can be divided. In this case, more specifically, the laser light passes through the groove and is irradiated to the glass member. In addition, in this specification, the laminated body after removing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from the long laminated body may also be referred to as a long laminated body for convenience.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제6 공정에서,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 후, 바람직하게는 제8 공정을 행하고, 이어서 제7 공정에서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7 공정에서, 레이저광은, 홈을 통과하여 유리 부재에 조사된다. 이 경우의 예는, 도 3e에 나타낸다. 본 개시에서는, 도 3e와 같이, 홈 내에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홈 내의 공극이 많고,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작기 때문에, 조사되는 레이저광에 의해 용이하게 제거되어, 유리 부재를 깨끗하게 절단할 수 있다.When the elongated laminate includes a second base film, for example, after removing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sixth step, preferably the eighth step is performed, and then in the seventh step from the first base film side. B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the glass member can be divided. In this case, in the seventh step, the laser light passes through the groove and is irradiated to the glass member. An example of this case is shown in Fig. 3E. In the present disclosure, even i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in the groove as shown in FIG. 3E, since there are many voids in the groove and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s small, it is easily removed by the irradiated laser light, forming the glass member. It can be cut cleanly.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 및 제2 점착제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도, 제2 기재 필름 및 제2 점착제층이 제거되는 경우에는, 제2 기재 필름 및 제2 점착제층을 제거하는 서브 스텝을 행한 후에, 도 3a~도 3d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조사하여 유리 부재를 절단하여도 된다.Even when a long laminate includes a second base film and a second adhesive layer, wh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are removed, after performing the substep of removing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3A to 3D, the glass member may be cut by irradiating laser light from the glass member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레이저광을 유리 부재 측으로부터 조사한 후에, 홈 내에 제1 접착제층이 잔존하고 있는 경우에는, 필요에 따라서,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홈을 통과하여 레이저광을 조사하여도 된다. 이로써, 홈 내에 잔존하는 제1 접착제층을 제거하고, 제1 기재 필름을 재차 분할할 수 있다.After irradiating the laser light from the glass member side, if the first adhesive layer remains in the groove, the laser light may be irradiated through the groove from the first base film side, if necessary. As a result, the first adhesive layer remaining in the groove can be removed and the first base film can be divided again.

제7 공정에서, 레이저광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레이저광 발진의 매체에 따라, 예컨대, 반도체 레이저, 가스 레이저(CO2 레이저 등), 고체 레이저(YAG 레이저, 자외선 레이저) 등을 이용하여도 된다.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은, 예컨대, 유리 부재 및 제1 접착제층의 두께, 조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In the seventh step, the type of laser ligh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depending on the medium of laser light oscillation, for example, a semiconductor laser, gas laser (CO 2 laser, etc.), solid-state laser (YAG laser, ultraviolet laser), etc. It's okay too. The irradiation conditions of the laser light are determin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composition of the glass member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제8 공정)(8th process)

장척 적층체가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경우, 제2 기재 필름과 유리 부재에서는 적합한 조사 조건이 상이한 경우가 많기 때문에, 제2 기재 필름에는, 도 3e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 부재 측(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제2 기재 필름 및 제2 접착제층 또는 제2 점착제층을 절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2 점착제층은 레이저광을 조사하지 않아도 제거 가능하기 때문에, 제2 기재 필름 및 제2 점착제층을 제거하는 경우에는, 제2 기재 필름에만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제거하여도 된다.When a long laminate includes a second base film, suitable irradiation conditions are often different for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so the second base film has a glass member side (more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3E). It is preferable to irradiate a laser beam from the second base film side) to cut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Additionally, since the second adhesive layer can be removed without irradiating laser light, when removing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second base film may be removed by irradiating only the second base film with laser light.

제8 공정에서, 레이저광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고, 제7 공정에 대하여 든 레이저를 들 수 있다. 레이저광의 조사 조건은, 예컨대, 제2 기재 필름, 제2 접착제층 또는 제2 점착제층의 두께, 조성, 제2 기재 필름의 층 구성 등에 따라 결정된다.In the eighth process, the type of laser light is not particularly limited, and includes the laser used in the seventh process. The irradiation conditions of the laser light are determined, for example, depending on the thickness and composition of the second base film, the second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the layer structure of the second base film, etc.

