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1741A - Passive projector assembly - Google Patents

Passive projector assembly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1741A
KR20240041741A KR1020220121181A KR20220121181A KR20240041741A KR 20240041741 A KR20240041741 A KR 20240041741A KR 1020220121181 A KR1020220121181 A KR 1020220121181A KR 20220121181 A KR20220121181 A KR 20220121181A KR 20240041741 A KR20240041741 A KR 202400417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nclosure
passive
unit
projector assembly
inner enclos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2118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지훈
강성구
노재근
Original Assignee
(주)크레스코글로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크레스코글로벌 filed Critical (주)크레스코글로벌
Priority to KR102022012118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1741A/en
Publication of KR2024004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1741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6Cooling; Preventing overheat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145Housing details, e.g. position adjustments thereof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14Details
    • G03B21/20Lamp housings
    • G03B21/2006Lamp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00Projectors or projection-type viewers; Accessories therefor
    • G03B21/54Accessories
    • G03B21/56Projection scree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44Cooling system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9/00Details of colour television systems
    • H04N9/12Picture reproducers
    • H04N9/31Projection devices for colour picture display, e.g. using electronic spatial light modulators [ESLM]
    • H04N9/3141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H04N9/315Modulator illumination syste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ro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함체와, 상기 외함체 내부에 실장되는 내함체를 포함하되, 이 내함체에 영상 송출을 위한 빔 출력수단을 실장시켜 이물질이 빔 출력수단이 설치된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외함체와 내함체에 위치하는 복수의 냉각유닛을 통하여 장치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mounted inside the outer case, and a beam output means for image transmission is mounted on this inner case so that foreign matter is transmitted to the beam output means. It relates to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that can output a clear image by preventing the projector from entering the installed space and prevents the device from overheating through a plurality of cooling units located in the outer and inner enclosures.

Description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PASSIVE PROJECTOR ASSEMBLY}Passive projector assembly {PASSIVE PROJECTOR ASSEMBLY}

본 발명은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외함체와, 상기 외함체 내부에 실장되는 내함체를 포함하되, 이 내함체에 영상 송출을 위한 빔 출력수단을 실장시켜 이물질이 빔 출력수단이 설치된 공간에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깨끗한 영상을 출력할 수 있고, 외함체와 내함체에 위치하는 복수의 냉각유닛을 통하여 장치가 과열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mounted inside the outer case, and a beam output means for image transmission is mounted on this inner case so that foreign matter is transmitted to the beam output means. It relates to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that can output a clear image by preventing the projector from entering the installed space and prevents the device from overheating through a plurality of cooling units located in the outer and inner enclosures.

프로젝터(Projector)는 광학 장치의 일종으로 렌즈부를 통해 확대된 영상을 외부 스크린 위에 투영하는 장치이다. 스크린을 설치할 수 있는 장소라면 실내외를 불문하고 대형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는 장점으로 교육기관, 기업체, 가정 등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A projector is a type of optical device that projects an enlarged image through a lens unit onto an external screen. It is widely used in educational institutions, businesses, and homes due to its advantage of being able to display a large screen both indoors and outdoors wherever a screen can be installed.

이러한 프로젝터는 구동 방식에 따라 DLP(Digital Light Processing) 프로젝터와 LCD(Liquid Crystal Display) 프로젝터로 구분될 수 있다. DLP 프로젝터는 화상 표시 소자(display element)의 하나인 디지털 마이크로미러 디스플레이(DMD)를 사용한 프로젝터로 프에서 발생한 컬러휠을 통과하여 DMD칩에 디스플레이된 영상을 반사시켜 확대시키는 방식의 빔 프로젝터이다. LCD 프로젝터는 렌즈를 통해 빛을 투과시킨 후, LCD 패널에 송출된 영상을 확대시켜 송출하는 방식의 빔 프로젝터이다.These projectors can be divided into DLP (Digital Light Processing) projectors and LCD (Liquid Crystal Display) projectors depending on the driving method. A DLP projector is a projector that uses a digital micromirror display (DMD), which is one of the image display elements. It is a beam projector that passes through the color wheel generated by the projector and reflects and enlarges the image displayed on the DMD chip. An LCD projector is a beam projector that transmits light through a lens and then enlarges and transmits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LCD panel.

