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6257A -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 Google Patents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6257A
KR20240036257A KR1020220114838A KR20220114838A KR20240036257A KR 20240036257 A KR20240036257 A KR 20240036257A KR 1020220114838 A KR1020220114838 A KR 1020220114838A KR 20220114838 A KR20220114838 A KR 20220114838A KR 20240036257 A KR20240036257 A KR 2024003625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yrup
supply device
container
vending machine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838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윤하임
Original Assignee
윤하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하임 filed Critical 윤하임
Priority to KR10202201148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6257A/en
Publication of KR20240036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6257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06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 G07F13/065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selective dispensing of different fluids or materials or mixtures thereof for drink prepar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0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comprising sensors for monitoring the delivery, e.g. by displaying the sensed value or generating an al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08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 B05B12/081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responsive to condition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be discharged, of ambient medium or of target ; responsive to condition of spray devices or of supply means, e.g. pipes, pumps or their drive means responsive to the weight of a reservoir or container for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sponsive to level or volum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n a reservoir or contain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09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the selection means being part of the discharge apparatus, e.g. part of the spray gu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2/00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 B05B12/1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 B05B12/1454Arrangements for controlling delivery;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spray area for supplying a selected one of a plurality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or several in selected proportions to a spray apparatus, e.g. to a single spray outlet separate units comprising both a material container and a spray device permanently connected thereto being removably attached to a part of the spray apparatus, e.g. to a robot a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9/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 B05B9/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B9/04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 B05B9/0403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out essentially mixing with gas or vapour characterised by means for su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with pressurised or compressible container; with pump with pumps for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13/0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 G07F13/10Coin-freed apparatus for controlling dispensing or fluids, semiliquids or granular material from reservoirs with associated dispensing of containers, e.g. cups or other articl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7/00Mechanisms actuated by objects other than coins to free or to actuate vending, hiring, coin or paper currency dispensing or refunding apparatus
    • G07F7/005Details or accessori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1Interfacing with vending machines using mobile or wearable devic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006Details of the software used for the vending machin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FCOIN-FREED OR LIKE APPARATUS
    • G07F9/00Details other than those peculiar to special kinds or types of apparatus
    • G07F9/10Casings or parts thereof, e.g. with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 G07F9/105Heating or cooling means, for temperature and humidity control, for the conditioning of articles and their storage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음료 자동 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써,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은 음료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럽 공급장치에 있어서, 자동 판매기의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시럽용기가 개별적으로 보관되되, 상기 시럽용기 각각의 보관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시럽용기의 펌핑노즐이 개별적으로 가압되면서 일정량의 시럽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 특징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is is a syrup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a vending machine for beverage sales, which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of the vending machine, and includes a plurality of The syrup containers are stored individually, the storage temperature of each syrup container is individually controlled, and the pumping nozzles of the syrup containers are individually pressurized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syrup.

Description

음료 자동 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본 발명은 음료 자동 판매기에 사용되는 시럽공급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히는 자동판매기에 설치되어 음료제조에 사용되는 시럽의 유지 관리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자동 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syrup supply device used in a beverage vending machine, and more specifically, to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installed in a vending machine to facilitate maintenance of the syrup used in beverage production. .

일반적으로, 커피나 음료에 대한 소비자의 관심이 계속적으로 증가하면서 커피나 음료를 판매하는 커피전문점 또한 그 수가 점차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In general, as consumer interest in coffee and beverages continues to increase, the number of coffee shops selling coffee or beverages is also gradually increasing.

커피는 커피원두를 이용하여 제조되는 음료로 크게 인스턴트커피와 원두커피로 구분될 수 있으며, 원두커피는 커피원두의 추출 방법에 따라 핸드드립과 에스프레소 머신 등으로 구분될 수 있다.Coffee is a beverage manufactured using coffee beans and can be broadly divided into instant coffee and ground coffee. Coffee beans can be divided into hand drip and espresso machines depending on the extraction method of the coffee beans.

특히, 커피전문점에서 판매하는 여러 종류의 커피 중 그 기본 원료가 되는 것이 에스프레소인데, 이러한 에스프레소를 이용한 아메리카노, 카페라떼, 마끼아또, 카푸치노 등의 커피음료는 오로지 바리스타의 수작업에 의해 이루어진다.In particular, among the various types of coffee sold at coffee shops, espresso is the basic raw material, and coffee drinks such as Americano, cafe latte, macchiato, and cappuccino using espresso are made solely by the handwork of baristas.

따라서, 비숙련 바리스타와 전문 바리스타의 숙련도에 따라 커피음료 맛이 결정되고, 매장의 매출에도 영향을 미친다.Therefore, the taste of coffee drinks is determined by the skill level of unskilled and professional baristas and also affects store sales.

한편, 커피전문점 운영비용 중 큰 비중을 차지하는 것 중의 하나가 인건비 지출이며, 인건비를 줄이기 위해 자동 판매기가 제공되고 있지만, 커피나 음료가 자동으로 만들어지는 자동 판매기의 경우, 음료의 제작에 사용되는 시럽이 시럽용기에 담겨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보관되어 있지만, 자동 판매기의 설치장소에 따라 시럽의 보관 온도가 적절하게 유지될 수 없어 시럽이 쉽게 변질될 수 있으며, 시럽용기에 저장된 시럽의 사용량을 쉽게 확인할 수가 없어 시럽용기의 교체시기 파악이 어려워지는 등 자동 판매기의 유지 관리가 힘들어지는 문제점이 있었다.Meanwhile, one of the major costs of running a coffee shop is labor costs, and vending machines are provided to reduce labor costs. However, in the case of vending machines that automatically make coffee or drinks, the syrup used to make the drinks is used. It is stored inside the vending machine in this syrup container, but depending on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nding machin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yrup cannot be maintained properly, so the syrup can easily deteriorate, and it is easy to check the amount of syrup stored in the syrup container. There were problems with maintenance of the vending machine, such as difficulty determining when to replace the syrup container.

대한민국 등록특허 10-2118843 (2020.06.03 공고)Republic of Korea registered patent 10-2118843 (announced on 2020.06.03)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음료용 자동 판매기에 사용되는 시럽의 보관 온도를 적절하게 유지시켜 시럽의 변질을 방지하고, 시럽의 사용상태를 쉽게 확인하여 시럽용기의 교체시기를 정확하게 파악함으로써, 자동 판매기의 유지 관리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음료 자동 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The present invention was developed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It prevents deterioration of the syrup by properly maintaining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yrup used in the beverage vending machine, and easily checks the usage status of the syrup to determine the replacement time of the syrup container. The purpose is to provide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that can make maintenance of the vending machine easier by accurately identifying the syrup.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위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될 필요는 없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does not need to be limited to the technical problem mentioned above, and other technical problem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description below. You will be able to.

상술한 바와 같은 목적을 구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자동 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는,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or realizing the above-described purpose,

음료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럽 공급장치에 있어서, 시럽 공급장치 본체는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케이스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시럽용기가 개별적으로 보관되되, 상기 시럽용기 각각의 보관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시럽용기의 펌핑노즐이 개별적으로 가압되면서 일정량의 시럽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이다.In the syrup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a vending machine for beverage sales,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constituting the vending machine, and a plurality of syrup containers are stored individually, and the storage temperature of each syrup container is is individually controlled, and the pumping nozzles of the syrup containers are individually pressurized to discharge a certain amount of syrup.

더 바람직하게 상기 시럽 공급장치 본체는 상기 시럽용기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시럽용기가 삽입되는 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수납구로 이루어진 복수의 용기 수납케이스와,More preferably,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includes a plurality of container storage cases in which the syrup containers are individually stored, and a plurality of storage ports having an inclined entrance into which the syrup containers are inserted;

상기 수납구 각각에 설치되는 냉각장치 및 A cooling device installed in each of the storage ports and

상기 수납구에 수납된 시럽용기의 펌핑노즐을 일정하게 가압하여 시럽이 토출시키는 노즐 작동구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nozzle operating port that uniformly pressurizes the pumping nozzle of the syrup container stored in the storage port to discharge syrup.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시럽 공급장치 본체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 작동구를 승강시키는 엑추에이터와, 정해진 용량의 시럽이 담긴 상기 시럽용기의 펌핑노즐이 상기 엑추에이터와 연결된 노즐 작동구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될 때 마다 상기 엑추에이터의 동작 횟수가 측정되는 카운터부와, 상기 카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이터의 동작 횟수에 따라 시럽용기에 남아 있는 시럽의 양을 판단하여 상기 시럽용기에 남아 있는 시럽의 잔량 또는 상기 시럽용기에 남아 있는 시럽이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됨을 판단하는 제어부 및 상기 제어부의 신호를 받아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시럽용기에 남아 있는 시럽의 잔량 또는 상기 시럽용기에 남아 있는 시럽의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됨을 관리자의 단말기로 안내하는 통신부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includes an actuator that raises and lowers the nozzle operating member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and the pumping nozzle of the syrup container contain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syrup is pressed and operated by the nozzle operating device connected to the actuator. A counter unit that measures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ctuator each time, is connected to the counter unit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ctuator,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or the syrup container. A control unit determines that the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is exhausted and needs to be replaced, and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is received, and the remaining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is exhausted and replaced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communication unit that informs the administrator's terminal that it is necessary.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수납구 각각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값은 제어부로 전달되어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달되면서 상기 수납구에 보관된 시럽용기의 보관온도를 상기 관리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each of the storage ports is provid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allowing the manager to determin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yrup container stored in the storage port. It can be configured so that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엑추에이터는 공기압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로부터 승강하는 피스톤을 통해 상기 노즐 작동구가 작동되도록 구성되거나, 정역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노즐 작동구가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actuat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nozzle operating member through a piston that moves up and down from the cylinder under the control of air pressure, or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nozzle operating member through a screw that go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there is.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냉각장치는 상기 수납구 저면에 설치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냉각부와 발열부로 구성되는 팰티어소자와,More preferably, the cooling device includes a Peltier element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 and composed of a cooling part and a heating part to change the temperature using a refrigerant,

