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8297A -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 Google Patents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8297A
KR20240038297A KR1020220116905A KR20220116905A KR20240038297A KR 20240038297 A KR20240038297 A KR 20240038297A KR 1020220116905 A KR1020220116905 A KR 1020220116905A KR 20220116905 A KR20220116905 A KR 20220116905A KR 20240038297 A KR20240038297 A KR 202400382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ng
air vent
knob
horizontal wing
horizont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905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우종선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690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8297A/en
Publication of KR202400382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829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1/3414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 B60H1/3421Nozzles; Air-diffusers with means for adjusting the air stream direction using only pivoting shutter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08Controlling members for hand actuation by rotary movement, e.g. hand wheels
    • G05G1/10Details, e.g. of discs, knobs, wheels or ha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71Details of actua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4Nozzles; Air-diffusers
    • B60H2001/3492Manufacturing; Assembl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장착되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평 윙; 상기 수평 윙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양 측방과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노브본체; 상기 노브본체의 개방된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윙을 상기 노브본체에 결속시키며, 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랜지를 구비하는 결속커버; 및 상기 결속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어부재를 매개로 상기 수평 윙 및 상기 노브본체와 연결되는 방향 지시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air vent and includes a horizontal wing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knob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open on both sides and the rear so that the horizontal wing penetrates and fastens; a binding cover coupled to the open rear of the knob body to couple the horizontal wing to the knob body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flanges having axial holes; and a direction indicator pin rotatably mounted on the binding cover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wing and the knob body via a gear member.

Description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WING KNOB DEVICE OF AIR VENT}Air vent wing knob device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본 발명은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풍향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는 풍향 가시화 구조를 가지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wing knob device for an air vent, and more specifically, to a wing knob device for an air vent having a wind direction visualization structure that allows the wind direction position to be visually confirmed.

자동차의 실내에는 냉방 또는 난방용 공기를 토출시키는 출구이면서, 토출되는 공기의 풍량 및 풍향을 조절하기 위한 에어벤트가 설치되어 있다.An air vent is installed in the interior of a car, which is an outlet that discharges air for cooling or heating, and is used to control the volume and direction of the discharged air.

이러한 에어벤트는 덕트의 실내방향 단부에 설치되는 것으로, 프레임에 결합되어 상하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수평 윙과,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한 수직 윙과, 수평 윙 및 수직 윙을 회전시켜 풍향각을 조절하기 위한 윙 노브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se air vents are installed at the indoor end of the duct, and are combined with a frame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angle by rotating the horizontal wing that can rotate up and down, the vertical wing that can rotat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and the horizontal wing and vertical wing. It consists of a wing knob.

차량의 탑승자는 원하는 방향으로 공기가 토출되도록 윙 노브를 조작하게 되는데, 종래에는 이러한 수평 윙과 수직 윙의 풍향각이 실제로 어느 곳을 타켓으로 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하기가 어려우며, 이에 따라 자신이 원하는 지향각으로 풍향을 맞추기가 어렵다는 문제점이 있다. The vehicle's occupants operate the wing knob to discharge air in the desired direction, but in the past, it is difficult to visually check which wind direction angles of the horizontal wing and vertical wing are actually targeted, and accordingly, the wind direction angle of the horizontal wing and the vertical wing is actually target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difficult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at an angle.

따라서, 이를 개선할 필요성이 요청된다.Therefore, there is a need to improve this.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윙의 정확한 풍향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원하는 지향각으로 풍향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is intended to solve the above problems, and the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wing knob device for an air vent that visually confirms the exact wind direction angle of the wing and adjusts the wind direction to the desired beam angle. will be.

본 발명의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problems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장착되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평 윙; 상기 수평 윙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양 측방과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노브본체; 상기 노브본체의 개방된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윙을 상기 노브본체에 결속시키며, 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랜지를 구비하는 결속커버; 및 상기 결속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어부재를 매개로 상기 수평 윙 및 상기 노브본체와 연결되는 방향 지시핀;을 포함할 수 있다.The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horizontal wing mounted on a vehicle air vent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knob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open on both sides and the rear so that the horizontal wing penetrates and fastens; a binding cover coupled to the open rear of the knob body to couple the horizontal wing to the knob body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flanges having axial holes; and a direction indicator pin rotatably mounted on the binding cover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wing and the knob body via a gear member.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수평 윙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결속커버를 향해 함몰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양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서포트 월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월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receiving space includes a first receiving sp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wing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that is recess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toward the binding cover and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receiving space, A support wall extending toward both sides may be formed to protrude from the inner space of the knob body, and the support wall may be configured to be disposed within the first receiving space.

