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9275A - 소독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소독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9275A
KR20240039275A KR1020220117624A KR20220117624A KR20240039275A KR 20240039275 A KR20240039275 A KR 20240039275A KR 1020220117624 A KR1020220117624 A KR 1020220117624A KR 20220117624 A KR20220117624 A KR 20220117624A KR 20240039275 A KR20240039275 A KR 202400392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t
parts
extract
disinfectant composition
ingredi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6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민귀
Original Assignee
김민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민귀 filed Critical 김민귀
Priority to KR10202201176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9275A/ko
Publication of KR202400392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9275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2Glycosides, e.g. rut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10Washing or bath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2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the composition as a whole
    • A61K2800/30Characterized by the absence of a particular group of ingredi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Dermatology (AREA)
  • Zo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es Containing Material From Animals Or Micro-Organism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여 높은 살균 소독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가 뛰어난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소독제 조성물{Disinfectant composition}
본 발명은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여 높은 살균 소독 효과를 나타내면서도,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가 뛰어난 소독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손 소독제는 물로 손을 씻는 것을 대신하는 대용제로, 최근 코로나바이러스감염증-19(COVID-19)가 유행함에 따라 개인 위생 용품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손 소독제는 살균 및 소독을 위한 성분으로서 다량의 에탄올을 포함한다. 그러나 에탄올을 주성분으로 사용한 손 소독제는 자극적인 냄새가 있어 사용감이 떨어지고, 피부에 자극 및 건조를 유발하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한국등록특허 10-2115133호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으면서도 우수한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어 손 소독제 등의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소독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추출물;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및 마데카소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제3 성분으로서, 아스코빅애씨드, 자몽추출물, 오렌지추출물, 탱자추출물, 및 당귤껍질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이때, 상기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는, 제1 성분 0.1 내지 5 중량부; 제2 성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제3 성분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는, 제1 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아시아티코사이드 0.1 내지 1 중량부, 아시아틱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마데카식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및 마데카소사이드 0.1 내지 1 중량부; 및 제3 성분으로서, 아스코빅애씨드 0.5 내지 2 중량부, 자몽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오렌지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탱자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당귤껍질오일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독제 조성물은, 정제수,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폴리라이신, 폴리솔베이트20, 베르가모트추출물, 카보머, 알진,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 상기 소독제 조성물은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다양한 천연 유래 성분으로 인해 우수한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며, 나아가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상기 소독제 조성물은 살균 소독 효과와 동시에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등 피부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개인 위생 용품, 예를 들어 손 소독제 등의 용도로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기재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추출물(extract)”은 목적하는 물질을 용매에 침지한 후 상온, 저온 또는 가온 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 성분 내지 상기 액상 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을 의미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정제물 등을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의 추출 조건 및 방법은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법에 따라 추출된 추출물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제1 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추출물;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및 마데카소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제3 성분으로서, 아스코빅애씨드, 자몽추출물, 오렌지추출물, 탱자추출물, 및 당귤껍질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자들은 악취가 있고 피부 자극을 유발하는 에탄올 대신,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능을 갖는 천연 유래 성분을 이용한 소독제 조성물을 개발하기 위하여 연구를 거듭하였다. 그 결과, 상기 제1 성분, 제2 성분, 및 제3 성분이 조합되었을 때, 다양한 균주에 대하여 우수한 항균 및 항바이러스 특성을 가지는 동시에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상기 제1 성분인 프로폴리스추출물은 다양한 플라보노이드 성분을 포함하여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내며, 피부 진정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제1 성분은,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0.3 중량부 이상, 또는 0.5 중량부 이상이면서, 5 중량부 이하, 3 중량부 이하, 또는 1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2 성분은 병풀(Centella asiatica) 유래 성분으로서, 항균 및 항염 효과가 있으며 피부 영양 공급에 도움을 준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성분은 병풀추출물,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및 마데카소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일 수 있다.