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920A - 스토어블 전동 컬럼 - Google Patents

스토어블 전동 컬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920A
KR20240039920A KR1020220118833A KR20220118833A KR20240039920A KR 20240039920 A KR20240039920 A KR 20240039920A KR 1020220118833 A KR1020220118833 A KR 1020220118833A KR 20220118833 A KR20220118833 A KR 20220118833A KR 20240039920 A KR20240039920 A KR 202400399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umn
tele
column portion
guide
p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진용
윤현수
Original Assignee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920A/ko
Publication of KR202400399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92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1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with power actuated adjustment, e.g. with position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16Steering columns
    • B62D1/18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 B62D1/185Steering columns yieldable or adjustable, e.g. tiltable adjustable by axial displacement, e.g. telescopicall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70Gea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상기 컬럼의 하중에 의한 작동력을 줄일 수 있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이 제공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은, 제1 컬럼부와, 상기 제1 컬럼부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컬럼부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컬럼부와, 상기 제1 컬럼부에 설치된 텔레구동유닛과, 상기 제1 컬럼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랙 바와, 상기 제2 컬럼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 컬럼부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무빙 랙 바와, 상기 고정 랙 바 및 상기 무빙 랙 바에 치합되고 상기 텔레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무빙 랙 바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토어블 전동 컬럼{STOWABLE ELECTRIC COLUMN}
본 발명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컬럼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조향장치는 차량의 앞바퀴의 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하여 차량의 진행방향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하기 위한 장치이다.
상기 조향장치에는 운전자가 손으로 잡는 구성인 스티어링 휠이 포함되는데, 상기 운전자가 상기 스티어링 휠을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조작함으로써, 상기 스티어링 휠이 상단부에 결합되어 있는 스티어링 샤프트가 회전되고, 상기 스티어링 샤프트의 회전력은 스티어링 기어로 전달되며, 상기 스티어링 기어의 랙바가 좌우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좌측 타이로드 및 우측 타이로드가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동됨으로써, 상기 차량의 앞바퀴의 방향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변경된다.
한편, 상기 조향장치에는 텔레스코프(Telescope) 및 틸트(Tilt) 기능이 포함되는데, 상기 텔레스코프 및 상기 틸트 기능을 통해 운전자는 자신의 신장이나 체형에 맞게 상기 스티어링 휠의 차실 내로 돌출 정도 및 기울기를 조절하여 원활한 조향 조작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스코프 및 상기 틸트 기능은 초기에는 운전자가 직접 조절 레버를 조작하여, 상기 스티어링 휠을 축방향으로 이동시키거나, 상기 축방향과 직교되게 배치된 힌지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티어링 휠을 회전시켜야 하는 수동 조작 방식이었으나, 모터를 이용한 자동 조작 방식이 개발되었다.
최근, 자율주행의 차량 개발의 급격한 발전에 따라 자율주행 모드에서 운전자의 공간 확보가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8822호(2022.03.03)(이하, '종래 기술'이라 함)에는 전동 컬럼의 텔레량을 증가시키는 기술인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이 개시되어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차체에 고정되는 레일 베이스와, 상기 레일 베이스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슬라이딩 구동에 따른 스티어링휠의 텔량을 제어하는 컬럼 어셈블리와, 상기 레일 베이스의 양단에 구성된 볼베어링 레일과, 상기 컬럼 어셈블리의 양측에 구성되고 상기 볼베어링 레일에 지지되어 구동되면서 컬럼의 텔량을 제어하는 구동 볼베어링과, 운전자의 조작에 따라 컬럼의 텔레인/텔레아웃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컬럼 어셈블리를 레일 베이스에 따라 구동하기 위한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컬럼 어셈블리 자체의 길이가 가변되지 않고, 상기 컬럼 어셈블리를 상기 레일 베이스에 대해 이동시켜서 상기 컬럼 어셈블리의 텔레량을 조절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상기 컬럼 어셈블리의 하중으로 인해 상기 컬럼 어셈블리의 텔레량을 조절하기 위한 작동력이 대량 필요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종래 기술은 상기 컬럼 어셈블리의 하중을 양측의 레일에서 지지하여야 하므로, 상기 컬럼 어셈블리의 지지력 부족으로 인해 강성이 저하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68822호(2022.03.03)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작동력을 줄일 수 있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다른 과제는, 상기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상기 컬럼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은, 제1 컬럼부, 제2 컬럼부, 텔레구동유닛, 고정 랙 바, 무빙 랙 바 및 피니언으로 구성된다. 상기 제2 컬럼부의 일부는 상기 제1 컬럼부의 내부에 배치된다. 상기 제2 컬럼부는 상기 제1 컬럼부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텔레구동유닛은 상기 제1 컬럼부에 설치된다. 