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4551A -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 Google Patents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4551A
KR20240034551A KR1020220113714A KR20220113714A KR20240034551A KR 20240034551 A KR20240034551 A KR 20240034551A KR 1020220113714 A KR1020220113714 A KR 1020220113714A KR 20220113714 A KR20220113714 A KR 20220113714A KR 20240034551 A KR20240034551 A KR 202400345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minated
bead
lamination
beads
energy be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37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동규
이광규
Original Assignee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201137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4551A/ko
Publication of KR202400345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455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10Formation of a green bod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FWORKING METALLIC POWDER; MANUFACTURE OF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MAKING METALLIC POWDER;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METALLIC POWDER
    • B22F10/00Additive manufacturing of workpieces or articles from metallic powder
    • B22F10/30Process control
    • B22F10/36Process control of energy beam parame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26/00Working by laser beam, e.g. welding, cutting or boring
    • B23K26/34Laser welding for purposes other than joining
    • B23K26/342Build-up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10/00Processes of additive manufactu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3ADDITIVE MANUFACTURING TECHNOLOGY
    • B33YADDITIVE MANUFACTURING, i.e. MANUFACTURING OF THREE-DIMENSIONAL [3-D] OBJECTS BY ADDITIVE DEPOSITION, ADDITIVE AGGLOMERATION OR ADDITIVE LAYERING, e.g. BY 3-D PRINTING, STEREOLITHOGRAPHY OR SELECTIVE LASER SINTERING
    • B33Y50/00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 B33Y50/02Data acquisition or data processing for additive manufacturing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additive manufacturing process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aser Beam Process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에너지 제어형 용착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적층경로를 보정하여 균일한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적층대상홈의 수평면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간 거리의 정배수 여부에 따라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여, 단위금속층을 수평면의 너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적층대상홈에 균일한 3차원적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Description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Minimization technologies of path error and the defect of the deposited bead by directed energy deposition process}
본 발명은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적층대상물의 형상에 따라 적층경로를 보정하여 균일한 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 관한 것이다.
적층 제조(Additive Manufacturing) 공정은 금형 산업, 건축 산업 및 항공 산업 등 다양한 분야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이를 이용한 공학 교육 또한 이루어져 기술에 대한 수요가 나날이 증가하고 있다. 적층 제조 공정은 대표적으로 재료 압출(Material Extrusion) 공정, 재료 분사 (Material Jetting) 공정, 접착제 분사(Binder Jetting) 공정, 박판 적층(Sheet Lamination) 공정, 컨테이너 광경화(Vat Photopolymerization) 공정, 분말 베드 융해(Power Bed Fusion) 공정 및 에너지 제어형 용착(Directed Energy Deposition) 공정 등을 들 수 있다.
적층제조 공정 중 에너지 제어형 용착(Directed Energy Deposition)공정은 3차원 CAD(Computer-Aided Design) 데이터 혹은 3차원 프로그램 모델로부터 직접 금속제품을 신속하게 제작할 수 있는 레이저 금속 성형 기술이다.(이하 DED 방식 이라 함.)
DED 방식은 고출력 레이저빔 및 전자빔을 포함하는 고에너지 빔을 국부적으로 조사하여 기재(또는 적층판, 원판)(substrate) 표면에 적층비드(melt pool)을 형성하고, 고출력 레이저빔 조사 시 동시에 분사된 금속분말도 함께 용융시켜 적층하는 방식으로, 3차원 CAD 모델 혹은 3차원 프로그램 모델을 일정한 두께로 슬라이싱(slicing)하여 산출된 2차원의 단면을 한층 씩 쌓아 올림으로써 2차원 단면들이 적층된 3차원 형상을 만든다.
