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431A -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431A
KR20240040431A KR1020220119416A KR20220119416A KR20240040431A KR 20240040431 A KR20240040431 A KR 20240040431A KR 1020220119416 A KR1020220119416 A KR 1020220119416A KR 20220119416 A KR20220119416 A KR 20220119416A KR 20240040431 A KR20240040431 A KR 202400404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lient device
ssid
hotspot
electronic device
authent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티 투이 반 두
티 로안 다오
더 응히아 응우옌
반 칸 응우옌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94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431A/ko
Priority to PCT/KR2023/011058 priority patent/WO2024063309A1/ko
Publication of KR202400404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4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8Access secur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60Context-dependent security
    • H04W12/69Identity-depend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10Connection setup
    • H04W76/19Connection re-establish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전자 장치가 개시된다.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통신 인터페이스 및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 Electronic appaeratus, system and method of communication connection thereof }
본 개시는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AP 및/또는 모바일 핫스팟 기능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에 관한 것이다
21세기를 정보화시대라고 한다. 정보화시대의 강자가 되려면 정보를 최대한 많이, 그리고 빨리 습득할 수 있는 수단이 필수다. 한때 데스크톱 PC와 같은 거치형 단말기가 대표적인 정보 통신 기기로 쓰이던 때도 있었지만 21세기 들어서면서 노트북이나 PDA, 스마트폰과 같은 휴대용 소형 단말기가 대중화되기 시작했다.
휴대용 소형 단말기들을 위한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기 시작했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컴퓨터용 유선랜(LAN) 통신을 무선화한 와이파이(Wi-Fi)로, 다양한 기기와 호환이 가능하고 통신 속도가 빠른 것이 장점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는,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1 이유 코드(first reason c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2 이유 코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 및 재구성 타이머(reconfiguration tim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패스워드(Password) 정보, 대역(Band) 정보 또는 채널(Channe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재구성 타이머는, 상기 전자 장치가 핫스팟을 재설정하기 위한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재구성 타이머 정보에 기초한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라이어티 채널(priority channel)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을 대기하며,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른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유니캐스트하고, SSID 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태에서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고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중 연결 해제된 기기가 식별되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제3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프로브 응답을 상기 제3 클라이언트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3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SSID가 새로운 제1 SSID인 경우, 상기 제1 SSID 및 적어도 하나의 기존 SSID를 포함하는 상기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3 클라언트 기기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존 SSID 에 기초하여 상기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가 변경되면,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상기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은,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은, 상기 호스트 장치가, 핫스팟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경우 상기 전자 장치가 동작을 수행하도록 하는 컴퓨터 명령을 저장하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있어서, 상기 동작은,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구현 예의 세부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접속 허가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접속 비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a 내지 8c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접속 허가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2, 도 13a 내지 도 13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를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본 개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개시의 실시 예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개시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가진다," "가질 수 있다," "포함한다," 또는 "포함할 수 있다" 등의 표현은 해당 특징(예: 수치, 기능, 동작, 또는 부품 등의 구성요소)의 존재를 가리키며, 추가적인 특징의 존재를 배제하지 않는다.
A 또는/및 B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또는 "B" 또는 "A 및 B" 중 어느 하나를 나타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첫째," 또는 "둘째,"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예: 제1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예: 제2 구성요소)에 "(기능적으로 또는 통신적으로) 연결되어((operatively or communicatively) coupled with/to)" 있다거나 "접속되어(connected to)"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다른 구성요소(예: 제3 구성요소)를 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구성되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개시에서 "모듈" 혹은 "부"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수행하며,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모듈" 혹은 복수의 "부"는 특정한 하드웨어로 구현될 필요가 있는 "모듈" 혹은 "부"를 제외하고는 적어도 하나의 모듈로 일체화되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미도시)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 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본 개시의 개념을 개략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동작하거나, 모바일 핫스팟 쉐어링(mobile hotspot sharing)을 지원하는 호스트 장치일 수 있다. 클라이언트 기기(10, 20, 30)는 와이파이(WiFi) 모듈을 지원하는 IoT(Internet of Thing) 장치일 수 있다. 와이 파이 모듈은 Wi-Fi 펌웨어 및 전자 장치(100)의 운영 체제에서 해당 Wi-Fi 펌웨어를 인식할 수 있는 Wi-Fi 드라이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Wi-Fi 펌웨어(또는 무선 랜카드)는 하드웨어로서, 클라이언트 기기(10, 20, 30)본체 내부에 장착되거나, 인터페이스(예를 들어, USB)를 이용하여 클라이언트 기기(10, 20, 30)에 장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Wi-Fi 펌웨어는 PCI, PCI-Express, PCMCIA 또는 USB 방식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클라이언트 기기(10, 20, 30)는 스마트 TV, 스마트폰, 태블릿 PC, 이동 전화기, 영상 전화기, 전자책 리더기, 데스크탑 PC, 랩탑 PC, 넷북 컴퓨터, 게임기, 워크스테이션, 서버, PDA,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MP3 플레이어, 의료 기기, 가전 기기, 보안 기기, 카메라, 프린터 또는 웨어러블 장치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AP로 접속 허가된 연결 기기이고,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는 접속 비허가 기기이고, 제3 클라이언트 기기는 접속 허가된 연결 해제 기기일 수 있다.
