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887A -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887A
KR20240034887A KR1020247007502A KR20247007502A KR20240034887A KR 20240034887 A KR20240034887 A KR 20240034887A KR 1020247007502 A KR1020247007502 A KR 1020247007502A KR 20247007502 A KR20247007502 A KR 20247007502A KR 20240034887 A KR20240034887 A KR 202400348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efficient
coding unit
current
coding
determin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47007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표인지
류가현
박민수
박민우
정승수
최기호
최나래
최웅일
아니쉬 템즈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400348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887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02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element, parameter or selection affected or controlled by the adaptive coding
    • H04N19/13Adaptive entropy coding, e.g. adaptive variable length coding [AVLC] or context 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031Fixed length to variable length coding
    • H03M7/4037Prefix coding
    • H03M7/4043Adaptive prefix coding
    • H03M7/4068Parameterized codes
    • H03M7/4075Golomb cod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a set of transform coeffici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1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 H04N19/169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 H04N19/184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adaptive coding characterised by the coding unit, i.e. the structural portion or semantic portion of the video signal being the object or the subject of the adaptive coding the unit being bits, e.g. of the compressed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7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characterised by syntax aspects related to video coding, e.g. related to compression standar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1Entropy coding, e.g. variable length coding [VLC] or arithmetic coding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MCODING; DECODING; CODE CONVERSION IN GENERAL
    • H03M7/00Conversion of a code where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given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to a code where the same, similar or subset of information is represented by a different sequence or number of digits
    • H03M7/30Compression; Expansion; Suppression of unnecessary data, e.g. redundancy reduction
    • H03M7/40Conversion to or from variable length codes, e.g. Shannon-Fano code, Huffman code, Morse code
    • H03M7/4006Conversion to or from arithmetic code
    • H03M7/4012Binary arithmetic codes
    • H03M7/4018Context adapative binary arithmetic codes [CABAC]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6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 H04N19/61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transform coding in combination with predictive cod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9/0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 H04N19/90Methods or arrangements for coding, decoding, compressing or decompressing digital video signals using coding techniqu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H04N19/10-H04N19/85, e.g. fractals
    • H04N19/98Adaptive-dynamic-range coding [ADR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ression Or Coding Systems Of Tv Signals (AREA)
  • Compression, Expansion, Code Conversion, And Decoders (AREA)
  • Compression Of Band Width Or Redundancy In Fax (AREA)

Abstract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 값을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역이진화함으로써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를 복호화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METHOD AND DEVICE FOR ENTROPY ENCODING COEFFICIENT LEVEL, AND METHOD AND DEVICE FOR ENTROPY DECODING COEFFICIENT LEVEL}
본 개시는 비디오의 부호화 및 복호화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의 레벨 정보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이다.
H.264 및 MPEG-4 등에서, 비디오 신호는 시퀀스, 프레임, 슬라이스, 매크로 블록 및 블록으로 계층적으로 분할되며, 블록은 최소 처리 유닛이 된다. 인코딩 측면에서, 인트라-프레임 또는 인터-프레임 예측을 통하여, 블록의 레지듀얼 데이터가 획득된다. 또한, 레지듀얼 데이터는 변환, 양자화, 스캐닝, 런 렝스 코딩(Run Length Coding) 및 엔트로피 코딩을 통하여 압축된다. 엔트로피 코딩시에는 신택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 예를 들어 변환 계수나 움직임 벡터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하여 비트스트림을 출력한다. 디코더 측면에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추출하고, 추출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에 기초하여 복호화가 수행된다.
본 개시가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복호화할 때,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개선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를 복호화하는 방법은,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파싱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파싱된 계수 레벨 정보를 역이진화함으로써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를 복호화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파싱된 계수 레벨 정보를 역이진화함으로써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를 부호화하는 방법은,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하는 단계; 및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를 부호화하는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하고,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1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b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2c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비정방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제1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4개의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가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도 1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엔트로피 부호화되는 변환 블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수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환 블록에 포함된 계수의 레벨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변환 블록에 포함된 계수의 레벨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2는 계수의 레벨 정보를 부호화하는 pseudo code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3은 계수의 레벨 정보를 부호화하는 pseudo code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6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및 변수들을 포함한다. 구성요소들과 "부"들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 (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 (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및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 는 주문형 반도체 (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 (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 (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프로세서" 는, 예를 들어, DSP 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용어 "메모리" 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용어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 (RAM), 판독-전용 메모리 (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 (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 (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 (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 (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에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이하, "영상"은 비디오의 정지영상와 같은 정적 이미지이거나 동영상, 즉 비디오 그 자체와 같은 동적 이미지를 나타낼 수 있다.
이하 "샘플"은, 영상의 샘플링 위치에 할당된 데이터로서 프로세싱 대상이 되는 데이터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공간영역의 영상에서 픽셀값, 변환 영역 상의 변환 계수들이 샘플들일 수 있다.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단위를 블록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실시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개시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6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a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신부(110) 및 복호화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 및 복호화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신부(110) 및 복호화부(12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비트스트림은 후술되는 영상 부호화 장치(2200)가 영상을 부호화한 정보를 포함한다. 또한 비트스트림은 영상 부호화 장치(150)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50) 및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수신부(110)는 유선 또는 무선을 통하여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수신부(110)는 광학미디어, 하드디스크 등과 같은 저장매체로부터 비트스트림을 수신할 수 있다.
복호화부(120)는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복호화부(120)는 영상을 복원하기 위한 신택스 엘리먼트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복호화부(120)는 신택스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영상을 복원할 수 있다.
복호화부(12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한 부호화 정보들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복호화할 수 있다. 부호화 정보들은 영상의 레지듀얼 데이터의 부호화 결과로서 양자화된 계수(coefficient)들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복호화부(120)는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이용하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수 있다. 복호화부(120)는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함으로써 계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동작에 대해서는 도 1b와 함께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도 1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복호화부(120)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도 1b를 참조하면,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비트스트림(6050)으로부터 복호화 대상인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 및 복호화를 위해 필요한 부호화 정보를 파싱한다. 부호화된 영상 데이터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서, 역양자화부(6200) 및 역변환부(62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로부터 레지듀얼 데이터를 복원한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파싱된 계수 레벨 정보를 역이진화함으로써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인트라 예측부(6400)는 블록 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한다. 인터 예측부(6350)는 블록 별로 복원 픽처 버퍼(63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6400) 또는 인터 예측부(6350)에서 생성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레지듀 데이터가 더해짐으로써 현재 영상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가 복원되고, 디블로킹부(6450) 및 SAO 수행부(6500)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6600)을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복원 픽쳐 버퍼(63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참조 영상으로서 출력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복호화부(120)에서 영상 데이터를 복호화하기 위해,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부(6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1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메모리(130) 및 메모리(130)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5)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동작들은 개별적인 프로세서로서 작동하거나, 중앙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메모리(130)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와,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메모리(13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5)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실행 시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25)로 하여금,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파싱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역이진화함으로써 상기 현재 계수의 크기를 획득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도 2a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부호화부(155) 및 출력부(160)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부(155) 및 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부(155) 및 출력부(16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가 수행할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부(155) 및 출력부(160)는 별도의 하드웨어로 구현되거나, 부호화부(155) 및 출력부(160)는 하나의 하드웨어에 포함될 수 있다.
부호화부(155)는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에 따라서, 현재 블록의 예측 블록을 획득하고, 현재 블록과 예측 블록의 차이값인 레지듀얼을 변환 및 양자화하여 부호화할 수 있다. 출력부(160)는 현재 블록의 예측 모드에 관한 정보 및 기타 계층적 분할 형태를 갖는 데이터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구조 정보 등을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고, 비트스트림을 출력할 수 있다.
부호화부(155)는 부호화 과정에서 생성된 부호화 정보들인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부호화부(155)는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coefficient)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부호화부(155)는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부호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도 2b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는,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부호화부(155)에서 영상 데이터를 부호화하는데 거치는 작업들을 수행한다.
즉, 인트라 예측부(7200)는 현재 영상(7050) 중 블록별로 인트라 예측을 수행하고, 인터 예측부(7150)는 블록별로 현재 영상(7050) 및 복원 픽처 버퍼(7100)에서 획득된 참조 영상을 이용하여 인터 예측을 수행한다.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15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를 현재 영상(7050)의 인코딩되는 블록에 대한 데이터로부터 빼줌으로써 레지듀얼 데이터를 생성하고, 변환부(7250) 및 양자화부(7300)는 레지듀얼 데이터에 대해 변환 및 양자화를 수행하여 블록별로 양자화된 변환 계수를 출력할 수 있다.
역양자화부(7450), 역변환부(750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역양자화 및 역변환을 수행하여 공간 영역의 레지듀얼 데이터를 복원할 수 있다. 복원된 공간 영역의 레지듀얼 데이터는 인트라 예측부(7200) 또는 인터 예측부(7150)로부터 출력된 각 블록에 대한 예측 데이터와 더해짐으로써 현재 영상(7050)의 블록에 대한 공간 영역의 데이터로 복원된다. 디블로킹부(7550) 및 SAO 수행부는 복원된 공간 영역의 데이터에 대해 인루프 필터링을 수행하여, 필터링된 복원 영상을 생성한다. 생성된 복원 영상은 복원 픽쳐 버퍼(7100)에 저장된다. 복원 픽처 버퍼(7100)에 저장된 복원 영상들은 다른 영상의 인터예측을 위한 참조 영상으로 이용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양자화된 변환 계수에 대해 엔트로피 부호화하고, 엔트로피 부호화된 계수가 비트스트림(7400)으로 출력될 수 있다.
후술되는 바와 같이,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가 영상 부호화 장치(150)에 적용되기 위해서,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부(7000)의 단계별 작업들이 블록별로 수행될 수 있다.
도 2c는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블록도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메모리(165) 및 메모리(165)에 접속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동작들은 개별적인 프로세서로서 작동하거나, 중앙 프로세서의 제어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또한,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메모리(165)는, 외부로부터 수신한 데이터와, 프로세서에 의해 생성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메모리(165)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실행 시에,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170)로 하여금,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하고,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먼저 하나의 픽처 (Picture)는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 또는 하나 이상의 타일(tile)로 분할될 수 있다. 하나의 슬라이스 또는 하나의 타일은 하나 이상의 최대 부호화 단위(Coding Tree Unit; CTU)의 시퀀스일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 (CTU)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최대 부호화 블록 (Coding Tree Block; CTB)이 있다.
최대 부호화 블록(CTB)은 NxN개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NxN 블록을 의미한다(N은 정수). 각 컬러 성분은 하나 이상의 최대 부호화 블록으로 분할될 수 있다.
픽처가 3개의 샘플 어레이(Y, Cr, Cb 성분별 샘플 어레이)를 가지는 경우에 최대 부호화 단위(CTU)란, 루마 샘플의 최대 부호화 블록 및 그에 대응되는 크로마 샘플들의 2개의 최대 부호화 블록과, 루마 샘플, 크로마 샘플들을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syntax elements)을 포함하는 단위이다. 픽처가 모노크롬(monochrome) 픽처인 경우에 최대 부호화 단위란, 모노크롬 샘플의 최대 부호화 블록과 모노크롬 샘플들을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단위이다. 픽처가 컬러 성분별로 분리되는 컬러 플레인(plane)으로 부호화되는 픽처인 경우에 최대 부호화 단위란, 해당 픽처와 픽처의 샘플들을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단위이다.
하나의 최대 부호화 블록(CTB)은 MxN개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MxN 부호화 블록(coding block)으로 분할될 수 있다 (M, N은 정수).
픽처가 Y, Cr, Cb 성분별 샘플 어레이를 가지는 경우에 부호화 단위(Coding Unit; CU)란, 루마 샘플의 부호화 블록 및 그에 대응되는 크로마 샘플들의 2개의 부호화 블록과, 루마 샘플, 크로마 샘플들을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단위이다. 픽처가 모노크롬 픽처인 경우에 부호화 단위란, 모노크롬 샘플의 부호화 블록과 모노크롬 샘플들을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단위이다. 픽처가 컬러 성분별로 분리되는 컬러 플레인으로 부호화되는 픽처인 경우에 부호화 단위란, 해당 픽처와 픽처의 샘플들을 부호화하는데 이용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포함하는 단위이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최대 부호화 블록과 최대 부호화 단위는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며, 부호화 블록과 부호화 단위는 서로 구별되는 개념이다. 즉, (최대) 부호화 단위는 해당 샘플을 포함하는 (최대) 부호화 블록과 그에 대응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데이터 구조를 의미한다. 하지만 당업자가 (최대) 부호화 단위 또는 (최대) 부호화 블록가 소정 개수의 샘플들을 포함하는 소정 크기의 블록을 지칭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으므로, 이하 명세서에서는 최대 부호화 블록과 최대 부호화 단위, 또는 부호화 블록과 부호화 단위를 특별한 사정이 없는 한 구별하지 않고 언급한다.
