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743A - mechanical pencil - Google Patents
mechanical pencil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40035743A KR20240035743A KR1020237038929A KR20237038929A KR20240035743A KR 20240035743 A KR20240035743 A KR 20240035743A KR 1020237038929 A KR1020237038929 A KR 1020237038929A KR 20237038929 A KR20237038929 A KR 20237038929A KR 20240035743 A KR20240035743 A KR 2024003574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m
- writing
- chuck
- writing lead
- rotor
- Prior art date
Links
- 230000007246 mechanism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97
- 230000033001 locomo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61
- 229920001971 elastomer Polymers 0.000 claims description 2
- YCKRFDGAMUMZLT-UHFFFAOYSA-N Fluorine atom Chemical compound [F] YCKRFDGAMUMZLT-UHFFFAOYSA-N 0.000 claims 1
- 229910052731 fluorine Inorganic materials 0.000 claims 1
- 239000011737 fluorine Substances 0.000 claims 1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54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1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8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8
- 230000009471 a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5
- 239000000696 magne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5
- 230000000295 complement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29920001973 fluoroelastomer Polymer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4519 manufactur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9000003921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1105 regula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5489 elastic deform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605 extr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6870 fun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687 lubricating oi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3550 mark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9751 slip fo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2943 EPDM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0459 Nitril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2683 aging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3459 approach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747 cardiac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8859 chang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1109 contamin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7423 decrea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111 delayed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6866 deterior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3013 elastic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2474 experimental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12840 feeding oper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530 fl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484 gravity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519 greas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01 inhibitory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452 intercep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10001172 neodymium magnet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192 parti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9467 reduc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4044 response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35807 sens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29920002379 silicone rubber Polymer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4945 silicone rubb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9000000126 substanc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3746 surface roughness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22—Writing-cores gripping means, e.g. chuck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1/00—Propelling pencils
- B43K21/02—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 B43K21/027—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 B43K21/033—Writing-core feeding mechanisms with sliding tubelike writing-core guide with automatic feed by pressure during use of pencil
Landscapes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샤프 펜슬(1)이 축통(6)과, 축통(6)의 전단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관통공(10a)을 구비한 유지척(10)으로서, 관통공(10a)이 심 유지부(10d)를 구비하고, 삽입된 필기심(7)을 심 유지부(10d)에 의해 유지 가능한 유지척(10)을 구비하고,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가 장공이다. A mechanical pencil 1 is disposed on a shaft 6 and a holding chuck 10 inside the front end of the shaft 6 and has a through hole 10a, and the through hole 10a is in the core holding portion 10d. It is provided with a holding chuck 10 capable of holding the inserted writing lead 7 by a lead holding part 10d, and the lead holding part of the through hole 10a is a long hole.
Description
본 발명은 샤프 펜슬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mechanical pencils.
샤프 펜슬은 축통(軸筒) 내에 배치된 스프링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노크부를 전방으로 압압하는 노크 조작을 행하는 것에 의해서, 볼척 및 유지척의 작용에 의해서 필기심이 일정량 조출(繰出)되도록 구성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 문헌 1). 즉, 볼척은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유지척에는, 필기심이 삽입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척은 필기심의 외주(外周)면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필기심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노크부의 전방으로의 압압에 따라서 볼척은 필기심을 파지하면서 전진하지만, 이때 유지척은, 필기심의 외주면에 대해서 슬라이딩 접촉한다. 그 다음으로, 노크부의 압압의 해제에 따라서 볼척은 필기심과 함께 후퇴하려고 하지만, 이때 유지척은, 필기심에 슬라이딩 저항을 주어 필기심을 유지한다. 그 결과, 필기심은 볼척으로부터 인출되어,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이 행해진다. A mechanical pencil is configured so that a certain amount of writing lead is drawn out by the action of a ball chuck and a retaining chuck by performing a knock operation to press the knock portion forward against the pressing force of a spring disposed in the shaft (example). For example, patent document 1). In other words, the ball chuck is configured to allow the writing lead to advance and prevent its retreat. The holding chuck is formed with a circular through hole into which the writing lead is inserted. The holding chuck slides into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riting lead and acts to temporarily hold the writing lead. In response to the forward pressure of the knock portion, the ball chuck moves forward while gripping the writing lead, but at this time, the holding chuck is in sliding contact wit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riting lead. Next, as the pressure of the knock portion is released, the ball chuck tries to retreat together with the writing lead, but at this time, the holding chuck provides sliding resistance to the writing lead and maintains the writing lead. As a result, the writing lead is pulled out from the ball chuck, and the writing lead is fed out by a knocking operation.
볼척의 후퇴시,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 너무 작으면, 유지척은 필기심을 충분히 유지할 수 없고, 필기심은 볼척과 함께 후퇴하여, 필기심의 조출이 행해지지 않는다. 다른 한편,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이 너무 크면, 슬라이딩 접촉시에 필기심의 외주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은, 소정의 범위 내에서 안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When the ball chuck retracts, if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holding chuck is too small, the holding chuck cannot sufficiently hold the writing lead, the writing lead retracts together with the ball chuck, and the writing lead is not fed out. On the other hand, if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holding chuck is too large, there is a risk that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writing lead may be damaged during sliding contact. Therefore, it is desirable that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retaining chuck is stable within a predetermined range.
유지척의 관통공의 내경은, 필기심의 외형보다도 약간 작아지도록 설정된다. 따라서,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은, 주로 필기심의 삽입에 의한 유지척의 탄성 변형에 기초하는 복원력에 의존한다. 그렇지만, 유지척의 내경 및 필기심의 외경은 제조시의 편차가 있기 때문에, 슬라이딩 저항이 적절한 범위 내가 되도록 유지척을 구성하는 것은 곤란하다. 또한, 유지척의 슬라이딩 저항이 적절한 범위 내라 하더라도, 유지척의 경년에 의한 열화, 예를 들면 크리프 변형에 의해서, 충분한 복원력을 얻지 못하여, 적절한 슬라이딩 저항이 얻어지지 않게 되는 경우도 있다. The inner diameter of the through hole of the holding chuck is set to be slightly smaller than the outer shape of the writing lead. Therefore,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holding chuck mainly depends on the restoring force based on the elastic deformation of the holding chuck due to insertion of the writing lead. However, since the inner diameter of the holding chuck and the outer diameter of the writing lead vary during manufacturing, it is difficult to construct the holding chuck so that the sliding resistance i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In addition, even if the sliding resistance of the holding chuck is within an appropriate range, there are cases where sufficient restoring force is not obtained due to deterioration of the holding chuck due to aging, for example, creep deformation, and appropriate sliding resistance is not obtained.
특히,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샤프 펜슬은, 회전 구동 기구 및 심조출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는 볼척에 의해서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회전자를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심조출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에 있어서의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필기심을 전방으로 조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 때문에, 일반적인 샤프 펜슬과 비교해서, 특허 문헌 1에 기재된 것과 같은 회전 구동 기구 및 심조출 기구를 구비한 샤프 펜슬에 요구되는 적절한 슬라이딩 저항의 범위는 보다 좁다. In particular, the mechanical pencil described in
즉, 일반적인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은,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시에만 행해진다. 다른 한편, 회전 구동 기구 및 심조출 기구를 구비한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은,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시 뿐만 아니라 통상의 필기 동작시에도 행해진다. 따라서, 회전 구동 기구 및 심조출 기구를 적절히 기능시키기 위해서도,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보다 엄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That is, in a general mechanical pencil, sliding contact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holding chuck is performed only when the writing lead is drawn out by a knocking operation. On the other hand, in a mechanical pencil equipped with a rotational drive mechanism and a lead feeding mechanism, sliding contact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holding chuck is performed not only when drawing the writing lead by a knocking operation but also during normal writing operations. Therefore, in order to properly function the rotation drive mechanism and core drawing mechanism, it is desirable to set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retaining chuck more precisely.
본 발명은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보다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mechanical pencil that can more appropriately set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retaining chuck.
본 발명의 일 양태에 의하면, 축통과, 상기 축통의 전단(前端)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관통공을 구비한 유지척으로서, 상기 관통공이 심 유지부를 구비하고, 삽입된 필기심을 상기 심 유지부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척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의 상기 심 유지부가 장공(長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이 제공된다. According to on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a retaining chuck disposed inside a front end of the shaft passage and the shaft barrel and having a through hole, wherein the through hole includes a core retaining portion, and the inserted writing lead is held in the core retaining portion. A mechanical pencil is provided, which includes a retainable holding chuck, and wherein the core hold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a long hole.
상기 관통공의 상기 심 유지부의 횡단면 형상이 오벌이어도 된다. 상기 관통공의 상기 심 유지부의 횡단면 형상이, 각환(角丸) 직사각형, 장원(長圓) 또는 타원이어도 된다. 상기 유지척이 불소 고무제여도 된다. 상기 유지척을 내부에 유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필기 동작시에, 상기 유지척이 필기심에 대해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축통 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는 볼척과, 회전자를 가지고, 상기 볼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상기 회전자를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볼척이,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고리모양 캠면과, 상기 고리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낙차를 가지는 조출 캠면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동(前後動)하고, 상기 조출 캠면에 맞닿도록 가압되어 있는 맞닿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낙차로 떨어질 때의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상기 볼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seam hold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may be oval.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e hold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may be square, oval, or oval. The holding chuck may be made of fluororubber. A slider for holding the holding chuck inside may be further provided, and the slider may be disposed within the shaft so that the holding chuck slid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writing lead during a writing operation. It has a ball chuck that allows the writing lead to advance and prevents its retreat, and a rotor, and the writing lead held by the ball chuck receives a retreat motion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writing pressure received and a forward motion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release of the writing pressure, It may further be provided with a rotation drive mechanism that rotates the rotor in one direction, and the writing lead rotates when the ball chuck rotates by receiving the rotation drive force of the rotor. It further includes an annular cam surface, a feeding cam surface having a drop in the axial direction provided on the annular cam surface, and an abutting member that moves back and forth with the slider and is pressed to contact the feeding cam surface, The abutting member moves along the feeding cam surface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rotor, and the writing lead held in the holding chuck is drawn out from the ball chuck by the forward motion of the slider when the abutting member falls to the drop. It can be done.
본 발명의 양태에 의하면,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보다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한다고 하는 공통의 효과를 달성한다. According to the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ommon effect of providing a mechanical pencil capable of more appropriately setting the sliding resistance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retaining chuck is achieved.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샤프 펜슬의 종단면도이다.
도 2는 샤프 펜슬의 사시도이다.
도 3은 샤프 펜슬의 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4는 샤프 펜슬의 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5는 샤프 펜슬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다.
도 6은 클러치 기구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회전 구동 기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8은 회전 구동 기구의 회전자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9는 도 8에 이어 회전자의 회전 구동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0은 다이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1은 레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2는 레일 캠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3은 조합된 다이얼 캠 부재 및 레일 캠 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14는 조합된 다이얼 캠 부재 및 레일 캠 부재의 다른 사시도이다.
도 15는 조출 캠면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6은 입력 클러치 캠의 사시도이다.
도 17은 출력 클러치 캠의 사시도이다.
도 18은 입력 클러치 캠 및 출력 클러치 캠의 캠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도 19는 회전 구동 기구와 협동하는 클러치 기구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20은 심조출 부재의 종단면도이다.
도 21은 필기심의 조출을 설명하는 샤프 펜슬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2는 캡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은 축통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4는 유지척의 사시도이다.
도 25는 유지척의 종단면도이다.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mechanical pencil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of a mechanical pencil.
Figure 3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first half of a mechanical pencil.
Figure 4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latter half of a mechanical pencil.
Figure 5 is a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internal structure of a mechanical pencil.
Figure 6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the clutch mechanism.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rotation drive mechanism.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otor of the rotational drive mechanism.
FIG. 9 is a schematic diagram illustrating the rotational drive of the rotor following FIG. 8.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dial cam member.
Figure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cam member.
Figure 12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rail cam member.
Figure 13 is a perspective view of a combined dial cam member and rail cam member.
Figure 14 is another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dial cam member and rail cam member.