와이파이(WiFi)는 특정 지점에 위치한 AP를 기준으로 인접한 구역에서만 통신이 가능한데 AP 주변의 통신이 가능한 유효 구역을 핫스팟(hotspot)이라고 한다. AP는 클라이언트 기기가 무선 인터넷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인터넷 접속을 도와주는 중계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AP는 IP 공유 기능 없이 무선 허브 역할을 한다는 점에서 공유기와 구별되나, AP는 공유기로도 구현 가능하다. 일 예에 따라 AP 는 Wi-Fi(또는 Wireless LAN)를 이용한 관련 표준을 이용하는 무선 액세스 포인트(wireless access point, WAP)로 구현될 수 있다. 이 경우, 클라이언트 기기는Wi-Fi 네트워크를 통해 AP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구성 변경 이벤트(hotspot configuration change event)가 감지되면 핫스팟 내의 클라이언트 기기(10, 20, 30)로 메시지를 전송하여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10, 20)들 만이 AP에 자동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핫스팟 구성 변경 이벤트는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는 이벤트일 수 있다. 여기서, 메시지는 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customized de-authentication message, 맞춤형 비콘 메시지(customized beacon message) 또는 TCP/UDP 메시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10, 20) 중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customized 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연결 해제된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맞춤형 비콘 메시지(customized beac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로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10, 20)는 메시지를 수신하면, 새로운 구성(new configuration)으로 업데이트한 후 passive scan 및/또는 active scan에 기초하여 전자 장치(100)에 자동으로 연결될 수 있다.
passive scan은 AP가 연결을 지원하기 위해서 기 설정된 시간 주기(대략 100 ms)마다 한 번씩 비콘 메시지(또는 비콘 프레임)에 SSID(Service Set IDentifier)를 실어서 특정 채널로 전송하는데, 클라이언트 기기는 채널을 순차적으로 변경(예를 들어, 1번부터 13번 채널)하면서 비콘 메시지를 수신하여 인증을 포함한 연결 과정을 진행할 수 있다.
active scan은 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기기가 탐색(probe) 메시지를 보내면, 이 메시지를 수신한 AP가 응답(response)를 하는 방식일 수 있다. 이 경우, 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패스워드(Password) 정보, 대역(Band) 정보, 채널(Channel) 정보, 또는 재구성 타이머(reconfiguration timer)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는 이들 정보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고하여 핫스팟 구성이 변경되는 이벤트에 따라 접속 허가된 모든 클라이언트 기기가 자동으로 AP에 접속하는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2a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a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및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전자 장치(100)는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로 동작하거나, 모바일 핫스팟 쉐어링(mobile hotspot sharing)을 지원하는 호스트 장치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AP 장치 뿐 아니라 AP 기능 및/또는 모바일 핫스팟 쉐어링(mobile hotspot sharing)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기기로 구현 가능하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TV, 스마트폰, 휴대폰, 태블릿, 네비게이션, PMP(Portable Media Mlayer), 게임기, 가전 기기 등과 같은 다양한 기기로 구현 가능하다. 다만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전자 장치(100)이 스마트 폰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외부 장치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AP 기반의 Wi-Fi(와이파이, Wireless LAN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을 지원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통신 인터페이스(110)는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유/무선 LAN(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이더넷(Ethernet), IEEE 1394, MHL(Mobile High-Definition Link), AES/EBU(Audio Engineering Society/ European Broadcasting Union), 옵티컬(Optical), 코액셜(Coaxial) 등과 같은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를 위해 필요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2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전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전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휘발성 메모리(예: DRAM(dynamic RAM), SRAM(static RAM), 또는 SDRAM(synchronous dynamic RAM) 등), 비휘발성 메모리(non-volatile Memory)(예: OTPROM(one time programmable ROM),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 erasable and programmable ROM), mask ROM, flash ROM, 플래시 메모리(예: NAND flash 또는 NOR flash 등), 하드 드라이브,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SSD)) 중 적어도 하나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전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의 경우 메모리 카드(예를 들어, CF(compact flash), SD(secure digital), Micro-SD(micro secure digital), Mini-SD(mini secure digital), xD(extreme digital), MMC(multi-media card) 등), USB 포트에 연결가능한 외부 메모리(예를 들어, USB 메모리)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전자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 또는 인스트럭션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메모리(120)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예를 들어, AP에 대한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리스트, AP의 핫스팟 구성 정보, 예를 들어, 핫스팟 파라미터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본 개시에 따른 다양한 동작들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일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메모리(120)는 상이한 타입의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거나, 상이한 단계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각각 저장하는 복수의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도 있다.
