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443A -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443A
KR20240038443A KR1020220117304A KR20220117304A KR20240038443A KR 20240038443 A KR20240038443 A KR 20240038443A KR 1020220117304 A KR1020220117304 A KR 1020220117304A KR 20220117304 A KR20220117304 A KR 20220117304A KR 20240038443 A KR20240038443 A KR 2024003844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game
user
unit
character cre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73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성병삼
성현민
성혜성
Original Assignee
성병삼
성현민
성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병삼, 성현민, 성혜성 filed Critical 성병삼
Priority to KR10202201173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443A/ko
Publication of KR202400384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44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60Generating or modifying game content before or while executing the game program, e.g. authoring tools specially adapted for game development or game-integrated level edito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3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 A63F13/332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using wide area network [WAN] connections using wireless networks, e.g. cellular phone network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30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and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devices; Interconnection arrangements between game servers
    • A63F13/35Details of game serv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TIMAGE DATA PROCESSING OR GENERATION, IN GENERAL
    • G06T13/00Animation
    • G06T13/2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 G06T13/403D [Three Dimensional] animation of characters, e.g. humans, animals or virtual beings

Abstract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 단말(100)과,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300)와,상기 사용자 단말과 캐릭터 제작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캐릭터 제작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고(S110), 접속이 완료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전체 형상,유니트(Unit)별 단위, 텍스트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캐릭터의 형상을 입력하고(S120), 상기 입력된 유니트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를 생성하고(S130), 상기 생성된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고(S14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리스트로 접속하고(S150), 상기 접속된 게임 제공사에 캐릭터 변경 요청을 수행하고(S180), 상기 변경 요청이 허여되면, 기존 사용자 캐릭터를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로 변경하고(S190, 필요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S131,132)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형상 및 특성을 갖는 캐릭터를 제작하여 이를 자신이 즐기는 게임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복수의 게임에 동일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적용함으로써 게임의 몰입도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자신의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 apparatus and method for making and servicing of game character}
본 발명은 사용자로부터 입력받은 게임용 캐릭터를 제작하고 이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제작한 게임용 캐릭터를 온라인 게임에 연계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모바일 기기와 인터넷의 보급 증가에 따라 온라인상에서 게임을 즐기는 사람이 최근 급속도로 증가하고 있고 이러한 추세에 따라 최근 게임 산업이 전 세계적으로 급격하게 성장하면서 수많은 온라인 게임이 개발되어 수억 명의 사용자들이 온라인 게임을 즐기는 환경이 만들어지고 있다.
이러한 온라인 게임 사용자들의 급속한 증가와 함께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각종 캐릭터와 관련된 제품에 대한 산업적 수요가 형성되고 있다.
이처럼 온라인 게임에 등장하는 각종 게임용 캐릭터는 게임 이용자들 사이에서는 널리 알려져 있게 되고 또한 이러한 캐릭터에 대해서 상표권 및 저작권이 적용되어 다른 사용자들이 쉽게 이러한 캐릭터를 도용하지 못하게 막고 있다.
이러한 상황으로 인해, 현재의 게임 사용자들은 게임 제작사가 제공하는 게임 툴을 이용하여 게임용 캐릭터를 지정해서 게임을 즐기고 있으며, 자신만의 개성이 표출될 수 있는 독창적인 캐릭터는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제공되지 않고 있다.
현재의 수많은 게임 사용자들은 자신만의 개성이 표출된 독특한 게임용 캐릭터로 하나의 게임만 아니라 수많은 게임을 즐기고 싶은 욕구가 있을 수 있다.
그러나 현재의 게임 산업에서는 한 게임에서 사용되는 게임용 캐릭터가 다른 게임에서는 사용될 수 없고, 각기 게임에서 제공되는 그 게임에 한정되는 캐릭터로 게임을 즐겨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종래의 게임용 캐릭터 제작 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00-0054028호가 개시되고 있다.
