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892A -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 Google Patents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892A
KR20240040892A KR1020220119767A KR20220119767A KR20240040892A KR 20240040892 A KR20240040892 A KR 20240040892A KR 1020220119767 A KR1020220119767 A KR 1020220119767A KR 20220119767 A KR20220119767 A KR 20220119767A KR 20240040892 A KR20240040892 A KR 2024004089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nger
inner tube
steering column
bracket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767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박영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프라임모빌리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프라임모빌리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프라임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2011976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892A/en
Publication of KR202400408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892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7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tilt adjustment; with tilt and axial adjust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teering Contro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서, 조향축이 일측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외측 튜브; 외측 튜브의 타측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내측 튜브; 외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브라켓; 내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U"자 형상의 하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상부 양측을 연결하여 고정되면서 체결홀이 가공된 고정판, 이 체결홀을 관통하여 걸림 고정된 중공의 제1행거, 이 제1행거에 하방 삽입되면서 제1행거의 하면 개구에 걸림 장착되고 하부가 내측 튜브에 고정되는 제2행거를 구비하는 틸트수단;을 포함하고, 제1행거에 대해 제2행거가 상하 슬라이딩되어 조향 컬럼의 틸팅이 수행됨으로써, 제1행거와 제2행거가 1곳에서 장착되고, 종래의 하부 지지브라켓처럼 2곳에서 단단히 고정된 구조보다 조향 컬럼의 틸팅이 더욱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which includes: a hollow outer tube into which a steering shaft is inserted into one side; an inner tube inserted and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an upper bracket that secures the outer tube to the car body; A “U”-shaped lower bracket that secures the inner tube to the car body; a fixing plate that connects and fixes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racket and has fastening holes machined therein; a hollow first hanger that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nd is fixed; A tilt means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first hanger and includes a second hanger that is hooked to the lower opening of the first hanger and whose lower part is fixed to the inner tube, wherein the second hanger slides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ger. By performing the tilting of the steering column, the first hanger and the second hanger are mounted in one place and the tilting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than in a structure in which the first hanger and the second hanger are firmly fixed in two places like a conventional lower support bracket.

Figure P1020220119767
Figure P1020220119767

Description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본 발명은 자동차용 조향 컬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내측 튜브와 하부 브라켓이 고정판 및 제1,2행거를 구비한 틸트수단에 의해 체결됨으로써, 내측 튜브와 하부 브라켓이 1곳에서 체결되어 조향 컬럼의 틸트 수행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and more specifically, the inner tube and the lower bracket are fastened by a tilt means equipped with a fixing plate and first and second hangers, so that the inner tube and the lower bracket are fastened at one place to achieve steering. This relates to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that allows the column to be easily tilted.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조향 컬럼은 운전자의 조향휠 조작에 의해 발생한 회전력을 랙과 피니언을 포함한 기구부에 전달하는 조향축의 외부에 구비되어 조향축의 회전을 지지함과 동시에 상부 및 하부 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결합되어 조향축의 위치를 고정하는 장치이다. 이와 같은 조향 컬럼은 조향휠이 운전자의 체형에 적합하도록 길이 조정이 가능한 텔레스코프(Telescope)장치 및 각도 조정 등이 가능한 틸트(Tilt)장치를 포함한다.In general, the steering column of a car is provided on the outside of the steering shaft, which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driver's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to the mechanism including the rack and pinion. It supports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shaft and is coupled to the car body through upper and lower brackets. It is a device that fixes the position of the steering axis. Such a steering column includes a telescope device that can adjust the length of the steering wheel to suit the driver's body type, and a tilt device that can adjust the angle.

