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807A - Camera module - Google Patents

Camera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807A
KR20240041807A KR1020230079292A KR20230079292A KR20240041807A KR 20240041807 A KR20240041807 A KR 20240041807A KR 1020230079292 A KR1020230079292 A KR 1020230079292A KR 20230079292 A KR20230079292 A KR 20230079292A KR 20240041807 A KR20240041807 A KR 202400418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posed
camera module
clip
coupled
lens barr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079292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광성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418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807A/en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55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with provision for heating or cooling, e.g. in aircr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4Mounting of cameras operative during driv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relative to the vehicl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2Bodies
    • G03B17/12Bodies with means for supporting objectives, supplementary lenses, filters, masks, or turret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0/00Camera modules comprising integrated lens units and imaging unit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e.g. mobile phones or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7Mechanical or electrical details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specially adapted for being embedded in other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 내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측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제1바디의 내면과 상기 발열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The camera module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space therein and including a top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an edge of the top plat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space and including a lens barrel and a lens disposed within the lens barrel;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side plate; a heating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ens barre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lip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heating member.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Camera module{CAMERA MODULE}

본 발명은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amera module.

최근 들어, 초소형 카메라 모듈이 개발되고 있고, 초소형 카메라 모듈은 스마트폰, 노트북, 게임기 등과 같은 소형 전자 제품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Recently, ultra-small camera modules have been developed, and ultra-small camera modules are widely used in small electronic products such as smartphones, laptops, and game consoles.

자동차의 보급이 대중화됨에 따라 초소형 카메라는 소형 전자 제품뿐만 아니라 차량에도 많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차량의 보호 또는 교통사고의 객관적인 자료를 위한 블랙박스 카메라, 차량 후미의 사각지대를 운전자가 화면을 통해서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하여 차량의 후진 시에 안전을 기할 수 있게 하는 후방 감시카메라, 차량의 주변을 모니터링 할 수 있는 주변 감지 카메라 등이 구비된다.As automobiles become more popular, ultra-small cameras are widely used not only in small electronic products but also in vehicles. For example, a black box camera for vehicle protection or objective data on traffic accidents, a rear surveillance camera that allows the driver to monitor blind spots at the rear of the vehicle through the screen to ensure safety when the vehicle is reversing, It is equipped with a surrounding detection camera that can monitor the surroundings of the vehicle.

카메라는 렌즈와, 상기 렌즈를 수용하는 렌즈 홀더와, 상기 렌즈에 모인 피사체의 이미지를 전기 신호로 변환시키는 이미지 센서와, 상기 이미지 센서가 실장되는 인쇄회로기판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의 외형을 이루는 하우징은, 내부 부품들이 수분을 포함하는 이물질로부터 오염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전 영역이 밀폐된 구조로 이루어진다. A camera may be provided with a lens, a lens holder that accommodates the lens, an image sensor that converts an image of a subject collected in the lens into an electrical signal, and a printed circuit board on which the image sensor is mounted. The housing that forms the exterior of the camera has an entirely sealed structure to prevent internal components from being contaminated by foreign substances containing moisture.

카메라 모듈의 경우, 차량의 외부에 배치되어 외기의 영향을 많이 받기 때문에 동절기에 렌즈는 성에, 결로 및 빙결 등이 빈번하게 발생된다. 렌즈에 성에, 결로 및 빙결 등이 발생될 경우, 카메라 모듈의 성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In the case of the camera module, since it is placed outside the vehicle and is greatly affected by the outside air, frost, condensation, and freezing frequently occur on the lens during the winter. If frost, condensation, or freezing occurs on the lens, the performance of the camera module is greatly reduced.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히팅 기능을 통하여 렌즈 표면에 발생하는 성에나 빙결 등을 신속히 제거할 수 있는 갖는 카메라 모듈 및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camera module and vehicle that can quickly remove frost or ice occurring on the lens surface through a heating function.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면(aspect)에 따른 카메라 모듈은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측판을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 내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측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제1바디의 내면과 상기 발열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한다.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achieving the above object includes a first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including a top plate and a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an edge of the top plat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space and including a lens barrel and a lens disposed within the lens barrel;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side plate; a heating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ens barre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lip respectively coupled to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nd the heating member.

본 실시예를 통해 발열부재 내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가장 긴 연결부가 클립을 통하여 바디 내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발열부재와 다른 전자부품 간 전기적 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되고, 바디 내 다른 부품들의 배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Through this embodiment, the relatively longest connection within the heating member can be fixed within the body through a clip, thereby preventing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noise between the heating member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and freeing up space for other components within the body.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it can be secured more widely.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내 클립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모듈, 히팅부재 및 클립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내 클립과 히팅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시도.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view showing Figure 3 from another angle.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upling structure of a clip within a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combined structure of a lens module, a heating member, and a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8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a clip and a heating member in a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다만,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은 설명되는 일부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범위 내에서라면, 실시 예들간 그 구성 요소들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결합 또는 치환하여 사용할 수 있다.However,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some of the described embodiments, but may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and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one or more of the components may be optionally used between the embodiments. It can be used by combining or replacing.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용어(기술 및 과학적 용어를 포함)는, 명백하게 특별히 정의되어 기술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될 수 있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를 고려하여 그 의미를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In addition, terms (including technical and scientific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unless explicitly specifically defined and described, are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t can be interpreted as meaning, and the meaning of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can be interpreted by considering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Additionally, the terms used in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for describing the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할 수 있고, "A 및(와) B, C 중 적어도 하나(또는 한 개 이상)"로 기재되는 경우 A, B, C로 조합할 수 있는 모든 조합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In this specification, the singular may also include the plural unless specifically stated in the phrase, and when described as "at least one (or more than one) of A and B and C", it is combined with A, B, and C. It can contain one or more of all possible combinations.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으로 한정되지 않는다.Additionally, 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are not limited to the essenc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그리고,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 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구성 요소와 그 다른 구성 요소 사이에 있는 또 다른 구성 요소로 인해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는 경우도 포함할 수 있다.And,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that other component. In addition to cases, it may also include cases where the component is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by another component between that component and that other component.