고에너지 빔 조사 시, 동축 분말 공급장치(Coaxial powder feeder)를 통해 실시간으로 공급되는 금속분말은 용융과 급속응고 과정을 거쳐 치밀한 조직을 가진 2차원 단면에 해당하는 단위금속층을 형성 하게 된다. 이 때 금속분말의 이송 및 산화방지를 위하여 헬륨(He), 아르곤(Ar) 등과 같은 비활성 가스를 공급하게 된다. 이때 레이저빔은 3차원 CAD 모델 혹은 3차원 프로그램 모델로부터 산출된 경로에 따라 자유 이동한다. 그러므로, 3D CAD 모델과 동일한 3차원 형상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3차원 프린팅에서 2차원의 단면에 해당하는 금속 단일층의 높이를 정밀하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
한편, 기재(또는 적층판, 원판)(substrate) 또는 선 공정에서 형성된 금속 단일층이 지면에 나란한 수평면으로만 이루어진 경우에는 금속 단일층 형성 시 성질의 변화가 발생되는 열영향부(HAZ)와 단일층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용이하다. 하지만, 기재(또는 적층판, 원판)(substrate) 또는 선 공정에서 형성된 금속 단일층에 경사면이 형성된 경우, 경사면에서는 공급된 분말들이 접촉되는 면적이 지면에 나란한 수평면에 공급된 분말들이 접촉되는 면적보다 넓어 열손실 증가에 따라 용융이 제대로 이루어지지지 않게 되어, 수평한 면과 경사진 면에 동일한 조건으로 고에너지빔 조사 시 균일한 두께의 용융층, 즉 균일한 단위금속층을 형성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이에 따라, 공급된 분말 용융 시 수평면에서부터 경사면까지 균일한 용융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이 요구되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출원인은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0525호에 게시된 바와 같이, 수평면에서보다 경사면에서 분말층의 접촉면적이 커 열손실과 분말량이 증가되는 점을 고려하여, 수평면과 경사면들 사이에 고에너지빔의 조사 조건이나 분말공급량을 조절하여 금속분말들이 용융량을 조절함으로써 균일한 두께로 용융된 단위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는 등가적층 체적 높이 제어방법을 개발한 바 있다.
한편, 공작기계의 반복적인 운동에 따라 특정 부위가 시간이 경과하면서 마모되거나 유격이 발생 된다. 공작기계의 마모된 부분이나 유격이 발생된 부분이나, 기재에 형성될 수 있는 인입홈(이하, '적층대상홈'이라함)을 DED 방식을 통해 보수하거나 적층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적층대상홈은 마주하는 가장자리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게 형성될 수도 있으며, 또는 일측에 경사면이 형성되고 타측은 측방으로 개방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적층대상홈의 상부로 갈수록 단위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는 폭이 커진다. 균일한 단위금속층 형성을 위하여, 적층대상홈의 형상에 대응하여 적층경로가 보정될 필요가 있다.
본 출원인은 DED 방식의 등가적층 체적높이 제어 방법을 지속적으로 연구하여, 경사면이 있는 상기 적층대상홈에 균일한 두께로 용융된 단위금속층을 형성할 수 있는 방안을 추가적으로 개발하게 되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8-0040744호 :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시스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0525호 : 등가적층 체적높이 제어방법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출한 것으로서, 적층대상홈의 수평면의 너비가 상호 인접하는 적층비드들의 중심 간의 거리의 정배수가 아닐 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적층대상물에 형성된 적층대상홈에 용융된 적층비드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비드로 공급되는 금속분말들이 형성한 분말층을 함께 용융시킬 수 있도록 고에너지빔을 이동시키면서 조사하는 빔 조사단계;를 포함하는 것으로서, 상기 빔 조사단계는 상기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과 경사면이 접하는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분말층이 용융된 적층비드가 연장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을 이동시키는 적층비드 형성단계와;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가 상기 적층대상홈에 상기 제1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단위금속층이 형성되게, 상기 적층비드 형성단계 이후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고에너지 빔을 상기 적층비드의 너비보다 좁게 이동시키는 빔 위치 세팅 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대상홈의 저면 또는 상기 적층대상홈 내에 형성된 상기 단위금속층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수평면의 너비가 최초 세팅 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적층비드들의 폭 중심간의 거리의 정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적층비드의 형성위치가 변동되거나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추가되는 경로 보정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적층대상홈은 상기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로 보정단계는 최초 세팅된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간 거리가 유지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되, 상기 수평면의 너비에서 최초 설정된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 간 거리들을 합한 값을 뺀 오차값의 절반 만큼, 상기 적층비드들 중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이 하나의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면의 일단에 이격되고, 상기 적층비드들 중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이 나머지 하나의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면의 타단에 이격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적층대상홈은 상기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로 