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33776A - 발광 모듈 - Google Patents

발광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33776A
KR20240033776A KR1020220112410A KR20220112410A KR20240033776A KR 20240033776 A KR20240033776 A KR 20240033776A KR 1020220112410 A KR1020220112410 A KR 1020220112410A KR 20220112410 A KR20220112410 A KR 20220112410A KR 20240033776 A KR20240033776 A KR 202400337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ens
adhesive
injection groove
adhesive inj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1124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태
김태원
이영식
조광래
류진솔
Original Assignee
(주)파트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파트론 filed Critical (주)파트론
Priority to KR10202201124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40033776A/ko
Publication of KR202400337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337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KNON-ELECTRIC LIGHT SOURCES USING 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ELECTROCHEMILUMINESCENCE; LIGHT SOURCES USING CHARGES OF COMBUSTIBLE MATERIAL; 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K9/00Light sources using semiconductor devices as light-generating elements,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 lasers
    • F21K9/60Optical arrangements integrated in the light source, e.g. for improving the colour rendering index or the light extrac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29/00Protecting lighting devices from thermal damage; Cooling or heat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V29/50Cooling arrangements
    • F21V29/60Cool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orced flow of gas, e.g.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5/00Refractors for light sources
    • F21V5/04Refractors for light sources of lens shap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25Out-coupling of light
    • H01S5/02253Out-coupling of light using len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5/02476Heat spreaders, i.e. improving heat flow between laser chip and heat dissipating elem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30Semiconductor las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Led Device Packag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광 모듈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발광 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접착제 주입홈을 구비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패키지, 상기 베이스 기판에 위치하는 발광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하고 상기 발광부와 반대편에서 위치하고 있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과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의 하면 사이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과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에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발광 모듈{LIGHT EMITTING MODULE}
본 발명은 발광 모듈에 관한 것이다.
빛을 발광하는 발광 소자를 구비하고 있는 발광부는 단순히 원하는 곳에 빛을 공급하는 기능뿐만 아니라 거리 측정이나 물체 감지 등과 같이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발광부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빛을 원하는 형태로 집광시키거나 확산시키는 등의 기능을 수행하는 렌즈부가 추가로 구비되어 있다.
이러한 렌즈부는 발광부 위에 위치하게 되고, 이때, 장착 위치는 발광부에서 출력되는 빛의 초점 거리 등을 고려하여 정해질 수 있다.
대한민국 특허출원 제10-2014-0079918호(출원일자: 2014년 06월 27일, 발명의 명칭: 발광모듈)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는 발광 모듈의 내구성을 높이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특징에 따른 발광 모듈은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접착제 주입홈을 구비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패키지, 상기 베이스 기판에 위치하는 발광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과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의 하면 사이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과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에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부를 포함한다.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면은 상기 패키지의 내부 쪽으로 경사져 있을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에서, 각 접착제 주입홈이 위치하는 테두리부부의 높이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이 위치하지 않는 테두리부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각 접착제 주입홈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거치부의 해당 부분의 상면을 노출하는 구멍일 수 있다.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을 넘어서지 않게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상기 렌즈부는 렌즈 본체 및 상기 렌즈 본체에 부착되어 있고, 각 발광부에 대응되는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 소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특징에 따르면, 렌즈 소자부가 부착되어 있는 렌즈부의 하면 뿐만 아니라 측면에까지 접착제가 도포되어 있으므로, 렌즈 본체와 렌즈 소자부 간의 물리적인 특성 차이로 인한 렌즈 소자부의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접착제 주입홈을 이용하여 접착제의 주입을 실시해, 렌즈부의 측면까지 접착제가 도포될 수 있도록 하므로, 접착제의 주입 동작이 용이하고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 및 도 2에 도시한 발광 모듈을 일 방향을 따라 잘라 얻어지는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분해 사시도로서, 서로 다른 방향에서 획득된 분해 사시도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의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설명되는 각 단계들은 특별한 인과관계에 의해 나열된 순서에 따라 수행되어야 하는 경우를 제외하고, 나열된 순서와 상관없이 수행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발광 모듈에 대해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을 참고로 하면, 본 예의 발광 모듈은 베이스 기판(10), 베이스 기판(10) 위에 위치하고 있는 패키지(20), 베이스 기판(10) 위에 위치하고 있는 발광부(30), 그리고 패키지(20)에 장착되고 발광부(30) 위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부(40)를 구비할 수 있다.