또한, 각 구성 요소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 "상(위)" 또는 "하(아래)"는 두 개의 구성 요소들이 서로 직접 접촉되는 경우뿐만 아니라, 하나 이상의 또 다른 구성 요소가 두 개의 구성 요소들 사이에 형성 또는 배치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 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될 수 있다. Additionally, when described as being formed or disposed “on top” or “bottom” of each component, “top” or “bottom” means that the two components are directly adjacent to each other. This includes not only the case of contact, but also the case where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are formed or disposed between the two components. In addition, when expressed as “top” or “bottom,” the meaning of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can be included based on one component.

이하에서 사용되는 '광축 방향'은 렌즈의 광축 방향으로 정의한다. 한편, '광축 방향'은 '상하 방향', 'x축 방향' 등과 대응될 수 있다.The 'optical axis direction' used below is defined as the optical axis direction of the lens. Meanwhile, 'optical axis direction' may correspond to 'up and down direction', 'x-axis direction', etc.

이하, 본 발명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사시도이다. Figure 9 is a perspective view of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1)은 바디(2), 도어(3), 글라스(4), 헤드램프(5), 테일램프(6) 및 카메라 모듈(10)을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FIG. 9, the vehicl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ody 2, a door 3, glass 4, a headlamp 5, a tail lamp 6, and a camera module 10. may include.

상기 바디(2)는 상기 차량(1)의 외장부재일 수 있다. 상기 바디(2)는 프레임 타입(Frame type), 모노코크 타입(Monocoque type)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측면에는 1 이상의 상기 도어(3)가 결합할 수 있다. 또, 상기 바디(2)의 상부의 전방과 후방(필러가 형성된 부분) 및 상기 도어(3)에는 상기 글라스(4)가 결합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하부의 전방에는 상기 헤드램프(5)가 장착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하부의 후방에는 상기 테일램프(6)가 장착될 수 있다.The body 2 may be an exterior member of the vehicle 1. The body 2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a frame type or a monocoque type. One or more doors 3 may be coupled to the side of the body 2. In addition, the glass 4 can be coupled to the front and rear of the upper part of the body 2 (the part where the pillar is formed) and the door 3. The headlamp 5 may be mounted at the front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2. The tail lamp 6 may be mounted at the rear of the lower part of the body 2.

상기 바디(2)의 측부 또는 1 이상의 상기 도어(3) 중 전방에 배치된 도어에는 카메라 모듈(10)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상기 도어(3)에 결합된 상기 글라스(4)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의 차량(1)에서 사이드 미러는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대체될 수 있다.A camera module 10 may be installed on the side of the body 2 or on one of the one or more doors 3 located in the front. The camera module 10 may be installed in front of the glass 4 coupled to the door 3. That is, in the vehicle 1 of this embodiment, the side mirror can be replaced with the camera module 10.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차량의 양측 후방을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전자제어유닛(ECU) 등을 통해 디스플레이부(미도시)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카메라 모듈(10)에서 촬영된 영상은 상기 전자제어유닛(ECU)에 의해 제어되어 디스플레이부에서 재생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0 can take pictures of both rear sides of the vehicl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0 may be electrically connected to a display unit (not shown) through an electronic control unit (ECU). Therefore, the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0 can be controlled by the electronic control unit (ECU) and played on the display unit.

상기 바디(2)의 내부에는 운전자를 위한 실내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2)의 내부에는 디스플레이부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카메라 모듈(10)이 촬영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는 상기 바디(2) 내부의 대시보드(미도시)에 설치될 수 있다.An interior space for the driver may be formed inside the body 2. A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inside the body 2. The display unit may output an image captured by the camera module 10. The display unit may be installed on a dashboard (not shown) inside the body 2.

전술한 차량(1) 내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설치 형태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차량(1)의 전방 카메라, 측방 카메라, 후방 카메라 및 블랙 박스 중 어느 하나 이상에 사용될 수 있다.The installation form of the camera module 10 in the vehicle 1 described above is exemplary, and the camera module 10 may be used in one or more of the front camera, side camera, rear camera, and black box of the vehicle 1. You can.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Hereinafter, the camera modul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외관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3을 다른 각도에서 도시한 도면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의 하면을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내 클립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렌즈모듈, 히팅부재 및 클립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제1바디 내 클립과 히팅부재의 결합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FIG.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appearance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3 is an exploded view of a camera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FIG. 4 is a view showing FIG. 3 from a different angle, FIG. 5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6 is a view showing the first body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clip within the body, Figure 7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lens module, heating member and clip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8 is a first coupling structur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is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combined structure of the clip and heating member within the body.

도 1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10)은, 제1바디(100), 제2바디(300), 렌즈모듈(200), 인쇄회로기판(400) 및 발열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1 to 8, the camera module 10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first body 100, a second body 300, a lens module 200, a printed circuit board 400, and It may include a heating member 700.

상기 제1바디(100)는 프론트 바디(front body), 상부 하우징, 제1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1바디(100) 내에는 상기 렌즈모듈(200),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이 배치되도록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be called one of a front body, an upper housing, and a first housing. A space may be formed in the first body 100 to place the lens module 20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상기 제1바디(100)는 바디부(130)와, 배럴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0)와 상기 배럴부(120)는 한몸으로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include a body portion 130 and a barrel portion 120. The body portion 130 and the barrel portion 120 may be formed as one body.