상기 고정 랙 바는 상기 제1 컬럼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무빙 랙 바는 상기 제2 컬럼부에 고정 설치된다. 상기 무빙 랙 바는 상기 제2 컬럼부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다. 상기 피니언은 상기 고정 랙 바 및 상기 무빙 랙 바에 치합된다. 상기 피니언은 상기 텔레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무빙 랙 바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상기 피니언은 피니언 설치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럼부의 상면에는 블록 가이드 홀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블록 가이드 홀은 상기 피니언 설치블록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고정 랙 바는 상기 블록 가이드 홀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무빙 랙 바는 상기 블록 가이드 홀의 타측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텔레구동유닛은, 텔레 브라켓, 텔레 너트, 텔레 스크류 바, 텔레 기어박스 및 텔레 모터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텔레 브라켓은 상기 제1 컬럼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텔레 브라켓에는 상기 피니언 설치블록이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텔레 너트는 상기 텔레 브라켓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텔레 스크류 바는 상기 텔레 너트를 관통할 수 있다. 상기 텔레 스크류 바는 회전동작으로 상기 텔레 너트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텔레 브라켓 및 상기 피니언 설치블록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텔레 기어박스는 상기 제1 컬럼부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텔레 기어박스의 내부에는 회전동작으로 상기 텔레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텔레 모터는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에는 서포트 링 및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가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링은 상기 제2 컬럼부가 관통되게 상기 제2 컬럼부의 외주면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서포트 링은 상기 제2 컬럼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는 상기 서포트 링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컬럼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컬럼부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컬럼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제2 컬럼부는 상기 서포트 링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상기 제1 컬럼부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블록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블록은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볼록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가 각각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는,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 및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는 상기 서포트 링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는 상기 서포트 링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블록은,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 및 한 쌍의 하부 가이드블록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은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하부 가이드블록은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에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상부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과 상이한 위치의 상기 제1 컬럼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하부 가이드 브라켓은 상기 한 쌍의 하부 가이드볼록과 상이한 위치의 상기 제1 컬럼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은,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고정 랙 바, 무빙 랙 바 및 피니언을 통해 작동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은, 상기 고정 랙 바 및 상기 무빙 랙 바가, 상기 컬럼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상기 피니언의 회전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상기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작동력을 줄일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토어블 전동 컬럼은,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서포트 링 및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를 통해 제2 컬럼부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상기 컬럼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상기 컬럼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도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이 포함되는 차량용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의 길이가 최대로 길게 가변된 상태인 최대 텔레 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이 포함되는 차량용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의 길이가 최대로 짧게 가변된 상태인 최대 텔레 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틸트구동유닛 및 텔레 서포트 가이더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틸트구동유닛 및 텔레구동유닛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을 도면들을 참고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이 포함되는 차량용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의 길이가 최대로 길게 가변된 상태인 최대 텔레 아웃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이 포함되는 차량용 조향 장치를 나타내는 