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969A -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969A
KR20240035969A KR1020240031218A KR20240031218A KR20240035969A KR 20240035969 A KR20240035969 A KR 20240035969A KR 1020240031218 A KR1020240031218 A KR 1020240031218A KR 20240031218 A KR20240031218 A KR 20240031218A KR 20240035969 A KR20240035969 A KR 202400359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display device
foldable display
pai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00312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승오
윤영준
이신석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80117837A external-priority patent/KR102645561B1/ko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359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9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05K5/0226Hin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15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 G06F1/16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 G06F1/1618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several enclosures having relative motions, each enclosure supporting at least one I/O or computing function with folding flat displays, e.g. laptop computers or notebooks having a clamshell configuration, with body parts pivoting to an open position around an axis parallel to the plane they define in closed position the display being foldable up to the back of the other housing with a single degree of freedom, e.g. by 360° rotation over the axis defined by the rear edge of the base enclosur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75Miscellaneous details related to the relative movement between the different enclosures or enclosure parts
    • G06F1/1681Details related solely to hing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힌지 영역을 갖는 중간층; 중간층의 패널; 중간층 아래의 한 쌍의 세트 프레임; 및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에 연결되어 상기 패널이 접혀지거나 펼쳐지는 동안 움직이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이에, 본 발명은 냉장고. 힌지 영역에서 패널의 슬라이딩 섹션은 패널의 접기 및 펼침 동안 보상되기 때문에 그렇지 않은 경우 슬라이딩 섹션을 수용할 수 있는 크기가 감소될 수 있다.

Description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APPARATUS}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접힘 및 펼침으로 인해 발생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임의의 느슨함을 보완하는 메커니즘과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관한 것이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상업용, 가정용 엔터테인먼트 및 모바일을 포함하는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디스플레이 기술의 다음 단계로서 연구되고 있다.
접을 수있는 디스플레이는 별개의 평면 디스플레이 패널을 연결하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함으로써 구현 될 수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만곡 가능하거나, 구부릴 수 있거나, 접을 수 있거나, 심지어 롤 어블 (종이와 같은) 디스플레이를 지칭 할 수 있다.
백라이트를 필요로하지 않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기술의 출현으로, 플라스틱과 같은 얇고 유연한 기판의 이용이 외부에 의해 변형 가능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을 생성하기 위해보다 자주 사용된다,
플라스틱 기재는 베이스 필름의 양 표면이 장벽 코팅 된 구조를 가질 수있다. 베이스 필름은 폴리이미드 (PI), 폴리카보네이트 (PC),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PET), 폴리에테르술폰 (PES),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PEN), 섬유 강화 플라스틱 (FRP) 등과 같은 다양한 수지의 형태로 구현 될 수있다. 장벽 코팅은 전형적으로 베이스 필름의 대향 표면 상에 구현되고, 유기 필름 또는 무기 필름 또한 유연성을 유지하도록 구현 될 수 있다.
그러나, 광범위하게 사용되는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주된 관심은 내구성 및 디스플레이 패널 및 관련 부품에 대한 보호 및 지지의 필요성이다. 따라서 유연한 디스플레이를 구현하는 데 많은 어려움이 남아 있습니다. 특히 굴러가는 디스플레이가 있다.
그러나,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장치를 접거나 펼치기위한 기계적 구조의 사용을 통해 구현하는 것이 비교적 간단 할 수 있다. 이러한 접이식 디스플레이는 외부 접이식 디스플레이와 내부 접이식 디스플레이 사이에서 주로 구별 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패널은 각각 접는 기계 구조물의 외부 또는 내부에 배치된다.
접이식 디스플레이의 기본 메커니즘은 책과 유사하며, 책과 같이 디스플레이가 접히고 펼쳐지는 것과 유사하다. 한 세트의 프레임은 전형적으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수용하고 지지하며 일반적으로 책의 커버로서 기능한다. 외부 접이식 디스플레이에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책 자켓과 유사하게 배치 될 수 있는 반면, 내부 접이식 디스플레이에서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은 책의 내부 커버와 유사하게 배치 될 수있다.
