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112A -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 Google Patents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112A
KR20240035112A KR1020220114161A KR20220114161A KR20240035112A KR 20240035112 A KR20240035112 A KR 20240035112A KR 1020220114161 A KR1020220114161 A KR 1020220114161A KR 20220114161 A KR20220114161 A KR 20220114161A KR 20240035112 A KR20240035112 A KR 2024003511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racket
body frame
straight bar
predetermined leng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161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안정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세븐모빌리티
안정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세븐모빌리티, 안정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세븐모빌리티
Priority to KR102022011416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112A/en
Publication of KR2024003511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112A/en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9/00Cycle frames
    • B62K19/3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 B62K19/40Frame parts shaped to receive other cycle parts or accessories for attaching accessories, e.g. article carriers, lam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2Motorcycles, Trikes; Quads;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종래의 특정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전기 이륜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있어서,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우측 브라켓 설치구에 결합되는 우측 체결구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우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브라켓 우측 프레임;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좌측 브라켓 설치구에 결합되는 좌측 체결구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좌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과 대칭 형태로 구비되는 브라켓 좌측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브라켓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is mounted on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frame for a specific two-wheeled vehicle, wherein the right bracket is installed at the front start end. A first right body frame having a right fastener coupled to a sphere and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the first right body frame extending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having the first right body frame at the rear end. a bracket right frame including a second right body frame having a right plate on which the rear wheel structure is installed; A first left body frame having a left fastener coupled to the left bracket installation tool at the front starting end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A bracket left frame including a second left body frame extending and having a left plate at a rear side end on which the rear wheel structure is installed,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bracket right frame; and a bracket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bracket right frame and the bracket left frame.

Description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본 발명은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이용하여 전기 이륜 자동차를 제작함에 있어 배터리를 쉽게 인출입 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 공간을 확보하게 함과 동시에 서스펜션을 보조하여 시트 쿠션감을 향상시키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d more specifically, when manufacturing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using a conventional two-wheeled vehicle frame, securing a battery storage space where the battery can be easily taken in and out. This relates to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that improves seat cushioning by assisting the suspension at the same time.

최근, 내연 기관을 배제한 전기 구동 방식으로 동작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가 친환경 운송 수단으로 각광받고 있다.Recently,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that operate on an electric drive system excluding internal combustion engines have been attracting attention as an eco-friendly means of transportation.

이러한 전기 이륜 자동차를 제작함에 있어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사용하는 경우가 있다.In manufacturing such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 frame for a conventional two-wheeled vehicle may be used.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촬영한 이미지이다.Figures 1 and 2 are images taken of a frame for a conventional two-wheeled vehicle.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우측 브라켓 설치구(111)(종래에는 엔진 설치를 위한 엔진 설치구로 기능함)를 구비하는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대칭되게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좌측 브라켓 설치구(121)(종래에는 엔진 설치를 위한 엔진 설치구로 기능함)를 구비하는 좌측 리어 프레임(120)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후방 상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전방 하단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보강 튜브(140), 및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보강 튜브(150)를 포함하고,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과 머드 가드, 서스펜션 및 리어 휠을 포함하는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1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리어 프레임(100)은 센터 언더 프레임(200)(발판 설치를 위한 프레임)의 후방 양 측에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시작 단부가 설치(예: 용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Referring to Figures 1 and 2, the conventional frame for a two-wheeled vehicle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has a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111 (conventionally functioning as an engine installation hole for engine installation) on the front lower side. A rear frame 110, which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symmetrically to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has a left bracket installation hole 121 (conventionally functioning as an engine installation hole for engine installation) on the front lower side. A connection frame 130 connecting the left rear frame 120,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rear upper end of the left rear frame 120, and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left rear frame A first reinforcing tube 140 interconnecting the front lower portion of 120, and a second reinforcing tube 150 interconnec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left rear frame 120. It includes a rear frame 100 on which a seat structure including a seat, a mud guard, a suspension, and a rear wheel structure including a rear wheel are installed. At this time, the rear frame 100 has starting ends of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left rear frame 120 install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enter under frame 200 (frame for installing a footrest) (e.g. It is connected by welding.

이 경우,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미도시)의 경우, 상기 센터 언더 프레임(200)의 후방 양 측에서 후방을 향해 'ㅡ'자 형 구조로 개재되었는데, 이와 동일한 구조를 전기 이륜 자동차를 제작하는 데 사용하게 되면 상기 센터 언더 프레임(200)의 후방 측 공간에 배터리를 쉽게 수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In this case,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ar wheel bracket (not shown) for a two-wheeled vehicle, it was installed in a 'ㅡ'-shaped structure toward the rear on both rear sides of the center underframe 200, and the same structure is used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When used to manufacture, there is a problem in that the battery cannot be easily stored in the rear space of the center underframe 200.

또한,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미도시)의 경우, 서스펜션을 보조하여 쿠션감을 향상시키는 구조를 제시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Additionally, in the case of a conventional rear wheel bracket (not shown) for a two-wheeled vehicle, there is a problem in that it does not provide a structure that improves cushioning by assisting the suspension.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6-0064783호 (2016.06.08 공개)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2016-0064783 (published on June 8, 2016) 대한민국등록특허공보 제10-1839824호 (2018.03.13 등록)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10-1839824 (registered on March 13, 2018)

전술한 문제점을 해소함에 있어, 본 발명의 목적은 특이한 프레임 구조를 제시하여 전기 이륜 자동차를 제작함에 있어 배터리를 쉽게 인출입 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 공간을 확보하게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In solving the above-described problems,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that secures a battery storage space for easy insertion and extraction of batteries when manufacturing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by suggesting a unique frame structure. It is in

