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636A -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 Google Patents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636A
KR20240036636A KR1020247005655A KR20247005655A KR20240036636A KR 20240036636 A KR20240036636 A KR 20240036636A KR 1020247005655 A KR1020247005655 A KR 1020247005655A KR 20247005655 A KR20247005655 A KR 20247005655A KR 20240036636 A KR20240036636 A KR 202400366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portion
aerosol
generating device
power supply
hous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56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미셸 안드레아 카토니
발레리오 올리아나
톨스텐 리차드 마티아스 팅스트롬
에즈키엘 마틴 발데즈 로하스
Original Assignee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filed Critical 필립모리스 프로덕츠 에스.에이.
Publication of KR202400366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636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20Devices using solid inhalable precursor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40Constructional details, e.g. connection of cartridges and battery parts
    • A24F40/46Shape or structure of electric heating means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50Control or monitoring
    • AHUMAN NECESSITIES
    • A24TOBACCO; CIGARS; CIGARETTES; SIMULATED SMOKING DEVICES; SMOKERS' REQUISITES
    • A24FSMOKERS' REQUISITES; MATCH BOXES; SIMULATED SMOKING DEVICES
    • A24F40/00Electrically operated smoking devices; Component parts thereof; Manufacture thereof; Maintenance or testing thereof; Charging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24F40/90Arrangement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charging batteries thereof

Landscapes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Abstract

제1 하우징부(14; 214) 및 제2 하우징부(16; 216)를 포함하는 하우징(12; 212)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210)가 제공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14; 214)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32)를 정의한다. 제2 하우징부(16; 216)는 제1 하우징부(14; 21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210)는 또한 제1 하우징부(14; 214) 내에 위치된 전기 히터(22)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210)는 또한 제2 하우징부(16; 216) 내에 위치된 전력 공급부(20)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 210)는 또한 제1 하우징부(14; 214) 내에 위치된 제어기(18)를 포함하며, 제어기(18)는 제2 하우징부(16; 216)이 제1 하우징부(14; 214)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20)로부터 전기 히터(22)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본 발명은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2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일 유형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은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이다. 공지된 핸드헬드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재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제어 전자기기,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와 사용하기 위하여 특별히 설계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 로드 또는 담배 플러그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고, 에어로졸 발생 장치 내에 수용된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로 삽입될 경우에 에어로졸 형성 기재 내로 삽입되거나 에어로졸 형성 기재 주위에 위치한다. 대안적인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에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느슨한 담배와 같은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한 캡슐을 포함할 수 있다.
공지된 전기 작동식 흡연 시스템에서, 배터리 재충전이 필요하기 전에 장치에 의해 제공될 수 있는 흡연 경험의 수는 배터리의 저장 용량에 의해 제한된다. 그러나, 배터리의 저장 용량을 증가시키는 것은 물리적으로 더 큰 배터리를 필요로 하며, 더 크고 더 무거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초래하며, 이는 사용자에게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제조사는 배터리 저장 용량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물리적 크기 사이에 타협을 제공하는 배터리 크기를 선택할 수 있다. 그러나, 일부 사용자는 더 큰 배터리 용량을 선호할 수 있고 다른 사용자는 더 작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선호할 수 있기 때문에, 타협이 모든 사용자를 만족시키지 못할 수 있다.
전력 공급 용량의 문제점을 완화하거나 극복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공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정의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기식 히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제2 하우징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어기를 포함할 수 있다. 제어기는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제어기는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히터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어기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또한 제공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정의한다. 제2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또한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전기 히터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또한 제2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또한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제어기를 포함하며, 제어기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제1 하우징부로부터 분리 가능한 제2 하우징부에 전력 공급부를 제공하는 것은 다수의 상이한 전력 공급부를 갖는 단일 제1 하우징부의 사용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부가 완전히 방전될 때, 사용자는 제2 하우징부를 상이한 완전히 충전된 전력 공급부를 함유하는 추가 하우징부로 교체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전력 공급부가 재충전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사용자는 상이한 크기를 가지며 상이한 저장 용량을 갖는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하우징부의 범위로부터 제2 하우징부를 선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사용자가 전력 공급부 저장 용량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물리적 크기 사이의 바람직한 타협을 선택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어기 및 전기 히터를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시키는 것은 제2 하우징부 내의 전기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2 하우징부 내의 전기 구성요소의 수를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는 것은 제2 하우징부의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의 비용을 감소시키거나 최소화하는 것은 제1 하우징부와 함께 사용하기 위해 전력 공급부를 각각 포함하는 다수의 하우징 부분을 구매하고자 하는 사용자에게 특히 바람직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은 제2 하우징부를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기 위한 계면을 포함하고 있다.
