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815A - 침대 - Google Patents

침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815A
KR20240039815A KR1020220118627A KR20220118627A KR20240039815A KR 20240039815 A KR20240039815 A KR 20240039815A KR 1020220118627 A KR1020220118627 A KR 1020220118627A KR 20220118627 A KR20220118627 A KR 20220118627A KR 20240039815 A KR20240039815 A KR 202400398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uct
heat dissipation
base
sub
b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86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병훈
안광운
김대웅
오민규
조재영
황성걸
김호연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86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815A/ko
Publication of KR202400398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81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1/00Attachments for beds, e.g. sheet holders, bed-cover holders;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means in connection with bedsteads or mattresses
    • A47C21/04Devices for ventilating, cooling or heating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27/00Spring, stuffed or fluid mattresses or cushions specially adapted for chairs, beds or sofa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5/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25/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25/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working fluid being air, e.g. for ventil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70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 F04D29/701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 F04D29/703Suction grids; Strainers; Dust separation; Cleaning especially adapted for elastic fluid pumps specially for fans, e.g. fan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1/00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 F25B21/02Machines, plants or systems, using electric or magnetic effects using Peltier effect; using Nernst-Ettinghausen eff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Devices For Blowing Cold Air, Devices For Blowing Warm Air, And Means For Preventing Water Condensation In Air Conditioning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매트리스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침대이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매트리스 쪽으로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 발생 장치; 상기 열전 유닛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베이스 외부로 안내하는 방열 덕트 어셈블리;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흡입구에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공급 덕트;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사이드 덕트; 및 상기 사이드 덕트를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침대{Bed}
본 발명은 침대에 관한 것이다.
최근에 등장하는 침대는,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베이스의 내부에 온풍 공급 장치가 내장되고, 매트리스의 경사도를 자동으로 조절 가능한 기능이 탑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래에 제시되는 선행 기술에 개시되는 침대는, 베이스의 내부에 온풍 공급 장치가 구비되어, 겨울철 외출후 귀가하여 실내 온도가 낮은 상태에서 신속히 매트리스와 이불을 신속하게 뎁힐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 선행 기술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안고 있다.
온풍을 공급하는 공급 덕트가 베이스의 상면보다 높게 연장되어 있어, 사용자가 건조풍 모드를 사용하는 도중에 매트리스에 오르내리다 상기 공급 덕트의 토출구에 걸려서 넘어지거나 토출구가 파손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사이드 덕트를 통해 온풍을 공급하지만, 사이드 덕트가 고정되어 있기 때문에 토출 범위가 제한적인 단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2021-0124672호(2021년10월15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제안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매트리스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침대이고,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매트리스 쪽으로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 발생 장치; 상기 열전 유닛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베이스 외부로 안내하는 방열 덕트 어셈블리;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흡입구에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공급 덕트;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사이드 덕트; 및 상기 사이드 덕트를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첫째, 베이스 내부에 제공되는 덕트 어셈블리에는 열전 모듈이 구비되어, 온풍과 냉풍을 선택적으로 공급 가능한 효과가 있다.
둘째, 공기 유동 방향을 기준으로 열전 모듈의 후측에 PTC 히터를 포함하는 가열 장치가 배치되면, 제벡 효과에 의하여 열전 모듈에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 전류를 송풍팬을 구동하는데 사용할 수 있어, 전력 소비량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셋째, 사이드 덕트가 베이스의 내부에서 매트리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여, 냉풍 또는 온풍의 공급 범위가 넓어지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외관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3은 상기 베이스의 평면도.
도 4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
도 5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종단면 사시도.
도 7은 도 3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
도 9는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구조 및 작동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의 외관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10)는, 매트리스(12)와, 상기 매트리스(12)를 지지하는 베이스(11)를 포함한다.
상세히, 상기 매트리스(12)는 상기 베이스(11)로부터 분리 가능하며, 상기 매트리스(12) 내부에는 탄성 부재가 배열되어 쿠션 기능이 구현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11) 내부에는 온풍 또는 냉풍을 공급하기 위한 장치가 배치되며, 이에 대한 내용은 아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침대를 구성하는 베이스의 내부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상기 베이스의 평면도이며, 도 4는 상기 베이스의 저면 사시도이고, 도 5는 상기 베이스 내부에 장착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베이스(11)는 바닥부(111)와, 상기 바닥부(111)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12)로 이루어진다.