상기 종래 기술은 사용자가 네트워크 통신망을 통해 캐릭터 제작 서비스 서버에 통신 접속을 수행하고, 캐릭터 제작 서비스 서버는 오프라인 상태에서 사용자에게 판매되고 있는 상품과 동일한 이미지 정보를 사용자 컴퓨터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볼 수 있도록 하고, 사용자는 상술한 이미지 정보들을 이용하여 자신만이 원하는 캐릭터를 제작하게 되며, 사용자가 사용자 컴퓨터를 이용하여 직접 제작한 캐릭터를 이용하여 채팅, 전자우편, 게임 등을 수행하는 경우 캐릭터 제작 서비스 서버는 사용자에게 사이버 머니를 제공하고, 추후 사용자가 캐릭터를 수정하거나, 재제작하고자 하는 경우 이 사이버 머니의 량에 대응하는 캐릭터 제작 정보를 제공하여 사용자가 오프라인 상태에서 상품을 구매하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 특허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시 제작자가 오프라인에서 형성되고 있는 이미지를 제공하고 이에 따라 사용자가 상기 이미지 중에서 선택하여 캐릭터를 설정하게 되는 한계가 있으며, 또한 상기 설정된 캐릭터를 사용시에 사이버 머니를 획득하는 과정만이 개시되어 있어서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사용자로부터 의뢰받은 게임용 캐릭터를 제작하고 이를 제공하며 또한 상기 제작한 게임용 캐릭터를 온라인 게임에 연계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기술은 전혀 도시되고 있지 않다.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해결하고자 자는 첫 번째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의뢰받은 게임용 캐릭터를 제작하고 이를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의뢰받아 제작한 게임용 캐릭터를 온라인 게임에 연계시킬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과제는 사용자로부터 의뢰받아 제작한 게임용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상기 언급한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 설명되는 내용으로부터 본 기술에 대해 통상적인 지식을 갖는 당업자들에게 명확히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100)과,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300)와,상기 사용자 단말과 캐릭터 제작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캐릭터 생성부(310)와,생성된 캐릭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20)와,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리스트와 연결하는 게임 접속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의 특성을 입력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Application program)(34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으며, 상기 프로그램은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의 단말에 나타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생성부는 추가적으로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를 제작하는 액세서리 생성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가 제공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캐릭터 제작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는 단계와(S110), 접속이 완료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전체 형상,유니트(Unit)별 단위, 텍스트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캐릭터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와(S120), 상기 입력된 유니트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와(S130), 상기 생성된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S14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리스트로 접속하는 단계와(S150),상기 접속된 게임 제공사에 캐릭터 변경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와(S180), 상기 변경 요청이 허여되면, 기존 사용자 캐릭터를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로 변경하는 단계(S19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S131, S132)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형상 및 특성을 갖는 캐릭터를 제작하여 이를 자신이 즐기는 게임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하나 이상의 복수의 게임에 동일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적용함으로써 게임의 몰입도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자신의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의 사용자 입력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서 반복되는 설명,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갖춘 당업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들의 형상 및 크기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이를 상세한 설명을 통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일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된다" 거나 "접속된다" 등으로 언급된 때에는, 상기 일 구성요소가 상기 다른 구성요소와 직접 연결되거나 또는 직접 접속될 수도 있지만,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존재하지 않는 이상,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를 매개하여 연결되거나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부'로 표현되는 구성요소는 2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하나의 구성요소로 합쳐지거나 또는 하나의 구성요소가 보다 세분화된 기능별로 2개 이상으로 분화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에서 설명할 구성요소 각각은 자신이 담당하는 주기능 이외에도 다른 구성요소가 담당하는 기능 중 일부 또는 전부의 기능을 추가적으로 수행할 수도 있으며, 구성요소 각각이 담당하는 주기능 중 일부 기능이 다른 구성요소에 의해 전담되어 수행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100)과,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300)와,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 및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캐릭터 생성부(310)와,생성된 캐릭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20)와,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리스트와 연결하는 게임 접속부(3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이며, 예로써 상기 단말기(100)는 웹 브라우저가 탑재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데스크탑(Desktop),노트북(Notebook)등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통신 장치인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 모든 종류의 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일반적으로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Soft ware)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프로그램, 스크립터(Scriptor) 혹은 코드(C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파일(Compile)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Module), 컴포넌트(Component), 서브루틴(Sub routine)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Unit)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파일 시스템의 파일에 반드시 대응하는 것은 아니며, 요청된 프로그램에 제공되는 단일 파일 내에 혹은 다중의 상호 작용하는 파일 내에 혹은 다른 프로그램이나 데이터를 보유하는 파일의 일부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하나의 사이트(Site)에 위치하거나 복수의 사이트에 걸쳐서 분산되어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상호 접속된 다중 컴퓨터 혹은 하나의 컴퓨터 상에서 실행되도록 전개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논리 흐름과 구조적인 블록도는 개시된 구조적인 수단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기능과 단계의 지원을 받는 대응하는 행위 및/또는 특정한 방법을 기술하는 것으로, 대응하는 소프트웨어 구조와 알고리즘과 그 등가물을 구축하는 데에도 사용 가능하다.