계면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 상태로 제2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억지 끼워맞춤은 제2 하우징부를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기 위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계면은 베이어닛 연결부 및 스크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암형 베이오넷 커넥터 및 제2 하우징부 상의 수형 베이오넷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수형 베이오넷 커넥터 및 제2 하우징부 상의 암형 베이오넷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암형 나사 스레드 및 제2 하우징부 상의 수형 나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수형 나사 스레드 및 제2 하우징부 상의 암형 나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2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롯은 제1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롯은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계면은 슬롯 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돌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롯은 제1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돌출부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슬롯은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돌출부는 제1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와의 해제 가능한 부착 상태로 제2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배열된 래칭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래칭 요소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로부터 우발적으로 분리될 위험을 감소시킬 수 있다. 래칭 요소는 디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텐트는 제1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2 하우징부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디텐트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하우징부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계면은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된 해제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해제 요소는 제1 하우징부로부터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해제 요소는 제2 하우징부로부터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해제 요소는 레버와 버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래칭 요소가 제1 하우징부 상에 디텐트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해제 요소는 래칭 요소를 제2 하우징부의 일부로부터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래칭 요소가 제2 하우징부 상에 디텐트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해제 요소는 제1 하우징부의 일부로부터 디텐트를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제1 자기 요소 및 제2 하우징부 상의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자기 요소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자기 요소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되는 바와 같이, 용어 "자기 요소"는 강자성 물질과 같은 자석 및 자성 물질을 지칭하는 데 사용된다. 제1 자기 요소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자기 요소는 자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는 자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자기 요소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 및 제2 자기 요소는 각각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전기 접촉부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2 전기 접촉부는 제1 하우징부와 제2 하우징부 사이의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기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2 전기 접촉부를 통해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2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로딩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스프링-로딩된 핀은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와 제2 전기 접촉부 사이의 확실한 전기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2 하우징부 내에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은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로부터 분리될 때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수신하기 위해 제2 하우징부에 위치된 충전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충전 전기 접촉부가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배열은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충전 전기 접촉부가 사용자에게 접근 불가능하도록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배열은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방지하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사용 중인 동안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방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2 하우징부 상에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하우징부는 제1 말단 및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기 접촉부는 제2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2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외부 플러그 또는 소켓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USB-A 커넥터, USB-B 커넥터, USB-C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USB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USB 플러그 또는 USB 소켓을 포함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다른 USB 지원 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USB 충전 장치에 연결시켜서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할 수 있다.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또는 이들 둘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새로운 가열 프로파일과 같은 데이터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컴퓨터에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을 포함하는 이들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을 덮는 제거 가능한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이 USB 플러그인 구현예에서, USB 플러그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는 충전 전기 접촉부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 전기 접촉부 및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전 전기 접촉부 및 무선 충전 회로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충전 표시기는 전력 공급부 내에 저장된 전하(electrical charge)의 양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충전 표시기는 사용자가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할 때를 계획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충전 표시기는 세그먼트화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표시기는 일련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충전 표시기는 전력 공급부 내에 저장된 전하의 양을 나타내기 위해 다수의 LED를 비추도록 구성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 표시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되고 충전 표시기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푸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DC 전압원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이다. 예를 들어, 전력 공급부는 니켈-수소 합금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계 배터리, 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리튬-철-인산염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대안적으로 커패시터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전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 가능하다.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다수의 사용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의 저장을 허용하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전력 공급부는 제1 전력 공급부일 수 있으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3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제2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한다.
유리하게는, 제1 및 제2 전력 공급부를 제공하는 것은 제1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제2 하우징부 또는 제2 전력 공급부를 포함하는 제3 하우징부와 함께 제1 하우징부의 사용을 허용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는 전력 공급부들 중 하나가 재충전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제1 전력 공급부가 소모되었을 때, 사용자는 제1 하우징부로부터 제2 하우징부를 분리한 다음, 제3 하우징부를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고 제2 전력 공급부와 함께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계속 사용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부 내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하는 동안, 사용자는 제1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부가 소모되고 제1 전력 공급부가 재충전되었다면 반대 절차가 사용될 수 있다.
제3 하우징부를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도록 계면이 구성될 수 있다. 계면은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중 하나만을 한 번에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계면은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동시에 부착될 수 없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계면은 제3 하우징부를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으로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억지 끼워맞춤은 제3 하우징부를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기 위한 간단하고 비용 효율적인 배열을 제공할 수 있다.
계면은 베이어닛 연결부 및 스크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암형 베이오넷 커넥터 및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각각 상의 수형 베이오넷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수형 베이오넷 커넥터 및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각각 상의 암형 베이오넷 커넥터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암형 나사 스레드 및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각각 상의 수형 나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 상의 수형 나사 스레드 및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각각 상의 암형 나사 스레드를 포함할 수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3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롯을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제1 하우징의 적어도 일부 또는 제3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롯은 제1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분 및 제3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롯은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1 슬롯일 수 있으며, 계면은 제3 하우징부에 제공된 제2 슬롯을 더 포함하고, 제1 슬롯 및 제2 슬롯 각각은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분을 수용하도록 배열된다.
계면은 슬롯 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된 돌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슬롯은 돌출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슬롯은 제1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고 돌출부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1 돌출부일 수 있으며, 계면은 제3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2 돌출부를 더 포함한다. 슬롯은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1 슬롯일 수 있으며, 계면은 제3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2 슬롯을 더 포함하고, 돌출부는 제1 하우징부 상에 제공될 수 있다.
래칭 요소는 제1 하우징부와의 해제 가능한 부착 상태로 제3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래칭 요소는 디텐트를 포함할 수 있다. 디텐트는 제1 하우징 상에 제공될 수 있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2 하우징부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될 수 있고,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3 하우징부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디텐트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되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하우징부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제1 디텐트일 수 있다. 래칭 요소는 제3 하우징부 상에 제공되고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하우징부의 일부와 맞물리도록 배열된 제2 디텐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해제 요소는 제1 하우징부로부터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해제 요소는 제2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1 해제 요소일 수 있으며, 계면은 제3 하우징부 상에 제공된 제2 해제 요소를 더 포함한다.
해제 요소는 제3 하우징부로부터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래칭 요소가 제1 하우징부 상에 디텐트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해제 요소는 래칭 요소를 제3 하우징부의 일부로부터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래칭 요소가 제3 하우징부 상에 제2 디텐트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제2 해제 요소는 제1 하우징부의 일부로부터 제2 디텐트를 분리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계면은 제3 하우징부 상에 제3 자기 요소를 포함할 수 있고,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자기 요소와 맞물리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자기 요소는 자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는 자화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고, 제3 자기 요소는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자기 요소 및 제3 자기 요소는 각각 자석을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3 전기 접촉부는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는 제1 하우징부와 제3 하우징부 사이의 전력 및 데이터 중 적어도 하나의 전달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어기는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를 통해 제2 전력 공급부로부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전기 접촉부 및 제3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로딩된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스프링-로딩된 핀은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와 제3 전기 접촉부 사이의 확실한 전기 연결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식 제2 전력 공급부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3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3 하우징부 내에 충전 회로를 제공하는 것은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로부터 분리될 때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부를 수신하기 위해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충전 전기 접촉부가 사용자에게 접근 가능하도록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배열은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은 사용자에게 편리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충전 전기 접촉부가 사용자에게 접근 불가능하도록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이러한 배열은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방지할 수 있다.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방지하는 것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사용 중인 동안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방지하는 데 유용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3 하우징부 상에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고 있는 구현예에서,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3 하우징부는 제1 말단 및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할 수 있다. 제3 전기 접촉부는 제3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3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위치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제3 하우징부 상에 외부 플러그 또는 소켓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충전 전기 접촉부는 USB-A 커넥터, USB-B 커넥터, USB-C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USB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USB 플러그 또는 USB 소켓을 포함하여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다른 USB 지원 장치에 연결시킬 수 있다.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USB 충전 장치에 연결시켜서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할 수 있다.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의 데이터 전송, 또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부터의 데이터 전송, 또는 이들 둘 모두를 지원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새로운 가열 프로파일과 같은 데이터를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 전송하도록 컴퓨터에 연결 가능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을 포함하는 이들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하지 않을 때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을 덮는 제거 가능한 커버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USB 플러그 또는 소켓이 USB 플러그인 구현예에서, USB 플러그는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장치 내에서 선택적으로 회수될 수 있다.
