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40240A -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 Google Patents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40240A
KR20240040240A KR1020220119033A KR20220119033A KR20240040240A KR 20240040240 A KR20240040240 A KR 20240040240A KR 1020220119033 A KR1020220119033 A KR 1020220119033A KR 20220119033 A KR20220119033 A KR 20220119033A KR 20240040240 A KR20240040240 A KR 20240040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oking
smoking material
micropores
wrapper
poros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90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원영
정용미
문성민
박창진
김현태
안기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Priority to KR10202201190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40240A/ko
Priority to EP23844056.4A priority patent/EP4364585A1/en
Priority to CN202380013334.XA priority patent/CN118076247A/zh
Priority to PCT/KR2023/008362 priority patent/WO2024063260A1/ko
Publication of KR20240040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40240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DCIGARS; CIGARETTES; TOBACCO SMOKE FILTERS; MOUTHPIECES FOR CIGARS OR CIGARETTES; MANUFACTURE OF TOBACCO SMOKE FILTERS OR MOUTHPIECES
    • A24D1/00Cigars; Cigarettes
    • A24D1/02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 A24D1/027Cigars; Cigarettes with special covers with ventilating means, e.g. perfo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CMACHINES FOR MAKING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Making cigarettes; Making tipping materials for, or attaching filters or mouthpieces to, cigars or cigarettes
    • A24C5/005Treatment of cigarette paper
    • A24C5/007Perforat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HPLASMA TECHNIQUE; PRODUCTION OF ACCELERATED ELECTRICALLY-CHARGED PARTICLES OR OF NEUTRONS; PRODUCTION OR ACCELERATION OF NEUTRAL MOLECULAR OR ATOMIC BEAMS
    • H05H2245/00Applications of plasma devices
    • H05H2245/40Surface treatments

Landscapes

  • Cigarettes, Filters, And Manufacturing Of Filters (AREA)

Abstract

미세기공을 가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큰 흡연물질 래퍼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기공은 10㎛ 내지 50㎛의 기공 크기를 가지며,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낮은 시인성 등으로 인해 포장재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흡연물품에 적용 시 기본적인 희석률을 유지되면서도 흡연물질부가 연소됨에 따라 저하되는 희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Description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POROUS SMOKING MATERIAL WRAPPER AND SMOKING ARTICLE COMPRISING SAME}
본 발명은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별도의 천공에 의해 형성된 미세기공을 가지는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소를 통해 니코틴을 이행하는 담배와 같은 흡연물품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먼저 다양한 종류의 잎담배(leaf tobacco)를 원하는 향과 맛이 나도록 배합하여 가공한다. 가공된 잎담배를 절각하여 담배 각초(cut tobacco leaf)를 제조하고, 흡연물질 래퍼(또는 궐련지)로 담배 각초를 말아, 필터 없는 궐련을 제조한다. 그 다음, 필요에 따라 필터 없는 궐련에 필터를 부착한다.
상기 필터는 활성탄, 향미 물질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모노필터 또는 다중필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필터는 필터 래퍼에 의해 둘러싸여 팁 페이퍼에 의해 담배 각초와 연결되며, 이 때, 팁페이퍼는 미세한 기공들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적절한 기공도와 연소성에 의해 흡연 시 목표 타르(target tar) 및 목표 니코틴(target nicotine)이 이행될 수 있도록 제조될 뿐만 아니라, 담배 고유의 끽미가 부여되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다양한 흡연물질 래퍼가 이미 상용화되고 있지만, 그럼에도 여전히 그 기능성에 대해서 개선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자는 흡연물질 래퍼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끝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7-0096027호
본 발명은 흡연물질 래퍼에 별도의 천공을 통해 미세기공을 형성하여 흡연물품에 적용 시 기능성이 개선할 수 있는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적용한 흡연물품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제1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미세기공을 가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큰 것인 흡연물질 래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은 10㎛ 내지 50㎛의 기공 크기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은 복수개가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며,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나의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세트가 포함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인접한 세트 간의 거리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가 동일하거나 하류보다 상류가 더 길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는 미세기공 간의 거리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는 미세기공의 크기에 의해 조절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 크기가 더 작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어느 위치에서도 1,000 CU의 기공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300 CU 내지 700 CU의 평균 기공도를 가진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가 증가하며, 기공도가 최고점에 도달하면 최고점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2차 또는 3차 함수 형태로 기공도가 증가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가 증가하다가 흡연물질 래퍼 길이의 60% 내지 80% 지점에서 최고점에 도달한다.