상술한 실시 예에서는 다양한 데이터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의 외부 메모리(120)에 저장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상술한 데이터 중 적어도 일부는 전자 장치(100')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 중 적어도 하나의 구현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 내부 메모리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메모리(120)에 저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스트럭션(instruction)을 실행함으로써,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의 각 구성과 연결되어 전자 장치(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10) 및 메모리(1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전자 장치1l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하나 또는 복수의 프로세서로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CPU (Central Processing Unit), GPU (Graphics Processing Unit), APU (Accelerated Processing Unit), MIC (Many Integrated Core), DSP (Digital Signal Processor), NPU (Neural Processing Unit),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머신 러닝 가속기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의 다른 구성요소 중 하나 또는 임의의 조합을 제어할 수 있으며, 통신에 관한 동작 또는 데이터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명령어(instruction)을 실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메모리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실행함으로써,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 모두 제 1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제 1 프로세서(예를 들어, 범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제 2 프로세서(예를 들어, 인공지능 전용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하나의 코어를 포함하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single 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예를 들어, 동종 멀티 코어 또는 이종 멀티 코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멀티 코어 프로세서(multicore processor)로 구현될 수도 있다.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로 구현되는 경우,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은 캐시 메모리, 온 칩(On-chip) 메모리와 같은 프로세서 내부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코어에 의해 공유되는 공통 캐시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각각(또는 복수의 코어 중 일부)은 독립적으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 전체(또는 일부)가 연계되어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을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 명령을 판독하여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이 복수의 동작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복수의 코어 중 하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복수의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일 실시 예에 따른 방법에 의해 제 1 동작, 제 2 동작, 및 제 3 동작이 수행될 때, 제 1 동작, 제2 동작, 및 제3 동작 모두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고, 제 1 동작 및 제 2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1 코어에 의해 수행되고 제 3 동작은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제 2 코어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에서,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기타 전자 부품들이 집적된 시스템 온 칩(SoC), 단일 코어 프로세서, 멀티 코어 프로세서, 또는 단일 코어 프로세서 또는 멀티 코어 프로세서에 포함된 코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여기서 코어는 CPU, GPU, APU, MIC, DSP, NPU, 하드웨어 가속기 또는 기계 학습 가속기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본 개시의 실시 예들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하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프로세서(130)로 명명하도록 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일 구현 예의 세부 구성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b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통신 인터페이스(110), 메모리(12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 사용자 인터페이스(140), 디스플레이(150), 스피커(160) 및 카메라(170)를 포함한다. 도 2b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a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버튼, 터치 패드, 마우스 및 키보드와 같은 장치로 구현되거나, 상술한 디스플레이 기능 및 조작 입력 기능도 함께 수행 가능한 터치 스크린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라 사용자 인터페이스(140)는 리모콘 송수신부로 구현되어 원격 제어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리모콘 송수신부는 적외선 통신, 블루투스 통신 또는 와이파이 통신 중 적어도 하나의 통신 방식을 통해 외부 원격 제어 장치로부터 리모콘 신호를 수신하거나, 리모콘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50)는 자발광 소자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또는, 비자발광 소자 및 백라이트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디스플레이, LED(Light Emitting Diodes), 마이크로 LED(micro LED), Mini LED, PDP(Plasma Display Panel),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QLED(Quantum dot light-emitting diodes)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디스플레이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10) 내에는 a-si TFT, LTPS(low temperature poly silicon) TFT, OTFT(organic TFT)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는 구동 회로, 백라이트 유닛 등도 함께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110)는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롤러블 디스플레이(rolla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복수의 디스플레이 모듈이 물리적으로 연결된 디스플레이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핫스팟 파라미터가 변경되면, 디스플레이(150)를 통해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스피커(160)는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한다. 예를 들어, 스피커(16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130)에서 처리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를 아날로그 오디오 데이터로 변환하고 증폭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피커(160)는 적어도 하나의 채널을 출력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스피커 유닛, D/A 컨버터, 오디오 앰프(audio amplifier)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스피커(120)는 다양한 멀티 채널 음향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카메라(170)는 기 설정된 이벤트에 따라 턴 온 되어 촬영을 수행할 수 있다. 카메라(170)는 촬상된 영상을 전기적인 신호로 변환하고 변환된 신호에 기초하여 영상 데이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사체는 반도체 광학소자(CCD; Charge Coupled Device)를 통해 전기적인 영상 신호로 변환되고, 이와 같이 변환된 영상 신호는 증폭 및 디지털 신호로 변환된 후 신호 처리될 수 있다.
전자 장치 (100')는 구현 예에 따라 튜너 및 복조부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튜너(미도시)는 안테나를 통해 수신되는 RF(Radio Frequency) 방송 신호 중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채널 또는 기 저장된 모든 채널을 튜닝하여 RF 방송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복조부(미도시)는 튜너에서 변환된 디지털 IF 신호(DIF)를 수신하여 복조하고, 채널 복호화 등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3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active scan mode를 통해 기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도 1, 10)와 재 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핫스팟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이하 접속 허가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었는지 식별할 수 있다(S310). 여기서, 핫스팟 파라미터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패스워드(Password) 정보, 대역(Band) 정보 또는 채널(Channe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접속 허가 기기 정보는 접속이 허가된 클라이언트의 식별 정보를 포함하는 기기 리스트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310:Y), 통신 인터페이스(110)를 통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320). 일 예에 따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도 1, 30) 모두 AP에 연결되었으나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의 변경에 따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접속 허가된 기기이고,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는 접속 비허가된 기기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1 이유 코드(first reason code)를 포함하고,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2 이유 코드, 핫스팟 파라미터 및 재구성 타이머(reconfiguration timer)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재구성 타이머는 전자 장치(100) 즉, 호스트 장치가 새로운 액세스 포인트 또는 핫스팟을 재설정하기 위한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도 1에서 설명한 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핫스팟 파라미터가 변경된 경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만이 변경된 경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기존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S330:Y),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S340). 일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수신된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재구성 타이머 정보에 기초한 프로브 요청을 수신할 수 있다.