사시도로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의 길이가 최대로 짧게 가변된 상태인 최대 텔레 인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여기서, 텔레 아웃(Tele Out)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 전체의 축방향의 길이가 길어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고, 텔레 인(Tele In)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 전체의 축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설명에서 텔레(Tele)의 의미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축방향의 이동을 의미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차량용 조향 장치(1)는 스티어링 샤프트(100) 및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을 포함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100)의 일단부에는 운전자가 차량의 진행방향을 조향하기 위해 손으로 잡는 구성인 스티어링 휠(미도시)이 설치될 수 있다. 즉, 운전자는, 차량의 진행방향을 좌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손으로 잡고 좌회전시킬 수 있고, 차량의 진행방향을 우측으로 조향하기 위해 상기 스티어링 휠을 손으로 잡고 우회전시킬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을 축방향으로 관통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100)의 양단은 각각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양단을 통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즉, 스티어링 샤프트(100)의 일단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일단을 통해 돌출 배치될 수 있고, 스티어링 샤프트(100)의 타단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타단을 통해 돌출 배치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 축방향으로 이동되지 않게 락킹될 수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볼베어링을 통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차량 사고 시 스티어링 샤프트(1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서 락킹이 해제되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운전자의 상해를 저감시킬 수 있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스티어링 샤프트(100)가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그 자체에 텔레 아웃 및 텔레 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제1 컬럼부(210), 제2 컬럼부(220) 및 텔레구동유닛(24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컬럼부(210) 및 제2 컬럼부(220)는 스티어링 샤프트(100)가 관통하는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제1 컬럼부(210) 및 제2 컬럼부(220)는 반드시 원통형으로 형성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고, 스티어링 샤프트(100)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할 수 있으면 다양한 구조로 변경 실시될 수 있다.
제1 컬럼부(210)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일단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2 컬럼부(220)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타단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컬럼부(220)는 제1 컬럼부(210)에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고 축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제2 컬럼부(220)가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제1 컬럼부(210)의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써,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 자체의 축방향 길이가 가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운전자의 신체 조건에 맞는 길이로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차량의 사고 시에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 가해지는 외력에 의해 제2 컬럼부(220)는 제1 컬럼부(210)의 내부로 삽입되어 운전자의 상해를 방지할 수도 있다.
제2 컬럼부(220)의 일부는 제1 컬럼부(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컬럼부(220)는 제1 컬럼부(210)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텔레구동유닛(240)은 자체 전동력을 이용하여 제2 컬럼부(220)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운전자는 텔레구동유닛(240)을 구동시켜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시킴으로써,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텔레량을 자신의 신체조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텔레구동유닛(240)의 구동력에 의해, 도 1에 참조된 바와 같이 축방향의 길이가 최대로 가변될 수 있고,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축방향의 길이가 최소로 가변될 수 있다.
텔레구동유닛(240)에 대해서는 추후에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하고, 틸트구동유닛(250)에 대해 먼저 설명하기로 한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는 틸트구동유닛(2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틸트구동유닛(250)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기울기(틸트량)를 조절할 수 있다.
틸트구동유닛(250)은 틸트 기어박스(251)와, 틸트 모터(252)와, 틸트 스크류 바(253)와, 틸트 브라켓(254)과, 틸트 너트(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틸트 기어박스(251)는 제1 컬럼부(21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틸트 모터(252)는 틸트 기어박스(25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틸트 스크류 바(253)는 틸트 기어박스(251)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틸트 브라켓(254)은 제2 컬럼부(220)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틸트 너트는 틸트 브라켓(254)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틸트 너트에는 틸트 스크류 바(253)가 관통할 수 있다.