한 쌍의 상기 지지 플랜지는 각각 상기 수평 윙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방향 지시핀은 상기 제2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랜지의 상기 축홀에 양 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수평 윙의 상면을 따라서 상기 수평 윙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핀몸체를 포함할 수 있다.The pair of support flanges each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wing towar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the direction indicator pin is disposed with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has both ends connected to the axial hole of the support flange. It may include a rotation axis and a pin body extending from the rotation axis toward the front of the horizontal w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제공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제2 수용공간에서 상기 회전축과 마주하는 면에 제공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랙 기어, 상기 서포트 월의 상기 회전축과 마주하는 면에 제공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랙 기어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ar member includes a pinion gea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 first rack gear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rotating shaft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nd a first rack gear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support wall. and may include a second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상기 핀몸체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구조로 연장될 수 있다.The pin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 and may extend in a structur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상기 노브본체는 상면에 상기 방향 지시핀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할 수 있다.The knob body may have an opening exposing the direction indicator pin on its upper surface.

상기 노브본체는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knob body further includes a cover that covers the opening, and the cover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상기 수평 윙은 후면에 상기 결속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결속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커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연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할 수 있다.The horizontal wing may have a guide protrusion on its rear side that is connected to the binding cover and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inding cover, and the binding cover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guide protrusion.

상기 결속커버에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트 바 및 상기 로테이트 바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윙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직 윙을 더 포함할 수 있다.It may further include a rotating bar whose hinge axi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inding cover, and a vertical wing coupled to the rotating bar and rotat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wing.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윙의 정확한 풍향각을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원하는 지향각으로 풍향을 맞출 수 있도록 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 wing knob device for an air vent can be provided that visually confirms the exact wind direction angle of the wing and adjusts the wind direction to a desired beam angle.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e effects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of the claim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도 1의 윙 노브 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도 2의 윙 노브 장치에서 수평 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도 2의 윙 노브 장치에서 노브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윙 노브 장치에서 수평 윙과 결속커버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윙 노브 장치에서 방향 지시핀이 기어부재와 함께 수평 윙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수평 윙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 방향 지시핀이 기어부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도 8 및 도 9는 노브본체의 조작에 따라 방향 지시핀이 회전구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wing knob device of Figure 1 in an disassembled state.
Figure 3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horizontal wing in the wing knob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knob body in the wing knob device of Figure 2.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between the horizontal wing and the binding cover in the wing knob device.
Figure 6 is a view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indicator pin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rizontal wing together with the gear member in the wing knob device.
Figure 7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a state in which a direction indicator pin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of the horizontal wing is connected through a gear member.
Figures 8 and 9 are diagrams schematically showing how a direction indicator pin is rotated according to manipulation of the knob body.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2 구성요소는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1 구성요소도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Since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bject to various changes and can have various embodiments, specific embodiments will be illustrated and described in the drawings. However, this is not intended to limit the present invention to specific embodiments, and should be understood to include all changes, equivalents, and substitutes included in the spirit and technical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Terms containing ordinal numbers, such as first, second, etc., may be used to describe various components, but the components are not limited by the terms. The above terms are used only for the purpose of distinguishing one component from another. For example, the second component may be referred to as the first component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similarly, the first component may also be referred to as the second component. The term and/or includes any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or a combination of a plurality of related stated items.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When a component is said to be "connected" or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is understood that it may be directly connected to or connected to the other component, but that other components may exist in between. It should be. On the other hand, when it is mentioned that a component is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nnected” to another component,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ere are no other components in between.