영상은 최대 부호화 단위(Coding Tree Unit; CTU)로 분할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최대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동일 크기의 정방형을 가질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는 16x16, 32x32, 64x64, 128x128, 256x256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트스트림으로부터 2분할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와 루마 블록 크기 차이에 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루마 블록 크기 차이에 대한 정보는 루마 최대 부호화 단위와 2분할이 가능한 최대 루마 부호화 블록 간의 크기 차이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2분할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와 루마 블록 크기 차이에 대한 정보를 결합하면, 루마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가 결정될 수 있다. 루마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면 크로마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도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컬러 포맷에 따라 Y: Cb : Cr 비율이 4:2:0 이라면, 크로마 블록의 크기는 루마 블록의 크기의 절반일 수 있고, 마찬가지로 크로마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루마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의 절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바이너리 분할(binary split)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에 대한 정보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므로, 바이너리 분할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는 가변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와 달리, 터너리 분할(ternary split)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는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I 픽처에서 터너리 분할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는 32x32이고, P 픽처 또는 B 픽처에서 터너리 분할이 가능한 루마 부호화 블록의 최대 크기는 64x64일 수 있다.
또한 최대 부호화 단위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로 계층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 정보로서, 쿼드분할(quad split)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다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 분할 방향 정보 및 분할 타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쿼드분할(quad split)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쿼드분할(QUAD_SPLIT)될지 또는 쿼드분할되지 않을지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쿼드분할되지 않으면, 다분할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더 이상 분할되지 않을지(NO_SPLIT) 아니면 바이너리/터너리 분할될지 여부를 나타낼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바이너리 분할되거나 터너리 분할되면, 분할 방향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 중 하나로 분할됨을 나타낸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수평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면 분할 타입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바이너리 분할 또는 터너리 분할로 분할함을 나타낸다.
분할 방향 정보 및 분할 타입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의 분할 모드가 결정될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수평 방향으로 바이너리 분할되는 경우의 분할 모드는 바이너리 수평 분할(SPLIT_BT_HOR), 수평 방향으로 터너리 분할되는 경우의 터너리 수평 분할(SPLIT_TT_HOR), 수직 방향으로 바이너리 분할되는 경우의 분할 모드는 바이너리 수직 분할 (SPLIT_BT_VER) 및 수직 방향으로 터너리 분할되는 경우의 분할 모드는 터너리 수직 분할 (SPLIT_BT_VER)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하나의 빈스트링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수신한 비트스트림의 형태는 Fixed length binary code, Unary code, Truncated unary code, 미리 결정된 바이너리 코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빈스트링은 정보를 2진수의 나열로 나타낸 것이다. 빈스트링은 적어도 하나의 비트로 구성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규칙에 기초하여 빈스트링에 대응하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나의 빈스트링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쿼드분할할지 여부, 분할하지 않을지 또는 분할 방향 및 분할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보다 작거나 같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최대 부호화 단위도 최대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이므로 부호화 단위의 하나이다.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에서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는 최대 부호화 단위와 같은 크기를 가진다.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최대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 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분할을 나타내는 경우 부호화 단위들은 더 작은 크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 될 수 있다. 다만, 영상의 분할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최대 부호화 단위 및 부호화 단위는 구별되지 않을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또한 부호화 단위로부터 예측을 위한 하나 이상의 예측 블록이 결정될 수 있다. 예측 블록은 부호화 단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로부터 변환을 위한 하나 이상의 변환 블록이 결정될 수 있다. 변환 블록은 부호화 단위와 같거나 작을 수 있다.
변환 블록과 예측 블록의 모양 및 크기는 서로 관련 없을 수 있다.
다른 실시예로, 부호화 단위가 예측 블록으로서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예측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가 변환 블록으로서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변환이 수행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분할에 대해서는 도 3 내지 도 16에서 보다 자세히 설명한다. 본 개시의 현재 블록 및 주변 블록은 최대 부호화 단위, 부호화 단위, 예측 블록 및 변환 블록 중 하나를 나타낼 수 있다. 또한, 현재 블록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는 현재 복호화 또는 부호화가 진행되는 블록 또는 현재 분할이 진행되고 있는 블록이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 이전에 복원된 블록일 수 있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으로부터 공간적 또는 시간적으로 인접할 수 있다. 주변 블록은 현재 블록의 좌하측, 좌측, 좌상측, 상측, 우상측, 우측, 우하측 중 하나에 위치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블록 형태는 4Nx4N, 4Nx2N, 2Nx4N, 4NxN, Nx4N, 32NxN, Nx32N, 16NxN, Nx16N, 8NxN 또는 Nx8N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N은 양의 정수일 수 있다. 블록 형태 정보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 방향, 너비 및 높이의 비율, 너비 및 높이의 크기 중 적어도 하나를 나타내는 정보이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정방형(square) 및 비정방형(non-square)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같은 경우(즉,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가 4Nx4N 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를 정방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을 비정방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다른 경우(즉,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가 4Nx2N, 2Nx4N, 4NxN, Nx4N, 32NxN, Nx32N, 16NxN, Nx16N, 8NxN 또는 Nx8N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를 비정방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이 비정방형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 정보 중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을 1:2, 2:1, 1:4, 4:1, 1:8, 8:1, 1:16, 16:1, 1:32, 32:1 중 적어도 하나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 및 높이의 길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가 수평 방향인지 수직 방향인지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 높이의 길이 또는 넓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어떤 형태로 분할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이용하는 블록 형태 정보가 어떤 블록 형태를 나타내는지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나타내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방법이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영상 복호화 장치(100) 및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블록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또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쿼드 분할(quad split)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분할하지 않음"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256x256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미리 약속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쿼드 분할로 결정할 수 있다. 쿼드 분할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를 모두 이등분하는 분할 형태 모드이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256x256 크기의 최대 부호화 단위로부터 128x128 크기의 부호화 단위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4x4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분할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정방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정방형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수직으로 분할할지, 수평으로 분할할지,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지 등을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300)의 블록 형태 정보가 정방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복호화부(12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30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310a)를 결정하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310b, 310c, 310d, 310e, 310f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으로 분할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310b)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두 개의 부호화 단위(310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네 개의 부호화 단위(310d)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수직방향으로 터너리(ternary)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직방향으로 분할한 세 개의 부호화 단위(310e)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방향으로 터너리 분할됨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300)를 수평방향으로 분할한 세 개의 부호화 단위(310f)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정방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분할 형태는 상술한 형태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나타낼 수 있는 다양한 형태가 포함될 수 있다. 정방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형태들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비정방형의 형태인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비정방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비정방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지 않을지 소정의 방법으로 분할할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방형의 형태를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되지 않음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와 동일한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410 또는 460)를 결정하거나, 소정의 분할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기초하여 분할된 부호화 단위(420a, 420b, 430a, 430b, 430c, 470a, 470b, 480a, 480b, 480c)를 결정할 수 있다. 비정방형의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소정의 분할 방법은 이하에서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구체적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형태를 결정할 수 있고, 이 경우 분할 형태 모드 정보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의 개수를 나타낼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두 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두 개의 부호화 단위(420a, 420b, 또는 470a, 47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방형의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방형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긴 변의 위치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긴 변을 분할하는 방향으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터너리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를 3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4:1 또는 1:4 일 수 있다.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4:1 인 경우,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길므로 블록 형태 정보는 수평 방향일 수 있다.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이 1:4 인 경우,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짧으므로 블록 형태 정보는 수직 방향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홀수개의 블록으로 분할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블록 형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의 분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부호화 단위(400)가 높이가 너비보다 큰 수직 방향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현재 부호화 단위(450)가 너비가 높이보다 큰 수평 방향인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5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 하여 부호화 단위(480a, 480b, 480c)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으며,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의 크기 모두가 동일하지는 않을 수 있다. 예를 들면, 결정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430b 또는 480b)의 크기는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들과는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어 결정될 수 있는 부호화 단위는 복수의 종류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경우에 따라서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가 각각 서로 다른 크기를 가질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홀수개의 블록으로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하여 생성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4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어 생성된 3개의 부호화 단위(430a, 430b, 430c, 480a, 480b, 480c)들 중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30b, 480b)에 대한 복호화 과정을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와 다르게 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중앙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430b, 480b)에 대하여는 다른 부호화 단위(430a, 430c, 480a, 480c)와 달리 더 이상 분할되지 않도록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만큼만 분할되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5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제3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간의 분할 전후 관계를 이해하기 위해 이용된 용어이다. 예를 들면,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면 제2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면 제3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용되는 제1 부호화 단위, 제2 부호화 단위 및 제3 부호화 단위의 관계는 상술한 특징에 따르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결정된 비정방형의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적어도 하나의 제3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520d 등)로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510)를 결정할 수 있으며, 제2 부호화 단위(51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500)가 분할된 방식에 따라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500)가 제1 부호화 단위(5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로 분할된 경우, 제2 부호화 단위(510) 역시 제2 부호화 단위(51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520a, 520b, 520c, 520d 등)으로 분할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관련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따라서 비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에서 정방형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고, 이러한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비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도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 또는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는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하나인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제4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복수개의 제4 부호화 단위(530a, 530b, 530c, 530d) 중 하나인 비정방형 형태의 제4 부호화 단위(530b 또는 530d)는 다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비정방형 형태의 제4 부호화 단위(530b 또는 530d)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다시 분할될 수도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에 이용될 수 있는 방법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3 부호화 단위(520a, 520b, 520c, 520d 등) 각각을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510)를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를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소정의 제3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c)에 대하여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또는 설정 가능한 횟수로 분할되어야 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510)에 포함되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520b, 520c, 520d)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520c)는 더 이상 분할되지 않거나, 소정의 분할 형태로 분할(예를 들면 4개의 부호화 단위로만 분할하거나 제2 부호화 단위(510)가 분할된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분할)되는 것으로 제한하거나, 소정의 횟수로만 분할(예를 들면 n회만 분할, n>0)하는 것으로 제한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520c)에 대한 상기 제한은 단순한 실시예들에 불과하므로 상술한 실시예들로 제한되어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가운데에 위치한 부호화 단위(520c)가 다른 부호화 단위(520b, 520d)와 다르게 복호화 될 수 있는 다양한 제한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기 위해 이용되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현재 부호화 단위 내의 소정의 위치에서 획득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한 방법을 도시한다.
도 6을 참조하면, 현재 부호화 단위(600, 650)의 분할 형태 모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65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샘플 중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 690))에서 획득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가 획득될 수 있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내의 소정 위치가 도 6에서 도시하는 가운데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소정 위치에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내에 포함될 수 있는 다양한 위치(예를 들면, 최상단, 최하단, 좌측, 우측, 좌측상단, 좌측하단, 우측상단 또는 우측하단 등)가 포함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 위치로부터 획득되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획득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를 다양한 형태 및 크기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개수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된 경우 그 중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방법은 다양할 수 있으며, 이러한 방법들에 대한 설명은 이하의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후술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하고,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650)를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또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또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 또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에 기초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결정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에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너비 또는 높이를 나타내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고, 이러한 너비 또는 높이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좌표 간의 차이를 나타내는 정보에 해당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픽쳐 내에서의 위치 또는 좌표에 대한 정보를 직접 이용하거나 좌표간의 차이값에 대응하는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함으로써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a, ya)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5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b, yb)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는 (xc, yc) 좌표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에 각각 포함되는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좌표를 이용하여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좌표를 오름차순 또는 내림차순으로 정렬하였을 때,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30b)의 좌표인 (xb, yb)를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좌측 상단의 샘플(630a, 630b, 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는 픽쳐 내에서의 절대적인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를 나타낼 수 있고, 나아가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기준으로,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b)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b, dyb)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상대적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dxc, dyc)좌표를 이용할 수도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샘플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로서 해당 샘플의 좌표를 이용함으로써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방법이 상술한 방법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샘플의 좌표를 이용할 수 있는 다양한 산술적 방법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할 수 있고,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의 기준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크기가 다른 부호화 단위(620b)를 선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a, ya)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b, yb) 좌표,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3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c, yc)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a, ya), (xb, yb), (xc, yc)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의 높이를 yb-ya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너비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너비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높이를 yc-yb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단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또는 높이와 상단 부호화 단위(62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부호화 단위(620a) 및 하단 부호화 단위(62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2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a)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d, yd) 좌표,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b)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e, ye) 좌표,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좌측 상단의 샘플(67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인 (xf, yf) 좌표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 각각의 너비 또는 높이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위치를 나타내는 좌표인 (xd, yd), (xe, ye), (xf, yf)를 이용하여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 각각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너비를 xe-xd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의 높이를 현재 부호화 단위(650)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너비를 xf-xe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높이를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높이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너비 또는 높이는 현재 부호화 단위(650)의 너비 또는 높이와 좌측 부호화 단위(660a) 및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의 너비 및 높이를 이용하여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660a, 660b, 660c)의 너비 및 높이에 기초하여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부호화 단위(660a) 및 우측 부호화 단위(660c)의 크기와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660b)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다른 크기를 갖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은 샘플 좌표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소정의 샘플 좌표에 따라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를 비교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다양한 과정이 이용될 수 있다.
