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7444A - 공기청정기 - Google Patents

공기청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7444A
KR20240037444A KR1020220115945A KR20220115945A KR20240037444A KR 20240037444 A KR20240037444 A KR 20240037444A KR 1020220115945 A KR1020220115945 A KR 1020220115945A KR 20220115945 A KR20220115945 A KR 20220115945A KR 20240037444 A KR20240037444 A KR 202400374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flow path
fan
outlet
light sour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9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주의성
이태용
임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2011594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7444A/ko
Priority to PCT/KR2023/007736 priority patent/WO2024058351A1/ko
Priority to US18/213,976 priority patent/US20240085040A1/en
Publication of KR202400374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74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2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 F24F8/2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terilisation using UV l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6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physical phenomena
    • A61L9/18Radiation
    • A61L9/20Ultraviolet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28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provided with antibacterial or antifung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39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flow guiding by feed or discharge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1/00Control or safety arrangements
    • F24F11/70Control system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s; 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8Air-flow control members, e.g. louvres, grilles, flaps or guide plates
    • F24F13/082Grilles, registers or guard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92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by electrical means, e.g. by applying electrostatic fields or high volt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80Self-contained air purifi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6Connections to a HVAC uni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1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air properties
    • F24F2110/50Air quality properties
    • F24F2110/65Concentration of specific substances or contaminants
    • F24F2110/70Carbon dioxid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2130/00Control inputs relating to environmental factors not covered by group F24F2110/00
    • F24F2130/20Sunligh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AREA)

Abstract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공기청정기는 제1 흡입구와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제1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1 흡입구로부터 제1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1 유로,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집진필터, 제2 흡입구와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제2 하우징의 내부에서 제2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2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2 유로,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 및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2 흡입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어 제2 흡입구를 통해 제2 유로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공기청정기{AIR CLEANER}
본 개시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공기청정기에 관한 것이다.
공기청정기는 공기 중의 오염 물질을 제거하기 위해 사용되는 기기이다. 공기청정기는 흡입된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곰팡이, 미세먼지 등 악취의 원인이 되는 화학 물질 등을 제거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는 오염된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구를 포함할 수 있고, 정화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출구를 포함할 수 있으며,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송풍팬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오염된 실내 공기를 정화하기 위한 필터가 구비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로 흡입된 공기는 필터를 통과하면서 오염 물질이 제거되어 깨끗한 공기로 정화되고, 정화된 공기는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에는 흡입구에서 배출구를 향하여 공기가 유동되는 공기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공기 유로는 공기청정기의 운전 목적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될 수 있다. 흡입구 및 배출구의 형상, 위치 등은 공기 유로의 형상을 고려하여 다양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공기의 유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측면은 복수의 공기청정유닛을 포함하는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복수의 공기청정유닛의 동작을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도록 개선된 구조를 가지는 공기청정기를 제공한다.
본 문서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흡입구와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1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집진필터, 제2 흡입구와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2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2 유로,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흡입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제2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와,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제1 배출구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개구와,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에 의해 일측이 커버되고,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서 상기 가이드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연결유로의 테두리 외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는 상기 제1 배출구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중간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중간 덕트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중간 덕트는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제2 흡입구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배출구를 커버하는 배출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구 커버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고 관통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엣지 그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앙부는 상기 엣지 그릴에서 상기 연결유로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엣지 그릴에서 상기 연결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2 팬은 공기가 상기 광원을 향하여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이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고, 상기 광원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사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사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원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하도록 마련되는 반사 커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에서 상기 조사 영역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조사 영역의 외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광 차단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재는, 복수의 그릴부와, 상기 복수의 그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 상의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통기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그릴부 각각은 서로 인접한 상기 그릴부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일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광원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램프 바디와, 상기 램프 바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단부에 마련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광 차단부재는 상기 전극부를 지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1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제2 팬이 동시에 구동될 시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2 흡입구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흡입구, 제1 배출구, 상기 제1 흡입구에서 상기 제1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과,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집진필터를 포함하는 제1 공기청정유닛, 제2 흡입구, 제2 배출구,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상기 제2 배출구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과,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에 결합되는 제2 공기청정유닛,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1 유로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 및 상기 제2 공기청정유닛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에서부터 상기 제2 흡입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1 유로 내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에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중간 덕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은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공기청정유닛은 상기 제2 공기청정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 덕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배출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의 일측을 커버하는 배출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는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기 제1 유로, 상기 제 2 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례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유로에서 분기된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 상기 제1 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팬 드라이브,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 상기 제2 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팬 드라이브,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 상의 조사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및 상기 제1 팬 드라이브, 상기 제2 팬 드라이브, 상기 전기집진필터 및 상기 광원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팬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제1 동작에서, 상기 전기집진필터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팬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제2 동작에서, 상기 조사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제1 하우징 내의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집진필터와 제2 하우징 내의 제2 유로에 마련되는 광원을 포함하여, 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제1 유로와 제2 유로를 연결하는 연결유로 및 공기가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되는 배출유로를 포함하여, 공기의 유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르면, 공기청정기는 제1 유로가 마련되는 제1 공기청정유닛과 제2 유로가 마련되는 제2 공기청정유닛을 포함하고, 제1 공기청정유닛 및 제2 공기청정유닛은 각각 제1 팬 및 제2 팬을 포함하여, 제1 공기청정유닛 및 제2 공기청정유닛의 동작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중간 덕트 및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광원 및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진행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광원 및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3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연결유로를 통해 제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연결유로를 통해 제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개시된 발명의 바람직한 일 예에 불과할 뿐이며, 본 출원의 출원시점에 있어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와 도면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변형 예들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개시된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으며,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한편, 하기의 설명에서 사용된 용어 "상하 방향", "높이 방향", "수직 방향" 등은 도 1의 공기청정기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Z 방향을 의미하고 "수평 방향"은 도 1의 사시도를 기준으로 X 방향 또는 Y 방향으로 X-Y 평면에 따른 모든 방향을 의미할 수 있으며, 이 용어에 의하여 각 구성요소의 형상 및 위치가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흡입구(111), 제1 배출구(112) 및 제1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흡입구(111)와 제1 배출구(112)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유로(P1)는 제1 흡입구(111)로부터 제1 배출구(1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경우, 공기는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되어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도 5 등 참조).
제1 공기청정유닛(10)에서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정화되어 제1 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집진필터(140, 도 4 등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유로(P1)에 마련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집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유기물, 먼지 등 이물질은 집진필터(140)에 의해 공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를 정화하고, 정화된 공기를 다시 외부로 배출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흡입구(211), 제2 배출구(212) 및 제2 팬(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흡입구(211)와 제2 배출구(212)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유로(P2)는 제2 흡입구(211)로부터 제2 배출구(2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팬(250)이 구동될 경우, 공기는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되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도 9 등 참조).
제2 공기청정유닛(20)에서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는 정화되어 제2 배출구(212)로 배출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광원(240, 도 7 등 참조)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40)은 제2 유로(P2)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240)은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유입된 공기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유기물은 광원(240)에서 방출되는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을 지지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하부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측에 안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고,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상하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고,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의해 상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하부 공기청정유닛',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상부 공기청정유닛' 등으로 지칭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각각 지면에 대해 하부가 지지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1 유로(P1) 및 제2 유로(P2)가 서로 연결되도록 결합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내부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내부는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흡입구(211)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배출구(112)와 서로 마주하도록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배출구(112)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서로 상하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고,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마련되는 제1 배출구(112)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하부에 마련되는 제2 흡입구(211)는 상하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1 등에 도시된 바와 달리, 일 예로,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서로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배출구(112)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제2 흡입구(211)는 서로 지면에 대해 수평한 방향으로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결합되는 실시예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서로 결합되는 구체적인 구성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공기청정기(1)는 중간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제2 하우징(210)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하우징(1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제2 하우징(210)을 연결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배출구(112) 및 제2 흡입구(211)에 각각 연통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흡입구(211)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중간 덕트(30)의 내부에 마련되는 연결유로(CP, 도 11 등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어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를 연결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로(CP)가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는 영역은, 제1 배출구(112)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유로(P2)는 제1 유로(P1)에서 분기된 연결유로(CP)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제2 유로(P2)가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어 형성되었다고 지칭할 수도 있다.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흡입구(211)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 및 제2 흡입구(21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2 흡입구(211)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1 유로(P1) 내의 공기는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어 제2 유로(P2)로 유입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유로(CP)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 및 연결유로(CP) 등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청정기(1)는 배출유로(DP, 도 5 등 참조)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제1 유로(P1) 상의 공기가 제1 배출구(112)를 통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제1 유로(P1)에서 연장될 수 있고, 보다 상세하게는 제1 유로(P1)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배출구(112)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이(150)이 구동될 시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배출유로(DP)를 따라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배출유로 가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배출유로(DP) 상의 공기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이 동시에 구동될 시,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 중 연결유로(CP)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입된 일부를 제외한 적어도 다른 일부가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배출유로 가이드(40)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유로(DP)는 배출유로 가이드(40)에 의해 일측이 커버되고,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에서 후술하는 가이드 개구(OP, 도 11 참조)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배출유로(DP)는 후술하는 제1 배출구 커버(116)와 배출유로 가이드(40)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청정기(1)에는 배출유로(DP)를 안내하기 위한 배출유로 가이드(40)가 마련되지 않을 수도 있다. 별도의 배출유로 가이드가 마련되지 않더라도, 배출유로(DP)는 제1 유로(P1) 내의 공기가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제1 유로(P1)로부터 연장되어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 및 배출유로(DP) 등의 상세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내부에 제1 유로(P1)가 마련되는 제1 하우징(1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내측에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각종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흡입구(111)와 제1 배출구(1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흡입구(111)는 제1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는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가 제1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팬(150)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제1 하우징(110) 외부의 공기는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는 제1 배출구(112)를 통해 제1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서 제1 흡입구(111)와 제1 배출구(112)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유로(P1)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유로(P1)는 제1 흡입구(111)로부터 제1 배출구(1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1 배출구(112)를 통해 제1 하우징(1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유로(P1)의 일단에는 제1 흡입구(111)가 마련될 수 있고, 제1 유로(P1)의 타단에는 제1 배출구(11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흡입구(111)는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배출구(112)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로(P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P1)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흡입구(111) 및 제1 배출구(112)는 제1 하우징(1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1) 및 제1 배출구(112)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1 유로(P1)는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 바디(113), 베이스(114), 제1 상부 커버(115) 및 제1 배출구 커버(116)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 베이스(114), 제1 상부 커버(115), 제1 배출구 커버(116)는 각각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수평 방향으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각종 부품을 수평 방향에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베이스(114)와 제1 상부 커버(115)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제1 유로(P1)를 제1 유로(P1)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로(P1)는 베이스(114)와 제1 배출구 커버(116)의 사이에 형성될 수 있고,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제1 유로(P1)를 수평 방향으로의 측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제1 유로(P1)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대략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대략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외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패널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를 구성하는 복수의 패널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의 제1 하우징 바디(113)를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 바디(113)의 분해 또는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하우징 바디(113)는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하우징 바디(113)는 후술하는 센서(90)가 제1 하우징(110)의 외부와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센싱홀(113a)을 포함할 수 있다. 센싱홀(113a)는 센서(90)와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센서(90)는 센싱홀(113a)을 통해 유입된 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베이스(114)는 제1 하우징(110)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4)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저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이 지면에 놓일 때, 베이스(114)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결합될 경우, 베이스(114)는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더불어 제2 공기청정유닛(2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베이스(114)는 공기청정기(1)를 상하 방향으로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베이스(114)는 제1 하우징 바디(113)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114)는 지면에 수직 방향으로 접하기 위한 저면과, 베이스(114)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고 저면에서 절곡되어 연장되는 측면을 갖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4)의 저면은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14)의 측면은 베이스(114)의 둘레 방향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114)의 측면은 베이스(114)의 저면으로부터 수직 방향 또는 수직 방향과 소정의 각도를 갖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베이스(114)에는 제1 흡입구(11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1)는 베이스(114)의 측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1)는 베이스(114)의 둘레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흡입구(111)는 베이스(114)의 저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베이스(114)의 측면은 제1 흡입구(111)를 통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그릴의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흡입구(111)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흡입구(111)는 베이스(114)의 측면에 형성되되, 측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되지 않고 측면 중 일부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흡입구(111)는 베이스(114)의 측면에서 일 방향만을 바라보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흡입구(111)는 베이스(114)가 아니더라도, 제1 하우징 바디(113)의 하부 등 제1 하우징(110)의 다양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 및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 및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 및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을 상방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는 제1 하우징(110)의 상면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고,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하우징(110)의 상면의 다른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는 제1 하우징(110)의 상면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배출구(112)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배출구(112)를 통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그릴의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배출구 커버(116)의 그릴 형상은 제1 하우징(110)의 상면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제1 배출구 커버(116)의 그릴 형상은 제1 하우징(110)의 상면 중 일부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배출구 커버(116)의 그릴 형상은 제1 하우징(110)의 상면 중 일부 상에만 형성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는 제1 배출구 커버(116)의 둘레를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상부 커버(115)는 제1 배출구 커버(116)의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는 제1 배출구 커버(116)의 테두리 외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상부 커버(115)는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상부 커버(115)는 제1 배출구 커버(116)의 테두리로부터 테두리 방향으로의 외측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 중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제1 상부 커버(115)에 의해 유동 방향이 가이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이상에서 설명한 제1 상부 커버(115) 및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를 형성하는 구성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또한,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제1 배출구(112)는 제1 하우징 바디(113)의 상부 등 제1 하우징(110)의 다양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달리, 제1 하우징(110)의 구성인 제1 하우징 바디(113), 베이스(114), 제1 상부 커버(115), 제1 배출구 커버(116) 중 적어도 일부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상부 커버(115)와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하우징(11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1 유로(P1)가 마련되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내부 프레임(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하우징(11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부품들, 예를 들어 전원공급부(70), 센서(90), 집진필터(140), 제1 팬(150) 등은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하우징(1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하우징 바디(11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이 커버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베이스(114)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하방이 커버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상부커버(115) 및 제1 배출구 커버(115)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상방이 커버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도 3 및 도 4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의 제1 내부 프레임(120)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분해 또는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고,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에는 대략 실린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는 집진필터(140), 제1 팬(15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 공간에는 제1 유로(P1)가 마련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유로(P1)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내부 프레임(120)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실린더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제1 내부 프레임(12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제1 유로(P1)의 외측을 커버하지 않은 채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1 유닛 결합부(1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닛 결합부(130)는 후술하는 제2 유닛 결합부(230)에 결합되어,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닛 결합부(130)와 제2 유닛 결합부(230)는 서로 맞물린 상태에서,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닛 결합부(13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닛 결합부(130)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서 상방을 향해 연장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닛 결합부(130)는 제1 배출구 커버(116)로부터 상방으로 연장될 수 있고, 나아가 제1 배출구 커버(116)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팬(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0)은 제1 유로(P1)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150)은 제1 흡입구(111)와 제1 배출구(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150)은 회전함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1 팬(150)의 흡입력에 의해 제1 공기청정유닛(10) 외부의 공기는 제1 흡입구(111)로 흡입될 수 있다. 제1 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는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1 배출구(112)로 배출될 수 있다.