틸트 모터(252)의 회전축은 틸트 스크류 바(253)와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틸트 스크류 바(25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틸트 스크류 바(25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상기 틸트 너트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틸트 기어박스(251)의 내부에는 틸트 웜기어 및 틸트 웜휠기어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틸트 웜기어는 틸트 모터(252)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틸트 웜휠기어는 상기 틸트 웜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틸트 웜휠기어의 중심에는 틸트 스크류 바(253)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틸트 모터(252)가 구동될 시 틸트 스크류 바(253)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상기 틸트 너트가 틸트 스크류 바(253)의 길이방향인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 자체는 틸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상기 틸트 기능이 가능할 수 있도록,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마운팅 브라켓을 통해 차체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틸트구동유닛 및 텔레 서포트 가이더를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3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과,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제1 샤프트(110) 및 제2 샤프트(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샤프트(110)의 일단부는 제2 샤프트(120)의 일단을 통해 제2 샤프트(120)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 배치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10)의 일단부가 제2 샤프트(120)의 일단부 내부로 삽입되거나 인출됨으로서,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축방향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10)의 일단부 외주면에는 세레이션(115)이 형성될 수 있고, 제2 샤프트(120)의 일단부 내주면에는 세레이션(115)이 결합되는 세레이션(미도시)이 형성되어, 제1 샤프트(110) 및 제2 샤프트(120)는 원주방향으로 회전되지 않으면서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축방향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1 샤프트(110)는 제1 볼베어링(미도시)을 통해 제1 컬럼부(21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고, 제2 샤프트(120)는 제2 볼베어링(미도시)을 통해 제2 컬럼부(220)의 내주면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축방향의 길이가 가변될 때, 스티어링 샤프트(100)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과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되어 축방향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즉, 제2 컬럼부(220)가 제1 컬럼부(210)에서 인출되거나 삽입될 때, 제2 샤프트(120)가 제2 컬럼부(220)와 함께 축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컬럼부(220)의 외경은 제1 컬럼부(210)의 외경보다 작게 형성되어, 제2 컬럼부(220)의 일단부는 제1 컬럼부(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컬럼부(220)의 외주면은 제1 컬럼부(210)의 내주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축방향의 길이를 안정적으로 가변시킬 수 있으며,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텔레량 조절 시 소음이 발생되지 않을 수 있다.
제1 컬럼부(210)에는 내부로 돌출되게 볼플런저(미도시)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컬럼부(220)에는 제1 컬럼부(210)에서 최대로 인출된 위치 및 최대로 삽입된 위치에 상기 볼플런저에 걸림되는 걸림홀(미도시)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컬럼부(210)에는 고정 랙 바(281)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고정 랙 바(281)는 제1 컬럼부(210)의 내부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제2 컬럼부(220)에는 무빙 랙 바(282)가 고정 설치될 수 있다. 무빙 랙 바(282)는 제2 컬럼부(220)보다 축방향의 길이가 짧게 형성될 수 있다. 무빙 랙 바(282)는 제2 컬럼부(220)의 일단부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무빙 랙 바(282)는 제2 컬럼부(220) 중 제1 컬럼부(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부분의 외주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설치될 수 있다. 무빙 랙 바(282)는 제2 컬럼부(22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할 수 있다.
고정 랙 바(281) 및 무빙 랙 바(282) 사이에는 피니언(283)이 배치될 수 있다. 피니언(283)은 고정 랙 바(281) 및 무빙 랙 바(282)에 치합될 수 있다. 피니언(283)은 텔레구동유닛(2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무빙 랙 바(28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무빙 랙 바(282)는 제2 컬럼부(220)에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무빙 랙 바(282)가 피니언(283)의 회전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이동될 시, 제2 컬럼부(220)는 무빙 랙 바(282)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제2 컬럼부(220)의 길이방향 이동량은 피니언(283)의 길이방향 이동량의 2배일 수 있다. 즉, 피니언(283)은 텔레구동유닛(240)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무빙 랙 바(282)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때, 무빙 랙 바(282)의 일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무빙 랙 바(282)와 함께 고정 랙 바(281)의 일단부에서 타단부까지 회전되면서 이동된 후, 고정 랙 바(281)의 타단부에 위치된 상태에서는 위치 변화 없이 회전만 되면서 무빙 랙 바(282)를 무빙 랙 바(282)의 타단부까지 이동시킬 수 있다.
피니언(283)은 피니언 설치블록(285)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제1 컬럼부(210)의 상면에는 피니언 설치블록(285)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블록 가이드 홀(215)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 피니언 설치블록(285)은 블록 가이드 홀(215)에 삽입되어 블록 가이드 홀(215)의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블록 가이드 홀(215)이 제1 컬럼부(210)의 상면에 형성되는 이유는, 피니언(283)에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하중이 작용하지 않도록 하여서, 피니언(283)의 회전 작동을 원활하게 하기 위함이다.
