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344A - Vr 컨트롤러 - Google Patents

Vr 컨트롤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344A
KR20240036344A KR1020220115050A KR20220115050A KR20240036344A KR 20240036344 A KR20240036344 A KR 20240036344A KR 1020220115050 A KR1020220115050 A KR 1020220115050A KR 20220115050 A KR20220115050 A KR 20220115050A KR 20240036344 A KR20240036344 A KR 2024003634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band
controller
band member
finger
receiv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5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강동현
Original Assignee
강동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동현 filed Critical 강동현
Priority to KR102022011505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344A/ko
Publication of KR2024003634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344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3/00Video games, i.e. games using an electronically generated display having two or more dimensions
    • A63F13/20Input arrangements for video game devices
    • A63F13/24Constructional details thereof, e.g. game controllers with detachable joystick hand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VR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손으로 파지하는 물리적인 감각을 부여하여 현실의 물체와 유연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장시간 이용에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가상현실 내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조작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손바닥 내에 위치되는 수용본체와, 탄성을 가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용본체의 일측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는, 외측에서 감싸는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손가락과 함께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VR 컨트롤러{VR controller}
본 발명은 VR 컨트롤러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물리적인 감각을 부여하여 현실의 물체와 유연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한 VR 컨트롤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가상현실(VR; Virtual Reality)란 어떤 특정한 환경이나 상황을 컴퓨터로 만들어서, 그것을 사용하는 사람이 마치 실제 주변 상황 또는 환경과 상호작용을 하고 있는 것처럼 만들어 주는 인간과 컴퓨터 사이의 인터페이스를 의미하며, 기술이 발전함에 따라, 근래 군사, 게임, 의료, 학습, 영화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되고 있다.
이러한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는 가상현실 내에서의 조작을 위해 VR 컨트롤러를 사용하며. 특히, 많은 사용자가 가상현실로 구현된 1인칭 슈팅 게임(FPS; First-person shooter)을 하는데 VR 컨트롤러를 사용하고 있다. 이때, 사용되는 VR 컨트롤러는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와, 파지부의 상측으로 버튼을 조작할 수 있는 조작부를 포함한다.
종래 VR 컨트롤러의 파지부는 단순히 VR 컨트롤러의 안정적인 조작을 위해 손으로 파지하는 역할만 할 뿐인바, 무기를 이용하여 전투를 벌이는 게임의 경우 가상현실 상에 무기를 실제 파지하고 있는 듯한 느낌을 주기 어렵다.
한편, 가상현실 게임의 현실감을 위해, 실제 가상현실 게임 속 무기와 비슷한 모형인 건스톡에 VR 컨트롤러를 부착하여 사용하기도 하는데, 게임 중 무기를 변경하여야 하는 상황을 고려하여, 건스톡과 VR 컨트롤러는 통상 자력에 의해 탈부착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자력이 강할 경우, 건스톡과 VR 컨트롤러의 신속한 분리가 어려워 무기를 빠르게 변경하지 못하며, 이와 반대로 자력이 약할 경우 게임 도중 건스톡과 VR 컨트롤러가 분리되어 버리는 등의 문제로 인해, 게임의 몰입도를 저해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097251호 '손목이탈 방지체가 구비된 VR·AR용 무선 컨트롤러'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손으로 파지하는 물리적인 감각을 부여하여 현실의 물체와 유연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장시간 이용에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는 VR 컨트롤러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는, 가상현실 내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조작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손바닥 내에 위치되는 수용본체와, 탄성을 가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용본체의 일측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는, 외측에서 감싸는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손가락과 함께 휘어진다.
