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5088A -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 Google Patents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5088A
KR20240035088A KR1020220114114A KR20220114114A KR20240035088A KR 20240035088 A KR20240035088 A KR 20240035088A KR 1020220114114 A KR1020220114114 A KR 1020220114114A KR 20220114114 A KR20220114114 A KR 20220114114A KR 20240035088 A KR20240035088 A KR 202400350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oise
air
low
resonance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4114A
Other languages
Korean (ko)
Inventor
최종인
고준빈
Original Assignee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국립한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4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5088A/en
Publication of KR202400350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5088A/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8/0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 F24F8/10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 F24F8/108Treatment, e.g. purification, of air supplied to human living or working spaces otherwise than by heating, cooling, humidifying or drying by separation, e.g. by filtering using dry filter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8Arrangement or mounting of filter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1/00Methods or devices for transmitting, conducting or directing sound in general;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6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 G10K11/172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using resonance effe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0Casings or covers
    • F24F2013/205Mounting a ventilator fan therei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24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 F24F2013/245Means for preventing or suppressing noise using reson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저소음부 및 저소음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공명부를 포함하고, 정화된 공기가 저소음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명부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low noise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section and a pair of resonance section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section, This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air intake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canceled out by a resonance unit as the purified air moves to the low-noise unit.

Description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Air purification device with noise reduction device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본 발명은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저소음부 및 저소음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공명부를 포함하고, 정화된 공기가 저소음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명부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low noise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section and a pair of resonance section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section, This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air intake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canceled out by a resonance unit as the purified air moves to the low-noise unit.

일반적으로, 공기정화기는 다양한 필터를 채용하여 대기 중에 담배연기, 먼지, 냄새 등의 미세입자를 걸러내어 청정한 공기를 배출하는 장치이다.In general, an air purifier is a device that uses various filters to filter out fine particles such as cigarette smoke, dust, and odors in the air and discharges clean air.

특허문헌 1에 따른 전기집진 장치는 당해 분야의 숙련자들에게 이미 널리 알려져 있듯이 전기장을 작용시켜 미세 입자를 대전시켜 간단하게 흡착시킬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As is already widely known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according to Patent Document 1 has a structure that can easily adsorb fine particles by charging them by applying an electric field.

이러한 종래기술의 전기집진 장치는 필터를 별도로 교환하지 않고서도 미세입자를 제거할 수 있지만 집진판에 먼지가 쌓이는 경우에 정화능력이 현저하게 떨어질 수밖에 없다.This prior art electrostatic precipitator can remove fine particles without separately replacing the filter, but if dust accumulates on the dust collection plate, the purification ability is bound to be significantly reduced.

우리나라의 겨울철 또는 이른 봄과 같이 건조하고 황사가 엄습하는 환경 하에서는 전술된 전기집진 장치를 이용 하여 실내에 정화된 공기를 공급함과 더불어서 가습을 제공해야 할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It is true that in a dry and yellow dust environment such as winter or early spring in Korea, there is an emerging need to supply purified air indoors using the above-mentioned electrostatic precipitator and to provide humidification.

특허문헌 1의 전기집진 장치는 가습기능을 제공하지 않아 별도의 가습기를 구매해야 하는 번거로움을 가질 수밖에 없을 것이다.The electrostatic precipitator of Patent Document 1 does not provide a humidification function, so you will inevitably have the inconvenience of purchasing a separate humidifier.

종래, 소위 '에어워셔'라는 명칭을 가지는 부분적 가습 기능을 가지는 공기정화기가 판매되고 있지만, 부분 함침되는 다수의 원판 등을 계속적으로 회전시켜 주어야 하며, 상시적인 강제 송풍이 있어야 하므로 전력 소비량 이 적지 않고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가 있다.Conventionally, air purifiers with a partial humidification function, so-called 'air washers', have been sold, but they require continuous rotation of a number of partially impregnated disks and constant forced ventilation, so the power consumption is not small. There is a problem with noise.

가정하여 강제 회전 및/또는 송풍을 하지 않는다면 '에어워셔'는 그 기능을 제대호 수행할 수 없을 것이다.Assuming that there is no forced rotation and/or blowing, the 'air washer' will not be able to perform its function properly.

또한, 일반적인 공기 정화장치도 모터에 의해 팬을 구동하여 실내에 필터링된 공기를 공급하는 방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전력 소모가 클 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소음을 발생시키게 된다.In addition, general air purification devices are configured to supply filtered air indoors by driving a fan with a motor, so not only do they consume a lot of power, but they also continuously generate noise.

즉, 이와 같이 종래 에어워셔나 공기 정화장치는 취침이 필요한 야간이나 집중이 필요한 업무시간에 소음으로 인한 스트레스 증가와 아울러 불면증 등을 유발하는 원인이 되었다.In other words, conventional air washers and air purifiers have become the cause of increased stress due to noise and insomnia at night when sleep is necessary or during work hours when concentration is required.

또한, 송풍기에 의한 공기 흡입을 할 경우 고회전을 요구하기 때문에 소비전력이 증가하고 운전 소음이 크고, 정화 효율을 높게 하기 위하여 필터의 두께를 두껍게 하거나 미세하게 할 경우 압력 손실이 커지게 되므로 정화 효율이 영향을 받게 되며 미세분진의 정화가 어려워 이에 포함된 산성, 알카리성 가스, 미생물 등을 정화할 수 없는 문제점 등이 있다.In addition, when air is sucked by a blower, high rotation is required, which increases power consumption and increases operating noise. In order to increase purification efficiency, if the thickness of the filter is thickened or made fine, pressure loss increases and purification efficiency decreases. It is difficult to purify fine dust, and there are problems such as the inability to purify acidic, alkaline gases, microorganisms, etc. contained in it.

따라서, 진공펌프의 진공압 혹은 압축기의 압축력에 의해 흡입되는 에어의 흡입소음을 저감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가 필요한 실정이다.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n air purifying device that can reduce the intake noise of air sucked by the vacuum pressure of a vacuum pump or the compression force of a compressor.