제7 공정 및 제8 공정의 쌍방을 행할 필요가 있는 경우, 한쪽 공정을 행한 후에, 다른 쪽 공정을 행하여도 되고, 쌍방의 공정을 병행하여 행하여도 되지만, 제8 공정을 제7 공정보다도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8 공정을 제7 공정보다도 전에 행하는 경우에는, 제6 공정은, 제8 공정 전에 행하여도 되고, 후에 행하여도 되지만, 제7 공정 및 제8 공정보다도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it is necessary to perform both the seventh and eighth steps, the other step may be performed after performing one step, or both step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but the eighth step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eventh step. It is desirable. When the 8th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7th process, the 6th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or after the 8th process, but is preferably performed before the 7th and 8th processes.

레이저 조사 전에 장척 적층체가 롤상으로 권취되어 있는 경우에는, 제8 공정은, 예컨대, 권출부에 의해, 롤상으로 감긴 장척 적층체를 권출하는 것을 포함하여도 된다.When the long laminated body is wound into a roll before laser irradiation, the eighth step may include unwinding the long laminated body wound into a roll by, for example, an unwinding unit.

(제9 공정)(9th process)

표면 코트층은, 제2 단계의 장척 적층체의 제조 과정에서, 제5 공정에서 형성하여 두어도 되고, 제3 단계의 제9 공정에서 형성하여도 된다. 제3 단계에서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는 경우에는, 작업성의 관점에서는, 제9 공정은, 제6 공정 후, 제7 공정 및 제8 공정보다도 전에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7 공정 및 제8 공정 후에, 필요에 따라서, 제9 공정에 의해, 개편화된 유리 부재 또는 제2 기재 필름의 표면에 표면 코트층을 형성하여도 된다. 표면 코트층의 형성에 대해서는, 제5 공정의 설명을 참조할 수 있다.The surface coat layer may be formed in the fifth step in the manufacturing process of the elongated laminate in the second step, or may be formed in the ninth step in the third step. When forming the surface coat layer in the third step, from the viewpoint of workability, it is preferable that the ninth step is performed after the sixth step and before the seventh and eighth steps. Additionally, after the seventh and eighth processes, a surface coat layer may be formed on the surface of the separated glass member or the second base film in the ninth process, if necessary. For formation of the surface coat layer, reference may be made to the description of the fifth step.

(제10 공정)(Process 10)

제10 공정은, 유리 부재를 개편화하기 전(즉, 제7 공정보다도 전)에 행하여진다. 제8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제10 공정은, 제8 공정보다도 전에 행하여도 된다. 제10 공정은, 제6 공정 전에 행하여도 되고, 제6 공정 후에 행하여도 된다.The tenth process is performed before the glass member is separated into pieces (that is, before the seventh process). When performing the 8th process, the 10th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8th process. The tenth process may be performed before the sixth process or after the sixth process.

제10 공정에서는, 장척 적층체의 프레임상의 홈의 외측에서, 장척 적층체를 절단하고,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의 일부를 포함하는 대판 시트를 형성한다. 제10 공정 전 또는 후에, 제6 공정을 행한 후, 제7 공정에, 대판 시트(보다 구체적으로는,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이 제거된 대판 시트)가 공급되고, 제7 공정에서 유리 부재가 개편화된다. 대판 시트를 이용하여 제7 공정 및 제8 공정을 병행하여 행하여도 되지만, 유리 부재의 파손을 저감하는 관점에서는, 대판 시트를 제8 공정에 앞서 공급하고, 제8 공정 후에 제7 공정에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9 공정을 행하는 경우에는, 예컨대,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 부재층이 제거된 대판 시트에, 제8 공정 및 제7 공정보다도 전에 제9 공정을 행하거나, 혹은, 유리 부재를 분할한 후의 개편화된 적층체에 대하여 제9 공정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In the tenth step, the long laminate is cut outside the grooves on the frame of the long laminate, and a base sheet including a portion of a plurality of grooves on the frame is formed. Before or after the 10th process, after performing the 6th process, a base sheet (more specifically, a base sheet from which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have been removed) is supplied to the 7th process, and a glass member is supplied in the 7th process. is reorganized. The 7th process and the 8th process may be performed in parallel using a base sheet, but from the viewpoint of reducing damage to the glass member, the base sheet is supplied before the 8th process and supplied to the 7th process after the 8th process. It is desirable. When performing the 9th process, for example, the 9th process is performed on the base sheet from which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member layer have been removed, before the 8th process and the 7th process, or the 9th process is performed after the glass member is divided. It is preferable to perform the ninth process on the converted laminate.