실시 예의 설명에 있어서, 어느 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의 "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 개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가 상기 두 구성요소 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구성요소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In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in the case where one component is described as being formed “on or under” another component, (on or under) includes both components that are in direct contact with each other or one or more other components that are formed (indirectly) between the two components. Additionally, when expressed as 'on or under', it can include not only the upward direction but also the downward direction based on one component.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The terms used in this application are only used to describe specific embodiments and are not intended to limit the invention. Singular expressions include plural expressions unless the context clearly dictates otherwise. In this application, terms such as “comprise” or “have” are intended to designate the presence of feature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described in the specification, but are not intended to indicate the presence of one or more other features.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this does not exclude in advance the possibility of the existence or addition of elements, numbers, steps, operations, components, parts, or combinations thereof.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Unless otherwise defined, all terms used herein, including technical or scientific terms, have the same meaning as commonly understood by a person of ordinary skill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Terms defined in commonly used dictionaries should be interpreted as having a meaning consistent with the meaning in the context of the related technology, and unless clearly defined in the present application, should not be interpreted in an ideal or excessively formal sense. No.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but identical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assigned the same reference numbers regardless of reference numerals, and duplicate descriptions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도 1의 윙 노브 장치가 분해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은 도 2의 윙 노브 장치에서 수평 윙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는 도 2의 윙 노브 장치에서 노브본체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5는 윙 노브 장치에서 수평 윙과 결속커버의 연결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6은 윙 노브 장치에서 방향 지시핀이 기어부재와 함께 수평 윙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수평 윙의 수용공간 내에 배치된 방향 지시핀이 기어부재를 통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Figure 1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wing knob device of Figure 1 in an disassembled state, and Figure 3 is a diagram showing the wing knob device of Figure 2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horizontal wing in the knob device, Figure 4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knob body in the wing knob device of Figure 2, and Figure 5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connection state of the horizontal wing and binding cover in the wing knob device. It is a drawing, and Figure 6 is a diagram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in which the direction indicator pin is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rizontal wing along with the gear member in the wing knob device, and Figure 7 shows the direction indicator pin arranged in the accommodation space of the horizontal wing with the gear member. This is a drawing schematically showing the state of connection through members.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1)는 차량용 에어벤트에 장착되며, 수평 윙(10)과 수직 윙(20)의 풍향각을 조절하여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air vent wing knob device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on a vehicle air vent, and adjusts the wind direction angle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the vertical wing (20) to change the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vehicle. It can be configured to adjust.

운전자와 동승자를 포함하는 탑승자는 윙 노브 장치(1)를 조작하여 수평 윙(10) 및 수직 윙(20)이 회전하도록 조절함으로써 차량 내부로 유입되는 공기의 방향을 상하 및 좌우로 선택할 수 있도록 한다.Passengers, including the driver and passengers, can control the rotation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the vertical wing 20 by manipulating the wing knob device 1 to select the direction of air flowing into the vehicle up and down and left and right. .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1)는 수평 윙(10), 노브본체(30), 결속커버(40), 방향 지시핀(50)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윙(20)과 로테이트 바(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Referring to the drawings, the wing knob device 1 of an air vent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include a horizontal wing 10, a knob body 30, a binding cover 40, and a direction indicator pin 50. there is. And, it may further include a vertical wing 20 and a rotating bar 60.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수평 윙(10)과 수직 윙(20)은 에어벤트의 덕트(미도시) 내측에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ng 10 and vertical wing 20, which control the direction of air, may each be rotatably installed inside the duct (not shown) of the air vent.

실시예에서, 수평 윙(10)은 덕트의 출구측에 수평 방향으로 설치되어 상하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그리고, 수직 윙(20)은 복수개가 덕트의 내측벽에 수직 방향으로 설치되어 좌우로 회전 가능하게 제공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horizontal wing 10 may be installed in the horizontal direction on the outlet side of the duct and rotatable up and down. Additionally, a plurality of vertical wings 20 may be installed in a vertical direction on the inner wall of the duct and be rotatable left and right.

수평 윙(10)은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수용공간(11)을 구비할 수 있다.The horizontal wing 10 may have a receiving space 11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이러한 수용공간(11)은 수평 윙(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용공간(11a) 및 제1 수용공간(11a)에서 결속커버(40)가 배치되는 후면을 향해 함몰되는 제2 수용공간(11b)을 포함할 수 있다.This receiving space 11 includes a first receiving space 11a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recessed from the first receiving space 11a toward the rear where the binding cover 40 is disposed. It may include a space 11b.

제1 수용공간(11a)은 소정 길이를 갖는 대략 직선 형태로 형성되고, 제2 수용공간(11b)은 제1 수용공간(11a)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수용공간(11)은 전체적으로 'ㄴ'자 형상의 구조를 가질 수 있다.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a may be formed in a substantially straight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and the second accommodating space 11b may be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accommodating space 11a. Accordingly, the accommodation space 11 may have an overall 'L' shaped structure.