도 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즉, 호스트 장치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active scan mode를 통해 기 연결된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자동으로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4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405:Y), 핫스팟 내의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 허가된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S4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 허가된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S410 단계에서 접속 허가된 것으로 식별된(S410:Y)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제1 이유 코드, 재구성 타이머 T 및 핫스팟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15).
전자 장치(100)는 S410 단계에서 접속 비허가된 것으로 식별된(S410:N)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로 제2 이유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20).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이며, 보호된 베어러(protected bearer)로만 전송될 수 있다.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기기는 이유 코드와 상관 없이 모두 전자 장치(100)와의 연결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1 이유 코드 및 제2 이유 코드는 IEEE 802.11 스펙에서 정의된 이유 중 하나이거나, 새로 정의된 이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 스펙에서 정의된 reason 0x007(Class 3 frame received from non-associated STA) 이거나, 새로 정의된 reason 0x067(AP 구성 변경으로 인한 인증 해제) 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1 이유 코드 및 제2 이유 코드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S425),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S430), 제1 인증 해제 메시지에 제1 이유 코드, 재구성 타이머 T, 핫스팟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경된 파라미터)를 식별할 수 있다(S43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기 저장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S435 단계에서 식별된 새로운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S440), 재구성 타이머 T 동안 대기할 수 있다(S445). 재구성 타이머 T는 호스트 장치(100)가 핫스팟을 재설정하기 위한 예상 시간일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재구성 타이머 T가 경과하면, 업데이트된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450). 일 예에 따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프라이어티 채널(priority channel)을 통해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고,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프로브 응답을 대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다이렉트 프로브 요청은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한 번 전송되거나 여러 번 전송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스캔 절차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프라이어티 채널은 기 정의된 규칙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채널 파라미터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프라이어티 채널은 전자 장치(100)에 연결된 이전 채널일 수 있고, 채널 파라미터가 변경된 경우 프라이어티 채널은 새로운 값(new value)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S455:Y), 프로브 응답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46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S465:Y), 전자 장치(100)와 재연결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다만,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프로브 요청을 전송한 채널에서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S465:Y), 다른 채널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으면 다른 접속 가능한 호스트 장치를 찾기 위하여 다른 채널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접속 허가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 재연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일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5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채널 C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505).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연결 ID를 공유하여 안전한 베어러(safe bearer)를 만들고, 데이터 송수신은 공유키를 사용한 암호화로 보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510),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515).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이며 보호된 베어러(protected bearer)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1 이유 코드, 핫스팟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 및 재구성 타이머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핫스팟 파라미터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패스워드(Password) 정보, 대역(Band) 정보 또는 채널(Channe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존 핫스팟 파라미터를 제1 인증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 재구성 타이머 정보에 기초하여 재구성 타이머 T 동안 대기할 수 있다(S52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재구성 타이머 T 이후에 채널 C를 통해 전자 장치(100)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525). 일 예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업데이트된 SSID를 포함하는 다이렉트 프로브 요청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 채널 C에서 프로브 응답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53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 인증 요청(Authentiaction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S535). 여기서, 인증 요청은 업데이트된 패스워드, 즉 제1 인증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Authentiaction response)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540).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인증 요청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인증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S545).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가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S55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가 연결 응답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이 재연결될 수 있다(S555).
도 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접속 비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6은 도 4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 간 통신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일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예에 따라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가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리스트에 포함되어 있지 안거나, 전자 장치(100)가 핫스팟 구성을 변경하지 않고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리스트에서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를 제거하려는 경우 제2 이유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6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와 채널 C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동안(S605)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610),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가 접속 허가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S615).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가 접속 허가 기기가 아닌 것으로 식별되면,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로 전송할 수 있다(S620). 여기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2 이유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이유 코드는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에서 "Unknowm"으로 디코딩되어, 전자 장치(100) 및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 간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S630).
도 7은 일 실시 예에 따른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의 예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각 AP 및/또는 모바일 핫스팟,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에는 연결된 클라이언트 기기 및 연결 해제된 클라이언트 기기를 모두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기기 데이터베이스가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기 식별 정보(예를 들어 기기 명칭), 맥 어드레스(Mac adress), ㄹ랴연결 상태(connnect state), 접속 허가 여부(allowed?)에 대한 정보가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핫스팟 파라미터가 변경된 경우, 사용자가 재연결을 허가하는 기기를 선택하거나 제거하면,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에서 해당 기기가 추가되거나 제거될 수 있다. 다만, 사용자가 접속 허가 기기를 변경하지 않으면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는 변경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다.
도 8a 내지 8c는 일 실시 예에 따라 통신 연결에 이용되는 데이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8a는 일 예에 따른 AP 데이터베이스를 나타낼 수 있다. AP 데이터베이스는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AP에 연결하기 위해 이용하는 데이터로, 각 클라이언트 기기에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도 8a에서 MAC address는 클라이언트 기기의 MAC address이고, MAC address 타입이 "Randomised MAC"인 경우, 클라이언트 기기가 AP에 연결할 때마다 클라이언트 기기가 이용하는 MAC address가 임의로 생성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도 8a에 도시된 데이터가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의 AP 데이터베이스이고,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가 제1 이유 코드 및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 중 하나가 SSID인 경우, 예를 들어, SSID_1이 SSID_4로 변경된 경우 도 8a에 도시된 AP 데이터베이스는 도 8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는, SSID_4가 새로 생성된 경우 도 8a에 도시된 AP 데이터베이스는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8c에 도시된 바와 같이 SSID_4에 대응되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의 MAC address가 랜덤하게 생성될 수 있다.