상기 팰티어소자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열판과 방열핀과,A heat sink and a heat sink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Peltier element,

상기 방열핀의 하부에 설치되는 냉각팬과,A cooling fan installed below the heat dissipation fin,

상기 냉각팬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덕트 및 A duct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by the cooling fan moves, and

상기 덕트의 공기를 케이스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n exhaust fan that exhausts air from the duct to the outside of the cas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 작동구는 수평한 한쪽은 상기 용기 수납케이스의 후방에 설치되는 엑추에이터의 실린더 단부에 연결되고, 수평한 다른 한쪽은 상기 용기 수납케이스의 수납구에 수납되는 시럽용기의 펌핑노즐 수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horizontal one side of the nozzle operating member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end of an actuator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and the other horizontal side is vertically above the pumping nozzle of the syrup container stored in the storage port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It can be configured to be positioned.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노즐 작동구의 수평한 다른 한쪽 저면에는 상기 펌핑노즐과의 접촉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미끄럼방지구가 더 구비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an anti-slip member may be further provided on the other horizontal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operating member to prevent slipping when in contact with the pumping nozzle.

더욱 바람직하게 상기 용기 수납케이스에는 수납구의 하단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컵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판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펌핑노즐을 향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container storage case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that protrudes forwar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 and can support the bottom of the cup, and the support plate can be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pumping nozzle.

이상과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자동 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The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s described above has the following effects.

즉, 자동 판매기 내부에 구비된 각종 시럽들의 보관 온도가 개별적으로 적정하게 유지될 수 있도록 구성됨에 따라 자동 판매기의 설치장소에 상관없이 시럽이 변질을 미연에 방지하여 시럽이 포함되는 특정 음료의 품질을 양호하게 유지시킬 수 있으며, 시럽의 남아 있는 정도나 새로운 시럽으로의 교체 시기를 간단하게 확인할 수 있어 시럽의 유지 관리를 보다 효과적으로 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s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various syrups inside the vending machine is individually maintained at an appropriate level, deterioration of the syrup is prevented regardless of the installation location of the vending machine, thereby improving the quality of the specific beverage containing the syrup. It can be maintained in good condition, and the remaining syrup level and replacement time for new syrup can be easily checked, making syrup maintenance more effective.

한편, 이와 같이 기재된 본 발명의 효과는 발명자가 인지하는지 여부와 무관하게 기재된 내용의 구성에 의해 당연히 발휘되게 되는 것이므로 상술한 효과는 기재된 내용에 따른 몇 가지 효과일 뿐 발명자가 파악한 또는 실재하는 모든 효과를 기재한 것이라 인정되어서는 안 된다. On the other hand, 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in this way are naturally exerted by the composition of the described contents regardless of whether the inventor is aware of it, so the above-described effects are only a few effects according to the described contents, and all effects that the inventor has recognized or exist. It should not be accepted as written.

또한, 본 발명의 효과는 명세서의 전체적인 기재에 의해서 추가로 파악되어야 할 것이며, 설사 명시적인 문장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기재된 내용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명세서를 통해 그러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인정할 수 있는 효과라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효과로 보아야 할 것이다.In addition, the effect of the present invention should be further understood by the overall description of the specification, and even if it is not described in explicit sentences, a person skilled in the art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described content pertains will be able to achieve such effect through this specification. If it is an effect that can be recognized as an effect, it should be viewed as the effect described in this specification.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의 내부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를 나타낸 작동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의 음료 배출장치를 나타낸 다른 작동상태의 요부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장치를 나타낸 요부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의 시럽 공급장치를 나타낸 요부 측단면도이다.
Figure 1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front view showing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lan view showing the interior of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cross-sectional side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of an automatic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 operating state.
Figure 5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of the main part of the beverage dispensing device of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 another operating state.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showing the syrup supply device of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7 is a side cross-sectional view showing the main portion of a syrup supply device for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 및 작용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Hereinafter,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according to a preferre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이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의 내용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이로 인해 본 발명의 기술적인 사상 및 범주가 한정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This is intended to provide a detailed description so that a person skilled in the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easily practice the cont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es not mean that the technical idea and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limited. .

또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로 표기되었음에 유의하여야 하며,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판단되어야 한다.In addition, when adding reference numerals to components in each drawing, it should be noted that the same components are indicated with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s much as possible even if they are shown in different drawings, taking into account the configuration and oper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fore, specially defined terms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and the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judged based on the content throughout this specification.

우선,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음료 제조용 로봇암이 구비된 자동 판매기의 구성은 크게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는 커피 공급장치와, 물 공급장치와, 커피 추출장치와, 얼음 공급장치와, 특정 음료 공급장치와, 시럽 공급장치와, 컵 공금장치와, 로봇암 및 음료 배출장치로 구분될 수 있으며, 이하 예시된 도면을 참조하여 각 구성을 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First, the configuration of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beverage production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largely includes a coffee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the case, a water supply device, a coffee extraction device, an ice supply device, and a specific It can be divided into a beverage supply device, a syrup supply device, a cup dispensing device, a robot arm, and a beverage dispensing device, and each configuration will be looked at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illustrated drawings below.

각 구성의 설명에 앞서 자동 판매기에 대해 살펴보면, 자동 판매기는 일 예로 이동 또는 고정 가능한 사각의 함체의 케이스(100)로 구성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의 아래쪽 공간은 전장부(110)로 구성되고, 위쪽 공간은 커피나 특정 음료가 제조되면서 내부의 공간이 투시될 수 있도록 투명부(120)로 구성되며, 이러한 투명부(120)의 위쪽으로는 광고를 위한 문구나 그림 등을 표시될 수 있는 광고부(130)가 구성되고, 투명부(120)의 옆쪽으로는 커피나 특정 음료를 선택할 수 있는 메뉴 조작부(140) 및 선택된 메뉴에 따른 비용을 결제하는 요금 결제부(150)가 구성되며, 투명부(120)의 내부나 메뉴 조작부(140)쪽에는 필요에 따라 보조 광고부(131)가 더 구성될 수 있다.Before explaining each configuration, looking at the vending machine, for example, the vending machine may be composed of a case 100 of a square enclosure that can be moved or fixed, and the space below the case 100 is composed of an electrical unit 110. The upper space is composed of a transparent part 120 so that the internal space can be seen while coffee or a specific beverage is produced, and text or pictures for advertising can be displayed above the transparent part 120. An advertising unit 130 is formed, and on the side of the transparent part 120, a menu operation unit 140 for selecting coffee or a specific beverage and a fee payment unit 150 for paying the cost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are configured. , an auxiliary advertising unit 131 may be further configured inside the transparent unit 120 or on the menu operating unit 140 side as needed.

여기서, 광고부(130)나 보조 광고부(131)는 광고내용이 인쇄된 문자나 그림이 부착되어 구성될 수도 있지만, 광고내용의 간편한 교체 및 효과적인 홍보를 위해 액정모니터 등을 이용한 디스플레이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advertising unit 130 or the auxiliary advertising unit 131 may be configured with text or pictures printed with advertising content attached, but are configured in the form of a display using a liquid crystal monitor, etc. for easy replacement of advertising content and effective promotion. It can be.

메뉴 조작부(140)는 커피 또는 특정 음료들의 메뉴가 사진 또는 아이콘의 형태로 보여지면서 터치하여 선택할 수 있는 터치 디스플레이로 구성될 수 있으며, 요금 결제부(150)는 QR, PAY 등 모바일 인터넷 기반의 결제 방식이나, 신용카드결제방식 또는 필요에 따라 현금 투입방식을 통해 결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menu operation unit 140 may be configured as a touch display that displays menus of coffee or specific beverages in the form of photos or icons and can be selected by touching them, and the fee payment unit 150 may be used for mobile Internet-based payment such as QR or PAY. It can be configured to be paid through a payment method, a credit card payment method, or a cash injection method as needed.