실시예에서, 제1 수용공간(11a)은 수평 윙(10)의 전면에 인접하여 배치되고, 제2 수용공간(11b)은 수평 윙(10)의 후면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a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front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1b may be disposed adjacent to the rear of the horizontal wing 10.

수평 윙(10)은 후면에 결속커버(40)와 연결되어 결속커버(40)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1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horizontal wing 10 may be connected to the binding cover 40 at the rear and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protrusion 12 that guides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inding cover 40.

이러한 가이드 돌기(12)는 수평 윙(10)의 후면에 소정 길이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이동홈(13)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이동홈(13)은 추후 설명하는 결속커버(40)가 수평 윙(10)에서 이동하는 이동 범위를 제한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is guide protrusion 12 may be provided in a moving groove 13 formed by recessing a predetermined length on the rea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10. The moving groove 13 may be configured to limit the movement range in which the binding cover 4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oves on the horizontal wing 10.

노브본체(30)는 수평 윙(10)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양 측방과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31)을 구비할 수 있다. The knob body 30 may have an internal space 31 that is open on both sides and the rear so that the horizontal wing 10 penetrates and fastens thereto.

이러한 노브본체(30)는 수평 윙(10)과 결합되게 되면 수평 윙(10)의 수용공간(11)을 포함하여 수평 윙(10)의 외표면을 감싸도록 구성될 수 있다.When this knob body 30 is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wing 10, it can be configured to surround the out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10, including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horizontal wing 10.

도 4에서와 같이, 노브본체(30)의 내부공간(31)에는 양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서포트 월(32)이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서포트 월(32)은 내부공간(31)의 바닥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노브본체(30)의 양 측방을 향해 길게 연장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support walls 32 extending toward both sides may be formed to protrude into the inner space 31 of the knob body 30. The support wall 32 may be formed to protrude upward from the bottom of the internal space 31 and may extend long toward both sides of the knob body 30.

이러한 서포트 월(32)은 수평 윙(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제1 수용공간(11a) 내에 배치될 수 있다(도 7 참조).This support wall 32 may be disposed in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a while being combined with the horizontal wing 10 (see FIG. 7).

노브본체(30)는 상면에 내부공간(31)을 노출시키는 개구(33)를 구비할 수 있다. 따라서, 수평 윙(10)과 결합된 상태에서 수평 윙(10)의 상면과 수용공간(11)이 개구(33)를 통해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The knob body 30 may have an opening 33 exposing the internal space 31 on its upper surface. Accordingly, in a state of being coupled to the horizontal wing 10,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the receiving space 11 may be expos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33.

실시예에서, 노브본체(30)는 개구(33)를 덮는 커버(34)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커버(34)는 내부를 확인할 수 있도록 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knob body 30 may include a cover 34 that covers the opening 33 . This cover 34 may be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inside can be viewed.

커버(34)를 통해서 외부로부터 이물질이 노브본체(30) 내부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며, 노브본체(30) 내부를 육안으로 용이하게 식별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한다.The cover 34 prevents foreign substances from entering the knob body 30 from the outside, and makes it possible to easily identify the inside of the knob body 30 with the naked eye.

결속커버(40)는 노브본체(30)의 개방된 후방에 결합되어 수평 윙(10)을 노브본체(30)에 결속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binding cover 40 may be configured to be coupled to the open rear of the knob body 30 to bind the horizontal wing 10 to the knob body 30.

결속커버(40)는 축홀(41)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랜지(42)를 구비할 수 있다. The binding cover 40 may be provided with a pair of support flanges 42 in which an axial hole 41 is formed.

한 쌍의 지지 플랜지(42)는 각각 수평 윙(10)의 상면과 하면에서 제2 수용공간(11b)을 향해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A pair of support flanges 42 may be provided in a structure extending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wing 10, respectively, toward the second receiving space 11b.

또한, 결속커버(40)는 수평 윙(10)의 가이드 돌기(12)와 연결되는 가이드 홈(43)을 구비할 수 있다. 가이드 홈(43)은 결속커버(40)의 내측면에서 한 쌍의 지지 플랜지(42) 사이에 배치되어 결속커버(4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구조로 제공될 수 있다.Additionally, the binding cover 40 may be provided with a guide groove 43 connected to the guide protrusion 12 of the horizontal wing 10. The guide groove 43 may be disposed between a pair of support flanges 42 on the inner surface of the binding cover 40 and ext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binding cover 40.