고정 랙 바(281)는 블록 가이드 홀(215)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고, 무빙 랙 바(282)는 블록 가이드 홀(215)의 타측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될 수 있다. 무빙 랙 바(282)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하중방향인 상하방향과 직교되는 방향인 좌측 또는 우측을 향할 수 있고, 고정 랙 바(281)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은 무빙 랙 바(282)의 기어치가 형성된 면과 대향되게 우측 또는 좌측을 향할 수 있다. 즉, 고정 랙 바(281) 및 무빙 랙 바(282)는 컬럼(200)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피니언(283)의 회전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작동력을 줄일 수 있다.
텔레구동유닛(240)은 텔레 기어박스(241)와, 텔레 모터(242)와, 텔레 스크류 바(243)와, 텔레 브라켓(244)과, 텔레 너트(245)를 포함할 수 있다.
텔레 기어박스(241)는 제1 컬럼부(210)의 외주면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텔레 모터(242)는 텔레 기어박스(241)에 고정 설치될 수 있다.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은 텔레 스크류 바(243)와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텔레 기어박스(241)에 원주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원형 단면을 가지고 축방향으로 곧게 형성된 직선 바로 형성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제1 컬럼부(21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제2 컬럼부(220)의 길이방향으로 길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과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은 틸트 모터(252)의 회전축과 평행되게 배치될 수 있다.
텔레 브라켓(244)은 제1 컬럼부(210)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텔레 브라켓(244)에는 피니언 설치블록(285)이 결합될 수 있다.
텔레 너트(245)는 텔레 브라켓(244)에 설치될 수 있다. 텔레 너트(245)에는 텔레 스크류 바(243)가 관통할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의 외주면에는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고, 텔레 스크류 바(243)의 외주면에 형성된 나사산은 텔레 너트(245)의 내주면에 형성된 나사산과 맞물릴 수 있다.
텔레 스크류 바(243)는 회전동작으로 텔레 너트(245)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텔레 브라켓(244) 및 피니언 설치블록(285)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는 회전동작으로 텔레 스크류 바(243)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기어가 구비될 수 있고, 텔레 모터(242)는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개의 기어는 텔레 웜기어 및 텔레 웜휠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텔레 웜기어 및 상기 텔레 웜휠기어는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텔레 웜기어는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에 결합될 수 있고, 상기 텔레 웜휠기어는 상기 텔레 웜기어와 치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텔레 웜휠기어의 중심에는 텔레 스크류 바(243)가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텔레 모터(242)가 구동될 시 텔레 스크류 바(243)가 원주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고, 이에 따라 텔레 너트(245)가 텔레 브라켓(244)와 함께 텔레 스크류 바(243)의 길이방향인 축방향으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피니언 설치블록(285)이 블록 가이드 홀(215)의 길이를 따라 이동될 수 있다. 피니언 설치블록(285)이 블록 가이드 홀(215)의 길이를 따라 이동되는 동작에 의해, 피니언(283)은 회전되면서 무빙 랙 바(282)를 제2 컬럼부(22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 자체는 텔레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는 제2 컬럼부(220)의 길이방향 이동 시 제2 컬럼부(220)를 지지하면서 제2 컬럼부(22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텔레 서포트 가이더(270)가 더 설치될 수 있다.
텔레 서포트 가이더(270)는 제2 컬럼부(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컬럼(200)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텔레 서포트 가이더(270)에 대해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틸트구동유닛 및 텔레구동유닛을 제거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도 5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텔레 서포트 가이더(270)는 서포트 링(271) 및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를 포함할 수 있다.
서포트 링(271)은 제2 컬럼부(220)가 관통되게 제2 컬럼부(220)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제2 컬럼부(220)를 지지할 수 있다. 서포트 링(271)에는 제2 컬럼부(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는 밀착 너트(271B)가 설치될 수 있고, 제2 컬럼부(220)는 서포트 링(271)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할 수 있다.