충전 회로는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충전 회로는 충전 전기 접촉부에 대한 대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 전기 접촉부 및 무선 충전 회로를 통해 제2 전력 공급부의 재충전을 가능하게 하기 위해 충전 전기 접촉부 및 무선 충전 회로 둘 모두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표시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충전 표시기는 제2 전력 공급부 내에 저장된 전하(electrical charge)의 양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리하게는, 충전 표시기는 사용자가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할 때를 계획하는 것을 도울 수 있다.
충전 표시기는 세그먼트화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충전 표시기는 일련의 발광 다이오드(LED)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충전 표시기는 제2 전력 공급부 내에 저장된 전하의 양을 나타내기 위해 다수의 LED를 비추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충전 표시기를 활성화하기 위한 사용자 입력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되고 충전 표시기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푸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부는 DC 전압원일 수 있다. 바람직한 구현예에서, 제2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이다. 예를 들어, 제2 전력 공급부는 니켈-수소 합금 배터리, 니켈 카드뮴 배터리, 또는 리튬계 배터리, 예를 들어 리튬-코발트, 리튬-철-인산염 또는 리튬-폴리머 배터리일 수 있다. 제2 전력 공급부는 대안적으로 커패시터와 같은 또 다른 형태의 전하 저장 장치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2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 가능하다. 제2 전력 공급부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하나 이상의 사용을 위해 충분한 에너지의 저장을 허용하는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력 공급부는 제1 전하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고, 제2 전력 공급부는 제2 전하 저장 용량을 가질 수 있다.
제1 전하 저장 용량은 제2 전하 저장 용량과 동일할 수 있다.
제1 전하 저장 용량은 제2 전하 저장 용량과 상이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제1 전력 공급부 및 제2 전력 공급부에 상이한 전하 저장 용량을 제공하는 것은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에 상이한 치수를 제공하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사용자는 사용자가 큰 전하 저장 용량을 선호하는지 또는 물리적으로 더 작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선호하는지에 따라 제1 하우징부와 함께 제3 하우징부의 제2 하우징부를 사용할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사용자의 선호도가 변하면, 사용자는 제2 하우징부를 제3 하우징부로 교환하거나 제3 하우징부를 제2 하우징부로 교환하도록 선택할 수 있다.
제1 전하 저장 용량 대 제2 전하 저장 용량의 비는 약 1.5 내지 약 3, 선택적으로 약 1.5 내지 약 2.5, 선택적으로 약 1.7 내지 약 2.3일 수 있다.
제2 하우징부는 제3 하우징부와 상이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제2 하우징부는 제3 하우징부와 상이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하우징부의 챔버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하기 위한 저장조를 정의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서 기류 배출구를 정의할 수 있다.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는 공동의 말단에 개구부를 정의할 수 있으며, 개구부는 제1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 위치된다.
제1 하우징부는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제3 하우징부는 제1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는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 및 제1 말단과 제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제3 하우징부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중 하나만이 임의의 한 번에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동시에 부착되지 않을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폐쇄 부재가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와 개구부가 덮이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폐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폐쇄 부재는 제2 하우징부에 부착된 제1 폐쇄 부재일 수 있다. 제1 폐쇄 부재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제2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폐쇄 부재는 제1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2 하우징부 위에 놓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제2 폐쇄 부재가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와 개구부가 덮이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제2 폐쇄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폐쇄 부재는 제3 하우징부에 부착될 수 있다. 제2 폐쇄 부재는 폐쇄 위치와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제3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2 폐쇄 부재는 제2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제3 하우징부 위에 놓이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제1 하우징부, 제2 하우징부 및 제3 하우징부 각각은 임의의 적합한 재료 또는 재료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재료의 예는 금속, 합금, 플라스틱 또는 이들 재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복합 재료, 또는 식품이나 약제학적 적용에 적합한 열가소성 수지, 예를 들어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테르에테르케톤(PEEK) 및 폴리에틸렌을 포함하고 있다. 바람직하게는, 재료는 가볍고 비-취성이다.
전기 히터는 챔버 외부에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챔버 내에 위치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코일-형상일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유체 이송 구조체를 가열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유체 이송 구조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전기 히터는 유체 이송 구조체를 가열하도록 배열된다. 유체 이송 구조체는 심지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코일-형상일 수 있으며, 전기 히터는 유체 이송 구조체 주위에 코일링된다.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외부 표면 주위로 연장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공동 내로 연장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공동 내로 삽입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에 수용되도록 배열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세장형 전기 히터일 수 있다. 전기 히터는 블레이드 형상일 수 있다. 전기 히터는 핀 형상일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원뿔 형상일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유도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동안, 유도 가열 요소는 적어도 하나의 서셉터 재료를 유도 가열하여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한다. 적어도 하나의 서셉터 재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서셉터 재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일부를 형성할 수 있다. 유도 가열 요소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공동 내에 삽입될 경우에,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적어도 일부가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코일 내에 수용되도록, 공동의 적어도 일부 주위로 연장된 적어도 하나의 인덕터 코일을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저항성 가열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 동안, 저항 가열에 의해 열을 발생시키기 위해 저항성 가열 요소에 전류가 공급된다.