아울러, 본 발명의 목적은 특이한 프레임 구조를 제시하여 서스펜션을 보조하여 시트 쿠션감을 향상시키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을 제공함에 있다.In addition,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that improves seat cushioning by assisting suspension by suggesting a unique frame structure.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problems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problems to be solved that are not mentioned can be clearly understood by a person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belongs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There will be.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우측 브라켓 설치구를 구비하는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대칭되게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좌측 브라켓 설치구를 구비하는 좌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의 후방 상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의 전방 하단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보강 튜브, 및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보강 튜브를 포함하고,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과 머드 가드, 서스펜션 및 리어 휠을 포함하는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있어서,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우측 브라켓 설치구에 결합되는 우측 체결구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우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브라켓 우측 프레임;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좌측 브라켓 설치구에 결합되는 좌측 체결구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좌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과 대칭 형태로 구비되는 브라켓 좌측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브라켓 연결 프레임;을 포함하여 구성된다.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right rear frame that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and has a right bracket installation port on the lower front side, and a right rear frame that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symmetrically with the right rear frame. a left rear frame provided with a left bracket installation port on the front lower side, a connection frame connecting upper rear ends of the right rear frame and the left rear frame to each other, and a front lower end of the right rear frame and the left rear frame a first reinforcing tube interconnecting the portions, and a second reinforcing tube interconnecting a middle portion of the right rear frame and the left rear frame, a seat structure including a seat, a mud guard, a suspension, and a rear wheel. In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mounted on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including a rear frame on which a rear wheel structure is installed,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is provided with a right fastener coupled to the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at the front starting end and is directed toward the rear. A first right body frame provided to be inclined downward, and a second right plate extending parallel to the groun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toward the rear and having the rear wheel structure installed at the rear end. Bracket right frame including right body frame; A first left body frame having a left fastener coupled to the left bracket installation tool at the front start end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A bracket left frame including a second left body frame extending and having a left plate at a rear side end on which the rear wheel structure is installed,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bracket right frame; and a bracket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bracket right frame and the bracket left frame.

이 경우,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우측 체결구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좌측 체결구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In this case, the first righ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right fastener to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front and back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the second right body frame is the first right body frame.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body and is first bent i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and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forward direction.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body that is formed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wherein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from the left fastener in an anteroposterior positive direction downwardly toward the rear for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second left body frame include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and is first bent i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a rear end of the first body.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body that is secondarily bent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backward forward direction toward the rear,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이때,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하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may have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inner surfaces of lower portions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한편,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우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좌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ight body frame is a first body extending from the right fastener and having a straight bar shape with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ve directions, and extending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to the inside. A second body that is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and a third body that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to be inclined down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body, and the second righ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rear side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by first bending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It includes a second body in the shape of a straight bar and a third body in the shape of a straight bar, which is secondarily bent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ody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n the front and rear forward direction, The second left body frame may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may have a straight bar shape.

이때,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의 상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may have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third body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한편,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우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좌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Meanwhile, the first right body frame i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n the front and 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s formed on the inner side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that is first bent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body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to form the second body a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body that is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wherein the second right body frame is rear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The first left body frame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slopes downward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 body, a second body that is first bent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at the same angle as that of the first body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the rear of the second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body that is secondarily bent at a side e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s the second body,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wherein the second left body frame includes the first body. It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lef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and may have the shape of a straight bar.

이때,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의 하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may have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body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third body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

한편, 상기 우측 플레이트 및 상기 좌측 플레이트는, 개별적으로, 상기 머드 가드를 설치하기 위한 머드 가드 설치홀, 상기 서스펜션을 설치하기 위한 서스펜션 설치홀 및 상기 리어 휠을 설치하기 위한 리어 휠 설치홀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right plate and the left plate may be individually provided with a mud guard installation hole for installing the mud guard, a suspension installation hole for installing the suspension, and a rear wheel installation hole for installing the rear wheel. You ca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은,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전선 정리 브라켓;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further include at least one wire management bracket installed on a lower portion of the right frame of the bracket or the left frame of the bracket.

한편,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 상기 서스펜션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Meanwhile,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uspension when installed on the rear frame.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은 특이한 프레임 구조를 제시하여 전기 이륜 자동차를 제작함에 있어 배터리를 쉽게 인출입 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 공간을 확보하게 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unique frame structure to secure a battery storage space where the battery can be easily taken in and out when manufacturing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아울러,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은 특이한 프레임 구조를 제시하여 서스펜션을 보조하여 시트 쿠션감을 향상시킨다.In addition,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unique frame structure to assist suspension and improve seat cushioning.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효과는 이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기술을 가지는 사람에 의하여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The effects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not limited to those mentioned above, and other effects not mentioned will be clearly understoo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from the following description.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
Figures 1 and 2 are images taken of a frame for a conventional two-wheeled vehicle.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6 is an image taken of a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Figure 7 is an image taken of a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installed.

본 발명에 있어 첨부된 도면은 종래 기술과의 차별성 및 명료성, 그리고 기술 파악의 편의를 위해 과장된 표현으로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로서,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한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청구범위에 제시된 구성요소의 예시적 사항에 불과하고,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권리범위는 본 발명의 명세서 전반에 걸친 기술적 사상을 토대로 해석되어야 한다.In the present invention, the accompanying drawings may be shown in exaggerated expressions for differentiation and clarity from the prior art and for convenience in understanding the technology. In addition, the terms described below are terms defined in consideration of the functions in the present invention, and may vary depending on the intention or custom of the user or operator, so definitions of these terms should be made based on the technical content throughout the present specification. will be. Meanwhile, the examples are merely illustrative of the components presented in the claim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do not limit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he scope of the rights should be interpreted based on the technical idea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구성이 어떤 구성을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그 외 다른 구성을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을 의미한다.Throughout the specification, when a certain configuration is said to “include” a certain configuration, this means that other configurations may be further included rather than excluding other configurations, unless specifically stated to the contrary.