제1 팬(150)은 제1 블레이드(151), 제1 블레이드(151)에 동력을 공급하는 제1 모터(152), 제1 블레이드(151) 및 제1 모터(152)에 연결되어 제1 모터(152)에서 발생된 동력을 제1 블레이드(151)에 전달하는 제1 팬 회전축(1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0)은 다양한 타입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150)은 축류팬(Axial Fan)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제1 팬(150)은 원심팬(Centrifugal Fan)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1 팬(150)은 후술하는 집진필터(140)와 제1 배출구(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는 집진필터(140), 제1 팬(150)을 순차적으로 지나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제1 팬(150)은 집진필터(140)와 제1 흡입구(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0)은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은 제1 모터(152)를 지지할 수 있다. 제1 모터(152)는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팬(150)의 제1 블레이드(151)는 제1 모터(152)에 대해 제1 팬 회전축(15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블레이드(151)는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에는 제1 유로(P1)에 의해 관통되는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됨 따라 공기는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의 개구를 통과하며 유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150)이 축류팬일 경우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에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되는 복수의 개구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은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은 제1 내부 프레임(1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 지지 프레임(160)은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팬(150)은 다양한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팬(15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유로(P1)를 따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유로(P1)에 마련되는 집진필터(1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는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며 집진필터(140)를 지날 수 있다.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이물질은 집진필터(140)에 의해 제거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에 의해 이물질이 제거되고 정화된 공기는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수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세균, 바이러스와 같은 유기물, 먼지 등 이물질은 집진필터(140)에 의해 공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집진필터(14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측에 장착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유로(P1)에 배치되도록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면에 장착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그 외주면이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주면에 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유로(P1)의 횡단면을 대략 전면적으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도, 집진필터(140)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집진필터(140)를 통과할 수 있다. 아울러,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거의 전부가 집진필터(140)를 통과하도록 마련되므로, 제1 유로(P1)의 공기를 정화시키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대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집진필터(140)가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에 대해 인입 또는 인출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집진필터 장착 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의 내부는 집진필터 장착 개구(123)를 통해 개방될 수 있다.
일 예로, 집진필터 장착 개구(123)는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일측에 형성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일측에서 인입되며 장착되거나,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일측에서 인출되며 분리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사용자는 집진필터(140)를 제1 내부 프레임(120)에서 용이하게 분리 또는 조립할 수 있고, 집진필터(140)의 수리, 교체나 청소 등이 용이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집진필터(14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또는, 집진필터(140)는 제1 유로(P1) 상에 배치되도록 다양한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프리 필터(pre-filter)(14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1)는 제1 유로(P1)에 마련될 수 있다. 프리 필터(141)는 제1 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 중 이물질을 1차적으로 수집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프리 필터(141)는 상대적으로 크기가 큰 이물질을 공기로부터 분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필터(140)는 전기집진필터(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42)는 제1 유로(P1)에 마련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42)는 정전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42)는 후술하는 전원공급부(7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42)에 전원이 인가될 시, 전기집진필터(142)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전기집진필터(142)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공기 중 먼지 등 이물질이 수집될 수 있다. 또한, 전기집진필터(142)에 형성된 전기장에 의해, 세균, 바이러스 등 유기물이 분해될 수 있다. 즉, 전기집진필터(142)는 집진 기능과 살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전기집진필터(142)는 전기집진필터(142)의 외관을 형성하는 필터 케이스(142a), 집진부(142b) 및 대전부(142c)를 포함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42a)는 집진부(142b) 및 대전부(142c)를 지지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42a)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지지될 수 있다. 필터 케이스(142a)에는 전원공급부(7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전극이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내부 프레임(120)에는 전원공급부(7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전극이 마련될 수 있고, 집진필터(140)가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장착될 시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전극과 필터 케이스(142a)의 전극은 서로 접속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전극 또는 필터 케이스(142a)의 전극은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내부 프레임(120)의 전극 또는 필터 케이스(142a)의 전극 중 적어도 하나는 판 스프링 형상(미도시)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전부(142c)는 공기 중 이물질을 대전시키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부(142b)는 대전부(142c)에 의해 대전된 이물질을 집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부(142b) 및 대전부(142c)는 각각 전원공급부(70)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집진부(142b) 및 대전부(142c)는 각각 필터 케이스(142a)의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대전부(142c)와 집진부(142b)에는 각각 서로 다른 극을 가지는 전극이 연결될 수 있다. 대전부(142c)와 집진부(142b)의 사이에는 전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대전부(142c)에 의해 대전된 공기 중 이물질은 대전부(142c)와 동일한 극으로 대전될 수 있고, 집진부(142b)와 반대되는 극으로 대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대전부(142c)에 의해 대전된 공기 중 이물질은 전기력에 의해 집진부(142b)로 이동될 수 있고, 집진부(142b)에 의해 포집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전기력에 의해 공기 중에 부유하는 세균, 바이러스 등 유기물은 분해될 수 있다.
대전부(142c)는 전기집진필터(142)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고, 집진부(142b)는 전기집진필터(142)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대전부(142c)와 집진부(142b)는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대전부(142c)와 집진부(142b)는 서로 상하 방향으로 마주보도록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대전부(142c)는 집진부(142b)보다 제1 유로(P1) 상의 상류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대전부(142c)는 집진부(142b)와 제1 흡입구(1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 다른 표현으로, 집진부(142b)는 대전부(142c)와 제1 배출구(1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집진부(142b)는 전기집진필터(142)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고, 대전부(142c)는 전기집진필터(142)의 하부에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전기집진필터(142)는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에서 이물질을 제거할 수 있다.
프리 필터(141)는 제1 흡입구(111)와 전기집진필터(14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전기집진필터(142)는 제1 배출구(112)와 프리 필터(14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프리 필터(141)는 전기집진필터(142)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프리 필터(141)는 전기집진필터(142)의 필터 케이스(142a)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다. 프리 필터(141)는 필터 케이스(142a)에 지지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프리 필터(141)는 필터 케이스(142a)의 하부에 지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집진필터(14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에서 먼지, 유기물 등 이물질을 제거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집진필터(140)에 포함되는 프리 필터(141)는 전기집진필터(142)에 장착되지 않을 수 있고, 나아가 전기집진필터(142)와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즉, 프리 필터(141)와 전기집진필터(142)는 각각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일 예로, 집진 필터(140)에는 프리 필터(141)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집진 필터(140)에는 전기집진필터(142)가 포함되지 않을 수 있다. 대신, 집진 필터(140)에는 헤파 필터(HEPA filter) 등 다양한 필터가 포함될 수 있다. 집진 필터(140)에 포함되는 필터에는 항균 물질이 도포되는 등 항균 처리가 되어 있을 수도 있고, 이에 따라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유입된 공기 중 세균, 바이러스 등 유기물은 집진 필터(140)에 의해 공기 중에서 제거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50)는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Printed Circuit Board Assembly, PBA)(5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에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메인 보드일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베이스(114)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전원공급부(70), 센서(90), 제1 팬(150) 등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 도 6 등 참조)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가 메인 보드일 경우,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에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각종 부품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공급부(7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전기집진필터(142) 등 다양한 부품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전원공급부(7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전원공급부 장착부(122)를 포함할 수 있고, 전원공급부(70)는 전원공급부 장착부(122)에 체결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전력을 공급받을 수 있다. 전원공급부(70)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을 바로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위한 부품들에 전달하거나, 또는 외부 전원으로부터 공급 받은 전력을 축전한 후 필요 시에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위한 부품들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전원공급부(7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전원공급부(70)는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위한 전력을 공급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센서(90)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90)는 공기청정기(1)가 설치된 실내 등의 공기의 상태를 센싱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90)는 센서홀(113a)을 통해 외기를 감지할 수 있다.
센서(90)는 다양한 종류로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서(90)는 공기 중 먼지의 농도를 측정하는 먼지 측정 센서,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를 측정하는 이산화탄소 측정 센서, 공기 중 기타 유해 가스(예: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해 가스 측정 센서,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를 측정하는 유기물 측정 센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9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배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센서(9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장착될 수 있다. 제1 내부 프레임(120)은 센서 장착부(121)를 포함할 수 있고, 센서(90)는 센서 장착부(121)에 체결되는 등 다양한 방식으로 장착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센서(90)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센서(90)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 제어를 위해 감지하고자 하는 공기의 상태를 센싱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센서는 제1 유로(P1)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센서는 제2 유로(P2)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센서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후술하는 제2 내부 프레임(220) 등의 위치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도 3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공기청정유닛은 제1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의 일부 구성을 분해한 도면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에서 공기가 유동하는 모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의 측단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내부에 제2 유로(P2)가 마련되는 제2 하우징(21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내측에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각종 부품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제2 흡입구(211)와 제2 배출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는 제2 하우징(210) 외부의 공기가 제2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흡입구(211)는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 또는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 외부의 공기 중 연결유로(CP)로 유입된 공기가 제2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출구(212)는 제2 하우징(210) 내부의 공기가 제2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2 팬(250)에 의해 발생된 압력에 의해 제2 하우징(210) 외부의 공기는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 내부로 흡입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10) 내부의 공기는 제2 배출구(212)를 통해 제2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이 동시에 구동될 시,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연결유로(CP) 및 제2 흡입구(210)를 순차적으로 지나 제2 유로(P2)로 유동될 수 있고,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제1 팬(150)은 구동되지 않고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의 외부의 공기, 즉 공기청정기(1)의 외부의 공기는 제1 배출구(112)를 통해 제1 하우징(110)의 내부, 보다 상세하게는 제1 하우징(110)의 상측 내부에 유입된 후, 연결유로(CP) 및 제2 흡입구(210)를 순차적으로 지나 제2 유로(P2)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제1 팬(150)이 구동되지 않고 제2 팬(250)만이 구동되는 경우에 제2 흡입구(210)는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를 직접 흡입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하우징(210)의 내부에서 제2 흡입구(211)와 제2 배출구(212)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유로(P2)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유로(P2)는 제2 흡입구(211)로부터 제2 배출구(212)까지 연장될 수 있다.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 내부로 흡입된 공기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2 배출구(212)를 통해 제2 하우징(21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유로(P2)의 일단에는 제2 흡입구(211)가 마련될 수 있고, 제2 유로(P2)의 타단에는 제2 배출구(212)가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흡입구(211)는 제2 하우징(2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배출구(212)는 제2 하우징(210)의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유로(P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제2 유로(P2)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흡입구(211) 및 제2 배출구(212)는 제2 하우징(210)의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 및 제2 배출구(212)의 사이에 마련되는 제2 유로(P2)는 이에 대응하여 다양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210)은 제2 하우징 바디(213) 및 제2 상부 커버(21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 및 제2 상부 커버(214)는 각각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관의 일부를 구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수평 방향으로의 측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각종 부품을 수평 방향에서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1 상부 커버(214)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중간 덕트(30)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2 유로(P2)를 제2 유로(P2)의 반경 방향으로의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2 유로(P2)를 수평 방향으로의 측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2 유로(P2)와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는 대략 중공을 갖는 실린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의 내부에 형성되는 공간은 대략 실린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하우징 바디(21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형에 따라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하우징 바디(213)에는 제2 흡입구(211) 및 제2 배출구(2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는 제2 하우징 바디(213)의 중간 덕트(30)를 향하는 방향 측 일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배출구(212)는 제2 하우징 바디(213)의 제2 흡입구(211)와 반대되는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흡입구(211)는 제2 하우징 바디(213)의 하단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배출구(212)는 제2 하우징 바디(213)의 상단에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흡입구(211) 및 제2 배출구(212)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하우징(210)의 상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1 하우징(110) 내부의 공간을 상방에서 커버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1 하우징(110)의 상면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배출구(212)에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배출구(212)의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배출구(212)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하우징 바디(21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제2 상부 커버(214)는 외측 테두리 방향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제2 상부 커버(214)는 상방을 향할수록 폭이 넓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된 공기를 외측 방향으로 확산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상부 커버(214)는 대략 디퓨저(diffuser)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상부 커버(214)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상면을 형성하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하우징 바디(213) 및 제2 상부 커버(214)는 서로 분리된 구성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달리, 일 예로 제2 하우징 바디(213) 및 제2 상부 커버(214)는 서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배출구(212)에 마련되는 제2 배출구 그릴(212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배출구(212)를 통해 공기가 출입할 수 있도록 그릴의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배출구(212)는 제2 유로(P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유로(P2)의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상부 커버(214)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상부 커버(214)를 지지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상부 커버(214)의 내측 테두리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상부 커버(214)의 내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배출구 그릴(212a)은 제2 배출구(212)를 통해 공기가 배출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달리, 제2 배출구(212)는 제2 하우징 바디(213)의 측면 등 제2 하우징(210)의 다양한 위치 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응하여, 제2 배출구 그릴(215)은 다양한 위치 상에 마련될 수 있고,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하우징(21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하고, 내부에 제2 유로(P2)가 마련되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내부 프레임(2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하우징(210)의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하우징(210)의 내면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하우징(210)의 내면을 지지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부품 중 적어도 일부를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40), 반사 커버(270), 광 차단부재(280) 등은 제2 내부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 컨트롤 패널(80) 등도 제2 내부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하우징(21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하우징 바디(213)에 의해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이 커버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상부커버(214)에 의해 수직 방향으로의 상방이 커버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도 6 등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나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은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일체의 제2 내부 프레임(220)을 구성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분해 또는 조립이 용이해질 수 있고,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내부 구성에 대한 사용자의 접근성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일체로 형성되는 단일의 구성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내부에는 대략 실린더 형상의 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내부 공간에는 광원(240), 반사 커버(270) 등이 배치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내부 공간에는 제2 유로(P2)의 적어도 일부가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내부 공간에는 후술하는 조사 영역(RI)이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내부 프레임(220)은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내부 프레임(220)의 내부에 형성된 공간은 실린더 형상이 아닌 다른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제2 내부 프레임(220)은 내부에 공간을 형성하거나 제2 유로(P2)의 외측을 커버하지 않은 채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각종 부품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제2 유닛 결합부(23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 결합부(230)는 후술하는 제1 유닛 결합부(130)에 결합되어,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결합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유닛 결합부(230)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유닛 결합부(23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제1 유닛 결합부(130)를 향하여 연장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유닛 결합부(230)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홀(230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닛 결합부(230)는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에 지지될 수 있다. 제2 유닛 결합부(230)는 제2 팬 가드(262)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결합되도록 마련되는 다양한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팬(2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250)은 제2 유로(P2)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250)은 제2 흡입구(211)와 제2 배출구(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250)은 회전함에 따라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팬(250)의 흡입력에 의해 제2 공기청정유닛(20) 외부의 공기는 제2 흡입구(211)로 흡입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로 흡입된 공기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될 수 있고, 제2 배출구(212)로 배출될 수 있다.