그러나, 외부 폴딩 디스플레이에 대한 공통적인 문제는 책이 열릴 때 책 자켓에 일어나는 것과 유사하다, 중간 영역에서 느슨해진다. 책 자켓에서의 느슨함이 책에서 중요한 문제를 일으키지 않는 한, 책 자켓은 책이 접힌 상태 또는 닫힌 상태일 때 주로 관찰되며, 외부 디스플레이 장치의 디스플레이 패널은 디스플레이가 펼쳐지거나 열렸을 때 주로 보인다.
결과적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에 느슨 함이 있을 때 접히거나 열리는 외부 접이식 디스플레이의 경우, 느슨해지면 지원되지 않는 불균일하고 불안정한 화면이 생성됩니다. 이러한 접이식 디스플레이가 모바일 장치와 같이 터치를 필요로 하는 애플리케이션에 구현될 때 이러한 문제가 더 복잡해진다. 지원되지 않는 접이식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가압력은 늘어나거나 찢어지는 것을 포함하여 손상을 초래할 수 있고, 또한 가장자리를 따라 임프린트 될 수도 있다.
또한, 터치 디스플레이를 갖는 사용자 경험은 일관된 느낌이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면이 있는 경우 훨씬 더 즐겁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사용되는 개념은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프레임에서 슬라이딩 메커니즘이다. 매우 간단하게,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단부는 프레임을 따라 슬라이드하고,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전개되지 않은 상태로 전이함에 따라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에서 임의의 느슨 함을 알게 되고, 접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이식 디스플레이는 접힌 상태로 전이한다. 그러나, 이것은 프레임이 슬라이딩 영역을 수용하기 위해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펼쳐진 길이를 넘어서 잘 확장 할 것을 요구하며, 더 크고 부피가 큰 장치를 초래한다.
이는 소형 장치 및 디스플레이의 좁은 베젤에 대한 모바일 장치의 추세와 직접적으로 관련된다.. 특히 슬라이딩 메커니즘이 기계적 오작동 및 손상을 입기 쉽습니다. 특히 슬라이딩 경로가 노출되는 경우 특히 그렇다.
접을 수있는 디스플레이가 직면하는 또 다른 공통적인 문제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개방 및 폐쇄가 반복적으로 접혀지는 부분에 마모가 발생한다는 것이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플라스틱 기판은 접거나 구부러질 때마다 스트레스를 받습니다.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추가적인 재료 층을 통합함으로써 기판에 가해지는 응력의 영향이 완화되었다.
이것은 기판 상에 가해지는 스트레스의 양을 단지 약간 완화시키는 반면, 그러한 추가층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그 형태 및 일체성을 더 잘 유지할 수 있게 한다.
기판 상에 가해지는 응력의 레벨은 그것이 접히거나 구부러져야하는 정도와 직접적인 상관 관계를 가지며, 각각의 접힘 또는 굽힘의 곡률 반경과 역 관계를 갖는다. 이와 같이, 이러한 응력은 일반적으로 폴드 내의 곡률 반경을 증가시키거나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상에서 날카로운 폴드를 덜 요구함으로써 완화될 수 있다.
이것은 접힘식 또는 폐쇄형 위치에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의 형상을 조작함으로써 이루어질 수 있어서,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는 보다 많은 접힘을 포함하며, 각 접힘은 날카로운 접음 및 회전을 덜 필요로 한다.
관련 기술 문헌은 한국 특허 공개 제 10-2016-0097034 호 (2016 년 8 월 17 일 공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폴딩 및 언폴딩시 패널의 힌지 영역에서의 패널의 슬라이딩 구간을 보상하여 베젤의 넓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패널의 힌지 영역에 해당되는 미드 프레임의 일정 영역을 슬릿 형상으로 구현하여, 폴딩 및 언폴딩시 패널의 힌지 영역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폴더불 디스플레이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과,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부에 배치 된 중간층, 중간층을 지지하는 프레임 세트, 영역 내의 세트 프레임상의 만곡된 단부를 갖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및 중간층이 접거나 굽히는 위치에 대응하여 각 구부러진 단부로부터 힌지결합된 조인트가 지지 블록에 힌지 연결된 조인트의 다른 단부와 결합된다. 접을 수 있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와 접히지 않은 상태 사이에서 전환 할 때 조인트에 힌지 연결된 위치를 중심으로 세트 프레임이 회전함에 따라 조인트는 힌지 연결된 지지 블록의 끝 부분을 중심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조이스틱을 높이거나 낮추어진다.