본 발명의 제2 측면에 따르면,
본 발명은 흡연물질부, 흡연물질 래퍼, 필터부, 필터 래퍼 및 팁페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상술한 흡연물질 래퍼인 것인 흡연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는 기본적으로 플라즈마 천공 방법을 이용하여 크기가 작은 미세기공을 형성함으로써, 육안으로 미세기공이 형성된 위치를 쉽게 확인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시인성이 저하되지 않아 포장재로서의 기능성을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동일한 수준의 평균 기공도를 적용하더라도 효율적인 미세기공의 배치를 통해 흡연물품에 적용 시 기본적인 희석률을 유지되면서도 흡연물질부가 연소됨에 따라 저하되는 희석률을 최소화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흡연을 시작할 때부터 흡연이 끝날 때까지 보다 일관성 있는 흡연 만족감을 흡연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흡연물품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미세기공 세트 간의 간격을 조절하여 기공도를 조절한 흡연물질 래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미세기공 세트 내 미세기공 수를 조절하여 기공도를 조절한 흡연물질 래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라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미세기공 세트 내 미세기공 크기를 조절하여 기공도를 조절한 흡연물질 래퍼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의 기공도 분포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구체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구체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구체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구체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구체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구체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흡연물품”은 담배(궐련), 시가 등과 같이, 에어로졸을 발생시킬 수 있는 물건을 의미할 수 있다. 흡연물품은 에어로졸 발생 물질 또는 에어로졸 형성 기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흡연물품은 판상엽 담배, 각초, 재구성 담배 등 담배 원료를 기초로 하는 고체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흡연물질은 휘발성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연물품은 각각의 기능성을 가진 몇 개의 세그먼트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세그먼트는 “… 부”로 표시된다. 본 명세서에서 흡연물품은 연소형 궐련뿐만 아니라, 전자담배기기 등의 에어로졸 생성 장치(미도시)와 함께 사용되는 가열식 궐련 등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상류” 및 “하류”는 사용자가 흡연물품을 사용하여 공기를 흡인하는 방향을 기준으로 하여, 흡연물품을 구성하는 세그먼트들의 상대적인 위치를 나타내기 위해 사용된 용어이다. 흡연물품은 상류 단부(즉, 공기가 들어오는 부분) 및 이에 대향하는 하류 단부(즉, 공기가 나가는 부분)를 포함한다. 흡연물품 사용시 사용자는 흡연물품의 하류 단부를 물 수 있다. 하류 단부는 상류 단부의 하류에 위치하며, 한편 용어 “단부”는 또한 “말단”으로 기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흡연물품의 일 구성으로 사용되는 흡연물질 래퍼를 제공한다. 참조를 위해, 도 1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흡연물품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면을 제공한다. 상기 흡연물품(100)은 일반적으로 흡연물질부(10)와 필터부(20)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질부(10)는 흡연물질 래퍼(30a)에 의해 둘러싸여 포장되고, 상기 필터부(20)는 필터 래퍼(30b)에 의해 둘러싸여 포장된다. 포장된 흡연물질부와 필터부는 팁페이퍼(40)에 의해 연결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30a)는 종이 재료 상 기본적으로 형성되는 자연 기공과는 별개로 추가적인 천공에 의해 부가된 미세기공을 포함함으로써, 기존 흡연물질 래퍼에 비해 개선된 기능성을 가진다. 상기 자연 기공의 경우, 10㎛ 미만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데, 미세기공은 10㎛ 이상의 기공을 가지기 때문에, 자연적으로 발생된 기공과 인위적으로 천공에 의해 부가된 미세기공은 육안 등을 통해서도 명확히 구분이 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기공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다. 상술한 방법으로 미세기공을 형성 시 보다 작고 균일한 크기를 가진 미세기공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30a)는 기본적으로 흡연물질부(10)를 포장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내용물이 외부로 유출되지 않는 기능성 뿐만 아니라 그 자체로서 심미성 또한 높을 것이 요구된다. 플라즈마 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된 미세기공은 10㎛ 내지 50㎛, 15㎛ 내지 50㎛, 20㎛ 내지 50㎛의 기공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미세기공이 50㎛ 이하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 경우, 미세기공이 형성되더라도 흡연물질 래퍼의 시인성이 현저하게 높아지지 않기 때문에 포장재 본연의 기능성이 유지될 수 있다. 또한, 플라즈마 천공 방법의 경우, 미세기공이 형성된 지점 주변에 종이가 타서 검어지는 현상이 크게 발생하지 않아 천공으로 인해 심미성이 저하되는 문제도 크게 발생하지 않는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30a)에서 미세기공은 다양한 크기, 위치, 개수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동일한 개수의 미세기공을 형성하더라도 미세기공의 형성 위치 등에 따라서 기능성이 차이가 날 수 있다. 본 발명의 목적 중 하나는 비슷한 개수의 미세기공을 형성하더라도 기능성을 최대한 높여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를 적용 시 흡연물품의 성능을 높이는데 있다.