KR 20-0490253KR 20-0490253

본 발명은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필터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저소음부 및 저소음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공명부를 포함하고, 정화된 공기가 저소음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공명부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될 수 있는 공기정화장치에 관한 발명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nd more specifically, includes a low noise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from the bottom of the filter section and a pair of resonance section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section, This invention relates to an air purifying device in which air intake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can be canceled out by a resonance unit as the purified air moves to the low-noise unit.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저소음부; 및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공명부;를 포함하고, 정화된 공기가 상기 저소음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명부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된다.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present invention, a blower for sucking in external ai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 filter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wer uni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a low-noise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below the filter section; and a pair of resonating part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noise part, wherein, in the process of purified air moving through the low-noise part, air intake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canceled by the resonat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공명부는,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공명부; 상기 저소음부의 타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공명부; 및 상기 제1 공명부의 일측과 상기 제2 공명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소음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이 상기 홈부를 통해 상기 제1 공명부 및 상기 제2 공명부의 내부로 흡수된다.The resonanc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lurality of first resonance units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unit; a plurality of second resonance parts form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part; and a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sonant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sonant part, wherein vibration or noise caused by the air intake noise flows into the first resonant part and the second resonant part through the groove part. It is absorbed.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공명부는,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1 공명부;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제1-1 공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2 공명부;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제1-2 공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3 공명부;를 포함한다.The first reson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1-1 resonating part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A 1-2 resonating part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and formed below the 1-1 resonating part; It includes a 1-3 resonating part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noise part, and formed below the 1-2 resonating part.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3 공명부의 일단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된다.One end of the first-third resonator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제1 공명부는, 상기 제1 공명부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 상기 제1 공명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단턱;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상부단턱과 상기 하부단턱의 사이에 상기 홈부가 형성된다.The first resonating par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n upper step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esonating part; It includes a lower step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esonance portion, and the groove portion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tep and the lower step in a vertical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정화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로 인해 상기 정화된 공기가 상기 저소음부의 내부로 이동한다.It is formed below the filter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further includes a vacuum pump that moves the purified air, wherein the purified air moves into the low noise unit due to the vacuum pump.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저소음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된 공기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된 후, 외부로 배출된다.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noise por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and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fter air intake noise of the purified air is canceled.

진공펌프로 인해 저소음부로 유입되는 공기는 진공압력이나 흡입압력에 의한 흡입되는 공기 흡입소음의 특정 주파수와 저주파 및 중주파는 복수 개의 천공이 마련된 저소음부를 통과하면서 압력과 소음이 급격히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The air flowing into the low-noise section due to the vacuum pump has the effect of drastically lowering the pressure and noise as the specific frequency and low and medium frequencies of the air intake noise caused by vacuum pressure or suction pressure pass through the low-noise section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또한, 진공펌프로 인해 흐름이 유도된 공기들은 저소음부 내부를 단계적으로 이동하며 진동 또는 공명으로 인한 소음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 저소음부 내에서 정화된 공기의 흐름이 방향성이 변화됨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저소음부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공명부로 인해 공기의 진동과 소음은 더욱 감소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 air whose flow is induced by the vacuum pump moves step by step inside the low-noise section and can create noise due to vibration or resonance. The direction of the flow of purified air within the low-noise section changes, resulting in vibration and noise. can be reduced, and air vibration and noise can be further reduced due to the resonance unit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noise unit.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를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부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명부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부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의 작동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Figure 1 shows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shows a low-noi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shows another example of the shape of the reson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 low noise unit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Referring to Figure 6, the operating process of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is shown.

이하, 본 발명의 도면을 참고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 소개되는 실시 예들은 통상의 실시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예로서 제공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이하 설명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그리고, 도면들에 있어서, 장치의 크기 및 두께 등은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 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drawings. The embodiments introduced below are provided as examples so that the idea of the present invention can be sufficiently conveyed to ordinary practitioners. Accordingly,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below and may be embodied in other forms. Also, in the drawings, the size and thickness of the device may be exaggerated for convenience.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될 수 있다.The advantages and featur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methods for achieving them will become clear by referring to the embodiments described in detail below along with the accompanying drawings. However,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o the embodiments disclosed below and will be implemented in various different forms. These embodiments only serve to ensure that the disclosur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plete and that common knowledge in the technical field to which the present invention pertains is provided. It is provided to fully inform those who have the scope of the invention, and the present invention is only defined by the scope of the claims. Like reference numerals refer to like elements throughout the specification. The sizes and relative sizes of layers and regions in the drawings may be exaggerated for clarity of explanation.

본 발명에서 도 1을 기준으로'길이 방향'은 X축 방향이고, '폭 방향'은 Y축 방향이며, '수직 방향'은 z축 방향이다.In the present invention, based on Figure 1, the 'longitudinal direction' is the X-axis direction, the 'width direction' is the Y-axis direction, and the 'vertical direction' is the z-axis direction.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는 송풍부(100), 필터부(200), 진공펌프(300), 공명부(400), 저소음부(500) 및 배출부(600)로 구성되며 송풍부(100)는 공지의 기술인 블로워이며, 이는 공기의 유동을 일으키는 기계장치이다.The air purification device with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consists of a blower unit (100), a filter unit (200), a vacuum pump (300), a resonance unit (400), a low noise unit (500), and a discharge unit (600). The blowing unit 100 is a known technology blower, which is a mechanical device that causes air flow.

블로워는 약 0.01MPa 이상 0.1MPa 이하의 압력을 사용하며, 축류형 및 반경류형으로 나누어진다. 축류형은 날개차 입구와 출구의 유동 방향이 회전축과 일치하도록 형성되며 유체의 속도 증가, 압력에 비해 유량이 더 필요할 경우 사용한다. 예를 들어 프로펠러형 송풍기와 가정용 선풍기가 축류형 블로워를 사용할 수 있다.Blowers use a pressure of about 0.01 MPa or more and 0.1 MPa or less, and are divided into axial flow type and radial flow type. The axial flow type is formed so that the flow direction of the inlet and outlet of the impeller coincides with the rotation axis, and is used when an increase in fluid speed or a higher flow rate compared to pressure is required. For example, propeller-type blowers and household fans can use axial-flow blowers.

반경류형은 원심력에 의한 압력 증가가 목적이며, 유량보다는 압력이 필요한 곳에 사용된다. 블로워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radial flow type aims to increase pressure by centrifugal force and is used where pressure rather than flow rate is required. Since the blower is a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송풍부(100)의 하부에는 필터부(200)가 맞닿아 결합되고, 필터부(200)는 제1 필터부(210), 제2 필터부(220) 및 제3 필터부(230)로 구성된다.A filter unit 20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lowing unit 100, and the filter unit 200 consists of a first filter unit 210, a second filter unit 220, and a third filter unit 230. do.

구체적으로 송풍부(100)의 하부에는 제1 필터부(210)가 맞닿아 결합되고, 제1 필터부(210)의 하부에는 제2 필터부(220)가 맞닿아 결합되며, 제2 필터부(220)의 하부에는 제3 필터부(230)가 맞닿아 결합된다.Specifically, the first filter unit 21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blower unit 100, and the second filter unit 22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first filter unit 210. A third filter unit 230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220 in contact with it.