상세히, 상기 바닥부(111)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1111)와, 다수의 방열홀들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바닥부(111)의 저면 중앙에는 파티션(113)이 돌출되고, 상기 파티션(113)은 상기 바닥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파티션(113)에 의하여, 상기 바닥부(111)의 하측 공간은 흡입 공간과 방열 공간으로 구획된다. 그리고, 상기 흡입구(1111)는 상기 흡입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방열홀들은 상기 방열 공간에 위치한다.
상기 흡입구(1111)는 상기 바닥부(111)의 폭 방향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는 다수의 슬릿들이 상기 바닥부(111)의 길이 방향으로 배열되는 흡입 그릴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열홀들은, 메인 방열홀(1112), 서브 방열홀(1113), 및 사이드 방열홀(1114)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베이스(11) 내부에 설치되는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냉풍 또는 온풍을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20)와,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20)에 장착되는 다수의 열전 모듈(50) 및 다수의 열전 유닛(50a)과, 상기 다수의 열전 모듈(50) 및 다수의 열전 유닛(50a)에서 발생하는 열을 상기 베이스(11) 외부로 안내하는 방열 덕트 어셈블리와, 상기 흡입 덕트 어셈블리(20)의 흡입구에 장착되는 필터(30), 및 상기 흡입 덕트 어셈블리(20)를 구성하는 덕트들 중 일부를 상기 베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이동 수단을 리드 스크류(60)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열전 모듈(50)은, 흡열면과 발열면을 가지는 열전 소자와, 상기 흡열면에 부착되는 콜드 싱크와, 상기 발열면에 부착되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측에 장착되는 방열팬을 포함한다.
상기 열전 유닛(50a)은 상기 열전 모듈(50)에서 상기 방열팬이 빠진 구성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20)는, 상기 흡입구(1111)를 통하여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 덕트(21)와, 상기 흡입 덕트(21)의 출구측에 장착되는 메인팬(41)과, 상기 메인팬941)의 출구에서 연장되는 메인 공급 덕트(22)와,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는 서브 공급 덕트를 포함한다.
상기 필터(30)는 상기 흡입 덕트(21)의 흡입구 측에 장착되어, 상기 흡입구(1111)를 통하여 유입되는 실내 공기를 정화한다. 상기 흡입 덕트(21)와 상기 필터(30)가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11)의 일 단부에 사용자의 발이 향하고, 상기 일 단부의 반대 쪽에 해당하는 타 단부에 사용자의 머리가 향한다.
사용자의 발에 가까운 단부를 하단부로 정의하고, 사용자의 머리에 가까운 단부를 상단부로 정의한다.
상기 흡입 덕트(21)는 상기 베이스(11)의 하단부에서 상단부 쪽으로 소정 길이 연장되고, 상기 흡입 덕트(21)의 토출구측에 상기 메인 팬(41)이 장착된다.
상기 메인덕트(22)는 상기 메인 팬(41)으로부터 상기 베이스(11)의 상단부를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되며, 상기 메인 덕트(22)의 토출구는 사용자의 머리에 가까운 지점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서브 공급 덕트는 로어 서브 덕트(24)와 어퍼 서브 덕트(25)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로어 서브 덕트(24)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다가 상기 베이스(11)의 하단부 쪽으로 휘어지게 형성되고, 상기 어퍼 서브 덕트(24)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다가 상기 베이스(11)의 상단부 쪽으로 휘어지게 형성된다. 상기 서브 공급 덕트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측면에서 연장되는 서브 덕트 바디와, 상기 서브 덕트 바디의 단부에서 양 방향으로 갈라져서 연장되는 어퍼 서브 덕트(25)와 로어 서브 덕트(24)를 포함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20)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하측에서 상기 베이스(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는 사이드 덕트(23)와, 상기 어퍼 서브 덕트(25)의 어느 지점에서 상기 베이스(11)의 상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상기 사이드 덕트(23)에 연결되는 센터 서브 덕트(2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센터 서브 덕ㅌ으(26)는 서브 공급 덕트의 일 지점으로부터 연장되는 구조 외에,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일 지점에서 연장되는 구조도 가능함을 밝혀둔다.
상기 사이드 덕트(23)는 상기 베이스(11)의 측면부와 바닥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와 교차되는 방향으로 연장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양 단부는 상기 베이스(11)의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한다.