케이스(100)는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으나 실내,외에 설치하는 환경에 따라 각 벽체에 단열재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케이스(100) 내부 상측에는 냉난방장치가 별도로 설치되어 운영될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case 100 may be provided with additional insulation material on each wall depending on the environment in which it is installed indoors or outdoors, and a heating and cooling device may be installed and operated separately on the upper side of the case 100.

냉난장장치는 케이스(100) 내부 및 외부에 추가로 구비되는 온도센서에 의해 케이스(100) 내부 온도가 최저 5℃ 내지 17℃를 상시 유지하도록 제어회로부와 연결되어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The refrigeration/warming device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in connection with the control circuit unit to maintain the temperature inside the case 100 at a minimum of 5°C to 17°C at all times using temperature sensors additionally provided inside and outside the case 100.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케이스(100) 내부온도를 사계절 변화에 따라 상시 적정온도를 유지함으로써 내부 온도 변화에 따른 오동작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특히 얼음 공급장치(400)는 5℃ 내지 10℃에서 제빙 작동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제빙된 얼음이 녹거나 서로 달라붙는 현상이 전혀 없다. 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it is possible to prevent malfunctions due to changes in internal temperature by maintaining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case 100 at an appropriate temperature at all times according to seasonal changes. In particular, the ice supply device 400 makes ice at 5°C to 10°C. It can operate smoothly and there is no phenomenon of de-icing ice melting or sticking to each other.

이와 같은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는 구성요소로, 먼저 커피 공급장치는,As a component installed inside such case 100, first, the coffee supply device is,

그라인더와 같은 커피원두를 분쇄하여 커피분말을 추출하는 장치이며,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선택된 원투가 투입되고, 분쇄도가 정해진 후 작동되어 설정된 양의 커피분말이 만들어진다.It is a device that extracts coffee powder by grinding coffee beans like a grinder. The coffee beans select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are input, and the grinding degree is determined and then operated to produce a set amount of coffee powder.

그리고 물 공급장치(300)는,And the water supply device 300,

외부로부터 정수된 물을 공급받아 보관하게 되며, 상온의 물 또는 냉각장치를 통한 냉각된 물 또는 히터를 통한 가열된 물을 제공할 수 있다.Purified water is supplied and stored from outside, and water at room temperature, water cooled through a cooling device, or water heated through a heater can be provided.

물 공급장치(300)는 상온의 물이 나오는 배출구와 냉각된 물이 나오는 배출구와 가열된 물이 나오는 배출구가 각각 구비될 수 있고, 각 배출구 아래쪽에 컵을 위치시키면 컵이 인식되어 일정량의 물이 나오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배출구가 하나로 구성되면서 상온의 물이 나오는 버튼과 냉각된 물이 나오는 버튼과 가열된 물이 나오는 버튼이 물리적 버튼 또는 감압식 버튼 또는 정전식 버튼 등으로 구성되어 배출구 아래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후술되는 로봇암(700)이 수동으로 버튼을 작동시켜 하나의 배출구로부터 원하는 온도의 물을 제공받을 수도 있다.The water supply device 300 may be provided with an outlet for room temperature water, an outlet for cooled water, and an outlet for heated water. When a cup is placed below each outlet, the cup is recognized and a certain amount of water is supplied. In another example, the outlet is composed of one button, and the button for room temperature water, the button for cooled water, and the button for heated water to come out are composed of physical buttons, pressure-sensitive buttons, or capacitive buttons, etc., so that they are located below the outlet. With the cup seated in the cup, the robot arm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may receive water of a desired temperature from one outlet by manually operating a button.

이때, 버튼의 방식에 따라 버튼을 작동시키는 로봇암(700)의 접촉부분 또한 대응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At this time, it is desi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robot arm 700 that operates the button according to the button type is also configured to correspond.

그리고 커피 추출장치(200)는,And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전술한 커피 공급장치로부터 설정된 양의 커피분말을 제공받고, 상기 물 공급장치(300)로부터 정수를 제공받은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으로 원두커피를 추출할 수 있다.Coffee beans can be extracted at a constant pressure while receiving a set amount of coffee powder from the above-described coffee supply device and purified water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00.

여기서, 커피 추출장치(200)는 커피 공급장치와 분리된 상태에서 커피분말을 공급받을 수도 있지만, 커피 추출장치(200)의 내부에 커피 공급장치가 함께 설치되어 연동된 상태로 하나의 몸체를 이루면서 구성될 수도 있으며, 이때 원두호퍼가 커피 추출장치(200)의 외부에 노출되도록 구성되면서 원두호퍼에 담겨져 있는 원두의 공급상태를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may be supplied with coffee powder in a state separated from the coffee supply device, but the coffee supply device is installed together inside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and forms a single body in an interlocked state. It may be configured, and in this case, it is preferable that the coffee bean hopper is configured to be exposed to the outside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so that the supply status of the coffee beans contained in the coffee bean hopper can be checked.

커피 추출장치(200)는 추출되는 커피액을 컵에 담을 경우, 커피 배출구 아래쪽에 컵을 위치시키면 컵이 인식되어 커피액이 컵에 자동으로 공급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지만, 커피 배출구 아래쪽에 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후술되는 로봇암(700)이 추출버튼을 눌러줄 때 커피액이 추출되어 컵에 담기도록 구성될 수도 있으며, 추출버튼은 물리적 버튼 또는 감압식 버튼 또는 정전식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도 있고, 추출버튼의 방식에 따라 추출버튼을 작동시키는 로봇암(700)의 접촉부분 또한 대응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When placing the extracted coffee liquid in a cup,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recognize the cup and automatically supply the coffee liquid to the cup when the cup is placed below the coffee outlet. However,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may be configured to place the cup below the coffee outlet. In this state, when the robot arm 7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presses the extraction button, the coffee liquid may be extracted and placed in a cup. The extraction button may be configured as a physical button, a pressure-sensitive button, or a capacitive button, etc.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art of the robot arm 700 that operates the extraction button is also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method of the extraction button.

그리고 얼음 공급장치(400)는,And the ice supply device 400,

전술한 물 공급장치(300)로부터 제공받는 정수를 특정 모양의 얼음으로 만들어 주는 장치로 만들어진 얼음은 저온의 상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컵을 배출구 아래쪽에 위치시키게 되면 컵의 인식을 통해 일정량의 얼음이 배출되거나, 컵을 배출구 아래쪽에 안착시킨 후 로봇암(700)이 배출버튼을 눌러 얼음을 배출시킬 수도 있다.Ice made by a device that turns purified water provided from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nto ice of a specific shape can be stored at a low temperature, and when the cup is placed below the outlet, a certain amount of ice is stored through recognition of the cup. The ice may be discharged, or the robot arm 700 may press the discharge button after placing the cup at the bottom of the discharge port to discharge the ice.

여기서, 배출버튼은 물리적 버튼 또는 감압식 버튼 또는 정전식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배출버튼의 방식에 따라 배출버튼을 작동시키는 로봇암(700)의 접촉부분 또한 대응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ejection button may be configured as a physical button, a pressure-sensitive button, or a capacitive butt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art of the robot arm 700 that operates the ejection button is also configured correspondingly depending on the type of the ejection button.

얼음 공급장치(400)에서 만들어지는 얼음은 구형 또는 다각면체 형태의 얼음으로 만들어질 수 있으며, 배출구가 두개로 구성되면서 한쪽은 크기가 큰 얼음이 배출되고, 다른 한쪽은 작은 크기가 작은 얼음이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ice made in the ice supply device 400 can be made of spherical or polyhedral-shaped ice, and is composed of two outlets, with one outlet discharging large-sized ice and the other discharging small-sized ice. It may be configured as such.

그리고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는,And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특정 음료를 만들때 사용되는 각종 시럽을 공급하는 장치로, 다양한 종류의 시럽이 각각 담겨져 있는 시럽용기(620)가 각 용기 수납케이스(610)에 형성된 각각의 수납구(611)에 수납된 상태에서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가압하여 펌핑노즐(621)로부터 일정량의 시럽을 토출시켜 컵에 공급시킬 수 있다.It is a device that supplies various syrups used in making specific drinks. Syrup containers 620 containing various types of syrup are stored in each storage port 611 formed in each container storage case 610, and the syrup is stored in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By pressurizing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container 620, a certain amount of syrup can be discharged from the pumping nozzle 621 and supplied to the cup.

여기서, 용기 수납케이스(610)는 시럽용기(620)의 교체 편의성을 위하여 수납구(611)의 입구를 경사지게 구성하여 수납구(611)를 통해 시럽용기(620)가 간편하게 출입되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is preferably configured to have the entrance of the storage port 611 inclined to facilitate replacement of the syrup container 620 so that the syrup container 620 can be easily entered and exited through the storage port 611.