도 1에는 필터부(200)를 3개로 도시하였지만 필터부(20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터부(200)의 개수는 3개 이하 및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Although FIG. 1 shows three filter units 200, the number of filter units 20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filter units 200 may be three or more.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 않지만, 필터조립체(미도시)는 투명재질로 제조된 원통형 필터부(200) 내에 삽입되는데, 필터부(200) 속에 삽입된 필터조립체는 활성탄 필터이거나 헤파 필터 혹은 공지의 다양한 종류의 필터 중 어느 하나일 수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the filter assembly (not shown) is inserted into the cylindrical filter part 200 made of transparent material. The filter assembly inserted into the filter part 200 is an activated carbon filter, a HEPA filter, or various types of known filters. It may be any one of the filters.

이와 같이 블로워를 통해 흡입된 공기는 제1 필터부(210), 제2 필터부(220) 및 제3 필터부(23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공기 속에 포함된 미세한 분진이나 오염물질 혹은 유해 물질이 필터링된다.As the air sucked through the blower passes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210, second filter unit 220, and third filter unit 230, fine dust, contaminants, or harmful substances contained in the air are removed. filtered.

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는 재차 복수 개의 필터부(200)를 통과하면서 목적하는 정화기능을 수행한다. 상기한 복수 개의 필터부(200)는 정화의 대상에 따른 정화능을 지닌 필터로서, 필터부(200)의 외부면은 투명재질로 제조되어 그 내장된 필터의 오염정도를 육안으로 볼 수 있어 오염도에 따라 누구나 간편하게 교환할 수 있다.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passes through the plurality of filter units 200 again and performs the desired purification function. The plurality of filter units 200 described above are filters with a purification ability according to the target of purification. The outer surface of the filter unit 200 is made of a transparent material, so that the degree of contamination of the built-in filter can be seen with the naked eye. Anyone can easily exchange it.

후술하겠지만, 필터부(200)를 통과한 공기는 필터부(200)에 연결된 진공펌프(300)에 의해 저소음부(500)로 이동하게 되고, 저소음부(500)를 통과하면서 압력과 소음이 더욱 낮아지게 된다.As will be described later, the air that has pass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is moved to the low-noise unit 500 by the vacuum pump 300 connected to the filter unit 200, and as it passes through the low-noise unit 500, the pressure and noise are further reduced. It becomes lower.

필터부(200)의 하부에는 진공펌프(300)가 형성되며, 진공펌프(300)의 하부에는 저소음부(50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된다.A vacuum pump 300 is formed below the filter unit 200, and a low-noise unit 500 is formed to extend vertically below the vacuum pump 300.

필터부(200)를 통해 정화된 공기는 진공펌프(300)에 의해 저소음부(500)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공기가 저소음부(500)에서 필터부(200)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진공펌프(300)는 공지의 기술이므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The ai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can be moved to the low-noise unit 500 by the vacuum pump 300, and serves to prevent air from flowing back from the low-noise unit 500 to the filter unit 200. do. Since the vacuum pump 300 is a known technology, detailed description will be omitted.

도 2를 참고하여 저소음부(500)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저소음부(500)는 지지부(510), 제1 회전부(520), 제2 회전부(530) 및 천공(540)으로 구성된다.If the low-noise unit 500 is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FIG. 2, the low-noise unit 500 consists of a support unit 510, a first rotation unit 520, a second rotation unit 530, and a perforation 540.

저소음부(500)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소음부(500)의 외부면에는 복수 개의 천공(540)이 형성되며 복수 개의 천공(540)은 소정의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The low-noise part 500 is preferably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 plurality of perforations 540 are form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noise part 500, and the plurality of perforations 540 may be formed at predetermined intervals.

저소음부(500)의 내부에는 지지부(51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며, 지지부(510)의 상부에는 제1 회전부(520)가 결합된다.A support part 510 is formed to extend in the vertical direction inside the low-noise part 500, and a first rotating part 520 is coupled to the upper part of the support part 510.

제1 회전부(520)의 하부에는 제2 회전부(530)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이격되어 형성되며, 제1 회전부(520) 및 제2 회전부(530)에는 복수 개의 회전날개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A second rotating part 530 is formed below the first rotating part 520 and spaced apart at a predetermined interval, and a plurality of rotating blades are preferably formed on the first rotating part 52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530. .

제1 회전부(520)와 제2 회전부(530)는 지지부(510)를 중심으로 제자리에서 회전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저소음부(500)에 유입된 공기는 제1 회전부(520)와 제2 회전부(530)의 회전에 의해 저소음부(500)의 하부로 이동할 수 있다.It is preferable that the first rotating part 52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530 rotate in place around the support part 510, and the air flowing into the low-noise part 500 flows into the first rotating part 520 and the second rotating part ( It can move to the lower part of the low-noise unit 500 by rotating the 530.

이때, 공기가 진공펌프(300)를 통해 저소음부(500)의 내부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진공압 혹은 흡입압력에 의해 소음이나 진동이 발생할 수 있다.At this time, while air moves into the low-noise unit 500 through the vacuum pump 300, noise or vibration may be generated due to vacuum pressure or suction pressure.

이러한 소음이나 진동은 후술할 공명부(400)에 의해 감쇄시킬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도록 한다.Such noise or vibration can be attenuated by the resonance unit 400,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and a description of this will be provided later.

도 1을 참고하면, 저소음부(500)의 일단에는 제1 공명부(410)가 형성되고 저소음부(500)의 타단에는 제2 공명부(420)가 형성되며, 제1 공명부(410)는 제1-1 공명부(411), 제1-2 공명부(412), 제1-3 공명부(413)로 구성되며, 제2 공명부(420)는 제2-1 공명부(421), 제2-2 공명부(422) 및 제2-3 공명부(423)로 구성된다.Referring to FIG. 1, a first resonating part 410 is formed at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500 and a second resonating part 420 is formed at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part 500, and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is composed of a 1-1 resonant part 411, a 1-2 resonant part 412, and a 1-3 resonant part 413, and the second resonant part 420 is a 2-1 resonant part 421. ), a 2-2 resonant part 422, and a 2-3 resonant part 423.

제1-1 공명부(411)는 저소음부(500)의 일단의 일 지점에 결합되고, 제1-2 공명부(412)는 제1-1 공명부(411)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고 제1-3 공명부(413)는 제1-2 공명부(412)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된다.The 1-1 resonating part 411 is coupled to one point of the low noise part 500, and the 1-2 resonating part 412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1-1 resonating part 411. The 1-3 resonating part 413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1-2 resonating part 412.