이러한 조향 컬럼에 대해 도 1과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1과 도 2를 보면, 자동차의 조향 컬럼은 상단에 연결된 조향휠(10)을 조작하여 발생하는 회전력을 하단의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전달하는 조향축(20), 조향축(20)의 외면을 감싸며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파이프 형상을 취하는 외측 튜브(30), 외측 튜브(30의 내부로 삽입되는 내측 튜브(40), 외측 튜브(40)의 외면을 감싸며 외측 튜브(30)를 차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상부 브라켓(50), 내측 튜브(40)의 외면에 용접으로 고정되는 하부 지지부재(60)과, 하부 지지부재(60)와 힌지(70) 등을 통해서 고정되며 내측 튜브(4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브라켓(8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This steering colum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and 2. 1 and 2, the steering column of a car includes a steering shaft 20 that transmit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manipulating the steering wheel 10 connected to the top to the rack-and-pinion mechanism (not shown) at the bottom, and a steering shaft ( An outer tube 30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20 and takes the shape of a pipe to enable relative sliding, an inner tube 40 inserted into the interior of the outer tube 30, and an outer tube 30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40. ) is fixed to the vehicle body through an upper bracket 50, a lower support member 60 fixed by welding to the outer surface of the inner tube 40, a lower support member 60 and a hinge 70, etc., and the inner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lower bracket 80 that secures the tube 40 to the vehicle body.

여기서, 하부 브라켓(80)은 내측 튜브(40)를 감싸도록 형성되며 차체와 고정되도록 고정홀(8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하부 브라켓(80)은 내측 튜브(40)와 용접을 통해 고정된 하부 지지부재(60)와 조향 컬럼의 틸트 작동이 수행되도록 힌지(70)와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lower bracket 80 is formed to surround the inner tube 40, and a fixing hole 81 may be formed to be fixed to the vehicle body. This lower bracket 80 may be coupled to the hinge 70 to perform a tilt operation of the lower support member 60 and the steering column, which are fixed to the inner tube 40 through welding.

또한, 하부 지지부재(60)는 내측 튜브(40)의 단부에 용접을 통해 고정되며 양측부가 힌지(70)를 매개로 하부 브라켓(80)과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하부 지지부재(60)는 조향 컬럼의 틸트가 가능하도록 하부 브라켓(80)에 장착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lower support member 60 is fixed to the end of the inner tube 40 through welding, and both sides can be coupled to the lower bracket 80 via the hinge 70. Accordingly, the lower support member 60 can be mounted on the lower bracket 80 to enable tilt of the steering column.

그러나 이러한 조향 컬럼의 틸팅 구조는 내측 튜브(40)와 하부 브라켓(80)이 하부 지지부재(60)를 매개로 체결되고, 이때 하부 브라켓(80)과 하부 지지부재(60)가 힌지(70)를 매개로 제자리 회전하도록 설치됨으로써, 부품 수가 많아 원가가 상승하게 되고, 작업 공정 수가 많아 긴 작업 시간이 소요되며, 하부 지지부재(60)와 내측 튜브(40) 간의 용접에 의한 고정이 장기간의 피로도에 의해 파손될 수 있는 위험 및 보수 작업이 필요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However, in the tilting structure of this steering column, the inner tube 40 and the lower bracket 80 are fastened via the lower support member 60, and at this time, the lower bracket 80 and the lower support member 60 are connected to the hinge 70. As it is installed to rotate in place through the medium, the cost increases due to the large number of parts, the number of work processes is large, so long work time is required, and fixation by welding between the lower support member 60 and the inner tube 40 causes long-term fatigue. There is a risk of damage and problems that may require repair work.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51944호(2010.05.19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0-0051944 (published on May 19, 2010)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248312호(2013.03.27 공고)Republic of Korea Patent No. 10-1248312 (announced on March 27, 2013)

상기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내측 튜브의 선단부측 상부와 하부 브라켓에 고정된 고정판이 제1,2행거에 의해 체결되어 조향 컬럼의 틸트가 수행됨으로써, 부품 수가 감소되어 공정이 단순해지고, 1곳의 체결지점에서 내측튜브가 매달린 구조로 인해 틸팅이 더욱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을 제공함에 있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which was devis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is to tilt the steering column by fastening the fixing plate fixed to the upper and lower brackets on the distal end side of the inner tube by the first and second hangers, there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improving the process. The aim is to provide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that simplifies this and allows tilting to be performed more smoothly due to a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tube is suspended from one fastening point.

