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536A -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 Google Patents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536A
KR20240037536A KR1020220116160A KR20220116160A KR20240037536A KR 20240037536 A KR20240037536 A KR 20240037536A KR 1020220116160 A KR1020220116160 A KR 1020220116160A KR 20220116160 A KR20220116160 A KR 20220116160A KR 20240037536 A KR20240037536 A KR 202400375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ering
steering wheel
vehicle
detachable
magnet conne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6160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김성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이스웍스코리아
Priority to KR1020220116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536A/en
Publication of KR202400375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536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1/00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 B62D1/02Steering controls, i.e. means for initiating a change of direction of the vehicle vehicle-mounted
    • B62D1/04Hand wheels
    • B62D1/06Rims, e.g. with heating means; Rim covers
    • B62D1/065Steering wheels with heating and ventila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 B60R16/03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supply of electrical power to vehicle subsystems or for characterised by the use of electrica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83Steering input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15Electric wiring; Electric connectors

Abstract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은, 차량용 스티어링휠, 스티어링 칼럼,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연결되는 것으로서, 상기 스티어링휠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선이 내장되는 스티어링휠 커버; 상기 열선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상기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유닛; 및 차량의 충전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공급전원을 상기 배터리 유닛으로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을 충전시키되,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연결유닛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탈부착식 구조로 이루어져 핸들에 열선이 내장된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에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is disclosed. The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tachably connected to a vehicle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nd a steering housing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vehicle steering wheel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is connected to the steering wheel. Detachably assembled and heated steering wheel cover; a batter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to control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a charging conn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power supplied by the vehicle to the battery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nd allows charging to be performed variabl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t has an entirely detachable structure and can be universally installed and used in all vehicles except vehicles with a built-in heating wire in the steering wheel.

Description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본 발명은 차량용 핸들에 탈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that can be attached and used on a vehicle steering wheel.

일반적으로, 차량의 핸들에 커버를 씌우고 사용한다. 이는, 커버를 씌우는 이유는 액세서리이거나, 핸들의 푹신한 촉감과 미끄러짐 등의 그립감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많은 사용자들이 이용하고 있다. 그러나, 핸들에 커버를 씌우더라도 한겨울에는 냉기로 인해 커버가 차가운 문제점이 있어, 사용자가 커버를 잡고 운행함에 손이 시린 불편함이 있었다.Generally, it is used with a cover on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Many users use the cover because it is an accessory or because it can improve the grip, such as the soft feel and slippage of the handle. However, even if a cover is placed on the steering wheel,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cover is cold due to the cold in the middle of winter, so the user has the discomfort of cold hands when driving while holding the cover.

이러한 불편함을 개선하고자,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56060호 와 같은 커버가 개발되었다. 하지만, 종래의 커버는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유선으로 차량의 배터리 또는 전선 또는 시가잭에 연결하는 등으로 이루어져 있다.To improve this inconvenience, a cover such as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6060 was developed. However, the conventional cover is wired to connect to the vehicle's battery, electric wire, or cigar jack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이때, 커버를 핸들에 씌우고, 핸들을 조작하면 커버에 공급하는 전선이 엉키는 문제점이 발생하였고, 운행을 방해하는 요인으로 사용에 있어 매우 불편하였다.At this time, when the cover was placed on the handle and the handle was operated, a problem occurred where the wires supplied to the cover became tangled, which was a factor that interfered with driving and was very inconvenient to use.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56060호Republic of Korea Registered Utility Model No. 20-0256060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차량 핸들 부위에 일정 온도이상의 고온을 제공하여 특히 겨울철 운전자가 불편없이 운전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탈부착식 구조로 이루어져 핸들에 열선이 내장된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에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conventional problems described above. Not only does it provide a high temperature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o the steering wheel part of the vehicle to enable drivers to drive without inconvenience, especially in winter, but it also has a detachable structure as a whole, so that the steering wheel has a heating element. The purpose is to provide a detachable vehicle handle warmer module that can be universally installed and used on all vehicles except the vehicle with this built-in vehicle.

