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715A - 통신 시스템 - Google Patents

통신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715A
KR20240038715A KR1020247003184A KR20247003184A KR20240038715A KR 20240038715 A KR20240038715 A KR 20240038715A KR 1020247003184 A KR1020247003184 A KR 1020247003184A KR 20247003184 A KR20247003184 A KR 20247003184A KR 20240038715 A KR20240038715 A KR 202400387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tation
encoding
model
data
communi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31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다히로 시모다
미츠루 모치즈키
나오후미 이와야마
다츠야 도쿠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387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715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413MIMO systems
    • H04B7/0417Feedbac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4Architecture, e.g. interconnection topolog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88Non-supervised learning, e.g. competitive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Supervised lear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N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SPECIFIC COMPUTATIONAL MODELS
    • G06N3/00Computing arrangements based on biological models
    • G06N3/02Neural networks
    • G06N3/08Learning methods
    • G06N3/092Reinforcement learn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02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 H04B7/04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 H04B7/06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 H04B7/0613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 H04B7/0615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 H04B7/0619Diversity systems; Multi-antenna system, i.e. transmission or reception using multiple antennas using two or more spaced independent antennas at the transmitting station using simultaneous transmission of weighted versions of same signal using feedback from receiving side
    • H04B7/0621Feedback content
    • H04B7/0626Channel coefficients, e.g. channel state information [CSI]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16Central resource management; Negotiation of resources or communication parameters, e.g. negotiating bandwidth or QoS [Quality of Service]
    • H04W28/18Negotiating wireless communication parameter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60General implementation details not specific to a particular type of compression
    • H03M7/6052Synchronisation of encoder and decod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rtificial Intellig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통신 시스템은,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를 행하는 통신 단말과, 부호화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부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기지국을 포함하고, 부호화 모델은, 통신 단말과 기지국의 사이의 채널 상태에 관한 데이터인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부호화를 행하고, 기지국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실행하여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생성하고, 부호화 모델의 학습 결과를 통신 단말에 통지한다.

Description

통신 시스템
본 개시는,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이다.
이동체 통신 시스템의 규격화 단체인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에 있어서, 무선 구간에 대해서는 롱 텀 에볼루션(Long Term Evolution: LTE)이라 칭하고, 코어 네트워크 및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이하, 통칭하여, 네트워크라고도 칭한다)를 포함시킨 시스템 전체 구성에 대해서는, 시스템 아키텍처 에볼루션(System Architecture Evolution: SAE)이라 칭하여지는 통신 방식이 검토되고 있다(예컨대, 비특허문헌 1~5). 이 통신 방식은 3.9G(3.9 Generation) 시스템이라고도 불린다.
LTE의 액세스 방식으로서는, 다운링크 방향은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업링크 방향은 SC-FDMA(Single Carrier Frequency Division Multiple Access)가 이용된다. 또한, LTE는,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와는 다르게, 회선 교환을 포함하지 않고, 패킷 통신 방식만을 포함한다.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된, 3GPP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프레임 구성에 관한 결정 사항에 대하여, 도 1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에 있어서, 1개의 무선 프레임(Radio frame)은 10㎳이다. 무선 프레임은 10개의 같은 크기의 서브프레임(Subframe)으로 분할된다. 서브프레임은, 2개의 같은 크기의 슬롯(slot)으로 분할된다. 무선 프레임마다 1번째 및 6번째의 서브프레임에 다운링크 동기 신호(Downlink Synchronization Signal)가 포함된다. 동기 신호에는, 제 1 동기 신호(Primary Synchronization Signal: P-SS)와, 제 2 동기 신호(Secondary Synchronization Signal: S-SS)가 있다.
3GPP에서의,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채널 구성에 관한 결정 사항이,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되어 있다.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에 있어서도 non-CSG 셀과 동일한 채널 구성이 이용되는 것으로 상정되어 있다.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hysical Broadcast Channel: PBCH)은, 기지국 장치(이하, 간단히 "기지국"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로부터 이동 단말 장치(이하, 간단히 "이동 단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의 통신 단말 장치(이하, 간단히 "통신 단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로의 다운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BCH 트랜스포트 블록(transport block)은, 40㎳ 간격으로 4개의 서브프레임에 매핑된다. 40㎳ 타이밍의 명백한 시그널링은 없다.
물리 제어 포맷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 PCFI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CFICH는, PDCCHs를 위해 이용하는 OFDM(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심볼의 수를,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 통지한다. PCFICH는, 서브프레임마다 송신된다.
물리 다운링크 제어 채널(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 PDC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DCCH는, 후술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하나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의 리소스 할당(allocation) 정보, 후술하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하나인 페이징 채널(Paging Channel: PCH)의 리소스 할당(allocation) 정보, DL-SCH에 관한 HARQ(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정보를 통지한다. PDCCH는, 업링크 스케줄링 그랜트(Uplink Scheduling Grant)를 운반한다. PDCCH는, 업링크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Acknowledgement)/Nack(Negative Acknowledgement)를 운반한다. PDCCH는, L1/L2 제어 신호라고도 불린다.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PDS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DSCH에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 및 트랜스포트 채널인 PCH가 매핑되어 있다.
물리 멀티캐스트 채널(Physical Multicast Channel: PM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MCH에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 MCH)이 매핑되어 있다.
물리 업링크 제어 채널(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 PUCCH)은,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UCCH는, 다운링크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response signal)인 Ack/Nack를 운반한다. PUCCH는, CSI(Channel State Information)를 운반한다. CSI는, RI(Rank Indicator), PMI(Precoding Matrix Indicator), CQI(Channel Quality Indicator) 리포트로 구성된다. RI란, MIMO에 있어서의 채널 행렬의 랭크 정보이다. PMI란, MIMO에서 이용하는 프리코딩 웨이트 행렬의 정보이다. CQI란, 수신한 데이터의 품질, 또는 통신로 품질을 나타내는 품질 정보이다. 또한 PUCCH는, 스케줄링 리퀘스트(Scheduling Request: SR)를 운반한다.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 PUSCH)은,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USCH에는, 트랜스포트 채널의 하나인 업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이 매핑되어 있다.
물리 HARQ 인디케이터 채널(Physical Hybrid ARQ Indicator Channel: PHICH)은, 기지국으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다운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HICH는, 업링크 송신에 대한 응답 신호인 Ack/Nack를 운반한다.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 PRACH)은, 통신 단말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업링크 송신용의 채널이다. PRACH는, 랜덤 액세스 프리앰블(random access preamble)을 운반한다.
다운링크 참조 신호(레퍼런스 시그널(Reference Signal): RS)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알려진 심볼이다. 이하의 5종류의 다운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이 정의되어 있다. 셀 고유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 MBSFN 참조 신호(MBSFN Reference Signal), UE 고유 참조 신호(UE-specific Reference Signal)인 데이터 복조용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위치 결정 참조 신호(Positioning Reference Signal: PRS), 채널 상태 정보 참조 신호(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CSI-RS)이다. 통신 단말의 물리 레이어의 측정으로서, 레퍼런스 시그널의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 측정이 있다.
업링크 참조 신호에 대해서도 동일하게,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알려진 심볼이다. 이하의 2종류의 업링크 레퍼런스 시그널이 정의되어 있다. 데이터 복조용 참조 신호(Demodulation Reference Signal: DM-RS), 사운딩용 참조 신호(Sounding Reference Signal: SRS)이다.
비특허문헌 1(5장)에 기재된 트랜스포트 채널(Transport Channel)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운링크 트랜스포트 채널 중, 브로드캐스트 채널(Broadcast Channel: BCH)은, 그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에 브로드캐스트된다. BCH는, 물리 브로드캐스트 채널(PBCH)에 매핑된다.
다운링크 공유 채널(Downlink Shared Channel: DL-SCH)에는, HARQ(Hybrid ARQ)에 의한 재송 제어가 적용된다. DL-SCH는,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로의 브로드캐스트가 가능하다. DL-SCH는, 다이내믹 혹은 준정적(Semi-static)인 리소스 할당을 서포트한다. 준정적인 리소스 할당은, 퍼시스턴트 스케줄링(Persistent Scheduling)이라고도 한다. DL-SCH는, 통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줄이기 위해 통신 단말의 간헐 수신(Discontinuous reception: DRX)을 서포트한다. DL-SCH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에 매핑된다.
페이징 채널(PagingChannel: PCH)은, 통신 단말의 소비 전력을 줄일 수 있게 하기 위해 통신 단말의 DRX를 서포트한다. PCH는,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로의 브로드캐스트가 요구된다. PCH는, 동적으로 트래픽에 이용할 수 있는 물리 다운링크 공유 채널(PDSCH)과 같은 물리 리소스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채널(Multicast Channel: MCH)은, 기지국(셀)의 커버리지 전체로의 브로드캐스트에 사용된다. MCH는, 멀티 셀 송신에 있어서의 MBMS(Multimedia Broadcast Multicast Service) 서비스(MTCH와 MCCH)의 SFN 합성을 서포트한다. MCH는, 준정적인 리소스 할당을 서포트한다. MCH는, PMCH에 매핑된다.
업링크 트랜스포트 채널 중, 업링크 공유 채널(Uplink Shared Channel: UL-SCH)에는, HARQ(Hybrid ARQ)에 의한 재송 제어가 적용된다. UL-SCH는, 다이내믹 혹은 준정적(Semi-static)인 리소스 할당을 서포트한다. UL-SCH는, 물리 업링크 공유 채널(PUSCH)에 매핑된다.
랜덤 액세스 채널(Random Access Channel: RACH)은, 제어 정보로 제한되어 있다. RACH는, 충돌의 리스크가 있다. RACH는, 물리 랜덤 액세스 채널(PRACH)에 매핑된다.
HARQ에 대하여 설명한다. HARQ란, 자동 재송 요구(Automatic Repeat reQuest: ARQ)와 오류 정정(Forward Error Correction)의 조합에 의해, 전송로의 통신 품질을 향상시키는 기술이다. HARQ에는, 통신 품질이 변화하는 전송로에 대해서도, 재송에 의해 오류 정정이 유효하게 기능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특히, 첫 번째 전송의 수신 결과와 재송의 수신 결과를 합성함으로써, 재송의 품질을 더욱 향상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재송의 방법의 일례를 설명한다. 수신 측에서,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드할 수 없었던 경우, 다시 말해서 CRC(Cyclic Redundancy Check) 에러가 발생한 경우(CRC=NG), 수신 측으로부터 송신 측으로 "Nack"를 송신한다. "Nack"를 수신한 송신 측은, 데이터를 재송한다. 수신 측에서, 수신 데이터를 정확하게 디코드할 수 있었던 경우, 다시 말해서 CRC 에러가 발생하지 않는 경우(CRC=OK), 수신 측으로부터 송신 측에 "Ack"를 송신한다. "Ack"를 수신한 송신 측은 다음의 데이터를 송신한다.
비특허문헌 1(6장)에 기재된 논리 채널(로지컬 채널: Logical Channel)에 대하여 설명한다.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Broadcast Control Channel: BCCH)은, 브로드캐스트 시스템 제어 정보를 위한 다운링크 채널이다. 논리 채널인 B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브로드캐스트 채널(BCH), 혹은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페이징 제어 채널(Paging Control Channel: PCCH)은, 페이징 정보(Paging Information) 및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의 변경을 송신하기 위한 다운링크 채널이다. PCCH는, 통신 단말의 셀 로케이션을 네트워크가 모르는 경우에 이용된다. 논리 채널인 P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페이징 채널(PCH)에 매핑된다.
공유 제어 채널(Common Control Channel: CCCH)은, 통신 단말과 기지국의 사이의 송신 제어 정보를 위한 채널이다. CCCH는, 통신 단말이 네트워크와의 사이에서 RRC 접속(connection)을 갖고 있지 않은 경우에 이용된다. 다운링크 방향에서는, C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업링크 방향에서는, C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업링크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제어 채널(Multicast Control Channel: MCCH)은, 일대다의 송신을 위한 다운링크 채널이다. MCCH는,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1개 혹은 여러 개의 MTCH용의 MBMS 제어 정보의 송신을 위해 이용된다. MCCH는, MBMS를 수신 중인 통신 단말에서만 이용된다. M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멀티캐스트 채널(MCH)에 매핑된다.
개별 제어 채널(Dedicated Control Channel: DCCH)은, 일대일로, 통신 단말과 네트워크의 사이의 개별 제어 정보를 송신하는 채널이다. DCCH는, 통신 단말이 RRC 접속(connection)인 경우에 이용된다. DCCH는, 업링크에서는 업링크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되고, 다운링크에서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개별 트래픽 채널(Dedicated Traffic Channel: DTCH)은, 유저 정보의 송신을 위한 개별 통신 단말로의 일대일 통신의 채널이다. DTCH는, 업링크 및 다운링크 모두에 존재한다. DTCH는, 업링크에서는 업링크 공유 채널(UL-SCH)에 매핑되고, 다운링크에서는 다운링크 공유 채널(DL-SCH)에 매핑된다.
멀티캐스트 트래픽 채널(Multicast Traffic Channel: MTCH)은, 네트워크로부터 통신 단말로의 트래픽 데이터 송신을 위한 다운링크 채널이다. MTCH는, MBMS를 수신 중인 통신 단말에서만 이용되는 채널이다. MTCH는, 멀티캐스트 채널(MCH)에 매핑된다.
CGI란, 셀 글로벌 식별자(Cell Global Identifier)이다. ECGI란, E-UTRAN 셀 글로벌 식별자(E-UTRAN Cell Global Identifier)이다. LTE, 후술하는 LTE-A(Long Term Evolution Advanced) 및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 System)에 있어서, CSG(Closed Subscriber Group) 셀이 도입된다.
통신 단말의 위치 추적은, 1개 이상의 셀로 이루어지는 구역을 단위로 행하여진다. 위치 추적은, 대기 상태이더라도 통신 단말의 위치를 추적하고, 통신 단말을 호출하는, 다시 말해서 통신 단말이 착신 호출을 수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행하여진다. 이 통신 단말의 위치 추적을 위한 구역을 트래킹 에리어라고 부른다.
또한 3GPP에서는, 릴리스 10으로서, 롱 텀 에볼루션 어드밴스트(Long Term Evolution Advanced: LTE-A)의 규격 책정이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 비특허문헌 4 참조). LTE-A는, LTE의 무선 구간 통신 방식을 기본으로 하고, 그것에 몇 가지의 신기술을 추가하여 구성된다.
LTE-A 시스템에서는, 100㎒까지의 보다 넓은 주파수 대역폭(transmission bandwidths)을 서포트하기 위해, 2개 이상의 컴포넌트 캐리어(Component Carrier: CC)를 집약하는("어그리게이션(aggregation)한다"고도 칭한다), 캐리어 어그리게이션(Carrier Aggregation: CA)이 검토되고 있다. CA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CA가 구성되는 경우, 통신 단말인 UE는 네트워크(Network: NW)와 유일한 RRC 접속(RRC connection)을 갖는다. RRC 접속에 있어서, 1개의 서빙 셀이 NAS 모빌리티 정보와 시큐리티 입력을 제공한다. 이 셀을 프라이머리 셀(Primary Cell: PCell)이라고 부른다. 다운링크에서, P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다운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Down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DL PCC)이다. 업링크에서, P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업링크 프라이머리 컴포넌트 캐리어(Uplink Primary Component Carrier: UL PCC)이다.
UE의 능력(케이퍼빌리티(capability))에 따라, 세컨더리 셀(Secondary Cell: SCell)이, PCell과 함께, 서빙 셀의 세트를 형성하기 위해 구성된다. 다운링크에서, S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다운링크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Downlink Secondary Component Carrier: DL SCC)이다. 업링크에서, SCell에 대응하는 캐리어는, 업링크 세컨더리 컴포넌트 캐리어(Uplink Secondary Component Carrier: UL SCC)이다.
1개의 PCell과 1개 이상의 SCell로 이루어지는 서빙 셀의 세트가, 1개의 UE에 대하여 구성된다.
또한, LTE-A에서의 신기술로서는, 보다 넓은 대역을 서포트하는 기술(Wider bandwidth extension), 및 다지점 협조 송수신(Coordinated Multiple Point transmission and reception: CoMP) 기술 등이 있다. 3GPP에서 LTE-A를 위해 검토되고 있는 CoMP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또한, 3GPP에 있어서, 장래의 방대한 트래픽에 대응하기 위해, 스몰 셀을 구성하는 스몰 eNB(이하 "소규모 기지국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를 이용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다수의 스몰 eNB를 설치하여, 다수의 스몰 셀을 구성하는 것에 의해,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여, 통신 용량의 증대를 도모하는 기술 등이 검토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UE가 2개의 eNB와 접속하여 통신을 행하는 듀얼 커넥티비티(Dual Connectivity: DC라 약칭된다) 등이 있다. DC에 대해서는, 비특허문헌 1에 기재되어 있다.
듀얼 커넥티비티(DC)를 행하는 eNB 중, 한쪽을 "마스터 eNB(MeNB라 약칭된다)"라고 하고, 다른 쪽을 "세컨더리 eNB(SeNB라 약칭된다)"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모바일 네트워크의 트래픽의 양은, 증가 경향에 있고, 통신 속도도 고속화가 진행되고 있다. LTE 및 LTE-A가 본격적으로 운용을 개시하면, 통신 속도가 더 고속화될 것이 예상된다.
