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860A -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860A
KR20240040860A KR1020220119706A KR20220119706A KR20240040860A KR 20240040860 A KR20240040860 A KR 20240040860A KR 1020220119706 A KR1020220119706 A KR 1020220119706A KR 20220119706 A KR20220119706 A KR 20220119706A KR 20240040860 A KR20240040860 A KR 202400408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nselor
client
terminal
counseling
psycholog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황희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온워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온워즈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온워즈
Priority to KR10202201197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860A/ko
Publication of KR202400408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86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7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mental therapies, e.g. psychological therapy or autogenous trai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3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unstructured textual data
    • G06F16/33Querying
    • G06F16/332Query formulation
    • G06F16/3329Natural language query formulation or dialogue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20Natural language analysis
    • G06F40/279Recognition of textual entiti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40/00Handling natural language data
    • G06F40/30Semantic analysis
    • G06F40/35Discourse or dialogue representa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6Speech to text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G10L25/63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for estimating an emotional stat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2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 G16H20/1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rapies or health-improving plans, e.g. for handling prescriptions, for steering therapy or for monitoring patient compliance relating to drugs or medications, e.g. for ensuring correct administration to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7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mining of medical data, e.g. analysing previous cases of other patient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ath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Multimedia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sychology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으로서,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내담자 단말기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하는 생체 신호 분석 모듈; 및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을 구축하고, 내담자 단말기가 직접 요청한 상담사, 또는 자동 선택 요청에 의한 상담사의 상담사 단말기를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로 지정하는 상담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담사 관리부는 내담자가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생체 신호 분석 모듈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담사 풀에서 상담사를 선택하고, 앱 관리부는 상담방을 개설하여, 내담자 단말기과 상담사 단말기가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PROVIDING MENTALITY SUPPORTING SERVIE APPARATUS WITH NON-FACE TO FACE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장치 및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 사회 속에서 사람들은 많은 스트레스를 받고 있다. 또한, 정신적 고통을 받거나 정신 건강에 위험한 상태에 많이 놓이기도 한다. 그러나, 심리 치료에 대한 막연한 두려움에 치료 받으려는 시도를 잘 안하게 된다. 또한 치료에 소요되는 시간이나 비용에 따른 부담으로, 초기 치료 시기를 놓칠 수 있다. 아울러, 이들을 치료하기 위한 심리 치료는 그 방법을 찾기 어려운 면이 존재한다. 또한, 상담에 이용된 심리테스트 결과는 실적 및 기록보관을 위해서 다시 디지털화해야만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일반적으로 심리 치료에 거부감이 있지만, 심리 치료를 요구하는 내담자의 수는 증가하고 있다. 그러나 소수의 정해진 상담사가 직접 심리테스트를 실시하고 그 자료를 집계하며, 상담 완료된 결과를 다시 전자화 하는 데에 시간 및 인력이 부족하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는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 중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70)(이하,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서버(10)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내담자와 상담사 사이의 상담 내용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115);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130); 설치용 상담 앱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설치된 상담 앱에 상기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문구 라벨을 수신하면, 상기 문구 라벨을 해당 대화에 라벨링하는 앱 관리부(125); 상기 문구 라벨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하여 요약문을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분석부(135);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빅데이터 처리물을 생성하고, 상기 빅데이터 처리물로부터 상담 보조 내용을 도출하는 빅데이터 처리부(140);를 포함하고, 상기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하는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 및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을 구축하고, 상기 내담자 단말기(60)가 직접 요청한 상담사, 또는 자동 선택 요청에 의한 상담사의 상담사 단말기(70)를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로 지정하는 상담사 관리부(155);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담사 관리부(155)는 상기 내담자가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상기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담사 풀에서 상담사를 선택하고, 상기 앱 관리부(125)는 상담방을 개설하여, 상기 내담자 단말기(60)과 상기 상담사 단말기(70)가 상기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내담자 단말기(60)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가 상기 상담방에 접속된 상기 상담사 단말기(70)로 전송되도록 하는 음성 분석 모듈(16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상담방에서의 온라인 심리 상담이 종료된 후 상담사에 의해 작성된 예비 심리 분석 결과물의 제안에 따라 온라인 심리 검사를 요청한 내담자, 또는 온라인 심리 상담 없이 직접 온라인 심리 검사를 요청한 내담자의 상기 내담자 단말기(60)로 온라인 심리 검사를 제공하는 심리 검사 모듈(152)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관리부(125)는 상기 온라인 심리 검사의 결과를 받은 내담자가 해석 상담을 요청하면, 해석 상담방을 개설하여, 상기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기 상담사 단말기(70)이 상기 해석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앱 관리부(125)는 상기 내담자가 상기 예비 심리 상담을 하지 않은 내담자인 경우, 상기 내담자에게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 및 상담사 직접 선택 모드인지 요청하고, 상기 상담사 관리부(155)는 상기 내담자가 상기 상담사 직접 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담사를 담당 상담사로 지정하고, 상기 상담자가 상기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상담사 풀에서 상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상기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한 생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기 상담사 풀에서 선택한 상담사를 담당 상담사로 지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은 상기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하는 단계;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을 구축하고, 상기 내담자 단말기(60)가 직접 요청한 상담사, 또는 자동 선택 요청에 의한 상담사의 상담사 단말기(70)를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담방을 개설하여, 상기 내담자 단말기(60)과 상기 상담사 단말기(70)가 상기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하여, 온라인 심리 상담이 행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담자가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상기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담사 풀에서 상담사를 선택하고, 상기 온라인 상담이 행해지는 단계는, 상기 내담자와 상기 상담사 사이의 상담 내용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문구 라벨을 수신하면, 상기 문구 라벨을 해당 대화에 라벨링하는 단계; 상기 문구 라벨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하여 요약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빅데이터 처리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빅데이터 처리물로부터 상담 보조 내용을 도출하는 단계;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은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온라인 심리 상담으로, 시간과 장소의 구애를 받지 않고 적절한 심리 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도 1의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상담 앱의 채팅창을 도시한다.