베이스 기판(10)은 발광 모듈의 바닥면을 이루는 부분일 수 있고, 인쇄회로기판(PCB), 세라믹 기판 또는 금속 기판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베이스 기판(10)은 그 위에 실장되어 있는 발광부(30)와 같은 전기전자 소자와 집적 회로 등의 전기적 및 물리적인 연결을 위해 신호선 등을 위한 도체 패턴 및 패드(pad) 등을 구비할 수 있다.
패키지(20)는 베이스 기판(10)의 상면 가장자리부를 완전히 에워싸게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패키지(20)에 에워싸여진 베이스 기판(10) 위의 내부 공간 속에 발광부(30)가 위치할 수 있다. 이때, 내부 공간의 하부는 베이스 기판(10)으로 막혀 있고, 측부는 패키지(20)로 막혀 있으며 상부는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패키지(20)의 한 예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한 것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도 3 및 도 4를 참고하면, 패키지(20)의 내측면은 서로 다른 높이를 갖는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즉, 패키지(20)는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갖는 베이스 기판(10)을 에워싸고 있으므로,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대략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패키지(20)는 가운데에 빈 공간인 장착 공간(S21)을 갖고 있는 정해진 두께를 갖는 거치부(21), 거치부(21)를 완전히 에워싸고 있는 테두리부(22), 테두리부(22)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 주입홈(23)을 구비할 수 있다.
장착 공간(S21)은 정해진 두께를 갖는 거치부(21)로 에워싸여져 있고, 그 속에 발광부(30) 등의 전기전자 소자가 위치할 수 있다.
거치부(21)는 렌즈부(40)가 안착되어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정해진 폭(D21)을 가질 수 있다. 이때, 거치부(21)의 폭(D21)은 위치에 따라 크기가 상이할 수 있다.
테두리부(22)는,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패키지(20)의 측면 일부를 이루는 부분으로 평탄면인 거치부(21), 즉 거치부(21)의 상면으로부터 정해진 높이만큼 위쪽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때, 거치부(2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테두리부(22)의 돌출 높이는 렌즈부(40)의 총 두께보다 클 수 있다. 이로 인해, 도 1 및 도 3에 도시한 것처럼, 거치부(21) 위에 위치하는 렌즈부(40)는 테두리부(22)의 상면을 넘어서지 않아, 테두리부(22)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되지 않고 테두리부(22)로 에워싸여진 공간 속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테두리부(22)는 제1 내지 제4 테두리 부분을 구비하고 있는 사각형의 평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테두리부(22)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제 주입홈(23)은 거치부(21)에 위치하는 렌즈부(40)의 접착을 위해 접착제를 주입하기 위한 홈일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 주입홈(23)은 장착 공간(S21)을 사이에 두고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테두리 부분(예, 제2 테두리 부분 및 제4 테두리 부분)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본 예의 경우, 접착제 주입홈(23)의 개수는 2개이지만, 이에 한정되지 않은다.
이러한 접착제 주입홈(23)은 각각, 도 4 및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테두리부(22)의 해당 부분의 적어도 일부를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접착제 주입홈(23)은 접착제 주입홈(23)이 위치하고 있는 부분의 테두리부(22)가 완전히 제거된 완전히 개방된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각 접착제 주입홈(23)이 위치한 부분에는 테두리부(22)가 존재하지 않아 거치부(21)의 해당 상면이 노출될 수 있다.
도 4와 같이, 각 접착제 주입홈(23)이 완전히 개방된 구멍 형태인 경우, 테두리부(22)는 접착제 주입홈(23)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눠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와 같이, 접착제 주입홈(23)의 개수가 2개인 경우, 테두리부(22)는 두 개의 구역으로 나눠질 수 있다. 즉, 테두리부(22)는 제1 테두리 부분과 이 제1 테두리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및 제4 테두리 부분의 일부로 이루어진 제1 구역 그리고 제3 테두리 부분과 이 제3 테두리 부분에 연결되어 있는 제2 및 제4 테두리 부분의 나머지 일부로 이루어진 제2 구역으로 나눠질 수 있다.
도 4과 같이, 접착제 주입홈(23)이 완전히 개방된 상태인 경우, 접착제 주입홈(23)을 통한 접착제의 주입 동작은 손실없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접착제 주입홈(23)의 다른 예는 도 6에 도시한 것과 같을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한 것처럼, 각 접착제 주입홈(23)은 테두리부(22)의 해당 부분의 상부 일부가 제거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도 6과 같이, 접착제 주입홈(23)이 거치부(21)의 상면에서부터 정해진 높이에 위치하지만, 각 접착제 주입홈(23)이 위치하고 있는 테두리부(22)의 높이는 접착제 주입홈(23)이 위치하지 않은 테두리부(22)의 높이보다 낮을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주입홈(23)이 위치한 부분, 즉 접착제 주입홈(23)의 하부에도 테두리부(22)가 존재하게 된다.