상술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은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서, 조향축이 일측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외측 튜브; 외측 튜브의 타측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내측 튜브; 외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브라켓; 내측 튜브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U"자 형상의 하부 브라켓;과, 하부 브라켓의 상부 양측을 연결하여 고정되면서 체결홀이 가공된 고정판, 이 체결홀을 관통하여 걸림 고정된 중공의 제1행거, 이 제1행거에 하방 삽입되면서 제1행거의 하면 개구에 걸림 장착되고 하부가 내측 튜브에 고정되는 제2행거를 구비하는 틸트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In order to achieve the above-described object,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llow outer tube into which a steering shaft is inserted at one side; an inner tube inserted and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an upper bracket that secures the outer tube to the car body; A “U”-shaped lower bracket that secures the inner tube to the car body; a fixing plate that connects and fixes both sides of the upper part of the lower bracket and has fastening holes machined therein; a hollow first hanger that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s and is fixed; A tilt means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first hanger and includes a second hanger that is hooked and mounted on an ope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nger and whose lower part is fixed to the inner tube.

따라서, 제1행거에 대해 제2행거가 상하 슬라이딩되어 조향 컬럼의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Accordingly, the second hanger can be sli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ger to perform tilting of the steering column.

여기서, 제1행거는 고정판의 체결홀을 통과하는 중공의 몸통과, 체결홀에 걸쳐지는 상부의 플랜지를 구비하고, 몸통의 하면에 개구가 마련되어 제작될 수 있다. Here, the first hanger may be manufactured by having a hollow body that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of the fixing plate, an upper flange that spans the fastening hole, and an opening provided in the lower surface of the body.

또한, 제2행거는 몸통에 삽입되어 하면 개구를 통과하는 나사부와, 하면 개구에 걸쳐지는 상부의 머리부를 구비하고, 나사부의 하부가 내측 튜브와 고정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hanger has a threaded portion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and passes through a lower opening, and an upper head portion that spans the lower opening,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can be fixed to the inner tube.

그리고 틸트수단은 제2행거의 니사부의 하부가 내측 튜브를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도록 내측 튜브의 선단 부위의 상부에 마련된 평평면을 더 구비할 수 있다. In addition, the tilt means may further include a flat surface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knee thread of the second hanger penetrates the inner tube and is engaged with the nut.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제1행거는 고정판의 1곳에서 고정되고, 제2행거는 내측튜브의 평평면의 1곳에서 장착됨으로써, 부품 수가 감소되어 공정이 단순해지고, 1곳의 체결지점에서 내측 튜브가 매달린 구조로 인해 종래의 하부 지지브라켓처럼 2곳에서 단단히 고정된 구조보다 조향 컬럼의 틸팅이 더욱 원활하게 수행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hanger is fixed at one place on the fixing plate, and the second hanger is mounted at one place on the flat surface of the inner tube, thereby simplifying the process by reducing the number of parts and fastening at one place. Due to the structure in which the inner tube is suspended at a point, the tilting of the steering column can be performed more smoothly than a structure that is firmly fixed in two places like a conventional lower support bracket.