Figure 15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the feeding cam surface.
Figure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clutch cam.
Figure 17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output clutch cam.
Figure 18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explaining the cams of the input clutch cam and the output clutch cam.
Fig. 19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clutch mechanism that cooperates with the rotation drive mechanism.
Figure 2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core extraction member.
Figure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a mechanical pencil illustrating the feeding of the writing lead.
Figure 2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cap.
Figure 2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shaft.
Figure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ing chuck.
Figure 25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holding chuck.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 형태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전체 도면에 걸쳐, 대응하는 구성 요소에는 공통의 참조 부호를 부여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roughout the drawings, common reference numerals are assigned to corresponding components.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의한 샤프 펜슬(1)의 종단면도이고, 도 2는 샤프 펜슬(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샤프 펜슬(1)의 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4는 샤프 펜슬(1)의 후반분의 확대 단면도이고, 도 5는 샤프 펜슬(1)의 내부 구조를 설명하는 사시도이고, 도 6은 클러치 기구(60)의 분해 사시도이다. Figure 1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a
샤프 펜슬(1)은 전축(前軸)(2)과, 전축(2)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후축(後軸)(3)과, 전축(2)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나사 결합되는 구선(口先) 부재(4)를 가지고 있다. 전축(2) 및 후축(3)은 축통(6)을 구성한다. 또한, 구선 부재(4)도 포함하여 축통(6)이라고 칭해도 된다. 후술하는 것처럼, 샤프 펜슬(1)은 슬라이더(9)의 선단부로부터 필기심(7)이 돌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샤프 펜슬(1)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필기심(7)측을 「전」측이라고 규정하고, 필기심(7)측과는 반대측을 「후」측이라고 규정한다. The mechanical pencil (1) has a front axle (2), a rear axle (3)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ront axle (2), and a rear axle (3) screwed to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front end of the front axle (2). It has a mouth front member (4). The front axle (2) and the rear axle (3) constitute the axle (6). In addition, the
도 3을 참조하면, 축통(6)의 전단부의 내부에는, 슬라이더(9)가, 축선 방향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고, 또한, 축선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슬라이더(9)는 전방을 향해 외경이 계단 모양으로 가늘어지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9a)가 마련되어 있다. 필기심(7)은, 슬라이더(9)에 의해서 안내되어, 슬라이더(9)의 선단부로부터 돌출 가능하게 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내부에는, 중앙에 관통공(10a)이 형성된 유지척(10)이 배치되어 있다. 유지척(10)의 관통공(10a)은, 필기심(7)의 외주면에 슬라이딩 접촉되어, 필기심(7)을 일시적으로 유지하도록 작용한다. Referring to FIG. 3, inside the front end of the
슬라이더(9)의 외주면에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제1 캠 부재인 다이얼 캠 부재(50)와,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제2 캠 부재인 레일 캠 부재(52)가, 축선 방향으로 정렬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구선 부재(4)의 전단부 및 다이얼 캠 부재(50)의 외주면에는, 대략 원통모양의 파지부(8)가 마련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선단부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전단부의 구멍으로부터 돌출되어 있다. 슬라이더(9)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필기심(7)을 파지하는 볼척(11), 구체적으로는 조임구(13)가 감합(끼워 맞춤, 嵌合)되어 있다.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볼척(11)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조임구(13)와, 조임구(13) 내에 배치된 척 본체부(14)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척 유지부(15)와, 복수의 볼(16)을 가지고 있다. 조임구(13)의 내주면에는, 전방을 향해 넓어지는 테이퍼면이 형성되어 있다. 척 본체부(14)는, 중심 축선을 따라서 필기심(7)의 통공(通孔)이 형성되고, 척 본체부(14)의 전단부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복수로 분할되어 있다. 척 본체부(14)의 후단부는, 척 유지부(15)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척 본체부(14) 및 척 유지부(15)는, 조임구(13)에 대해서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복수의 볼(16)은, 조임구(13)의 내주면과 척 본체부(14)의 외주면과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The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졌을 경우에는, 척 본체부(14)가 볼(16)과 함께 원통모양의 조임구(13) 내의 테이퍼면에 맞닿기 때문에, 필기심(7)은 척 본체부(14)에 의해서 파지된다. 이것에 의해, 필기심(7)의 후퇴는 저지된다. 다른 한편, 필기심(7)을 전방으로 인출하는 힘이 작용했을 경우에는, 척 본체부(14)가 조임구(13)에 의한 작용을 받지 않기 때문에, 필기심(7)을 저항없이 전방으로 인출할 수 있다. 즉, 볼척(11)은 필기심(7)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도록 작용한다. When writ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척 본체부(14)를 포위하도록 코일 스프링(17)이 배치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7)의 후단부는, 척 본체부(14)의 외면에 감합되어 있고, 코일 스프링(17)의 전단부는, 조임구(13)의 내주면에 형성된 단부(段部)에 의해서 지지되어 있다. 코일 스프링(17)은 척 본체부(14)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그 결과, 볼척(11)은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조임구(13)를 포위하도록, 코일 스프링인 캠 맞닿음 스프링(18)이 배치되어 있다.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슬라이더(9)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척 유지부(15)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심 케이스(19)의 전단부가 감합되어 있다. 심 케이스(19)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내부에는 필기심(7)이 수용된다. A
볼척(11)에는, 후술하는 클러치 기구(60)의 입력 클러치 캠(61)이 접속되어 있다. 즉, 입력 클러치 캠(61)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입력 클러치 캠(61)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볼척(11)의 조임구(13)의 후단부의 외주면이 감합되어 있다. 입력 클러치 캠(61)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통모양으로 형성된 중계 부재(12)의 전단부의 외주면이 감합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60)는,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것처럼, 전방으로 돌출하는 돌기 모양의 맞닿음자(65c)를 가지고 있다. 맞닿음자(65c)는 캠 맞닿음 스프링(18)에 의해서 슬라이더(9)를 통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9), 볼척(11), 중계 부재(12), 입력 클러치 캠(61) 및 맞닿음자(65c)는, 축통(6) 내에 있어서 축선 방향으로 일체적으로 이동할 수 있다. 중계 부재(12)의 후단부는, 후술하는 회전 구동 기구(30)에 연결되어 있다. The
도 4를 참조하면, 축통(6)의 후단부에는, 노크부로서의 노크봉(20)가 축통(6)에 대해서 전후 이동할 수 있게 마련되어 있다. 노크봉(20)은 코일 스프링(21)에 의해서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노크봉(20)의 후단부 근방에는, 필기심(7)의 보급 구멍을 구비한 격벽부(20a)가 형성되어 있다. 노크봉(20)의 후단부의 내부에는, 지우개(22)가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어 있다. 노크봉(20)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노크 커버(23)가 착탈할 수 있게 장착되고, 지우개(22)를 오염 등으로부터 보호하고 있다. 노크봉(20)은 심 케이스(19)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감합되어 있다. Referring to FIG. 4, at the rear end of the
노크봉(20) 또는 노크 커버(23)를 전방으로 압압하는 노크 조작을 하는 것에 의해서, 심 케이스(19)가 전진한다. 이것에 의해, 척 유지부(15)를 통해서 척 본체부(14)가 전방으로 밀려 나온다. 이것에 따라서, 척 본체부(14)에 파지된 필기심(7)도 전진하여, 필기심(7)을 슬라이더(9)로부터 조출시키도록 작용한다. By performing a knock operation to press the
노크 조작에 의한 압압을 해제하면, 코일 스프링(21)의 가압력에 의해서, 노크봉(20)은 후퇴하여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이때, 척 본체부(14)는 코일 스프링(17)의 가압력에 의해서 후퇴한다. 다른 한편, 필기심(7)은 슬라이더(9) 내에 배치된 유지척(10)에 의해서 유지되기 때문에, 볼척(11)의 작용으로서, 필기심(7)은 척 본체부(14)로부터 저항없이 인출된다. 그 결과, 필기심(7)은 슬라이더(9)로부터 조출되기 때문에, 노크 조작을 반복할 때마다, 필기심(7)을 소정량씩 조출할 수 있다. 노크 조작에 의해서 노크봉(20)을 전진시킨 상태를 유지하면, 척 본체부(14)는 조임구(13)로부터 돌출되고 필기심(7)의 파지는 해제된 상태가 된다.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9)로부터 조출된 상태의 필기심(7)을 손가락끝 등으로 밀어 되돌릴 수 있다. When the pressing force by the knock operation is released, the
도 7은 회전 구동 기구(30)의 확대 단면도이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후축(3)의 내부 공간에 배치되어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중계 부재(12)의 후단부에 접속되어 있다. 전축(2)의 후단면과 회전 구동 기구(30)의 전단면과의 사이에 축스프링(31)이 배치되어, 회전 구동 기구(30)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축스프링(31)의 가압력에 의한 회전 구동 기구(30)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회전 구동 기구(30)의 후단면이 축통(6)의 내면에 마련된 단부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심 케이스(19)는 중계 부재(12) 및 회전 구동 기구(30)의 내부를 관통하고, 회전 구동 기구(30)와는 이간되어 있다. Figure 7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회전 구동 기구(30)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회전자(40)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제1 캠 형성 부재인 상(上)캠 형성 부재(41)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제2 캠 형성 부재인 하(下)캠 형성 부재(42)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실린더 부재(43)와,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토크 캔슬러(44)와, 코일 모양의 쿠션 스프링(45)을 가지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이들 부재가 일체로 되어, 유닛화되어 있다. The
회전자(40)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중계 부재(12)의 후단부의 외주면이 감합되어 있다. 회전자(40)의 전단부 근방은, 약간 지름이 큰 플랜지 모양으로 형성된 부분을 갖고, 해당 부분의 후단면에는 제1 캠면(40a)이 형성되고, 해당 부분의 전단면에는 제2 캠면(40b)이 형성되어 있다.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상캠 형성 부재(41)는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의 후방에 있어서, 회전자(40)를 회동(回動)할 수 있게 포위하고 있다. 하캠 형성 부재(42)는 상캠 형성 부재(41)의 전단부의 외주면에 감합되어 있다.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에 대향하는 상캠 형성 부재(41)의 전단면에는, 제1 고정 캠면인 제1 고정 캠면(41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에 대향하는 하캠 형성 부재(42)의 전단부 내면에는, 제2 고정 캠면인 제2 고정 캠면(42a)이 형성되어 있다. The upper