도 7은 장척 적층체로부터 적층체가 개편화되는 일련의 공정의 일례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시예에서는, 먼저, 장척 적층체(10C)로부터,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을 포함하는 대판 시트(10E)가 절출된다. 이 절출 전 또는 후에, 제6 공정에 의해,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이 제거된다. 그리고,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이 제거된 대판 시트를 이용하여, 제7 공정에 의해 유리 부재(200)가 분할되고,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10)가 얻어진다.Figure 7 is an explanatory diagram showing an example of a series of processes in which a laminated body is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from a long laminated body. In the illustrated example, first, the base sheet 10E including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is cut out from the long laminated body 10C. Before or after this cutting,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re removed by the sixth process. Then, using the base sheet from which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have been removed, the glass member 200 is divided in the seventh step, and the divided laminate 10 with the glass member is obtained.

보다 구체적으로는, 대판 시트(10E)는, 장척 적층체(10C)에서의 프레임상의 홈(G)의 외측을 통과하는 절단선(LB)에서, 장척 적층체(10C)를 절단함으로써 형성된다. 도시예에서는, 절단선(LB)은 장척 적층체(10C)의 폭 방향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프레임상의 홈(G)을 횡단하지 않는 부분에 설정된다(도 7의 (a)).More specifically, the base sheet 10E is formed by cutting the long laminated body 10C along the cutting line LB that passes outside the groove G on the frame of the long laminated body 10C. In the illustrated example, the cutting line LB is set at a portion that does not cross the groove G on the frame from one end to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long stacked body 10C (FIG. 7(a)).

그리고, 장척 적층체(10C)는, 절단선(LB)으로 절단되고, 유리 부재(200)와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G)(도시예에서는 9개)이 형성된 제1 기재 필름(100)과 이들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층(300)을 포함하는 대판 시트(10E)가 형성된다(도 7의 (b)). 대판 시트(10E)의 길이는, 취급의 용이함을 고려하여 임의로 선택된다.And, the long laminated body 10C includes a first base film 100 that is cut along the cutting line LB and has a glass member 200 and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G (nine in the illustrated example) formed therein; A base sheet 10E including the first adhesive layer 300 interposed between them is formed (FIG. 7(b)). The length of the base sheet 10E is arbitrarily selected in consideration of ease of handling.

그리고, 제6 공정에서, 대판 시트(10E)로부터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가 제거된다. 얻어진 대판 시트의 홈(G)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7 공정에서,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홈(G)의 프레임 형상을 따라, 절단선(LA)으로 유리 부재(200)가 절단된다. 이에 의해, 대판 시트로부터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10)가 얻어진다(도 7(c)).Then, in the sixth step,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are removed from the base sheet 10E. By irradiating laser light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G of the obtained base sheet in the seventh step, the glass member 200 is cut at the cutting line LA along the frame shape of the groove G. As a result, the laminate 10 with glass members separated into pieces from the base sheet is obtained (FIG. 7(c)).

도 8은 도 7의 (c)의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10)를 Ⅷ-Ⅷ선으로 절단하였을 때의 단면을, 화살표의 방향으로부터 보았을 때의 개략 단면도이다. 적층체(10)는, 제1 기재 필름(100)에 미리 홈(G)이 형성된 상태에서, 유리 부재(200)를 분할함으로써 얻어지기 때문에, 유리 부재(200)의 단면은, 분할된 제1 기재 필름(100)의 단면보다도 외측으로 연출된 상태이다.FIG. 8 is a schematic cross-sectional view of the separated laminate 10 with glass members in FIG. 7(c) cut along the line VIII-VIII, as seen from the direction of the arrow. Since the laminate 10 is obtained by dividing the glass member 200 in a state in which the groove G is previously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100, the cross section of the glass member 200 has the divided first It is in a state that extends outward from the cross section of the base film 100.

도 9에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도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0은, 장척 적층체로부터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를 형성하는 공정도의 다른 예이다.Fig. 9 shows an example of a process chart for forming a laminate with glass members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from a long laminate. Figure 10 is another example of a process chart for forming a laminate with glass members separated into pieces from a long laminate.

도 9에서는, 예컨대, 제6 공정에서, 권출부로부터 권출된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다(S6). 이어서,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7 공정에서, 유리 부재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유리 부재를 개편화한다(S7). 이어서, 이에 의해,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가 얻어진다.In Fig. 9, for example, in the sixth step,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re removed from the elongated laminate unwound from the unwinding unit (S6). Next, in the seventh step,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glass member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 from which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were removed, and the glass member is broken into pieces (S7). Subsequently, by this, a laminate with a glass member separated into individual pieces is obtained.