이러한 프로젝터의 경우 외부 환경에 항상 노출되어 있는 바, 먼지나 물기 등과 같은 외부 이물질이 유입되어 장비의 손상을 발생하거나, 깨끗한 화면을 출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작동할 때 발생하는 열에 의해 장비가 과열되어 오작동이 발생하거나, 열에 의해 장비가 손상되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In the case of these projectors, they are always exposed to the external environment, and external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or moisture may enter, causing damage to the equipment or preventing a clear screen from being displayed. In addition, the equipment overheats due to the heat generated during operation, causing malfunctions or damage to the equipment due to heat.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05250호 (공고일자 : 2003.02.25)Registered Utility Model Bulletin No. 20-0305250 (Public Notice Date: 2003.02.25)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07924호 (공개일자 : 2018.01.24)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18-0007924 (Publication date: 2018.01.24)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영상 출력을 위한 프로젝터 어셈블리에 있어서, 외함체와 상기 외함체 내부에 실장되는 내함체로 구성하고, 이 내함체 내부에 발광유닛 및 스크린패널을 포함하는 빔 출력수단을 실장시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는 것이다.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a projector assembly for image output, which consists of an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mounted inside the outer case, and a beam output means including a light emitting unit and a screen panel inside the inner case. It is installed to prevent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즉, 빔 출력수단이 실장된 내함체가 밀폐된 구조를 형성함에 따라, 외함체 내부로 이물질이 유입되더라도, 내함체 내부로는 이물질이 유입되지 않는 구조의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In other words, since the inner enclosure in which the beam output means is mounted forms a sealed structure,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is provided that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ner enclosure even if foreign substances enter the outer enclosure.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내함체 내부에서 발생되는 열을 냉각유닛을 통하여 효율적으로 저감시키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that efficiently reduces heat generated inside the inner enclosure through a cooling unit.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를 통하여 해결하려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through various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는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출력부가 형성된 외함체와, 상기 외함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출력부와 연통되는 제2 출력부가 형성된 내함체와, 상기 내함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스크린패널과, 상기 스크린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스크린패널에서 출력된 영상에 빛을 투과하여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함체 외부로 출력하는 빔 출력수단 및 상기 외함체 내부에 위치하는 외함 냉각부재와, 상기 내함체 내부에 위치하는 내함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enclosure having a first output unit for image output, an inner enclosure having a second output unit located inside the enclosure and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put unit, and an interior of the inner enclosure. It is located in and includes a screen panel and a light emitting unit that radiates light to the screen panel, and transmits light to the image output from the screen panel to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first output unit. It may include a cooling unit including a beam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 beam output means, an outer case cool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outer case, and an inner case cooling member located inside the inner case.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Specific details of other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drawings.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빔 출력수단이 밀폐형 내함체 내부에 위치하여 이물질이 외함체 내부에 유입되더라도 내함체 내부로 유입될 수 없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완벽하게 차단할 수 있다.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eam output means for outputting an image is located inside the sealed inner case, so even if foreign substances enter the outer case, they cannot flow into the inner case, and thus the inflow of foreign substances can be completely blocked. there is.

또한 영상 출력을 위해 형성되는 외함체의 제1 출력부와 내함체의 제2 출력부가 프로텍터에 의해 연통되어, 이 제1 출력부 및 제2 출력부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output part of the outer case formed for image output and the second output part of the inner case are communicated by a protector, so that foreign substances can be blocked from entering through the first output part and the second output part.

나아가 외함체 및 내함체에 냉각유닛을 구성하여 과열에 의한 장치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Furthermore, it is possible to prevent damage to the device due to overheating by constructing a cooling unit in the outer and inner enclosures.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의 일부 분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의 또 다른 분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의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l의 공기 흐름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of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partially exploded view of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nother exploded view of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cross-sectional view of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air flow diagram of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l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들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실시 예들에는 다양한 변경이 가해질 수 있어서 특허출원의 권리 범위가 이러한 실시 예들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 예들에 대한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이 권리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since various changes can be made to the embodiments, the scope of rights of the patent application is not limited or limited by these embodiment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all changes, equivalents, or substitutes for the embodiments are included in the scope of rights.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설명을 목적으로 사용된 것으로, 한정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e examples are for descriptive purposes only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specif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실시 예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embodiments belong.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해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실시 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In addition, when describing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dentical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erals regardless of the drawing symbols, and overlapping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When describing an embodiment, if it is determined that a detailed description of related known technology may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embodiment,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또한, 실시 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When a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connected,” “coupl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that component may be connected or connected directly to that other component, but there is no additional component between each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may be “connected,” “combined,” or “connected.”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Components included in one embodiment and components including common functions will be described using the same names in other embodiments. Unless stated to the contrary, the description given in one embodiment may be applied to other embodiments, and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to the extent of overlap.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A)는 도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함체(10)와, 상기 외함체(10) 내부에 위치하는 내함체(20), 상기 내함체(20) 내부에 위치하는 빔 출력수단(40) 및 냉각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passive projector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outer enclosure 10, an inner enclosure 20 located inside the outer enclosure 10, and the inner enclosure 20. ) It may include a beam output means 40 and a cooling unit 30 located inside.

본 명세서에서의 도면은 외함체(10) 및 내함체(20)의 내부를 보다 정확하게 표현하기 위하여 외함체(10) 및 내함체(20)를 덮는 커버의 도면을 생략한 것으로,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영상이 조사되는 방향을 전방이라 하고, 그 반대 방향을 후방이라 하며, 상부 및 하부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대략적인 방향을 정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전원부 및 PCB 등의 제어를 위한 전기,전자적 구성요소는 종래의 동작방식과 유사함에 따라 이를 생략하였으나, 상기 구성요소들은 외함체(10)보다는 내함체(20) 내부에 실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rawings in this specification omit the drawing of the cover covering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20 in order to more accurately express the interior of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20, and thus the scope of rights is omitted.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Additionally, in this specification, the direction in which the image is projected is referred to as the front, the opposite direction is referred to as the rear, and the upper and lower directions can be roughly determined based on the drawing. In this specification, electrical and electronic components for controlling the power supply and PCB are omitted as they are similar to the conventional operation method, but it is preferable that the components are mounted inside the inner case 20 rather than the outer case 10. do.