본 명세서에서 기술하는 프로세스와 논리 흐름은 입력 데이터상에서 동작하고 출력을 생성함으로써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을 실행하는 하나 이상의 프로그래머블 프로세서에 의하여 수행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의 실행에 적합한 프로세서는, 예컨대 범용 및 특수 목적의 마이크로프로세서 양자 및 어떤 종류의 디지털 컴퓨터의 어떠한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라도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프로세서는 읽기 전용 메모리나 랜덤 액세스 메모리 혹은 양자로부터 명령어와 데이터를 수신할 것이다.
컴퓨터의 핵심적인 요소는 명령어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메모리 장치 및 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세서이다. 또한, 컴퓨터는 일반적으로 예컨대 자기, 자기광학 디스크나 광학 디스크와 같은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대량 저장 장치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거나 그것으로 데이터를 전송하거나 혹은 그러한 동작 둘 다를 수행하기 위하여 동작 가능하도록 결합되거나 이를 포함할 것이다. 그러나, 컴퓨터는 그러한 장치를 가질 필요가 없다.
상기 네트워크(600)는, 복수의 단말기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프로그램이 상기 서버(300)에 저장이 되어 있고, 상기 프로그램에는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 형상을 입력할 수 있는 화면 혹은 입력부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단말기는 네트워크(200)를 통해 상기 서버에 접속하여 상기 일련의 입력 메뉴 중에서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게임용 캐릭터 목록을 입력할 수 있는 기능이 있다.
이러한 입력화면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의 입력화면으로 개시된다.
상기 입력화면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게임용 캐릭터 형상을 전체 이미지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진 파일을 이용해서 입력할 수도 있고, 자신이 직접 간단한 스케치를 통해 그린 그림파일을 입력할 수도 있는 등 어떠한 형태로든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파일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이미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캐릭터 제작 서버로 전송되며, 캐릭터 제작 서버의 캐릭터 생성부에서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인식하여 이에 따르는 캐릭터 형상을 제작한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서는 다양한 응용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복수 형상 모델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서 제작한 모델을 참조하여 자신의 원하는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원본 이미지를 그대로 구현한 캐릭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색감이나 형태, 그리고 간단한 세부 묘사의 응용이 가미된 복수의 캐릭터들이 제작 서버의 다양한 응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제작은 당업자라면 손쉽게 응용 모델 버전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화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이미지 외에 상세 입력을 선택하여 각 유니트(Unit)별로 캐릭터 모델의 상세 특징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특징은 머리, 목,헤어, 몸통,팔,다리,손,발등 각 신체 유니트별로 특정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그린 이미지 파일 혹은 사진 파일 등 어떠한 형태로든 입력할 수 있으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상기 입력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는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제작자는 상기 유니트를 더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등 다양한 응용 버전도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파일 입력 외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텍스트로 입력된 문자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의 실시예로써 사용자는 "머리 형상이 두꺼비이고 헤어는 갈색 사람 헤어이며, 피부색은 노란색이고, 손발의 모양을 물갈퀴 형상이고, 눈동자 색깔은 빨간색, 몸통 형상은 물고기인 캐릭터"로 입력하면,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상기 입력 문자를 인식하여 손쉽게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의 하나 혹은 그 이상의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언급한 바와 같이 각종 다양한 방법으로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 형상을 입력할 수 있으며, 상기 서버의 캐릭터 생성부에서는 상기 입력된 그림 혹은 사진 정보, 유니트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기반을 둔 게임용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또한 액세서리 생성부(35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상기 액세서리 생성부는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 의해 생성된 캐릭터를 인지하여 상기 캐릭터에 적합한 다양한 액세서리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제작시 유니트의 입력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그림 혹은 사진 정보, 유니트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면 액세서리 생성부(350)에서 제작되어 질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두꺼비 캐릭터의 목걸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사용자가 목걸이 액세서리에 대한 그림, 사진, 텍스트 등의 제작을 입력을 통해서 요청하게 되면(S131), 필요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도 있고(S132),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두꺼비 캐릭터에게 어울린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하나 이상의 목걸이를 제작하여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제시된 모델 중에서 원하는 모델을 선택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 의해서 제작된 캐릭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된다.