상캠 형성 부재(41)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실린더 부재(43)가 감합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43)의 후단부에는, 심 케이스(19)가 삽입 관통할 수 있는 삽통공(43a)이 형성되어 있다. 실린더 부재(43) 내에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고 축선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는 토크 캔슬러(44)가 배치되어 있다. 토크 캔슬러(44)의 전단부 내면과 실린더 부재(43)의 후단부 내면과의 사이에는, 쿠션 스프링(45)이 배치되어 있다. 쿠션 스프링(45)은 토크 캔슬러(44)를 통해서, 회전자(40)를 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A
여기서, 중계 부재(12)는 필기 동작에 기초하는 필기심(7)의 후퇴 및 전진 동작(쿠션 동작)을 회전 구동 기구(30), 즉 회전자(40)에 전달함과 아울러, 쿠션 동작에 의해서 발생하는 회전 구동 기구(30)에 있어서의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의 볼척(11)에 전달한다. 따라서, 볼척(11)에 유지된 필기심(7)도 회전한다. Here, the
샤프 펜슬(1)로 필기하고 있을 때 이외, 즉,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때, 회전자(40)는 토크 캔슬러(44)를 통한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방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은, 제2 고정 캠면(42a)에 맞닿아 맞물림 상태로 된다. 샤프 펜슬(1)로 필기하고 있을 때, 즉,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고 있을 때, 볼척(11)은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후퇴하고, 이것에 따라서 회전자(40)도 후퇴한다. 따라서,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은 제1 고정 캠면(41a)에 맞닿아 맞물림 상태로 된다. Other than when writing with a mechanical pencil (1), that is, when writing pressure is not applied to the writing lead (7), the rotor (40) applies the pressing force of the cushion spring (45) through the torque canceller (44). It is located in the front. Accordingly, the
도 8은 도 1의 샤프 펜슬(1)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 작용을, 차례로 설명하는 모식도이며, 도 9는 도 8에 이어 회전자(40)의 회전 구동 작용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8 및 도 9에 있어서, 회전자(40)의 상측의 면인 후단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1 캠면(40a)이 둥근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회전자(40)의 하측의 면인 전단면에는, 마찬가지로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2 캠면(40b)이 둥근고리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FIG. 8 is a schematic diagram sequentially explaining the rotational drive action of the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에 대치하는 상캠 형성 부재(41)의 둥근고리모양의 단면에도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1 고정 캠면(41a)이 형성되고,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에 대치하는 하캠 형성 부재(42)의 둥근고리모양의 단면에도 둘레방향을 따라서 연속적으로 톱니 모양으로 이루어진 제2 고정 캠면(42a)이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40)에 형성된 제1 캠면(40a) 및 제2 캠면(40b)의 각 캠면과, 상캠 형성 부재(41)에 형성된 제1 고정 캠면(41a) 및 하캠 형성 부재(42)에 형성된 제2 고정 캠면(42a)의 각 캠면은, 피치가 서로 거의 동일하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A first fixed
도 8의 (A)는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자(40), 상캠 형성 부재(41) 및 하캠 형성 부재(42)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자(40)에 형성된 제2 캠면(40b)은,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하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이때,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과 상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 캠의 한 톱니(一齒)에 대해서 반위상(반피치) 어긋난 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Figure 8(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도 8의 (B)는 샤프 펜슬(1)에 의한 필기를 위해서,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진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자(40)는 볼척(11)의 후퇴에 따라서 쿠션 스프링(45)을 수축시켜 후퇴한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상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측으로 이동한다. Figure 8(B) shows the initial state in which writ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그 다음으로, 도 8의 (C)는 필기심(7)에 더 필기압이 가해져, 회전자(40)가 상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에 맞닿아 후퇴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은, 상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제1 캠면(40a)의 한 톱니의 반위상(반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받는다. Next, (C) in FIG. 8 shows a state in which further writ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또한, 도 8 및 도 9에 있어서의 회전자(40)의 중앙부에 표시된 삼각 표시는, 회전자(40)의 회전 이동량을 나타내기 위해 이용된다. 그리고 도 8의 (C)에 나타내는 상태에 있어서는,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과 하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 캠의 한 톱니에 대해서 반위상(반피치) 어긋난 관계가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Additionally, the triangular mark displayed at the center of the
그 다음으로, 도 9의 (D)는 샤프 펜슬(1)에 의한 필기가 끝나, 필기심(7)에 대한 필기압이 해제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자(40)는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진한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40)는 하캠 형성 부재(42)측으로 이동한다. Next, Figure 9(D) shows the initial state in which writing with the
그 다음으로, 도 9의 (E)는 회전자(40)가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하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맞닿아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에 있어서는,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은, 하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제2 캠면(40b)의 한 톱니의 반위상(반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다시 받는다. Next, FIG. 9(E) shows a state in which the
따라서, 회전자(40)의 중앙부에 그린 삼각 표시로 나타내는 것처럼, 필기압을 받은 회전자(40)의 축선 방향으로의 왕복 운동, 즉 전후동에 따라서, 회전자(40)는 제1 캠면(40a) 및 제2 캠면(40b)의 한 톱니(1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받고, 볼척(11)을 통해서, 이것에 파지된 필기심(7)도 마찬가지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필기에 의한 회전자(40)의 축선 방향으로의 1회의 전후동에 의해서 회전자(40)는 캠의 한 톱니에 대응하는 회전 운동을 받고, 이것을 반복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7)은 차례로 회전 구동된다. 따라서, 써 내려감에 따라서 필기심(7)이 치우쳐 마모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묘선의 굵기나 묘선의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Therefore, as indicated by the triangular mark drawn in the center of the
요컨대 회전 구동 기구는, 제1 캠 형성 부재 및 제2 캠 형성 부재를 갖고, 회전자가 둥근고리모양으로 형성되고 그 축선 방향의 일단면 및 타단면에 제1 캠면 및 제2 캠면이 각각 형성됨과 아울러, 제1 캠면 및 제2 캠면에 각각 대치하도록 제1 캠 형성 부재 및 제2 캠 형성 부재에 형성된 제1 고정 캠면 및 제2 고정 캠면이 배치되고, 필기압에 의한 볼척의 후퇴 동작에 의해서, 회전자의 제1 캠면이 제1 고정 캠면에 맞물리고, 필기압의 해제에 의해서, 회전자의 제2 캠면이 제2 고정 캠면에 맞닿아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회전자의 제1 캠면이, 제1 고정 캠면에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회전자의 제2 캠면과 제2 고정 캠면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 캠의 한 톱니에 대해서 위상이 어긋난 관계로 설정되고, 회전자의 제2 캠면이 제2 고정 캠면에 맞물린 상태에 있어서, 회전자의 제1 캠면과 제1 고정 캠면이 축선 방향에 있어서 캠의 한 톱니에 대해서 위상이 어긋난 관계로 설정되어 있다.In short, the rotation drive mechanism has a first cam forming member and a second cam forming member, the rotor is formed in a circular ring shape, the first cam surface and the second cam surface are formed on one end surface and the other end surface in the axis direction, respectively. , the first fixed cam surface and the second fixed cam surface formed on the first cam forming member and the second cam forming member are disposed to oppose the first cam surface and the second cam surface, respectively, and by the retracting action of the ball chuck by the writing pressure, the rotation The first cam surface of the former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first fixed cam surface, and the second cam surface of the rotor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second fixed cam surface by releasing the writing pressure, and the first cam surface of the rotor is configured to engage with the first fixed cam surface. In the state of engagement with the fixed cam surface, the second cam surface of the rotor and the second fixed cam surface are set to be out of phase with respect to one tooth of the cam in the axis direction, and the second cam surface of the rotor is the second fixed cam surface. In the engaged state, the first cam surface of the rotor and the first fixed cam surface are set to be out of phase with respect to one tooth of the cam in the axial direction.
또한,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을 받아 회전자(40)를 전방으로 밀어내는 토크 캔슬러(44)는, 그 전단면과 회전자(40)의 후단면과의 사이에서 미끄러짐을 발생시켜,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이 쿠션 스프링(4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즉, 토크 캔슬러(44)에 의해서,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이 쿠션 스프링(45)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하고, 그것에 의해서, 회전자(40)의 회전 동작을 저해하는 쿠션 스프링(45)의 비틀림(토크)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In addition, the