이로 인해, 도 4의 경우에는 접착제 주입홈(23)이 존재하는 부분에는 테두리부(22)가 존재하지 않는 반면, 본 예의 경우, 접착제 주입홈(23)이 존재하는 부분에도 테두리부(22)가 존재하므로 거치부(21)의 가장자리는 테두리부(22)로 완전히 에워싸여 있을 수 있다.
또한, 도 6의 경우, 각 접착제 주입홈(23)의 상면은 외측에서 내측으로 내리막 형태로 경사져 있는 경사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경사면으로 인해, 해당 접착제 주입홈(23)을 통해 주입되는 접착제는 거치부(21) 쪽으로 좀 더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접착제 주입홈(23)이 존재하는 부분에도 테두리부(22)가 존재하는 경우, 접착제가 패키지(20)의 외측으로 흘러 넘치는 것이 방지되며 또한, 패키지(20) 내부로의 먼지 등의 이물질 유입량이 감소할 수 있다.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이러한 패키지(20)는 접착 필름이나 에폭시 몰딩 수지재(EMC) 등을 이용한 접착제를 이용하여 베이스 기판(20)의 해당 위치에 안전하게 위치할 수 있다. 발광부(30)는 레이저 등의 빛을 생성하여 외부로 출력하는 소자일 수 있다.
본 예의 발광부(30)는, 도 2에 도시한 것처럼, 베이스 기판(10)에 실장될 수 있다. 이미 기술한 것처럼, 다단 구조를 갖는 패키지(20)로 인해, 발광부(30)는 패키지(20)의 첫 번째 단인 거치부(21)로 에워싸여져 있는 장착 공간(S21)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발광부(30)는 해당 패드(P30, P10)와 접촉되어 있는 와이어(W30)를 통해 베이스 기판(10)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0)는 와이어(W30)를 통해 베이스 기판(10)으로부터 동작에 필요한 신호와 전원 등을 수신 받을 수 있다.
또한, 발광부(30)가 베이스 기판(10)에 실장될 때, 표면 실장 기술(SMT) 등을 이용하여 해당 위치에 실장될 수 있으므로, 이런 경우, 도 1에 도시한 것처럼, 발광부(30)와 베이스 기판(10) 사이에는 접착부(A10)가 위치할 수 있다.
렌즈부(40)는 발광부(30)에서 출력되는 빛을 외부로 발산하기 위한 것으로서, 렌즈 본체(41)와 렌즈 본체(41)의 하부면 즉, 발광부(30)와 대면하고 있는 면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 소자부(42)를 구비할 수 있다.
렌즈 본체(41)는 빛을 외부로 출력하기 위한 것으로서, 빛이 통과되는 투명한 재료, 예를 들어, 플라스틱이라 투명한 유리로 이루어질 수 있고,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렌즈 소자부(42) 역시 빛이 통과되는 투명한 재료(예, 플라스틱)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렌즈 소자부(42)는 발광부(30)에 구비되는 발광 소자에 대응되게 해당 렌즈, 예를 들어, 볼록 렌즈를 구비할 수 있고, 렌즈 본체(41)에 부착되는 시트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발광부(30)의 발광 소자에서 출력되는 빛은 대응되는 렌즈로 입사된 후 렌즈 본체(41)를 통과하여 외부로 발산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소자부(42)로 인해, 발광부(30)에서 출력되는 빛의 발산 범위가 증가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렌즈부(40)는, 이미 기술한 것처럼, 거치부(21)에 위치한 후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이때, 렌즈부(40)는 접착제를 통해 거치부(21)에 위치가 고정될 수 있으므로, 거치부(21)에 위치하는 렌즈부(40)의 해당 하면과 이 하면과 대면하고 있는 거치부(21)의 해당 상면 사이에는 접착부(A20)가 위치할 수 있다.
접착부(A20)는 렌즈부(40)와 접하고 있는 거치부(21) 상면의 해당 부분 뿐만 아니라 상면의 해당 부분과 바로 연결되어 있는 테두리부(22) 측면의 해당 부분까지 위치할 수 있다.