저항성 가열 요소를 형성하기 위한 적합한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과 같은 반도체, 전기 "전도성" 세라믹(예를 들어, 몰리브덴 디실리사이드 등), 탄소, 그래파이트, 금속, 금속 합금 및 세라믹 재료와 금속 재료로 제조된 복합 재료를 포함하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복합 재료는 도핑된 세라믹 또는 도핑되지 않은 세라믹을 포함할 수 있다. 적합한 도핑된 세라믹의 예는 도핑된 탄화규소를 포함한다. 적합한 금속의 예는 티타늄, 지르코늄, 탄탈륨 및 백금족의 금속을 포함하고 있다. 적합한 금속 합금의 예는 스테인리스 스틸, 니켈-, 코발트-, 크롬-, 알루미늄-, 티타늄-, 지르코늄-, 하프늄-, 니오븀-, 몰리브덴-, 탄탈륨-, 텅스텐-, 주석-, 갈륨-, 망간-, 및 철-함유 합금, 및 니켈, 철, 코발트, 스테인리스 스틸, Timetal® 기반 초함금 및 철-망간-알루미늄계 합금을 포함한다.
일부 구현예에서, 저항성 가열 요소는 스테인리스 스틸과 같은 전기 저항성 재료의 하나 이상의 스탬핑부를 포함한다. 대안적으로, 저항성 가열 요소는 가열 와이어 또는 필라멘트, 예를 들어 Ni-Cr(니켈-크롬), 백금, 텅스텐 또는 합금 와이어를 포함할 수 있다.
전기 히터는 전기 절연 기재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저항성 가열 요소는 전기 절연 기재 상에 제공되어 있다. 전기 절연 기재는 지르코니아 또는 알루미나와 같은 세라믹 재료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전기 절연 기재는 약 2 W/m·k 이하의 열 전도율을 갖는다.
바람직하게는, 제어기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가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는 데 사용될 때 미리 결정된 가열 사이클에 따라 전력 공급부로 전기 히터로 배열되어 있다.
전기 히터가 저항성 가열 요소를 포함하는 구현예에서, 제어기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없을 때 전기 히터를 세정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열분해 사이클에 따라 전력 공급부로 저항성 가열 요소로 배열될 수 있다. 열분해 사이클은 하나 이상의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해 에어로졸 발생 장치를 사용한 후에 전기 히터 상에 잔류하는 잔류물의 열분해에 의해 전기 히터를 세정할 수 있다. 전형적으로, 전기 히터가 열분해 사이클 동안 가열되는 최대 온도는 전기 히터가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가열하기 위한 가열 사이클 동안 가열되는 최대 온도보다 높다. 전형적으로, 열분해 사이클의 총 지속시간은 가열 사이클의 총 지속시간보다 짧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공기 유입구는 공동과 유체 연통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퍼프를 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 기류를 검출하기 위한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공기 유량 센서는 전기 기계 장치일 수 있다. 공기 유량 센서는 기계 장치, 광학 장치, 광학-기계 장치 및 미소 전자기계 시스템(MEMS) 기반 센서 중 임의의 것일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사용자가 퍼프를 개시하도록 수동으로 작동 가능한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온도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전기 히터의 온도 또는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온도를 검출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서미스터(thermistor)일 수 있다. 온도 센서는 전기 히터의 비저항을 측정하고 측정된 비저항을 온도에 대한 비저항의 교정된 곡선과 비교함으로써 전기 히터의 온도를 도출하도록 구성된 회로를 포함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전기 히터의 온도를 도출하는 것은 전기 히터가 사용 동안 가열되는 온도의 제어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제어기는 전기 히터의 측정된 비저항의 변화에 응답하여 전기 히터에 대한 전력 공급을 조정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리하게는, 전기 히터의 온도를 도출하는 것은 퍼프 검출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전기 히터의 측정된 온도 강하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 상을 퍼핑하거나 흡인하는 것에 대응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전기 히터가 활성화될 때를 표시하기 위한 표시기를 포함한다. 표시기는 전기 히터가 활성화될 때 활성화된 광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르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에어로졸 발생 장치, 및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이 또한 제공되어 있다.
본원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가열될 때, 에어로졸을 형성할 수 있는 휘발성 화합물을 방출하는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포함한 물품을 지칭한다.
에어로졸 형성 기재는 담배의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담배 플러그는 담배 잎, 담배 리브 조각, 재생 담배, 균질화 담배, 압출 담배, 및 팽화 담배 중 하나 이상을 함유하는, 분말, 과립, 펠렛, 슈레드, 스파게티, 스트립, 또는 시트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담배 플러그는 담배 플러그의 가열 시 방출되는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함유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담배 플러그는, 또한, 예를 들어 추가 담배 또는 비-담배 휘발성 향미 화합물을 포함하는 캡슐을 함유할 수 있다. 이러한 캡슐은 담배 플러그가 가열되는 동안 용융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이러한 캡슐은 담배 플러그가 가열되기 전, 가열되는 도중, 또는 가열된 후에 분쇄될 수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담배 플러그의 하류에 위치한 마우스피스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의 하류 말단에 위치할 수 있다. 마우스피스는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필터 플러그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청구범위에 정의된다. 그러나, 아래에 비제한적인 예의 비포괄적인 목록이 제공된다. 이들 예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은 본원에 기재된 다른 예, 구현예, 또는 양태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특징과 조합될 수 있다.