탑승자가 노브본체(30)를 조작함에 따라 결속커버(40)는 노브본체(30)와 함께 수평 윙(10)의 이동홈(13)에서 가이드 돌기(12)를 따라서 좌우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다.As the occupant manipulates the knob body 30, the binding cover 40, together with the knob body 30, can slide left and right along the guide protrusion 12 in the movement groove 13 of the horizontal wing 10.

이러한 결속커버(40)의 외측면에는 로테이트 바(60)가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A rotating bar 60 may be rotatably couple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inding cover 40.

로테이트 바(60)는 결속커버(40)에 힌지축(61)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로테이트 바(60)의 슬롯 홀(62)에는 수직 윙(20)의 지지바(21)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수직 윙(20)은 수평 윙(10)과 다른 방향, 즉 좌우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otating bar 60 may be coupled to the binding cover 40 so that the hinge axis 61 is rotatable. In addition, the support bar 21 of the vertical wing 20 may be inserted and coupled to the slot hole 62 of the rotating bar 60. This vertical wing 20 may be configured to rotate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wing 10, that i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

방향 지시핀(50)은 수평 윙(10)의 수용공간(11) 내에 배치되며, 결속커버(40)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The direction indicator pin 50 is disposed in the receiving space 11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can be rotatably mounted on the binding cover 40.

도면에서와 같이, 방향 지시핀(50)은 회전축(51)과 핀몸체(52)를 포함할 수 있다.As shown in the drawing, the direction indicator pin 50 may include a rotation axis 51 and a pin body 52.

회전축(51)은 제2 수용공간(11b) 내에 상하 방향으로 수직하게 배치되며, 양 단부가 지지 플랜지(42)의 축홀(41)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The rotation shaft 51 is arranged vertically in the vertical direction with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1b, and both ends may be connected to the shaft holes 41 of the support flange 42, respectively.

핀몸체(52)는 대략 회전축(51)과 직교하는 구조로 회전축(51)에서 연장되는 것으로, 수평 윙(10)의 상면을 따라서 수평 윙(10)의 전면을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이 경우, 핀몸체(52)는 수평 윙(10)의 상면에 형성된 안착홈(14)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안착홈(14)은 핀몸체(52)의 이동범위를 제한하는 것으로 핀몸체(52)는 안착홈(14) 내에서 회전 이동할 수 있다.The pin body 52 extends from the rotation axis 51 in a structure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51, and may extend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10 toward the front of the horizontal wing 10. In this case, the pin body 52 may be disposed in the seating groove 14 formed on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10. This seating groove 14 limits the movement range of the pin body 52, and the pin body 52 can rotate within the seating groove 14.

이러한 핀몸체(52)는 수평 윙(10)의 상면에서 노브본체(30)의 개구(33)를 통해서 외부로 보여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투명한 커버(34)를 통해서 외부로 보여지게 된다.This pin body 52 can be viewed from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10 to the outside through the opening 33 of the knob body 30. Specifically, it is visible to the outside through the transparent cover 34.

실시예에서, 핀몸체(52)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인성의 향상을 위해 표면에는 형광물질이 도포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in body 52 may be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 Additionally, a fluorescent material may be applied to the surface to improve visibility.

이러한 방향 지시핀(50)은 기어부재(70)를 매개로 수평 윙(10) 및 노브본체(30)와 연결될 수 있다.This direction indicator pin 50 may be connected to the horizontal wing 10 and the knob body 30 via the gear member 70.

기어부재(70)는 회전축(51)에 제공되는 피니언 기어(71), 제2 수용공간(11b)에서 회전축(51)과 마주하는 면에 제공되어 피니언 기어(71)와 맞물리는 제1 랙 기어(72), 서포트 월(32)의 회전축(51)과 마주하는 면에 제공되어 피니언 기어(71)와 맞물리는 제2 랙 기어(73)를 포함할 수 있다.The gear member 70 includes a pinion gear 71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51, a first rack gear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otating shaft 51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1b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71. (72), may include a second rack gear 73 provided on the surface facing the rotation axis 51 of the support wall 32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71.

즉, 제1 랙 기어(72)는 수평 윙(10)의 제2 수용공간(11b)에 제공되고, 제2 랙 기어(73)는 노브본체(30)의 서포트 월(32)에 제공될 수 있다. That is, the first rack gear 72 may be provided in the second receiving space 11b of the horizontal wing 10, and the second rack gear 73 may be provided on the support wall 32 of the knob body 30. there is.