본 명세서에서 미세기공이 형성된 정도를 설명하기 위해, 기공도를 활용한다. 기공도는 흡연물질 래퍼와 같은 종이의 특성을 정의하기 위해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물성으로서, 공기의 투과도로도 표현될 수 있다. 상기 기공도는 종이의 양 측면 사이의 압력차에 기인하는 공기 유동에 대한 종이의 투과도를 의미하고, 이는 단위 시간, 단위 면적, 및 압력차에 대해 종이를 통해 유동하는 공기의 체적을 의미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공도는 cm3/(min·cm2·kPa)와 같은 단위로 표현될 수 있고, 이러한 단위는 코레스타 단위(CORESTA Unit, CU)로 표현되기도 하며, 여기서 1 CU = 1cm3/(min·cm2·kPa)이다. 본 명세서에서는 기공도와 평균 기공도는 의도적으로 분리하여 표현하고 있는데, 이는 단위 면적보다 큰 면적에 대하여 기공도를 측정할 때 측정 위치에 따라서 편차가 크기 때문에, 이를 명확히 하기 위함이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공도는 특정 위치에서 이를 중심으로 형성된 단위 면적에서의 기공도를 의미하고, 평균 기공도는 단위 면적보다 큰 면적에 대해서 전체 공기 투과 정도를 측정한 후, 단위 면적으로 나누어 계산된 기공도를 의미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크다. 흡연물질 래퍼에서 미세기공이 대칭적으로 형성되지 않는 이상 흡연물질 래퍼가 흡연물품에 적용되는 방향은 흡연물질 래퍼의 기능성에 크게 영향을 줄 수 있다. 따라서, 흡연물질 래퍼가 흡연물품에 적용되기 전에 그 자체로서는 특별한 방향성이 없다고 하더라도, 흡연물품에 적용될 때의 방향성을 고려하여 흡연물질 래퍼에서의 위치를 구분한다. 흡연물질 래퍼를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하면, 3개의 영역의 위치 관계는 흡연물품의 상류와 하류의 개념으로 명확하게 분리하고 특정할 수 있다. 3개의 영역 중 가장 상류에 위치한 영역을 제1 영역, 그 다음으로 상류에 위치한 영역을 제2 영역, 가장 하류에 위치한 영역을 제3 영역으로 본다면,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서는 제1 영역, 제2 영역, 제3 영역의 순서로 갈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클 수 있다. 제3 영역은 흡연물품이 연소될 때 가장 오랫동안 연소되지 않고 유지될 수 있는 부분이기 때문에, 동일한 개수의 미세기공을 형성하더라도 제3 영역에 다수의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것이 기능성 향상에 도움이 될 수 있다.