제2 팬(250)은 후술하는 광원(240)과 제2 흡입구(21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2 흡입구(211)로 흡입된 공기는 제2 팬(250), 광원(240)을 순차적으로 지나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일 예로 제2 팬(250)은 광원(240)과 제2 배출구(212)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팬(250)은 광원(240)과 제2 흡입구(211)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한다.
제2 팬(250)은 제2 블레이드(251), 제2 블레이드(251)에 동력을 공급하는 제2 모터(252), 제2 블레이드(251) 및 제2 모터(252)에 연결되어 제2 모터(252)에서 발생된 동력을 제2 블레이드(251)에 전달하는 제2 팬 회전축(253)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250)은 제2 블레이드(251), 제2 모터(252), 제2 팬 회전축(253) 등이 지지되는 제2 팬 케이스(2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블레이드(251), 제2 모터(252), 제2 팬 회전축(253)는 제2 팬 케이스(254)에 수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팬 케이스(254)는 제2 팬(250)의 제2 모터(252)를 지지할 수 있다. 제2 모터(252)는 제2 팬 케이스(254)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팬(250)의 제2 블레이드(251)는 제2 모터(252)에 대해 제2 팬 회전축(253)을 기준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되므로, 제2 팬 케이스(254)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2 블레이드(251)는 제2 팬 케이스(25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제2 팬 케이스(254)는 제2 팬 케이스(254) 내부로 공기가 유입되도록 형성되는 팬 유입구(254a) 및 제2 팬 케이스(254) 외부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형성되는 팬 배출덕트(25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팬 유입구(254a) 및 팬 배출덕트(254b)를 관통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250)이 구동됨 따라 제2 유로(P2) 내의 공기는 팬 유입구(254a) 및 팬 배출덕트(254b)를 통과하며 유동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팬(250)은 팬 유입구(254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팬 배출덕트(254b)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서로 상이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팬 유입구(254a)를 통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은 제2 팬 회전축(253)과 나란할 수 있다. 팬 배출덕트(254b)를 통해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은 제2 팬 회전축(253)과 직교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팬 배출덕트(254b)는 제2 팬 회전축(25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팬 배출덕트(254b)는 공기가 광원(240)을 향하여 제2 팬 회전축(25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팬(250)은 원심팬 타입으로 구성될 수 있다.
제2 팬(250)은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팬(250)은 서로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팬(250) 각각은 광원(240)을 향하여 제2 팬 회전축(253)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공기를 배출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제2 팬(250) 각각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은 제2 유로(P2)가 연장되는 방향, 예를 들어 상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마련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제2 팬(250) 중 일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과, 복수의 제2 팬(250) 중 다른 일부에서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이 상하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은 서로 반대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제2 팬(250) 각각에서 팬 배출덕트(254b)는 제2 유로(P2)의 중심축에서 소정의 거리만큼 이탈되게 위치될 수 있고, 여기에서 팬 배출덕트(254b)는 공기가 배출되는 외측 단부가 제2 유로(P2)의 중심축과 가까워지도록 연장되는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2 팬(250)의 형상, 배치, 개수 등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팬(250)은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팬(250)은 축류팬 등 다양한 타입의 팬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팬(250)은 단수로 마련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2 팬(25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제2 유로(P2)를 따라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압력을 발생시키는 구성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250)은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은 제2 내부 프레임(22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은 제2 내부 프레임(22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은 제2 유닛 결합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팬 지지 프레임(261)은 제2 유닛 결합부(23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팬(250)은 다양한 구성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유로(P2)에서 제2 팬(250)의 상류에 배치되는 제2 팬 가드(2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 가드(262)는 제2 팬(250)의 제2 흡입구(211) 방향 일 측을 커버할 수 있다. 제2 팬 가드(262)는 제2 팬(250)과 제2 흡입구(21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팬 가드(262)는 팬 가드 홀(262a)을 포함할 수 있다. 팬 가드 홀(262a)은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공기는 팬 가드 홀(262a)을 지나 제2 팬(250)을 향해 유동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240)을 포함할 수 있다. 광원(240)은 제2 유로(P2)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은 살균이 가능한 영역대의 파장을 가질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에 존재하는 세균, 바이러스 등 유기물은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에 의해 파괴되어 제거될 수 있다. 즉, 광원(240)은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살균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광원(24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하도록 마련되는 반사 커버(270)를 포함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제2 유로(P2)에 마련될 수 있다.
광원(240)과 마주하는 반사 커버(270)의 내면은 광 반사율이 높은 소재를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커버(270)의 내면에는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 소재가 도금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반사 커버(270)는 일체로 광 반사율이 높은 금속 소재의 플레이트로 구성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을 둘러싸도록 벤딩되게 형성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커버(270)는 복수의 평평한 판 형상을 포함하고, 복수의 판 형상은 서로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광원(240)을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사 커버(270)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반사 커버(270)는 각각 광원(24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반사 커버(270) 중 일부는 광원(240)의 일측을 커버할 수 있고, 복수의 반사 커버(270) 중 다른 일부는 광원(2400의 타측을 커버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반사 커버(270)는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의 외측에서 광원(24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반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유로(P2)는 광원(240)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는 조사 영역(RI)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의 내부로 유입된 공기는, 조사 영역(RI)을 지나면서 살균되어 세균, 바이러스 등 유기물이 제거될 수 있다.
조사 영역(RI)은 반사 커버(27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조사 영역(RI)은 반사 커버(270)에 의해 둘러싸여 외측이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커버(270)는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에서 조사 영역(RI)을 커버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원(24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반사 커버(270)에 반사되어 조사 영역(RI)의 외부 영역으로 입사되지 않을 수 있고, 광원(240)의 살균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조사 영역(RI)의 외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광 차단부재(2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는 제2 유로(P2)에 마련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광 차단부재(280)는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조사 영역(RI)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면서, 동시에 조사 영역(RI) 외부의 공기가 광 차단부재(280)를 통해 조사 영역(RI) 내부로 유동되거나, 조사 영역(RI) 내부의 공기가 광 차단부재(280)를 통해 조사 영역(RI)의 외부로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차단부재(280)는 제1 광 차단부재(280a), 제2 광 차단부재(280b) 및 제3 광 차단부재(280c)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광 차단부재(280a)는 제2 흡입구(211)를 향하는 조사 영역(RI)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광 차단부재(280b) 및 제3 광 차단부재(280c)는 제2 배출구(212)를 향하는 조사 영역(RI)의 타측에 마련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사 영역(RI)의 제2 배출구(212)를 향하는 타측에는 복수의 광 차단부재(280b, 280c)가 마련되어, 자외선이 제2 배출구(212) 등을 통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방출되고 사용자의 생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제1 광 차단부재(280a) 및 제2 광 차단부재(280b)는 광원(240)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1 광 차단부재(280a) 및 제2 광 차단부재(280b)는 광원(240)의 양단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조사 영역(RI)은 제1 광 차단부재(280a) 및 제2 광 차단부재(280b)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광 차단부재(280a) 및 제2 광 차단부재(280b)는 조사 영역(RI)의 양단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광 차단부재(280a) 및 제2 광 차단부재(280b)는 조사 영역(RI)의 상하 방향으로의 양단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원(240)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은 광 차단부재(280)에 의해 차단되어 조사 영역(RI)의 외부 영역으로 입사되지 않을 수 있고, 조사 영역(RI)의 외부 영역에 마련되는 공기청정기(1)의 부품이 자외선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자외선이 제2 배출구(212) 등을 통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방출되어 사용자의 생활 공간으로 유입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의 구성 및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청정기(1)는 컨트롤 패널(80)을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은 입력 버튼(81) 및 디스플레이(82)를 포함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 패널(80)은 제2 내부 프레임(22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컨트롤 패널(80)은 제3 광 차단부재(280c)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컨트롤 패널(8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배출구(212)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배출구(212)는 제2 상부 커버(214)에 의해 외측 테두리 방향으로 커버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한다.
공기청정기(1)의 제어장치(50)는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인쇄회로기판에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전자부품이 실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제2 내부 프레임(220)에 지지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가 장착되도록 마련되는 기판장착부(221)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이 복수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경우, 기판장착부(221)는 제2 내부 프레임(220)을 구성하는 복수의 프레임 중 적어도 일부에 마련될 수 있다.
제2 내부 프레임(220)은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를 커버하는 기판장착커버(222)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장착커버(222)는 기판장착부(221)에 분리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기판장착커버(222)는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를 보호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컨트롤 패널(80), 광원(240), 제2 팬(250) 등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에 배치되는 각종 부품들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전술한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와 유선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로부터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명령을 전달 받을 수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기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를 포함하는 복수의 기판은 서로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단수의 기판을 포함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에 대한 특징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다양한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도 6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을 설명하기 위한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공기청정유닛은 제2 유로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를 정화시키는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다양한 구성을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중간 덕트 및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확대한 확대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를 연결하는 연결유로(CP)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유로(P1) 및 제2 유로(P2)의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어 제2 유로(P2)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제2 흡입구(211)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와 제2 흡입구(211)의 사이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유로(CP)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되어 연결유로(CP)로 유입된 공기가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제1 유로(P1) 내의 공기가 제2 유로(P2)로 유입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이 동시에 구동될 시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제1 유로(P1) 내로 유입된 공기는 연결유로(CP)에 의해 제2 유로(P2)로 유입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150)은 구동되지 않고 제2 팬(250)이 구동될 시,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는 제2 팬(250)의 흡입력에 의해 제1 배출구(112)를 통해 제1 유로(P1)로 유입될 수 있고, 제1 유로(P1)로 유입된 공기는 다시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되어 연결유로(CP)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로 유입된 공기는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입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흡입구(211)를 향하는 방향,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에서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연결유로(CP)를 따라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제1 유로(P1), 제2 유로(P2) 및 연결유로(CP)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로(P1), 제2 유로(P2) 및 연결유로(CP)는 각각 공기청정기(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이 동시에 구동될 시 제1 흡입구(111)를 통해 제1 하우징(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유로(P1), 연결유로(CP) 및 제2 유로(P2)를 따라 대략 나란한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 내에서 공기가 유동되는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연결유로(CP)가 연장되는 방향은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배치, 제1 배출구(112)와 제2 흡입구(211)의 형상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중간 덕트(3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중간 덕트(30)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 및 제2 하우징(210)의 하부를 연결할 수 있다.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은 중간 덕트(30)에 의해 서로 연통될 수 있다.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는 중간 덕트(30)에 의해 연통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중간 덕트(30)의 내측에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연결유로(CP)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연결유로(CP)를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제2 흡입구(211)로 유입되도록 안내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간 덕트(30)에 의해 제2 흡입구(211)로 안내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중간 덕트(30)로 유입된 공기가 연결유로(CP)를 따라 제2 하우징(210)으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간 덕트(30)로 유입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2 흡입구(211)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중간 덕트(30)를 따라 유동된 공기의 전부는 제2 하우징(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에서 제2 흡입구(211)를 향하는 방향, 일 예로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중간 덕트(30)로 유입되어 상방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으로 유입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중간 덕트(30)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한 일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중간 덕트(30)는 덕트 바디(31) 및 덕트 바디(31)의 내측에 형성되는 덕트 중공부(32)를 포함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덕트 중공부(32)에 의해 내측이 관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덕트 중공부(32)는 제1 하우징(110)에서 제2 하우징(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덕트 중공부(32)는 제1 배출구(112)에서 제2 흡입구(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덕트 중공부(3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내측에 연결유로(CP)가 형성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연결유로(CP)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연결유로(CP)는 덕트 중공부(32)에 배치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을 연결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 및 제2 하우징(210)의 하부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덕트 바디(31)는 제2 흡입구(211)의 전체를 커버할 수 있다.