임의의 느슨함에 따라 설정된 프레임들 사이의 공간을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제공한다. 세트 프레임 및 지지 블럭 주위로 회전하는 조인트에서 지지 블럭은 또한 폴딩 가능 디스플레이가 펼쳐지거나 열린 상태에 있을 때 세트 프레임과 수평이 되도록 세트 프레임에 대해 전후로 움직이고 후퇴된다.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접힌 상태 또는 닫힌 상태일 때 상기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세트 프레임들의 만곡된 단부들로부터 연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통상적으로 '책 (book)'또는 '클램 쉘 (clamshell)'개념으로 지칭되는 것으로, 일반적으로 두 개의 주요 뷰잉 섹션으로 폴딩 될 수 있다. 그러나 폴더블 디스플레이는 접히거나 구부러져 서 'trifold wallet'개념 등과 같은 전형적인 두 가지 기본보기 섹션을 제공한. 결과적으로, 본 개시 물은 하나의 힌지 영역을 갖는 2 세트의 프레임으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또한,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OLED 기술에 의해 가능해지는 것으로 기술되었지만, 본 개시에서 설명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은 플라스틱 OLED 패널에 제한되지 않는다. 대안적으로, 본 개시는 유기 발광 다이오드 또는 플라스틱 기판을 사용하는지 여부에 관계없이 가요성 전자 종이 (e- 페이퍼) 디스플레이, 플렉서블 마이크로 LED 디스플레이 및 다른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기술에도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느슨함을 보완하여 세트 프레임의 크기를 줄임으로써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 내부의 베젤 전체 크기를 줄이도록 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를 제공하는 것이다. 각 폴딩 영역의 힌지 구성을 통해.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느슨함을 보완하기 위한 힌지 구성은 세트 프레임이 다르게 수용해야 하는 슬라이딩 메커니즘의 필요성을 제거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에 따르면,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열린 상태 또는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세트 프레임들 사이의 갭에 배치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부분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힌지 구성은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접혀진 상태와 펼쳐진 상태 사이에서 전이됨에 따라 회전하는 세트 프레임에 의해 야기되는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임의의 느슨함을 보상하기 때문에 전후로 움직이는 지지 블록을 포함한다.
상기 지지 블럭은 폴더블 디스플레이가 전개 될 때 디스플레이 패널 쪽으로 이동하고,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의 중첩 부분에 대한 지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전체에 부가적인 지지체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부분을 포함하고,가요성 디스플레이가 위치되는 영역에 대응하는 영역에 슬릿 패턴을 포함하는 중간층 패널 폴드 및 설정된 프레임의이 동일한 폴딩 영역에 해당하는 만곡된 단부를 갖는다.
중간층 상의 슬릿 패턴은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추가 보강을 가능하게 하며, 결과적으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에 더 큰 유연성 및 덜 응력을 허용한다. 세트 프레임의 만곡부는 중간층뿐만 아니라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패널에 대한 견고하고 추가적인 지지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술 한 목적에 한정되지 않고,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당업자가 다른 목적 및 이점을 인식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는 본 명세서의 목적 및 이점이 본 명세서에 인용된 수단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폴딩 및 언폴딩시 패널의 힌지 영역에서의 패널의 슬라이딩 구간을 보상하여 베젤의 넓이를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패널의 힌지 영역에 해당되는 미드 프레임의 일정 영역을 슬릿 형상으로 구현하여, 폴딩 및 언폴딩시 패널의 힌지 영역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역 A '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로부터 펼쳐진 상태로 전이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은 지지단의 다른 실시 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불필요 및 불명료 하게 하지 않기 위해, 공지 된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 될 수 있다. 도면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구성 요소 사이의 위치 또는 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위에", "위에", "아래에"및 "다음에"와 같은 용어가 사용되는 경우,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 요소는 상기 용어들 예를 들어, 하나의 요소 또는 층이 다른 요소 또는 층의 "위에"배치되는 경우, 다른 층 또는 다른 요소는 다른 요소 또는 그 사이에 직접 개재될 수 있다.
