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766A -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 Google Patents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766A
KR20240036766A KR1020220115052A KR20220115052A KR20240036766A KR 20240036766 A KR20240036766 A KR 20240036766A KR 1020220115052 A KR1020220115052 A KR 1020220115052A KR 20220115052 A KR20220115052 A KR 20220115052A KR 20240036766 A KR20240036766 A KR 2024003676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im
code
obs
information
construction cos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0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68849B1 (ko
Inventor
이나현
박영곤
윤희택
배영훈
김병규
Original Assignee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철도기술연구원 filed Critical 한국철도기술연구원
Priority to KR10202201150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68849B1/ko
Priority claimed from KR102022011505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68849B1/ko
Priority to EP23185724.4A priority patent/EP4339857A1/en
Publication of KR202400367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7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6884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6884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6Resources, workflows, human or project management; Enterprise or organisation planning; Enterprise or organisation modell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08Construc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5Integrating or interfacing systems involving database management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2Geometric CAD characterised by design entr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CAD, e.g.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specially adapted for CA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0Computer-aided design [CAD]
    • G06F30/10Geometric CAD
    • G06F30/13Architectural design, e.g. computer-aided architectural design [CAAD] related to design of buildings, bridges, landscapes, production plants or ro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111/00Details relating to CAD techniques
    • G06F2111/20Configuration CAD, e.g. designing by assembling or positioning modules selected from libraries of predesigned modu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ometry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rchitecture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ational Mathematics (AREA)
  • Mathematical Analysis (AREA)
  • Evolutionary Computation (AREA)
  • Pure & Applied Mathematic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Mathematical Optimization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링 설계시, 표준분류체계 정보-기반의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객체분류체계(Object Breakdown Structure: OBS) 속성정보/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WBS) 속성정보간의 자동 맵핑을 통해 BIM 기반의 철도시설물의 물량 및 공사비를 쉽고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으며, 또한,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과 공정에 대하여 BIM을 이용하여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으로 일위대가를 자동 또는 연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하거나 WBS_코드에 수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할 수 있고, 또한, 기존 내역서와 비교 검토하여 BIM 내역서 기반의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함으로써, BIM 기반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산출할 수 있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AUTOMATIC CALCULATION SYSTEM FOR QUANTITY AND CONSTRUCTION COST OF RAILWAY FACILITY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AND METHOD FOR THE SAME}
본 발명은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철도시설물(또는 철도분야)에 대한 빌딩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설계 프로젝트 수행시, 철도시설물 BIM 객체 및 BIM 객체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의 물량(Quantity)과 공사비(Construction Cost)를 자동산출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국내 건설산업에서 빌딩정보모델링(BIM)의 도입이 활발해지고 있다. 건축분야에서는 이미 공공 및 민간 프로젝트 전반에 걸쳐 BIM 적용이 확대되고 있으며, 특히, 토목분야의 경우, 도로, 철도, 항만 등에 대해 BIM을 적용하려는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또한, 건축분야에서는 민간분야의 활성화로 관련 설계회사들이 자체적인 3D 라이브러리 체계를 구축하여 활용할 수 있는 환경을 갖추었으나, 토목분야는 공공적 특성으로 인해 모델링 지침 및 표준, 라이브러리 컨텐츠를 국가에서 제공해야 하는 한계를 갖는다. 특히, 철도시설물(철도분야)은 선형기반의 특성 때문에 구조물을 포함한 선형의 정형화된 형상이 각 구간마다 상이하여 표준화하기 어렵다는 한계가 있다.
구체적으로, 철도시설물 등의 건설 프로젝트는 사업기획에서부터, 설계, 시공 및 유지관리의 연속적인 단계를 포함하며, 각 단계마다 건축, 토목, 설비, 전기, 통신 등 다양한 전문분야가 참여하게 된다. 이러한 전문분야들은 프로젝트 각 과정에서 다양한 건설정보를 생성, 수정 및 전달하게 되며, 이러한 건설정보들은 전문분야간의 업무의 상관성에 따라 공유되고 통합 활용된다.
이러한 건설정보들의 전산화 측면에서 현재 국내외 건설시장은 2D CAD에서 3D CAD로, 그리고 건물의 전체 생애주기의 정보를 통합하고자 하는 BIM 환경으로 빠른 전환이 이루어지고 있다. 이러한 BIM은 건설(Building), 정보(Information) 및 3D 모델링(Modelling)이 결합됨으로써 건설정보를 갖는 3D 모델링을 활용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BIM 기술은 건물의 전체 생애주기 동안의 다양한 빌딩정보를 저장하고 활용할 수 있게 해주며, 기하학적 형상정보와 속성정보를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함으로써 건설 프로젝트의 효율을 증가시키고, 팀워크를 증진시키며, 프로젝트 비용을 절감시키고, 공기단축에 따른 수익성을 증가시키는 등의 효과가 있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구체적으로, 1980년대에 개발된 객체-기반 파라메트릭 모델링(Object-based parametric modelling) 기술이 BIM으로 불리고 있으며, 기존 2D-도면에서 생성되는 선들의 조합이 아니라 식별할 수 있는 객체(Object)를 기준으로 모든 정보를 관리할 수 있게 함으로써 건설 전체 단계의 정보 공유를 가능하게 하였다.
이러한 BIM은 정보전달의 매개체로서, 공사관리에서 발생하는 정보들을 저장하고 가공하여 다양한분야의 복잡하고 많은 정보의 이해를 도와서 공사관리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었다. 그리고 공정 및 원가정보는 다른 정보와 비교해서 사용빈도가 높기 때문에 건설공사의 효율적이고 효과적인 수행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 이에 따라, BIM의 형상정보를 기반으로 하여 공정정보와 원가정보를 연계함으로써 4D(3D+Time) 또는 5D(4D+Cost) 시뮬레이션 등 다양한 방법으로 정보가 분석되고 활용되고 있다.
한편, 기존 2D CAD 기반의 시설물 설계시, 건설 표준분류체계 정보와 2D CAD 도면을 기반으로 하는 객체의 물량 추출은 엑셀작업 등을 통해 수작업으로 수행되고 있으며, 별도의 프로그램 등을 통해 관련 객체를 수기로 연동하여 공사비를 산출함에 따라, 공정별 물량(수량)과 공사비를 산출하고 있다. 즉, 기존 2D 설계의 경우, 각각의 도면에 표기된 정보 및 분류체계에 따라 물량(수량), 공사비, 공정(4D) 작업내용(activity) 등의 정보를 일일이 수작업으로 입력하여 검토하고 있다.
또한, 3D BIM 설계의 경우, BIM 객체의 속성에 따라 물량(수량)을 산출하더라도, 그에 따른 공사비 및 공정별 물량과 공사비는 각각의 프로그램을 별도로 사용하여 산출하고 있으며, 특히, 해외 프로그램을 주로 사용하기 때문에 국내 실정이 반영되지 않은 공사비가 산출되고 있다. 이에 따라, 시공사의 경우, 3D BIM 설계를 하더라도, 물량(수량)과 공사비는 기존의 2D에서 사용하고 있는 방법을 그대로 도출하는 방식을 사용하고 있다.
구체적으로, 2D CAD 기반의 설계에서는 도면상의 수치를 통해 물량(수량)을 산출함에 따라 2D CAD 상에 수치를 직접 입력하면서 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엑셀 프로그램을 통한 물량 산출 작업시에도 수작업에 의한 수치 입력 오류 등 인적오류가 발생할 수 있다. 이로 인해 물량(수량)과 공사비의 산출, 공정 일정 등에서 오차가 빈번하게 발생할 수 있다.
또한, 3D BIM 설계에서도 BIM 객체의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 정보를 수작업으로 진행하기에는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마찬가지로 작업자에 의한 인적 오류가 발생할 경우, 타인에 의해 쉽게 검토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
한편,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는 전면적인 설계를 목표하고 있으나, 데이터 표현 수준(Level of Development: LoD)별로 모델링되는 수준이 상이함에 따라 모델링이 되지 않는 경우에 대해 물량과 공사비를 산출하는 것에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일반적인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설계의 경우, LoD 350 수준으로 이루어지고 있으며, 최종 모델에는 포함되지 않는 거푸집이나 흙막이 공사, 공조설비 등의 부대공사, 계측용역비 등의 경우에는 BIM 모델링 설계를 적용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그런데 실제 철도시설물의 설계에서 BIM 모델링을 통해 물량과 공사비 내역을 산정할 수 있는 것은 전체 공사비의 50% 정도로 파악하고 있다.