또한,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연결", "접속" 또는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 '직접적으로 접속' 또는 '직접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경우 만이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연결',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접속' 또는 '그 중간에 다른 구성을 개재한 채로 결합'되는 경우도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한다. 반면에, 어떤 구성이 다른 구성에 "직접 연결", "직접 접속" 또는 "직접 결합"되어 있다고 할 때는, 중간에 다른 구성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In addition,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connected,” “connected,” or “coupled” to another configuration, this does not only mean “directly connected,”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but also means “that.” This means that there may be cases of 'connection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connection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or 'combined with another configuration in the middle'. On the other hand, when a configuration is said to be “directly connected,” “directly connected,” or “directly coupled” to another configuration,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o other configuration exists in between.

또한, "전", "후", "상", "하", "좌", "우", "일 단", "타 단", "양 단" 등과 같은 방향성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개시된 도면들의 배향과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므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되고, "제 1", "제 2"등의 용어가 사용될 때 이는 각 구성을 구별하기 위한 용어로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는 안 된다. 아울러, 평행, 대칭, 전후 정방향(좌우 또는 상하로 틀어짐이 없는 방향성을 의미), 좌우 정방향(전후 또는 상하로 틀어짐이 없는 방향성을 의미), 동일 각도라는 용어는 제3자가 각도를 소정 범위 변경하였으나 외관적으로 개략적으로 평행, 대칭, 전후 정방향, 동일 각도로 인식되는 경우를 아우르는 용어로 사용한다.Additionally, when directional terms such as “front”, “back”, “top”, “bottom”, “left”, “right”, “one end”, “other end”, “both ends”, etc. are used, this refers to the disclosed drawings. They are used illustratively in relation to the orient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limiting, and when terms such as “first” and “second” are used, these are terms for distinguishing each configuration and should not be construed as restrictive. . In addition, the terms parallel, symmetrical, forward and backward (meaning directionality without deviation left and right or up and down), left and right direction (meaning directionality without deviation front and back or up and down), and same angle mean that a third party has changed the angle within a certain range. It is used as a term that encompasses cases that are perceived as roughly parallel, symmetrical, front-to-back, front-to-back, and at the same angle.

본 발명의 실시예의 특징을 보다 명확히 설명하기 위하여, 이하의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사람에게 널리 알려져 있는 사항들에 관해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실시예의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에 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In order to more clearly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the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detailed descriptions will be omitted regarding matters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o which the following embodiments belong. In addition, detailed description of parts in the drawings that are not related to the description of the embodiment will be omitted.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Hereinafter,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ttached drawings.

도 1 및 도 2는 종래의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이 장착된 상태를 촬영한 이미지이다.Figures 1 and 2 are images taken of a frame for a conventional two-wheeled vehicle, Figure 3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4 is a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Figure 5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ure 6 is a schematic perspective view of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n image taken of the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is mounted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FIG. 7 is an image taken of the state in which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mounted. .

이한,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을 설명한다.Hereinafter, with reference to FIGS. 1 to 7, rear wheel brackets 1000, 2000, and 3000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according to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먼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종래의 특정 이륜 자동차용 프레임을 사용하여 제작되는 전기 이륜 자동차에 장착된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특정 리어 프레임(100)을 포함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에 장착된다.First, the rear wheel brackets 1000, 2000, and 3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manufactured using a conventional frame for a specific two-wheeled vehicle. That is, the rear wheel brackets 1000, 2000, and 3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re mounted on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including a specific rear frame 100.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프레임(100)은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우측 브라켓 설치구(111)(종래에는 엔진 설치를 위한 엔진 설치구로 기능함)를 구비하는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대칭되게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좌측 브라켓 설치구(121)(종래에는 엔진 설치를 위한 엔진 설치구로 기능함)를 구비하는 좌측 리어 프레임(120)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후방 상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130)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전방 하단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보강 튜브(140), 및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중간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보강 튜브(150)를 포함하고, 시트(311)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310)과 머드 가드(321)(설치를 위한 레그(321a를 포함할 수 있다.), 서스펜션(322) 및 리어 휠(323)(전기 이륜 자동차의 특성 상 모터휠일 수 있다.)을 포함하는 리어 휠 구조물(320)이 설치되는 구성이다. 이때, 상기 리어 프레임(100)은 센터 언더 프레임(200)(발판 설치를 위한 프레임)의 후방 양 측에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110)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120)의 시작 단부가 설치(예: 용접 연결)되는 방식으로 연결된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frame 100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has a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111 (conventionally functioning as an engine installation hole for engine installation) on the front lower side. ) and a left rear frame (which conventionally functions as an engine installation hole for engine installation) which is inclined upwardly toward the rear symmetrically to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has a left bracket installation hole 121 on the front lower side (conventionally functioning as an engine installation hole for engine installation) 120), a connection frame 130 connecting the rear upper ends of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left rear frame 120, and a connection frame 130 of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left rear frame 120. It includes a first reinforcing tube 140 interconnecting the front lower portion, and a second reinforcing tube 150 interconnec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right rear frame 110 and the left rear frame 120, and the seat A seat structure 310 including 311, a mud guard 321 (may include a leg 321a for installation), a suspension 322, and a rear wheel 323 (due to the nature of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 motor It is a configuration in which a rear wheel structure 320 including a wheel is installed. At this time, the rear frame 100 is located on both sides of the rear of the center under frame 200 (frame for installing a footrest) at the right rear. The frame 110 and the starting end of the left rear frame 120 are connected by installation (eg, welding connection).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브라켓 우측 프레임(1100, 2100, 3100), 브라켓 좌측 프레임(1200, 2200, 3200) 및 브라켓 연결 프레임(1300, 2300, 330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rear wheel bracket (1000, 2000, 3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bracket right frame (1100, 2100, 3100), a bracket left frame (1200, 2200, 3200), and a bracket connection frame (1300, 2300, 3300).

이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전선 정리 브라켓(1400, 2400, 34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In this case, the rear wheel brackets (1000, 2000, 3000)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configured to further include wire management brackets (1400, 2400, 3400).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1100, 2100, 3100)은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우측 브라켓 설치구(111)에 결합되는 우측 체결구(1111, 2111, 3111)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 2110, 3110)과,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 2110, 31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320)이 설치되는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를 구비하는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1120, 2120, 31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acket right frame (1100, 2100, 3100) has a right fastener (1111, 2111, 3111) coupled to the right bracket installation port 111 at the front starting end, and has a first right sid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Body frames 1110, 2110, 3110, and the rear wheel structure 320 extending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2110, 3110, and the rear wheel structure 320 at the rear e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right body frame (1120, 2120, 3120) having right plates (1121, 2121, 3121) installed.