다만 부호화 단위의 위치를 결정하기 위하여 고려하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좌측 상단으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임의의 샘플의 위치에 대한 정보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고려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선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가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방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현재 부호화 단위가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방형 형태라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위치를 달리 하는 부호화 단위들 중 하나를 결정하여 해당 부호화 단위에 대한 제한을 둘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각각의 위치를 나타내는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바이너리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고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한 구체적인 과정은 도 6에서 상술한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예를 들면,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 대응하는 과정일 수 있으므로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방형 형태의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한 소정의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과정에서 가운데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샘플에 저장된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할 수 있으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획득되는 위치를 고려하여,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할 수 있다. 즉,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분할 형태 모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에서 획득될 수 있으며, 상기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로 분할된 경우 상기 샘플(640)을 포함하는 부호화 단위(620b)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할 수 있다. 다만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로 결정하기 위해 이용되는 정보가 분할 형태 모드 정보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종류의 정보가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에서 이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식별하기 위한 소정의 정보는,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에 포함되는 소정의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복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600) 내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에서 획득되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블록 형태를 고려하여 상기 소정 위치의 샘플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가 분할되어 결정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620a, 620b, 620c) 중, 소정의 정보(예를 들면,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이 포함된 부호화 단위(620b)를 결정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서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가운데에 위치하는 샘플(640)을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샘플(640)이 포함되는 부호화 단위(620b)를 복호화 과정에서의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다. 다만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상술한 위치로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제한을 두기 위해 결정하려는 부호화 단위(620b)에 포함되는 임의의 위치의 샘플들로 해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는 현재 부호화 단위(600)의 형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형태 정보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가 정방형인지 또는 비정방형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형태에 따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의 위치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에 대한 정보 및 높이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 상에 위치하는 샘플을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또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에 관련된 블록 형태 정보가 비정방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을 반으로 분할하는 경계에 인접하는 샘플 중 하나를 소정의 정보가 획득될 수 있는 샘플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한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가 분할되어 생성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로부터 획득되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즉, 부호화 단위는 부호화 단위 각각에 포함된 소정 위치의 샘플에서 획득되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 분할 과정에 대하여는 도 5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이러한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복호화되는 순서를 소정의 블록(예를 들면, 현재 부호화 단위)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는 경우,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30a, 730b)를 결정하거나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50a, 750b, 750c, 750d)를 결정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수평 방향(710c)으로 처리되도록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30a, 730b)의 처리 순서를 수직 방향(730c)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750a, 750b, 750c, 750d)를 하나의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된 후 다음 행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래스터 스캔 순서((raster scan order) 또는 z 스캔 순서(z scan order)(750e) 등)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분할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을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 각각을 재귀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을 분할하는 방법은 제1 부호화 단위(700)를 분할하는 방법에 대응하는 방법이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710a, 710b, 730a, 730b, 750a, 750b, 750c, 750d)은 각각 독립적으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될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7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를 결정할 수 있고,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710a, 710b) 각각을 독립적으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로 분할할 수 있고,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는 분할하지 않을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다시 말해,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는 분할되기 직전의 부호화 단위들의 처리 순서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가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처리되는 순서를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와 독립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결정되었으므로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는 수직 방향(720c)으로 처리될 수 있다. 또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 및 우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b)가 처리되는 순서는 수평 방향(710c)에 해당하므로, 좌측의 제2 부호화 단위(7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720a, 720b)가 수직 방향(720c)으로 처리된 후에 우측 부호화 단위(710b)가 처리될 수 있다. 상술한 내용은 부호화 단위들이 각각 분할 전의 부호화 단위에 따라 처리 순서가 결정되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상술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고, 다양한 형태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들이 소정의 순서에 따라 독립적으로 처리될 수 있는 다양한 방법으로 이용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도 8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소정의 순서로 부호화 단위가 처리될 수 없는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임을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되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800)가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로 분할될 수 있고,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는 각각 독립적으로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좌측 부호화 단위(810a)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부호화 단위(810b)는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3 부호화 단위들(820a, 820b, 820c, 820d, 820e)이 소정의 순서로 처리될 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가 존재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800)를 재귀적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800),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또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가 분할되는 형태 중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 중 우측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가 홀수개의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로 분할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처리되는 순서는 소정의 순서(예를 들면, z-스캔 순서(z-scan order)(830))가 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가 홀수개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가 상기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800)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 820c, 820d, 820e)의 경계에 따라 제2 부호화 단위(810a, 810b)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예를 들면 비정방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810a)의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a, 820b)는 조건을 만족할 수 있다.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를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들의 경계가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의 너비 또는 높이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3 부호화 단위(820c, 820d, 820e)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우측 제2 부호화 단위(810b)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9는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분할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획득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분할할 수 있다.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는 4개의 정방형 형태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거나 또는 비정방형 형태의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 9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정방형이고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비정방형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900)를 복수개의 비정방형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것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들로서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또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920a, 920b, 920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900)에 포함되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920a, 920b, 920c)가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결정할 수 있으며, 상기 조건은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 920a, 920b, 920c)의 경계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반으로 분할되는지 여부와 관련된다. 도 9를 참조하면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910a, 910b, 91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920a, 920b, 920c)들의 경계가 제1 부호화 단위(900)의 너비를 반으로 분할하지 못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9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처리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지 못하는 것으로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조건 불만족의 경우 스캔 순서의 단절(disconnection)로 판단하고, 판단 결과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9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되는 경우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소정의 제한을 둘 수 있으며, 이러한 제한 내용 또는 소정 위치 등에 대하여는 다양한 실시예를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00), 비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930 또는 950)를 다양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분할할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가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제2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형태가 제한되는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신부(미도시)를 통해 획득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로 분할하는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는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010a, 1010b, 1020a, 1020b) 각각에 관련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거나 분할하지 않는 것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방형 형태의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평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만일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동일한 방향으로 분할되어 제3 부호화 단위(1014a, 1014b)가 결정된 경우,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0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010b)가 수평 방향으로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됨으로써 제3 부호화 단위(1012a, 1012b, 1014a, 1014b)가 결정될 수 있다. 하지만 이는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000)를 4개의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30a, 1030b, 1030c, 1030d)로 분할한 것과 동일한 결과이며 이는 영상 복호화 측면에서 비효율적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제1 부호화 단위(1000)가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020a 또는 1020b)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022a, 1022b, 1024a, 1024b)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 중 하나(예를 들면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한 경우, 상술한 이유에 따라 다른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하단 부호화 단위(1020b))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020a)가 분할된 방향과 동일하게 수직 방향으로 분할될 수 없도록 제한할 수 있다.
도 11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4개의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는 것을 나타낼 수 없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으나, 다양한 형태에 대한 정보에는 정방형 형태의 4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하기 위한 정보가 포함될 수 없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르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100)를 4개의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하지 못한다.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를 각각 독립적으로 분할할 수 있다. 재귀적인 방법을 통해 제2 부호화 단위(1110a, 1110b, 1120a, 1120b 등) 각각이 소정의 순서대로 분할될 수 있으며, 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분할되는 방법에 대응하는 분할 방법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2a, 1112b)를 결정할 수 있고,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4a, 111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110a) 및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110b) 모두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16a, 1116b, 1116c, 1116d)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4개의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2a, 1122b)를 결정할 수 있고,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4a, 1124b)를 결정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120a) 및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120b) 모두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126a, 1126b, 1126a, 1126b)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100)가 4개의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130a, 1130b, 1130c, 1130d)로 분할된 것과 동일한 형태로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도 12는 일 실시예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 간의 처리 순서가 부호화 단위의 분할 과정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도시한 것이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할 수 있다. 블록 형태가 정방형이고,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210a, 1210b, 1220a, 1220b 등)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만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는 각각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독립적으로 분할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결정할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의 분할 과정은 도 11과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순서에 따라 부호화 단위를 처리할 수 있다. 소정의 순서에 따른 부호화 단위의 처리에 대한 특징은 도 7와 관련하여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200)를 분할하여 4개의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분할되는 형태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의 처리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를 수평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좌측 제2 부호화 단위(121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c)를 수직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우측 제2 부호화 단위(121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b, 1216d)를 수직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21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를 처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생성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를 수직 방향으로 각각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결정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단 제2 부호화 단위(1220a)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를 수평 방향으로 먼저 처리한 후, 하단 제2 부호화 단위(1220b)에 포함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26c, 1226d)를 수평 방향으로 처리하는 순서(1227)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226a, 1226b, 1226c, 1226d)를 처리할 수 있다.
도 12를 참조하면,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1220a, 1220b)가 각각 분할되어 정방형 형태의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가 결정될 수 있다.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10a, 1210b)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220a, 1220b)는 서로 다른 형태로 분할된 것이지만, 이후에 결정되는 제3 부호화 단위(1216a, 1216b, 1216c, 1216d, 1226a, 1226b, 1226c, 1226d)에 따르면 결국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로 제1 부호화 단위(1200)가 분할된 결과가 된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상이한 과정을 통해 재귀적으로 부호화 단위를 분할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동일한 형태의 부호화 단위들을 결정하더라도, 동일한 형태로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서로 다른 순서로 처리할 수 있다.
도 13은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가 재귀적으로 분할되어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경우,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가 변함에 따라 부호화 단위의 심도가 결정되는 과정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를 소정의 기준에 따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정의 기준은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가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긴 변의 길이보다 2n (n>0) 배로 분할된 경우, 현재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분할되기 전의 부호화 단위의 심도보다 n만큼 심도가 증가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심도가 증가된 부호화 단위를 하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로 표현하도록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라 정방형 형태임을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0: SQUARE′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제3 부호화 단위(130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크기를 2Nx2N이라고 한다면,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를 1/2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2 부호화 단위(1302)는 NxN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나아가 제2 부호화 단위(1302)의 너비 및 높이를 1/2크기로 분할하여 결정된 제3 부호화 단위(1304)는 N/2xN/2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이 경우 제3 부호화 단위(130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1/4배에 해당한다.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30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너비 및 높이의 1/4배인 제3 부호화 단위(130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방형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예를 들면 블록 형태 정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방형임을 나타내는 ′1: NS_VER′ 또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방형임을 나타내는 ′2: NS_HOR′를 나타낼 수 있음)에 기초하여,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정방형 형태인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를 분할하여 하위 심도의 제2 부호화 단위(1312 또는 1322),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 등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10)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2, 1312, 1322 등)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또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20)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2, 1312, 1322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또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결정할 수 있고,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결정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02) 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02)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를 결정하거나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하거나 N/2xN/4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2xN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1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12)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 또는 N/2xN/4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NxN/2 크기의 제2 부호화 단위(1322)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를 분할하여 제3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4, 1314, 1324 등)를 결정할 수도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2 부호화 단위(1322)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04) 또는 N/4xN/2 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14)를 결정하거나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N/2xN/4크기의 제3 부호화 단위(1324)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1300, 1302, 1304)를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00)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10)를 결정하거나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2Nx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20)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심도가 부호화 단위의 가장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경우, 2Nx2N 크기의 제1 부호화 단위(1300)가 수평 방향 또는 수직 방향으로 분할되어 결정되는 부호화 단위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300)의 심도와 동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의 너비 및 높이는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1/4배에 해당할 수 있다.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심도가 D인 경우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너비 및 높이의 1/2배인 제2 부호화 단위(1312 또는 1322)의 심도는 D+1일 수 있고, 제1 부호화 단위(1310 또는 1320)의 너비 및 높이의 1/4배인 제3 부호화 단위(1314 또는 1324)의 심도는 D+2일 수 있다.