또한,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설계/시공을 진행함에 따라 발주처(공단)에서는 BIM-기반의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해야 하지만, 현재는 이와 관련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은 실정이다.
한편, 이러한 BIM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93662호에는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은, 객체분류체계(Object Breakdown Structure: OBS) 범위 설정모듈(11), OBS 요소 정의모듈(12) 및 OBS 도형객체 부호화모듈(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OBS 범위 설정모듈(11)은 기생성된 BIM 프레임워크 변수들을 토대로 OBS의 범위를 설정한다.
OBS 요소 정의모듈(12)은 공종분류와 위치분류를 관리하는 표준정보분류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WBS)와, 원가분류체계(Cost Breakdown Structure: CBS) 및 품셈분류체계(MBS) 관리를 위한 사업번호체계(Project Numbering System: PNS)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도형정보(예를 들면, 3D-CAD 또는 IFC Viewer 프로그램의 속성값) 정의를 위한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를 생성한다.
OBS 도형객체 부호화모듈(13)은 OBS 요소 정의모듈(12)에 의해 생성된 표준정보분류 속성정보 및 사업번호체계(PNS) 속성정보와 대응하도록 도형 객체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도형 객체 각각에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와 대응하는 번호를 부여한다.
구체적으로, 도 1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방법은, 먼저, OBS 범위 설정모듈(11)이 기생성된 BIM 프레임워크 변수들을 토대로 OBS의 범위를 설정한다(S11).
다음으로, OBS 요소 정의모듈(12)이 공종분류와 위치분류를 관리하는 표준정보분류 속성정보를 생성하고, 또한, 작업분류체계(WBS), 원가분류체계(CBS) 및 품셈분류체계(MBS) 관리를 위한 사업번호체계 속성정보를 생성하며, 또한, 도형정보 정의를 위한 객체분류체계 속성정보를 생성한다(S12).
다음으로, OBS 도형객체 부호화모듈(13)이 표준정보분류 속성정보 및 사업번호체계 속성정보와 대응하도록 도형 객체를 매칭시키고, 매칭된 도형 객체 각각에 객체분류체계 속성정보와 대응하는 번호를 부여한다(S13).
이에 따라,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은, BIM 객체분류 특성에 부합하도록 사업번호체계(PNS) 연계 요건을 함께 도출함으로써, 작업분류체계(WBS) 및 원가분류체계(CBS)의 포괄적인 통합이 가능한 도형정보를 제공하는 사업번호체계(PNS)의 틀을 생성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52913호에는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운영관리 시스템은, 3D 모델링 프로그램(21)으로부터 작성된 3D 모델링 데이터와 공정관리 프로그램(22)으로부터 작성된 공정관리 데이터를 이용하여 컴퓨터에 의해 수행된다. 이러한 3D 모델링 프로그램(21)으로는 다양한 많은 제품이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Revit, TEKRA 및 DP와 같은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고, 공정관리 프로그램(22)은 Primavera 또는 MS Project와 같은 프로그램이 사용되고 있다. 이때, 3D 모델링 데이터는 개방형 BIM의 국제표준규격인 IFC(Industry Foundation Classes) 파일로 변환되어 전송된다. 또한, 공정관리 프로그램에서 작성된 공정관리 데이터는 문서파일이기 때문에 XML 파일로 변환되어 공정관리 속성 데이터로 전송된다.
구체적으로,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운영관리 시스템(30)은, 프로젝트 작업명세구조 내역 마스터 데이터 작성부(31), 데이터베이스(32), 건물객체 데이터 추출부(33), 공종객체 할당부(34), 데이터 맵핑부(35), 자동산출부(36), 데이터 전송부(37) 및 기성내역 관리부(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프로젝트 작업명세구조 내역 마스터 데이터 작성부(31)는 공정관리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공정관리속성 데이터를 이용하여 프로젝트 작업명세구조 공종(예를 들면, 대공종, 중공종 및 소공종)별 항목, 프로젝트 작업명세구조의 각 공종별 항목의 하나 이상의 공종객체에 대한 명칭, 내역 및 공정관리정보를 작성한다.
데이터베이스(32)는 3D 모델링 데이터로부터 변환된 BIM 속성 건물정보 데이터(IFC 파일) 및 프로젝트 작업명세구조 내역 마스터 데이터가 업로드되어 저장된다.
건물객체 데이터 추출부(33)는 데이터베이스(32)에 저장된 BIM 속성 건물정보 데이터로부터 건물구조를 이루는 건물객체의 카테고리, 패밀리 및 타입에 대한 속성정보, 건물객체의 길이, 수량, 면적 및 체적에 대한 수치정보, 및 건물객체의 위치정보로 이루어진 건물객체 데이터를 추출한다.
공종객체 할당부(34)는 건물객체 데이터의 구성인 건물객체의 속성정보에 따라, 표준 객체 내역 마스터로부터 공종객체의 명칭 및 내역을 각각의 건물객체에 할당한다.
데이터 맵핑부(35)는 프로젝트 작업명세구조 내역 마스터 및 공종객체가 할당된 건물객체 데이터를 맵핑한다.
자동산출부(36)는 데이터 맵핑부(35)에서 맵핑된 건물객체 데이터로부터 객체별 액티비티 정보, 객체별 일정정보 및 객체별 물량정보 데이터를 산출한다.
데이터 전송부(37)는 자동산출부(36)에서 산출된 객체별 액티비티 정보, 객체별 일정정보 및 객체별 물량정보 데이터를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으로 전송한다.
기성내역 관리부(38)는 데이터 전송부(37)에서 전송된 액티비티 정보, 일정정보 및 물량산출정보와 프로젝트관리 시스템에서 전송된 실 작업일수에 의한 일정변경정보에 의해 기성내역을 관리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운영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3D 모델링 프로그램에 의해 작성된 3D 모델과 함께 별도로 작성된 공정관리 정보를 통합하여 관리할 수 있다. 또한, 프로젝트 관리시스템과 연계하여 시공일정에 대한 계획, 공정관리, 설계 및 시공단계의 전반적인 업무에 대한 통합적인 관리가 가능하며, 일정 및 물량산출에 따른 비용관리와 시공일정의 관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효율적인 건물의 시공이 가능하다. 또한, 설계변경이나 설계변경에 따른 기성변경 등이 통합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기 때문에 시공과정이나 시공 후에 발생할 수 있는 시공관련 분쟁을 미연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BIM 물량(수량) 산출과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09996호에는 "BIM 기반의 건축공사 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공사의 수량 산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공사의 수량 산출 시스템(40)은, 분류체계 및 코드의 설정을 위한 표준 양식이 저장되고 관리되는 표준 관리모듈(41); BIM 작성 단말(50)에서 작성된 BIM 모델을 로드하여 저장하고 관리하는 모델관리모듈(42); 모델 관리모듈(42)에 의하여 저장된 BIM 모델을 로드하여 디스플레이하는 3D 뷰어모듈(43); 로드된 BIM 모델의 구성요소를 내역 분류 기준으로 정의하는 코드들을 관리하고, 내역 산출에 필요한 코드들을 정의하고 관리하는 코드 관리모듈(44); 서버(60)에 저장된 해당 건축 프로젝트의 분류체계 및 코드와 모델 관리모듈(42)에 저장된 BIM 모델을 연계하여 코드 관리모듈(44)에서 정의된 수량 산출에 요구되는 분류체계 및 코드정보를 템플릿으로 생성하고, 생성된 템플릿을 통해 프로젝트에 포함되는 모든 코드를 일괄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템플릿 관리모듈(45); 템플릿 관리모듈(45)에서 정의된 코드체계에 따라 해당 공종별로 공사의 수량을 산출하고, 산출 오류 항목을 제공하며, 결과의 검토에 있어 3D 뷰어의 모델과 산출결과를 연계하여 분류체계별로 검토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발주처의 내역체계를 반영한 집계표 및 시각적 검토자료를 제공할 수 있는 산출 관리모듈(46)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공사의 수량 산출 시스템은, BIM 모델링 프로그램이 실행되어 건축물에 대한 BIM 모델을 작성하는 BIM 작성 단말(50)에서 작성된 BIM 모델 파일을 로드하고, 로드된 BIM 모델에서 수량 산출을 위해 요구되는 속성값을 정의한 코드체계와 연계하여 속성값을 추출하며, 이를 바탕으로 각 객체의 수량 산출을 수행하여 수량 산출 결과를 제공하고 이를 3D 뷰어의 BIM 모델과 연계하여 분류체계별로 다각도로 검토할 수 있으며 동시에 산출 오류 항목을 제공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건축 프로젝트의 발주처의 양식 또는 기설정된 표준 양식에 부합된 집계표를 도출하여 제공할 수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공사의 수량 산출 시스템에 따르면, 건축 프로젝트의 건축공사의 수량 산출 업무를 BIM 기반으로 자동화하여 수행하고, 산출된 결과를 3D 뷰어를 통해 CBS(내역분류체계), MBS(모델분류체계), OBS(객체분류체계) 등의 다양한 체계, 원하는 요소별로 보다 유연하게 검토하고, 산출 오류를 자동적으로 검색할 수 있으며, 공정프로그램과 연계가 가능하여 공정진행별로 3D 뷰어를 통하여 원하는 기간이나 누적 기간의 산출량을 확인할 수 있으며, 발주사 내역체계를 반영한 집계표로 작성할 수 있다.