보정단계는 상기 수평면의 너비에서 최초 설정된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 간 거리들을 합한 값을 뺀 오차값에 상기 적층비드들의 개수를 나눈 값 만큼 상기 적층비드들 중심간 거리가 각각 확장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는 상기 적층대상홈은 일측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의 타단에 인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로 보정단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수평면의 타단에 접하는 측에 상기 고에너지 빔이 조사되면서 최초로 형성되는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이 위치되며 최초 세팅된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간 거리가 유지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되, 최초 세팅된 상기 고에너지빔의 이동경로로 형성된 상기 적층비드들 중, 상기 수평면의 일측 향하는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에서 상기 경사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에 중심이 위치되는 추가적층비드가 추가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추가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먼저 형성된 하나의 상기 적층비드에 인접하게 다른 하나의 상기 적층비드 형성 시, 간섭되는 체적이 인접하는 상기 적층비드들 사이의 상부로 채워지도록, 상기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는 상기 적층비드의 너비보다 적되, 상기 적층비드의 횡단면적 값을 상기 적층비드 높이 값으로 나누어 산출하여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적층대상홈의 수평면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간 거리의 정배수 여부에 따라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여, 단위금속층을 수평면의 너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적층대상홈에 균일한 3차원적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단위 금속층 형성 시 적층대상홈의 일단부에 폭 중심이 접하는 추가 적층비드가 더 형성되므로, 적층대상부의 일단부에 적층 부족 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3차원적 구조를 형성시킬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경사면에서 적층비드 중심 간의 거리에 따라, 적층비드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은 고에너지빔을 통해 순차적으로 인접하게 형성되는 적층비드들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4는 도 3의 적층비드들에 대한 확대도이고,
도 5 내지 도 8은 동일한 파워에서 설정된 적층비드들 간 중심거리에 따라 형성되는 단위금속층에 대한 도면이고,
도 9는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 중심간 거리의 정배수일 때, 적층비드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0은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의 정배수가 아닐 때, 적층비드들이 잘못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1은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의 정배수가 아닐 때,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서 경로가 보정된 고에너지 빔을 통해 적층대상홈에 적층비드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2는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의 정배수가 아닐 때,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을 통해 경로가 보정된 고에너지 빔을 통해 적층대상홈에 적층비드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3은 다른 형태의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 중심간 거리의 정배수일 때, 적층비드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4는 다른 형태의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의 정배수가 아닐 때, 적층비드들이 잘못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15는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의 너비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의 정배수가 아닐 때,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서 경로가 보정된 고에너지 빔을 통해 적층대상홈에 적층비드들이 형성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15에는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설명을 위한 도면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일반적인 에너지 제어형 용착(Directed Energy Deposition) 공정을 위한 시스템의 구성을 간략히 설명한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에너지 제어형 용착(Directed Energy Deposition) 공정을 위한 시스템은 챔버(미도시)와, 챔버 내에 기재, 또는 선공정에서 기재 상에 형성된 단위금속층 또는 보수가 필요한 공작기계 등을 포함하는 적층대상물(5)에 적층비드 형성 및 적층비드로 공급된 금속 분말을 함께 용융시키기 위한 고에너지 빔을 조사하는 고에너지 빔기구를 포함한다.
고에너지 빔기구는 고출력 레이저 빔 또는 전자빔을 포함하는 고에너지 빔(L)을 발진하는 고에너지 빔 발진부와, 렌즈나 미러 등의 광학부품을 조합하여 고에너지 빔(L)을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고에너지 빔 집광부(미도시)와, 고에너지 빔 집광부로부터 집광되어 에너지 수치가 상승된 고에너지 빔이 전달되며 하방에 위치한 적층대상물(5)로 조사하는 고에너지 빔 조사부와, 레이저조사부 주위에 금속분말을 공급하기 위한 분말공급부를 포함한다.
고에너지 빔 집광부는 고에너지 빔(L)의 경로의 폭을 가변적으로 조절하거나 집광하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콜리메이션 렌즈와 포커싱 렌즈를 포함할 수 있다.