그리고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수납구(611)는 전열이 가능한 금속재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수납구(611)에는 냉각장치(640)가 설치되어 수납구(611)의 내부 온도를 설정된 온도로 유지시킴에 따라 수납구(611)에 수납된 시럽용기(620)의 시럽이 설정된 온도로 보관될 수 있으므로 자동 판매기가 설치되는 설치공간의 온도에 따라 시럽용기(620)의 시럽이 변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storage port 611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may be made of a metal material capable of conducting heat, and a cooling device 640 is installed in the storage port 611 to maintain the internal temperature of the storage port 611 at the set temperature. Accordingly, the syrup in the syrup container 620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can be stored at a set temperature, thereby preventing the syrup in the syrup container 620 from deteriorating depending on the temperature of the installation space where the vending machine is installed. there is.

여기서, 냉각장치(640)는 예를 들어 수납구(611) 저면에 설치되어 직접 또는 냉매를 이용하여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냉각부와 발열부로 구성되는 팰티어소자(641)와, 그러한 팰티어소자(641)의 하부에 설치되는 고순도 알루미늄재질의 방열판(642)과 방열핀(643), 방열핀(643)의 하부에 설치되는 냉각팬(644)과 냉각팬(644)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덕트(645) 및 덕트(645)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646)이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Here, the cooling device 640 is, for example, a Peltier element 641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 611 and composed of a cooling part and a heating part to change the temperature directly or using a refrigerant, and such Peltier element The heat sink 642 and heat sink fin 643 made of high-purity aluminum installed at the bottom of (641), the cooling fan 644 installed at the bottom of the heat sink fin 643, and the air discharged by the cooling fan 644 are move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duct 645 and an exhaust fan 646 that exhausts air from the duct 645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한편, 용기 수납케이스(610)에서 수납구(611)의 수직 상방에는 엑추에이터(630)의 구동에 의해 상하방향으로 승강하는 노즐 작동구(631)가 형성되며, 이러한 노즐 작동구(631)는 엑추에이터(630)의 작동에 따라 승강되면서 수납구(611)에 수납되어 있는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작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in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a nozzle operating port 631 is formed vertically above the storage port 611, which moves up and down by the drive of the actuator 630. This nozzle operating port 631 is formed by an actuator ( As the operation of 630 moves up and down,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can be operated.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은 노즐 작동구(631)의 하강에 의해 눌려질 때 시럽용기(620)의 내부에 저장된 시럽 일정량이 펌핑노즐(621)의 외부로 토출되며, 눌려진 펌핑노즐(621)은 노즐 작동구(631)의 상승과 함께 외력이 제거되면 서서히 원상태로 복귀될 수 있다. When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is pressed by the descent of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a certain amount of syrup stored inside the syrup container 620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of the pumping nozzle 621, and the pressed pumping The nozzle 621 can gradually return to its original state when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rises and the external force is removed.

여기서, 엑추에이터(630)는 일 예로 공기압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로부터 피스톤이 승강하는 형태로 구성되면서 공기압의 제어에 따라 상하 이동되는 피스톤에 의해 펌핑노즐(621)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다른 예로 정역모터의 구동에 따라 정회전 또는 역회전이 이루어지는 스크류에 의해 펌핑노즐(621)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actuator 63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the pumping nozzle 621 by, for example, a piston that moves up and down in accordance with the control of air pressure while the piston is raised and lowered from the cylinder under the control of air pressure. As another example, The pumping nozzle 621 may be configured to be operated by a screw that rotates forward or reverse according to the driving of the forward/reverse motor.

엑추에이터(630)의 작동은 일 예로 이용자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면서 선택된 메뉴에 따라 필요한 시럽이 정해지게 되면서 그러한 시럽이 담긴 시럽용기(620)쪽으로 컵이 이동되고, 시럽용기(620)가 수납된 수납구(611) 전방에 컵이 위치하게 되면 컵을 인식하여 엑추에이터(630)가 작동되면서 노즐 작동구(631)가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작동시켜 컵에 시럽을 공급할 수 있다.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30 is, for example, when a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required syrup is determined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the cup is moved toward the syrup container 620 containing the syrup, and the syrup container 620 is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When the cup is positioned in front, the cup is recognized and the actuator 630 is activated, and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operates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to supply syrup to the cup.

그리고 엑추에이터(630)의 작동은 다른 예로 엑추에이터(630)의 작동버튼이 개별적으로 구성되면서 이용자에 의해 메뉴가 선택되어 필요한 시럽이 정해지고, 그러한 시럽이 담긴 시럽용기(620)쪽으로 컵이 이동된 다음 시럽용기(620)가 수납된 수납구(611) 전방에 컵이 안착된 후, 로봇암(700)이 엑추에이터(630)의 작동버튼을 작동시키게 되면 노즐 작동구(631)가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작동시켜 컵에 시럽을 공급할 수도 있다.Another example of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30 is that the operation button of the actuator 630 is individually configured, a menu is selected by the user, the required syrup is determined, and the cup is moved toward the syrup container 620 containing the syrup. After the cup is seated in front of the storage port 611 where the syrup container 620 is stored, when the robot arm 700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of the actuator 630,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moves the syrup container 620. Syrup can also be supplied to the cup by operating the pumping nozzle 621.

여기서, 작동버튼은 물리적 버튼 또는 감압식 버튼 또는 정전식 버튼 등으로 구성될 수 있으며, 작동버튼의 방식에 따라 작동버튼을 작동시키는 로봇암(700)의 접촉부분 또한 대응하여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operation button may be configured as a physical button, a pressure-sensitive button, or a capacitive button, and it is preferable that the contact portion of the robot arm 700 that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is also configured to correspond to the type of the operation button.

한편, 펌핑노즐(621)의 작동횟수와 시럽용기(620)에 저장된 시럽의 남은 양은 반비례의 관계를 가지게 되므로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이 작동되는 횟수에 따라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잔량이 판단될 수 있다.Meanwhile, the number of times the pumping nozzle 621 operates and the remaining amount of syrup stored in the syrup container 620 have an inverse relationship, so the syrup container 620 operates according to the number of times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is operated. The remaining amount of syrup can be determined.

따라서, 엑추에이터(630)의 1회 작동은 결국 펌핑노즐(621)의 1회 작동이므로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에는 엑추에이터(630)의 작동 횟수가 측정될 수 있도록 카운터부와, 이러한 카운터부와 연결되어 엑추에이터(630)의 작동 횟수에 따라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양을 판단할 수 있는 제어부(650) 및 이러한 제어부(650)와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잔량 또는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이 거의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됨을 관리자의 단말기로 안내해줄 수 있는 통신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Therefore, since one operation of the actuator 630 is ultimately one operation of the pumping nozzle 621,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includes a counter unit to measure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ctuator 630, and this counter unit. A control unit 650 that is connected and capable of determining the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ctuator 630, and a syrup container 620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with this control unit 650. A communication unit that can inform the manager's terminal of the remaining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or that the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is almost exhausted and needs to be replaced may be further included.

여기서 카운터부의 경우, 수납구(611)의 후방에 이격되어 설치되는 수직브래킷(660)을 이용하여 펌핑노즐 작동횟수 감지센서(661)를 두고, 노즐 작동구(631)와 연결되는 엑추에이터(630)의 로드(632)에는 펌핑노즐 작동횟수 감지센서(661)에 감지되는 표시부(633)를 형성함으로써, 펌핑노즐(621)의 작동을 위해 로드(632)의 승강이 이루어지면 로드(632)의 표시부(633)를 펌핑노즐 작동횟수 감지센서(661)가 감지하여 펌핑노즐(621)의 작동횟수를 판단할 수 있는 것이다.Here, in the case of the counter part, a pumping nozzle operation count detection sensor 661 is placed using a vertical bracket 660 installed at a distance from the rear of the storage port 611, and the actuator 630 connected to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is installed. By forming a display unit 633 on the rod 632 that is detected by the pumping nozzle operation count detection sensor 661, when the rod 632 is raised and lowered to operate the pumping nozzle 621, the display unit 633 of the rod 632 is displayed. ) can be detected by the pumping nozzle operation count detection sensor 661 to determine the operation count of the pumping nozzle 621.

수직브래킷(660)은 용기 수납케이스(610)와 수납구(611)의 사이에 위치하게 되며, 수직브래킷(660)의 후면을 이용하여 엑추에이터(630)가 설치될 수 있고, 이러한 수직브래킷(660)에는 수납구(611)에 수납되는 시럽용기(620)의 유무를 판단하기 위한 시럽용기 유무 감지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The vertical bracket 660 is located between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and the storage port 611, and the actuator 630 can be installed using the rear of the vertical bracket 660. This vertical bracket 660 A syrup container presence detection sensor may be installed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yrup container 620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아울러, 수납구(611)의 각각에는 필요에 따라 온도센서가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온도센서에 의해 각 시럽용기(620)의 보관온도가 제어부(650)로 전달되도록 하고, 제어부(650)는 각 시럽용기(620)의 보관온도를 관리자의 단말기로 전송함으로써, 관리자는 시럽용기(620)의 보관온도를 수시로 확인하여 시럽을 보다 효과적으로 관리할 수 있다.In addition, each of the storage ports 611 may be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s needed, and the storage temperature of each syrup container 620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650 through these temperature sensors, and the control unit 650 By transmitting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yrup container 620 to the manager's terminal, the manager can check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yrup container 620 at any time and manage the syrup more effectively.

