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616A -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 Google Patents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616A
KR20240038616A KR1020230121564A KR20230121564A KR20240038616A KR 20240038616 A KR20240038616 A KR 20240038616A KR 1020230121564 A KR1020230121564 A KR 1020230121564A KR 20230121564 A KR20230121564 A KR 20230121564A KR 20240038616 A KR20240038616 A KR 202400386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lter body
filter
bars
lower cover
cavit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2156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정회
김상융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Priority to PCT/KR2023/013772 priority Critical patent/WO2024058557A1/en
Publication of KR202400386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61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7Hollow waveguide filters
    • H01P1/208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 H01P1/2084Cascaded cavities; Cascaded resonators inside a hollow waveguide structure with dielectric reson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PWAVEGUIDES; RESONATORS, LINES, OR OTHER DEVICES OF THE WAVEGUIDE TYPE
    • H01P1/00Auxiliary devices
    • H01P1/20Frequency-selective devices, e.g. filters
    • H01P1/201Filters for transverse electromagnetic waves
    • H01P1/203Strip line filters
    • H01P1/2039Galvanic coupling between Input/Output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유전체 충진 공간인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저부가 개구된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의 개구된 저부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제1 재질의 하부 커버 패널 및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결합되되,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된 복수개의 공진 바를 포함하는 제2 재질의 공진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상기 캐비티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폭방향 2열 이상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에 하단부가 억지 끼움 결합된 후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 주변이 솔더 결합을 통해 고정됨으로써, 캐비티 내의 삽입 손실량을 최소화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nd in particular, includes a cavity that is a dielectric filling space, the cavity having a filter body with an open bottom portion, and a lower cover panel made of a first material coupled to shield the open bottom portion of the filter body. and a resonator frame made of a second material coupled to the lower cover pane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wherein the resonator frame is attached to the lower cover panel of the cavity. After the lower end is press-fitted to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holes that are formed to penetrate inside and out, and are provided in two or more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e area around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holes is formed on the inside of the cavity through solder bonding. By being fixed,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minimizing insertion loss within the cavity.

Description

통신기기용 필터{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본 발명은 통신기기용 필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캐비티를 형성하는 필터 바디는 딥드로잉 프레스 공정으로 제조한 후, 캐비티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동종 재질의 하부 커버 패널에 이종 재질인 공진기 프레임을 억지 끼움 결합 후 솔더 결합되어 캐비티 내의 삽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기기용 필터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and more specifically, the filter body forming the cavity is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press process, and then the lower cover panel of the same material that shields the open side of the cavity is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This relates to a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that can minimize insertion loss within the cavity by tightly fitting and soldering the resonator frame.

무선 주파수 필터와 같은 무선 주파수 장치('통신기기'를 모두 포함한다)는 통상 다수의 공진기의 연결 구조로 구성된다. 이러한 공진기는 등가 전자회로적으로 인덕터(L)와 커패시터(C)의 조합에 의해 특정한 주파수에서 공진하는 회로소자로서, 각 공진기는 도체로 둘러싸인 금속성 원통 또는 직육면체 등의 캐비티(cavity)의 내부에서 유전체 공진 소자(DR :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또는 금속 공진소자가 설치되는 구조를 가진다. 이에 따라 각 공진기는 해당 캐비티 내에 처리 주파수 대역에 따른 고유 주파수의 전자기장만이 존재하게 함으로써, 고주파의 공진이 가능하게 하는 구조를 가진다. 통상 다수의 캐비티를 이용하여 다수의 공진단을 형성하고, 다수의 공진단이 순차적으로 연결된 다단 구조를 가진다.Radio frequency devices (including all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radio frequency filters are usually composed of a connection structure of multiple resonators. These resonators are circuit elements that resonate at a specific frequency by the combination of an inductor (L) and a capacitor (C) in an equivalent electronic circuit, and each resonator is a dielectric material inside a cavity such as a metallic cylinder or rectangular parallelepiped surrounded by a conductor. It has a structure in which a resonance element (DR: Dielectric Resonance element) or a metal resonance element is installed. Accordingly, each resonator has a structure that enables high-frequency resonance by allowing only an electromagnetic field of a natural frequency according to the processing frequency band to exist within the corresponding cavity. Typically, a plurality of resonance stages are formed using a plurality of cavities, and a multi-stage structure is formed in which the plurality of resonance stages are sequentially connected.

다수의 캐비티 구조를 가지는 무선 주파수 필터에 관한 예로는, 본원 출원인에 의해 선출원된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0084호(명칭 : "무선 주파수 필터", 공개일 : 2004년 12월 02일)에 개시된 바를 예로 들 수 있다.An example of a radio frequency filter having a multiple cavity structure is Korean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0084 (name: “Radio Frequency Filter”, published on December 2, 2004), previously filed by the present applicant. What is disclosed in can be given as an example.

그러나, 종래의 무선 주파수 필터는, 각 공진기가 캐비티 내에서 두께 방향으로 연장되고, 원하는 대역통과 특성을 가지도록 캐비티를 덮는 필터 튜닝 커버의 일부를 타각 방식으로 변형시켜 공진기와의 사이의 거리를 조정하여 주파수를 튜닝하도록 구비되어 있는 바, 완성 필터의 두께 방향의 크기 축소에 있어서 매우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다.However, in the conventional radio frequency filter, each resonator ext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within the cavity, and the distance between the resonators is adjusted by modifying a part of the filter tuning cover covering the cavity in an oblique manner so that each resonator has the desired band-pass characteristics. Although it is equipped to tune the frequency, there is a very limited problem in reducing the size of the finished filter in the thickness direction.

또한, 종래의 무선 주파수 필터는, 다수의 캐비티 내의 인접하는 공진기간 또는 이격된 공진기간 스커트 특성을 강화하기 위하여 유도성 커플링 또는 용량성 커플링을 구현하기 위하여 도체 재질의 추가적인 구성의 설치를 요하는 바, 완성 필터의 중량이 크게 증가하는 문제점도 지적된다.In addition, the conventional radio frequency filter requires the installation of an additional configuration of conductor material to implement inductive coupling or capacitive coupling in order to strengthen the skirt characteristics of adjacent or spaced resonance periods in multiple cavities. As such, the problem of greatly increasing the weight of the finished filter is also pointed out.