우선 외함체(10)는 본 발명에 따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A)의 외형을 형성하는 함체로, 제1 수납부(1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외함체(10)는 도면에는 4각형의 형상으로 도시하였으나, 원형, 다각형 등 다양한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외함체(10)의 타측에는 하나 또는 둘 이상의 설치공(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설치공(15)은 후술하는 송풍팬(35)이 설치되어 외함체(10) 내부에 외부 공기를 유입할 수 있다.First, the outer case 10 is a case that forms the outer shape of the passive projector assembly (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first storage portion 11 may be formed. The enclosure 10 is shown in the drawing as having a rectangular shape, but may have various shapes such as circular or polygonal. One or more installation holes 15 may be formed on the other side of the enclosure 10. The installation hole 15 is equipped with a blowing fan 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can introduce external air into the enclosure 10.

상기 제1 출력부(13)는 상기 빔 출력수단(40)에서 조사되는 영상을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공의 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13)의 외측에는 보호캡(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보호캡(17)은 전방과 후방이 개방된 원뿔대 형상 또는 고깔 형상의 보호벽부(173)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보호벽부(173)는 후방에서 전방으로 갈수록 내경이 작아지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보호캡(17)은 상기 보호벽부(173) 후방에 형성되는 플랜지부(17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71)는 상기 외함체(10)의 전방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플랜지부(171)는 상기 외함체(10) 전방에 볼트, 리벳 등을 이용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플랜지부(171)는 상기 외함체(10) 전방에 접착 방식을 통하여 고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플랜지부(171)는 상기 외함체(10) 전방에 3D 프린터를 이용하여 성형되거나, 사출 성형되어 고정될 수 있다. The first output unit 13 may be in the shape of a ball for irradiating the image emitted from the beam output means 40 to the outside. A protective cap 17 may be further formed on the outside of the first output unit 13. The protective cap 17 may include a truncated cone-shaped or cone-shaped protective wall portion 173 that is open at the front and rear. Therefore, the protective wall portion 173 may have a shape whose inner diameter becomes smaller from the rear to the front. The protective cap 17 may further include a flange portion 171 formed behind the protective wall portion 173. The flange portion 171 may be installed in the front of the enclosure 10. The flange portion 171 may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enclosure 10 using bolts, rivets, etc. In another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171 may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enclosure 10 through an adhesive method. In another embodiment, the flange portion 171 may be fixed to the front of the enclosure 10 by being molded using a 3D printer or by injection molding.

상기 제1 출력부(13) 주변에는 양압유지부재(18)가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양압유지부재(18)는 상기 외함체(10)에 형성되는 개폐구(181)와, 상기 계패구를 개방 또는 덮을 수 있는 개폐날개(18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양압유지부재(18)는 상기 송풍팬(35)이 동작할 때, 외함체(10)의 유입된 외부공기를 배출 시킬 수 있다. A positive pressure maintaining member 18 may be installed around the first output unit 13. The positive pressure holding member 18 may include an opening/closing opening 181 formed in the enclosure 10, and an opening/closing wing 183 capable of opening or covering the door opening. The positive pressure maintaining member 18 can discharge external air introduced into the enclosure 10 when the blowing fan 35 operates.

상기 송풍팬(35), 보호캡(17) 및 양압유지부재(18)에 의해 바람길을 형성할 수 있고, 형성된 바람길이 에어커튼 역할을 하여 먼지 등의 이물질이 제1 출력부(13)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A wind path can be formed by the blowing fan 35, the protective cap 17, and the positive pressure holding member 18, and the formed wind path acts as an air curtain to prevent foreign substances such as dust from entering the first output unit 13. Inflow can be prevented.

상기 외함체(10)의 내부에는 내함체(20)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함체(20)는 제2 수납부(21)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함체(20)의 전면에는 제1 출력부(13)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출력부(13)는 상기 제2 출력부(23)와 동일직선상에 연통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부(23)는 상기 내함체(20) 내부에 위치하는 빔 출력부재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제2 출력부(23)를 통과한 영상은 상기 제1 출력부(13)를 통과하고, 상기 보호캡(17)을 관통하여 외부로 조사될 수 있다.An inner enclosure 20 may be located inside the outer enclosure 10. The inner box 20 may include a second storage portion 21. A first output unit 13 may be formed on the front of the inner enclosure 20. The first output unit 13 may be formed to communicate with the second output unit 23 on the same straight line. An image emitted from a beam output member located inside the inner enclosure 20 may pass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23 . The image passing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23 may pass through the first output unit 13, penetrate the protective cap 17, and be irradiated to the outside.

상기 내함체(20)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외함체(10)와 동일한 사각형의 형상일 수도 있으나, 원형, 다각형 등의 다른 형상일 수도 있다. 상기 내함체(20)의 형상은 상기 외함체(10)와 동일한 형상이거나, 동일하지 않은 형상일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case 20 may have the same rectangular shape as the outer case 10, but may also have another shape such as a circle or a polygon. The shape of the inner case 20 may be the same as that of the outer case 10, or may be different from the shape of the outer case 10.

상기 내함체(20)는 상기 외함체(10) 내부에 수용될 수 있는 크기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함체(20)를 형성하는 벽면이 상기 외함체(10)의 내벽으로부터 이격되어 공간(이격부(14))을 형성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이 좋다.The inner case 20 may be configured to a size that can be accommodated inside the outer case 10. Preferably, the wall forming the inner box 20 is spaced apart from the inner wall of the outer box 10 and is of a size capable of forming a space (spacing portion 14).