덕트 바디(31)의 일측은 제2 하우징(2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덕트 바디(31)의 일측은 배출유로 가이드(40)에 결합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덕트 바디(31)는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에 각각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제1 유닛 결합부(13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제1 유닛 결합부(130)는 덕트 중공부(32)를 관통하여, 제2 유닛 결합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연결유로(CP)는 덕트 바디(31)의 내주면과 제1 유닛 결합부(130)의 외주면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중간 덕트(30)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중간 덕트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 중 연결유로(CP)로 유입된 일부가 아닌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DP)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어 공기청정기(1)의 외측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출유로(DP)가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는 영역은, 제1 배출구(112)에 인접하도록 위치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연결유로(CP)의 테두리 외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출유로(DP)는 연결유로(CP)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일부는 연결유로(CP)를 따라 내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고, 제1 배출구(112)를 통해 배출된 공기의 다른 일부는 배출유로(DP)를 따라 외측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연결유로(CP)가 연장되는 방향과 상이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연결유로(CP)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고, 배출유로(DP)는 상하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연결유로(CP)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출유로(DP)는 연결유로(CP) 내지 중간 덕트(30)와 멀어지는 방향으로 공기가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유로(DP)는 제1 배출구(112)의 외측 테두리 방향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40)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 중 연결유로(CP)로 유동되지 않은 공기의 일부가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되도록 공기의 유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배출유로 가이드(40)에 의해 일측이 커버될 수 있다. 배출유로(DP)의 타측은 제1 하우징(110), 예를 들어 제1 배출구 커버(116) 내지 제1 상부 커버(115)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외측에서 제1 배출구(112)와 마주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를 상방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112)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배출구(112)가 공기청정기(1)의 수평 방향으로 연장될 경우, 배출유로 가이드(40) 또한 이에 대응되게 연장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공기청정기(1)에 대해 수평 방향 내지 이에 유사한 방향으로 유동되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하우징(110)에 결합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의 상부에 결합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중간 덕트(30)의 외측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중간 덕트(30)의 외측을 둘러싸도록 형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외측 테두리와 제1 배출구(112)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개구(OP)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개구(OP)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외측 단부와 상부 커버(115)의 외측 단부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 개구(OP)는 제1 배출구(112)의 테두리와 나란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로(DP)는 제1 배출구(112)의 적어도 일부에서 가이드 개구(OP)를 향해 연장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는 배출유로(DP)의 일단에 마련될 수 있고, 가이드 개구(OP)는 배출유로(DP)의 타단에 마련될 수 있다.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이 동시에 구동되거나 제1 팬(150)만 단독으로 구동될 시, 가이드 개구(OP)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가 배출유로(DP)에서 배출되는 출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되지 않고 제2 팬(250)만이 단독으로 구동될 시, 가이드 개구(OP)는 외부의 공기가 배출유로(DP)로 유입되는 입구로서 기능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에 의해, 연결유로(CP)로 향하여 유동되는 공기와 배출유로(DP)로 향하여 유동되는 공기는 서로 구획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한 일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면(41)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배출구(112)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면(41)에 의해 유동이 가이드될 수 있다.
가이드면(41)은 배출유로(DP)와 마주하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41)은 제1 배출구(112)와 마주하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일면에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면(41)은 제1 배출구(112)의 연장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면(41)은 공기청정기(1)의 수평 방향에 대해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면(41)은 배출유로 가이드(40)의 테두리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상향 경사지게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면(41)은 제1 상부 커버(115)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진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면(41)은 배출유로(DP)에 대해 오목하게 함몰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면(4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테두리 외측 방향을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면(41)의 기울기는 배출유로(DP)를 따라 공기가 배출되는 방향을 향할수록 수평 방향에 가까워지는 경사를 가질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면(41)의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는 제1 배출구(112)에서 가이드 개구(OP)를 향하는 방향을 따라 점진적으로 낮아질 수 있다.
가이드면(41)은 곡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배출유로 가이드(40)의 내측에 형성되는 가이드 중공부(42)를 포함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가이드 중공부(42)에 의해 내측이 관통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가이드 중공부(42)는 제1 하우징(110)에서 제2 하우징(210)을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가이드 중공부(42)는 제1 배출구(112)에서 제2 흡입구(211)를 향하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 중공부(42)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중간 덕트(3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가이드 중공부(42)는 중간 덕트(30)에 의해 관통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가이드 중공부(42)를 관통하여 제1 하우징(110)과 제2 하우징(210)을 연결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유닛 결합부(130)는 중간 덕트(30)의 덕트 중공부(32)를 관통하여 제2 유닛 결합부(230)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유닛 결합부(130)는 덕트 중공부(32)와 동시에 가이드 중공부(42)를 함께 관통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하우징(110)의 상부, 일 예로 제1 배출구 커버(116)에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배출구 커버(116)에 마련되는 후술하는 중앙부(116a)에 스크류(미도시)에 의해 체결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제1 하우징(110), 제2 하우징(210), 중간 덕트(30) 등 다양한 구성에 다양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배출유로 가이드(40)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0)은 제1 배출구(112)를 커버하는 배출구 커버(11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된 공기는 제1 배출구 커버(116)를 지나 제1 하우징(110)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배출구 커버(116)의 구체적인 형상에 관한 일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제1 배출구 커버(116)는 중앙부(116a)와, 중앙부(116a)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는 엣지 그릴(116b)을 포함할 수 있다. 중앙부(116a)는 제1 하우징(110)의 상측 중앙을 커버할 수 있다. 엣지 그릴(116b)은 제1 하우징(110)의 상측의 둘레 부분을 커버할 수 있다. 엣지 그릴(116b)는 관통되는 형상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150)이 구동될 시,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엣지 그릴(116b)의 관통되는 형상을 통과하여 가 배출유로(DP)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팬(150)은 구동되지 않고 제2 팬(250)은 구동될 시, 공기청정기(1) 외부의 공기는 배출유로(DP)를 따라 유동되어, 엣지 그릴(116b)의 관통되는 형상을 통과하며 제1 하우징(110) 측으로 유입될 수 있다.
엣지 그릴(116b)은 배출유로 가이드(40)에 의해 일측이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배출유로 가이드(40)는 엣지 그릴(116b)의 적어도 일부를 상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배출유로 가이드(40)의 가이드면(41)은 엣지 그릴(116b)의 적어도 일부와 마주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중앙부(116a)는 엣지 그릴(116b)에서 연결유로(CP)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부(116aa)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부(116aa)는 엣지 그릴(116b)에서 연결유로(CP)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aa)는 중앙부(116a)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aa)는 복수의 리브(rib) 구조에 의해 구획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aa)는 연결유로(CP)를 향할수록 연결유로(CP)가 연장되는 방향과 나란해지는 방향의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가이드부(116aa)의 기울기 방향은 연결유로(CP)를 향할수록 연결유로(CP)의 연장 방향과 이루는 각도가 작아질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116aa)는 연결유로(CP)와 가까워질수록 수평 방향에 대한 기울기가 증가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116aa)는 오목한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가이드부(116aa)는 곡면 형상을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가이드부(116aa)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할 수 있다. 중간 덕트(30)는 가이드부(116aa)의 연결유로(CP) 측 일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중앙부(116a)는 전술한 제1 유닛 결합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유닛 결합부(130)는 중앙부(116a)로부터 상측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가이드부(116aa)는 제1 유닛 결합부(13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는 가이드부(116aa)를 따라 연결유로(CP)로 유동될 수 있고,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배출유로(DP)로 유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제1 배출구 커버(116)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제1 배출구 커버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광원 및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서 광원으로부터 조사된 빛의 진행 경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광원 및 공기청정기의 일부 구성을 절개하여 도시한 단면사시도이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광원(24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 공기청정기(1)는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240)을 포함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제1 하우징(110) 내의 제1 유로(P1)에 마련되는 집진필터(140)와 제2 하우징(210) 내의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240)을 각각 포함하여, 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광원(240)은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포함되는 일 구성일 수 있다.
광원(240)은 조사 영역(RI)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원(240)은 세균, 바이러스 등의 유기물을 제거하기에 적합한 파장 영역의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원(240)은 UV-C 파장 영역(예를 들어, 대략 250~260nm 정도의 범위를 갖는 파장 영역)을 포함하는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측면에서, 광원(240)은 살균 장치, 살균 램프 등으로 지칭될 수 있다.
살균 장치에 적용되는 광원(240)은, 열음극관 형광램프(Hot Cathode Florescent Lamp, HCFL), 냉음극관 형광램프(Cold Cathode Florescent Lamp, CCFL)과 같이 유리관 내부의 내부 전극을 이용하는 방식과 외부전극 형광램프(External Electrode Fluorescent Light, EEFL)과 같이 유리관 외부 전극을 이용하는 방식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광원(240)이 외부전극 형광램프 방식으로 구성됨을 전제로, 광원(240)의 구체적인 구성 및 동작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광원(240)은 광(L)이 출사되는 램프 바디(241) 및 전원을 인가 받기 위한 전극부(242)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바디(241)는 대략 실린더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램프 바디(241)는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램프 바디(241)는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램프 바디(241)는 자외선이 투과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석영관(Quatz), 붕규산 유리(Borosilicate) 등의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램프 바디(241)는 내부에 중공으로 마련되는 방전공간(S)를 포함할 수 있다. 램프 바디(241)의 내부에는 방전을 통해 자외선이 발광되기 위한 가스(미도시)가 수용될 수 있다. 방전을 통해 자외선을 발광하는 가스로는 희가스 등이 이용될 수 있다. 바닥상태에 있는 희가스 등의 가스에 전압을 가하면, 들뜬 상태의 이합체 분자(이하 '엑시머(excimer, excited dimer)')가 생성될 수 있다. 엑시머는 불안정한 상태에 있으므로 즉시 바닥상태로 돌아가게 되며, 이 과정에서 자외선이 발생될 수 된다. 램프 바디(241)의 내부의 봉입되는 희가스는 제논(Xe) 및 제논 혼합가스(Xe, Ar, Ne 등)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램프 바디(241)의 내벽에는 제논의 발광 파장 영역(예를 들어, 대략 172nm)를 살균파장 영역(예를 들어, 대략 250~260nm)으로 변환할 수 있는 형광체(미도시)를 코팅할 수 있다. 다만 램프 바디(241)의 내부에 수용되는 가스는 제논 등 희가스 및 희가스의 혼합 가스에 한정되지 않으며, 램프 바디(241)의 내부에는 방전을 통해 자외선 영역의 빛이 발생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종류의 가스가 수용될 수 있다. 램프 바디(110)의 내벽에는 발광되는 자외선의 파장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형광체가 도포될 수 있다.
광원(240)은 램프 바디(241)의 외면에 배치되는 외부 전극(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외부 전극은 램프 바디(241)의 연장 방향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외부 전극은 램프 바디(241)의 외면 상에 배치되고, 램프 바디(241)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외부 전극은 한 쌍의 외부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은, 램프 바디(24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램프 바디(241)의 외주면 상에서 서로 대향되게 배치될 수 있다.
외부 전극은 램프 바디(241)의 외면에 얇은 테이프의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외부 전극은 도전성 있는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전극은 금, 은, 니켈, 카본, 금 팔라듐, 은 팔라듐, 백금, 알루미늄 등이나 이들의 합금과 같이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극부(242)는 광원(240)의 외부에 마련된 장치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전극부(242)는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전극부(24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도록, 도전성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극부(242)는 도전성 있는 금속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전극부(242)는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아, 램프 바디(241)의 외면에 마련되는 외부 전극에 전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극부(242)는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전극부(242)는 한 쌍으로 마련되어 램프 바디(241)의 양단에 각각 고정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부(242)는 서로 다른 극의 전압을 인가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부(242)는 각각 한 쌍의 외부 전극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 중 어느 하나는 한 쌍의 전극부(242) 중 어느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한 쌍의 외부 전극 중 다른 하나는 한 쌍의 전극부(242) 중 다른 하나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한 쌍의 외부 전극은 서로 다른 극의 전압을 인가 받을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광원(240)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포함되는 광원의 일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광원(240)을 고정시키도록 마련되는 광원 고정부재(290)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원(240)의 전극부(242)를 고정시킬 수 있다.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원(240)의 전극부(242)의 개수에 대응하여, 한 쌍으로 마련될 수 있다. 한 쌍의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원(240)의 연장 방향과 나란하게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광원 고정부재(290)는 상하 방향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전극부(242)는 한 쌍의 광원 고정부재(290)에 각각 삽입될 수 있다. 한 쌍의 전극부(242)는 한 쌍의 광원 고정부재(290)에 각각 접속되어, 전원을 인가 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 차단부재(280)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일 예로, 한 쌍의 광원 고정부재(290) 중 어느 하나는 제1 광 차단부재(280a)에 의해 지지될 수 있고, 한 쌍의 광원 고정부재(290) 중 다른 하나는 제2 광 차단부재(280b)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광 차단부재(280)는 광원 고정부재(290)를 지지함에 따라 전극부(242)를 지지할 수 있고, 광원(240)을 지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광 차단부재(280)는 전극부(242)를 직접 지지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원(240)은 외부로부터 전원을 인가 받을 수 있고,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조사 영역(RI)에서의 광원(240)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광원(240)은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광원(240)이 연장되는 방향은 광원(240)으로부터 자외선(L)이 조사되는 조사 영역(RI)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나아가, 광원(240)이 연장되는 방향은 제2 유로(P2)가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조사 영역(RI)은 광원(240)과 대응되도록 일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광원(240) 내지 조사 영역(RI)이 연장되는 방향은 공기청정기(1)의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L)의 적어도 일부를 반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과 대응되도록 광원(240)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조사 영역(RI)과 대응되도록 조사 영역(RI)의 연장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일 예로, 반사 커버(270)가 연장되는 방향은 공기청정기(1)의 상하 방향일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원(240)을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조사 영역(RI)의 외측을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조사 영역(RI)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조사 영역(RI)을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 차단부재(28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외측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 차단부재(280)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 차단부재(280)의 측면의 적어도 일부를 수평 방향으로의 측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반사 커버(270)는 광 차단부재(280)의 측면 내지 테두리와 대응되는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는 제2 유로(P2)에 마련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는 조사 영역(RI)의 일 방향(즉, 광원(240), 조사 영역(RI) 등의 연장 방향)으로의 일측에 마련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복수의 광 차단부재(280a, 280b)는 조사 영역(RI)의 일 방향으로의 양 측에 각각 마련될 수 있다.