또한, 본 발명은 운전 중 스티어링 휠의 좌우 회전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면서 전원 공급이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는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In addition, the present invention is a steering wheel warmer for a vehicle that can ensure a stable power supply while preventing the power line that supplies power from becoming tangled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repeatedly rotated left and right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while driving. Another purpose is to provide modules.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차량용 스티어링휠, 스티어링 칼럼,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티어링휠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선이 내장되는 스티어링휠 커버; 상기 열선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상기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유닛; 및 차량의 충전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공급전원을 상기 배터리 유닛으로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을 충전시키되,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이 제공된다.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made detachable from a vehicle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nd a steering housing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vehicle steering wheel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nd a steering wheel cover with built-in heating; a batter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to control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a charging connection tha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power supplied by the vehicle to the battery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nd allows charging to be performed variabl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A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including a unit is provided.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충전연결유닛은,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유닛과 전원 연결되는 제1 충전연결부; 및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충전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연결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제2 충전연결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attery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and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includes: a first charging connection unit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and connected to a power source with the battery unit; and a second charging connecto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receives power from the charging port, and is selectively energized with the first charging connector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It can be included.

상기 제1 및 제2 충전연결부는 각각, 서로간에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며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가 일정이상 발생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상호간에 선택적으로 전원연결이 가능한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connection units are respectively detachable from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nd are capable of selectively connecting power to each other depending on whether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occurs above a certain level. It may include a second magnet connector.

상기 제1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The first magnet connector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may be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상기 충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서로 통전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변화가 설정범위 내에서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서로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통전유지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charging connection unit maintains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gnet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duct electricity even if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ccurs within a set range. It may further include an energization maintenance part to maintain the current.

상기 제1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통전유지부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탈부착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내측에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first magnet connector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the second magnet connector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and the energization holding uni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mber on the steering column. a support body that is detachable through a support body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upper side to accommodate the second magnet connector on the inside and is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And an elastic support member having one e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상기 제1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통전유지부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탈부착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내측에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지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곡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가질 수 있다.The first magnet connector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the second magnet connector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and the energization holding unit is provided with a detachable member on the steering column. It is detachable through a support body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with an open upper side to accommodate the second magnet connector, and includes a support body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wherein the second magnet connector is curved. It can have a curved surface with a curvature above a certain level to enable movement.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걸림 가능한 걸림턱이 마련될 수 있다.The support body may be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magnet connector can be locked to prevent the second magnet connect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상기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에 의하면, 전체적으로 탈부착식 구조로 이루어져 핸들에 열선이 내장된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에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According to the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it has an overall detachable structure and can be universally installed and used in all vehicles except vehicles with a built-in heating wire in the steering wheel.

또한,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를 통해 운전 중 스티어링 휠의 좌우 회전이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통전유지부를 통해 스티어링 휠의 좌우 회전이 일정 각도 범위내에서 발생하더라도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서로 전원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함으로써 결국 배터리 충전이 계속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through the first and second magnet connectors,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repeatedly turned left and right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while driving, it is possible to prevent the power line that supplies power from becoming tangled, and to maintain the power supply. Even if the left and right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occurs within a certain angle range, the first and second magnet connectors remain connected to each other, thereby ensuring that the battery continues to be charg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의 작동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의 통전유지부의 일 예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와 평면도,
도 5는 도 4를 기준으로 스티어링휠 회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의 통전유지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와 평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의 통전유지부의 다른 예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7은 도 6을 기준으로 스티어링휠 회전에 따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의 통전유지부의 동작 상태를 나타내는 측단면도이다.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and 3 are diagrams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a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an example of an energization holding part of a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and a plan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ergization maintenance part of the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with reference to Figure 4;
Figure 6 is a plan view showing another example of an energization holding part of a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operating state of the energization maintaining part of the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with reference to Figure 6.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상에서 동일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fully convey the scope of the invention. This is provided to inform you. In the drawings, like symbols refer to like elements.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은 차량 핸들 부위에 일정 온도이상의 고온을 제공하여 특히 겨울철 운전자가 불편없이 운전하도록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전체적으로 탈부착식 구조로 이루어져 핸들에 열선이 내장된 차량을 제외한 모든 차량에 범용적으로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The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not only provides high temperature above a certain temperature to the steering wheel part of the vehicle, allowing drivers to drive without inconvenience, especially in winter, but also has an overall detachable structure so that the steering wheel has a heating element. It can be universally installed and used on all vehicles except those with built-in equipment.