도 14는 일 실시예에 따라 부호화 단위들의 형태 및 크기에 따라 결정될 수 있는 심도 및 부호화 단위 구분을 위한 인덱스(part index, 이하 PID)를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분할하여 다양한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수직 방향 및 수평 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분할하여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를 결정할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 1406a, 1406b, 1406c, 1406d)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한 변의 길이와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의 긴 변의 길이가 동일하므로, 제1 부호화 단위(1400)와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2a, 1402b, 1404a, 1404b)의 심도는 D로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이에 반해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부호화 단위(1400)를 4개의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로 분할한 경우,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406a, 1406b, 1406c, 1406d)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40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수평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 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너비가 높이보다 긴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20)를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수직 방향으로 분할하여 복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22a, 1422b, 1424a, 1424b, 1424c)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비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 또는 142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따라 결정되는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 1414a, 1414b, 1414c. 1422A, 1422B, 1424a, 1424b, 1424c)는 긴 변의 길이에 기초하여 심도가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의 한 변의 길이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비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이므로,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2a, 1412b)의 심도는 비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심도 D보다 한 심도 하위의 심도인 D+1이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가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기초하여 비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홀수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는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c) 및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b)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비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c)의 긴 변의 길이 및 정방형 형태의 제2 부호화 단위(1414b)의 한 변의 길이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한 변의 길이의 1/2배 이므로, 제2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의 심도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의 심도인 D보다 한 심도 하위인 D+1의 심도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1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하는 상기 방식에 대응하는 방식으로, 너비가 높이보다 긴 비정방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20)와 관련된 부호화 단위들의 심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PID)를 결정함에 있어서,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b, 1414c) 중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즉,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두 개를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스캔 순서에 따라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즉 인덱스의 값의 불연속성이 존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이러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 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의 불연속성의 존재 여부에 기초하여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로부터 분할되어 결정된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을 구분하기 위한 인덱스의 값에 기초하여 특정 분할 형태로 분할된 것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분할하여 짝수개의 부호화 단위(1412a, 1412b)를 결정하거나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 각각을 구분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를 나타내는 인덱스(PID)를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PID는 각각의 부호화 단위의 소정 위치의 샘플(예를 들면, 좌측 상단 샘플)에서 획득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이용하여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들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높이가 너비보다 긴 직사각형 형태의 제1 부호화 단위(1410)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3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제1 부호화 단위(1410)를 3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로 분할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3개의 부호화 단위(1414a, 1414b, 1414c) 각각에 대한 인덱스를 할당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로 분할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기 위하여 각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를 비교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들의 인덱스에 기초하여 인덱스들 중 가운데 값에 해당하는 인덱스를 갖는 부호화 단위(1414b)를, 제1 부호화 단위(1410)가 분할되어 결정된 부호화 단위 중 가운데 위치의 부호화 단위로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된 부호화 단위들의 구분을 위한 인덱스를 결정함에 있어서, 부호화 단위들이 서로 동일한 크기가 아닌 경우, 부호화 단위들 간의 크기 비율에 기초하여 인덱스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제1 부호화 단위(1410)가 분할되어 생성된 부호화 단위(1414b)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와 너비는 동일하지만 높이가 다른 부호화 단위들(1414a, 1414c)의 높이의 두 배일 수 있다. 이 경우 가운데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b)의 인덱스(PID)가 1이라면 그 다음 순서에 위치하는 부호화 단위(1414c)는 인덱스가 2가 증가한 3일수 있다. 이러한 경우처럼 균일하게 인덱스가 증가하다가 증가폭이 달라지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다른 부호화 단위들과 다른 크기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분할 형태 모드 정보가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됨을 나타내는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홀수개의 부호화 단위 중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예를 들면 가운데 부호화 단위)가 다른 부호화 단위와 크기가 다른 형태로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할 수 있다. 이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에 대한 인덱스(PID)를 이용하여 다른 크기를 가지는 가운데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상술한 인덱스, 결정하고자 하는 소정 위치의 부호화 단위의 크기 또는 위치는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특정한 것이므로 이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다양한 인덱스, 부호화 단위의 위치 및 크기가 이용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이 시작되는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도 15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에 포함되는 복수개의 소정의 데이터 단위에 따라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된 것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소정의 데이터 단위는 부호화 단위가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재귀적으로 분할되기 시작하는 데이터 단위로 정의될 수 있다. 즉, 현재 픽쳐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최상위 심도의 부호화 단위에 해당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 상 편의를 위해 이러한 소정의 데이터 단위를 기준 데이터 단위라고 지칭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데이터 단위는 소정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는 MxN의 샘플들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M 및 N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으며, 2의 승수로 표현되는 정수일 수 있다. 즉, 기준 데이터 단위는 정방형 또는 비정방형의 형태를 나타낼 수 있으며, 이후에 정수개의 부호화 단위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를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로 분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를 분할하는 복수개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각각의 기준 데이터 단위에 대한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분할할 수 있다. 이러한 기준 데이터 단위의 분할 과정은 쿼드 트리(quad-tree)구조를 이용한 분할 과정에 대응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픽쳐에 포함되는 기준 데이터 단위가 가질 수 있는 최소 크기를 미리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소 크기 이상의 크기를 갖는 다양한 크기의 기준 데이터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결정된 기준 데이터 단위를 기준으로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하여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정방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0)를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비정방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2)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 및 크기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할 수 있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sequence), 픽쳐(picture), 슬라이스(slice), 슬라이스 세그먼트(slice segment), 타일(tile), 타일 그룹(tile group), 최대부호화단위 등)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수신부(미도시)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정방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3의 현재 부호화 단위(30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고, 비정방형 형태의 기준 부호화 단위(150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과정은 도 4의 현재 부호화 단위(400 또는 450)가 분할되는 과정을 통해 상술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소정의 조건에 기초하여 미리 결정되는 일부 데이터 단위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하기 위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식별하기 위한 인덱스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수신부(미도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상기 다양한 데이터 단위(예를 들면,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최대부호화단위 등) 중 소정의 조건(예를 들면 슬라이스 이하의 크기를 갖는 데이터 단위)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최대부호화 단위 등 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의 식별을 위한 인덱스만을 획득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인덱스를 이용함으로써 상기 소정의 조건을 만족하는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데이터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결정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상대적으로 작은 크기의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하는 경우, 비트스트림의 이용 효율이 좋지 않을 수 있으므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형태에 대한 정보 및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직접 획득하는 대신 상기 인덱스만을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를 나타내는 인덱스에 대응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는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미리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인덱스에 따라 선택함으로써, 인덱스 획득의 기준이 되는 데이터 단위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및 형태 중 적어도 하나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하나의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이용할 수 있다. 즉, 영상을 분할하는 최대 부호화 단위에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포함될 수 있고, 각각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재귀적인 분할 과정을 통해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최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 중 적어도 하나의 정수배에 해당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번 분할한 크기일 수 있다. 즉,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부호화단위를 쿼드 트리 구조에 따라 n 번 분할하여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고,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를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분할할 수 있다.
도 16은 일 실시예에 따라 픽쳐(1600)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하는 기준이 되는 프로세싱 블록을 도시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픽쳐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을 결정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이란, 영상을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포함하는 데이터 단위로서,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는 특정 순서대로 결정될 수 있다. 즉,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될 수 있는 다양한 순서의 종류 중 하나에 해당할 수 있으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에서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마다 결정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는 래스터 스캔(raster scan), Z 스캔(Z-scan), N 스캔(N-scan), 우상향 대각 스캔(up-right diagonal scan), 수평적 스캔(horizontal scan), 수직적 스캔(vertical scan) 등 다양한 순서 중 하나일 수 있으나, 결정될 수 있는 순서는 상기 스캔 순서들에 한정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영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가 나타내는 데이터 단위의 소정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수신부(미도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특정의 데이터 단위마다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는 영상,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등의 데이터 단위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될 수 있다. 즉 수신부(미도시)는 상기 여러 데이터 단위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를 이용하여 픽쳐를 분할하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으며, 이러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정수배의 크기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픽쳐(1600)에 포함되는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의 가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 가로크기의 4배, 세로크기를 기준 부호화 단위의 세로크기의 4배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프로세싱 블록의 크기에 기초하여 픽쳐(1600)에 포함되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을 결정할 수 있고,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은 기준 부호화 단위의 크기의 결정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싱 블록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획득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가 결정되는 순서를 결정할 수 있다.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 또는 방향으로 정의될 수 있다. 즉, 기준 부호화 단위들이 결정되는 순서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마다 독립적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특정 데이터 단위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수신부(미도시)는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영상, 시퀀스, 픽쳐, 슬라이스, 슬라이스 세그먼트, 타일, 타일 그룹, 프로세싱 블록 등의 데이터 단위로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프로세싱 블록 내에서의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를 나타내므로,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는 정수개의 프로세싱 블록을 포함하는 특정 데이터 단위 마다 획득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순서에 기초하여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수신부(미도시)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프로세싱 블록(1602, 1612)과 관련된 정보로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고,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기 프로세싱 블록(1602, 1612)에 포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하는 순서를 결정하고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따라 픽쳐(1600)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결정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602, 1612)과 관련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1604, 1614)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기준 부호화 단위의 결정 순서에 대한 정보가 프로세싱 블록마다 획득되는 경우, 각각의 프로세싱 블록(1602, 16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는 프로세싱 블록마다 상이할 수 있다. 프로세싱 블록(160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604)가 래스터 스캔(raster scan)순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60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다른 프로세싱 블록(1612)과 관련된 기준 부호화 단위 결정 순서(1614)가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인 경우, 프로세싱 블록(1612)에 포함되는 기준 부호화 단위는 래스터 스캔 순서의 역순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일 실시예에 따라, 결정된 적어도 하나의 기준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상술한 실시예를 통해 결정된 기준 부호화 단위에 기초하여 영상을 복호화 할 수 있다. 기준 부호화 단위를 복호화 하는 방법은 영상을 복호화 하는 다양한 방법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현재 부호화 단위의 형태를 나타내는 블록 형태 정보 또는 현재 부호화 단위를 분할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분할 형태 모드 정보는 다양한 데이터 단위와 관련된 비트스트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slice segment header), 타일 헤더(tile header), 타일 그룹 헤더(tile group header)에 포함된 분할 형태 모드 정보를 이용할 수 있다. 나아가,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최대 부호화 단위, 기준 부호화 단위, 프로세싱 블록마다 비트스트림으로부터 블록 형태 정보 또는 분할 형태 모드 정보에 대응하는 신택스 엘리먼트를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이하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할 규칙을 결정하는 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영상의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분할 규칙은 영상 복호화 장치(100) 및 영상 부호화 장치(150) 사이에 미리 결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영상의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시퀀스 파라미터 세트(sequence parameter set), 픽쳐 파라미터 세트(picture parameter set), 비디오 파라미터 세트(video parameter set), 슬라이스 헤더(slice header), 슬라이스 세그먼트 헤더(slice segment header), 타일 헤더(tile header), 타일 그룹 헤더(tile group header)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분할 규칙을 프레임, 슬라이스, 템포럴 레이어(Temporal layer), 최대 부호화 단위 또는 부호화 단위에 따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블록 형태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 모양, 너비 및 높이의 비율,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50) 및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블록 형태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결정할 것을 미리 결정할 수 있다. 하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영상 부호화 장치(150)로부터 수신된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모양은 정방형(square) 및 비정방형(non-square)을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같은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을 정방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길이가 같지 않은 경우,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모양을 비정방형으로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4x4, 8x4, 4x8, 8x8, 16x4, 16x8, ... , 256x256의 다양한 크기를 포함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크기는 부호화 단위의 긴변의 길이, 짧은 변의 길이또는 넓이에 따라 분류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동일한 그룹으로 분류된 부호화 단위에 동일한 분할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동일한 긴변의 길이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를 동일한 크기로 분류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동일한 긴변의 길이를 가지는 부호화 단위에 대하여 동일한 분할 규칙을 적용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너비 및 높이의 비율은 1:2, 2:1, 1:4, 4:1, 1:8, 8:1, 1:16 또는 16:1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부호화 단위의 방향은 수평 방향 및 수직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수평 방향은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긴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수직 방향은 부호화 단위의 너비의 길이가 높이의 길이보다 짧은 경우를 나타낼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허용가능한 분할 형태 모드를 다르게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이 허용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분할 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따라 허용가능한 분할 타입을 결정할 수 있다.