도 10에서는, 예컨대, 제6 공정에서, 권출부로부터 권출된 제2 기재 필름을 포함하는 장척 적층체로부터,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을 제거한다(S6). 이어서, 제8 공정에 의해,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이 제거된 장척 적층체에서,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유리 부재 측(보다 구체적으로는, 제2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제2 기재 필름을 절단한다(S8). 이때, 제2 기재 필름과 함께, 제2 접착제층 또는 제2 점착제층을 레이저광으로 절단하여도 된다. 제8 공정 후, 제7 공정에서, 캐리어 필름 및 제1 점착제층이 제거된 장척 적층체의 홈에 대응하는 영역에, 제1 기재 필름 측으로부터 홈을 통과하여 유리 부재에 레이저광을 조사함으로써, 유리 부재를 절단한다(S7). 이와 같이 하여,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가 얻어진다.In Fig. 10, for example, in the sixth step,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are removed from the long laminate including the second base film unwound from the unwinding unit (S6). Next, in the eighth step,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glass member side (more specifically, the second base film side) to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in the long laminate from which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have been removed. , the second base film is cut (S8). At this time, the second adhesive layer or the second adhesive layer may be cut with a laser beam along with the second base film. After the eighth step, in the seventh step, laser light is irradiated from the first base film side through the groove to the glass member in the area corresponding to the groove of the long laminate from which the carrier film and the first adhesive layer were removed, The glass member is cut (S7). In this way, a laminate with individual glass members is obtained.

본 발명을 현시점에서의 바람직한 실시양태에 관하여 설명하였지만, 이와 같은 개시를 한정적으로 해석하여서는 안된다. 다양한 변형 및 개변은, 상기 개시를 읽음으로써 본 발명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의 당업자에게는 틀림없이 명확해질 것이다. 따라서, 첨부의 청구범위는, 본 발명의 진정한 정신 및 범위로부터 일탈하는 일 없이, 모든 변형 및 개변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terms of presently preferred embodiments, such disclosure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no doubt becom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upon reading the above disclosure. Accordingly, the appended claims should be construed to include all modifications and changes without departing from the tru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개시는, 예컨대,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의 표시 패널에 이용되는 광학 적층체의 고성능화 및 생산성의 향상에 기여할 수 있다.The present disclosure can contribute to improving the performance and productivity of optical laminates used in, for example, display panels of flat panel displays (FPD).

10: 개편화된 유리 부재 부착 적층체
10C: 장척 적층체
10E: 대판 시트
100, 1100: 제1 기재 필름
110: 편광 필름
120: 세퍼레이터
130: 점착제층
200: 유리 필름
300: 제1 접착제층
L: 레이저광
300a: 제1 접착제
456: 기재 적층체
400: 캐리어 필름
500: 제1 점착제층
600: 제2 기재 필름
700: 제2 접착제층
800: 제2 점착제층
G: 홈
1, 4: 권출부
2: 하프 컷 장치
3a, 3b: 닙 롤러
5: 권취부
S: 슬릿
10: Reorganized glass member attached laminate
10C: Long laminate
10E: Base plate sheet
100, 1100: first base film
110: Polarizing film
120: Separator
130: Adhesive layer
200: glass film
300: first adhesive layer
L: Laser light
300a: first adhesive
456: Substrate laminate
400: Carrier film
500: first adhesive layer
600: second base film
700: second adhesive layer
800: Second adhesive layer
G: Home
1, 4: Unwinding part
2: Half cut device
3a, 3b: Nip roller
5: winding part
S: slit

Claims (9)