또한, 스티어링 휠의 좌우 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이 엉키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는바, 제품의 내구성을 증대시킬 뿐만 아니라 안정적으로 작동하도록 할 수 있다.In addition,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repeatedly turned left and right, the power cable that supplies power does not become tangled, which not only increases the durability of the product but also ensures stable operation.

이하, 실시예를 참조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examples.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100, 이하 '워머 모듈')은 차량용 스티어링휠, 스티어링 칼럼(10),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일체로 결합되고 스티어링 칼럼(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티어링 하우징(20)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스티어링휠 커버(110), 배터리 유닛(120) 및 충전연결유닛(200)을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100 (hereinafter referred to as 'warmer modu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tegrated with the vehicle steering wheel, steering column 10, and vehicle steering wheel. It is coupled and detachably attach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eering column 10, and includes a steering wheel cover 110, a battery unit 120, and a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먼저, 스티어링휠 커버(110)는 스티어링휠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선(111)이 내장된다. 사용시 사용자는 장착하고자 하는 차량의 스티어링휠을 감싸도록 스티어링휠 커버(110)를 결합하여 사용 가능하고, 필요시 분리 가능하다.First, the steering wheel cover 1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nd has a built-in heating wire 111. When in use, the user can combine the steering wheel cover 110 to cover the steering wheel of the vehicle to be installed, and can detach it if necessary.

다음, 배터리 유닛(120)은 열선(111)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열선(111)으로 전원을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Next, the battery unit 120 is provided to supply power to the heating wire 111 to control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wire 111.

배터리 유닛(120)은 열선(111)으로 전류를 공급하는 배터리, 열선(111)으로 공급되는 전류값을 감지하여 과전류가 공급되지 않도록 하는 안전회로, 열선으로의 공급 전류값을 조절 가능한 온도 컨트롤러 등을 포함한다. 즉, 배터리 유닛(120)에는 열선의 발열을 허용 또는 제한함과 더불어 발열 온도를 조절 가능한 사용자 조작 스위치가 마련된다.The battery unit 120 includes a battery that supplies current to the heating wire 111, a safety circuit that detects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111 to prevent overcurrent from being supplied, a temperature controller that can adjust the current value supplied to the heating wire, etc. Includes. That is, the battery unit 120 is provided with a user-operated switch that allows or limits the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controls the heat generation temperature.

배터리 유닛(120)은 상기 배터리, 안전회로와 온도 컨트롤러가 구비된 pcb, 기타 전장부품 등을 내장하는 배터리 유닛 하우징을 포함하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배터리 유닛 하우징은 스티어링 하우징(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된다.The battery unit 120 includes a battery unit housing that contains the battery, a PCB equipped with a safety circuit and a temperature controller, and other electrical components. 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unit housing is the steering housing 20. It is detachably coupled to.

예를 들면,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배터리 유닛 하우징에는 스티어링 하우징(20) 외면에 탈부착되도록 별도의 배터리 탈부착 부재(121)가 마련되고, 배터리 탈부착 부재(121)는 양면 테이프 등으로 적용 가능하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1, the battery unit housing is provided with a separate battery detachable member 121 to be detachable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steering housing 20, and the battery detachable member 121 is applied with double-sided tape or the like. possible.