한편, 최근 Massive MIMO(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기술이 적용된 안테나 장치에 있어서, 제품 전체의 슬림화 제작을 위해 필터 등 내부 구성의 두께를 최소화하는 방향으로 연구가 진행 중에 있고, 이를 위해 가장 많이 사용되는 필터의 유형으로는 유전체 세라믹 필터를 들 수 있다.Meanwhile, in antenna devices using Massive MIMO (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 technology, research is currently underway to minimize the thickness of internal components such as filters in order to slim the overall product. A commonly used type of filter is a dielectric ceramic filter.

그러나, 유전체 세라믹 필터는, 그 재질의 특성 상 필터 바디의 제조 방식이 몰딩 방식에 한정되는 점에서 생산성이 저하되는 한편, 실질적으로 최종 주파수 설계값대로 캐비티의 형상을 미리 제조하여야 하는 점에서, 추후 주파수 튜닝 설계의 가변성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due to the nature of the dielectric ceramic filter, the productivity of the filter body is limited to the molding method, which reduces productivity, and the cavity shape must be manufactured in advance according to the final frequency design valu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variability of the frequency tuning design is low.

한편, 필터의 재료를 동 재질의 판넬로 채택하는 경우에는, 프레스 금형 방식 등의 다양한 제조 방식이 적용되어 상술한 생산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이점이 있으나, 필터 바디와 그 캐비티의 내부에 구비되는 공진 요소인 공진기들의 재질이 상이할 경우 그 결합 과정에서 용접 방식이 적용되는 바 삽입 손실이 큰 문제점으로 이어진다.On the other hand, when selecting a panel made of copper as the material of the filter, various manufacturing methods such as the press mold method are applied, which ha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the above-mentioned decrease in productivity. However, the filter body and the inside of its cavity are If the materials of the resonators, which are the resonating elements, are different, welding is used in the joining process, leading to a large insertion loss problem.

공개특허공보 제10-2004-0100084호(2004,12.02.공개)Public Patent Publication No. 10-2004-0100084 (published on December 2, 2004)

본 발명은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캐비티를 형성하는 필터 바디는 딥드로잉 프레스 공정으로 제조한 후, 캐비티의 개구된 일측을 차폐하는 동종 재질의 하부 커버 패널에 이종 재질인 공진기 프레임을 억지 끼움 결합 후 솔더 결합되어 캐비티 내의 삽입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통신기기용 필터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technical problem. The filter body forming the cavity is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press process, and then a resonator made of a different material is placed on the lower cover panel of the same material that shields one open side of the cavity. The purpose is to provide a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that can minimize insertion loss within the cavity by soldering the frame after interference fi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는, 유전체 충진 공간인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저부가 개구된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의 개구된 저부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제1 재질의 하부 커버 패널 및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결합되되,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된 복수개의 공진 바를 포함하는 제2 재질의 공진기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상기 캐비티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폭 방향 2열 이상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에 하단부가 억지 끼움 결합된 후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 주변이 솔더 결합을 통해 고정된다.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vity that is a dielectric filling space, the cavity having a filter body with an open bottom, and a lower cover made of a first material coupled to shield the open bottom of the filter body. A resonator frame made of a second material is coupled to the panel and the lower cover panel and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the resonator frame having the cavity in the lower cover panel. It is formed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vity, and the lower end is press-fitted to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holes provided in two or more rows in the width direction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solder bonded around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holes on the inside of the cavity. It is fixed through

여기서,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의 열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는, 상기 필터 바디의 폭 방향으로 상호 오버랩되지 않게 상기 필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Here, the resonator fram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rows of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cover panel, and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are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It can be placed at a predetermined distance apart.

또한, 상기 공진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둔 양측의 공진 바의 측부로부터 상호 위치된 방향으로 직교되게 상호 소정 거리 연장된 노치바가 형성된 노치 형성부가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tor frame includes notch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orthogonally in mutually positioned directions from the sides of both resonance bars sandwiching any one of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A notch forming portion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노치 형성부는, 상기 노치바가 상호 연결되지 않는 C-노치부 및 상기 노치바가 상호 연결된 L-노치부를 포함하고, 상기 C-노치부는 상대적으로 상기 L-노치부보다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 중 상기 필터 바디의 상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노치바가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notch forming portion includes a C-notch portion in which the notch bar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L-notch portion in which the notch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notch portion is relatively larger than the L-notch portion among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The notch bar may be formed at a location clos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또한, 상기 필터 바디 및 상부 하부 커버 패널은 동일한 재질이고, 상기 제1 재질은 동 재질이며, 상기 제2 재질은 상기 동 재질을 제외한 전도성 재질일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lter body and the upper and lower cover panels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material may be made of copper, and the second material may be a conductive material other than the copper material.

또한,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의 직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되, 타각 방식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의해 미세 주파수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 plurality of bar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directly above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and fine frequencies are adjusted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using a striking angle method. A tuning angle surface may be provided.

또한, 상기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은,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폭 방향 양단이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 대하여 절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tuning surfaces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 incision may be formed about.

또한,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들 중 인접하는 공진 바들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되, 타각 방식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 내측으로 형상 변형되어 돌출되는 동작으로 상기 인접하는 공진 바들 사이의 커플링 값을 변경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each of the plurality of resonant bars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etween adjacent resonant bars, and the adjacent resonant bars are deformed in shape and protrude into the inside of the cavity by an angle method. A plurality of coupling adjustment surfaces may be provided to change the coupling value between the coupling surfaces.

또한, 상기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은,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단 및 폭 방향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 대하여 절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trol surfaces may b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one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may be cu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또한, 상기 필터 바디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테두리 단부와 면접촉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filter body may be manufactured using a deep drawing press method to form a joint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edge edge of the lower cover panel.