다양한 구성 요소를 설명하기 위해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이들 구성 요소의 위치 또는 순서는 이들 용어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러한 용어는 구성 요소를 구별하기 위해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에 언급 될 제 1 성분은 본 개시의 기술적 개념에서 제 2 성분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하, 첨부 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징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영역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는 중간층(100), 세트 프레임(300) 및 힌지 영역(1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중간층(100)은 미드 프레임 또는 미드 레이어 등의 구성 명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중간층(100)은 플레이트 구조를 가지며, 힌지 영역(120)에서, 폴딩 영역(121) 및 지지 영역(122)을 포함한다.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200)은 중간층(100) 위에 배치된다.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은 중간층(100)의 아래에 배치되고, 서로 이격된다.
상기 힌지부(400)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을 연결하고, 상기 패널 (200)의 절곡에 따라 상기 힌지부(400)가 승강하면서 상기 중간층(100)의 힌지 영역 (120)의 하면에 지지부를 지지 및 제거한다. 전개 된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 사이의 간격은 변경된다.
이하, 힌지부 (400)의 구조에 대하여 설명한다.
상기 힌지부 (400)는 지지 부재(410)와 링크 부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링크 부재(420)는 링크 방식의 연결 구조를 갖는다. 또한, 상기 링크 부재는 조인트로 구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410)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 사이에 배치되고, 지지단(411)은 지지 부재(410)로부터 상방으로 돌출된다.
링크 부재(420)는 지지 부재(410)의 양단 및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 각각의 단부 (또는 헤드)에 힌지 결합된다.
제 1 연결 공(A1)은 각 세트 프레임(300)의 헤드에 제공된다.
링크 부재(420)의 일단은 힌지(H)에 의해 제 1연결 공(A1)에 힌지 결합된다.
상기 링크 부재(420)의 타단은 상기 지지 부재 (410)의 양측에 형성된 제 2 연결 공(A2)에 힌지 결합된다.
지지 부재(420)는 패널 (200)이 접히거나 펼쳐질 때 상하로 움직여 중간층(100)의 힌지 영역 (120)의 하면에 지지부를 지지 및 지지를 제거한다.
또한, 상기 지지 부재(410)의 상부 코너 모서리는 경사지며, 상기 지지 프레임(300)의 상부 외곽 모서리는 곡률(R)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지지 부재 (410)의 측면 상의 세트 프레임(300)은 패널이 펼쳐진 상태에 있을 때, 중간층(100)의 접힘 영역 (121)을 지지할 수 있다. 상기 폴딩 영역(121)은 일정한 간격으로 서로 이격 되어 있으며, 일정하거나 일정한 간격을 갖도록 형성될 수 있다.
지지 부재(410)의 상부 코너 모서리와 세트 프레임(300)의 단부 하부 모서리는 패널이 접힌 상태와 접히지 않은 상태 사이에서 이동할 때 서로 접촉할 수 있는 영역을 갖는다. 도 1 및 도 2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도 3 및 도 4에 도시 된 지지 부재(410)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의 헤드 사이에 직접 개재되지 않고, 대신에 후퇴되어,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의 헤드는 절첩 상태에서, 접힘 영역 (121)은 만곡되고, 지지 영역(122)은 평평하다.
다음으로,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접힌 상태의 접이식 표시 장치의 다른 단면도이다.
도 2,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 사이의 지지 부재(410)가 세트 프레임(300)의 헤드 아래에 위치됨에 따라,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은 서로 평행하게 대면한다.
링크 부재(420)는 힌지 영역에서 지지 부재(410) 및 각 세트 프레임 (300)의 단부에 힌지 결합된다. 링크 부재(420)는 서로 평행하며,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과 평행을 이룬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세트 프레임(300)의 상부 외측 가장자리는 곡률을 갖는 곡면을 가지며, 상기 중간층(100)의 접힘 영역에 대응되는 상기 힌지 영역(120)의 하면을 접촉하여 지지한다. 도 4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링크 부재(420)와 지지 부재(410)는 U 자 형상을 이룬다. 한편, 지지 부재(410)는 그 몸체와 지지단(411)의 거꾸로 된 T 형상을 갖는다.
지지 부재(410)의 상부 코너 모서리는 경사면(S)을 가지며, 각 세트 프레임(300)의 단부의 하부 내각은 또한 경사면을 갖는다. 지지 부재(410)의 상부 코너 모서리와 각 세트 프레임(300)의 단부의 하부 내측 모서리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로 변함에 따라 그리고, 지지 부재 (410)가 위로 이동함에 따라 서로 경사지게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이동 중에 직접 접촉함으로써 야기될 세트 프레임(300)에 대한 손상 또는 왜곡을 방지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접힌 상태와 접히지 않은 상태 사이에서 전이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한다.