다음, 충전연결유닛(200)은 차량의 충전포트(미도시), 즉 시거잭에 연결되어 차량의 공급전원을 배터리 유닛(120)으로 전달하여 배터리 유닛(120), 구체적으로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Next,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vehicle's charging port (not shown), that is, the cigarette lighter jack, and transmits the vehicle's power supply to the battery unit 120 to charge the battery unit 120, specifically the battery. .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도 2 및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연결유닛(200)은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한 스티어링 하우징(20), 즉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 shown in FIGS. 2 and 3,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variably charges the steering housing 20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that is,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Let this happen.

구체적으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직진 또는 후진과 같이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해 스티어링휠이 설정된 정위치에 있을 경우, 충전연결유닛(200)은 차량의 공급전원을 배터리 유닛(120)으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Specifically, as shown in FIG. 2,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a se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such as when the vehicle is moving forward or backward,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connects the vehicle's power supply to the battery unit ( 120), the battery can be charged.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과 같이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해 스티어링휠이 일정이상 회전하여 상기 설정된 정위치에서 벗어나 회전각 변화가 발생하는 경우, 충전연결유닛(200)은 차량의 공급전원을 배터리 유닛(120)으로 공급할 수 없으나 열선(111)은 배터리 유닛(120)에 기저장되어 있는 전류에 의해 발열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 3,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more than a certain amount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such as when the vehicle turns left or right, and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ccurs beyond the set fixed position,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 200 cannot supply the vehicle's power to the battery unit 120, but the heating wire 111 can maintain a heat generation state by the current stored in the battery unit 120.

즉, 본 발명은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해 스티어링휠이 설정된 정위치에 있을 경우(차량의 직진 또는 후진상태 유지), 충전연결유닛(200)을 통해 차량의 공급전원을 배터리 유닛(120)으로 공급하여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으므로 배터리에 저장된 전류가 지속적으로 감소하는 것을 방지하고 열선(111)의 발열상태를 좀 더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That is, in the present invention, when the steering wheel is in a set position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maintaining the vehicle in a straight or reverse state), the power supplied to the vehicle is supplied to the battery unit 120 through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Since the battery can be charged by supply, the current stored in the battery can be prevented from continuously decreasing and the heating state of the heating wire 111 can be maintained more stably.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연결유닛(200)은 스티어링 하우징(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1 충전연결부(210)와 스티어링 칼럼(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는 제2 충전연결부(22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 충전연결부(210)와 제2 충전연결부(220)는 전술한 배터리 유닛과 마찬가지로 양면 테이프 등을 통해 탈부착 가능하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ures 1 to 3,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first charging connection part 210, which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and the steering column 10. It includes a second charging connection part 220. Here, the first charging connection part 210 and the second charging connection part 220 are attachable and detachable through double-sided tape, etc., like the above-described battery unit.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1 충전연결부(210)는 스티어링 하우징(2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배터리 유닛(120)과는 전원선을 통해 전원 연결된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first charging connection 21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and is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120 through a power line.