상기 베이스(11)의 측면부(112)에는 리드 스크류(60)가 장착되고, 상기 리드 스크류(60)는 상기 사이드 덕트(23)에 연결되어 상기 사이드 덕트(23)를 상기 베이스(11)의 길이 방향으로 직선 왕복 이동 가능하게 한다.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양 단부가 위치하는 상기 베이스(11)의 측면부는 장변측 두 측면부를 의미한다. 사이 사이드 덕트(23)는, 상기 바닥부(111)를 따라 상기 베이스(11)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다가, 상기 베이스(11)의 측면부(112) 형상을 따라 라운드지면서 상승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사이드 덕트(23)는 사용자의 허리에서 사용자의 머리 부분까지 이동 가능하게 설계될 수 있다.
상기 센터 서브 덕트(26)는, 상기 사이드 덕트(23)가 이동함에 따라 신장과 수축이 가능한 자바라 형태의 플렉서블 덕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방열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의 출구단에 위치하는 메인 방열 덕트(71)와, 일 단부가 상기 로어 서브 덕트(24)의 출구단에 위치하고 타 단부가 상기 어퍼 서브 덕트(25)의 출구단에 위치하는 서브 방열 덕트(74)와,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일측과 타측에서 각각 연장되는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와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를 포함한다.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는 상기 사이드 덕트(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에 연결되고,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는 상기 사이드 덕트(23)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베이스(11)의 바닥부(111) 쪽으로 절곡된다.
상기 메인 방열 덕트(71)의 출구(711)는 상기 베이스(11)의 메인 방열홀(1112)에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의 일 측면, 구체적으로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의 단부가 연결되는 측면의 반대 쪽 측면에서 배기 덕트(75)가 연장된다. 상기 배기 덕트(75)의 출구(751)는 상기 베이스(11)의 서브 방열홀(1113)에 연결된다.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의 출구(731)는 상기 사이드 방열홀(1114)에 연결된다.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와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도 상기 센터 서브 덕트(26)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렉서블 덕트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 로어 서브 덕트(24), 및 상기 어퍼 서브 덕트(25)의 출구단에는 상기 열전 모듈(50)이 장착된다.
상기 열전 모듈(50)을 구성하는 콜드 싱크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22), 로어 서브 덕트(24), 및 어퍼 서브 덕트(25) 각각의 내부에 놓여서, 상기 메인 팬(41)에 의하여 흡입된 실내 공기가 상기 코드 싱크와 열교환한 뒤 상기 매트리스(12) 쪽으로 토출되도록 한다.
상기 열전 모듈(50)을 구성하는 히트 싱크는 상기 방열 덕트들(71,72,73,74)의 내부에 놓이고, 상기 열전 모듈(50)을 구성하는 방열팬은 상기 방열 덕트들(71,72,73,74)의 외부에 놓인다. 그리고, 상기 방열팬은, 상기 베이스(11) 내부에 있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방열 덕트들(71,72,73,74) 내부로 공급한다. 상기 방열 덕트들(71,72,73,74) 내부로 공급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히트 싱크와 열교환한 뒤 상기 방열홀들(1112,1113,1114)을 통하여 실내로 다시 배출된다.
도 6은 도 3의 6-6을 따라 절개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종단면 사시도이다.
도6을 참조하면, 상기 센터 서브 덕트(26)는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대략 중앙 지점에 연결되고, 상기 센터 서브 덕트(26)와 상기 사이드 덕트(23)가 만나는 지점의 내부에는 서브 팬(42)이 설치된다.
상세히, 상기 서브 팬(42)의 작동에 따라, 상기 센터 서브 덕트(26)를 따라 공급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양 단부 쪽으로 나뉘어 흐르게 된다.
또한,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내부, 구체적으로 상기 서브 팬(42)으로부터 서로 반대 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되는 두 지점에 열전 유닛(50a)이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와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는 상기 두 개의 열전 유닛(50a)이 배치되는 지점에서 각각 연장된다.
상기 열전 유닛(50a)은, 열전 소자(51)와, 상기 열전 소자(51)의 저면에 결합되는 콜드 싱크(52)와, 상기 열전 소자(51)의 상면에 결합되는 히트 싱크(53)를 포함한다. 상기 히트 싱크(53)는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 및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의 입구측에 위치하여, 상기 히트 싱크(53)를 통과하는 실내 공기는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 및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3)를 따라 흐른다.
또한, 상기 콜드 싱크(52)를 통과한 실내 공기는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양 단부에 형성된 토출구(231)로 토출된다. 상기 토출구(231)로 토출되는 온풍 또는 냉풍은 상기 매트리스(12)의 양 측면을 따라 상승하여 매트리스와 이불 사이의 공간으로 확산된다.