또한 제어부(650)는 전술한 냉각장치(640)와 각종 센서와 연결되면서 시럽용기(620) 유무의 판단과 보관온도 조절과 펌핑을 위한 엑추에이터(630)의 작동 및 펌핑의 횟수 등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제어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control unit 650 is connected to the above-described cooling device 640 and various sensors to determine the presence or absence of the syrup container 620, control the storage temperature, and comprehensively determine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30 for pumping and the number of pumping times. You can control it.

한편, 엑추에이터(630)에 설치되는 노즐 작동구(631)는 일정한 길이를 가지면서 수평하게 형성되고, 일단은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후면에 설치되는 엑추에이터(630)의 로드(632)에 연결되며, 타단은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수납구(611)에 수납되는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 수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됨에 따라 엑추에이터(630)의 작동에 따라 노즐 작동구(631)가 수평한 상태로 상하 이동되면서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작동시킬 수 있다.Meanwhile,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installed in the actuator 630 is formed horizontally with a certain length,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rod 632 of the actuator 630 installed on the rear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The other end is configured to be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so that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operates according to the operation of the actuator 630. ) can be moved up and down in a horizontal state to operate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여기서, 펌핑노즐(621)의 상면과 접면하게 되는 노즐 작동구(631)의 타단 저면에는 펌핑노즐(621)과 접면시 미끄러짐이 발생되지 않도록 고무나 실리콘 등의 미끄럼방지구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Here, it is preferable that an anti-slip member such as rubber or silicone be installed on the bottom surface of the other end of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which comes into contact with the upper surface of the pumping nozzle 621, to prevent slipping when in contact with the pumping nozzle 621. .

아울러, 노즐 작동구(631)는 로드(632)를 회전중심으로 90도 내에서 좌우 회전이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는 시럽용기(620)를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수납구(611)에 수납하는 과정에서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이 노즐 작동구(631)에 간섭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In addition,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is preferably installed so as to be able to rotate left and right within 90 degrees about the rod 632 as the center of rotation, which allows the syrup container 620 to be placed in the storage port 611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This is to prevent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from interfering with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during the storage process.

한편,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수납구(611) 전면 하단에는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면서 컵이 안착될 수 있는 받침판이 구비될 수 있어, 컵을 이러한 받침판에 올려놓으면 컵이 인식되어 노즐 작동구(631)가 작동되거나, 컵을 받침판에 올려놓고 로봇암(700)이 수동으로 노즐 작동구(631)를 작동시킬 수도 있다.Meanwhile, a support plate on which the cup can be seated while protruding forward may be provid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storage port 611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When the cup is placed on this support plate, the cup is recognized and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 may be operated, or the cup may be placed on the support plate and the robot arm 700 may manually operate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아울러, 받침판은 필요에 따라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함으로써, 노즐 작동구(631)에 의해 펌핑노즐(621)이 작동될 경우, 받침대가 상승되면서 컵이 펌핑노즐(621)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함으로써, 시럽이 컵의 바깥쪽으로 분사되어 낭비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In addition, the support plate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needed, so that when the pumping nozzle 621 is operated by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the support plate is raised and the cup is brought as close to the pumping nozzle 621 as possible. , it can also prevent syrup from being sprayed out of the cup and wasted.

그리고 컵 공급장치(500)는,And the cup supply device 500,

커피나 특정 음료가 담기는 컵을 공급하는 장치이며, 복수개의 컵이 준비된 상태에서 메뉴 선택에 따라 컵이 순차적으로 1개씩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It is a device that supplies cups containing coffee or a specific beverage, and when a plurality of cups are prepared, the cups can be configured to be sequentially discharged one by one according to menu selection.

컵은 온음료를 위한 종이컵 및 냉음료를 위한 플라스틱컵이 개별적으로 보관되어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선택되어 1개씩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The cups may be configured so that paper cups for hot drinks and plastic cups for cold drinks are stored individually and are selected and discharged one by one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컵 공급장치(500) 또한 자동으로 배출되지 않고, 배출버튼이 마련되면서 로봇암(700)이 배출버튼을 눌러 컵을 배출시켜 사용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The cup supply device 500 may also be configured to not be automatically ejected, but to use an ejection button provided so that the robot arm 700 presses the eject button to eject the cup.

그리고 로봇암(700)은,And the robot arm 700,

투명부(120) 안쪽에 설치되어 이용자가 투명부(120)를 통해 그 움직임을 확인할 수 있으며, 6축 이상의 자유도를 따라 움직이도록 구성됨에 따라 선택된 메뉴에 따라 설정된 이동 경로를 따라 이동하다가 완성된 커피 또는 특정 음료를 이용자에게 제공해줄 수 있다.It is installed inside the transparent part 120 so that the user can check its movement through the transparent part 120. As it is configured to move along 6 or more degrees of freedom, the coffee is finished while moving along the movement path set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Alternatively, a specific beverage can be provided to the user.

로봇암(700)은 선택된 메뉴에 따라 정해진 경로를 이동하게 되면서 컵 공급장치(500)에서 배출된 컵을 파지하거나, 커피 추출장치(200)에서 커피액이 배출되는 배출구로 파지된 컵을 이동시켜 컵에 커피액을 받거나, 얼음 공급장치(400)에서 얼음이 배출되는 배출구로 파지된 컵을 이동시켜 컵에 얼음을 받거나,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에서 시럽용기(620)가 설치된 수납구(611) 전방에 파지된 컵을 이동시켜 컵에 시럽용기(620)로부터 토출되는 시럽을 받거나, 완성된 커피 또는 완성된 특정 음료를 음료 배출구(121)로 이동시키는 역할을 한다.The robot arm 700 moves a predetermined path according to the selected menu and grasps the cup discharged from the cup supply device 500, or moves the grasped cup to the outlet where the coffee liquid is discharged from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Receive coffee liquid in a cup, move the cup held in the ice supply device 400 to the outlet where ice is discharged, and receive ice in the cup, or receive ice in the cup through the syrup container main body 600, which is installed in the storage port 611 where the syrup container 620 is installed. ) It serves to receive syrup discharged from the syrup container 620 in the cup by moving the cup held in front, or to move finished coffee or a specific finished beverage to the beverage outlet 121.

여기서, 로봇암(700)의 단부는 컵의 외면을 필요 이상 가압하지 않고 정확하게 파지할 수 있는 형태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며, 필요에 따라 로봇암(700)의 단부에 가압돌부가 더 형성될 수 있고, 이러한 가압돌부는 전술한 물 공급장치(300)나, 커피 추출장치(200)나, 얼음 공급장치(400)나,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나 컵 공급장치(500)의 작동이 물리적 버튼이나 감압식 버튼인 경우, 로봇암(700)의 가압돌부는 그러한 버튼의 특성에 따라 적절한 세기로 버튼을 가압하여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러한 버튼이 정전식으로 구성되면 가압돌부를 전기가 유도하는 물질로 구성하여 버튼을 정확하게 작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ere, the end of the robot arm 700 is preferably configured in a shape that can accurately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cup without pressing it more than necessary, and if necessary, a pressing protrusion may be further formed at the end of the robot arm 700. , These pressurized protrusions operate the aforementioned water supply device 300,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ce supply device 400,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or cup supply device 500 using physical buttons. However, in the case of a pressure-sensitive button, the pressing protrusion of the robot arm 700 may be configured to operate by pressing the button with an appropriate intensit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button. If such a button is configured in an electrostatic manner, the pressing protrusion may be electrically operated. It is preferable that it is made of a guiding material so that the button can be operated accurately.

물론, 버튼은 물리적 버튼이나 감압식 버튼이나 정전식 버튼 외에 적외선식 버튼 또는 초음파식 버튼을 포함하여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Of course, the button may be configured in various forms, including an infrared button or an ultrasonic button, in addition to a physical button, a pressure-sensitive button, or a capacitive button.

따라서, 자동 판매기에 설치되는 커피 공급장치나, 물 공급장치(300)나, 커피 추출장치(200)나, 얼음 공급장치(400)나,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나, 컵 공급장치(500)는 서로 연동되도록 프로그램화되어 메뉴의 선택에 따라 로봇암(700)과 함께 자동으로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로봇암(700)의 단부는 컵을 파지하는 형태로만 구성되어도 무방하다.Therefore, the coffee supply device, water supply device 300,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ce supply device 400,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and cup supply device 500 installed in the vending machine. ) can be programmed to interoperate with each other and configured to automatically operate together with the robot arm 700 according to menu selection. In this case, the end of the robot arm 700 may be configured only in the form of holding a cup. .