제2-1 공명부(421)는 저소음부(500)의 타단의 일 지점에 결합되고, 제2-2 공명부(422)는 제2-1 공명부(421)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되고 제2-3 공명부(423)는 제2-2 공명부(422)의 하부에 맞닿아 결합된다.The 2-1 resonating part 421 is coupled to a point on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part 500, and the 2-2 resonating part 422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2-1 resonating part 421. The 2-3 resonating part 423 is coupled to the lower part of the 2-2 resonating part 422.

도 1에는 제1 공명부(410)와 제2 공명부(420)를 3개로 도시하였지만 제1 공명부(410) 및 제2 공명부(420)의 개수는 이에 국한되지 않고 필터부(200)의 개수는 3개 이하 및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In Figure 1, three first resonant parts 410 and two second resonant parts 420 are shown, but the number of first resonant parts 410 and second resonant parts 420 is not limited to this, and the number of filter parts 200 The number can be 3 or less and 3 or more.

확대도면을 참고하여 제1-1 공명부(411)를 설명하면, 제1 공명부(410)의 상부에는 상부단턱(4112)이 상부에서 하부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1 공명부(410)의 하부에는 하부단턱(4113)이 하부에서 상부로 돌출되어 형성된다.When explaining the 1-1 resonating part 411 with reference to the enlarged drawing, an upper step 4112 is formed on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and protrudes from the top to the lower part, and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In the lower part, a lower step 4113 is formed protruding from the bottom to the top.

상부단턱(4112)과 하부단턱(4113)의 사이에는 홈부(4111)가 형성되며, 이와 같은 구성은 제1 공명부(410) 및 제2 공명부(420)에 동일하게 형성된다.A groove portion 4111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tep 4112 and the lower step 4113, and this configuration is formed in the same way in the first resonating portion 410 and the second resonating portion 420.

즉, 제1 공명부(410)와 제2 공명부(420)는 저소음부(500)의 외부면에 맞닿아 형성되므로, 정화된 공기가 진공펌프(300)로 인해 저소음부(500)로 이동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진동이나 떨림을 감소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That is, since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resonating part 420 are formed in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low-noise part 500, the purified air moves to the low-noise part 500 by the vacuum pump 300. It has the effect of reducing vibration or tremor that occurs during the process.

구체적으로, 진공펌프(300)와 연결된 저소음부(500)의 진공압 혹은 흡입압력에 의해 저소음부(500) 내부로 실내공기가 흡입되는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흡입소음이 상쇄되고,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상쇄된 공기는 저소음부(500)를 이동하면서 압력이 낮아져 저주파 및 중주파의 소음이 저감된다.Specifically, in the process of indoor air being sucked into the low-noise section 500 by the vacuum pressure or suction pressure of the low-noise section 500 connected to the vacuum pump 300, the suction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canceled out, and the suction noise in the specific frequency band is canceled out. As the air whose noise has been canceled moves through the low-noise unit 500, its pressure is lowered, thereby reducing low- and mid-frequency noise.

진공펌프(300)로 인해 저소음부(500)로 유입되는 공기는 진공압력이나 흡입압력에 의한 흡입되는 공기 흡입소음의 특정 주파수와 저주파 및 중주파는 복수 개의 천공(540)이 마련된 저소음부(500)를 통과하면서 압력과 소음이 급격히 낮아진다.The air flowing into the low-noise section 500 due to the vacuum pump 300 is a specific frequency of the air intake noise caused by vacuum pressure or suction pressure, and the low and medium frequencies are generated by the low-noise section 500 provided with a plurality of perforations 540. As it passes through, the pressure and noise decrease drastically.

즉, 진공펌프(300)로 인해 흐름이 유도된 공기들은 저소음부(500) 내부를 단계적으로 이동하며 진동 또는 공명으로 인한 소음을 만들어낼 수 있는데, 저소음부(500) 내에서 정화된 공기의 흐름이 방향성이 변화됨으로 인해 진동과 소음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저소음부(500)의 외부면에 장착되는 공명부(400)로 인해 공기의 진동과 소음은 더욱 감소될 수 있다.That is, the air whose flow is induced by the vacuum pump 300 moves inside the low-noise section 500 step by step and can create noise due to vibration or resonance, and the flow of purified air within the low-noise section 500 By changing this direction, vibration and noise can be reduced, and air vibration and noise can be further reduced due to the resonance unit 400 mounted on the outer surface of the low-noise unit 500.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공명부(400) 형상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3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shape of the resonator 4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저소음부(500)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 공명부(410)를 설명하면 제1-1 공명부(411), 제1-2 공명부(412) 및 제1-3 공명부(413)로 구성되는 것을 동일하다.When explaining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formed at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500, it is divided into a 1-1 resonating part 411, a 1-2 resonating part 412, and a 1-3 resonating part 413. The composition is the same.

제1-1 공명부(411)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제1-1 공명부(411)의 상부에 형성되는 상부단턱(4112)은 형성되지 않고 하부단턱(4113)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When explaining based on the 1-1 resonating part 411, it is preferable that the upper step 4112 formed on the top of the 1-1 resonating part 411 is not formed and only the lower step 4113 is formed.

또한, 제1-3 공명부(413)의 일단은 수직 방향으로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중공부의 단면적이 넓어지는 형상, 즉 경사진 형상인 것이 바람직하다.In addition, one end of the 1-3 resonating part 413 preferably has a shape in which the cross-sectional area of the hollow part increases from the bottom to the top in the vertical direction, that is, an inclined shape.

전술한 제1-1 공명부(411)는 제2-1 공명부(421)와 동일하게 형성되며, 제1-3 공명부(413)는 제2-3 공명부(423)와 동일하게 형성되고, 이러한 제1 공명부(410) 및 제2 공명부(420)의 구성으로 인해 소음 저감이 가능한 목표 저감 주파수의 범위를 확장하여 소음 저감 효과를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The above-described 1-1 resonating part 411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2-1 resonating part 421, and the 1-3 resonating part 413 is formed in the same way as the 2-3 resonating part 423. This configuration of the first resonator 410 and the second resonator 420 has the advantage of maximizing the noise reduction effect by expanding the range of the target reduction frequency at which noise can be reduced.

도면에 도시되지 않지만, 제1 공명부(410)와 제2 공명부(420)의 내부에는 흡음재(미도시)가 삽입될 수 있으며 흡음재의 구성으로 진공펌프(300)에 의해 발생되는 진동소음 및 기류소음을 흡수 차단할 수 있어 기계적 소음이 장치 밖으로 직접 배출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가 있다.Although not shown in the drawing, a sound-absorbing material (not shown) may be inserted into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resonating part 420, and the composition of the sound-absorbing material absorbs vibration noise and nois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0. It can absorb and block airflow noise, which has the effect of blocking mechanical noise from being directly discharged out of the device.