도 6은 도 1의 상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며,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할 때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또는' 용어는 전후 문맥상 논리적 배타합으로 해석될 수 있으나, '그렇지 않으면, 아니면, 논리적 배타합' 등의 직접적인 묘사가 없으면, '및/또는'과 같은 의미, 즉, 논리합으로 해석한다.
또한,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이는 상하좌우의 배치 관계에서도 동일하다. 예를 들어,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 위에 있다고 할 때, 어떤 구성요가 다른 부분의 바로 위에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개재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네트워크 상의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가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다는 것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제1 구성요소와 제2 구성요소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단순히 본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특별히 중요한 의미 또는 역할을 부여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모듈" 및 "부"는 서로 혼용되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은 실제 응용에서 구현될 때 필요에 따라 2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혹은 하나의 구성요소가 2 이상의 구성요소로 세분되어 구성될 수 있다.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고,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가지는 구성요소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으로 대체되어 생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된 실시예들의 모든 가능한 조합들을 망라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이지 않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특정 형상, 구조, 기능, 및 특성의 일 실시예는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실시예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모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어떤 실시예가 달리 구현 가능한 경우에 특정한 공정 순서는 설명되는 순서와 다르게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연속하여 설명되는 두 공정이 실질적으로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고, 설명되는 순서와 반대의 순서로 진행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상담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도 2는 도 1의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이고, 도 3은 도 1의 서버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4 및 도 5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상담 앱의 채팅창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통신시스템은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서버이거나, 서버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내담자 단말기(60)는 상담을 받으려는 사용자가 이용하는 단말기이고, 상담사 단말기(70)는 상담을 통하여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도와주거나 궁금증을 풀어 주는 일을 전문으로 하는 사람이 이용하는 단말기이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 중 적어도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상담사 단말기(7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고, 내담자 단말기(60)와 상담사 단말기(70)는 적어도 유선 전화망을 이용한 오디오 통신이 가능할 수 있다.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는 유선 전화기 또는 전화 통화가 가능한 PC 등의 전자기기일 수 있다.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는 무선 통신이 가능한 전자기기로, 스마트 폰(Smart Phone), 휴대 단말기(Portable Terminal),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 개인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단말기, 텔레매틱스(Telematics) 단말기, 내비게이션(Navigation) 단말기,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노트북 컴퓨터, 슬레이트 PC(Slate PC), 태블릿 PC(Tablet PC), 울트라북(ultrabook),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예를 들어, 워치형 단말기(Smartwatch), 글래스형 단말기(Smart Glass), HMD(Head Mounted Display) 등 포함), 와이브로(Wibro) 단말기, IPTV(Internet Protocol Television) 단말기, 스마트 TV,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AVN(Audio Video Navigation) 단말기, A/V(Audio/Video) 시스템, 및 플렉시블 단말기(Flexible Terminal) 중 어느 하나이거나 조합된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70)는 응용 프로그램 설치가 가능한 단말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내담자 단말기(60)가 일반 유선 전화기일 경우, 내담자 단말기(60)는 유선 전화망을 통해 상담사 단말기(70)와 전화 통신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기(70)는 데이터 통신망(인터넷 등)을 통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과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상담사 단말기(70)는 내담자 단말기(60)와 주고 받는 오디오 신호를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달할 수 있다. 내담자 단말기(60)가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일 경우,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와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이하, 내담자 단말기(60)는 데이터 통신이 가능한 단말기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도 2를 참조하면, 단말기는 단말기 제어부(210), 단말기 통신부(220), 단말기 입력부(230), 조작부(240), 단말기 출력부(250), 단말기 저장부(260), 및 생체 신호 측정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단말기는 내담자 단말기(60) 및/또는 상담사 단말기(70)일 수 있으며,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70)일 수 있다.
단말기 통신부(220)는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통신 네트워크의 다른 구성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유선 통신 기술로 전력선 통신(Power Line Communication: PLC), USB 통신, 이더넷(Ethernet), 시리얼 통신(serial communication), 광/동축 케이블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무선 통신 기술로 근거리 통신 기술, 무선 인터넷 기술, GPS 기술, 이동통신 기술, 및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 기술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근거리 통신 기술로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지그비(ZigBee), 인접 자장 통신(Near Field Communication: NFC), 초음파 통신(Ultra Sound Communication: USC), 가시광 통신(Visible Light Communication: VLC)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로 WLAN(Wireless LAN)(Wi-Fi),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Wibro(Wireless broadband),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기술은 근거리 통신에 적합할 수 있다.
이동통신 기술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CDMA2000(Code Division Multi Access 2000), EV-DO(Enhanced Voice-Data Optimized or Enhanced Voice-Data Only), WCDMA(Wideband CDMA),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HSUPA(High Speed Uplink Packet Access), LTE(Long Term Evolution), LTEA(Long Term Evolution-Advanced), 차세대 이동통신(5G 등)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LPWAN; Low Power Wide Area Network)는 서비스 범위가 매우 넓고(10km 이상) 초당 수백 킬로비트(kbps) 가량의 통신 속도를 제공하는 저전력의 무선 광역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다. 저전력 광역 네트워크 기술은 사물인터넷(Internet of Things, IoT)을 제공하기 위한 전용 통신 기술로 이용될 수 있다. LPWAN를 실현하기 위해, 로라(LoRaWAN; Long Range wireless network), 시그폭스(SIGFOX), 엘티이-엠티시(LTE-MTC: LTE Machine-Type Communications), 협대역 사물 인터넷(NB-IoT) 등의 기술이 있을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230)는 오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마이크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 입력부(230)은 비디오 신호 입력을 위한 카메라를 구비할 수 있다.
마이크는 외부의 음향 신호를 입력 받아 전기적인 음성 데이터로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음성 데이터는 단말기 통신부(220)을 통해 외부(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나 상대방 단말기 등)로 전송될 수 있다.