따라서, 도 3 및 도 4에 도시한 것처럼, 접착부(A20)는 렌즈부(40)의 하부면과 대면하고 있는 거치부(21)의 상면뿐만 아니라 렌즈부(40)의 측면과 대면하고 있는 테두리부(22)의 측면에까지 위치하므로, 렌즈부(40)의 하면과 측면은 접착부(A20)로 안전하게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렌즈부(40)는 거치부(21)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발광 모듈의 제조 공정 중 하나인 열처리 공정 시, 렌즈 본체(41)와 렌즈 소자부(42) 간의 열팽창 계수와 같은 물리적인 특성 차이로 인해, 렌즈 본체(41)의 해당 면에 부착되어 있는 렌즈 소자부(42)가 렌즈 본체(41)에서 박리되는 현상이 발생할 수 있다.
하지만, 본 예와 같이, 렌즈부(40)는 하면뿐만 이 하면과 연결되어 있는 측면에까지 접착부(A20)가 위치하여 서로 접해 있는 렌즈 본체(41)와 렌즈 소자부(42)의 측면을 단단히 고정할 수 있으므로, 렌즈 본체(41)에서 렌즈 소자부(42)가 박리 현상이 방지될 수 있다.
이처럼, 접착제를 이용하여 렌즈부(40)를 거치부(21)에 위치시키기 위해, 먼저, 작업자는 렌즈부(40)가 위치할 거치부(21)의 상면 일부에 접착제를 도포한 후 거치부(21) 위에 렌즈부(40)를 위치시킬 수 있다.
그런 다음, 작업자가 주사기 등을 이용하여 각 접착제 주입홈(23)을 통해 접착제를 주입하게 되면, 접착제 주입홈(23)을 통해 주입된 접착제는 거치부(21)와 렌즈부(40) 사이의 빈 공간 속으로 삽입된 후 주변으로 퍼져 나가, 렌즈부(40)와 인접해 있는 거치부(21)와 테두리부(22)의 해당 부분에까지 위치할 수 있고, 이에 따라, 거치부(21)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부(40)의 하면 및 측면은 각각 인접한 거치부(21)의 상면과 테두리부(22)의 측면에 접착될 수 있다.
이로 인해, 거치부(21)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만을 통해 렌즈부(40)의 위치가 고정되었던 비교예에 비해, 본 예는 거치부(21)의 상면뿐만 아니라 테두리부(22)의 측면에까지 위치한 접착제로 인해, 렌즈부(40)의 하면과 측면은 대면하고 있는 거치부(21)와 테두리부(22)의 해당 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접착제를 이용하여 거치부(21)의 상면에 먼저 렌즈부(40)가 위치한 상태에서 접착제 주입홈(23)을 이용한 접착제 주입을 실시할 경우, 거치부(21)의 상면에 도포된 접착제에 의해 서로 대면하고 있는 거치부(21)의 상면과 렌즈부(40)의 하면 사이에는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고, 또한, 서로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40)의 측면과 테두리부(22)의 내측면 사이 역시 빈 공간이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접착제 주입홈(23) 속으로 주입된 접착제는 이들 빈 공간에 의한 삼투압 현상에 의해, 렌즈부(40)와 인접한 거치부(21)의 부분과 테두리부(22)의 부분의 빈 공간으로 삽입되어 도포될 수 있다.
도 4의 경우, 접착제 주입홈(23)이 완전히 개방된 구멍이므로, 위쪽 방향으로 돌출된 거치부(21)가 존재하지 않게 된다. 이로 인해, 접착제는 완전히 개방된 접착제 주입홈(23)을 통해 좀 더 용이하고 편리하게 접착제는 거치부(21)의 내측으로 주입할 수 있다.
또한, 도 4의 경우, 패키지(20)를 90도 방향으로 회전시켜 해당 접착제 주입홈(23)을 상측으로 위치시킨 상태에서 접착제를 주입할 경우, 접착제는 거치부(21) 쪽으로 좀 더 용이하고 손실없이 주입될 수 있다.
도 6의 경우, 각 접착제 주입홈(23)의 상면이 패키지(20)의 내측 방향으로 경사져 있으므로, 접착제는 경사진 접착제 주입홈(23)의 상면을 따라 거치부(21)의 내측으로 쉽게 미끄러져 삽입될 수 있다.