이상으로부터, 샤프 펜슬(1)은 볼척(11)과 회전자(40)를 갖고, 볼척(11)의 전후동에 의해 필기심(7)의 해제 및 파지를 행함으로써, 필기심(7)을 전방으로 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볼척(11)이 필기심(7)을 파지한 상태에서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축통(6) 내에 유지됨과 아울러, 필기심(7)의 필기압에 의한 볼척(11)을 통해서 회전자(40)의 전후동에 의해 회전자(40)를 회전시켜,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볼척(11)을 통해서 필기심(7)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From the above, the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면서, 심조출 기구 및 조출량 조정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심조출 기구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필기심(7)을 슬라이더(9)로부터 조출하도록 작용한다. Referring to FIGS. 10 to 14, the core dispensing mechanism and the dispensing amount adjustment mechanism will be described. The core feeding mechanism receives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도 10은 다이얼 캠 부재(50)의 사시도이다. 다이얼 캠 부재(50)는, 도 10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다이얼 캠 부재(50)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며, 캠 본체(50a)와, 캠 본체(50a)의 외주면에 형성된 플랜지부(50b)와, 플랜지부(50b)의 후단면에 형성된 감합 돌기(50c)와, 캠 본체(50a)의 후단면에 형성된 다이얼 캠(51)을 가지고 있다. 다이얼 캠(51)은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평탄한 제1 고리모양 캠면(51a)과,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평탄한 제2 고리모양 캠면(51b)을 가지고 있다. 또, 제1 고리모양 캠면(51a) 및 제2 고리모양 캠면(51b)의 양단은, 세로벽(51c)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Figure 10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1은 레일 캠 부재(52)의 사시도이고, 도 12는 레일 캠 부재(52)의 다른 사시도이다. 레일 캠 부재(52)는, 도 11 및 도 12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레일 캠 부재(52)는 고리모양으로 형성된 부재이다. 레일 캠 부재(52)의 전단면에는, 조정 오목부(52a)가 형성되어 있다. 조정 오목부(52a)의 저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병렬되는 복수의 감합 오목부(52b)가 형성되어 있다. FIG. 11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레일 캠 부재(52)의 후단면에는, 레일 캠(53)이 형성되어 있다. 레일 캠(53)은, 보다 전방에 위치하고 또한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평탄한 제1 고리모양 캠면(53a)과, 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또한 중심 축선에 직교하는 평탄한 제2 고리모양 캠면(53b)과, 제1 고리모양 캠면(53a) 및 제2 고리모양 캠면(53b)의 일단을 접속하도록 둘레방향을 따라서 올라가도록 마련된, 슬로프 모양의 고리모양 캠면인 경사면(53c)을 가지고 있다. 제1 고리모양 캠면(53a) 및 제2 고리모양 캠면(53b)의 타단은, 세로벽(53d)에 의해서 접속되어 있다. A
도 13은 조합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의 사시도이며, 도 14는 조합된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의 다른 사시도이다.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는, 도 13 및 도 14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고리모양의 레일 캠 부재(52)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캠 본체(50a)의 후단부에 삽입되고, 플랜지부(50b)에 의해서 걸려짐으로써, 조합된다. 즉, 다이얼 캠 부재(50)의 플랜지부(50b)의 후단면에, 레일 캠 부재(52)의 전단면이 맞닿는다. 이때, 다이얼 캠 부재(50)의 플랜지부(50b)에 마련된 감합 돌기(50c)가, 레일 캠 부재(52)의 조정 오목부(52a)의 어느 감합 오목부(52b)에 감합된다. 레일 캠 부재(52)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되어 있다. FIG. 13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combined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가 조합된 상태에서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다이얼 캠(51)은, 레일 캠 부재(52)의 레일 캠(53)의 근방에 배치된다. 그것에 의해서, 다이얼 캠(51) 및 레일 캠(53)은 협동하여, 둘레방향에 있어서 일련의, 즉 고리모양의 조출 캠면(54)을 구성한다. When the
도 3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는, 조합된 상태에서, 슬라이더(9)의 외측에 배치된다. 다이얼 캠 부재(50)의 일부 및 레일 캠 부재(52)는, 구선 부재(4) 및 파지부(8)에 의해서 외주면이 덮여져 있다. 파지부(8)는 다이얼 캠 부재(50)의 외주면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따라서, 다이얼 캠 부재(50)와 함께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구선 부재(4)의 전단부 내면과 다이얼 캠 부재(50)의 플랜지부(50b)와의 사이에는, 코일 스프링(56)이 배치되어 있다. 또, 슬라이더(9)를 통해서 캠 맞닿음 스프링(18)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맞닿음자(65c)는, 조출 캠면(54)에 대해서 맞닿은 상태를 유지한다. 레일 캠 부재(52)의 외주면은, 구선 부재(4)의 내주면과 맞물려, 레일 캠 부재(52)의 구선 부재(4), 나아가서는 축통(6)에 대한 회전이 규제된다. As shown in FIG. 3, the
조출 캠면(54)의 형상은,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를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용자는, 한쪽 손으로 축통(6)을 파지하면서 다른 쪽 손으로 파지부(8)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50)를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레일 캠 부재(52)는 축통(6)에 대해서 맞물려 있기 때문에,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52)에 대해서 상대적으로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레일 캠 부재(52)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50)의 회전은,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c)가, 대응하는 레일 캠 부재(52)의 인접하는 감합 오목부(52b) 사이에서 이동하여 감합하도록,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따라서, 레일 캠 부재(52)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50)의 중심 축선 중심의 회전은,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c)가 이동할 수 있는 레일 캠 부재(52)의 조정 오목부(52a)의 범위 내에 있어서 단계적으로 행해진다. 다이얼 캠 부재(50)의 감합 돌기(50c)가 감합되는 레일 캠 부재(52)의 감합 오목부(52b)의 위치에 따라서, 다이얼 캠 부재(50)의 다이얼 캠(51)과 레일 캠 부재(52)의 레일 캠(53)과의 상대 위치가 변화하고, 그 결과, 조출 캠면(54)의 형상을 변경시킬 수 있다. 코일 스프링(56)에 의해서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52)에 대해서 가압되어, 레일 캠 부재(52)에 대한 다이얼 캠 부재(50)의 단계적인 회전시에, 클릭감이 얻어진다. The shape of the feeding
다음으로, 도 15를 참조하면서, 조출 캠면(54)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5는 조출 캠면(54)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5는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조출 캠면(54)을 포함하는 중심 축선 둘레의 원통면을 둘레방향으로 전개한 것이다. 도 15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Next, with reference to FIG. 15 , feeding of the
도 15를 참조하면, 다이얼 캠(51)의 세로벽(51c)과, 레일 캠(53)의 경사면(53c)이 지름 방향에 있어서 중첩적으로 배치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가 레일 캠 부재(52)에 대해서 위치 맞춤되어 있다. 도 15에 있어서, 다이얼 캠(51) 및 레일 캠(53) 중에서 보다 후방, 즉 도면 가운데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선(면)이, 조출 캠면(54)을 구성한다. 즉, 다이얼 캠(51)의 제2 고리모양 캠면(51b) 및 레일 캠(53)의 제2 고리모양 캠면(53b) 및 경사면(53c)이 협동하여 조출 캠면(54)을 구성한다. 또한, 조출 캠면(54)에 있어서, 다이얼 캠(51)의 제2 고리모양 캠면(51b)과 레일 캠(53)의 경사면(53c)에 의해서 형성되는 축선 방향의 단차(段差)(55)(낙차)의 높이(고저차)를, 단차 높이 H라고 한다. Referring to FIG. 15, the
다이얼 캠(51)의 세로벽(51c)이, 레일 캠(53)의 제1 고리모양 캠면(53a)측에 배치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를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단차 높이 H가 보다 높아진다. 다른 한편, 다이얼 캠(51)의 세로벽(51c)이, 레일 캠(53)의 제1 고리모양 캠면(53a)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도록,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를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면, 단차 높이 H가 보다 낮아진다. The
회전 구동 기구(30)의 회전자(40)는, 후술하는 것처럼, 필기심(7)의 쿠션 동작에 기초하여 맞닿음자(65c)를 서서히 회전 구동한다. 즉, 슬라이더(9)의 선단부를 앞으로 하여 보았을 때, 맞닿음자(65c)는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우회전한다. 이 회전 운동에 의해서, 캠 맞닿음 스프링(18)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는 맞닿음자(65c)는, 조출 캠면(54)과 협동하면서 둘레방향으로 이동한다. 즉, 맞닿음자(65c)는, 도 15에 있어서 오른쪽에서 왼쪽으로 이동하기 때문에, 조출 캠면(54)을 구성하는 다이얼 캠(51)의 경사면(53c)을 따라서 서서히 올라가도록 이동한다. The
맞닿음자(65c)가 단차(55)에 이르면,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의해서 압압되어, 단차(55)로 떨어진다. 즉, 맞닿음자(65c)는 단차(55)의 단차 높이 H분만큼, 다이얼 캠(51)의 제2 고리모양 캠면(51b)으로부터 보다 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맞닿음자(65c)의 전진과 함께 슬라이더(9), 나아가서는 슬라이더(9)의 내부에 배치된 유지척(10)도 마찬가지로 전방으로 이동한다. 그 결과, 유지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은, 볼척(1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대적으로 슬라이더(9)의 선단부로부터 단차 높이 H분만큼 조출된다. 따라서, 조출되는 필기심(7)의 양, 즉 조출량은, 단차 높이 H와 동등하다. When the
이상의 동작에 의해, 조출 캠면(54)을 따라서 맞닿음자(65c)가 일주(一周)할 때마다 필기심(7)을 슬라이더(9)로부터 조출할 수 있다. 이 동작의 반복에 의해서, 필기 동작에 따라서 필기심(7)이 마모되면서, 필기심(7)이 차례로 조출된다. By the above operation, the writing
요컨대, 심조출 기구에서는, 맞닿음자(65c)가 회전자(40)의 회전에 따라 조출 캠면(54)을 따라서 이동하여, 맞닿음자(65c)가 조출 캠면(54)의 단차(55)로 떨어질 때의 슬라이더(9)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유지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이 볼척(11)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심조출 기구가 조출 캠면(54)의 단차(55)를 이용하는 것에 의해서, 회전 구동 기구(30)에 있어서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필기심(7)의 조출 동작으로 변환할 수 있다. 조출 캠면(54)에 고저차를 형성하는 구성을 총칭하여, 「낙차」라고 한다. In short, in the core feeding mechanism, the abutting
샤프 펜슬(1)은, 회전 구동 기구(30)에 있어서의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볼척(11)에 유지된 필기심(7)도 회전 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써 감에 따라서 필기심(7)이 편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묘선의 굵기나 묘선의 농도가 크게 변화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요컨대, 회전 구동 기구(30)는 회전자(40)를 갖고, 볼척(11)에 파지된 필기심(7)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회전자(40)를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킨다. The
조출량 조정 기구에서는, 상술한 것처럼, 다이얼 캠 부재(50) 및 레일 캠 부재(52)를 단순히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상대적으로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서, 조출 캠면(54)에 있어서의 단차(55)의 단차 높이 H를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심조출 기구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량의 조정을 보다 간편하고 또한 정확하게 행할 수 있다. In the feed amount adjustment mechanism, as described above, the
사용자에 의해서 상이한 필기압이나 이용되는 필기심(7)의 경도 등의 차이에 의한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와, 필기심(7)의 조출량이 거의 일치하도록 조정하면, 필기가 행해지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슬라이더(9)로부터의 필기심(7)의 돌출량을 항상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그 결과, 샤프 펜슬(1)에서는, 한 번의 노크 조작으로, 계속 길게 쓸 수 있다. 통상 상정되는 필기심(7)의 마모의 정도를 초과한 길이에 상당하는 단차 높이 H를 가지는 단차(55)가 형성되도록, 다이얼 캠(51) 또는 레일 캠(53)을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것에 의해서, 모든 사용자의 기호에 따른 필기심(7)의 조출량으로 설정 가능해진다. If the degree of wear of the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다이얼 캠 부재(50)가 제1 캠 부재로서 원통모양의 부재였지만, 고리모양의 부재여도 된다. 또, 레일 캠 부재(52)가 제2 캠 부재로서 고리모양의 부재였지만, 원통모양의 부재여도 된다. 제1 캠 부재에 레일 캠(53)을 마련하고, 제2 캠 부재에 다이얼 캠(51)을 마련해도 된다. 즉, 고리모양 또는 통모양의 제1 캠 부재와 제1 캠 부재의 지름 방향 외측에 배치된 고리모양 또는 통모양의 제2 캠 부재가 협동하여, 조출 캠면이 구성되도록 해도 된다. 또, 제1 캠 부재 및 제2 캠 부재를 상대적으로 전후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즉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이간시키는 것에 의해서, 단차의 단차 높이가 조정되도록 해도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레일 캠 부재(52)를 다이얼 캠 부재(50)와 일체적으로 구성하고, 다이얼 캠 부재가 단일의 조출 캠면(54)만을 구성하도록 해도 된다. 이 경우, 상술한 것 같은 조출량의 조정은 할 수 없지만, 부품 점수가 적어져, 코스트를 삭감할 수 있다. 조출량의 조정을 위해서, 다양한 단차 높이 H를 구비한 복수의 다이얼 캠 부재를 준비해도 된다. 이 경우, 사용자가, 자신에게 최적인 조출량을 실현할 수 있는 다이얼 캠 부재를 선택하여, 교환할 수 있도록 해도 된다. The