다음으로,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Next, Figure 4 shows another embodiment of an air purifying device having a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제1 공명부(410)는 필터부(200)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고 제2 공명부(420)는 필터부(200)의 타단에 맞닿아 형성될 수 있다.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filter unit 200, and the second resonating part 420 may be form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filter part 200.

즉, 필터부(200)의 일단과 타단에 공명부(400)가 각각 결합되는 형상으로 외부 공기를 흡입부를 통해 필터부(200)로 이동시킬 경우 발생하는 이동소음, 진동소음 등을 상쇄시킬 수 있다.In other words, the resonance part 400 is coupled to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filter part 200, so that movement noise, vibration noise, etc. that occur when external air is moved to the filter part 200 through the suction part can be offset. there is.

이는 별도의 저소음부(500)를 갖출 필요가 없으며 필터부(200)를 통해 정화된 공기는 배출구를 통해 바로 외부로 배출될 수 있게 된다.This eliminates the need for a separate low-noise unit 500, and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can be discharged directly to the outside through the outlet.

즉, 공기가 제1 필터부(210), 제2 필터부(220) 및 제3 필터부(230)로 이동하는 동안 제1 공명부(410)와 제2 공명부(420)가 소음을 저감시켜줌으로써, 공기의 필터링과 진동, 소음 저감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That is, while the air moves to the first filter unit 210, second filter unit 220, and third filter unit 230, the first resonance unit 410 and the second resonance unit 420 reduce noise. This has the effect of simultaneously filtering air and reducing vibration and noise.

즉, 전술한 저소음부(500)를 갖출 필요가 없기 때문에 내부의 청소를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내부를 청결하고 위생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고, 구조가 단순화되어 제작이 용이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In other words, since there is no need to provide the above-described low-noise part 500, the interior can be cleaned more easily, which has the effect of keeping the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clean and hygienic, and the structure is simplified, making it easy to manufacture. There is an effect.

별도의 머플러(소음기) 구성을 요하지 않은 상태에서도, 동일한 소음 절감 효과를 거둘 수 있어 별도의 소음기 장착에 따른 비용의 절감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Even without the need for a separate muffler (silencer) configuration, the same noise reduction effect can be achieved, so cost savings from installing a separate silencer can be expected.

이때, 제1 공명부(410)와 제2 공명부(420)의 내부에는 흡음재가 삽입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흡음재의 재질로는 화이버글라스(Fiberglass)가 사용되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우레탄 폼이나 멜라닌 수지와 같은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흡음재가 사용될 수도 있다.At this time, it is preferable that a sound-absorbing material is inserted into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resonating part 420, and fiberglass was used as a material for the sound-absorbing material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It is not necessarily limited to this, and commonly used sound-absorbing materials such as urethane foam or melanin resin may be used.

흡음재가 구비된 제1 공명부(410) 및 제2 공명부(420)의 일 지점에는 필터부(200)의 내부를 향해 형성된 복수의 홈부(4111)가 형성되어 소음의 효과를 증대시킨다.A plurality of grooves 4111 are formed toward the inside of the filter unit 200 at one point of the first resonating part 410 and the second resonating part 420 equipped with a sound-absorbing material to increase the effect of noise.

본 발명의 일 예에 따른 흡음부재가 구비된 송풍기, 진공펌프(300) 및 종래 통상적인 송풍기의 소음 레벨은, 흡음부재가 구비된 송풍기의 소음의 발생이 가장 억제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으며, 특히 공기조화기가 대용량으로 사용될 경우에 소음 발생 억제 효과는 크게 나타날 수 있다.The noise levels of the blower equipped with a sound-absorbing member according to an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vacuum pump 300, and a conventional blower show that the noise generation of the blower equipped with a sound-absorbing member is suppressed the most, especially in air conditioning. If the device is used in large quantities, the noise suppression effect can be significant.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저소음부(500)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Figure 5 shows another embodiment of the low noise unit 500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저소음부(500)의 내부에는 소음흡수부(550) 및 차단부(560)가 형성되고, 저소음부(500)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며 저소음부(500)의 내부에는 차단부(560)가 맞닿아 형성된다.A noise absorbing part 550 and a blocking part 560 are formed inside the low noise part 500, the low noise part 500 is formed in a cylindrical shape, and the blocking part 560 is fitted inside the low noise part 500. It is formed by touching.

차단부(560)는 저소음부(500)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며 차단부(560)와 저소음부(500)는 지름이 상이한 것이 바람직하다.The blocking portion 560 is formed in the same shape as the low-noise portion 500, and the blocking portion 560 and the low-noise portion 500 preferably have different diameters.

차단부(56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소음흡수부(550)가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어 있다.Inside the blocking portion 560, a plurality of noise absorbing portions 550 are formed extend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저소음부(500)의 소음흡수 과정을 설명하면, 송풍부(100)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필터부(200)의 내부로 이동하고 필터부(200)를 통해 정화된 공기는 저소음부(500)로 이동한다.To explain the noise absorption process of the low-noise unit 500, external air moves into the inside of the filter unit 200 through the blower unit 100, and the air purified through the filter unit 200 is transferred to the low-noise unit 500. Go to

공기는 필터부(200)의 진공펌프(300)에 의해 저소음부(500)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이동소음, 진동소음 및 기계적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Air moves to the low-noise unit 500 by the vacuum pump 300 of the filter unit 200, and at this time, moving noise, vibration noise, and mechanical noise may occur.

소음은 저소음부(500)를 통과하게 되는데, 진공펌프(300)에 의하여 진행되는 소음은 저소음부(500)의 내부에 형성되는 소음흡수부(550)로 유입되고, 저소음부(500)의 내부를 경유하여 유출되는 각각의 소음은 상쇄효과가 발생되어 결과적으로 소음이 감소되는 장점이 있다.Noise passes through the low-noise section 500. The noise generated by the vacuum pump 300 flows into the noise-absorbing section 550 formed inside the low-noise section 500, and is absorbed into the inside of the low-noise section 500. There is an advantage in that each noise that flows out through creates a canceling effect, resulting in a reduction in noise.

즉, 공기가 저소음부(500)로 이동하면서 발생하는 소음은 1차적으로 소음흡수부(550)에 의해 상쇄되고, 2차적으로 저소음부(500)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공명부(400)에 의해 소음이 상쇄될 수 있게 된다.That is, the noise generated as air moves to the low-noise section 500 is primarily canceled by the noise absorbing section 550, and secondarily, the resonance section 400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noise section 500. The noise can be canceled out.

또한, 발생된 소음이 진공펌프(300)로 인해 공기가 유입되는 방향과 반대로 역류하여 필터부(200) 내부로까지 유입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는 매우 실용적인 효과가 있다.In addition, there is a very practical effect of preventing the generated noise from flowing backwards in the direction in which air flows due to the vacuum pump 300 and flowing into the filter unit 200.