도 5에 도시 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이 동시에 상향으로 회전되면 각 세트 프레임(300)의 끝단에 힌지 결합된 링크 부재(420)도 각 세트 프레임(300)의 힌지(H)와 동시에 세트 프레임(300)은 회전되면서 서로 멀어지게 펼쳐질 수 있다.
즉,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에 대해 링크 부재(420)가 대칭으로 회전함에 따라 링크 부재(420)의 타단에 힌지 결합된 지지 부재(410)가 상측으로 이동하고, 지지 부재 (410)의 상면에 형성되는 돌출부(미도시)는 중간층(100)의 힌지 영역(120)의 하부면에 더 가깝게 이동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펼쳐진 상태의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도시 한 도면이다.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도 5의 상태가 계속 완료되면,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은 서로 정렬되도록 이동 된다. 동시에, 세트 프레임(300)의 일단에 힌지 결합된 링크 부재 (420)는 지지 부재(41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중간층(100)의 힌지 영역(120)의 하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410)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 사이에 개재되어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과 정렬된다.
따라서, 서로 정렬된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은 도 2의 상태보다 더 멀리 이격 된다. 지지 부재(410)는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 사이의 간격이 증가함에 따라 상승한다. 지지 부재(410)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단(411)은 지지 부재 (410)의 본체로부터 연장된 돌출부이다.
지지단(411)의 폭은 힌지 영역 (120)의 폭에 따라 변할 수 있다. 또한, 지지단(411)은 지지 부재 (410) 상에 분리 가능하게 형성되어 힌지 영역 (120)에서 다양한 폭으로 사용될 수 있다. 지지 부재 (410) 상단의 지지단(411)이 힌지 영역 (120)을 지지 할 때, 지지 부재(410)에 연결된 링크 부재(420)에 가해지는 응력이 감소 또는 감소 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링크 부재(420)는 서로 정렬될 수 있다.
이는 지지 부재(410)의 운동이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 사이의 변화하는 거리를 보상하기 때문에 패널(200)을 위한 슬라이딩 섹션에 대한 필요성을 대체할 수 있다. 또한, 패널(200)에 대한 슬라이딩 섹션이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면 베젤의 너비가 그에 따라 줄어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패널(200)의 전개 과정에서, 상기 중간층(100)의 힌지 영역(120)은 상기 세트 프레임(300)의 단부에 곡률(R)을 갖는 곡면에 의해 부분적으로 지지 될 수 있으나, 힌지 영역(120)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지지 부재 (122)는 펼쳐진 상태로 상승하는 지지단(411)에 의해 지지된다.
따라서 외력에 의한 패널(200)의 변형을 방지 할 수 있다.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의 각 단부상의 만곡부(곡률 (R)을 갖는)는 펼쳐진 상태의 중간층 (100)과 접촉하지 않는다. 또한, 패널(200)의 양단부는 패널(200)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여부에 관계없이 각각의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상의 동일한 위치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상기 힌지부(400)가 이동하여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300)사이의 간격을 가변 시켜, 상기 세트 프레임 (300)의 양단의 소정 부위 사이의 상기 패널 (200)을 따른 거리가 유지되도록 하고, 이에 따라 슬라이딩 패널 또는 중간층(100)을 포함한다.
도 6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중간층(100)은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 상에 배치된 한 쌍의 프레임 영역(110)과 한 쌍의 프레임 영역 (110)을 연결하는 힌지 영역(120)을 포함 할 수 있다.
특히, 힌지 영역(120)은 패널(200)이 펼쳐진 상태에서 지지단 (411)에 의해 지지되는 지지 영역(122)과, 지지 영역(122)의 양측에 제공된 한 쌍의 폴딩 영역(121)을 포함한다. 폴딩 영역(121)과 지지 영역 (122)은 평평하다.