도면에는 도시되지 않았으나, 상기 외함체(10) 및 내함체(20)에는 제1 수납부(11) 및 제2 수납부(21)를 밀폐하기 위한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제1 수납부(11) 및 제2 수납부(21) 상부 방향에서 덮는 구조일 수 있다. 상기 커버에는 장치 제어를 위한 동작 스위치, 디스플레이 등이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20 may further include a cover for sealing the first and second storage parts 11 and 21. The cover may have a structure that covers the first accommodating part 11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part 21 from the upper direction. An operation switch, a display, etc. for device control may be formed on the cover.

상기 커버는 단일의 커버로 상기 외함체(10)를 덮으면서 내함체(20)를 함께 덮을 수 있는 구조일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함체(20)의 외각을 따라 상기 커버의 내측에는 별도의 패킹부재를 설치하여 내함체(20)를 밀폐하는 것이 좋다. 일 실시예로, 상기 커버는 상기 외함체(10)용 커버와 내함체(20)용 커버로 구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함체(20)를 밀폐형으로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바, 상기 커버의 형상은 내함체(20)를 밀폐하는 방식의 다른 형상일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또한 상기 커버에는 별도의 잠금수단이 더 형성되어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잠금수단은 종래의 다양한 공지된 기술로 대체될 수 있다.The cover may have a structure that covers the outer case 10 and the inner case 20 together with a single cover. At this time, it is advisable to install a separate packing member on the inside of the cover along the outer edge of the inner box 20 to seal the inner box 20. In one embodiment, the cover may be divided into a cover for the outer case 10 and a cover for the inner case 20. The present invention is characterized in that the inner box 20 is configured as a sealed type, and the shape of the cover may be a different shape for sealing the inner box 20,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limiting this. In addition, a separate locking means is further formed on the cover so that it can be stably fixed, and this locking means can be replaced with various known technologies.

상기 내함체(20) 내부, 즉 제2 수납부(21)에는 빔 출력부재가 위치할 수 있다.A beam output member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enclosure 20, that is, in the second storage unit 21.

상기 빔 출력부재는 송출된 영상을 확대하여 조사하는 것으로, 렌즈패널(41), 스크린패널(43), 발광유닛(45), 방열유닛(47), 가림부재(49)를 포함할 수 있다.The beam output member enlarges and irradiates the transmitted image, and may include a lens panel 41, a screen panel 43, a light emitting unit 45, a heat dissipation unit 47, and a shielding member 49.

빔 출력부재는 스크린패널(43)로 송출된 영상에 빛을 투과시켜 외부로 조사하는 방식으로, 더욱 정확하게는 LCD 프로젝터의 구동방식을 따를 수 있다.The beam output member transmits light to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screen panel 43 and irradiates it to the outside. More precisely, it can follow the driving method of an LCD projector.

상기 발광유닛(45)은 발광부재(461)와 홀더(453)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발광부재(461)는 LED chip 또는 조명일 수 있다. 상기 홀더(453)는 상기 발광부재(461)를 고정하는 부재이거나 PCB 일 수 있다. 상기 발광부재(461)는 상기 내함체(20)의 내측 후단 벽면에 위치하여 전면으로 빛을 발산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발광부재(461)는 상기 제2 출력부(23)와 동일선상에 위치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45 may include a light emitting member 461 and a holder 453. 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ember 461 may be an LED chip or lighting. The holder 453 may be a member that fixes the light emitting member 461 or may be a PCB. The light emitting member 461 is located on the inner rear wall of the inner box 20 and can emit light toward the front. In one embodiment, the light emitting member 461 may be located on the same line as the second output unit 23.

상기 발광유닛(45)은 빛을 발산하는 부재로 열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함체(20)가 밀폐된 구조이기 때문에 발광유닛(45)에서 발생하는 열을 저감시킬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발광유닛(45)에서 발산되는 열을 저감시키기 위한 방열유닛(47)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light emitting unit 45 is a member that emits light and may generate heat. Additionally, in the present invention, since the inner enclosure 20 has a sealed structure,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Therefore,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 heat dissipation unit 47 to reduce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상기 방열유닛(47)은 전달체(471)와, 상기 전달체(471)에 연결되는 냉각판(47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달체(471)는 하나 또는 둘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고, 상기 발광유닛(45)의 후단에 연결될 수 있다. 즉, 상기 전달체(471)는 내함체(20)의 후단 내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발광유닛(45)은 상기 전달체(471)의 전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전달체(471)의 양단은 각각 제1 절곡부(471a)를 통하여 절곡 형성되어 상기 내함체(20)의 내벽면의 형상에 대응하여 내벽면에 고정될 수 있다.The heat dissipation unit 47 may include a transmission body 471 and a cooling plate 473 connected to the transmission body 471. The transmitter 471 may be composed of one or more than two, and may be connected to the rear end of the light emitting unit 45. That is, the transmitter 47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inner box 20. The light emitting unit 45 may be installed on the front of the transmitter 471. Both ends of the transmission body 471 may be bent through first bent portions 471a and fixed to the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box 20 in correspondence with the shape of the inner wall surface.

일 실시예로, 상기 전달체(471)는 상기 발광유닛(45)의 양측과 접촉되고, 내함체(20)의 내벽면을 따라 제1 절곡부(471a)를 형성하여 설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발광유닛(45)은 상기 내함체(20)의 내벽면에 직접 설치될 수 있다.In one embodiment, the transmitter 471 contacts both sides of the light emitting unit 45 and may be installed by forming a first bent portion 471a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enclosure 20. In this case, the light emitting unit 45 may be installed directly o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enclosure 20.