다음으로, 도 6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의 작동과정을 요약하여 설명하도록 한다.Next, the operation process of the air purifying device with the noise reduction device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briefly explained with reference to FIG. 6.

먼저, 송풍부(100)가 본 발명의 내부로 외부공기를 흡입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후 외부공기가 송풍부(100)의 하부에 형성된 필터부(200)로 이동하고, 제1 필터부, 제2 필터부(220) 및 제3 필터부(230)를 거쳐 외부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오염물질 등을 필터링하게 된다.First, the blower 100 goes through a step of sucking external air into the interior of the present invention. Afterwards, the outside air moves to the filter unit 20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blower unit 100, and foreign substances contained in the outside air pass through the first filter unit, the second filter unit 220, and the third filter unit 230. , pollutants, etc. are filtered out.

필터부(200)의 하부에는 진공펌프(300)가 형성되고 진공펌프(300)에 의해 정화된 공기가 저소음부(500)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A vacuum pump 300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unit 200, and air purified by the vacuum pump 300 can move to the low noise unit 500.

저소음부(500)의 일단과 타단에는 각각 공명부(400)가 형성되고, 공기가 진공펌프(300)를 통해 저소음부(500)로 이동하여 저소음부(500)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특정 주파수 대역의 흡입소음 및 이동소음이 상쇄되고, 특정 주파수의 소음이 상쇄된 공기는 저소음부(500)를 이동하면서 압력이 낮아져 저주파 및 중주파의 소음이 저감된다.A resonance part 400 i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noise part 500, and air moves to the low-noise part 500 through the vacuum pump 300, and in the process of passing through the low-noise part 500,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generated. The intake noise and moving noise are canceled out, and the pressure of the air with the noise of a specific frequency canceled out moves through the low-noise unit 500, and the pressure is lowered, thereby reducing low- and mid-frequency noise.

이후, 저소음부(500)의 하부에 형성된 배출부(600)를 통해 정화된 공기가 외부로 배출된다.Thereafter, the purified air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through the discharge part 600 formed in the lower part of the low noise part 500.

본 발명의 정화된 공기가 저소음부(500)를 따라 이동하는 경우, 저소음부(500)의 내부면의 마모되는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다.When the purified air of the present invention moves along the low-noise section 500, the inner surface of the low-noise section 500 may be worn.

즉, 표면이 접하는 환경 중에 습기의 작용으로 인한 부식현상으로 상온의 공기 중에서 녹스는 대기부식이 발생할 수 있다.In other words, atmospheric corrosion, which causes rusting in air at room temperature, can occur due to corrosion caused by the action of moisture in the environment in which the surface is in contact.

이에, 본 발명의 저소음부(500)의 내부면에는 부식을 방지하고자 부식방지 코팅을 통해 코팅층이 형성된다.Accordingly, a coating layer is formed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noise unit 500 of the present invention through anti-corrosion coating to prevent corrosion.

상기 코팅층은 보다 구체적으로 부식 방지 코팅층으로, 장기간 사용에 따라 발생할 수 있는 저소음부(500) 내부면의 부식문제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The coating layer is more specifically an anti-corrosion coating layer, and is intended to prevent corrosion problems on the inner surface of the low-noise section 500 that may occur due to long-term use.

구체적으로, 상기 코팅층은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로 코팅된 것이며, 상기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은 용매, 경화제 및 분산제를 포함할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ating layer is coated with an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and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may include a solvent, a curing agent, and a dispersant.

상기 용매는 물(냉수, 열수), 주정, 탄소수 1 내지 4의 무수 또는 함수 저급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주정, 프로판올, 부탄올 등), 톨루엔, 페놀 및 상기 알코올류와 물과의 혼합용매 등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The solvent includes water (cold water, hot water), alcohol, anhydrous or hydrous lower alcohols having 1 to 4 carbon atoms (methanol, ethanol, alcohol, propanol, butanol, etc.), toluene, phenol, and mixed solvents of the alcohols and water. It can be used, but is not limited to this.

한편, 상기 경화제는 반응시간을 단축시켜 코팅층의 피막 물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이소사이네이트 수지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Meanwhile, the curing agent serves to improve the film properties of the coating layer by shortening the reaction time, and may be an isocinate resin, but is not limited thereto.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화제는 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p-톨루엔술포닐이소시아네이트, 2,4-톨루엔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자일렌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중에서 1종 또는 그 이상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Preferably, the curing agent is one of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p-toluenesulfonylisocyanate, 2,4-toluene diisocyanate, diphenylmethane-4,4'-diisocyanate, xylene diisocyanate, and hexamethylene diisocyanate. You can select one or more species and use them.

상기 분산제는 각종 혼합물의 분산성을 높여 계면 면적을 향상시켜 코팅제의 저장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서, 알카리금속 실리케이트, 마그네슘실리케이트 중에서 1종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지만, 마그네슘실리케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The dispersant serves to improve the storage stability of the coating agent by increasing the dispersibility of various mixtures and improving the interfacial area. One type may be selected from alkali metal silicate and magnesium silicate, but it is preferable to use magnesium silicate. do.

한편, 상기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은 기타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Meanwhile,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other additives.

상기 기타 첨가제의 종류는 폴리 실록산, 에폭시 수지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당해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부식 방지를 위한 코팅 조성물의 구성으로 채택할 수 있는 범위인 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The types of other additives may include polysiloxane, epoxy resin, etc., but are not limited thereto as long as they are in the range that can be adopted as a composition of the coating composition for self-corrosion prevention by those skilled in the art.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은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더 포함할 수 있다:Preferably,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may further includ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below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below:

[화학식 1][Formula 1]

[화학식 2][Formula 2]

여기서,here,

R1 및 R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카르복실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6 내지 30의 아릴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30의 알콕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며,R 1 and R 2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each independently represents hydrogen, a nitro group, a halogen group, a hydroxy group, a carbox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or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e having 2 to 30 carbon atoms. It is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nyl group,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nyl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ryl group having 6 to 30 carbon atoms,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oxy group having 1 to 30 carbon atoms,

L1 및 L2는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며, 각각 독립적으로 단일결합,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1 내지 20의 알킬렌기 및 치환 또는 비치환된 탄소수 2 내지 20의 알케닐렌기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L 1 and L 2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and are each independently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 single bo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ylene group having 1 to 20 carbon atoms, and a substituted or unsubstituted alkenylene group having 2 to 20 carbon atoms,

상기 R1, R2, L1 및 L2가 치환되는 경우, 수소, 시아노기, 니트로기, 할로겐기, 히드록시기, 카복실기,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기, 탄소수 1 내지 30의 알킬기, 탄소수 2 내지 30의 알케닐기 및 탄소수 2 내지 24의 알키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되며, 복수 개의 치환기로 치환되는 경우 이들은 서로 동일하거나 상이하다.When R 1 , R 2 , L 1 and L 2 are substituted, hydrogen, cyano group, nitro group, halogen group, hydroxy group, carboxyl group, alkoxy group of 1 to 10 carbon atoms, alkyl group of 1 to 30 carbon atoms, 2 carbon atoms It is substituted with a substituent selected from the group consisting of an alkenyl group having to 30 carbon atoms and an alkynyl group having 2 to 24 carbon atoms, and when substituted with a plurality of substituents, they are the same or different from each other.