본 예에서, 렌즈부(40)를 거치부(21)에 위치시키기 위한 접착제는 에폭시 몰딩제(EMC, epoxy molding compound)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해당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각 실시예에 개시된 기술적 특징들은 서로 다른 실시예에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따라서, 각 실시예에서는 각각의 기술적 특징을 위주로 설명하지만, 각 기술적 특징이 서로 양립 불가능하지 않은 이상, 서로 병합되어 적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 및 첨부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의 관점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의 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베이스 기판 20: 패키지
21: 거치부 22: 테두리부
30: 발광부 40: 렌즈부
41: 렌즈 본체 42: 렌즈 소자부
W30: 와이어 A10, A20: 접착부

Claims (9)

  1. 베이스 기판;
    상기 베이스 기판의 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고, 거치부 및 상기 거치부보다 높은 위치에 위치하고 접착제 주입홈을 구비하는 테두리부를 구비하는 패키지;
    상기 베이스 기판에 위치하는 발광부;
    상기 거치부에 위치하고 있는 렌즈부; 그리고
    상기 거치부의 상면과 상기 거치부의 상면에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의 하면 사이 그리고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과 상기 테두리부의 측면에 대면하고 있는 렌즈부의 측면 사이에 위치하고 있는 접착부
    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서로 반대편에서 마주보고 있는 한 쌍의 테두리 부분에 위치하고 있는 발광 모듈.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의 상면은 상기 패키지의 내부 쪽으로 경사져 있는 발광 모듈.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에서, 각 접착제 주입홈이 위치하는 테두리부부의 높이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이 위치하지 않는 테두리부의 높이보다 낮은 발광 모듈.
  5.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 주입홈은 각 접착제 주입홈이 위치하고 있는 상기 거치부의 해당 부분의 상면을 노출하는 구멍인 발광 모듈.
  6.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테두리부는 상기 접착제 주입홈을 기준으로 하여 복수 개의 구역으로 분할되는 발광 모듈.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상기 테두리부의 상면을 넘어서지 않는 발광 모듈.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상기 베이스 기판과 와이어로 연결되어 있는 발광 모듈.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부는 렌즈 본체 및 상기 렌즈 본체에 부착되어 있고, 각 발광부에 대응되는 렌즈를 구비하고 있는 렌즈 소자부를 포함하는 발광 모듈.
KR1020220112410A 2022-09-05 2022-09-05 발광 모듈 KR2024003377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410A KR20240033776A (ko) 2022-09-05 2022-09-05 발광 모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112410A KR20240033776A (ko) 2022-09-05 2022-09-05 발광 모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33776A true KR20240033776A (ko) 2024-03-13

Family

ID=90299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112410A KR20240033776A (ko) 2022-09-05 2022-09-05 발광 모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4003377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918A (ko)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Oled 제조용 박막 증착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79918A (ko) 2012-12-20 2014-06-30 주식회사 에스에프에이 Oled 제조용 박막 증착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RE42112E1 (en) Chip light emitting diod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US7872278B2 (en) Light emitting diode system, method for producing such a system, and backlighting device
US7230280B2 (en) Collimating light from an LED device
KR20010114154A (ko) Led 조명장치 및 그 제조방법
KR101894041B1 (ko) 발광소자 및 이를 포함하는 발광모듈
KR101436210B1 (ko) 차량용 등기구
JP2008124195A (ja) 発光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10777723B2 (en) LED package structure, heat-dissipating substrate, method for manufacturing LED package structur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heat-dissipating substrate
KR101766720B1 (ko) 발광소자 패키지
KR20240033776A (ko) 발광 모듈
CN108431490B (zh) 具有准确光学元件定位的照明布置
JP2006156643A (ja) 表面実装型発光ダイオード
KR100888180B1 (ko) 측면 발광 led 조립체
JP2008016197A (ja) Led実装基板、led実装基板を備えたバックライトおよびled実装方法
KR10195243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101559038B1 (ko) 발광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US20100232179A1 (en) Printed circuit board and back light module using the same
KR101523000B1 (ko) 3차원 조명장치
KR20240033777A (ko) 발광 모듈
KR100821222B1 (ko) 막대형 led 패키지 및 그 제조방법
KR101997251B1 (ko) 발광소자 어레이 모듈 및 조명 시스템
KR101683887B1 (ko) 발광 소자 패키지 및 이를 구비한 라이트 유닛
KR20160135143A (ko) 인쇄회로기판 및 그를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
US6927424B2 (en) Light emitting diode and method for producing it
JP2006184349A (ja) 表示モジュールとその製造方法