다음으로, 도 3, 도 5, 도 6 및 도 16 내지 도 19를 참조하면서, 클러치 기구(60)에 대해 설명한다. 클러치 기구(60)는, 입력으로서, 회전 구동 기구(30)에 있어서의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출력으로서, 맞닿음자(65c)의 회전 운동으로 하도록 작용한다. 클러치 기구(60)는 입력 부재인 입력 클러치 캠(61)과, 출력 부재인 출력 클러치 캠(62)과, 전달 캠(64)과, 조출 캠(65)을 가지고 있다. 또, 샤프 펜슬(1)은 클러치 캠 홀더(66)를 더 가지고 있다. Next, the
도 16은 입력 클러치 캠(61)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출력 클러치 캠(62)의 사시도이고, 도 18은 입력 클러치 캠(61) 및 출력 클러치 캠(62)의 캠을 설명하는 확대 사시도이다. 입력 클러치 캠(61)은, 도 16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되고, 출력 클러치 캠(62)은, 도 17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도 18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FIG. 16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input
입력 클러치 캠(61)은 원통모양의 부재이며, 입력 캠면을 구성하는 고리모양의 후단면(61b)에는, 1개의 캠 돌기(61a)가 마련되어 있다. 입력 클러치 캠(61)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61c)가 마련되어 있다. The input
출력 클러치 캠(62)은 입력 클러치 캠(61)의 후방에 배치되어 있다. 출력 클러치 캠(62)은 원통모양의 부재이며, 출력 클러치 캠(62)의 전단부 근방의 외주면에는, 플랜지부(62a)가 마련되어 있다. 출력 클러치 캠(62)의 고리모양의 전단면에는, 출력 캠면인 클러치 캠면(63)이 마련되어 있다. 클러치 캠면(63)은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에 대향해서 배치되어 있다. 클러치 캠면(63)은 복수의 산부(63a)와, 인접하는 산부(63a) 사이에 마련된 평탄한 저면(底面)을 구비한 복수의 골부(63b)로 이루어진다. The output
도 18을 참조하면,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산부(63a)는, 대략 동일 형상이다.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는, 후단면(61b)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제1 맞물림면(61aa)과, 경사진 제1 경사면(61ab)을 가지고 있다. 마찬가지로, 출력 클러치 캠(62)의 산부(63a)는, 골부(63b)의 저면에 대해서, 대략 수직인 제2 맞물림면(63aa)과, 경사진 제2 경사면(63ab)을 가지고 있다. 후술하는 것처럼, 클러치 기구(60)의 동작에 있어서, 입력 클러치 캠(61)의 제1 맞물림면(61aa)과 출력 클러치 캠(62)의 제2 맞물림면(63aa)이 맞물림으로써, 입력 클러치 캠(61) 및 출력 클러치 캠(62)이 협동한다. Referring to Fig. 18, the
도 3,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출력 클러치 캠(62)의 전단부의 외주면에는, 전달 캠(64)의 후단부가 감합되어 있다. 전달 캠(64)은 전달 캠(64)의 후단면이 출력 클러치 캠(62)의 플랜지부(62a)에 맞닿을 때까지 삽입되어 있다. 전달 캠(64)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단면에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제1 맞물림 돌기(64a)가 마련되어 있다. 제1 맞물림 돌기(64a)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맞물림벽(64b)이 마련되어 있다. 전달 캠(64)의 내주면에는, 고리모양 돌기(64c)가 마련되어 있다. 3, 5, and 6, the rear end of the
입력 클러치 캠(61)은, 플랜지부(61c)가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과 전달 캠(64)의 고리모양 돌기(64c)와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전달 캠(64) 내에 배치되어 있다. 즉, 입력 클러치 캠(61)의 전진은, 플랜지부(61c)가 전달 캠(64)의 고리모양 돌기(64c)에 걸리는 것에 의해서 규제된다. 입력 클러치 캠(61)의 후퇴는,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의 협동에 의해서 규제된다. The input
전달 캠(64)의 전방에는, 조출 캠(65)이 배치되어 있다. 조출 캠(65)은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면에는,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한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제2 맞물림 돌기(65a)가 마련되어 있다. 제2 맞물림 돌기(65a)는 전달 캠(64)의 제1 맞물림 돌기(64a)와 상보적인 형상이다. 제2 맞물림 돌기(65a)의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측면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제2 맞물림벽(65b)이 마련되어 있다. 조출 캠(65)의 전단면에는, 상술한, 전방으로 돌출되는 돌기 모양의 하나의 맞닿음자(65c)가 마련되어 있다. 조출 캠(65)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고리모양 돌기(65d)가 마련되어 있다. A feeding
조출 캠(65) 내에는, 슬라이더(9)가 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플랜지부(9a)와 조출 캠(65)의 고리모양 돌기(65d)가 걸림 가능하다. 상술한 캠 맞닿음 스프링(18)은, 일단이 슬라이더(9)의 플랜지부(9a)의 내면과 걸리고 또한 타단이 입력 클러치 캠(61)의 전단면과 걸리도록 배치되어 있다.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의해서, 슬라이더(9)는 전방으로 가압되고, 가압된 슬라이더(9)의 플랜지부(9a)를 통해서 조출 캠(65)이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다. 그 결과, 맞닿음자(65c)는, 상술한 것처럼, 조출 캠면(54)에 대해서 맞닿도록 가압되어 있다. 조출 캠(65)은, 슬라이더(9)에 대해, 축선 방향에 있어서는 일체적으로 이동 가능한 것에 대해, 중심 축선 둘레에 있어서는 독립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In the
클러치 캠 홀더(66)는 원통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축통(6), 구체적으로는 전축(2)의 내면에 대해서 장착되어 있다. 클러치 캠 홀더(66)의 내주면에는, 고점도 재료로서, 그리스 등의 액상 윤활유가 도포되어 있다. 클러치 캠 홀더(66) 내에는, 출력 클러치 캠(62)이 삽입되고, 그것에 의해서, 출력 클러치 캠(62)의 외주면과 클러치 캠 홀더(66)의 내주면과의 사이에 액상 윤활유가 충전된다. 그 결과, 출력 클러치 캠(62) 및 접속된 전달 캠(64)은, 클러치 캠 홀더(66)에 의해서 느슨하게 유지되어, 중력 등에 기인하는 축통(6) 내에 있어서의 축선 방향의 급격한 이동이 완화된다. 클러치 캠 홀더(66)를 축통(6)과 일체적으로 마련해도 된다. 즉, 출력 부재와 축통과의 사이에, 출력 부재의 축선 방향의 이동을 억제하는 점성 유체가 배치되어 있다. 샤프 펜슬(1)이 클러치 캠 홀더(66)를 가지는 것에 의해서, 클러치 기구(60)의 각 부품의 치수 편차나 마찰 저항의 영향 등을 흡수할 수 있다. 또한, 클러치 캠 홀더(66)를 생략해도 된다. The
도 3을 참조하면, 상술한 것처럼, 입력 클러치 캠(61)의 전단부의 내주면에는, 볼척(11)의 조임구(13)의 후단부의 외주면이 감합되어 있고, 입력 클러치 캠(61)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중계 부재(12)의 전단부의 외주면이 감합되어 있다. 중계 부재(12)의 후단부는, 회전자(40)에 대해서 접속되어 있다(도 4). 따라서, 입력 클러치 캠(61)은, 중계 부재(12)를 통해서, 회전 구동 기구(30)에 의한 회전자(40)에 의해서 회전 구동된다. 또, 입력 클러치 캠(61)은, 중계 부재(12)를통해서, 필기심(7)의 쿠션 동작에 기초하여, 회전자(40)와 함께 전후동한다. 중계 부재(12)는 출력 클러치 캠(62) 및 전달 캠(64)의 내부를 관통하고 있고, 중계 부재(12)와는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중계 부재(12)의 회전 운동 및 전후동이, 출력 클러치 캠(62) 및 전달 캠(64)에 직접적으로 전달되지 않는다. Referring to FIG. 3, as described above,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rear end of the fastener 13 of the
입력 클러치 캠(61)의 회전 운동은, 도 19를 참조하면서 후술하는 것처럼,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이 협동하는 것에 의해서, 출력 클러치 캠(62)에 전달된다. 출력 클러치 캠(62)의 회전 운동은, 접속된 전달 캠(64)을 통해서, 조출 캠(65)에 전달된다. 즉, 전달 캠(64)의 회전에 따라서, 제1 맞물림 돌기(64a)의 제1 맞물림벽(64b)이, 제2 맞물림 돌기(65a)의 제2 맞물림벽(65b)과 둘레방향에 있어서 맞물리고, 전달 캠(64)의 회전 운동을 조출 캠(65)에 전달한다. 그 결과, 맞닿음자(65c)는, 상술한 것처럼, 조출 캠면(54)을 따라서 이동하여, 필기심(7)의 조출이 행해진다.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input
도 19는 회전 구동 기구(30)와 협동하는 클러치 기구(60)의 동작을 설명하는 모식도이다. 도 19는 회전 구동 기구(30)에 있어서의 회전자(40), 상캠 형성 부재(41) 및 하캠 형성 부재(42)와, 클러치 기구(60)에서의 입력 클러치 캠(61) 및 출력 클러치 캠(62)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기 위해, 각 캠면을 포함하는 중심 축선 둘레의 원통면을 둘레방향으로 전개한 것이다. 도 19에 있어서, 상방이 샤프 펜슬(1)의 후측이다. 도 19의 (A) 내지 (E)에 나타내진 회전 구동 기구(30)의 상태는, 도 8의 (A) 내지 (C) 및 도 9의 (D) 및 (E)에 나타내진 회전 구동 기구(30)의 상태에 각각 대응한다. 회전자(40) 및 출력 클러치 캠(62) 각각에는, 회전 이동량을 나타내기 위한 삼각 표시가 부여되어 있다. FIG. 19 is a schematic diagram explaining the operation of the
도 19의 (A)는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고 있지 않을 때의 상태에 있어서의 회전 구동 기구(30) 및 클러치 기구(60)의 관계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8의 (A)에 나타내진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은, 하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대해서 맞물려 있다. 이때,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은, 축선 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어, 맞닿아 있지 않다. 회전자(40) 및 출력 클러치 캠(62) 각각에 부여된 삼각 표시는, 축선 방향에 있어서 동일 직선 상에 배치되어 있다. FIG. 19A show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그 다음으로, 도 19의 (B)는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진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8의 (B)에 나타내진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회전자(40)는 상캠 형성 부재(41)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입력 클러치 캠(61)은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에 대해서 접근한다. 이때,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의 제1 맞물림면(61aa) 및 출력 클러치 캠(62)의 산부(63a)의 제2 맞물림면(63aa)(도 18)은 둘레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거리 D1만큼 이간되어 있다. Next, Figure 19(B) shows the initial state in which writing pressure is applied to the
그 다음으로, 도 19의 (C)는 필기심(7)에 더 필기압이 가해져,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이 상캠 형성 부재(41)의 제1 고정 캠면(41a)에 대해서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8의 (C)에 나타내진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회전자(40)는 제1 캠면(40a)의 한 톱니의 반위상(반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받는다. 즉, 회전자(40)는, 도 19의 (A)에 나타내진 상태로부터, 둘레방향에 있어서의 회전 이동량의 거리 L1에 상당하는 회전각만큼 회전한다. 회전자(40)의 회전 구동에 따라서,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산부(63a)가 맞물려, 입력 클러치 캠(61)을 통해서 출력 클러치 캠(62)가 회전 구동된다. 이 직전에 있어서의 도 19의 (B)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산부(63a)와는 둘레방향에 있어서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출력 클러치 캠(62)의 회전 이동량은, 입력 클러치 캠(61), 즉 회전자(40)의 회전 이동량의 거리 L1 보다도 작다. 구체적으로는, 출력 클러치 캠(62)의 회전 이동량은, 거리 L1부터 거리 D1를 뺀 거리 L2이며, 따라서, 출력 클러치 캠(62)은 거리 L2에 상당하는 제2 회전각만큼 회전한다. Next, (C) in FIG. 19 shows that writing pressure is further applied to the
그 다음으로, 도 19의 (D)는 필기심(7)에 대한 필기압이 해제된 초기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9의 (D)에 나타내진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이 상태에 있어서, 회전자(40)는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하캠 형성 부재(42)측으로 이동함과 아울러,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는,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으로부터 이간된다. Next, Figure 19(D) shows the initial state in which the writing pressure on the