상기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에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추가적으로 포함하는 경우, 각 유효성분의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로 부식 방지 효과를 더욱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층의 저소음부(500) 내부면에 대한 부착성 또한 극대화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When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additionally includes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not only can the anti-corrosion effect be further improved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mixing each active ingredient, but also the There is also an effect of maximizing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o the inner surface of the low noise section 500.

구체적으로,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이며,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일 수 있다:Specifically,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1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and the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2 may b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below:

[화학식 3][Formula 3]

[화학식 4][Formula 4]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은 용매 100 중량부에 대하여, 경화제 20 내지 40 중량부, 분산제 20 내지 40 중량부, 상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 및 상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 10 내지 20 중량부를 포함할 수 있다.More preferably,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includes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 curing agent, 20 to 40 parts by weight of a dispersant, 10 to 20 parts by weight of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based on 100 parts by weight of solvent. It may contain 10 to 20 parts by weight of the compound.

상기 중량범위에 의하는 경우, 각 성분의 혼합에 따른 상승 효과로 부식 방지 효과를 보다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상기 코팅층의 부착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다만, 상기 중량범위 미만이거나, 상기 중량범위를 초과하는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할 수 있다.In the case of the above weight range, not only can the corrosion prevention effect be maximized due to the synergistic effect of mixing each component, but also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can be maximized. However, if it is below the above weight range or exceeds the above weight range, the effect may be minimal.

[[ 제조예Manufacturing example ]]

코팅 조성물의 제조Preparation of coating composition

용매인 톨루엔에 경화제(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분산제(마그네슘실리케이트),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및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하기 표 1의 중량 범위로 혼합하고, 75℃를 유지하며, 2시간 동안 교반하여 상기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Toluene as a solvent was mixed with a curing agent (diphenylmethane diisocyanate), a dispersant (magnesium silicate),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below, and a 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below in the weight range shown in Table 1 below, and maintained at 75°C. , and stirred for 2 hours to prepare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한편, 상기 화합물들은 도쿄케미칼(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로부터 구입하여 이용하였다:Meanwhile, the above compounds were purchased from Tokyo chemical industry CO., LTD:

[화학식 3][Formula 3]

[화학식 4][Formula 4]

T1T1 T2T2 T3T3 T4T4 T5T5 T6T6 용매menstruum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100100 경화제hardener 3030 1515 2020 3030 4040 4545 분산제dispersant 3030 1515 2020 3030 4040 4545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3 -- 88 1010 1515 2020 2525 화학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Compound represented by formula 4 -- 88 1010 1515 2020 2525

(단위: 중량부)(Unit: parts by weight)

[[ 실험예Experiment example ]]

부식 방지 코팅층의 Anti-corrosion coating layer 부착성Adhesion 및 부식 방지 효과 실험 and corrosion prevention effect experiment

상기 제조예의 코팅 조성물을 알루미늄 강판 시험편에 열경화시켜 코팅층을 제조하였다.A coating layer was prepared by thermosetting the coating composition of the above production example on an aluminum steel sheet test piece.

1. 부착성 실험 1. Adhesion experiment

코팅층의 부착성 관련, 부착성은 KS D 6711의 알루미늄 및 알루미늄 합금의 도장판 및 조에 따라 측정하여, 코팅면이 완전이 박리된 경우를 0으로 설정하고, 코팅면이 전혀 박리되니 않은 경우를 10으로 하여 그 부착성의 정도를 지수로 평가하였다.Regarding the adhesion of the coating layer, the adhesion is measured according to the aluminum and aluminum alloy painted plates and plates of KS D 6711, and the case where the coating surface is completely peeled is set to 0, and the case where the coating surface is not peeled at all is set to 10. The degree of adhesion was evaluated as an index.

그 결과는 하기 표 2와 같다.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2 below.

T1T1 T2T2 T3T3 T4T4 T5T5 T6T6 부착성Adhesion 33 66 99 99 88 55

(단위: 지수)(Unit: index)

상기 표 2에 따르면, 본 발명의 부식 방지 코팅 조성물을 이용하여 코팅층을 형성하는 경우 비교적 우수한 부착성을 나타내는 것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T3 내지 T5에 의하는 경우, 부착성이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able 2, it was confirmed that when forming a coating layer using the anti-corrosion coating composi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relatively excellent adhesion was observed.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3 to T5, adhesion was confirmed to be maximized.

2. 부식 방지 효과 실험 2. Corrosion prevention effect experiment

KS D 9502의 염수분무 시험기로 시험하여 200 시간 경과 후, 변퇴색 및 변퇴화의 여부를 실험하였다.It was tested using a salt spray tester of KS D 9502 to determine whether the stool was discolored or deteriorated after 200 hours.

비교예로는 상기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경우로 실험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As a comparative example, an experiment was conducted in which the coating layer was not formed, and the results are shown in Table 3 below.

T1T1 T2T2 T3T3 T4T4 T5T5 T6T6 비교예Comparative example 내부식성Corrosion resistance ΧΧ

변퇴색 및 변퇴화가 생기지 않는 경우: ○ In cases where stool discoloration or deterioration does not occur: ○

5% 이내의 변퇴색 및 변퇴화가 생기는 경우: △ In case of faecal discoloration or deterioration of less than 5%: △

5% 이상의 변퇴색 및 변퇴화가 생기는 경우: ΧIn case of stool discoloration or deterioration of more than 5%: Χ

상기 표 3에 따르면, 상기 코팅층을 포함하는 경우, 대조군에 비해 부식 방지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특히, T3 내지 T5에 의하는 경우, 부식 방지 효과가 극대화됨을 확인하였다.According to Table 3, it can be confirmed that when the coating layer is included, the corrosion prevention effect is superior to that of the control group. In particular, in the case of T3 to T5, the corrosion prevention effect is confirmed to be maximized.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Although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have been described in detail abo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various modifications and improvements made by those skilled in the art using the basic concept of the present invention defined in the following claims are also possible. falls within the scope of rights.