또한,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캐비티의 폭방향 2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고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복수개의 공진 바들,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는 공진기 결합단이 형성된 공진기 연결바 및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들의 선단에 형성된 공진 특성단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공진기 결합단의 하단이 솔더 결합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sonato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tor bars arranged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vity, each in parallel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nd a resonator coupling end each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of the lower cover panel. It includes a resonator connection bar and a resonance characteristic end form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and the lower end of the resonator coupling end is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of the lower cover panel on the outside of the lower cover panel. This can be soldered together.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는, 필터 바디와 이종 재질로써 캐비티 내의 구조물인 공진기 프레임을 최소한의 삽입 손실량으로 결합되도록 하여 통신기기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The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effect of improving the reliabi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by combining the filter body and the resonator frame, which is a structure in the cavity using different materials, with a minimum amount of insertion loss.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의 하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캐비티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및 그 구성 중 필터 바디의 마운팅 패널과 하부 커버 패널의 결합 모습 및 하부 커버 패널과 공진기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7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및 그 구성 중 커플링 조절 바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9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및 그 구성 중 튜닝 타각면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10은 도 1의 평면도(a) 및 공진기 프레임의 평면도(b)와 내부 투시 평면도(c)이다.
1 is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cut-away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Figure 1 cut away to reveal a cavity;
Figure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mounting panel of the filter body and the lower cover panel and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over panel and the resonator frame among its configurations;
Figure 7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in Figure 1;
Figure 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oupling adjustment bar among its components;
Figure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tuning rudder surface of the configuration;
FIG. 10 is a top view (a) of FIG. 1, a top view (b) of the resonator frame, and an internal perspective top view (c).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identical components are given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Additionally, when describing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if detailed descriptions of related known configurations or functions are judged to impede understanding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본 발명의 실시예의 구성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1, 제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In describing the components of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such as first, second, A, B, (a), and (b) may be used. These terms are only used to distinguish the component from other components, and the nature, order, or order of the component is not limited by the term. Additionally, 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general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의 하향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상향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도 2의 분해 사시도이며, 도 5는 도 1의 구성 중 캐비티가 나타나도록 일부를 절개한 절개 사시도이다.Figure 1 is a downward perspective view of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n upwar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3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1, Figure 4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Figure 2,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of a portion of the structure of Figure 1 cut away to reveal a cavity.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유전체 충진 공간인 캐비티(C)를 포함하고, 이 캐비티(C) 중 저부가 개구된 필터 바디(105), 필터 바디(105)의 개구된 캐비티(C)의 저부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하부 커버 패널(300)과, 하부 커버 패널(300)에 결합되되, 필터 바디(105)의 캐비티(C) 내에서 상부면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된 복수개의 공진 바(220)를 포함하는 공진기 프레임(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S. 1 to 5,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avity (C), which is a dielectric filling space, and a filter body (105) in which the bottom of the cavity (C) is open. ), a lower cover panel 300 coupled to shield the bottom of the open cavity (C) of the filter body 105, and a lower cover panel 300 coupled to the lower cover panel 300, but within the cavity (C) of the filter body 105. It includes a resonator frame 200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nt bars 220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urface.

여기서, 실질적으로 캐비티(C)의 내부면을 이루는 필터 바디(105) 및 하부 커버 패널(300)은 동일한 재질인 제1 재질의 금속 판넬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필터 바디(105) 및 하부 커버 패널(300)의 금속 판넬 부재로 채택된 제1 재질은, 도전성이 우수한 동 재질일 수 있다.Here, the filter body 105 and the lower cover panel 300, which substantially form the inner surface of the cavity C, may be formed of a metal panel member made of the same first material. Additionally, the first material selected as the metal panel member of the filter body 105 and the lower cover panel 300 may be copper material with excellent conductivity.

필터 바디(105)는, 도 1 내지 도 5에 참조된 바와 같이, 개구된 필터 바디(105)의 캐비티(C)의 저부 테두리 단부에서 직교되게 절곡되어 외부로 연장된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과, 캐비티(C)의 폭방향 일측 단부 및 폭방향 타측 단부로써 캐비티(C)의 두께방향으로 연장된 일측 두께 형성 패널(120) 및 타측 두께 형성 패널(130)과, 캐비티(C)의 상부를 형성하는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과, 캐비티(C)의 길이방향 일측 및 타측의 개구된 부위를 차폐하는 일측 차폐 패널(180A) 및 타측 차폐 패널(180B)을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FIGS. 1 to 5, the filter body 105 includes a mounting border panel 110 that is bent orthogonally to the bottom edge of the cavity C of the opened filter body 105 and extends outward. , one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20 and the other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30 extending in the thickness direction of the cavity (C) as one end in the width direction and the other en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vity (C), and the upper part of the cavity (C) It may include a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and one side shielding panel 180A and the other side shielding panel 180B that shield the open portions on one side and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cavity C.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를 보다 명확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부분에서 기재하고 있는 '방향' 및 '위치' 등과 관련된 용어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Hereinafter, in order to more clearly understand the filter 100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related to 'direction' and 'position' described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defined as follows. can do.

즉, '길이방향'이라 함은 상대적으로 폭 또는 두께보다 길게 형성된 양단 사이를 관통하는 방향으로서 일측 차폐 패널(180A)과 타측 차폐 패널(180B)을 직교되게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고, '폭방향'이라 함은 일측 두께 형성 패널(120)과 타측 두께 형성 패널(130)을 직교되게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하며, '두께방향'이라 함은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과 하부 커버 패널(300)을 직교되게 향하는 방향으로 정의할 수 있다.That is,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defined as the direction passing between both ends that are relatively longer than the width or thickness, and is directed perpendicularly to one shielding panel (180A) and the other shielding panel (180B), and the 'width direction'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that is oriented perpendicularly to one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20 and the other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30, and 'thickness direction' is defined as a direction oriented perpendicularly to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and the lower cover panel 300. It can be defined as the direction toward which something is going.

한편, 하부 커버 패널(300)은, 필터 바디(105)의 구성 중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의 테두리 단부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되어, 하부 커버 패널(300)의 테두리 단부가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의 테두리 단부에 면접합 방식으로 결합될 수 있다.Meanwhile, the lower cover panel 300 is formed in a size corresponding to the edge end of the mounting border panel 110 among the filter body 105, so that the edge end of the lower cover panel 300 is connected to the mounting edge panel 110. ) can be combined at the end of the border using a face-to-face sum method.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 바디(105)의 테두리 단부를 이루는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의 하부면은 하부 커버 패널(300)의 테두리 단부의 상부면과 면접합될 수 있다.More specifically,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edge panel 110 forming the edge end of the filter body 105 may be surface-match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edge end of the lower cover panel 300.

이때, 필터 바디(105)의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과 하부 커버 패널(300)의 테두리 단부의 면접합 방식은 용접 방식에 의할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SMT 방식으로 솔더 결합 가능하다.At this time, the surface joining method of the mounting edge panel 110 of the filter body 105 and the edge edge of the lower cover panel 300 can be done by welding, and preferably by soldering by SMT.