이 경우,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 2110, 3110)이 상기 우측 체결구(1111, 2111, 3111)에 결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종래의 상기 센터 언더 프레임(200)의 후방 양 측에서 후방을 향해 'ㅡ'자 형 구조로 개재되는 리어 휠 브라켓에서와 달리 상기 센터 언더 프레임(200)의 후방 측 상부에 배터리(340)를 쉽게 수납 설치할 수 있게 된다.(도 6 및 도 7 참조)In this case, because 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2110, 3110) is coupled to the right fastener (1111, 2111, 3111), the rear wheel bracket (1000, 1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0, 3000), unlike the conventional rear wheel bracket that is disposed in a '-' shaped structure toward the rear on both rear sides of the center under frame 200, has a battery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center under frame 200. (340) can be easily stored and installed (see FIGS. 6 and 7).

이때, 상기 우측 브라켓 설치구(111)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우측 체결구(1111, 2111, 3111)는 상기 우측 브라켓 설치구(111)에 삽입된 후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111 may have a 'ㄷ'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right fasteners (1111, 2111, 3111) are inserted into the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111 and then rivets and bolts. , can be fixed using screws, etc.

한편,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 2110, 3110)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리어 프레임(11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서스펜션(340)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상기 서스펜션(340)을 보조하여 시트 쿠션감을 향상시킴을 실험적으로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Meanwhile,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2110, and 311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uspension 340 when installed on the rear frame 110. Through this structure, it was clearly confirmed experimentally that the rear wheel brackets 1000, 2000, and 3000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st the suspension 340 and improve seat cushioning.

한편, 상기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는 상기 머드 가드(321)를 설치하기 위한 머드 가드 설치홀(1121a, 2121a, 3121a), 상기 서스펜션(322)을 설치하기 위한 서스펜션 설치홀(1121b, 2121b, 3121b) 및 상기 리어 휠(323)을 설치하기 위한 리어 휠 설치홀(1121c, 2121c, 3121c)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right plate (1121, 2121, 3121) has mud guard installation holes (1121a, 2121a, 3121a) for installing the mud guard 321, suspension installation holes (1121b) for installing the suspension 322, 2121b, 3121b) and rear wheel installation holes 1121c, 2121c, 3121c for installing the rear wheel 323.

이 경우, 상기 머드 가드(321)는 상기 레그(321a)를 상기 머드 가드 설치홀(1121a, 2121a, 3121a)에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서스펜션(322)은 서스펜션 설치홀(1121b, 2121b, 3121b)에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ud guard 321 can be installed with the leg 321a in the mud guard installation holes 1121a, 2121a, 3121a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and the suspension 322 can be installed through suspension installation. It can be installed in the holes (1121b, 2121b, 3121b)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그리고, 상기 리어 휠 설치홀(1121c, 2121c, 3121c)은 상기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의 하측 또는 후측에서 개구 함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리어 휠(323)은 그 축을 상기 리어 휠 설치홀(1121c, 2121c, 3121c)에 삽입한 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는 상기 리어 휠 설치홀(1121c, 2121c, 3121c)의 상측에 리어 휠 설치 보강홀(1121d, 2121d, 3121d)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사각 형태의 보강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측 홀과 상기 리어 휠 설치 보강홀(1121d, 2121d, 3121d)에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리어 휠(323)은 그 축을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하측 홀과 상기 리어 휠 설치홀(1121c, 2121c, 3121c)에 삽입한 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wheel installation holes (1121c, 2121c, 3121c) may have an opening and recessed shape at the lower or rear side of the right plate (1121, 2121, 3121), and the rear wheel 323 has its axis connected to the rear. It can be installed using a nut, etc. after inserting it into the wheel installation hole (1121c, 2121c, 3121c).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right plate (1121, 2121, 3121) may further include rear wheel installation reinforcement holes (1121d, 2121d, 3121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wheel installation holes (1121c, 2121c, 3121c). , when applying a square-shaped reinforcement plate, attach the right plate (1121, 2121, 3121) to the upper hol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rear wheel installation reinforcement hole (1121d, 2121d, 3121d)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and fixing the reinforcement plate, the rear wheel 323 can be installed by inserting its axle into the lower hol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rear wheel installation hole (1121c, 2121c, 3121c) using a nut, etc.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1200, 2200, 3200)은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좌측 브라켓 설치구(121)에 결합되는 좌측 체결구(1211, 2211, 3211)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 2210, 3210)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 2210, 32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320)이 설치되는 좌측 플레이트(1221, 2221, 3221)를 구비하는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1210, 2210, 321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bracket left frame (1200, 2200, 3200) has a left fastener (1211, 2211, 3211) coupled to the left bracket installation port 121 at the front starting end, and has a first left side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Body frames (1210, 2210, 3210), and a rear wheel structure (320) extending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1210, 2210, 3210) and the rear wheel structure (320) at the rear end.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left body frame (1210, 2210, 3210) having left plates (1221, 2221, 3221) installed.

이 경우,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 2210, 3210)이 상기 좌측 체결구(1211, 2211, 3211)에 결합되기 때문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종래의 상기 센터 언더 프레임(200)의 후방 양 측에서 후방을 향해 'ㅡ'자 형 구조로 개재되는 리어 휠 브라켓에서와 달리 상기 센터 언더 프레임(200)의 후방 측 상부에 배터리(340)를 쉽게 수납 설치할 수 있게 된다.(도 6 및 도 7 참조)In this case, since the first left body frame (1210, 2210, 3210) is coupled to the left fastener (1211, 2211, 3211), the rear wheel bracket (1000, 1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000, 3000), unlike the conventional rear wheel bracket that is disposed in a '-' shaped structure toward the rear on both rear sides of the center under frame 200, has a battery installed on the upper rear side of the center under frame 200. (340) can be easily stored and installed (see Figures 6 and 7).