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및 마데카소사이드는 병풀추출물에 포함된 유효성분이므로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을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있으나, 효과를 더욱 극대화하기 위하여 상기 유효성분을 추가로 배합하여 제2 성분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2 성분은 병풀추출물을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제2 성분은 병풀추출물,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및 마데카소사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성분은,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 중량부 이상, 0.5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또는 3 중량부 이상이면서, 10 중량부 이하, 8 중량부 이하, 6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제3 성분은 아스코빅애씨드(Ascorbic Acid), 즉, 비타민 C를 포함하는 성분으로서, 항균 및 항염 효과를 나타내며, 항산화 물질로서 피부 탄력 개선 등 컨디셔닝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제3 성분으로는 아스코빅애씨드, 자몽추출물, 오렌지추출물, 탱자추출물, 및 당귤껍질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3 성분은 아스코빅애씨드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일 구현예에서, 상기 제3 성분은 아스코빅애씨드, 자몽추출물, 오렌지추출물, 탱자추출물, 및 당귤껍질오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3 성분은,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0.5 중량부 이상, 1 중량부 이상, 1.5 중량부 이상, 또는 3 중량부 이상이면서, 15 중량부 이하, 10 중량부 이하, 7.5 중량부 이하, 또는 5 중량부 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르면, 상기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는 제1 성분 0.1 내지 5 중량부; 제2 성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제3 성분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성분이 상기 함량 범위를 만족하는 경우, 항균, 항염, 항바이러스 효과가 우수하게 나타나면서도,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를 동시에 줄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는, 제1 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아시아티코사이드 0.1 내지 1 중량부, 아시아틱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마데카식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및 마데카소사이드 0.1 내지 1 중량부; 및 제3 성분으로서, 아스코빅애씨드 0.5 내지 2 중량부, 자몽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오렌지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탱자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당귤껍질오일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소독제 조성물은 상술한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 외에, 통상 소독제 조성물에 사용되는 용매,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용매 및 첨가제의 종류와 함량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업계에 널리 알려진 용매 및 첨가제가 필요에 따라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용매로는 정제수, 1,2-헥산다이올, 및 이들의 조합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첨가제로는 보습제, 피부 컨디셔닝제, 방부제, 계면활성제, 점증제, pH 조절제, 및 킬레이트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이 사용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구현예에 따른 소독제 조성물은, 상기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 외에, 정제수,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폴리라이신, 폴리솔베이트20, 베르가모트추출물, 카보머, 알진,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글리세린은 5 내지 20 중량부, 1,2-헥산다이올은 1 내지 5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은 1 내지 5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은 1 내지 5 중량부, 에칠헥실글리세린은 1 내지 5 중량부, 폴리라이신은 1 내지 5 중량부, 폴리솔베이트20은 1 내지 5 중량부, 베르가모트추출물은 0.5 내지 2 중량부, 카보머는 0.1 내지 1 중량부, 알진은 0.1 내지 1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는 0.01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정제수는 주 용매로서, 상기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 및 상술한 각종 첨가제를 제외한 잔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일례로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에 대해 60 내지 8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즉, 상기 소독제 조성물에서 에탄올 검출량은 0.1 μg/g 이하, 또는 0.05 μg/g이하일 수 있고, 또는, 0 μg/g 일 수 있다. 이와 같이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음에도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상기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을 동시에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
상기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는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상술한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과, 용매 및 필요에 따라 첨가되는 기타 첨가제를 당업계에 알려진 방법으로 혼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이때, 각 성분의 혼합 순서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나, 일례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매에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을 첨가하고 혼합하여 제1 혼합물을 제조하고, 별도로 용매에 첨가제를 혼합하여 제2 혼합물을 제조한 다음, 상기 제1 혼합물 및 제2 혼합물을 혼합하여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 상기 소독제 조성물이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 정제수,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폴리라이신, 폴리솔베이트20, 베르가모트추출물, 카보머, 알진, 디소듐이디티에이를 포함하는 것일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은 방법에 따라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원료의 배합 순서와 조건을 달리하여 다양한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을 동시에 포함함에 따라 우수한 항균, 항염, 및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은 모두 천연 성분으로서 인체에 친화적일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및 영양 공급 효과까지 줄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살균 소독 효과와 동시에 피부 개선 효과를 부여할 수 있어, 개인 위생 용품, 예를 들어 손 소독제 등의 용도로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내용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소독제 조성물의 제조
정제수 65.13 중량부, 글리세린 10 중량부, 1,2-헥산다이올 2.8 중량부, 부틸렌글라이콜 2.5 중량부, 카프릴릴글라이콜 2.5 중량부, 에칠헥실글리세린 2.5 중량부, 폴리라이신 2.1 중량부, 폴리솔베이트20 2 중량부, 베르가모트 추출물 1.5 중량부, 자몽 추출물 1.3 중량부, 오렌지 추출물 1.1 중량부, 아스코빅애씨드 1 중량부, 병풀 추출물 0.68 중량부, 아시아티코사이드 0.65 중량부, 아시아틱애씨드 0.65 중량부, 마데카식애씨드 0.65 중량부, 마데카소사이드 0.65 중량부, 프로폴리스 추출물 0.65 중량부, 탱자 추출물 0.6 중량부, 카보머 0.5 중량부, 알진 0.45 중량부, 당귤껍질오일 0.05 중량부, 디소듐이디티에이 0.04 중량부를 도 2와 같은 단계를 거쳐 혼합하여 소독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실험예: 살균력 테스트
다음의 방법으로 상기 실시예 1의 소독제 조성물에 대한 살균력 테스트를 진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에 기재하였다.
1) 접종균주:
- 대장균(Escherichia coli)
- 황색포도상구균(Staphylococcus aureus)
- 살모넬라균(Salmonella typhimurium)
2) 시험법 근거: 외용 소독제(의약외품) 효력평가법 가이드라인(2014)
3) 시험액: 샘플(실시예 1의 조성물) 1 mL(g) : 시험 균액 0.1 mL
4) 대조시험액: PBS (Phosphate Buffer Saline) 1 mL : 시험 균액 0.1 mL
5) 샘플과 각각의 시험 균액을 혼합 후 5분 경과 뒤 Spreading하여 배양
- 시료 채취량: 1 mL
- 생균수를 측정하기 위하여 10 fold serial dilution하고 희석액을 각각 0.1 mL 취하여 Spreading하여 배양
-TSA 배지를 사용하여 37 ℃에서 22 ± 2시간 배양
6) 샘플과 같은 방법으로 대조시험액 시험
7) Colony count
8) 살균력은 아래의 공식에 따라 백분율로 나타냄
살균력(%) = (A-B) / A * 100
상기 식에서, A는 대조시험액으로부터의 균 수, B는 일정시간 접촉 후 시험액으로부터의 균 수를 나타낸다.