한 쌍의 폴딩 영역(121)에서 각 슬릿의 방향은 중간층(100)이 회전하는 회전축 선과 일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패널(200)이 전개 된 상태에서, 한 쌍의 폴딩 영역(121)은 폴딩 영역(121)과 겹치는 패널 (200)의 하부면을 지지 할 수 있다. 패널(200)의 하부면은 한 쌍의 폴딩 영역(121)과 겹치지만, 한 쌍의 세트 프레임(300)의 만곡 된 단부의 형상에 일치하는 곡면 상에 위치한다. 이는 지지 부재(410)에 의한 변형을 방지하고 감소 시키는데 도움을 준다. 패널(200)의 일부는 힌지 영역 (120)에 대응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단의 다른 예를 도시한다.
도 7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단(411 ')의 폭은 지지 영역(122)의 폭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거나 작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지지단(411 ')의 상면에는 하향 오목 형상의 오목부(410a)가 형성 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410a)는 반구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다각형 또는 불규칙한 형상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하는 것은 물론이다. 따라서, 지지 영역(122)의 하부면은 오목부(410a)의 에지에서 지지단(411 ')의 상부 표면에 의해 실질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상기 오목부(410a)는 홈 또는 리세스(recess)이다.
즉, 상기 지지단(411 ')의 말단이 리세스될 때, 상기 중간층 (100)의 지지 영역(122)의 상부 표면에서 벌지(bulge)로 인해 상기 패널 (200)의 상향 곡률 변형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지지단(411 ')는 만곡 결합 또는 불균일 결합을 통해 지지 영역 (122)의 하부면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지지 영역(122)이 지지될 때, 지지 영역(122)의 위치의 변이가 방지 또는 감소 될 수 있다.
또한, 지지 영역(122)은 지지단(411 ')과 지지 영역 (122)사이의 보다 양호한 지지를 보장하기 위해 지지단(411')상의 오목부 (410a)의 에지를 수용하는 리세스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단(411 ')과 지지 영역(122)은 또한 레벨 위치를 넘어서 패널(200)의 팽창 또는 접힘을 방지한다.
상기 구성에 따르면, 패널의 전개 시에, 한 쌍의 세트 프레임이 서로 이격되어,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사이에서 지지 부재가 상방으로 이동한다. 따라서, 힌지 영역 내의 지지 영역은 지지 부재의 상단에 형성된 지지단에 의해 보다 안정적으로 지지 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패널이 펼쳐지는 경우, 지지단은 힌지 영역에서 지지 영역을지지하고, 따라서 굽힘이 발생하는 영역에서의 변형이 감소 될 수있다.
또한, 지지단의 상부 표면에 리세스가 배치되면, 중간층의 하부 표면과 접촉 할 때 발생되는 충격이 감소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충격을 패널에 전달하는 것을 방지 또는 감소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패널의 힌지 영역이 접이식 및 펼쳐짐시 종래의 슬라이딩부를 보완하기 때문에 베젤의 크기를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중간층의 힌지 영역의 특정 부분이 슬릿 패턴을 포함하기 때문에, 패널의 힌지 영역은 보다 유연하고 폴딩 및 언 폴딩 중 더 안정적인 지지를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 변경 및 변형 될 수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전술 한 예시적인 실시 예 및 첨부 도면에 한정되지 않는다.