한편, BIM 객체의 코드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2-78107호에는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방법 및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4a 및 도 4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b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프로세싱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4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시스템(70)은, BIM 입력부(71), 데이터 파싱부(72), 데이터코드 추출부(73), 코드 선택부(74), 변환 처리부(75), 데이터 저장부(76) 및 정보 표시부(77)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변환 처리부(75)는 데이터 처리부(75a), 객체코드 DB(75b), 제1 코드 변환부(75c) 및 제2 코드 변환부(75f)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BIM 입력부(71)는 BIM 데이터가 입력되고, 데이터 파싱부(72)는 BIM 데이터를 파싱한다.
데이터코드 추출부(73)는 BIM 데이터에 포함된 객체분류코드인 대상코드 데이터를 추출하고, 코드규칙 선택부(74)는 분류코드 전환에 대한 규칙데이터가 선택된다.
변환 처리부(75)는 규칙데이터에 의한 처리를 포함하는 변환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대상코드 데이터를 변환한다. 구체적으로, 변환 처리부(75)의 객체코드 DB(75b)는 규칙데이터에 기반한 각 객체의 기준코드 데이터가 저장되고, 데이터 처리부(75a)는 기준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코드 데이터와 변환될 객체분류코드 사이의 적합성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또한, 제1 코드 변환부(75c)는 적합성 프로세싱의 결과, 크로스 교환이 가능한 경우, 기준코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코드 데이터를 변환하고, 제2 코드 변환부(75d)는 적합성 프로세싱의 결과, 크로스 교환이 불가능한 경우, 머신러닝 기반의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대상코드 데이터를 변환 및 맵핑한다.
데이터 저장부(76)는 변환된 대상코드 데이터인 컨버터코드 데이터를 저장하고, 정보 표시부(77)는 컨버터코드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형상화하고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를 표출한다.
도 4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과정은, 먼저, BIM 입력부(71)는 사용자 단말 또는 제3의 서비스서버 등으로부터 BIM 데이터를 입력받는다(S21). 이때, 데이터의 호환성, 공유성 및 처리 효율성 등이 복합적으로 더욱 향상될 수 있도록 BIM 입력부(71)로 입력되는 데이터는 IFC 포맷으로 변환된 BIM 데이터가 입력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이러한 BIM 데이터가 입력되면 데이터 파싱부(72)는 입력된 BIM 데이터를 대상으로 파싱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내부에 수록된 데이터, 정보 등을 분석한다(S22).
다음으로, 데이터코드 추출부(73)는 이와 같은 분석 프로세싱을 통하여 분석된 데이터, 정보들 중에서 객체를 표상하는 객체분류코드에 대한 데이터(대상코드 데이터)를 선별 내지 추출한다(S23). 이때, 코드 선택부(74)는 대상코드 데이터를 원본 데이터에서 상대 데이터로 전환을 규정하는 규칙 또는 매뉴얼에 대한 데이터인 규칙데이터가 선택 또는 입력된다. 이러한 경우, 내부 DB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규칙데이터가 소정의 인터페이스 환경으로 제시되고, 사용자 등으로부터 선택받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변환 처리부(75)는 규칙데이터에 의한 처리를 포함하는 변환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대상코드 데이터를 변환한다(S24). 구체적으로, 변환 처리부(75)의 객체코드 DB(75b)는 규칙데이터에 기반한 각 객체의 기준코드 데이터가 저장되며, 데이터 처리부(75a)는 기준코드 데이터를 이용하여 대상코드 데이터와 변환될 객체분류코드 사이의 적합성에 대한 프로세싱을 수행한다.
다음으로, 적합성 프로세싱의 결과, 1:1의 관계로 규칙적인 상호 크로스 교환이 가능하다고 판단하고(S25), 제1 코드 변환부(75c)는 객체코드 DB(75b)에 저장된 기준코드 데이터를 독출하고, 이러한 기준코드 데이터를 기반으로 대상코드 데이터를 변환한다(S26).
다음으로, 변환 프로세싱 수행 결과, 상호 크로스 교환이 불가능하다고 판단되는 경우, 제2 코드 변환부(75d)는 머신러닝 기반의 프로세싱을 이용하여 대상코드 데이터를 변환한다(S27).
다음으로, 적합성 프로세싱을 결과를 기준으로 이원화된 후속 프로세싱을 수행하여 대상코드 데이터가 변환되면, 변환된 대상코드 데이터(컨버터코드 데이터)는 데이터 저장부(76)에 저장된다(S28). 이때, 데이터 저장부(76)는 컨버터코드 데이터와 BIM 데이터의 형상데이터 정보를 맵핑 내지 상호 연계시킨 변환데이터 모델을 생성하고 저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사용자 리퀘스트 신호 등이 입력되면 정보 표시부(77)는 컨버터코드 데이터를 기초로 하나 이상의 객체를 형상화하고, 해당 객체의 속성정보를 표출하도록 구성된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시스템에 따르면, 특정 분류체계를 가지는 객체코드를 자동화된 지능적 알고리즘 등의 적용을 통하여 정확하고 신속하게 다른 분류 체계로 적응적으로 변환 내지 교환할 수 있다.
한편, 또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308200호에는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도 5a 및 도 5b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5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5a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은,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와 프로젝트 수행 단말(90)을 포함하며,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는 표준객체 DB(81), 건설데이터 모델링 설계부(82) 및 프로젝트별 건설데이터 모델링 DB(8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표준객체 DB(81)는 각 단위객체별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를 3D 모델링 객체 도면에 각각 맵핑한 표준객체모델이 저장된다.
건설데이터 모델링 설계부(82)는 각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구조물 설계와 관련된 표준객체를 표준객체모델 DB(81)에서 추출하여 선형정보입력에 의한 객체 조합방식으로 구조물을 조합한 모델링 정보를 프로젝트별 건설데이터 모델링 DB(83)에 저장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프로젝트별 건설데이터 모델링 DB(83)는 건설데이터 모델링 설계부(82)에서 생성된 건설데이터 모델링 정보가 저장된다.
또한, 프로젝트 수행 단말(90)은 건설 프로젝트를 수행하기 위한 빌딩정보 모델링(BIM)을 수행하는 단말로서, 컴퓨터, 노트북, 스마트폰 등의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프로젝트 수행 단말(90)은, 필요한 모델링 정보를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에서 생성한 프로젝트별 모델링 DB(83)에서 전송받아 활용한다.
구체적으로, 도 5b를 참조하면,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은, 먼저,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가 각 단위객체별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를 3D 모델링 객체 도면에 각각 맵핑한 건설데이터 표준객체를 건설데이터 표준객체 DB(81)에 저장하여 등록한다(S30).
구체적으로, 건설데이터 표준객체 DB 등록 과정(S30)은, 각 발주처별 각 단위객체의 도면코드, 수량산출코드, 공사비용 코드, 작업분류코드 alc 시설분류체계코드를 통일하여 표준화 코드를 생성하고(S31), 이후, 표준화 코드를 기반으로 발주처별 단위객체를 3D 모델링하며(S32), 이후, 3D 모델링된 단위객체마다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를 각각 맵핑하여 건설데이터 표준객체를 생성하고(S33), 이후, 발주처별 표준화된 건설데이터 표준객체를 작업분류코드 및 시설분류코드를 참조하여 파라메트릭 방식으로 코딩하여 건설데이터 표준객체 DB(81)에 저장한다(S34).
다음으로,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가 각 프로젝트 수행에 따른 구조물 설계와 관련된 건설데이터 표준객체를 건설데이터 표준객체 DB(81)에서 추출하여 선형정보 입력에 의한 객체조합 방식으로 구조물을 조합한 건설데이터 모델링 정보를 프로젝트별 건설데이터 모델링 DB(83)에 저장한다(S40)
다음으로,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가 프로젝트 수행 단말(90)로부터 수신한 프로젝트 정보와 매칭되는 건설데이터 모델링 정보를 프로젝트별 건설데이터 모델링 DB(83)에서 추출하여 프로젝트 수행 단말(90)로 제공한다(S50).