부호화 단위의 크기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결정하는 것은 영상 부호화 장치(150) 및 영상 복호화 장치(100) 사이에 미리 결정된 분할 규칙일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된 정보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의 위치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부호화 단위가 영상에서 차지하는 위치에 기초하여 분할 규칙을 적응적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영상 복호화 장치(100)는 서로 다른 분할 경로로 생성된 부호화 단위가 동일한 블록 형태를 가지지 않도록 분할 규칙을 결정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서로 다른 분할 경로로 생성된 부호화 단위는 동일한 블록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서로 다른 분할 경로로 생성된 부호화 단위들은 서로 다른 복호화 처리 순서를 가질 수 있다. 복호화 처리 순서에 대해서는 도 12와 함께 설명하였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도 17 내지 도 27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일 실시예에 따라서 영상 데이터에 포함된 계수를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은 도 1a의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복호화부(120) 및 도 2a의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부호화부(155), 또는 도 1c에 도시된 영상 복호화 장치(100)의 프로세서(125) 및 도 2c에 도시된 영상 부호화 장치(150)의 프로세서(170)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은 도 1b의 복호화부(6000)의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 및 도 2b의 부호화부(7000)의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에서 수행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최대 부호화 단위를 계층적으로 분할한 부호화 단위를 이용하여 부호화를 수행한다. 예측 과정 및 변환 과정에 이용되는 예측 블록 및 변환 블록은 다른 데이터 단위와 독립적으로 코스트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최대 부호화 단위에 포함된, 계층적인 구조의 부호화 단위들마다 재귀적으로 부호화가 수행되어 최적 부호화 단위가 결정됨으로써, 트리 구조에 따른 데이터 단위들이 구성될 수 있다. 즉, 최대 부호화 단위마다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 트리 구조의 예측 블록 및 변환 블록들이 결정될 수 있다. 복호화를 위해서 이러한 계층적 구조의 데이터 단위들의 구조 정보를 나타내는 정보인 계층 정보와, 계층 정보 이외에 복호화를 위한 계층외 정보가 전송될 필요가 있다.
계층적 구조와 관련된 정보는 전술한 도 3 내지 도 16에 설명된 트리 구조의 부호화 단위, 예측 블록, 및 변환 블록을 결정하기 위하여 필요한 정보로써, 최대 부호화 단위의 크기, 블록 형태 정보, 및 분할 형태 모드 정보 등을 포함한다.
계층적 구조 정보 이외의 부호화 정보로는 각 블록에 적용된 인트라/인터 예측의 예측 모드 정보, 움직임 벡터 정보, 예측 방향 정보, 복수 개의 컬러 성분이 이용된 경우 해당 데이터 단위에 적용된 컬러 성분 정보, 변환 계수 정보 등을 포함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계층 정보 및 계층외 정보는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의 대상인 신택스 엘리먼트(syntax element)로 지칭될 수 있다.
변환 블록에서의 레지듀얼 데이터는 픽셀 도메인에서 예측 블록과 오리지널 비디오 데이터 블록 사이의 픽셀 차이 값들을 나타낸다.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상기 픽셀 차이 값들을 주파수 도메인과 같은 변환 도메인에서의 변환 계수들로 변환할 수 있고, 추가적인 압축을 위하여 변환 계수들을 양자화할 수 있다. 영상 부호화 장치(150)는 상기 변환 계수의 양자화된 값, 즉 계수 레벨을, 후술하는 다양한 신택스 엘리먼트들로서 시그널링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변환 절차는 생략될 수 있고, 이 경우 변환 블록에 포함된 계수는 변환되지 않은 레지듀얼 데이터를 양자화한 양자화 계수를 나타낼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신택스 엘리먼트들 중 변환 블록에 포함되는 계수의 레벨, 즉 계수의 크기 정보를 효율적으로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하기 위한 것이다. 이하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엔트로피 부호화되는 변환 블록을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17에서는 변환 블록(1700)의 크기가 8x8인 경우를 도시하였으나, 변환 블록(1700)의 크기는 도시된 8x8에 한정되지 않고 4x4, 16x16, 32x32, 64x64, 128x128 등의 정방형, 또는 4x16, 16x4, 8x16,16x8, 8x32, 32x8, 16x64, 64x16 등의 비정방형의 다양한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7을 참조하면, 변환 블록(1700)에 포함된 계수들은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하여, 소정의 스캔 순서에 따라 직렬화되어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캔 순서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좌상측으로부터 시작되는 대각선 스캔 순서일 수 있다. 또는, 스캔 순서는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우하측으로부터 시작되는 역방향 대각선 스캔 순서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스캔 순서는 수평 스캔 순서, 수직 스캔 순서, 또는 지그재그 스캔 순서일 수 있다. 또는, 스캔 순서는 상술한 스캔 순서들의 역방향으로 설정될 수 있다. 다만, 스캔 순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변환 블록(1700)에 포함된 계수의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하여, 변환 블록(1700)은 더 작은 크기의 계수 그룹(coefficient group)들로 분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도 17에 도시된 것과 같이 계수 그룹(1710)은 변환 블록(1700)을 분할한 4x4 서브블록에 대응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변환 블록에서 스캔 순서대로 16개의 연속하는 계수들마다 계수 그룹이 구성될 수 있다.
변환 블록의 계수 레벨과 관련된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은 계수 그룹 단위로 처리될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되는 계수 레벨 정보의 처리 과정은 계수 그룹이 4x4 서브블록 형태인 경우를 예시로 하여 설명되나, 당업자는 다른 형태의 계수 그룹에 대해서도 본 개시가 적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도 1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계수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 및 복호화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의 크기는, 계수의 절대값이 특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 맵 정보와, 계수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크기 값을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로 부호화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벨 맵 정보로서, 계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유효 계수인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1810),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1820),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parity)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1830), 및 계수의 절대값이 소정의 수 X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1840)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수 X는 3 이상의 자연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수의 절대값이 3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gt3_flag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레벨 맵 정보로서, 계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유효 계수인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1810),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1820), 및 계수의 절대값이 소정의 수 X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1840)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상기 소정의 수 X는 2 이상의 자연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계수의 절대값이 2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gt2_flag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또한, 계수 레벨 정보로서,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1850) 및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1860)가 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부 신택스 엘리먼트가 생략되거나,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가 더 추가될 수 있다.
1810 단계에서,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이 0이 아닌 값을 갖는 유효 계수인지를 나타내는 유효성 맵(significant map)인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가 결정될 수 있다. sig_flag의 값은 0이 아닌 값을 갖는 계수들에 대하여 1로 결정될 수 있다.
1820 단계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가 1의 값을 갖는 유효 계수에 대하여, 해당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인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가 결정될 수 있다. gt1_flag가 1이면 해당 계수는 1보다 큰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내며, gt1_flag가 0이면 해당 계수는 1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낸다. 1810 단계에서 sig_flag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계수에 대한 gt1_flag은 시그널링되지 않으며, 0으로 간주된다.
1830 단계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가 1의 값을 갖는 유효 계수에 대하여, 해당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를 나타내는 플래그인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가 설정될 수 있다. par_flag가 1이면 해당 계수의 절대값은 홀수임을 나타내며, par_flag가 0이면 해당 계수의 절대값은 짝수임을 나타낸다. 1820 단계에서 gt1_flag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계수에 대한 par_flag는 시그널링되지 않으며, 0으로 간주된다. 일 실시예에서, 183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1840 단계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가 1의 값을 갖는 유효 계수에 대하여, 해당 계수의 절대값이 소정의 수 X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인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가 설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ar_flag가 시그널링되는 경우, 상기 소정의 수 X는 3 이상의 자연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par_flag가 시그널링되는 경우, 계수의 절대값이 3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gt3_flag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gt3_flag가 1인 경우, par_flag가 1이면 해당 계수가 4보다 큰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내며, par_flag가 0이면 해당 계수가 4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낸다. gt3_flag가 0인 경우, par_flag가 1이면 해당 계수는 3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내며, par_flag가 0이면 해당 계수는 2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낸다.
다른 실시예에서, par_flag가 시그널링되지 않는 경우, 상기 소정의 수 X는 2 이상의 자연수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ar_flag가 시그널링되지 않는 경우, 계수의 절대값이 2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gt2_flag가 시그널링 될 수 있다. gt2_flag가 1이면 해당 계수는 2보다 큰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내며, gt2_flag가 0이면 해당 계수는 2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임을 나타낸다.
1820 단계에서 gt1_flag가 0의 값을 가지는 경우, 해당 계수에 대한 gtX_flag는 시그널링되지 않으며, 0으로 간주된다.
일 실시예에서, 1840 단계 이후 1850 단계 이전에, 도 18에 도시되지 않은 하나 이상의 플래그, 예를 들어, 계수의 절대값이 n(n은 상기 X보다 큰 자연수)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n_flag 등이 더 시그널링될 수 있다. 예를 들어, par_flag가 시그널링되는 경우, 1840 단계에서 시그널링되는 gt3_flag에 더하여, 각각 계수의 절대값이 5, 7, 및 9보다 큰지를 나타내는 gt5_flag, gt7_flag, 및 gt9_flag 등이 더 시그널링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par_flag가 시그널링되지 않는 경우, 1840 단계에서 시그널링되는 gt2_flag에 더하여, 각각 계수의 절대값이 3, 4, 및 5보다 큰지를 나타내는 gt3_flag, gt4_flag, 및 gt5_flag 등이 더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1810 내지 1840 단계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신택스 엘리먼트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시그널링된 신택스 엘리먼트의 개수가 제한된 값을 초과하면, 1810 내지 1840 단계의 수행은 중단 또는 생략되고 1850 단계로 건너뛸 수 있다.
1850 단계에서, 이전 단계들에서 부호화가 완료되지 않은 계수들에 대하여,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가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계수의 절대값과, 기준 레벨(base level) 사이의 차이값을 갖는다. 상기 기준 레벨은 앞서 1810 내지 1840 단계에서 신택스 엘리먼트들로 이미 부호화된 값, 다시 말해 해당 계수가 가질 수 있는 최소의 절대값을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앞서 1810 내지 1840 단계에서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들, 즉 계수의 절대값이 특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레벨 맵 정보들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레벨은 1810 내지 1840 단계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시그널링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1860 단계에서, 이전 단계들에서 부호화가 완료되지 않은 계수들에 대하여,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이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의 시그널링 개수 제한에 의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X_flag가 모두 시그널링되지 않은 경우, 계수의 절대값 전체가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1860 단계는 생략될 수 있다.
도 1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19의 엔트로피 부호화 장치(1900)는 도 2b의 부호화부(7000)의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에 대응된다.
도 19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부호화 장치(1900)는 이진화부(Binarizer)(1910), 컨텍스트 모델러(Context modeler)(1920), 이진 산술 부호화부(Binary arithmetic coder)(1930)를 포함한다. 또한, 이진 산술 부호화부(1930)는 레귤러 코딩부(Regular coding engine)(1932)와 바이패스 코딩부(Bypass coding engine)(1934)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부호화 장치(1900)로 입력되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이진값이 아닐 수 있기 때문에,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이진값이 아닌 경우 이진화부(1910)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이진화하여 0 또는 1의 이진값들로 구성된 빈(Bin) 스트링을 출력한다. 빈(Bin)은 0 또는 1로 구성된 스트림의 각 비트를 나타내는 것으로, 빈들의 집합은 빈 스트링(bin string)으로 지칭될 수 있다. 이진화부(1910)는 신택스 엘리먼트의 유형에 따라서 고정길이 이진화(Fixed length binarization), 절단형 라이스 이진화(Truncated Rice binarization), k차 지수적 골롬 이진화(exp-Golomb binarization), 골롬-라이스 이진화 (Golomb-rice binarization)중 하나를 적용하여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0과 1의 빈들로 매핑하여 출력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이진화부(1910)는 계수의 절대적 또는 상대적 크기 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인 abs_remainder 및 abs_level을 골롬-라이스 이진화하기 위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할 수 있다.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구체적인 방법에 대하여는 후술한다.
라이스 파라미터가 결정되었을 때, 이진화부(1910)가 신택스 엘리먼트, 예를 들어 abs_remainder를 골롬-라이스 이진화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이진화부(1910)는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이용하여 다음의 수학식; cTrMax = 4 << cRiceParam 에 따라서 매개 변수 cTrMax를 획득한다. 매개변수 cTrMax는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를 프리픽스(Prefix)와 서픽스(Suffix)로 분할하는 기준이 된다.