조사 영역(RI)은, 제2 유로(P2)의 일 구성으로서 공기가 유동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하며, 따라서 광 차단부재(280)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마련되어야 한다. 이는, 광 차단부재(280)가 조사 영역(RI)의 일 방향으로의 일측에 배치될 수 있기 때문에 더욱 그러하다.
다만,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L)은 높은 에너지를 가질 수 있어, 조사 영역(RI)의 외부로 방출될 시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다른 부품들이 손상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또한, 자외선(L)이 제2 배출구(212)를 통해 방출될 시, 사용자의 생활 공간으로 유입될 가능성이 존재한다.
광 차단부재(280)는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L)이 조사 영역(RI)의 외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광 차단부재(280)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차단부재(280)는 복수의 그릴부(281)와, 복수의 그릴부(281) 사이에 형성되고 제2 유로(P2) 상의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통기부(282)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하우징(210)으로 유입된 공기는 제1 광 차단부재(280)의 통기부(281)를 통해 조사 영역(RI)으로 유입될 수 있고, 제2 광 차단부재(280) 및 제3 광 차단부재(280)의 통기부(281)를 통해 조사 영역(RI)에서 배출되어, 제2 배출구(212)로 유동될 수 있다.
복수의 그릴부(281) 각각은, 서로 인접한 그릴부(281)와 마주하는 일면(281a)이 조사 영역(RI)이 연장되는 일 방향과 경사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복수의 그릴부(281) 각각은 조사 영역(RI)이 연장되는 일 방향과 경사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그릴부(281) 각각이 서로 인접한 그릴부(281)와 마주하는 일면을 경사면(281a)이라고 지칭한다.
경사면(281a)이 조사 영역(RI)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통기부(282) 또한 이에 대응되도록 조사 영역(RI)이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L)의 일부는 광 차단부재(280)를 향해 입사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를 향해 입사된 자외선(L)은 경사면(281a)에 의해 직진 경로가 차단될 수 있다. 경사면(281a)에 입사된 자외선(L)은 경사면(281a)에 의해 흡수되거나, 조사 영역(RI)을 향해 다시 반사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는 자외선(L)이 투과될 수 없도록 불투명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로 입사된 자외선(L)은 광 차단부재(280)에 의해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차단부재(280)의 광 반사율은 반사 커버(270)의 광 반사율보다 낮도록 구성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 차단부재(280)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가 통과하는 것은 허용하되, 광원(240)에서 조사된 자외선(L)은 조사 영역(RI)의 외부로 입사되는 것은 방지할 수 있다.
광 차단부재(280)는 광원(240)을 지지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지지부(283)를 포함할 수 있다. 광원 지지부(283)는 광원(240)의 일부가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광원 지지부(283)는 광원(240)의 램프 바디(241)의 단부에 의래 관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원 지지부(283)의 내측에는 전극부(241)를 고정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고정부재(290)가 수용될 수 있다. 광원 지지부(283)는 광원 고정부재(290)를 지지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원(240)을 지지할 수 있다. 즉, 광 차단부재(280)는 광원(240)을 지지 내지 고정하는 기능도 함께 수행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전술한 그릴부(281) 및 통기부(282)는 광원 지지부(283)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그릴부(281) 및 통기부(282)는 광원 지지부(283)를 둘러싸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광 차단부재(280)는 다양한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 차단부재(28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원 지지부(283)에 의해 일 방향(즉, 광원(240), 조사 영역(RI) 등의 연장 방향)으로 커버될 수 있다. 일 예로, 광 차단부재(280)는 광원 고정부재(290)를 조사 영역(RI)을 향하는 방향에서 커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광원 고정부재(290)는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L)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L)의 적어도 일부는 반사 커버(270)에 의해 반사될 수 있고, 조사 영역(RI)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 중 유기물을 제거할 수 있다. 또한,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L)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광 차단부재(280)를 향해 입사될 수 있으며, 광 차단부재(280)에 의해 흡수되거나 반사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광원(240) 내지 조사 영역(RI)에 마련되는 구성에 대한 특징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이용하여 제2 유로 상의 유기물을 제거하기 위한 구성의 일 예시에 불과하다. 본 개시의 사상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은 LED(Light Emitting Diode)에 의한 점광원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은 복수의 LED가 일 방향으로 연장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또한, 일 예로,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 조사 영역, 반사 커버 등은 일 방향으로 나란하게 연장되지 않을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경우, 광원은 조사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반사 커버는 조사 영역에 균일하게 광이 조사될 수 있도록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이 때, 조사 영역의 적어도 일측에는 광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조사 영역의 외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광 차단부재가 마련될 수 있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장치(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장치(50)는 프로세서(51)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전술한 제1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2) 내지 제2 인쇄회로기판 어셈블리(53) 등에 의해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전원공급부(70), 제1 팬 드라이브(150d), 제2 팬 드라이브(250d), 전기집진필터(140), 광원(240)에 각각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전원공급부(70), 제1 팬 드라이브(150d), 제2 팬 드라이브(250d), 전기집진필터(140), 광원(240)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은 사용자와 상호 작용을 위한 유저 인터페이스를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20 등에서는 컨트롤 패널(80)이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상부에 배치되는 실시예에 대해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고 컨트롤 패널(80)은 공기청정기(1) 상의 다양한 위치에 마련될 수 있다.
컨트롤 패널(80)은 입력 버튼(81) 및/또는 디스플레이(82)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81)은 공기청정기(1)의 동작과 관련된 사용자 입력을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81)은,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온/오프하기 위한 전원 버튼, 공기청정기(1)의 풍량을 제어하기 위한 풍량 버튼,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예: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동작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동작을 동시에 실행하는 모드(이하 '제1 모드(1A)'라고 지칭, 도 16 참조),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동작만을 실행하는 모드(이하 '제2 모드(1B)'라고 지칭, 도 17 참조),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동작만을 실행하는 모드(이하 '제3 모드(1C)'라고 지칭, 도 18 참조)를 선택하기 위한 운전 모드 버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입력 버튼(81)은 사용자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사용자 입력 신호) (예를 들어,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프로세서(51)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사용자 입력 신호를 처리하는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입력 버튼(81)은, 택트 스위치(tact switch), 푸시 스위치, 슬라이드 스위치, 토클 스위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터치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는 프로세서(51)로부터 공기청정기(1)의 동작 정보를 획득할 수 있으며, 공기청정기(1)의 동작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82)는 사용자에 의하여 선택된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제1 모드(1A), 제2 모드(1B), 제3 모드(1C) 등)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는 공기청정기(1)의 풍량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82)는 센서(90)에 의해 측정된 공기의 상태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공기 중 먼지, 가스, 유기물 등의 농도)를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는 예를 들어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또는 발광 다이오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82)는 입력 버튼(81)과 일체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입력 버튼(81)의 뒤 또는 입력 버튼(81)의 내부에는 광을 방출하기 위한 복수의 발광 다이오드들이 마련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컨트롤 패널(80)은 디스플레이와 터치 패드가 일체화된 터치 스크린을 포함할 수 있다.
센서(90)는 공기청정기(1)의 주변 공기를 감지하고, 공기의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다른 표현으로, 센서(90)는 공기청정기(1)가 설치된 실내의 공기 상태를 측정할 수 있다.
센서(90)가 측정하는 공기의 상태에 관한 정보는, 예를 들어 공기 중 먼지의 농도, 공기 중 이산화탄소 농도, 공기 중 기타 유해 가스(예: 총휘발성유기화합물(TVOC, Total Volatile Organic Compounds))의 농도,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90)는 측정된 공기의 상태(예를 들어, 공기 중 먼지 농도, 이산화탄소 농도, 유해 가스 농도, 유기물 농도 등)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예를 들어, 전압 신호 또는 전류 신호)를 프로세서(51)에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센서(90)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 주변 공기의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센서(90)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배치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센서(90)는 제1 내부 프레임(120)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110)에 마련되는 센싱홀(113a)을 통해 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센서(90)는 다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일 예로, 센서(90)는 제1 흡입구(111)에 인접한 위치에 배치되어 제1 흡입구(111)로 흡입된 공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센서(90)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마련되어 외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센서(90)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유로(P2) 내의 공기를 감지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센서(90)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감지하는 플로우 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우 센서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플로우 센서는 조사 영역(RI)의 내부에 배치되어, 조사 영역(RI)을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센서(90)는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감지하는 플로우 센서(미도시)로 구성될 수 있다. 플로우 센서는 중간 덕트(30)의 내부에 마련되어,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신호에 기초하여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팬(1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팬 드라이브(150d)는 프로세서(51)에서 제1 팬(150)의 구동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1 팬 드라이브(150d)는 프로세서(51)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팬(1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팬(250)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팬 드라이브(250d)는 프로세서(51)에서 제2 팬(250)의 구동에 관한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제2 팬 드라이브(250d)는 프로세서(51)에서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2 팬(250)의 구동을 제어할 수 있다.
통신 모듈(60)은 프로세서(51)의 제어에 따라 서버 및/또는 사용자 장치 등의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
통신 모듈(60)은 외부 장치들과 유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선 통신 모듈(61)과, 외부 장치들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모듈(62)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61)은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들와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61)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2)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2)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외부 장치들과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통신 모듈(122)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62)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외부 장치들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62)은 외부 장치들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62)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외부 장치들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 모듈(60)은 외부 장치들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통신 모듈(60)은 외부 장치들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서(51)로 전달할 수 있으며, 프로세서(51)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외부 장치들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프로그램 및 데이터를 기억 및/또는 저장하는 메모리(51a)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1 또는 2 이상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으며, 메모리(51a)는 프로세서(51)와 일체로 마련되거나 또는 프로세서(51)와 분리되어 마련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메모리(51a)에 저장된 프로그램에 따라 데이터 및/또는 신호를 처리하고, 처리 결과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각 구성에 제어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컨트롤 패널(80)의 사용자 입력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 및 공기 상태에 관한 센서(90)의 출력값을 나타내는 전기적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전기적 신호들을 처리한 것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및 측정 공기 상태를 식별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컨트롤 패널(80)의 사용자 입력, 통신 모듈(60)의 통신 데이터 또는 센서(90)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80) 또는 통신 모듈(60)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제1 모드(1A), 제2 모드(1B), 제3 모드(1C) 등) 중 선택된 운전 모드를 입력할 경우, 프로세서(51)는 선택된 운전 모드에 대응하는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구동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컨트롤 패널(80) 또는 통신 모듈(60)과 통신을 수행하는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선택된 풍량을 입력할 경우, 프로세서(51)는 선택된 풍량에 대응하는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는 센서(90)가 측정한 공기 중 먼지, 가스 등의 농도를 식별할 수 있고, 먼지, 가스 등의 농도에 따라 목표하는 풍량을 제공하기 위한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공기 중 먼지, 가스 등의 농도에 관한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1)의 목표 풍량에 관한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제1 팬(150), 제2 팬(250)의 회전 속도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측정된 공기 중 먼지, 가스 등의 농도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1)의 풍량을 결정할 수 있고,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51)는 센서(90)가 측정한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를 식별할 수 있고, 유기물의 농도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이상일 경우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제1 모드(1A)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가 제1 농도값 이하이고 제2 농도값 이상일 경우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제2 모드(1B)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가 제2 농도값 이하일 경우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제3 모드(1C)로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에 관한 데이터와 이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측정된 공기 중 유기물의 농도에 대응하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컨트롤 패널(80)의 사용자 입력, 통신 모듈(60)의 통신 데이터 또는 센서(90)의 출력값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구동을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팬 드라이브(150d), 제2 팬 드라이브(250d), 광원(240), 전기집진필터(140), 전원 공급부(70) 등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공기청정유닛(10)이 동작하는 경우를 제1 동작이라고 지칭하고,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동작하는 경우를 제2 동작이라고 지칭하여, 프로세서(51)에 의한 각 구성의 제어에 대해 설명한다.