상기 배럴부(12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럴부(120)는 상기 바디부(13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배럴부(120)에는 상기 렌즈모듈(200)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배럴부(120) 내 공간은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The barrel portion 12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The barrel portion 120 may be disposed on the body portion 130. The lens module 200 may be coupled to the barrel portion 120. The space within the barrel portion 12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상기 배럴부(120)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오목한 형상의 결합홈(122,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2)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배럴부(12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122)에는 후술할 상기 렌즈모듈(200)의 가이드 돌기(226)가 결합될 수 있다. A coupling groove 122 (see FIG. 3) that is concave downward from other areas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barrel portion 120. The coupling grooves 122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barrel portion 120. The guide protrusion 226 of the lens modul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2.

상기 바디부(130)는 하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30)는 상판(132)과, 제1측판(13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판(132)은 상기 배럴부(120)의 하단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상판(132)은 후술할 상기 제12바디(300)의 하판(310)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body portion 13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with an open bottom. The body portion 130 may include an upper plate 132 and a first side plate 134. The top plate 132 may have a shape extending outward from the bottom of the barrel portion 120. The upper plate 132 may be disposed to face the lower plate 310 of the twelfth body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제1측판(134)은 상기 상판(132)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측판(134)의 외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측판(134)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제1돌출부(136, 도 2 참조)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36)는 상기 제2바디(3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부(135)의 내측에는 상기 제1측판(134)의 하면에 의해 바닥면이 형성되는 제1홈(138)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홈(138)에는 후술할 상기 제2바디(300)의 제2돌출부(322)가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side plate 134 may have a shape extending downward from the edge of the upper plate 132. The out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may form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10. A first protrusion 136 (see FIG. 2)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in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other areas. The first protrusion 136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body 300. A first groove 138 whose bottom is formed by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rotrusion 135. The second protrusion 322 of the second body 3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roove 138.

상기 제1바디(100)는 제1결합부(18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0)는 상기 상판(13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0)의 하면에는 나사홀(181)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0)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측판(134)의 내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제1결합부(180)는 상기 바디부(130)의 하면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0)의 하면은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에 접촉될 수 있다. 상기 제1결합부(180)를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1바디(100)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나사홀(181)과 마주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 내 영역에는 마찬가지로, 스크류(S, 도 2 참조)가 관통하는 나사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coupling portion 180.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2. A screw hole 181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0. The first coupling portions 180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As an example,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0 may be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portion 130.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0 may be in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may be screwed to the first body 100 through the first coupling portion 180. Likewise, a screw hole 420 through which a screw (S, see FIG. 2) penetrates may be formed in an area within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facing the screw hole 181.

상기 제1바디(100)는 제1가이드(137)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7)는 상기 상판(13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둘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7)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제1측판(134)의 내면을 따라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7)와 마주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 내 영역에는 상기 제1가이드(137)가 결합되는 가이드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이드(137)와 상기 가이드홀(430)의 결합 구조로 인해,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조립 과정에서,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제1바디(100) 간 결합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may include a first guide 137. The first guide 137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2. The first guides 137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long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A guide hole 430 to which the first guide 137 is coupled may be formed in an area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facing the first guide 137. Due to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first guide 137 and the guide hole 430, during the assembly process of the camera module 10, the coupling direction between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and the first body 100 Can be guided.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제2바디(3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300)는 리어 바디(rear body), 하부 하우징, 제2하우징 중 어느 하나로 이름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는 상기 측판(134)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The camera module 10 may include a second body 300. The second body 300 may be called one of a rear body, a lower housing, and a second housing. The second body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side plate 134.

상기 제2바디(300)는 상부가 개구된 사각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바디(300)는 하판(310)과, 제2측판(3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판(310)은 상기 상판(132)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하판(310)의 하면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커넥터 인출부(3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인출부(390)은 내부가 중공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며, 내측에 후술할 커넥터(490)가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body 300 may be formed in a square shape with an open top. The second body 300 may include a lower plate 310 and a second side plate 320. The lower plate 31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upper plate 132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 connector lead-out portion 39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0 in a shape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other areas. The connector pull-out portion 390 is formed in a hollow cylindrical shape, and a connector 49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be placed inside.

상기 하판(310)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돌출 영역(315)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돌출 영역(315)을 통하여 상기 하판(310)의 강도가 보강될 수 있다. A protruding area 315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ower plate 310 and has a shape that protrudes more upward than other areas. The strength of the lower plate 310 can be strengthened through the protruding area 315.

상기 제2측판(320)은 상기 하판(310)의 가장자리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측판(320)의 외면은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측면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2측판(320)은 상기 제1측판(134)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second side plate 320 may have a shape extending upward from the edge of the lower plate 310. The out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320 may form a portion of the side surface of the camera module 10. The second side plate 3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first side plate 134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상기 제2측판(320)의 상면에는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제2돌출부(322)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322)는 상기 제1바디(100)의 제1홈(138)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부(322)의 외측에는 상기 제2측판(320)의 상면에 의해 바닥면이 형성되는 제2홈(324)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홈(324)에는 상기 제1바디(100)의 제1돌출부(136)가 결합될 수 있다. A second protrusion 322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320 and has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from other areas. The second protrusion 322 may be coupled to the first groove 138 of the first body 100. A second groove 324, the bottom of which is formed by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side plate 320, may be disposed on the outside of the second protrusion 322. The first protrusion 136 of the first body 100 may be coupled to the second groove 324.

상기 제1바디(100)와 상기 제2바디(300)는 상기 제1홈(138)과 상기 제2돌출부(322), 상기 제2홈(324)과 상기 제1돌출부(136) 간 융착에 의해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300 are fused between the first groove 138 and the second protrusion 322, and the second groove 324 and the first protrusion 136. can be combined with each other.