제2 충전연결부(220)는 스티어링 칼럼(10)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차량의 충전포트(미도시)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서, 제2 충전연결부(220)는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한 스티어링 하우징(20), 즉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제1 충전연결부(210)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도록 이루어진다.The second charging connection part 220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10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vehicle's charging port (not shown). Here, the second charging connection part 220 is selectively energized with the first charging connection part 210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20, that is, the steering wheel,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구체적으로,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1 충전연결부(210)와 제2 충전연결부(220)는 각각, 서로간에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며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한 스티어링 하우징(20)의 회전각 변화가 일정이상 발생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상호간에 선택적으로 전원연결이 가능한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를 포함한다.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에는 각각 서로간에 자력에 의해 결합되도록 마그네트 접점(212)이 마련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1 to 3, the first charging connection part 210 and the second charging connection part 220 are respectively attached and detached from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nd are connect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 includes a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a second magnet connector 221 that can be selectively connected to power depending on whether the rotation angle change occurs more than a certain level.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re each provided with a magnet contact point 212 so that they are coupl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여기서,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는 스티어링 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고,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스티어링 칼럼(10)에 고정 결합된다. 즉,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는 스티어링휠의 회전시 스티어링 하우징(20)과 동시에 동일한 각도로 회전한다.Here,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10. That is,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rotates at the same angle as the steering housing 20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차량의 직진 또는 후진시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서로간에 마그네트 접점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지고, 차량의 좌회전 또는 우회전시 이러한 마그네트 접점은 순간적으로 떨어진 상태가 되며 이때 배터리 충전은 이루어지지 않고 열선(111)의 발열은 배터리에 기저장된 전류에 의해서 유지될 수 있다.In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attery is charged while maintaining the magnetic contact points of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onnected to each other when the vehicle moves forward or backward, and when the vehicle turns left or right. At this time, these magnet contact points are momentarily separated, and at this time, the battery is not charged, and the heat generated by the heating wire 111 can be maintained by the current stored in the battery.

또한, 스티어링휠이 다시 초기상태로 복원하도록 회전되면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서로간에 마그네트 접점이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다시 배터리 충전이 이루어진다. Additionally, when the steering wheel is rotated to restore the initial state,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maintain their magnet contact points connected to each other, and the battery is charged again.

한편, 사용자가 차량을 일정거리 이상 직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은 스티어링 칼럼(10)에 대해 회전하지 않는 상태를 유지하는 것이 아니라 미세하게나마 좌측 또는 우측으로 회전 상태를 반복할 수 있다. 여기서, 이러한 스티어링휠의 미세 회전각도는 일 예로 -15도 내지 +15도 범위 내에서 이루어질 수 있다.Meanwhil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o keep the vehicle moving straight or backward over a certain distance, the steering wheel does not maintain a state of not rotat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10, but slightly rotates to the left or right. The state can be repeated. Here, the fin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may be within the range of -15 degrees to +15 degrees, for example.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가 스티어링 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고,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스티어링 칼럼(10)에 고정 결합되는 상태라면, 이와 같은 스티어링휠의 미세 회전이 좌우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마다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 간의 마그네트 접접이 연결되거나 서로 떨어져 이격되는 것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즉, 스티어링휠의 미세 회전이 좌우 반복적으로 이루어질 때마다 배터리는 충전 상태를 연속적으로 유지할 수 없게 된다.As described above, if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10, such fine rotation of the steering wheel may occur. Each time the left and right are repeatedly made, the magnet contacts between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re connected or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In other words, whenever the steering wheel is repeatedly slightly rotated left and right, the battery cannot continuously maintain its state of charge.

본 발명은 이러한 단점을 보완하고자,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는 스티어링 하우징(20)에 고정 결합되고,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스티어링 칼럼(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된다. In the present invention, in order to compensate for these shortcomings,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20,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moves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10. It is made possible.

이와 달리,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는 스티어링 하우징(2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고,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스티어링 칼럼(10)에 고정 결합될 수도 있다. 이하 설명 및 관련도면에서는 설명, 도시의 편의를 위해 전자(前者)의 경우를 기준으로 한다.In contrast,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housing 20,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may be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10. . The following description and related drawings are based on the former case for convenience of explanation and illustration.

따라서, 스티어링휠의 좌우 미세회전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더라도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서로 접접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배터리 충전이 지속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Therefore, even if the steering wheel is repeatedly rotated left and right,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an remain in contact with each other to ensure continuous battery charging.