여기서, 캐비티(C)는, 상술한 필터 바디(105) 및 하부 커버 패널(300)을 판 금형을 통한 프레스 공법으로 제조한다고 가정할 때, 좌우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고, 전후 폭이 상하 높이의 크기보다 더 작은 직육면체 형상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Here, assuming that the above-described filter body 105 and lower cover panel 300 are manufactured by a press method using a plate mold, the cavity C is formed long in the left and right longitudinal directions, and has a front-to-back width equal to the height of the top and bottom. It may be formed to have a rectangular parallelepiped shape that is smaller than its size.

이와 같은 형상의 캐비티(C)를 가지는 복수개의 필터 바디(105)를 전방이 개구된 함체 형상의 안테나 하우징 본체(미도시)에 대하여 배치시킬 때, 바디 상부 형성 패널(130)이 전면을 이루고, 일측 두께 형성 패널(120) 및 타측 두께 형성 패널(130)이 좌우 측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경우, 안테나 하우징 본체의 설치 공간에 좌우 방향으로 많은 열의 필터 바디(105)의 설치가 가능한 이점을 제공한다.When a plurality of filter bodies 105 having cavities C of this shape are placed against an antenna housing main body (not shown) in the shape of a box with an open front, the upper body forming panel 130 forms the front, When one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20 and the other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30 are arranged to form left and right sides,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install many rows of filter bodies 105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in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antenna housing main body.

아울러, 안테나 하우징 본체의 설치 공간에 대하여, 바디 상부 형성 패널(130) 및 하부 커버 패널(300)이 각각 좌우 측면을 이루도록 배치되고, 일측 차폐 패널(180A) 및 타측 차폐 패널(180B)이 상면 또는 하면을 이루도록 배치될 경우, 안테나 하우징 본체의 설치 공간 중 전후 방향의 공간을 크게 차지하지 않고서도 복수개의 필터 바디(105)를 전후로 슬림하게 설치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한다.In addition, with respect to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antenna housing main body,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30 and the lower cover panel 300 are arranged to form left and right sides, respectively, and one side shielding panel 180A and the other side shielding panel 180B are formed on the upper or When arranged to form the lower surface,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being able to slimly install a plurality of filter bodies 105 front and back without taking up a large amount of space in the front and rear direction among the installation space of the antenna housing main body.

한편, 공진기 프레임(200)은,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하부 커버 패널(300)에 캐비티(C)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길이 방향으로 이격되게 폭 방향 2열 이상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에 하단부가 억지 끼움 결합된 후 캐비티(C)의 내측에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 주변이 솔더 결합을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공진기 프레임(200)의 하단부라 함은, 두께방향의 양단부 중 하부 커버 패널(300)이 인접하는 부위를 말한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esonator frame 200 is formed in the lower cover panel 300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vity C, and is arranged in two or more rows in the width direction and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fter the lower ends are press-fitted to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holes 310h, the area around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holes 310h may be fixed on the inside of the cavity C through solder bonding. Here, the lower part of the resonator frame 200 refers to a part of both ends in the thickness direction where the lower cover panel 300 is adjacent.

아울러, 필터 바디(105)는, 상술한 바와 같이, 제1 재질로써 동 재질로 구비된 두께 3.0t 이하의 얇은 금속 판재를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을 통해 상기 일측 두께 형성 패널(120), 타측 두께 형성 패널(130), 일측 차폐 패널(180A), 타측 차폐 패널(180B) 및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이 일체로 형성됨과 아울러,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 또한 단일의 프레스 공법에 의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described above, the filter body 105 is formed by forming the panel 120 on one side and the thickness on the other side through a deep drawing press method using a thin metal plate with a thickness of 3.0 t or less made of copper as the first material. In addition to the panel 130, one side shielding panel 180A, the other side shielding panel 180B, and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being formed as one body, the mounting border panel 110 may also be formed as one body using a single press method. You can.

또한, 하부 커버 패널(300)은, 필터 바디(105)와 동일한 제1 재질로써 동 재질로 구비되며,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은 아니나 프레스 공법(판금)으로 제조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lower cover panel 300 is made of the same first material as the filter body 105, and can be manufactured by a press method (sheet metal) rather than a deep drawing press method.

한편, 공진기 프레임(200)은, 제1 재질인 동 재질로 구비된 필터 바디(105) 및 하부 커버 패널(300)과는 상이한 재질인 제2 재질로써 SUS 재질로 구비된 소정 두께 이상(적어도, 필터 바디(105)의 두께인 3.0t보다 더 두꺼운 크기)의 판재를 프레스 공정(판금)을 통해 상술한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the resonator frame 200 is made of SUS as a second material, which is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lter body 105 and lower cover panel 300, which are made of copper as the first material, and has a predetermined thickness or more (at least,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220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integrally through a press process (sheet metal) using a plate (thicker than 3.0 t, which is the thickness of the filter body 105).

여기서, 공진기 프레임(200)이 결합되는 하부 커버 패널(300)은 동 재질로 채택된 제1 재질이고, 공진기 프레임(200)은 제1 재질과 이종인 SUS 재질로 채택된 제2 재질로 구비되는 바, 하부 커버 패널(300)의 내측면에 직접 공진기 프레임(200)을 세운 후 그 접촉 단부를 따라 용접 결합 방식으로 결합시키는 경우, 그 결합력이 매우 약함은 물론, 용접 결합 방식은 캐비티(C) 내부에서의 삽입 손실(Insert Loss)을 증가시키는 문제점이 있다.Here, the lower cover panel 300 to which the resonator frame 200 is coupled is made of a first material selected from copper, and the resonator frame 200 is made of a second material selected from SUS, which is a different material from the first material. , when the resonator frame 200 is erected directly on the inner side of the lower cover panel 300 and then joined by welding along the contact end, the bonding force is very weak, and the welding method is used only inside the cavity (C). There is a problem of increasing insertion loss.

이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는, 상술한 삽입 손실을 최소화하면서도 안정적인 내부 결합을 위하여, 상술한 바와 같이,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을 관통하여 외부로 돌출된 공진기 프레임(200)의 하단부 주변을 솔더 결합시키는 것이다.Accordingly, the filter 100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protrudes outward through a plurality of insertion holes 310h, as described above, in order to minimize the insertion loss and achieve stable internal coupling. The area around the lower end of the resonator frame 200 is soldered together.