상기 렌즈모듈(200)은 상기 제1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20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바디(100) 내 배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1바디(100)의 상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200)은 렌즈배럴(210), 렌즈(250) 및 리테이너(retainer)(27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lens module 200 may be combined with the first body 100.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module 200 may be disposed within the first body 100 , and another portion may protrude upward from the first body 100 . The lens module 200 may include a lens barrel 210, a lens 250, and a retainer 270.

상기 렌즈배럴(210)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제1바디(10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은 상, 하면이 개구된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의 하면에는 개구(208)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의 내부에는 상기 렌즈(250)가 배치되는 공간(202)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 내 공간(202)은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렌즈배럴(210) 내 공간 중 최외곽 렌즈가 배치되는 영역은 타 영역 보다 단면적이 크게 형성될 수 있다. At least a portion of the lens barrel 210 may be disposed within the first body 100. The lens barrel 210 may be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with open top and bottom surfaces. An opening 208 may b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A space 202 in which the lens 250 is placed may be formed inside the lens barrel 210. The space 202 within the lens barrel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area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For example, the area within the lens barrel 210 where the outermost lens is placed may have a larger cross-sectional area than other areas.

상기 렌즈배럴(210)은 단면적이 상이한 복수의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렌즈배럴(210)은 상부 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영역의 단면적은 상기 하부 영역의 단면적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영역의 단면적은 상기 제1바디(100) 내 공간(110)의 단면적 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하부 영역의 단면적은 상기 공간(110)의 단면적 보다 작을 수 있다. The lens barrel 210 may include a plurality of regions with different cross-sectional areas. As an example, the lens barrel 210 may include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disposed below the upper reg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region may be larger than that of the lower regio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upper region may be larg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110 within the first body 100.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lower region may be smaller than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space 110.

상기 렌즈배럴(210)은 플랜지(2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주면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0)는 링(ring)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렌즈모듈(200)과 상기 제1바디(100)의 결합 시, 상기 플랜지(220)는 상기 배럴부(12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220)의 외면은 상기 배럴부(120)의 외면과 동일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The lens barrel 210 may include a flange 220. The flange 22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The flange 220 may be formed in a ring shape. When the lens module 200 and the first body 100 are combined, the flange 220 may be disposed on the barrel portion 120. The outer surface of the flange 220 may form the same plane as the outer surface of the barrel portion 120.

상기 플랜지(220)의 하면 중 상기 결합홈(122)과 마주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가이드 돌기(226)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상기 제1바디(100)의 결합홈(122)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돌기(226)는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렌즈배럴(210)의 중심을 기준으로 상호 대칭하게 배치될 수 있다. A guide protrusion 226 that protrudes downward from other areas may be disposed on a lower surface of the flange 220 that faces the coupling groove 122. The guide protrusion 226 may be coupled to the coupling groove 122 of the first body 100. The guide protrusions 226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symmetrically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lens barrel 210.

최외곽 렌즈(250)가 배치되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상면에는 제1돌출 영역(232), 제2돌출 영역(234) 및 홈 영역(236)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232)과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은 상기 렌즈배럴(210)의 상면으로부터 타 영역보다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232)과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은 반경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은 상기 제1돌출 영역(232)의 반경 방향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의 상면은 상기 제1돌출 영역(232)의 상면 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A first protruding area 232, a second protruding area 234, and a groove area 236 may be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where the outermost lens 250 is disposed.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more upward than other areas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radial direction.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in the radial direction.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may be disposed to be stepped down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상기 홈 영역(236)은 상기 제1돌출 영역(232)과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 영역(236)의 바닥면은 상기 제1돌출 영역(232)의 상면 또는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의 상면 보다 하방으로 단차지게 배치될 수 있다. The groove area 236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and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The bottom surface of the groove area 236 may be arranged to be stepped downward from the top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or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상기 제2돌출 영역(234)의 상면은 상기 최외곽 렌즈(250)의 하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돌출 영역(232)의 내면은 상기 최외곽 렌즈(250)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홈 영역(236)은 상기 최외곽 렌즈(250)의 하면과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 영역(236)에는 접착을 위한 접착부재 또는 실링을 위한 실링부재가 배치될 수 있다. The upper surface of the second protruding area 234 may support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most lens 250.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protruding area 232 may support the side surface of the outermost lens 250. The groove area 236 may be arrang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outermost lens 25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An adhesive member for adhesion or a sealing member for sealing may be disposed in the groove area 236.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과 상기 배럴부(120)의 공간(110)의 내면 사이에는 실링부재(60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00)는 링(ring)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과 상기 제1바디(100)의 내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외부 이물질이 상기 카메라 모듈(10) 내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실링부재(600)는 상기 플랜지(2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에는 상기 실링부재(600)의 결합을 위한 실링부재 결합홈(222, 도 2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A sealing member 6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space 110 of the barrel portion 120. The sealing member 600 has a ring-shaped cross-section and may be disposed betwee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Accordingly, it is possible to prevent external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space within the camera module 10. The sealing member 600 may be disposed below the flange 220. A sealing member coupling groove 222 (see FIG. 2)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for coupling the sealing member 600.

상기 렌즈(250)는 상기 렌즈배럴(210) 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250)는 복수로 구비되어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호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 사이에는 인접한 렌즈 사이를 이격시키는 스페이서가 배치될 수 있다.The lens 250 may be placed within the lens barrel 210. The lenses 250 may be provided in plural numbers and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Spacers may be dispos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nses to space adjacent lenses apart.