상기 미세기공은 반드시 규칙적으로 형성될 필요는 없으나, 흡연 시 흡연물품 내에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공기의 흐름이 발생할 때 흡연물품의 상류 말단을 기준으로 특정 거리가 떨어진 위치에 동일한 미세기공을 적용하는 경우 유사한 기능성을 가질 수 있어,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하여 복수개의 미세기공을 적용하면 미세기공의 형성 위치가 기능성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유리하다. 또한, 이러한 미세기공 적용 방식은 공정성 향상에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기공은 복수개가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며,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나의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세트가 포함된다. 여기서, 미세기공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다는 것은 엄격하게 해석될 수도 있으나, 미세기공의 중심이 수직 방향의 선으로부터 미세기공의 한 두개의 크기만큼 벗어나더라도 전체적으로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경향성이 인정된다면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것으로 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미세기공은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연속적으로 형성된다. 여기서, 연속적이라는 의미는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진행됨에 있어서 인접한 미세기공들 간의 평균 거리가 동일하거나 점점 줄어드는 것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미세기공이 일정한 경향성을 가지고 형성되다가 어떤 특정 영역에서 미세기공이 형성되지 않는다면, 이에 의해 인접한 미세기공들 간의 평균 거리가 현저하게 증가하게 되며, 이러한 경우는 미세기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었다고 볼 수 없다. 미세기공이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된 세트 형태로 적용되는 경우, 미세기공이 연속적으로 형성되면, 인접한 세트 간의 거리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가 동일하거나 하류보다 상류가 더 길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는 다양한 방식으로 조절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는 미세기공이 형성된 흡연물질 래퍼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이를 통해 예시적으로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를 조절하는 방법이 확인된다. 참고적으로, 도 2 내지 도 4에서 좌측 방향은 상류 방향이며, 우측 방향은 하류 방향이다.
도 2에서는 각 세트를 동일한 크기, 동일한 개수의 미세기공(H)으로 구성한 후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세트 간의 거리를 줄여가는 방식으로 미세기공이 형성된다. 도 2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크다.
도 3에서는 각 세트를 동일한 크기의 미세기공(H)으로 구성하고 상류에서 하류 방향으로 진행됨에 따라 각 세트 간의 거리는 유지하되 각 세트를 구성하는 미세기공의 개수를 점차 늘려가는 방식으로 미세기공이 형성된다. 도 3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크다.
도 4에서는 각 세트를 동일한 개수의 미세기공(H)으로 구성한 후 미세기공의 크기와 각 세트 간의 거리를 동시에 줄여가는 방식으로 미세기공이 형성된다. 도 4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하더라도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크다고 명확하게 규정할 수는 없으나, 미세기공의 크기가 줄어들어 기공도가 감소하는 것보다 각 세트 간의 거리가 줄어들어 기공도가 커지는 효과가 크다면 평균 기공도는 커질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서 확인되는 바와 같이,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는 미세기공 간의 거리에 의해 조절될 수 있고, 미세기공의 크기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미세기공의 개수를 늘리는 것은 결국 미세기공 간의 평균 거리가 줄어드는 것이기 때문에, 미세기공 간의 거리에 의해 기공도를 조절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높은 기공도가 요구되는 경우, 미세기공의 크기를 줄이면서도 미세기공 간의 거리를 현저하게 줄여 기공도를 높일 수도 있다. 미세기공의 크기가 일정 수준 이상인 상태에서 미세기공 간의 거리만 줄이는 경우, 흡연물질 래퍼의 시인성이 높아져서 포장재로서의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 크기가 더 작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어느 위치에서도 1,000 CU의 기공도를 초과하지 않는다. 