한편, 공진기 프레임(200)은, 도 3 및 도 4에 참조된 바와 같이, 캐비티(C)의 폭방향 2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고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과 각 열의 공진 바들(220)의 하단부를 연결하고,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에 각각 삽입되어 그 하단이 캐비티(C)의 외측으로 노출되는 공진기 결합단(215)이 형성된 공진기 연결바(210)와, 각 공진 바들(220)의 선단(상단)에 형성된 공진 특성단(230)을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as shown in FIGS. 3 and 4, the resonator frame 200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220 arranged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vity C, respectively, parallel to each other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esonator connection bar 210 that connects the lower ends of the row of resonant bars 220 and is formed with a resonator coupling end 215 that is each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310h and whose lower ends ar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avity C. And, it may include a resonance characteristic end 230 formed at the tip (top) of each resonance bar 220.

여기서,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은, 캐비티(C) 내에서 각각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열되도록 구비되되, 인접하는 공진 바들(220)은 폭방향 1열과 2열 사이에서 인접 커플링되도록 각각 지그재그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Here,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22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within the cavity C, and the adjacent resonance bars 220 are each zigzag so as to be adjacently coupled between the first and second rows in the width direction. It can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즉, 공진기 프레임(200)은, 하부 커버 패널(3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의 열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은, 필터 바디(105)의 폭 방향으로는 상호 오버랩되지 않게 필터 바디(105)의 길이 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That is, the resonator frame 200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rows of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310h formed in the lower cover panel 300, and the plurality of resonant bars 220 are arranged to correspond to the width of the filter body 105. They may b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105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한편, 공진기 프레임(200)에는, 필터 바디(105)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 배열된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둔 양측의 공진 바들(220)의 측부로부터 상호 위치된 방향으로 직교되게 상호 소정 거리 연장된 노치바가 형성된 노치 형성부(241,242)가 구비될 수 있다.Meanwhile, in the resonator frame 200, one of the plurality of resonant bars 220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105 is disposed in mutually positioned directions from the sides of the resonant bars 220 on both sides of one of the plurality of resonant bars 220 in between. Notch forming portions 241 and 242 may be provided in which notch bars are formed orthogonally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여기서, 노치 형성부(241,242)는, 노치바가 적어도 인접하는 공진 바(220)를 하나 이상 건너뛰도록 이격된 한 쌍의 공진 바(220)가 상호 연결되게 형성된 L-노치부(241) 및 노치바가 적어도 인접하는 공진 바(220)를 하나 이상 건너뛰도록 이격된 한 쌍의 공진 바(220)가 상호 연결되지 않게 형성된 C-노치부를 포함하고, C-노치부(242)는 상대적으로 L-노치부(241)보다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 중 필터 바디(105)의 상면에 근접한 위치(가령, 공진 특성단(230))에 상기 노치바가 형성될 수 있다.Here, the notch forming portions 241 and 242 include an L-notch portion 241 and a notch formed by connecting a pair of resonating bars 220 spaced apart so that the notch bar skips at least one adjacent resonating bar 220. A pair of resonating bars 220 spaced apart so that the bar skips at least one adjacent resonating bar 220 includes a C-notch portion formed so as not to be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C-notch portion 242 is relatively L- The notch bar may be formed at a position (e.g., resonance characteristic end 230)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among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220 than the notch portion 241.

한편, 필터 바디(105) 및 하부 커버 패널(300)은 동일한 재질이고, 상기 제1 재질은 동 재질이며, 공진기 프레임(200)의 각 공진 바들(220)을 이루는 상기 제2 재질은 상기 동 재질을 제외한 도전성 재질(바람직하게는 SUS 재질)일 수 있음은 이미 설명한 바 있다.Meanwhile, the filter body 105 and the lower cover panel 300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material is made of copper, and the second material forming each resonance bar 220 of the resonator frame 200 is made of copper. It has already been explained that it can be made of a conductive material (preferably a SUS material) except for .

또한,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의 직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되, 타각 방식에 의하여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과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의해 미세 주파수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156)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each of the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220 is provided at a position corresponding to the direct upper direction, and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220 is adjusted by the striking angle method. A plurality of tuning surfaces 156 that adjust fine frequencies may be provided.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156)은,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되, 가령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156)이 길이방향으로 길게 장방형으로 형성된 경우, 길이방향 양단이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에 일체로 연결되고, 폭방향 양단이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에 대하여 절개 형성될 수 있다.The plurality of tuning surfaces 156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For example, when the plurality of tuning surfaces 156 are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formed as filters. It is integrally connected to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body 105,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cut with respect to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You can.

또한,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에는,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 중 인접하는 공진 바들(220)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되, 타각 방식에 의하여 캐비티(C) 내측으로 형상 변형되어 돌출되는 동작으로 상기 인접하는 공진 바들(220) 사이의 커플링 값을 변경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157)이 구비될 수 있다.In addition,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each of the plurality of resonant bars 220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etween adjacent resonant bars 220, and the shape is transformed inside the cavity C by an angle method. A plurality of coupling adjustment surfaces 157 that change the coupling value between the adjacent resonance bars 220 through a protruding motion may be provided.

여기서,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157)은,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되, 가령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157)이 폭방향으로 길게 장방형으로 형성된 경우, 그 형상을 기준으로 하는 길이방향 양단 중 어느 하나 및 폭 방향 양단이 필터 바디(105)의 상부면에 해당하는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에 대하여 절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157)은, 필터 바디(105) 중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에 대하여 절개되지 않은 부분을 기준으로 그 반대편의 선단이 외팔보 형태로 지지되어 외부로부터 전달되는 외력에 의하여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 사이로 형상 변형되는 것이다.Here,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trol surfaces 157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For example, if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trol surfaces 157 are formed in a long rectangular shape in the width direction,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trol surfaces 157 are formed in a rectangular shape. One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based on the shape may be cut with respect to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corresponding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105. Accordingly,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trol surfaces 157 are supported in a cantilever shape at their opposite ends based on the portion of the filter body 105 that is not cut with respect to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thereby transmitting external force from the outside. The shape is transformed between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220.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는,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으로 필터 바디(105)를 형성하고, 필터 바디(105)의 개구된 저부를 차폐하는 하부 커버 패널(300)을 구비하되, 이종 재질인 공진기 프레임(200)을 억지 끼움 결합 방식 및 솔더 결합을 통해 안정적이고도 삽입 손실량이 최소화되도록 결합시킴으로써, 통신기기의 통신 신뢰성을 크게 향상시키는 이점을 제공한다.The filter 100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has a filter body 105 formed by a deep drawing press method, and a lower cover that shields the open bottom of the filter body 105. The panel 300 is provided, and the resonator frame 200, which is made of different materials, is joined stably and with minimal insertion loss through interference fit and solder bonding, thereby providing the advantage of greatly improving the communication reliability of communication devices.