고에너지 빔 조사부는 고에너지 빔 집광부를 통과한 고에너지 빔(L)을 조사하는 노즐 등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고에너지 빔 조사부는 공구 경로(Tool Path)를 따라 이동하면서 고에너지 빔을 조사할 수 있으며, 고에너지 빔 조사부와 적층대상물(5) 사이의 거리는 고에너지 빔(L)의 초점 거리에 대응하여 조절될 수 있다.
여기서, 공구 경로는 제조하고자 하는 금속의 조형 정보를 포함하는 3차원 CAD 데이터로부터 산출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고에너지 빔 조사부의 노즐에는 중심측에 집광된 고에너지 빔(L)이 적층대상물(5)로 조사되도록 관통형성된 빔관통부와, 분말공급부와 연결되고 빔관통부의 둘레에서 적층비드 측으로 금속분말이 공급되도록 개방된 분말공급라인과, 단위금속층을 적층하는 과정에서 금속 산화방지와 광학계 손상을 방지하기 위하여 불활성가스 분위기에서 적층비드이 형성되고 금속분말이 용융되어 단위금속층이 형성되도록 분말공급라인의 둘레에서 적층대상물(5) 방향으로 아르곤 또는 질소와 같은 보호가스를 토출하는 가스공급라인이 형성된다.
여기서, "분말층"은 분말공급라인을 통해서 적층대상물(5)의 상면에 적층된 다수의 분말의 한 더미를 의미하며, 고에너지 빔(L)이 조사되면서 용융되어 형성된 적층비드(11)로 생성된다.
단위금속층(10)은 다수의 분말층이 고에너지 빔의 이동방향을 따라 공급되면서 적층비드에 용융되면서 기재 또는 적층대상물(5)의 상면에 다수의 적층비드(11)가 연속형성된 2차원적 패턴을 의미하며, 기본공정의 단위를 이룬다.
이러한 단위금속층(10)이 복수로 적층됨으로써 단위금속층 적층부(미도시)를 형성하며 최종적으로 기 설정된 3차원적 대상 제품을 형성할 수 있는 것이다.
일반적인 에너지 제어형 용착공정은 적층대상물(5)의 상부에 고에너지빔(L)을 조사하면서 상기 고에너지빔(L)이 조사되는 측으로 금속분말을 공급하여 적층대상물(5)에 적층비드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비드에 상기 금속분말을 상기 고에너지빔(L)의 이동경로를 따라 용융시켜 적층비드(11)를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단위금속층(10)을 형성하는 단위금속층 형성단계를 반복하여 다수의 단위금속층을 적층하여 단위금속층 적층부를 형성하는 다층적층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단위금속층 형성단계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340525호에 게시된 빔 조사단계와, 적층조절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 중 적층대상물(5)에 적층된 분말층을 용융시키기 위해 고에너지 빔을 분말층에 조사하면서 금속분말을 공급하여 분말층을 용융시키는 단계에서, 적층대상물(5)에 형성된 적층대상홈(6)의 저면(6a) 또는 적층대상홈(6) 내에서 선 공정에 의해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상면(10a)을 포함하는 수평면(7)의 너비(WS,WS')에 따라 적층비드(11)의 형성위치가 변동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상기 단위금속층 형성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단위금속층 형성단계의 상기 빔 조사단계는 적층비드 형성단계와, 적층비드 생성 위치 변경단계와, 경로 보정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수평면(7,7')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경사면(8)이 형성된 적층대상홈(6,6')에 단위금속층(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적층비드(11)의 높이(HB)는 적층대상홈(6,6')의 깊이(HS) 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적층비드 형성단계는 적층대상홈(6,6')에 형성된 수평면(7,7')과 경사면(8)이 접하는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금속분말이 용융된 적층비드(11)가 연장되게 고에너지 빔(L)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적층비드 생성 위치변경단계는 다수의 적층비드(11)가 적층대상홈(6,6')에 제1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단위금속층(10)이 형성되게, 상기 적층비드 형성단계 이후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고에너지 빔(L)을 적층비드(11)의 너비(WB)보다 좁게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적층비드 형성단계와, 적층비드 생성 위치변경단계는 번갈아 이루어진다.