구체적으로, 도 4 내지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충전연결유닛(200)은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서로 통전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변화가 설정범위 내에서 발생(상기 미세회전 각도 내에서의 회전)하더라도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서로 통전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통전유지부(400)를 더 포함한다.Specifically, as shown in FIGS. 4 to 7,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200 changes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conduct electricity. Even if it occurs within the setting range (rotation within the fine rotation angle), it further includes an energization maintenance unit 400 that maintains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in an energized state with each other. .

이하, 통전유지부(400)의 다양한 적용 예를 설명한다.Hereinafter, various application examples of the energization maintenance unit 400 will be described.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유지부(400)는 일 예로, 스티어링 칼럼(10)에 양면테이프 등과 같은 탈부착부재(410)를 통해 탈부착되며, 내측에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지지몸체(420)와, 지지몸체(420)의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의 하부에 연결되어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탄성지지부재(43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4 and 5, the energization maintaining part 400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steering column 10 through a detachable member 410 such as double-sided tape, for example, and has a second magnet connector 221 on the inside. A support body 420 that forms a receiving space with an open upper side to accommodate the support body 420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nd one end is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420 and the other end is a second magnet connector.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member 430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221 and capable of elastically support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여기서, 탄성지지부재(430)는 일예로 코일 스프링으로 적용 가능하며,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지지몸체(420)의 길이방향, 즉 스티어링휠의 회전시 스티어링 칼럼(10)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지지몸체의 길이방향 일단부터 타단 사이) 내에서 왕복 이동하도록 지지할 수 있다.Here, the elastic support member 430 can be applied as a coil spring, for example,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moves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420, that is, in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10 when the steering wheel rotates. Accordingly, it can be supported to move back and forth within the setting range (between one end and the other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또한, 도 4 및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420)에는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걸림 가능한 걸림턱(440)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지지몸체(42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몸체의 길이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4 and 5, the support body 42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440 on which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an be caught to prevent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from leaving the upper side. ,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an reciprocate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42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ody 420.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을 일정거리 이상 직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미세 회전각도가 대략 -5도 내지 +5도 범위 내에서 발생하더라도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서로 자력에 의해 연결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결국 배터리 충전이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o keep the vehicle going straight or backward over a certain distance, the first magnet The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to enable power supply, ultimately allowing battery charging to be maintained.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전유지부(400)는 다른 예로, 스티어링 칼럼(10)에 탈부착부재(460)를 통해 탈부착되며 그 내측에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지지몸체(470)를 포함한다.As shown in Figures 6 and 7, as another example, the energization holding part 400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steering column 10 through a detachable member 460, and is attached to the upper side so that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is accommodated inside it. It forms an open receiving space and includes a support body 470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여기서, 지지몸체(470)는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곡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갖도록 이루어진다.Here, the support body 470 is made to have a curved surface with a curvature of a certain level or more so that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an move curvedly.

또한, 도 6 및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지지몸체(470)에는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도록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가 걸림 가능한 걸림턱(480)이 마련되며, 이에 따라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지지몸체(470)로부터 분리되지 않은 상태로 지지몸체의 원주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가능하다.In addition, as shown in FIGS. 6 and 7, the support body 470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480 on which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an be caught to prevent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from leaving the upper side. , Accordingly,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can reciprocat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upport body 470 without being separated from the support body 470.

이러한 구조를 통해, 사용자가 차량을 일정거리 이상 직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미세 회전각도가 대략 -15도 내지 +15도 범위 내에서 발생하더라도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서로 자력에 의해 연결되어 전원공급이 가능하여 결국 배터리 충전이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rough this structur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o keep the vehicle in a straight or reverse state over a certain distance, the first magnet The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to enable power supply, ultimately allowing battery charging to be maintained.