프로세서(51)는 제1 동작에서 제1 팬(150)이 회전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할 수 있다. 제1 동작에서, 프로세서(51)는 전기집진필터(14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전기집진필터(14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제2 동작에서 제2 팬(250)이 회전하도록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동작에서,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제1 모드(1A)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이 동시에 이루어지는 경우의 운전 모드이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제1 모드(1A)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이 회전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14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고,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제2 모드(1B)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 제1 동작만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운전 모드이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제2 모드(1B)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은 회전하고 및 제2 팬(250)은 회전하지 않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140)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고, 자외선을 조사하지 않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공기청정기의 제3 모드(1C)는 제1 동작 및 제2 동작 중 제2 동작만이 이루어지는 경우의 운전 모드이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를 제3 모드(1C)로 결정할 경우,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은 회전하지 않고 및 제2 팬(250)은 회전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140)에 전원을 인가하지 않도록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고,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상에서 설명한 공기청정기(1)의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구성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1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동시에 구동될 수 있는 제1 모드(1A)로 운전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유로(P1)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유로(P2)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제1 팬(150) 및 제2 팬(250)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집진필터(140) 및 광원(240)은 동시에 구동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제1 유로(P1)는, 제1 흡입구(111)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제1 배출구(112)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모드(1A)에서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제2 유로(P2)는, 제2 흡입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제2 배출구(212)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모드(1A)에서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연결유로(CP)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공기가 유동되어 제2 흡입구(211)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모드(1A)에서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1 모드(1A)에서, 배출유로(DP)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가 유동되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1 공기청정기(10)에 의해 정화되는 공기의 유량과 제2 공기청정기(20)에 의해 정화되는 공기의 유량이 적절히 설정될 필요가 있다. 다른 표현으로,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과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적절히 설정될 필요가 있다. 이는, 제1 유로(P1)에서 분기되는 연결유로(CP)와 배출유로(DP)를 따라 각각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비율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따른 공기의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 파장 등을 고려하여 제2 유로(P2)에서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속도가 적절히 설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공기가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속도가 지나치게 빠를 경우 자외선에 의해 공기 중 살균이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할 가능성이 있고, 반대로 공기가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속도가 지나치게 느릴 경우 공기의 정화 효율이 감소될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동 속도를 최적화하기 위해, 연결유로(CP)를 통해 공기로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적절히 설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최적화하기 위해, 제1 모드(1A)에서 연결유로(CP)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과 배출유로(DP)로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비율이 적절히 설정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에 의한 살균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대략 0.05 CMM(Cubic Meter per Minute) 정도로 유지되어야 함이 설정될 수 있다. 이러한 공기의 유속과 제2 유로(P2)의 단면적 등을 고려하여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연결유로(CP)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과 배출유로(DP)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이 대략 20 대 80의 비율을 갖는다고 설정될 수 있다.
위에서 기술한 공기의 유속, 유량 비율 등에 대한 수치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제2 유로(P2)에서의 공기의 유속, 연결유로(CP)와 배출유로(DP)의 유량 비율 등을 설정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기술한 하나의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공기청정기(1)에서 공기의 유속, 유량 비율 등은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 파장 등의 특성, 제2 유로(P2)의 길이 내지 단면적, 연결유로(CP) 및 배출유로(DP)의 형상, 기타 공기청정기(1)를 구성하는 각 구성들의 특징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모드(1A)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의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광원(240)은 제1 광량, 제1 광량보다 세기가 센 제2 광량 등 다양한 세기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1 광량", "제2 광량" 등은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칭하는 용어에 불과하며, “제1", "제2" 등의 표현에 의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에 대한 해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제2 팬(250)은 제1 회전 속도, 제1 회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제2 회전 속도 등 다양한 빠르기의 회전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1 회전 속도", "제2 회전 속도" 등은 제2 팬(250)이 회전하는 속도의 빠르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칭하는 용어에 불과하며, “제1", "제2" 등의 표현에 의해 제2 팬(250)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한 해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청정기(1)의 프로세서(51)는 제1 모드(1A)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과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자외선의 광량에 기초하여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제2 팬(25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1A)로 운전되는 공기청정기(1)에서, 사용자 입력이나 센서(90)의 출력값 등을 수신한 프로세서(51)는 공기 정화 속도의 향상 등을 위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증가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제1 회전 속도에서 제2 회전 속도로 변화되도록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제1 광량에서 제2 광량으로 증가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제1 광량에서 제2 광량으로 변화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제1 모드(1A)로 운전되는 공기청정기(1)에서, 사용자 입력이나 센서(90)의 출력값 등을 수신한 프로세서(51)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제2 회전 속도에서 제1 회전 속도로 변화되도록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됨에 따라,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감소되더라도 공기 정화를 위해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제1 광량에서 제2 광량으로 감소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제2 광량에서 제1 광량으로 변화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된 후에 이에 대응되도록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결정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51)는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결정된 후에 이에 대응되도록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되는 단계와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결정되는 단계는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는 불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는 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불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예로, 제1 팬(150)은 다양한 빠르기의 회전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위에서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변화되는 예시를 들어 설명한 바와 같이, 프로세서(51)는 제1 모드(1A)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과 제1 팬(1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자외선의 광량에 기초하여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제1 팬(15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증가될 경우 제1 유로(P1), 연결유로(CP), 제2 유로(P2) 등을 포함하는 전체 유로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원(240)의 광량이 증가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할 수 있고, 조사 영역(RI)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증가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1 팬(15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될 경우 제1 유로(P1), 연결유로(CP), 제2 유로(P2) 등을 포함하는 전체 유로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광원(240)의 광량이 감소되더라도 충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할 수 있고, 조사 영역(RI)으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감소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팬 드라이브(150d, 250d) 또는 광원(240) 등의 제어를 위해 공기의 유속을 다양한 구성에 의해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하는 플로우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각 구성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로우 센서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마련되어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판단된 제1 유로(P1) 내의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제1 팬 드라이브(150d) 또는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로우 센서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마련되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판단된 제2 유로(P2) 내의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 또는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로우 센서는 중간 덕트(30)에 마련되어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판단된 연결유로(CP) 내의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 또는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팬 드라이브(150d, 250d)에 입력되는 전류/전압에 관한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광원(240)에 입력되는 전류/전압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팬 드라이브(150d, 250d),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제1 모드(1A)에서 공기청정기(1)의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프로세서(51)가 공기청정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시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2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7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 중 제1 공기청정유닛(10)만이 구동될 수 있는 제2 모드(1B)로 운전될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제1 공기청정유닛(10)은 제1 유로(P1)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고,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유로(P2)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제1 팬(150) 및 제2 팬(250) 중 제1 팬(150)만이 구동될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집진필터(140) 및 광원(240) 중 집진필터(140)만이 구동될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제1 유로(P1)는, 제1 흡입구(111)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제1 배출구(112)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모드(1B)에서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배출유로(DP)는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가 유동되어 공기청정기(1)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는 연결유로(CP)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2 모드(1B)에서, 제1 팬(150)이 구동되며 공기의 유동을 위한 압력을 발생시키는 경우에도, 제2 팬(250)은 구동되지 않음에 따라 제2 유로(P2) 내의 공기의 유동에 대해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제2 팬(250)은 제1 팬(150)에 의해 발생되는 압력에 대해 반대되는 압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하고자 하는 공기에 대해 반대 방향으로의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2 모드(1B)에서도 여전히 연결유로(CP)에 의해 제1 유로(P1) 및 제2 유로(P2)가 연결되어 있고,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이 연통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제1 배출구(112)에서 배출된 공기의 거의 대부분은 배출유로(DP)로 유동될 수 있고, 제2 유로(P2)로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특히, 다음과 같이 제2 팬(250)이 원심팬의 타입으로 구성되는 실시예에서, 제2 팬(250)이 구동되지 않을 시 제1 유로(P1)에서 제2 유로(P2)로 공기가 유동되는 것을 보다 효율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연결유로(CP)와 제2 유로(P2)가 연결되는 방향을 제1 방향이라고 하고, 제2 팬(250)의 회전축, 즉 제2 팬 회전축(253)의 방향이 제2 방향이라고 할 때,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직교할 수 있다. 다시 말해서, 연결유로(CP)와 제2 유로(P2)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제2 팬(250)은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제2 팬(250)은 공기가 광원(240)을 향하여 제2 팬 회전축(253)의 방향인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이란, 위의 제1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일 수도 있으나, 제1 방향에 대해 소정의 각도를 갖도록 경사진 방향일 수도 있다.
일 예로, 연결유로(CP)와 제2 유로(P2)는 공기청정기(1)의 상하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팬(250)은 공기청정기(1)의 수평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질 수 있다. 제2 팬(250)은 제2 팬 케이스(254)로 유입된 공기가 광원(240)을 향하여 수평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연결유로(CP) 및 제2 유로(P2)에서 공기는 전체적으로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으나, 제2 팬(250)의 유입구(254a)와 배출구(254b)에서 공기의 유동 방향이 서로 상이하므로(도 9 등 참조), 제1 유로(P1)에서 제2 유로(P2)로 유동되고자 하는 공기에 대해 효율적으로 저항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제2 팬(250)은 구동될 시 제1 유로(P1)에서 제2 유로(P2)로 공기가 유입되는 것을 허용하고, 구동되지 않을 시 제1 유로(P1)에서 제2 유로(P2)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는 댐퍼로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도 1 내지 도 18 등에 도시된 바와 달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는 연결유로(CP) 내지 제2 유로(P2)를 개폐하는 별도의 댐퍼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는 제1 모드(1A) 또는 제3 모드(1C)에서 개방될 수 있고, 제2 모드(1B)에서 폐쇄될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1 공기청정유닛(10)만을 동작하여도 공기 정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경우, 혹은 사용자가 제1 공기청정유닛(10)만을 동작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공기청정기(1)는 제2 모드(1B)로 운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불필요한 동작을 정지시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2 모드(1B)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전기집진필터(142)는 전원공급부(70)를 통해 다양한 크기의 전압/전류를 인가 받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팬(150)은 다양한 빠르기의 회전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제2 모드(1B)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크기와 제1 팬(1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크기에 기초하여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제1 팬(15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증가될 경우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세기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증가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할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세기가 증가되도록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될 경우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세기가 감소되더라도 충분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로세서(51)는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감소되도록 제1 팬 드라이브(150d)를 제어할 수 있고,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의 세기가 감소되도록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일 예로 제1 팬(1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되는 단계와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가 결정되는 단계는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1 팬(150)의 회전 속도는 불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1 팬(150)의 회전 속도는 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는 불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압/전류는 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는 제1 팬 드라이브(150d) 또는 전원공급부(70) 등의 제어를 위해 공기의 유속을 다양한 구성에 의해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청정유닛(10)에 마련되어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되는 플로우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1 유로(P1)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판단된 제1 유로(P1) 내의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제1 팬 드라이브(150d) 또는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제1 팬 드라이브(150d)에 입력되는 전류/전압에 관한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전기집진필터(142)에 인가되는 전류/전압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1 팬 드라이브(150d), 전원공급부(70)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제2 모드(1B)에서 공기청정기(1)의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프로세서(51)가 공기청정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시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3 모드에 따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측단면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 중 제2 공기청정유닛(20)만이 구동될 수 있는 제3 모드(1C)로 운전될 수 있다. 제3 모드(1C)에서,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유로(P2)의 공기를 정화할 수 있다.
제3 모드(1C)에서, 제1 팬(150) 및 제2 팬(250) 중 제2 팬(250)만이 구동될 수 있다.
제3 모드(1C)에서, 집진필터(140) 및 광원(240) 중 광원(240)만이 구동될 수 있다.
제3 모드(1C)에서, 제1 유로(P1)를 따라 공기가 유동되지 않을 수 있다.
제3 모드(1C)에서, 제2 유로(P2)는, 제2 흡입구(211)에서 유입된 공기가 유동되어 제2 배출구(212)로 배출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모드(1C)에서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제3 모드(1C)에서, 연결유로(CP)는, 외부로부터 배출유로(DP)와 제1 배출구(112)를 통해 제1 유로(P1)로 유입된 공기는 제2 흡입구(211)를 통해 제2 유로(P2)로 유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3 모드(1C)에서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는 상하 방향으로 유동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2 공기청정유닛(20)은 제2 흡입구(211)와 구별되는 별도의 흡입구(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별도의 흡입구를 통해 공기를 흡입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제2 공기청정유닛(20)만을 동작하여도 공기 정화 기능을 충분히 수행할 수 있는 경우, 혹은 사용자가 제2 공기청정유닛(20)만을 동작하기를 원하는 경우에 공기청정기(1)는 제3 모드(1C)로 운전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불필요한 동작을 정지시켜,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다.
위와 같은 구성에 의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제1 유로(P1)에 마련되는 집진필터(140)와 제2 유로(P2)에 마련되는 광원(240)을 필요에 따라 구동시킬 수 있고, 공기의 정화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연결유로(CP) 및 배출유로(DP)를 포함하여, 공기의 정화를 위한 유로가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동작은 선택적으로 제어될 수 있어, 전력 소모를 저감시킬 수 있고 공기청정기(1)의 효율적인 운전을 도모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3 모드(1C)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공기청정기(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예시에 대해 설명한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광원(240)은 제3 광량, 제3 광량보다 세기가 센 제4 광량 등 다양한 세기의 광량으로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3 광량", "제4 광량" 등은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의 크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칭하는 용어에 불과하며, “제3", "제4" 등의 표현에 의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에 대한 해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의 제2 팬(250)은 제3 회전 속도, 제4 회전 속도보다 빠른 속도의 제4 회전 속도 등 다양한 빠르기의 회전 속도를 가지고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말하는 "제3 회전 속도", "제4 회전 속도" 등은 제2 팬(250)이 회전하는 속도의 빠르기를 비교하기 위하여 지칭하는 용어에 불과하며, “제3", "제4" 등의 표현에 의해 제2 팬(250)이 회전하는 속도에 대한 해석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공기청정기(1)의 프로세서(51)는 제3 모드(1C)에서 효율적인 공기 정화를 위해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과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를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자외선의 광량에 기초하여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결정된 제2 팬(250)의 회전 속도에 기초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모드(1A)로 운전되는 공기청정기(1)에서, 프로세서(51)는 제2 팬(250)이 제3 회전 속도로 회전되도록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1 모드(1A)로 운전되는 공기청정기(1)에서, 프로세서(51)는 광원(240)에서 제3 광량의 자외선이 조사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여기서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가 제1 모드(1A)에서 제3 모드(1C)로 변경되는 경우에도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유지된다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이 감소될 수 있고, 공기의 정화 효율이 저하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가 제1 모드(1A)에서 제3 모드(1C)로 변경될 시, 프로세서(51)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증가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제3 회전 속도에서 제4 회전 속도로 변화되도록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증가됨에 따라,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증가되는 것이 요구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제3 광량에서 제4 광량으로 증가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제3 광량에서 제4 광량으로 변화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반대로, 예를 들어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가 제3 모드(1C)에서 제1 모드(1A)로 변경될 시, 프로세서(51)는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을 감소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제4 회전 속도에서 제3 회전 속도로 변화되도록 제2 팬 드라이브(250d)를 제어할 수 있다.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속이 감소됨에 따라,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세기가 감소되더라도 공기 정화를 위해 충분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을 제4 광량에서 제3 광량으로 감소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이에 기초하여 프로세서(51)는 조사 영역(RI)에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제4 광량에서 제3 광량으로 변화되도록 광원(240)을 제어할 수 있다.