나아가 상기 전달체(471)가 판형의 형상을 이루는 경우에는 상기 발광유닛(45)과 전달체(471)가 함께 내함체(20)의 내벽면에 설치될 수 있다.Furthermore, when the transmitter 471 has a plate-shaped shape, the light emitting unit 45 and the transmitter 471 can be installed together o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box 20.

상기 전달체(471)는 발광유닛(45)에서 나오는 열을 전달하는 부재로, 상기 전달체(471)에는 냉각판(473)이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판(473)은 복수의 방열핀들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하나의 부재일 수 있다.The transmitter 471 is a member that transmits heat coming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and a cooling plate 473 may be installed on the transmitter 471. The cooling plate 473 may be a single member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상기 냉각판(473)은 상기 전달체(471)의 양측 방향에 모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냉각판(473)은 상기 내함체(20)의 내벽면을 따라 형성된 전달체(471)에 접촉되는 것으로, 제1 절곡부(471a)에 대응되는 제2 절곡부(473a)가 형성될 수 있다.The cooling plate 473 may be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transmission member 471. The cooling plate 473 is in contact with the transmission body 471 formed along the inner wall of the inner box 20, and a second bent portion 473a corresponding to the first bent portion 471a may be formed. .

상기 전달체(471) 및 냉각판(473)의 형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 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으로 구현될 수도 있으며, 이에 권리범위를 제한 해석해서는 안 된다. The shape of the transmission body 471 and the cooling plate 473 may be implemented in other shapes as well as the embodiment described above, and the scope of rights should not be interpreted to limit this.

상기 발광유닛(45)의 전방에는 영상 송출을 위한 스크린패널(43)이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43)은 하나 또는 둘 이상의 LCD 패널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43)의 전방과 후방에는 각각 렌즈패널(41)이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43)의 후방에 위치하는 렌즈패널(41)은 상기 발광유닛(45)으로부터 발산된 빛을 스크린패널(43)로 모으는 프레넬렌즈(Fresnel lens)일 수 있다. 상기 스크린패널(43) 전방에 위치하는 패널은 상기 스크린패널(43)로 송출된 영상을 축소 또는 확대하는 프레넬렌즈일 수 있다.A screen panel 43 for transmitting images may be located in front of the light emitting unit 45. The screen panel 43 may be one or more LCD panels. Lens panels 41 may be further installed in front and behind the screen panel 43, respectively. The lens panel 41 located behind the screen panel 43 may be a Fresnel lens that collects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to the screen panel 43. The panel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panel 43 may be a Fresnel lens that reduces or enlarges the image transmitted to the screen panel 43.

상기 스크린패널(43)과 렌즈패널(41)은 종래의 LCD 프로젝터에 널리 사용되는 구성요소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screen panel 43 and lens panel 41 are components widely used in conventional LCD projectors, and detailed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상기 스크린패널(43) 후방과 전방에는 각각 가림부재(49)가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가림부재(49) 중 스크린패널(43) 후방에 위치하는 가림부재(49)는 스크린패널(43)로 조사되는 빛이 외부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발광유닛(45)에서 발산된 빛의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다.Additional shielding members 49 may be positioned behind and in front of the screen panel 43, respectively. Among the blocking members 49, the blocking member 49 located behind the screen panel 43 can prevent light irradiated to the screen panel 43 from leaking to the outside. Therefore, the loss of ligh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can be minimized.

상기 스크린패널(43) 전방에 위치하는 가림부재(49)는 상기 스크린패널(43)에 빛이 투과되어 조사되는 영상을 상기 제2 출력부(23)로 조사할 때, 외부 빛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The blocking member 49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panel 43 prevents external light from entering when the image transmitted through the screen panel 43 is irradiated to the second output unit 23. It can be prevented.

상기와 같이 가림부재(49)는 빛샘을 방지하거나 영상에 빛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아울러 상기 발광유닛(45)의 크기보다 상기 스크린패널(43)의 크기가 크고, 상기 스크린패널(43)의 크기보다 상기 제2 출력부(23)의 크기가 작기 때문에, 상기 가림부재(49)는 폭확장부(491)와 폭감소부(493)를 포함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the blocking member 49 can prevent light leakage or prevent light from entering the image. In addition, since the size of the screen panel 43 is larger than the size of the light emitting unit 45 and the size of the second output unit 23 is smaller than the size of the screen panel 43, the shielding member 49 May include a width expansion portion 491 and a width reduction portion 493.

아울러 상기 제1 출력부(13)와 제2 출력부(23)를 서로 연결하는 프로텍터(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텍터(19)는 관부재(193)와, 상기 관부재(193) 일단에 설치되는 렌즈부(191)를 포함할 수 있다.In addition, it may further include a protector 19 connecting the first output unit 13 and the second output unit 23 to each other. The protector 19 may include a tube member 193 and a lens unit 191 installed at one end of the tube member 193.

상기 프로텍터(19)는 상기 빔 출력부재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을 외함체(10) 외부로 조사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제1 출력부(13)와 제2 출력부(23)에 끼움 결합될 수 있다.The protector 19 is for irradiating the image emitted from the beam output member to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10, and can be fitted into the first output unit 13 and the second output unit 23.