또한, 고도화하는 이동체 통신에 대하여, 2020년 이후에 서비스를 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한 제 5 세대(이하 "5G"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무선 액세스 시스템이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유럽에서는, METIS라고 하는 단체에서 5G의 요구 사항을 정리하고 있다(비특허문헌 5 참조).
5G 무선 액세스 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에 비하여, 시스템 용량은 1000배, 데이터의 전송 속도는 100배, 데이터의 처리 지연은 10분의 1(1/10), 통신 단말의 동시 접속 수는 100배로 하여, 소비 전력의 추가 저감, 및 장치 비용 절감을 실현하는 것이 요건으로서 예시되고 있다.
이와 같은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3GPP에서는, 릴리스 15로서, 5G의 규격 검토가 진행되고 있다(비특허문헌 6~19 참조). 5G의 무선 구간의 기술은 "New Radio Access Technology"라 칭하여진다("New Radio"는 "NR"이라 약칭된다).
NR 시스템은,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검토가 진행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으로부터의 변경 및 추가가 행하여지고 있다.
NR의 액세스 방식으로서는, 다운링크 방향은 OFDM, 업링크 방향은 OFDM, DFT-s-OFDM(DFT-spread-OFDM)이 이용된다.
NR에서는, 전송 속도 향상, 처리 지연 저감을 위해, LTE에 비하여 높은 주파수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NR에 있어서는, 좁은 빔 형상의 송수신 범위를 형성하고(빔 포밍) 빔의 방향을 변화시켜(빔 스위핑), 셀 커버리지의 확보를 도모할 수 있다.
NR의 프레임 구성에 있어서는, 다양한 서브캐리어 간격, 즉, 다양한 뉴머롤로지(Numerology)가 서포트되고 있다. NR에 있어서는, 뉴머롤로지에 상관없이, 1개의 서브프레임은 1밀리초이고, 또한, 1개의 슬롯은 14개의 심볼로 구성된다. 또한, 1개의 서브프레임에 포함되는 슬롯의 수는, 서브캐리어 간격 15㎑의 뉴머롤로지에 있어서는 1개이고, 다른 뉴머롤로지에 있어서는, 서브캐리어 간격에 비례하여 많아진다(비특허문헌 13(3GPP TS 38.211) 참조).
NR에 있어서의 다운링크 동기 신호는, 동기 신호 버스트(Synchronization Signal Burst: 이하, SS 버스트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로서, 소정의 주기로, 소정의 계속 시간 동안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다. SS 버스트는, 기지국의 빔마다의 동기 신호 블록(Synchronization Signal Block: 이하, SS 블록이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의해 구성된다.
기지국은 SS 버스트의 계속 시간 내에 있어서 각 빔의 SS 블록을, 빔을 바꾸어 송신한다. SS 블록은, P-SS, S-SS, 및 PBCH에 의해 구성된다.
NR에 있어서는, NR의 다운링크 참조 신호로서, 위상 추미 참조 신호(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PTRS)의 추가에 의해, 위상 잡음의 영향의 저감이 도모되고 있다. 업링크 참조 신호에 있어서도, 다운링크와 동일하게 PTRS가 추가되어 있다.
NR에 있어서는, 슬롯 내에 있어서의 DL/UL의 전환을 유연하게 행하기 위해, PDCCH에 포함되는 정보에 슬롯 구성 통지(Slot Format Indication: SFI)가 추가되었다.
또한, NR에 있어서는, 캐리어 주파수대 중 일부(이하, Bandwidth Part(BWP)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를 기지국이 UE에 대하여 미리 설정하고, UE가 그 BWP에 있어서 기지국과의 송수신을 행함으로써, UE에 있어서의 소비 전력의 저감이 도모된다.
3GPP에서는, DC의 형태로서, EPC에 접속되는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에 의한 DC, 5G 코어 시스템에 접속되는 NR 기지국에 의한 DC, 또한, 5G 코어 시스템에 접속되는 LTE 기지국과 NR 기지국에 의한 DC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2, 16, 19 참조).
또한, 3GPP에서는, 사이드링크(SL: Side Link) 통신(PC5 통신이라고도 칭한다)을 이용한 서비스(애플리케이션이더라도 좋다)를, 후술하는 EPS(Evolved Packet System)에 있어서도, 5G 코어 시스템에 있어서도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16, 20, 21, 22, 23 참조). SL 통신에서는 단말 사이에서 통신이 행하여진다. SL 통신을 이용한 서비스로서, 예컨대, V2X(Vehicle-to-everything) 서비스, 프록시미티 서비스 등이 있다. SL 통신에 있어서는, 단말 사이의 직접 통신뿐만 아니라, 릴레이(relay)를 통한 UE와 NW의 사이의 통신이 제안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0, 23, 26 참조).
또한, 3GPP에서는, UE와 기지국의 사이의 링크인 액세스 링크, 기지국 사이의 링크인 백홀 링크를 모두 무선으로 행하는 액세스 및 백홀 통합(Integrated Access and Backhaul: IAB)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6, 27 참조).
또한, 3GPP에서는, 몇 가지의 새로운 기술이 검토되고 있다. 예컨대, RAN의 PHY 제어에 대한 인공 지능(AI), 기계 학습(ML)의 적용이 검토되고 있다. 기계 학습을 이용한 CSI의 부호화에 의한 CSI 리포트의 송신 비트 수 삭감, 빔 제어에 대한 AI의 적용에 의한 빔 품질 향상, AI를 이용한 참조 신호의 최적화에 의한 통신의 오버헤드 삭감, 측위에 대한 AI 적용에 의한 측위 성능의 향상 등에 대하여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8~34 참조).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16.5.0 비특허문헌 2: 3GPP S1-083461 비특허문헌 3: 3GPP TR 36.814 V9.2.0 비특허문헌 4: 3GPP TR 36.912 V16.0.0 비특허문헌 5: "Scenarios, requirements and KPIs for 5G mobile and wireless system", ICT-317669-METIS/D1.1 비특허문헌 6: 3GPP TR 23.799 V14.0.0 비특허문헌 7: 3GPP TR 38.801 V14.0.0 비특허문헌 8: 3GPP TR 38.802 V14.2.0 비특허문헌 9: 3GPP TR 38.804 V14.0.0 비특허문헌 10: 3GPP TR 38.912 V16.0.0 비특허문헌 11: 3GPP RP-172115 비특허문헌 12: 3GPP TS 37.340 V16.5.0 비특허문헌 13: 3GPP TS 38.211 V16.5.0 비특허문헌 14: 3GPP TS 38.213 V16.5.0 비특허문헌 15: 3GPP TS 38.214 V16.5.0 비특허문헌 16: 3GPP TS 38.300 V16.5.0 비특허문헌 17: 3GPP TS 38.321 V16.4.0 비특허문헌 18: 3GPP TS 38.212 V16.5.0 비특허문헌 19: 3GPP TS 38.331 V16.4.1 비특허문헌 20: 3GPP TR 23.703 V12.0.0 비특허문헌 21: 3GPP TS 23.501 V17.0.0 비특허문헌 22: 3GPP TS 23.287 V16.5.0 비특허문헌 23: 3GPP TS 23.303 V16.0.0 비특허문헌 24: 3GPP TS 38.305 V16.4.0 비특허문헌 25: 3GPP TS 23.273 V17.0.0 비특허문헌 26: 3GPP TR 38.836 V17.0.0 비특허문헌 27: 3GPP TS 38.401 V16.5.0 비특허문헌 28: 3GPP TR 37.817 V0.1.0 비특허문헌 29: 3GPP RP-201620 비특허문헌 30: 3GPP RWS-210038 비특허문헌 31: 3GPP RWS-210185 비특허문헌 32: 3GPP RWS-210235 비특허문헌 33: 3GPP RWS-210260 비특허문헌 34: 3GPP RWS-210198 비특허문헌 35: 3GPP TS 37.320 V16.5.0
5G 방식의 기지국과 UE가, AI 모델의 각각 일부 또는 전부를 갖는 것에 의해, UE로부터의 CSI를 부호화하여 기지국에 피드백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비특허문헌 30, 34 참조). 그런데,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에 대한 학습을 행하는 주체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AI 모델을 이용한 CSI 리포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실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개시는, 상기 과제를 감안하여,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AI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통신 시스템의 효율화를 실현하는 것을, 목적의 하나로 한다.
본 개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은,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를 행하는 통신 단말과, 부호화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부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기지국을 포함한다. 부호화 모델은, 통신 단말과 기지국의 사이의 채널 상태에 관한 데이터인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부호화를 행한다. 기지국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실행하여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생성하고, 부호화 모델의 학습 결과를 통신 단말에 통지한다.
본 개시에 따르면, 데이터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AI를 적용 가능하게 하여 통신 시스템의 효율화를 실현할 수 있다고 하는 효과를 발휘한다.
본 개시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첨부 도면에 의해, 보다 명백해진다.
도 1은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무선 프레임의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2는 3GPP에 있어서 의논되고 있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은 3GPP에 있어서 의논되고 있는 NR 방식의 통신 시스템(2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EPC에 접속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5는 NG 코어에 접속되는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6은 NG 코어에 접속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7은 NG 코어에 접속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도이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이동 단말(2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2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은 MM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은 5GC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UE)이 행하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까지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13은 NR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4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통신 시스템에 관한 학습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5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의 학습에 있어서 이용되는 뉴럴 네트워크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6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학습 장치의 학습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17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통신 시스템에 관한 추론 장치 중, 부호화 장치에 적용되는 추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18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부호화부에 있어서 이용되는 학습된 모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9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추론 장치의 추론 처리 중, 부호화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0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통신 시스템에 관한 추론 장치 중, 복호화 장치에 적용되는 추론 장치의 구성도이다.
도 21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복호화부에 있어서 이용되는 학습된 모델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2는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추론 장치의 추론 처리 중, 복호화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도 23은 실시의 형태 1에 대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동작 및 학습된 모델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24는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에 대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동작 페이즈의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25는 실시의 형태 2에 대하여, 기지국과,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사용 가능한 UE 및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사용 불가능한 UE의 통신의 예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은 실시의 형태 2에 대하여, 기지국과, 상이한 카테고리의 학습 장치를 갖는 UE의 통신의 예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UE마다 마련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상이한 UE 사이에서 공통으로 마련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9는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그룹에 속하는 모든 UE에 대하여 동시에 행하여지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30은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그룹에 속하는 일부의 UE에 대해서만 행하여지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이하에, 본 개시의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을 도면에 기초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의 형태 1.
도 2는 3GPP에 있어서 의논되고 있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20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E-UTRAN(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Network)(201)이라 칭하여진다. 통신 단말 장치인 이동 단말 장치(이하 "이동 단말(User Equipment: UE)"이라고 한다)(202)는, 기지국 장치(이하 "기지국(E-UTRAN NodeB: eNB)"이라고 한다)(203)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무선 통신으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여기서, "통신 단말 장치"란, 이동 가능한 휴대 전화 단말 장치 등의 이동 단말 장치뿐만 아니라, 센서 등의 이동하지 않는 디바이스도 포함하고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통신 단말 장치"를, 간단히 "통신 단말"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이동 단말(202)에 대한 제어 프로토콜, 예컨대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유저 플레인(이하, U-Plane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 layer)가 기지국(203)에서 종단된다면, E-UTRAN은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203)에 의해 구성된다.
이동 단말(202)과 기지국(203)의 사이의 제어 프로토콜 RRC(Radio Resource Control)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페이징(paging), RRC 접속 매니지먼트(RRC connection management) 등을 행한다. RRC에 있어서의 기지국(203)과 이동 단말(202)의 상태로서, RRC_IDLE과, RRC_CONNECTED가 있다.
RRC_IDLE에서는, PLMN(Public Land Mobile Network) 선택,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의 브로드캐스트, 페이징(paging),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모빌리티 등이 행하여진다. RRC_CONNECTED에서는, 이동 단말은 RRC 접속(connection)을 갖고, 네트워크와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할 수 있다. 또한 RRC_CONNECTED에서는, 핸드오버(Handover: HO), 인접 셀(Neighbor cell)의 측정(메저먼트(measurement)) 등이 행하여진다.
기지국(203)은, 1개 혹은 복수의 eNB(207)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인 EPC(Evolved Packet Core)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E-UTRAN(201)으로 구성되는 시스템은, EPS(Evolved Packet System)라 칭하여진다. 코어 네트워크인 EPC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인 E-UTRAN(201)을 총칭하여, "네트워크"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eNB(207)는, 이동 관리 엔티티(Mobility Management Entity: MME), 혹은 S-GW(Serving Gateway), 혹은 MME 및 S-GW를 포함하는 MME/S-GW부(이하 "MME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204)와 S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eNB(207)와 MME부(204)의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1개의 eNB(207)에 대하여, 복수의 MME부(204)가 접속되더라도 좋다. eNB(207) 사이는, X2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eNB(207) 사이에서 제어 정보가 통신된다.
MME부(204)는, 상위 장치, 구체적으로는 상위 노드이고, 기지국인 eNB(207)와, 이동 단말(UE)(202)의 접속을 제어한다. MME부(204)는, 코어 네트워크인 EPC를 구성한다. 기지국(203)은, E-UTRAN(201)을 구성한다.
기지국(203)은, 1개의 셀을 구성하더라도 좋고, 복수의 셀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각 셀은, 이동 단말(202)과 통신 가능한 범위인 커버리지로서 미리 정하는 범위를 갖고, 커버리지 내에서 이동 단말(202)과 무선 통신을 행한다. 1개의 기지국(203)이 복수의 셀을 구성하는 경우, 각 셀이, 이동 단말(202)과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도 3은 3GPP에 있어서 의논되고 있는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210)의 전체적인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3에 대하여 설명한다.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는, NG-RAN(Next Generation Radio Access Network)(211)이라 칭하여진다. UE(202)는, NR 기지국 장치(이하 "NR 기지국(NG-RAN NodeB: gNB)"이라고 한다)(213)와 무선 통신 가능하고, 무선 통신으로 신호의 송수신을 행한다. 또한, 코어 네트워크는, 5G 코어(5G Core: 5GC)라 칭하여진다.
UE(202)에 대한 제어 프로토콜, 예컨대 RRC(Radio Resource Control)와, 유저 플레인(이하, U-Plane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 예컨대 SDAP(Service Data Adaptation Protocol), PDCP(Packet Data Convergence Protocol), RLC(Radio Link Control), MAC(Medium Access Control), PHY(Physical layer)가 NR 기지국(213)에서 종단된다면, NG-RAN은 1개 혹은 복수의 NR 기지국(213)에 의해 구성된다.
UE(202)와 NR 기지국(213)의 사이의 제어 프로토콜 RRC(Radio Resource Control)의 기능은 LTE와 동일하다. RRC에 있어서의 NR 기지국(213)과 UE(202)의 상태로서, RRC_IDLE과, RRC_CONNECTED와, RRC_INACTIVE가 있다.
RRC_IDLE, RRC_CONNECTED는, LTE 방식과 동일하다. RRC_INACTIVE는 5G 코어와 NR 기지국(213)의 사이의 접속이 유지되면서, 시스템 정보(System Information: SI)의 브로드캐스트, 페이징(paging), 셀 재선택(cell re-selection), 모빌리티 등이 행하여진다.
gNB(217)는, 액세스 및 이동 관리 기능(Access and Mobility Management Function: AMF), 세션 관리 기능(Session Management Function: SMF), 혹은 UPF(User Plane Function), 혹은 AMF, SMF 및 UPF를 포함하는 AMF/SMF/UPF부(이하 "5GC부"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214)와 NG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된다. gNB(217)와 5GC부(214)의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또는 유저 데이터가 통신된다. NG 인터페이스는, gNB(217)와 AMF의 사이의 N2 인터페이스, gNB(217)와 UPF의 사이의 N3 인터페이스, AMF와 SMF의 사이의 N11 인터페이스, 및, UPF와 SMF의 사이의 N4 인터페이스의 총칭이다. 1개의 gNB(217)에 대하여, 복수의 5GC부(214)가 접속되더라도 좋다. gNB(217) 사이는, Xn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gNB(217)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또는 유저 데이터가 통신된다.
5GC부(214)는, 상위 장치, 구체적으로는 상위 노드이고,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에 대하여, 페이징 신호의 분배를 행한다. 또한, 5GC부(214)는, 대기 상태(Idle State)의 모빌리티 제어(Mobility Control)를 행한다. 5GC부(214)는, 이동 단말(202)이 대기 상태일 때, 인액티브 상태(Inactive State) 및,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일 때에, 트래킹 에리어(Tracking Area) 리스트의 관리를 행한다. 5GC부(214)는, 이동 단말(202)이 등록되어 있는(registered) 추적 영역(트래킹 에리어: Tracking Area)에 속하는 셀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페이징 프로토콜에 착수한다.