100 : 중간층(미드 프레임)
110 : 프레임 영역
120 : 힌지 영역
121 : 슬릿 영역
122 : 지지 영역
200 : 패널
300 : 세트 프레임
400 : 힌지부
410 : 지지 부재
411 : 지지단
420 : 링크 부재

Claims (24)

  1.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서로 이격되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지지하는 적어도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을 선택적으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 및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과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배치된 미드 프레임;
    상기 미드 프레임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사이의 간극에 대응하는 지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의 양측에 위치하며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각각의 단부와 중첩되는 한 쌍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일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지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사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은 곡률을 갖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값은 상기 지지 영역의 곡률 값과 다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미드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은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에서 상기 지지 영역에 접촉하고,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지지 영역과 접촉하지 않으며,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은 곡면을 갖도록 굴곡지게 되고,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은 평탄하게 되도록 펼쳐지게 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미드 프레임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은 상기 지지 부재보다 좁은 폭을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경우, 상기 지지단은 상기 미드 프레임과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오목한 홈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되는 각각의 상기 세트 프레임의 단부는 만곡부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각각의 상기 세트 프레임의 상기 만곡부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디스플레이 장치가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만곡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적어도 한 쌍의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링크는,
    상기 지지 부재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 제 2 축을 따라 힌지 연결된 일 부분과, 인접한 상기 세트 프레임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제 1 축을 따라 힌지 연결된 다른 부분을 갖고,
    상기 한 쌍의 세트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적어도 한 쌍의 링크는,
    상기 제 2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슬릿들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과 상기 단부의 하부 내측 모서리는,
    상기 지지 부재가 전후로 움직일 때 경사지게 서로 접촉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3.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 배치된 중간층;
    상기 중간층의 배면에 배치된 제1 세트 프레임과 제2 세트 프레임; 및
    상기 제1 세트 프레임과 상기 제2 세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폴딩 여부에 따라 상기 중간층에 대한 지지 여부가 전환되는 지지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일 때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중간층으로부터 이격되어 상기 제1 세트 프레임 및 상기 제2 세트 프레임 사이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중간층은 지지 영역과 상기 지지 영역 양 측면에 각각 위치하는 한 쌍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값은 상기 지지 영역의 곡률 값과 다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영역은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와 펼쳐진 상태일 때 모두 평탄하게 유지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은 곡면을 갖도록 굴곡지게 되고,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펼쳐진 상태일 때 상기 폴딩 영역은 평탄하게 되도록 펼쳐지게 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중간층을 향해 돌출되는 지지단을 포함하고,
    상기 지지단은 상기 지지 부재보다 좁은 폭을 갖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히거나 펼쳐지는 경우, 상기 지지단은 상기 중간층과의 이격 거리가 증가하거나 감소하도록 전후 방향으로 이동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7.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단은 오목한 홈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딩 영역과 중첩되는 상기 제1 세트 프레임의 단부와 상기 제2 세트 프레임의 단부는 각각 제1 만곡부와 제2 만곡부인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만곡부와 상기 제2 만곡부는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의 배면에서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0.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디스플레이 패널이 접힌 상태에서, 상기 폴딩 영역은 상기 제1 만곡부 및 상기 제2 만곡부에 대응되는 형상으로 만곡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1.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세트 프레임과 상기 제2 세트 프레임 사이에 배치되는 제1 링크 및 제2 링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링크 및 상기 제2 링크는 각각,
    상기 지지 부재의 대향 측면 상에 배치된 제 2 축을 따라 힌지 연결된 일 부분과, 인접한 상기 세트 프레임의 상기 단부에 배치된 제 1 축을 따라 힌지 연결된 다른 부분을 갖고,
    상기 제1 세트 프레임과 상기 제2 세트 프레임 각각은,
    상기 제 1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1 링크와 상기 제2 링크는,
    상기 제 2 축 주위에서 회전하도록 구성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링크는 서로 접촉하지 않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3.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 영역은 서로 이격된 복수의 슬릿들을 포함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2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의 일측과, 상기 제1 세트 프레임의 단부의 하부 내측 모서리 및 상기 제2 세트 프레임의 단부의 하부 내측 모서리는,