본 명세서에서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도 1은 종래의 자동차용 조향 컬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향 컬럼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이 개략적으로 도시된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조향 컬럼의 측면도이다.
The following drawings attached to this specification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erve to further understand the technical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along with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invention, so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only to the matters described in such drawings. It should not be interpreted as such.
1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conventional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Figure 2 is a side view of the steering column shown in Figure 1.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view of the steering column shown in Figure 3;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쉽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다양한 실시 예에서 언급된 구성들 중 각 실시 예에서 상호 유사한 구성 및 관련 구성은 대체 또는 교체되거나 추가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한 동작 원리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preferred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so that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easily practice the present invention. Additionally, among the configurations mentioned in various embodiments, similar configurations and related configurations in each embodiment may be replaced, replaced, or added. However, when explaining in detail the operating principle of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f a detailed description of a related known function or configuration is judged to unnecessarily obscure the gis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구성><Configuration>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은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단에 연결된 조향휠(100)의 조작으로 발생된 회전력을 하단의 랙-피니언 기구부(미도시)에 전달하는 조향축110), 조향축(110)의 외면을 감싸면서 상대적으로 슬라이딩이 가능하도록 장착된 파이프 형상의 외측 튜브(200), 외측 튜브(200의 내부로 삽입되어 장착된 파이프 형상의 내측 튜브(300), 외측 튜브(200)의 외면을 감싸면서 외측 튜브(20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브라켓(400), 내측 튜브(30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하부 브라켓(350)과, 내측 튜브(300)와 하부 브라켓(500)을 연결하면서 내측 튜브(300)의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치된 틸트수단(60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As shown in Figures 3 and 4, the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ransfers the rotational force generated by the operation of the steering wheel 100 connected to the top to the rack-pinion mechanism at the bottom ( (not shown), a steering shaft 110), a pipe-shaped outer tube 200 mounted to enable relative sliding while surrounding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ring shaft 110, and a pipe inserted and mounted inside the outer tube 200. A shaped inner tube 300, an upper bracket 400 that surrounds the outer surface of the outer tube 200 and secures the outer tube 200 to the vehicle body, a lower bracket 350 that secures the inner tube 300 to the vehicle body, and , and includes a tilt means 600 installed to enable tilting of the inner tube 300 while connecting the inner tube 300 and the lower bracket 500.

여기서, 외측 튜브(200)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상이고, 일측부에 조향휠(100)과 연결되는 조향축(110)이 삽입되어 장착되며, 타측부에 내측 튜브(300)가 삽입되어 장착될 수 있다. Here, the outer tube 200 is shaped like a pipe with a hollow interior, and the steering shaft 110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100 is inserted and mounted on one side, and the inner tube 300 is inserted and mounted on the other side. It can be.

또한, 내측 튜브(300)는 내부가 중공인 파이프 형상이고, 외측 튜브(200)의 내부에 삽입되면서 슬라이딩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외부에 노출된 선단 부위의 상면에 일정 길이의 평평면(640)이 성형될 수 있다. 이 평평면(640)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여기서, 평평면(640)이 성형된 부위의 내측 튜브(300)의 내경은 하부 브라켓(500)의 직경에 따라 틸팅이 가능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In addition, the inner tube 300 is shaped like a pipe with a hollow interior, is inserted into the outer tube 200 and is slidably mounted, and has a flat surface 640 of a certain length on the upper surface of the tip exposed to the outside. It can be molded. A detailed description of this flat surface 640 will be described later. Here, the inner diameter of the inner tube 300 in the area where the flat surface 640 is formed may be set to enable tilting according to the diameter of the lower bracket 500.

좀 더 자세히 설명하자면, 하부 브라켓(500)이 내측 튜브(300)의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면서 내측 튜브(300)의 외주면과 하부 브라켓(500) 사이의 공간이 크게 발생하지 않도록 함으로써, 내측 튜브(300)가 하부 브라켓(350)에 대해 틸트수단(600)을 매개로 틸트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o explain in more detail, the lower bracket 500 is formed to be larger than the diameter of the inner tube 300 and the space betwee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inner tube 300 and the lower bracket 500 is not large, so that the inner tube 300 ) can be tiltably mounted on the lower bracket 350 via the tilt means 600.

이때, 내측 튜브(300)의 직경은 내측 튜브(300)의 내부에 삽입된 조향축(110)과 같은 기타 조향장치의 구성 요소들 간의 간섭이 발생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설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At this time, the diameter of the inner tube 300 is preferably set within a range that does not cause interference between other steering device components such as the steering shaft 110 inserted inside the inner tube 300.

한편, 틸트수단(600)은 도 3과 도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고정판(610), 제1행거(620), 제2행거(630)와 평평면(640)을 구비할 수 있다. 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tilt means 600 may include a fixing plate 610, a first hanger 620, a second hanger 630, and a flat surface 640.