다음으로, BIM 기반 모델링 통합관리 서버(80)가 GIS 데이터 연계되어 수정된 건설데이터 모델링 업데이트 정보를 프로젝트 수행 단말(90)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한다(S60).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에 따르면, BIM을 통한 토목 또는 건축 프로젝트를 각 발주처별 표준객체모델로 파라메트릭 분류하여 각 객체를 3D 모델링한 후, 공기정보(Schedule), 비용정보(Cost) 및 자원정보(Resources)를 표준객체별 자동연동 맵핑 저장하고, 또한, 프로젝트를 수행하면서 저장된 표준객체를 파라메트릭 방식에서 불러와 선형정보 입력에 의한 객체 조합으로 3D 표준객체모델에 건설데이터인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가 자동적으로 산출될 수 있다. 또한, 설계와 시공관리 시 수정 사항이 발생하면 표준객체모델 수정에 따라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가 함께 수정되면서 효율적인 디지털 건설데이터를 제공할 수 있으며, 또한,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가 반영된 표준객체모델 정보를 활용하여, 프로젝트 과정 또는 후에도 해당 공기정보, 비용정보 및 자원정보를 이용하여 디지털 SOC 유지관리를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철도 관리시스템은 철도의 설계단계, 시공단계, 시운전단계 및 유지관리단계로 이루어진 전수명주기의 각 단계를 수행하면서 각 단계에서 생성된 정보가 각각의 서버에 저장되어 활용되고 있다.
하지만 기존의 철도 관리시스템의 각 단계에서의 서버는 통합관리 되지 않고, 각 단계 간의 정보 연계 없이 주로 해당 단계별 업무 중심의 문서/ 도면 관리만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기 때문에 설계단계, 시공단계, 시운전 단계 등 사업수행에서 작성된 정보가 유지관리 단계에 활용되지 못하여 문제 발생 시 연관된 정보의 일관성 및 품질관리가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다.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철도 관리와 관련된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16770호에는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이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의 경우, BIM을 이용하여 이미 설치되어 있는 철도 시설물의 오류를 비교 판독함으로써 설계 단계에서의 철도 시설물로부터의 현재 오류를 발견하고, BIM 정보에 맞추어 수리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설계 단계에서의 철도 시설물과 일치하도록 유지 보수가 진행될 수 있어 정확하고 세밀한 유지 보수가 가능하고, 철도 시설물의 고유의 기능을 오차 없이 유지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철도 관리와 관련된 다른 선행기술로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2-94389호에는 "BIM 기반의 철도 인프라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라는 명칭의 발명이 개시되어 있는데, 철도 인프라 설계 프로젝트에 관한 3차원 형상 모델을 포함하는 BIM 데이터 파일을 표준 체계에 따라 저장 및 관리하기 위한 BIM 기반의 철도 인프라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의 철도 인프라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에 따르면, 생성된 3차원 형상 모델을 분류코드를 기초로 분류 및 저장하고, 분류 코드가 동일한 건축 프로젝트 진행시 기생성된 3차원 형상 모델을 재활용함으로써 설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또한, 표준 품질 기준을 기초로 3차원 형상 모델을 포함하는 BIM 데이터 파일의 품질을 검증함으로써 성과품의 완성도를 정확히 평가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시설물의 2D 설계시, 속성정보, 분류체계 및 설계정보간의 맵핑 작업은 수작업에 의해 오랜 시간이 소요되며, 특히, 작업자에 의한 인적 오류가 발생함으로써 속성간 정보가 불일치하는 현상이 자주 발생하고 있다.
또한, 3D BIM 설계를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설계사 및 시공사 등의 실제 현업에서 물량과 공사비 산출은 기존의 2D 방식대로 진행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큰 오차가 발생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산출된 물량과 공사비의 정확도가 높지 않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전술한 바와 같이, 철도시설물에 대해 BIM 설계를 전면적인 설계로 진행한다고 하더라도, 현재의 수준으로는 BIM 모델링을 수행하게 되면 실제 공사에 투입되는 비용의 50%만이 모델링되는 상황이다. 그러므로, BIM 모델링이 되지 않는 BIM 객체 및 작업에 대해서 수동으로 입력하거나, 연동되는 산식에 의해 구할 수 있도록 자동으로 연동되어 입력 가능한 시스템이 없는 실정이다.
또한,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시공이 이루어짐에 따라 발주처에서는 BIM-기반의 기성과 진척률을 관리 및 감독해야 하지만, 이와 관련된 시스템이 마련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검토가 어려운 상황이며, 예를 들면, BIM 설계사 및 시공사에서 기존의 2D 방식의 내역서와 3D BIM 내역서를 혼용하여 제출해야 할 경우, 이에 대한 비교 및 검토가 필요하지만, 지금까지의 국내외 BIM 물량과 공사비 산출 프로그램의 경우, 2D 방식과 3D BIM 기반의 내역서를 비교 검토하여 관리할 수는 없는 상황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293662호(등록일: 2013년 7월 31일), 발명의 명칭: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752913호(등록일: 2017년 6월 26일), 발명의 명칭: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909996호(등록일: 2018년 10월 15일), 발명의 명칭: "BIM 기반의 건축공사 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2308200호(등록일: 2021년 9월 27일), 발명의 명칭: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 대한민국 등록특허번호 제10-1816770호(등록일: 2018년 1월 3일), 발명의 명칭: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2-94389호(공개일: 2022년 7월 6일), 발명의 명칭: "BIM 기반의 철도 인프라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2022-78107호(공개일: 2022년 6월 10일), 발명의 명칭: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방법 및 시스템"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링 설계시, 표준분류체계 정보-기반의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객체분류체계(OOBS) 속성정보/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WBS) 속성정보간의 자동 맵핑을 통해 BIM 기반의 철도시설물의 물량 및 공사비를 쉽고 용이하게 산출할 수 있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과 공정에 대하여 BIM을 이용하여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으로 일위대가를 자동 또는 연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하거나 WBS_코드에 수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할 수 있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기존 내역서와 비교 검토하여 BIM 내역서 기반의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함으로써, BIM 기반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산출할 수 있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은, 철도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하여 빌딩정보모델링(BIM)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상기 BIM 라이브러리-기반으로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를 수행하여 BIM 객체항목이 포함된 BIM 설계파일을 작성하는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 객체분류체계(OBS)의 객체분류표, 작업분류체계(WBS)의 작업분류표, 비용분류체계(CBS)의 비용분류표 및 일위대가 산출식이 저장되는 표준분류체계 DB;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를 각각 맵핑하여 객체분류 트리정보 및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물량 산출 탭(Tab)과 공사비 산출 탭을 통해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산출을 위한 연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는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 및 비용분류체계(CBS)와 작업분류체계(WBS)의 조합에 의한 BIM 내역서를 생성하고,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의 전체 계산을 실행하는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은,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OBS_코드/WBS_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을 통해서 상기 BIM 객체의 개별 항목과 OBS 속성정보 및 WBS 속성정보의 자동 맵핑을 추가로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IM 객체는 속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는 객체 일반정보, 객체 식별정보, IFC 정보, 객체 치수정보, 객체 구조정보 및 객체 재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OBS 코드 입력란 및 WBS 코드 입력란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표준분류체계 DB는,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 구조가 저장된 객체분류체계(OBS) DB; 특정 건설공사 프로젝트 팀이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작업을 세분화한 계층 구조가 저장된 작업분류체계(WBS) DB; 사업수행자가 수행한 모든 작업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작업분류체계(WBS)의 비용 관점의 위계 구조가 저장된 비용분류체계(CBS) DB; 및 객체분류체계(OBS)의 단위 BIM 객체에 입력된 OBS_코드별로 일위대가가 저장되며, BIM으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을 검토하기 위하여 BIM 객체별 자동/연동/수동 산출식이 저장된 일위대가 DB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은, BIM 저작도구를 사용하여 철도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하여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라이브러리 모델을 생성하는 BIM 라이브러리 생성부; OBS_코드 입력부와 WBS_코드 입력부로 이루어지며, OBS_코드 입력부가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의 OBS_코드 입력란에 OBS_코드를 입력하고, WBS_코드 입력부가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의 WBS_코드 입력란에 WBS_코드를 입력하는 분류체계 코드 입력부; 및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를 위한 BIM 라이브러리-기반 BIM 모델링을 수행하여 BIM 객체항목이 포함된 BIM 설계파일을 작성하는 BIM 설계 모델링 수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철도시설물 물량과 공사비 산출 모듈은, 상기 BIM 객체항목 각각의 BIM 객체 속성정보에 분류체계 코드인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추가 입력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분류체계 코드 확인부; OBS 속성정보 및 WBS 속성정보를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 맵핑시키고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자동 맵핑 및 연산처리부; 상기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BIM 객체항목별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추가 맵핑시키는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 BIM 객체의 속성정보 불러오기를 실행하여 OBS_코드 및 OBS 속성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OBS_코드가 반영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 BIM 객체의 속성정보 불러오기를 실행하여 WBS_코드 및 WBS 속성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WBS_코드 및 WBS 속성정보가 반영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 상기 비용분류체계(CBS) DB에 저장된 비용분류체계 및 상기 일위대가 DB에 저장된 일위대가를 호출하는 비용분류체계(CBS)/일위대가 호출부; 상기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로부터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산출하는 물량 산출부; 및 상기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에서 생성된 작업분류 트리정보에 근거하여 조달청 데이터인 BIM 객체 항목별 공사비와 상기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조합하여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공사비를 산출하는 공사비 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는 상기 분류체계 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으로 BIM 객체항목 항목별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추가 맵핑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은 기존 내역서와 물량/공사비의 비교를 수행하고, 최종 BIM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여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할 수 있다.