또한, 상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는, 사용자의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띠부재는,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굽힘유도홈이 함입형성되되, 상기 굽힘유도홈은, 복수 개가 탄성띠부재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띠부재는, 휘어짐을 인식할 수 있는 플렉스센서(Flex sensor)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띠부재의 외측면 또는 상기 탄성띠부재와 대응되는 손가락에 구비되어, 탄성띠부재와 손가락 간에 미끄러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끄럼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상현실을 체험시 사용되는 VR 컨트롤러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가 함께 휘어지게 되는바, 현실에서도 물체를 쥐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감각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건스톡 등과 같은 보조기구에 별도의 탈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와 수용본체 사이에 보조기구의 일 부분이 위치되게끔 건스톡 등과 같은 현실의 물체를 실제 파지할 수 있어, 게임 등과 같은 가상현실을 체험하는데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장시간 이용에 대한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를 보여주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일 예에 따른 탄성띠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탄성띠부재가 손가락의 굽힘에 따라 함께 휘어지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탄성띠부재와 수용본체 사이에 현실의 물체가 위치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에 적용되는 다른 일 예에 따른 탄성띠부재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에 미끄럼패드가 구비된 상태를 보여주는 예시도.
본 발명에서는 가상현실을 체험하는 사용자에게 손으로 파지하는 물리적인 감각을 부여하여 현실의 물체와 유연하게 상호작용이 가능하여 게임의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장시간 이용에 대한 피로도를 줄일 수 있도록, 가상현실 내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이 구비된 조작부; 상기 조작부의 하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는, 조작부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손바닥 내에 위치되는 수용본체와, 탄성을 가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용본체의 일측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는, 외측에서 감싸는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손가락과 함께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를 제안한다.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기술분야의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는 첨부된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00)와 파지부(200)를 기본적으로 포함한다.
조작부(10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상현실 내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110)이 구비된다. 버튼(110)은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으며, 탄성적인 누름이 이루어지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 전방향에 대하여 가상현실 내의 캐릭터, 사용자를 이동시킬 수 있는 조이스틱 형태를 이루도록 구비될 수도 있다. 또한, 조작부(100)는 평평하게 형성된 상면에 복수 개의 버튼(110)이 구비될 수 있으며, 사용자가 파지부(200)를 파지한 상태에서 엄지손가락으로 버튼(110)을 손쉽게 조작할 수 있게끔 상면이 파지부(20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예각을 이루면서 사용자를 향해 하향경사지게끔 구비될 수 있다.
파지부(200)는, 조작부(100)의 하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부분으로, 조작부(100)의 버튼(110) 조작을 고려하였을 때, 사용자의 검지,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의해 파지된다. 이때, 파지부(200)에는 사용자의 검지가 위치되는 부분에 가상현실 내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버튼이 추가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파지부(20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작부(100)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손바닥 내에 위치되는 수용본체(210)와, 탄성을 가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용본체(210)의 일측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를 포함하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는 외측에서 감싸는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손가락과 함께 휘어지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수용본체(210)는, 파지부(200)를 잡았을 때의 사용자의 손바닥이 이루는 곡률을 고려하여, 손바닥과 접하는 일면이 곡면을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수용본체(210)의 일면과 대응되면서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가 외측에 위치될 수 있는 수용본체(210)의 타면은, 사용자가 손가락을 굽힘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가 휘어질 시, 탄성띠부재(220)의 휘어짐에 간섭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일 예로, 수용본체(210)에서 탄성띠부재(220)가 구비되지 않는 상단부는, 횡단면이 타원 또는 원형을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수용본체(210)에서 탄성띠부재(220)가 구비되는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횡단면이 반타원, 반원 또는 호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띠부재(220)와 수용본체(210) 사이에 현실의 물체(예를 들어, 건스톡의 일부분 등)가 위치될 수 있고 이를 파지함을 고려하였을 때, 탄성띠부재(220)가 구비되는 상단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은, 호 형태를 이루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탄성띠부재(220)는, 탄성을 가진 소재로 이루어지며, 사용자의 악력에 의해서 변화가 이루어짐과 더불어 손가락을 지지할 수 있도록 소정의 두께를 가진 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탄성띠부재(220)는 직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나, 파지하기 위해 이에 맞닿는 손가락이 굽혀지는 각도와 손가락의 안정적인 밀착을 고려하여 곡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탄성띠부재(220)는, 외측에서 감싸는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휘어짐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굽힘유도홈(221)이 함입형성될 수 있다. 일 예로 굽힘유도홈(221)은, 외측을 향해 뾰족하게 함입되거나 외측을 향해 볼록하게 함입될 수 있으며, 이러한 굽힘유도홈(211)은, 복수 개가 탄성띠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탄성띠부재(220)를 파지하기 위해 탄성띠부재(220)에 맞닿은 손가락의 굽힘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굽힘유도홈(211)의 공간이 줄어들면서 손가락과 함께 용이하게 휘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다.