경로보정단계는 적층대상홈(6')의 저면(6a) 또는 상기 적층대상홈(6') 내에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상면(10a)을 포함하는 수평면(7')의 너비가 최초 세팅 된 상호 인접하는 적층비드(11)들의 폭 중심간의 거리(DH)의 정배수가 아닌 경우, 적층비드의 형성위치가 변동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단계이다.
한편, 도 1 및 도 2는 경사면에서 적층비드(11) 중심 간의 거리에 따라, 적층비드(11)의 적층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과 도 2를 비교하면, 앞 공정을 통해 먼저 형성된 단위 금속층(10)의 가장자리에 위치하여 수평면과 경사면에 접하는 적층비드(11)와, 단위금속층(10)의 상방에 다른 하나의 단위금속층(10) 형성을 위해 먼저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상방의 경사면에 형성되는 적층비드(11)의 거리가 클 수록 경사면(8)을 따라 형성된 적층비드(11)들 사이에 골(v)이 커진다. 골(v)이 커질수록 먼저 형성된 단위금속층(10)에 적층되는 다른 하나의 단위금속층(10)이 균일한 높이로 형성되기 어렵다.
그러므로 균일한 높이의 단위금속층(10)을 위해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비드(11)의 폭 중심이 경사면(8)과 수평면(7)이 접하는 측에 위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대상홈(6)의 수평면(7)의 너비(WS)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DH)의 정배수일 경우는, 하나의 단위금속층(10)를 형성하는 적층비드(11)들이 적층대상홈(6)에 수평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공정에서 하나의 단위금속층(10)에 적층되는 다른 단위금속층(10)이 균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런데,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대상홈(6')의 수평면(7')의 너비(WS')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DH)의 정배수가 아닐 경우, 하나의 단위금속층(10)이 수평면의 중심을 기준으로 좌우로 비대칭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후 공정에서 하나의 단위금속층(10)에 적층되는 다른 단위금속층(10)도 균일한 높이로 형성되기 어렵다.
경로보정단계는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초 세팅된 적층비드(11)들의 중심간 거리(DH)가 유지되게 고에너지 빔(L)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되, 수평면(7')의 너비(WS')에서 최초 설정된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 간 거리들을 합한 값(WS)을 뺀 오차값(α)의 절반 만큼, 적층비드(11)들 중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적층비드(11)의 중심이 하나의 경사면(8)과 접하는 수평면(7')의 일단에 이격되고, 적층비드(11)들 중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적층비드(11)의 중심이 나머지 하나의 경사면(8)과 접하는 수평면(7')의 타단에 각각 이격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단계이다. 경로보정단계는 적층비드 형성단계와, 적층비드 생성 위치변경단계 이전에 이루어진다.
한편, 도 3 내지 도 4을 참고하면, 수평면(7,7') 상에 균일한 높이의 단위금속층(10)을 형성하기 위해서는 먼저 형성된 제1적층비드(11a)에 인접하게 형성되는 제2적층비드(11b) 형성 시, 제1적층비드(11a)에 간섭되는 제2적층비드(11b)의 일측은 제1적층비드(11a)와 제2적층비드(11b) 사이의 골(v)로 채워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적층비드(11a)에 간섭되는 제2적층비드(11b)의 일측의 체적과 제1적층비드(11a)와 제2적층비드(11b) 사이의 골(v)에 채워지는 체적이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제1적층비드(11a)에 간섭되는 제2적층비드(11b)의 일측의 체적과 제1적층비드(11a)와 제2적층비드(11b) 사이의 골(v)에 채워지는 체적이 동일할 때,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DH)는 다음과 같이 추정할 수 있다.
도 4를 참고하면, 적층비드의 횡단면적(AB)의 절반은 면적 A1와 A2를 합한 값과 동일하다,
즉, AB × 0.5 = A1 + A2
그리고, 면적 A1과 면적 A3를 합한 값은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DH)에 적층비드의 높이(HB)를 곱합 값을 절반으로 나눈 값과 동일하다.
즉, A1 + A3 = DH × HB × 0.5,
또한, 제1적층비드(11a)에 간섭되는 제2적층비드(11b)의 일측의 체적의 횡단면적(AO)을 절반으로 나눈 값과, 제1적층비드(11a)와 제2적층비드(11b) 사이의 골(v)에 채워지는 체적의 횡단면적(AV)을 절반으로 나눈 값은 동일하다.