도 7은 도 3의 7-7을 따라 절개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열전 유닛(50a)의 히트 싱크(53)를 통과하여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로 안내되는 공기는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로 유입된다.
도 8은 도 3의 8-8을 따라 절개되는 덕트 어셈블리의 종단면 절개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의 양 단부에는 열전 모듈(50)이 각각 장착된다.
상기 열전 모듈(50)은, 상술한 바와 같이, 열전 소자(51), 콜드 싱크(52), 히트 싱크(53), 및 방열팬(54)을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콜드 싱크(52)는 상기 로어 서브 덕트(24)와 어퍼 서브 덕트(25)의 내부에 각각 배치되고, 상기 히트 싱크(53)는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의 양 단부의 내부에 각각 배치된다. 그리고, 상기 방열팬(54)이 구동하면, 상기 베이스(11) 내부의 실내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53)를 통과한 후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의 내부 중앙으로 안내된다. 그리고, 상기 서브 방열 덕트(74)의 내부 중앙으로 안내되는 방열 공기는 상기 배기 덕트(75)를 통하여 실내 바닥으로 배출된다.
도 9는 도 7의 A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양 단부에는 토출 가이드(27)가 구비되고, 상기 토출 가이드(27)는 가이드 모터(28)에 의하여 회동 가능하다. 상기 토출 가이드(27)는 상기 사이드 덕트(23)의 토출구(231)를 선택적으로 개폐할 뿐만 아니라, 상기 토출 가이드(27)의 기울기에 따라 상기 토출구(231)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풍향이 가변된다.
일례로, 상기 토출 가이드(27)가 수직 상태에 가까운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토출구(231)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은 침대(10)의 측면의 상측을 향하여 토출된다. 반대로, 상기 토출 가이드(27)가 수평 상태에 가까운 각도로 회전하면, 상기 토출구(231)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은 매트리스(12)의 측면에 부딪힌 후 상기 매트리스(12)의 측면을 따라 상승하게 된다.
상기 사이드 덕트(23)는 상기 리드 스크류(60)의 작동에 의하여, 사용자의 허리와 머리 사이에서 왕복 이동 가능하며, 상기 사이드 덕트(23)가 이동함에 따라, 상기 센터 서브 덕트(26),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72), 및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72)는 신장 또는 수축된다.
또한, 상기 열전 모듈의 입구측, 구체적으로 콜드 싱크와 히트 싱크 중 어느 하나에 인접하는 위치에 PTC 히터와 같은 가열 장치가 설치되고, 온풍 모드에서 상기 열전 모듈은 꺼지고 상기 가열 장치가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가열 장치를 통과한 열은 상기 콜드 싱크와 히트 싱크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도록 유로가 설계될 수 있다. 그러면, 상기 가열 장치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가 상기 히트 싱크와 콜드 싱크 중 어느 하나만을 통과하면서 상기 열전 모듈을 구성하는 열전 소자의 일면과 타면 사이에 온도차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제벡 효과에 의하여 상기 열전 모듈에는 기전력이 발생하여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러한 전류는 상기 메인팬(41) 또는 서브팬(42)을 구동하는 동력원으로 활용하여, 소비 전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Claims (12)

  1. 매트리스;
    상기 매트리스를 지지하는 베이스; 및
    상기 베이스의 내부에 제공되어, 상기 매트리스 쪽으로 공기를 공급하는 덕트 어셈블리를 포함하는 침대에 있어서,
    상기 덕트 어셈블리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매트리스 쪽으로 공급하는 공급 덕트 어셈블리;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에 장착되어, 냉풍 또는 온풍을 발생하는 냉온풍 발생 장치;
    상기 열전 유닛과 열교환한 공기를 상기 베이스 외부로 안내하는 방열 덕트 어셈블리;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의 흡입구에 장착되는 필터를 포함하고,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메인 공급 덕트;
    상기 베이스의 폭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제공되는 사이드 덕트; 및
    상기 사이드 덕트를 상기 베이스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 수단을 포함하는 침대.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동 수단은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는 침대.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덕트의 토출구에 회동 가능하게 장착되어, 상기 토출구를 개폐하거나 상기 토출구를 통하여 토출되는 냉풍 또는 온풍의 유동 방향을 조절하는 토출 가이드를 더 포함하는 침대.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의 가장자리에서 상측으로 연장되는 측면부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덕트는 상기 베이스의 바닥부와 측면부를 따라 연장되며,
    상기 사이드 덕트의 양 단부는 상기 베이스의 상단에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부에는,
    실내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와,
    상기 열전 소자와 열교환된 공기가 상기 베이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하는 다수의 방열홀들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급 덕트 어셈블리는,