여기서, 고정판(610)은 대략 "U"자 형상의 하부 브라켓(500)의 양측부를 연결하는 부재이다. 이 고정판(610)은 내측 튜브(300)의 길이 방향으로 가공된 슬롯 형상의 체결홀(611)을 구비할 수 있다. 이 체결홀(611)에는 제1행거(620)가 하방으로 끼워지면서 머리부가 걸리도록 걸림 결합될 수 있다. Here, the fixing plate 610 is a member that connects both sides of the approximately “U”-shaped lower bracket 500. This fixing plate 610 may be provided with a slot-shaped fastening hole 611 machi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inner tube 300. The first hanger 620 may be inserted downward into this fastening hole 611 and engaged so that the head part is caught.

또한, 제1행거(620)는 중공의 몸통(621)과, 상부의 플랜지(622)를 구비하여 가공될 수 있다. 이 제1행거(620)는 몸통(621)이 고정판(610)의 체결홀(611)에 관통하여 끼워지고, 플랜지(622)가 걸리게 되어 고정판(610)에 장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행거(620)의 상단 개방면보다 작은 직경의 하면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 이 하면 개구의 직경은 제2행거(630)의 나사부(632)의 외경보다 약간 더 크고, 머리부(631)의 직경보다 작은 크기로 가공될 수 있다. 따라서, 하면 개구를 매개로 제2행거(630)가 제1행거(620)에 삽입된 후 걸림 결합될 수 있고, 이에 대한 보충 설명은 후술한다. Additionally, the first hanger 620 may be processed to include a hollow body 621 and an upper flange 622. This first hanger 620 can be mounted on the fixing plate 610 by having the body 621 inserted through the fastening hole 611 of the fixing plate 610 and the flange 622 being caught. Here, the first hanger 620 may have a lower opening with a diameter smaller than the upper open surface. The diameter of this lower opening may be slightly larger than the outer diameter of the threaded portion 632 of the second hanger 630 and smaller than the diameter of the head portion 631. Accordingly, the second hanger 630 can be inserted into the first hanger 620 through the lower opening and then engaged, and a supplementary explanation for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또한, 제2행거(630)는 상부에 직경이 큰 머리부(631)와, 머리부(631)로부터 하방으로 연장되면서 직경이 작은 나사부(632)를 구비하여 가공될 수 있다. 이러한 제2행거(630)는 제1행거(620)의 상단 개방면을 통해 삽입된 후, 제1행거(620)의 하면 개구를 통해 나사부(632)가 통과하고 머리부(631)가 걸림으로써, 제1행거(620)에 제2행거(630)가 장착될 수 있다. 따라서, 제2행거(630)는 제1행거(620)에 대해 상하로 슬라이딩 가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second hanger 630 may be processed by having a head portion 631 with a large diameter at the top and a screw portion 632 with a small diameter extending downward from the head portion 631. This second hanger 630 is inserted through the upper open surface of the first hanger 620, and then the threaded portion 632 passes through the bottom opening of the first hanger 620 and the head portion 631 is caught. , the second hanger 630 may be mounted on the first hanger 620. Accordingly, the second hanger 630 may be able to slide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ger 620.

그리고, 나사부(632)의 하단 부위는 내측 튜브(300)의 평평면(640)에 볼팅 체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1행거(620)와 제2행거(630)의 장착구조는 내측 튜브(300)가 틸팅될 때 제2행거(630)가 상하로 슬라이딩 되면서 조향 컬럼의 틸팅이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조향 컬림이 틸팅될 때 제1행거(620)의 하면 개구 부위에서 제1행거(620)와 제2행거(630)의 전후로 아주 약간 꺾일 수 있고, 이는 체결홀(611)의 슬롯 형상과, 제2행거(630)의 나사부(632)보다 더 큰 제1행거(620)의 하면 개구의 직경 등의 구조에 의해 가능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lower end of the threaded portion 632 may be bolted to the flat surface 640 of the inner tube 300. This mounting structure of the first hanger 620 and the second hanger 630 allows the second hanger 630 to slide up and down when the inner tube 300 is tilted, thereby performing tilting of the steering column. At this time, when the steering column is tilted, the first hanger 620 and the second hanger 630 may be very slightly bent forward and backward at the bottom opening area of the first hanger 620, which is similar to the slot shape of the fastening hole 611. This may be possible due to a structure such as the diameter of the opening on the lower surface of the first hanger 620 being larger than the threaded portion 632 of the second hanger 630.