이진화부(1910)는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의 값을 매개변수 cTrMax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매개변수 cTrMax를 초과하지 않는 값을 갖는 프리픽스와, 매개변수 cTrMax를 초과하는 부분을 나타내는 서픽스를 획득한다. 이진화부(1910)는 다음의 수학식; Prefix = Min(cTrMax, abs_remainder)을 통해 cTrMax를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프리픽스를 결정한다. 현재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가 cTrMax보다 큰 값을 갖는 경우에만 서픽스가 존재한다. 서픽스는 (abs_remainder - cTrMax)에 해당하는 값이다.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의 값이 cTrMax을 초과하지 않는 경우에는 프리픽스만이 존재한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의 값이 10이고, 매개변수 cTrMax가 7이라고 하면,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는 7의 값을 갖는 프리픽스와 3의 값을 갖는 서픽스로 분류된다. 다른 예로서,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의 값이 6이고, 매개변수 cTrMax가 7이라고 하면,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는 6의 값을 갖는 프리픽스로 분류되고 서픽스는 갖지 않는다.
이진화부(1910)는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의 값을 매개변수 cTrMax를 기준으로 분할하여 프리픽스와 서픽스가 결정되면, 프리픽스와 서픽스 각각을 미리 설정된 소정의 이진화 방식에 따라서 이진화하여 프리픽스 및 서픽스에 대응되는 비트열을 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진화부(1910)는 Min(cTrMax, abs_remainder)에 대응되는 값을 갖는 프리픽스를 절삭형 단형 이진화 방식(Truncated Unary Binarization)에 따라서 이진화하여 비트열을 출력하고, (abs_remainder - cTrMax) 에 대응되는 값을 갖는 서픽스를 k차 지수골룸 이진화 방식(k-th Expontial Golomb)에 따라서 이진화하여 비트열을 출력할 수 있다. k의 값은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이용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예로, k의 값은 cRiceParam+1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이진화부(1910)는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프리픽스와 서픽스에 대응되는 비트열을 생성할 수도 있다(Look Up table 방식). 룩업 테이블 방식에 의할 때, 미리 설정된 표는 cRiceParam의 값이 커질수록 큰 값에 대응되는 비트열의 길이가 작아지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진화부(1910)에서 출력되는 빈들은 레귤러 코딩부(1932) 또는 바이패스 코딩부(1934)에 의하여 산술부호화된다. 신택스 엘리먼트를 이진화한 빈들이 균일하게 분포된 경우, 즉 0과 1의 빈도가 동일한 데이터인 경우에는, 이진화된 빈들은 확률값을 이용하지 않는 바이패스 코딩부(1934)로 출력되어 부호화된다. 현재 빈들을 레귤러 코딩부(1932) 또는 바이패스 코딩부(1934) 중 어떤 코딩부에 의하여 산술부호화할 지 여부는 신택스 엘리먼트의 유형에 따라 미리 결정될 수 있다.
컨텍스트 모델러(1920)는 레귤러 코딩부(1932)로 신택스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비트열을 부호화하기 위한 확률 모델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모델러(1920)는 문맥(context)에 기반하여, 현재 신택스 엘리먼트의 비트열의 각 이진값을 부호화하기 위한 이진값의 발생 확률을 적응적으로 예측하고, 예측된 이진값의 발생 확률을 레귤러 코딩부(1932)로 출력한다.
컨텍스트 모델은 빈(bin)에 대한 확률 모델로써, 0과 1 중 어떤 값이 MPS(Most Probable Symbol)및 LPS(Least Probable Symbol)에 해당하는지에 대한 정보와, MPS 또는 LPS의 확률을 포함한다.
레귤러 코딩부(1932)는 컨텍스트 모델러(1920)으로부터 제공된 MPS(Most Probable Symbol), LPS(Least Probable Symbol)에 대한 정보 및 MPS 또는 LPS의 확률 정보에 기초하여 신택스 엘리먼트에 대응되는 비트열에 대한 이진 산술 부호화를 수행한다.
일 실시예에서, 계수 레벨에 관련된 신택스 엘리먼트들 중 0 또는 1의 값만을 갖는 플래그들, 즉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X_flag 등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레귤러 코딩에 의해 컨텍스트 적응적 이진 산술 코딩(CABAC) 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수 레벨에 관련된 신택스 엘리먼트들 중 0 및 1 이외의 값을 가질 수 있는 abs_remainder 및 abs_level 등의 신택스 엘리먼트들은 이진화된 후 바이패스 코딩될 수 있다.
도 20 내지 도 24를 참조하여, 일 실시예에 따른 변환 블록에 포함된 계수의 레벨 정보들을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과정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변환 블록에 포함된 계수의 레벨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을 참조하면, 4x4 서브블록 형태의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들이 도시한 바와 같은 절대값(abs_level)(2000)을 갖는다고 가정한다. 상기 절대값(2000)은 레지듀얼 데이터를 변환 계수로 변환하여 양자화한 절대값일 수 있다. 또는, 상기 절대값(2000)은 변환되지 않은 레지듀얼 데이터를 양자화한 절대값일 수 있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은 도시된 바와 같은 소정의 스캔 순서에 따라 순차적으로 처리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술한 바와 같이,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의 크기는, 계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유효 계수인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2010),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2020),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2030), 계수의 절대값이 3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2040),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2050), 및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2000)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0이 아닌 값을 갖는 유효 계수들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2010)의 값이 1로 설정된다. 유효 계수가 아닌 경우, 즉 계수의 값이 0인 경우 sig_flag는 0의 값으로 시그널링된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sig_flag(2010)가 1의 값을 갖는 유효 계수에 대하여, 해당 계수가 1보다 큰 절대값을 갖는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2020)의 값이 1로 설정될 수 있다. 즉 1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에 대한 gt1_flag(2020)는 0의 값으로 시그널링된다. sig_flag(2010)가 0인 계수에 대하여는 gt1_flag(2020)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gt1_flag(2020)가 1의 값을 갖는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2030)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계수의 절대값이 홀수인 경우 par_flag는 1로 설정되며, 계수의 절대값이 짝수인 경우 par_flag가 0으로 설정된다. gt1_flag(2020)가 0인 계수에 대하여는 par_flag(2030)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또한,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gt1_flag(2020)가 1의 값을 갖는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2040)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par_flag(2030)이 시그널링되는 경우, gt3_flag(2040)는 par_flag(2030)의 값에 따라 해당 계수의 절대값이 3보다 크거나 또는 4보다 큼을 나타낼 수 있다. 해당 계수가 2 또는 3일 때 gt3_flag(2040)는 0으로 시그널링되고, 해당 계수가 2일경우 par_flag(2030)는 0, 3일 경우 par_flag(2030)는 1로 시그널링 된다. 해당 계수가 3보다 큰 경우, gt3_flag(2040)는 1로 시그널링되고, par_flag(2030)는 계수의 패리티에 따라 0 또는 1로 시그널링된다. gt1_flag(2020)가 0인 계수에 대하여는 gt3_flag(2040)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gt3_flag(2040)가 1의 값을 갖는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이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2050)로 설정될 수 있다. gt3_flag(2040)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4이므로, 기준 레벨은 4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은 계수 레벨에서 4를 뺀 값이 된다. 다만, par_flag(2030)가 절대값의 패리티를 나타내므로,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을 반으로 나누어 시그널링하더라도 충분하다. 이 경우, abs_remainder(2050)의 값은 다음의 수학식; abs_remainder = (abs_level - 4) >> 1 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gt3_flag(2040)가 0인 계수에 대하여는 abs_remainder(2050)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에서 계수 레벨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결정되고 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으로 전달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을 파싱하고 복호화하여, 다음의 수학식; abs_level = sig_flag + gt1_flag + par_flat + 2 * gt3_flag + 2 * abs_remainder 에 의해 계수 레벨 abs_level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상술한 신택스 엘리먼트들 sig_flag, gt1_flag, par_flag, gt3_flag 및 abs_remainder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시그널링되지 않은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절대값 전체가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20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21은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변환 블록에 포함된 계수의 레벨 정보를 예시하는 도면이다.
도 20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21에 도시된 예시에서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는 이용되지 않는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의 크기는, 각 계수가 0이 아닌 값을 갖는 유효 계수인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2110),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2120), 계수의 절대값이 2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2_flag(2130),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2140), 및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2100)를 이용하여 표현될 수 있다.
도 21의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2110) 및 gt1_flag(2120)는 도 20의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2010) 및 gt1_flag(2020)에 상응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gt1_flag(2120)가 1의 값을 갖는 계수에 대하여, 해당 계수가 2보다 큰 절대값을 갖는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gt2_flag(2130)의 값이 설정될 수 있다. 즉 2의 절대값을 갖는 계수에 대한 gt2_flag(2130)는 0의 값으로 시그널링된다. gt1_flag(2120)가 0인 계수에 대하여는 gt2_flag(2130)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gt2_flag(2130)가 1의 값을 갖는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이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2140)로 설정될 수 있다. gt2_flag(2040)가 1의 값을 갖는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3이므로, 기준 레벨은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abs_remainder(2130)는 계수 레벨에서 3을 뺀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즉, abs_remainder(2130)의 값은 다음의 수학식; abs_remainder = abs_level - 3 에 의하여 결정될 수 있다. gt2_flag(2130)가 0인 계수에 대하여는 abs_remainder(2140)가 시그널링되지 않는다.
상술한 과정에 의하여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에서 계수 레벨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결정되고 부호화되어 비트스트림으로 전달된다.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비트스트림으로부터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을 파싱하고 복호화하여, 다음의 수학식; abs_level = sig_flag + gt1_flag + gt2_flag + abs_remainder 에 의해 계수 레벨 abs_level을 복원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계수 그룹에 포함된 계수들 중 상술한 신택스 엘리먼트들 sig_flag, gt1_flag, gt2_flag 및 abs_remainder의 전부 또는 일부가 시그널링되지 않은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절대값 전체가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2100)로 시그널링될 수 있다.
도 22는 계수의 레벨 정보를 부호화하는 pseudo code의 일 예를 도시한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소정의 스캔 순서에 따라,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의 값을 결정하여 부호화하는 하나 이상의 코딩 패스를 수행할 수 있다.
도 22를 참조하면, 제1 패스(221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및 par_flag를 부호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현재 계수의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를 결정하고, sig_flag가 1인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을 결정하고, gt1_flag가 1인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및 par_flag는 미리 설정된 컨텍스트 모델을 이용하여 CABAC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스(2210)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빈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계수 그룹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및 par_flag의 개수는 모두 합해 제1 임계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만일 시그널링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및 par_flag의 개수가 상기 제1 임계값에 도달하면,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1 패스(2210)의 수행을 중단하고 제2 패스(2220)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계수 그룹의 스캔 순서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제2 패스(22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패스(222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를 부호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gt1_flag가 1인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를 미리 설정된 컨텍스트 모델을 이용하여 CABAC 부호화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패스(2220)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빈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계수 그룹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 의 개수는 제2 임계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만일 시그널링된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의 개수가 상기 제2 임계값에 도달하면,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2 패스(2220)의 수행을 중단하고 제3 패스(2230)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계수 그룹의 스캔 순서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제3 패스(2230)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패스(223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패스(2210)와 상기 제2 패스(2220)가 모두 수행된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스(2210)와 상기 제2 패스(2220)가 모두 수행된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4이므로, 제3 패스(2230)에서 기준 레벨은 4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계수의 절대값에서 4를 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후술되는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이진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3 패스가 끝난 다음 순서의 계수부터 제4 패스(2230)를 시작할 수 있다. 제4 패스(224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패스(2210)만 수행되고 상기 제2 패스(2220)는 수행되지 않은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스(2210)만 수행되고 상기 제2 패스(2220)는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2이므로, 제4 패스(2240)에서 기준 레벨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계수의 절대값에서 2를 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후술되는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이진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4 패스가 끝난 다음 순서의 계수부터 제5 패스(2230)를 수행할 수 있다. 제5 패스(224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패스(2210)및 상기 제2 패스(2220)가 모두 수행되지 않은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스(2210)와 상기 제2 패스(2220)가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2이므로, 제5 패스(2240)에서 기준 레벨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은 후술되는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이진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5 패스에서 부호화되는 계수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제5 패스에서 부호화되는 계수의 개수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제5 패스에서 부호화되는 계수들이 모두 특정 값, 예를 들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더 시그널링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계수 그룹에서 제5 패스 이전에 마지막으로 부호화된 계수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즉,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마지막으로 컨텍스트 기반 부호화된 계수의 크기가 소정의 임계값보다 큰지 판단할 수 있다. 만일 계수 그룹에서 제5 패스 이전에 마지막으로 부호화된 계수의 레벨이 소정의 임계값보다 크다고 판단되는 경우,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제5 패스에서 부호화되는 계수들이 모두 특정 값, 예를 들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플래그를 더 시그널링할 수 있다.