여기서 기공도는 평균 기공도가 아닌 특정 위치에서의 기공도를 의미한다. 평균 기공도가 높지 않더라도 미세기공이 특정 위치 근처에 밀집하여 위치하는 경우, 기공도가 현저하게 높아질 수 있는데, 특정 위치에서 1,000 CU의 기공도를 초과하는 경우, 그 위치에서의 시인성이 높아질 뿐만 아니라 내구성도 떨어질 수 있어 포장재로서의 기능성이 저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300 CU 내지 700 CU, 350 CU 내지 650 CU, 400 CU 내지 600 CU의 평균 기공도를 가진다. 상기 범위 내에서 미세기공 도입에 따른 희석률 증가 등의 기능성 향상의 효과가 발현될 수 있으며,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희석률이 지나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 부분의 내구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동일한 평균 기공도를 가지더라도 미세기공의 위치에 따라 기능성이 달라질 수 있기 때문에, 미세기공의 배치 등이 중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가 증가하며, 기공도가 최고점에 도달하면 최고점으로 유지된다. 흡연물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에 가깝게 미세기공을 형성하는 경우, 연소에 의해 빠르게 미세기공이 소멸될 수 있다는 점에서 미세기공은 되도록 하류에 위치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그러나 미세기공을 하류에만 위치시키는 경우, 흡연물질이 상류 말단에 가까운 위치에서 연소될 때 연소를 통해 발생한 연기가 바로 공기와 희석될 수 없어 흡연 초반의 공기 희석률이 좋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되도록이면 흡연물질부 전면에 있어서 미세기공이 일정 수준 확보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미세기공 형성에 따른 기능성을 최대한 확보하기 위해서는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를 증가시키고, 기공도가 최고점에 도달하면 기공도를 최고점으로 유지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여기서, 최고점은 제작자의 설계에 따라 자유롭게 설정될 수 있지만, 1,000 CU의 기공도는 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흡연물질부의 하류 말단까지 기공도가 최고점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흡연물질부는 꾸준하게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2차 또는 3차 함수 형태로 기공도가 증가한다. 여기서, 2차 또는 3차 함수 형태라는 것은 기공도가 거리의 제곱 또는 거리의 세제곱에 비례하여 증가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3차 함수 형태의 경우, 3차 함수 그래프 형태로 기공도가 증가하더라도 거리가 0인 지점에 변곡점이 오지 않는 경우에는 여기에 포함되지 않는다. 1차 함수와 달리, 2차 함수나 3차 함수는 거리에 따라 기공도가 빠르게 증가하여 최고점에 보다 빠르게 도달할 수 있으며, 최고점에 도달하면 기공도는 더 이상 증가하지 않고, 최고점으로 유지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가 증가하다가 흡연물질 래퍼 길이의 60% 내지 80% 지점에서 최고점에 도달한다. 기공도가 최고점에 너무 빨리 도달하거나 최고점에 너무 늦게 도달하는 것에 비해 일정 수준 최고점에서 유지하는 경우, 희석률 감소율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미세기공 형성을 통해서 확보된 기능성은 흡연물품의 다른 구성과의 조합을 통해 더 부각될 수 있다. 미세기공 형성에 대한 기술적 특징을 제외한 흡연물품에 있어서 다른 기술적 특징은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알려진 범위 내에서 용이하게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 래퍼(30a)에 의해 포장되는 흡연물질부(10)은 원료 잎담배, 판상엽 또는 잎담배와 판상엽이 배합된 혼합물과 같은 흡연물질로 충전될 수 있다. 가공된 흡연물질은 시트 형태 또는 각초 형태로 흡연물질부(10)에 충전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부(10)은 길게 연장된 로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그 길이, 둘레 및 직경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흡연물질의 충전량, 사용자의 기호 등을 고려한 해당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크기로 조절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부(10)는 글리세린, 프로필렌 글리콜, 에틸렌 글리콜,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트리에틸렌 글리콜,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및 올레일 알코올 중 적어도 하나의 에어로졸 발생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부(10)는 풍미제, 습윤제 및/또는 아세테이트 화합물과 같은 다른 첨가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에어로졸 발생 물질 및 첨가 물질은 흡연물질에 함유될 수 있다.