카메라는 화상 통화모드 또는 촬영 모드에서 이미지 센서에 의해 얻어지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등의 화상 프레임을 처리할 수 있다.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5)에 표시될 수 있다. 카메라에서 처리된 화상 프레임은 단말기 저장부(260)에 저장되거나 단말기 통신부(220)를 통하여 외부로 전송될 수 있다.
단말기 조작부(사용자 입력부)(24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하여 입력하는 키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단말기 조작부(240)는 사용자의 푸시 또는 터치 조작에 의해 명령 또는 정보를 입력받을 수 있는 키보드, 마우스,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단말기 조작부(240)는 키를 회전시키는 조그 휠 또는 조그 방식이나 조이스틱과 같이 조작하는 방식이나, 핑거 마우스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 모듈(255)과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스크린(touch screen)이라 부를 수 있다.
단말기 출력부(250)는 오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스피커를 구비할 수 있다. 단말기 출력부(250)는 비디오 신호를 출력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모듈(255)를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모듈(255)은 단말기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 모듈(255)과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모듈(255)은 출력 장치 이외에 사용자의 터치에 의한 정보의 입력이 가능한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모듈(255)은 사용자 입력이 가능한 터치스크린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단말기 저장부(260)는 단말기에서 구동되는 다수의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 단말기의 동작을 위한 데이터들,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응용 프로그램 중 적어도 일부는 무선 통신을 통해 외부 서버로부터 다운로드 될 수 있다. 응용 프로그램은 단말기 저장부(260)에 저장되고, 단말기 상에 설치되어 단말기 제어부(210)의 제어에 의해 그 동작이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저장부(260)는 플래시 메모리 타입(Flash Memory Type), 하드 디스크 타입(Hard Disk Type), 멀티미디어 카드 마이크로 타입(Multimedia Card Micro Type), 카드 타입의 메모리(예를 들면, SD 또는 XD 메모리 등), 자기 메모리, 자기 디스크, 광디스크, 램(Random Access Memory: RAM), SRAM(Static Random Access Memory), 롬(Read-Only Memory: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및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중 어느 하나 또는 일부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단말기는 인터넷(internet)상에서 단말기 저장부(260)의 저장 기능을 수행하는 웹 스토리지(web storage)를 운영하거나, 또는 상기 웹 스토리지와 관련되어 동작할 수도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270)는 내담자의 생체 신호를 측정할 수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270)는 측정한 생체 신호(결과값 포함)를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생체 신호는 생체 기관의 특징적인 상태를 신호로 측정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개인의 건강 상태를 파악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생체 신호의 종류는 맥박, 혈압, 심전도, 근전도(EMG), 뇌전도(EEG), 안구전도(EOG) 등이 있다. 생체 신호 측정부(270)는 팔찌, 시계, 목걸이, 및/또는 웨어러블 디바이스이거나, 이들의 조합, 또는 이들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내담자의 상태를 이전과 비교하거나, 질병 및 건강 관리를 위해, 생체 신호를 서버 저장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하여 체계적인 관리를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각 부의 동작을 제어하여,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에 대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단말기 제어부(210)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나 중앙처리장치로 해석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서버 제어부(110), 서버 통신부(115), 서버 저장부(120), 앱 관리부(125), 문자 변환부(130), 데이터 분석부(135), 빅데이터 처리부(140), 상담부(150), 상담사 관리부(155), 및 심리 분석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서버 통신부(115)를 통해 통신 네트워크의 내담자 단말기(60), 상담사 단말기(70), 및 다른 구성요소와 통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5)는 다양한 유/무선 통신 기술을 이용할 수 있다. 유/무선 통신 기술은 단말기 통신부(220)에 대한 설명을 참고한다.
서버 통신부(115)는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의 대화 내용인 음성 데이터를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7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5)는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 각각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 사이의 음성 데이터를 중계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120)는 다양한 데이터 및 응용 프로그램(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서버 저장부(120)는 다양한 저장 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앱 관리부(125)는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 중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70)(이하, '사용자 단말기')에 본 발명에 관련된 상담 앱이 다운로드 되게 할 수 있다. 앱 관리부(125)는 사용자 단말기에서 실행되는 상담 앱과 데이터를 주고 받으며, 해당 데이터를 이용하거나 조작할 수 있다.
상담 앱을 다운로드 하고 설치한 사용자 단말기는 상담 시 실행되고 있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문자 변환부(130)는 상담 내용이 들어 있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 문자 변환부(130)는 상담 내용을 실시간으로 문자로 변환하거나, 상담 완료 후 녹취된 상담 내용을 문자로 변환할 수 있다. 후술할 라벨링 관련하여 실시간으로 문자 변환이 바람직하므로, 이하실시간으로 문자 변환하는 것으로 가정하고 설명한다.
앱 관리부(125)는 변환된 문자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문자 데이터를 수신한 사용자 단말기는 디스플레이 모듈(255)에서 실행되고 있는 상담 앱의 채팅 창(A)에 문자로 표시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휴대폰 또는 스마트폰의 문자 앱에 보여줄 수도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상담사와 내담자 사이의 음성으로된 상담 내용이 텍스트로 변환되어 채팅 창(A)에 채팅 형식으로 표시될 수 있다.
채팅 창(A)은 상담 앱이 실행되거나 녹취된 상담 내용을 구비한 음성 데이터의 생성일, 각 대화 음성이 생성된 시각 등의 메타 데이터를 기초호, 상담일 각 대화가 발화된 시각 등의 부가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본 도면이 상담사 단말기(70)에서 실행되는 상담 앱의 채팅 창(A)을 도시한 것이면, 좌측은 내담자가 발화한 대화 박스로 우측은 상담사가 발화한 대화 박스로 표시될 수 있다.
상담사와 내담자가 온라인 화상 상담을 하는 경우, 상담사 단말기(70)에서 촬영한 화면과 내담자 단말기(60)에서 촬영한 화면은 상담 앱에 표시될 수 있다. 도 4는 이러한 일례로 채팅 창(A)의 하단에 상담사와 내담자가 각각 표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도 4 상단의 대화 상자 없이 상담사와 내담자만 나오거나, 상대방이 더 크게 나오거나 하는 등, 화상 미팅 앱의 다양한 레이아웃이나 UI로 구현될 수 있다. 이러한 화상 대화는 앱 관리부(125)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기에서 구동되고 있는 상담 앱은 채팅 창(A)에 사용자가 라베링을 할 수 있는 UI(User Interface)를 제공할 수 있다.