이때, 상기 좌측 브라켓 설치구(121)는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상기 좌측 체결구(1211, 2211, 3211)는 상기 좌측 브라켓 설치구(121)에 삽입된 후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At this time, the left bracket installation port 121 may have a 'ㄷ' shaped cross section, and the left fasteners (1211, 2211, 3211) are inserted into the left bracket installation port 121 and then rivets and bolts. , can be fixed using screws, etc.

한편,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 2210, 3210)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리어 프레임(110)에 설치된 경우 상기 서스펜션(340)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를 통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2000, 3000)은 상기 서스펜션(340)을 보조하여 시트 쿠션감을 향상시킴을 실험적으로 명백하게 확인할 수 있었다.Meanwhile,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1210, 2210, and 321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uspension 340 when installed on the rear frame 110. Through this structure, it was clearly confirmed experimentally that the rear wheel brackets 1000, 2000, and 3000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assist the suspension 340 and improve seat cushioning.

한편, 좌측 플레이트(1221, 2221, 3221)는 상기 머드 가드(321)를 설치하기 위한 머드 가드 설치홀(1221a, 2221a, 3221a), 상기 서스펜션(322)을 설치하기 위한 서스펜션 설치홀(1221b, 2221b, 3221b) 및 상기 리어 휠(323)을 설치하기 위한 리어 휠 설치홀(1221c, 2221c, 3221c)을 구비할 수 있다.Meanwhile, the left plate (1221, 2221, 3221) has mud guard installation holes (1221a, 2221a, 3221a) for installing the mud guard 321, and suspension installation holes (1221b, 2221b) for installing the suspension 322. , 3221b) and rear wheel installation holes 1221c, 2221c, and 3221c for installing the rear wheel 323.

이 경우, 상기 머드 가드(321)는 상기 레그(321a)를 상기 머드 가드 설치홀(1221a, 2221a, 3221a)에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고, 상기 서스펜션(322)은 서스펜션 설치홀(1221b, 2221b, 3221b)에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this case, the mud guard 321 can be installed with the leg 321a in the mud guard installation holes 1221a, 2221a, 3221a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and the suspension 322 can be installed through suspension installation. It can be installed in the holes (1221b, 2221b, 3221b)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그리고, 상기 리어 휠 설치홀(1221c, 2221c, 3221c)은 상기 좌측 플레이트(1221, 2221, 3221)의 하측 또는 후측에서 개구 함입된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상기 리어 휠(323)은 그 축을 상기 리어 휠 설치홀(1221c, 2221c, 3221c)에 삽입한 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상기 좌측 플레이트(1221, 2221, 3221)는 상기 리어 휠 설치홀(1221c, 2221c, 3221c)의 상측에 리어 휠 설치 보강홀(1221d, 2221d, 3221d)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이때, 사각 형태의 보강 플레이트를 적용하는 경우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상측 홀과 상기 리어 휠 설치 보강홀(1221d, 2221d, 3221d)에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상기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와 상기 보강 플레이트를 고정하고, 상기 리어 휠(323)은 그 축을 상기 보강 플레이트의 하측 홀과 상기 리어 휠 설치홀(1221c, 2221c, 3221c)에 삽입한 후 너트 등을 이용하여 설치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rear wheel installation holes (1221c, 2221c, 3221c) may have an opening and recessed shape at the lower or rear side of the left plate (1221, 2221, 3221), and the rear wheel 323 has its axis at the rear. It can be installed using a nut, etc. after inserting it into the wheel installation hole (1221c, 2221c, 3221c). As a more specific example, the left plate (1221, 2221, 3221) may further include rear wheel installation reinforcement holes (1221d, 2221d, 3221d) on the upper side of the rear wheel installation holes (1221c, 2221c, 3221c). , when applying a square-shaped reinforcement plate, attach the right plate (1121, 2121, 3121) to the upper hol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rear wheel installation reinforcement hole (1221d, 2221d, 3221d)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and fixing the reinforcement plate, the rear wheel 323 can be installed using a nut, etc. after inserting its axle into the lower hole of the reinforcement plate and the rear wheel installation hole (1221c, 2221c, 3221c).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1200, 2200, 3200)은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1100, 2100, 3100)과 대칭 형태로 구비된다.The bracket left frame (1200, 2200, 3200) is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bracket right frame (1100, 2100, 3100).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1300, 2300, 3300)은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1100, 2100, 3100)과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1200, 2200, 3200)을 상호 연결하는 구성이다.The bracket connection frames (1300, 2300, 3300) are configured to interconnect the bracket right frame (1100, 2100, 3100) and the bracket left frame (1200, 2200, 3200).

각 프레임은 모두 금속재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호 용접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Each frame is preferably made of metal, and can be connected to each other by welding.

상기 전선 정리 브라켓(1400, 2400, 3400)은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1100, 2100, 3100) 또는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1200, 2200, 3200)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구성이다. 상기 전선 정리 브라켓(1400, 2400, 3400)은 'ㄷ'자 형태의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전기 이륜 자동차가 배터리, 컨트롤 유닛, 모터 기반으로 구동되는 특성 상 상기 리어 휠 구조물(320)(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 휠(332)이 모터휠일 수 있다.)로 연결되는 전선(330)이 삽입된 후 리벳, 볼트, 나사 등을 이용하여 고정시킬 수 있다.(도 7 참조)The wire management brackets (1400, 2400, 3400) are configured to be installed at least one lower part of the bracket right frame (1100, 2100, 3100) or the bracket left frame (1200, 2200, 3200). The wire management brackets 1400, 2400, 3400 may have a 'ㄷ' shaped cross section, and due to the nature of the electric two-wheeled vehicle being driven based on a battery, control unit, and motor, the rear wheel structure 320 (as described above) As shown, the wire 330 connected to the rear wheel 332 may be a motor wheel) can be inserted and fixed using rivets, bolts, screws, etc. (see FIG. 7).