도 6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및 그 구성 중 필터 바디의 마운팅 패널과 하부 커버 패널의 결합 모습 및 하부 커버 패널과 공진기 프레임의 결합 모습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7은 도 1의 B-B선을 따라 취한 수평 단면도이며, 도 8은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및 그 구성 중 커플링 조절 바를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고, 도 9는 도 1의 A-A선을 따라 취한 수직 단면도 및 그 구성 중 튜닝 타각면을 나타낸 부분 확대도이며, 도 10은 도 1의 평면도(a) 및 공진기 프레임의 평면도(b)와 내부 투시 평면도(c)이다.FIG. 6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 1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ombination of the mounting panel of the filter body and the lower cover panel and the combination of the lower cover panel and the resonator frame among the configurations, and FIG. It is a horizont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B-B of Figure 1, Figure 8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coupling adjustment bar among its components, and Figure 9 is a vertical cross-sectional view taken along line A-A of Figure 1. It is a cross-sectional view and a partial enlarged view showing the tuning angle surface of the configuration, and FIG. 10 is a top view (a) of FIG. 1, a top view (b) of the resonator frame, and an internal perspective top view (c).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의 생산성 및 주파수 튜닝 설계 측면에서의 작용효과를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effect in terms of productivity and frequency tuning design of the filter 100 for communication devic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1 to 5 will be briefly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6 to 10 as follows. same.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는,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필터 바디(105)를 프레스 공법 중 하나인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을 통해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과, 일측 두께 형성 패널(120) 및 타측 두께 형성 패널(130)과, 일측 차폐 패널(180A) 및 타측 차폐 패널(180B)과,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이 동시에 형성되는 바, 종래 몰딩 재료를 이용한 몰딩 공법을 탈피함으로써 제품의 생산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다.First, the filter 100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as shown in FIG. 6, the filter body 105 is formed by forming the upper body panel 150 through the deep drawing press method, which is one of the press methods. ), one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20 and the other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30, one side shielding panel 180A and the other shielding panel 180B, and the mounting border panel 110 are formed simultaneously, using conventional molding materials. Product productivity can be greatly improved by breaking away from the molding method.

이와 같은, 필터 바디(105)의 제조 공법으로써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의 적용은, 후술하는 하부 커버 패널(300) 및 공진기 프레임(200)의 별도 결합을 제외하고 캐비티(C) 내의 구성을 단순화할 수 있는 점에서, 종래 별도 구조물의 설치에 따른 삽입 손실을 사전에 차단할 수 있는 이점을 제공하는 것이다.Application of the deep drawing press method as a manufacturing method for the filter body 105 can simplify the configuration within the cavity (C) except for the separate combination of the lower cover panel 300 and the resonator frame 2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In that sense, it provides the advantage of preventing insertion loss caused by the installation of a separate structure in advance.

또한, 도 6에 참조된 바와 같이, 필터 바디(105)의 캐비티(C) 중 개구된 저면부를 차폐하는 하부 커버 패널(300)은, 프레스 공법을 통해 필터 바디(105)의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의 외측 테두리와 대응되는 외형을 가지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공진기 프레임(200)의 솔더 결합을 위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을 단일의 프레스 공정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as referred to in FIG. 6, the lower cover panel 300, which shields the open bottom portion of the cavity C of the filter body 105, is formed by attaching the mounting border panel 110 of the filter body 105 through a press method. ), and at the same time,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310h for solder connection of the resonator frame 200 can be formed through a single press process.

이와 같이,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 및 프레스 공법을 통해 성형 제조된 필터 바디(105)와 하부 커버 패널(300)은, 도 6의 (a)에 참조된 바와 같이, 마운팅 테두리 패널(110)의 하부면과 하부 커버 패널(300)의 테두리 단부의 상부면을 상호 면접합시키되, 미리 그 사이에 솔더 재료를 개재한 후 SMT 방식으로 솔더 결합시킬 수 있는 바, 캐비티(C) 내에서의 삽입 손실을 크게 저감시키는 이점을 가질 수 있다.In this way, the filter body 105 and the lower cover panel 300 molded and manufactured through the deep drawing press method and the press method are formed on the lower surface of the mounting border panel 110, as shown in (a) of FIG. 6. The upper surfaces of the edge ends of the lower cover panel 300 can be face-joined to each other and solder-joined using the SMT method after inserting a solder material between them in advance, thereby increasing the insertion loss within the cavity C. It can have the advantage of reducing

아울러, 공진기 프레임(200)을 캐비티(C) 내에 설치함에 있어서, 도 6의 (b)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진기 프레임(200)의 공진기 결합단(215) 각각을 그 하단이 하부 커버 패널(300)에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310h)을 통해 외부로 노출되게 끼움 삽입 결합시킨 후 외부에서 솔더 결합을 통해 고정시킬 수 있으므로, 종래, 캐비티(C) 내부에서의 용접 결합 과정을 완전히 삭제함으로써 이로 인한 삽입 손실을 완전히 차단할 수 있는 이점으로 이어지는 것이다.In addition, when installing the resonator frame 200 in the cavity (C), as shown in (b) of FIG. 6, each of the resonator coupling ends 215 of the resonator frame 200 has a lower cover panel ( Since it can be inserted and bond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310h formed in 300) and then fixed through solder bonding from the outside, the conventional welding bonding process inside the cavity (C) is completely eliminated. This leads to the advantage of completely blocking insertion loss.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의 주파수 튜닝 설계면에서의 작용효과를 설명한다.Next, the effect in terms of frequency tuning design of the filter 100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도 7에 참조된 바와 같이, 공진기 프레임(200)의 복수개의 공진 바들(220)은 캐비티(C) 내에 길이방향 일측에서 타측으로 7개(201~207)가 이격되게 배치되고, 일측의 제1 공진 바(201)를 통해 입력된 신호를 순차적으로 제2 공진 바 내지 제6 공진 바(202~206)를 경유하여 필터링하는 과정을 수행한 후 타측의 제7 공진 바(207)을 통해 출력하도록 배치된다.As shown in FIG. 7, the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220 of the resonator frame 200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one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in the cavity C (201 to 207), and the first bar on one side is The signal input through the resonant bar 201 is sequentially filtered through the second to sixth resonant bars 202 to 206 and then output through the seventh resonant bar 207 on the other side. It is placed.