라벨링의 일례로, 상담 앱은 플래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가 채팅 창(A) 중 어느 한 대화를 터치하거나, 길거 누르거나, 좌측 또는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는 등의 조작들 중 어느 적어도 어느 한 조작을 수행하면, 상담 앱은 해당 대화에 플래그를 라벨링할 수 있다. 상담 앱은 더블 터치 등의 조작이 이루어 지면, 라벨링이 취소할 수 있다.
라벨링의 다른 례로, 상담 앱은 태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는 채팅 창(A)의 어느 대화 박스에 태그를 라벨링(태깅)할 수 있다. 태그는 사용자에 의해 작성되거나 기작성된 내용일 수 있다. 기작성된 내용은 '중요도 높음' 및 '중요도 낮음'과 같이 이분하는 등으로 플래그 보다 좀 더 세분화할 수 있다. '중요도 높음' 태깅은 어느 한 대화를 터치하거나 좌측으로 슬라이딩 하는 조작으로, '중요도 낮음' 태깅은 우측으로 슬라이딩 하는 조작으로 수행될 수 있다.
사용자는 중요한 내용이거나 필수적인 내용이라고 생각하는 주요 정보를 구비한 대화 박스에 플래그나 해당 태그가 라벨링되도록 조작을 가할 수 있다. 주요 정보는 내담자 정보, 상담 분야, 상담 내용, 제안 내용, 내담자 만족도 등이 있을 수 있다. 주요 정보는 카테고리화하여 미리 매뉴얼화되어, 상담사기 이를 인식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벨링은 상담사 뿐만 아니라 내담자도 주요 정보라고 생각하는 대화 박스에 라벨링 조작을 할 수 있다.
상담 앱은 라벨링 조작이 이루어지면, 해당 대화 박스를 다르게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도 5의 예를 들면, 주요 정보로 태그되거나 플래그 처리된 대화 박스는 테두리가 더 두꺼워지게 표시하고, 중요도가 낮은 것으로 태그된 대화 박스는 그 테두리가 점선으로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로 배경색이나 대화 박스 안의 텍스트 속성(폰트, 색상, 크기 등)이 달라지게 할 수 있다.
상담 앱은 라벨링 조작이 이루어 지면, 상담 앱은 해당 대화의 식별자와 라벨링된 문구 라벨(플래그, 태그 등)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앱 관리부(125)는 문구 라벨을 수신하면, 대화 식별자를 참조하여, 해당 대화에 문구 라벨이 연관(라벨링)되도록 할 수 있다.
앱 관리부(125)는 내담자 단말기(60)에 상담사 선택 모드를 문의할 수 있다. 상담사 선택 모드는 모드 1 내지 모드 3이 있을 수 있다.
모드 1은 내담자가 상담 분야를 제공하고, 그에 속하는 상담사를 직접 선택하여 상담을 요청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사 직접 선택 모드이다.
모드 2는 내담자가 상담 요청을 하면 상담사 풀에서 내담자의 현재 심리 상태에 적합한 상담사를 선정하여 상담을 진행하는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이다.
모드 1 및 2는 예비 상담 결과 심리 검사 필요성이 있는 경우,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 단말기(60)에 이를 전달할 수 있다. 내담자가 온라인 심리 검사를 선택하면, 온라인 심리 검사를 진행할 수 있다.
모드 3은 상담사와의 심리상담을 거치지 않고, 내담자가 온라인 심리 검사를 요청하여 진행하는 자가 진단 모드이다.
상담사 관리부(155)는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을 구축할 수 있다. 심리상담 분야는, 심리적 증상(우울, 분도, 불안 등), 성격 및 자기이해, 대인관계, 가족관계, 직장생활, 학업 및 진로, 성 문제, 중독 및 섭식 장애, 자녀 양육 등이 있을 수 있다. 상담사는 본인이 상담 가능한 상담 분야를 하나 이상 선택하여 등록할 수 있다. 상담사는 상담사 단말기(70)을 통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접속하여 회원 가입 후 자격이나 경력을 증명할 수 있는 서류 등을 제출하여, 정식 상담사로 등록될 수 있다. 상담사 풀은 서버 저장부(120)에 데이터베이스화되어 저장될 수 있다.
상담사 관리부(155)는 담자 단말기(60)가 직접 요청한 상담사, 또는 자동 선택 요청에 의한 상담사의 상담사 단말기(70)를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로 지정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텍스트 데이터 분석시 문구 라벨를 참조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문구 라벨을 통해 텍스트 데이터의 어느 대화가 중요한 것인지, 및/또는 중요하지 않은 것인지 등을 판단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중요하지 않은 대화는 분석에 누락시키고, 중요한 대화는 가중치를 높일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텍스트 데이터의 구조를 파악하고, 문장 분할, 분석, 추출, 원형 복원 등을 거쳐 의미를 가지는 최소 단위의 형태소를 추출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문구 라벨이 참조된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담 내용 분석물을 생성할 수 있다. 상담 내용 분석물은 추출된 형태소를 기 정의된 카테고리로 분류된 것일 수 있다. 분류 카테고리는 내담자 정보, 상담자 정보, 상담 분야, 상담 내용, 주요 키워드, 문제 해결 방안, 내담자 만족도 등이 있을 수 있다. 카테고리를 구성하는 정보 중 일부는 문구 라벨이 연관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에 의한 분류는 다양한 기법이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단어의 의미, 단어들 중 우선 순위, 단어들 간의 상관도, 문장의 의미를 해석하는 방법, 내담자 상태를 파악하기 위한 방법 등의 분석 방법이 미리 저장되어 있고, 데이터 분석부(135)는 저장된 분석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문구 라벨은 단어로 삽입되거나, 원형 복원에 이용될 수 있다. 문구 라벨은 해당 단어에 연관되어 있을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분석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하여 요약문을 생성하거나, 요약문을 업데이트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요약문을 최초 생성한 후 계속 업데이트하거나, 상담이 종료된 후에 요약문을 생성할 수 있다.