시험균주 접촉시간 균수(CFU/mL) 살균력(%)
대조시험액(A) 시험액(B)
대장균
(Escherichia coli)
5분 5.5 * 105 <10 99.99
황색포도상구균
(Staphylococcus aureus)
5분 1.7 * 105 <10 99.99
살모넬라균
(Salmonella typhimurium)
5분 3.1 * 105 <10 99.99
상기 실험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소독제 조성물은 상술한 제1 성분 내지 제3 성분을 포함함에 따라, 에탄올을 전혀 포함하지 않음에도 다양한 균주에 대해 99.99%의 우수한 살균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Claims (5)

  1. 제1 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추출물;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 아시아티코사이드, 아시아틱애씨드, 마데카식애씨드, 및 마데카소사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 및
    제3 성분으로서, 아스코빅애씨드, 자몽추출물, 오렌지추출물, 탱자추출물, 및 당귤껍질오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는,
    제1 성분 0.1 내지 5 중량부;
    제2 성분 0.1 내지 10 중량부; 및
    제3 성분 0.5 내지 15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소독제 조성물 100 중량부는,
    제1 성분으로서, 프로폴리스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제2 성분으로서, 병풀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아시아티코사이드 0.1 내지 1 중량부, 아시아틱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마데카식애씨드 0.1 내지 1 중량부, 및 마데카소사이드 0.1 내지 1 중량부; 및
    제3 성분으로서, 아스코빅애씨드 0.5 내지 2 중량부, 자몽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오렌지추출물 0.5 내지 2 중량부, 탱자추출물 0.1 내지 1 중량부, 및 당귤껍질오일 0.01 내지 0.5 중량부를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정제수, 글리세린, 1,2-헥산다이올, 부틸렌글라이콜, 카프릴릴글라이콜, 에칠헥실글리세린, 폴리라이신, 폴리솔베이트20, 베르가모트추출물, 카보머, 알진, 디소듐이디티에이를 더 포함하는 소독제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에탄올을 포함하지 않는 소독제 조성물.
KR1020220117624A 2022-09-19 2022-09-19 소독제 조성물 KR2024003927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624A KR20240039275A (ko) 2022-09-19 2022-09-19 소독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624A KR20240039275A (ko) 2022-09-19 2022-09-19 소독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9275A true KR20240039275A (ko) 2024-03-26

Family

ID=904731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624A KR20240039275A (ko) 2022-09-19 2022-09-19 소독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927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133B1 (ko) 2020-03-11 2020-05-25 윤영복 전염병 방지용 손 소독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5133B1 (ko) 2020-03-11 2020-05-25 윤영복 전염병 방지용 손 소독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38427B (zh) 一种洗发香波
KR101955683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친환경 손소독제 조성물
KR101651530B1 (ko) 약초추출물을 이용한 여성청결제 제조방법
KR20200063516A (ko) 발모 및 두피 개선을 위한 천연기능성 샴푸 및 그의 제조방법
EP2929873A1 (en) Skin cleansing compositions
KR20190042883A (ko) 반려동물 피모 관리용 조성물
CN111759885A (zh) 一种苦参组合物、苦参凝胶及其制备方法
WO2019029859A1 (de) Zusammensetzung zur pflege des intim- oder vaginalbereichs
CN108542805B (zh) 祛痘复方精油制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0668290B1 (ko) 아토피 피부의 개선 효과를 갖는 애기수영 및/또는 대황추출물 함유 화장료 조성물
KR102394531B1 (ko) 카프릴릭/카프릭 글리세라이드를 함유하는 방부제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40039275A (ko) 소독제 조성물
KR101584065B1 (ko) 화산석 송이 복합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28770B1 (ko) 로즈마리 추출물 및 아스코르브산류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20170065187A (ko) 티트리 잎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50787B1 (ko) 한방 여성청결제
KR101578595B1 (ko) 연잎 추출물을 함유한 손 소독제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20817A (ko) 망고스틴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드름 원인균에 대한 항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의 예방 또는 치료용 제제
KR20170047515A (ko) 그라비올라 항균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활력 증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10897950A (zh) 一种具有抗炎保湿和美白功效的面膜及其制备方法
CN110613646A (zh) 一种含大麻提取物的洁面泡泡及其制备方法
JP2012121863A (ja) 抗炎症剤
KR102507175B1 (ko) 세이지 추출물, 소목 추출물, 어성초 추출물, 로즈마리 추출물, 마늘 추출물, 및 황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3715B1 (ko) 피지억제 및 안정성이 우수한 약산성 저점도 화장료 조성물
KR102483697B1 (ko) 생물막 생성의 저해, 여드름의 완화 및 항염 성분이 포함된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