또한, 평평면(640)은 내측 튜브(300)의 선단 부위에서 상부가 측면상 평평하게 가공된 부위일 수 있다. 이 평평면(640)은 제2행거(630)의 나사부(632)와의 체결이 용이하게 하기 위해 마련될 수 있다. 따라서, 평평면(640)에는 제2행거(630)의 나사부(632)가 관통한 후, 너트 체결될 수 있다. Additionally, the flat surface 640 may be a portion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300 where the upper portion is processed to be flat on the side. This flat surface 640 may be provided to facilitate fastening with the threaded portion 632 of the second hanger 630. Accordingly, the threaded portion 632 of the second hanger 630 may penetrate the flat surface 640 and then be fastened with a nut.

이처럼 제1행거(620)는 고정판(610)의 1곳에서 고정되고, 제2행거(630)는 내측 튜브(300)의 평평면(640)의 1곳에서 장착되며, 제1행거(620)와 제2행거(630)가 1곳에서 장착됨으로써, 도 2에서 보듯이 종래의 하부 지지브라켓(60)처럼 2곳에서 단단히 고정된 구조와는 다르고, 이로 인해 조향 컬럼의 틸팅이 더욱 부드럽게 수행될 수 있다. In this way, the first hanger 620 is fixed at one place on the fixing plate 610, and the second hanger 630 is mounted at one place on the flat surface 640 of the inner tube 300, and the first hanger 620 As the second hanger 630 is mounted in one place, it is different from the structure that is firmly fixed in two places like the conventional lower support bracket 60, as shown in Figure 2, and this allows the tilting of the steering column to be performed more smoothly. You can.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described above,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will understand that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implement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changing its technical idea or essential features. Therefore,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s should be understood in all respects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dicated by the patent registration claims described later rather than the detailed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ed form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patent registration claims and the equivalent concept should be interpret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00:조향휠
110:조향축
200:외측 튜브
300:내측 튜브
400:상부 브라켓
500:하부 브라켓
600:틸트수단
610:고정판
611:체결홀
620:제1행거
621:몸통
622:플랜지
630:제2행거
631:머리부
632:나사부
640:평평면.
100: Steering wheel
110: Steering axis
200: Outer tube
300: Inner tube
400: Upper bracket
500: Lower bracket
600: Tilt means
610:Fixing plate
611: Fastening hole
620:1st hanger
621: Torso
622:Flange
630:2nd hanger
631:Head
632: Screw part
640: Flat.

Claims (3)