상기 프로텍터(19)의 렌즈부(191)는 상기 외함체(10)의 제1 출력부(13) 외측에 위치하고, 상기 관부재(193)의 후단은 상기 내함체(20)의 제2 출력부(23) 후방, 즉 내함체(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관부재(193)의 후단은 상기 가림부재(49)(상기 스크린패널(43) 전방에 위치하는 가림부재(49))의 전방과 연통될 수 있다.The lens part 191 of the protector 19 is located outside the first output part 13 of the outer case 10, and the rear end of the pipe member 193 is the second output part of the inner case 20. (23) It may be located at the rear, that is, inside the inner enclosure (20). The rear end of the pipe member 193 may communicate with the front of the blocking member 49 (the blocking member 49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panel 43).

따라서 상기 프로텍터(19)는 제2 출력부(23) 및 제2 출력부(23)를 통해 이물질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빔 출력부재로부터 조사되는 영상에 먼지 등이 침범하지 않도록 보호할 수 있다.Therefore, the protector 19 block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rough the second output unit 23 and at the same time protects the image emitted from the beam output member from dust, etc. You can.

본 발명은 내함체(20)를 밀폐함에 따라 이물질이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내함체(20)가 밀폐됨에 따라 발생되는 열이 외부로 빠져나가지 않는 문제가 생길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를 해결하고자 외함체(10) 또는 내함체(20) 또는 이들 모두에 위치하는 냉각유닛(30)을 포함할 수 있다.The present invention can prevent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interior by sealing the inner box 20. However, as the inner box 20 is sealed, a problem may arise in which the generated heat does not escape to the outside. Therefore, in order to solve this problem,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cooling unit 30 located in the outer case 10, the inner case 20, or both.

도1 내지 도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냉각유닛(30)은 상기 외함체(10)의 제1 수납부(11)에 위치하는 외함 냉각부재(31)와, 상기 내함체(20)의 제2 수납부(21)에 위치하는 내함 냉각부재(3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6, the cooling unit 30 includes an enclosure cooling member 31 located in the first storage portion 11 of the enclosure 10 and an inner enclosure 20. It may include an inner cooling member 32 located in the second storage unit 21.

상기 외함 냉각부재(31)와 내함 냉각부재(32)는 상기 냉각판(473)과 유사하게 복수의 방열핀이 일방향으로 배열된 형상을 이루어 공기와의 접촉 면적을 넓게 하여 냉각효율을 높일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31 and the inner enclosure cooling member 32, similar to the cooling plate 473, have a shape in which a plurality of heat dissipation fins are arranged in one direction to increase the cooling efficiency by increasing the contact area with air. You can.

우선 상기 내함 냉각부재(32)는 상기 내함체(20)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내함 냉각부재(32)는 상기 내함체(20)의 내벽과 상기 가림부재(49)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부재(49)는 상기 스크린패널(43)의 전방에 위치한 가림부재(49)일 수 있다. 상기 내함 냉각부재(32)는 상기 가림부재(49) 양측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가림부재(49)가 폭확장부(491) 및 폭감소부(493)를 포함함에 따라 상기 내함 냉각부재(32) 또한 복수의 절단부를 형성하여 상기 가림부재(49) 외면에 인접 또는 밀착되어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내함 냉각부재(32)와 내함체(20)의 전방 내벽면 사이에는 제2 공간부(321)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 공간부(321)에 의해 공기층이 형성되고, 상기 내함 냉각부재(32)에서 발산된 열이 확산될 수 있어 냉각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다. 도6은 본 발명에 따른 공기의 순환 구조를 도시한 것으로, 찬 공기는 파란색으로 따뜻한 공기는 빨간색으로 도시하였다.First, the inner box cooling member 32 may be located inside the inner box 20. The inner cooling member 32 may be located betwee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box 20 and the shielding member 49. At this time, the blocking member 49 may be a blocking member 49 located in front of the screen panel 43. The inner cooling member 32 may be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shielding member 49, respectively. At this time, as the shielding member 49 includes a width expansion portion 491 and a width reduction portion 493, the inner cooling member 32 also forms a plurality of cut portions adjacent to or on the outer surface of the shielding member 49. It can be positioned in close contact. Furthermore, a second space 321 may be formed between the inner cooling member 32 and the front inner wall surface of the inner box 20. An air layer is formed by the second space 321, and the heat emitted from the inner cooling member 32 can be diffused, so that a further cooling effect can be expected. Figure 6 shows the air circul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 cold air shown in blue and warm air shown in red.

상기 내함 냉각부재(32)에는 열전소자(323)가 더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열전소자(323)는 상기 내함 냉각부재(32)의 어느 한 면 이상에 설치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내함 냉각부재(32)와 내함체(20)의 내벽면이 접촉되는 부분에 설치되는 것이 좋다.A thermoelectric element 323 may be further installed in the inner cooling member 32. The thermoelectric element 323 may be installed on one or more sides of the inner cooling member 32, and more preferably, as shown in the drawing, the inner cooling member 32 and the inner enclosure 20. It is best to install it in an area where the inner wall is in contact.

상기 외함 냉각부재(31)는 상기 외함체(10)의 내부, 즉 제1 수납부(11)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외함 냉각부재(31)는 상기 외함체(10)와 내함체(20) 사이에 형성된 이격부(14)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로, 상기 외함 냉각부재(31)는 상기 내함체(20)의 외벽면에 밀착될 수 있다. 또 다른 실시예로, 상기 외함 냉각부재(31)는 상기 내함체(20)의 외벽면 중 상기 열전소자(323)가 위치한 벽면 외측에 접촉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외함 냉각부재(31)는 외함체(10)의 제1 수납부(11)의 열을 냉각시키고, 열전소자(323)에서 전달되는 열을 함께 냉각시키는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The enclosure cooling member 31 may be located inside the enclosure body 10, that is, in the first storage unit 11.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31 may be located in a spaced portion 14 formed between the outer enclosure 10 and the inner enclosure 20. In one embodiment,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31 may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enclosure 20. In another embodiment,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31 may be in contact with the outer wall of the inner enclosure 20 where the thermoelectric element 323 is located. Therefore,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31 can be expected to have the effect of cooling the heat of the first storage portion 11 of the enclosure body 10 and simultaneously cooling the heat transferr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323.