상기 액세서리 생성부에 의해서 제작된 액세서리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액세서리도 상기 생성된 캐릭터에 부가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300)는 또한 게임 접속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접속부는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리스트와 연결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사용자는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자신이 보유한 게임 리스트에서 모두 이용하고 싶은 욕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임 접속부에서는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상기 게임 리스트의 제조사로 연결하여 상기 게임용 캐릭터를 해당 게임에 적용 가능한지 즉 현재 사용자의 게임용 캐릭터 대신 새로이 제작한 고유 캐릭터로 변경 가능한지 요청하게 되고, 변경 가능하다는 합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새로이 제작한 캐릭터로 변경하는 작업이 수행된다.
이러한 캐릭터 변경 작업은 상기 게임 제조사의 허여하에서 게임 제조사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해당 게임 제조사가 이를 허여하지 않으며,사용자는 게임의 저작권이나 특허권이 침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신의 컴퓨터 혹은 개인적인 작업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다.
상기 게임 제조사는 제조 회사일 수도 있고, 혹은 개인일 수도 있는 등 상기 게임에 법적 소유권을 가진 대상일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은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가 제공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캐릭터 제작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는 단계와(S110), 접속이 완료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전체 형상,유니트(Unit)별 단위, 텍스트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캐릭터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S120)를 포함하며, 상기 캐릭터 형상 입력 단계는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르는 애플리케이션의 입력화면으로 개시된다.
상기 입력화면을 참조하면, 예시적으로 사용자는 원하는 게임용 캐릭터 형상을 전체 이미지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사용자는 사진 파일을 이용해서 입력할 수도 있고, 자신이 직접 간단한 스케치를 통해 그린 그림파일을 입력할 수도 있고, 간단한 스케치를 통한 형태 이미지를 입력할 수도 있는 등 어떠한 형태로든 자신이 원하는 이미지를 파일 형태로 입력할 수 있다.
상기 입력된 이미지는 상기 네트워크를 통해 캐릭터 제작 서버로 전송되며, 캐릭터 제작 서버의 캐릭터 생성부에서는 상기 이미지 파일을 인식하여 이에 따르는 캐릭터 형상을 제작한다.
상기 사용자의 입력 파일을 기반으로 하여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서는 다양한 응용 캐릭터를 형성할 수 있고, 하나 이상의 복수 형상 모델을 제작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서 제작한 모델을 참조하여 자신의 원하는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예로서, 상기 사용자의 원본 이미지를 그대로 구현한 캐릭터를 제공할 수도 있고, 이를 바탕으로 다양하게 색감이나 형태, 그리고 간단한 세부 묘사의 응용이 가미된 복수의 캐릭터들이 제작 서버의 다양한 응용으로 제작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응용 제작은 당업자라면 손쉽게 응용 모델 버전을 제작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입력화면을 참조하면, 사용자는 전체 이미지 외에 상세 입력을 선택하여 각 유니트별로 캐릭터 모델의 상세 특징을 입력할 수도 있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세 특징은 머리, 목,헤어, 몸통,팔,다리,손,발등 각 신체 유니트별로 특정되어 입력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입력방식은 사용자가 직접 그린 이미지 파일 혹은 사진 파일 등 어떠한 형태로든 입력할 수 있으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상기 입력을 손쉽게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니트는 일 실시예로서 도시한 것에 불과하며, 제작자는 상기 유니트를 더 확장하거나 축소하는 등 다양한 응용 버전도 추가 및 삭제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이러한 이미지 파일 입력 외에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서 텍스트 형식으로 입력을 수행할 수 있으며,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텍스트로 입력된 문자를 인지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캐릭터를 제작할 수 있다.
텍스트 입력의 실시예로써 사용자는 "머리 형상이 두꺼비이고 헤어는 갈색 사람 헤어이며, 피부색은 노란색이고, 손발의 모양을 물갈퀴 형상이고, 눈동자 색깔은 빨간색, 몸통 형상은 물고기인 캐릭터"로 입력하면,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는 상기 입력 문자를 인식하여 손쉽게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의 복수 모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방법은 상기 입력된 유니트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S130)를 포함하며, 상기 생성 단계에서는 상기 입력된 그림 혹은 사진 정보, 유니트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인식하여 사용자의 요구에 기반을 둔 게임용 캐릭터를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는 방법은 생성된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S140)와,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리스트로 접속하는 단계(S1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게임 접속단계에서는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리스트와 연결하는 기능이 수행된다.