그 다음으로, 도 19의 (E)는 쿠션 스프링(45)의 가압력에 의해서, 회전자(40)의 제2 캠면(40b)이 하캠 형성 부재(42)의 제2 고정 캠면(42a)에 대해서 맞물린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회전 구동 기구(30)는, 도 9의 (E)에 나타내진 상태에 대응한다. 따라서, 회전자(40)는 제2 캠면(40b)의 한 톱니의 반위상(반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구동을 다시 받는다. 즉, 회전자(40), 더 나아가서는 회전자(40)에 접속된 입력 클러치 캠(61)은, 도 19의 (A)에 나타내진 상태로부터, 1위상(1피치)에 상당하는 회전 이동량의 거리 L3에 상당하는 제1 회전각만큼 회전한다. 다른 한편, 입력 클러치 캠(61)의 캠 돌기(61a)와 출력 클러치 캠(62)의 산부(63a)는 축선 방향으로 이간되어 있기 때문에, 입력 클러치 캠(61)의 제1 맞물림면(61aa)과 출력 클러치 캠(62)의 제2 맞물림면(63aa)은 맞물리지 않고, 따라서 출력 클러치 캠(62)은 회전 구동되지 않는다. 또한, 입력 클러치 캠(61)과 출력 클러치 캠(62)은, 입력 클러치 캠(61)의 제1 맞물림면(61aa) 및 출력 클러치 캠(62)의 제2 맞물림면(63aa)만으로 협동하고, 그 이외의 부분에서는 협동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Next, Figure 19(E) shows that the
필기에 의한 회전자(40)의 축선 방향으로의 1회의 전후동에 의해서, 회전자(40) 및 입력 클러치 캠(61)은 회전 구동 기구(30) 캠의 한 톱니에 대응하는 회전 이동을 하지만, 출력 클러치 캠(62)은, 그것보다도 적은 회전 이동을 한다. 즉, 클러치 기구(60)는, 입력 클러치 캠(61)이 제1 회전각만큼 회전했을 때에 출력 클러치 캠(62)이 제1 회전각보다도 작은 제2 회전각만큼 회전하도록, 입력 클러치 캠(61)의 회전 운동을 출력 클러치 캠(62)에 전달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클러치 기구(60)에 있어서의 캠의 피치가, 회전 구동 기구(30)에 있어서의 캠의 피치보다도 작게 설정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회전 구동 기구(30)의 캠의 한 톱니에 상당하는 회전각(제1 회전각)과, 클러치 기구(60)의 캠의 한 톱니에 상당하는 회전각과의 차분의 회전각(제2 회전각)만큼, 출력 클러치 캠(62)이 회전 구동된다. By one time forward and backward movement of the
예를 들면, 회전자(40)의 제1 캠면(40a) 등의 회전 구동 기구(30)의 톱니수(齒數) A를 40개로 하고, 출력 클러치 캠(62)의 클러치 캠면(63)의 톱니수 B를 46개로 한다. 회전자(40)가 일주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전후동의 횟수, 즉 필기 횟수인 획수는 40획이 된다. 1획당 회전자(40)의 회전각 C는, 360/A이기 때문에, 360/40=9도가 된다. 출력 클러치 캠(62)의 인접하는 산부(63a)의 거리에 상당하는 회전각 D는, 360/D이기 때문에, 360/46=7.83도가 된다. 그렇다면, 도 1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 것처럼, 1획당 출력 클러치 캠(62)의 회전각 E는, C-D이기 때문에, 9-7.83=1.17도가 된다. 따라서, 출력 클러치 캠(62)이 일주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획수는, 360/1.17=307.7획, 요컨대 308획이다. 이것을 감속비로 나타내면, 1/(C/E)=1/7.69가 된다. For example, the number of teeth A of the
클러치 기구(60)에 의하면, 회전자(40)가 일주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획수(예를 들면 40획)보다도, 출력 클러치 캠(62), 나아가서는 조출 캠(65)의 맞닿음자(65c)가 일주 회전하기 위해서 필요한 획수를 많게 할 수 있다(예를 들면 308획). 또, 회전 구동 기구(30)의 캠의 톱니수 A 및/또는 클러치 기구(60)의 캠의 톱니수 B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임의의 획수로 회전자(40)를 일주시킴과 아울러 임의의 획수로 필기심의 조출을 시킬 수 있다. According to the
출력 클러치 캠(62)과 전달 캠(64)은,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출력 클러치 캠(62)과, 전달 캠(64)과, 조출 캠(65)을 통합하여 출력 부재로 해도 된다. 슬라이더(9) 및 조출 캠(65)을 일체로 형성해도 된다. 입력 클러치 캠(61)은, 입력 캠면으로서 1개의 캠 돌기(61a)를 가지고 있었지만, 복수의 캠 돌기(61a)를 가지고 있어도 된다. 입력 클러치 캠(61)의 입력 캠면과 출력 클러치 캠(62)의 출력 캠면인 클러치 캠면(63)은, 제1 맞물림면(61aa) 및 제2 맞물림면(63aa)의 관계와 같이, 둘레방향의 이동에 있어서 맞물리고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이동에 있어서 맞물리지 않는 한에 있어서, 임의로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전달 캠(64)과 조출 캠(65)은, 제1 맞물림벽(64b) 및 제2 맞물림벽(65b)의 관계와 같이, 둘레방향의 이동에 있어서 맞물리고 또한 축선 방향으로 이동에 있어서 맞물리지 않는 한에 있어서, 임의로 형성해도 된다. The output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로서, 각각 입력 클러치 캠(61) 및 출력 클러치 캠(62)과 같은 맞물림 클러치를 채용했다. 즉, 클러치 기구(60)는 입력 부재에 입력 캠면이 형성되고 또한 출력 부재에 입력 캠면에 대치하는 출력 캠면이 형성되고, 회전자의 회전 운동의 일부에 있어서만 입력 캠면 및 출력 캠면이 맞물려, 회전자의 회전 운동이, 입력 부재를 통해서 출력 부재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engagement clutches such as the input
그렇지만, 클러치 기구로서 마찰 클러치를 채용해도 된다. 즉,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로서 원판모양 또는 원추모양의 부재를 대향시켜, 마찰력에 의해서, 중계 부재(12)를 통해서 회전자(40)의 회전 운동을, 입력 부재가 제1 회전각만큼 회전했을 때에 출력 부재가 제1 회전각보다도 작은 제2 회전각만큼 회전하도록 구성해도 된다.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에 있어서, 대향해서 배치된 원판모양 또는 원추모양 간의 맞닿음면에 있어서의 형상이나 재료, 표면 거칠기 등을 변경하여 작용하는 마찰력을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입력 부재로부터 출력 부재에 전달되는 회전각을 조정해도 된다. 그것에 의해서, 임의의 획수로 회전자(40)를 일주시킴과 아울러 임의의 획수로 필기심의 조출을 시킬 수 있다. 입력 부재 및 출력 부재 사이의 맞닿음면을, 예를 들면 고무나 사포 등으로 구성해도 된다. 맞물림 클러치 및 마찰 클러치 이외, 그 외 임의의 클러치 기구를 채용해도 된다. However, a friction clutch may be employed as the clutch mechanism. That is, disc-shaped or cone-shaped members are opposed as input members and output members, and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볼척(11)과 입력 클러치 캠(61)이 접속되어 있었기 때문에, 볼척(11)이, 중계 부재(12) 및 입력 클러치 캠(61)을 통해서, 회전자(40)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7)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볼척(11)과 입력 클러치 캠(61)을 접속하지 않아도 된다. 요컨대, 클러치 기구는 필기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은 샤프 펜슬에 대해서 적용해도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노크 조작에 의해서 또는 심조출 기구의 동작에 의해서 필기심(7)이 볼척(11)으로부터 인출된 후이고 필기심(7)에 필기압이 가해지기 전의 상태에서는, 구조상, 필기심에 새로운 후퇴의 여지(백래쉬)가 있다. 그 때문에, 실제의 필기심(7)의 조출량이 작으면, 백래쉬에 의해서 조출된 필기심(7)이 후퇴하여, 실질적으로 필기심(7)의 조출이 행해지지 않는 경우가 있다. In the state after the
클러치 기구에 의하면, 심조출 기구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의 타이밍 또는 빈도를 지연시킬 수 있다. 그 때문에, 클러치 기구에 의하면, 보다 필기심(7)이 마모된 후에 보다 많이 필기심(7)의 조출을 행할 수 있어, 백래쉬의 영향에 의해 실질적으로, 필기심(7)이 조출되지 않은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필기심의 조출량은, 상술한 것처럼 심조출 기구의 단차 높이 H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서 변경할 수 있다. 따라서,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보다 확실히 필기심의 조출을 행할 수 있는 심조출 기구를 구비한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clutch mechanism, the timing or frequency of feeding the
도 1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샤프 펜슬(1)은 클립(70a)을 구비하고, 축통(6)과 감합되는 캡(70)을 더 가지고 있다. 캡(70)은 커버캡(71)과, 심조출부인 심조출 부재(72)와, 쿠션 스프링(73)을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캡(70)의 축선 방향에 있어서, 폐쇄단측을 「전」측이라고 규정하고, 개구 단측을 「후」측이라고 규정한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서, 캡(70)의 심조출부를 이용한 심조출 기구에 대해 설명한다. As shown in FIG. 1, the
도 1 및 도 21의 (B)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커버캡(71)은, 전단부가 폐쇄된 캡모양의 부재이다. 커버캡(71)이 캡(70)의 전단부에 대해서 장착됨으로써, 캡(70)의 폐쇄단이 형성된다. 심조출 부재(72)는, 캡(70)의 전단 내부에 있어서 전후동할 수 있도록 배치되어 있다. 커버캡(71)과 심조출 부재(72)와의 사이에는 쿠션 스프링(73)이 배치되고, 쿠션 스프링(73)은 심조출 부재(72)를 후방으로 가압하고 있다. As shown in Figures 1 and 21 (B), the
도 20은 심조출 부재(72)의 종단면도이다. 심조출 부재(72)는 원기둥모양의 부재이다. 도 20에 있어서, 좌방이 캡(70)의 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심조출 부재(72)의 후단면에는, 샤프 펜슬(1)의 선단부, 즉 슬라이더(9) 등이 삽입되는 원형 개구인 삽입 구멍(72a)이 마련되어 있다. 삽입 구멍(72a)의 저면은, 삽입 구멍(72a)의 입구보다도 좁은 내경 R이고 깊이 D2의 원통모양의 내주면을 구비한 수용 오목부(72b)가 마련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72b)의 후방에는, 테이퍼면(72c)이 마련되어 있다. 수용 오목부(72b)의 내경 R은, 샤프 펜슬(1)에 있어서 사용되는 필기심(7)의 외경에 따라 설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 오목부(72b)의 내경 R은, 필기심(7)의 외경보다도 약간 크게 설정되어, 필기심(7)의 선단부가 수용되도록 설정된다. Figure 20 is a longitudinal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21은 필기심(7)의 조출을 설명하는 샤프 펜슬(1)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21의 (A)는 축통(6)에 대해서 캡(70)이 감합되어 있지 않는, 필기심(7)의 조출이 행해지기 전의 샤프 펜슬(1)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의 (B)는 축통(6)에 대해서 캡(70)이 감합된 상태의 샤프 펜슬(1)의 상태를 나타내고, 도 21의 (C)는 축통(6)으로부터의 캡(70)의 제거에 따라서 필기심(7)의 조출이 행해진 후의 샤프 펜슬(1)의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Figure 21 is an enlarged cross-sectional view of the
도 21의 (A)에서는, 필기심(7)은 슬라이더(9)로부터 돌출되어 있지 않다. 즉, 사용자가, 일련의 필기 동작의 종료 후, 필기심(7)을 보호하기 위해서 슬라이더(9)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필기심(7)을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In Figure 21 (A), the writing
그 다음으로, 도 21의 (B)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축통(6)에 대해서 캡(70)을 감합시킨다. 이때, 샤프 펜슬(1)의 선단부, 즉 필기심(7) 및 슬라이더(9)의 선단부는, 심조출 부재(72)의 삽입 구멍(72a)에 삽입된다. 상술한 것처럼, 수용 오목부(72b)의 내경 R은, 필기심(7)의 외경에 따라 설정되기 때문에, 수용 오목부(72b)는 필기심(7)의 선단부를 수용한다. 다른 한편, 슬라이더(9)의 선단부의 외경은, 수용 오목부(72b)의 내경 R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슬라이더(9)의 선단부는, 캡(70) 내로의 삽입에 따라서, 수용 오목부(72b)에 수용되지 않고 테이퍼면(72c)에 걸린다. 그 결과, 슬라이더(9)는 필기심(7)에 대해서 축통(6) 내에서 상대적으로 후퇴하고, 결과적으로, 캡(70) 내에 있어서 슬라이더(9)의 선단부로부터 수용 오목부(72b)의 깊이 D2와 동일한 길이만큼 필기심(7)이 돌출된다. Next, as shown in FIG. 21 (B), the
그 다음으로, 도 21의 (C)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다음의 필기 동작을 개시하기 위해 캡(70)을 축통(6)으로부터 분리한다. 이때, 후퇴되어 있던 슬라이더(9)와, 슬라이더(9)의 내부에 배치된 유지척(10)은, 캠 맞닿음 스프링(18)의 가압력에 의해서 전진한다. 그 결과, 유지척(10)에 유지된 필기심(7)은, 볼척(11)으로부터 인출되어, 상대적으로 슬라이더(9)의 선단부로부터 수용 오목부(72b)의 깊이 D2분만큼 조출된다. 따라서, 조출되는 필기심(7)의 양, 즉 조출량은, 수용 오목부(72b)의 깊이 D2와 동등하다. Next, as shown in FIG. 21(C), the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일련의 필기 동작이 종료되면, 필기심을 보호하기 위해서 구선 부재 또는 슬라이더로부터 돌출되지 않도록 필기심을 후퇴시킨다. 그 때문에, 다음의 필기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는 적어도 1회의 노크 조작을 행하여 미리 필기심을 조출시킬 필요가 있다. 비록 상술한 심조출 기구를 구비한 샤프 펜슬이더라도, 필기심을 자동적으로 조출하기 위해서 필기 동작이 필요하기 때문에, 필기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는 적어도 1회의 노크 조작을 행하여 미리 필기심을 조출시킬 필요가 있다. Generally, when a user completes a series of writing movements, the writing lead is retracted so that it does not protrude from the curved member or slider in order to protect the writing lead. Therefore, before starting the next writing operation, it is necessary to perform at least one knock operation to draw out the writing lead in advance. Even if it is a mechanical pencil equipped with the above-described lead feeding mechanism, a writing operation is required to automatically feed the writing lead, so it is necessary to perform at least one knock operation to feed the writing lead in advance before starting the writing operation.