한편,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 중 하나가 패스워드 또는 채널 중 하나인 경우, 해당 정보는 단순히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9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즉, 호스트 장치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passive scan mode를 통해 기 연결된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자동으로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에 도시된 각 단계 중 active scan mode에서 이용하는 단계와 동일/유사한 단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9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905:Y), 핫스팟 내의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 허가된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S9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 허가된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S910 단계에서 접속 허가된 것으로 식별된(S910:Y)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제1 이유 코드 및 핫스팟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915).
전자 장치(100)는 S910 단계에서 접속 비허가된 것으로 식별된(S910:N) 제2 클라이언트 기기(20)로 제2 이유 코드를 포함하는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920).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이며, 보호된 베어러(protected bearer)로만 전송될 수 있다.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수신한 클라이언트 기기는 이유 코드와 상관 없이 모두 전자 장치(100)와의 연결이 비활성화될 수 있다.
제1 이유 코드 및 제2 이유 코드는 IEEE 802.11 스펙에서 정의된 이유 중 하나이거나, 새로 정의된 이유일 수 있다. 예를 들어, IEEE 802.11 스펙에서 정의된 reason 0x007(Class 3 frame received from non-associated STA) 이거나, 새로 정의된 reason 0x067(AP 구성 변경으로 인한 인증 해제)일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제1 이유 코드 및 제2 이유 코드는 동일할 수 있다.
한편,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S925),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S930), 제1 인증 해제 메시지에 제1 이유 코드 및 핫스팟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경된 파라미터)를 식별할 수 있다(S93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기 저장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S935 단계에서 식별된 새로운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S940), 프라이어티 채널에 대한 리슨(listen)을 시작할 수 있다(S945).
전자 장치(100)는 업데이트된 SSID를 포함하는 비콘(또는 비콘 메시지)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S95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프라이어티 채널을 통해 업데이트된 SSID를 포함하는 비콘이 수신되면(S955), 업데이트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960).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S965:Y), 프로브 응답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하고(S97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와 재연결 절차를 진행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접속 허가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0은 도 9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 재연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일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0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채널 C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005).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연결 ID를 공유하여 안전한 베어러(safe bearer)를 만들고, 데이터 송수신은 공유키를 사용한 암호화로 보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1010),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015).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이며 보호된 베어러(protected bearer)로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1 이유 코드 및 핫스팟 파라미터(예를 들어,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존 핫스팟 파라미터를 제1 인증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하고(S1020), 채널 C를 프라이어티 채널로 식별하고 채널 C에 대한 리슨을 시작할 수 있다(S1025).
전자 장치(100)는 채널 C를 통해 비콘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S1030). 여기서, 비콘은 업데이트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업데이트된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비콘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035). 일 예에 따라 프로브 요청에 포함된 SSID는 업데이트된 SSID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104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 인증 요청(Authentiaction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S1045). 여기서, 인증 요청은 업데이트된 패스워드, 즉 제1 인증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Authentiaction response)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05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연결 요청(Association request)을 전송할 수 있다(S1055).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가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연결 응답(Association response)를 전송할 수 있다(S1060).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가 연결 응답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이 재연결될 수 있다(S1065).
도 11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즉, 호스트 장치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연결 해제된 기기와의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에 도시된 각 단계 중 도 4 및 도 9에 포함된 단계와 동일/유사한 단계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11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1105:Y),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 상에서 연결 해제(disconnected) 기기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1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데이터에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해제 상태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 상에서 연결 해제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SSID(예를 들어, 새로운 SSID 및 기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 캐스트할 수 있다(S1115). 일 예에 따라 SSID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SSID 및 기존 SSID는 동일할 수 있다.
제3 클라이언트 기기(도 1, 30)는 적어도 하나의 SSID(예를 들어, 새로운 SSDI 및 기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면(S1120:Y), SSID 리스트에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SSID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125).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SSID 리스트에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SSID가 존재하는 경우(S1120:Y), SSID 리스트에 기초하여 기존 SSID에 대응되는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130).
전자 장치(100)는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S1135:Y),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에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140).
전자 장치(100)는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에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S1140:Y), 식별된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을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다(S1145).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S1150:Y), 기존 SSID 및 대응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연결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S1155).