사용자는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자신이 보유한 게임 리스트에서 모두 이용하고 싶은 욕구가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게임 접속단계에서는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상기 게임 리스트의 제조사로 연결하여 상기 게임용 캐릭터를 해당 게임에 적용 가능한지 즉 현재 사용자의 게임용 캐릭터 대신 새로이 제작한 고유 캐릭터로 변경 가능한지 요청하게 되고(S160), 변경 가능하다는 합의가 이루어지면 상기 새로이 제작한 캐릭터로 변경하는 단계(S170)가 수행된다.
이러한 캐릭터 변경 작업은 상기 게임 제조사의 허여하에서 게임 제조사의 작업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만약 해당 게임 제조사가 이를 허여하지 않으며, 사용자는 게임의 저작권이나 특허권이 침해되지 않는 범위내에서 자신의 컴퓨터 혹은 개인적인 작업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캐릭터를 활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액세서리 생성 단계는 상기 캐릭터 생성 단계에서 생성된 캐릭터를 인지하여 상기 캐릭터에 적합한 다양한 액세서리를 제작하여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 제작은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제작될 수도 있으며, 상기 캐릭터 제작시 유니트의 입력과 동일하게 사용자가 그림 혹은 사진 정보, 유니트 정보 및 텍스트 정보를 입력하면 액세서리 생성부(350)에서 제작되어 질 수 있다.
예로써, 상기 두꺼비 캐릭터의 목걸이가 필요하다고 판단되어 사용자가 목걸이 액세서리에 대한 그림, 사진, 텍스트 등의 제작을 입력을 통해서 요청하게 되면(S131), 필요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도 있고(S132), 상기 프로세서가 상기 두꺼비 캐릭터에게 어울린다고 판단되는 여러 가지 하나 이상의 목걸이를 제작하여 제시할 수 있으며 사용자는 이러한 제시된 모델 중에서 원하는 모델을 선택하여 상기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캐릭터 생성부에 의해서 제작된 캐릭터는 상기 데이터베이스부(320)에 저장된다.
상기 액세서리 생성부에 의해서 제작된 액세서리가 존재한다면 이러한 액세서리도 상기 생성된 캐릭터에 부가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부에 저장된다.
이러한 액세서리는 목걸이뿐만 아니라, 각종 의류, 모자, 장식품 등 모든 종류의 액세서리를 망라할 수 있으며, 각 캐릭터에 부착되는 고유의 부속물로서 오프라인에서 판매하여 온라인에서만 장착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오프라인에서 판매하여 그 활용범위를 넓힐 수 있다.
이러한 액세서리의 오프라인 판매는 그 이전에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 역시 당연히 오프라인 판매용으로 실물 제작이 선행되어 있어야 함은 물론이다.
이러한 오프라인 제품들은 당연히 제작자가 작성한 고유 캐릭터로서 저작권이나 디자인권의 신청을 통해 권리로서 보호받아야 할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은 사용자가 본인이 원하는 형상 및 특성을 갖는 캐릭터를 제작하여 이를 자신이 즐기는 게임에 적용할 수 있고 또한 복수의 게임에 동일한 자신만의 캐릭터를 적용함으로써 게임의 몰입도 및 만족도를 증대시킬 수 있고, 자신의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도 제공할 수 있으므로 다양한 사용자의 즐거움을 제공할 수 있다.