심조출 부재(72)에 의하면, 단순히 축통(6)에 대해서 캡(70)을 착탈하는 것만으로 필기심(7)의 조출이 행해진다. 즉, 필기 동작을 개시하기 전에 노크 조작을 행하지 않고 필기심이 조출된 상태로 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노크 조작과는 상이한 새로운 심조출 조작이 가능한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 있다. According to the
또한, 만일 필기심(7)이 수용 오목부(72b)의 깊이 D2보다도 길게 슬라이더(9)로부터 돌출된 상태에서 캡(70)을 축통(6)에 대해서 감합시켜도, 필기심(7)의 돌출량은 변하지 않는다. 즉, 이 상태에서는 슬라이더(9)의 선단부는 테이퍼면(72c)에 걸리지 않고, 따라서, 슬라이더(9)는, 필기심(7)에 대해서 축통(6) 내에서 상대적으로 후퇴하지 않는다. 이 때, 보다 길게 조출된 필기심(7)의 선단부에 의해서 심조출 부재(72)가 압압되지만, 쿠션 스프링(73)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심조출 부재(72)가 전진하는 것에 의해서, 압압이 흡수된다. Furthermore, even if the
커버캡(71)을 제거하여, 심조출 부재(72)를 교환 가능하게 해도 된다. 즉, 필기심(7)의 돌출량은, 사용자에 따라서 기호가 상이하다. 예를 들면, 필기심(7)이 충분히 돌출되어 있는 쪽이, 길게 필기할 수 있기 때문에 편리하다고 느끼는 사용자나, 필기심(7)이 보다 돌출되어 있지 않은 쪽이, 필기심(7)이 부러질 염려를 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고 느끼는 사용자도 있다. 따라서, 다양한 깊이 D2의 수용 오목부(72b)를 구비한 심조출 부재(72)를 미리 준비하고,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교환 가능하게 해도 된다. 쿠션 스프링(73)을 생략하고, 캡(70)의 전단 내부에 심조출 부재(72)를 고정하여 배치해도 된다. The
심조출 부재(72)인 심조출부는, 캡(70)을 축통(6)에 감합하면, 슬라이더(9)를 압압하여 필기심(7)에 대해서 슬라이더(9)를 후퇴시킬 수 가능한 한에 있어서, 임의로 구성해도 된다. 즉, 캡(70)의 감합시에, 필기심(7)의 선단부가 수용 오목부(72b) 내에 수용되고, 또한, 슬라이더(9)의 선단부가 수용 오목부(72b) 내에 수용되지 않고 걸려서 후퇴하는 한에 있어서, 수용 오목부(72b)의 형상 등을 임의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캡(70)의 감합시에, 필기심(7)에 대해서 슬라이더(9)를 후퇴시키도록 캡(70)의 내주면에 형성된, 안쪽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돌기여도 된다. When the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심조출 기구를 작용시키기 위해 슬라이더(9)가 캠 맞닿음 스프링(18)에 의해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있었다. 그렇지만, 캡(70)의 심조출 부재(72)를, 슬라이더가 전방으로 가압되고 있지 않은 샤프 펜슬에 대해서 적용해도 된다. 샤프 펜슬은, 볼척을 가지고 있어도 되고, 볼척을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노크 조작에 따른 필기심의 돌출 동작과 함께, 구선 부재에 장착된 슬라이더인 파이프 모양의 심가이드도 전진하고, 필기에 따른 필기심의 마모와 함께 심가이드도 후퇴하도록 동작하는 파이프 슬라이드식의 샤프 펜슬에 대해서, 캡의 심조출 부재를 적용해도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도 22는 캡(70)의 확대 사시도이다. 캡(70)의 내주면, 구체적으로는 개구단 근방의 내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체적으로는 3개의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오목부(70b)는 후방을 향해 열린 오목부이며, 중심 축선으로부터 지름 방향 외방에서 보아 종형(鐘形) 곡선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위치 결정 오목부(70b)의 전방측의 내측면에는, 볼록곡면(70ba)이 형성되고, 위치 결정 오목부(70b)의 후방측의 내측면에는, 오목곡면(70bb)이 형성되어 있다. 22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23은 축통(6)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23, 나아가서는 도 2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축통(6)의 외주면에는,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된 복수의, 구체적으로는 3개의 위치 결정 볼록부(6a)가 마련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볼록부(6a)는 전방을 향해 연장되는 볼록부이다. 위치 결정 볼록부(6a)의 전방측의 외측면의 일부에는, 볼록곡면(6aa)이 형성되어 있다. 위치 결정 볼록부(6a)의 볼록곡면(6aa)은, 위치 결정 오목부(70b)의 볼록곡면(70ba)의 일부와 상보적이다. 즉,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는, 서로 상보적인 부분을 가지고 있다. Figure 23 is an enlarged perspective view of the
도 1 및 도 21의 (B)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캡(70)의 내부에는, 고리모양의 자석(80)이 배치되어 있다. 자석(80)은, 예를 들면 네오디뮴 자석이다. 고리모양의 자석(80)을 대신하여, 복수의 자석을 둘레방향을 따라서 등간격으로 배치해도 된다. 다른 한편, 상술한 파지부(8)는, 자성 재료로 제조된 제1 자성체이다. 자석(80)은 캡(70)을 축통(6)에 대해서 감합시킬 때, 파지부(8)와의 사이에서 자력에 의한 흡인력이 작용하도록, 캡(70)의 내부에 배치되어 있다. As shown in FIGS. 1 and 21 (B), a ring-shaped
축통(6)에 대해서 캡(70)을 감합시킬 때, 통상, 한쪽 손으로 축통(6)을 파지하고, 다른 쪽 손으로 캡(70)을 파지하여, 캡(70)의 개구단을 축통(6)에 대해서 삽입한다. 캡(70)을, 소정의 깊이까지 축통(6)에 대해서 삽입하면, 파지부(8) 및 자석(80) 사이에 작용하는 자력에 의해서, 캡(70)이 보다 안쪽까지 끌려 들어간다. 이때, 축통(6)의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캡(70)의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정렬하고 있으면,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서로 간섭하지 않고 감합하여,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이 행해진다. 다른 한편, 축통(6)의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캡(70)의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축선 방향을 따라서 정렬해 있지 않은 경우, 즉 둘레방향으로 어긋나 있는 경우가 있다. When fitting the
축통(6)의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캡(70)의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 위치 결정 볼록부(6a)의 볼록곡면(6aa)과 위치 결정 오목부(70b)의 오목곡면(70bb)이 맞닿는다. 그 결과,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협동하여,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감합하도록 축통(6) 또는 캡(70)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이 행해진다. When the positioning
축통(6)의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캡(70)의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둘레방향으로 크게 어긋나 있는 경우,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받아도, 위치 결정 볼록부(6a)의 볼록곡면(6aa)과 위치 결정 오목부(70b)의 오목곡면(70bb)이 맞닿지 않는다. 따라서,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협동하지 않아,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은 행해지지 않는다. 여기서, 한쪽 손으로 캡(70)을 파지하고, 위치 결정 볼록부(6a)의 볼록곡면(6aa)과 위치 결정 오목부(70b)의 오목곡면(70bb)이 맞닿은 위치까지, 캡(70)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킨다. 그 결과,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협동하여,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감합하도록 축통(6) 또는 캡(70)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켜,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이 행해진다. When the positioning
축통과 캡의 감합은, 일반적으로, 캡의 내주면에 형성된 돌기가, 축통의 외주면에 형성된 돌기를 타고 넘는 것에 의해서 스냅식으로 행해진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이,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하여 행해지기 때문에, 캡(70)을 축통(6)에 대해서 강하게 압압할 필요가 없다. 그 결과, 캡(70)을 축통(6)의 중심 축선에 대해서 비스듬하게 삽입해 버렸을 경우 등에 있어서, 캡(70)의 개구단의 가장자리부에 의해서 축통(6)의 외주면을 손상시킬 우려가 없다. 또, 힘의 약한 아이나 고령자여도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Fitting of the shaft and the cap is generally performed in a snap manner by having a projection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cap pass over a projection formed on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shaft. According to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since the fitting of the
또한, 축통(6) 및 캡(70) 모두의 외면에 걸친 기호나 문자, 모양 등의 식별 표시 혹은 디자인 또는 특징적인 형상을 부착하고 있는 경우, 축통(6) 및 캡(70)을 중심 축선 중심의 회전 방향에 대해 올바르게 위치 결정시킬 수 있다. 요컨대, 상술한 실시 형태에 의하면, 캡을 축통에 대해서 정확하게 감합시킬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대적인 거리가 가까울수록 자력은 강해지는 성질을 가지기 때문에, 감합 완료시에는, 축통(6) 및 캡(70)이 세게 충돌한다. 그 결과, 사용자는, 편안한 클릭감 및 클릭음을 느낄 수 있어, 감합이 확실히 행해진 것을 인식할 수 있다. In addition, when an identification mark such as a symbol, letter, or shape or a design or a characteristic shape is attached to the outer surfaces of both the
또한, 도 1, 도 2 및 도 4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축통(6)의 후단부, 즉 후축(3)의 후단부에, 자성 재료로 제조된 제2 자성체(81)를 배치해도 된다. 그것에 의해서, 필기 동작을 위해서 캡(70)을 축통(6)의 후단부에 감합할 때에 있어서도,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캡(70)의 위치 결정 오목부(70b)와 협동하는 위치 결정 볼록부(6a)를 축통(6)의 후단부에 마련해도 된다.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축통(6)의 외주면에 위치 결정 볼록부(6a)가 형성되고, 캡(70)의 내주면에 위치 결정 오목부(70b)가 형성되어 있었지만, 축통(6)의 외주면에 위치 결정 볼록부를 형성하고, 캡(70)의 내주면에 위치 결정 볼록부를 형성해도 된다. 또한, 샤프 펜슬(1)이 제2 자성체(81)를 가지고 있지 않아도 된다. Additionally, as shown in FIGS. 1, 2, and 4, the second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캡(70)측에 자석(80)을 배치하고, 축통(6)측에 자석이 아닌 제1 자성체를 배치했지만, 캡(70)측에 제1 자성체를 배치하고, 축통(6)측, 예를 들면 파지부(8)의 내부에 자석을 배치해도 된다. 다만, 파지부(8)는 캡(70)을 제거한 상태에서 외부에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파지부(8)에 대해서 주위의 자성체, 예를 들면 책상의 클립 등이 흡착되지 않는다고 하는 점에서, 축통(6)측에 제1 자성체를 배치하는 쪽이 바람직하다. 축통(6) 및 캡(70) 모두에 자석을 배치해도 된다. 제1 자성체를 파지부(8) 이외의 축통(6)의 부분에 마련해도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 각각은,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3개 형성되어 있었지만, 1개 또는 2개여도 되고, 4개 이상이어도 된다.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는, 둘레방향으로 약간 어긋나 있는 경우에 서로 협동하여, 축통(6) 또는 캡(70)을 중심 축선을 중심으로 회전시키고, 축통(6) 및 캡(70)의 감합이 행해지는 한에 있어서, 임의로 구성해도 된다. 예를 들면, 도 23에 나타내진 위치 결정 볼록부(6a)를, 도 22에 나타내진 위치 결정 오목부(70b)와 완전하게 상보적으로 형성해도 된다. Although three positioning
상술한 것 같은, 축통 및 캡 사이의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한 감합은, 샤프 펜슬뿐만 아니라, 그 외 필기구, 예를 들면, 볼펜, 사인펜, 마커펜, 만년필, 열 변색성 필기구 등의 필기구에 대해서 적용해도 된다. 위치 결정 볼록부(6a) 및 위치 결정 오목부(70b)를 생략하고, 단순히 축통 및 캡의 감합을 자력에 의한 흡인력을 이용한 필기구로 해도 된다. The fitting using the magnetic suction force between the shaft and the cap as described above is applicable not only to mechanical pencils but also to other writing instruments, such as ballpoint pens, marker pens, marker pens, fountain pens, and thermochromic writing instruments. You may apply. The positioning
도 24는 유지척(10)의 사시도이고, 도 25는 유지척(10)의 종단면도이다. 도 25에 있어서, 좌방이 샤프 펜슬(1)의 전측이 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한 것처럼, 유지척(10)에는, 축선 방향을 따라서 연장되는 관통공(10a)이 형성되어 있다. 유지척(10)은 원통모양의 소경부(10b)와 소경부(10b)의 후단부의 외주면에 마련된 플랜지부(10c)를 가지고 있다. 관통공(10a)의 전측의 내부에는, 다른 부분과 비교해서 협착된 심 유지부(10d)가 마련되어 있다. 심 유지부(10d)의 후방의 관통공(10a)의 내부에는, 후방으로 넓어지는 원추면(10e)이 마련되어 있다. FIG. 24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holding