NR 기지국(213)도, 기지국(203)과 동일하게, 1개 혹은 복수의 셀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1개의 NR 기지국(213)이 복수의 셀을 구성하는 경우, 각 셀이, UE(202)와 통신 가능하게 구성된다.
gNB(217)는, 중앙 유닛(Central Unit: 이하, CU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218)과 분산 유닛(Distributed Unit: 이하, DU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219)으로 분할되어 있더라도 좋다. CU(218)는, gNB(217) 내에 1개 구성된다. DU(219)는, gNB(217) 내에 1개 혹은 복수 구성된다. CU(218)는, DU(219)와 F1 인터페이스에 의해 접속되고, CU(218)와 DU(219)의 사이에서 제어 정보 및/또는 유저 데이터가 통신된다.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21(3GPP TS 23.501)에 기재된 통합 데이터 관리(Unified Data Management: UDM) 기능, 폴리시 제어 기능(Policy Control Function: PCF)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UDM 및/또는 PCF는, 도 3에 있어서의 5GC부(214)에 포함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24(3GPP TS 38.305)에 기재된 위치 관리 기능(Location Management Function: LMF)이 마련되더라도 좋다. LMF는, 비특허문헌 25(3GPP TS 23.273)에 개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AMF를 경유하여 기지국에 접속되어 있더라도 좋다.
5G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비특허문헌 21(3GPP TS 23.501)에 기재된 비 3GPP 상호 동작 기능(Non-3GPP Interworking Function: N3IWF)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N3IWF는, UE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비 3GPP 액세스에 있어서, 액세스 네트워크(Access Network: AN)를 UE와의 사이에서 종단하더라도 좋다.
도 4는 EPC에 접속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4에 있어서, eNB(223-1)가 마스터 기지국이 되고, gNB(224-2)가 세컨더리 기지국이 된다(이 DC 구성을, EN-D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4에 있어서, MME부(204)와 gNB(224-2)의 사이의 U-Plane 접속이 eNB(223-1)를 경유하여 행하여지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MME부(204)와 gNB(224-2)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도 5는 NG 코어에 접속되는 gNB에 의한 D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5에 있어서, gNB(224-1)가 마스터 기지국이 되고, gNB(224-2)가 세컨더리 기지국이 된다(이 DC 구성을, NR-D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5에 있어서, 5GC부(214)와 gNB(224-2)의 사이의 U-Plane 접속이 gNB(224-1)를 경유하여 행하여지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5GC부(214)와 gNB(224-2)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도 6은 NG 코어에 접속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6에 있어서, eNB(226-1)가 마스터 기지국이 되고, gNB(224-2)가 세컨더리 기지국이 된다(이 DC 구성을, NG-EN-D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6에 있어서, 5GC부(214)와 gNB(224-2)의 사이의 U-Plane 접속이 eNB(226-1)를 경유하여 행하여지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5GC부(214)와 gNB(224-2)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도 7은 NG 코어에 접속되는 eNB 및 gNB에 의한 DC의, 다른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에 있어서, 실선은 U-Plane의 접속을 나타내고, 파선은 C-Plane의 접속을 나타낸다. 도 7에 있어서, gNB(224-1)가 마스터 기지국이 되고, eNB(226-2)가 세컨더리 기지국이 된다(이 DC 구성을, NE-DC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 도 7에 있어서, 5GC부(214)와 eNB(226-2)의 사이의 U-Plane 접속이 gNB(224-1)를 경유하여 행하여지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지만, 5GC부(214)와 eNB(226-2)의 사이에서 직접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도 8은 도 2에 나타내는 이동 단말(202)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8에 나타내는 이동 단말(202)의 송신 처리를 설명한다. 우선, 프로토콜 처리부(301)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애플리케이션부(302)로부터의 유저 데이터가, 송신 데이터 버퍼부(303)에 보존된다. 송신 데이터 버퍼부(303)에 보존된 데이터는, 인코더부(304)에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송신 데이터 버퍼부(303)로부터 변조부(305)에 직접 출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좋다. 인코더부(304)에서 인코드 처리된 데이터는, 변조부(305)에서 변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변조부(305)에서, MIMO에 있어서의 프리코딩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변조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주파수 변환부(306)에 출력되고, 무선 송신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 후, 안테나(307-1~307-4)로부터 기지국(203)에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도 8에 있어서, 안테나의 수가 4개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안테나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이동 단말(202)의 수신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기지국(203)으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안테나(307-1~307-4)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부(306)에서 무선 수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복조부(308)에 있어서 복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복조부(308)에서, 웨이트 계산 및 곱셈 처리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복조 후의 데이터는, 디코더부(309)에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디코드 처리가 행하여진다. 디코드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301)에 전달되고, 유저 데이터는 애플리케이션부(302)에 전달된다. 이동 단말(202)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310)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310)는, 도 8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301~309)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310)는, 예컨대,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즉, 이동 단말(202)의 일련의 처리가 기술된 프로그램을 프로세서가 실행하는 것에 의해 제어부(310)가 실현된다. 이동 단말(202)의 일련의 처리가 기술된 프로그램은 메모리에 저장되어 있다. 메모리의 예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 등의, 비휘발성 또는 휘발성의 반도체 메모리이다. 제어부(310)는,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ASIC(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 DSP(Digital Signal Processor) 등의 전용의 처리 회로로 실현되더라도 좋다. 도 8에 있어서, 이동 단말(202)이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의 수와 수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의 수는,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도 9는 도 2에 나타내는 기지국(203)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9에 나타내는 기지국(203)의 송신 처리를 설명한다. EPC 통신부(401)는, 기지국(203)과 EPC(MME부(204) 등)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5GC 통신부(412)는, 기지국(203)과 5GC(5GC부(214) 등)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타 기지국 통신부(402)는, 다른 기지국과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EPC 통신부(401), 5GC 통신부(412), 및 타 기지국 통신부(402)는, 각각 프로토콜 처리부(403)와 정보를 교환한다. 프로토콜 처리부(403)로부터의 제어 데이터, 및 EPC 통신부(401), 5GC 통신부(412), 및 타 기지국 통신부(402)로부터의 유저 데이터 및 제어 데이터는, 송신 데이터 버퍼부(404)에 보존된다.
송신 데이터 버퍼부(404)에 보존된 데이터는, 인코더부(405)에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인코드 처리가 실시된다. 인코드 처리를 실시하지 않고서, 송신 데이터 버퍼부(404)로부터 변조부(406)에 직접 출력되는 데이터가 존재하더라도 좋다. 인코드된 데이터는, 변조부(406)에서 변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변조부(406)에서, MIMO에 있어서의 프리코딩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변조된 데이터는,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 후, 주파수 변환부(407)에 출력되고, 무선 송신 주파수로 변환된다. 그 후, 안테나(408-1~408-4)로부터 1개 또는 복수의 이동 단말(202)에 대하여 송신 신호가 송신된다. 도 9에 있어서, 안테나의 수가 4개인 경우에 대하여 예시하였지만, 안테나의 수는 4개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기지국(203)의 수신 처리는 이하와 같이 실행된다. 1개 또는 복수의 이동 단말(202)로부터의 무선 신호가, 안테나(408)에 의해 수신된다. 수신 신호는, 주파수 변환부(407)에서 무선 수신 주파수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복조부(409)에서 복조 처리가 행하여진다. 복조된 데이터는, 디코더부(410)에 전달되고, 오류 정정 등의 디코드 처리가 행하여진다. 디코드된 데이터 중, 제어 데이터는 프로토콜 처리부(403) 혹은 5GC 통신부(412) 혹은 EPC 통신부(401) 혹은 타 기지국 통신부(402)에 전달되고, 유저 데이터는 5GC 통신부(412) 혹은 EPC 통신부(401) 혹은 타 기지국 통신부(402)에 전달된다. 기지국(203)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411)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411)는, 도 9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401~410, 412)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411)는, 상술한 이동 단말(202)의 제어부(310)와 동일하게,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 또는, FPGA, ASIC, DSP 등의 전용의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도 9에 있어서, 기지국(203)이 송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의 수와 수신에 이용하는 안테나의 수는,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도 9는 기지국(203)의 구성에 대하여 나타낸 블록도이지만, 기지국(213)에 대해서도 동일한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8 및 도 9에 대하여, 이동 단말(202)의 안테나의 수와, 기지국(203)의 안테나의 수는, 동일하더라도 좋고, 상이하더라도 좋다.
도 10은 MME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0에서는, 전술한 도 2에 나타내는 MME부(204)에 포함되는 MME(204a)의 구성을 나타낸다. PDN GW 통신부(501)는, MME(204a)와 PDN GW(Packet Data Network Gate Way)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 통신부(502)는, MME(204a)와 기지국(203)의 사이의 S1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PDN GW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데이터인 경우, 유저 데이터는, PDN GW 통신부(501)로부터, 유저 플레인 통신부(503)를 경유하여 기지국 통신부(502)에 전달되고,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203)에 송신된다. 기지국(20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데이터인 경우, 유저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02)로부터, 유저 플레인 통신부(503)를 경유하여 PDN GW 통신부(501)에 전달되고, PDN GW에 송신된다.
PDN GW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PDN GW 통신부(501)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에 전달된다. 기지국(20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02)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에 전달된다.
HeNBGW 통신부(504)는, MME(204a)와 HeNB GW(Home-eNB Gate Way)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HeNBGW 통신부(504)가 HeNB GW로부터 수신한 제어 데이터는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에 전달된다. HeNBGW 통신부(504)는,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로부터 입력되는 제어 데이터를 HeNB GW에 송신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505)에는, NAS 시큐리티부(505-1), SAE 베어러 컨트롤부(505-2), 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모빌리티 관리부(505-3) 등이 포함되고, 제어 플레인(이하, C-Plane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에 대한 처리 전반을 행한다. NAS 시큐리티부(505-1)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의 시큐리티 등을 행한다. SAE 베어러 컨트롤부(505-2)는, SAE(System Architecture Evolution)의 베어러의 관리 등을 행한다.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505-3)는, 대기 상태(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LTE-IDLE 상태, 또는, 간단히 아이들이라고도 칭하여진다)의 모빌리티 관리, 대기 상태 때의 페이징 신호의 생성 및 제어, 산하의 1개 혹은 복수의 이동 단말(202)의 트래킹 에리어의 추가, 삭제, 갱신, 검색,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 관리 등을 행한다.
MME(204a)는, 1개 또는 복수의 기지국(203)에 대하여, 페이징 신호의 분배를 행한다. 또한, MME(204a)는, 대기 상태(Idle State)의 모빌리티 제어(Mobility control)를 행한다. MME(204a)는, 이동 단말(202)이 대기 상태일 때, 및, 액티브 상태(Active State)일 때에, 트래킹 에리어(Tracking Area) 리스트의 관리를 행한다. MME(204a)는, 이동 단말(202)이 등록되어 있는(registered) 추적 영역(트래킹 에리어: Tracking Area)에 속하는 셀에, 페이징 메시지를 송신함으로써, 페이징 프로토콜에 착수한다. MME(204a)에 접속되는 eNB(207)의 CSG의 관리, CSG ID의 관리, 및 화이트리스트의 관리는,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505-3)에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MME(204a)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506)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506)는, 도 10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501~505)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06)는, 상술한 이동 단말(202)의 제어부(310)와 동일하게,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 또는, FPGA, ASIC, DSP 등의 전용의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도 11은 5GC부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11에서는, 전술한 도 3에 나타내는 5GC부(214)의 구성을 나타낸다. 도 11은 도 5에서 나타내는 5GC부(214)에, AMF의 구성, SMF의 구성 및 UPF의 구성이 포함된 경우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Data Network 통신부(521)는, 5GC부(214)와 Data Network의 사이의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기지국 통신부(522)는, 5GC부(214)와 기지국(203)의 사이의 S1 인터페이스, 및/또는, 5GC부(214)와 기지국(213)의 사이의 NG 인터페이스에 의한 데이터의 송수신을 행한다. Data Network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데이터인 경우, 유저 데이터는, Data Network 통신부(521)로부터, 유저 플레인 통신부(523)를 경유하여 기지국 통신부(522)에 전달되고, 1개 혹은 복수의,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에 송신된다.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유저 데이터인 경우, 유저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22)로부터, 유저 플레인 통신부(523)를 경유하여 Data Network 통신부(521)에 전달되고, Data Network에 송신된다.
Data Network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Data Network 통신부(521)로부터 유저 플레인 통신부(523)를 경유하여 세션 관리부(527)에 전달된다. 세션 관리부(527)는, 제어 데이터를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에 전달한다. 기지국(203) 및/또는 기지국(213)으로부터 수신한 데이터가 제어 데이터인 경우, 제어 데이터는, 기지국 통신부(522)로부터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에 전달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는, 제어 데이터를 세션 관리부(527)에 전달한다.
제어 플레인 제어부(525)는, NAS 시큐리티부(525-1), PDU 세션 컨트롤부(525-2), 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모빌리티 관리부(525-3) 등을 포함하고, 제어 플레인(이하, C-Plane이라 칭하는 경우도 있다)에 대한 처리 전반을 행한다. NAS 시큐리티부(525-1)는, NAS(Non-Access Stratum) 메시지의 시큐리티 등을 행한다. PDU 세션 컨트롤부(525-2)는, 이동 단말(202)과 5GC부(214)의 사이의 PDU 세션의 관리 등을 행한다.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525-3)는, 대기 상태(아이들 스테이트(Idle State): RRC_IDLE 상태, 또는, 간단히 아이들이라고도 칭하여진다)의 모빌리티 관리, 대기 상태 때의 페이징 신호의 생성 및 제어, 산하의 1개 혹은 복수의 이동 단말(202)의 트래킹 에리어의 추가, 삭제, 갱신, 검색,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 관리 등을 행한다.
5GC부(214)의 일련의 처리는, 제어부(526)에 의해 제어된다. 따라서 제어부(526)는, 도 11에서는 생략하고 있지만, 각 부(521~523, 525, 527)와 접속되어 있다. 제어부(526)는, 상술한 이동 단말(202)의 제어부(310)와 동일하게,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처리 회로, 또는, FPGA, ASIC, DSP 등의 전용의 처리 회로로 실현된다.
다음으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셀 서치 방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12는 LTE 방식의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통신 단말(UE)이 행하는 셀 서치로부터 대기 동작까지의 개략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통신 단말은, 셀 서치를 개시하면, 스텝 ST601에서, 주변의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제 1 동기 신호(P-SS), 및 제 2 동기 신호(S-SS)를 이용하여, 슬롯 타이밍, 프레임 타이밍의 동기를 취한다.
P-SS와 S-SS를 총칭하여, 동기 신호(Synchronization Signal: SS)라고 한다. 동기 신호(SS)에는, 셀마다 할당된 PCI에 일대일로 대응하는 싱크로나이제이션 코드가 할당되어 있다. PCI의 수는 504종류가 검토되고 있다. 통신 단말은, 이 504종류의 PCI를 이용하여 동기를 취함과 아울러, 동기가 취하여진 셀의 PCI를 검출(특정)한다.
통신 단말은, 다음으로, 동기가 취하여진 셀에 대하여, 스텝 ST602에서, 기지국으로부터 셀마다 송신되는 참조 신호(레퍼런스 시그널: RS)인 셀 고유 참조 신호(Cell-specific Reference Signal: CRS)를 검출하고, RS의 수신 전력(Reference Signal Received Power: RSRP)의 측정을 행한다. 참조 신호(RS)에는, PCI와 일대일로 대응한 코드가 이용되고 있다. 그 코드로 상관을 취하는 것에 의해 다른 셀과 분리할 수 있다. 스텝 ST601에서 특정한 PCI로부터, 그 셀의 RS용의 코드를 도출하는 것에 의해, RS를 검출하고, RS의 수신 전력을 측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스텝 ST603에서, 통신 단말은, 스텝 ST602까지에서 검출된 1개 이상의 셀 중에서, RS의 수신 품질이 가장 좋은 셀, 예컨대, RS의 수신 전력이 가장 높은 셀, 다시 말해 베스트 셀을 선택한다.
다음으로 스텝 ST604에서, 통신 단말은, 베스트 셀의 PBCH를 수신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인 BCCH를 얻는다. PBCH 상의 BCCH에는, 셀 구성 정보가 포함되는 MIB(Master Information Block)가 매핑된다. 따라서, PBCH를 수신하여 BCCH를 얻음으로써, MIB가 획득된다. MIB의 정보로서는, 예컨대, DL(다운링크) 시스템 대역폭(송신 대역폭 설정(transmission bandwidth configuration: dl-bandwidth)이라고도 불린다), 송신 안테나의 수, SFN(System Frame Number) 등이 있다.
다음으로 스텝 ST605에서, 통신 단말은, MIB의 셀 구성 정보를 기초로 그 셀의 DL-SCH를 수신하여, 브로드캐스트 정보 BCCH 중의 SIB(System Information Block)1을 얻는다. SIB1에는, 그 셀에 대한 액세스에 관한 정보, 셀 셀렉션에 관한 정보, 다른 SIB(SIBk; k≥2의 정수)의 스케줄링 정보가 포함된다. 또한, SIB1에는, 트래킹 에리어 코드(Tracking Area Code: TAC)가 포함된다.