도 23은 계수의 레벨 정보를 부호화하는 pseudo code의 다른 일 예를 도시한다. 도 22에 도시된 것과 달리, 도 23에 도시된 예시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및 par_flag와 함께 제1 패스에서 부호화될 수 있고, 별도의 패스에서 처리되지 않는다.
도 23를 참조하면, 제1 패스(231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계수 그룹에 포함된 각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3_flag를 부호화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현재 계수의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를 결정하고, sig_flag가 1인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을 결정하고, gt1_flag가 1인 경우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 및 gt3_flag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3_flag는 미리 설정된 컨텍스트 모델을 이용하여 CABAC 부호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패스(2310)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빈의 개수가 제한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나의 계수 그룹에서 시그널링될 수 있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3_flag의 개수는 모두 합해 제3 임계값 이하로 제한될 수 있다. 만일 시그널링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3_flag의 개수가 상기 제3 임계값에 도달하면,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1 패스(2310)의 수행을 중단하고 제2 패스(2320)를 수행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계수 그룹의 스캔 순서의 처음으로 돌아가서 제2 패스(2320)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패스(232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패스(2310)가 수행된 계수에 대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를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스(2310)가 수행된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4이므로, 제2 패스(2320)에서 기준 레벨은 4로 결정될 수 있다. 따라서,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계수의 절대값에서 4를 뺀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는 후술되는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이진화될 수 있다.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제2 패스가 끝난 다음 순서의 계수부터 제3 패스(2330)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패스(2330)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스캔 순서에 따라, 상기 제1 패스(2310)가 수행되지 않은 계수에 대하여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을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제1 패스(2310)가 모두 수행되지 않은 경우 해당 계수가 가지는 절대값의 최소값은 0이므로, 제3 패스(2330)에서 기준 레벨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기 결정된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은 후술되는 방법에 의하여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이진화될 수 있다.
이하, 계수 레벨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 및 abs_level를 골롬-라이스 이진화하기 위한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라이스 파라미터는 각 계수 그룹의 시작 시에 초기화될 수 있다. MPEG-4 (HEVC) 등에서, 라이스 파라미터는 각 계수 그룹의 시작 시에 0으로 초기화된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는 이전에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계수 그룹의 계수 레벨을 참조하여 초기화될 수 있다. 상기 참조되는 계수 레벨은 이전에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계수 그룹의 마지막 계수 레벨 또는 평균 계수 레벨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는 이전에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초기화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 그룹에 이웃한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를 참조하여 초기화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계수 그룹의 시작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 그룹의 오른쪽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 및 현재 계수 그룹의 아래쪽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참조되는 계수 그룹의 라이스 파라미터는, 해당 계수 그룹의 첫 라이스 파라미터, 마지막 라이스 파라미터, 또는 평균 라이스 파라미터일 수 있다.
MPEG-4 (HEVC) 등에서,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 레벨 및 라이스 파라미터의 값에 의존하여 조건적으로 갱신된다. 구체적으로, 이전 계수의 크기를 cLastAbsCoeff, 이전 라이스 파라미터를 cLastRiceParam라고 할 때, 현재 계수의 이진화에 이용될 라이스 파라미터 cRiceParam은 다음의 알고리즘에 기초하여 결정된다.
If cLastAbsCoeff > 3*(1<<cLastRiceParam)
cRiceParam= Min (cLastRiceParam+1, 4)
상기 알고리즘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이진화부(1910)는 이전 계수의 크기(LastAbsCoeff)를 이전 라이스 파라미터(cLastRiceParam)에 기초하여 획득된 임계값과 비교하고, 비교 결과 이전 계수의 크기가 임계값보다 큰 경우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갱신한다.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가 갱신되는 경우 이전 라이스 파라미터(cLastRiceParam)에 비하여 +1만큼 점진적으로 증가된다.
다만, 현재 이진화될 신택스 엘리먼트가 계수의 절대값(abs_level)이 아닌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abs_remainder)인 경우, 실제 골롬-라이스 코드로 이진화되는 것은 계수의 절대값 전체가 아니라, 기준 레벨에 상대적인 레벨 값이다. 이러한 경우, 상기 알고리즘과 같이 기준 레벨을 고려하지 않고 이전 계수의 절대값 전체에 기초하여 라이스 파라미터를 설정하는 것은 최적의 부호화 효율을 제공하지 않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라이스 파라미터를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함으로써, 보다 개선된 부호화 성능을 제공한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특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예를 들어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X_flag 등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기준 레벨을 baseLevel이라고 할 때, par_flag가 시그널링되는 경우 기준 레벨 baseLevel은 다음의 수학식; baseLevel = sig_flag + gt1_flag + 2 * gt3_flag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ar_flag가 시그널링되지 않는 경우, 기준 레벨 baseLevel은 다음의 수학식; baseLevel = sig_flag + gt1_flag + gt2_flag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소정의 신택스 엘리먼트들, 예를 들어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X_flag 등이 시그널링되었는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3_flag가 모두 시그널링된 경우, 기준 레벨은 4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택스 엘리먼트의 시그널링 개수 제한에 의하여 gt3_flag가 시그널링되지 않고 sig_flag, gt1_flag, par_flag만 시그널링된 경우, 기준 레벨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택스 엘리먼트의 시그널링 개수 제한에 의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3_flag가 모두 시그널링되지 않은 경우, 기준 레벨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및 gt2_flag가 모두 시그널링된 경우, 기준 레벨은 3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신택스 엘리먼트의 시그널링 개수 제한에 의하여 신택스 엘리먼트 gt2_flag 가 시그널링 되지 않고 sig_flag, gt1_flag 만 시그널링된 경우, 기준 레벨은 2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부호화할 계수 레벨 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를 부호화하는 경우, 기준 레벨은 2, 3 또는 4로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을 부호화하는 경우, 기준 레벨은 0으로 결정될 수 있다.
상술한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르면,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함에 있어서 기준 레벨을 고려하는 경우, 서로 다른 기준 레벨을 가지는 계수 레벨 정보들에 대하여 단일한 라이스 파라미터 결정 방법을 적용할 수 있다. 즉, 도 22 및 도 23에 도시된, 서로 다른 신택스 엘리먼트들(abs_remainder, abs_level)을 부호화하는 다양한 코딩 패스들에서 공통된 방법으로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서,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계수들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이하 도 24를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하나 이상의 계수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각선 스캔 순서를 따를 때, 변환 블록 내에서 현재 계수의 위치를 (i, j)라 할 때, 라이스 파라미터는 (i+1, j-1), (i+2, j-2), (i+3, j-3), … , (i+n, j-n) 위치의 n개의 계수들의 레벨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의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최우하측으로부터 시작되는 역방향 대각선 스캔 순서를 따를 때, 변환 블록 내에서 현재 계수의 위치(2410)를 (i, j)라 하면, 라이스 파라미터는 (i, j+1), (i, j+2), (i+1, j), (i+2, j), 및 (i+1, j+1) 위치의 계수들(2420)의 레벨을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바로 직전에 부호화된 계수를 참조하는 대신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을 참조함으로써,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병렬적으로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도 24에 도시된 것과 같이 주변 위치의 계수들을 참조하면, 이전 계수의 부호화가 완료되지 않았더라도 대각선상에 있는 계수들(2430)의 라이스 파라미터들이 병렬적으로 도출될 수 있다. 따라서 연속적인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을 동시에 부호화할 수 있으므로,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을 참조하는 상기의 방식은 하드웨어 구현에 보다 적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소정의 계수들의 레벨의 통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의 총합을 sum이라 할 때,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결정하는 pseudo cod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cRiceParam = goRicePars[min(sum, 31)]
이 때, goRicePars[i]는 미리 설정된 표에 따라 인덱스 i에 대응되는 라이스 파라미터를 의미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스 파라미터는 상기 소정의 계수들의 상대적인 레벨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즉, 라이스 파라미터는 상기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과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전술하였듯이, 실제 골롬-라이스 코드로 이진화되는 것은 계수의 절대값 전체가 아니라 기준 레벨에 대한 상대적인 레벨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경우 앞서 부호화 또는 복호화된 계수의 상대적인 레벨 값을 고려하여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기준 레벨을 baseLevel, 소정의 계수들의 개수를 n,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sum이라 할 때,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결정하는 pseudo cod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cRiceParam = goRicePars[max(min(sum - n * baseLevel, 31), 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스 파라미터는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소정의 계수들 중, 이용 가능한 계수들의 절대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계수가 현재 변환 블록의 경계에 근접한 경우,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계수 중 일부가 현재 변환 블록 바깥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현재 변환 블록 내에 위치한 계수들만을 이용 가능한 계수들로 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기준 레벨을 baseLevel,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이용 가능한 계수들의 개수를 numValidProb, 상기 이용 가능한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sum이라 할 때,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결정하는 pseudo cod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cRiceParam = goRicePars[max(min(sum - numValidProb * baseLevel, 31), 0]
일 실시예에 따르면, 라이스 파라미터는 par_flag가 시그널링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par_flag를 이용하여 계수 레벨을 시그널링할 때, 골롬-라이스 코드로 이진화될 abs_remainder의 값은 기준 레벨에 대한 상대적인 레벨 값을 다시 반으로 나눈 값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함으로써 부호화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현재 기준 레벨을 baseLevel,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이용 가능한 계수들의 개수를 numValidProb, 상기 이용 가능한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sum이라 할 때,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를 결정하는 pseudo code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cRiceParam = goRicePars[max(min((sum - numValidProb * baseLevel) >> shift, 31), 0]
where shift = baseLevel == 0 ? 0 : 1;
상기 pseudo code에 따르면, 기준 레벨(baseLevel)이 0이면 par_flag가 시그널링 되지 않은 것이므로, 참조되는 계수들의 절대값과 기준 레벨의 차이를 그대로 이용한다. 반면, 기준 레벨이 1이면 par_flag가 시그널링된 것이므로, 참조되는 계수들의 절대값과 기준 레벨의 차이를 쉬프팅 연산을 통해 반으로 나눈 값을 이용한다.
도 2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부호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5를 참조하면, 2510 단계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 즉 계수의 절대값과 기준 레벨 사이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일 수 있다.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를 포함하는 계수 그룹 단위로 획득될 수 있다.
2520 단계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특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 맵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벨 맵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0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parity)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 및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소정의 수 X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에 대하여 결정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에 대하여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시그널링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부호화할 계수 레벨 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은 현재 계수 바로 이전에 부호화된 계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은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은 상기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 중 이용 가능한 계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의 통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과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2530 단계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할 수 있다.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이진화될 수 있다.
2540 단계에서, 엔트로피 부호화부(7350)는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 및 abs_level은 바이패스 코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레벨 맵 정보,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X_flag는 컨텍스트에 기반하여 레귤러 코딩될 수 있다.
도 2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엔트로피 복호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26의 엔트로피 복호화 장치(2600)는 도 1b의 복호화부(6000)의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에 대응된다.
도 26을 참조하면, 엔트로피 복호화 장치(2600)는 컨텍스트 모델러(2610), 레귤러 디코딩부(2620), 바이패스 디코딩부(2630), 역이진화부(2640)를 포함한다. 엔트로피 복호화 장치(2600)는 도 19의 엔트로피 부호화 장치(1900)에서 수행되는 엔트로피 부호화 과정의 역과정을 수행한다.
바이패스 코딩에 의하여 부호화된 빈들은 바이패스 디코딩부(2630)로 출력되어 복호화되고, 레귤러 코딩에 의하여 부호화된 빈들은 레귤러 디코딩부(2620)에 의하여 디코딩된다. 레귤러 디코딩부(2620)는 컨텍스트 모델러(2610)에서 제공되는 현재 빈보다 앞서 복호화된 이전 빈들에 기초하여 결정된 이진값의 확률을 이용하여, 현재 빈을 산술 복호화한다.
컨텍스트 모델러(2610)는 레귤러 디코딩부(2620)에 빈에 대한 확률 모델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컨텍스트 모델러(2610)는 이전에 복호화된 빈(bin)에 기초하여 소정 이진값의 확률을 결정하고, 이전 빈을 복호화하는데 이용된 이진값의 확률을 갱신하고, 갱신된 확률을 레귤러 디코딩부(2620)로 출력한다.