도 24에 나타내지는 것처럼,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10d)는 장공이다. 구체적으로는,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10d)의 횡단면 형상은 각환 직사각형이다. 또한,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10d)는, 장공이면 되고, 따라서, 심 유지부(10d)의 횡단면 형상은, 오벌이어도 되고, 구체적으로는, 장원(長圓) 또는 타원이어도 된다. 장공의 사이즈, 예를 들면 각환 직사각형의 경우의 가로세로의 길이 또는 종횡비, 또는, 타원의 경우의 장축 및 단축의 길이는, 샤프 펜슬(1)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필기심(7)의 외경 또는 필기심(7)의 조성에 따라서, 미리 실험 등으로 결정된다. As shown in Fig. 24, the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10d)가 장공인 것에 의해서, 일반적인 둥근 구멍의 심 유지부와 비교해서 탄성 변형하기 쉬워진다. 즉, 장공은 가늘고 긴 형상의 연재(延在) 방향에 따른 방향에 대해서는, 둥근 구멍과 마찬가지로 탄성 변형하기 어려운 한편으로, 가늘고 긴 형상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에 대해서는, 둥근 구멍과 비교하여 보다 탄성 변형하기 쉽다. 따라서, 필기심(7)의 외경 또는 유지척(10)의 관통공의 크기에 있어서의 제조시의 편차가 다소 있었다고 해도, 가늘고 긴 형상의 연재 방향에 대해서 직교하는 방향의 탄성 변형에 의해서 흡수할 수 있다. 따라서, 필기심(7)과 유지척(10)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보다 적절히 설정할 수 있는 샤프 펜슬을 제공할 수 있다. Since the
일반적인 샤프 펜슬에서는,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은,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의 조출시에만 행해진다. 다른 한편, 상술한 것처럼, 회전 구동 기구 및 심조출 기구를 구비한 샤프 펜슬(1)에서는, 필기심(7)과 유지척(10)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접촉은, 노크 조작에 의한 필기심(7)의 조출시 뿐만 아니라 통상의 필기 동작시에도 행해진다. 따라서, 회전 구동 기구 및 심조출 기구를 적절히 기능시키기 위해서도, 필기심과 유지척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보다 엄밀하게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샤프 펜슬(1)에서는,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10d)가 장공인 것에 의해서, 필기심(7)과 유지척(10)과의 사이의 슬라이딩 저항을 보다 엄밀하게 설정할 수 있다. In a typical mechanical pencil, sliding contact between the writing lead and the holding chuck is performed only when the writing lead is drawn out by a knocking operation. On the other hand, as described above, in the
유지척(10)은, 예를 들면 NBR, EPDM, 불소 고무 또는 실리콘 고무 등의 탄성 재료로 제조된다. 특히, 불소 고무제의 유지척(10)은, 내(耐)크리프성 및 내약품성의 관점으로부터 바람직하다. 즉, 필기심(7)에는, 다소나마 기름 성분이 포함되어 있지만, 유지척(10)을 불소 고무로 제조하는 것에 의해서, 기름 성분에 의한 영향을 보다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필기심(7)으로서 다양한 종류의 기름 성분 및 그 배합을 선택할 수 있어, 보다 다양한 필기심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경우, 심 유지부(10d)는 장공이 아니어도 되고, 일반적인 원형의 횡단면 형상이어도 된다. The holding
상술한 실시 형태에서는, 유지척(10)은 원통모양의 소경부(10b)를 가지고 있었지만, 전체적으로 테이퍼 모양으로 유지척을 형성해도 된다. 요컨대, 유지척(10)은 관통공(10a)의 심 유지부(10d)가 장공인 한에 있어서, 외형을 임의로 구성해도 된다. In the above-described embodiment, the holding
1: 샤프 펜슬
2: 전축
3: 후축
4: 구선 부재
6: 축통
6a: 위치 결정 볼록부
7: 필기심
8: 파지부(제1 자성체)
9: 슬라이더
10: 유지척
10a: 관통공
10d: 심 유지부
11: 볼척
12: 중계 부재
17: 코일 스프링
18: 캠 맞닿음 스프링
19: 심 케이스
20: 노크봉
21: 코일 스프링
30: 회전 구동 기구
40: 회전자
50: 다이얼 캠 부재
51: 다이얼 캠
52: 레일 캠 부재
53: 레일 캠
54: 조출 캠면
55: 단차
56: 코일 스프링
60: 클러치 기구
61: 입력 클러치 캠
62: 출력 클러치 캠
63: 클러치 캠면
64: 전달 캠
65: 조출 캠
65c: 맞닿음자
66: 클러치 캠 홀더
70: 캡
70b: 위치 결정 오목부
71: 커버캡
72: 심조출 부재
72a: 삽입 구멍
72b: 수용 오목부
73: 쿠션 스프링
80: 자석
81: 제2 자성체1: Mechanical pencil
2: record player
3: Rear axis
4: Absence of sphere line
6: shaft
6a: Positioning convex portion
7: Writing skills
8: Gripping portion (first magnetic body)
9: Slider
10: holding chuck
10a: Through hole
10d: Shim retaining part
11: ball chuck
12: Absence of relay
17: coil spring
18: Cam abutment spring
19: Sim case
20: knock rod
21: coil spring
30: Rotation drive mechanism
40: rotor
50: Dial cam member
51: Dial Cam
52: Rail cam member
53: Rail cam
54: Feeding cam surface
55: step
56: coil spring
60: Clutch mechanism
61: input clutch cam
62: Output clutch cam
63: Clutch cam surface
64: transmission cam
65: Early release cam
65c: contact person
66: Clutch cam holder
70: cap
70b: positioning recess
71: Cover cap
72: Absence of cardiac output
72a: insertion hole
72b: receiving recess
73: Cushion spring
80: magnet
81: second magnetic body
Claims (7)
상기 축통의 전단(前端) 내부에 배치되고 또한 관통공을 구비한 유지척으로서, 상기 관통공이 심 유지부를 구비하고, 삽입된 필기심을 상기 심 유지부에서 유지 가능한 유지척을 구비하고,
상기 관통공의 상기 심 유지부가 장공(長孔)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프 펜슬.shaft passing,
A holding chuck disposed inside the front end of the shaft and having a through hole, the through hole having a seam holding part, and a holding chuck capable of holding the inserted writing core in the seam holding part,
A mechanical pencil, characterized in that the core hold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a long hole.
상기 관통공의 상기 심 유지부의 횡단면 형상이 오벌인 샤프 펜슬.In claim 1,
A mechanical pencil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e retain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oval.
상기 관통공의 상기 심 유지부의 횡단면 형상이, 각환(角丸) 직사각형, 장원(長圓) 또는 타원인 샤프 펜슬.In claim 1 or claim 2,
A mechanical pencil in which the cross-sectional shape of the core retaining portion of the through hole is a circular rectangle, an oval, or an ellipse.
상기 유지척이 불소 고무제인 샤프 펜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A mechanical pencil in which the holding chuck is made of fluorine rubber.
상기 유지척을 내부에 유지하는 슬라이더를 더 구비하고,
필기 동작시에, 상기 유지척이 필기심에 대해서 전후로 슬라이딩하도록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축통 내에 배치되어 있는 샤프 펜슬.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4,
Further comprising a slider that holds the holding chuck inside,
A mechanical pencil in which the slider is disposed within the shaft so that the holding chuck slides back and forth with respect to the writing lead during a writing operation.
필기심의 전진을 허용하고 후퇴를 저지하는 볼척과,
회전자를 갖고, 상기 볼척에 파지된 필기심이 받는 필기압에 의한 축선 방향의 후퇴 동작 및 필기압의 해제에 의한 축선 방향의 전진 동작을 받아, 상기 회전자를 일 방향으로 회전 구동시키는 회전 구동 기구를 더 구비하고,
상기 볼척이, 상기 회전자의 회전 구동력을 받아 회전하는 것에 의해서, 필기심이 회전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In claim 5,
Bolcheok, which allows Pilgisim to advance and prevents retreat,
A rotation drive mechanism that has a rotor and receives a retracting motion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writing pressure received by the writing lead held in the ball chuck and a forward motion in the axial direction due to release of the writing pressure, and rotates the rotor in one direction. It is further provided with,
A mechanical pencil configured to rotate the writing lead when the ball chuck rotates under the rotational driving force of the rotor.
고리모양 캠면과, 상기 고리모양 캠면에 마련된 축선 방향의 낙차를 가지는 조출 캠면과,
상기 슬라이더와 함께 전후동하고, 상기 조출 캠면에 맞닿도록 가압되어 있는 맞닿음자를 더 구비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회전자의 회전에 따라 상기 조출 캠면을 따라서 이동하고, 상기 맞닿음자가 상기 낙차로 떨어질 때의 상기 슬라이더의 전진 동작에 의해서, 상기 유지척에 유지된 필기심이 상기 볼척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샤프 펜슬.In claim 6,
an annular cam surface, a feeding cam surface having a drop in the axial direction provided on the annular cam surface, and
further comprising an abutting member that moves back and forth with the slider and is pressed to abut the feeding cam surface;
The abutting member moves along the feeding cam surface in accordance with the rotation of the rotor, and the writing lead held in the retaining chuck is pulled out from the ball chuck by the forward motion of the slider when the abutting member falls to the drop. Includes a mechanical penci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JP-P-2021-119949 | 2021-07-20 | ||
JP2021119949A JP2023015881A (en) | 2021-07-20 | 2021-07-20 | mechanical pencil |
PCT/JP2022/027262 WO2023002878A1 (en) | 2021-07-20 | 2022-07-11 | Mechanical pencil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40035743A true KR20240035743A (en) | 2024-03-18 |
Family
ID=849792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37038929A KR20240035743A (en) | 2021-07-20 | 2022-07-11 | mechanical pencil |
Country Status (5)
Country | Link |
---|---|
JP (1) | JP2023015881A (en) |
KR (1) | KR20240035743A (en) |
CN (1) | CN117545637A (en) |
TW (1) | TW202313366A (en) |
WO (1) | WO2023002878A1 (en) |
Family Cites Families (4)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S59110680U (en) * | 1983-01-18 | 1984-07-26 | 三菱鉛筆株式会社 | Knotsuku style pencil |
JPS623997A (en) * | 1985-07-01 | 1987-01-09 | 株式会社寿 | Lead stopper |
JP2003039883A (en) * | 2001-07-31 | 2003-02-13 | Pentel Corp | Mechanical pencil |
JP7262294B2 (en) * | 2018-12-13 | 2023-04-21 | 三菱鉛筆株式会社 | mechanical pencil |
-
2021
- 2021-07-20 JP JP2021119949A patent/JP2023015881A/en active Pending
-
2022
- 2022-07-11 WO PCT/JP2022/027262 patent/WO2023002878A1/en active Application Filing
- 2022-07-11 KR KR1020237038929A patent/KR20240035743A/en unknown
- 2022-07-11 CN CN202280045051.9A patent/CN117545637A/en active Pending
- 2022-07-19 TW TW111127025A patent/TW202313366A/en unknow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TW202313366A (en) | 2023-04-01 |
WO2023002878A1 (en) | 2023-01-26 |
CN117545637A (en) | 2024-02-09 |
JP2023015881A (en) | 2023-02-0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6422692B2 (en) | Writing instrument or applicator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resin molding members | |
WO2012176636A1 (en) | Mechanical pencil | |
KR102120501B1 (en) | Mechanical pencil | |
US6517272B1 (en) | Double-chuck mechanical pencil | |
TWI818159B (en) | mechanical pencil | |
KR20240035743A (en) | mechanical pencil | |
KR20240035747A (en) | mechanical pencil | |
WO2020218440A1 (en) | Mechanical pencil | |
JP6157907B2 (en) | Writing instrument | |
JP2023015865A (en) | mechanical pencil | |
JP2023015868A (en) | writing instrument | |
WO2020218260A1 (en) | Mechanical pencil | |
JP7296244B2 (en) | mechanical pencil | |
JP7204467B2 (en) | mechanical pencil | |
JP6491829B2 (en) | mechanical pencil | |
TW202233441A (en) | Retractable writing instrument | |
KR950010432Y1 (en) | Sharp pencil | |
JP2014205240A (en) | Writing instrument | |
JP2018108683A (en) | mechanical pencil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