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133A -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 Google Patents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133A
KR20240035133A KR1020220114210A KR20220114210A KR20240035133A KR 20240035133 A KR20240035133 A KR 20240035133A KR 1020220114210 A KR1020220114210 A KR 1020220114210A KR 20220114210 A KR20220114210 A KR 20220114210A KR 20240035133 A KR20240035133 A KR 202400351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transmitter
electrochemical sensor
cap
inser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2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규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유엑스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유엑스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유엑스엔
Priority to KR10202201142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133A/ko
Publication of KR202400351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13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68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 A61B5/1473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using chemical or electrochemical methods, e.g. by polarographic means invasive, e.g. introduced into the body by a cathet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45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 A61B5/14532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in vivo, e.g. gas concentration, pH value;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ody fluids or tissues, e.g. interstitial fluid, cerebral tissue for measuring glucose, e.g. by tissue impedance measuremen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61B5/150312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s, piercing devices or sampl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374Details of piercing elements or protective means for preventing accidental injuries by such piercing elements
    • A61B5/150534Design of protective means for piercing elements for preventing accidental needle sticks, e.g. shields, caps, protectors, axially extensible sleeves, pivotable protective slee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5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inuous or multiple sampling, e.g. at predetermined interv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7Devices characterised by integrated means for measuring characteristics of bloo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90/00Instruments, implement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for surgery or diagnosis and not covered by any of the groups A61B1/00 - A61B50/00, e.g. for luxation treatment or for protecting wound edges
    • A61B90/08Accessories or related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1B2090/0813Accessories designed for easy sterilising, i.e. re-usabl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Biophysics (AREA)
  • Hematolog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피부 내부로 침습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가 연결되는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이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피부에 부착되며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의 신호를 입출력하는 트랜스미터;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를 피부안으로 침투시키는 바늘; 상기 바늘이 피부를 관통하도록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트랜스미터 또는 바늘을 이동시키는 삽입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에는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는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를 감싸는 바늘 캡이 마련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Continuous Anaylyte Measurement Device With Neelde Cap}
본 발명은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에 관한 것이다.
삽입기를 기준 위치로 삼을 때, 전기 화학적 센서가 메인 기판에 연결되는 일단부는 삽입기에 가까운 위치에 있으므로 근위부로 부를 수 있고, 체내에 삽입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의 타단부는 삽입기로부터 먼 위치에 있으므로 원위부로 부를 수 있다.
전기 화학적 센서의 근위부(Proximal portion)는 트랜스미터의 메인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고, 전기 화학적 센서의 원위부(Distal Portion)는 적어도 일부가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근위부 및 원위부는 서로 반대 단에 위치할 수 있다. 전기 화학적 센서의 근위부는 포도당을 포함한 분석물 측정에 필요한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트랜스미터의 메인 기판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는 피부에 부착되기 전에 전기 화학적 센서와 함께 삽입기 내부에 위치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와 전기 화학적 센서가 미리 결합된 타입을 올인원 타입의 트랜스미터라 부를 수 있다.
트랜스미터는 센서와 신호 통신하고, 센서는 미리 결정된 시간 기간 동안 환자의 포도당 수준을 검출하고 측정하도록 구성되고, 추가 분석을 위해 미리 결정된 기간 동안 측정된 포도당 수준에 대응하거나 이와 관련된 데이터를 전송하도록 구성된다.
트랜스미터에는 센서를 비롯한 각종 전자 부품이 설치되고, 장시간 피부에 부착되므로 분석물이나 체액이 트랜스미터의 내부로 스며들면 에러가 발생할 수 있다.