한편, 전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다른 수단으로서, 본 발명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은, a)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링을 설계하고, 표준분류체계 코드로서 객체분류체계(OBS)_코드 및 작업분류체계(WBS)_코드를 입력하여 BIM 모델링 설계파일인 BIM 객체항목을 작성하는 단계; b) 표준분류체계 DB로부터 제공되는 OBS/WBS 속성정보와 BIM 객체 속성정보 간의 자동 맵핑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자동 맵핑된 BIM 객체항목을 재배열하는 단계; d) 비용분류체계(CBS) DB 및 일위대가 DB를 호출하는 단계; e)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f) BIM-기반 철도시설물의 공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g) BIM-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여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d) 단계에서 내역서를 새로 작성해야 할 경우, 상기 일위대가 DB는 조달청 표준 일위대가 DB가 반영된 내역서를 실시간 표준품셈, 물가정보, 노임단가를 고려하여 호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e) 단계에서 OBS_코드별 1식 일위대가 구성 및 자동, 연동(산식), 수동 수량 산출식 DB 호출 및 연산처리를 수행하며, 수량 산출탭을 통해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 내역서 일위대가 정보가 자동으로 맵핑되어 반영되어 가시화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f) 단계에서 공사비 산출탭을 통해 자동/연동/수동을 포함한 수량 산출 결과를 자동 연동시키며, 작업 공정에는 있으나 BIM 객체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 수동으로 수량 및 공사비 입력을 추가로 수행하고, 상기 WBS_코드 및 BIM 객체의 일위대가가 자동으로 연동되어, 작업분류체계(WBS)의 작업분류 단위로 BIM 공사비 산출을 수행 및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g) 단계에서, 기존 내역서와 물량/공사비의 비교를 수행하고, 최종 BIM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여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시설물에 대한 빌딩정보모델링(BIM) 설계 프로젝트 수행시,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에 따른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 및 작업분류체계(WBS) 속성정보를 자동 맵핑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쉽고 용이하게 자동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 2D CAD 기반의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작업으로 인한 발생 오류를 감소시키고,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등의 산출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산출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에 따른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 및 작업분류체계(WBS) 속성정보를 자동 맵핑시, 분류체계 코드가 없는 경우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을 활용하여 추가 맵핑시킴으로써, 객체분류 트리정보와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신속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시설물의 설계 변경시, BIM 객체와 표준분류체계를 자동 맵핑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설계 변경에 따른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신속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과 공정에 대하여 BIM을 이용하여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으로 일위대가를 자동 또는 연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하거나 WBS_코드에 수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존 내역서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BIM 내역서 기반의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BIM 기반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산출할 수 있다.
도 1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1b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2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운영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3은 종래의 기술에 따른 건축공사의 수량 산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4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4b는 BIM 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 프로세싱 과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5a는 종래의 기술에 따른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시스템의 구성도이고, 도 5b는 BIM 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표준분류체계 DB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철도시설물 물량과 공사비 산출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BIM 객체와 표준분류체계간 자동맵핑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작업분류체계(OBS)에 따라 BIM 객체의 수량 산출 관련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작업분류체계(WBS)에 따라 BIM 객체의 공사비 산출 관련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BIM 물량과 공사비의 내역서 작성 관련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100)은,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110), 표준분류체계 DB(120),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130) 및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14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110)은 BIM 저작도구(BIM Tool)을 사용하여 철도시설물 데이터(IFC 형식의 설계도면 등)를 수집하여 BIM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상기 BIM 라이브러리-기반으로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를 수행하여 BIM 설계파일을 작성한다. 이때, 상기 BIM 설계파일은 BIM 객체항목을 포함하며, 상기 BIM 객체는 여러 속성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는 객체 일반정보(general information), 객체 식별정보(identification information), IFC 정보(Industry Foundation Classes information), 객체 치수정보(object size information), 객체 구조정보(structure information) 및 객체 재료정보(material information)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고, 또한, 상기 BIM 객체는 객체분류체계(OBS)_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OBS_코드 입력란 및 작업분류체계(WBS)_코드를 입력할 수 있는 WBS 코드 입력란을 포함한다.
표준분류체계 DB(120)는 표준분류체계인 객체분류체계(OBS)의 객체분류표 및 작업분류체계(WBS)의 작업분류표, 비용분류체계(CBS)의 비용분류표 및 일위대가를 저장하며, 이때, 상기 객체분류표 및 작업분류표 각각에는 속성정보가 포함된다. 여기서, 상기 객체분류표는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정한 표이고, 또한, 상기 작업분류표는 철도시설물의 작업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단계별로 구분하여 설정한 표이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100)을 구동하기 위해 필요한 표준분류체계는 사전에 DB로 구축되어 표준분류체계 DB(120)에 저장되며, 특히, 철도시설물의 표준분류체계는 발주처에 의해 제시되어야 하며, 필요시 사용자가 추가로 작성할 수 있다.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130)은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와 객체분류체계(OBS)/작업분류체계(WBS)의 속성정보를 각각 맵핑(Mapping)하여 객체분류 트리정보 및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생성하고, 물량 산출 탭(Tab)과 공사비 산출 탭을 통해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산출을 위한 연산 처리를 각각 수행한다.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140)은 비용분류체계(CBS)와 작업분류체계(WBS)의 조합에 의한 BIM 내역서를 생성하며, 또한,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의 전체 계산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140)은 기존 내역서(2D 또는 기존 BIM)와 물량/공사비의 비교를 수행하고, 최종 BIM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여,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에 따른 객체분류체계(OBS)와 작업분류체계(WBS) 속성정보 간의 자동 맵핑(Mapping) 기능을 통해서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자동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표준분류체계 DB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준분류체계 DB(120)는 OBS DB(121), WBS DB(122), CBS DB(123) 및 일위대가 DB(124)로 이루어질 수 있지만, 이에 국한되는 것은 아니다.
구체적으로, 객체분류체계(Object Breakdown Structure: OBS) DB(121)는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Level) 구조를 저장한 DB로서, 이러한 OBS DB(121)는 단위 BIM 객체에 코드가 입력되어 있어야 하며, OBS_코드에 의해 BIM 객체를 쉽게 인지하고 자동화하도록 제공되는 표준분류체계 DB이다.
또한,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WBS) DB(122)는 특정 건설공사 프로젝트 팀이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작업을 계층 구조를 세분화하여 저장한 DB로서, 단위 작업에 WBS_코드가 입력되도록 제공되는 표준분류체계 DB이다.
또한, 비용분류체계(Cost Breakdown Structure: CBS) DB(123)는 사업수행자가 수행한 모든 작업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작업분류체계(WBS)의 비용(예를 들면, 예산 또는 원가) 관점의 위계 구조를 저장한 DB로서, 이러한 CBS DB(123)는 단위비용에 CBS_코드가 입력되도록 제공되는 표준분류체계 DB이다.