다음으로 스텝 ST606에서, 통신 단말은, 스텝 ST605에서 수신한 SIB1의 TAC와, 통신 단말이 이미 보유하고 있는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 내의 트래킹 에리어 식별자(Tracking Area Identity: TAI)의 TAC 부분을 비교한다.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는, TAI 리스트(TAI list)라고도 칭하여진다. TAI는 트래킹 에리어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 정보이고, MCC(Mobile Country Code)와, MNC(Mobile Network Code)와, TAC(Tracking Area Code)에 의해 구성된다. MCC는 국가 코드이다. MNC는 네트워크 코드이다. TAC는 트래킹 에리어의 코드 번호이다.
통신 단말은, 스텝 ST606에서 비교한 결과, 스텝 ST605에서 수신한 TAC가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 내에 포함되는 TAC와 동일하면, 그 셀에서 대기 동작에 들어간다. 비교의 결과로서, 스텝 ST605에서 수신한 TAC가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 내에 포함되지 않으면, 통신 단말은, 그 셀을 통해서, MME 등이 포함되는 코어 네트워크(Core Network, EPC)에, TAU(Tracking Area Update)를 행하기 위해 트래킹 에리어의 변경을 요구한다.
도 12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LTE 방식에 있어서의 셀 서치로부터 대기까지의 동작의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3에 있어서, 베스트 셀에 더하여 베스트 빔을 선택하더라도 좋다. 또한,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4에 있어서, 빔의 정보, 예컨대, 빔의 식별자를 취득하더라도 좋다. 또한,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4에 있어서, 리메이닝 미니멈 SI(Remaining Minimum SI: RMSI)의 스케줄링 정보를 취득하더라도 좋다. NR 방식에 있어서는, 스텝 ST605에 있어서, RMSI를 수신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이하 "코어 네트워크 측 장치"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는, TAU 요구 신호와 함께 통신 단말로부터 보내어져 오는 그 통신 단말의 식별 번호(UE-ID 등)를 기초로,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의 갱신을 행한다. 코어 네트워크 측 장치는, 통신 단말에 갱신 후의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를 송신한다. 통신 단말은, 수신한 트래킹 에리어 리스트에 기초하여, 통신 단말이 보유하는 TAC 리스트를 재기록한다(갱신한다). 그 후, 통신 단말은, 그 셀에서 대기 동작에 들어간다.
스마트폰 및 태블릿 형태의 단말 장치의 보급에 의해, 셀룰러 무선 통신에 의한 트래픽이 폭발적으로 증가하고 있고, 전 세계적으로 무선 리소스의 부족이 염려되고 있다. 이것에 대응하여 주파수 이용 효율을 높이기 위해, 셀을 소형화하고, 공간 분리를 진행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종래의 셀의 구성에서는,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은, 비교적 넓은 범위의 커버리지를 갖는다. 종래에는, 복수의 eNB에 의해 구성되는 복수의 셀의 비교적 넓은 범위의 커버리지에 의해, 특정한 에리어를 커버하도록, 셀이 구성되어 있다.
셀이 소형화된 경우,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은, 종래의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의 커버리지에 비하여 범위가 좁은 커버리지를 갖는다. 따라서, 종래와 동일하게, 특정한 에리어를 커버하기 위해서는, 종래의 eNB에 비하여, 소형화된 셀을 구성하는 다수의 eNB가 필요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종래의 eNB에 의해 구성되는 셀과 같이, 커버리지가 비교적 큰 셀을 "매크로 셀"이라고 하고, 매크로 셀을 구성하는 eNB를 "매크로 eNB"라고 한다. 또한, 소형화된 셀과 같이, 커버리지가 비교적 작은 셀을 "스몰 셀"이라고 하고, 스몰 셀을 구성하는 eNB를 "스몰 eNB"라고 한다.
매크로 eNB는, 예컨대, 비특허문헌 7에 기재된 "와이드 에리어 기지국(Wide Area Base Station)"이더라도 좋다.
스몰 eNB는, 예컨대, 로우 파워 노드, 로컬 에리어 노드, 핫스팟 등이더라도 좋다. 또한, 스몰 eNB는, 피코셀을 구성하는 피코 eNB, 펨토셀을 구성하는 펨토 eNB, HeNB, RRH(Remote Radio Head), RRU(Remote Radio Unit), RRE(Remote Radio Equipment) 또는 RN(Relay Node)이더라도 좋다. 또한, 스몰 eNB는, 비특허문헌 7에 기재된 "로컬 에리어 기지국(Local Area Base Station)" 또는 "홈 기지국(Home Base Station)"이더라도 좋다.
도 13은 NR에 있어서의 셀의 구성의 일례를 나타낸다. NR의 셀에서는, 좁은 빔을 형성하고, 방향을 바꾸어 송신한다.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750)은, 특정한 시간에 있어서, 빔(751-1)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의 송수신을 행한다. 다른 시간에 있어서, 기지국(750)은, 빔(751-2)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하 동일하게 하여, 기지국(750)은 빔(751-3~751-8) 중 1개 혹은 복수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과의 송수신을 행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기지국(750)은 광범위의 셀을 구성한다.
도 13에 있어서, 기지국(750)이 이용하는 빔의 수를 8로 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빔의 수는 8과는 상이하더라도 좋다. 또한, 도 1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750)이 동시에 이용하는 빔의 수를 1개로 하였지만, 복수이더라도 좋다.
3GPP에 있어서, D2D(Device to Device) 통신, V2V(Vehicle to Vehicle) 통신을 위해, 사이드링크(SL: SideLink)가 서포트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비특허문헌 16 참조). SL은 PC5 인터페이스에 의해 규정된다.
SL에 이용되는 물리 채널(비특허문헌 1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PSBCH: Physical sidelink broadcast channel)은, 시스템과 동기에 관련된 정보를 운반하고, UE로부터 송신된다.
물리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채널(PSDCH: Physical sidelink discovery channel)은, UE로부터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메시지를 운반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PSCCH: Physical sidelink control channel)은, 사이드링크 통신과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UE로부터의 제어 정보를 운반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PSSCH: Physical sidelink shared channel)은, 사이드링크 통신과 V2X 사이드링크 통신을 위한 UE로부터의 데이터를 운반한다.
물리 사이드링크 피드백 채널(PSFCH: Physical sidelink feedback channel)은, PSSCH 송신을 수신한 UE로부터, PSSCH를 송신한 UE에, 사이드링크 상에서의 HARQ 피드백을 운반한다.
SL에 이용되는 트랜스포트 채널(비특허문헌 1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채널(SL-BCH: Sidelink broadcast channel)은, 미리 정하여진 트랜스포트 포맷을 갖고, 물리 채널인 PSB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디스커버리 채널(SL-DCH: Sidelink discovery channel)은, 고정 사이즈의 미리 정하여진 포맷의 주기적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갖는다. 또한, SL-DCH는, UE 자동 리소스 선택(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과, eNB에 의해 스케줄된 리소스 얼로케이션의 양쪽을 서포트한다. UE 자동 리소스 선택에서는 충돌 리스크가 있고, UE에 eNB에 의해 개별 리소스가 얼로케이션되었을 때는, 충돌은 없다. 또한, SL-DCH는, HARQ 컴바이닝을 서포트하지만, HARQ 피드백은 서포트하지 않는다. SL-DCH는 물리 채널인 PSD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공유 채널(SL-SCH: Sidelink shared channel)은, 브로드캐스트 송신을 서포트한다. SL-SCH는, UE 자동 리소스 선택(UE autonomous resource selection)과, eNB에 의해 스케줄된 리소스 얼로케이션의 양쪽을 서포트한다. UE 자동 리소스 선택에서는 충돌 리스크가 있고, UE에 eNB에 의해 개별 리소스가 얼로케이션되었을 때는, 충돌은 없다. 또한, SL-SCH는, HARQ 컴바이닝을 서포트하지만, HARQ 피드백은 서포트하지 않는다. 또한, SL-SCH는, 송신 전력, 변조, 코딩을 바꾸는 것에 의해, 동적 링크 어댑테이션을 서포트한다. SL-SCH는 물리 채널인 PSSCH에 매핑된다.
SL에 이용되는 논리 채널(비특허문헌 1 참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이드링크 브로드캐스트 제어 채널(SBCCH: Sidelink Broadcast Control Channel)은, 1개의 UE로부터 다른 UE에 사이드링크 시스템 정보를 브로드캐스트하기 위한 사이드링크용 채널이다. SB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SL-B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트래픽 채널(STCH: Sidelink Traffic Channel)은, 하나의 UE로부터 다른 UE에 유저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일대다의 사이드링크용 트래픽 채널이다. STCH는,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갖는 UE와, V2X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갖는 UE에 의해서만 이용된다. 2개의 사이드링크 통신 능력을 갖는 UE 사이의 일대일 통신도 또한 STCH로 실현된다. ST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SL-SCH에 매핑된다.
사이드링크 제어 채널(SCCH: Sidelink Control Channel)은, 하나의 UE로부터 다른 UE에 제어 정보를 송신하기 위한 사이드링크용 제어 채널이다. SCCH는 트랜스포트 채널인 SL-SCH에 매핑된다.
3GPP에서는, NR에 있어서도 V2X 통신을 서포트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NR에 있어서의 V2X 통신의 검토가,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을 기초로 하여 진행되고 있지만, 이하의 점에서 LTE 시스템, LTE-A 시스템으로부터의 변경 및 추가가 행하여지고 있다.
LTE에서는 SL 통신은 브로드캐스트(broadcast)만을 사용하였다. NR에서는, SL 통신으로서, 브로드캐스트에 더하여, 유니캐스트(unicast)와 그룹캐스트(groupcast)의 서포트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2(3GPP TS 23.287) 참조).
유니캐스트 통신이나 그룹캐스트 통신에서는, HARQ의 피드백(Ack/Nack), CSI 보고 등의 서포트가 검토되고 있다.
SL 통신에서, 브로드캐스트에 더하여, 유니캐스트와 그룹캐스트를 서포트하기 위해, PC5-S 시그널링의 서포트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2(3GPP TS 23.287) 참조). 예컨대, SL, 즉 PC5 통신을 실시하기 위한 링크를 확립하기 위해, PC5-S 시그널링이 실시된다. 그 링크는 V2X 레이어에서 실시되고, 레이어 2 링크라고도 칭하여진다.
또한, SL 통신에 있어서, RRC 시그널링의 서포트가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22(3GPP TS 23.287) 참조). SL 통신에 있어서의 RRC 시그널링을, PC5 RRC 시그널링이라고도 칭한다. 예컨대, PC5 통신을 행하는 UE 사이에서, UE의 케이퍼빌리티를 통지하는 것이나, PC5 통신을 이용하여 V2X 통신을 행하기 위한 AS 레이어의 설정 등을 통지하는 것이 제안되고 있다.
NR의 통신 제어, 예컨대, PHY 레이어 제어에, 학습 장치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학습 장치의 동작 페이즈로서, 학습 페이즈와 추론 페이즈가 존재하더라도 좋다. 학습 장치의 예로서, UE가 입력 데이터를 부호화하고, 기지국이 복호하는 것이더라도 좋다. 그 입력 데이터는, 예컨대, CSI이더라도 좋다. 구체적인 예로서, UE와 기지국의 사이에서, 학습된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 처리 및 복호화 처리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이하, CSI 리포트를 CSI와 동의어로서 이용하는 경우가 있다). UE는, 부호화한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복호하여 통신 제어, 예컨대, PHY 레이어 제어에 이용하더라도 좋다. 부호화된 CSI 리포트는, 원래의 CSI 리포트보다 작은 사이즈더라도 좋다.
그런데, 통신 제어에 이용하는 학습을 행하는 주체가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학습 장치를 이용한 통신 제어가 행하여지지 않는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서는, 이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이하, 학습 페이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도 14에 나타내는 학습 장치의 구성이 취하여진다. 도 14는 통신 시스템에 관한 학습 장치(810)의 구성도이다. 학습 장치(810)는, 데이터 취득부(811), 모델 생성부(812)를 구비한다. 모델 생성부(812)가 생성한 학습된 모델은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가 기억한다. 도 14에서는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가 학습 장치(810)의 외부에 존재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냈지만, 학습 장치(810)에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도 14에 나타내는 학습 장치(810)는, 기지국에 적용되더라도 좋고, UE에 적용되더라도 좋고, 코어 네트워크 장치, 예컨대, AMF에 적용되더라도 좋고, SMF에 적용되더라도 좋고, UPF에 적용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LMF에 적용되더라도 좋고, NWDAF(Network Data Analytics Function)(비특허문헌 21(3GPP TS 23.501) 참조)에 적용되더라도 좋다.
데이터 취득부(811)는, 입력 데이터를 학습용 데이터로서 취득한다. 입력 데이터는, 예컨대, UE로부터 수신한 CSI 리포트이더라도 좋다.
모델 생성부(812)는, 데이터 취득부(811)로부터 출력되는 입력값, 예컨대 CSI 리포트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학습용 데이터에 기초하여,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학습한다. 즉, UE가, 측정한 CSI 리포트를 부호화하여 기지국에 송신하고, 기지국이 원래의 CSI 리포트로 복원 가능하게 되는, 최적의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생성한다. 여기서, 부호화한 CSI 리포트는, 원래의 CSI 리포트보다 작은 사이즈더라도 좋다. 또한, 학습용 데이터는, UE로부터 수신한 CSI 리포트 그 자체이더라도 좋다. 학습용 데이터에, CSI 리포트에 기초하는 기지국의 처리에 관한 정보, 예컨대, 송신 전력 제어에 관한 정보, 및/또는 스케줄링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또, 학습 장치(810)는, CSI 리포트의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학습하기 위해 사용되지만, 예컨대,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시스템 장치, 예컨대, 기지국 및/또는 UE에 접속되고, 이 통신 시스템 장치와는 별개의 장치이더라도 좋다. 또한, 학습 장치(810)는, 통신 시스템 장치에 내장되어 있더라도 좋다. 또한, 학습 장치(810)는, 클라우드 서버 상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학습 장치(810)와 통신 시스템 장치의 관계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후술하는 추론 장치와 통신 시스템 장치의 관계도 동일하다. 즉, 후술하는 추론 장치는, 네트워크를 통해서 통신 시스템 장치에 접속되는 별개의 장치이더라도 좋고, 통신 시스템 장치에 내장되어 있더라도 좋고, 클라우드 서버 상에 존재하고 있더라도 좋다.
모델 생성부(812)가 이용하는 학습 알고리즘은 지도 학습(supervised learning), 비지도 학습(unsupervised learning), 강화 학습 등의 공지의 알고리즘을 이용할 수 있다. 일례로서, 뉴럴 네트워크를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모델 생성부(812)는, 예컨대, 뉴럴 네트워크 모델에 따라서, 이른바 지도 학습에 의해,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학습한다. 여기서, 지도 학습이란, 입력과 결과(라벨)의 데이터의 세트를 학습 장치에 부여함으로써, 그들 학습용 데이터에 있는 특징을 학습하고, 입력으로부터 결과를 추론하는 수법을 말한다.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의 학습에 있어서는, 결과의 데이터로서 입력 데이터 그 자체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뉴럴 네트워크는, 복수의 뉴런으로 이루어지는 입력층, 복수의 뉴런으로 이루어지는 중간층(은닉층), 및 복수의 뉴런으로 이루어지는 출력층으로 구성된다. 중간층은, 1층, 또는 2층 이상이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중간층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의 학습에 있어서 이용되는 뉴럴 네트워크의 예를 도 15에 나타낸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파선으로 둘러싸인 층이 부호화부에서 이용되는 부호화 모델, 일점쇄선으로 둘러싸인 층이 복호화부에서 이용되는 복호화 모델이 된다. 도 1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복수의 입력값, 예컨대, 상이한 주파수 대역에 있어서의 CSI 리포트가 입력층(X1~X4)에 입력되면, 그 값에 가중치 W1(w11~w43)이 곱하여져 중간층(Y1~Y3)에 입력되고, 그 결과에 가중치 V1(v11~v32)이 더 곱하여져, 중간층(Z1~Z2)에 입력된다. 이 결과는, 가중치 W1 및 가중치 V1의 값에 따라 변한다. 중간층(Z1~Z2)의 값에, 가중치 V'1(v'11~v'23)이 곱하여져 중간층(Y'1~Y'3)에 입력되고, 그 결과에 가중치 W'1(w'11~w'34)이 더 곱하여져, 출력층(X'1~X'4)에 입력된다. 이 출력 결과는, 가중치 W1, V1, V'1 및 W'1의 값에 따라 변한다.
중간층(Y1~Y3), 중간층(Z1~Z2), 중간층(Y'1~Y'3) 및/또는 출력층(X'1~X'4)에 입력된 값에, 소정의 함수에 의한 연산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중간층에 있어서의 그 연산 결과에, 전술한 가중치 V1, V'1, W'1이 곱하여지더라도 좋다. 소정의 함수는, 예컨대, 시그모이드 함수이더라도 좋고,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Hyperbolic tangent function)이더라도 좋고, 다른 함수이더라도 좋다.