위에서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된 후에 이에 대응되도록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결정되는 것을 전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프로세서(51)는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결정된 후에 이에 대응되도록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될 수도 있다. 여기서, 제2 팬(250)의 회전 속도가 결정되는 단계와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이 결정되는 단계는 거의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는 불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제2 팬(250)의 회전 속도는 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불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는, 광원(240)에서 조사되는 자외선의 광량은 연속적인 값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51)는 제2 팬 드라이브(250d) 또는 광원(240) 등의 제어를 위해 공기의 유속을 다양한 구성에 의해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공기청정기(1)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측정하는 플로우 센서(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고, 이에 기초하여 공기청정기(1)의 각 구성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로우 센서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에 마련되어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판단된 제2 유로(P2) 내의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 또는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로우 센서는 중간 덕트(30)에 마련되어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대응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프로세서(51)는 플로우 센서에서 출력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을 판단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판단된 연결유로(CP) 내의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 또는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제2 팬 드라이브(250d)에 입력되는 전류/전압에 관한 데이터 및 이에 대응하는 광원(240)에 입력되는 전류/전압에 관한 데이터를 포함하는 테이블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테이블을 이용하여 제2 팬 드라이브(250d), 광원(240)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만 이상에서 설명한 내용은 제3 모드(1C)에서 공기청정기(1)의 공기 정화 효율이 향상되도록 프로세서(51)가 공기청정기(1)의 각 구성을 제어하는 방법의 다양한 예시 중 일부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한편 이상에서는, 도 16 내지 도 18 등을 참조하여 제1 유로(P1), 제2 유로(P2),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유속이 팬(150, 250)의 회전 속도(나아가, 회전 또는 정지 여부)에 의해 조절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였다.
다만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1A, 1B, 1C)에 대응하여 제1 유로(P1), 제2 유로(P2), 연결유로(CP)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유속은 다양한 방식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9 및 도 20을 참조하여, 댐퍼(damper)를 이용해 연결유로(CP), 제2 유로(P2)를 따라 유동되는 공기의 유량, 유속을 조절하도록 구성되는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연결유로를 통해 제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9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8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댐퍼(33)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33)는 회전축(33a)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댐퍼(33)는 중간 덕트(3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댐퍼(33)의 회전축(33a)은 중간 덕트(30)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댐퍼(33)의 회전축(33a)은 덕트 바디(31)의 내벽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될 수 있다.
댐퍼(33)는 구동원(미도시)에 의해 회전력을 공급 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댐퍼(33)의 회전축(33a)은 모터(미도시) 등 구동원에 연결되어 회전력을 댐퍼(33)에 전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댐퍼(33)의 구동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댐퍼(33)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댐퍼(33)의 위치에 기초하여 댐퍼(33)의 구동원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1A, 1B, 1C), 제2 유로(P2)로 유입되도록 결정된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댐퍼(33)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댐퍼(33)의 위치를 연결유로(CP)를 개방하는 위치 또는 연결유로(CP)를 폐쇄하는 위치 중에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댐퍼(33)의 위치를 연결유로(CP)를 개방하는 위치 또는 연결유로(CP)를 폐쇄하는 위치, 연결유로(CP)를 일부만 개방하는 위치 중에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댐퍼(33)의 회전축(33a)이 마련되는 일측과 반대되는 타측을 지지하는 댐퍼지지부(33b)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댐퍼지지부(33b)는 댐퍼(33)가 폐쇄되는 위치에 있을 시 댐퍼(33)의 타측을 지지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댐퍼(33)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9의 실시예의 경우와 같이 연결유로(CP)는 대략 환형의 형상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고, 복수의 댐퍼(33)는 연결유로(CP)를 따라 대략 환형으로 배열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복수의 댐퍼(33)가 동시에 개폐되도록 댐퍼(33)의 구동원을 동시에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프로세서(51_는 복수의 댐퍼(33)가 개별적으로 개폐되도록 댐퍼(33)의 구동원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댐퍼(33)의 회전축(33a), 댐퍼지지부(33b) 등의 구성은 복수의 댐퍼(33)의 배열에 대응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댐퍼(33)는 연결유로(CP)의 형상 등에 따라 단수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는, 일 예로 댐퍼(33)는 연결유로(CP)가 도 19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대략 환형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도, 댐퍼(33)는 신축 가능한 소재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신축성 부재(미도시)를 포함하여, 단일의 댐퍼(33)로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연결유로를 통해 제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댐퍼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19에는 댐퍼(3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회전되는 경우(도 19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개방되고, 반대로 회전되는 경우(도 19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폐쇄되는 것을 전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댐퍼(3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이 위치되는 방향을 향하여 회전되는 경우 폐쇄되고, 반대로 회전되는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19에 도시된 바와 달리, 댐퍼(33)의 회전축(33a)은 제1 유닛 결합부(130)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댐퍼(33)가 중간 덕트(30)의 내측에 마련되어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댐퍼(33)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내측에 마련되어, 제2 유로(P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연결유로를 통해 제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을 조절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의 일 예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0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 도 1 내지 도 19에 도시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고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도 20은 공기청정기(1)의 중간 덕트(30) 및 그에 인접한 일부 구성을 X-Y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절개한 후 개략적으로 도시한 횡단면도로서, 공기청정기(1)의 일부 구성을 Z 방향으로 바라보며 도시한 것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는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댐퍼(33-1, 33-2, ..., 33-N)를 포함할 수 있다. 댐퍼(33-1, 33-2, ..., 33-N)는 복수로 마련될 수 있다.
복수의 댐퍼(33-1, 33-2, ..., 33-N)는 횡 방향(X-Y 평면과 나란한 방향)으로 이동되며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댐퍼(33-1, 33-2, ..., 33-N)는 중간 덕트(30)의 내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복수의 댐퍼(33-1, 33-2, ..., 33-N)가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구성되는 일 예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복수의 댐퍼(33-1, 33-2, ..., 33-N)는 N개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N은 1 이상의 정수일 수 있다. 설명의 편의 상,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에 포함되는 각각의 단일 댐퍼를 제1 댐퍼(33-1), 제2 댐퍼(33-2), 제3 댐퍼(33-3), 제4 댐퍼(33-4), ..., 제N 댐퍼(33-N) 등과 같이 지칭한다. 제1 댐퍼(33-1), 제2 댐퍼(33-2), 제3 댐퍼(33-3), 제4 댐퍼(33-4),??, 제N 댐퍼(33-N)는 서로 순차적으로 배열될 수 있다.
공기청정기(1)는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에 동력을 전달하도록 마련되는 동력전달부재(G1, G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동력전달부재(G1, G2)는 연결유로(CP)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는 제1 기어(G1)와, 제1 기어(G1)에 치합되고 연결유로(CP)에 대해 이동 가능하게 마련되는 제2 기어(G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어(G1)는 기어 회전축(GS)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기어 회전축(GS)은 제1 기어(G1)에 회전력을 전달하는 구동원(미도시)에 연결될 수 있다.
제2 기어(G2)는 제1 기어(G1)에 치합되어, 제1 기어(G1)가 기어 회전축(GS)을 중심으로 회전함에 따라 이동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기어(G2)는 연결유로(CP)의 둘레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고, 제1 기어(G1)가 회전될 시 연결유로(CP)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기어(G1)는 제1 유닛 결합부(130) 측에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기어(G2)는 제1 유닛 결합부(130)의 외측 둘레를 따라 마련될 수 있다.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복수의 댐퍼(33-1, 33-2, ..., 33-N)는 다양한 구성에 의해 동력을 전달 받아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댐퍼(33-1)는 제2 기어(G2)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댐퍼(33-1)는 제1 기어(G1)의 회전에 따라 제2 기어(G2)가 이동될 시 제2 기어(G2)와 함께 이동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제1 댐퍼(33-1)는 제2 기어(G2)가 이동될 시 연결유로(CP)의 둘레 방향을 따라 이동될 수 있다.
일 예로, 제2 기어(G2)는 제1 댐퍼(33-1)에 고정되는 기어고정부(GF)를 포함할 수 있다. 기어고정부(GF)는 제1 댐퍼(33-1)를 향해 돌출되어 제1 댐퍼(33-1)의 일면에 결합되거나, 제1 댐퍼(33-1)에 삽입될 수 있다. 또는, 제1 댐퍼(33-1)의 돌출된 일부분(미도시)이 제2 기어(G2)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도 있다.
복수의 댐퍼(33-1, 33-2, ..., 33-N)는 서로 연결될 수 있다. 제1 댐퍼(33-1)가 이동될 시, 복수의 댐퍼(33-1, 33-2, ..., 33-N) 중 적어도 일부는 제1 댐퍼(33-1)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댐퍼(33-1)가 이동될 시 복수의 댐퍼(33-1, 33-2, ..., 33-N) 중 제N 댐퍼(33-N)를 제외한 다른 댐퍼들은 순차적으로 제1 댐퍼(32-1)와 함께 연결유로(CP)의 둘레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제N 댐퍼(33-N)는 연결유로(CP)에 대해 고정된 위치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를 예로 들어 설명하면, 제1 기어(G1)가 도 2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기어(G2) 또한 도 20을 기준을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기어(G2)에 고정된 제1 댐퍼(33-1)는 도 2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댐퍼(33-1, 33-2, ...,33-N)는 연결유로(CP)를 폐쇄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제1 기어(G1)가 도 2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제2 기어(G2) 또한 도 20을 기준을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기어(G2)에 고정된 제1 댐퍼(33-1)는 도 2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 때 복수의 댐퍼(33-1, 33-2, ..., 33-N)는 연결유로(CP)를 개방하도록 이동될 수 있다.
복수의 댐퍼(33-1, 33-2, ..., 33-N)가 연결유로(CP)를 폐쇄하도록 이동되는 방향을 편의 상 폐쇄 방향(DR)이라고 지칭하여, 이하 설명한다.
제1 댐퍼(33-1)가 제2 댐퍼(33-2)와 마주하는 제1 댐퍼(33-1)의 일면에는 제1 댐퍼 홈(damper groove)(33a-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댐퍼 홈(33a-1)은 폐쇄 방향(DR)과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2 댐퍼(33-2)가 제1 댐퍼(33-1)와 마주하는 제2 댐퍼(33-2)의 일측에는 제1 댐퍼 홈(33a-1)을 향하여 돌출되는 형상의 제2 댐퍼 돌기(33b-2)가 마련될 수 있다. 제2 댐퍼 돌기(33b-2)는 제1 댐퍼 홈(33a-1)에 삽입될 수 있다. 제2 댐퍼 돌기(33b-2)는 제1 댐퍼 홈(33a-1)을 따라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즉, 제2 댐퍼 돌기(33b-2)는 제1 댐퍼 홈(33a-1)에 삽입되어, 제1 댐퍼 홈(33a-1)을 따라 폐쇄 방향(DR) 또는 그에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제2 댐퍼 돌기(33b-2)가 제1 댐퍼 홈(33a-1)의 폐쇄 방향(DR) 측 일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댐퍼(33-1)가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될 경우 제1 댐퍼 홈(33a-1)의 타단이 제2 댐퍼 돌기(33b-2)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댐퍼 홈(33a-1)의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측 타단이 제2 댐퍼 돌기(33b-2)에 도달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댐퍼(33-1)가 폐쇄 방향(DR)으로 더 이동될 경우 제1 댐퍼 홈(33a-1)은 제2 댐퍼 돌기(33b-2)를 폐쇄 방향(DR)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댐퍼(33-2)는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댐퍼(33-2)가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될 경우, 제2 댐퍼(33-2)의 제2 댐퍼 홈(33a-2)은 제2 댐퍼 홈(33a-2)에 삽입된 제3 댐퍼(33-3)의 제3 댐퍼 돌기(33b-3)를 폐쇄 방향(DR)으로 가압하는 위치로 이동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3 댐퍼(33-3)는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3 댐퍼(33-3)이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3 댐퍼 홈(33a-3)이 제4 댐퍼 돌기(33b-4)를 폐쇄 방향(DR)으로 가압하여 제4 댐퍼(33-4)가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되고, 제4 댐퍼 홈(33a-4)은 제4 댐퍼(33-4)에 연결되는 다른 댐퍼의 댐퍼 돌기를 폐쇄 방향(DR)으로 다시 가압하는 등, 위에서 설명한 동작은 순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의 댐퍼(33-1, 33-2, ..., 33-N) 중 제N 댐퍼(33-N)를 이외의 다른 댐퍼들은 제1 댐퍼(33-1)부터 순차적으로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될 수 있다.