상기 리테이너(27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70)는 상기 렌즈배럴(21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70)와 상기 렌즈배럴(210)은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과,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과 마주하는 상기 리테이너(270)의 내면에는 나사산 또는 나사홈이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예시적인 것이며, 상기 리테이너(270)와 상기 렌즈배럴(210)은 에폭시(Epoxy)를 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The retainer 27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The retainer 270 may be placed on the lens barrel 210. The retainer 270 and the lens barrel 210 may be screwed together. A thread or a screw groove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retainer 270 facing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However, this is an example, and the retainer 270 and the lens barrel 21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epoxy.

상기 리테이너(27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상단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리테이너(270)는 제1영역(272)과, 제2영역(274)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72)과 상기 제2영역(274)은 상호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72)의 중앙에는 최외곽 렌즈(250)를 외부로 노출시키기 위한 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영역(274)은 상기 제1영역(272)의 가장자리로부터 절곡되어 하방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지며, 내면이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제1영역(272)은 상기 최외곽 렌즈(250)의 표면 중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최외곽 렌즈(250)의 표면은 광이 입사되는 입사면일 수 있다. The retainer 270 may be coupled to the top of the lens barrel 210. The retainer 270 may include a first area 272 and a second area 274. The first area 272 and the second area 274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each other. A hole may be formed in the center of the first area 272 to expose the outermost lens 250 to the outside. The second region 274 has a shape that is bent from the edge of the first region 272 and extends downward, and its inner surface may be screw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The first area 272 may be arranged to cover at least a portion of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ens 250. Here, the surface of the outermost lens 250 may be an incident surface where light is incident.

상기 리테이너(270)의 외면에는 홈(277, 도 1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홈(277)은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홈(277)은 복수로 구비되어, 상기 리테이너(270)의 중앙을 기준으로 상호 대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277)에는 에폭시(Epoxy)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홈(277)은 장방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A groove 277 (see FIG. 1) may b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retainer 270. The groove 277 may have a shape that is recessed inward compared to other areas. The grooves 277 may be provided in plural and arranged to face each other with respect to the center of the retainer 270. Epoxy may be placed in the groove 277. The groove 277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인쇄회로기판(4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바디(100)와 상기 제2바디(300)의 결합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1측판(134)과 상기 제2측판(320)의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1바디(100)의 하면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은 상기 제1결합부(150)의 나사홀(152)과 마주하는 나사홀(42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크류(S)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나사홀(420)을 관통하여, 상기 제1바디(100) 내 나사홀(152)에 나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렌즈(250)와 마주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상면에는 이미지 센서(41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410)는 상기 렌즈(250)와 광축 방향으로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 센서(410)는 상기 렌즈(250)와 광축 정렬될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0 may include a printed circuit board 400.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is formed in a plate shape and may be placed in a space formed by combining the first body 100 and the second body 300.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may be dispos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134 and the second side plate 320.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may be screw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may include a screw hole 420 facing the screw hole 152 of the first coupling portion 150. The screw S may penetrate the screw hole 420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and be screwed to the screw hole 152 in the first body 100. An image sensor 41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facing the lens 250. The image sensor 410 may be arranged to face the lens 250 i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image sensor 410 may be aligned with the lens 250 on an optical axis.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하면에는 커넥터(49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90)는 외부 단자와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90)와 상기 외부 단자의 결합에 의해, 상기 카메라 모듈(10)로 전원이 제공되거나, 상기 카메라 모듈(10)의 구동과 관련된 제어 신호가 송,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490)는 상기 제2바디(300)의 커넥터 인출부(390) 내 배치될 수 있다. A connector 490 may be disposed on the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The connector 490 may be connected to an external terminal. By combining the connector 490 and the external terminal, power may be provided to the camera module 10, or a control signal related to driving the camera module 10 may be transmitted or received. The connector 490 may be disposed within the connector lead-out portion 390 of the second body 300.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발열부재(70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700)는 상기 제1바디(100)와 상기 렌즈배럴(2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700)는 일단이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에 배치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재(700)는 발열부(710), 연결부(720) 및 단자부(7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 상기 연결부(720) 및 상기 단자부(750)에 의해 상기 발열부재(700)는 대략 “T”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0 may include a heating member 700. The he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body 100 and the lens barrel 210. One end of the heating member 700 may be dispos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and the other end may be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The heating member 700 may include a heating portion 710, a connecting portion 720, and a terminal portion 750. The heating member 700 may have an approximately “T” shaped cross section due to the heating unit 710, the connecting unit 720, and the terminal unit 750.

상기 발열부재(700)는 PTC 히터(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일 수 있다. The heating member 700 may be a PTC heater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heater).

상기 발열부(710)는 상기 발열부재(700)의 일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는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는 PTC(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물질을 포함할 수 있으며, 반도체 소자 형태로 제작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는 PTC 소자, 전극판 및 절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는 회로 패턴이 형성된 시트에 도포된 발열 잉크를 포함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710 may be disposed at one end of the heating member 700. The heating unit 710 may generate heat. The heating unit 710 may include a positive temperature coefficient (PTC) material and may be manufactured in the form of a semiconductor device. The heating unit 710 may include a PTC element, an electrode plate, and an insulating plate. The heating unit 710 may include heating ink applied to a sheet on which a circuit pattern is formed.

상기 발열부(710)로부터 발생된 열은 상기 렌즈배럴(210)을 통하여 상기 렌즈(250)로 전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250)의 표면에 발생된 성에, 빙결 등이 제거될 수 있다. Heat generated from the heating unit 710 may be transferred to the lens 250 through the lens barrel 210. Accordingly, frost, ice, etc. generated on the surface of the lens 250 can be removed.

광축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발열부(710)의 길이는 1mm 내지 20mm 이하일 수 있다. Based on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length of the heating unit 710 may be 1 mm to 20 mm or less.