AO = A2 ×2 , AV = A3 ×2, A2 = A3
그러므로, 아래 수식을 참고하면, 제1적층비드(11a)에 간섭되는 제2적층비드(11b)의 일측의 체적과 제1적층비드(11a)와 제2적층비드(11b) 사이의 골(v)에 채워지는 체적이 동일하여 단위금속층(10)의 두께가 균일하게 형성되기 위한 적정 적층비드들 중심 간 거리(DH)는 적층비드의 횡단면적(AB) 값을 적층비드(11)의 높이(HB) 값으로 나눈 값으로 추정할 수 있다.
DH = AB / HB
한편, 도 5 내지 도 8은 한 실험 예로서, 동일한 전력(500W)에서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DH)를 달리하여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형상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구체적으로, 도 5는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DH)가 약 0.6mm 였을 때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형상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6은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DH)가 약 0.7mm 였을 때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형상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7은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DH)가 약 0.8mm 였을 때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형상을 촬영한 이미지이고, 도 8은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DH)가 약 0.9mm 였을 때 형성된 단위금속층(10)의 형상을 촬영한 이미지이다. 고에너지빔의 전력이 500W 인 경우,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DH)가 약 0.8mm 일 때, 단위금속층(10)이 가장 평평하게 형성되는 것을 파악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실험을 통해, 고에너지 빔의 전력 크기에 따라 형성된 적층비드의 형상을 기반으로 앞에서 산출한 방법을 이용하여 단위금속층(10)이 균일한 높이로 형성될 수 있는 적정한 적층비드 중심간 거리(DH)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적층대상홈(6,6')의 수평면(7,7') 너비(WS,WS')가 적층비드(11)들 중심간 거리의 정배수 여부에 따라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여, 단위금속층을 수평면(7,7')의 너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양측에 경사면이 형성된 적층대상홈에 균일한 3차원적 대상제품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2에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을 이용해 경로가 보정된 고에너지 빔을 통해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적층비드(11)들이 도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경로보정단계를 제외하고,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공정과 동일하다.
경로보정단계는 수평면(7')의 너비(WS')에서 최초 설정된 다수의 적층비드(11)들의 중심 간 거리(DH)들을 모두 합한 값을 뺀 오차값(α)에 적층비드들의 개수(n)로 나눈 값(α/n) 만큼 적층비드들 중심간 거리(DH')가 각각 확장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단계이다.
즉, 확장된 적층비드(11)들 중심간 거리(DH')는 최초 설정된 다수의 적층비드(11)들의 중심 간 거리(DH)에 적층비드들의 개수(n)로 나눈 값(α/n)을 합한 값이다.
즉, DH' = DH + α/n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적층비드의 적층 경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을 이용한 에너지 제어형 용착공정은 적층대상홈(6')의 수평면(7') 너비(WS')가 적층비드(11)들 중심간 거리의 정배수가 아닌 경우, 다수의 적층비드(11)들의 중심 간 거리(DH')를 확장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여, 단위금속층을 수평면(7')의 너비 중심을 기준으로 대칭되게 형성시킬 수 있어, 적층대상홈 상에균일한 3차원적 대상제품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한편, 도 13에는 적층대상물(105)에 일측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수평면(7)의 타단에 인접하는 경사면(8)으로 형성된 적층대상홈(106)에 적층비드(11)들이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3의 적층대상홈(106)에 형성된 수평면(7)의 너비(WS)는 적층비드 중심간 거리(DH)의 정배수이다. 다수의 적층비드(11)들 중, 적층대상홈(105)의 일측방향 최외측에 위치한 적층비드(11)의 중심은 적층대상홈(105)의 일단에 위치된다.