본 기술한 설명은 본 발명의 최상의 모드를 제시하고 있으며,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하여, 그리고 당업자가 본 발명을 제작 및 이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예를 제공하고 있다. 이렇게 작성된 명세서는 그 제시된 구체적인 용어에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100 : 사용자 단말 200 : 네트워크
300 :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 310 : 캐릭터 생성부
320 : 데이터베이스부 330 : 게임접속부
340 :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350 : 액세서리 생성부
400 : 게임 제공사

Claims (6)

  1. 사용자 단말(100)과,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300)와,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300)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와;
    상기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컴퓨터 프로그램과;
    캐릭터 생성부(310)와;
    생성된 캐릭터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부(320)와;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를 사용자가 보유한 게임 리스트와 연결하는 게임 접속부(33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300)는 액세서리 생성부(35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상기 단말기에 저장된 소프트웨어(Soft ware)프로그램,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Software application)프로그램, 스크립터(Scriptor) 혹은 코드(Code)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컴파일(Compile)되거나 해석된 언어나 컴퓨터 프로그래밍 언어의 어떠한 형태로도 작성될 수 있으며, 독립형 프로그램이나 모듈(Module), 컴포넌트(Component), 서브루틴(Sub routine) 혹은 컴퓨터 환경에서 사용하기에 적합한 다른 유닛(Unit)을 포함하여 어떠한 형태로도 전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말기(100)는 네트워크(600)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기에 접속할 수 있는 장치로써, 웹 브라우저가 탑재된 개인용 컴퓨터(Personal computer 이하 PC),데스크탑(Desktop),노트북(Notebook)등을 포함할 수 있고,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된 무선통신 장치인 스마트폰(Smart Phone), 스마트 패드(Smart Pad) 및 태블릿 PC(Tablet PC) 등 모든 종류의 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5. 사용자 단말(100)과,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버(300)와,상기 사용자 단말과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를 연결하는 네트워크(200)를 포함하여 구성된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가 상기 캐릭터 제작 서버가 제공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캐릭터 제작 애플리케이션으로 접속하는 단계와(S110);
    상기 접속이 완료된 경우 상기 애플리케이션이 제공하는 전체 형상,유니트(Unit)별 단위, 텍스트 입력 등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캐릭터의 형상을 입력하는 단계와(S120);
    상기 입력된 유니트의 형상에 따라 사용자의 원하는 캐릭터를 생성하는 단계와(S130);
    상기 생성된 캐릭터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하는 단계와(S140);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된 캐릭터를 사용자가 원하는 게임 리스트로 접속하는 단계와(S150);
    상기 접속된 게임 제공사에 캐릭터 변경 요청을 수행하는 단계와(S180);
    상기 변경 요청이 허여되면, 기존 사용자 캐릭터를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로 변경하는 단계(S190);
    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작된 게임용 캐릭터에 적합한 액세서리를 제작할 수 있는 단계(S131, S132);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220117304A 2022-09-16 2022-09-16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2024003844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304A KR20240038443A (ko) 2022-09-16 2022-09-16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7304A KR20240038443A (ko) 2022-09-16 2022-09-16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443A true KR20240038443A (ko) 2024-03-25

Family

ID=904737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7304A KR20240038443A (ko) 2022-09-16 2022-09-16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44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25869B2 (en) System and method for generating and displaying avatars
US20100144441A1 (en) Method and System for Rendering the Scenes of a Role Playing Game in a Metaverse
Piller et al. Toolkits for open innovation-the case of mobile phone games
US8655674B2 (en) Personal service assistance in a virtual universe
Tanenbaum et al. Nonverbal Communication in Virtual Worlds
Burd Android application development all-in-one for dummies
US20230130535A1 (en) User Representations in Artificial Reality
Hjorth Odours of mobility: Mobile phones and Japanese cute culture in the Asia-Pacific
Apperley et al. Flipping out: Avatars and identity
Nuncio et al. Cybernetics and Simulacra: The Hyperreality of Augmented Reality Games.
Ranković et al. Escape rooms in virtual reality, the concept and application in electronic business doing
KR20240038443A (ko) 게임용 캐릭터 제작 서비스 제공 장치 및 방법
US20150356507A1 (en) Method for providing product total solution in which product design, design community, product manufacturing through design, and marketing are carried out online
Eustáquio et al. Creative collaborative virtual environments
CN113289335B (zh) 虚拟对象的显示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US11367233B2 (en) System and method for creating customized characters and selectively displaying them in an augmented or virtual reality display
KR20180122782A (ko) 스토리텔링 창작 지원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창작 지원 방법
Kennedy Everybody immersive fashion_human–computer interaction in VR
CN112807688A (zh) 游戏内表情设置方法、装置、处理器及电子装置
Jackson Pro android wearables: Building apps for smartwatches
Liberati et al. Augmented Galatea for physical Pygmalion: A phenomenological approach to intimacy in VTubers in the East Asia Region
Odom HoloLens Beginner's Guide
Van der Spuy Advanced Game Design with HTML5 and JavaScript
Bonn The impact of integrating Artificial Intelligence into the video games industry.: A case study.
KR20170090625A (ko) 3차원 퍼즐 애플리케이션 구현 방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