이하,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2000), 및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3000)의 형태적인 차이를 설명한다. 전술한 공통적인 특징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한다.Hereinafter, the rear wheel bracket 1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rear wheel bracket 2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and the rear wheel bracket 2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difference in shape of the rear wheel bracket (3000) will be explained. Detailed description of the common features described above will be omitted.

이러한 형태적 차이는 상기 우측 체결구(1111, 2111, 3111)와 상기 좌측 체결구(1211, 2211, 3211) 사이이 거리가 상기 우측 플레이트(1121, 2121, 3121)와 상기 좌측 플레이트(1221, 2221, 3221) 사이의 거리보다 크기 때문에 발생한다.This morphological difference is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right fastener (1111, 2111, 3111) and the left fastener (1211, 2211, 3211) is the difference between the right plate (1121, 2121, 3121) and the left plate (1221, 2221, 3221) It occurs because it is greater than the distance between them.

제 1 실시예Example 1

특히,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1000)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한다.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rear wheel bracket 1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first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 3.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은, 상기 우측 체결구(1111)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진다.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1111 to a predetermined length slanted downward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ve directions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1120)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1120a) 및 상기 제 1 바디(1120a)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1120b)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second right body frame 1120 is a first body 1120a that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and is first bent inwar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a second body 1120b that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1120a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ront-to-back for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은, 상기 좌측 체결구(1211)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진다.The first left body frame 1210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1211 to a predetermined length slanted downward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ve directions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1220)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1220a) 및 상기 제 1 바디(1220a)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1220b)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The second left body frame 1220 is a first body 1220a that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1210 and is first bent inwar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t may be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body 1220b that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1220a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ront-to-back for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이때,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1300)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20)의 하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1300 may have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inner surfaces of the lower portions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1220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1110) 및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1210)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서스펜션(340)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1110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121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uspension 340.

제 2 실시예Second Embodiment

특히, 도 4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2000)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한다.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rear wheel bracket 2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secon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4 and 6.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2110)은, 상기 우측 체결구(2111)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2110a), 상기 제 1 바디(2110a)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2110b) 및 상기 제 2 바디(2110b)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21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right body frame 2110 includes a first body 2110a that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2111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ve directions toward the rear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first body (2110a) The second body 2110b is first bent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2110a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2110b to move backward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and includes a third body 2110c having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2120)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21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진다.The second right body frame 21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2110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2210)은, 상기 좌측 체결구(2211)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2210a), 상기 제 1 바디(2210a)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2210b) 및 상기 제 2 바디(2210b)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22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left body frame 2210 includes a first body 2210a that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2211,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in the front-to-rear forward direction toward the rear,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first body (2210a) A second body 2210b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by first bending inward at the rear end of 2210a), and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2210b to move backwards in the forward and backward directions. It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and includes a third body 2210c having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2220)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22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진다.The second left body frame 22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2210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이때,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2400)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2110)의 상기 제 3 바디(2110c)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2210)의 상기 제 3 바디(2210c)의 상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2400 is located within the upper portion of the third body 2110c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2110 and the third body 2210c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2210. It may have a straight bar shape that connects the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2110)의 상기 제 3 바디(2110c) 및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2210)의 상기 제 3 바디(2210c)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서스펜션(340)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third body 2110c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2110 and the third body 2210c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2210 is the suspension 340. It is preferable that it is equal to the downward slope angle of .

제 3 실시예Third Example

특히,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3000)의 형태적 특징을 설명한다.In particular, the morphological features of the rear wheel bracket 3000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third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with reference to FIGS. 5 and 7.