탄성띠부재(220)는 복수 개가 마련되는데, 조작부(100)의 버튼(110) 및 파지부(200)의 상단부에 구비된 버튼의 조작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됨이 바람직하다. 이때, 사용자가 탄성띠부재(220)를 감싸질 때 각 손가락이 이루는 각도를 고려하여, 각각의 탄성띠부재(220)가 수용본체(210)에 고정될 수 있다. 일 예로, 새끼손가락에 대응되는 탄성띠부재(220)는 수용본체(21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직교하게끔 고정될 수 있고, 중지 및 약지에 대응되는 탄성띠부재(220)는 일단으로부터 타단에 이르기까지 상향경사지게끔 고정될 수 있다. 여기서, 중지에 대응되는 탄성띠부재(220)는, 약지에 대응되는 탄성띠부재(220)보다 더 큰 각도로 상향경사지게끔 고정될 수 있다. 이처럼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는, 각각을 감싸며 파지하는 손가락에 따라 그 배치각도를 달리하는바, 보다 자연스럽게 탄성띠부재(220)의 휘어짐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인 VR 컨트롤러는, 가상현실을 체험시 사용되는 VR 컨트롤러를 파지하는 사용자의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가 함께 휘어지게 되는바, 현실에서도 물체를 쥐는 것과 같은 물리적인 감각을 부여할 수 있음은 물론, 건스톡 등과 같은 보조기구에 별도의 탈부착이 이루어지지 않더라도,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와 수용본체(210) 사이에 보조기구의 일 부분이 위치되게끔 건스톡 등과 같은 현실의 물체를 실제 파지할 수 있어, 게임 등과 같은 가상현실을 체험하는데 몰입도를 증가시키고 장시간 이용에 대한 피로도를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다.
그리고 탄성띠부재(220)에는, 도 3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휘어짐을 인식할 수 있는 플렉스센서(Flex sensor, 222)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플렉스센서(222)는, 탄성띠부재(220)에 대응되는 띠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탄성띠부재(220)가 휘어지는 정도에 따라 저항값이 변화된다. 이러한 플렉스센서(222)의 저항값 변화에 따라 가상현실 내에서의 움직임이 연계되어 변화되도록 할 수 있어, 현실에서의 손가락 굽힘이 가상현실에 반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상현실 내에서 다양한 무기를 사용하여 전투를 하는 1인칭 슈팅 게임(FPS; First-person shooter)을 하는 사용자의 경우, 손가락으로 탄성띠부재(220)를 감싸쥠에 따른 플렉스센서(222)의 저항값 변화를 통해, 가상현실 내에서 특정 무기를 잡을 수 있다. 또한, 탄성띠부재(220)를 감싸쥐었던 악력을 해제함으로써 탄성띠부재(220)가 탄성에 의해 원위치로 복귀됨에 따라 가상현실 내에서 잡고 있던 무기를 놓을 수 있는바, 신속하게 무기를 교체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의 손가락이 탄성띠부재(220)의 외측에서 감싸면서 파지하는 과정에서, 수용본체(210)는 손바닥 내에서 위치가 고정되므로 탄성띠부재(220)가 휘어짐에 따라 자유단인 탄성띠부재(220)의 타단의 위치가 변화된다. 이때, 탄성띠부재(220)와 손가락 간의 미끄러짐이 이루어질 수 있게끔 본 발명은 미끄럼패드(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미끄럼패드(300)는, 이와 맞닿는 탄성띠부재(220) 또는 손가락에 대하여 마찰이 최소화될 수 있는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띠부재(220)의 외측면에 구비되거나,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띠부재(220)와 대응되는 손가락에 구비될 수 있다. 탄성띠부재(220)의 외측면에 구비되는 경우, 탄성띠부재(220)와 대응되는 띠 형태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며, 손가락에 구비되는 경우, 탄성띠부재(220)와 맞닿을 수 있는 손가락에 부착되는 띠 형태로 형성되거나, 손가락만이 내측에 끼워지는 손가락골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미끄럼패드(300)는 손 전체가 끼워지는 장갑의 손가락 부분에 구비될 수도 있다.