전자 장치(100)는 클라이언트 기기 리스트에서 새로운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160). 이에 대해서는 도 13c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SSID 리스트에서 새로운 파라미터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S1165). 이에 대해서는 도 13d를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 도 13a 내지 도 13d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2는 도 11에 도시된 전자 장치(100) 및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자세히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중복되는 내용에 대한 일부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와 통신 연결이 해제된 상태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1205),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 상에서 연결 해제 기기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2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도 7에 도시된 데이터에서 연결 상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연결 해제 상태의 기기를 식별할 수 있다.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 상에서 연결 해제 기기가 존재하는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SSID(예를 들어, 새로운 SSID 및 기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S1215). 일 예에 따라 SSID가 변경되지 않은 경우 새로운 SSID 및 기존 SSID는 동일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도 13a와 같은 접속 허가된 연결 해제 기기에 대한 정보가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경우를 가정한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현재 SSID가 new_SSID라고 가정하면 전자 장치(100)는 (new_SSID,SSID_1,SSID_2,SSID_4)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 및/또는 비콘 메시지에서 기존 SSDI를 정의하는 옵션은 다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는 기존 SSID의 개수는 기 설정된 개수 N으로 제한될 수 있고, 비콘 메시지는 최대 N 개의 기존 SSID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에 따라, 기존 SSID가 저장되는 시간 제한은 기 설정된 시간 T 일 수 있다. 즉, 전자 장치(100)의 데이터베이스에 기존 SSID가 저장된 후 T 시간이 경과하면 해당 SSID는 자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적어도 하나의 SSID(예를 들어, 새로운 SSDI 및 기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가 수신되면, SSID 리스트에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기존 SSID가 존재하는지 식별하고 SSID 리스트에 기초하여 기존 SSID에 대응되는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20). 비콘 메시지는 브로드캐스트되므로 모든 클라이언트 기기가 이를 수신하여 기 저장된 기존 SSID와 비교할 수 있게 된다. 일 예에 따라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에는 도 1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항상 연결된 핫스팟 및/또는 AP의 식별 정보 및 해당 핫스팟 및/또는 AP에 연결하는데 이용되는 MAC 어드레스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프로브 요청에 ([AA:BB:CC:DD:11:33, SSID_2]; [AA:BB:CC:DD:11:55, SSID_4]; [AA:BB:CC:DD:11:100, SSID_4])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에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존재하는지 식별할 수 있다(S1225). 전자 장치(100)는 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에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존재하는 것으로 식별되면, 식별된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을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다(S123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프로브 요청에 포함된 정보(AA:BB:CC:DD:11:55, SSID_4)를 식별하고, 식별된 SSID 및 대응되는 MAC 어드레스(AA:BB:CC:DD:11:55, SSID_4)를 포함하는 프로브 응답을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다.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 전자 장치(100)로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35). 예를 들어,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기존 SSID 및 대응되는 패스워드에 기초하여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부터 인증 요청이 수신되면,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을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전송할 수 있다(S1240).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245).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가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연결 응답를 전송할 수 있다(S1250).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가 연결 응답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 및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 간 통신이 재연결될 수 있다(S1255). 이 경우, 전자 장치(100)는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로 새로운 SSID에 대응되는 패스워드를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의 인증 및 재연결 이후, 전자 장치(100)에 저장된 도 3a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은 도 3c와 같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Daisy’s S21의 정보가 도 3c와 같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또한, 제3 클라이언트 기기(30)에 저장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은 테이블은 도 3d와 같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즉, 새로운 핫스팟 및/또는 AP의 정보가 도 3d와 같이 업데이트될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 즉, 호스트 장치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메시지를 이용하여 기 연결된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자동으로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4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접속 허가 기기 리스트)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1405:Y), 핫스팟 내의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 허가된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S1410). 예를 들어, 전자 장치(100)는 변경된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리스트에 기초하여 각 클라이언트 기기가 접속 허가된 기기인지 식별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S1410 단계에서 접속 허가된 것으로 식별된(S1410:Y)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TCP/UDP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415). 즉, 전자 장치(100)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 대신 TCP/UDP 메시지에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시켜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와 연결된 상태에서(S1420) TCP/UDP 메시지가 수신되면(S1425:Y), 기 저장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TCP/UDP 메시지에 포함된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430).
전자 장치(100)는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고(S143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인증 해제 메시지를 수신할 수 있다.
상술한 예시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맞춤형 인증 해제 메시지 대신 TCP/UDP 메시지에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시켜 전송하고 이후 노멀한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여 연결을 해제한 후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이 후, 재연결 절차는 도 4 및 도 9에서 설명한 active scan mode 및/또는 passive scan mode 에서의 재연결 절차와 동일/유사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5는 도 14에서 설명한 TCP/UDP 메시지를 이용한 통신 재연결 방법을 active scan mode를 통해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TCP/UDP 메시지 및 active scan을 통해 기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5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채널 C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505).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연결 ID를 공유하여 안전한 베어러(safe bearer)를 만들고, 데이터 송수신은 공유키를 사용한 암호화로 보호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1510), TCP/UDP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515). TCP/UDP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이며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TCP/UDP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존 핫스팟 파라미를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520).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하고(S1525)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업데이트된 SSID를 포함하는 다이렉트 프로브 요청을 전자 장치(100)로 전송하고(S1530), 채널 C에서 프로브 응답의 수신을 대기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153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540). 여기서, 인증 요청은 업데이트된 패스워드, 즉, TCP/UDP 메시지에 포함된 변경된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1S545). 일 예로, 전자 장치(100)는 인증 요청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확인하여 인증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550).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가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연결 응답를 전송할 수 있다(S55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가 연결 응답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이 재연결될 수 있다(S1560).