상기 발열부(71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하부 영역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주면을 감싸는 상기 발열부(710)의 양단은 상호 이격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발열부(710)의 양단 사이에는 갭(G, 도 3 참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발열부(710)의 양단은 0.1mm 이상 이격될 수 있다. 상기 갭(G)이 없이 상기 발열부(710)의 양단이 서로 중첩되게 배치 시, 상기 렌즈배럴(210)과의 결합력이 떨어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상기 갭(G)에 의해 상기 발열부(71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주면을 감싸도록 보다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71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The heating unit 71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ower area of the lens barrel 210. Both ends of the heating portion 710 surrounding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may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For example, a gap (G, see FIG. 3) may be formed between both ends of the heating unit 710. Both ends of the heating unit 710 may be spaced apart by more than 0.1 mm. When both ends of the heating portion 710 are arranged to overlap each other without the gap G, there is a risk that the coupling force with the lens barrel 210 may decrease. Therefore, according to this embodiment, the heating unit 710 can be more firmly coupled to surround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by the gap G.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주면 중 상기 갭(G) 형성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형상의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주면 중 상기 발열부(710)의 배치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오목하게 형성되는 홈(미도시)이 배치될 수 있다. A guide (not shown) may be formed in a region of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corresponding to the gap G formation region in a shape that protrudes outward from other regions. In contrast, a groove (not shown) that is more concave than other areas may be disposed in the area where the heating unit 710 is locat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상기 발열부(710)는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에 접착제, 접착테이프 중 어느 하나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The heating unit 710 may be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using either adhesive or adhesive tape.

상기 연결부(720)는 상기 발열부(710)와 상기 단자부(750)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는 상기 렌즈배럴(210) 및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외측을 감싸는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는 상기 발열부(710)와 상기 단자부(750)를 전기적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는 연성회로기판(FPCB)일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는 적어도 1회 이상 절곡된 영역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영역(722)을 포함할 수 있다. 광축 방향에 수직인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돌출 영역(722)은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The connection part 720 may be disposed between the heating part 710 and the terminal part 750. The connection portion 720 may be arranged to surround the outside of the lens barrel 210 and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The connection part 720 may electrically connect the heating part 710 and the terminal part 750. The connection portion 720 may be a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The connection portion 720 may have an area that is bent at least once. The connection portion 720 may include a protruding area 722 that protrudes outward from other areas. Based on the direction perpendicular to the optical axis direction, the protruding area 722 may protrude outward from other areas.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 중 상기 연결부(720)의 배치 영역과 대응되는 영역에는 타 영역보다 내측으로 함몰되는 형상의 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720)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홈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렌즈배럴(210)의 외면에 상기 발열부재(700)가 보다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다.On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a groove that is depressed more inward than other areas may be formed in a reg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reg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720.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ng portion 720 may be coupled to the groove. Accordingly, the heating member 700 can be more firmly fix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210.

상기 단자부(750)는 상기 연결부(720)의 하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750)는 상기 발열부재(700)의 하단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단자부(750)가 형성된 상기 연결부(720)의 단부는 상기 연결부(720) 타 영역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단자부(750)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에는 상기 단자부(750)와 전기적, 물리적으로 결합되는 커넥터(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는 상기 이미지 센서(410)의 배치면과 반대되는 상기 인쇄회로기판(400)의 하면에 배치될 수 있다. The terminal portion 750 may be disposed at the bottom of the connection portion 720. The terminal portion 750 may form the lower end of the heating member 700. The end of the connection part 720 where the terminal part 750 is formed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other area of the connection part 720. The terminal portion 750 may be connect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A connector (not shown) that is electrically and physically coupled to the terminal portion 750 may be disposed on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The connector may be placed on the bottom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which is opposite to the placement surface of the image sensor 410.

상기 커넥터와 상기 단자부(750)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인쇄회로기판(400)과 상기 발열부재(700)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Through the combination of the connector and the terminal portion 750, the printed circuit board 400 and the heating member 700 can be electrically connected.

상기 카메라 모듈(10)은 클립(80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립(800)은 상기 발열부재(7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800)은 상기 제1바디(10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800)은 상기 발열부재(700) 및 상기 제1바디(100)와의 결합을 통하여, 상기 발열부재(700)를 상기 제1바디(100) 내에서 견고하게 고정시킬 수 있다. The camera module 10 may include a clip 800. The clip 800 may be combined with the heating member 700. The clip 800 may be coupled to the first body 100. The clip 800 can firmly fix the heating member 700 within the first body 100 through combination with the heating member 700 and the first body 100.

상세히, 상기 제1바디(100)의 하면에는 클립 가이드(170)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립 가이드(170)는 상기 상판(13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하면은 상기 제1측판(134)의 하면 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립 가이드(170)는 직사각형의 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클립 가이드(170)는 상기 제1바디(100)의 일 코너와, 상기 일 코너에 이웃한 타 코너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클립 가이드(170)는 복수의 제1결합부(18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클립 가이드(170)는 상기 제1측판(134)의 내면과 소정 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In detail, a clip guide 170 may be dispos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The clip guide 170 may be shaped to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2. The lower surface of the clip guide 170 may be disposed high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The clip guide 170 may have a rectangular cross-sectional shape. The clip guide 170 may be disposed between one corner of the first body 100 and another corner adjacent to the corner. As shown in FIG. 5, the clip guide 170 may be disposed between a plurality of first coupling portions 180. The clip guide 170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inner surface of the first side plate 134 by a predetermined distance.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양단에는 각각 상기 상판(132)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클립 가이드(170)와 상기 클립(800)의 결합 시, 베이스(810, 도 6 참조)의 측면을 지지하는 가이드 벽(176)이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가이드 벽(176)의 하면은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하면 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Both ends of the clip guide 170 each protrude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132, and when the clip guide 170 and the clip 800 are combined, the side of the base 810 (see FIG. 6) A supporting guide wall 176 may be arranged.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wall 176 may be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clip guide 170.