도 14는 적층대상물(105')에 일측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수평면(7')의 타단에 인접하는 경사면(8)으로 형성된 적층대상홈(106')에 적층비드(11)들이 잘못 적층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적층대상홈(106')에 형성된 수평면(7')의 너비(WS')는 적층비드 중심간 거리(DH)의 정배수보다 긴 오차값(α)을 갖도록 형성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비드(11)들이 형성되어 단위금속층(10) 들이 적층된 경우,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위금속층(10)들의 적층된 형상의 끝단부가 무너져 내리는 형태로 형성된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일측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수평면(7,7')의 타단에 인접하는 경사면(8)으로 이루어진 적층대상홈(105,105')에 형성되는 단위금속층(10)들이 상하로 적층된 적층형상의 적층대상홈(105,105')의 일단부 측에서 무너지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공정이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수평면(7,7')을 사이에 두고 제1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경사면(8)이 형성된 적층대상홈(106,106')에 단위금속층(10)을 순차적으로 적층한다.
적층비드 형성단계는 적층대상홈(106,106')에 형성된 수평면(7,7')과 경사면(8)이 접하는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금속분말이 용융된 적층비드(11)가 연장되게 고에너지 빔(L)을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적층비드 생성 위치변경단계는 다수의 적층비드(11)가 적층대상홈(106,106')에 경사면(8)에서 수평면(7,7') 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단위금속층(10)이 형성되게, 상기 적층비드 형성단계 이후 경사면(8)에서 수평면(7,7')의 일단부 방향으로 고에너지 빔(L)을 적층비드(11)의 너비(WB)보다 좁게 이동시키는 단계이다.
적층비드 형성단계와, 적층비드 생성 위치변경단계는 번갈아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경로보정단계에서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면(8)과 수평면(7,7')의 타단에 접하는 측에 고에너지 빔(L)이 조사되면서 최초로 형성되는 적층비드(11)의 중심이 위치되며 최초 세팅된 적층비드들의 중심간 거리(WH)가 유지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는데; 수평면(7')의 일단부에 폭 중심이 위치되어, 최초 세팅된 고에너지빔의 이동경로로 형성된 적층비드(11)들 중, 수평면(7')의 일측 향하는 가장자리에 위치한 적층비드(11)의 중심과 접하는 추가적층비드(11')가 추가되게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추가한다.
추가적층비드(11')의 폭 중심과, 최초 세팅된 고에너지빔의 이동경로로 형성된 적층비드(11)들 중, 수평면(7')의 일측 향하는 가장자리에 위치한 적층비드(11)의 중심은 오차값(α) 만큼의 거리를 갖는다.
본 발명의 제3 실시 예에 따른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은 단위 금속층(10) 형성 시 적층대상홈의 일단부에 추가 적층비드(11')가 더 형성되므로, 적층대상부의 일단부에 적층부족현상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균일한 3차원적 대상제품을 형성시킬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은 도시된 일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예 불과하며,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 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의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5,5' : 적층대상물 6, 6' : 적층대상홈
7,7' : 수평면 8 : 경사면
10 : 단위금속층 11 : 적층비드
L : 고에너지 빔

Claims (5)

  1. 적층대상물에 형성된 적층대상홈에 용융된 적층비드를 형성하고 상기 적층비드로 공급되는 금속분말들이 형성한 분말층을 함께 용융시킬 수 있도록 고에너지빔을 이동시키면서 조사하는 빔 조사단계;를 포함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에 있어서,
    상기 빔 조사단계는
    상기 적층대상홈에 형성된 수평면과 경사면이 접하는 제1방향에 직교하는 제2방향으로 상기 분말층이 용융된 적층비드가 연장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을 이동시키는 적층비드 형성단계와;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가 상기 적층대상홈에 상기 제1방향으로 순차적으로 배열되어 단위금속층이 형성되게, 상기 적층비드 형성단계 이후 상기 제1방향에 나란한 방향으로 상기 고에너지 빔을 상기 적층비드의 너비보다 좁게 이동시키는 빔 위치 세팅 단계;가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적층대상홈의 저면 또는 상기 적층대상홈 내에 형성된 상기 단위금속층의 상면을 포함하는 상기 수평면의 너비가 최초 세팅 된 상호 인접하는 상기 적층비드들의 폭 중심간의 거리의 정배수가 아닌 경우, 상기 적층비드의 형성위치가 변동되거나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추가되는 경로 보정단계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대상홈은
    상기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로 보정단계는
    최초 세팅된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간 거리가 유지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되,
    상기 수평면의 너비에서 최초 설정된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 간 거리들을 합한 값을 뺀 오차값의 절반 만큼, 상기 적층비드들 중 일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이 하나의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면의 일단에 이격되고, 상기 적층비드들 중 타측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이 나머지 하나의 상기 경사면과 접하는 상기 수평면의 타단에 이격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대상홈은
    상기 수평면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상호 마주하는 상기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로 보정단계는