한편,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3110)은, 상기 우측 체결구(3111)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3110a), 상기 제 1 바디(3110a)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3110a)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3110b) 및 상기 제 2 바디(3110b)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3110b)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31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Meanwhile, the first right body frame 3110 includes a first body 3110a that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3111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ve directions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 second body (3110b) that is first bent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3110a)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body (3110a)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t includes a third body (3110c) that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3110b)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s the second body (3110b)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It is composed by: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3120)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31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진다.The second right body frame 31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3110 backwards and forwards toward the rear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3210)은, 상기 좌측 체결구(3211)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3210a), 상기 제 1 바디(3210a)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3210a)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3210b) 및 상기 제 2 바디(3210b)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3210b)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3210c)를 포함하여 구성된다.The first left body frame 3210 includes a first body 3210a that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3211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positive directions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first body 3210a A second body (3210b) that is first bent inward at the rear end of the body (3210a)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body (3210a)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the second body (3210b) 2. It includes a third body 3210c that is secondarily bent at the rear end of the body 3210b,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s the second body 3210b,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do.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3220)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3210)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진다.The second left body frame 3220 extends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3210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back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이때,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3400)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3110)의 상기 제 3 바디(3110c)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3210)의 상기 제 3 바디(3210c)의 하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질 수 있다.At this time,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3400 is located within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body 3110c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3110 and the third body 3210c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3210. It may have the form of a straight bar connecting the sides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전술한 바와 같이,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3110) 및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3210)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서스펜션(340)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As described above,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3110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3210 is preferably the same as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uspension 340.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은 특이한 프레임 구조를 제시하여 전기 이륜 자동차를 제작함에 있어 배터리를 쉽게 인출입 할 수 있는 배터리 수납 공간을 확보하게 하고, 서스펜션을 보조하여 시트 쿠션감을 향상시킨다.As described above,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presents a unique frame structure to secure a battery storage space for easily inserting and retracting the battery when manufacturing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d assists the suspension. Improves seat cushioning.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기초로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다른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이하 기술할 청구범위에 의하며, 상술한 발명의 구체적 내용을 토대로 정해져야 할 것이다.As described above,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the embodiments shown in the drawings, but this is merely illustrative,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equivalent other embodiments are possible based on common knowledge in the field to which the technology pertains. You must understand. Therefore, the true technical protection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based on the claims described below and should be determined based on the specific detail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본 발명은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관한 것으로, 전기 이륜 자동차와 관련된 산업 분야에 이용 가능하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d can be used in industrial fields related to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100: 리어 프레임
110: 우측 리어 프레임
111: 우측 브라켓 설치구
120: 좌측 리어 프레임
121: 좌측 브라켓 설치구
130: 연결 프레임
140: 제 1 보강 튜브
150: 제 2 보강 튜브
200: 센터 언더 프레임
310: 시트 구조물
311: 시트
320: 리어 휠 구조물
321: 머드 가드
321a: 레그
322: 서스펜션
323: 리어 휠
330: 전선
340: 배터리
1000, 2000, 3000: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1100, 2100, 3100: 브라켓 우측 프레임
1110, 2110, 3110: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
2110a, 3110a: 제 1 바디
2110b, 3110b: 제 2 바디
2110c, 3110c: 제 3 바디
1111, 2111, 3111: 우측 체결구
1120, 2120, 3120: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
1120a: 제 1 바디
1120b: 제 2 바디
1121, 2121, 3121: 우측 플레이트
1121a, 2121a, 3121a: 머드 가드 설치홀
1121b, 2121b, 3121b: 서스펜션 설치홀
1121c, 2121c, 3121c: 리어 휠 설치홀
1121d, 2121d, 3121d: 리어 휠 설치 보강홀
1200, 2200, 3200: 브라켓 좌측 프레임
1210, 2210, 3210: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
2210a, 3210a: 제 1 바디
2210b, 3210b: 제 2 바디
2210c, 3210c: 제 3 바디
1211, 2211, 3211: 좌측 체결구
1220, 2220, 3220: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
1220a: 제 1 바디
1220b: 제 2 바디
1221, 2221, 3221: 좌측 플레이트
1221a, 2221a, 3221a: 머드 가드 설치홀
1221b, 2221b, 3221b: 서스펜션 설치홀
1221c, 2221c, 3221c: 리어 휠 설치홀
1221d, 2221d, 3221d: 리어 휠 설치 보강홀
1300, 2300, 3300: 브라켓 연결 프레임
1400, 2400, 3400: 전선 정리 브라켓
100: rear frame
110: Right rear frame
111: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120: Left rear frame
121: Left bracket installation hole
130: connection frame
140: first reinforcement tube
150: second reinforcement tube
200: Center underframe
310: Sheet structure
311: sheet
320: Rear wheel structure
321: mud guard
321a: leg
322: Suspension
323: rear wheel
330: wire
340: battery
1000, 2000, 3000: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1100, 2100, 3100: Bracket right frame
1110, 2110, 3110: First right body frame
2110a, 3110a: first body
2110b, 3110b: second body
2110c, 3110c: third body
1111, 2111, 3111: Right fastener
1120, 2120, 3120: Second right body frame
1120a: first body
1120b: second body
1121, 2121, 3121: Right plate
1121a, 2121a, 3121a: Mud guard installation hole
1121b, 2121b, 3121b: Suspension installation hole
1121c, 2121c, 3121c: Rear wheel installation hole
1121d, 2121d, 3121d: Rear wheel installation reinforcement hole
1200, 2200, 3200: Bracket left frame
1210, 2210, 3210: 1st left body frame
2210a, 3210a: first body
2210b, 3210b: second body
2210c, 3210c: third body
1211, 2211, 3211: Left fastener
1220, 2220, 3220: Second left body frame
1220a: first body
1220b: second body
1221, 2221, 3221: Left plate
1221a, 2221a, 3221a: Mud guard installation hole
1221b, 2221b, 3221b: Suspension installation hole
1221c, 2221c, 3221c: Rear wheel installation hole
1221d, 2221d, 3221d: Rear wheel installation reinforcement hole
1300, 2300, 3300: Bracket connection frame
1400, 2400, 3400: Wire management bracket