그러나 자동 판매기에 설치되는 물 공급장치(300)나, 커피 추출장치(200)나, 얼음 공급장치(400)나,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나 컵 공급장치(500)가 수동으로 조작되도록 구성될 경우에는 로봇암(700)의 단부는 컵을 파지하는 형태이면서 전술한 가압돌부가 더 포함되어 각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됨이 바람직하다.However, the water supply device 300,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ce supply device 400,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or cup supply device 500 installed in the vending machine are configured to be operated manually. If possible, it is preferable that the end of the robot arm 700 is configured to hold a cup and further include the above-mentioned pressing protrusion so that each device can be manually operated.

그리고 음료 배출장치(800)는,And the beverage discharge device 800,

로봇암(700)이 완성된 커피 또는 완성된 특정 음료를 투명부(120)의 아래쪽에 형성된 음료 배출구(121)로 이동시키면 음료 배출구(121)가 개방되면서 이용자가 완성된 커피나 특정 음료를 가져갈 수 있도록 해준다.When the robot arm 700 moves the finished coffee or a specific beverage to the beverage outlet 121 formed at the bottom of the transparent part 120, the beverage outlet 121 is opened and the user can take the finished coffee or a specific beverage. It allows you to

음료 배출장치(800)는 예를 들어 로봇암(700)에 의해 완성된 커피 또는 완성된 특정 음료가 안착되는 수평한 이동트레이(810)와, 이러한 이동트레이(810)의 전방에 형성되어 음료 배출구(121)를 개방 또는 폐쇄시키는 셔터(820)와, 이동트레이(810)와 셔터(820)를 함께 승강시켜주는 승강 엑추에이터(830) 및 음료 배출구(121)의 후방에 위치하여 컵을 감지하는 하강 감지센서(841) 및 하강 감지센서(841)의 수직 상방에 위치하여 컵을 감지하는 상승 감지센서(842)가 포함되어 구성될 수 있다.The beverage discharge device 800 includes, for example, a horizontal moving tray 810 on which coffee or a specific finished beverage is placed by the robot arm 700, and a beverage discharge port formed in front of the moving tray 810. A shutter 820 that opens or closes (121), a lifting actuator 830 that raises and lowers the moving tray 810 and the shutter 820 together, and a lowering actuator 830 that is located behind the beverage outlet 121 and detects the cup.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rising detection sensor 842 that is located vertically above the detection sensor 841 and the falling detection sensor 841 and detects the cup.

여기서, 이동트레이(810)와 셔터(820)는 일체형 내지 조립형태로 구성될 수도 있다.Here, the moving tray 810 and the shutter 820 may be configured in an integrated or assembled form.

따라서, 로봇암(700)에 의해 완성된 커피 또는 완성된 특정 음료가 담긴 컵이 이동트레이(810)에 놓이게 되면 상승 감지센서(842)에 의해 컵이 인식되면서 승강 엑추에이터(830)가 작동되어 이동트레이(810)가 하강하게 되고, 이동트레이(810)와 함께 이동트레이(810) 전면에 연결되어 있는 셔터(820) 또한 함께 하강하게 되면서 셔터(8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음료 배출구(121)가 개방됨에 따라 이용자는 개방된 음료 배출구(121)를 통해 완성된 커피 또는 완성된 특정 음료가 담긴 컵을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Therefore, when a cup containing finished coffee or a finished specific beverage is placed on the moving tray 810 by the robot arm 700, the cup is recognized by the rising detection sensor 842 and the lifting actuator 830 is activated to move it. The tray 810 is lowered, and the shutter 820 connected to the front of the mobile tray 810 along with the mobile tray 810 is also lowered, so that the beverage outlet 121, which was closed by the shutter 820, is lowered. As it is opened, the user can take a cup containing finished coffee or a specific finished beverage through the open beverage outlet 121.

그리고 이동트레이(810)와 함께 하강한 컵을 이용자가 가져가게 되면서 하강 감지센서(841)에 의해 감지되던 컵이 사라지게 되면서 승강 엑추에이터(830)의 작동에 의해 이동트레이(810)와 셔터(820)가 다시 상승하게 되면서 음료 배출구(121)는 셔터(820)에 의해 다시 폐쇄되는 것이다.And as the user takes the cup that was lowered together with the moving tray (810), the cup detected by the lowering detection sensor (841) disappears, and the moving tray (810) and shutter (820) are moved by the operation of the lifting actuator (830). As it rises again, the beverage outlet 121 is closed again by the shutter 820.

다음은 이와 같이 구성되는 자동 판매기의 사용과정을 살펴보기로 한다.Next, we will look at the process of using the vending machine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예를 들어 이용자가 메뉴 조작부(140)를 통해 아메리카노 메뉴를 선택하고, 요금 결제부(150)를 통해 요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일정량의 커피원두가 설정된 분쇄도에 따라 분쇄되어 커피분말로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분말은 커피 추출장치(200)로 이동되며, 로봇암(700)은 컵 공급장치(500)쪽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아메리카노 메뉴에 따라 컵 공급장치(500)에서 배출된 종이컵을 파지한 다음 커피 추출장치(200)쪽으로 이동하여 커피 추출장치(200)의 커피배출구 아래쪽에 종이컵을 위치시킨다.Fo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Americano menu through the menu control unit 140 and the payment is completed through the fee payment unit 150, a certain amount of coffee beans are ground according to the set grinding degree and extracted into coffee powder, The extracted coffee powder is moved to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and the robot arm 700 moves toward the cup supply device 500, grabs the paper cup discharged from the cup suppl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selected Americano menu, and then makes coffee. Move toward the extraction device 200 and place a paper cup below the coffee outlet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이후, 종이컵이 감지되면 커피 추출장치(200)가 자동으로 작동되어 일정량의 커피액이 추출되면서 종이컵에 담겨지게 된다. Afterwards, when the paper cup is detected,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s automatically operated to extract a certain amount of coffee liquid and put it in the paper cup.

만약, 커피 추출장치(200)가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는 로봇암(700)이 커피 추출장치(200)의 배출구에 종이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커피 추출장치(200)의 작동버튼을 작동시키켜주면 커피 추출장치(200)로 이동된 커피분말이 커피액으로 추출되면서 종이컵에 담길 수 있다.I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s operated manually, the robot arm 700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while placing a paper cup in the outlet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The coffee powder moved to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can be extracted as coffee liquid and placed in a paper cup.

로봇암(700)은 커피액이 담겨진 종이컵을 물 공급장치(300)로 이동시킨 다음 물 공급장치(300)의 물배출구 아래쪽에 종이컵을 위치시키면 종이컵이 감지되면서 물 공급장치(300)의 물배출구로부터 온수가 일정량 공급된다.The robot arm 700 moves a paper cup containing coffee liquid to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nd then places the paper cup below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When the paper cup is detected, the paper cup is detected and the paper cup is moved to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 certain amount of hot water is supplied from.

물 공급장치(300) 또한 수동으로 작동되는 경우는 로봇암(700)이 물 공급장치(300)의 배출구에 종이컵을 안착시킨 상태에서 물 공급장치(300)의 작동버튼을 작동시켜 온수를 종이컵에 담을 수 있다.When the water supply device 300 is operated manually, the robot arm 700 operates the operation button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with a paper cup placed on the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to supply hot water to the paper cup. It can be contained.

이후, 로봇암(700)이 커피액과 온수가 혼합되어 만들어진 아메리카노가 담긴 종이컵을 투명부(120) 전면 아래쪽에 위치한 음료 배출구(121)로 이동시켜 이동트레이(810)에 올려놓게 되면 종이컵을 감지한 이동트레이(810)가 셔터(820)가 함께 하강하게 되면서 음료 배출구(121)가 개방됨에 따라 이용자는 개방된 음료 배출구(121)를 통해 완성된 아메리카노를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Afterwards, the robot arm 700 moves the paper cup containing Americano, made by mixing coffee liquid and hot water, to the beverage outlet 12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part 120 and places it on the moving tray 810, detecting the paper cup. As one moving tray 810 is lowered along with the shutter 820, the beverage outlet 121 is opened, so that the user can take the completed Americano through the open beverage outlet 121.