도 16은 일 실시 예에 따른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 간 통신 연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16은 도 14에서 설명한 TCP/UDP 메시지를 이용한 통신 재연결 방법을 passive scan mode를 통해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구성 정보가 변경되면, TCP/UDP 메시지 및 passive scan을 통해 기 연결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재연결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6에 따르면,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와 채널 C를 통해 연결되고 데이터를 송수신할 수 있다(S1605).
전자 장치(100)는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S1610), TCP/UDP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615). TCP/UDP 메시지는 유니캐스트 메시지이며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TCP/UDP 메시지가 수신되면, 기존 핫스팟 파라미를 변경된 핫스팟 파라미터로 업데이트할 수 있다(S1620).
이 후, 전자 장치(100)는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하고(S1625)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 연결이 해제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채널 C를 프라이어티 채널로 식별하고 채널 C에 대한 리슨을 시작할 수 있다(S1630).
전자 장치(100)는 채널 C를 통해 비콘을 브로드캐스트할 수 있다(S1635). 여기서, 비콘은 업데이트된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업데이트된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비콘을 수신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자 장치(100)로 프로브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640). 일 예에 따라 프로브 요청에 포함된 SSID는 업데이트된 SSID일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을 전송할 수 있다(S164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채널 C를 통해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면, 인증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650). 여기서, 인증 요청은 업데이트된 패스워드, 즉 TCP/UDP 메시지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포함할 수 있다.
전자 장치(100)는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부터 인증 요청에 대한 인증 응답을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전송할 수 있다(S165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는 전자 장치(100)로부터 인증 응답이 수신되면, 연결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S1660). 연결 요청을 수신한 전자 장치(100)가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로 연결 응답를 전송할 수 있다(S1665).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가 연결 응답을 수신하면, 전자 장치(100) 및 제1 클라이언트 기기(10) 간 통신이 재연결될 수 있다(S1670).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AP 및/또는 모바일 핫스팟의 핫스팟 파라미터 및/또는 접속 허가 기기 정보가 변경된 경우 접속 허가된 기기가 자동으로 AP 및/또는 모바일 핫스팟에 접속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는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딥 러닝 기반의 인공 신경망(또는 심층 인공 신경망) 즉, 학습 네트워크 모델을 이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은 전자 장치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개시의 일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기기(machine)(예: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machine-readable storage media)에 저장된 명령어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될 수 있다. 기기는, 저장 매체로부터 저장된 명령어를 호출하고, 호출된 명령어에 따라 동작이 가능한 장치로서, 개시된 실시 예들에 따른 전자 장치(예: 전자 장치(A))를 포함할 수 있다. 명령이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경우, 프로세서가 직접, 또는 프로세서의 제어 하에 다른 구성요소들을 이용하여 명령에 해당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명령은 컴파일러 또는 인터프리터에 의해 생성 또는 실행되는 코드를 포함할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신호(signal)를 포함하지 않으며 실재(tangible)한다는 것을 의미할 뿐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 또는 임시적으로 저장됨을 구분하지 않는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온라인으로 배포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구성 요소(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 각각은 단수 또는 복수의 개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전술한 해당 서브 구성 요소들 중 일부 서브 구성 요소가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서브 구성 요소가 다양한 실시 예에 더 포함될 수 있다. 대체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일부 구성 요소들(예: 모듈 또는 프로그램)은 하나의 개체로 통합되어, 통합되기 이전의 각각의 해당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기능을 동일 또는 유사하게 수행할 수 있다.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모듈, 프로그램 또는 다른 구성 요소에 의해 수행되는 동작들은 순차적, 병렬적, 반복적 또는 휴리스틱하게 실행되거나, 적어도 일부 동작이 다른 순서로 실행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다른 동작이 추가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00: 전자 장치 110: 통신 인터페이스
120: 메모리 130: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Claims (20)

  1. 전자 장치에 있어서,
    통신 인터페이스;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가 저장된 메모리; 및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어 상기 전자 장치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하며,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통신 인터페이스를 통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1 이유 코드(first reason c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2 이유 코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 및 재구성 타이머(reconfiguration timer)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패스워드(Password) 정보, 대역(Band) 정보 또는 채널(Channe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재구성 타이머는,
    상기 전자 장치가 핫스팟을 재설정하기 위한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재구성 타이머 정보에 기초한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라이어티 채널(priority channel)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을 대기하며,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른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유니캐스트하고, SSID 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며,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태에서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고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중 연결 해제된 기기가 식별되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제3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고,
    상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프로브 응답을 상기 제3 클라이언트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3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전자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SSID가 새로운 제1 SSID인 경우, 상기 제1 SSID 및 적어도 하나의 기존 SSID를 포함하는 상기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3 클라언트 기기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존 SSID 에 기초하여 상기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전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전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는,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가 변경되면,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며,
    상기 UI를 통해 수신된 사용자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를 업데이트하는, 전자 장치.
  10.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호스트 장치; 및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는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하며,
    상기 호스트 장치는,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시스템.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에 포함된 재구성 타이머 정보에 기초하여 일정 시간 대기 한 후,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라이어티 채널(priority channel)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을 대기하며,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른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시스템.