역이진화부(2640)는 레귤러 디코딩부(2620) 또는 바이패스 디코딩부(2630)에서 복원된 빈(bin) 스트링들을 다시 신택스 엘리먼트들로 매핑시켜 복원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역이진화부(2640)는 계수의 레벨, 즉 크기 정보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인 abs_remainder 및 abs_level을 파싱하고 골롬-라이스 역이진화하기 위한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할 수 있다. 전술한 도 19의 이진화부(1910)와 동일하게, 역이진화부(264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된 방법으로,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라이스 파라미터가 결정되었을 때, 역이진화부(2640)가 신택스 엘리먼트, 예를 들어 abs_remainder를 파싱하고 골롬-라이스 역이진화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역이진화부(2640)는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에 기초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파싱할 비트의 개수를 결정할 수 있다. 역이진화부(2640)는 파싱된 비트열을 Min(cTrMax, abs_remainder)에 대응되는 값을 절삭형 단형 이진화 방식(Truncated Unary Binarization)에 따라서 이진화한 비트열에 대응되는 프리픽스 비트열과, (abs_remainder - cTrMax) 에 대응되는 값을 k차(k는 cRiceParam+1) 지수골룸 이진화 방식(k-th Expontial Golomb)에 따라서 이진화한 비트열에 대응되는 서픽스 비트열로 분류하고, 프리픽스 비트열은 절삭형 단형 역이진화 방식, 서픽스 비트열은 k차 지수골룸 역이진화 방식에 따라서 역이진화하여 신택스 엘리먼트(abs_remainder)를 복원한다. 일 실시예에서, 역이진화부(2640)는 라이스 파라미터(cRiceParam)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비트열을 파싱하고 역이진화할 수도 있다(Look Up table 방식).
엔트로피 복호화 장치(2500)는 신택스 엘리먼트인 abs_remainder 및 abs_level 이외에, sig_flag, gt1_flag, par_flag, 및 gtX_flag 등의 변환 블록의 계수 레벨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들을 산술 복호화하여 출력한다.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가 복원되면, 복원된 신택스 엘리먼트에 기초하여 역양자화, 역변환 및 예측 복호화 과정을 통해 변환 블록에 포함된 데이터에 대한 복호화가 수행될 수 있다.
도 2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계수의 레벨 정보를 엔트로피 복호화하는 방법의 흐름도이다.
도 27를 참조하면, 2710 단계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에 대한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특정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적어도 하나의 레벨 맵 정보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상기 레벨 맵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0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sig_flag,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1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1_flag,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의 패리티(parity)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par_flag, 및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소정의 수 X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par_flag가 시그널링된 경우,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3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3_flag일 수 있고, par_flag가 시그널링 되지 않은 경우,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 gtX_flag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이 2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gt2_flag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에 대하여 결정된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들의 값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현재 계수에 대하여 상기 신택스 엘리먼트들이 시그널링되었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기준 레벨은 부호화할 계수 레벨 정보가 무엇인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복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은 현재 계수 바로 이전에 복호화된 계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은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소정의 계수들은 상기 현재 계수의 주변에 위치한 계수들 중 이용 가능한 계수들로 결정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현재 계수보다 앞서 복호화된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의 통계에 따라서 미리 설정된 표를 참조하여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상기 소정의 계수들의 절대값과 현재 계수의 기준 레벨의 차이값에 기초하여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결정할 수 있다.
2720 단계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현재 계수의 크기를 나타내는 계수 레벨 정보를 파싱할 수 있다.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level일 수 있다. 또는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나머지 절대값, 즉 계수의 절대값과 기준 레벨 사이의 차이값을 나타내는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일 수 있다.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를 포함하는 계수 그룹 단위로 획득될 수 있다.
2730 단계에서, 엔트로피 복호화부(6150)는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파싱된 계수 레벨 정보를 역이진화함으로써 현재 계수의 크기를 획득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계수 레벨 정보, 예를 들어 신택스 엘리먼트 abs_remainder 및 abs_level은 바이패스 디코딩될 수 있다. 상기 계수 레벨 정보는 상기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골롬-라이스 역이진화될 수 있다.
이제까지 다양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개시가 본 개시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개시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개시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를 이용하여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는 마그네틱 저장매체(예를 들면, 롬, 플로피 디스크, 하드디스크 등), 광학적 판독 매체(예를 들면, 시디롬, 디브이디 등)와 같은 저장매체를 포함한다.

Claims (4)

  1. 영상 복호화 방법에 있어서,
    현재 계수보다 앞서 복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절대값들의 총합과 기준 레벨의 차이에 기초하여,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 값에 관한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바이패스 모드로 엔트로피 디코딩을 수행하는 단계; 및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 및 상기 계수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 값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는 상기 현재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1 계수, 제 1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2 계수, 상기 현재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3 계수, 상기 제 3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4 계수, 및 상기 현재 계수의 우하측에 인접하는 제 5 계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레벨은 레벨 맵 정보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레벨 맵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상 복호화 방법.
  2.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및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하도록 구성되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를 포함하며,
    상기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는, 실행 시에,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로 하여금,
    현재 계수보다 앞서 복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을 획득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결정하고,
    상기 절대값들의 총합과 기준 레벨의 차이에 기초하여,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고,
    비트스트림에서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에 관한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기 위해 바이패스 모드로 엔트로피 디코딩을 수행하고,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및 상기 계수 레벨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값을 획득하도록 설정되고,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는 상기 현재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1 계수, 제 1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2 계수, 상기 현재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3 계수, 상기 제 3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4 계수, 및 상기 현재 계수의 우하측에 인접하는 제 5 계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레벨은 레벨 맵 정보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레벨 맵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상 복호화 장치.
  3. 영상 부호화 방법에 있어서,
    현재 계수의 절대 값에 관한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절대값들의 총합과 기준 레벨의 차이에 기초하여,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하는 단계;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는 상기 현재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1 계수, 제 1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2 계수, 상기 현재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3 계수, 상기 제 3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4 계수, 및 상기 현재 계수의 우하측에 인접하는 제 5 계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레벨은 레벨 맵 정보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레벨 맵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상 부호화 방법.
  4. 현재 계수의 절대 값에 관한 계수 레벨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현재 계수보다 앞서 부호화된 계수들 중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을 획득하는 단계;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들의 절대값들의 총합을 결정하는 단계;
    상기 절대값들의 총합과 기준 레벨의 차이에 기초하여, 라이스 파라미터(Rice parameter)를 결정하는 단계;
    상기 결정된 라이스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상기 계수 레벨 정보를 이진화하는 단계;
    상기 이진화된 계수 레벨 정보를 포함하는 비트스트림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소정의 위치의 계수는 상기 현재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1 계수, 제 1 계수의 우측에 인접하는 제 2 계수, 상기 현재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3 계수, 상기 제 3 계수의 하측에 인접하는 제 4 계수, 및 상기 현재 계수의 우하측에 인접하는 제 5 계수 중 적어도 하나의 계수를 포함하고,
    상기 기준 레벨은 레벨 맵 정보가 상기 비트스트림으로부터 획득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결정되고, 상기 레벨 맵 정보는 상기 현재 계수의 절대 값이 소정의 값보다 큰지 여부를 나타내는, 영상 부호화 방법으로 생성된 비트스트림을 저장하는 저장 매체.
KR1020247007502A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4003488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862759927P 2018-11-12 2018-11-12
US62/759,927 2018-11-12
US201862783818P 2018-12-21 2018-12-21
US62/783,818 2018-12-21
KR1020237020640A KR102648308B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CT/KR2019/015308 WO2020101313A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640A Division KR102648308B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887A true KR20240034887A (ko) 2024-03-14

Family

ID=70731237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47007502A KR20240034887A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37020640A KR102648308B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27000338A KR20220008381A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2073A KR102349456B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20640A KR102648308B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27000338A KR20220008381A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0217012073A KR102349456B1 (ko) 2018-11-12 2019-11-12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743467B2 (ko)
EP (1) EP3883248A4 (ko)
KR (4) KR20240034887A (ko)
CN (6) CN116132677A (ko)
BR (1) BR112021008256A2 (ko)
CA (2) CA3223782A1 (ko)
PH (1) PH12021550934A1 (ko)
WO (1) WO202010131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4024868A4 (en) * 2019-08-31 2023-09-27 LG Electronics Inc. VIDEO OR IMAGE CODING METHOD AND APPARATUS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961930A1 (en) 2010-10-14 2022-03-02 InterDigital VC Holdings, Inc. Method, apparatus and signal for improved entropy encoding and decoding
US10616581B2 (en) * 2012-01-19 2020-04-07 Huawei Technologies Co., Ltd. Modified coding for a transform skipped block for CABAC in HEVC
DK2805419T3 (en) * 2012-01-20 2017-09-04 Ge Video Compression Llc Transformation coefficient coding and decoding
US9491463B2 (en) * 2012-04-14 2016-11-08 Qualcomm Incorporated Group flag in transform coefficient coding for video coding
ES2687522T3 (es) 2012-04-15 2018-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Procedimiento de actualización de parámetros para decodificar de entropía del nivel de coeficiente de conversión, y dispositivo de decodificación de entropía del nivel de coeficiente de conversión utilizando el mismo
US9350998B2 (en) * 2012-06-29 2016-05-24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of significance flags
SG10201701381RA (en) * 2012-07-02 2017-04-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opy coding video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entropy decoding video
US9936200B2 (en) * 2013-04-12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Rice parameter update for coefficient level coding in video coding process
US10021419B2 (en) * 2013-07-12 2018-07-10 Qualcomm Incorported Rice parameter initialization for coefficient level coding in video coding process
JP6197496B2 (ja) 2013-08-30 2017-09-20 富士通株式会社 量子化装置、量子化方法および量子化プログラム
US9432676B2 (en) * 2013-10-29 2016-08-30 Broadcom Corporation RDO-based small transform coefficients suppression algorithm for HEVC
US10334248B2 (en) * 2015-05-29 2019-06-25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data using an enhanced context-adaptive binary arithmetic coding (CABAC) design
US10616604B2 (en) * 2015-09-01 2020-04-07 Qualcomm Incorporated Coefficient level coding in video coding
US10440399B2 (en) 2015-11-13 2019-10-08 Qualcomm Incorporated Coding sign information of video data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6132675A (zh) 2023-05-16
CN116132677A (zh) 2023-05-16
CN112997505A (zh) 2021-06-18
CN114513673B (zh) 2023-04-18
CN112997505B (zh) 2023-03-24
CA3223782A1 (en) 2020-05-22
US20220014748A1 (en) 2022-01-13
KR20230093375A (ko) 2023-06-27
CN114513673A (zh) 2022-05-17
EP3883248A4 (en) 2022-10-26
KR102349456B1 (ko) 2022-01-12
KR102648308B1 (ko) 2024-03-15
CA3119608A1 (en) 2020-05-22
KR20210054003A (ko) 2021-05-12
CN116132676A (zh) 2023-05-16
PH12021550934A1 (en) 2021-11-22
CN116170591A (zh) 2023-05-26
KR20220008381A (ko) 2022-01-20
BR112021008256A2 (pt) 2021-08-03
CA3119608C (en) 2024-02-13
EP3883248A1 (en) 2021-09-22
WO2020101313A1 (ko) 2020-05-22
US11743467B2 (en)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889278B (zh) 用于编码和解码运动信息的方法及用于编码和解码运动信息的装置
AU2018332398B2 (en) Method for encoding and decoding motion information and device for encoding and decoding motion information
KR102494697B1 (ko) 삼각 예측 모드를 이용하는 영상 부호화 장치 및 영상 복호화 장치, 및 이에 의한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영상 복호화 방법
KR102577754B1 (ko) 부호화 방법 및 그 장치, 복호화 방법 및 그 장치
KR102617359B1 (ko)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84502B1 (ko)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를 위한 영상의 분할 방법 및 장치
KR20230174762A (ko) 양방향 예측을 이용한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방법, 및 영상의 부호화 및 복호화 장치
KR102618499B1 (ko) 하드웨어 설계를 고려한 비디오 부호화 방법, 부호화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복호화 장치
KR102654122B1 (ko)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25565A (ko)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40049658A (ko)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648308B1 (ko) 계수 레벨의 엔트로피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엔트로피 복호화 방법 및 장치
EP3833020A1 (en) Method and device for encoding image and method and device for decoding image on basis of sub-block
EP3934252A1 (en) Apparatuse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and methods for encoding and decoding image thereby
KR102606802B1 (ko) 영상으로부터 다양한 형태로 분할된 블록들을 이용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553148B1 (ko) 블록 형태별로 블록 크기가 설정되는 비디오 부호화 방법 및 장치, 비디오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102416440B1 (ko) 영상 부호화 방법 및 장치, 영상 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30143543A (ko) 엔트로피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KR20210061360A (ko) 엔트로피 부호화/복호화 방법 및 장치
NZ785746A (en) Method and device for entropy encoding coefficient level, and method and device for entropy decoding coefficient level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