상기 클립(800)은 상기 제1바디(100)의 하면에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800)은 상기 클립 가이드(17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클립(800)은 일면이 상기 클립 가이드(170)와 결합되고, 상기 일면과 대향하는 타면이 상기 발열부재(70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클립(800)의 일면은 상면으로 정의되고, 상기 클립(800)의 타면은 하면으로 정의도리 수 있다. The clip 80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body 100. The clip 800 may be combined with the clip guide 170. One side of the clip 800 may be coupled to the clip guide 170, and the other side opposite to the one side may be coupled to the heating member 700. Here, one side of the clip 800 may be defined as the upper side, and the other side of the clip 800 may be defined as the lower side.

상기 클립(800)은, 베이스(810)와, 복수의 다리부(820)를 포함할 수 있다. The clip 800 may include a base 810 and a plurality of leg portions 820.

상기 클립(800)은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The clip 80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상기 베이스(810)는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10)는 상면이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발열부재(700)의 연결부(72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10)의 상, 하면에는 각각 상기 클립 가이드(170) 또는 상기 연결부(720)와의 결합을 위한 접착 테이프(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 테이프는 양면에 접착제가 도포된 테이프(tape)일 수 있다. The base 810 may be formed in a plate shape.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81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lip guide 170, and the lower surface may b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720 of the heating member 700. Adhesive tapes (not shown) for coupling to the clip guide 170 or the connecting portion 720 may be disposed on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base 810, respectively. The adhesive tape may be a tape with adhesive applied to both sides.

이와 달리, 상기 클립(800)과 상기 클립 가이드(170), 상기 클립(800)과 상기 연결부(720)는 에폭시(epoxy)를 통하여 상호 결합될 수 있다. Alternatively, the clip 800 and the clip guide 170, and the clip 800 and the connecting portion 720 may be coupled to each other through epoxy.

상기 베이스(810)의 양 측면은 상기 가이드 벽(176)의 표면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Both sides of the base 810 may be supported by the surface of the guide wall 176.

상기 다리부(820)는 상기 베이스(810)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다리부(820)는 복수로 구비되며, 상기 복수의 다리부(820)는 각각 상기 베이스(810)의 코너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810)의 일 변이 제1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지고, 상기 일 변에 이웃한 타 변이 제2방향으로 길이 방향을 가진다 할 때, 상기 복수의 다리부(820)는 인접한 다리부(820)와 제1방향 또는 제2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복수의 다리부(820) 사이에는 제1방향으로 상호 이격되도록 이격부(822)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이격부(822)의 길이는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폭에 대응될 수 있다. The leg portion 820 may have a shape that protrudes upwar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base 810. The leg portions 820 are provided in plurality, and each of the plurality of leg portions 820 may be disposed in a corner area of the base 810. When one side of the base 810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first direction, and the other side adjacent to the one side has a longitudinal direction in a second direction, the plurality of leg portions 820 are adjacent to each other. ) and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or second direction. For example, as shown in FIG. 7, a spacer 822 may be 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leg parts 820 to space them apart from each other in the first direction. The length of the spaced portion 822 may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clip guide 170.

한편,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다리부(820)가 형성된 상기 베이스(810)의 영역은 중앙 영역 보다 상기 제1방향 길이가 작게 형성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 7, the area of the base 810 where the leg portion 820 is formed may have a length in the first direction smaller than the central area.

상기 다리부(820)의 측면은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측면과 마주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다리부(820)의 측면은 상기 클립 가이드(170)의 측면에 접촉될 수 있다. The side of the leg portion 820 may be disposed to face the side of the clip guide 170. The side surface of the leg portion 820 may be in contact with the side surface of the clip guide 170.

상기 발열부재(700)는 상기 베이스(810)의 하면과 마주하게 배치되는 접착면(73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면(730)은 상기 연결부(720)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730)은 상기 돌출 영역(722)의 상단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730)은 상기 돌출 영역(722)과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730)은 상기 베이스(810)의 하면에 접착 테이프를 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접착면(730)은 상기 연결부(720)의 적어도 일부와 수직하게 배치될 수 있다. The heating member 700 may include an adhesive surface 730 disposed to face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810. The adhesive surface 730 may be formed on the connection portion 720. The adhesive surface 730 may be disposed at the top of the protruding area 722. The adhesive surface 730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the protruding area 722. The adhesive surface 730 may b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base 810 through an adhesive tape. The adhesive surface 730 may be arranged perpendicular to at least a port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720.