한편, 센서를 피부안에 침습하기 위해 가이드해주는 바늘은 트랜스미터를 관통하여 트랜스미터의 외부로 노출되도록 돌출되는 구조로 구비될 수 있고, 따라서 사용전에 돌출된 바늘의 손상 및 오염 방지를 위해 밀봉된 상태의 보호 부재를 강구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바늘의 손상 및 오염을 방지하고 사용시 개방되도록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부 내부로 침습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가 연결되는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이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피부에 부착되며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의 신호를 입출력하는 트랜스미터;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를 피부안으로 침투시키는 바늘; 상기 바늘이 피부를 관통하도록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트랜스미터 또는 바늘을 이동시키는 삽입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에는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는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를 감싸는 바늘 캡이 마련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트랜스미터로부터 노출되는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를 보호해줄 수 있는 바늘 캡을 구비함으로써, 삽입기의 조립시 노출된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에 의한 간섭을 받지 않고 원활하게 조립할 수 있다.
또한, 바늘 캡에 의해 노출된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가 감추어져서 외부에 노출되지 않으므로, 노출된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의 손상, 변형 또는 오염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전기 화학적 센서는 트랜스미터의 내부에 조립시 전기적 접속이 이루어진 상태이고, 두께가 매우 얇게 형성된 구조이므로,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매우 취약할 수 있다. 따라서, 전기 화학적 센서가 접속된 후 조립 과정에서 부주의하게 건드리면 전기 화학적 센서의 변형은 물론 전기적 접속 상태가 불량해질 수 있다.
그러면, 트랜스미터 자체를 폐기시켜야 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트랜스미터에 조립되면 확실하게 보호될 필요가 있고, 따라서, 본 발명의 바늘 캡을 끼움으로써 바늘은 물론 민감한 전기 화학적 센서를 확실하게 보호해줄 수 있다.
또한, 삽입기의 멸균 처리시에도 바늘 캡의 내부에 형성된 삽입공을 통해 멸균 가스를 배출할 수 있으므로, 바늘 캡을 노출된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를 감싸도록 결합하더라도 노출된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를 확실하게 멸균 처리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매우 청결한 측정기를 제공해줄 수 있다.
삽입기의 내부를 멸균될 상태로 밀봉하기 위하여 밀봉 모듈이 삽입기에 부착될 수 있다. 밀봉 모듈은 삽입기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할 수 있다. 멸균 공정의 용이성 향상과 바늘의 이물질 노출 빈도를 줄이기 위하여 바늘 캡은 밀봉 모듈과 별도의 부재이며 별도의 공정에서 바늘 캡이 바늘을 커버링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늘 캡은 밀봉 모듈과 별도 부재이다.
즉, 트랜스미터, 전기 화학적 센서, 바늘 및 바늘 캡이 조립된 상태로 삽입기 내부에 배치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 전기 화학적 센서, 바늘 및 바늘 캡이 삽입기 내부에 조립된 후에 각종 검사 과정과 멸균 과정을 거치고, 그 이후에 삽입기가 밀봉 모듈로 최종 밀폐될 수 있다.
밀봉 부재와 별개의 부재로 마련되는 바늘 캡은 밀봉 전 중간 공정에서 바늘이나 센서의 이물질 오염과 파손을 방지할 수 있다.
포장이나 운반 상태에서 바늘 캡의 빠짐을 방지하고, 바늘 캡이 삽입기 안에서 분리된 상태로 덜그럭거리는 잡소리 방지 등을 위하여, 바늘 캡의 하단은 밀봉 부재에 접촉 지지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분석물 측정기를 이루는 삽입기의 구조를 나타낸 개략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터의 결합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 캡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 캡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터의 분리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터의 저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터의 저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A부 확대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트랜스미터의 결합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0과 다른 측면에서 절단한 상태에서 삽입기 내부에 구비되는 상태를 나타낸 개략적인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전기 화학적 센서(400)가 간질액(interstitial fluid) 또는 혈중 포도당 농도를 측정하는 연속 혈당 측정기(CGMS,Continuous Glucose Monitoring System)에 이용되는 경우를 일 실시 예로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의 연속식 혈당 장치는 체내 포도당 농도의 측정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바이오 마커를 측정하는 연속 분석물 측정기에 확장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삽입기 및 트랜스미터의 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배치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전기 화학적 센서(400)는 트랜스미터(200)와 함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200)는 전기 화학적 센서(400)에서 측정된 신호를 제어할 수 있고, 연속적으로 측정된 혈당 수치를 모바일 폰을 포함하는 외부 단말기에 전송할 수 있다.