서포트 링(271)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의 일단부가 각각 연결되는 복수개의 연결돌기(271A)가 돌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 각각의 일단부는 복수개의 연결돌기(271A)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복수개의 연결돌기(271A)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는 축방향으로 곧게 형성된 원형 바로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는 서포트 링(271)에 연결되어 제2 컬럼부(220)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 제2 컬럼부(22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제2 컬럼부(220)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제1 컬럼부(210)의 외주면에는 복수개의 가이드블록(212, 213)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블록(212, 213)은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볼록(212, 213)에는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가 각각 안착되는 안착홈(212A)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는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 및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는 서포트 링(27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 각각의 일단부는 서포트 링(271)의 상부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돌기(271A)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서포트 링(271)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는 서포트 링(27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즉,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 각각의 일단부는 서포트 링(271)의 하부에 형성된 한 쌍의 연결돌기(271A)에 각각 형성된 홀에 삽입되어 서포트 링(271)의 하부에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는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복수개의 가이드블록(212, 213)은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212) 및 한 쌍의 하부 가이드블록(213)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212)은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한 쌍의 하부 가이드블록(213)은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할 수 있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에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274) 및 하부 가이드 브라켓(275)이 더 구성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브라켓(274)은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212)과 상이한 위치의 제1 컬럼부(210)에 결합되어,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212)에 형성된 안착홈(212A)에서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브라켓(274)의 중앙부에는 제1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1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1 컬럼부(210)의 상측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1 체결부재를 통해 상부 가이드 브라켓(274)은 제1 컬럼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상부 가이드 브라켓(274)의 양측부는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 각각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272) 각각의 상측 일부를 덮을 수 있다.
하부 가이드 브라켓(275)은 한 쌍의 하부 가이드볼록(213)과 상이한 위치의 제1 컬럼부(210)에 결합되어,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한 쌍의 하부 가이드블록(213)에 형성된 안착홈(212A)에서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브라켓(275)의 중앙부에는 제2 체결홀이 형성될 수 있고, 상기 제2 체결홀을 관통하여 제1 컬럼부(210)의 하측에 형성된 체결홀에 체결되는 제2 체결부재를 통해 하부 가이드 브라켓(275)은 제1 컬럼부(210)에 결합될 수 있다.
하부 가이드 브라켓(275)의 양측부는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 각각의 외주면 형상과 대응되는 곡면으로 형성되어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273) 각각의 하측 일부를 덮을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아웃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인된 상태로 조절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최대로 텔레 아웃된 상태에서,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이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텔레 웜기어는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과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텔레 웜휠기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텔레 웜휠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 텔레 스크류 바(243)는 상기 텔레 웜휠기어와 함께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텔레 너트(245)를 텔레 기어박스(2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텔레 너트(245)가 텔레 기어박스(241)에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텔레 브라켓(244) 및 피니언 설치블록(285)은 텔레 너트(245)와 함께 텔레 너트(245)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 랙 바(281) 및 무빙 랙 바(282)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283)은 일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무빙 랙 바(282)를 제1 컬럼부(210)의 내부로 삽입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 컬럼부(220)를 제1 컬럼부(210)의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을 최대로 텔레 인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텔레 인 작동될 때, 서포트 링(271)에 설치된 밀착 너트(271B)가 제2 컬럼부(2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초기에는 서포트 링(271) 및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가 제2 컬럼부(22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다가, 서포트 링(271)이 제1 컬럼부(210)의 일단에 걸림되면, 제2 컬럼부(220)만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컬럼부(220)의 끝단이 서포트 링(271)의 내부에 위치될 때까지 이동될 수 있다.
두 번째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인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아웃된 상태로 조절되는 것에 대해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인된 상태에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아웃된 상태로 조절되는 것은,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아웃된 상태에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대로 텔레 인된 상태로 조절되는 것에 비해,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의 회전방향이 반대로 회전되는 것에 의해 동작된다.