그리고 다른 예로 이용자가 메뉴 조작부(140)를 통해 아이스 아메리카노 메뉴를 선택하고, 요금 결제부(150)를 통해 요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일정량의 커피원두가 설정된 분쇄도에 따라 분쇄되어 커피분말로 추출되고, 추출된 커피분말은 커피 추출장치(200)로 이동되며, 로봇암(700)은 컵 공급장치(500)쪽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아이스 아메리카노 메뉴에 따라 컵 공급장치(500)에서 배출된 플라스틱컵을 파지한 다음 얼음 공급장치(400)쪽으로 이동하여 얼음 공급장치(400)의 얼음배출구 아래쪽에 플라스틱컵을 위치시키게 되며, 플라스틱컵이 감지에 따라 얼음 공급장치(400)로부터 일정량의 얼음이 플라스틱컵에 담겨지게 되고, 로봇암(700)은 얼음이 담겨진 플라스틱컵을 물 공급장치(300)로 이동시킨 다음 물 공급장치(300)의 물배출구 아래쪽에 플라스틱컵을 위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컵이 감지되면서 물 공급장치(300)의 물배출구로부터 냉수가 플라스틱컵으로 일정량 공급된다.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iced Americano menu through the menu control unit 140 and completes payment through the fee payment unit 150, a certain amount of coffee beans are ground according to the set grinding degree and extracted into coffee powder. , the extracted coffee powder is moved to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and the robot arm 700 moves toward the cup supply device 500 and grasps the plastic cup discharged from the cup suppl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selected iced Americano menu. Then, it moves towards the ice supply device 400 and places a plastic cup under the ice discharge port of the ice supply device 400. When the plastic cup is detected, a certain amount of ice is placed in the plastic cup from the ice supply device 400. Then, the robot arm 700 moves the plastic cup containing the ice to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nd then places the plastic cup below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s a result, the plastic cup is detected and A certain amount of cold water is supplied to the plastic cup from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이후, 로봇암(700)은 얼음과 냉수가 담겨진 플라스틱컵을 커피 추출장치(200)쪽으로 이동시켜 커피 추출장치(200)의 커피배출구 아래쪽에 얼음과 냉수가 담겨진 플라스틱컵을 위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컵이 감지되어 커피 추출장치(200)가 작동되면 일정량의 커피액이 추출되어 플리스틱컵에 담겨지게 된다.Afterwards, the robot arm 700 moves the plastic cup containing ice and cold water toward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and positions the plastic cup containing ice and cold water below the coffee outlet of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Accordingly, When the plastic cup is detected and th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s activated, a certain amount of coffee liquid is extracted and placed in the plastic cup.

여기서도 커피 공급장치나 커피 추출장치(200)나 얼음 공급장치(400)나 물 공급장치(300)의 경우, 컵이 자동으로 인식되지 않는 형태인 경우, 로봇암(700)이 각각의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too, in the case of the coffee supply device, coffee extraction device 200, ice supply device 400, or water supply device 300, if the cup is not automatically recognized, the robot arm 700 manually operates each device. It can be configured to operate by manipulating it.

이후, 얼음과 냉수와 커피액이 혼합된 플라스틱컵은 로봇암(700)에 의해 투명부(120) 전면 아래쪽에 위치한 음료 배출구(121)로 이동되어 이동트레이(810)에 올려지게 되며, 플라스틱컵을 감지한 이동트레이(810)와 셔터(820)가 하강하게 되면서 셔터(8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음료 배출구(121)가 개방됨에 따라 이용자는 음료 배출구(121) 통해 완성된 아이스 아메리카노를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Afterwards, the plastic cup containing a mixture of ice, cold water, and coffee liquid is moved to the beverage outlet 12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part 120 by the robot arm 700 and placed on the moving tray 810, and the plastic cup is placed on the mobile tray 810. As the moving tray 810 and the shutter 820 detect the lowering, the beverage outlet 121, which was closed by the shutter 820, is opened, allowing the user to take the completed iced Americano through the beverage outlet 121. There is.

또한, 또 다른 예로 이용자가 메뉴 조작부(140)를 통해 특정 음료수인 레몬에이드 메뉴를 선택하고, 요금 결제부(150)를 통해 요금의 결제가 완료되면 로봇암(700)은 컵 공급장치(500)쪽으로 이동하여 선택된 레몬에이드 메뉴에 따라 컵 공급장치(500)에서 배출된 플라스틱컵을 파지한 다음 얼음 공급장치(400)쪽으로 이동하여 얼음 공급장치(400)의 얼음배출구 아래쪽에 플라스틱컵을 위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컵이 감지되면 얼음 공급장치(400)로부터 일정량의 얼음이 플라스틱컵에 담겨지게 되고, 로봇암(700)에 의해 얼음이 담긴 플라스틱컵은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쪽으로 이동되어 용기 케이스(100)의 수납구(611) 중 레몬에이드 시럽이 저장된 시럽용기(620)가 수용되어 있는 수납구(611)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며, 이에 플라스틱컵이 감지되면 노즐 작동구(631)가 레몬에이드 시럽이 저장된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설정된 횟수만큼 작동시키게 되고, 이러한 작동에 의해 레몬에이드 시럽이 저장된 시럽용기(620)에서 펌핑된 레몬에이드 시럽은 얼음이 담겨져 있는 플라스틱컵 내부에 투입되고, 이후, 로봇암(700)은 얼음과 레몬에이드 시럽이 담겨진 플라스틱컵을 물 공급장치(300)로 이동시킨 다음 물 공급장치(300)의 물배출구 아래쪽에 플라스틱컵을 위치시키게 되며, 이에 따라 플라스틱컵이 감지되면 물 공급장치(300)의 물배출구로부터 냉수가 일정량 공급된다.In addition, as another example, when the user selects the lemonade menu, which is a specific beverage, through the menu operation unit 140, and payment of the fee is completed through the fee payment unit 150, the robot arm 700 uses the cup supply device 500. Move to the side and grab the plastic cup discharged from the cup supply device (500) according to the selected lemonade menu, then move toward the ice supply device (400) and place the plastic cup below the ice discharge port of the ice supply device (400). Accordingly, when the plastic cup is detected, a certain amount of ice is placed in the plastic cup from the ice supply device 400, and the plastic cup containing the ice is moved by the robot arm 700 toward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to fill the container. Among the storage ports 611 of the case 100, the syrup container 620 containing the lemonade syrup is located in front of the storage port 611, and when the plastic cup is detected,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is used to produce lemonade syrup.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where the syrup is stored is operated a set number of times, and the lemonade syrup pumped from the syrup container 620 where the lemonade syrup is stored by this operation is inside the plastic cup containing the ice. , and then the robot arm 700 moves the plastic cup containing ice and lemonade syrup to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nd then places the plastic cup below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Accordingly, when a plastic cup is detected, a certain amount of cold water is supplied from the water outlet of the water supply device 300.

여기서도 얼음 공급장치(400)나 물 공급장치(300)나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가 컵을 자동으로 인식하지 않는 형태인 경우, 로봇암(700)이 각각의 장치를 수동으로 조작하여 작동시키도록 구성될 수 있다.Here again, if the ice supply device 400, water supply device 300, or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does not automatically recognize the cup, the robot arm 700 operates each device manually. It can be configured as follows.

이후, 얼음과 레몬에이드 시럽과 냉수가 혼합되어 레몬에이드로 만들어져 담겨진 플라스틱컵은 로봇암(700)에 의해 투명부(120) 전면 아래쪽에 위치한 음료 배출구(121)로 이동되어 이동트레이(810)에 올려지게 되며, 플라스틱컵을 감지한 이동트레이(810)와 셔터(820)가 하강하게 되면서 셔터(820)에 의해 폐쇄되어 있던 음료 배출구(121)가 개방됨에 따라 이용자는 음료 배출구(121) 통해 완성된 레몬에이드를 가져갈 수 있는 것이다.Afterwards, the plastic cup containing ice, lemonade syrup, and cold water mixed to make lemonade is moved by the robot arm 700 to the beverage outlet 121 located at the bottom of the front of the transparent part 120 and placed in the mobile tray 810. It is raised, and the moving tray 810 and shutter 820, which detect the plastic cup, are lowered, and the beverage outlet 121, which was closed by the shutter 820, is opened, allowing the user to complete the drink through the beverage outlet 121. You can take freshly prepared lemonade with you.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한 설명을 하였으나, 기재된 내용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기재된 내용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질 필요는 없으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As described above, in the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specific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but of course, various modifications are possible without departing from the scope of the described content. Therefore, the scope of the described content need not be limited to the described embodiments, and should be determined by the claims described below as well as equivalents to these claims.