외부 단말기는 피부에 부착된 트랜스미터(200)와 별도로 마련되고, 트랜스미터(200)로부터 무선으로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측정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전송받을 수 있다. 사용자는 글루코스(glucose), 락테이트(lactate) 등을 포함하는 바이오 마커(bio-marker)에 대한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측정 데이터를 연속적으로 모니터링 및 진단할 수 있다.
전기 화학적 센서(400) 및 트랜스미터(200)는 피부 부착전 삽입기(100)에 장전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사용자의 부착 동작에 의해, 전기 화학적 센서(400)및 트랜스미터(200)는 삽입기(100)로부터 이탈하여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메인 기판(202)을 포함하는 트랜스미터(200)의 전기 부품과 연결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단을 근위부(402)라 할 수 있고, 적어도 일부가 체내로 침습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타단을 원위부(406)라 할 수 있으며, 근위부(402)와 원위부(406)를 상호 연결하고, 근위부(402)와 원위부(406) 사이에 배치되며, 플렉서블하게 휘어지는 부분을 접힘부(405)라 할 수 있다.
침습은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원위부(406)의 적어도 일부가 체내에 위치하도록 삽입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트랜스미터(2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는 피부에 부착 전에 이미 서로 연결된 상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200)는 삽입기(100)에 장전된 상태에서 제1 위치에 위치하고, 트랜스미터(200)는 사용자 동작에 의해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하며, 제2 위치에서 트랜스미터(200)는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2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삽입 방향은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를 향하는 방향일 수 있다.
바늘(300)은 길이 방향으로 노출된 부분을 가지고, 바늘(300)의 내부에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부가 배치될 수 있다. 바늘(300)은 원위부(406)의 적어도 일부가 삽입 방향을 따라 인체 내로 침습될 수 있도록 피부를 절개하고, 전기 화학적 센서(400)를 가이드할 수 있다.
삽입기(100)는 트랜스미터(2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동작시키거나 바늘(300)을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복귀시키는 구동부(102)를 포함할 수 있다.
구동부(102)는 바늘(300) 또는 원위부(406)가 피부에 삽입되도록 바늘(300) 또는 트랜스미터(200)를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전진시킬 수 있다.
구동부(102)는 트랜스미터(2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가 제2 위치에서 피부에 부착된 다음, 바늘(300)을 제2 위치에서 제3 위치로 후퇴시켜 바늘(300)을 트랜스미터(2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로부터 분리할 수 있다.
구동부(102)는 바늘(300)이 고정되는 바늘 홀더(310)에 연결될 수 있다. 바늘 홀더(310)는 구동부(102)에 착탈될 수 있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면, 트랜스미터(200)는 상부 뚜껑(210) 및 하부 뚜껑(220)을 포함할 수 있고, 상부 뚜껑(210) 및 하부 뚜껑(220)의 사이에는 내부 공간이 구비될 수 있다. 트랜스미터(200)의 내부 공간에는 메인 기판(202)이 안착될 수 있다.
상부 뚜껑(210)의 외주면 가장 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걸림 돌기(211)가 형성되고, 하부 뚜껑(220)의 외주면 가장 자리에는 걸림 돌기(211)가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복수의 걸림홈(2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 뚜껑(220)의 저면 가장 자리에는 원주 방향을 따라 간격을 두고 복수의 홈(222)이 형성될 수 있다. 홈(222)은 부착용 테이프가 하부 뚜껑(220)의 저면에 부착된 상태에서 부착용 테이프의 이형지를 벗겨낸 후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시 하부 뚜껑(220)이 평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해줄 수 있다.
메인 기판(202)에는 원위부(406)의 포도당 농도 측정을 위해 필요한 배터리 등의 전원부,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 전기 화학적 센서(400)에 의해 측정된 데이터를 제어하고 무선으로 외부에 전송하기 위한 무선 통신부, 및 연산 증폭기 중 적어도 하나가 설치될 수 있다.
전원부는 작동 전극의 전기 화학적 반응을 일으킬 수 있는 바이어스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원위부(406)에서 측정된 분석물의 신호는 연산 증폭기에 의해 증폭될 수 있다.