실시예에서, 피니언 기어(71)는 회전축(51)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물로 형성되어 회전축(51)에 끼움결합될 수 있다. 또한, 제1 랙 기어(72)는 수평 윙(10)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물로 형성되어 수평 윙(1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제2 랙 기어(73)는 서포트 월(32)과 일체로 이루어지거나, 별물로 형성되어 서포트 월(32)에 부착될 수 있다. In an embodiment, the pinion gear 71 may be formed integrally with the rotating shaft 51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piece and fitted to the rotating shaft 51. Additionally, the first rack gear 72 may be integrated with the horizontal wing 10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piece and attached to the horizontal wing 10. Additionally, the second rack gear 73 may be integrated with the support wall 32 or may be formed as a separate piece and attached to the support wall 32.

제1 랙 기어(72)와 제2 랙 기어(73)는 각각 제2 수용공간(11b)과 제1 수용공간(11a)에서 서로 평행하게 마주하는 구조로 배치되고, 피니언 기어(71)는 제1 랙 기어(72)와 제2 랙 기어(73) 사이에 배치되어 제1 랙 기어(72) 및 제2 랙 기어(73)와 맞물려 연결될 수 있다.The first rack gear 72 and the second rack gear 73 are arranged in a structure facing each other in parallel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11b and the first accommodation space 11a, respectively, and the pinion gear 71 is the first rack gear 71. It may be disposed between the first rack gear 72 and the second rack gear 73 and engaged and connected to the first rack gear 72 and the second rack gear 73.

탑승자의 조작에 의해 노브본체(30)가 수평 윙(10)을 따라서 슬라이딩 이동함에 따라 제1 랙 기어(72)와 제2 랙 기어(73)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수평 이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피니언 기어(71)는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회전축(51)을 회전시키게 된다.As the knob body 30 slides along the horizontal wing 10 by the rider's operation, the first rack gear 72 and the second rack gear 73 move horizontally in opposite directions, and thus the pinion The gear 71 rotates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and rotates the rotation shaft 51.

그리고, 회전축(51)의 회전에 의해 핀몸체(52)는 회전축(51)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지시 방향이 가변될 수 있다.Also, by the rotation of the rotation axis 51, the pin body 52 rotates around the rotation axis 51 and the pointing direction can be varied.

이러한 방향 지시핀(50)의 핀몸체(52)는 수직 윙(2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노브본체(30)가 이동하여 수직 윙(20)이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핀몸체(52)도 이에 연계하여 해당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pin body 52 of this direction indicator pin 50 may be arranged in a direction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vertical wings 20. Accordingly, when the knob body 30 moves and the vertical wing 20 rotates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the pin body 52 may also be configured to rotate in the corresponding direction in conjunction with it.

도 8 및 도 9에서는 노브본체(30)의 조작에 따라 방향 지시핀(50)이 회전구동되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내고 있다.8 and 9 schematically show how the direction indicator pin 50 is rotated according to the manipulation of the knob body 30.

예를 들어, 도 8에서와 같이, 노브본체(30)가 중앙에 위치하는 경우 수직 윙(20)의 배열 방향에 대응하여 핀몸체(52)도 수직 윙(2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8, when the knob body 30 is located in the center, the pin body 52 is also arrang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the vertical wing 20, corresponding to the arrangement direction of the vertical wing 20. It can be.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노브본체(30)가 좌측으로 이동하여 수직 윙(20)이 좌측 방향을 향하도록 회전되면 핀몸체(52)도 이에 대응하여 좌측 방향으로 회전하여 수직 윙(20)과 동일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9, when the knob body 30 moves to the left and the vertical wing 20 rotates to face the left direction, the pin body 52 also rotates to the left correspondingly so that the vertical wing 20 It can be arranged to face the same direction as.

이에 따라서 탑승자는 어떠한 방향을 향하도록 윙을 작동시키는지 직관적으로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에 따라 사용의 편의성과 만족감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Accordingly, it is possible for the passenger to intuitively check in which direction the wing is operated. Accordingly, convenience of use and satisfaction can be improved.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탑승자가 윙 노브 장치(1)를 통해 공기의 방향을 조절하는 경우, 노브본체(30)를 통해서 보여지는 방향 지시핀(50)이 방향을 표시하도록 함으로써 풍향위치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된다. As described abov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passenger adjusts the direction of air through the wing knob device 1, the direction indicator pin 50 visible through the knob body 30 displays the direction. This allows you to visually check the wind direction.