본원에 있어서, 뉴럴 네트워크는, 데이터 취득부(811)에 의해 취득되는 CSI 리포트의 입력 기초하여 작성되는 학습용 데이터에 따라서, 이른바 지도 학습에 의해,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학습한다.
즉, 출력층(X'1~X'4)의 값이 입력층(X1~X4)과 동일하게 되도록,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 예컨대, 가중치 W1, V1, V'1 및 W'1이 학습된다.
모델 생성부(812)는, 이상과 같은 학습을 실행함으로써 학습된 모델을 생성하고, 출력한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모델 생성부(812)로부터 출력된 학습된 모델을 기억한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그 학습된 모델을 다른 통신 시스템 장치, 예컨대,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학습 장치와 동일한 장치에 있더라도 좋고, 상이한 장치에 있더라도 좋다. 예컨대,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기지국에 있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에 있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가, 복수의 장치에 구비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학습 장치와 동일한 장치, 및, 상이한 장치에 각각 구비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과 UE가 각각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를 갖더라도 좋다. 복수의 장치가 동일한 학습된 모델을 기억하더라도 좋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가 기억하는 학습된 모델은, 예컨대, 복수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과 UE가 복수의 학습된 모델 중에서 사용하는 모델을 전환하여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채널 상태에 기초하여 유연한 CSI 부호화/복호화가 가능하게 된다.
다음으로, 도 16을 이용하여, 학습 장치(810)가 학습하는 처리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은 학습 장치(810)의 학습 처리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b1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부(811)는 입력 데이터, 예컨대, CSI 리포트를 취득한다. 또, 입력 데이터의 취득은 복수 회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각 입력 데이터의 취득은 동일한 타이밍에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상이한 타이밍에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스텝 b2에 있어서, 모델 생성부(812)는, 데이터 취득부(811)에 의해 취득되는 입력 데이터, 예컨대, CSI 리포트에 기초하여 작성되는 학습용 데이터에 따라서, 이른바 지도 학습에 의해, 부호화 모델, 복호화 모델을 학습하고, 학습된 모델을 생성한다.
스텝 b3에 있어서,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모델 생성부(812)가 생성한 학습된 모델을 기억한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그 학습된 모델, 예컨대,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을 다른 통신 시스템 장치, 예컨대,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추론 페이즈(활용 페이즈)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추론 장치 중, 부호화 장치에 적용되는 추론 장치(830)의 구성도이다. 추론 장치(830)는, 데이터 취득부(831) 및 부호화부(832)를 구비한다. 추론 장치(830)는, 예컨대, UE에 적용되더라도 좋다. 또,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는, 도 14에 나타내는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와 동일한 것이다.
데이터 취득부(831)는 입력 데이터, 예컨대, CSI 리포트를 취득한다.
부호화부(832)는,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입력 데이터의 부호화를 행한다. 즉, 이 학습된 모델에 데이터 취득부(831)에서 취득한 입력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부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부호화부(832)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송신부(840)에 출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부호화부(832)에 있어서 이용되는 학습된 모델의 예를 도 18에 나타낸다. 도 18에 나타내는 학습된 모델은, 도 15에 나타내는 모델 중 파선 부분과 동일하다. 도 18에 나타내는 학습된 모델에 데이터 취득부(831)에서 취득한 입력 데이터, 예컨대, CSI 리포트를 입력하면, 학습된 모델은, 부호화된 데이터, 예컨대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출력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학습 장치(810)가 구비하는 모델 생성부(812)에서 학습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한 부호화된 데이터를 추론 장치(830)가 출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통신 시스템 장치 등의 외부로부터 학습된 모델을 취득하고, 이 학습된 모델에 기초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19를 이용하여, 추론 장치(830)를 사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 출력을 얻기 위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19는 추론 장치(830)의 추론 처리 중, 부호화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c1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부(831)는 입력 데이터, 예컨대, CSI 리포트를 취득한다.
스텝 c2에 있어서, 부호화부(832)는 학습된 모델 기억부(820)에 기억된 학습된 모델에 입력 데이터를 입력하고, 학습된 모델이 출력하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얻는다.
스텝 c3에 있어서, 부호화부(832)는, 학습된 모델로부터 획득된 부호화된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즉, 부호화부(832)는, 부호화된 데이터를 송신부(840)에 출력하고, 송신부(840)가 부호화된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도 20은 통신 시스템에 관한 추론 장치 중, 복호화 장치에 적용되는 추론 장치(860)의 구성도이다. 추론 장치(860)는, 데이터 취득부(861) 및 복호화부(862)를 구비한다. 추론 장치(860)는, 예컨대, 기지국에 적용되더라도 좋다. 학습된 모델 기억부(850)는, 상술한 학습 장치(810)의 모델 생성부(812)에서 생성된 복호화 모델을 학습된 모델로서 기억한다. 도 20에서는 학습된 모델 기억부(850)가 추론 장치(860)의 외부에 존재하는 구성의 예를 나타냈지만, 추론 장치(860)에 학습된 모델 기억부(850)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복호화부(862)에 의한 복호 결과에 기초하여 기지국의 통신 제어를 행하는 통신 제어부(870)도 동일하게, 추론 장치(860)의 외부에 존재하는 구성이 아닌, 추론 장치(860)에 통신 제어부(870)가 포함되는 구성으로 하더라도 좋다. 통신 제어부(870)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제어는, 예컨대, PHY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이더라도 좋다.
데이터 취득부(861)는, UE로부터 송신된 부호화된 데이터, 예컨대, 부호화된 CSI 리포트인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취득한다.
복호화부(862)는,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의 복호화를 행한다. 즉, 이 학습된 모델에 데이터 취득부에서 취득한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함으로써, 부호화되기 전의 원래의 입력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복호화부(862)에 있어서 이용되는 학습된 모델의 예를 도 21에 나타낸다. 도 21에 나타내는 학습된 모델은, 도 15에 나타내는 모델 중 일점쇄선 부분과 동일하다. 도 21에 나타내는 학습된 모델에 데이터 취득부(861)에서 취득한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하면, 학습된 모델은, 원래의 입력 데이터를 출력한다.
또, 본 실시의 형태에서는, 통신 시스템의 학습 장치(810)가 구비하는 모델 생성부(812)에서 학습한 학습된 모델을 이용하여 복호한 복호된 데이터를 추론 장치(860)가 출력하는 것으로서 설명하였지만, 다른 통신 시스템 장치 등의 외부로부터 학습된 모델을 취득하고, 이 학습된 모델에 기초하여 복호된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다음으로, 도 22를 이용하여, 추론 장치(860)를 사용하여 복호된 데이터 출력을 얻기 위한 처리를 설명한다. 도 22는 추론 장치(860)의 추론 처리 중, 복호화에 관한 플로우차트이다.
스텝 c21에 있어서, 데이터 취득부(861)는 부호화된 데이터, 예컨대,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취득한다.
스텝 c22에 있어서, 복호화부(862)는 학습된 모델 기억부(850)에 기억된 학습된 모델에 부호화된 데이터를 입력한다.
스텝 c23에 있어서, 복호화부(862)는, 학습된 모델에 의해 출력되는, 부호화된 데이터의 복호 결과, 예컨대, CSI 리포트를 얻는다.
스텝 c24에 있어서, 통신 제어부(870)는, 학습된 모델에 의해 획득된 원래의 입력 데이터를 이용하여, 기지국의 통신 제어를 행한다. 그 제어는, 예컨대, PHY 레이어에 있어서의 제어이더라도 좋다. 통신 제어부(870)는, 예컨대, 원래의 CSI 리포트를 이용하여, UE의 스케줄링을 행하더라도 좋다.
CSI 리포트의 송수신에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을 적용함에 있어서, 이하의 문제가 더 발생한다. 즉,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에 대하여, 기지국과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설정 방법의 상세가 상술한 각 비특허문헌 등에 있어서 개시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학습 장치를 이용한 CSI 리포트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실현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실시의 형태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는, 미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행하여진다. 예컨대, 기지국이 미리 학습을 행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에 있어서의 사전 학습은, 예컨대, 기지국의 공장 출하 때에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UE와의 접속 개시 때에 있어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코어 네트워크를 구성하는 장치인 코어 NW 장치가 그 학습을 행하더라도 좋다. 그 코어 NW 장치는, 예컨대, AMF이더라도 좋고, SMF이더라도 좋고, UPF이더라도 좋고, LMF이더라도 좋고, NWDAF이더라도 좋다. 그 학습을 실시한 코어 NW 장치는 기지국 및/또는 UE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N2 인터페이스가 이용되더라도 좋고, NAS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디폴트의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마련되더라도 좋다. 그 모델을, 기지국이 마련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가 마련하더라도 좋다. 디폴트의 그 모델은 1개 마련되더라도 좋고, 복수 마련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로부터의 CSI 리포트를 이용하여, 그 모델 중 어느 모델을 이용할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학습 페이즈에 있어서의 기지국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UE가 그 학습을 행하더라도 좋다. 기지국 및 UE가 그 학습을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학습 결과의 기지국, UE 사이에 있어서의 통지가 불필요하게 되고, 그 결과, 기지국과 UE 사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해결책으로서, 그 학습이 수시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그 학습이 기지국에 있어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그 학습이 수시로 행하여지는 예로서, 학습이 주기적으로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채널 상태의 급변을 계기로 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주기, 및/또는 채널 상태의 급변을 판단하는 정보(예컨대, 임계치)는,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그 임계치를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학습 데이터를 요구하더라도 좋다. 학습 데이터는,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데이터, 예컨대, 부호화되지 않는 CSI 리포트이더라도 좋다. 그 요구는,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UE는, 학습용 데이터를 기지국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그 통지에 유저 플레인 데이터(이하, U 플레인 데이터라 칭한다)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통신 시스템의 외부의 측정 결과의 통지에 있어서, U 플레인 데이터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을 행하더라도 좋다.
학습 데이터의 요구를 AMF가 행하더라도 좋다. AMF로부터 UE로의 그 요구에는, 예컨대, NAS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UE는, 학습용 데이터를 AMF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통지를, 기지국을 경유하여 행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NAS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RRC 시그널링 및 N2 인터페이스 상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AMF는, 그 통지를 이용하여, 학습을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학습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통지를, 기지국이 UE에 대하여 행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한 그 통지에 포함되는 정보의 예로서, 이하 (1)~(12)를 개시한다.
(1) 입력값의 종별.
(2) 입력층의 노드의 수.
(3) 은닉층의 깊이.
(4) 은닉층의 노드의 수.
(5) 은닉층의 각 노드에 적용하는 함수.
(6) 출력층의 노드의 수.
(7) 출력층의 각 노드에 적용하는 함수.
(8) 가지(branch)의 가중치 계수.
(9) 가지가 결합하는 노드에 관한 정보.
(10) 학습 장치의 디폴트의 동작 모드에 관한 정보.
(11) 모델의 바이너리 정보.
(12) 전술한 (1)~(11)의 조합.
전술한 (1)은, 예컨대, CSI 리포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다. 그 정보에, 입력하는 CSI 리포트의 상세, 예컨대, 측정 대상의 CSI-RS의 리소스(시간, 주파수, 안테나 포트, 등)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 처리를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입력 정보의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인식 불일치에 의한 오동작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1)에, 측정 대상의 CSI-RS의 종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제로 전력 CSI-RS(Zero-Power CSI-RS: ZP-CSI-RS)이더라도 좋고, 비 제로 전력 CSI-RS(Non-Zero-Power CSI-RS: NZP-CSI-RS)이더라도 좋고(비특허문헌 13(3GPP TS 38.211) 참조), 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이더라도 좋다(비특허문헌 15(3GPP TS 38.214) 참조). 이것에 의해, 예컨대, 채널 측정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1)이, 다른 입력값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측위 신호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다른 입력값에 대해서도 부호화/복호화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2)는, 예컨대, 입력층의 노드의 수 그 자체이더라도 좋고, 입력층의 노드의 수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더라도 좋다. 입력층의 노드의 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입력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3)은, 부호화부에 있어서의 은닉층의 깊이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은닉층의 깊이는 1, 즉, 은닉층은 Y1 내지 Y3에 의해 구성되는 층이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을 구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4)에는, 각 은닉층에 있어서의 노드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노드의 수 그 자체의 정보 대신에, 노드의 수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은닉층의 노드의 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은닉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5)에는, 각 은닉층의 입력값에 적용되는 함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함수는, 예컨대, 시그모이드 함수이더라도 좋고,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이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그 함수는 선형 함수이더라도 좋고, 함수가 적용되지 않더라도, 즉, 은닉층으로의 입력값과 출력값은 같은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은닉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5)의 정보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5)에, 각 은닉층의 입력값에 추가되는 오프셋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오프셋은, 예컨대, 각 은닉층에 입력되는 가중치 계수와 전단의 층의 값의 곱을, 가지마다 가산한 것에 추가되는 값이더라도 좋다. 이 정보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5)에 관한 정보는, 노드마다 주어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그 정보는, 은닉층마다 주어지더라도 좋다. 즉, 그 정보는, 동일한 층의 노드 사이에서 공통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 정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그 정보는, 노드 사이에서 공통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 정보의 시그널링의 양을 더 삭감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6)에는, 출력층에 있어서의 노드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출력층에 있어서의 노드는 Z1 및 Z2이더라도 좋다. 노드의 수 그 자체의 정보 대신에, 노드의 수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출력층의 노드의 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출력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7)은, 전술한 (5)와 동일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전술한 (5)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7)에 관한 정보는, 노드마다 주어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다른 예로서, 그 정보는, 노드 사이에서 공통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 정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8)의 정보는, 가지마다 주어지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w11~w43, v11~v32의 각 값이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 사이의 가지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9)의 정보는, 가지의 양단의 노드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노드에 관한 그 정보는, 예컨대, 노드 전체의 식별자를 이용하여 주어지더라도 좋고, 층을 식별하는 정보와 층에 있어서의 노드를 식별하는 정보의 조합을 이용하여 주어지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 사이의 가지를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9)에 관하여, 가지의 양단이, 1개 또는 그 이상의 층에 걸치더라도 좋다. 예컨대, 도 18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X1~X4의 어느 하나와, Z1, Z2 중 어느 하나가 접속되는 가지가 존재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가지의 양단이, 동일한 층의 노드이더라도 좋고, 동일한 노드에 접속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10)의 정보는, 그 통지 후에 있어서의 UE의 부호화부의 동작 상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부호화를 행하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고, 부호화를 행하지 않는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를 행하거나, 혹은 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학습 장치의 동작 모드의 불일치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11)의 정보는, 예컨대, 기지국과 UE가 동일한 플랫폼을 이용하는 경우에 통지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의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그 RRC 시그널링은, 예컨대, RRC 재구성(RRCReconfiguration)이더라도 좋고, RRC 재개(RRCResume)이더라도 좋고, RRC 셋업(RRCSetup)이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그 통지에는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 통지를 신속하게 실행 가능하다. 다른 예로서, 그 통지에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 통지를 더 신속하게 실행 가능하게 된다.
AMF가 UE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의 정보를 통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NAS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부호화 모델의 정보가, U 플레인 데이터로 통지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학습 처리가 애플리케이션 레이어에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 U 플레인 데이터에 의한 통지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제어 플레인(이하, C 플레인이라 칭한다)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에 관한 설정을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설정에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NAS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전술한 복수의 조합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그 설정에는, 전술한 (1)~(12)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의 설정을 행하더라도 좋다.
그 설정이, 부호화/복호화 대상의 정보마다 포함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CSI 리포트 설정에, 부호화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더라도 좋고, 측위에 관한 설정에, 부호화에 관한 설정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CSI 리포트 및/또는 측위에 관한 설정을 신속하게 실행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그 설정에, 각 부호화/복호화 대상의 정보의 부호화 설정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부호화 설정에, CSI 리포트에 관한 부호화의 설정, 측위에 관한 부호화의 설정, 등이 포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에 관한 설정을 신속하게 실행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 개시의 지시를 행하더라도 좋다. 그 지시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부호화 개시의 타이밍에 관한 불일치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그 지시는, 부호화 모델의 정보의 통지를 행하는 시그널링에 포함되더라도 좋고, 상이한 시그널링으로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부호화 모델의 통지가, 부호화 개시의 지시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UE는, 부호화 모델의 통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CSI의 부호화를 개시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UE는 그 통지를 이용하여, 부호화부의 설정을 행하더라도 좋고, CSI 리포트의 부호화를 행하더라도 좋다. UE에 있어서의 CSI 리포트의 부호화는, 기지국으로부터의 부호화 개시의 지시를 계기로 하여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UE는, 부호화한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그 송신에는, PUCCH가 이용되더라도 좋고, PUSCH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 정지의 지시를 행하더라도 좋다. 그 지시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CSI의 부호화를 정지하더라도 좋고, 원래의 CSI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부호화 정지의 타이밍에 관한 불일치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그 지시는, 학습 데이터의 요구를 행하는 시그널링에 포함되더라도 좋고, 상이한 시그널링으로서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학습 데이터의 요구가, 부호화 정지의 지시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UE는, 부호화 모델의 통지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CSI의 부호화를 정지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부호화 정지에 따라 학습 데이터 요구가 행하여지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학습 페이즈로 이행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UE는, 후술하는,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동작 페이즈 전환의 통지를 이용하여, 페이즈의 전환을 행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학습 페이즈, 추론 페이즈와는 상이한 동작, 예컨대, 통상 동작의 페이즈가 마련되더라도 좋다. UE는, 부호화 정지에 따라 통상 동작의 페이즈로 이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UE는, 통상 동작의 페이즈에 있어서, 부호화를 행하지 않는, 즉, 원래의 CSI를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예컨대, 부호화의 재개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 재개를 지시하더라도 좋다. 그 지시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부호화를 재개하더라도 좋다. UE는, 정지 전의 부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를 재개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부호화의 종료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 종료를 지시하더라도 좋다. 그 지시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부호화를 종료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UE는, 그 지시를 이용하여, 부호화에 관한 설정을 해방하더라도 좋고, 원래의 CSI를 이용하여 CSI 리포트를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23은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동작 및 학습된 모델을 이용한 부호화/복호화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23에 있어서, 기지국이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을 행하고, UE가 부호화, 그 기지국이 복호화를 행하는 예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23에 나타내는 스텝 ST2315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채널 설정을 지시한다. 그 지시에는,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시그널링에, 부호화/복호화 모델 학습의 개시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더라도 좋고, UE로의 학습용 데이터의 요구를 포함시키더라도 좋고, 학습용 데이터가 CSI 리포트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시키더라도 좋고, UE에 송신하는 CSI-RS의 설정을 포함시키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채널 설정을 행하더라도 좋고,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인식하더라도 좋다. 스텝 ST2317에 있어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RRC 재설정의 완료를 통지한다.