작업 전극상의 주어진 바이어스에 대한 출력 전류의 크기는 전극 부근에서의 포도당 등의 분석물 농도의 척도일 수 있다.
전기 회로를 포함하는 제어부는 하나 이상의 미리 설정된 값에서 작업 전극과 기준 전극 사이의 전기적 전위를 제어할 수 있다.
센서 패드가 형성된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면은 메인 기판(202)과 대면할 수 있고,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타면은 트랜스미터(200)의 내부 공간에 노출될 수 있다.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근위부(402)에 센서 패드가 형성될 수 있다. 센서 패드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접촉 패드는 메인 기판(202)에 형성될 수 있다.
전기 화학적 센서(400)는 적어도 일부가 피부 내부로 침습하기에, 침습시 통증 완화 및 착용시 이물감 감소 등을 위해 플렉서블할 수 있다.
바늘(3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노출된 부분에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원위부(406)가 배치될 수 있다. 바늘(300)의 단부는 원위부(406)의 단부보다 더 돌출된 위치에 있다. 피부가 바늘(300)에 의하여 절개된 후에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원위부(406)가 체내에 삽입될 수 있다.
통증 감소 및 이물감 감소는 사용자 측면에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의 핵심적 성능이다. 이를 위하여 전기 화학적 센서(400)는 단독으로 피부를 관통하는 것이 불가능할 정도의 유연성을 갖고, 바늘(300)이 피부를 절개해야 비로소 체내 삽입될 정도로 전기 화학적 센서(400)는 얇고 유연하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트랜스미터(200)는 상부 뚜껑(210)과 하부 뚜껑(220)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의 내부에 메인 기판(202)이 구비될 수 있고, 하부 뚜껑(220)은 사용자의 피부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트랜스미터(200)에는 트랜스미터(200)의 동작을 위해 온/오프되는 전원 개시 스위치부(230)가 마련될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은 트랜스미터(200)의 저면에 바늘(300)의 노출된 부분을 보호하는 바늘 캡(330)이 구비될 수 있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바늘 캡(330)은 바늘(300)의 노출된 부분, 즉 트랜스미터(200)로부터 외부로 노출된 부분을 충분히 감쌀 수 있는 길이를 가지고 삽입공(331a)을 가지는 바디부(331), 바디부(331)의 상부 내측면에는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를 지지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될 수 있다.
삽입공(331a)은 예를 들어 타원형과 같은 장공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도 평단면상 장공과 같은 타원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는 트랜스미터(200)의 관통공을 통과할 때 정렬 위치로 삽입될 수 있고, 바늘 캡(330)의 삽입공(331a)에 삽입되면 확실한 결합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면서 일렬로 배열되는 한쌍의 제1 지지 부재(332), 제1 지지 부재(332)와 직교 방향으로 배열되는 제2 지지 부재(333)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32)는 바디부(331)의 내부 전체 길이에 쳐서 바디부(331)의 안쪽 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32)의 양측에는 각각 절개부(334)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절개부(334)는 총 4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32)는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의 양 측면을 지지할 수 있고, 제2 지지 부재(333)는 제1 지지 부재(332)와 직교 방향 위치의 다른 측면을 각각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332)와 제2 지지 부재(333)에 의해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는 4점 지지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지지 부재(332)와 제2 지지 부재(333)는 서로 절개부(334)에 의해 간격을 두고 구비될 수 있고, 삽입공(331a)안으로 바늘 홀더(310)가 삽입되면 바깥 방향으로 약간 벌어지도록 하기 위해 탄성력이 제공될 수 있다.
제1 지지 부재(332)와 제2 지지 부재(333)는 탄성 부재로서 역할을 할 수 있다.
바늘 캡(330)은 트랜스미터(200)의 하부 뚜껑(220) 저면에 결합되는 것이 아니라, 트랜스미터(200)의 관통공을 통해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는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에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분석물 측정기 사용을 위해 바늘 캡(330)을 분리시, 바늘 캡(330)을 잡아 당기면 바늘 홀더(310)의 결합 부재(311)와의 록킹 상태가 해제되면서 쉽게 분리될 수 있다.