    상기 수평면의 너비에서 최초 설정된 다수의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 간 거리들을 합한 값을 뺀 오차값에 상기 적층비드들의 개수를 나눈 값 만큼 상기 적층비드들 중심간 거리가 각각 확장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보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적층대상홈은
    일측방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수평면의 타단에 인접하는 경사면이 형성되며,
    상기 경로 보정단계는
    상기 경사면과 상기 수평면의 타단에 접하는 측에 상기 고에너지 빔이 조사되면서 최초로 형성되는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이 위치되며 최초 세팅된 상기 적층비드들의 중심간 거리가 유지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 경로가 설정되되,
    최초 세팅된 상기 고에너지빔의 이동경로로 형성된 상기 적층비드들 중, 상기 수평면의 일측 향하는 가장자리에 위치한 상기 적층비드의 중심에서 상기 경사면에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격된 상기 수평면의 일단부에 중심이 위치되는 추가적층비드가 추가되게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추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5. 제 1항에 있어서,
    먼저 형성된 하나의 상기 적층비드에 인접하게 다른 하나의 상기 적층비드 형성 시, 간섭되는 체적이 인접하는 상기 적층비드들 사이의 상부로 채워지도록,
    상기 적층비드 중심 간 거리는
    상기 적층비드의 너비보다 적되, 상기 적층비드의 횡단면적 값을 상기 적층비드 높이 값으로 나누어 산출하여 상기 고에너지 빔의 이동경로를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KR1020220113714A 2022-09-07 2022-09-07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KR2024003455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714A KR20240034551A (ko) 2022-09-07 2022-09-07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3714A KR20240034551A (ko) 2022-09-07 2022-09-07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4551A true KR20240034551A (ko) 2024-03-14

Family

ID=902492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3714A KR20240034551A (ko) 2022-09-07 2022-09-07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4551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744A (ko) 2016-10-12 2018-04-23 주식회사 인스텍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시스템
KR102340525B1 (ko) 2020-05-28 2021-12-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등가적층 체적높이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40744A (ko) 2016-10-12 2018-04-23 주식회사 인스텍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3d 프린팅 레이저빔 조사 시스템
KR102340525B1 (ko) 2020-05-28 2021-12-16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등가적층 체적높이 제어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34490B2 (ja) 電子ビーム選択的溶融と電子ビーム切断とを組み合わせた積層造形装置
JP6751040B2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製造システム、及び製造プログラム
KR101748860B1 (ko) 적층 가공을 위한 방법 및 장치
JP6411601B2 (ja) 3次元積層造形装置、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EP2424707B1 (en) Additive layer fabrication method
JP6200599B1 (ja) 3次元積層造形装置、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3次元積層造形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CN115666838A (zh) 层叠造形方法
Akbari et al. Process development for a robotized laser wire additive manufacturing
KR102340525B1 (ko) 등가적층 체적높이 제어방법
JP2022034759A (ja) 積層造形物の製造システム、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積層造形物の製造プログラム
US20240207934A1 (en) Laser array for laser powder bed fusion processing of metal alloys
JP7203671B2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積層造形物
CN111526954B (zh) 交错扫描的策略及其应用
US2023019169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a three-dimensional workpiece via additive layer manufacturing
JP7506005B2 (ja) 積層計画作成方法
KR20240034551A (ko)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의 적층비드 오차 및 결함 최소화 기법
JP7193423B2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JP7409997B2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WO2019098021A1 (ja) 造形物の製造方法、製造装置及び造形物
KR20240034550A (ko) 에너지 제어형 용착 공정을 위한 곡률 형상에 대한 후가공을 고려한 적층비드 과적층 기법
CN115996810A (zh) 造型条件的设定方法、层叠造型方法、层叠造型系统以及程序
JP7189110B2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及び積層造形物
JP2021126673A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JP7303162B2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
JP6783964B1 (ja) 積層造形物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