Claims (10)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우측 브라켓 설치구를 구비하는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대칭되게 후방을 향해 상향 경사지게 구비되고 전방 하측에 좌측 브라켓 설치구를 구비하는 좌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의 후방 상측 단부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 프레임과,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의 전방 하단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1 보강 튜브, 및 상기 우측 리어 프레임과 상기 좌측 리어 프레임의 중간 부분을 상호 연결하는 제 2 보강 튜브를 포함하고, 시트를 포함하는 시트 구조물과 머드 가드, 서스펜션 및 리어 휠을 포함하는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리어 프레임을 포함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에 장착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에 있어서,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우측 브라켓 설치구에 결합되는 우측 체결구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우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는 브라켓 우측 프레임;
전방 시작 단부에 상기 좌측 브라켓 설치구에 결합되는 좌측 체결구를 구비하고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는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후방을 향해 지면에 평행하게 연장 형성되고 후방 측 단부에 상기 리어 휠 구조물이 설치되는 좌측 플레이트를 구비하는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과 대칭 형태로 구비되는 브라켓 좌측 프레임; 및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과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을 상호 연결하는 브라켓 연결 프레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 right rear frame that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has a right bracket installation hole on the front lower side, and a left rear frame that is symmetrical to the right rear frame and is inclined upward toward the rear and has a left bracket installation hole on the front lower side; , a connection frame interconnecting the rear upper end of the right rear frame and the left rear frame, a first reinforcement tube interconnecting the front lower end of the right rear frame and the left rear frame, and the right rear frame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omprising a second reinforcement tube interconnecting the middle portion of the left rear frame, and a rear frame on which a seat structure including a seat and a rear wheel structure including a mudguard, suspension, and rear wheel are installed. In the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mounted on,
A first right body frame having a right fastener coupled to the right bracket installation tool at the front start end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 bracket right frame including a second right body frame extending and having a right plate on which the rear wheel structure is installed at a rear end;
A first left body frame having a left fastener coupled to the left bracket installation tool at the front start end and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and parallel to the ground toward the rear at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A bracket left frame including a second left body frame extending and having a left plate at a rear side end on which the rear wheel structure is installed, and provided in a symmetrical form with the bracket right frame; and
A bracket connection frame connecting the bracket right frame and the bracket left frame to each other;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우측 체결구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좌측 체결구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연장 형성되되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및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right body frame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to a predetermined length slanted downward toward the front and back in the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second right body frame include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is first bent i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a rear end of the first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second body that is secondarily bent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backward for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first left body frame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to a predetermined length slanted downward in the forward and backward forward directions toward the rear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second left body frame include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first bent inwar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a rear end of the first body.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includes a second body that is secondarily bent to form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ront-to-rear forward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하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is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in left and right direction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우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좌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right body frame i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ront-back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s first bent i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and a third body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by being secondarily bent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ody and slanting downward toward the rear in the front and rear forward direction. It consists of:
The second righ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forward directions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is first bent inward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a second body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and a third body that is formed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the shape of a straight bar by being secondarily bent at a rear end of the second body and slanting downward toward the rear in the front and rear forward direction. It consists of:
The second lef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의 상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inner surface of the upper part of the third body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third body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우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우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고,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좌측 체결구에서 연장 형성되되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1 바디, 상기 제 1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내측으로 1차 절곡되어 상기 제 1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2 바디 및 상기 제 2 바디의 후방 측 단부에서 2차 절곡되어 상기 제 2 바디와 동일한 각도로 후방을 향해 하향 경사지게 소정 길이로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제 3 바디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제 2 좌측 바디 프레임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후방 측 단부에서 전후 정방향으로 후방을 향해 소정 길이로 연장 형성되고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first right body frame i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right fastener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to the inside. a second body that is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body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a second body that is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at the same angle as the second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body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of the furnac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second righ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a rear end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orward and backward forward directions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a first body that extends from the left fastener and is formed to have a predetermined length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extends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body to the inside. a second body that is bent to a predetermined length and inclined downwardly toward the rear at the same angle as the first body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nd a second body that is bent at the rear end of the second body at the same angle as the second body. It is configured to include a third body that is inclined downward toward the rear of the furnace and has a predetermined length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The second left body frame is formed to extend a predetermined length from the rear end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toward the rear in the front-rear positive direction and has a straight bar shape.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연결 프레임은,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와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상기 제 3 바디의 하단 부분 내측면을 좌우 정방향으로 상호 연결하는 직선형 바 형태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clause 6,
The bracket connection frame is characterized in that it has a straight bar shape that interconnects the third body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inner surface of the lower portion of the third body of the first left body frame in the left and right directions.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우측 플레이트 및 상기 좌측 플레이트는, 개별적으로, 상기 머드 가드를 설치하기 위한 머드 가드 설치홀, 상기 서스펜션을 설치하기 위한 서스펜션 설치홀 및 상기 리어 휠을 설치하기 위한 리어 휠 설치홀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ight plate and the left plate are individually provided with a mud guard installation hole for installing the mud guard, a suspension installation hole for installing the suspension, and a rear wheel installation hole for installing the rear wheel.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s.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 우측 프레임 또는 상기 브라켓 좌측 프레임의 하부에 적어도 하나 이상 설치되는 전선 정리 브라켓;
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At least one wire management bracket installed on the lower part of the right frame of the bracket or the left frame of the bracket;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further comprising: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우측 바디 프레임과 상기 제 1 좌측 바디 프레임의 하향 경사 각도는 상기 리어 프레임에 설치된 경우 상기 서스펜션의 하향 경사 각도와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기 이륜 자동차용 리어 휠 브라켓.
According to paragraph 1,
A rear wheel bracket for an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haracterized in that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first right body frame and the first left body frame is the same as the downward inclination angle of the suspension when installed on the rear frame.
KR1020220114161A 2022-09-08 2022-09-08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KR20240035112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61A KR20240035112A (en) 2022-09-08 2022-09-08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61A KR20240035112A (en) 2022-09-08 2022-09-08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112A true KR20240035112A (en) 2024-03-15

Family

ID=902729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161A KR20240035112A (en) 2022-09-08 2022-09-08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112A (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83A (en) 2014-11-28 2016-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rame for bike and electric bike with the frame
KR101839824B1 (en) 2016-12-26 2018-03-19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Frame for electric motorcycl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64783A (en) 2014-11-28 2016-06-08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Frame for bike and electric bike with the frame
KR101839824B1 (en) 2016-12-26 2018-03-19 주식회사 동양모터스 Frame for electric motorcycle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421766B2 (en) Frame car skeleton structure
US7347490B2 (en) Vehicle floor structure and vehicle body frame structure
US6824168B2 (en) Vehicle body rear part structure
US11731734B2 (en) Electric snowmobile
US7614684B2 (en) Vehicle body floor structure
US8419061B2 (en) Tractor
US8708079B2 (en) Vehicle body structure
EP2167367B1 (en) Scooter type vehicle
EP2669165A1 (en) Saddle-ride type vehicle
CN109291778B (en) Vehicle underfloor structure
US8931791B2 (en) Vehicle body frame and rear fender assembly for a motorcycle, and motorcycle including same
US8701812B2 (en) Towing tractor
CN110356349B (en) Rear bumper of vehicle
JP6452044B2 (en) Rear body structure of automobile
US20060076176A1 (en) Grab rail and muffler support structure
US9944342B2 (en) Straddle-type vehicle
US11807306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20110108337A1 (en) Battery-powered towing tractor
KR20240035112A (en) Rear wheel bracket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US20200361298A1 (en) Drive unit
JP3182938B2 (en) Reinforcement structure of car floor tunnel
KR102384323B1 (en) Frame for electric twowheeled vehicle and electric twowheeled vehicle comprising the same
CN112399945B (en) Frame structure of straddle type electric vehicle
US11939020B2 (en) Saddle-type vehicle and body frame structure thereof
CN110446653B (en) Saddle-ride type vehicl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