도 23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20)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페이즈를 나타내는 프로시져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스텝 ST2323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CSI-RS를 송신한다. CSI-RS는, 제로 전력 CSI-RS(Zero-Power CSI-RS: ZP-CSI-RS)이더라도 좋고, 비 제로 전력 CSI-RS(Non-Zero-Power CSI-RS: NZP-CSI-RS)이더라도 좋고(비특허문헌 13(3GPP TS 38.211) 참조), 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이더라도 좋다(비특허문헌 15(3GPP TS 38.214) 참조). UE는 기지국으로부터의 CSI-RS를 수신하고, 스텝 ST2325에 있어서,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스텝 ST2325에 포함되는 CSI 리포트는, 부호화가 되어 있지 않은 CSI 리포트이다. 스텝 ST2323 및/또는 스텝 ST2325는, 복수 회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스텝 ST2327에 있어서, 기지국은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을 행한다. 그 학습에, 스텝 ST2325에서 수신한 CSI 리포트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스텝 ST2329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학습된 부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그 통지는, RRC 시그널링, 예컨대,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전술한 (1)~(12)에 나타내는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부호화 모델의 디폴트의 동작 페이즈는 부호화 없음이 된다. 스텝 ST2331에 있어서, UE는 부호화 모델을 설정한다. 그 설정에는, 스텝 ST2329에 포함되는 정보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는 모델 설정 후의 부호화 모델의 초기 동작을, 부호화 없음으로 하더라도 좋다. 즉, UE는, 스텝 ST2331의 직후에 있어서,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스텝 ST2333에 있어서, UE는 기지국에, 부호화 모델의 설정의 완료를 통지한다. 그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 예컨대, RRC 재설정 완료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스텝 ST2335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의 개시를 지시한다. 그 지시에, 부호화의 대상이 되는 입력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그 입력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더라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CSI 리포트를 나타내는 정보(예컨대, 식별자)가 포함된다. 그 지시에는, RRC 시그널링, 예컨대, RRC 재설정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3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추론 페이즈를 나타내는 프로시져이다.
도 23에 나타내는 스텝 ST2343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CSI-RS를 송신한다. UE는 기지국으로부터의 CSI-RS를 수신하고, 스텝 ST2345에 있어서, CSI 리포트를 부호화한다. 스텝 ST2347에 있어서, UE는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한다. 스텝 ST2349에 있어서, 기지국은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복호하여 원래의 CSI 리포트를 생성한다. 기지국은, 스텝 ST2349의 출력이 되는 CSI 리포트를 이용하여 통신 제어, 예컨대, PHY 레이어의 제어를 행한다.
도 23에서는, 스텝 ST2329와 스텝 ST2335가 서로 상이한 시그널링인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동일한 시그널링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스텝 ST2335가 스텝 ST2329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는 부호화를 신속하게 개시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스텝 ST2329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부호화를 개시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는 부호화를 신속하게 개시 가능하게 된다.
도 23에 나타내는 스텝 ST2315에 있어서, RRC 재설정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는 예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RRC 재개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그 시그널링은, 예컨대, UE가 RRC_INACTIVE 스테이트일 때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는 RRC_INACTIVE로부터의 복귀 후 신속하게 학습 페이즈를 개시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RRC 셋업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그 시그널링은, 예컨대, UE가 RRC_IDLE 스테이트일 때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는 RRC_IDLE 스테이트로부터 RRC_CONNECTED 스테이트로의 천이 후 신속하게 학습 페이즈를 개시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CSI 리포트를 부호화/복호화하는 경우에 대하여 나타냈지만, 다른 정보의 부호화/복호화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빔 측정 결과의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가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측위에 이용하는 신호의 수신 결과 보고의 부호화/복호화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빔 제어 및/또는 측위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측위에 이용하는 정보의 부호화/복호화의 학습을, LMF가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LMF가 기지국 및/또는 UE에 대하여, 학습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측위의 처리에 관한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개시한 방법이,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s)(비특허문헌 35(3GPP TS 37.320))에 적용되더라도 좋다.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MDT의 측정 결과 송신에 부호화/복호화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학습 장치를, 기지국이 갖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가 갖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학습된 모델을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코어 NW 장치가 학습된 모델을 기지국 및/또는 UE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MDT의 측정 결과를 부호화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UE로부터 수신한 부호화된 측정 결과를 복호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MDT의 측정 결과에 관한 정보의 통지에 있어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1에 의해,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CSI 리포트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1의 변형예 1.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이용한 기지국, UE 사이의 송신에 있어서,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동작 페이즈에 따라, 기지국과 UE의 사이에서 송수신되는 정보가 상이하다. 예컨대, 동작 페이즈가 학습 페이즈인 경우는 부호화되지 않은 데이터가 송수신되고, 추론 페이즈인 경우는 부호화 데이터가 송수신된다.
따라서, UE가 인식하고 있는 동작 페이즈와, 기지국이 인식하고 있는 동작 페이즈가 상이한 경우,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송수신이 정확하게 행하여지지 않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본 변형예 1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변형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학습 장치의 페이즈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그 정보는, 예컨대, 페이즈의 전환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학습 장치의 페이즈의 전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페이즈는, 추론 페이즈이더라도 좋고, 학습 페이즈이더라도 좋고, 전술한 통상 동작의 페이즈이더라도 좋다.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그 통지는, 학습 장치마다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장치의 동작 페이즈 전환의 통지와, 빔 측정 결과 통지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장치의 동작 페이즈 전환의 통지가, 각각 상이한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1개의 시그널링에, 복수의 학습 장치에 관한 그 통지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장치의 동작 페이즈와, 빔 측정 결과 통지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장치의 동작 페이즈가, 1개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 사이의 시그널링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한 그 통지에,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통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한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한 더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UE는, 그 통지를 계기로 하여, 정보의 부호화를 개시하더라도 좋고, 정지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UE는, 그 통지를 계기로 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학습 데이터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동작 정지의 통지를 계기로 하여, 기지국에 대하여 학습 데이터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가 학습 데이터를 기지국에 대하여 신속하게 송신 가능하게 된다.
학습 데이터 송신 지시가, 부호화 정지의 지시이더라도 좋다. 예컨대, UE는, 학습 데이터 송신 지시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CSI의 부호화를 정지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24는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동작 페이즈의 전환의 예를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24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동작 페이즈가 추론 페이즈, 학습 페이즈, 추론 페이즈의 순서로 전환되는 예에 대하여 나타낸다. 도 24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한 처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4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추론 페이즈가 행하여진다. 그 추론 페이즈에 있어서의 동작은, 도 23과 동일하다.
도 24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프로시져(2340)의 실행 중에 재학습이 필요하게 된 것으로 한다. 즉, 정하여진 재학습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태가 된 것으로 한다. 이 경우, 스텝 ST2410에 있어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재학습을 요구한다. 그 요구에는,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스텝 ST2412에 있어서,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부호화의 정지를 지시한다. 그 지시에는,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4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20)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 페이즈가 행하여진다. 그 학습 페이즈에 있어서의 동작은, 도 23과 동일하다.
도 24에 나타내는 스텝 ST2335는, 도 23과 동일하다.
도 24에 나타내는, 스텝 ST2335에 계속되는 프로시져(2340)에 있어서,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추론 페이즈가 행하여진다. 그 추론 페이즈에 있어서의 동작은, 도 23과 동일하다.
도 24에 나타내는 스텝 ST2412의 시그널링이 송신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UE는, 스텝 ST2410의 시그널링 송신을 계기로 하여, 자율적으로 부호화를 정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스텝 ST2410의 수신을 계기로 하여, UE가 부호화를 정지한 것을 인식하더라도 좋고, 복호화 처리를 정지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24에 나타내는 스텝 ST2335가 UE에 송신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스텝 ST2335가 도 23에 있어서의 스텝 ST2329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는 부호화를 신속하게 개시 가능하게 된다.
본 변형예 1에 의해,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동작 페이즈에 관한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인식 불일치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2.
기지국 및/또는 UE가 이용하는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에 대하여, 이하의 문제가 존재한다. 즉, UE의 성능에 따라서는, 기지국이 학습한 부호화 모델을 사용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예컨대, UE의 메모리가 작은 경우나, UE에 있어서의 계산 처리 속도가 느린 경우에 있어서, 그 부호화 모델을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의 형태 2에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 2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학습 장치의 사용 가부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학습 장치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정보가, UE 케이퍼빌리티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포함한 UE 케이퍼빌리티를 기지국에 대하여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 예컨대, AMF에 대하여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UE와의 사이에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이용할지 여부를 결정하더라도 좋고, 이용하는 부호화 모델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그 결정을, 코어 NW 장치, 예컨대 AMF가 행하더라도 좋다.
도 25는, 기지국과,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사용 가능한 UE 및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사용 불가능한 UE의 통신의 예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5에 있어서, UE#1은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사용 가능한 UE이고, UE#2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사용 불가능한 UE인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5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는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가 행하여지고, 기지국과 UE#2의 사이에서는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구성되지 않고, CSI 리포트가 그대로 송수신된다.
UE와 기지국의 사이에서 이용되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능력이 카테고리로 구분되더라도 좋다.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능력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로부터의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카테고리 구분을 행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하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이용하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신속하게 결정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UE 케이퍼빌리티에 포함되어 통지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로부터의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이용하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이용하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더 신속하게 결정 가능하게 된다.
도 26은, 기지국과, 상이한 카테고리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갖는 UE의 통신의 예에 대하여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6에 있어서, UE#1, UE#2, UE#3은 서로 상이한 능력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갖는 예에 대하여 나타내고 있다. 도 26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지국과 UE#1, 기지국과 UE#2, 기지국과 UE#3의 사이에서는, 각각 상이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가 행하여진다.
UE가 기지국에 통지하는,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능력에 관한 정보의 예로서, 이하의 (A)~(M)을 개시한다.
(A) 노드의 최대 개수.
(B) 입력층의 최대 개수.
(C) 은닉층의 최대 개수.
(D) 은닉층의 최대 깊이의 수.
(E) 출력층의 최대 개수.
(F) 은닉층 및/또는 출력층에 대한 함수의 적용 가능성.
(G) 노드의 값의 최대 정밀도.
(H) 가지의 최대 개수.
(I) 가지의 가중치의 최대 정밀도.
(J) UE의 처리 속도.
(K) UE의 학습 장치의 메모리의 양.
(L) UE의 학습 장치의 카테고리에 관한 정보.
(M) 상기 (A)~(L)의 조합.
전술한 (A)는, 예컨대, 입력층, 은닉층, 출력층의 합계의 최대 노드의 수 그 자체이더라도 좋고, 최대 노드의 수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더라도 좋다. 최대 노드의 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크기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오버플로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B)에는, 입력층에 있어서의 최대 노드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최대 노드의 수 그 자체의 정보 대신에, 최대 노드의 수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최대 노드의 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입력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C)에는, 은닉층 전체에 있어서의 최대 노드의 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최대 노드의 수 그 자체의 정보 대신에, 최대 노드의 수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은닉층의 최대 노드의 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은닉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있어서도 사용 가능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D)는, 부호화부에 있어서의 은닉층의 최대 깊이의 수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은닉층을 구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전술한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E)에는, 출력층에 있어서의 노드의 최대 개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노드의 최대 개수 그 자체의 정보 대신에, 노드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식별자가 이용되더라도 좋다. 출력층의 노드의 최대 개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출력층을 구성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F)에는, 각 은닉층 및/또는 출력층의 입력값에 적용 가능한 함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함수는, 예컨대, 시그모이드 함수이더라도 좋고, 하이퍼볼릭 탄젠트 함수이더라도 좋고, 선형 함수이더라도 좋다. 적용 가능성이, 함수마다 주어지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에 적용하는 함수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전술한 (F)의 정보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있어서 실행 가능한 부호화 모델을 구축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G)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비트의 수로서 주어지더라도 좋고, 값의 형태(예컨대, 단정밀도 실수(single precision real number), 배정밀도 실수(double precision real number))로서 주어지더라도 좋다. 값의 형태마다의 대응 여부가 주어지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노드의 값의 정밀도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오버플로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H)에는, 부호화 모델에 있어서 사용 가능한 가지의 최대 개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전술한 (H)는 가지의 최대 개수를 나타내는 식별자이더라도 좋다. 가지의 최대 개수와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크기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오버플로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I)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전술한 (G)와 동일하게 주어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전술한 (G)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술한 (J)에는, UE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연산 속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크기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결정에, UE에 있어서 허용되는 부호화 처리 시간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부호화 처리의 지연에 의한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K)는, 부호화 처리에 사용 가능한 메모리의 양 그 자체이더라도 좋고, 메모리의 양을 나타내는 식별자이더라도 좋다. 메모리의 양과 그 식별자의 사이의 연관성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고, 코어 NW 장치(예컨대, AMF)가 결정하여 기지국 및/또는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크기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오버플로를 방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L)은, 예컨대, UE가 사용 가능한 부호화 모델의 크기를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의 크기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양을 삭감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기지국은 부호화 모델을 신속하게 결정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2에 의해, 기지국은, 상이한 능력의 UE와의 사이에 있어서도,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이용한 송수신이 가능하게 된다.
실시의 형태 2의 변형예 1.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는, UE의 학습 장치의 능력마다의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개시하였다. 그런데,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적용 범위에 대하여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결과, 예컨대, 복수의 UE와 기지국의 통신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불일치가 발생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이 발생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변형예 1에 있어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변형예 1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UE마다 마련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마다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갖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의 채널 상태 등에 기초하여 최적의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UE로부터 기지국에 통지하는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27은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UE마다 마련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7에 있어서, 기지국은 UE#1을 위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과, UE#2를 위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각각 갖는다.
다른 해결책을 개시한다.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상이한 UE 사이에서 공통으로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에 있어서의 처리량을 삭감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기지국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도 28은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상이한 UE 사이에서 공통으로 마련되는 경우의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8에 있어서, 기지국은 UE#1, UE#2를 위한 공통의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갖는다.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상이한 UE 사이에서 공통으로 마련되는 예로서, 실시의 형태 2에 있어서 개시한 UE의 학습 장치의 카테고리마다 마련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상이한 능력의 UE와의 사이에 있어서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이용한 송수신을 가능하게 하면서, 기지국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이용하는 UE의 그룹이 마련되더라도 좋다. 그 그룹은, 예컨대, 기지국과의 사이의 채널 상태가 유사한 UE에 의해 구성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룹마다의 채널 상태 등에 기초하여 최적의 학습 결과를 얻을 수 있고, 그 결과, UE로부터 기지국에 통지하는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기지국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그 그룹에 관한 다른 예로서, 동일한 혹은 유사한 QoS 요건의 UE에 의해 구성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의 QoS 요건 달성을, 적은 메모리의 양으로 실현 가능하게 된다.
UE가 속하는 그룹을, 기지국이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UE로부터의 CSI 리포트를 이용하여, UE가 속하는 그룹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속하는 그룹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실시의 형태 1에 있어서 개시한, 기지국으로부터 UE로의 부호화 모델의 통지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속하는 그룹을 파악하더라도 좋다.