    상기 지지 부재가 전후로 움직일 때 경사지게 서로 접촉되는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40031218A 2017-12-04 2024-03-05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2024003596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70165009 2017-12-04
KR1020170165009 2017-12-04
KR1020180117837A KR102645561B1 (ko) 2017-12-04 2018-10-02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7837A Division KR102645561B1 (ko) 2017-12-04 2018-10-02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969A true KR20240035969A (ko) 2024-03-19

Family

ID=6665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0031218A KR20240035969A (ko) 2017-12-04 2024-03-05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10863641B2 (ko)
KR (1) KR20240035969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847099A (zh) * 2017-04-24 2017-06-1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可折叠显示装置
CN110473468B (zh) * 2018-05-09 2022-02-08 仁宝电脑工业股份有限公司 弯折模块及折叠式显示装置
CN108538208B (zh) * 2018-05-31 2021-04-23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折叠显示机构及折叠显示装置
TWI687795B (zh) * 2018-09-27 2020-03-11 兆利科技工業股份有限公司 折疊式裝置的轉軸模組
US20220182476A1 (en) * 2019-03-19 2022-06-09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CN113366927A (zh) * 2019-07-15 2021-09-07 深圳市柔宇科技股份有限公司 折叠装置及电子设备
CN110491294A (zh) * 2019-08-23 2019-11-2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用于柔性显示面板的弯折铰链及其应用
KR20210087316A (ko) 2020-01-02 2021-07-12 삼성전자주식회사 보강 구조물을 가지는 전자 장치
CN111240413B (zh) * 2020-01-16 2022-05-3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电子设备
CN113551105B (zh) * 2020-04-23 2022-11-25 维沃移动通信有限公司 支架结构、屏幕组件和电子设备
CN111583791B (zh) * 2020-05-07 2022-04-26 昆山国显光电有限公司 柔性屏支撑装置和柔性屏终端
CN111765162B (zh) * 2020-06-29 2021-10-01 合肥维信诺科技有限公司 支撑结构件及显示装置
CN113864323A (zh) * 2020-06-30 2021-12-31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折叠装置及电子设备
EP3958092A1 (en) * 2020-08-21 2022-02-23 Samsun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TWI768530B (zh) * 2020-11-04 2022-06-21 富世達股份有限公司 鉸鏈
US11880242B2 (en) * 2021-06-22 2024-01-23 Lepton Computing Llc. Invertible flexible display device with a parallel retraction aperture
CN114446164B (zh) * 2021-06-29 2022-11-29 荣耀终端有限公司 一种转动机构、支撑装置以及折叠屏终端
CN115013421B (zh) * 2021-11-29 2023-04-14 荣耀终端有限公司 折叠机构及终端设备
CN114170910B (zh) * 2021-12-14 2023-06-02 武汉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折叠显示装置
CN114783290B (zh) * 2022-04-13 2023-07-25 深圳市华星光电半导体显示技术有限公司 柔性显示模组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02007006828D1 (de) * 2007-11-30 2010-07-08 Ericsson Telefon Ab L M Tragbare elektronische Vorrichtung mit mehr als einem Anzeigebereich und Verfahren zur Steuerung einer Benutzerschnittstelle dafür
KR101636077B1 (ko) * 2009-09-14 2016-07-05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
US8982542B2 (en) * 2010-11-17 2015-03-17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Hinge mechanism for mobile electronic device
US8971032B2 (en) * 2012-11-02 2015-03-03 Blackberry Limited Support for a flexible display
KR102014445B1 (ko) * 2013-09-27 2019-08-29 삼성전자주식회사 착용형 기기
KR101985121B1 (ko) * 2014-12-30 2019-09-03 선전 로욜 테크놀로지스 컴퍼니 리미티드 가변 형태를 갖는 지지 구조체 및 이러한 지지 구조체를 구비하는 전자 장치
KR102322377B1 (ko) * 2014-12-31 2021-11-0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41879B1 (ko) * 2015-01-14 2021-12-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KR102364083B1 (ko) 2015-02-06 2022-02-1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848502B1 (en) * 2017-03-24 2017-12-19 Shin Zu Shing Co., Ltd. Hinge assembly and foldable display device using the sam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90174645A1 (en) 2019-06-06
US10863641B2 (en) 2020-1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40035969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45561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1240920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having adjustable support units retreatable into recessed portions of set frames
KR102587879B1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08074488B (zh) 可折叠显示装置
KR102362096B1 (ko) 표시 장치
US20220342458A1 (en) Electronic Devices With Flexible Displays And Hinges
KR20200135636A (ko) 폴더블 표시 장치
KR102244807B1 (ko)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US10761572B1 (en) Hinged device
KR102310471B1 (ko) 교차힌지 및 이를 이용한 폴딩장치
US20200329573A1 (en) Hinge module and electronic device
KR20180025358A (ko) 롤러블 표시 장치
KR20080093340A (ko) 폴딩형 멀티 디스플레이 장치
KR20190065689A (ko) 폴더블 디스플레이 장치
US10908639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US11886255B2 (en) Foldable display device with movable support body
US11455004B2 (en) Portable information device
WO2020177708A1 (zh) 链节、铰链以及移动终端
US10705575B2 (en) Hinge device and electronic device
JP6928153B2 (ja) 携帯用情報機器
KR100389167B1 (ko) 접이식 멀티 디스플레이장치의 케이스
US20240176389A1 (en) Display device
KR20240023130A (ko) 폴딩 휴대용 디스플레이 장치
KR20210054088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