또한, 일위대가 DB(124)는 객체분류체계(OBS)의 단위 BIM 객체에 입력된 OBS_코드별로 일위대가가 저장되며, BIM으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을 검토하기 위하여 BIM 객체별 자동/연동/수동 산출식이 저장된 DB로서, 특히, BIM 객체로 표현되지 않더라도 철도시설물의 BIM 물량과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BIM 객체로 사각기둥을 모델링할 경우, 콘크리트의 경우 부피로 자동 계산이 가능하므로 자동 방식으로 물량을 산출하고, 또한, 거푸집의 경우 BIM 객체로 모델링 되지는 않았지만 외부표면 면적으로 산출할 수 있는 물량이므로 연동 방식으로 물량을 산출하며, 또한, 철근을 모두 모델링 하지 못하는 경우, 철근은 수동으로 물량을 입력하는 수동 방식으로 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110)은 BIM 라이브러리 생성부(111), 분류체계 코드 입력부(112) 및 BIM 설계 모델링 수행부(1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BIM 라이브러리 생성부(111)는 통상적인 BIM 저작도구(BIM Tool)를 사용하여 철도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하여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라이브러리 모델을 생성한다.
분류체계 코드 입력부(112)는 OBS_코드 입력부와 WBS_코드 입력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OBS_코드 입력부는 BIM 객체의 OBS_코드 입력란 내에 OBS_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OBS_코드는 상기 표준분류체계 DB(120)의 OBS DB(121)에 저장된 OBS 객체분류표의 해당 객체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WBS_코드 입력부는 BIM 객체의 WBS 코드 입력란 내에 WBS_코드를 입력한다. 이때, 상기 WBS_코드는 상기 표준분류체계 DB(120)의 WBS DB(122)에 저장된 작업분류표의 해당 객체에 대응한다.
BIM 설계 모델링 수행부(113)는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를 위한 BIM 라이브러리-기반 BIM 모델링을 수행하여 BIM 객체항목이 포함된 BIM 설계파일을 작성한다. 여기서, 상기 BIM 객체항목의 BIM 객체 각각은 속성정보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 BIM에서 속성은 대상 객체가 가지는 물리적 및 논리적 특성을 나타내며, 라이브러리의 활용성을 결정하는 중요한 정보항목이다. 또한, BIM 객체의 속성정보는 이론적으로 하나의 형상객체에 무한대의 항목를 가지고 있을 수 있고, 사용자가 기본 BIM 저작도구에서 제공하는 기본적인 항목 외에 필요에 의해 추가로 정의할 수도 있다.
한편,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에서 철도시설물 물량과 공사비 산출 모듈의 구체적인 구성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100)에서 철도시설물 물량과 공사비 산출 모듈(130)은, 분류체계 코드 확인부(131), 자동 맵핑 및 연산처리부(132),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133),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4),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5), 비용분류체계/일위대가 호출부(136), 물량 산출부(137) 및 공사비 산출부(1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분류체계 코드 확인부(131)는 상기 BIM 객체항목의 각각의 BIM 객체에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추가 입력이 필요한지 확인한다.
자동 맵핑 및 연산처리부(132)는 OBS 속성정보 및 WBS 속성정보를 BIM 객체 속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 맵핑시키고 연산처리를 수행한다.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133)는 상기 분류체계 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BIM 객체항목별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추가 맵핑시킨다. 즉, 상기 분류체계 코드인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OBS 속성정보 및 WBS 속성정보를 BIM 객체 속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 맵핑시킨 후,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133)가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으로 BIM 객체항목별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추가 맵핑시킨다.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4)는 객체분류 트리정보를 생성한다. 즉, BIM 객체의 속성정보 불러오기를 실행하여 OBS_코드를 연산 처리하면, 상기 OBS_코드가 반영된 객체분류 트리정보가 자동으로 생성된다.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5)는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생성한다. 즉, BIM 객체의 속성정보 불러오기를 실행하여 WBS_코드를 연산 처리하면, 상기 WBS_코드가 반영된 객체분류 트리정보가 각각 자동으로 생성된다.
비용분류체계/일위대가 호출부(136)는 상기 비용분류체계(CBS) DB(123)에 저장된 비용분류체계 및 상기 일위대가 DB(124)에 저장된 일위대가를 호출한다.
물량 산출부(137)는 상기 객체분류 트리정보에 따라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산출한다. 즉, 상기 물량 산출부(137)를 선택하면 상기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4)에서 생성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로부터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산출할 수 있다.
공사비 산출부(138)는 상기 작업분류 트리정보에 따라 수집되는 조달청 데이터와 상기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조합하여 철도시설물의 공사비를 산출한다. 즉, 상기 공사비 산출부(138)를 선택하면, 상기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작업분류 트리정보에 근거하여 조달청 데이터, 예를 들면, BIM 객체 항목별 공사비와 상기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조합하여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설계 프로젝트 수행시,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에 따른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 및 작업분류체계(WBS) 속성정보를 자동 맵핑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자동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 2D CAD 기반의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작업으로 인한 발생 오류를 감소시키고,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등의 산출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산출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을 나타내는 동작흐름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은, 먼저,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링을 설계하고, 표준분류체계 코드로서 객체분류체계(OBS)_코드 및 작업분류체계(WBS)_코드를 입력하여 BIM 객체항목을 포함하는 BIM 모델링 설계파일을 작성한다(S110).
구체적으로, BIM 저작도구(BIM Tool)를 실행하여 철도시설물에 대한 데이터를 수집한 후,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라이브러리가 있는 공종의 경우, BIM 라이브러리 기반으로 BIM 모델링을 설계하거나, 또는 BIM 라이브러리가 없는 공종의 경우, 개별적으로 BIM 모델링을 직접 설계하여 BIM 객체를 생성한다. 이때, 상기 BIM 객체는 여러 속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속성정보는 OBS_코드 및 WBS_코드를 포함한다.
이후, BIM 객체의 속성정보 내의 OBS_코드 입력란에 철도시설물의 객체분류표에 따른 해당 BIM 객체별 OBS 코드를 입력하고, 또한, 상기 BIM 객체의 WBS_코드 입력란에 철도시설물의 작업분류표에 따른 해당 BIM 객체별 WBS_코드를 입력한다. 여기서, 상기 객체분류표는 표준분류체계 DB(120) 내의 OBS DB(121)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고, 상기 작업분류표는 표준분류체계 DB(120) 내의 WBS DB(122)로부터 제공받을 수 있다. 이때, 상기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입력은 각 분류체계를 위계(Level)별로 선택하여 입력하거나, DB 검색에 의해 선택할 수 있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후, 철도시설물의 선형 및 구조물에 대한 OBS_코드와 WBS_코드가 입력된 BIM 객체항목을 포함하는 BIM 설계파일을 작성한다.
다음으로, BIM 객체의 속성정보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 간의 자동 맵핑을 각각 수행한다(S120).
구체적으로,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물량과 공사비 산출을 위해 BIM 모델링 설계파일 열기를 수행한다. 이후, OBS DB(121)와 WBS DB(122)를 각각 호출하고, 상기 BIM 모델링 설계파일로부터 BIM 객체 속성정보를 호출한다. 이때, BIM 객체에 OBS_코드와 WBS_코드가 입력되어 있는 경우, 입력된 OBS_코드와 WBS_코드를 연산처리한 후에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각각 자동 맵핑하여 객체분류 트리정보와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각각 생성한다.
예를 들면,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OBS_코드가 입력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이를 반영하여 해당 OBS_코드와 OBS 속성정보가 호출되어 객체분류 트리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WBS_코드가 입력되어 있으면 자동으로 이를 반영하여 해당 WBS_코드와 WBS 속성정보가 호출되어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자동 생성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분류체계 코드인 OBS_코드 및 WBS_코드가 입력되어 있지 않은 경우, 상기 호출된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해당 OBS_코드/WBS_코드 및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를 각각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기능으로 자동 맵핑을 수행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BIM 객체와 표준분류체계간 자동맵핑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OBS_코드 및 WBS_코드가 입력되지 않은 경우, BIM 객체항목항목에서 자동 맵핑하고자 하는 BIM 객체를 선택하고, 이후,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기능으로 해당 BIM 객체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간의 추가적인 자동 맵핑 작업을 수행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추가 자동 맵핑 작업이 모두 완료된 후, 특정 BIM 객체를 선택하면 BIM 모델이 가시화되며, 또한, 속성변수 화면(BIM 객체의 속성정보 화면)에서 OBS_코드/WBS_코드를 각각 확인할 수 있으며, 또한, BIM 객체항목 화면에서는 OBS_코드/WBS_코드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가 자동으로 생성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BIM 물량/공사비를 산출탭별 OBS/WBS 체계구조 및 BIM 객체 항목 호출 및 재배열 수행한다(S130).
구체적으로, OBS_코드/WBS_코드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가 자동 맵핑된 BIM 객체항목을 호출하고, OBS_코드가 입력된 BIM 객체항목과 WBS_코드가 입력된 BIM 객체항목을 수량 산출탭과 공사비 산출탭에 각각 재배열하여 연산처리를 수행한다.