즉,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최대로 텔레 인된 상태에서,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이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텔레 웜기어는 텔레 모터(242)의 회전축과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되어 상기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텔레 웜휠기어를 타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와 같이, 텔레 기어박스(241)의 내부에 구비된 상기 텔레 웜휠기어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 텔레 스크류 바(243)는 상기 텔레 웜휠기어와 함께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텔레 너트(245)를 텔레 기어박스(2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와 같이, 텔레 너트(245)가 텔레 기어박스(241)에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될 때, 텔레 브라켓(244) 및 피니언 설치블록(285)은 텔레 너트(245)와 함께 텔레 너트(245)의 이동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에 따라, 고정 랙 바(281) 및 무빙 랙 바(282)에 치합되어 있는 피니언(283)은 타방향으로 회전되면서 무빙 랙 바(282)를 제1 컬럼부(210)의 내부에서 인출되는 방향으로 이동시켜서 제2 컬럼부(220)를 제1 컬럼부(210)의 내부에서 인출시킴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을 최대로 텔레 아웃된 상태로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이 텔레 아웃 작동될 때, 서포트 링(271)에 설치된 밀착 너트(271B)가 제2 컬럼부(220)의 외주면에 밀착된 상태이므로, 초기에는 서포트 링(271) 및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가 제2 컬럼부(220)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다가,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의 끝단에 형성된 돌기구조물(미도시)이 각각 복수개의 가이드블록(212, 213)의 끝단에 걸림되면, 제2 컬럼부(220)만 길이방향으로 이동되어 제2 컬럼부(220)는 서포트 링(271)의 내부에서 빠져나올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고정 랙 바(281), 무빙 랙 바(282) 및 피니언(283)을 통해 작동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고정 랙 바(281) 및 무빙 랙 바(282)가, 컬럼(200)의 하중이 작용하는 방향인 상하방향으로 배치되지 않고 좌우방향으로 배치되기 때문에, 피니언(283)의 회전 작동을 원활하게 하여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작동력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200)은,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서포트 링(271) 및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272, 273)를 통해 제2 컬럼부(220)를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기 때문에, 컬럼(200)의 길이를 가변 작동 시 컬럼(200)의 지지력을 향상시켜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200 : 스토어블 전동 컬럼 210 : 제1 컬럼부
212 : 상부 가이드블록 212A : 안착홈
213 : 하부 가이드블록 215 : 블록 가이드 홀
220 : 제2 컬럼부 240 : 텔레구동유닛
241 : 텔레 기어박스 242 : 텔레 모터
243 : 텔레 스크류 바 244 : 텔레 브라켓
245 : 텔레 너트 281 : 고정 랙 바
282 : 무빙 랙 바 283 : 피니언
285 : 피니언 설치블록 271 : 서포트 링
272 :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 273 :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
274 : 상부 가이드 브라켓 275 : 하부 가이드 브라켓

Claims (8)

  1. 제1 컬럼부;
    상기 제1 컬럼부의 내부에 일부가 배치되고, 상기 제1 컬럼부의 일단을 통해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제2 컬럼부;
    상기 제1 컬럼부에 설치된 텔레구동유닛;
    상기 제1 컬럼부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 랙 바;
    상기 제2 컬럼부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제2 컬럼부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한 무빙 랙 바; 및
    상기 고정 랙 바 및 상기 무빙 랙 바에 치합되고, 상기 텔레구동유닛의 구동력에 의해 회전되면서 상기 무빙 랙 바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피니언;을 포함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피니언은 피니언 설치블록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제1 컬럼부의 상면에는 상기 피니언 설치블록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블록 가이드 홀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며,
    상기 고정 랙 바는 상기 블록 가이드 홀의 일측에 배치되고,
    상기 무빙 랙 바는 상기 블록 가이드 홀의 타측과 대응되는 부분에 배치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텔레구동유닛은,
    상기 제1 컬럼부에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피니언 설치블록이 결합되는 텔레 브라켓과,
    상기 텔레 브라켓에 설치되는 텔레 너트와,
    상기 텔레 너트를 관통하고, 회전동작으로 상기 텔레 너트를 길이방향으로 이동시켜 상기 텔레 브라켓 및 상기 피니언 설치블록을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키는 텔레 스크류 바와,
    상기 제1 컬럼부에 설치되고, 회전동작으로 상기 텔레 스크류 바를 회전시키는 복수개의 기어를 내부에 구비한 텔레 기어박스와,
    상기 복수개의 기어를 회전시키는 텔레 모터를 포함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럼부가 관통되게 상기 제2 컬럼부의 외주면에 설치되어, 상기 제2 컬럼부를 지지하는 서포트 링과,
    상기 서포트 링에 연결되어 상기 제2 컬럼부가 길이방향으로 이동 시 상기 제2 컬럼부와 함께 길이방향으로 이동되면서 상기 제2 컬럼부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를 더 포함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2 컬럼부는 상기 서포트 링에 대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한 스토어블 전동 컬럼.