즉, 후자(後者)의 경우, 전자(前者)의 경우에 비해 사용자가 차량을 일정거리 이상 직진 또는 후진 상태를 유지하고자 스티어링휠을 조작하는 상태에서, 스티어링휠의 미세 회전각도가 좀 더 크게 발생하더라도 제1 마그네트 커넥터(211)와 제2 마그네트 커넥터(221)는 서로 자력에 의해 연결되어 배터리 충전이 계속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That is, in the latter case, compared to the former case, when the user operates the steering wheel to keep the vehicle moving straight or backward over a certain distance, the fin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ccurs more significantly. Even so, the first magnet connector 211 and the second magnet connector 221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so that the battery charge can be maintained.

이상,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원리를 예시하기 위한 바람직한 실시예와 관련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그와 같이 도시되고 설명된 그대로의 구성 및 작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첨부된 청구범위의 사상 및 범위를 일탈함이 없이 본 발명에 대한 다수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을 당업자들은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Although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shown and described in connection with preferred embodiments for illustrating the principles of the invention, the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construction and operation as shown and described. Rather,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understand that numerous changes and modifications can be made to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and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 스티어링 칼럼 20: 스티어링 하우징
100: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110: 스티어링휠 커버
111: 열선 120: 배터리 유닛
200: 충전연결유닛 210: 제1 충전연결부
211: 제1 마그네트 커넥터 220: 제2 충전연결부
221: 제2 마그네트 커넥터 400: 통전유지부
420,470: 지지몸체 430: 탄성지지부재
440,480: 걸림턱
10: steering column 20: steering housing
100: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110: Steering wheel cover
111: heating wire 120: battery unit
200: charging connection unit 210: first charging connection unit
211: first magnet connector 220: second charging connection
221: Second magnet connector 400: Energization maintenance unit
420,470: Support body 430: Elastic support member
440,480: Stopper

Claims (8)

차량용 스티어링휠, 스티어링 칼럼, 상기 차량용 스티어링휠에 일체로 결합되고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는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상기 스티어링휠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열선이 내장되는 스티어링휠 커버;
상기 열선의 발열을 제어하도록 상기 열선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배터리 유닛; 및
차량의 충전포트에 연결되어 상기 차량의 공급전원을 상기 배터리 유닛으로 전달하여 상기 배터리 유닛을 충전시키되,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가변적으로 충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충전연결유닛을 포함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It is detachable from a vehicle steering wheel, a steering column, and a steering housing that is integrally coupled to the vehicle steering wheel a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steering column,
A steering wheel cover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wheel and has a built-in heating element;
a battery unit supplying power to the heating element to control heat generation of the heating element; and
A charging connection unit that is connected to the charging port of the vehicle and transmits the vehicle's power supply to the battery unit to charge the battery unit, and allows charging to be performed variably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A detachable vehic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containing a.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유닛은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충전연결유닛은,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며 상기 배터리 유닛과 전원 연결되는 제1 충전연결부; 및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탈부착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충전포트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이루어지되,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에 따라 상기 제1 충전연결부와 선택적으로 통전되는 제2 충전연결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battery un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is,
a first charging connection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and connected to the battery unit and a power source; and
I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teering column and is configured to receive power from the charging port, and includes a second charging connection that is selectively energized with the first charging connection according to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vehicles.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충전연결부는 각각, 서로간에 자력에 의해 탈부착되며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대한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의 회전각 변화가 일정이상 발생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상호간에 선택적으로 전원연결이 가능한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and second charging connection units are respectively detachable from each other by magnetic force and are capable of selectively connecting power to each other depending on whether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housing with respect to the steering column occurs above a certain level.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magnet connector.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first magnet connector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wherein the second magnet connector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충전연결유닛은,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서로 통전되도록 연결된 상태에서, 상기 스티어링휠의 회전각 변화가 설정범위 내에서 발생하더라도 상기 제1 및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서로 통전된 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통전유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paragraph 3,
The charging connection unit is,
In a state in which the first and second magnet connecto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to be energized, an energization maintaining part that maintains the first and second magnet connectors to be energized to each other even if a change in the rotation angle of the steering wheel occurs within a set range.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further comprising: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통전유지부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탈부착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내측에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지지몸체; 및
상기 지지몸체의 바닥면에 일단이 고정되고 타단은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하부에 연결되어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이동을 탄성적으로 지지 가능한 탄성지지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magnet connector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The second magnet connector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The energization maintenance part,
a support body that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steering column through a detachable member, forms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with an open upper side to accommodate the second magnet connector, and is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and
A detachable vehicle hand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n elastic support member that has one end fixed to the bottom surface of the support bod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lower par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to elastically support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Warmer modul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하우징에 고정 결합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의 둘레방향을 따라 설정범위 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며,
상기 통전유지부는,
상기 스티어링 칼럼에 탈부착부재를 통해 탈부착되며, 내측에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수용되도록 상측이 개구된 수용공간을 형성하고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이동을 가이드 가능한 지지몸체를 포함하되,
상기 지지몸체는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곡선 이동이 가능하도록 일정이상의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clause 5,
The first magnet connector is fixedly coupled to the steering housing,
The second magnet connector is provided to be movable within a setting range along the circumferential direction of the steering column,
The energization maintenance part,
A support body that is attached and detachable to the steering column through a detachable member, forms a receiving space on the inside with an open upper side to accommodate the second magnet connector, and is capable of guiding the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The support body is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ody has a curved surface with a curvature of a certain level or more to enable curved movement of the second magnet connector.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몸체에는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의 상측 이탈을 방지하도록 상기 제2 마그네트 커넥터가 걸림 가능한 걸림턱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탈부착식 차량용 핸들 워머 모듈.