    일단에 상기 필터가 장착되고, 타단에 메인팬이 장착되는 흡입 덕트;
    상기 메인 공급 덕트의 일 측면에서 연장되는 서브 공급 덕트; 및
    상기 메인 공급 덕트와 상기 서브 공급 덕트 중 어느 하나와 상기 사이드 덕트를 연결하는 센터 서브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메인 공급 덕트는 상기 메인 팬의 토출구에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센터 서브 덕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서블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방열 덕트 어셈블리는,
    상기 메인 공급 덕트의 출구단 측에 제공되고, 토출구가 상기 다수의 방열홀들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메인 방열 덕트;
    상기 서브 공급 덕트의 출구단측에 배치되고, 일측에 배기 덕트가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방열홀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서브 방열 덕트와,
    상기 사이드 덕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서브 방열 덕트에 연결되는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와,
    상기 사이드 덕트에서 연장되어 상기 다수의 방열홀들 중 하나에 연결되는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침대.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와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는 길이 조절이 가능한 플렉서블 덕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발생 장치는,
    상기 사이드 덕트의 내부에 제공되는 열전 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열전 유닛은,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열전 소자의 흡열면에 접촉하는 콜드 싱크와,
    상기 열전 소자의 발열면에 접촉하는 히트 싱크를 포함하고,
    상기 열전 소자는, 상기 사이드 덕트의 내부에서 수평하게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와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는, 상기 사이드 덕트 내부로 연장되고,
    상기 히트 싱크는 상기 제 1 사이드 방열 덕트와 상기 제 2 사이드 방열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냉온풍 발생 장치는,
    상기 열전 소자와,
    상기 열전 소자의 흡열면 접촉하고, 상기 메인 공급 덕트와 상기 서브 공급 덕트를 구성하는 덕트의 내부에 각각 놓이는 콜드 싱크와,
    상기 열전 소자의 발열면에 접촉하고, 상기 메인 방열 덕트와 상기 서브 방열 덕트를 구성하는 덕트의 내부에 각각 놓이는 히트 싱크와,
    상기 히트 싱크측에 결합되어, 상기 베이스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여 상기 메인 방열 덕트 및 상기 서브 방열 덕트 내부로 공급하는 방열팬을 포함하는 열전 모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침대.

KR1020220118627A 2022-09-20 2022-09-20 침대 KR2024003981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27A KR20240039815A (ko) 2022-09-20 2022-09-20 침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8627A KR20240039815A (ko) 2022-09-20 2022-09-20 침대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815A true KR20240039815A (ko) 2024-03-27

Family

ID=904806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8627A KR20240039815A (ko) 2022-09-20 2022-09-20 침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81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672A (ko) 2020-04-07 2021-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10124672A (ko) 2020-04-07 2021-10-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침대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908688B2 (en) Portable ventilation system
ES2687243T3 (es) Convector ventilador
JP5460921B2 (ja) 浴室乾燥機
KR102623103B1 (ko) 열전모듈이 구비된 발판
CN107003017A (zh) 局部个人空调系统
CN108488910A (zh)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JP4697107B2 (ja) 空調機付きベッド
KR20240039815A (ko) 침대
KR20240039809A (ko) 침대
CN206488414U (zh) 集装箱建筑风道装置
CN100453910C (zh) 天花板型空调机
KR200413011Y1 (ko) 냉온풍 기능이 구비된 매트리스
US4384189A (en) Convection radiator
CN207945800U (zh) 空调器室内机及空调器
CN210035670U (zh) 一种双风叶加湿取暖器
KR101985817B1 (ko) 전후 에어플로를 가지는 바디 드라이어
WO2006030827A1 (ja) 睡眠カプセル
JP4385870B2 (ja) 空気調和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睡眠カプセル
CN221035908U (zh) 取暖器
CN215929717U (zh) 一种暖风机
CN216620037U (zh) 风机系统以及空调器
CN214258262U (zh) 一种手柄进风式吹风机
CN217389661U (zh) 多功能吹水机
CN219550678U (zh) 一种空调器室内机
KR20100009876U (ko) 송풍수단을 구비하는 매트리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