아울러 상기 외함 냉각부재(31) 또한 한 쌍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각각의 외함 냉각부재(31)들 전방에 제1 공간부(311)를 형성하여 배출되는 열기가 확산되어 냉각 효과를 더욱 기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enclosure cooling members 31 can also be arranged in a pair, and a first space 311 is formed in front of each enclosure cooling member 31, so that the discharged heat can be spread and a further cooling effect can be expected. there is.

상기 외함체(10)의 제1 수납부(11) 내에서, 상기 내함체(20)의 후단 외벽면에는 후방 냉각부재(33)가 위치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냉각부재(33)는 상기 냉각유닛(30)의 구성요소로, 상기 발광유닛(45) 및 전달체(471)에서 발산되는 열을 냉각시킬 수 있다. 상기 후방 냉각부재(33)는 상기 내함체(20)의 후단 외벽면에 설치되는 판부(331)와, 상기 판부(331)에서 후방으로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핀부(3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후방 냉각부재(33)의 후방에는 상기 송풍팬(35)이 위치할 수 있고, 이 송풍팬(35) 또한 상기 냉각유닛(30)의 구성요소일 수 있다.Within the first storage portion 11 of the outer case 10, a rear cooling member 33 may be located on the rear outer wall of the inner case 20. The rear cooling member 33 is a component of the cooling unit 30 and can cool the heat emit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45 and the transmitter 471. The rear cooling member 33 may include a plate portion 331 installed on the rear outer wall surface of the inner enclosure 20 and a plurality of fin portions 333 arranged to be spaced rearward from the plate portion 331. The blowing fan 35 may be located behind the rear cooling member 33, and the blowing fan 35 may also be a component of the cooling unit 30.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본 발명은 내함체(20)에서 발생하는 열기는 상기 내함 냉각부재(32)를 통하여 저감되고, 내함체(20)를 통해 전도된 열기는 상기 외함 냉각부재(31) 및 후방 냉각부재(33)를 통하여 저감되며, 송풍팬(35)을 통해 공기의 흐름이 도6과 같이 이루어져, 외함체(10) 내부의 열기를 전방으로 방출할 수 있다.In the present invention with the above configuration, the heat generated in the inner case 20 is reduced through the inner case cooling member 32, and the heat conducted through the inner case 20 is transferred to the outer case cooling member 31 and the rear. It is reduced through the cooling member 33, and the air flows through the blowing fan 35 as shown in FIG. 6, so that the heat inside the enclosure 10 can be discharged forward.

이상과 같이 실시 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을 참고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를 기초로 다양한 기술적 수정 및 변형을 적용할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although the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limited drawing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apply various technical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based on the above.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For example, the described techniques are performed in a different order than the described method, and/or components of the described system, structure, device, circuit, etc. are combined or combined in a different form than the described method, or other components are used. Alternatively, appropriate results may be achieved even if substituted or substituted by an equivalent.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 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Therefore, other implementations, other embodiments, and things equivalent to the claims should als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claims described below.

A :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10 : 외함체 11 : 제1 수납부
13 : 제1 출력부 14 : 이격부
15 : 설치공 17 : 보호캡
171 : 플랜지부 173 : 보호벽부
18 : 양압유지부재 181 : 개폐구
183 : 개폐날개 19 : 프로텍터
191 : 렌즈부 193 : 관부재
20 : 내함체 21 : 제2 수납부
23 : 제2 출력부 30 : 냉각유닛
31 : 외함 냉각부재 311 : 제1 공간부
32 : 내함 냉각부재 321 : 제2 공간부
322 : 꺾임부 323 : 열전소자
33 : 후방 냉각부재 331 : 판부
333 : 핀부 35 : 송풍팬
40 : 빔 출력수단 41 : 렌즈패널
43 : 스크린패널 45 : 발광유닛
451 : 발광부재 453 : 홀더
47 : 방열유닛 471 : 전달체
471a : 제1 절곡부 473 : 냉각판
473a : 제2 절곡부 49 : 가림부재
491 : 폭확장부 493 : 폭감소부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10: Enclosure 11: First storage unit
13: first output unit 14: separation unit
15: Installer 17: Protection cap
171: Flange part 173: Protective wall part
18: Positive pressure holding member 181: Opening/closing port
183: Opening and closing wings 19: Protector
191: Lens part 193: Tube member
20: inner box 21: second storage unit
23: second output unit 30: cooling unit
31: Enclosure cooling member 311: First space portion
32: Inner box cooling member 321: Second space part
322: bent portion 323: thermoelectric element
33: rear cooling member 331: plate part
333: Fin portion 35: Blowing fan
40: Beam output means 41: Lens panel
43: screen panel 45: light emitting unit
451: light emitting member 453: holder
47: Heat dissipation unit 471: Transmitter
471a: first bent portion 473: cooling plate
473a: second bent portion 49: shielding member
491: Width expansion part 493: Width reduction part

Claims (8)