즉, 종래의 윙 노브는 표면에 단순히 열림과 닫힘 방향만 표시되어 있기 때문에 사용자가 원하는 방향으로 바람이 나오고 있는지 인지하기 어려웠다. In other words, since the conventional wing knob simply displays the opening and closing directions on the surface, it was difficult for the user to recognize whether the wind was blowing in the desired direction.

이에 반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풍향 가시화 구조는 기존과 동일한 윙 노브 조작 방식을 채용하되 풍향각이 실제로 어느 곳을 타켓으로 하는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게 되어 자신이 원하는 지향각으로 풍향을 조절하는 것이 용이하다. On the other hand, the wind direction visualization structure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dopts the same wing knob operation method as the existing one, but it is possible to visually check where the wind direction angle is actually targeted, making it possible to adjust the wind direction to the desired beam angle. It's easy.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수정과 변경에 관계된 차이점들을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above with reference to embodiments, those skilled in the art can make various modifications and modifications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et forth in the claims below. You will understand that you can change it. And, the differences related to these modifications and changes should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s defined in the appended claims.

1: 윙 노브 장치 10: 수평 윙
11: 수용공간 11a: 제1 수용공간
11b: 제2 수용공간 12: 가이드 돌기
13: 이동홈 14: 안착홈
20: 수직 윙 21: 지지바
30: 노브본체 31: 내부공간
32: 서포트 월 33: 개구
34: 커버 40: 결속커버
41: 축홀 42: 지지 플랜지
43: 가이드 홈 50: 방향 지시핀
51: 회전축 52: 핀몸체
60: 로테이트 바 61: 힌지축
62: 슬롯 홀 70: 기어부재
71: 피니언 기어 72: 제1 랙 기어
73: 제2 랙 기어
1: wing knob device 10: horizontal wing
11: Accommodation space 11a: First accommodation space
11b: second accommodation space 12: guide projection
13: Moving groove 14: Seating groove
20: vertical wing 21: support bar
30: Knob body 31: Internal space
32: support wall 33: opening
34: Cover 40: Binding cover
41: shaft hole 42: support flange
43: Guide groove 50: Direction indicator pin
51: rotation axis 52: pin body
60: Rotate bar 61: Hinge axis
62: slot hole 70: gear member
71: pinion gear 72: first rack gear
73: second rack gear

Claims (9)