실시예 Ex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정의하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전기 히터;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 실시예 Ex1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기 위한 계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 실시예 Ex2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으로 상기 제2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 실시예 Ex2 또는 Ex3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베이오넷 연결부 및 스크류 연결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 실시예 Ex2 내지 Ex4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롯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 실시예 Ex2 내지 Ex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배열된 래칭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7: 실시예 Ex6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된 해제 요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8: 실시예 Ex2 내지 Ex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 상의 제1 자기 요소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의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2 자기 요소는 상기 제1 자기 요소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9: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0: 실시예 Ex9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1: 실시예 Ex9 또는 Ex10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로딩된 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2: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3: 실시예 Ex12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4: 실시예 Ex13에 있어서, 실시예 Ex9와 조합하여, 상기 충전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5: 실시예 Ex13에 있어서, 실시예 Ex9와 조합하여,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6: 실시예 Ex13 내지 Ex1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기 접촉부는 USB-A 커넥터, USB-B 커넥터, USB-C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USB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7: 실시예 Ex12 내지 Ex16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8: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표시기는 상기 전력 공급부 내에 저장된 전하 양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19: 실시예 Ex18에 있어서, 상기 충전 표시기는 세그먼트화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0: 실시예 Ex18 또는 Ex19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충전 표시기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푸시 버튼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1: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2: 실시예 EX21에 있어서, 배터리는 리튬계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3: 실시예 EX21 또는 Ex22에 있어서, 배터리는 재충전식 배터리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4: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제1 전력 공급부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3 하우징부 및 상기 제3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제2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5: 실시예 Ex24에 있어서, 실시예 Ex2와 조합하여, 상기 계면은 상기 제3 하우징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6: 실시예 Ex25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상기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 상태로 상기 제3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7: 실시예 Ex24 또는 Ex25에 있어서, 실시예 Ex5와 조합하여, 상기 슬롯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3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8: 실시예 Ex25 내지 Ex2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시예 Ex6과 조합하여, 상기 래칭 요소는 상기 제3 하우징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으로 유지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29: 실시예 Ex28에 있어서, 실시예 Ex7과 조합하여, 상기 해제 요소는 상기 래칭 요소를 상기 제3 하우징으로부터 분리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0: 실시예 Ex25 내지 Ex2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시예 Ex8과 조합하여, 상기 계면은 상기 제3 하우징부 상에, 상기 제3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자기 요소와 맞물리도록 배열되는, 제3 자기 요소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1: 실시예 Ex24 내지 Ex3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3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2: 실시예 Ex31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3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3: 실시예 Ex31 또는 Ex32에 있어서,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3 전기 접촉부 중 적어도 하나는 스프링-로딩된 핀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4: 실시예 Ex24 내지 Ex33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3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5: 실시예 Ex34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수신하기 위해 상기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6: 실시예 Ex35에 있어서, 실시예 Ex31 조합하여, 상기 충전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7: 실시예 Ex35에 있어서, 실시예 Ex31 조합하여, 상기 제3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의 제3 말단에 위치되고, 상기 제3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충전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8: 실시예 Ex35 내지 Ex37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충전 전기 접촉부는 USB-A 커넥터, USB-B 커넥터, USB-C 커넥터, 또는 마이크로-USB 커넥터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39: 실시예 Ex34에 있어서, 상기 충전 회로는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의 공급을 무선으로 수신하도록 구성된 무선 충전 회로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0: 실시예 Ex24 내지 Ex3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충전 표시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충전 표시기는 상기 제2 전력 공급부 내에 저장된 전기 충전량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1: 실시예 Ex40에 있어서, 상기 충전 표시기는 세그먼트화된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2: 실시예 Ex40 또는 Ex41에 있어서, 상기 제3 하우징부 상에 위치되고 상기 충전 표시기를 활성화시키도록 구성된 푸시 버튼을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3: 실시예 Ex24 내지 Ex42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는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4: 실시예 EX43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리튬계 배터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5: 실시예 EX43 또는 EX44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는 재충전식 배터리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6: 실시예 Ex24 내지 Ex45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공급부는 제1 전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는 제2 전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제1 전하 저장 용량은 상기 제2 전하 저장 용량과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7: 실시예 Ex46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하 저장 용량 대 상기 제2 전하 저장 용량의 비는 1.5 내지 3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8: 실시예 Ex47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하 저장 용량 대 상기 제2 전하 저장 용량의 비는 1.5 내지 2.5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49: 실시예 Ex48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하 저장 용량 대 상기 제2 전하 저장 용량의 비는 1.7 내지 2.3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0: 실시예 Ex24 내지 Ex49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와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1: 실시예 Ex24 내지 Ex5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와 상이한 형상을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2: 이전 실시예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액체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함유하기 위한 저장조를 정의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서 기류 배출구를 정의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3: 실시예 Ex1 내지 Ex51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공동의 말단에서 개구부를 정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4: 실시예 Ex52 또는 Ex5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5: 실시예 Ex54에 있어서, 실시예 Ex24와 조합하여, 상기 제3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6: 실시예 Ex52 또는 Ex53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 및 상기 제1 말단과 상기 제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7: 실시예 Ex56에 있어서, 실시예 Ex24와 조합하여, 상기 제3 하우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8: 실시예 Ex56 또는 Ex57에 있어서, 실시예 Ex53과 조합하여,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폐쇄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덮이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제1 폐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1 폐쇄 부재는 상기 제2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59: 실시예 Ex58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2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0: 실시예 Ex58 또는 Ex59에 있어서, 상기 제1 폐쇄 부재는 상기 제1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2 하우징부 위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1: 실시예 Ex58 내지 실시예 Ex60 중 어느 하나에 있어서, 실시예 Ex57과 조합하여, 상기 제3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2 폐쇄 부재가 상기 개구부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와 상기 개구부가 덮이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이동하도록 배열된 제2 폐쇄 부재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제2 폐쇄 부재는 상기 제3 하우징부에 연결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2: 실시예 Ex61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 부재는 상기 폐쇄 위치와 상기 개방 위치 사이에서 상기 제3 하우징부에 대해 회전하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실시예 Ex61 또는 Ex62에 있어서, 상기 제2 폐쇄 부재는 상기 제2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제3 하우징부 위에 놓이도록 배열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이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예로서만 더욱 설명할 것이다.