자동차의 조향 컬럼에서,
조향축이 일측부에 삽입되는 중공의 외측 튜브(200);
상기 외측 튜브(200)의 타측부에 삽입되어 장착된 내측 튜브(300);
상기 외측 튜브(20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상부 브라켓(400);
상기 내측 튜브(300)를 차체에 고정시키는 "U"자 형상의 하부 브라켓(500);과
상기 하부 브라켓(500)의 상부 양측을 연결하여 고정되면서 체결홀(611)이 가공된 고정판(610), 이 체결홀(611)을 관통하여 걸림 고정된 중공의 제1행거(620), 이 제1행거(620)에 하방 삽입되면서 제1행거(620)의 하면 개구에 걸림 장착되고 하부가 내측 튜브(300)에 고정되는 제2행거(630)를 구비하는 틸트수단(600);을 포함하고,
상기 제1행거(620)에 대해 제2행거(630)가 상하 슬라이딩되어 조향 컬럼의 틸팅이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
In the steering column of a car,
A hollow outer tube 200 into which the steering shaft is inserted on one side;
an inner tube (300) inserted and mounted on the other side of the outer tube (200);
an upper bracket 400 that secures the outer tube 200 to the vehicle body;
A “U” shaped lower bracket 500 that secures the inner tube 300 to the vehicle body;
A fixing plate 610 having a fastening hole 611 machined thereon while connecting and fixing both upper sides of the lower bracket 500, a hollow first hanger 620 penetrating and fastening through the fastening hole 611, this second Tilt means 600 is inserted downward into the first hanger 620 and includes a second hanger 630 that is hooked to the bottom opening of the first hanger 620 and whose lower part is fixed to the inner tube 300. ,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characterized in that the second hanger 630 is slid up and down with respect to the first hanger 620 to tilt the steering column.
청구항 1에서,
상기 제1행거(620)는 고정판(610)의 체결홀(611)을 통과하는 중공의 몸통(621)과, 체결홀(611)에 걸쳐지는 상부의 플랜지(622)를 구비하고, 상기 몸통(621)의 하면에 개구가 마련되며,
상기 제2행거(630)는 몸통(621)에 삽입되어 하면 개구를 통과하는 나사부(632)와, 하면 개구에 걸쳐지는 상부의 머리부(631)를 구비하고, 상기 나사부(632)의 하부가 내측 튜브(300)와 고정되는 것을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
In claim 1,
The first hanger 620 has a hollow body 621 that passes through the fastening hole 611 of the fixing plate 610, and an upper flange 622 that spans the fastening hole 611, and the body ( An opening is provided on the lower surface of 621),
The second hanger 630 has a threaded portion 632 that is inserted into the body 621 and passes through an opening in the lower surface, and an upper head portion 631 that spans the opening in the lower surface, and the lower portion of the threaded portion 632 is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to be fixed to the inner tube 300.
청구항 2에서,
상기 틸트수단(600)은 제2행거(630)의 나사부(632)의 하부가 내측 튜브(300)를 관통하여 너트와 체결되도록 내측 튜브(300)의 선단 부위의 상부에 마련된 평평면(640)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틸트수단이 구비된 자동차용 조향 컬럼.
In claim 2,
The tilt means 600 is a flat surface 640 provided on the top of the distal end of the inner tube 300 so that the lower part of the threaded portion 632 of the second hanger 630 penetrates the inner tube 300 and is fastened with a nut. A steering column for an automobile equipped with a tilt means, further comprising:
KR1020220119767A 2022-09-22 2022-09-22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KR2024004089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67A KR20240040892A (en) 2022-09-22 2022-09-22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67A KR20240040892A (en) 2022-09-22 2022-09-22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892A true KR20240040892A (en) 2024-03-29

Family

ID=90483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767A KR20240040892A (en) 2022-09-22 2022-09-22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89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1944A (en) 2008-11-10 2010-05-19 주식회사 만도 Hinge mounting bracket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248312B1 (en) 2008-12-04 2013-03-27 주식회사 만도 Steering Column for Vehi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1944A (en) 2008-11-10 2010-05-19 주식회사 만도 Hinge mounting bracket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KR101248312B1 (en) 2008-12-04 2013-03-27 주식회사 만도 Steering Column for Vehi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882548B2 (en) Stowable steering column apparatus
US8146945B2 (en) Motor vehicle steering column
KR101204541B1 (en) A telescopic device and tilt device of the steering column for a vehicle
EP1386820B1 (en) Tilt adjustable steering column assembly
CN110775148A (en) Steering device
CN107074267B (en) Impact-absorbing steering device
JP2007533538A (en) Safety steering column for automobiles
JPH0569831A (en) Steering column device for automobile
JP2022002937A (en) Steering device for vehicle
KR20240040892A (en) Steering column for vehicle having rotation
US10604100B2 (en) Arrangement for mounting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394493B1 (en) Steering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9616724B2 (en) Subframe structure for vehicle
CN107406106B (en) Steering support member structure
KR101179756B1 (en) Tilt Type Steering Column for Vehicle
EP3075635B1 (en) Steering apparatus
KR20100051944A (en) Hinge mounting bracket of steering column for vehicle
JP4457751B2 (en) Steering column device
JP4628092B2 (en) Steering column device
KR102174905B1 (en) Tilting jig apparatus for improving welding strength of dissimilar metals
JP4254273B2 (en) Steering device
KR20070075111A (en) Telescope steering system having movable gear and fixed gear
JP2005537968A (en) Auto body with strut device
CN107472349B (en) Column tube regulating mechanism under a kind of steering column
KR100738406B1 (en) Steering Column for Automotive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