차량용 에어벤트에 장착되며, 상면과 하면을 관통하여 형성된 수용공간을 구비하는 수평 윙;
상기 수평 윙이 관통하여 체결되도록 양 측방과 후방으로 개방된 내부공간을 구비하는 노브본체;
상기 노브본체의 개방된 후방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윙을 상기 노브본체에 결속시키며, 축홀이 형성된 한 쌍의 지지 플랜지를 구비하는 결속커버; 및
상기 결속커버에 회전 가능하게 장착되며, 기어부재를 매개로 상기 수평 윙 및 상기 노브본체와 연결되는 방향 지시핀;
을 포함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 horizontal wing mounted on a vehicle air vent and having an accommodating space formed through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a knob body having an internal space open on both sides and the rear so that the horizontal wing penetrates and fastens;
a binding cover coupled to the open rear of the knob body to couple the horizontal wing to the knob body and having a pair of support flanges having axial holes; and
a direction indicator pin rotatably mounted on the binding cover and connected to the horizontal wing and the knob body via a gear member;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includ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상기 수평 윙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1 수용공간에서 상기 결속커버를 향해 함몰되어 상기 제1 수용공간보다 짧은 길이로 형성되는 제2 수용공간을 포함하며,
상기 노브본체의 상기 내부공간에는 상기 양 측방을 향해 연장되는 서포트 월이 돌출되어 형성되고, 상기 서포트 월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ceiving space includes a first receiving space extending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horizontal wing and a second receiving space that is recessed in the first receiving space toward the binding cover and is formed to have a shorter length than the first receiving space,
A wing knob device for an air vent, wherein a support wall extending toward both sides is protruding from the inner space of the knob body, and the support wall is disposed within the first receiving space.
제2항에 있어서,
한 쌍의 상기 지지 플랜지는 각각 상기 수평 윙의 상면과 하면에서 상기 제2 수용공간을 향해 연장되며,
상기 방향 지시핀은 상기 제2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지지 플랜지의 상기 축홀에 양 단부가 연결되는 회전축 및 상기 회전축에서 상기 수평 윙의 상면을 따라서 상기 수평 윙의 전면을 향해 연장되는 핀몸체를 포함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pair of support flanges extend from the upper and lower surfaces of the horizontal wing, respectively, toward the second receiving space,
The direction indicator pin is disposed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includes a rotation axis whose both ends are connected to the axial hole of the support flange, and a pin body extending from the rotation axis toward the front of the horizontal wing along the upper surface of the horizontal wing. Air vent wing knob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기어부재는 상기 회전축에 제공되는 피니언 기어, 상기 제2 수용공간에서 상기 회전축과 마주하는 면에 제공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1 랙 기어, 상기 서포트 월의 상기 회전축과 마주하는 면에 제공되어 상기 피니언 기어와 맞물리는 제2 랙 기어를 포함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gear member includes a pinion gear provided on the rotating shaft, a first rack gear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rotating shaft in the second accommodation space and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and a first rack gear provided on a surface facing the rotating shaft of the support wall. A wing knob device for an air vent including a second rack gear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핀몸체는 화살표 형태로 형성되고, 상기 회전축과 직교하는 구조로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characterized in that the pin body is formed in the shape of an arrow and extends in a structure perpendicular to the rotation axi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본체는 상면에 상기 방향 지시핀을 노출시키는 개구를 구비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wherein the knob body has an opening exposing the direction indicator pin on the upper surfa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노브본체는 상기 개구를 덮는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커버는 투명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clause 6,
The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wherein the knob body further includes a cover covering the opening, and the cover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 윙은 후면에 상기 결속커버와 연결되어 상기 결속커버의 슬라이딩 이동을 안내하는 가이드 돌기를 구비하고, 상기 결속커버는 상기 가이드 돌기와 연결되는 가이드 홈을 구비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horizontal wing is connected to the binding cover at the rear and has a guide protrusion to guide the sliding movement of the binding cover, and the binding cover has a guide groove connected to the guide protrusion. A wing knob device of an air vent.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속커버에 힌지축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로테이트 바 및 상기 로테이트 바에 결합되어 상기 수평 윙과 다른 방향으로 회전하는 수직 윙을 더 포함하는 에어벤트의 윙 노브 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wing knob device of the air vent further includes a rotating bar whose hinge axis is rotatably coupled to the binding cover, and a vertical wing coupled to the rotating bar and rotating in a direction different from the horizontal wing.
KR1020220116905A 2022-09-16 2022-09-16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KR2024003829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05A KR20240038297A (en) 2022-09-16 2022-09-16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905A KR20240038297A (en) 2022-09-16 2022-09-16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8297A true KR20240038297A (en) 2024-03-25

Family

ID=904737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905A KR20240038297A (en) 2022-09-16 2022-09-16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8297A (en)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009316A1 (en) Air vent
JP6385567B2 (en) Automotive air vent
US10625575B2 (en) Slim-type air vent device for vehicle
US9752365B2 (en) Dual-opening panoramic sunroof and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US20160159292A1 (en) Motor vehicle having a retractable screen
CN107054008B (en) Exhaust device for vehicle
US20170057327A1 (en) Thin register
KR20190034731A (en) Device for opening and closing damper using knob ofr air vent
CN112659854B (en) Air outlet device for air conditioner
CN113306361B (en) Ventilation device for vehicle
JP2002067679A (en) Air diffuser unit
CN107709062B (en) Double-adjusting device for vehicle ventilation opening
KR20240038297A (en) Wing knob device of air vent
KR20060083721A (en) Blade gearing structure of air-duct for vehicles
US11906194B2 (en) Air vent assembly
CN114043851A (en) Manual adjusting device of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air outlet
KR102611760B1 (en) Air vent for vehicle
KR20240067653A (en) Air vent device for vehicle
CN216443442U (en) Manual adjusting device of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air outlet
CN216443443U (en) Vehicle-mounted air conditioner air outlet adjusting device
KR100306435B1 (en) Air ventilation grille for automobile
KR102498410B1 (en) Ventilation outlet control device of air vent assembly
KR101987185B1 (en) An air vent for a vehicle
JP5772604B2 (en) Display unit mounting structure
JP7033520B2 (en) Vehicle register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