여기서, 통상 제1 공진 바(201)로부터 제7 공진 바(207)까지 상호 인접하는 공진 바들 사이(가령, 제1 공진 바(201)와 제2 공진 바(202) 사이, 제2 공진 바(202)와 제3 공진 바(203) 사이, 제3 공진 바(203)와 제4 공진 바(204) 사이, 제4 공진 바(204)와 제5 공진 바(205) 사이, 제5 공진 바(205)와 제6 공진 바(206) 사이 및 제6 공진 바(206)와 제7 공진 바(207) 사이)의 각 신호 경로는 도면부호 "①~⑥"로 표시된 대로 정의하기로 하고, 실제 각 공진 바들(220) 중 인접하는 공진 바들(220)은 상술한 신호 경로 "①~⑥" 대로 순차적으로 필터링이 수행되는 것이다.Here, usually between adjacent resonating bars from the first resonating bar 201 to the seventh resonating bar 207 (for example, between the first resonating bar 201 and the second resonating bar 202, the second resonating bar ( Between 202) and the third resonating bar 203, between the third resonating bar 203 and the fourth resonating bar 204, between the fourth resonating bar 204 and the fifth resonating bar 205, the fifth resonating bar Each signal path between (205) and the sixth resonant bar 206 and between the sixth resonant bar 206 and the seventh resonant bar 207 is defined as indicated by reference numerals “①~⑥”, In fact, among each resonant bar 220, adjacent resonant bars 220 are sequentially filtered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signal path "①~⑥".

이때, 제1 공진 바(201)와 제2 공진 바(202)에 각각 형성된 C-노치부(242)에 의한 용량성 커플링을 통해 패스 밴드의 좌측단(저주파 영역)에 C-노치를 구현하기 위한 신호 경로(⑦)와, 제4 공진 바(204)와 제6 공진 바(206)를 연결하도록 형성된 L-노치부(241)에 의한 유도성 커플링을 통해 패스 밴드의 우측단(고주파 영역)에 L-노치를 구현하기 위한 신호 경로(⑧)가 더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a C-notch is implemented at the left end of the pass band (low frequency region) through capacitive coupling by the C-notch portion 242 formed on the first resonance bar 201 and the second resonance bar 202, respectively. The signal path (⑦) for A signal path (⑧) for implementing the L-notch may be further formed in the region).

한편,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공진기 프레임(200)의 각 공진 바들(201~207)의 공진 특성단(230)의 위치에 대응되는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에는 상술한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156)이 형성되고, 각 공진 바들(201)의 사이에 대응되는 바디 상부 형성 패널(150)에는 상술한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157)이 형성될 수 있다.Meanwhile, referring to FIGS. 8 and 9, the body upper forming panel 150 corresponding to the position of the resonance characteristic end 230 of each resonance bar 201 to 207 of the resonator frame 200 has a plurality of tuning devices described above. A striking surface 156 may be formed, and the plurality of coupling adjustment surfaces 157 described above may be formed on the upper body forming panel 150 corresponding to each resonance bar 201.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100)는, 도 10에 참조된 바와 같이, 캐비티(C)의 일측에 인접된 제1 공진 바(201)를 통해 신호가 입력되면, 제7 공진 바(207)를 통해 신호가 출력되는 과정의 신호 경로(①~⑥)에서 인접 커플링 및 크로스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고, 추가 신호 경로(⑦,⑧)에서 L-노치 및 C-노치를 형성하기 위한 커플링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As shown in FIG. 10, the filter 100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transmits a signal through the first resonance bar 201 adjacent to one side of the cavity C. When input, adjacent coupling and cross coupling can be performed in the signal path (① to ⑥) in the process of outputting the signal through the seventh resonance bar 207, and L- Coupling to form notches and C-notches can be performed.

이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통신기기용 필터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실시예가 반드시 상술한 일 실시예에 의하여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자에 의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에서의 실시가 가능함은 당연하다고 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진정한 권리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정해진다고 할 것이다.Above,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and it is natural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implementations can be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will be. Therefore, the true scope of righ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later.

100: 통신기기용 필터 105: 필터 바디
110: 마운팅 테두리 패널 120: 일측 두께 형성 패널
130: 타측 두께 형성 패널 150: 바디 상부 형성 패널
180A: 일측 차폐 패널 180B: 타측 차폐 패널
200: 공진기 프레임 210: 공진기 연결바
215: 공진기 결합단 220: 공진 바들
230: 공진 특성단 300: 하부 커버 패널
310h: 끼움 관통홀
100: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105: Filter body
110: Mounting border panel 120: One-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30: Other side thickness forming panel 150: Body upper forming panel
180A: One side shielding panel 180B: Other side shielding panel
200: Resonator frame 210: Resonator connection bar
215: resonator coupling end 220: resonance bars
230: resonance characteristic group 300: lower cover panel
310h: insertion hole

Claims (11)