도 1은 폐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2는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폐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4는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5는 폐쇄 부재가 폐쇄 위치에 있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6은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고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제1 하우징부의 공동 내에 수용된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7은 폐쇄 부재가 개방 위치에 있고 제2 하우징부가 제1 하우징부에 대해 이동된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이고;
도 8 및 도 9는 제1 하우징부에 대해 슬라이딩하는 제2 하우징부를 보여주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0은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제2 하우징부의 사시도이고;
도 11은 충전 전기 접촉부를 보여주는 도 1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에서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도 13은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2 구성에서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도 14는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15는 도 14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6은 제1 하우징부로부터 분리된 제2 하우징부를 보여주는 도 14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1 구성에서 제2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그리고
도 18은 제3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제2 구성에서 제2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 내지 11은 본 발명의 제1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를 나타낸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제1 하우징부(14) 및 제2 하우징부(16)를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12)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하우징부(16)는 제1 하우징부(1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전기 접촉부(52)는 제1 하우징부(14) 위에 위치되어 있고 제2 전기 접촉부(62)는 제2 하우징부(16) 상에 위치되어 있다. 제1 전기 접촉부(52) 및 제2 전기 접촉부(62)는 제2 하우징부(16)가 제1 하우징부(14)에 부착될 때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또한 충전 회로(19) 및 제2 하우징부(16) 내에 위치된 제1 전력 공급부(20)를 포함한다. 전력 공급부(20)는 재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전력 공급부이다. USB-C 커넥터의 형태인 충전 전기 접촉부(49)는 제2 하우징부(16)의 말단에 포함되어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회로(19)는 제1 전력 공급부(20)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1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80)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의 형태인 챔버(32) 및 공동의 말단에 위치된 개구부(34)를 정의한다. 개구부(34)는 제1 하우징부(14)의 제1 말단에 위치되어 있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80)이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80)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함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제1 하우징부(14) 내에 위치되는 전기 히터(22) 및 제어기(18)를 더 포함한다. 전기 히터(22)는 공동 주위에 권취된 인덕터 코일을 포함한다. 제어기(18)는 제2 하우징부(16)가 제1 하우징부(14)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52) 및 제2 전기 접촉부(62)를 통해 제1 전력 공급부(20)로부터 전기 히터(22)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 동안, 전기 히터(22)의 인덕터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은 공동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80) 내의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또한 하우징의 제1 말단에 위치된 폐쇄 부재(42)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42)는 제2 하우징부(16)에 연결된 고정된 부분(47) 및 고정된 부분(47)와 일체로 형성된 이동식 부분(46)을 포함한다. 폐쇄 부재(42)는, 폐쇄 부재(42)가 그 자체로 다시 접힐 수 있도록 가요성 재료로 형성된다. 즉, 이동식 부분(46)은 고정된 부분(47)에 대해 회전될 수 있다. 이동식 부분(46)은 이동식 부분(46)이 개구부(34)를 덮는 폐쇄 위치와 이동식 부분(46)이 개구부(34)를 덮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고정된 부분(47)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이동식 부분(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80)은 공동 내에 수용될 수 있다. 폐쇄 위치는 도 1에 도시되고, 개방 위치는 도 2에 도시되어 있다.
한 쌍의 자석(70)이 폐쇄 부재(42) 내에 포함되어, 하나의 자석이 이동식 부분(46) 내부에 위치하고 다른 자석이 고정된 부분(47) 내부에 위치한다. 자석(70)은 이동식 부분(46)이 개방 위치에 있을 때 고정된 부분(47)에 대하여 이동식 부분(46)을 유지하도록 배열된다.
폐쇄 부재(42)는 또한 이동식 부분(46)으로부터 연장되는 돌출부(43)를 포함한다. 돌출부(43)는 이동식 부분(46)과 일체로 형성되고 환형 형상을 갖는다. 돌출부(43)는 이동식 부분(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43)가 개구부(34) 내에 수용되고 억지 끼워맞춤에 의해 개구부(34)와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유리하게는, 이동식 부분(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돌출부는 개구부(34)를 밀봉하고 이동식 부분(46)을 폐쇄 위치에 보유한다.
하우징(12)은 하우징(12)의 제1 말단의 주변부의 일부 주위로 연장되는 림(44)을 포함한다. 림(44)은 폐쇄 부재(42)가 위치하는 오목부를 형성한다. 유리하게는, 림(44)은 고정된 부분(47)을 보호하고 이동식 부분(46)이 폐쇄 위치에 있을 때 이동식 부분(46)을 보호한다. 제1 하우징부 상의 림(44) 내의 갭(45)은 이동식 부분(46)의 에지가 이동식 부분(46)을 폐쇄 위치로부터 개방 위치로 이동시킬 때 파지될 수 있게 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또한 제1 하우징부(14)에 제2 하우징부(16)를 부착하기 위한 계면을 포함하고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14)의 적어도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90)을 포함한다. 슬롯(90)은 제1 하우징부(14)에 대한 제2 하우징부(16)의 슬라이딩 이동을 용이하게 한다. 제2 하우징부(16) 상의 제2 전기 접촉부(62)는 제2 하우징부(16)가 제1 하우징부(14)에 부착될 때 제1 하우징부(14) 상의 제1 전기 접촉부(52)와 체결한다. 제1 하우징부(14)는 제1 하우징부(14)의 제1 말단과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1 하우징부(14)의 제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어 있는 측벽면(15)을 포함하고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14)의 측벽면(15)에 제2 하우징부(16)를 제거 가능하게 부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7 내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부(16)는 제1 하우징부(14)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다. 제2 하우징부(16)를 제1 하우징부(1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1 하우징부(14)의 제2 말단에 있는 해제 버튼(51)을 눌러 래칭 요소를 제2 하우징부(16)로부터 분리한다. 해제 버튼(51)을 누르면 제2 하우징부(16)가 제1 하우징부(14)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제2 하우징부(16)가 제1 하우징부(14)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제2 하우징부(16)를 제1 하우징부(14)에 부착하기 위해, 슬라이딩 동작은 래칭 요소가 제2 하우징부(16)와 맞물릴 때까지 역전된다. 제2 하우징부(16)와 제1 하우징부(14)와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제1 하우징부(14) 상의 돌출부(91)가 제2 하우징부(16) 상의 가이드 슬롯(90) 내에서 슬라이딩하도록 배열된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부(16)를 제1 하우징부(14)로부터 분리하면 제1 하우징부(14) 상에 제공된 장치 리셋 버튼(53)이 드러난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부(16)를 제1 하우징부(14)로부터 분리하면 제2 하우징부(16) 상에 제공된 LED 충전 표시기(73)가 드러난다. LED 충전 표시기(73)는 제1 전력 공급부(20) 내에 저장된 전하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2는 제2 하우징부(16)가 제1 하우징부(14)에 부착되는 제1 구성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3은 제2 하우징부(16)가 제3 하우징부(116)로 교체된 제2 구성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10)는 제2 하우징부(16) 및 제3 하우징부(116) 중 하나만이 한 번에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3 하우징부(116)는 제2 하우징부(16)와 유사하며 제2 하우징부(16)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특징을 포함한다. 제3 하우징부(116)는 전력 공급부의 전하 저장 용량 및 제3 하우징부(116)의 물리적 크기에 따라 제2 하우징부(16)와 상이하다. 특히, 제3 하우징부(116)는 제2 하우징부(16)의 제1 전력 공급부(20)보다 작은 전하 저장 용량을 갖는 제2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전력 공급부는 제1 전력 공급부(20)보다 작은 물리적 크기를 가지며, 이는 제3 하우징부(116)가 제2 하우징부(16)보다 작은 물리적 크기를 갖도록 한다. 유리하게는, 제2 하우징부(16) 및 제3 하우징부(116)는 사용자가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더 큰 전하 저장 용량을 갖는 전력 공급부를 갖는 도 12에 도시된 제1 구성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10)가 더 작은 물리적 크기를 갖는 도 13의 제2 구성 사이에서 선택할 수 있게 한다.