상기 흡연물질부(10) 외에 흡연물품(100)을 구성하는 필터부(20)는 흡연물질부(10)의 하류에 배치되어, 흡연물질부(10)에서 발생한 에어로졸 물질을 사용자가 흡입하기 직전 통과하는 필터로서의 역할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 필터부(20)는 다양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필터부(20)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되지 않은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일 수도, 향료 물질이 가향처리된 TJNS(transfer jet nozzle system) 필터일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필터부(20)는 내부에 중공을 포함하는 튜브 형태의 구조물일 수도 있다. 상기 필터부(20)는 내부(예를 들어, 중공)에 동일 또는 이형의 재질의 필름, 튜브 등의 구조물을 삽입하여 제조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필터부(20)는 단일 필터로 이루어진 모노 필터인 것으로 도 1에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필터부(20)는 필터 효율을 높이기 위해 2개의 아세테이트 필터를 구비한 듀얼 필터 또는 삼중 필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필터부(20)의 내부에는 향료를 포함하는 내용액을 피막으로 감싼 구조의 파쇄가능한 캡슐(미도시)이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흡연물질부(10)는 상술한 흡연물질부 래퍼(30a)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일반적인 흡연물질부(10)의 연소 과정에서 발생되는 담배연기 중 일부는 담배 필터를 통과하기 전에 흡연물질부 래퍼(30a)를 통해 대기 중으로 방출되게 되며, 부류연은 간접흡연자들에게 불쾌감을 주게 된다. 이러한 부류연 저감을 위한 종래 궐련지에 산화 마그네슘, 산화 티탄, 산화 세륨, 산화 알루미늄, 탄산칼슘, 탄산 지르코늄 등의 충전재를 넣는 등 다양한 시도가 있어 왔으나, 단순히 이러한 충전재를 적용하여 부류연을 저감 시 끽미감이 저하되거나 연소꺼짐, 회고결성 저하 등이 발생하여, 충전재에 들어가는 물질의 적절한 조합을 통해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에 어려움이 있어 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흡연물질부 래퍼(30a)는 부류연을 저감시킴과 동시에 끽미감, 회고결성 저하 및 연소꺼짐을 방지하고자 마그네슘 산화물(MgO 및/또는 Mg(OH)2) 및 탄산칼슘(CaCO3)이 혼합된 충전제가 적용된다.
상기 필터부(20)는 필터부 래퍼(30b)에 의하여 포장될 수 있다. 필터부 래퍼(30b)는 내유성을 갖는 권지로 제작될 수 있으며, 필터부 래퍼(30b)의 안쪽 면에는 알루미늄 호일이 더 포함될 수도 있다.
상기 흡연물질부 래퍼(30a)에 의해 포장된 흡연물질부(10) 및 필터부 래퍼(30b)에 의해 포장된 필터부(20)는 팁페이퍼(40)에 의해 결합 포장될 수 있다. 상기 팁페이퍼(40)는 도 1에서 도시된 것과 같이 흡연물질부 래퍼(30a)의 적어도 일부분(예를 들어, 하류 일부 영역) 및 필터부 래퍼(30b)의 외곽에 둘러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흡연물질부(10)의 적어도 일부분 및 필터부(20)는 팁페이퍼(40)에 의해 더 포장되며 물리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르면, 상기 팁페이퍼(40)는 내유 처리가 되지 않은 비다공성 권지로 제작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또한, 상기 팁페이퍼(40)는 불연성 물질을 포함함으로써 필터부(20)가 연소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도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하, 실시예와 비교예를 통하여 본 발명의 구성 및 그에 따른 효과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실시예 1
실시예를 위하여 시험용으로 제조된 흡연물품의 흡연물질부를 둘러싸고 있는 흡연물질 래퍼를 제거하고, 동일한 종류의 흡연물질 래퍼에 플라즈마 천공 장치(Tann papier 사 제품)를 이용하여 약 30㎛ 크기의 미세기공을 형성하였다. 상기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2차 함수에 준하여 기공도가 늘어나도록 형성하였다.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39mm 지점에서 기공도는 1,000 CU에 도달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1,000 CU로 기공도를 유지하였다. 미세기공이 형성된 흡연물질 래퍼를 다시 흡연물질부를 둘러싸도록 접착하여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상기 흡연물품에서 흡연물질부는 축방향 길이가 약 51mm이고, 원주가 약 23.7mm였다.
실시예 2
미세기공을 실시예 1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서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3차 함수에 준하여 기공도가 늘어나도록 형성하였다.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34mm 지점에서 기공도는 1,000 CU에 도달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1,000 CU로 기공도를 유지하였다.
비교예 1
미세기공을 실시예 1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1에서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져도 기공도는 500 CU로 꾸준하게 유지하였다.
비교예 2
미세기공을 실시예 1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2에서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1차 함수에 준하여 기공도가 늘어나도록 형성하였다.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51mm 지점에서 기공도는 1,000 CU에 도달하였다.