  12. 전자 장치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de-authentication message)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제2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1 이유 코드(first reason code)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는,
    제2 이유 코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 및 재구성 타이머(reconfiguration timer) 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는,
    SSID(Service Set Identifier) 정보, 패스워드(Password) 정보, 대역(Band) 정보 또는 채널(Channel)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며,
    상기 재구성 타이머는,
    상기 전자 장치가 핫스팟을 재설정하기 위한 예상 시간 정보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재구성 타이머 정보에 기초한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통신 연결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라이어티 채널(priority channel)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고,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에서 상기 프로브 응답을 대기하며,
    상기 프라이어티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응답이 수신되지 않는 경우 다른 채널을 통해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통신 연결 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 및 상기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유니캐스트하고, SSID 를 포함하는 비콘(beacon)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로부터 수신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업데이트된 상태에서 상기 비콘 메시지를 수신한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상기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프로브 응답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7.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핫스팟(hotspot) 파라미터 또는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되고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중 연결 해제된 기기가 식별되면, SSID를 포함하는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
    제3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MAC(Media Access Control)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프로브 요청이 수신되면, 상기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에 대한 정보 중 상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포함되어 있는지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수신된 MAC 어드레스 및 SSID가 식별되면, 상기 식별된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프로브 응답을 상기 제3 클라이언트 기기로 전송하여 상기 제3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는 단계는,
    상기 전자 장치의 현재 SSID가 새로운 제1 SSID인 경우, 상기 제1 SSID 및 적어도 하나의 기존 SSID를 포함하는 상기 비콘 메시지를 브로드캐스트하고,
    상기 제3 클라언트 기기는,
    상기 브로드캐스트된 비콘 메시지에 포함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기존 SSID 에 기초하여 상기 MAC 어드레스 및 SSID를 포함하는 상기 프로브 요청을 전송하는, 통신 연결 방법.
  19.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상기 제1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TC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UDP(User Datagram Protocol) 메시지를 전송한 후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20. 호스트 장치 및 클라이언트 기기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통신 연결 방법에 있어서,
    상기 호스트 장치가, 핫스팟 파라미터 또는 접속 허가 클라이언트 기기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변경된 것으로 식별되면,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제1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고 접속이 비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 제2 인증 해제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가, 상기 호스트 장치로부터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상기 제1 인증 해제 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핫스팟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호스트 장치가, 상기 접속 허가된 클라이언트 기기로부터 프로브 요청(PROBE request)이 수신되면,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로 프로브 응답(PROBE response)을 전송하여 상기 클라이언트 기기와 재연결을 수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통신 연결 방법.
KR1020220119416A 2022-09-21 2022-09-21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KR20240040431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416A KR20240040431A (ko) 2022-09-21 2022-09-21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PCT/KR2023/011058 WO2024063309A1 (ko) 2022-09-21 2023-07-28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416A KR20240040431A (ko) 2022-09-21 2022-09-21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431A true KR20240040431A (ko) 2024-03-28

Family

ID=904545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416A KR20240040431A (ko) 2022-09-21 2022-09-21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40431A (ko)
WO (1) WO2024063309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558960B2 (en) * 2003-10-16 2009-07-07 Cisco Technology, Inc. Network infrastructure validation of network management frames
KR101380894B1 (ko) * 2011-11-29 2014-04-02 한국전자통신연구원 테더링 제공 단말 장치 및 그 동작방법
KR102378088B1 (ko) * 2016-10-12 2022-03-24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에서 초기 협상 방법 및 장치
JP6677393B2 (ja) * 2017-10-24 2020-04-08 Necプラットフォームズ株式会社 無線lanシステム、無線lan再接続方法および無線lan再接続プログラム
KR102157661B1 (ko) * 2020-03-11 2020-09-18 주식회사 시큐아이 무선 침입 방지 시스템, 이를 포함하는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및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의 작동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309A1 (ko) 202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610469B (zh) 用于无线接近配对的电子设备、方法和计算机可读介质
US11122392B2 (en) Provisioning wireless device profiles
US11611863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low energy discovery
KR101736325B1 (ko) 주변기기들로의 직접 접속에 의한 무선 도킹 서비스
EP3013080B1 (en) Pairing apparatus and method thereof
US9451438B2 (en) Predefined wireless pairing
WO2017198161A1 (zh) 网络连接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EP2941855B1 (en) Authenticating a wireless dockee to a wireless docking service
US9706015B2 (en) Multi-operating system input device
EP2639736B1 (en)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permission to applications in a portable terminal
RU2697614C2 (ru) Система беспроводной связи
US20150065053A1 (en) Method of controlling short-range wireless communication and apparatus supporting the same
US9456331B2 (en) Methods of discovering devices for network formation
JP6221587B2 (ja) 通信機器
KR20150145174A (ko) 중계 디바이스를 이용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20150271658A1 (en) Vendor-specific docking management operations
KR20190024743A (ko) 통신 장치, 제어 방법, 및 매체
KR102480627B1 (ko)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eSIM 관리 방법
US9572188B2 (en) Communication device
KR20180121178A (ko) 무선 연결을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20240040431A (ko) 전자 장치, 시스템 및 그 통신 연결 방법
CN109314738A (zh) 无线音频源切换
US20150382194A1 (en) Method of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 electronic device, method of controlling access point and access point
US20150031346A1 (en) Sharing wireless connection profiles between multiple operating systems
US20240147327A1 (en) Electronic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