도 14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제2 구현예에 따른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를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도 1 내지 13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10)와 유사하며,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부분을 지시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제1 하우징부(214) 및 제2 하우징부(216)을 포함하고 있는 하우징(212)을 포함하고 있다. 제2 하우징부(216)는 제1 하우징부(214)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제1 전기 접촉부(52)는 제1 하우징부(214) 상에 위치하고 제2 전기 접촉부(62)는 제2 하우징부(216) 상에 위치한다. 제1 전기 접촉부(52) 및 제2 전기 접촉부(62)는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될 때 서로 접촉하도록 배열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또한 제2 하우징부(216) 내에 위치된 충전 회로(19) 및 제1 전력 공급부(20)를 포함한다. 제1 전력 공급부(20)는 재충전식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기 전력 공급부이다. USB-C 커넥터의 형태인, 충전 전기 접촉부(49)는 제2 하우징부(216)의 말단에 포함되어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전력 공급을 수신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충전 회로(19)는 제1 전력 공급부(20)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제1 하우징부(214)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80)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 형태의 챔버(32) 및 공동의 말단에 위치된 개구부(34)를 정의한다. 개구부(34)는 제1 하우징부(214)의 제1 말단에 위치한다. 에어로졸 발생 물품이 공동 내에 수용될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 및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함께 에어로졸 발생 시스템을 형성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제1 하우징부(214) 내에 위치된 전기 히터(22) 및 제어기(18)를 더 포함하고 있다. 전기 히터(22)는 공동 주위에 권취된 인덕터 코일을 포함한다. 제어기(18)는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될 때 제1 전기 접촉부(52) 및 제2 전기 접촉부(62)를 통해 제1 전력 공급부(20)로부터 전기 히터(22)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사용 동안, 전기 히터(22)의 인덕터 코일에 공급되는 전력은 공동(32) 내에 수용된 에어로졸 발생 물품 내의 서셉터를 유도 가열하여 에어로졸을 발생시키는 가변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또한 제1 하우징부(214)의 제1 말단에 위치된 폐쇄 부재(242)를 포함한다. 폐쇄 부재(242)는 폐쇄 부재(242)가 개구부(34)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덮는 폐쇄 위치와 폐쇄 부재(242)가 개구부(34)를 덮지 않는 개방 위치 사이에서 제1 하우징부(214)의 제1 말단을 따라 슬라이딩 가능하다. 림(244)은 폐쇄 부재(242)를 보호하기 위해 제1 하우징부(214)의 제1 말단의 주변부 주위로 연장된다. 폐쇄 부재(242)가 개방 위치에 있을 때, 에어로졸 발생 물품은 공동(32) 내에 삽입될 수 있다. 폐쇄 부재(242)는 사용자에 의한 폐쇄 부재(242)의 파지를 용이하게 하기 위해 상승된 폐쇄 부재 그립(248)을 포함한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또한 제2 하우징부(216)를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하기 위한 계면을 포함하고 있다. 계면은 제1 하우징부(214)의 제2 말단에 의해 정의되고 제2 하우징부(216)의 일부를 슬라이딩 가능하게 수용하도록 구성된 슬롯(290)을 포함한다. 제2 하우징부(216) 상의 제2 전기 접촉부(62)는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될 때 제1 하우징부(214) 상의 제1 전기 접촉부(52)와 체결한다.
계면은 또한 슬롯(290) 내부의 제1 하우징부(214) 상에 위치한 한 쌍의 제1 자석(264) 및 제2 하우징부(216)의 제1 말단 상에 위치한 제2 쌍의 자석(274)을 포함하고 있다. 제1 자석 쌍(264)은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되어 슬롯(290) 내에 제2 하우징부(216)를 보유할 때 제2 자석 쌍(274)과 맞물리도록 배열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부(216)는 제1 하우징부(214)로부터 슬라이딩 가능하게 분리 가능하다. 제2 하우징부(216)를 제1 하우징부(214)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제1 하우징부(214) 상의 해제 버튼(51)을 눌러 래칭 요소를 제2 하우징부(216)로부터 분리한다. 해제 버튼(51)을 누르면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로부터 완전히 분리될 때까지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에 대해 슬라이딩할 수 있게 한다. 제2 하우징부(216)를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하기 위해, 슬라이딩 동작은 래칭 요소가 제2 하우징부(216)와 맞물릴 때까지 역전된다.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하우징부(216)를 제1 하우징부(214)로부터 분리하면 제2 하우징부(216)에 제공된 LED 충전 표시기(73)가 드러난다. LED 충전 표시기(73)는 제1 전력 공급부(20) 내에 저장된 전하의 시각적 표시를 사용자에게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도 17은 제2 하우징부(216)가 제1 하우징부(214)에 부착되는 제1 구성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도 18은 제2 하우징부(216)가 제3 하우징부(316)로 교체된 제2 구성의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의 정면도를 보여주고 있다.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는 제2 하우징부(216) 및 제3 하우징부(316) 중 하나만이 한 번에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제3 하우징부(316)는 제2 하우징부(216)와 유사하며 제2 하우징부(216)에 대하여 설명한 것과 동일한 특징을 포함한다. 제3 하우징부(316)는 전력 공급부의 전하 저장 용량 및 제3 하우징부(316)의 물리적 크기만큼 제2 하우징부(216)와 상이하다. 특히, 제3 하우징부(316)는 제2 하우징부(216)의 제1 전력 공급부(20)보다 작은 전하 저장 용량을 갖는 제2 전력 공급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제2 전력 공급부는 제1 전력 공급부(20)보다 작은 물리적 크기를 가지며, 이는 제3 하우징부(316)가 제2 하우징부(216)보다 작은 물리적 크기를 갖는 것을 초래한다. 유리하게는, 제2 하우징부(216) 및 제3 하우징부(116)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가 더 큰 전하 저장 용량을 갖는 전력 공급부를 갖는 도 17에 도시된 제1 구성과 에어로졸 발생 장치(210)가 더 작은 물리적 크기를 갖는 도 18의 제2 구성 사이에서 사용자가 선택할 수 있게 한다.