예를 들면, 수량 산출탭의 경우, 객체분류체계의 구조정보를 트리보기 형태로 자동생성한 후, 검토하고자 하는 객체분류체계(OBS)를 선택하며, 이후, 선택된 체계의 OBS_코드와 BIM 객체항목으로 배열되어 호출 및 가시화될 수 있다. 또한, 공사비 산출탭의 경우, 작업분류체계(WBS)의 구조 정보를 트리보기 형태로 자동 생성하고, 이후, 검토하고자 하는 작업분류체계(WBS)를 선택하며, 이후, 선택된 체계의 WBS_코드와 BIM 객체항목으로 배열되어 호출 및 가시화될 수 있다.
다음으로, 비용분류체계(CBS) DB 및 일위대가 DB를 호출한다(S140).
구체적으로, 비용분류체계(CBS) DB(123)를 호출하고, 이때, 내역서를 새로 작성해야 할 경우, 상기 일위대가 DB(124)는 조달청 표준 일위대가 DB가 반영된 내역서를 호출하며, 실시간 표준품셈, 물가정보, 노임단가를 고려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내역서를 활용한다면, 기존에 작성된 BIM 내역서 또는 기존 2D 내역서 DB를 호출할 수 있다.
다음으로, BIM 기반 철도시설물에 대한 물량을 산출한다(S150).
도 1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작업분류체계(OBS)에 따라 BIM 객체의 수량 산출 관련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OBS_코드별 1식 일위대가 구성 및 자동, 연동(산식), 수동 수량 산출식 DB 호출 및 연산처리를 수행한다. 이때, 수량 산출탭을 통해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 내역서 일위대가 정보가 자동으로 맵핑되어 반영되고, 이를 가시화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량 산출탭에서, OBS_코드 및 BIM 객체항목에서 특정 BIM 항목 및 OBS_코드를 검색하여 클릭한 후, 해당되는 BIM 객체항목에 자동/연동/수동 일위대가 내역 항목을 확인할 수 있으며, 각 BIM 객체항목별 수량산출식을 확인할 수 있고, 수정/입력이 가능하다. 또한, OBS_코드 및 BIM 객체항목별 수량산출 실행 및 자동/연동/수동 수량의 산출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BIM 기반 철도시설물에 대한 공사비를 산출한다(S160).
도 1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작업분류체계(WBS)에 따라 BIM 객체의 공사비 산출 관련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사비 산출탭을 통해 자동/연동/수동을 포함한 수량 산출 결과를 자동 연동시킨다. 예를 들면, 작업 공정에는 있으나, BIM 객체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터널 계측 용역비, 부대공 등)에 대해서는 수동으로 수량 및 공사비 입력을 추가로 수행한다. 또한, WBS_코드 및 BIM 객체의 일위대가가 자동으로 연동되어, WBS 작업분류체계(WBS)의 작업분류 단위로 BIM 공사비 산출을 수행하고, 이를 확인할 수 있다.
다음으로,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고 비교 분석한다(S170).
도 1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에서 BIM 물량과 공사비의 내역서 작성 관련 화면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용분류체계(CBS)와 작업분류체계(WBS)의 조합에 의한 BIM 내역서를 생성하며, 또한,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의 전체 계산을 실행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내역서(2D 또는 기존 BIM)와 물량/공사비의 비교를 수행하고, 최종 BIM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여,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할 수 있다.
결국,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철도시설물에 대한 빌딩정보모델링(BIM) 설계 프로젝트 수행시,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에 따른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 및 작업분류체계(WBS) 속성정보를 자동 맵핑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쉽고 용이하게 자동산출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기존 2D CAD 기반의 설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수작업으로 인한 발생 오류를 감소시키고,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등의 산출 오차를 감소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산출에 대한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 속성정보와 표준분류체계에 따른 객체분류체계(OBS) 속성정보 및 작업분류체계(WBS) 속성정보를 자동 맵핑시, 분류체계 코드가 없는 경우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을 활용하여 추가 맵핑시킴으로써, 객체분류 트리정보와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생성할 수 있고, 이에 따라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신속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철도시설물의 설계 변경시, BIM 객체와 표준분류체계를 자동 맵핑시킴으로써, 철도시설물의 설계 변경에 따른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신속 정확하게 산출할 수 있다.
또한,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과 공정에 대하여 BIM을 이용하여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산출할 수 있도록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으로 일위대가를 자동 또는 연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하거나 WBS_코드에 수동으로 물량 및 공사비를 입력할 수 있다.
또한, 기존 내역서와 비교 검토함으로써, BIM 내역서 기반의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할 수 있도록 하여, BIM 기반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를 자동으로 연계하여 산출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110: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
111: BIM 라이브러리 생성부
112; 분류체계 코드 입력부
113: BIM 설계 모델링 수행부
120: 표준분류체계 DB
121: 객체분류체계(OBS) DB
122: 작업분류체계(WBS) DB
123: 비용분류체계(CBS) DB
124: 일위대가 DB
130: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
131: 분류체계 코드 확인부
132: 자동 맵핑 및 연산처리부
133: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
134: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
135: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
136: 비용분류체계/일위대가 호출부
137: 물량 산출부
138: 공사비 산출부
140: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

Claims (16)

  1. 철도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하여 빌딩정보모델링(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BIM) 라이브러리를 구축하고, 상기 BIM 라이브러리-기반으로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를 수행하여 BIM 객체항목이 포함된 BIM 설계파일을 작성하는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110);
    객체분류체계(Object Breakdown Structure: OBS)의 객체분류표, 작업분류체계(Work Breakdown Structure: WBS)의 작업분류표, 비용분류체계(Cost Breakdown Structure: CBS)의 비용분류표 및 일위대가 산출식이 저장되는 표준분류체계 DB(120);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를 각각 맵핑(Mapping)하여 객체분류 트리정보 및 작업분류 트리정보를 각각 생성하고, 물량 산출 탭(Tab)과 공사비 산출 탭을 통해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산출을 위한 연산 처리를 각각 수행하는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130); 및 비용분류체계(CBS)와 작업분류체계(WBS)의 조합에 의한 BIM 내역서를 생성하고,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의 전체 계산을 실행하는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140)을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130)은,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OBS_코드/WBS_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기능을 통해서 상기 BIM 객체의 개별 항목과 OBS 속성정보 및 WBS 속성정보의 자동 맵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IM 객체는 속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는 객체 일반정보, 객체 식별정보, IFC 정보, 객체 치수정보, 객체 구조정보 및 객체 재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OBS 코드 입력란 및 WBS 코드 입력란을 추가로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표준분류체계 DB(120)는,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Level) 구조가 저장된 객체분류체계(OBS) DB(121);
    특정 건설공사 프로젝트 팀이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작업을 세분화한 계층 구조가 저장된 작업분류체계(WBS) DB(122);
    사업수행자가 수행한 모든 작업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작업분류체계(WBS)의 비용 관점의 위계 구조가 저장된 비용분류체계(CBS) DB(123); 및
    객체분류체계(OBS)의 단위 BIM 객체에 입력된 OBS_코드별로 일위대가가 저장되며, BIM으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을 검토하기 위하여 BIM 객체별 자동/연동/수동 산출식이 저장된 일위대가 DB(124)를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시설물 BIM 설계 모듈(110)은,
    BIM 저작도구(BIM Tool)을 사용하여 철도시설물 데이터를 수집하여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라이브러리 모델을 생성하는 BIM 라이브러리 생성부(111);
    OBS_코드 입력부와 WBS_코드 입력부로 이루어지며, OBS_코드 입력부가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의 OBS_코드 입력란에 OBS_코드를 입력하고, WBS_코드 입력부가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의 WBS_코드 입력란에 WBS_코드를 입력하는 분류체계 코드 입력부(112); 및
    철도시설물의 BIM 설계를 위한 BIM 라이브러리-기반 BIM 모델링을 수행하여 BIM 객체항목이 포함된 BIM 설계파일을 작성하는 BIM 설계 모델링 수행부(113)를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철도시설물 물량 및 공사비 산출 모듈(130)은,
    상기 BIM 객체항목 각각의 BIM 객체 속성정보에 분류체계 코드인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추가 입력이 필요한지 확인하는 분류체계 코드 확인부(131);
    OBS 속성정보 및 WBS 속성정보를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대응하도록 각각 맵핑시키고 연산처리를 수행하는 자동 맵핑 및 연산처리부(132);
    상기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BIM 객체항목별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추가 맵핑시키는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133);
    BIM 객체의 속성정보 불러오기를 실행하여 OBS_코드 및 OBS 속성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OBS_코드가 반영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4);
    BIM 객체의 속성정보 불러오기를 실행하여 WBS_코드 및 WBS 속성정보를 연산 처리하여 상기 WBS_코드 및 WBS 속성정보가 반영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를 자동으로 생성하는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5);