  6.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제1 컬럼부의 외주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복수개의 가이드블록이 형성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볼록에는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가 각각 안착되는 안착홈이 형성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서포트 가이드 바는,
    상기 서포트 링의 상부에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와,
    상기 서포트 링의 하부에 연결되고, 좌우방향으로 서로 이격 배치되는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개의 가이드블록은,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과,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 각각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는 한 쌍의 하부 가이드블록을 포함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상부 가이드블록과 상이한 위치의 상기 제1 컬럼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한 쌍의 상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상부 가이드 브라켓과,
    상기 한 쌍의 하부 가이드볼록과 상이한 위치의 상기 제1 컬럼부에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길이방향 이동을 안내하고 상기 안착홈에서 상기 한 쌍의 하부 서포트 가이드 바의 이탈을 방지하는 하부 가이드 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스토어블 전동 컬럼.
KR1020220118833A 2022-09-20 2022-09-20 스토어블 전동 컬럼 KR2024003992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833A KR20240039920A (ko) 2022-09-20 2022-09-20 스토어블 전동 컬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833A KR20240039920A (ko) 2022-09-20 2022-09-20 스토어블 전동 컬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920A true KR20240039920A (ko) 2024-03-27

Family

ID=90480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833A KR20240039920A (ko) 2022-09-20 2022-09-20 스토어블 전동 컬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920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22B1 (ko) 2020-06-30 2022-03-0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8822B1 (ko) 2020-06-30 2022-03-03 남양넥스모 주식회사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3013B2 (en) Steering column for a steer-by-wire steering device
KR101209165B1 (ko) 자동 운송수단의 스티어링 칼럼의 조절을 위한 전기 클램핑 장치
US10933901B2 (en) Control yoke for steering a motor vehicle
EP0315823A1 (en) Tilting and telescopic travelling steering column arrangement
KR101306457B1 (ko) 전동식 틸트 조향장치
CN115835997A (zh) 轨道可伸缩电动管柱
JP7371409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CN107810136A (zh) 具有机电固定设备的转向管柱
WO2014044745A1 (de) Kopfstütze für einen fahrzeugsitz
CN206691183U (zh) 一种基于齿轮齿条的伸缩式转向轴机构
KR101104007B1 (ko) 전동식 로워 틸트 조향장치
KR20240039920A (ko) 스토어블 전동 컬럼
JP2021046000A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JP7374406B2 (ja) 車両のステアリング装置
KR20240042875A (ko) 스토어블 전동 컬럼
KR102651684B1 (ko)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US11904932B2 (en) Steering shaft for a steering column of a motor vehicle and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US20230294751A1 (en) Steering column for a motor vehicle
KR20240072763A (ko) 스토어블 전동 컬럼
KR20240039950A (ko) 스토어블 전동 컬럼
JPH0518751B2 (ko)
KR20230032397A (ko)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KR102612219B1 (ko) 레일 스토어블 전동 컬럼
KR100619225B1 (ko) 조향 휠의 회전수 조절장치
JPH0514937Y2 (k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