영상 출력을 위한 제1 출력부가 형성된 외함체;
상기 외함체 내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 출력부와 연통되는 제2 출력부가 형성된 내함체;
상기 내함체 내부에 위치하는 것으로, 스크린패널과, 상기 스크린패널로 빛을 조사하는 발광유닛을 포함하여, 상기 스크린패널에서 출력된 영상에 빛을 투과하여 상기 제2 출력부 및 상기 제1 출력부를 통해 상기 외함체 외부로 출력하는 빔 출력수단; 및
상기 내함체 내부에 위치하여, 상기 내함체 내부 열기를 냉각시키는 내함 냉각부재를 포함하는 냉각유닛;
을 포함하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n enclosure in which a first output unit for video output is formed;
an inner enclosure located inside the outer enclosure and having a second output unit communicating with the first output unit;
Located inside the inner enclosure, it includes a screen panel and a light emitting unit that irradiates light to the screen panel, transmitting light to the image output from the screen panel to the second output unit and the first output unit. Beam output means outputting to the outside of the enclosure through; and
a cooling unit located inside the inner enclosure and including an inner cooling member that cools the heat inside the inner enclosure;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comprising: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출력부와 상기 제2 출력부를 상호 연통시키는 프로텍터를 더 포함하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protector that communicates the first output unit and the second output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냉각유닛은
상기 내함체 외면에 밀착되어, 상기 발광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을 감소시키는 후방 냉각부재를 더 포함하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The cooling unit is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further comprising a rear cooling member that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enclosure and reduces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유닛에 연결되어 상기 발광유닛에서 발생되는 열이 전달되는 전달체와, 상기 전달체에 접촉되어 전달된 열을 외부로 발산시키는 냉각판을 포함하는 방열유닛을 더 포함하되,
상기 방열유닛은 상기 내함체의 내벽면에 위치하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It further includes a heat dissipation unit including a conductor connected to the light emitting unit to transfer heat generated from the light emitting unit, and a cooling plate that contacts the transmitter to dissipate the transferred heat to the outside,
The heat dissipation unit is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located on the inner wall of the inner enclosure.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 냉각부재에 열전소자가 더 설치되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1,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in which a thermoelectric element is further installed in the inner cooling member.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냉각부재는 상기 내함체 후방 외면에 접촉되는 판부와, 상기 판부에 이격 배열되는 복수의 핀부들을 포함하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3,
The rear cooling member is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including a plate portion in contact with a rear outer surface of the inner enclosure, and a plurality of fin portions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plate portion.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외함 냉각부재에 설치되는 열전소자와 상기 내함 냉각부재는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서 상기 내함체의 내부와 외부에 각각 접촉되어, 상기 열전소자에서 발산된 열이 내함체를 통해 내함체 외부로 전도되면, 이 전도된 열을 상기 외함 냉각부재가 발산시켜 냉각시키는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5,
The thermoelectric element installed on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and the inner enclosure cooling member are in contact with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inner enclosure, respectively, at positions corresponding to each other, and when the heat emitted from the thermoelectric element is conducted through the inner enclosure to the outside of the inner enclosure, ,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in which the enclosure cooling member dissipates and cools the conducted heat.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내함체는 상기 내함체의 외부와 내부가 연통되지 않는 밀폐형 내함체인 패시브 프로젝터 어셈블리.
According to claim 7,
A passive projector assembly wherein the inner enclosure is a sealed inner enclosure in which the exterior and interior of the inner enclosure are not in communication.
KR1020220121181A 2022-09-23 2022-09-23 Passive projector assembly KR20240041741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181A KR20240041741A (en) 2022-09-23 2022-09-23 Passive projector assembly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21181A KR20240041741A (en) 2022-09-23 2022-09-23 Passive projector assembly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1741A true KR20240041741A (en) 2024-04-01

Family

ID=90666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21181A KR20240041741A (en) 2022-09-23 2022-09-23 Passive projector assembly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1741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250Y1 (en) 2002-11-27 2003-02-25 고영환 Beam Projector Having Protection Against Heat
KR20180007924A (en)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Heat radiation device for beam projector using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5250Y1 (en) 2002-11-27 2003-02-25 고영환 Beam Projector Having Protection Against Heat
KR20180007924A (en) 2016-07-14 2018-01-24 주식회사 코리아하이텍 Heat radiation device for beam projector using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37906B2 (en) Projection-type image display apparatus
JP4479784B2 (en) projector
JP7036911B2 (en) Electronic devices and projectors
CN101650517B (en) Projector
CN109690399B (en)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9152025B2 (en) Projector with heat sinks and single fan module
JP2007279118A (en) Projector
US7237905B2 (en) Projection type display apparatus and lamp cooling apparatus
JP2002006282A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JP4240095B2 (en) Sealed lamp device and projector
KR20240041741A (en) Passive projector assembly
US20120086920A1 (en) Light source cooling device and projection type display device
US7726817B2 (en) Projector with lamp unit having a U-shaped insertion frame
CN106444234A (en) Projection apparatus
JP2009199980A (en) Led lighting device
JP2005202330A (en) Electrooptical device and housing case for electrooptical device
US6808296B2 (en) Cooling apparatus for optical engine assembly
JP7394586B2 (en) image projection device
JP2008293818A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with the same backlight unit
JP5298513B2 (en) projector
WO2018042562A1 (en) Projector
JP2020076849A (en) Electronic apparatus and projector
JP2003084362A (en) Projector
JP2009186865A (en) Projection type image display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