100 : 조작부 110 : 버튼
200 : 파지부 210 : 수용본체
220 : 탄성띠부재 221 : 굽힘유도홈
222 : 플렉스센서
300 : 미끄럼패드
400 : 착용끈

Claims (5)

  1. 가상현실 내에서 움직임이 이루어지도록 사용자가 조작하는 버튼(110)이 구비된 조작부(100); 상기 조작부(100)의 하측에 마련되고 사용자가 손으로 파지하는 파지부(200);를 포함하되,
    상기 파지부(200)는, 조작부(100)로부터 하방으로 형성되어 손바닥 내에 위치되는 수용본체(210)와, 탄성을 가진 띠 형태로 형성되어 일단이 수용본체(210)의 일측편에 고정되고 타단이 자유단을 이루는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를 포함하여,
    상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는, 외측에서 감싸는 손가락의 굽힘 정도에 따라 손가락과 함께 휘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탄성띠부재(220)는, 사용자의 중지, 약지, 새끼손가락에 각각 대응되게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부재(220)는, 내측면에 폭방향으로 굽힘유도홈(221)이 함입형성되되,
    상기 굽힘유도홈(221)은, 복수 개가 탄성띠부재(220)의 길이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 이격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부재(220)는, 휘어짐을 인식할 수 있는 플렉스센서(Flex sensor, 222)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띠부재(220)의 외측면 또는 상기 탄성띠부재(220)와 대응되는 손가락에 구비되어, 탄성띠부재(220)와 손가락 간에 미끄러짐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미끄럼패드(30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VR 컨트롤러.
KR1020220115050A 2022-09-13 2022-09-13 Vr 컨트롤러 KR2024003634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050A KR20240036344A (ko) 2022-09-13 2022-09-13 Vr 컨트롤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5050A KR20240036344A (ko) 2022-09-13 2022-09-13 Vr 컨트롤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344A true KR20240036344A (ko) 2024-03-20

Family

ID=904833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5050A KR20240036344A (ko) 2022-09-13 2022-09-13 Vr 컨트롤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344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51B1 (ko) 2019-11-18 2020-04-03 김태동 손목이탈 방지체가 구비된 vr·ar용 무선 컨트롤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7251B1 (ko) 2019-11-18 2020-04-03 김태동 손목이탈 방지체가 구비된 vr·ar용 무선 컨트롤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278797B2 (en) Controller for video game console
US6072471A (en) Ambidextrous upright computer mouse
US10441880B2 (en) Handheld controller with spring-biased third finger button assembly
US20170189800A1 (en) Handheld Controller Grip Attachment
CN106457040B (zh) 游戏控制器
CN107567347A (zh) 具有可移除的桨附件的游戏控制器
CN111638801A (zh) 用于手势辨识的控制器及其手势辨识的方法
US20050277470A1 (e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a sophisticated character
US9785256B2 (en) Ergonomic computer mouse with handheld and ambidextrous body design
US20020101401A1 (en) Thumb mounted function and cursor control device for a computer
KR20240036344A (ko) Vr 컨트롤러
EP2298425B1 (en) Operation device
EP1425654A1 (en) A portable unit for inputting signals to a peripheral unit, and use of such a unit
RU17572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US10561936B1 (en) Lanyard and controller assembly
CN117015428A (zh) 用于视频游戏控制器的握把
KR20110000214U (ko) 골프용 손가락 밴드
JP2009125372A (ja) 弾球遊技機のハンドル及び弾球遊技機
EP1293238A1 (en) Game controller and signal input device
US9740309B2 (en) Finger-driven computer mouse
WO2024062698A1 (ja) ポインティングデバイス操作用スリーブ
JP6837041B2 (ja) 半球マウス。
KR200209274Y1 (ko) 마우스
RU178284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вода информации
WO2015133369A1 (ja) スポーツ用手袋