데이터 분석부(135)는 주요 키워드나 중요 라벨이 연관된 문장을 중심으로 요약문을 생성할 수 있다.
요약문은 후술하는 상담 보조 내용을 추가로 구비할 수 있다. 요약문은 상담사가 내담자에게 제안한 문제 해결 방안 등의 내용을 내담자가 수행하기 위한 세부 정보를 구비할 수 있다. 세부 정보는 병원 정보, 질병 관련 정보, 여행 정보, 음식점 정보, 오락 정보, 서적 관련 정보, 전문가 정보, 학교 정보 등이 있을 수 있다. 세부 정보는 다른 내담자가 수행한 내용을 구비할 수 있다.
빅데이터 처리부(140)는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빅데이터 처리물을 생성할 수 있다. 빅데이터 처리부(140)는 상담 내용 분석물 및/또는 생성되거나 업데이트 중인 요약문을 참조하여 빅데이터 처리할 수 있다. 빅데이터 처리부(140)에 이용되는 텍스트 데이터는 형태소 분석이 완료된 데이터일 수 있다.
빅데이터 처리부(140)는 해당 내담자와의 텍스트 데이터 외의 비정형 데이터, 다른 내담자의 상담 데이터 등을 수집 저장하고, 이를 전처리하여 다양한 분석 기법(통계 분석, 딥러닝, 머신 러닝 등)을 통해 예측, 분류, 등의 상담 내용 분석물를 생성할 수 있다.
상담 내용 분석물은 내담자와 유사한 상담 내용과 관련된 상담 유형, 상담사에 대한 평가, 주요 문제 해결 방안, 내담자의 만족도 등이 있을 수 있다.
빅데이터 처리부(140)는 빅데이터 처리물로부터 본 상담의 보조 내용을 도출하여, 상담 보조 내용을 상담사 단말기(70)로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일종의 인공 지능 상담을 담당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내담자가 상담사 없이 상담을 원할 경우, 내담자와 상담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챗봇이나 음성 인식 상담을 진행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문자 변환부(130)의 기능을 이용하여 내담자의 음성을 텍스트로 인식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데이터 분석부(135) 및/또는 빅데이터 처리부(140)를 통해, 내담자와 대화를 주고 받으며, 적절한 상담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상담부(150)는 그 자체로 머신 러닝이나 딥러닝을 수행하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기존의 상담 데이터가 많을 수록 더 적절하고 정확하게 내담자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도록 조력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기저장된 다양한 상담 데이터를 통해 내담자 각각의 개인에 맞춤인 심리 지원을 제공할 수 있다.
앱 관리부(125)에서 제공하는 상담 앱은 사용자 단말기의 상담 앱이 인공 지능 상담에 필요한 유저 인터페이스(UI)를 제공할 수 있다.
상담부(150)는 심리 검사 모듈(152)를 구비할 수 있다. 심리 검사 모듈(152)는 내담자 단말기(60)에 온라인 심리 검사를 제공할 수 있다. 온라인 심리 검사의 항목은 서버 저장부(120)에 저장될 수 있다.
온라인 심리 검사 항목의 예로 다음이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검사 항목도 포함될 수 있다. 검사 항목 중 MCI(Multi-dimensional Career Inventory) 진로탐색검사는 진로 분야로, 개인의 진로와 관련된 자신의 흥미, 능력과 진로 경험을 탐색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4학년생 내지 성인이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CFPI(Career Fantasy-Picture Inventory) 진로그림검사는 진로 분야로, 유아 및 아동용으로 그림을 통해 진행하는 것으로, 유아, 초등학교 1학년생 내지 초등학교 3학년생이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MST(Motivation Style Test) 학습동기유형검사는 학습 및 양육 분야로, 자녀의 학습 동기를 촉진시키는 양육태도를 평가하며, 부모가 자신이 자녀에게 실행한다고 생각하는 양육 방식과 자녀가 인식한 부모의 양육 방식을 동시에 평가하여 부모-자녀간의 인식차이를 확인하는 것으로, 부모와 자녀가 함께 실시하고자 하는 경우 검사를 2개 구입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초등학교 3학년생 내지 고등학생, 유아 및 부모가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성격5요인검사(BFI: Big Five Inventory)는 성격 분야로, Big Five 이론에 입각하여 전반적인 성격을 측정함과 동시에 심리적 안정성, 적응/부적응 특징을 측정하는 것으로, 초등학교 1학년생 내지 성인이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EPDI성격유형검사(에니어그램)(Enneagram Psychological Dynamic Indicator)는 성격 분야로, 타고난 아홉 가지 기질의 역동적 체계를 이해하기 위해 제작된 인간 이해와 탐구, 성숙, 변화를 위한 도구로서 인간 내면의 심층적이고 역동적인 심리구조를 살펴보는 것으로, 초등학교 1학년생 내지 성인이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PAT 부모양육태도검사(Parenting Attitude Test)는 양육 분야로, 초등학교 4학년생 내지 고등학생, 또는 5세 내지 초등학교 6학년생의 부모가 대상이며, 초등학교 4학년생 내지 고등학생용의 경우 부모와의 관계에 어려움이 있는 경우 활용 가능하고, 5세 내지 초등학교 6학년생의 부모용의 경우 본인의 양육태도를 점검하고 개선하길 원하는 부모 또는 양육자에게 필요한 검사이다. 검사 항목 중 PSRI 직무스트레스 검사(Psycho-Social Risks Inventory)는 스트레스 분야로, 개인이 경험하고 있는 현재 스트레스 수준과 현재 스트레스의 원인이자 주관적 스트레스가 되는 환경적인 요인과 비합리적 생각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며, 직장인이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MBTI(The Myers-Briggs Type Indicator)는 성격 분야로, Jung 의 심리유형론에 기초한 성격 유형 검사로, 개인이 정신 능력을 사용하는데 있어서 선호하는 방식에 따라 16가지 성격 유형 중 자신의 유형을 파악할 수 있으며, 고등학생 내지 성인이 대상이다. 검사 항목 중 MMTIC(Murphy-Misgeier Type Indicator for Children)는 성격 분야로, MBTI 아동용으로 이해하기 쉬운 언어를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초등학교 3학년생 내지 중학교 3학년생이 대상이다.