Claims (15)

  1. 에어로졸 발생 장치로서,
    에어로졸 형성 기재를 수용하기 위한 챔버를 정의하는 제1 하우징부 및 제2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하우징으로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하우징;
    상기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전기 히터;
    상기 제2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전력 공급부; 및
    상기 제1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제어기를 포함하고, 여기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하우징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기 위한 계면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 또는 상기 제2 하우징부의 적어도 일부를 수용하도록 배열된 슬롯을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와 해제 가능한 부착 상태로 상기 제2 하우징부를 유지하도록 배열된 래칭 요소를 포함하고, 선택적으로 상기 계면은 상기 래칭 요소를 분리하도록 배열된 해제 요소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계면은 상기 제1 하우징부 상의 제1 자기 요소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의 제2 자기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2 자기 요소는 상기 제1 자기 요소와 맞물리도록 배열되어 있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챔버는 에어로졸 발생 물품을 수용하기 위한 공동을 정의하고,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공동의 말단에서 개구부를 정의하고, 상기 개구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제1 말단에 위치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1 하우징부의 제2 말단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는 상기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제2 말단 및 상기 제1 말단과 상기 제2 말단 사이에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측벽면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하우징부 상에 위치된 제2 전기 접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는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전기 접촉부와 맞물리도록 구성되어 있고, 선택적으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제2 하우징부가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될 때 상기 제1 전기 접촉부 및 상기 제2 전기 접촉부를 통해 상기 전력 공급부로부터 상기 전기 히터로의 전력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재충전식 전력 공급부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2 하우징부 내에 위치되고 상기 전력 공급부를 재충전하기 위해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된 전력의 공급을 제어하도록 구성된 충전 회로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공급부는 제1 전력 공급부이고, 상기 에어로졸 발생 장치는 상기 제1 하우징부에 제거 가능하게 부착되도록 구성된 제3 하우징부 및 상기 제3 하우징부 내에 위치된 제2 전력 공급부를 더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과 조합하여, 상기 계면은 상기 제3 하우징부를 상기 제1 하우징부에 부착하도록 구성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13. 제11항 또는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력 공급부는 제1 전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제2 전력 공급부는 제2 전하 저장 용량을 가지고, 상기 제1 전하 저장 용량은 상기 제2 전하 저장 용량과 상이한, 에어로졸 발생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전하 저장 용량 대 상기 제2 전하 저장 용량의 비는 1.5 내지 3, 선택적으로 1.5 내지 2.5, 선택적으로 1.7 내지 2.3인, 에어로졸 발생 장치.
  15. 제1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하우징부는 상기 제3 하우징부와 상이한 크기를 갖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47005655A 2021-07-21 2022-07-20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2024003663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1187008.4 2021-07-21
EP21187008 2021-07-21
PCT/EP2022/070421 WO2023001926A1 (en) 2021-07-21 2022-07-20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detachable housing portion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636A true KR20240036636A (ko) 2024-03-20

Family

ID=77021176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267A KR20240036622A (ko) 2021-07-21 2022-07-20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KR1020247005655A KR20240036636A (ko) 2021-07-21 2022-07-20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Family Applications Before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5267A KR20240036622A (ko) 2021-07-21 2022-07-20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2) EP4373321A1 (ko)
KR (2) KR20240036622A (ko)
CN (2) CN117642090A (ko)
IL (1) IL310067A (ko)
WO (2) WO20230019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203913379U (zh) * 2014-04-14 2014-11-05 惠州市吉瑞科技有限公司 电子烟
CN116965594A (zh) * 2015-06-12 2023-10-31 深圳市新宜康科技股份有限公司 可拆卸更换电池的电子烟
US20160370337A1 (en) * 2015-06-16 2016-12-22 Lunatech, Llc Analysis System For Biological Compounds, And Method Of Operation
GB201717476D0 (en) * 2017-10-24 2017-12-06 British American Tobacco Investments Ltd Aerosol provision system and removable memb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7677309A (zh) 2024-03-08
EP4373324A1 (en) 2024-05-29
CN117642090A (zh) 2024-03-01
WO2023001925A1 (en) 2023-01-26
EP4373321A1 (en) 2024-05-29
IL310067A (en) 2024-03-01
WO2023001926A1 (en) 2023-01-26
KR20240036622A (ko) 2024-03-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761819B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element sensor
EP3760061B1 (en) Smoking apparatus
TWI825212B (zh) 霧劑輸送裝置及其控制方法
US20210093007A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element
EP3761817B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element mechanism
EP3761818B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element sensor
WO2019170886A1 (en) A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sensor for a movable element
KR20240036636A (ko) 탈착식 하우징부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US20220115883A1 (en) Charging device, smoking substitute kit, and method of charging a smoking substitute system
US20220256933A1 (en) Charging device and smoking substitute kit
KR20240036637A (ko) 폐쇄 부재를 포함하는 에어로졸 발생 장치
EP3756491A1 (en) Charging device, smoking substitute kit, and method of charging a smoking substitute system
US11998058B2 (en) Aerosol-generating device comprising a cover element sensor
EP3758185A1 (en) Charging device and smoking substitute kit
JP2023515830A (ja) エアロゾル生成装置