상기와 같은 구조에 따르면, 상기 발열부재(700) 내에서 상대적으로 길이가 가장 긴 연결부(720)의 영역이 클립(800)을 통하여 제1바디(100) 내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발열부재(700)와 다른 전자부품 간 전기적 노이즈의 발생이 방지되고, 제1바디(100) 내 다른 부품들의 배치 공간을 보다 넓게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According to the above structure, the region of the connection portion 720, which has the relatively longest length within the heating member 700, can be fixed in position within the first body 100 through the clip 800, so that the heating member 7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the generation of electrical noise between 700 and other electronic components is prevented, and a wider space for other components in the first body 100 can be secur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구성하는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로 결합하거나 결합하여 동작하는 것으로 설명되었다고 해서, 본 발명이 반드시 이러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즉, 본 발명의 목적 범위 안에서라면, 그 모든 구성 요소들이 하나 이상으로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동작할 수도 있다. 또한, 이상에서 기재된 '포함하다', '구성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해당 구성 요소가 내재할 수 있음을 의미하는 것이므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한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가 있다.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이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의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In the above, just because all the components constituting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as being combined or operated in combina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embodiment. That is, as long as it is within the scope of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ll of the components may be operated by selectively combining one or more of them. In addition, terms such as 'include', 'comprise', or 'have' described above mean that the corresponding component may be present,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and therefore do not exclude other components. Rather, i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able to include other components. All terms,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unless otherwise defined,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Commonly used terms, such as terms defined in a dictionary, should be interpreted as consistent with the contextual meaning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ized or overly formal sense unless explicitly defined in the present invention.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The above description is merely an illustrative explanation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will be possible to those skilled in the art without departing from the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ly, the embodiments disclosed in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rather to explain it, and the scope of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The scope of protec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interpreted in accordance with the claims below, and all technical ideas within the equivalent scope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Claims (12)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판 및 상기 상판의 가장자리로부터 아래로 연장되는 제1측판을 포함하는 제1바디;
상기 공간에 배치되며, 렌즈배럴 및 상기 렌즈배럴 내 배치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렌즈모듈;
상기 제1측판의 내측에 배치되는 인쇄회로기판;
일단이 상기 렌즈배럴과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발열부재; 및
상기 제1바디와 상기 발열부재에 각각 결합되는 클립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 first body having a space formed therein and including a top plate and a first side plate extending downward from an edge of the top plate;
a lens module disposed in the space and including a lens barrel and a lens disposed within the lens barrel;
a printed circuit board disposed inside the first side plate;
a heating member having one end coupled to the lens barrel and the other end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clip coupled to the first body and the heating member, respectively.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클립이 결합되는 클립 가이드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bod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includes a clip guide to which the clip is coupled.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바디는 상기 상판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되며, 상기 클립 가이드의 양단에 각각 배치되는 가이드 벽을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벽의 하면은 상기 클립 가이드의 하면 보다 하측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2,
The first body protrudes downward from the lower surface of the upper plate and includes guide walls disposed at both ends of the clip guide, respectively,
A camera module in which the lower surface of the guide wall is disposed lower than the lower surface of the clip guide.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가이드는 상기 측판과 소정거리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2,
The clip guide is a camera module spaced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the side plate.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은,
상면이 상기 클립 가이드의 하면에 결합되고, 하면이 상기 발열부재와 결합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되는 복수의 다리부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3,
The clip is:
a base whose upper surface is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clip guide and whose lower surface is coupled to the heating member; and
A camera module including a plurality of legs protruding upward from the base.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다리부는 상기 클립 가이드의 측면에 접촉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5,
A camera module in which the plurality of legs contact a side of the clip guid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재는,
상기 렌즈배럴의 외면을 감싸도록 배치되는 발열부;
상기 인쇄회로기판과 결합되는 단자부; 및
상기 발열부와 상기 단자부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클립은 상기 연결부와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1,
The heating member is,
a heating portion dispos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lens barrel;
A terminal portion coupled to the printed circuit board; and
It includes a connection part connecting the heating part and the terminal part,
The clip is a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connection portion.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클립과 결합되는 접착면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7,
The connection portion is a camera module including an adhesive surface coupled to the clip.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발열부의 양단은 상호 이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7,
A camera module where both ends of the heating unit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타 영역보다 외측으로 돌출되는 돌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접착면은 상기 돌출 영역의 상단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8,
The connection portion includes a protruding region that protrudes outward from the other region,
A camera module wherein the adhesive surface is disposed on top of the protruding are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배럴은 상부 영역과, 상기 상부 영역의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상부 영역 보다 작은 단면적의 하부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발열부는 상기 하부 영역에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7,
The lens barrel includes an upper region and a lower region disposed below the upper region and having a smaller cross-sectional area than the upper region,
A camera module wherein the heating unit is disposed in the lower area.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이미지 센서가 배치되는 상면과, 상기 상면에 반대되는 하면을 포함하고,
상기 단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하면에 결합되는 카메라 모듈.

According to claim 7,
The printed circuit board includes an upper surface on which an image sensor is disposed and a lower surface opposite to the upper surface,
The terminal portion is a camera module coupled to the lower surface of the printed circuit board.

KR1020230079292A 2022-09-23 2023-06-20 Camera module KR20240041807A (e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20121099 2022-09-23
KR1020220121099 2022-09-23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807A true KR20240041807A (en) 2024-04-01

Family

ID=906669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079292A KR20240041807A (en) 2022-09-23 2023-06-20 Camera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80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3450B1 (en) Camera module
KR102560086B1 (en) Lens Module and Camera Module
KR20180110992A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KR20240041807A (en) Camera module
KR20240041851A (en) Camera modure
KR20180122792A (en) Camera module and car
US6621072B2 (en) Vehicle-mounted image pickup device
KR20240041813A (en) Camera modure and vehicle
KR20240041812A (en) Camera modure and vehicle
KR102345685B1 (en) Camera module
KR20240068501A (en) Camera modure for vehicle
KR20240073692A (en) Camera modure for vehicle
KR20240068502A (en) Camera modure for vehicle
KR102430532B1 (en) Camera module
KR102647895B1 (en) Camera
KR20210154520A (en) Camera modure
KR20210051767A (en) Camera module
KR20240045894A (en) Camera module and vehicle
KR20240045892A (en) Camera modure and vehicle
KR20200137690A (en) Camera module
KR20240045893A (en) Camera modure and vehicle
WO2024063609A1 (en) Camera for vehicle, and vehicle
US20230236478A1 (en) Camera module
KR20230072638A (en) Camera module
CN117751577A (en) Image pickup device modu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