제1 주면 및 상기 제1 주면과는 반대 측의 제2 주면을 포함하는 장척의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제1 주면 측에 적층된 유리 부재와,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제2 주면 측에 적층된 장척의 캐리어 필름과,
상기 제1 기재 필름과 상기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기재 필름 및 상기 캐리어 필름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1 점착제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기재 필름에는, 상기 제1 기재 필름을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복수의 프레임상의 홈이 형성되며,
상기 홈 내에 공극이 형성되어 있는, 장척 적층체.
a long first base film including a first main surface and a second main surface opposite to the first main surface;
A glass member laminated on the first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 long carrier film laminated on the second main surface side of the first base film;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It includes a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first base film and the carrier film,
A plurality of frame-shaped grooves are formed in the first base film, penetrating the first base film in the thickness direction,
A long laminate in which a gap is formed in the groov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홈 내의 일부에 상기 제1 접착제층이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홈 내의 일부에 형성된 상기 제1 접착제층의 최소 두께가 0㎛ 이상 3㎛ 이하인,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adhesive layer is formed in a portion of the groove,
A long laminate wherein the minimum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formed in a portion of the groove is 0 μm or more and 3 μm or less.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홈에서,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단면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 접착제층으로 피복되어 있는,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claim 1 or 2,
A long laminate in which at least a part of the cross section of the first base film is covered with the first adhesive layer in the groove.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홈의 폭은, 5mm 이상인,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long laminate wherein the width of the groove is 5 mm or more.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접착력 및 상기 제1 접착제층과 상기 유리 부재의 접착력은, 어느 것이라도 0.1N/mm 이상인,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A long laminate wherein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first base film and the adhesive force between the first adhesive layer and the glass member are both 0.1 N/mm or more.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1 접착제는, 자외선 경화형인,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5,
The first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is an ultraviolet curing type, a long laminate.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제층을 형성하는 제1 접착제의 25℃에서의 점도는, 0.1mPa·s 이상 100mPa·s 이하인,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6,
A long laminate wherein the viscosity at 25°C of the first adhesive forming the first adhesive layer is 0.1 mPa·s or more and 100 mPa·s or less.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기재 필름의 상기 홈을 제외한 부분과 상기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상기 제1 접착제층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인,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7,
A long laminate wherein the thickness of the first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portion of the first base film excluding the groove and the glass member is 0.5 μm or more and 5 μm or less.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리 부재의 상기 제1 기재 필름 측과는 반대 측의 주면에 적층된 장척의 제2 기재 필름과,
상기 제2 기재 필름과 상기 유리 부재의 사이에 개재하는 제2 점착제층 또는 제2 접착제층을 더 포함하는, 장척 적층체.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8,
a long second base film laminated on a main surface of the glass member opposite to the first base film side;
A long laminate further comprising a second adhesive layer or a second adhesive layer interposed between the second base film and the glass member.
KR1020237045351A 2021-08-10 2022-07-20 long laminate KR2024004236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30841 2021-08-10
JP2021130841A JP2023025535A (en) 2021-08-10 2021-08-10 long laminate
PCT/JP2022/028153 WO2023017716A1 (en) 2021-08-10 2022-07-20 Long multilayer bod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2367A true KR20240042367A (en) 2024-04-02

Family

ID=852004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351A KR20240042367A (en) 2021-08-10 2022-07-20 long laminate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2023025535A (en)
KR (1) KR20240042367A (en)
CN (1) CN117677494A (en)
WO (1) WO2023017716A1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9352A (en) 2013-02-20 2014-09-04 Nitto Denko Corp Production method of flexible film
JP2019122966A (en) 2018-01-12 2019-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Segmentation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5995097B2 (en) * 2013-04-30 2016-09-21 日本電気硝子株式会社 Cutting method of composite board
JP2017019674A (en) * 2015-07-08 2017-01-26 三菱樹脂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laminate
JP6597361B2 (en) * 2016-02-12 2019-10-30 三菱ケミカル株式会社 Manufacturing method of substrate for electronic device
JP6355783B2 (en) * 2017-03-14 2018-07-11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producing flexible film
JP2019167270A (en) * 2018-03-23 2019-10-03 日東電工株式会社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structure piece
JP2020083710A (en) * 2018-11-27 2020-06-04 株式会社ダイセル Production method of laminate including thin glass pla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59352A (en) 2013-02-20 2014-09-04 Nitto Denko Corp Production method of flexible film
JP2019122966A (en) 2018-01-12 2019-07-25 日東電工株式会社 Segmentation method of composite material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77494A (en) 2024-03-08
WO2023017716A1 (en) 2023-02-16
JP2023025535A (en) 2023-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285654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display panel
CN109385222B (en) Method for producing adhesive-attached optical film
KR101614211B1 (en) Method for Maunfacturing a Single-faced Thin Polarizing Plate
CN109922954B (en) Glass film-resin composite
US20140342148A1 (en) Glass structures and methods of creating and processing glass structures
US10246374B2 (en) Method for manufacturing glass film laminate, glass film laminat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electronic device
KR20240042367A (en) long laminate
WO2023017717A1 (en) Manufacturing method of laminate having divided-piece glass member attached
KR20180101511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KR20240001321A (en) laminate
KR102070525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JP2012008422A (en) Polarizing plate, display panel, electronic apparatus,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display panel
CN107848252B (en) Method for manufacturing optical laminate
JP2008051998A (en)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element
KR102658516B1 (en) Glass film-resin composite
TW201310114A (en) Plate stacked structure and method for forming the same
WO2022230894A1 (en) Method for producing long laminate or laminate, and diced glass-integrated sheet
WO2022230893A1 (en) Long multilayer body
JP7060845B2 (en) Manufacturing method of flexible mold, base material for flexible mold, and manufacturing method of optical parts
TWI840323B (en) Glass film-resin composite
KR20140148183A (en) Method for manufacturing window of portable equipment
JP2008071616A (en) Organic el element panel, and its manufacturing meth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