100 : 케이스 110 : 전장부
120 : 투명부 121 : 음료 배출구
130 : 광고부 131 : 보조 광고부
140 : 메뉴 조작부 150 : 요금 결제부
200 : 커피 추출장치 300 : 물 공급장치
400 : 얼음 공급장치 500 : 컵 공급장치
610 : 용기 수납통 611 : 수납구
620 : 시럽용기 621 : 펌핑노즐
630 : 엑추에이터 631 : 노즐 작동구
632 : 로드 633 : 표시부
640 : 냉각장치 641 : 팰티어소자
642 : 방열판 643 : 방열핀
644 : 냉각팬 645 : 덕트
646 : 배기팬 650 : 제어부
700 : 로봇암 800 : 음료 배출장치
810 : 이동 트레이 820 : 셔터
100: Case 110: Electrical unit
120: transparent portion 121: beverage outlet
130: Advertising Department 131: Auxiliary Advertising Department
140: Menu control unit 150: Fee payment unit
200: coffee extraction device 300: water supply device
400: Ice supply device 500: Cup supply device
610: container storage bin 611: storage port
620: Syrup container 621: Pumping nozzle
630: Actuator 631: Nozzle operating tool
632: Rod 633: Display unit
640: Cooling device 641: Peltier element
642: heat sink 643: heat sink fin
644: cooling fan 645: duct
646: exhaust fan 650: control unit
700: Robot arm 800: Beverage dispensing device
810: moving tray 820: shutter

Claims (9)

음료 판매를 위한 자동 판매기의 내부에 설치되는 시럽 공급장치에 있어서,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는 자동 판매기를 구성하는 케이스(100) 내부에 설치되며, 복수의 시럽용기(620)가 개별적으로 보관되되, 상기 시럽용기(620) 각각의 보관 온도가 개별적으로 제어되고, 상기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이 개별적으로 가압되면서 일정량의 시럽이 토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the syrup supply device installed inside a vending machine for selling beverages,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is installed inside the case 100 constituting the vending machine, and a plurality of syrup containers 620 are individually stored, and the storage temperature of each syrup container 620 is individually controlled. ,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is individually pressurized and a certain amount of syrup is discharged.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는,
상기 시럽용기(620)가 개별적으로 수납되며, 상기 시럽용기(620)가 삽입되는 입구가 경사지게 형성된 복수의 수납구(611)로 이루어진 용기 수납케이스(610);
상기 수납구(611) 각각에 설치되는 냉각장치(640); 및
상기 수납구(611)에 수납된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을 일정하게 가압하여 시럽이 토출시키는 노즐 작동구(631);
가 포함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1,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A container storage case 610 in which the syrup container 620 is individually stored, and which is made up of a plurality of storage ports 611 where the entrance into which the syrup container 620 is inserted is inclined.
A cooling device 640 installed in each of the storage ports 611; and
a nozzle operation port 631 that uniformly pressurizes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to discharge syrup;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시럽 공급장치 본체(600)는,
입력신호에 따라 상기 노즐 작동구(631)를 승강시키는 엑추에이터(630);
정해진 용량의 시럽이 담긴 상기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이 상기 엑추에이터(630)와 연결된 노즐 작동구(631)에 의해 가압되어 작동될 때 마다 상기 엑추에이터(630)의 동작 횟수가 측정되는 카운터부;
상기 카운터부와 연결되어 상기 엑추에이터(630)의 동작 횟수에 따라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양을 판단하여 상기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잔량 또는 상기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이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됨을 판단하는 제어부(650); 및
상기 제어부(650)의 신호를 받아 유선통신 또는 무선통신을 통해 상기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잔량 또는 상기 시럽용기(620)에 남아 있는 시럽의 소진되어 교체가 필요하게 됨을 관리자의 단말기로 안내하는 통신부;
가 포함되는 것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2,
The syrup supply device main body 600,
An actuator 630 that raises and lowers the nozzle operation tool 631 according to an input signal;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ctuator 630 is measured each time the pumping nozzle 621 of the syrup container 620 containing a predetermined volume of syrup is pressed and operated by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connected to the actuator 630. counter unit;
It is connected to the counter unit and determines the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according to the number of operations of the actuator 630, and determines the remaining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or the syrup container 620. A control unit 650 that determines that the remaining syrup is exhausted and needs to be replaced; and
Upon receiving a signal from the control unit 650, the administrator's terminal indicates through wired or wireless communication that the remaining amount of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or that the syrup remaining in the syrup container 620 is exhausted and needs to be replaced. Department of Communications, which guides you to;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수납구(611) 각각에는 온도센서가 구비되며, 상기 온도센서의 감지값은 제어부로 전달되어 통신부를 통해 관리자의 단말기에 전달되면서 상기 수납구(611)에 보관된 시럽용기(620)의 보관온도를 상기 관리자가 판단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3,
Each of the storage ports 611 is equipped with a temperature sensor, and the detected value of the temperature sensor is transmitted to the control unit and transmitted to the manager's terminal through the communication unit to determine the storage temperature of the syrup container 620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so that the manager can make a decision.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엑추에이터(630)는 공기압의 제어에 따라 실린더로부터 승강하는 피스톤을 통해 상기 노즐 작동구(631)가 작동되도록 구성되거나, 정역모터의 정역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스크류를 통해 상기 노즐 작동구(631)가 작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3,
The actuator 630 is configured to operate the nozzle operating device 631 through a piston that moves up and down from the cylinder under the control of air pressure, or operates the nozzle operating device 631 through a screw that moves up and down according to the forward and reverse rotation of the forward and reverse motor.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operate.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냉각장치(640)는,
상기 수납구(611) 저면에 설치되어 냉매를 이용하여 온도를 변화시킬 수 있도록 냉각부와 발열부로 구성되는 팰티어소자(641);
상기 팰티어소자(641)의 하부에 설치되는 방열판(642)과 방열핀(643);
상기 방열핀(643)의 하부에 설치되는 냉각팬(644);
상기 냉각팬(644)에 의해 배출되는 공기가 이동되는 덕트(645);및
상기 덕트(645)의 공기를 케이스(100)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기팬(646);
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2,
The cooling device 640,
A Peltier element 641 installed on the bottom of the receiving port 611 and composed of a cooling part and a heating part to change the temperature using a refrigerant;
A heat sink 642 and a heat sink fin 643 installed below the Peltier element 641;
A cooling fan 644 installed below the heat dissipation fin 643;
A duct 645 through which air discharged by the cooling fan 644 moves; And
An exhaust fan 646 that exhausts the air in the duct 645 to the outside of the case 100;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작동구(631)는,
수평한 한쪽은 상기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후방에 설치되는 엑추에이터(630)의 실린더 단부에 연결되고, 수평한 다른 한쪽은 상기 용기 수납케이스(610)의 수납구(611)에 수납되는 시럽용기(620)의 펌핑노즐(621) 수직 상방에 위치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2,
The nozzle operation port 631 is,
One horizontal side is connected to the cylinder end of the actuator 630 installed at the rear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and the other horizontal side is a syrup container stored in the storage port 611 of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it is configured to be positioned vertically above the pumping nozzle (621) of 620).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노즐 작동구(631)의 수평한 다른 한쪽 저면에는 상기 펌핑노즐(621)과의 접촉시 미끄러짐이 방지될 수 미끄럼방지구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7,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the other horizontal bottom surface of the nozzle operating port (631) is further provided with an anti-slip device to prevent slipping when in contact with the pumping nozzle (62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용기 수납케이스(610)에는 수납구(611)의 하단에 전방을 향하여 돌출되어 컵의 저면을 받쳐줄 수 있는 받침판이 구비되며, 상기 받침판은 상기 펌핑노즐(621)을 향하여 상하방향을 따라 승강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자동판매기용 시럽공급장치.
In claim 2,
The container storage case 610 is provided with a support plate that protrudes forward at the bottom of the storage port 611 and can support the bottom of the cup, and the support plate is configured to be raised and lowered in the vertical direction toward the pumping nozzle 621. A syrup supply device for a beverage vending machine, characterized in that.
KR1020220114838A 2022-09-13 2022-09-13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KR20240036257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38A KR20240036257A (en) 2022-09-13 2022-09-13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838A KR20240036257A (en) 2022-09-13 2022-09-13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6257A true KR20240036257A (en) 2024-03-20

Family

ID=904833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838A KR20240036257A (en) 2022-09-13 2022-09-13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6257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43B1 (en) 2020-02-28 2020-06-03 박노섭 Robot gripper for manufacturing coffee drink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18843B1 (en) 2020-02-28 2020-06-03 박노섭 Robot gripper for manufacturing coffee drink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93088B1 (en) Unmanned coffee drink manufacturing system
RU2578990C2 (en) Ergonomic interface of dispensing device
US749735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t agitation in a vending machine
CA2574697C (en) Food inductive heating device and method
JP4422158B2 (en) Induction heating method with mark detection
JPH07505328A (en) coffee extractor dispenser
US9890027B2 (en) Beverage supply apparatus with touch panel control
US2007017017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ductive heating of a food container
JP461937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with machine-readable device
JP4463284B2 (en) Power management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vending machine
WO2005013781A1 (en) Beverage dispenser for extracting coffee
KR20240036257A (en) Syrup supply device for beverage vending machines
KR20240036754A (en) A vending machine equipped with a robot arm for making drinks
JP2011242020A (en) Water heater
KR20180065835A (en) The sensitive cocktail machine - which can have a variety of receips from customer choices.
KR102609791B1 (en) Unmanned beverage manufacturing device and system
JP2011167395A (en) Beverage making apparatus
JP6832513B2 (en) Beverage supply device
CN115003199A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with capsule recognition
JP3138635B2 (en) Preparable beverage dispenser
JP5521593B2 (en) vending machine
JP5560919B2 (en) vending machine
JPH0830860A (en) Cash management device provided with beverage extracting function
JPH09259345A (en) Preparation-type beverage supply device
ITMI20010081A1 (en) DISPENSER MACHINE OF THE CUP TYPE AND DISTRIBUTION PROCESS OF A DRINK AT THE CU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