According to clause 6 or 7,
A detachable steering wheel warmer module for a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support body is provided with a locking protrusion on which the second magnet connector can be caught to prevent the second magnet connector from being separated from the upper side.



KR1020220116160A 2022-09-15 2022-09-15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KR20240037536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60A KR20240037536A (en) 2022-09-15 2022-09-15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6160A KR20240037536A (en) 2022-09-15 2022-09-15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536A true KR20240037536A (en) 2024-03-22

Family

ID=904811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6160A KR20240037536A (en) 2022-09-15 2022-09-15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7536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60Y1 (en) 2001-08-24 2001-12-13 최계환 A Vehicle Handle Cover with Heating-element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56060Y1 (en) 2001-08-24 2001-12-13 최계환 A Vehicle Handle Cover with Heating-eleme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40194982A1 (en) Walk-behind electric working machine
US6683396B2 (en) Portable motor powered device
US8506346B2 (en) Automobile toy
US20210069875A1 (en) Hand-Held Power Tool
US20160121509A1 (en) Cordless circular saw
KR102010288B1 (en) Recharging device for electric vehicle
US20210069888A1 (en) Hand-Held Power Tool and Method for Operating the Hand-Held Power Tool
KR20240037536A (en) detachable car handle warmer module
JP2020078253A (en) Fishing reel system and fishing communication unit
EP3147008B1 (en) Electrically powered toy
US20040026144A1 (en) Electric driving scooter
US20090057288A1 (en) Clothing Heating Device Whose Output Power can be Switched
JP5904329B2 (en) Vehicle power supply system
JP2003257399A (en) Remote control device and portable electronic equipment with battery housing for spare
EP1863106B1 (en) Sprayer with detachable rechargeable battery
EP1875988A1 (en) Electric wrench
KR101542257B1 (en) Vehicular lever switching unit
US20050110455A1 (en) Integrated charger for use in a car
US6921870B2 (en) Shifting mechanism for electric vehicles
CN217961288U (en) One-hand operable remote controller
CN108433321B (en) Elastic switch support of switch button and electric nail device
CN209530063U (en) A kind of intelligent game steering wheel based on wireless connection
KR101394378B1 (en) A tilting type charger
US20230256581A1 (en) Work tool and electric tool
CN215154973U (en) Steering wheel heating devi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