100 : 송풍부,
200 : 필터부,
210 : 제1 필터부,
220 : 제2 필터부,
230 : 제3 필터부,
300 : 진공펌프,
400 : 공명부,
410 : 제1 공명부,
411 : 제1-1 공명부,
4111 : 홈부,
4112 : 상부단턱,
4113 : 하부단턱,
412 : 제1-2 공명부,
413 : 제1-3 공명부,
420 : 제2 공명부,
421 : 제2-1 공명부,
422 : 제2-2 공명부,
423 : 제2-3 공명부,
500 : 저소음부,
510 : 지지부,
520 : 제1 회전부,
530 : 제2 회전부,
540 : 천공,
550 : 소음흡수부,
560 : 차단부,
600 : 배출부.
100: blowing unit,
200: filter part,
210: first filter unit,
220: second filter unit,
230: third filter unit,
300: Vacuum pump,
400: resonance part,
410: first resonance section,
411: 1-1 resonance section,
4111: Home Department,
4112: upper step,
4113: lower step,
412: 1-2 resonance section,
413: 1-3 resonance section,
420: second resonance section,
421: 2-1 resonance section,
422: 2-2 resonance section,
423: 2-3 resonance section,
500: low noise section,
510: support part,
520: first rotating part,
530: second rotating part,
540: perforation,
550: noise absorbing part,
560: blocking unit,
600: Discharge unit.

Claims (7)

외부 공기를 흡입하는 송풍부;
상기 송풍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상기 외부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 오염물질을 필터링하는 필터부;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수직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저소음부; 및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과 타단에 형성되는 한 쌍의 공명부;를 포함하고,
정화된 공기가 상기 저소음부를 이동하는 과정에서 상기 공명부에 의해 특정 주파수 대역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 blower that sucks in external air;
a filter unit formed at a lower portion of the blower unit to filter foreign substances and contaminants contained in the external air;
a low-noise section extending vertically below the filter section; and
It includes a pair of resonance parts formed at one end and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part,
As the purified air moves through the low-noise section, air intake noise in a specific frequency band is canceled out by the resonance section.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명부는,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1 공명부;
상기 저소음부의 타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2 공명부; 및
상기 제1 공명부의 일측과 상기 제2 공명부의 타측에 형성되는 홈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기흡입소음에 의한 진동이나 소음이 상기 홈부를 통해 상기 제1 공명부 및 상기 제2 공명부의 내부로 흡수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1,
The resonance part is,
a plurality of first resonance parts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a plurality of second resonance parts formed in contact with the other end of the low noise part; and
It includes a groove formed on one side of the first resonant part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resonant part,
Vibration or noise caused by the air intake noise is absorbed into the first resonant part and the second resonant part through the groove part.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부는,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는 제1-1 공명부;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제1-1 공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2 공명부; 및
상기 저소음부의 일단에 맞닿아 형성되되, 제1-2 공명부의 하부에 형성되는 제1-3 공명부;를 포함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2,
The first resonance part is,
A 1-1 resonance part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A 1-2 resonating part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and formed below the 1-1 resonating part; and
A 1-3 resonant part formed in contact with one end of the low noise part, and formed below the 1-2 resonant part.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3 공명부의 일단은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폭 방향으로 기울어져 형성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3,
One end of the 1-3 resonant portion is formed to be inclined in the width direction from the bottom to the top.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공명부는,
상기 제1 공명부의 상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상부단턱; 및
상기 제1 공명부의 하부에 돌출되어 형성되는 하부단턱;을 포함하고,
수직 방향으로 상기 상부단턱과 상기 하부단턱의 사이에 상기 홈부가 형성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paragraph 4,
The first resonance part is,
an upper step protruding from the upper part of the first resonance portion; and
It includes a lower step protruding from the lower part of the first resonance portion,
The groove is formed between the upper step and the lower step in the vertical direction.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필터부의 하부에 형성되되, 정화된 공기를 이동시키는 진공펌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진공펌프로 인해 상기 정화된 공기가 상기 저소음부의 내부로 이동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clause 5,
It is formed at the bottom of the filter unit, and further includes a vacuum pump that moves the purified air,
The purified air moves into the low noise section due to the vacuum pump.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저소음부의 일측에 형성되는 배출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정화된 공기의 공기흡입소음이 상쇄된 후, 외부로 배출되는 것인
소음 저감장치를 지니는 공기정화장치.

According to clause 6,
It further includes a discharge part formed on one side of the low noise part,
After the air intake noise of the purified air is canceled out, it is discharged to the outside.
An air purifying device with a noise reduction device.

KR1020220114114A 2022-09-08 2022-09-08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KR20240035088A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14A KR20240035088A (en) 2022-09-08 2022-09-08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4114A KR20240035088A (en) 2022-09-08 2022-09-08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5088A true KR20240035088A (en) 2024-03-15

Family

ID=9027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4114A KR20240035088A (en) 2022-09-08 2022-09-08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5088A (e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53Y1 (en) 2018-01-29 2019-10-21 성성영 Low noise air purifi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0253Y1 (en) 2018-01-29 2019-10-21 성성영 Low noise air purifie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500882B2 (en) Air purifier having dehumidification function
CN201083419Y (en) Air-conditioning fan installed with centrifugal blower fan
CN105020824A (en) Fresh air system with effect of improving indoor air cleanness
CN2936402Y (en) Dust-removing, desulfurizing and de-nitrating device by dry and wet method
US8007555B2 (en) Filter with multiple sections of different media
CN104923025A (en) Domestic haze removing purifier
CN104501316A (en) Air cleaner and application thereof
CN209877219U (en) Wall-mounted fresh air purification device
KR20240035088A (en) Air purifier with noise reduction device
CN205717821U (en) Fresh air purifier
CN103047716A (en) Air processing unit
CN208487703U (en) A kind of air purifier that noise is small
CN104929977A (en) Centrifugal wind wheel
CN211901015U (en) Air blower for tap water plant
JP4888651B2 (en) Purified gas supply device
CN205435319U (en) Household air purifier equipment
KR102584425B1 (en) Filter and air purifier comprising it
CN217685363U (en) Novel high-efficient supply-air outlet
CN205639083U (en) Novel firefighting fan
CN202915480U (en) Air handling unit
CN217783815U (en) Ventilation fan with large exhaust air volume
CN215634012U (en) Axial-flow type fire-fighting smoke exhaust fan
CN210832482U (en) New fan housing of noise reduction
CN218177521U (en) Improved centrifugal ventilator
CN219423972U (en) Automobile air conditioner filter element with self-cleaning property