심리 검사 모듈(152)은 온라인 심리 검사에 대한 답변 사항을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하면, 이를 상담사 단말기(7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심리 분석부(160)는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수신한 데이터나 정보를 기초로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개략적으로 예측할 수 있다. 심리 분석부(160)는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 및 음성 분석 모듈(164)를 구비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115)에서 내담자 단말기(60)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면,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은 생체 신호를 분석할 수 있다.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은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심리 상태는 흥분, 슬픔, 분노, 괴로움, 기쁨 등으로 다양하게 분류될 수 있다.
상담사 관리부(155)는 내담자가 모드 2(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생체 신호 분석 모듈(162)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담사 풀에서 상담사를 선택할 수 있다.
음성 분석 모듈(164)은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입력되는 내담자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할 수 있다.
음성 분석 모듈(164)은 내담자의 음성 데이터를 주파수, 파형, 소리의 크기 등을 정밀하게 분석함으로써 내담자의 심리상태 등을 객관화할 수 있다. 상담을 다수 한 내담자의 경우, 이전의 각 상담에서 획득한 음성신호를 분석하여 그 평균값을 추출하여 이를 심리분석에 활용할 수도 있다. 첫 상담인 경우, 상담 전체(분석하는 시점까지)의 음성을 분석하여 개인의 음성분석의 기준이 되는 음성을 추출한 후, 이를 기초로 실시간 심리상태 분석에 활용을 할 수 있다. 이러한 심리 상태 분석으로 내담자가 우울 상태인지, 조울 상태인지 개략적으로 분석할 수 있다.
음성 분석 모듈(164)은 음성신호 분석 결과가 상담사 단말기(70)에 전송되도록 할 수 있다. 상담사는 이러한 음성신호 분석 결과를 참고하여, 상담 과정에서 내담자의 심리상태에 대하여 보다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도 6은 도 1의 상담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고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빅데이터 분석을 통한 개인 맞춤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을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 측면에서 본 것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내담자와 상담사 사이의 상담 내용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S310).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할 수 있다(S315).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텍스트 데이터를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 수 있다(S320).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문구 라벨을 수신(S325)하면, 문구 라벨을 해당 대화에 라벨링할 수 있다(S330).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문구 라벨를 참조하여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 수 있다(S335).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분석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하여 요약문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요약문을 업데이트 수 있다(S340). 요약문 중 일부 내용은 문구 라벨과 연관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빅데이터 처리물을 생성할 수 있다(S345). 빅데이터 처리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빅데이터 처리물로부터 상담 보조 내용을 도출 수 있다(S350).
상담이 종료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최종 요약문을 생성할 수 있다(S335).
도 6은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 사이의 음성을 중계하거나,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70)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가 인공 지능 상담을 수행할 경우,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 단말기(60)으로부터 음성 데이터를 수신(S310)하고, 이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고(S315), 필요시 텍스트 데이터를 내담자 단말기(60)로 전송(S320)하고, 내담자가 채팅 창(A)의 대화 박스를 조작하면 내담자 단말기(60)으로부터 문구 라벨를 수신(S325)하여 해당 대화에 라벨링(S330)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S335)하고, 요약문을 업데이트(S340)하고,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S345)하여, 상담에 필요한 내용을 도출(S350)하여 상담을 수행할 수 있다. 상담이 종료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최종 요약문을 생성할 수 있다(S355).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이다. 도 1 내지 도 6을 참고한다.
도 7을 참조하면, 내담자 단말기(60)가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로그인(S410)하여 회원 인증을 완료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온라인 심리상담을 어느 모드(상담사 선택 모드)로 할 것인지 문의할 수 있다(S415).
내담자가 제1 모드를 선택(S420)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특정 상담사를 선택한 상담 요청을 수신(S425)할 수 있다. 내담자는 내담자 단말기(60)을 통하여 상담 분야를 선택하고, 그 분야에 구축된 상담사 풀에 접속하여 상담사의 프로필 등을 확인하고 적절한 상담사를 선택할 수 있다. 선택된 상담사가 상담 승인을 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해당 상담사를 담당 상담사로 지정할 수 있다.
내담자가 제1 모드를 선택(S430)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 단말기(60)로부터 내담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S435).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수신한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내담자는 상담 분야를 선정하여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로 전송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의 심리 상태 및 상담 분야를 기초로 상담 풀에서 적합한 상담사를 선정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선정된 상담사에게 상담 가능 여부에 대한 상담 승인을 회신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해당 상담사를 담당 상담사로 지정할 수 있다(S440).
담당 상담사가 지정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상담방을 개설할 수 있다.
상담방이 개설되면,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이하, 상담사 단말기(70)), 및 내담자 단말기(60)로 상담방에 입장할 것을 요청할 수 있다.
상담방은 도 4와 같이 내담자 및 상담사를 촬영한 화면이 채팅 창(A) 하단에 보여질 수 있다. 이를 통해 상담사와 내담자는 화상 대면 방식으로 상담할 수 있다.
상담사가 바로 상담하기 어렵거나 내담자가 추후 상담을 요청하는 경우,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상담사와 내담자 사이에 상담 예약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상담방 개설 및 관리, 상담 예약 등은 앱 관리부(125)에 의해 관리될 수 있다.