비교예 3
미세기공을 실시예 1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3에서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실시예 2와 다른 형태의 3차 함수에 준하여 기공도가 늘어나도록 형성하였다. 비교예 3에서의 3차 함수는 실시예 2와 달리 3차 함수의 변곡점이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25.5m 지점에 오도록 조절되었고,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51mm 지점에서 기공도는 1,000 CU에 도달하였다.
비교예 4
미세기공을 실시예 1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4에서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25.5mm 지점을 기준으로 서로 다른 패턴의 곡선을 연결하여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기공도가 늘어나도록 형성하였다.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51mm 지점에서 기공도는 1,000 CU에 도달하였다.
비교예 5
미세기공을 실시예 1과 다른 패턴으로 형성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흡연물품을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2에서 미세기공은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가 500 CU가 되도록 형성하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지수 함수에 준하여 기공도가 늘어나도록 형성하였다. 상류 말단으로부터 약 27mm 지점에서 기공도는 1,000 CU에 도달하였고, 그 이후부터는 1,000 CU로 기공도를 유지하였다.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의 구체적인 기공도 분포는 하기 도 5에 나타내었다. 상기 도 5에서 X 축의 거리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거리를 의미한다. 예를 들면, 거리가 0m라는 것은 흡연물품에 적용 시 상류 말단에 위치하는 것을 의미하고, 거리가 0.025m라는 것은 흡연물품에 적용 시 상류 말단으로부터 25mm 떨어진 곳이 위치하는 것을 의미한다.
실험예
실시예 1 및 2와 비교예 1 내지 5에 따라 제조된 각각의 흡연물품을 궐련 물리성 측정기(Kardien 사의 Cigarette Quality Tester)를 이용하여 물리성을 분석하였다. 물리성 분석은 흡연물질부가 각각 51mm(3/3 지점), 34mm(2/3 지점), 17mm(1/3 지점)가 남았을 때 수행되었다. 물리성 분석은 미세기공을 형성하지 않았을 때를 기준으로 전체 성분의 희석률을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나타내었다.
희석률 희석률의 변화
(3/3 지점 → 3/1 지점)
51mm
(3/3 지점)
34mm
(2/3 지점)
17mm
(1/3 지점)
감소량 감소율
실시예 1 71.33% 55.53% 24.34% 46.99% 65.9%
실시예 2 71.59% 56.43% 24.44% 47.15% 65.9%
비교예 1 63.64% 40.61% 13.64% 50.00% 78.6%
비교예 2 70.14% 52.36% 22.19% 47.95% 68.4%
비교예 3 68.13% 47.87% 19.54% 48.58% 71.3%
비교예 4 71.37% 55.65% 23.59% 47.78% 66.9%
비교예 5 81.53% 57.11% 24.44% 57.09% 70.0%
상기 표 1에 따르면,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흡연물질 래퍼의 평균 기공도를 동일하게 조절하였음에도 미세기공의 패턴에 따라 각 지점에서 희석률이 달라진다. 흡연의 진행에 따른 희석률의 감소를 최소화하는 것은 흡연자가 흡연을 시작할 때부터 흡연이 끝날 때까지 보다 일관성 있는 흡연 만족감을 제공할 수 있다는 점에서 중요할 수 있다. 그러한 측면에서, 실시예 1 및 2와 같이, 흡연물질의 상류 말단부부터 2차 또는 3차 함수의 형태로 기공도를 늘리는 경우 동일한 평균 기공도를 갖더라도 희석률의 감소를 최소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10: 흡연물질부
20: 필터부
30a: 흡연물질 래퍼
30b: 필터 래퍼
40: 팁페이퍼
100: 흡연물품
H: 미세기공

Claims (14)

  1. 미세기공을 가지고,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도가 더 큰 것인 흡연물질 래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은 10㎛ 내지 50㎛의 기공 크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은 플라즈마를 이용한 천공 방법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미세기공은 복수개가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수직 방향으로 정렬되어 하나의 세트를 구성하며,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나의 영역에는 하나 이상의 세트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인접한 세트 간의 거리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으로 상류와 하류가 동일하거나 하류보다 상류가 더 긴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는 미세기공 간의 거리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에서 기공도는 미세기공의 크기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동일한 간격으로 3개의 영역으로 분류할 때, 하류에 가까운 영역일수록 평균 기공 크기가 더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어느 위치에서도 1,000 CU의 기공도를 초과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10.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300 CU 내지 700 CU의 평균 기공도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가 증가하며, 기공도가 최고점에 도달하면 최고점으로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2차 또는 3차 함수 형태로 기공도가 증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흡연물질에 적용 기준 상류 말단으로부터 하류로 이동함에 따라 기공도가 증가하다가 흡연물질 래퍼 길이의 60% 내지 80% 지점에서 최고점에 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연물질 래퍼.