유전체 충진 공간인 캐비티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티는 저부가 개구된 필터 바디;
상기 필터 바디의 개구된 저부를 차폐하도록 결합되는 제1 재질의 하부 커버 패널; 및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결합되되,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을 향하여 소정 길이 연장된 복수개의 공진 바를 포함하는 제2 재질의 공진기 프레임; 을 포함하고,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상기 캐비티의 내외부로 관통되게 형성되고, 길이방향으로 이격되게 폭방향 2열 이상으로 구비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에 하단부가 억지 끼움 결합된 후 상기 캐비티의 내측에서 상기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 주변이 솔더 결합을 통해 고정되는, 통신기기용 필터.
A filter body comprising a cavity that is a dielectric filling space, the cavity having an open bottom;
a lower cover panel made of a first material coupled to shield the open bottom of the filter body; and
A resonator frame made of a second material coupled to the lower cover panel and including a plurality of resonant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Including,
The resonator frame is formed on the lower cover panel to penetrate the inside and outside of the cavity, and the lower end is press-fitted into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provided in two or more rows in the width direction spaced apart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then inserted into the inside of the cavity.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in which the periphery of the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is fixed through solder bonding.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커버 패널에 형성된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의 열 개수에 대응되게 구비되고,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는, 상기 필터 바디의 폭방향으로 상호 오버랩되지 않게 상기 필터 바디의 길이방향으로 소정거리 이격되게 배치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1,
The resonator frame is provided to correspond to the number of rows of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formed in the lower cover panel,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are arranged to b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at a predetermined distanc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so as not to overlap each other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프레임에는,
상기 필터 바디의 길이 방향으로 순차 배열된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 중 어느 하나를 사이에 둔 양측의 공진 바의 측부로부터 상호 위치된 방향으로 직교되게 상호 소정 거리 연장된 노치바가 형성된 노치 형성부; 가 구비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2,
In the resonator frame,
a notch forming portion in which notch bars extending a predetermined distance from each other orthogonally in mutually positioned directions are formed from sides of both resonance bars sandwiching one of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sequentially arrang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filter body; Equipped with a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노치 형성부는,
상기 노치바가 상호 연결되지 않는 C-노치부; 및
상기 노치바가 상호 연결된 L-노치부; 를 포함하고,
상기 C-노치부는 상대적으로 상기 L-노치부보다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 중 상기 필터 바디의 상면에 근접한 위치에 상기 노치바가 형성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3,
The notch forming part,
C-notch portion where the notch bars are not connected to each other; and
an L-notch portion where the notch ba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cluding,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the C-notch portion is formed at a position relatively closer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mong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than the L-notch portion.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 및 상부 하부 커버 패널은 동일한 재질이고,
상기 제1 재질은 동 재질이며, 상기 제2 재질은 상기 동 재질을 제외한 전도성 재질인,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1,
The filter body and upper and lower cover panels are made of the same material,
The first material is copper, and the second material is a conductive material excluding the copper materia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의 직상방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되, 타각 방식에 의하여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와의 이격 거리를 조정함에 의해 미세 주파수를 조정하는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이 구비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1,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 plurality of tuning rudders are provided at positions corresponding directly above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and adjust fine frequencies by adjusting the separation distance from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using a steering angle method. A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with multiple sides.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튜닝 타각면은,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단이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 일체로 연결되고, 폭 방향 양단이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 대하여 절개 형성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6,
The plurality of tuning surfaces are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re integrally connected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are relative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A cut-out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는,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들 중 인접하는 공진 바들 사이에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구비되되, 타각 방식에 의하여 상기 캐비티 내측으로 형상 변형되어 돌출되는 동작으로 상기 인접하는 공진 바들 사이의 커플링 값을 변경시키는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이 구비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5,
On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each of the plurality of resonant bars is provided at a corresponding position between adjacent resonant bars, and the shape is deformed and protruded into the inside of the cavity by an angle method, thereby forming a gap between the adjacent resonant bars. A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s equipped with a plurality of coupling adjustment surfaces that change the coupling value.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복수개의 커플링 조절면은,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 두께보다 작은 두께로 형성되되, 길이방향 양단 및 폭 방향 양단 중 어느 하나가 상기 필터 바디의 상부면에 대하여 절개 형성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8,
The plurality of coupling control surfaces are,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that is formed to have a thickness smaller than the thickness of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wherein one of both end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both ends in the width direction is cut with respect to the upper surface of the filter bod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필터 바디는,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테두리 단부와 면접촉되는 접합부가 형성되도록 딥드로잉 프레스 공법으로 제조된,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1,
The filter body is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manufactured by a deep drawing press method to form a joint that makes surface contact with the edge end of the lower cover panel.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공진기 프레임은, 상기 캐비티의 폭방향 2열에 각각 길이방향으로 나란하고 소정거리 이격되게 구비된 복수개의 공진 바들;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에 각각 삽입되는 공진기 결합단이 형성된 공진기 연결바; 및
상기 복수개의 공진 바들의 선단에 형성된 공진 특성단; 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외측에서 상기 하부 커버 패널의 복수개의 끼움 관통홀을 관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상기 공진기 결합단의 하단이 솔더 결합되는, 통신기기용 필터.
In claim 1,
The resonator frame includes a plurality of resonating bars arranged in two row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cavity, each aligne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spaced apart by a predetermined distance;
a resonator connection bar formed with a resonator coupling end each inserted into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of the lower cover panel; and
Resonance characteristic ends formed at the ends of the plurality of resonance bars; Including,
A filter for a communication device, wherein a lower end of the resonator coupling end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a plurality of fitting through holes of the lower cover panel is soldered to the outside of the lower cover panel.
KR1020230121564A 2022-09-16 2023-09-13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3861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23/013772 WO2024058557A1 (en) 2022-09-16 2023-09-14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96 2022-09-16
KR20220116996 2022-09-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616A true KR20240038616A (en) 2024-03-25

Family

ID=90473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0121564A KR20240038616A (en) 2022-09-16 2023-09-13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61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084A (en)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adio frequency filt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100084A (en) 2003-05-21 2004-12-02 주식회사 케이엠더블유 Radio frequency filt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081626B2 (en) Radio frequency filter with cavity structure
US5225799A (en) Microwave filter fabrication method and filters therefrom
US10110196B2 (en) Electronic component
KR102040689B1 (en) Cavity filter
KR101728152B1 (en) Cavity Type Wireless Frequency Fil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EP3306739B1 (en) Cavity filter
CA2257754C (en) Band elimination dielectric filter, dielectric duplexer and communication device using the same
CN212209713U (en) Metal sheet radio frequency cavity filter
JPH0624282B2 (en) Filter device
CN212303856U (en) Metal sheet radio frequency cavity filter
KR20240038616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EP1777774A1 (en) Dielectric device
JP4191198B2 (en) filter
WO2024058557A1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15585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51862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15583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29523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20240015584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JP2020072450A (en) Dielectric resonance component
CN217009522U (en) Cavity filter assembly
KR20240029524A (en) Filter for communication device
KR102652627B1 (en) Cavity filter assembly
CN220963704U (en) Filter for communication equipment
JPS605623Y2 (en) Multi-stage tuned filt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