반대로, 제2 댐퍼 돌기(33b-2)가 제1 댐퍼 홈(33a-1)의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측 타단에 위치된 상태에서, 제1 댐퍼(33-1)가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제1 댐퍼 홈(33a-1)의 폐쇄 방향(DR) 측 일단이 제2 댐퍼 돌기(33b-2)에 도달할 수 있다. 제1 댐퍼 홈(33a-1)의 폐쇄 방향(DR) 측 일단이 제2 댐퍼 돌기(33b-2)에 도달한 위치에 있을 때, 제1 댐퍼(33-1)가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더 이동될 경우 제1 댐퍼 홈(33a-1)은 제2 댐퍼 돌기(33b-2)를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댐퍼(33-2)는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댐퍼(33-2)가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2 댐퍼 홈(33a-2)이 폐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제3 댐퍼 돌기(33b-3)를 가압하고, 제3 댐퍼 홈(33a-3)이 제4 댐퍼 돌기(33b-4)를 폐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가압하는 등의 동작이 순차적으로 발생될 수 있고, 복수의 댐퍼(33-1, 33-2,??,33-N) 중 제N 댐퍼(33-N)를 이외의 다른 댐퍼들은 제1 댐퍼(33-1)부터 순차적으로 폐쇄 방향(DR)의 반대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복수의 댐퍼(33-1, 33-2,??,33-N)에 포함되는 개개의 댐퍼가 이동되는 동작들은, 개개의 댐퍼가 폐쇄 방향(DR)으로 이동될 경우 연결 유로(CP)가 폐쇄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고, 개개의 댐퍼가 폐쇄 방향(DR)과 반대되는 방향으로 이동될 경우 연결 유로(CP)가 개방되는 결과를 발생시킬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동력전달부재(G1, G2)의 구동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프로세서(51)는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의 위치를 결정하고, 결정된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의 위치에 기초하여 동력전달부재(G1, G2)의 구동원의 구동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공기청정기(1)의 운전 모드(1A, 1B, 1C), 제2 유로(P2)로 유입되도록 결정된 공기의 유량 또는 유속에 기초하여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의 위치를 연결유로(CP)를 개방하는 위치 또는 연결유로(CP)를 폐쇄하는 위치 중에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는, 일 예로, 프로세서(51)는 복수의 댐퍼(33-1, 33-2, ..., 33-N)의 위치를 연결유로(CP)를 개방하는 위치 또는 연결유로(CP)를 폐쇄하는 위치, 연결유로(CP)를 일부는 개방하고 다른 일부는 폐쇄하는 위치 중에서 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구성은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공기청정기에 있어서 연결유로를 통해 제2 유로로 유입되는 공기의 유량 및 유속을 조절 가능하도록 마련되는 댐퍼의 일 예시에 불과하며, 본 개시의 사상은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 20에는 복수의 댐퍼(33-1, 33-2, ..., 33-N)는 도 20을 기준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폐쇄되고,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개방되는 것을 전제로 도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댐퍼(33-1, 33-2, ..., 33-N)는 도 20을 기준으로 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폐쇄되고,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되는 경우 개방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도 20에 도시된 바와 달리, 댐퍼(33-1, 33-2, ..., 33-N)에 동력을 전달하는 동력전달부재(G1, G2)는 덕트 바디(31) 측에 마련될 수도 있다.
이상에서는 댐퍼(33-1, 33-2, ..., 33-N)가 중간 덕트(30)의 내측에 마련되어 연결유로(CP)를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구성을 예시로 설명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일 예로 댐퍼(33-1, 33-2, ..., 33-N)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내측에 마련되어, 제2 유로(P2)를 개폐하도록 마련될 수도 있다.
한편, 이상에서는 도 1 내지 도 20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기청정기(1)의 중간 덕트(30)가 제1 공기청정유닛(10) 및 제2 공기청정유닛(20)과 구별되는 구성으로서, 제1 하우징(110) 및 제2 하우징(210)을 연결하는 구성임을 전제로 설명하였다.
다만 이와 달리, 본 개시의 사상에 따른 중간 덕트는 일 예로 제1 공기청정유닛(10) 또는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일 구성일 수 있다. 이 때, 중간 덕트는 제1 하우징(110)과 함께 제1 공기청정유닛(10)의 외관을 형성하는 일 구성, 또는 제2 하우징(210)과 함께 제2 공기청정유닛(20)의 외관을 형성하는 일 구성으로 해석될 수 있다. 또는, 중간 덕트는 제1 공기청정유닛(10)과 제2 공기청정유닛(20)을 연결하여 제1 유로(P1)와 제2 유로(P2)의 사이에 마련되는 연결유로(CP)를 형성하는 하나의 구성인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공기청정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매체는, 비일시적(non-transitory) 저장매체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비일시적'은 저장매체가 실재(tangible)하는 장치이고, 신호(signal)(예: 전자기파)를 포함하지 않는다는 것을 의미할 뿐이며, 이 용어는 데이터가 저장매체에 반영구적으로 저장되는 경우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경우를 구분하지 않는다. 예로, '비일시적 저장매체'는 데이터가 임시적으로 저장되는 버퍼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본 문서에 개시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른 공기청정기의 제어 방법은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computer program product)에 포함되어 제공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상품으로서 판매자 및 구매자 간에 거래될 수 있다.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예: compact disc read only memory (CD-ROM))의 형태로 배포되거나, 또는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예: 플레이 스토어TM)를 통해 또는 두개의 사용자 장치들(예: 스마트폰들) 간에 직접, 온라인으로 배포(예: 다운로드 또는 업로드)될 수 있다. 온라인 배포의 경우에,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예: 다운로더블 앱(downloadable app))의 적어도 일부는 제조사의 서버, 어플리케이션 스토어의 서버, 또는 중계 서버의 메모리와 같은 기기로 읽을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적어도 일시 저장되거나, 임시적으로 생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특정의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그러나, 상기한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얼마든지 다양하게 변경 실시할 수 있을 것이다.
1; 공기청정기 10; 공기청정유닛
20; 공기청정유닛 30; 중간 덕트
40; 배출유로 가이드 50; 제어장치
110; 제1 하우징 111; 제1 흡입구
112; 제1 배출구 140; 집진필터
150; 제1 팬 210; 제2 하우징
211; 제2 흡입구 212; 제2 배출구
240; 광원 250; 제2 팬
270; 반사 커버 280; 광 차단부재
P1; 제1 유로 P2; 제2 유로
CP; 연결유로 DP; 배출유로
RI 조사 영역

Claims (20)

  1. 제1 흡입구와 제1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1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1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1 유로;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집진필터;
    제2 흡입구와 제2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2 하우징의 내부에서 상기 제2 흡입구로부터 상기 제2 배출구까지 연장되는 제2 유로;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 및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로부터 상기 제2 흡입구까지 연장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일부가 유입되어 상기 제2 흡입구를 통해 상기 제2 유로로 유동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는 상기 공기청정기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적어도 다른 일부의 유동을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 가이드와,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의 외측 테두리와 상기 제1 배출구의 외측 테두리 사이에 형성되는 가이드 개구와,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에 의해 일측이 커버되고,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다른 일부에서 상기 가이드 개구를 향해 연장되는 배출유로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는 상기 연결유로의 테두리 외측 방향에 위치되는 공기청정기.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는 상기 제1 배출구의 연장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청정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 및 상기 제2 하우징을 연결하는 중간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중간 덕트의 내부에 배치되는 공기청정기.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간 덕트는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를 커버하고, 제2 흡입구의 전체를 커버하는 공기청정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은 상기 제1 배출구를 커버하는 배출구 커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구 커버는 중앙부와, 상기 중앙부의 외측 테두리를 따라 마련되고 관통되는 형상을 포함하는 엣지 그릴을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상기 엣지 그릴에서 상기 연결유로를 향해 연장되는 가이드부를 포함하여, 상기 엣지 그릴에서 상기 연결유로로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유로와 상기 제2 유로는 제1 방향으로 연결되고,
    상기 제2 팬은 상기 제1 방향과 직교하는 제2 방향과 나란한 회전축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팬은 공기가 상기 광원을 향하여 상기 제2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이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광원으로부터 자외선이 조사되고, 상기 광원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조사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조사 영역과 대응되도록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광원의 외측을 커버하여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자외선을 반사하도록 마련되는 반사 커버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유로에서 상기 조사 영역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광원에서 조사된 자외선이 상기 조사 영역의 외부로 입사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마련되는 광 차단부재를 더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 차단부재는,
    복수의 그릴부와,
    상기 복수의 그릴부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2 유로 상의 공기가 통과 가능하도록 관통되는 통기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그릴부 각각은 서로 인접한 상기 그릴부와 마주하는 일면이 상기 일 방향에 대해 경사지도록 형성되는 공기청정기.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광원은,
    상기 일 방향으로 연장되는 램프 바디와,
    상기 램프 바디의 상기 일 방향으로의 단부에 마련되고 전원이 인가되는 전극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 차단부재는 상기 전극부를 지지하는 공기청정기.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는, 상기 제1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1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1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는, 상기 제2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유입된 공기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2 배출구로 배출되도록 마련되고,
    상기 연결유로는, 상기 제1 팬 및 상기 제2 팬이 동시에 구동될 시 상기 제1 배출구에서 배출된 공기의 일부가 상하 방향으로 유동되어 상기 제2 흡입구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6. 제1 흡입구, 제1 배출구, 상기 제1 흡입구에서 상기 제1 배출구로 연장되는 제1 유로와,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과,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집진필터를 포함하는 제1 공기청정유닛;
    제2 흡입구, 제2 배출구, 상기 제2 흡입구에서 상기 제2 배출구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유로에 연통되는 제2 유로와,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과,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에 자외선을 조사하는 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에 결합되는 제2 공기청정유닛;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에서 연장되고, 상기 제1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1 유로를 따라 유동된 공기가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 및 상기 제2 공기청정유닛의 외부로 배출되도록 마련되는 배출유로; 및
    상기 제1 배출구의 적어도 일부에서부터 상기 제2 흡입구까지 연장되어 상기 제1 유로와 상기 제2 유로를 연결하고, 상기 제2 팬이 구동될 시 상기 제1 유로 내의 공기가 상기 제2 유로로 유입되도록 마련되는 연결유로;를 포함하는 공기청정기
  17. 제16항에 있어서,
    내측에 연결유로가 형성되는 중간 덕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은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1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제2 공기청정유닛은 상기 제2 공기청정유닛의 외관을 형성하는 제2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중간 덕트는 상기 제1 하우징의 상부와 상기 제2 하우징의 하부에 각각 연결되는 공기청정기.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기청정유닛의 외측에서 상기 제1 배출구와 마주하도록 배치되고, 상기 배출유로의 일측을 커버하는 배출유로 가이드를 더 포함하고,
    상기 배출유로 가이드는 상기 배출유로를 따라 유동하는 공기를 안내하도록 마련되는 공기청정기.
  19.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유로, 상기 제 2 유로 및 상기 연결유로는 서로 나란한 방향으로 연장되는 공기청정기.
  20. 제1 유로가 형성되는 제1 하우징;
    상기 제1 유로에서 분기된 제2 유로가 형성되는 제2 하우징;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는 제1 팬;
    상기 제1 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팬 드라이브;
    상기 제1 유로에 마련되고, 정전력을 이용하여 집진하는 전기집진필터;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는 제2 팬;
    상기 제2 팬에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2 팬 드라이브;
    상기 제2 유로에 마련되고, 상기 제2 유로 상의 조사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마련되는 광원; 및
    상기 제1 팬 드라이브, 상기 제2 팬 드라이브, 상기 전기집진필터 및 상기 광원의 동작을 각각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팬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1 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제1 동작에서, 상기 전기집진필터에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팬이 회전하도록 상기 제2 팬 드라이브를 제어하는 제2 동작에서, 상기 조사 영역에 자외선을 조사하도록 상기 광원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공기청정기.
KR1020220115945A 2022-09-14 2022-09-14 공기청정기 KR20240037444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945A KR20240037444A (ko) 2022-09-14 2022-09-14 공기청정기
PCT/KR2023/007736 WO2024058351A1 (ko) 2022-09-14 2023-06-07 공기청정기
US18/213,976 US20240085040A1 (en) 2022-09-14 2023-06-26 Air cleane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945A KR20240037444A (ko) 2022-09-14 2022-09-14 공기청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7444A true KR20240037444A (ko) 2024-03-22

Family

ID=90275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945A KR20240037444A (ko) 2022-09-14 2022-09-14 공기청정기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40037444A (ko)
WO (1) WO2024058351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54474B1 (ko) * 2015-07-15 2017-07-05 주식회사 스타리온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청정기
CN111318115B (zh) * 2018-12-14 2021-09-21 广东美的白色家电技术创新中心有限公司 空气净化器
KR20200127456A (ko) * 2019-05-02 2020-11-11 엘지전자 주식회사 공기청정기
GB2597254B (en) * 2020-07-16 2022-08-03 Respired Ltd Air Purification Device
KR20220052872A (ko) * 2022-04-10 2022-04-28 윤성민 바이러스 살균과 미세먼지 제거 및 탈취 기능을 갖는 바이러스 살균 미세먼지 공기정화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4058351A1 (ko) 2024-03-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642823B (zh) 紫外线杀菌模块及包括其的空气调节器
KR101826236B1 (ko) 자외선 공기 살균기
CN107642822B (zh) 空气调节器
KR102477412B1 (ko) 자외선 살균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KR102393890B1 (ko) 공기조화기
KR102445165B1 (ko) 공기조화기
KR102477411B1 (ko) 자외선 살균 램프, 자외선 살균 모듈 및 이를 포함하는 공기조화기
KR102132859B1 (ko) 필터살균 기능을 갖는 휴대용 공기청정기
KR102110530B1 (ko) 공기조화기
JP2005526616A5 (ko)
KR102389233B1 (ko) 공기조화기
KR20180010824A (ko) 공기 조화기
KR102399294B1 (ko) 공기조화기
KR102389228B1 (ko) 공기조화기
KR102453488B1 (ko) 공기 조화기
CN114623550B (zh) 便携式空气净化器
KR20240037444A (ko) 공기청정기
KR20180125833A (ko) 공기 정화용 조명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제어 시스템
US20240085040A1 (en) Air cleaner
US20240207766A1 (en) Air cleaner
JP2013162819A (ja) 光触媒装置
KR102521666B1 (ko) 자외선 살균모듈 및 이를 구비한 공기조화기
EP3291844B1 (en) Active photocatalytic oxidation
KR20230009548A (ko) Uv-c led 공기 살균 장치
KR102446898B1 (ko) 공기조화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