    상기 비용분류체계(CBS) DB(123)에 저장된 비용분류체계 및 상기 일위대가 DB(124)에 저장된 일위대가를 호출하는 비용분류체계(CBS)/일위대가 호출부(136);
    상기 객체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4)에서 생성된 객체분류 트리정보로부터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산출하는 물량 산출부(137); 및
    상기 작업분류 트리정보 생성부(135)에서 생성된 작업분류 트리정보에 근거하여 조달청 데이터인 BIM 객체 항목별 공사비와 상기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조합하여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공사비를 산출하는 공사비 산출부(138)을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드래그 앤드 드롭 실행부(133)는 상기 분류체계 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 기능으로 BIM 객체항목 항목별 OBS 속성정보와 WBS 속성정보를 추가 맵핑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IM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 작성 모듈(140)은 기존 내역서와 물량/공사비의 비교를 수행하고, 최종 BIM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여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9. a) 철도시설물에 대한 BIM 모델링을 설계하고, 표준분류체계 코드로서 객체분류체계(OBS)_코드 및 작업분류체계(WBS)_코드를 입력하여 BIM 모델링 설계파일인 BIM 객체항목을 작성하는 단계;
    b) 표준분류체계 DB(120)로부터 제공되는 OBS/WBS 속성정보와 BIM 객체 속성정보 간의 자동 맵핑을 수행하는 단계;
    c) 상기 자동 맵핑된 BIM 객체항목을 재배열하는 단계;
    d) 비용분류체계(CBS) DB 및 일위대가 DB를 호출하는 단계;
    e)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을 산출하는 단계;
    f) BIM-기반 철도시설물의 공사비를 산출하는 단계; 및
    g) BIM-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내역서를 작성하여 비교 분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에서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에 OBS_코드 및 WBS_코드의 입력이 필요한 경우, 객체분류표와 작업분류표를 참조하여, 드래그 앤드 드롭(Drag & Drop) 기능을 통해서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와 OBS 속성정보/WBS 속성정보의 자동 맵핑을 추가로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IM 객체는 속성정보를 포함하며, 상기 BIM 객체의 속성정보는 객체 일반정보, 객체 식별정보, IFC 정보, 객체 치수정보, 객체 구조정보 및 객체 재료정보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고, OBS 코드 필드 및 WBS 코드 필드를 추가로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의 표준분류체계 DB(120)는,
    철도시설물의 BIM 객체를 효율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객체 관점의 공간-시설-부위 단위의 위계(Level) 구조가 저장된 객체분류체계(OBS) DB(121);
    특정 건설공사 프로젝트 팀이 목표를 달성하고 필요한 결과물을 도출하기 위하여 실행하는 작업을 세분화한 계층 구조가 저장된 작업분류체계(WBS) DB(122);
    사업수행자가 수행한 모든 작업과 서비스를 포함하는 작업분류체계(WBS)의 비용 관점의 위계 구조가 저장된 비용분류체계(CBS) DB(123); 및
    객체분류체계(OBS)의 단위 BIM 객체에 입력된 OBS_코드별로 일위대가가 저장되며, BIM으로 모델링되지 않는 항목을 검토하기 위하여 BIM 객체별 자동/연동/수동 산출식이 저장된 일위대가 DB(124)를 포함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내역서를 새로 작성해야 할 경우, 상기 일위대가 DB(124)는 조달청 표준 일위대가 DB가 반영된 내역서를 실시간 표준품셈, 물가정보, 노임단가를 고려하여 호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에서 OBS_코드별 1식 일위대가 구성 및 자동, 연동(산식), 수동 수량 산출식 DB 호출 및 연산처리를 수행하며, 수량 산출탭을 통해 OBS_코드별 자동/연동/수동 내역서 일위대가 정보가 자동으로 맵핑되어 반영되어 가시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f) 단계에서 공사비 산출탭을 통해 자동/연동/수동을 포함한 수량 산출 결과를 자동 연동시키며, 작업 공정에는 있으나 BIM 객체로 표현할 수 없는 경우 수동으로 수량 및 공사비 입력을 추가로 수행하고, 상기 WBS_코드 및 BIM 객체의 일위대가가 자동으로 연동되어, 작업분류체계(WBS)의 작업분류 단위로 BIM 공사비 산출을 수행 및 확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g) 단계에서, 기존 내역서와 물량/공사비의 비교를 수행하고, 최종 BIM 내역서를 기반으로 하여 기성 및 진척률을 관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방법.
KR1020220115052A 2022-09-13 2022-09-13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KR102668849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052A KR102668849B1 (ko) 2022-09-13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EP23185724.4A EP4339857A1 (en) 2022-09-13 2023-07-17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calculating quantity and construction cost of railway facilities based on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052A KR102668849B1 (ko) 2022-09-13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766A true KR20240036766A (ko) 2024-03-21
KR102668849B1 KR102668849B1 (ko) 2024-05-27

Family

ID=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62B1 (ko) 2013-01-11 2013-08-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2913B1 (ko) 2016-11-29 2017-07-03 주식회사 코바엔지니어링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816770B1 (ko) 2017-11-13 2018-01-09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101909996B1 (ko) 2017-08-22 2018-12-28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308200B1 (ko) 2021-02-19 2021-10-05 주식회사 한울씨앤비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
KR20220078107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라온비아이엠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4389A (ko) 2020-12-29 2022-07-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Bim 기반의 철도 인프라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3662B1 (ko) 2013-01-11 2013-08-13 명지대학교 산학협력단 Bim 객체분류체계 생성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752913B1 (ko) 2016-11-29 2017-07-03 주식회사 코바엔지니어링 Bim을 이용한 건물 시공 운영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1909996B1 (ko) 2017-08-22 2018-12-28 주식회사 연우테크놀러지 Bim 기반의 건축 공사수량 산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816770B1 (ko) 2017-11-13 2018-01-09 (주)두컴스엔지니어링코리아 Bim 기반 철도 시설물 관리 시스템
KR20220078107A (ko) 2020-12-03 2022-06-10 주식회사 라온비아이엠 이종 체계를 가지는 bim데이터의 객체코드 변환방법 및 시스템
KR20220094389A (ko) 2020-12-29 2022-07-06 한국철도기술연구원 Bim 기반의 철도 인프라 설계 정보를 관리하는 방법 및 장치
KR102308200B1 (ko) 2021-02-19 2021-10-05 주식회사 한울씨앤비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39857A1 (en)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8200B1 (ko) Bim기반 건설데이터 통합관리 방법
Hamdi et al. BIM and Lean interactions from the bim capability maturity model perspective: A case study
Boon et al. Evolution of quantity surveying practice in the use of BIM–the New Zealand experience
CN106095989A (zh) 一种基于bim的建筑工程信息交换方法
KR101690211B1 (ko) Bim-기반 건설 가치공학 수행 시스템
Porwal et al. The integration of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 (BIM) and system dynamic modeling to minimize construction waste generation from change orders
Austin et al. Application of the analytical design planning technique to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Fernandes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BIM platforms on construction site
Temel et al. Investigation of IFC file format for BIM based automated code compliance checking
Brinda et al. Developments of facility management us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ling
Sabet et al. Pathways for the improvement of construction productivity: a perspective on the adoption of advanced techniques
Alzarrad et al. 4D BIM simulation guideline for construction visualization and analysis of renovation projects: A case study
Leonovich et al. 3D-modeling for life cycle of the structure
KR102668849B1 (ko)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Kuzminykh et al. 4D and 5D design processes automation using databases, classification and applied programming
KR20240036766A (ko) Bim 기반 철도시설물의 물량과 공사비 자동산출 시스템
Vimonsatit et al. Use of BIM tools for site layout planning
Sorge et al. Bim implementation–brenner base tunnel project
Jongeling et al. nD modelling in the development of cast in place concrete structures
Dib et al. A GIS-based visual information model for buildng construction project management
Mohamed Hossam et al. IDENTIFYING THE IMPACT OF INTEGRATING BUILDING INFORMATION MODELINGWITH MAINTENANCE MANAGEMENT A LITERATURE REVIEW
Lucas et al. Analyzing capacity of BIM tools to support data use across project lifecycle
Mansoori et al. On construction-specific product structure design and development: the BIM enhancement approach
Barlas et al. Towards automated simulation input data
Li BIM Technology Advances to Promote the Development of the City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