UE가 속하는 그룹의 변경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그 변경을, 기지국이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UE로부터의 CSI 리포트를 이용하여, UE가 속하는 그룹의 변경을 결정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채널 상태가 급변한 경우에 있어서, 그 그룹의 변경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속하는 그룹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한 그 통지에, 변경 후의 그룹에 있어서 이용되는 부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으로부터 UE에 대하여, 복수의 그룹의 부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가 미리 통지되더라도 좋다. 복수의 그 모델에 관한 정보가 미리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채널 상태의 변화에 대한 신속한 대응이 가능하게 된다.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그룹에 속하는 모든 UE(이하, 그룹 내 UE라 칭하는 일이 있다)에 대하여 동시에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그룹 내의 특정한 UE로부터의 재학습 요구를 계기로 하여, 그룹 내 UE에 대하여 부호화 정지를 지시하더라도 좋다. 그룹 내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부호화되지 않은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재학습 후의 부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그룹 내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룹 내 UE는 그 통지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을 갱신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부호화 개시를 그룹 내 UE에 지시하더라도 좋다. 그룹 내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를 재개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도 29는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그룹에 속하는 모든 UE에 대하여 동시에 행하여지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2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1과 UE#2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고 있다. 도 29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1이 기지국에 대하여 재학습을 요구한다. 도 29에 있어서, 도 23, 도 24와 동일한 처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29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의 추론 페이즈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 기지국과 UE#2의 각각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410, ST2412에 있어서, 도 24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도 29에 나타내는 스텝 ST2912에 있어서, 기지국은 UE#2에 대하여, 부호화의 정지를 지시한다. 그 지시에는, 스텝 ST2412와 동일한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9에 나타내는 파선 부분은, 학습 페이즈를 나타낸다.
도 29에 나타내는 스텝 ST2323, ST2325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923, ST2925에 있어서, 스텝 ST2323, ST2325와 각각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2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927에 있어서, 기지국은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의 학습을 행한다. 그 학습에, 스텝 ST2325의 CSI 리포트가 이용되더라도 좋고, 스텝 ST2925의 CSI 리포트가 이용되더라도 좋고, 전술한 양쪽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도 29에 나타내는 스텝 ST2329, ST2331, ST2333, ST2335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929, ST2931, ST2933, ST2935에 있어서, 스텝 ST2329, ST2331, ST2333, ST2335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2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도 29에 나타내는, 스텝 ST2935에 계속되는 프로시져(2340)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의 추론 페이즈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 기지국과 UE#2의 각각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복수의 상이한 그룹에 있어서,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복수의 상이한 그룹이,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하기 전에 상이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하고 있었던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한 후에 상이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그룹에 속하는 일부의 UE(이하, 특정 UE라 칭하는 일이 있다)에 대해서만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즉, 동일한 그룹 내에 있어서, 부호화되지 않은 CSI 리포트를 송신하는 UE와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송신하는 UE가 함께 존재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과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예컨대, 기지국은, 특정 UE로부터의 재학습 요구를 계기로 하여, 특정 UE에 대하여 부호화 정지를 지시하더라도 좋다. 특정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부호화되지 않은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그룹 내의 다른 UE(이하, 다른 UE라 칭하는 경우가 있다)에 대해서는 부호화 정지를 지시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다른 UE는, CSI 리포트의 부호화 및 부호화된 CSI 리포트의 기지국으로의 송신을 계속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특정 UE로부터의 부호화되지 않은 CSI 리포트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재학습을 행함과 아울러, 다른 UE로부터의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복호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도 14에 나타내는 학습 장치(810)와 도 20에 나타내는 추론 장치(860)를, 서로 상이한 장치로서 갖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재학습에 학습 장치를, 복호에 추론 장치를, 각각 이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특정 UE로부터의 재학습 요구를 계기로 하여, 특정 UE에 대하여 부호화 정지를 지시하더라도 좋다. 특정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부호화되지 않은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다른 UE에 대해서는 부호화 정지를 지시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다른 UE는, 부호화된 CSI 리포트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재학습 후의 부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그룹 내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룹 내 UE는 그 통지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을 갱신하더라도 좋다.
다른 UE는, 그 통지를 계기로 하여, 자율적으로 CSI 리포트의 부호화를 정지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기지국이 다른 UE에 대하여 부호화 정지를 명시적으로 지시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부호화 개시를 그룹 내 UE에 지시하더라도 좋다. 그룹 내 UE는 그 지시를 계기로 하여, CSI 리포트의 부호화를 재개하더라도 좋다.
도 30은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그룹에 속하는 일부의 UE에 대해서만 행하여지는 경우의 동작을 나타내는 시퀀스 도면이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1과 UE#2는 동일한 그룹에 속하고 있다. 도 30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UE#1이 기지국에 대하여 재학습을 요구한다. 도 30에 있어서, 도 23, 도 24, 도 29와 동일한 처리에는 동일한 번호를 부여하고, 공통되는 설명을 생략한다.
도 30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에 있어서, 도 23에 나타내는 프로시져(2340)의 추론 페이즈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 기지국과 UE#2의 각각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410, ST2412에 있어서, 도 24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도 30에 있어서는, 도 29와 다르게, UE#2에 대한 부호화 정지 지시는 행하여지지 않는다.
도 30에 나타내는 스텝 ST2323, ST2325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923에 있어서, 스텝 ST2323과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2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3045, ST3047, ST3049에 있어서, 도 23의 스텝 ST2345, ST2347, ST2349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2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기지국은, 학습용의 부호화/복호화 모델과, 추론용(실행용)의 부호화/복호화 모델을 각각 갖더라도 좋다.
도 30에 나타내는 스텝 ST2329, ST2331, ST2333, ST2335에 있어서, 도 23과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1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스텝 ST2929, ST2931, ST2933, ST2935에 있어서, 스텝 ST2329, ST2331, ST2333, ST2335와 동일한 처리가, 기지국과 UE#2의 사이에서 행하여진다.
1개의 UE가 복수의 부호화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셀마다 상이한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셀마다의 상이한 부호화 모델은, 예컨대, CA에 있어서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각 셀에 있어서의 채널 상태에 근거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통신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셀 사이에서 공통인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셀 사이에서 공통인 부호화 모델은, 예컨대, CA에 있어서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의 삭감이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BWP마다 상이한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각 BWP에 있어서의 채널 상태에 근거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통신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서비스마다 상이한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QoS마다 상이한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서비스마다의 상이한 부호화 모델의 예로서, 멀티캐스트와 유니캐스트에 있어서 상이한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브로드캐스트와 그룹캐스트와 유니캐스트에 있어서 상이한 부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각 서비스에 적합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통신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 MN)과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 SN)의 사이에서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SN이 MN과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와 SN의 사이의 부호화/복호화를 신속하게 개시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와 SN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MN은 SN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통지하더라도 좋다. MN은 SN에 대하여, UE의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UE의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UE 케이퍼빌리티에 포함되어 통지되더라도 좋다. 전술한 통지는, 예컨대, Xn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전술한 통지는, 예컨대, SN 추가(SN Addition)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더라도 좋고, SN 수정 요구(SN Modification Request)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MN이 SN과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하더라도 좋다. MN은 SN에 대하여, UE의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UE의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는, 예컨대, UE 케이퍼빌리티에 포함되어 통지되더라도 좋다. SN은 MN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통지하더라도 좋다. MN은, SN으로부터 통지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MN의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수정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의 증가를 억제 가능하게 됨과 아울러, 최신의 채널 상태에 근거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CSI 리포트의 통지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통지는, 예컨대, Xn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전술한 통지는, 예컨대, SN 수정 요구 있음(SN Modification Required)의 시그널링에 포함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마스터 기지국(Master Node: MN)과 세컨더리 기지국(Secondary Node: SN)의 사이에서 상이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각 기지국과 UE의 사이에 있어서의 채널 상태에 근거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각 기지국과 UE의 사이의 통신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UE가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소스 기지국(source base station)과 목표 기지국(destination base station)의 사이에서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전술한 동작은, 예컨대, 핸드오버에 있어서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와 목표 기지국의 사이의 부호화/복호화를 신속하게 개시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와 목표 기지국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소스 기지국은 목표 기지국에 대하여, UE의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는, 예컨대, UE 케이퍼빌리티에 포함되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소스 기지국은 목표 기지국에 대하여,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는, 예컨대, Xn 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그 통지는, 예컨대, 핸드오버 요구(Handover Request)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UE가 기지국 사이를 이동하는 경우에 소스 기지국과 목표 기지국의 사이에서 상이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와 목표 기지국의 사이의 최신의 채널 상태에 근거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CSI 리포트의 통지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소스 기지국은 목표 기지국에 대하여, UE의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는, 예컨대, UE 케이퍼빌리티에 포함되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소스 기지국은 목표 기지국에 대하여, UE에 의한 측정 결과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정보에, UE에 의한, 목표 기지국으로부터의 신호의 수신 결과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신호는, 예컨대, CSI-RS이더라도 좋다. 소스 기지국으로부터 목표 기지국으로의 통지는, 예컨대, 핸드오버 요구(Handover Request)의 시그널링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목표 기지국은 그 통지를 이용하여, UE와의 사이의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학습을 행하더라도 좋다. 목표 기지국은 소스 기지국에 대하여, 학습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목표 기지국으로부터 소스 기지국에 대한 그 통지에는, 예컨대, 핸드오버 요구 긍정 응답(Handover Request Acknowledge)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소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목표 기지국에 있어서의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RRC 재설정(RRCReconfiguration)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와 목표 기지국의 사이의 부호화/복호화를 신속하게 개시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UE와 목표 기지국의 사이의 시그널링의 사이즈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소스 기지국과 목표 기지국의 사이에 있어서의 동일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사용이, 듀얼 액티브 프로토콜 스택(Dual Active Protocol Stack: DAPS)을 이용한 핸드오버에 있어서 적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소스 기지국과 목표 기지국의 사이에 있어서의 상이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의 사용이, DAPS를 이용한 핸드오버에 있어서 적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와 양 기지국의 사이에 있어서의, 부호화된 CSI 리포트의 송수신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변형예 1에 의해, 예컨대,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공용한 경우에 있어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또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개별적으로 마련한 경우에 있어서, UE와 기지국 사이의 채널 상태에 근거한 부호화 모델/복호화 모델을 사용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부호화된 CSI 리포트의 통지에 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3.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학습의 과정에서 혹은 그 결과로서, 불필요하게 되는 입력 데이터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예컨대, 학습 장치에 있어서, 그 데이터가 입력되는 노드에 접속되는 가지의 가중치 계수가, 다른 가지의 가중치 계수에 비하여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작은 경우, 그 데이터의 입력은 불필요하게 된다. 또한, 입력 데이터가 새롭게 필요하게 되는 경우가 발생하는 일이 있다.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기계 학습에 있어서, 이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즉, 데이터 입력원의 장치(예컨대, UE)와 학습 장치(예컨대, 기지국)가 상이한 경우에 있어서, 데이터 입력원의 장치는, 학습 장치에 있어서 불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 및/또는 새롭게 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를 파악하고 있지 않다. 그 때문에, 데이터 입력원의 장치는, 불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를 학습 장치에 계속 보내거나, 새롭게 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를 학습 장치에 보내지 않거나 하는 것에 의해, 데이터 입력원의 장치와 학습 장치의 사이의 통신 효율이 저하하거나, 학습 장치에 있어서 적절한 학습이 불가능하게 되거나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 3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장치, 예컨대, 기지국은 데이터 입력원의 장치, 예컨대, UE에 대하여,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입력 데이터의 후보가 되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정보에는, 예컨대, 데이터의 종별을 나타내는 식별자가 포함되더라도 좋고, 초기 상태에 있어서의 그 데이터의 송신 유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통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더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에, 측정 대상의 CSI-RS의 종별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제로 전력 CSI-RS(Zero-Power CSI-RS: ZP-CSI-RS)이더라도 좋고, 비 제로 전력 CSI-RS(Non-Zero-Power CSI-RS: NZP-CSI-RS)이더라도 좋고(비특허문헌 13(3GPP TS 38.211) 참조), CSI-IM(Channel State Information-Interference Measurement)이더라도 좋다(비특허문헌 15(3GPP TS 38.214) 참조). 이것에 의해, 예컨대, 채널 측정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불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 및/또는 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필요한 입력 데이터의 변경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정보에, 불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 및/또는 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의 식별자가 포함되더라도 좋고, 불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의 개수가 포함되더라도 좋고, 필요하게 된 입력 데이터의 개수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입력 데이터의 후보가 되는 데이터의 송신 ON/OFF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통지에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통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더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UE는, 그 통지를 계기로 하여, 기지국이 필요로 하는 입력 데이터를 기지국에 송신하더라도 좋다. UE는, 그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를 송신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은 그 데이터가 학습 데이터인 것을 신속하게 파악 가능하게 된다. 그 송신은, C 플레인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고, 유저 플레인(이하, U 플레인이라 칭한다)을 이용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예컨대, UE는, 애플리케이션 레이어로부터의 학습 데이터(예컨대, UE의 방향, 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속도 센서, 레이더, 카메라 화상, 등의 데이터)의 송신에, U 플레인을 이용하더라도 좋다.
본 실시의 형태에 있어서 개시한 방법이, 채널 추정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다운링크 신호의 피드백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CSI 리포트의 대상 리소스(시간, 주파수, 안테나 포트)가 필요한지 여부의 통지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그 방법이, 업링크 신호의 송신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예컨대, 업링크 DM-RS 및/또는 SRS의 리소스(시간, 주파수, 안테나 포트)가 필요한지 여부의 통지에 이용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송신하는 DM-RS 및/또는 SRS의 리소스를 변경하더라도 좋다.
업링크 신호의 리소스의 정보로서, 이하 (a)~(h)를 개시한다.
(a) RS 종별.
(b) 서브캐리어에 관한 정보.
(c) 심볼에 관한 정보.
(d)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
(e) 주기, 오프셋에 관한 정보.
(f) 부호 계열에 관한 정보.
(g) 안테나 포트에 관한 정보.
(h) 전술한 (a)~(g)의 조합.
전술한 (a)는, 예컨대, DM-RS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고, SRS를 나타내는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그 리소스의 변경을 유연하게 실행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b)는, 예컨대, 1개의 서브캐리어마다 마련되더라도 좋고, 복수의 서브캐리어 단위로 마련되더라도 좋고, PRB 단위로 마련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RS가 송신되는 주파수의 범위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RS를 송신하는 주파수 리소스의 유연한 제어가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c)는, 예컨대, RS가 송신되는, 혹은 송신되지 않는 심볼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RS를 송신하는 시간 리소스를 심볼 단위로 제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d)는, 예컨대, RS가 송신되는, 혹은 송신되지 않는 서브프레임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RS를 송신하는 시간 리소스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제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e)는, 예컨대, 송신되는, 혹은 송신되지 않는 RS의 주기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고, 그 주기에 대한 오프셋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RS를 송신하는 시간 리소스를 유연하게 제어 가능하게 된다.
전술한 (f)는, 예컨대, 송신되는, 혹은 송신되지 않는 RS의 부호 계열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RS의 제어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전술한 (g)는, 예컨대, 송신되는, 혹은 송신되지 않는 RS의 안테나 포트에 관한 정보이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RS의 공간 리소스의 제어에 있어서의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a)~(h)로서 개시한 정보가, 다운링크 신호의 리포트에 있어서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업링크 신호 송신에 있어서의 효과와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지국은, UE로부터의 다운링크 신호 리포트를 필요로 하지 않는 다운링크 신호를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UE로부터의 CSI 리포트가 불필요한 CSI-RS를 송신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그 CSI-RS를 송신하지 않는 취지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정보의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예컨대, RRC 재설정)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CSI 리포트가 불필요한 CSI-RS를 수신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 있어서 개시한 방법이, MDT(Minimization of Drive Tests)(비특허문헌 35(3GPP TS 37.320))에 적용되더라도 좋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MDT 측정 결과의 일부의 정보의 송신이 불필요한 취지의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통지가, 코어 NW 장치, 예컨대, AMF로부터 UE에 대하여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UE는, 그 통지를 이용하여, 불필요한 일부의 당해 정보를 기지국에 통지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그 정보를 보존하지 않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고, 보존된 그 정보를 파기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에 있어서의 메모리 사용량을 삭감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3에 의해,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불필요한 학습 데이터의 송신을 억제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실시의 형태 4.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학습 결과에 대하여, 추론 장치로부터 학습 장치에 대하여 피드백이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학습 장치는, 그 피드백을 계기로 하여, 재학습을 행할지 여부를 결정하더라도 좋다.
그런데, 추론 장치로부터 학습 장치로의 학습 모델에 관한 피드백의 구체적인 방법이 개시되어 있지 않다. 그 때문에,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모델에 관한 피드백이 불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재학습이 불가능하게 된다고 하는 문제가 발생한다.
본 실시의 형태 4에서는, 전술한 문제를 해결하는 방법을 개시한다.
즉, 본 실시의 형태 4에 따른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추론 장치, 예컨대, UE는 학습 장치, 예컨대, 기지국에 대하여, 추론 결과의 피드백에 관한 정보를 통지한다. 예컨대, UE는, CSI 리포트 송신 후의 스케줄링이 UE의 기대에 부합하는지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통지한다. UE는, CSI 리포트 송신 후의 스케줄링이 UE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에만 기지국에 대하여 통지를 행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UE는, 그 피드백을 주기적으로 행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복잡성을 회피 가능하게 된다.