이때, 바늘 홀더(310)는 순간적으로 바늘 캡(330)의 분리 동작에 따라 잡아 당겨지는 힘이 작용하더라도 트랜스미터(200)의 상부에 걸림된 상태이므로, 바늘 캡(330)의 분리 동작에 의한 영향을 받지 않고 트랜스미터(200)에 조립된 상태를 그대로 유지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면, 바늘 홀더(310)의 하부에는 트랜스미터(200)의 관통공을 밀폐시키기 위한 밀폐 부재(320)가 결합될 수 있다. 밀폐 부재(320)는 신축성을 가지는 재질, 예를 들어 고무재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도 11을 참조하면, 삽입기(100)의 내부에는 트랜스미터(200)를 구비하고, 트랜스미터(200)의 하부에는 트랜스미터(20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노출된 바늘(300)을 보호해주기 위해 바늘 캡(330)을 결합할 수 있다. 삽입기(100)의 하단부에는 밀봉 모듈(600)이 마련될 수 있다.
사용시, 삽입기(100)로부터 밀봉 모듈(600)를 분리하고, 바늘 캡(330)을 분리할 수 있다.
만일, 바늘 캡(330)이 마련되지 않는 경우, 본 발명의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조립시 매우 불편할 수 있다. 삽입기(100)의 내부에 트랜스미터(200)를 조립할 때, 트랜스미터(200)의 하부로 바늘(3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부분인 원위부(406)가 노출된 상태로 조립해야 한다. 따라서, 소정의 길이로 돌출된 바늘(300)과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부분으로 인해 삽입기(100)안에 조립시 간섭을 받기 쉽고, 잘못하면 바늘(3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부분을 건드려서 오염되게 하거나 또는 변형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바늘(300)의 노출된 부분을 감싸는 바늘 캡(330)을 미리 트랜스미터(200)의 하부에 결합함으로써, 바늘(3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손상 또는 오염없이 삽입기(100)의 조립시 간편하게 작업을 할 수 있다.
또한, 바늘 캡(330)을 이루는 바디부(331)는 삽입공(331a)이 바디부(331)의 전체 길이에 대하여 관통된 구조이므로, 바디부(331)의 개방된 하단부를 통해 육안으로 바늘(3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조립 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삽입기(100)의 내부에 트랜스미터(200)를 구비한 상태에서 멸균 처리시 바늘 캡(330)의 삽입공(331a)은 멸균 가스의 배출 통로 역할을 할 수 있고, 멸균 처리후 밀봉 모듈(600)를 부착하여 삽입기(100)의 내부를 완전히 밀폐시킬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늘 캡(330)을 트랜스미터(200)의 하부에 결합한 상태에서 멸균 처리하면, 바늘 캡(330)의 상부측에 복수로 형성된 절개부(334)를 통해 멸균 가스가 유입되어서 바늘(300)과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부인 원위부(406)에 접촉하면서 멸균 처리후 삽입공(331a)을 거쳐서 바늘 캡(330)의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조립이 간편해지고 노출된 바늘(300) 및 전기 화학적 센서(400)의 일부가 손상, 변형 또는 오염되지 않고 청결한 상태를 가질 수 있다.