내담자 단말기(60)과 상담사 단말기(70)는 상담방에 접속하여 실시간으로 화상 대면 온라인 상담을 할 수 있다(S445). 상담사는 내담자와 대화를 하면서 내담자의 표정 변화나 눈동자의 위치 등을 관찰할 수 있어 보다 정확한 상담을 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S450)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할 수 있다.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는 상담사 단말기(70)로 전송될 수 있으며, 상담사는 이를 기초로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더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다.
온라인 심리 상담(S445)이 종료되면, 상담사는 상담 분석 결과물(예비 심리 분석 결과물)을 작성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예비 심리 분석 결과물을 수신할 수 있다(S455).
예비 심리 분석 결과물은 그 결과와 함께 추가적인 심리 검사가 필요하지에 대한 메시지를 구비할 수 있다. 상담을 통해 예비 심리 분석을 한 결과 우울 상태와 같은 특정 문제가 예상되면, 해당 분야에 특화된 전문적인 심리 검사를 받는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이다.
예비 심리 분석 시, 내담자 단말기(65)에게 수신한 생체 신호 또는 그 분석 결과도 예비 심리 분석에 이용될 수 있다.
예비 심리 분석 결과를 받은 모드 1 또는 모드 2를 선택한 내담자는 온라인 심리 검사 제안 요청에 응하고, 온라인 심리 검사를 받을 수 있다(S465). 또는 모드 3을 선택한 내담자(S460)가 온라인 심리 검사 요청하면, 해당 내담자는 온라인 심리 검사를 받을 수 있다(S465).
심리 검사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의 심리 검사 모듈(152)에 의해 행해질 수 있다. 심리 검사 모듈(152)은 별도의 심리 검사 전문 서버를 통해 온라인 심리 검사가 수행되도록 할 수 있다.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 단말기(60)으로부터 온라인 심리 검사 요청을 받으면, 심리 검사의 종류, 비용 및 절차에 대하여 안내할 수 있다. 내담자 단말기(60)가 비용 결제하면, 내담자는 온라인 심리 검사를 할 수 있다. 온라인 심리 검사는 설문형식으로 진행될 수 있다.
온라인 심리 검사(S465)가 종료되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심리 검사 결과를 내담자 단말기(60)에 제공할 수 있다. 내담자가 심리 검사 결과를 어떻게 해석할 지 몰라, 이에 대한 자세한 해석을 내담자 단말기(60)을 통해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에 요청할 수 있다.
해석 상담 요청에 따라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해석 상담방을 개설하여, 내담자 단말기(60) 및 상담사 단말기(70)가 접속되도록 할 수 있다. 내담자 및 상담사는 해석 상담방을 통해, 해석 상담할 수 있다(S470).
해석 상담(S470) 과정에서,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10)는 내담자의 생체 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분석하고, 내담자의 음성을 분석하여 이를 상담사 단말기(70)에 전송할 수 있다. 자세한 설명은 전술한 내용을 참고한다.
해석 상담(S470)의 상담시, 모드 1 및 모드 2 선택 내담자는 기존의 상담사와 상담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모드 3 선택 내담자는 앞선 모드 1(S420) 및 모드 2(S430)와 같이 직접 선택한 상담사, 또는 자동으로 선택된 상담사와 해석 상담할 수 있다. 모드 1 및 모드 2 선택 내담자도 상담사를 새로 선택할 수 있으며, 선택 옵션은 모드 1(S420) 및 모드 2(S430)의 경우와 같을 수 있다.
해석 상담방에서 상담사는 내담자에게 심리 검사 결과에 대하여 설명하고 주의 사항 등에 대하여 안내할 수 있다. 해석 상담과정에서, 상담을 통한 상담사의 예비 심리분석 결과, 음성신호 분석을 통한 심리분석 결과, 및 심리 검사를 통한 심리분석 결과를 모두 종합하여 최종적인 심리분석을 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객관적이고 정밀하고 내담자에 특화된 맞춤형 심리분석을 제공할 수 있다. 초반에 자가진단 모드(모드 3)을 선택한 사용자에 대한 해석 상담시 예비 심리 분석 결과는 기초가 될 수 없다.
상담방은 물론 해석 상담방에서의 대화 내용은 도 6과 같이 분석되어, 요약문이 생성될 수 있다.
상기 본 발명은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에서 구현될 수 있다. 구현은 상기 본 발명은 또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시스템에 의하여 읽혀질 수 있는 데이터가 저장되는 모든 종류의 매체를 포함한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 및 통신 저장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데이터 등 정보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서 구현된 모든 저장 가능한 매체를 포함하는 것으로, 휘발성/비휘발성/하이브리드형 메모리 여부, 분리형/비분리형 여부 등에 한정되지 않는다. 통신 저장 매체는 반송파와 같은 변조된 데이터 신호 또는 전송 메커니즘, 임의의 정보 전달 매체 등을 포함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기능적인(functional) 프로그램, 코드 및 코드 세그먼트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프로그래머들에 의해 용이하게 추론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 될 것이다.