CSI 리포트 송신 후의 스케줄링이 UE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의 예로서, 채널 상태가 나쁜 취지의 CSI 리포트 송신 후에, 부호화율을 낮추는 스케줄링이 행하여진 경우, 많은 트랜스포트 데이터 송신이 할당된 경우, 및/또는, 송신 전력을 감소시키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이더라도 좋고, 채널 상태가 양호한 취지의 CSI 리포트 송신 후에, 부호화율을 높이는 스케줄링이 행하여진 경우, 적은 트랜스포트 데이터 송신이 할당된 경우, 및/또는, 송신 전력을 증가시키는 지시가 있었던 경우이더라도 좋다.
채널 상태가 양호한 취지의 CSI 리포트 송신 후에, 부호화율을 높이는 스케줄링이 행하여진 경우 및/또는 적은 트랜스포트 데이터 송신이 할당된 경우가, CSI 리포트 송신 후의 스케줄링이 UE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의 예로부터 제외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하는 데이터가 적거나 혹은 존재하지 않는 경우를, 전술한 UE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로부터 제외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동작을 방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빔 제어의 성공 혹은 실패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UE는, 빔 제어의 실패에 관한 정보만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UE는, 예컨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빔의 품질이 악화한 경우에 있어서, 빔 제어가 실패하였다고 판단하더라도 좋다. 빔의 품질로서, 수신 전력(RSRP: Reference Signal Receive Power)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수신 품질(RSRQ: Reference Signal Receive Quality)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SNR 혹은 SINR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측위의 성공 혹은 실패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UE는, 측위의 실패에 관한 정보만을 기지국에 통지하는 것으로 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오버헤드를 삭감 가능하게 된다. UE는, 예컨대, 구하여진 측위 결과가 다른 방법으로 구하여진 측위 결과(예컨대,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등)에 비하여 대폭 상이한 경우(예컨대, 소정의 임계치 이상의 오차가 발생한 경우)에 있어서, 측위가 실패하였다고 판단하더라도 좋다.
다른 예로서, UE는 기지국에 대하여, 기지국으로부터의 RS를 수신하지 않는 것에 의한 무선 성능의 저하에 관한 정보를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정보는, 예컨대, BER의 저하이더라도 좋고, BLER(Block Error Ratio)의 저하이더라도 좋고, 동기 어긋남(out-of-synchronization)이더라도 좋다.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은, 예컨대,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통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더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기지국은 UE에 대하여, 그 피드백에 관한 설정을 통지하더라도 좋다. 그 설정에는, 예컨대, 피드백의 대상이 되는 학습 장치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고, 피드백의 조건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고, 피드백의 내용에 관한 정보가 포함되더라도 좋다. 그 설정의 통지에는, RRC 시그널링, 예컨대, RRC 재설정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고,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UE는, 그 정보를 이용하여,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을 행하더라도 좋다.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피드백에 관한 다른 예로서,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재학습의 요구가 행하여지더라도 좋다. 재학습의 요구는, AMF가 행하더라도 좋고, LMF가 행하더라도 좋다.
UE는 기지국으로의 재학습의 요구를 주기적으로 행하더라도 좋고, 소정의 조건을 계기로 하여 행하더라도 좋다. 주기 및/또는 소정의 조건은, 규격에서 정하여지더라도 좋고, 기지국이 결정하여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기지국은 소정의 조건으로서, 임계치를 UE에 통지하더라도 좋다.
소정의 조건은, 예컨대, 전술한, CSI 리포트 송신 후의 스케줄링이 UE의 기대에 부합하지 않는 경우, 빔 제어의 실패, 및/또는 측위의 실패의 횟수에 관한 조건이더라도 좋다. 그 횟수는, 예컨대, 전체 횟수이더라도 좋고, 소정의 기간 내의 횟수이더라도 좋다.
UE로부터 기지국으로의 재학습의 요구는, 예컨대, RR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하여 많은 정보를 통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MAC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다른 예로서, L1/L2 시그널링이 이용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UE로부터 기지국에 대한 더 신속한 통지가 가능하게 된다.
본 실시의 형태 4에 의해,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학습 모델에 관한 피드백이 가능하게 되고, 또한, 기지국으로의 재학습의 요구가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신뢰성의 저하를 방지 가능하게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학습 장치(810)의 모델 생성부(812)는, 복수의 통신 시스템 장치, 예컨대, UE에 대하여 작성되는 학습용 데이터에 따라서,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학습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또, 모델 생성부(812)는, 동일한 에리어에서 사용되는 UE로부터 학습용 데이터를 취득하더라도 좋고, 상이한 에리어에서 독립하여 동작하는 복수의 UE로부터 수집되는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하여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학습하더라도 좋다. 또한, 학습용 데이터를 수집하는 통신 시스템 장치를 도중에 대상에 추가하거나, 대상으로부터 제거하거나 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특정한 통신 시스템 장치에 관하여 학습한 부호화 모델 및/또는 복호화 모델을, 이것과는 별개의 통신 시스템 장치에 적용하고, 당해 별개의 통신 시스템 장치에 관하여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재학습하여 갱신하도록 하더라도 좋다.
본 개시를, 기지국을 거치지 않고서 UE끼리 직접 통신하는 사이드링크 통신에 있어서 적용하더라도 좋다. 또, 사이드링크 통신은 단말 간 통신이라고도 칭하여진다. 예컨대, 단말 간 통신에 있어서,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를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사이드링크 통신에 있어서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를, IAB에 있어서 적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CSI 리포트의 부호화/복호화를, IAB 도너 DU와 IAB 노드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적용하더라도 좋고, IAB 노드 사이의 통신에 있어서 적용하더라도 좋다. 이것에 의해, 예컨대, IAB를 이용하는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리소스의 이용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개시에 있어서, gNB 혹은 셀로서 기재하고 있지만, 특별히 설명이 없는 한, gNB이더라도 좋고 셀이더라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는, 예시에 불과하고,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를 자유롭게 조합할 수 있다. 또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의 임의의 구성 요소를 적당히 변경 또는 생략할 수 있다.
예컨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서브프레임은, 제 5 세대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의 시간 단위의 일례이다. 서브프레임은 스케줄링 단위이더라도 좋다.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서브프레임 단위로서 기재하고 있는 처리를, TTI 단위, 슬롯 단위, 서브슬롯 단위, 미니슬롯 단위로서 행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전술한 각 실시의 형태 및 그 변형예에 있어서 개시한 방법은, V2X(Vehicle-to-everything) 서비스로 한정되지 않고 SL 통신이 이용되는 서비스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예컨대, 프록시미티 서비스(Proximity-based service), 퍼블릭 세이프티(Public Safety), 웨어러블 단말 간 통신, 공장에 있어서의 기기 간 통신 등, 다종의 서비스에서 이용되는 SL 통신에 적용하더라도 좋다.
본 개시는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상기한 설명은, 모든 국면에 있어서, 예시이고, 한정적인 것이 아니다. 예시되어 있지 않은 무수한 변형예가, 상정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된다.
200, 210: 통신 시스템, 202: 통신 단말 장치(이동 단말), 203, 207, 213, 217, 223-1, 224-1, 224-2, 226-1, 226-2, 750: 기지국 장치(기지국), 204: MME/S-GW부(MME부), 204a: MME, 214: AMF/SMF/UPF부(5GC부), 218: 중앙 유닛, 219: 분산 유닛, 301, 403: 프로토콜 처리부, 302: 애플리케이션부, 303, 404: 송신 데이터 버퍼부, 304, 405: 인코더부, 305, 406: 변조부, 306, 407: 주파수 변환부, 307-1~307-4, 408-1~408-4: 안테나, 308, 409: 복조부, 309, 410: 디코더부, 310, 411, 506, 526: 제어부, 401: EPC 통신부, 402: 타 기지국 통신부, 412: 5GC 통신부, 501: PDN GW 통신부, 502, 522: 기지국 통신부, 503, 523: 유저 플레인 통신부, 504: HeNBGW 통신부, 505, 525: 제어 플레인 제어부, 505-1, 525-1: NAS 시큐리티부, 505-2: SAE 베어러 컨트롤부, 505-3, 525-3: 아이들 스테이트 모빌리티 관리부, 521: Data Network 통신부, 525-2: PDU 세션 컨트롤부, 527: 세션 관리부, 751-1~751-8: 빔, 810: 학습 장치, 811, 831, 861: 데이터 취득부, 812: 모델 생성부, 820, 850: 학습된 모델 기억부, 830: 추론 장치(부호화 장치), 832: 부호화부, 840: 송신부, 860: 추론 장치(복호화 장치), 862: 복호화부, 870: 통신 제어부

Claims (15)

  1.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를 행하는 통신 단말과,
    부호화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부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기지국
    을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모델은, 상기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의 사이의 채널 상태에 관한 데이터인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기지국은,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모델 및 상기 복호화 모델을 생성하고, 그 부호화 모델의 학습 결과를 상기 통신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기계 학습을 개시하는 것이 통지되고 나서 그 기계 학습이 종료될 때까지의 동안,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부호화하지 않고서 상기 기지국에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부호화 모델의 학습 결과의 통지를 받으면, 그 학습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모델을 구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부호화 모델의 구축이 완료된 후,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의 부호화 개시 지시를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받으면, 상기 부호화 모델을 사용한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의 부호화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부호화 모델의 구축이 완료되면, 상기 부호화 모델을 사용한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의 부호화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정하여진 재학습 조건을 만족시키는 상태가 되면, 상기 기지국에 재학습을 요구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부호화 모델 및 상기 복호화 모델의 재학습을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부호화 모델 및 상기 복호화 모델의 재학습을 개시하는 경우,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의 부호화 정지를 지시하고,
    상기 부호화 모델 및 상기 복호화 모델의 재학습을 종료한 경우, 상기 통신 단말에 대하여, 상기 부호화 모델의 재학습 결과를 통지함과 아울러,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의 부호화 개시를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8. 제 1 항 내지 제 7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은, 상기 학습용 데이터에 포함시킬 필요가 있는 데이터에 관한 정보를 상기 통신 단말에 통지하고,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통지된 데이터를 상기 학습용 데이터로서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통신 단말은,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상기 부호화 모델의 학습 결과의 통지를 받으면, 그 학습 결과의 확인 결과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통신 단말로부터 통지된 상기 확인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부호화 모델 및 상기 복호화 모델의 재학습이 필요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복수의 상기 통신 단말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상기 통신 단말의 각각에 대하여 개별적으로 기계 학습을 행하고, 복수의 상기 통신 단말의 각각과의 통신에 있어서 상이한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1.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에 복수의 상기 통신 단말이 접속되는 경우,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상기 통신 단말의 일부 또는 전부를 대상으로 하여 기계 학습을 행하고, 복수의 상기 통신 단말의 각각과의 통신에 있어서 공통의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2. 입력된 데이터를 부호화하여 출력하는 부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를 행하는 제 1 통신 단말과,
    상기 부호화 모델을 사용한 송신 데이터의 부호화가 불가능한 제 2 통신 단말과,
    부호화된 데이터가 입력되면 그 데이터를 복호하여 출력하는 복호화 모델을 사용하여,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상기 부호화 모델을 이용하여 부호화된 데이터를 복호하는 기지국
    을 포함하고,
    상기 부호화 모델은, 상기 제 1 통신 단말과 상기 기지국의 사이의 채널 상태에 관한 데이터인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대상으로 하여 부호화를 행하고,
    상기 기지국은, 상기 제 1 통신 단말이 상기 부호화 모델을 사용한 부호화를 행하지 않고서 송신한 부호화되어 있지 않은 상태의 상기 채널 상태 관련 데이터를 포함하는 학습용 데이터를 이용한 기계 학습을 실행하여 상기 부호화 모델 및 상기 복호화 모델을 생성하고, 그 부호화 모델의 학습 결과를 상기 제 1 통신 단말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 및 상기 제 2 통신 단말은, 상기 부호화 모델의 사용 가부에 관한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4. 제 12 항 또는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은, 자신이 사용 가능한 부호화 모델의 정보를 상기 기지국에 통지하는 기능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15. 제 12 항 내지 제 1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단말을 복수 포함하고,
    상기 기지국은, 복수의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각각으로부터 통지된 사용 가능한 부호화 모델의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상기 제 1 통신 단말의 각각과의 사이에서 사용하는 부호화 모델 및 복호화 모델을 복수의 상기 제 1 통신 단말마다 개별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시스템.
KR1020247003184A 2021-08-03 2022-07-28 통신 시스템 KR202400387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27564 2021-08-03
JP2021127564 2021-08-03
PCT/JP2022/029064 WO2023013512A1 (ja) 2021-08-03 2022-07-28 通信システム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715A true KR20240038715A (ko) 2024-03-25

Family

ID=851544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3184A KR20240038715A (ko) 2021-08-03 2022-07-28 통신 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4383583A1 (ko)
JP (1) JPWO2023013512A1 (ko)
KR (1) KR20240038715A (ko)
CN (1) CN117716634A (ko)
WO (1) WO2023013512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74659B1 (ko) * 2017-06-19 2020-11-05 버지니아 테크 인터렉추얼 프라퍼티스, 인크. 다중 안테나 송수신기를 이용한 무선 송신을 위한 정보의 인코딩 및 디코딩
CN109672464B (zh) * 2018-12-13 2021-09-03 西安电子科技大学 基于fcfnn的大规模mimo信道状态信息反馈方法
CN111953448B (zh) * 2019-05-17 2024-04-30 株式会社Ntt都科摩 无线通信系统中的终端和基站
US11569961B2 (en) * 2019-08-30 2023-01-31 Huawei Technologies Co., Ltd. Reference signaling overhead reduction apparatus and methods

Non-Patent Citations (3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비특허문헌 1: 3GPP TS 36.300 V16.5.0
비특허문헌 10: 3GPP TR 38.912 V16.0.0
비특허문헌 11: 3GPP RP-172115
비특허문헌 12: 3GPP TS 37.340 V16.5.0
비특허문헌 13: 3GPP TS 38.211 V16.5.0
비특허문헌 14: 3GPP TS 38.213 V16.5.0
비특허문헌 15: 3GPP TS 38.214 V16.5.0
비특허문헌 16: 3GPP TS 38.300 V16.5.0
비특허문헌 17: 3GPP TS 38.321 V16.4.0
비특허문헌 18: 3GPP TS 38.212 V16.5.0
비특허문헌 19: 3GPP TS 38.331 V16.4.1
비특허문헌 2: 3GPP S1-083461
비특허문헌 20: 3GPP TR 23.703 V12.0.0
비특허문헌 21: 3GPP TS 23.501 V17.0.0
비특허문헌 22: 3GPP TS 23.287 V16.5.0
비특허문헌 23: 3GPP TS 23.303 V16.0.0
비특허문헌 24: 3GPP TS 38.305 V16.4.0
비특허문헌 25: 3GPP TS 23.273 V17.0.0
비특허문헌 26: 3GPP TR 38.836 V17.0.0
비특허문헌 27: 3GPP TS 38.401 V16.5.0
비특허문헌 28: 3GPP TR 37.817 V0.1.0
비특허문헌 29: 3GPP RP-201620
비특허문헌 3: 3GPP TR 36.814 V9.2.0
비특허문헌 30: 3GPP RWS-210038
비특허문헌 31: 3GPP RWS-210185
비특허문헌 32: 3GPP RWS-210235
비특허문헌 33: 3GPP RWS-210260
비특허문헌 34: 3GPP RWS-210198
비특허문헌 35: 3GPP TS 37.320 V16.5.0
비특허문헌 4: 3GPP TR 36.912 V16.0.0
비특허문헌 5: "Scenarios, requirements and KPIs for 5G mobile and wireless system", ICT-317669-METIS/D1.1
비특허문헌 6: 3GPP TR 23.799 V14.0.0
비특허문헌 7: 3GPP TR 38.801 V14.0.0
비특허문헌 8: 3GPP TR 38.802 V14.2.0
비특허문헌 9: 3GPP TR 38.804 V14.0.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716634A (zh) 2024-03-15
JPWO2023013512A1 (ko) 2023-02-09
WO2023013512A1 (ja) 2023-02-09
EP4383583A1 (en) 2024-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8124259A1 (ja) 通信システム
CN112534897A (zh) 通信系统、通信终端及基站
JP6769811B2 (ja) 通信システム
EP4255057A1 (en) Communication terminal and communication system
WO2020022389A1 (ja) 通信システム、基地局および通信端末
JPWO2020166411A1 (ja) 通信システム、通信端末および基地局
WO2022080308A1 (ja) 通信システム
WO2022030520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
WO2023013512A1 (ja) 通信システム
WO2020110825A1 (ja) 通信システムおよび通信端末装置
WO2023054390A1 (ja) 通信システム
WO2023013513A1 (ja) 通信システム
JP7507821B2 (ja) 通信システム、セントラルユニット、およびユーザ装置
EP4319429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JP7434628B2 (ja) 通信システム
WO2023095804A1 (ja) 通信システム
EP4301004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WO2023054394A1 (ja) 通信システム
WO2023095803A1 (ja) 通信システム
EP4351191A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base station
US20240236792A9 (en) Communication system and communication terminal
KR20240109994A (ko) 통신 시스템
KR20240102968A (ko) 통신 시스템
KR20230147612A (ko) 통신 시스템 및 기지국
CN118266263A (en) Communication syste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