  14. 흡연물질부, 흡연물질 래퍼, 필터부, 필터 래퍼 및 팁페이퍼를 포함하고, 상기 흡연물질 래퍼는 청구항 1에 따른 흡연물질 래퍼인 것인 흡연물품.
KR1020220119033A 2022-09-21 2022-09-21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2400402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33A KR20240040240A (ko) 2022-09-21 2022-09-21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EP23844056.4A EP4364585A1 (en) 2022-09-21 2023-06-16 Porous smoking material wrapper, and smoking article comprising same
CN202380013334.XA CN118076247A (zh) 2022-09-21 2023-06-16 多孔吸烟材料包装件和包括该多孔吸烟材料包装件的吸烟制品
PCT/KR2023/008362 WO2024063260A1 (ko) 2022-09-21 2023-06-16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9033A KR20240040240A (ko) 2022-09-21 2022-09-21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40240A true KR20240040240A (ko) 2024-03-28

Family

ID=898975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9033A KR20240040240A (ko) 2022-09-21 2022-09-21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364585A1 (ko)
KR (1) KR20240040240A (ko)
CN (1) CN118076247A (ko)
WO (1) WO202406326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027A (ko) 2005-02-01 2007-10-01 레엠트스마 시가레텐파브리켄 게엠베하 필터 궐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836597A (zh) * 2006-04-24 2006-09-27 曾立 调控式微孔沟槽滤嘴
AT514283B1 (de) * 2013-04-19 2015-09-15 Tannpapier Gmbh Plasmaperforation
CN112804892B (zh) * 2018-10-05 2023-03-28 日本烟草产业株式会社 加热式吸烟物品的制造方法
KR102403222B1 (ko) * 2018-11-23 2022-05-27 주식회사 케이티앤지 궐련 및 궐련용 에어로졸 생성 장치
CN211910550U (zh) * 2020-01-13 2020-11-13 深圳市合元科技有限公司 气雾产生制品及气雾生成系统
WO2021146360A1 (en) 2020-01-14 2021-07-22 The Gleason Works Double differential reducer ultra-high reduction transmiss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70096027A (ko) 2005-02-01 2007-10-01 레엠트스마 시가레텐파브리켄 게엠베하 필터 궐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63260A1 (ko) 2024-03-28
CN118076247A (zh) 2024-05-24
EP4364585A1 (en) 2024-05-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63925B1 (ko) 에어로졸 형성 로드 제조 방법 및 장치
US4924888A (en) Smoking article
EP2007233B1 (en) Smoking article with a restrictor
EP2785207B1 (en) Smoking article with a ventilated mouthpiece comprising first and second airflow pathways
US4941485A (en) Cigarette
EP1845809B1 (en) Slim cigarette
EP2378903B1 (en) Filter cigarillo
UA76567C2 (en) Ventilated smoking article
CA2705718A1 (en) Recessed ventilation for smoking articles
NZ244347A (en) Filter tip cigarette giving reduced level of sidestream smoke
US20140299144A1 (en) Smoking article
JP2016101169A (ja) 喫煙品
GB2090117A (en) Ventilated cigarette tip
EP2712510B1 (en) Smoking article
KR20240040240A (ko) 다공성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20210143311A (ko) 흡연 물품
CN111065283B (zh) 用于吸烟制品的包裹用纸
KR20240091516A (ko) 쿨링제를 포함하는 흡연물질 래퍼 및 이를 포함하는 흡연물품
KR100804877B1 (ko) 통기성 흡연 물품
TW202318984A (zh) 包含風味重組煙葉的吸煙製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