10: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60: 내담자 단말기
70: 상담사 단말기 110: 서버 제어부
115: 서버 통신부 120: 서버 저장부
125: 앱 관리부 130: 문자 변환부
135: 데이터 분석부 140: 빅데이터 처리부
150: 상담부 152: 심리 검사 모듈
155: 상담사 관리부 160: 심리 분석부
162: 생체 신호 분석 모듈 164: 음성 분석 모듈
210: 단말기 제어부 220: 단말기 통신부
230: 단말기 입력부 240: 단말기 조작부
250: 단말기 출력부 255: 디스플레이 모듈
260: 단말기 저장부 270: 생체 신호 측정부

Claims (5)

  1. 내담자 단말기 및 상담사 단말기 중 적어도 상담사 단말기(이하, '사용자 단말기')와 데이터 통신하는 서버로서,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내담자와 상담사 사이의 상담 내용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서버 통신부;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문자 변환부;
    설치용 상담 앱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여 설치되도록 하고, 상기 설치된 상담 앱에 상기 상기 텍스트 데이터가 표시되도록 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문구 라벨을 수신하면, 상기 문구 라벨을 해당 대화에 라벨링하는 앱 관리부;
    상기 문구 라벨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고, 상기 분석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하여 요약문을 업데이트하는 데이터 분석부; 및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빅데이터 처리물을 생성하고, 상기 빅데이터 처리물로부터 상담 보조 내용을 도출하는 빅데이터 처리부;를 포함하고,
    상기 내담자 단말기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하는 생체 신호 분석 모듈; 및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을 구축하고, 상기 내담자 단말기가 직접 요청한 상담사, 또는 자동 선택 요청에 의한 상담사의 상담사 단말기를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로 지정하는 상담사 관리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담사 관리부는 상기 내담자가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상기 생체 신호 분석 모듈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담사 풀에서 상담사를 선택하고,
    상기 앱 관리부는 상담방을 개설하여, 상기 내담자 단말기과 상기 상담사 단말기가 상기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하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담자 단말기의 음성 데이터를 분석하여 상기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한 음성 데이터 분석 결과가 상기 상담방에 접속된 상기 상담사 단말기로 전송되도록 하는 음성 분석 모듈를 더 포함하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상담방에서의 온라인 심리 상담이 종료된 후 상담사에 의해 작성된 예비 심리 분석 결과물의 제안에 따라 온라인 심리 검사를 요청한 내담자, 또는 온라인 심리 상담 없이 직접 온라인 심리 검사를 요청한 내담자의 상기 내담자 단말기로 온라인 심리 검사를 제공하는 심리 검사 모듈를 더 포함하고,
    상기 앱 관리부는 상기 온라인 심리 검사의 결과를 받은 내담자가 해석 상담을 요청하면, 해석 상담방을 개설하여, 상기 내담자 단말기 및 상기 상담사 단말기이 상기 해석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하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앱 관리부는 상기 내담자가 상기 예비 심리 상담을 하지 않은 내담자인 경우, 상기 내담자에게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 및 상담사 직접 선택 모드인지 요청하고,
    상기 상담사 관리부는 상기 내담자가 상기 상담사 직접 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선택된 상담사를 담당 상담사로 지정하고, 상기 상담자가 상기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하면 상담사 풀에서 상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상기 내담자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생체 신호를 기초로 상기 생체 신호 분석 모듈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기 상담사 풀에서 선택한 상담사를 담당 상담사로 지정하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5. 상기 내담자 단말기로부터 생체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내담자의 심리 상태를 분류하는 단계;
    상담 분야별로 상담사 풀을 구축하고, 상기 내담자 단말기가 직접 요청한 상담사, 또는 자동 선택 요청에 의한 상담사의 상담사 단말기를 담당 상담사의 단말기로 지정하는 단계; 및
    상담방을 개설하여, 상기 내담자 단말기과 상기 상담사 단말기가 상기 상담방에 접속하도록 하여, 온라인 심리 상담이 행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내담자가 상담사 자동 선택 모드를 선택한 경우, 내담자의 상담 분야 및 상기 생체 신호 분석 모듈에서 분류한 심리 상태를 기초로 상담사 풀에서 상담사를 선택하고,
    상기 온라인 상담이 행해지는 단계는,
    상기 내담자와 상기 상담사 사이의 상담 내용인 음성 데이터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음성 데이터를 텍스트 데이터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기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조작된 문구 라벨을 수신하면, 상기 문구 라벨을 해당 대화에 라벨링하는 단계;
    상기 문구 라벨를 참조하여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분석하는 단계;
    상기 분석된 상담 내용 분석물을 이용하여 요약문을 업데이트하는 단계;
    상기 텍스트 데이터를 빅데이터 처리하여 빅데이터 처리물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빅데이터 처리물로부터 상담 보조 내용을 도출하는 단계;를 구비하는,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119706A 2022-09-22 2022-09-22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KR2024004086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06A KR20240040860A (ko) 2022-09-22 2022-09-22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706A KR20240040860A (ko) 2022-09-22 2022-09-22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860A true KR20240040860A (ko) 2024-03-29

Family

ID=90483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706A KR20240040860A (ko) 2022-09-22 2022-09-22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40860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30343472A1 (en) Tele-health networking, interaction, and care matching tool and methods of use
US20210081056A1 (en) Vpa with integrated object recognition and facial expression recognition
US11226673B2 (en) Affective interactio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based on affective computing user interface
Vinciarelli et al. A survey of personality computing
US10515631B2 (en)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the cognitive style of a person
Denecke et al. Intelligent conversational agents in healthcare: hype or hope
CN109243432A (zh) 话音处理方法以及支持该话音处理方法的电子设备
KR20190016653A (ko) 지능형 상담 서비스 제공 방법 및 시스템
KR101133822B1 (ko) 무선통신단말을 이용한 발달성 장애치료 방법 및 이를 구현한 시스템
US20170344713A1 (en) Device, system and method for assessing information needs of a person
CN109272994A (zh) 话音数据处理方法以及支持该话音数据处理方法的电子装置
Adiani et al. Career interview readiness in virtual reality (CIRVR): a platform for simulated interview training for autistic individuals and their employers
CN113287175A (zh) 互动式健康状态评估方法及其系统
Geller How do you feel? Your computer knows
Putze et al. Understanding hci practices and challenges of experiment reporting with brain signals: Towards reproducibility and reuse
JP6030659B2 (ja) メンタルヘルスケア支援装置、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Tung et al. User experience research on social robot application
Alatawi et al. Psychologically-driven requirements engineering: a case study in depression care
Adiani et al. Multimodal job interview simulator for training of autistic individuals
Khoo et al. Machine Learning for Multimodal Mental Health Detection: A Systematic Review of Passive Sensing Approaches
KR20240040860A (ko) 비대면 심리지원 서비스 제공 장치 및 그 방법
CN117412702A (zh) 利用人工智能进行心理治疗的系统和方法
Patil et al. AI based healthcare chat bot system
CN114283912A (zh) 基于rthd、人工智能的医学病历建档方法及云平台系统
KR20210150988A (ko) 활력 지수 획득 장치 및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