100... 삽입기 102... 구동부
200... 트랜스미터 202... 메인 기판
210... 상부 뚜껑 211... 걸림 돌기
220... 하부 뚜껑 221... 걸림홈
222... 홈
230... 전원 개시 스위치부
300... 바늘 310... 바늘 홀더
311... 결합 부재 320... 밀폐 부재
330... 바늘 캡 331... 바디부
331a... 삽입공
332... 제1 지지 부재 333... 제2 지지 부재
334... 절개부
400... 전기 화학적 센서 402... 근위부
405... 접힘부 406... 원위부
600... 밀봉 모듈

Claims (11)

  1. 피부 내부로 침습되는 전기 화학적 센서;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가 연결되는 메인 기판과 상기 메인 기판이 수납되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하우징은 피부에 부착되며 상기 메인 기판은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의 신호를 입출력하는 트랜스미터;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를 피부안으로 침투시키는 바늘;
    상기 바늘이 피부를 관통하도록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상기 트랜스미터 또는 바늘을 이동시키는 삽입기; 를 포함하고,
    상기 바늘에는 상기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가 삽입되며,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는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돌출되고,
    돌출된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를 감싸는 바늘 캡이 마련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캡은 상기 바늘 및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가 삽입되고 전체 길이에 대하여 관통하는 삽입공이 형성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캡의 단면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에는 바늘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바늘 홀더는 상기 바늘의 일부가 상기 트랜스미터를 관통하여 돌출되도록 상기 트랜스미터에 삽입되며,
    상기 바늘 캡은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돌출되는 상기 바늘 홀더의 결합 부재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캡에는 상기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 홀더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지지 부재가 구비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6.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을 지지하는 바늘 홀더가 마련되고,
    상기 바늘 캡은 지지 부재를 구비하며,
    상기 지지 부재는 상기 바늘 홀더 또는 상기 트랜스미터에 착탈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 부재는 서로 마주보게 일렬로 배치되는 한쌍의 제1 지지 부재,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직교 방향으로 배치되는 한쌍의 제2 지지 부재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 지지 부재는 상기 바늘 캡의 안쪽으로 돌출되며,
    상기 제1 지지 부재와 제2 지지 부재는 탄성력을 가지고 상기 바늘 홀더의 결합 부재를 4점 지지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은 상기 트랜스미터의 수직 방향으로 삽입되어 돌출되고,
    상기 바늘의 일부가 상기 트랜스미터로부터 노출되면, 상기 바늘 캡이 노출된 상기 바늘의 일부를 보호하도록 감싸면서 결합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캡은 상기 바늘과 전기 화학적 센서의 일부가 삽입되는 삽입공이 관통되어 형성되고,
    상기 바늘 캡의 단부측에는 간격을 두고 복수의 절개부가 형성되며,
    상기 삽입기 내부의 멸균 처리시 상기 절개부를 통해 멸균 가스가 유입되고, 상기 삽입공을 통해 멸균 가스가 상기 바늘 캡의 외부로 배출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기의 내부를 멸균될 상태로 밀봉하는 밀봉 모듈이 상기 삽입기에 부착되고, 상기 밀봉 모듈은 상기 삽입기 내부를 외부로부터 차단하며,
    상기 바늘 캡은 상기 밀봉 모듈과 별도 부재이고,
    상기 트랜스미터, 전기 화학적 센서, 바늘 및 바늘 캡이 조립된 상태로 상기 삽입기 내부에 배치되며,
    상기 트랜스미터, 전기 화학적 센서, 바늘 및 바늘 캡이 상기 삽입기 내부에 조립된 후에 상기 삽입기가 상기 밀봉 모듈로 밀폐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11.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늘 캡의 하단은 밀봉 부재에 접촉 지지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1020220114210A 2022-09-08 2022-09-08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400351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10A KR20240035133A (ko) 2022-09-08 2022-09-08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210A KR20240035133A (ko) 2022-09-08 2022-09-08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133A true KR20240035133A (ko) 2024-03-15

Family

ID=902728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210A KR20240035133A (ko) 2022-09-08 2022-09-08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13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4433B2 (en) Detecting an analyte in a body fluid
US11911156B2 (en) Detecting an analyte in a body fluid
EP1154717B1 (en) Glucose sensor package system
JP2008246204A (ja) 検体濃度をインビボで測定するシステム
KR102443000B1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기
WO2014162383A1 (ja) センサ留置デバイス及び生体情報測定システム
KR20210016307A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기
KR20240035133A (ko) 바늘 캡이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10016297A (ko) 생체 신호 모니터링 기기
KR20240035119A (ko) 돌출 가이드를 구비하는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30163246A (ko) 트랜스미터가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
KR20240035094A (ko) 함몰부를 가지는 트랜스미터가 구비된 연속식 분석물 측정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